•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Comparative measurement study of glenoid fossa and humeral head in recurrent, traumatic shoulder dislocationand control group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Comparative measurement study of glenoid fossa and humeral head in recurrent, traumatic shoulder dislocationand control group"

Copied!
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 서경진 외 : 사지 종양성영변의 천산화안층촬영

]oint Surg(Am) 62:1027-1030, 1980 tomography of long bone osteosarcoma. Radiology 17. Lukens J

A:

McLeod RA, Sim FH: Computed 131:439-445, 1975

tomographic evaluation of primary osseous mal- 23. deSantos LA, Bernardino ME, Murry JA: Com ignant neoplasm. A]R 139:45-48, 1982 puted tomography in the evaluation of osteosar 18. Hunter JC, Jhonstone WH, Genant HK: Computed coma. A]R 132:535-540, 1979

tomography evaluation of fatty tuinors of the som- 24. Hudson TM, Springfield DS, Benjamin M et al atic soft tissue. Skeletal Radiolo 4:79-91, 1979 Computed tomography of parosteal osteosarcoma 19. Soye 1, Levine E, DeSmet AA et al: Computed A]R 144:9961-965, 1985

tomography in the preoperative evaluation of mass- 25. Kenney PJ, Gilula LA, Murphy WA: The use of es arising in or near the joints of the extremities. computed tomography to distinguish osteochondro- Radiology 143:727-732, 1982 ma and chondrosarcoma. Radiology 139:129-137, 20. Schwimmer M, Edelstein G, Heiken JP et al: Syno- 1981

vial cysts of the knee: CT evaluation. Radiology 26. Rosenthal DI, Schiller AL, Mankin HJ: Chon 154-177, 1985 drosarcoma: Correlation of radiological and histolo 21. Sartoris D], Kursunoglu S, Pineda C et al: Detec- gical grade. Radiology 150:21-26, 1984

tion of intraarticular osteochondral bodies in the 27. deLange EE, Pope TL, Fechneer RE: Dediffere- knee. Radiology 155:447-450, 1985

22. Destouet ]M, Gilula LA, Murphy WA: Computed

-133 -

ntiated chondrosarcoma: Radiographic features Radiology 160 .. 489-492, 1986

(2)

최순성 : 재발성 및 외상성 견판설딸구에 있어서 대조군의 상완골두 및 견강골와의 비교판찰 -

^C그 ~

본 연구의 대 상은 1985 년 1월부터 1988 년 10월 까지 국군대구영원에 내원한, 견갑골부위의 여러증상을 호 소하는 20 대 초반의 남자 업영대상자 및 환자였다. 재 발성 탈구군은 2회이상수차례 달구가 있었거냐, 수의 적 인 탈쿠가 가능한 경우 혹은 5파운드의 추를 손옥에 메달고 찍은 사진에서 견판절 탈구가 있었던 59 례(얘 기는 양측에 달구가 있었던 12 영의 24 례가 포함되었 음)였다. 외상성 탈구군은각종외상으로 인해 탈구펀 상태였던 11례였으며, 대조군은 탈구를 제외한 견갑 골부위의 동통, 인대손상등을 주소로 했던 148 례였 마.

방 법

상석인 촬영조건으로 찍은 견판절의 전후방 x- 선사 진 (Shoulder true AP view) 의 필릉상에서 확대율을 고려하지않고 0.1 cm 단위로 실측하였다. 견갑골와의 크기는 전후땅사진에서 견갑골와 상하끝을 연결한 선 의 걸이 (G) 로하였으며, 상완골두의 크기는불완전한 반타원형인 상완골두의 상하양쪽 끝을 직선으로 연결 한 선의 걸이 , 즉 상완골의 해부학석 경부의 x- 선 사 진상 최장걸이 (H) 로 하였마(Fig 1)

상완골두의 크기에 대한 견강골와의 크기의 배(GI

H ratio로 칭하였음)는

kn;때: ;:zz:rr43)(H)

× 100

으로 하여 소수점 둘째 자

리까지 계산하여 반올림하였A며 각 집단에서의 평 란 G/H ratio 사이 의 유의 성 을 t-test로 검 정 하였 다.

결 과

재발성 달구환자 59 례외상성 탈구환자11 대조 상완골두와 견 갑골와의 크기 는 40안치 거 리 에 서 통 균 148례 의 G, H 및 G/H ratio는 각각 Table 1, Table

Fig. 1. Measurement 01 glenoid and Humeral head length; Normal shoulder (Lt. side) and Dislocated shoulder (Rt. side)

- 135 -

(3)

- 大韓放射線뿔學會註 .

25

卷 第 l 1989

Table

1.

G

,

H and G/H Ratio in Recurrent Shoulder Dislocation P

t.

No. G(cm

)

H(cm) G/ H

ratio

1

3. 5 5. 2 67.3

2 3. 5 4.9 7

1.

4

3 3. 9 5.2 75.0

4 3. 9 4.9 79.6

5 3.8 4. 9 77.6

6 3. 9 5. 1 76.5

7 3. 9 5. 3 73.6

8 3. 5 5. 0 70. 0

9 3. 4 4. 9 69. 4

10

4. 0 5. 1 78

.

4

11

3.9 5.3 73. 6

12 4. 3 5.8 74.

1

13

3. 8 4.8 79.2

14 4. 0 5.3 75. 5

15 4. 1 5. 4 75. 9

16 4. 0 5.3 75. 5

17 4. 1 5.2 78.8

18 3.5 4.9 7

1.

4

19 3. 3 5. 1 64. 7

20 3. 9 5.2 75.0

21 3. 6 4.6 78. 3

22 3. 7 4. 7 78. 7

23 4. 1 5. 0 82.0

24 3. 8 4.6 82. 6

25 4. 0 5. 5 72. 7

26 3. 9 5. 0 78.0

27 4.4 5. 3 83. 0

28 4. 2 5. 2 80. 8

29 3. 7 5. 0 74

.

0

30

3. 7 5. 5 67

.

3

2

,

Table

3 과 같았마. 이들 각 집단의

G

,

H

G/ H

rat lO의 평 균, 표준펀차는

Table

4와 같았마. 견 갑골 와의 걸이는 대조군에 비해서 재발성 달구군이 x- 선 사진상 평 균

0.2

cm가 짧았다.

재 말성 탈쿠군파 외 상성 달구군 사이 의

G/H ratio

는 유의한 차이가 없였 A며 (P >0. 05), 자l 발성 달구 군파 대조균(P>O.O l), 그러고 외상성 탈구군과 대조

군 (P >0. 05)사이의

G/ H

rati。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

다.

P

t.

No. G (cm) H (cm) G/ H ratio

31 3. 7 5.5 67

.

3

32 3. 6 4.9 73

.

5

33 3.5 4. 8 74

.

0

34 3. 7 4. 7 78

. 7

35 3. 3 4.8 68

.8

36 3. 1 4. 7 66.0

37 3.5 4.9

71.

4

38 3. 8 5. 0 76. 0

39 3.5 4.6 76. 1

40 3.9 5.0 78.0

41 3. 6 4. 9 73.5

42 3.4 5. 3 64.2

43 3. 5 5.3 66.0

44 3. 1 5.0 62.0

45 3. 9 5. 4 72.2

46 3.8 5.

1

74.5

47 4. 1 5.3

77.

4

48 4.

1

5. 3

77.

4

49 3.5 4.8 72. 9

50 3.8 5.4 70. 4

51 4.0 5. 2 76.9

52 3. 8 5.4 70.4

53 3.9 4. 9 79.6

54 3.9 4. 9 79.6

55 3.5 4.8 72.9

56 3. 5 4.8 72.9

57 3.6 4.8 75.0

58 3. 5 4.8 72. 9

M ean 3. 7 5. 0 74. 1

고 찰

견판절은 X 선사진에서 정시모양의 납작한 견강 골와에 반타원형 의 상완골두가 닿아있는 모양을 하고 있다. 이 판절의 안정성은 판절막, 인대, 주변근육을 등에 의해 유지되며 1.2.3.4)’ 견판절의 골격구조는 판절 의 안정 성에 도움이 되지 않는냐고도 하고2) 상완골 두 및 견강골와의 선천석 혹은 후천석 변화가 탈쿠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도 하였다 1)

-136 -

(4)

- 최순섞 : 지l 발성 및 외 싱생 낀관절l갈구에 있어서 이I군의 성완골우 및 진간골와의 "1교곡1찰 -

Table 2. G, H and G/H ratio in Traumatic Shoulder Dislocation

Pt. No G (cm) H(cm) G/H ratio

4.0 5

.2 76.

9

2 4.0 5.3 75.5

3

4

.1

5

.3 77.

4

4 4

.0

5.

1

78.4

5

38

5

.0 76.0

6

3.9

4

.8 81. 3

7

3.8 5.2

73. 1

8

3.4

4

.6

73. 9

9 3.9

4

.9

79.

6

10 3.8 5.3 71.

7

11

4

.0

5.6 7

1. 4

Mean 3.9

5

.1

75.9

저 자는 견판절 탈쿠에 서 견갑골와의 말육불량을 흔 허 판찰하였으며 (Fig 2), 질제 x- 선 사진상의 계 측 에서는 대조군에 닝l해서 견갑골와의 걸이가

0.2

cm 정 도 짧은 것을 알 수 있었고, 이것을 객관화하기 위해 서 상완골두의 크기 와 비 교하여 G/H ratio를 구하게 되었다.

상완골두는 불완전한 만구형우로서 내 외 회전 정 도 에따라 x- 선 사진상 크기변화가 심하고, 자세가 불 량한 사신의 경 우는 견갑골와 및 상완골두의 확대 율이 다를수 있으으로 반드시 정확한 전후방 사진에서 그 크기를 측정하였마.

본 연구의 대조군 148 례는 견판절부위의 동통이나 주변 인대의 손상 혹은 골절이 의심되어 정확한 전후 방사진을 촬영 한 경 우들로서 정 상인들의 G/H ratio와 같마고 생각되며, 세집단은 모두 골격발달이 끝난

20

대 초반의 남자즐로서 이 G/H ratio는 성 안 남자의 G/H ratio를 대 표한마고 할수 있을 것 이 마

20세 야하혜 첫 탈쿠가 발생한 경우

90

%에서 재발 하고2 , 3)외상성탈구의

50-57

%에서 재발하는 것£로 알려져 있는데 1) 본 연구에서도 외상성 탈구군은 재 t살성 탈주군파 G/H ratio의 유의 한 차이 가 없 었 다(p

)0.05). 즉외상성 탈쿠시 재말할가능성은재발성 탈 구에서의 재딸 가능성파 같다고 할수 있을 것이다.

외상성 탈구군 11 례중 1 례에서 애결절의 골절이 있 었으며, 1례에서는 외상 6주후의 x- 선사진에서 현저 한 Hill.Sachs 결손이 생 긴 것 을 판찰하였 마.

Fig. 2. Small glenoid in recurrent dislocation; Abs.

ence of glenoid rim and nearly f1at glenoid fossa, mild Hill.Sachs defect (upper) and Bankart lesion (mid and lower)

재 발성 탈구군에 서 G/H ratio 가 클수록 상완골두 후방과 견갑골와 전방의 충돌이 심할 것이므로 Hill.

Sachs 결손 및 Bankart 손상이 현저 할 것 으로 생 각되 나 이점은 본 연구 대상에는 포함시키지 않았다.

-137 -

(5)

- 大韓放射線흉흉學會誌 : 第 25 卷 第 1 號 1989 - Table 3. G, H and G/H Ratio in Contrast Group

Number G (cm) H (cm) ratt。 Number G (cm) H(cm) ratl。 Number G(cm) H(cm) rati。

l 4.0 5.0 80.0 51 3.9 4.7 83.0 101 3.2 4.5 71. 1

2 4.0 5.0 80.0 52 4.1 5.2 78.8 102 4.1 5.1 80.4

3 4.3 5.2 82.7 53 4.1 5.5 74.5 103 4.1 4.9 83.7

4 4.1 5.0 82.0 54 4.3 5.6 76.8 104 3.6 4.8 75.0

5 4.2 5.2 80.8 55 4.1 4.9 83. 7 105 3.6 4.8 75.0

6 3.2 4.1 78.0 56 4.2 5.5 76.4 106 3.7 4.8 77. 1

7 4.0 5.0 80.0 57 4.0 5.4 74. 1 107 3.8 5.4 70.4

8 4.0 5.1 78.4 58 4.0 4.9 81. 6 108 4.2 5.6 75.0

9 4.3 5.1 84.3 59 4.1 4.9 83. 7 109 4.0 5.1 78.4

10 4.1 4.8 85.4 60 4.2 5.0 84.0 110 3.7 4.9 75.5

11 3.6 4.6 78.3 61 3.7 4.7 78.7 111 3.5 4.1 85.4

12 4.0 4.9 81. 6 62 3.7 5.0 74.0 112 3.8 5.1 74.5

13 3.9 5.1 76.5 63 4.3 5.0 86.0 113 3.9 5.1 76.5

14 3.8 4.9 77.6 64 4.0 5.2 76.9 114 3.9 4.7 83.0

15 3.6 4.8 75.0 65 3.6 4.9 73.5 115 3.6 4.7 76.6

16 4.2 5.5 76.4 66 4.3 5.5 78.2 116 3.9 4.9 79.6

17 4.1 5.2 78.8 67 4.5 5.3 84.9 117 3.8 5.0 76.0

18 4.2 5.1 82.4 68 4.2 5.1 82.4 118 3.8 5.1 74.5

19 4.3 4.8 89.6 69 4.0 5.4 87.0 119 3.7 5.0 74.0

20 4.0 4.9 81. 6 70 3.7 4.9 75.5 120 4.1 4.9 83.7

21 3.8 4.4 86.4 71 3.7 4.9 75.5 121 3.5 4.6 76.1

22 4.2 5.3 79.2 72 3.2 4.4 72.7 122 3.7 4.6 80.4

23 4.0 5.0 80.0 73 3.7 5.3 69.8 123 3.7 4.5 82.2

24 3.7 4.8 77. 1 74 3.9 5.2 75.0 124 3.9 5.1 76.5

25 3.8 5.0 76.0 75 3.4 4.0 85.0 125 3.9 4.8 81. 3

26 4.0 5.1 78.4 76 4.0 5.3 75.5 126 3.6 4.8 75.0

27 4.1 5.1 80.4 77 3.9 4.8 71. 3 127 3.4 4.9 69.4

28 3.5 4.9 7l.4 78 4.3 5.3 81.1 128 3.4 4.8 70.8

29 3.8 4.9 77.6 79 3.9 5.0 78.0 129 3.6 4.7 76.6

30 4.0 4.5 88.9 80 4.2 5.4 77.8 130 3.1 4.1 75.6

31 3.4 4.9 69.4 81 4.4 5.3 83.0 131 4.2 5.6 75 0

32 3.9 4.8 81. 3 82 3.9 5.3 73.6 132 3.8 5.1 74.5

33 3.7 4.8 77.1 83 4.1 5.1 80.4 133 3.8 4.8 79.2

34 3.9 4.9 79.6 84 4.0 4.7 85.1 134 3.6 4.5 80.0

35 3.8 4.7 80.9 85 4.1 4.9 83.7 135 3.6 5.1 70.6

36 4.1 5.2 78.8 86 3.8 4.9 77.6 136 3.8 4.9 77.6

37 3.7 5.4 68.5 87 4.1 5.0 82.0 137 3.9 4.4 88.6

38 3.9 5.2 75.0 88 3.9 5.2 75.0 138 3.4 4.8 70.8

39 3.8 4.9 77.6 89 3.9 4.8 81. 3 139 3.4 4.5 75.6

40 3.7 5.3 60.8 90 3.9 4.6 84.5 140 3.8 5.3 71. 7

41 3.6 5.0 72.0 91 3.5 4.8 72.9 141 3.6 4.8 75.0

42 4.0 4.7 85. 1 92 4.4 5.3 73.0 142 3.8 5.1 74.5

43 4.1 5.2 78.8 93 4.2 5.3 79.2 143 4.2 5.2 80.8

44 4.1 4.9 83. 7 94 4.0 5.4 74.1 144 4.0 5.0 80.0

45 4.0 5.0 86.0 95 3.8 5.0 76.0 145 3.7 4.8 77.1

46 3.7 4.9 75.5 96 3.8 5.0 76.0 146 4.0 5.4 74.1

47 4.2 5.2 80.8 97 4.0 5.1 78.4 147 3.5 5.1 68.6

48 3.9 5.0 78.0 98 3,9 5.7 68.4 148 3.7 5.4 68.5

49 4.2 5.1 82.4 99 4.4 5.3 83.0

50 4.2 5.1 82.4 100 3.5 4.6 75.3 Mean 3.9 5.0 78.2

(6)

- 최순성 : 재 i살성 및 외상성 견판절탈구에 있어서 다1조군의 상싼골두 및 견감끌와의 "1교판철

Table 4. Mean and Standard Oeviation of C, H and C/H Ratio in Each Group

Recurrent dislocation group Traumatic dislocation group Contrast group

V.

Mean of C 3.7 3.9 3.9

상완골두의 크기에 대한 견강골와의 크기의 배 (C/H ratio) 를 판찰하고, 탈쿠군파 대조군 사이의 C/H ratio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판찰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상완골두의 크기에 내한 견갑골와의 크기의 바

(C/H ratio)는 재말성 탈구군 59례에서는 74.1::!::4.7

%, 외상성 달구군 11례에서는 75. 9::!::3. 2 %, 대조군 148 례에서는 78. 2::!::4. 6 %였다.

2. 재 발성 탈구군파 외 상성 달구군에 서 의 C/H ratlO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3. 재 발성 달구군과 대 조군에 서 의 C/H ratio는 유 의한 차이가 있었다(P<O.Ol).

4. 외 상성 탈쿠군과 대 조군에 서 의 G/H ratio는 유 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Mean of H Mean of C/H Standar-d deviation 5.0

5.1 5.0

74.1 75.9 78.2

4.7 3.2 4.6

짜라서

,

재 발성 탈구군뿐아니 라 외 상성 탈쿠군에 서 도 견갑골와의 말육불량(low C/H rati이이 탈구의 한 원인으로서 유의함을 알수 있었마.

REFERENCES

l. Brasher HB, Raney RB: Shands Handbook of Orlh. opaedic Surgery. 9th Ed 446, Mosby Company, Saint Louis, 1978

2.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The Orthopedic C1J nics of North America Vol 18/3:395-408. 1987 3. Connoly ]F: De Palma’'s The Management of Frac-

tures and Dislocations. An Atlas. 3rd Ed Vol 1 669, W.B.Saunders Company, Philadelphia, Lon- don. Toronto. 1981

4. Murray ]A: Acute Shoulder Dislocations; Factors InfJuencing Diagnosis and Treatment. Instruct Course Lec_. Vol 33:364-385. 1984

- 139-

수치

Fig .  1.  Measurement  01  g lenoid  and  Humeral  head  le ngth;  Norma l  shoulder (L t
Table  1.  G ,  H and  G/H  Ratio  in  Recurrent  Shoulder  Dislocation  P t.  No.  G(cm )  H(cm)  G/ H  ratio  1  3
Table  2.  G ,  H  and  G/H  ratio  in  Traumati c  Shou lder  Dis location
Table  4.  Mean  a nd  S tand ard  Oeviation  o f  C ,  H  and  C / H  Ra tio  in  Each  Group

참조

관련 문서

GDP impact of COVID-19 spread, public health response, and economic policies. Virus spread and public

The greater tubercle is palpable on the line from the lateral epicondyle of the distal humerus in the direction of the humeral longitudianl axis and just below the acromion

Colonial Policy and Practice: A Comparative Study of Burma and Netherlands India (1948) was listed in the 14 most influential books of Southeast Asian Studies (Hui 2009).

A and E, In control group, a small amount of new bone was observed at the margin of bone defect (40×); B and F, In experimental group 1, a large amount of new bone was formed

The study carried out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lecture-type learning as a control group for 12 weeks and compared

This study divided obese women into an exercise group and a control group, and through regular aerobic exercise for 10 weeks, find out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In the change in body composition, body weight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all items in the exercise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is study was to do a comparative analysis on kinematic differences and differences in muscle activity between the skilled and the unskilled in windsurf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