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행정학 개론”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행정학 개론”"

Copied!
3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행정학 개론”

행정학자 소개

(2)

• 토머스 우드로 윌슨(Thomas Woodrow Wilson, 1856년 12월 28일 ~ 1924년 2월 3일)은 미국 의 제28대 대통령이자 프린스턴 대학 총장을 지낸 학자, 교육자이 다. 남북 전쟁 이후 미국의 대통 령에 당선된 첫 남부 출신이기도 하다.

• "유럽의 문제에 관여하지 마라"는 조지 워싱턴의 고립주의를 버리 고, 유럽의 문제에 본격적으로 관 여하기 시작한 첫 번째 미국의 대 통령으로 제1차 세계 대전에 참 전하였다. 그는 민족자결주의를 전세계에 널리 알린 위대한 대통 령으로 평가된다.

행정학자 1 : Woodrow Wilson

(3)

• 그의 외교 정책은 19세기까지 국제 정치를 지배하던 "힘의 균형" 원리에 대립되는 도덕 주의와 이상주의를 내세웠으며, 이런 이념을 바탕으로 독일에 대해 연합국의 도덕적 명분 과 이상을 내세웠다.

• 1차 대전 이후에 설립된 국제 연맹도 윌슨의 이런 정치적 신념에 기초한 것이었지만, 다 시 고립주의 전통으로 복귀를 결정한 미국 의회가 국제 연맹 조약 비준을 거부함으로써 좌절되었다.

행정학자 1 : Woodrow Wilson

(4)

• 윌슨은 19세기 말에 미국 정치를 좌지우지하던 엽관주의의 폐해를 극복하기 위해, 정치와 행정의 분리를 골자로 하는 펜들턴 법을 제정하였으며, 행정을 정치 권력적 현상이 아닌 관리 기술로 보 아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는 정치행정이원론을 주 장했다.

• 그는 1887년에 《행정의 연구》라는 저서를 통해 이러한 이론을 발표했는데 이는 사실상 미국 내 에서 행정학을 정치학으로부터 독립된 개념의 학 문으로 보는 최초의 이론이기 때문에 우드로 윌 슨을 '미국 행정학의 아버지'라 부르기도 한다.

행정학자 1 : Woodrow Wilson

(5)

행정학 개론

• 사이몬(H. A. Simon)은 1916년 위 스콘신(Wisconsin)주 밀워키

(Milwaukee)에서 태어났다.

• 1933년 사이몬은 시카고 대학에 입학하게 되는데, 그는 스스로 사 회과학의 영역에도 자연과학의 성공요인이었던 수학적 기반이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그 는 이런 이유로 수학을 공부하는 것 이외에 논리학, 정치학, 경제학 등을 함께 공부하였다. 특히 그의 논리전개 방식(논리실증주의)이 나 진술 방식은 과학철학자인 카 르납(R. Carnap)의 영향을 받았다.

행정학자 2 : H. A. Simon

(6)

행정학 개론

• 사이몬은 조직의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를 시작하 면서 인간의 문제해결 능력에 대한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고, 인간과 조직의 의사결정에 대한 보다 적절한 이론을 찾기 위해 노력하였다.

• 1952년 사이몬은 자신과 비슷한 생각을 갖고 있 던 뉴웰(A. Newell)을 랜드 연구소(Rand

Corporation)에서 만나게 되었다. 그들은 인간의 문제해결 연구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한 시뮬레 이션을 통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는 인식을 갖게 되었고, 이후 사이몬의 중심연구 분야는 인간 인 지능력의 컴퓨터 시뮬레이션이 되었던 것이다.

행정학자 2 : H. A. Simon

(7)

행정학 개론

• 사이몬은 1978년 제한된 합리성(bounded rationality) 에 관한 연구로 노벨 경제학상을 받았다. 노벨 경제학 상이 수여된 이유는 주로 1947년에서 1957년간의 연 구물인「행정행태」(Administrative Behavior: A Study of Decision-Making Process in Administrative

Organization),「인간모델」(Model of Man),「조직」

(Organizations) 등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직 내에서의 의사결정 과정을 과학적으로 분석하였기 때문이다.

• 비록 그는 경제학에의 공헌으로 인해 노벨상을 수상 하였지만, 스스로 말하는 바와 같이 사회과학의 과학 화와 행정학의 과학화에 공헌하였다.

• 2001년에 영면하였다.

행정학자 2 : Herbert A. Simon

(8)

• 막스 베버는 독일의 법률 가ㆍ정치가ㆍ학자ㆍ정치경 제학자ㆍ사회학자로서 사 회학 이론에 심대한 영향 을 끼쳤다. 그는 사회학과 공공정책학 분야의 근대적 연구 토대를 마련한 사람 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현 대 사회학을 창시한 사상

가 중 한 사람으로 꼽힌다..

행정학자 3 : Max Weber(1864 ~

1920)

(9)

• 원래 법학도였던 베버는 점차 역사, 경제, 정치, 법제도, 종교, 철학, 예술 등 거의 모 든 인문 사회과학적 현상들을 자신의 인 식지평 안으로 끌어들이면서 이 현상들 의 사회학적 분석에 필요한 이론들과 개 념장치를 구축해냈고, 이를 통해 현대 사 회학의 기초를 마련하는 데 결정적 기여 를 했다고 평가받고 있다.

행정학자 3 : Max Weber(1864 ~

1920)

(10)

• 1864년 상인 출신의 국회의원 아들로 태어나 하이델베르크대학, 베를린대학 등 독일 각지 의 4개 대학에서 철학ㆍ역사학ㆍ경제학을 공 부하였다. 졸업 후에는 재판소의 사법관시보 로 근무하는 한편, 연구를 계속하였다.

• 1892년 베를린대학을 시작으로 프라이부르 크대학, 하이델베르크대학 등에서 강의와 연 구를 하였다. 베를린대학의 교수 자격 논문인 '로마 농업사'(1891)와 프라이부르크대학 취 임강연인 '국민국가와 국민경제정책'(1895) 등이 유명하다.

행정학자 3 : Max Weber(1864 ~

1920)

(11)

• 베버는 세기말 독일에서 맹위를 떨쳤던 사회 과학철학에 대한 논쟁에서 탁월한 역할을 했 다. 독일에서 널리 유포되었던 관점은 자연과 학과 사회과학이 인과적 본질을 설명하는 일 반법칙을 발견하려는 동일한 벙법론을 공유 한다는 실증주의 교의에 반대하는 것이었다.

• 그대신 그들은, 역사학과 사회과학은 독특한 일련의 사건을 '해석적으로 이해(verstehen)'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주장했다.

행정학자 3 : Max Weber(1864 ~

1920)

(12)

• 사회학자들은 이념형의 사용을 통해 독특 한 사건에 대한 연구에서부터 사회발전의 제도적 유형의 공통된 모습에 대한 조심 스러운 일반화로 진전할 수 있다고 보았 다. 베버는 또한 사회과학에서 객관성, 공 평, 혹은 '가치자유'의 문제에 대하여 논쟁 하였다

행정학자 3 : Max Weber(1864 ~

1920)

(13)

• 베버의 사회과학방법론에 대한 공헌의 핵심에는 3가지 사상 이 있다.

• 첫번째, 사회학적 개념은 개인적 행위로 환원될 수 있다는 패 러다임이다. ‘환원가능성’의 패러다임은 개인적 행위의 측면 에서 나타나는 단어의 의미를 설명한다는 것을 말한다.

• 두번째, '몰가치성(wertreiheit)'은 가치자유(value-freedom), 혹은 윤리적 중립성, 혹은 무평가의 패러다임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것은 사회과학자에게 감정을 억제하고 이성적으로 문제에 접근할 것을 강조한 것이다.

• 세번째의 방법론적인 패러다임은 ‘이념형’ 개념이다. 베버의 탁월성은 귀납적 일반화를 제시한 그의 탁월한 능력에 기인 한다. 이념형은 현실을 극화한 이론적 유형이다. 이것은 사회 학적 개념의 추상화와 일반화를 위한 기준이 되고 있다.

행정학자 3 : Max Weber(1864 ~

1920)

(14)

• 그의 주요 업적으로 종교사회학과 정치체제에서 의 합리화를 들 수 있다. 또한 베버는 경제 분야에 큰 관심을 두기도 했다.

• 그의 가장 유명한 저서 중 하나인 '프로테스탄티 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은 종교사회학적 관점 에서 시작된다. 그는 이 저서에서 종교가 서양의 다문화 현상과 동양의 발전에 대한 비배타적인 이 유가 된다고 주장했다. 또한 자본주의, 관료제, 서 유럽의 합리적-합법적 국가의 발전과 형성을 이끈 동인이 금욕적 프로테스탄티즘이라고 하는 부분 적 특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행정학자 3 : Max Weber(1864 ~

1920)

(15)

• '직업으로서의 학문ㆍ직업으로서의 정치'라는 그의 또 다른 주요 저서에서는 인력의 정당한 사용에 대한 전매권을 가진 자주 독립체로서의 국가를 규정했다. 이 규정은 근대 서구 정치학 연구의 중추가 된다. 이러한 그의 규정들은 흔히

‘베버 명제’라고 불린다.

행정학자 3 : Max Weber(1864 ~

1920)

(16)

• 드와이트 왈도(Dwight

Waldo)는 1913년에 네브래스 카주에서 출생하여 1935년에 대학을 졸업했으며 1937년에 는 네브래스카대학에서 정치 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 그의 석사학위논문의 주제는 영국의 정치학자 그레이엄 왈 라스(Graham Wallas)의 사상 에 관한 것이었다. 왈도는 이 성과 감성의 통일에 대한 왈 라스의 믿음을 받아들었으며 지속적으로 사실과 가치의 불 가분성에 대한 확신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행정학자 4 : Dwight Waldo(1913

~ 2000)

(17)

• 1942년 예일대학에서 정치이론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는데 그의 박사학위 논문 은 1948년 ‘행정국가론’이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 1942년에 미국 연방정부 물가관리청에 들 어가서 2년간 일하면서 장례비용 상한가 를 책정하는 일을 담당하였고, 다음 2년간 예산국에서 전후 연방정부 조직 재건을

위해 노력하였다.

행정학자 4 : Dwight Waldo(1913

~ 2000)

(18)

• 1946년에 왈도는 버클리대학에서 정칙학교수로 임용 되어 20년간 근무하였고 캘리포니아 주정부 및 지방 정부를 위한 기술적 조언을 하였으며 11년간(1958- 1966) PAR의 편집자로 봉직하였다. 1967년에 시라큐 스 대학으로 옮겨가 맥스웰스쿨에서 초대 알버트 슈 바이처 석좌교수가 되었다. 1979년 전임교수직에서 은퇴하고 우드로 윌슨 국제센터에서 18개월간 펠로우 십을 받았고 2000년 서거할 때까지 워싱턴 D.C.에 거 주하였다.

• 그의 주요 저작으로는 앞에서 언급한 「행정국가론, 1948」이외에도「행정학, 1955」,「행정에 관한 조망, 1956」,「행정의 탐구 : 요약, 1980」등이 있으며, 그는

「소용돌이 시대의 행정, 1971」을 포함하여 여러 저서 들을 단독으로 혹은 공동으로 편집하였다.

행정학자 4 : Dwight Waldo(1913

~ 2000)

(19)

• ‘행정국가론’(1948)이라는 저서에서

① 왈도는 공공행정학은 또한 정치이론이다라고 주장함 으로써 행정의 연구와 실제를 바라보는 완전히 새로 운 시각을 제시했다.

② 정치와 행정의 이원론은 불변의 과학이라기 보다는 미국의 물질주의와 이상주의의 산물이다.

③ 정치와 행정 이원론을 포함한 정치이론이란 미국의 정치문화와 헌법의 구조에 전혀 맞지 않는다.

④ 정치행정 이원론이 비민주적이고, 중앙집권적인 정 치이론임을 밝혀내면서 왈도는 행정의 민주적 이론 들이 행정분야에 균등하게 존재하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하고 있다.

행정학자 4 : Dwight Waldo(1913

~ 2000)

(20)

• 왈도의 이러한 논의들로 인해 1948년 이후 관료제와 민주주의. 대표적 관료제, 참여적 민주주의, 자치 행정 등 다양하고 심도 깊은 민주적 이론들이 행정학 분야 에 소개되었고 발전하게 되었다. 또한 왈도는 기존의 정치 행정 이원론을 무효화 시키면서, 실제 행정개혁이 왜 민주적 이론과 행정과정을 중요시해야 하는지에 대 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행정학자 4 : Dwight Waldo(1913

~ 2000)

(21)

1968년 9월 미국의 시라큐스(Syracuse) 대학의 주최로 개최된 미노 우브룩(Minnowbrook)강당 회의에서 왈도(D. Waldo)의 주도 하에 새로운 행정학의 방향이 제시되었다. 그는 연관성, 참여도, 변화, 가 치 및 사회적 형평에 기반한 공공 행정의 독자적 정체성에 대해 주 장했다.

그의 신행정학(NPA: New Public Administration)은 정책에 중심을 두면서, 공공 관리자들의 규범적이고, 적극적인 역할을 제시했다.

신행정학이란 기존의 전통적 행정이론이나 행태론 등이 행정현실 에서 일어나는 절박한 문제들을 해결할 능력이 없었기에 이를 극복 하고 행정이 사회적 적실성(適實性)과 실천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어떠한 차원으로 변모되어야 하고, 무엇을 강조·지향해야 할 것인지 를 규명하고자 하는 이론이다. 다시 말하자면 행태론에 대한 일종 의 반명제(反命題)로서 ‘후기행태론’, ‘현상학적 접근’, ‘탈행태주의’

라고도 한다.

행정학자 4 : Dwight Waldo(1913

~ 2000)

(22)

1902. 2. 13 미국 일리노이 도널슨 - 1978. 12.

18 미국 뉴욕.

미국의 정치학자.

정치권력 및 인성(人性)과 정치의 상관관계를 독창적으로 연구하여 현대 행태주의(行態主義) 정치학 발전에 이바지했다.

시카고대학교에서 학사학위(1922)와 박사학위 (1926)를 취득했고, 1923, 1924, 1925년 여름에 제네바․파리․베를린에서 수학했다. 1922-38년 시카고대학교에서 정치학을 강의하다가 예일대 학교로 옮겨 법학과 초빙강사(1938)․법학교수 (1946-70)․정치학교수(1952-70)로 재직했으며, 포드 재단의 법학․사회과학 교수 및 브램퍼드 대학교의 명예교수(1970- 76)로 있었다.

1938-39년 워싱턴정신의과대학교에서 일했고, 의회도서관 전시보도연구소(戰時報道硏究所) 소장을 지냈으며(1939-45), 뉴욕시립대학교 존 제이 칼리지(1970-73)와 템플대학교(1973-76) 의 법학교수를 역임했다. 해외 명문대학의 객원 교수로 활동했고 수 차례 정부기관의 고문으로 일했다.

행정학자 5 : Harold D. Lasswell

(23)

행정학자 5 : Harold D. Lasswell

• 라스웰은 미국 정치학에 행태주의를 도입한 메리엄 교수로부 터 영향을 받았을 뿐 아니라 1920년대에 형성된 비엔나 학파 의 거장으로 논리실증주의를 미국에 도입한 카르납 교수로부 터도 많은 영향을 받았다. 행태주의나 논리실증주의는 그 접 근법에 있어서 자연과학과 거의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 이상보다는 현실을, 당위보다는 존재를 강조하고, 설명에 있어 서도 연역법보다는 귀납법을 중시할 뿐 아니라 형이상학보다 는 실증주의를 강조한다. 따라서 이론의 설명에 있어서도 가 정의 설정, 현장관찰, 자료수집, 통계학의 원용, 체계분석 등의 자연과학적 연구방법이 요구되는 것이다.

• 그러나 라스웰은 과학적 접근에 영향을 많이 받았음에도 불구 하고 단순히 거기에 안주하지 않았다. 그는 과거 정치사상가 들의 추상적이고 형이상학적인 성명서(statements)를 어떻게 경험적으로 확립할 수 있는가에 연구의 관심을 집중하였다.

(24)

• 라스웰은 정치행위자가 추구하는 가치를 복리(wellbeing), 부 (wealth), 기술(skill), 계몽(enlightenment), 권력(power), 존경 (respect), 애정(affection), 청렴(rectitude)의 8가지로 분류하 였다. 이러한 가치가 다수의 시민에 의해서 달성되면 인간 존 엄성은 증가되고 그것이 바로 민주주의의 실현이라고 라스웰 은 인식했다. 과거 정치사상가들이 추상적으로만 언급했던 자유, 정의, 민주주의라는 가치를 라스웰은 보다 과학적이며 체계적으로 정립하였다고 하겠다.

• 라스웰은 여덟 가지의 가치를 바탕으로 해서 정치, 사회, 경제 현상을 설명하고자 했다. 그러한 가치들이 어떻게 조성되고 배분되는가에 따라서 정치체제와 사회체제의 성격이 결정되 고, 가치들의 배분과정에서 나타나는 분쟁과 갈등 그리고 알 력이 바로 정치과정이라고 하였다. 형태주의와 논리적 실증 주의의 영향을 받은 라스웰은 기존의 사회과학자들이 권력과 부라는 가치의 조성과 배분만을 연구할 것이 아니라 다른 가 치들의 조성과 배분도 연구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행정학자 5 : Harold D. Lasswell

(25)

• 라스웰의 정책과학은 실증주의의 도입으로 탄생하였다. 실증 주의의 도입은 정책과 과학의 양자를 동시에 연구하게 했던 것이다. 즉 어떤 일정한 가치판단 위에 그 가치목표의 실현을 기하는 정책과, 사상의 객관적 인식을 지향하는 과학이 결합 된 것이 정책과학이다. 정책과학의 대두는 과학이 어디까지 나 가치중립적이어야 한다는 종래의 견해에 대해 반성하게 하였다.

• 과학자에게 있어서 지식이란 그 자체가 가치를 지향하는 지 적 활동의 결과이다. 인식은 인간에게 있어서 기본적인 것이 지만, 과학적 활동을 통해 동시에 다른 여러 가치의 형성과 향상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라스웰은 전통적인 서유럽 자유 주의에 입각하여, 정책결정을 인간의 제 가치 추구에 의해 이 루어지는 사회과정 전체 속에서 이해하였고, 사회 전체를 위 한 공공정책의 가치 추구를 민주주의에서 찾았으며, 이런 관 점에서 과학이 정책에 봉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하였다.

행정학자 5 : Harold D. Lasswell

(26)

• 정책과학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현대의 인문 ․ 사회 ․ 자연과 학의 수법과 연구성과를 다원적으로 구사하면서, 이들 여러 분야의 과학을 종합하는 하나의 거대한 학문체계의 형성을 지향한다는 점이다.

• 메리엄은 1920년대 정치학의 새로운 발전의 길을 여러 사회 과학의 종합에서 찾았고, 그 제자인 라스웰이 정치학의 본질 을 여러 과학의 종합으로서의 정책과학 속에서 찾아내었던 것이다.

• “정책 지향(Policy Orientation)”이란 논문에서 라스웰은 정책 학의 정의를 “정책형성과 정책집행을 설명하는 데 관심을 가 진 학문임과 동시에 정책문제와 관련이 있는 자료의 수집과 해석에 관심이 있는 학문”이라고 하였다. 라스웰의 ‘정책지향’

은 사회 내의 인간문제 해결을 통한 인간 존엄성의 회복에 관 심을 가졌다.

행정학자 5 : Harold D. Lasswell

(27)

• 당시 미국에서 정책학이 태동된 사회적 배경에는 여 러 가지가 있었지만, 무엇보다도 정책에 대한 관심의 증대를 하나의 중요한 요인으로 꼽을 수 있다. 당시 사회과학자들 사이에서는 경제공황과 제2차 세계대전 등 사회적 위기를 극복하는데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정치학의 한계성을 느끼게 되었고 인간의 존엄성 문 제에 대해 더 깊이 생각하게 되었다.

• 이에 따라 정부는 이를 위해 어떻게 과학적으로 정책 적 개입을 할 것이냐 하는 것이 핵심 문제로 떠오르게 되었고 이와 같은 시대상황에서 정책과 사회의 관계 를 설명하는 학문적 목적과 정책과정에 대한 지식을 기반으로 현실 정책과정의 개선을 통한 인간존엄성의 실현을 추구하는 실천적 목적의 정책학이 주목받기 시작했다.

행정학자 5 : Harold D. Lasswell

(28)

• 라스웰은 행태주의와 논리실증주의를 각각 도입한 교수들로 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는데, 행태주의나 논리실증주의는 그 접근법에 있어서 자연과학과 거의 비슷하기 때문에 현실과 존재, 실증주의를 강조했다.

• 라스웰은 과거 정치사상가들의 추상적이고 형이상학적인 성 명서의 경험적 확립을 위해 연구를 시작했는데, 정치행위자 가 추구하는 가치를 복리, 부, 기술, 계몽, 권력, 존경, 애정, 청 렴의 8가지로 분류하고 이러한 가치들이 다수의 시민에 의해 달성되면 인간 존엄성은 증대되고 그것이 바로 민주주의의 실현이라고 인식했다.

• 과거 정치사상가들이 추상적으로만 언급했던 자유, 정의, 민 주주의의 가치를 라스웰은 보다 과학적이며 체계적으로 정립 한 것이다. 또한 라스웰은 ‘인간 존엄성의 실현’을 위한 정책 학을 제시하고 이를 위해서는 문제지향성, 맥락지향성, 연합 방법지향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행정학자 5 : Harold D. Lasswell

(29)

• 정책학이라는 이름으로 사회과학을 통합하려 하 였고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인간 존엄성의 보다 충실한 실현’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라스웰은 학자 들이 목적성 없이 정책을 연구하는 것을 비판하고 정책학은 단순히 정책을 연구하는 하나의 학문이 아니라 인간의 존엄성을 고양시키고 인간의 가치 에 대한 정책연구를 행하는 ‘민주주의 정책학’에 다가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 이와 더불어 정책과정에 대한 지식의 완성을 위해 실증주의적 접근과 함께 정책내용에 대한 지식의 완성을 위해 탈실증주의적 접근이 필요함을 강조 했다.

행정학자 5 : Harold D. Lasswell

(30)

• 궁극적으로 인간의 존엄성을 훼손하는 정책은 바 람직한 정책이라고 할 수 없다고 생각하여 자유권 적 기본권, 경제적 기본권, 정치적 기본권, 사회적 기본권들을 존중하는 정책이 ‘바람직한 정책’이며

‘민주주의 정책’인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 더불어 라스웰은 정책이 국가의 영광이나 사회메 카니즘의 효율성을 목적으로 만들어져서는 안 된 다고 주장하며, 인간 존엄성과 개인 능력실현에 목적을 두는 ‘다양한 가치의 통합’을 목적으로 이 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행정학자 5 : Harold D. Lasswell

참조

관련 문서

김구 선생이 나와 본관이 같은 안동 김씨라는 점만 강조하셨기 때문이다 (사람은 뿌리를 알아야 한다고 하는데 나는 도대체 족보 같은 그런 것에는 전혀 관 심이

 봉건적 절대군주와 교황권력의 독재에 맞서는 시민 (자본가계급)의 세계관/이데올로기로 시작.. 경제성장의

변수 이름 x를 만나면 symtable[]에서 해당 위치를 lookup()해서 찾고 저장되어 있는 값을 사용한다 ... E을

• 출발상태가 다르거나 발전경로가 다르더라도 체 제는 동일한 최종상태에 도달할 가능성이 있다 는 등종국성(equi-finality)을 폐쇄체제이론은 인 정하지

일반적인 디자인에는 Bard Button, MICKey, Copak, Entristar 가 있습니다.. 내시경을

조직 내의 의사전달을 조정 및 통제하는 전문집 단을 두어 상향적 의사전달의 누락, 왜곡 등을 방지하는 업무와 과다한 정보의 처리에 관한 우 선순위를 결정하는

빗자루를 탄 마녀 마녀와 흑마술... 마녀의 안식일

• 실적주의는 현대행정국가에 있어 인사행정의 기본원칙으로 발전해 왔으나 초기의 실적주의발달과정에서 반엽관주의 내 지 소극적 인사행정은 근래에 이르러 다음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