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지속가능한 교통시스템 구현에 관한 제언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지속가능한 교통시스템 구현에 관한 제언 "

Copied!
1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인터뷰│김광호 국토연구원 책임연구원(kwangkim@krihs.re.kr)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토목·환경공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국토연구원 국토인프라 연구본부 책임연구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관심 연구 분야는 지능형교통체계(ITS) 계획, 교통운영, 교통안전이 며, 현재 ‘자율주행시대를 대비한 첨단 도로 인프라의 전략적 관리방안’ 연구를 진행 중이다.

e-INTERVIEW

지속가능한 교통시스템 구현에 관한 제언

마이클 캐시디(Michael Cassidy)

Recommendations on Achieving Sustainable Transportation Systems

마이클 캐시디 교수는 교통계획 및 운영 분야의 석학으로서 도로교통, 대중교통, 교통수 단 간 연계를 위한 시스템 등의 주제를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해왔다. 그는 현재 ‘연방권 역9’를 대표하는 대학교통연구소(University Transportation Center)인 UCCONNECT 의 소장을 역임하고 있으며, 국제 학술지인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B」의 편집 자문위원과 「International Symposium on Transportation and Traffic Theory」의 국 제자문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마이클 캐시디 교수는 현재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에서 토목·환경공학과 (The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교수로 재직 중이다.

(2)

김광호(이하 ‘김’) 인터뷰를 위해 시간을 내주셔서 감 사합니다. 먼저 교수님께서 소장으로 근무하고 계신 연구소 ‘UCCONNECT’에 대해서 소개해주시겠습 니까?

마이클 캐시디(이하 ‘캐시디’) 인터뷰에 초대해주셔 서 감사합니다. UCCONNECT는 미 연방교통부 및 캘리포니아주 교통부(Caltrans)의 재정 지원을 받 아 2013년에 설립되었습니다. 이 연구소는 ‘연방권 역9’를 위한 대학교 통센터(University Transportation Center: UTC)의 임 무를 수행하고 있 습니다. 임무 중 하 나로 현재 다섯 개 의 University of California(Berkeley, Irvine, Los Angeles, Riverside and Santa Barbara) 및 Cal Poly, Pomona로 구성된 컨소시엄에 속한 교수님들 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UCCONNECT의 전반적인 연 구 주제는 캘리포니아 및 해당 권역에서의 교통수단 간 연계를 향상시킴으로써 경제적인 경쟁력을 증진 시키는 것입니다.

김 교수님께서 UTC 공모에 참여하기 위한 제안서 를 작성하고 계시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이 제 안서에 대해 소개해주시겠습니까?

캐시디 약 6개월 전 미국에서는 새로운 교통법안이 통과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UTC를 위한 공모를 실 시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 공모를 위해 캘리포니

아주, 애리조나주 및 원주민 지역을 대표할 수 있 는 권역팀을 구성하여 제안서를 준비해왔습니다. 이 제안서는 해당 권역의 폭넓은 요구사항을 반영하려 는 새로운 비전을 담고 있습니다. 제안서가 연방권 역9에 해당하는 공모에서 채택되면, UCCONNECT 는 도시부 지역과 지방부 지역을 모두 연구대상으 로 다룰 것이고, 우수한 연구 중심의 대학뿐만 아 니라 소규모의 교육 중심 기관 및 소수 민족을 위 한 기관들까지도 포함하게 될 것입니다. 따라서 UCCONNECT는 원주민 또는 히스패닉 공동체 등 지금까지 관심 받지 못했던 그룹들의 관점도 대변 할 수 있게 됩니다. 저는 연방정부의 의도대로 해당 UTC가 권역 전체의 균형을 고려하여 운영되기를 바랍니다.

김 UCCONNECT가 해당 권역에서 지속가능한 교 통시스템을 구현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바라겠 습니다. 본론으로 들어가기 전에 교수님의 강의와 관련하여 질문을 드리겠습니다. 요즘 ‘지속가능한 교통’이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교수님 께서는 이에 대해 강의에서 어떻게 다루고 계시는 지요?

캐시디 저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모빌리티 시스템을 설계하는 것에 관심이 있습니다. 안전과 효율성은 지속가능한 교통시스템의 기본 요소입니다. 또한 저 는 형평성에 대해서도 관심이 많습니다. 저는 시스 템이 어떻게 작동하는가에 관한 물리현상을 적절하 게 이해하지 못함으로써 의도치 않게 형평성이 미흡 한 정책이나 관리 전략이 도출되는 것을 목격한 바 있습니다. 그러한 오류를 피하는 것을 돕기 위해 저 는 강의에서 물리현상에 대한 이해를 중점적으로 다 루고자 합니다.

다양성은 경제적 부의 관점 그리고 선호의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는데, 저소득층에 속한

사람들을 위한 교통수단의

대안이 필요합니다.

(3)

Kwangho Kim(hereafter ‘Kim’) We appreciate your taking time for this e-interview. To begin with, can you introduce ‘UCCONNECT,’ for which you are working as a director?

Michael Cassidy(hereafter ‘Cassidy’) Thank you for having me as an interviewee. UCCONNECT was established in 2013 through funds awarded from the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and Californi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hereafter ‘Caltrans’). Its mission is to serve as the University Transportation Center (hereafter

‘UTC’) for federal Region 9. As part of that mission, UCCONNECT supports faculty within its consortium of five UC campuses (Berkeley, Irvine, Los Angeles, Riverside and Santa Barbara) and its affiliate, Cal Poly, Pomona.

This center’s broad theme is to promote economic competitiveness by enhancing multi- modal transport for California and the region.

Kim I heard that you have been writing a proposal for UTC competition. Can you introduce this proposal?

Cassidy A new transportation bill has passed in U.S. about 6 months ago. So we have now a new competition for UTCs. For this competition, we constituted a regional team that represents California and Arizona including tribal lands;

and this team have prepared a proposal. The proposal reflects our new vision to encompass our region’s broad needs. If our proposal wins the competition for Region 9, the center will

include both urban and rural areas. It will include best research-oriented universities, smaller education-focused institutions and minority-serving institutions. Thus, this center can represent diverse perspectives from historically under-represented groups such as tribal or hispanic communities as well. I hope that the UTC can be managed in consistent with the federal government’s intention that the UTC should be managed in regionally balanced ways.

Kim I wish that UCCONNECT can contribute to realizing sustainable transportation systems in the region. Then, before we discuss today’s main topic, let us ask a question about your teaching at the university. Nowadays “sustainable transportation” is an important issue. How is this issue addressed in your lectures?

Cassidy I try to look at designing mobility systems that are safe and efficient. Safety and efficiency are basic elements of sustainable transportation systems. I am also concerned about equity. I sometimes observed that failures of understanding the physics on how systems work can lead to policies or control strategies that are unintentionally inequitable. In my courses, I thus try to focus on understanding physics to give better chance of avoiding such mistakes.

Kim I see your point. In that sense, your research is also intended to make transportation

(4)

김 교수님의 의도를 잘 알겠습니다. 그러한 관점에 서 교수님의 연구도 교통시스템을 보다 지속가능하 게 하려는 의도를 담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교수님 께서는 주목할 만한 연구보고서 또는 학술논문을 발 표함으로써 교통정책에 관한 통찰력 있는 제언을 해 오고 계십니다. 이러한 문헌들은 대개 도로교통, 대 중교통 및 교통수단 간 연계를 지원하는 시스템에 관한 사안들을 다루었습니다. 지속가능한 교통의 맥 락에서 현재 교수님의 연구 관심사에 대해 소개해주 시겠습니까?

캐시디 저는 세상의 다양성을 고려한 계획 및 전략 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다양성은 경제적 부의 관점 그리고 선호의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는데, 저소득 층에 속한 사람들을 위한 교통수단의 대안이 필요합 니다. 우버나 리프트 같은 모빌리티 플랫폼을 제공 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에 접근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차량-공유 시스템들은 앞으로 전망이 밝습 니다. 문제는 현재 이 시스템들이 인터넷이나 스마 트폰으로 연결된 사람들에게만 효과적으로 접속된 다는 것입니다. 이런 현실을 고려하여 저소득층을 위한 모빌리티 플랫폼이 필요하고 봅니다.

김 말씀하신 연구 아이디어를 구현하기 위한 구체 적인 계획이 있으신지요?

캐시디 이 연구는 우리가 점차적으로 진행시키고자 하는 분야입니다. UTC의 재정 지원을 염두에 두고 관련 연구를 시작하고 있습니다. 또한 관련된 연구, 교육, 의견수렴 등 여러 방면에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김 교수님의 최근 연구에 대해 더 알고 싶습니다.

교수님께서는 대규모의 모빌리티 시스템에 관한 연

구논문을 발표하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도시혼잡 을 해소시키기 위한 방안에 대해 지속가능한 교통운 영이라는 맥락에서 교수님의 생각을 간략히 설명해 주시겠습니까?

캐시디 그것은 중요한 이슈라고 생각합니다. 우리 는 모의실험을 통해 다양한 통행 배정 정책을 실험 해왔습니다. 더 나아가 최적의 정책들을 실제 상황 에 적용해보고, 해당 정책들이 잘 시행되는지를 파 악할 계획입니다. 이런 측면에서 진보된 기술 및 모 니터링, 빅데이터 등의 도래는 우리에게 많은 기회 를 제공합니다. 먼저 혼잡의 원인에 대한 구체적인 본질을 진단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 다음 적절한 관 리전략으로 이 혼잡 요인에 대응해야 합니다. 그것 이 저의 관심사입니다. 카풀 차로 운영과 같은 특별 차로 관리는 하나의 해결방안입니다. 그밖에 통행요 금 정책, 램프 진입량 제어, 신호 제어 또는 커넥티 드 차량 기술과 같은 관리방안을 고려할 수 있습니 다. 그리고 이 모두를 함께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특히 커넥티드 차량을 운영함으로써 얻게 되는 실시 간 정보들은 교통운영 및 계획에 대한 문제점을 파 악하고, 관리방안들의 성공 여부를 평가하는 측면에 서 실시간 모니터링 및 진단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활용할 수 있습니다.

김 교수님의 생각은 ‘성능 기반 교통계획’의 철학과 일맥상통하는 것 같습니다. 이런 맥락에서 미국의 많은 교통기관들은 교통운영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 으로 교통계획을 개선하고자 노력합니다. 이런 측면 에서 교통계획에 관한 의사결정에 대해 조언을 해주 시겠습니까?

캐시디 저는 물리현상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물리적 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술이 무엇을 해결해줄

(5)

systems more sustainable. You have suggested insightful recommendations on transportation policies by publishing notable research reports or journal papers. These publications mostly pertain to highway traffic, public transit, and systems to serve multimodal transportation. Can you introduce your current research interest in the context of sustainable transportation?

Cassidy We need plans and strategies that recognize diversities in our world. Diversities in terms of economic wealth and diversities in terms of preferences. People from the lower- end of economic spectrum need alternative forms of transportation modes. We may address that issue by providing mobility platform like Uber or Lyft. Such vehicle-sharing systems are promising. But the issue here is that currently they are only effective for those who are connected via internet or smart phone. In light of this, we need a mobility platform to serve the lower swarth of economic spectrum.

Kim Do you have any concrete plan to pursue that research idea?

Cassidy This is the area that we gradually try to move into. We started the research assuming that we get the UTC funding. In addition, I am leading multi-faceted efforts like research, education, and outreach along this line.

Kim We want to know more about your recent research. You have published research papers

concerning large-scale mobility systems. Can you briefly explain your idea to mitigate urban congestion,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sustainable traffic operations?

Cassidy That is an important issue. We have experimented with diverse assignment policies using simulation. Furthermore, we plan to implement best policies in real settings and try to understand how those policies work. In this regard, the advent of advanced technologies, monitoring, big data and so forth give us much opportunity. First of all, we need to diagnose specific nature of what is causing the congestion. Then, we need to respond with proper control measures to target the cause of congestion. That is my interest. Special- lane management (including the operation of carpool-lane) is part of the solution. We can also think of other control measures such as pricing, ramp metering, signal control, or connected vehicle technologies. All these things can work together. Particularly, real-time information available from operating connected vehicles can enhance our real-time monitoring or diagnostic capabilities in terms of identifying problems and evaluating the success of our control measures.

Kim It seems that your idea is in line with the philosophy of the so-called “performance- based transportation planning.” In this vein, many transportation agencies across U.S. try to improve transportation planning based on the

(6)

수 있는지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교통정책 이 수립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그래서 물리현상과 상호 작용하는 정책, 교통 물리현상에 대한 이해, 그리고 기술에 대한 이해 등 세 가지가 적절한 방식 으로 함께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게 해야 ‘성 능 기반의 교통계획’을 의미 있게 세울 수 있을 것이 라 제안합니다.

김 다양한 분야들 을 통합하기 위한 다학제적인 협력 에 대해 교수님의 의견을 말씀해주 시겠습니까? 또한 교수님의 연구소 에서도 이러한 다 학제적인 협력에 기여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캐시디 저는 다 학제 간 협력에 찬성합니다. 모두를 위해 좋은 것 이죠. 계획, 공학 그리고 기술 분야에 속한 사람들 이 모이는 겁니다. 사람들이 자기가 하고 있는 것을 잘 알고 서로에게 귀를 기울인다면 좋은 결과가 도 출될 수 있습니다. 우리 연구소도 다학제 간 협력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제안서를 작성하고 있 는 단계여서 구체적인 내용을 말씀드릴 수는 없지만 새 연구소는 다학제 간 협력에 더 많이 지원할 것입 니다.

김 화제를 좀 바꾸어보겠습니다. 앞에서 교수님 께서는 커넥티드 차량 시스템 또는 C-ITS에 대

해 언급하셨습니다. 이 시스템들은 ‘차량-차량’ 또 는 ‘차량-인프라’ 통신을 통해 교통서비스를 개 선하는 것입니다. 이와 같은 첨단 기술 기반의 협 력적인 교통시스템에 관해 좀 더 조언해주시겠습 니까?

캐시디 저는 이러한 기술들이 가져다줄 수 있는 기 회들을 검토해야 한다고 봅니다. C-ITS가 안전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들었습니다. 저도 그럴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C-ITS는 안전 향상 외 에 다른 방식으로도 사회에 공헌할 수 있다고 봅니 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C-ITS는 모니터링과 제어 뿐만 아니라 내비게이션 및 안내를 위한 다양한 정 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김 논의를 확대하여, 미래의 모빌리티에 관한 교수 님의 전망을 듣고 싶습니다.

캐시디 미래는 아주 아름다울 수도 아니면 흉측할 수도 있습니다. 우리가 기술 자체를 목적으로 하여 이를 발전시킨다면, 기술은 의도치 않은 결과를 가 져올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사회 요구에 맞게 그리고 사회에 공헌하기 위해 잘 수립된 정책 목표 를 달성하고자 기술을 개발한다면 기술은 좋은 결과 를 가져올 것입니다.

김 최근 ‘자율주행’이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습 니다. 자율주행 차량의 상용화가 교통운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캐시디 매우 큰 질문이군요. 가장 중요한 문제는 자 율주행 차량이 인간-운전 차량과 섞여서 점차적으 로 도입되는 것입니다. 우리는 그것을 어떻게 다루 어야 할까요? 자율주행 차량을 위한 지정 차로를 도 입해야 할까요? 자율주행 차량을 고속도로에 먼저

저는 물리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술이 무엇을 해결해줄 수 있는지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교통정책이 수립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7)

results of monitoring traffic operations. Can you give more comments on policy-making for transportation planning in this context?

Cassidy I believe that transportation policies should be made based on sound understanding of physics as well as sound understanding of what technologies can bring to remedy the physical problems. So I think three things (policies interacting with physics, understanding of transportation physics, and understanding of technologies) should come together in sound ways. That is my suggestion to make

“performance-based transportation planning”

meaningful.

Kim Then, do you have any comments on the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to integrate diverse fields? We also want to know if your center contributes to enhancing such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Cassidy I am for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It is good for all. People from planning, engineering and technology come together. If people know what they are doing and they listen to each other, then good things can arise from it. Our center have made efforts to further the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The new center will further it more although I cannot talk about specific things because I am writing a proposal.

Kim Thanks for your answers. Let us turn to another issue. In the above, you mentioned

connected vehicle systems or cooperative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C-ITS).

These are intended to improve transportation service through vehicle-to-vehicle or vehicle-to-infrastructure communications.

Can you comment more on such cooperative transportation systems based on advanced technologies?

Cassidy One needs to look at the opportunity that these technologies bring. I heard that C-ITS can contribute to enhancing safety.

That is true. There are others ways for C-ITS to serve the society. As previously mentioned, C-ITS can provide rich sources of information for monitoring, controlling things as well as for navigating, giving instruction, and so forth.

Kim To expand our discussion, let us know your expectation about the future mobility.

Cassidy The future can be very beautiful or very ugly. To the extent we develop the technology as means to serve its own ends, the technology can bring unintended consequences. But if we try to develop technologies to fit the societal needs and to achieve well-established policy goals to serve the society, then the technology can be a great thing.

Kim Nowadays “automated driving” is a hot issue. How do you expect the commercialization of automated vehicles shall affect the traffic operations?

(8)

도입해야 할까요? 제가 이해하는 바로는 도시부 도 로에서 자율주행에 따르는 장애 요인은 엄청납니다.

그래서 틈새시장을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한 예 로,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처 음 또는 마지막 1마일은 인간-운전 차량을 통해 터 미널에 접근시킵니다. 그런 다음 전용트럭 차로를 통해 자율주행으로 장거리, 예를 들면 샌프란시스코 에서 로스앤젤레스까지 통행하는 것이지요. 여기서 제기되는 문제는 ‘이 시스템이 일반적인 철도 교통 에 비해 경제적인 우위에 있는가?’ 입니다. 우리는 이러한 이슈들을 해결해야 합니다. 미래의 모빌리티 에 관해서 제가 말씀드릴 수 있는 것은 이와 관련된 이슈들은 엄청나게 많으며, 이들을 점차적으로 해결 해 나가야 한다는 것입니다.

김 교수님께서는 자율주행 차량을 위한 전용차로를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캐시디 가능하다고 봅니다. 상이한 클래스의 차량 들이 바람직한 방식으로 분리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카풀 차량을 일반 차량과 구분하기 위해 카풀 차로를 설계함으로써 편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자율주행 차량과 인간-운전 차량을 구 분함으로써 편익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이 차량들을 어떻게 다시 함께 운행시킬까?’라는 문 제가 제기됩니다. 자율주행 차량과 인간-운전 차량 이 터미널에서 어떻게 합쳐질 것인지에 대해 우려됩 니다. 쉽지 않은 문제입니다.

김 그뿐만 아니라 자율주행 차량과 인간-운전 차량 을 분리하는 것에 관한 형평성 문제가 제기될 수도 있습니다.

캐시디 카풀 차로를 운영하는 것에 관해서도 형평

성 문제는 존재합니다. 카풀 차로에 있으면 더 빨 리 달릴 수 있죠. 하지만 일반 차로의 병목구간 용 량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카풀 차로를 설계할 수 있 습니다. 그것은 ‘파레토-향상’ 명제입니다. 모든 사 람에게 도움이 되는 시스템을 설계하도록 하는 것입 니다. 이건 꽤 형평성이 있습니다. 카풀 통행자들이 더 많이 편익을 누리게 해도 됩니다. 그럴 만하죠.

카풀 차로의 존재는 다른 차량에도 유익할 수 있습 니다. 자율주행 차량 전용차로도 모든 사람에게 도 움이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면 형평성 문제는 해결 될 것입니다.

김 화제를 약간 바꾸겠습니다. 선진국의 많은 교통 기관들은 오염 배출이 낮은 차량들을 장려함으로써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해 애쓰고 있습니다. 예를 들 면, 캘리포니아 고속도로에는 탑승인원수 허용요건 을 충족시키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전기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중 일부에 대해 카풀 차로를 이 용하도록 허용해주었습니다. 이 정책에 관한 교수님 의 의견은 어떠신지 말씀해주시겠습니까?

캐시디 정책 수립 이전에 물리현상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 번 강조하고 싶습니다. 카 풀 차로에서는 속도가 낮다는 것이 관측되었습니다.

그래서 캘리포니아주 교통부는 카풀 차로의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탑승인원수가 부족해도 그동안 카 풀 차로를 이용하도록 허가받은) 오염 배출이 낮은 차량들이 카풀 차로를 더 이상 통행하지 못하도록 시도한 적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잘못된 정책 입니다. 카풀 차로의 교통 속도가 저하되는 것이 인 접한 일반 차로의 대기 행렬에 기인한다는 물리현상 을 잘 이해하지 못한 것입니다. 이 물리현상을 고려 한다면 일반 차로의 대기 행렬을 해소하는 것이 더

(9)

Cassidy That is a huge question. The biggest problem is the gradual introduction of automated vehicles in the mixed traffic with human-driven vehicles. How do you handle that? Will these automated vehicles use their own lane? Or will these vehicles interact with human-driven cars? Will they introduce the automated vehicles in the freeway first? From my understanding, the obstacles that confront city-street driving in autonomous way are still rather immense. So we need to look at niches.

We might come up with a hybrid system. The first or last miles are driven by human-driven vehicles to access terminals. Thereafter long- haul trips (for example, between San Francisco and Los Angeles) can be driven by autonomous vehicles through designated truck-lane(s).

The question raised here is “Does this system have economic advantages over regular rail transportation?” Those are issues that we need to work out. So for the future mobility, what I can say now is that issues are vast and that we need to move one step at a time.

Kim Do you think that designating certain travel lane(s) only for the use of automated vehicles is desirable?

Cassidy It is possible. Vehicles of different classes can be segregated in desirable ways.

For example, benefits can arise by designing carpool lane(s) to segregate carpool vehicles from other vehicles. Likewise, we can get

benefit by segregating automated vehicles from human-driven cars. However, one may raise a question: “how do we get them back together?”

The concern is about the way how automated vehicles and human-driven cars are coalesced at the terminal. So it is a creaky issue.

Kim In addition, one may also raise equity concerns for segregating automated vehicles from human-driven cars?

Cassidy Well, there is an equity issue in designing carpool lanes as well. In the carpool lane, you can drive faster. But we can design carpool lanes to increase the bottleneck capacity of the regular lanes. So it is the “Pareto improving”

proposition. So you try to design a system that works for everybody. That is pretty equitable.

Let the carpoolers benefit a little bit more. That is okay. They deserve it. The presence of carpool lanes makes things better for the other vehicles as well. If designating lanes for automated vehicles works for everybody, the equity issue can be resolved.

Kim Let me digress a little bit. Many transportation agencies of developed countries are trying to reduce carbon footprints by encouraging low-emission vehicles. For example, some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have been authorized to use the carpool lanes in California freeways regardless of satisfying the subject requirement for the passenger

(10)

바람직합니다. 그래서 저는 오염 배출이 낮은 차량 들을 포함해서 더 많은 차들이 카풀 차로를 이용하 도록 허용해야 한다고 제안합니다.

김 교수님께서는 적절한 교통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서는 물리현상을 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씀 하셨는데, 그 의미를 알겠습니다. 마지막으로, 교수 님께서는 국제협력 연구에도 관심이 있으신지 알고 싶습니다.

캐시디 현재는 국제 연구에 참여하고 있지는 않은 데, 예전에 볼보사(Volvo)의 지원을 받아 국제 연 구에 참여한 적이 있습니다. 세계적으로 교통혼잡 이 엄청나기 때문에 국제적인 현장을 보는 것에 관 심이 많습니다. 저는 기존 인프라 구간의 설계를 개 선하여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회가 많다고 봅 니다.

김 이제 인터뷰를 마쳐야 할 시간입니다. 교수님의 답변과 조언에 대해 다시 한 번 감사의 말씀을 드립

니다. 지식공유 또는 연구협력을 위해 교수님과 다 시 연락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캐시디 감사합니다. 모든 일이 잘되길 기원합니 다.

마이클 캐시디 교수의 주요 저서 및 논문

Cassidy, M.J. 2003. Traffic flow and capacity, in Handbook of Transportation Science, ed. Randolph W. Hall, 155-191. New York:

Springer.

Cassidy, M.J., Kim, K., Ni, W. and Gu, W. 2015. A problem of limited-access special lanes. Part I: Spatiotemporal studies of real freeway traffic; Part II: Exploring remedies via simulation.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80: 307-329.

Cassidy, M.J., Jang, K. and Daganzo, C.F. 2010. The smoothing effect of carpool lanes on freeway bottleneck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44: 65-75.

Cassidy, M.J., Daganzo, C.F., Jang K. and Chung. K. 2009. Spatiotemporal effects of segregating different vehicle classes on separate lanes. In Transportation and Traffic Theory 2009: Golden Jubilee, eds. Lam, W., Wong, S.C. and Lo, H.K., 57-74. New York:

Springer.

Chen, H., Gu, W., Cassidy, M.J. and Daganzo, C.F. 2015. Optimal transit service atop ring-radial and grid street networks: A continuum approximation design method and comparison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B 81: 755-774.

Ouyang, Y., Nourbakhsh, S.M. and Cassidy, M.J. 2014. Continuum approximation approach to bus network design under spatially heterogeneous demand.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B 68: 333-344.

Jang, K. and Cassidy, M.J. 2012. Dual influences on vehicle speed in special-use lanes and critique of US regulation.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46: 1108-1123.

(11)

occupancy. Do you have any comments on that policy?

Cassidy Again I want to point out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physics before establishing policies. People observed low speeds in the carpool lanes. So Caltrans recently attempted to kick low-emission vehicles (that have been permitted to use the carpool lane regardless of the passenger occupancy) out of the carpool lane to improve the speed of a carpool lane.

This is a wrong policy. They misunderstood the physics: the traffic of carpool lane slows down due to the queueing of adjacent regular lanes.

Considering the physics, it is more desirable to remove queues in the regular lanes. So I suggest that more cars including low-emission vehicles should be allowed to use the carpool lane.

Kim I see what you meant by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physics to make sound policies.

Finally, I want to know if you are interested in the international collaboration studies.

Cassidy I have experience to participate in international research funded by Volvo although I am not currently involved in such activities.

I am much interested in international scenes because there is tremendous congestion across the world. I think there is opportunity to remedy the problem by redesigning existing infrastructure stretch.

Kim It is time to call it a day. Thanks again for

your answers and comments. We hope to contact you again in the future either for knowledge sharing or for research collaboration.

Cassidy Thank you very much. I hope everything is going well with you.

참조

관련 문서

The NL-20 incorporates a memory which can be used to store measurement data (sound level, L eq and other processed values, measurement parameters such as frequency

The concentration of the dissolved metal as well as that of the adsorbed to solid particles depends mainly on the concentration of the metal in the inflow water

The influences chorus ha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it promotes the area of basic music; to improve the ability to read music, produce resonant sound through

Technologies that can be applied to decontaminate radioactive materials such as cesium from contaminated soil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soil washing,

Moreover, it describes how this education should be oriented with referring to studies and literatur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reading book

Though discourse between Silong and Huja could be delivered through narration of questions and answers, in this case, Huja disputed what Silong said as wel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und-finding strategies based on phonological awareness on word recognition, oral reading

Accordingly,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existing research by making students to have concrete and active argumentation while obtaining the sou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