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지속가능한 도시경제재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지속가능한 도시경제재생"

Copied!
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ㅣ 해외리포트 ㅣ

머리말

우리나라 도시재생사업은 물리적 환경개선에 치중 하여 진행되어 왔기 때문에 쇠퇴하는 도시의 경제 및 산업기반의 재생과 이로 인한 일자리 확보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이에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대한 특별법」은 도시재생사업을 경제기반 형과 근린재생형 활성화 계획으로 나누고, 쇠락하는 도시의 경제활동에 반전을 가져올 수 있는 계획 및 사업 발굴을 요구하고 있다. 경제적인 매력을 잃어버 린 도시공간에 새롭게 사람과 기업이 모일 수 있도록 환경을 바꾸는 일은 단 한 번의 투자사업계획으로는 요원한 일이라 할 수 있겠다. 쇠락한 도시공간의 경 제기반 재활성화를 위해서는 주민들의 합의에 바탕 을 둔 장기적인 비전, 이를 적용하고 이끌어갈 수 있 는 튼튼한 리더십, 지역주민들에게 직접적으로 돌아 가는 혜택에 대한 적극적인 고려, 입지적 장점의 회 복과 기업의 회귀, 그리고 이해당사자들 간의 협조 와 조정과 같은 유무형의 요인들이 적절히 조화되어

은 단순히 기업의 투자유치 확보와 물리적 기반의 재 건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지역공동체의 회복, 지역 민을 위한 지속가능한 일자리 창출, 자생적 지역발전 능력 배양, 지역자산의 활용이라는 측면을 담고 진행 되어야 할 것이다.

이 글에서는 미국 밀워키(Milwaukee) 메노모니 밸리(Menomonee Valley)의 도시재생 사례를 통해 경제발전-환경보전-사회통합이라는 세 가지 목표 를 도시재생사업 과정에서 어떻게 서로 조화시켰는 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도시의 경제와 산업기 반을 회복하는 도시재생이 명목상의 일자리 창출에 서 벗어나 어떻게 지역주민에 대한 고용기회 확대와 생활수준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볼 예정이다. 메노모니 밸리 사례는 지역 기반 의 산업자산 활용, 환경의 재생, 지역주민의 혜택 등 의 측면에서 유용한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도시재생의 필요성과 재생계획의 수립

지속가능한 도시경제재생

: 미국 메노모니 밸리의 경험과 시사점

박정일 | 국토연구원 책임연구원 최태림 | 인천발전연구원 부연구위원

94

(2)

남북방향으로 거의 1km로 그 면적은 대략 4.9km2 에 달한다. 메노모니라는 말은 인디언들이 사용하던 말로 ‘좋은 곡식’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이곳은 오 랜 기간 동안 인디언 원주민들의 생활터전이었으며, 자연생태자원도 풍부한 곳이었다. 1880년대에 들어 서 미시간호와 강을 이용하는 수상교역의 편리성, 철 도와 도로 등 육상교통의 접근성이 메노모니 밸리를 점차 제조업 중심지로 변화시켰다. 습지와 얕은 하 천들은 메워졌고, 여기에는 농기계, 기차, 전기모터, 크레인을 생산하는 기계공장들과 더불어 무두질 공 장, 육류가공, 맥주 양조장이 들어섰다. 기계산업이 번창하였던 메노모니 밸리는 밀워키가 ‘세계의 기계 공장’이란 명성을 가질 때 그 기계공장의 ‘엔진’이라 일컬어졌다(Coursa 2012). 이곳 공장들은 지역주민 들에게 다양한 일자리를 제공하였으며 노동자들의 가족 생계를 보장하였다.

그러나 1900년대 중·후반 이후 이곳에서 가동하 던 기업들은 값싼 노동력을 찾아 해외로 이주하거나 저렴한 토지비용을 찾아 도시외곽으로 이전하였다.

이른바 탈산업화 과정에서 오랜 불황을 겪었던 러스 트 벨트(Rust belt)의 여타 도시들이 그랬듯 메노모 니 밸리의 산업침체는 대량의 실업자 양상, 세수기반 의 상실, 환경오염의 문제로 이어졌다. 1920년대까 지 5만여 개에 달하던 일자리는 1970년대에 2만여 개로 줄었으며, 1997년에 와서는 7천여 개의 일자리 만 남았다(Coursa 2012). 가동을 멈춘 공장주변은 도시 이미지를 흉물스럽게 변화시켰고, 공장부지 토 양과 지하수는 장시간 지속된 오염으로 몸살을 앓았 다. 공장들이 문을 닫자 노동자들은 일자리와 소득 기반 상실에 대한 걱정이 커졌으며, 지역주민들은 천

을 재활성화하려는 노력이 있었지만 역부족이었다.

메노모니 밸리 재생은 1998년 수립된 ‘Market Study, Engineering, and Land Use Plan for the Menomonee Valley’라는 계획에서 본격적으로 출발 한다(City of Milwaukee 1998). 메노모니 밸리의 재 생과 관련된 계획과 관련 정책들은 이전에도 다수 존 재하였으나 해당 지역에 대한 현황분석과 미래의 청 사진, 구체적인 정책제안까지 포함하여 메노모니 밸 리 재생을 종합적으로 다룬 계획은 본 계획이 처음 이다(Coursa 2012). 세부내용에는 해당 지역에 대 한 입지적 특성, 인구 및 산업 현황, 토지이용, 부동 산 시장분석과 인프라의 현황, 부지의 환경오염 등 을 포괄적으로 담고 있다. 본 계획은 인터뷰, 워크숍, 설문조사 등의 기법을 통한 주민참여형 계획수립을 강조하였다. 제조업 기업주, 근로노동자, 지역상인, 지역주민, 환경단체 및 지역사회단체 등 다양한 이 해당사자들은 메노모니 밸리의 미래상이 자신들의 활발한 의사개진과 상호 간의 논의를 통해 구체화 하는 데 주체가 될 수 있었다. 1999년에는 공공-민 간의 협력으로 ‘메노모니 밸리 파트너(Menomonee Valley Partners: MVP)’가 출범하여 재생사업을 전 담하도록 하였다.

메노모니 밸리 재생사업에 다양한 계획들이 추가 적으로 수립됨에 따라 단기간의 물리적 재개발이 아 닌 ‘경제발전-환경보전-사회통합’이라는 지속가능 성을 표방하는 도시재생사업으로 거듭나게 되었다.

1999년에는 20만 달러의 환경보호청(EPA) 기금을 바탕으로 140여 명의 지역 전문가들이 모여 지속가 능한 개발에 대한 토론회를 가졌다. 이 전문가 토론 회의 결과는 2000년 ‘A Vision for Smart Growth’

95

(3)

라는 보고서로 출간되었다. 지속가능성의 목표 는 지역주민들을 위한 양질의 제조업 일자리를 제공, 오염된 부지의 적극적인 복원, 친환경적 건 축물 도입 등의 전략들로 구체화하였다. 2004년 에는 ‘메노모니 밸리의 지속가능한 개발 가이드 라인(Sustainable Development Guideline for the Menomonee River Valley)’과 ‘메노모니 밸 리 개발목표(Development Objectives for the Menomonee Valley)’가 수립되었다. 전자는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목표로 친환경적 지구 및 건축물 설계 등에 대한 규제를 내용으로 하는 반면, 후자는 지역 의 고용 밀도와 임금 수준 등 경제발전의 지속가능성 에 대한 구체적 목표와 전략을 담고 있다. 이는 다음 절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시경제재생의 비전과 목표

1. 고용창출의 목표

: 어떤 일자리를, 얼마만큼, 누구를 위해

2004년의 ‘메노모니 밸리 개발목표’에는 기업유치에 기준이 되는 고용 밀도, 임금 수준, 의료보험 및 각종 복지혜택의 제공, 그리고 지역주민 혜택 우선의 목표 등이 제시되어 있다. 우리는 여기서 고용창출의 목표 가 단순한 양적 성장 이상으로 ‘어떤 일자리를, 얼마 만큼, 누구를 위해’라는 일자리의 질적 향상이 함께 고려되고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다시 말해, 지역경 제기반을 재활성화하는 도시재생의 목표는 명목상 의 일자리 창출에서 벗어나 지역주민에 대한 고용기 회 확대와 생활수준의 향상에 대한 구체적인 목표와 전략 수립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표 1>에서 나타난 기업유치 시 고용 밀도 및 고

보도록 하자. 메노모니 밸리에 입주를 원하는 기업은 우선 특정 고용 밀도 기준을 만족하여야 한다. 고용 밀도는 건축물 면적 1천ft2당 1.5개 일자리 혹은 대 지면적 에이커당 16.4개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을 기 준으로 한다. 이는 목표수립 당시 주변 제조업체들의 평균 고용 밀도를 고려하여 설정되었다. 우리나라 개 발계획에서의 일자리 창출 목표는 해당 지역 전체에 서 ‘몇 개의 일자리 창출’처럼 총합으로 제시하는 게 일반적이지만, 고용 밀도 기준은 개별 기업들의 일 자리 확대를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고용창출에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고용 밀도 기준은 육성산업의 선정에도 활용할 수 있으며, 단기간의 투자로 각종 세제나 인센티브 혜택만 누리 고 고용효과는 부실한 이른바 먹튀 기업을 차단하는 효과도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임금기준을 살펴보자. 메노모니 밸리 노동자들의 임금은 시간당 평균 약 12달러(11.83달 러) 혹은 시간당 8달러의 최저임금을 보장할 것과 의 료보험 및 각종 복지혜택을 제공할 것을 기준으로 하 고 있다(Menomonee Valley Partners 2004a). 이 것은 고용의 양적 성장뿐만 아니라 지역에 일자리 의 질을 강조하는 것이다. 평균임금 및 최저임금은 노동자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기 위한 지역에서 평균 가계지출을 고려한 것으로, <표 2>에서 보여주듯 주 ㅣ 해외리포트 ㅣ

<표 1> 기업유치 시 고용 밀도 및 고용의 질, 지역주민 혜택의 목표기준

고용 밀도 - 건축물 면적 1천ft2당 1.5개 일자리 혹은 대지면적 에이커당 16.4개 일자리 창출

임금기준 – 시간당 12달러의 평균임금 및 시간당 8달러의 최 저임금 보장

의료보험 및 각종 복지혜택 제공

신입 노동자들에 대한 승진 및 기술숙련 기회의 보장

메노모니 밸리 지역주민에 대한(특히, 지역 저소득층을 위한) 고 용기회 보장

출처: Menomonee Valley Partners. 2004a. 재구성.

96

(4)

출항목을 다양한 가족형태에 따라 구체적으로 산출 하여 설정하였다. 더불어 만약 메노모니 밸리에 입 주를 희망하는 기업 중 위와 같은 고용 밀도 및 임금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기업은 조속한 시간 내 이 를 만족할 수 있게 실행계획을 수립하도록 규정한 점 도 눈여겨 볼 만하다(Public Policy Forum 2014).

메노모니 밸리에서 창출되는 일자리는 <표 1>의 마지막 항목에서 보여주듯 지역주민에 대한 고용기 회를 보장하며 경제재생의 혜택이 지역의 저소득층 에게 확대되어야 한다는 것을 직접적으로 언급하고 있다. 이는 공공과 민간의 투자로 복원되고 활용가 치가 상승한 공간의 사회경제적 혜택이 외부 사람들 에게 유출되기보다 지역노동자와 지역주민의 소득 증대와 삶의 질 향상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한 전략이다. 이를 위해 메노모니 밸리에서는 주민의 고용문제를 전담하는 기구의 운영과 지역주민을 고 용한 기업에 대해서는 고용인원당 연간 1,500달러

2. 도시산업용지 및 제조업 보존에 대한 합의

미국 대부분의 산업도시들은 제조 업의 쇠퇴와 더불어 공간적으로는 대도시권을 벗어나려는 이른바 탈 도시화를 경험하였다. 자동차의 보급과 고속도로 건설은 도시외 곽으로 접근성을 높여 낮은 지가 와 장래 확장가능성을 염두에 둔 기업들의 이전을 촉진하였다. 도 시외곽은 새로운 산업공간으로 개 발되는 반면, 도시 중심부는 산업기반의 상실과 고 용의 공동화를 경험하였다. 메노모니 밸리를 포함 한 밀워키도 예외는 아니었다. 1975년에서 1993년 사이 밀워키의 외곽부인 워키쇼 카운티(Wakesha County), 워싱턴 카운티(Washington County), 오 조키 카운티(Ozaukee County)에서는 기업체수가 144%나 증가하였으나, 밀워키의 중심부인 밀워키 카운티(Milwaukee County)에서는 기업체수 증가 가 16%에 머물렀다(Squires, Connor and Grover 1998). 중심도시의 고용도 크게 줄어 밀워키시의 지 역 대비 제조업 종사자수 비중은 1967년의 55%에 서 1992년 35%로 떨어졌다(Center for Economic Development 1998).

메노모니 밸리도 오랜 탈산업화 과정에서 도시 중심 산업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잃어갔다. 1990년대 초반부터 주변지역에 밀워키 밀러파크 구장과 카지 노 건설 등이 한창 진행되면서 메노모니 밸리의 산

출처: Menomonee Valley Partners. 2004a.

97

(5)

업용지들은 고급 주택들과 상업시설들이 들어설 수 있는 용지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아져 갔다(Coursa 2012). 이에 1990년 후반부터 본격화된 메노모니 밸리의 도시재생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도시산업용 지 감소가 산업의 역외유출과 일자리 공동화를 더욱 가중시킬 수 있으며, 특히 도시 중심부에 많이 거주 하는 저소득층에게 보다 큰 충격을 줄 수 있음이 논 의되었다. 메노모니 밸리 도시재생의 다양한 이해 관계자들은 주민들의 안정적 수입을 보장할 수 있 는 가족부양 일자리(family supporting jobs) 제공 이 우선적 목표이며, 고용창출 효과가 좋고 타 산

업 유지가 필수적이라는 데 합의하 였다(Menomonee Valley Partners 2004a). 또한, 산업파급효과가 큰 제 조업을 도시 내에 유지하는 것은 밀워 키 지역 전체의 경제발전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하였다. 특정 지역에서 어떠한 산업기반을 바탕으로 지역경 제를 활성화할 것이며 해당 산업이 필 요한 토지공간을 어떻게 선정하고 할 당할 것인가는 도시경제재생의 과정 에서 중요한 문제다. 메노모니 밸리 사례는 제조업과 도시산업용지의 중 요성을 강조하기보다 이러한 합의를 이끌어내는 과정이 다양한 이해관계 자들의 참여보장과 주민혜택 우선의 기준이 있었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메노모니 밸리의 산업용지 보존정 책은 경제적 재생 측면에서 고용창출, 임금상승, 세수증대 등의 다양한 성과 를 가져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산업 용지 및 제조업 기반의 보존이 토지이 용에서의 획일성을 강조하는 것은 아니다. 메노모니 밸리의 도시재생은 대상지역의 토지이용을 보다 다 양하게 변화시켰다. <그림 1>에서 살펴볼 수 있듯 1998년 메노모니 밸리의 토지이용은 산업용지가 대 부분을 차지하고 있지만, 2014년의 모습은 산업용 지, 여가공간, 공원 및 오픈스페이스, 상업 및 사무 용지, 교통 등 공공용지 등 보다 다양한 토지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이는 생산과정에서의 소음과 악취, 공해로 엄격한 분리를 요구했던 과거의 토지이용 방 식에서 벗어난 것이다. 제조업 내에서도 생산방식과 기술 수준에 따라 다른 토지이용과 혼재가 가능한 산 ㅣ 해외리포트 ㅣ

<그림 1> 토지이용 변화(위: 1998년, 아래: 2014년)

출처: City of Milwaukee. 1998; Public Policy Forum. 2014.

98

(6)

2015년 도시재생의 성과와 향후 계획

메노모니 밸리의 도시재생은 여전히 현재 진행형이다. 하 지만 그 성과는 괄목할 만하 다. <표 3>은 밀워키의 비영리 단체인 Public Policy Forum 에서 2014년에 발표한 메노모 니 밸리 도시재생의 성과와 성

공요인을 발표한 보고서의 일부로서 경제발전, 환경 보전, 사회 통합 및 발전의 세 가지 영역에서의 성과 들을 요약하였다.

1. 경제발전 성과

도시경제 발전의 목표가 일반적으로 고용창출, 임금 상승, 세수증대라고 할 때 이와 관련한 통계들은 메노

모니 밸리의 도시재생사업이 상당히 가시적 성과를 거 두었음을 보여준다. <표 3>에서처럼 1999년 이후 49 개의 기업이 이전 혹은 규모를 확장하였으며, 2002년 1만 3,853명이던 고용은 2011년에 1만 7,097명으로 3,244명이 늘어났다(Public Policy Forum 2014). 이는 밀워키시 전체의 고용성장이 같은 시기 872개에 머문 것에 비하면 상당한 성과라 할 수 있다. 고용 밀도 측면 에서는 면적당 상당히 높은 고용집중도를 유지하고 있 에이커

재산세 증감(2002~2012년, Valley BID 기준): +94.4%

연 4만 달러 이상 임금 노동자 비중: 31.2%(2002년) → 47.7%(2011년)

환경개선

정화 완료 및 재개발된 오염부지 면적(1999~2014년): 300에이커

정화예정 오염부지 면적(추정): 75~100에이커

지속가능한 설계기법 도입 건축물 면적: 100만ft2 이상

LEED인증 건축물(2004~2014년): 3개

신규 공원 및 탐방로 면적(1999~2014년): 60에이커

고유 자생식물 식재면적: 47에이커

사회 통합 및 발전

신설 보행자 및 자전거 도로 연결: 4개

신설 자동차 도로 연결: 4개

신설 보도 연장: 10.8마일

대중교통 이용수요(2001~2011년): 30% 증가

공원 및 탐방로 이용자수: 연간 5만 명 이상

도시생태센터 프로그램 참여자수: 2만 명 이상(개설 첫해 기준) 출처: Public Policy Forum. 2014. 재구성.

<그림 3> 메노모니 밸리의 산업 및 상업용지 가치상승 (2002년 가치를 100으로 산정)

출처: Public Policy Forum. 2014.

250 200 150 100 50 0 (%)

Menomonee Valley City of Milwaukee

194

109

2002 2004 2006 2008 2010 2012

<그림 2> 메노모니 밸리의 고용변화

(2002년 일자리 개수를 100으로 산정)

출처: Public Policy Forum. 2014.

150

100

50

0 (%)

Menomonee Valley City of Milwaukee

123

100

2002 2005 2008 2011

99

(7)

다. 메노모니 밸리의 한 구역인 메노모니 밸리 산업센 터(Menomonee Valley Industrial Center)의 2014년 고용 밀도는 에이커당 26개였다(Public Policy Forum 2014). 이는 2004년 수립된 고용 밀도 목표인 에이커 당 22개 일자리를 훨씬 상회하는 결과다.

메노모니 밸리 도시재생의 성과는 해당 지역 노 동자들의 임금수준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 왔다. 이 지역에서 연간 임금이 4만 달러(월급 기준 3,333달러) 이상인 노동자들이 2002년에는 3분의 1밖 에 되지 않았으나, 2011년에는 거의 절반(47.7%)에 가까운 노동자들이 해당 임금 이상을 받는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도시재생은 방치되었던 토지에 대한 가치의 상승을 가져와 재산세 등 세수확충에도 긍정 적인 영향을 끼쳤다.

하지만 2014년 발간된 보고서는 현재까지 메노 모니 밸리 입주기업들의 지역주민 고용이 크지 않 음을 지적하였다(Public Policy Forum 2014). 메노 모니 밸리의 도시재생이 현재 진행 중인 점을 감안 할 때, 주민혜택에 대한 결과가 여전히 부족한 성과 를 보임에도 불구하고 성과나열식 보고서에서 탈피 하여 목표실현 과정에서 현재의 부족한 점을 냉철 히 지적하며 개선을 강조한 것은 우리에게 시사하 는 바가 크다.

2. 환경보전 및 사회 통합 성과

메노모니 밸리 도시재생은 경제분야 성과만 있는 것 은 아니다. 메노모니 밸리는 미국 내에서 가장 성공 ㅣ 해외리포트 ㅣ

<그림 4> 메노모니 밸리의 최근 개발현황

100

(8)

인지, 정화비용은 얼마나 소요될지 불확실한 상황은 민간기업의 개발사업 참여에 큰 장애로 다가왔다. 이 에 공공이 오염부지에 대한 조사와 정화비용을 대고 이후 민간의 투자를 유도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현재까지 정화된 오염부지는 거의 300에이커에 달한다(Public Policy Forum 2014). 또한, 도시재 생의 주요한 목표인 환경의 보전과 복원을 달성하 기 위해 환경친화적이며 에너지 효율적인 설계기법 이 건축물에 도입되고, 100년 빈도 홍수에 맞춘 빗 물공원(Stormwater Park)을 설치하였으며, 다양한 자생식물들을 복원하는 데도 노력하였다. 메노모니 밸리 내에 새롭게 설치된 도로, 자전거 및 보행로, 다 리 등은 단절된 커뮤니티를 연결해주는 통로의 역할 을 하고 있으며, 지역주민들과 다양한 사회단체들은

3. Menomonee Valley 2.0의 수립

1990년대 후반부터 지금까지 15여 년의 경험을 가 진 메노모니 밸리는 경제와 환경, 그리고 사회 통합 이라는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의 모범사례로 꼽히고 있 다. 메노모니 밸리의 도시재생은 진행과정에 있다.

그리고 2013년 9월부터 ‘Menomonee Valley 2.0’이 라는 새로운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 있다. 본 계획 은 이 지역 도시재생을 본격화시킨 1998년 ‘Market Study, Engineering, and Land Use Plan for the Menomonee Valley’ 계획의 수정판으로 향후 20년의 비전과 목표를 담으려 하고 있다. 계획은 ① 메노모 니 밸리의 지속가능성과 수질개선에 전념, ② 현재의 기업과 일자리의 유지, ③ 높은 고용 밀도 확보를 위

<그림 5> 웹기반 지도제작(주민참여형 도시재생계획)

출처: Menomonee Valley 2.0 홈페이지 http://www.planthevalley.org/

101

(9)

한 신규 기업 및 일자리 유치, ④ 재개발 산업용지 보 존 및 확보, ⑤ 인프라의 개선, ⑥ 지속적인 장소 마케 팅, ⑦ 지역주민들을 위한 사업지원, ⑧ 공공-민간 파 트너십의 유지·강화 원칙 안에서 계획내용이 논의되 고 있다. 또한, 계획과정은 철저히 주민참여로 이루어 지고 있으며, 해당 홈페이지에는 메노모니 밸리의 도 시재생과 관련된 자료와 정보들을 공개하여 주민들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Menomonee Valley 2.0은

<그림 5>와 같이 해당 홈페이지에서 주민 스스로 계 획을 지도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여 진일보된 주민참 여형 계획수립 기법을 운영하고 있다.

맺음말

지금까지 살펴본 메노모니 밸리의 사례는 도시재생 사업이 어떻게 보다 지속가능성을 지향하는 과정으 로 진행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지난 15여 년의 도시재생 과정은 산업기반이 약화되어 도시경쟁력 이 쇠퇴했던 곳을 새로운 산업과 일자리로 활력이 넘치는 곳으로 바꾸었다. 오염되었던 땅은 정화되 었고, 사라졌던 자연생태환경은 복원되었다. 새롭게 건설된 도로와 보행로는 단절되었던 커뮤니티를 연 결하고 있으며, 지역주민들은 재생의 과정에서 적극 적인 참여를 보장받았다.

우리가 집중적으로 살펴본 경제발전의 지속가능 성에 대한 구체적 목표와 전략들은 메노모니 밸리의 도시재생이 단순히 고용창출과 세수확대에 관심을 두는 전통적 경제발전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이 지 역에 대한 개발이 어떻게 지역주민의 생활수준을 향 상시킬 수 있을지, 지역과 계층 간의 불균형과 갈등 완화에는 어떤 도움이 될 것인지에 집중하고 있었다.

또한, 모든 사업들은 지역주민 혜택의 우선이라는 기

의와 합의로 진행되었음에 주목해야 한다. 우리나라 도 지금 쇠락하는 도시의 경제활동에 반전을 가져올 수 있는 계획 및 사업을 발굴하는 과정에 있다. 이 시 작의 과정에서 도시재생의 혜택이 누구에게 있어야 하며, 누구에 의해 수립될 것이며, 어떠한 비전과 목 표로 구체화될 수 있을지 다시금 고민해볼 필요가 있 을 것이다.

ㅣ 해외리포트 ㅣ

참고문헌 ---

Center for Economic Development. 1998. The Economic State of Milwaukee. University of Wisconsin-Milwaukee. Retrieved from http://www4.uwm.edu/ced/publications/milwecon/

cover.cfm

Christopher De Coursa. 2012. Milwaukee’s Menomonee Valley: A Sustainable Re-Industrialization Best Practice.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Institute for Environmental Science and Policy. Retrieved from http://www.uic.edu/orgs/brownfields/

research-results/documents/MenomoneeValley.pdf City of Milwaukee. 1998. Market study, Engineering, and Land

Use Plan for the Menomonee Valley. Retrieved from http://

city.milwaukee.gov/ImageLibrary/Groups/cityDCD/planning/

plans/valley/plan/MRVplan.pdf

Gregory D. Squires, Sally O’Connor and Michael Grover. 1998.

Housing Affordability in the Milwaukee Metropolitan Area: A Matter of Income, Race, and Policy, Milwaukee. WI: Institute for Wisconsin’s Future.

John Gurda. The Menomonee Valley: A Historical Overview.

Retrieved from http://www.renewthevalley.org/media/

mediafile_attachments/04/4-gurdavalleyhistory.pdf Menomonee Valley Partners. 2004a. Development Objectives for the

Menomonee Valley Stockyard. Retrieved from http://www.

renewthevalley.org/media/mediafile_attachments/00/300- mvpdevelopmentobjectives.pdf

_____. 2004b. Sustainable Design Guidelines for the Menomonee River Valley. Retrieved from http://www.renewthevalley.org/media/

mediafile_attachments/02/132-46guidelinesfinalprintableversion.

pdf

Public Policy Forum. 2014. Redevelopment in Milwaukee’s Menomonee Valley: What Worked and Why? Retrieved from http://publicpolicyforum.org/sites/default/files/Valley%20 report%20final.pdf

Sixteenth Street Community Health Center. 2000. A Vision for Smart Growth: Sustainable Development Design Charrette Milwaukee’s Menomonee River Valley 1999-2000 Retrieved from http://www.renewthevalley.org/media/

mediafile_attachments/05/135-charettebook.pdf Menomonee Valley 2.0 홈페이지 http://www.planthevalley.org/

102

참조

관련 문서

우리가 어떻게 에너지를 사용하는지에 대한 것입니다.. 우리가 왜 에너지를

l 따라서 이처럼 우리나라의 노인인구가 소득에 비해 상대적으로 주택을 포함한 자산을 많이 보유하고 있으며, 다른 나라에 비교했을 때도 고령층의 자산보유비율이

앞서 살펴본 여카잉 무슬림이 서쪽으로 열려있었던 여카잉 지역의 공간 적 특성으로 인해 뱅갈 지역으로부터 자연스럽게 유입해와 여카잉 지역 내 에

이 프로그램은 성에 대한 관심과 욕구가 강한 청소년들이 직면하기 쉬운 성적 갈등상 황에 처해 있을 때 자신이 어떻게 행동할 것인지를 가치명료화 과정을 통하여 알아내고

또한, 에너지 지도를 통해 지속가능 발전의 필요성을 느끼고, 실천 방안에 대해 스스로 탐색 하고자 한다.. 이전 차시에서 제작한 에너지 지도를 바탕으로

출산에 대한 개인의 결정권의 침해를 우려하는 시 각은 과거의 출산정책 산아제한정책 이 여성의 성에 대한 자기결정권을 침 ( ) 해하는 방식으로

에게 입법권을 수권하는 법률에 대한 수권방식통제로서의 의미를 갖고 있 는 포괄위임금지원칙의 구체적 활용을 지도할 수 있는 심사기준 및 심사강 도를 집중적으로 검토하고,

행정청이 법 아래서 구체적 사실에 대한 법집행으로서 행하는 권력적 단독행위로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