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법 법 법학 학 학박 박 박사 사 사 학 학 학위 위 위논 논 논문 문 문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법 법 법학 학 학박 박 박사 사 사 학 학 학위 위 위논 논 논문 문 문"

Copied!
21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법 법 법학 학 학박 박 박사 사 사 학 학 학위 위 위논 논 논문 문 문

연 연 연안 안 안습 습 습지 지 지보 보 보전 전 전에 에 에 관 관 관한 한 한 입 입 입법 법 법론 론 론적 적 적 고 고 고찰 찰 찰

A A A S S St t tu u ud d dy y yo o on n nL L Le e eg g gi i is s sl l la a at t ti i io o on n no o of f ft t th h he e eC C Co o oa a as s st t ta a al l lW W We e et t tl l la a an n nd d ds s sC C Co o on n ns s se e er r rv v va a at t ti i io o on n n

지 지 지도 도 도교 교 교수 수 수 한 한 한 병 병 병 호 호 호

2 2 20 0 00 0 05 5 5년 년 년 2 2 2월 월 월 한

한국 국 국해 해 해양 양 양대 대 대학 학 학교 교 교 대 대 대학 학 학원 원 원 해

해 해사 사 사법 법 법학 학 학과 과 과 공 공 공 경 경 경 자 자 자

(2)

본 본 본 논 논 논문 문 문을 을 을 공 공 공경 경 경자 자 자의 의 의 법 법 법학 학 학박 박 박사 사 사 학 학 학위 위 위논 논 논문 문 문으 으 으로 로 로 인 인 인준 준 준함 함 함

위 위 위원 원 원장 장 장 : : : ( ( (인 인 인) ) ) 위 위 위 원 원 원 : : : ( ( (인 인 인) ) ) 위 위 위 원 원 원 : : : ( ( (인 인 인) ) ) 위 위 위 원 원 원 : : : ( ( (인 인 인) ) ) 위 위 위 원 원 원 : : : ( ( (인 인 인) ) )

2

2 20 0 00 0 04 4 4년 년 년 1 1 12 2 2월 월 월 일 일 일

(3)

[ [ [목 목 목 차 차 차] ] ]

A A Ab b bs s st t tr r ra a ac c ct t t

제 제 제1 1 1장 장 장 서 서 서 론 론 론

···1

제제제111절절절 연연연구구구의의의 목목목적적적 ···1

제제제222절절절 연연연구구구의의의 범범범위위위와와와 방방방법법법 ···5

제제제333절절절 논논논문문문의의의 구구구성성성 ···7

제 제 제2 2 2장 장 장 연 연 연안 안 안습 습 습지 지 지 보 보 보전 전 전의 의 의 필 필 필요 요 요성 성 성

···9

제제제111절절절 서서서 설설설 ···9

제제제222절절절 연연연안안안습습습지지지의의의 개개개념념념과과과 종종종류류류 ···10

1.연안습지의 개념 ···10

2.연안습지의 종류 ···14

(1)갯벌 ···14

(2)염습지 ···16

(3)하구 ···16

(4)석호 ···17

(5)해안사구 ···18

제제제333절절절 연연연안안안습습습지지지보보보전전전의의의 현현현실실실적적적 필필필요요요성성성 ···18

1.연안습지의 개발 실태 ···18

2.연안습지 개발의 논리와 그에 대한 비판 ···21

(1)토지조성 ···21

(2)수자원 개발 ···23

(3)지역개발 ···24

3.연안습지개발의 폐해 ···25

(1)연안생태계 파괴 ···25

(2)철새도래지 파괴 ···26

(3)연안오염 증가 ···27

(4)어획량 감소 ···28

(4)

(5)지역공동체의 파괴 ···29

제 제 제3 3 3장 장 장 연 연 연안 안 안습 습 습지 지 지 보 보 보전 전 전의 의 의 법 법 법리 리 리적 적 적 기 기 기초 초 초

···30

제제제111절절절 개개개설설설 ···30

제제제222절절절 환환환경경경공공공유유유론론론과과과 공공공공공공신신신탁탁탁이이이론론론 ···31

1.환경공유론 ···31

2.공공신탁이론 ···34

(1)공공신탁이론의 의의 ···34

(2)공공신탁이론의 적용범위 ···36

제제제333절절절 환환환경경경권권권의의의 헌헌헌법법법적적적 보보보장장장 ···39

1.환경권관념의 생성배경 ···39

2.각국의 환경권에 관한 입법례 ···40

3.한국 헌법상의 환경권의 법적 성격과 효력 ···42

(1)헌법상의 환경권 관련 규정 ···42

(2)헌법상 환경권의 개념 및 보호대상으로서의 환경 ···42

(3)환경권의 법적 효력 ···45

제제제444절절절 환환환경경경권권권의의의 구구구체체체적적적 실실실현현현과과과 연연연안안안습습습지지지의의의 보보보전전전 ···52

1.환경이익의 우위성 확보 ···52

2.환경관련법제의 정비 ···54

3.환경소송의 확대 및 강화 ···54

(1)유지청구소송의 용이화 ···55

(2)집단적 소송의 제도화 ···56

(3)원고적격의 확대 ···57

(4)이행소송의 도입 ···58

4.주민참여 확대와 환경운동의 활성화 ···59

제 제 제4 4 4장 장 장 연 연 연안 안 안습 습 습지 지 지보 보 보전 전 전에 에 에 관 관 관한 한 한 국 국 국제 제 제적 적 적 동 동 동향 향 향

···61

제제제111절절절 개개개설설설 ···61

제제제222절절절 연연연안안안습습습지지지보보보전전전에에에 관관관한한한 국국국제제제협협협약약약 ···62

1.환경보전의 세계적 동향 ···62

(5)

(1)스톡홀롬 선언 ···62

(2)리우선언 ···63

2.람사협약 ···65

(1)협약의 배경 ···65

(2)협약의 주요 내용 ···66

(3)국내적 수용과 현실 ···69

제제제333절절절 연연연안안안습습습지지지보보보전전전에에에 관관관한한한 외외외국국국의의의 입입입법법법례례례 ···70

1.미국 ···70

(1)규제에 의한 습지의 보전 및 관리 방법 ···72

(2)매입 및 취득에 의한 습지 보전 ···74

(3)습지의 복구를 통한 보전 ···75

(4)인센티브의 제공 또는 환수를 통한 보전 ···77

(5)기타 습지보전과 관련한 법률 ···78

2.독일 ···80

(1)갯벌의 현황과 관리 ···80

(2)슐레스비히 홀슈타인주의 갯벌국립공원관리법 ···82

제 제 제5 5 5장 장 장 연 연 연안 안 안습 습 습지 지 지보 보 보전 전 전에 에 에 관 관 관한 한 한 주 주 주요 요 요 국 국 국내 내 내법 법 법제 제 제

···86

제제제111절절절 개개개설설설 ···86

제제제222절절절 환환환경경경보보보전전전의의의 기기기본본본원원원칙칙칙과과과 환환환경경경정정정책책책기기기본본본법법법 ···87

1.환경보전의 기본원칙 ···87

2.환경정책기본법 ···90

(1)연혁 ···90

(2)주요 내용 ···91

제제제333절절절 연연연안안안습습습지지지보보보전전전과과과 관관관련련련된된된 법법법률률률 ···93

1.습지보전법 ···93

(1)연혁 ···93

(2)주요내용 ···94

2.자연환경보전법 ···105

(1)연혁 ···105

(6)

(2)주요내용 ···107

3.자연공원법 ···114

(1)연혁 ···114

(2)주요내용 ···114

4.야생동․식물보호법 ···119

(1)연혁 ···119

(2)주요 내용 ···120

5.독도등도서지역의생태계보전에관한특별법 ···124

(1)연혁 ···124

(2)주요내용 ···125

제제제444절절절 연연연안안안습습습지지지의의의 관관관리리리․․․개개개발발발에에에 관관관련련련된된된 법법법률률률 ···128

1.연안관리법 ···128

(1)연혁 ···128

(2)주요내용 ···129

2.공유수면관리법 ···135

(1)연혁 ···135

(2)주요내용 ···135

3.공유수면매립법 ···139

(1)연혁 ···139

(2)주요내용 ···140

4.환경․교통․재해등에관한영향평가법 ···145

(1)연혁 ···145

(2)주요내용 ···146

제 제 제6 6 6장 장 장 연 연 연안 안 안습 습 습지 지 지보 보 보전 전 전을 을 을 위 위 위한 한 한 입 입 입법 법 법론 론 론적 적 적 과 과 과제 제 제

···151

제제제111절절절 개개개설설설 ···151

제제제222절절절 습습습지지지보보보전전전법법법과과과 다다다른른른 보보보전전전관관관련련련법법법과과과의의의 비비비교교교 ···152

1.개설 ···152

2.지정보호구역의 종류 ···152

3.환경보전의 책무와 보호구역지정의 주체 ···154

(7)

4.보호구역의 지정기준 ···156

5.행위규제와 예외 ···159

(1)매립․간척 ···159

(2)그 밖의 행위제한과 예외 ···159

6.위반에 대한 제제 ···161

7.손실보상 ···163

8.민간환경단체의 육성 ···164

제제제333절절절 습습습지지지보보보전전전법법법의의의 문문문제제제점점점과과과 개개개선선선방방방안안안 ···165

1.습지의 분류 ···165

(1)문제점 ···165

(2)개선방안 ···168

2.습지보호지역의 지정의 주체와 책무 ···169

(1)문제점 ···169

(2)개선방안 ···171

3.지정 및 해제의 절차 ···173

(1)문제점 ···173

(2)개선방안 ···175

4.지정 및 해제의 절차 ···177

(1)문제점 ···177

(2)개선방안 ···180

5.행위제한과 예외 ···181

(1)문제점 ···181

(2)개선방안 ···183

6.국가의 지원 및 보상 ···184

(1)문제점 ···184

(2)개선방안 ···186

7.보전의 기본원칙 ···187

(1)문제점 ···187

(2)개선방안 ···188

제제제444절절절 환환환경경경소소소송송송의의의 확확확대대대 ···188

(8)

1.환경소송유형 확대 ···188

(1)예방적 부작위소송의 인정 ···188

(2)의무이행소송의 인정 ···189

2.시민소송의 도입 ···190

제 제 제7 7 7장 장 장 결 결 결 론 론 론

···194

참 참 참고 고 고문 문 문헌 헌 헌

···199

(9)

A A Ab b bs s st t tr r ra a ac c ct t t A

A A S S St t tu u ud d dy y yo o on n nL L Le e eg g gi i is s sl l la a at t ti i io o on n no o of f ft t th h he e eC C Co o oa a as s st t ta a al l lW W We e et t tl l la a an n nd d ds s sC C Co o on n ns s se e er r rv v va a at t ti i io o on n n

KKKooonnnggg,,,KKKyyyuuunnnggg JJJaaa

DDDeeepppaaarrrtttmmmeeennntttooofffMMMaaarrriiitttiiimmmeeeLLLaaawww TTThhheeeGGGrrraaaddduuuaaattteeeSSSccchhhoooooolllooofff KKKooorrreeeaaaMMMaaarrriiitttiiimmmeeeUUUnnniiivvveeerrrsssiiitttyyyBBBuuusssaaannn,,,KKKooorrreeeaaa

TheKoreapeninsulaissurroundedonthreesidesbydistinctivelybeautifulseas andpossessesanumberoftidalflatswhichisoneoftheveryimportantcostal wetlandsintheworld

The value oftidalflats which is a kind ofwetlands go beyond beautiful scenery.They are the treasure troves ofmarine ecology.Notonly are they temporary and permanenthomes to many water-birds buttidalflats are also breeding groundsaswellashabitatsfor60% ofmarineanimals.Thelivelihoodof many fishermen dependsdirectly and indirectly on thetidalflats.Thepurification function ofthe tidalflats plays a major role in maintaining a healthy marine ecosystem.Andtheycleanthewaterbyremovingpollutionbeforeitgetstothesea.

If we destroy the tidal flats it will lead to devastating degradation of the environment.There are many other notable benefits oftidalflats,such as the reductionoffoodandtyphoondamages,preventionofsoilerosion,andthegrowing recreationandtouristindustries.

Thewetlandshavebeenoftenregardedaswastelandwithlittleornovalue.Since the 1970s,industrialplants and farming lands were created through enormous reclamation projects.Around 40% ofthe totaltidalflats were destroyed and lost forever.Thecauseforreclamationandlandfillisinasenseunderstandablebutbehind thatthinking liesthenotion thatwetlandsareofnouse.Tidalflatsareindeed a precious partofour land and to ignore thatfactwould be a serious mistake.

Fortunately,publicawarenessoftheimportanceoftidalflatsisgradually growing.

(10)

Many civicand environmentalgroupsareworking topreserveourwetlands.Such activitiesledtotheenactmentoftheWetlandsPreservationActinFebruary,1999.

According to this actthe Ministry ofmarine Affairs and Fisheries(MOMAF)is exertingeffortstosystematicallypreserveandmanagetidalflats.

The Wetlands Preservation Act was legislated to effectively preserve and manage tidalflats and pursue internationalcoop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RamsarConvention.The majorcontents ofthe Actare listed below.The Act encompassesterrestrialwetland aswellastidalflatsbutthisreportfocuseson tidalflatsonly.First,theMinisterofMaritimeAffairsandFisheriesconductsa monitoringandresearchprogram every5yearstobetterunderstandthestatusof tidalflats.Based on the results the Ministry willestablish a basic plan to preservethetidalflats.Second,theMOMAF willdesignatetidalflatsthathave abundantbiodeversity,provide temporary orpermanenthabitats forendangered wildlife species,orare worth preserving forenvironmentalneeds as Wetlands PreservationAreas.ThesurroundingoftheseareaswillbesetasideasSpecially Managed WetlandsSurrounding Area.TheMOMAF willsetup a conservation plan to effectively manage the specific areas.Third,it is illegalto license landfills,permitdigging up construction materialslikesiltorand,constructor extend building,arbitrarily alterwaterlevels,orhuntand collectanimalsand plants. However, long-term local residents of tidal flats may continue to cultivate,collect,orcatch animalsand plantsin theregion.Fourth,thosewho wish to conducta reclamation projectand/or engage in a projectthatmay impair the tidalflatmustreceive permission from the Minister of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Fifth,the governmenthas the "obligation to save and preserve the tidalflats by allmeans." Even in the case where damage is unavoidable,asubstantialareaoftidalflatsmustbepreserved.

Butforthemorepreserveourwetlands,theWetlandsPreservation Actmust beamended in somerespects.First,theMinistry willdesignatetidalflatsthat satisfied the condition §8 of the Wetlands Preservation Act as Wetlands Preservation Areas.In 1998,the Republic ofKorea has about2,393㎢ oftidal

(11)

flats.ButtheWetlandsPreservation Areasdesignated about140.728㎢ which is nothing but5.88% oftheareaoftotaltidalflatsnow in 2004.According tothe value of tidal flats, the Ministry should designate tidal flats as Wetlands PreservationAreasimmediately.Seconds,Establishaplan,acaseofdesignateor cancellationoftheWetlandsPreservationAreas,theMinistryshouldcollectpublic opinionsaccording tothecondition §8oftheWetlandsPreservation Act.Butin thisproceduresofcollectingpublicopinions,anextentofparticipation'speopleis limited.Accordingto§8ofthat,thepeoplerangeofthecollectingpublicopinions is only localresidents.Thislimited participation's peoplewillbelead to some wrong decision.Sotherangeofparticipationspeopleincaseofcollecting public opinions mustextend to residents and interested parties as an environmental groups.AndtheMinistrywillthenestablishadetailedpreservationplantosetup tidalflatpreservationfacilities,todevelopandsupportincome-increasingprojects forlocalresidents,andtospecify sustainableuse.Third,somewetlandswillbe registeredon theRamsarlistformorethorough andextensiveconservation and management.Fourth,TheMOMAF willdevelopenvironmenteducation programs to facilitateeco-tourism industry in tidalflatregions.In addition,the Ministry willactively supportculturalprogramsthatheighten regionalpridein wetlands.

First of all,educationalprograms willbe designed to target localresidents, students,and the generalpublic.In addition,specialguides willbe trained to teach aboutthe environmentto students ateco-camps and eco-schools.The centralgovernment willsupport various culturalevents carried out by local governments,including traditionaltidalflatfishing events,sports events,food festivals,fitnesscenters,andmudspas.Meanwhilethelocalresidentsmusttake theinitiativetodevelopandpromotelocaltourism productsthatgivetouristsa chancetohavehands-on experienceofmarineenvironmentsandthelifestyleof fishing communities.By building pleasantrecreation spotsandrelating getaways attheseregions,thepublicawarenessoftidalflatswillrise,ultimatelyleadingto enhancedqualityoflifeforall.

The tidal flats are an invaluable natural resource with various cultural,

(12)

environmental,and economicvaluesand function.Nonetheless,forthepastfew decades,tidalflatshavebeendisappearingfrom ourecosystem underthepretext ofdevelopment.Duetoexcessivereclamationandlandfillstocreateindustrialor agriculturalland,we failed to fully appreciate the precious value oftidalflats.

However,theenactmentoftheWetlandsPreservation Actwasaturning point, which opened theway foreffectivepreservation and managementoftidalflats.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 must work together to conserve our valuable wetlands.However,effortsonthepartofthecentralgovernmentarenotenough.

Withoutthesupportand cooperation oflocalresidentsand thegeneralpublicit would bedifficulttoachievetheenvisioned futureforourtidalflats.Voluntary effortstostoptheirreversibledamagetoourtidalflatsaredesperatelyneededto endow theremainingtidalflatstofuturegenerations.

*Keywords:tidalflat, coastalwetlands,

wetlandspreservation,environment

(13)

제 제1 1 1장 장 장 서 서 서 론 론 론

제 제 제1 1 1절 절 절 연 연 연구 구 구의 의 의 목 목 목적 적 적

지구상에는 인간의 무지로 인해 미처 그 가치가 발견되지 못한 자연자원이 많을 것이며,그 자원의 가치가 발견되어 재평가되기까지 그 자원은 인간의 무지 때문에 계속 무분별하게 개발될 것이다.습지의 경우에도 그 가치가 알려지기 전까지 사람 들은 쓸모없는 버려진 땅으로 치부하여 아무런 제재도 없이 개발하여 왔으며,오히 려 개발을 자랑스럽게 생각하였다.이러한 습지가 해충이 끓는 쓸모없는 땅에서 인 간에게 막대한 이익을 주는 생태적 보고로 인식이 바뀌기 시작한 지는 불과 얼마 멀 지 않은 1960년대로,그 이전까지 인간은 습지가 자연적인 정화조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자연재해와 기후를 조절하고 연안생태계를 지탱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진 줄은 몰랐다.

우리의 경우에도 서해안 갯벌이 전 세계에 내놓고 자랑할 수 있는 희귀한 자연자 원이며,캐나다와 미국의 동부해안,1)북해 연안2)및 아마존강 유역3)과 더불어 세계 5대 갯벌중의 하나에 속하며,4)국제철새이동경로의 핵심서식지5)이기 때문에 세계적 인 주목을 받는 곳임을 아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그리고 내륙과 해안의 생태계를 이어주는 교량적 기능과 완충적 기능을 하는 해안사구가 각종 조류․곤

1)뉴펀들랜드해안의 갯벌은 세계적으로 가장 조차가 큰 갯벌이다.만의 가장 안쪽으로 약 40㎞에 걸쳐 갯벌이 발달해 있다.그 폭은 약 10㎢에 이른다.미국 동부의 조지아주 해안에도 갯벌이 발달해 있으나 우리나라와는 다르게 모래로 이루어진 소호이다(이하 세계 갯벌의 특징은 고철 환,“세계의 갯벌과 한국의 갯벌”,「한국의 갯벌」,서울대학교 출판부,2001,7-8면 참조).

2)네덜란드․독일․덴마크 해안에 갯벌이 발달되어 있다.우리나라와는 다르게 외해에 직접 맞닿 아 있는 갯벌로서 모래가 많다.갯벌의 바깥쪽은 모래성이 둘러싸고 있다.갯벌의 총넓이는 약 9천㎢이다.이중에서 독일은 2/3의 갯벌을 갖고 있다.

3)삼각주 형태로 발달되어 있으므로 우리나라 갯벌과는 성격이 다르다.모래가 대부분이고 지형 이 계절에 따라 변한다.

4)최영국․김연정,「갯벌자원의 효율적 관리전략 수립연구」,국토연구원,1999,21면.

5)특히 러시아와 알래스카에서 호주와 뉴질랜드까지 이동하는 도요․물떼새류는 50여만 마리나 우리나라 갯벌을 거쳐 간다.우리나라 갯벌 29곳 중 물새 2만 마리 이상 상시 서식하거나 특정 철새가 전 세계 개체수의 1% 이상 서식하는 등 람사협약 기준을 충족시키는 곳은 17곳에 달한 다.습지보전연대회의가 1998년 봄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이 가운데 대부분인 13~14곳이 대규 모 훼손위기에 직면하고 있다고 한다(한국일보,2000.7.21)

(14)

충․식물 등의 서식처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해수욕장의 모래공급과 해일과 해풍 으로부터 농지와 가옥을 보호하고 해안가의 식수원인 지하수의 저장기능을 하는 등 해안생태계와 해안주민에게 아주 유익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아는 사람도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하구와 석호 또한 담수와 해수가 혼합되는 전이수역에서 형성되는 대 표적인 연안환경으로,하구는 지구생태계 중 가장 생태적인 가치가 높은 환경 중의 하나로 생태적 가치와 더불어 자연재해의 방지나 공간이용의 측면에서도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보다 갯벌을 비롯한 습지의 가치를 일찍 알아차린 선진국들은 자국의 자연 상 황에 맞는 보전법과 행정체계를 만들어 연안 자연환경을 지키려는 노력을 하고 있 다.예를 들어 독일의 경우 남북한의 갯벌을 합한 면적인 5,400㎢의 갯벌을 보유하고 있는데,이러한 광대한 갯벌을 보전하기 위하여 모든 갯벌을 국립공원화하여 관리하 고 있다.일찍이 독일은 갯벌의 경관을 미국의 그랜드캐년과 비교하여 그 경관가치 를 높이 평가했을 뿐 아니라,갯벌을 보전해야만 날로 심각해지는 연안오염을 막을 수 있다고 판단했다.6)미국의 경우에는 연안의 개발로 인한 습지의 상실로 인해 사 회경제적 손실을 경험한 이후 1988년부터 행해진 ‘NoNetLossofWetlands’의 정 책을 도입하여 한 치의 습지도 잃지 않겠다는 각오로 습지를 관리하고 있다.7)

그러나 우리의 경우는 위에서 말한 선진국의 정책과는 달리 상황이 전개되고 있 다.대규모 간척이 국토확장과 식량증산이라는 국책의 목표 아래 국가의 중요정책사 업으로 지정되어 아무런 제재 없이 진행되어 왔다.대표적인 간척사업지역으로는 시 화지구,서산A․B지구,영산강지구,영종도 신공항․대부도․제부도부근간척지구 등 인데 이들은 이미 간척으로 인하여 매립이 완료된 곳이다.1990년대로 들어와 간척 사업은 더욱 대규모화하였는데,지금도 진행되고 있는 새만금간척사업8)의 경우에는

6)고철환,“독일의 갯벌 국립공원화 전략”,「한국의 갯벌」,서울대학교 출판부,2001,1013면.

7) Mark S.Dennison and James F.Berry,WETLANDS: Guide to Science,Law,and Technology,NoyesPublications,New Jersey,U.S.A.,1993,pp.8-9.

8)새만금간척사업은 1991년부터 시작된 개발사업으로 전북 군산시․김제시․부안군 일대의 바다 와 갯벌 약 400㎢를 간척하는 사업이다.이 면적은 여의도의 140배 규모(토지조성 283㎢,담수 호 118㎢)로서 갯벌면적만 약 208㎢에 달한다.이 사업은 국토확장,산업용지 및 농지조성,치 수 등의 목적으로 당시 농림수산부에서 구 농촌근대화촉진법 제92조,제93조 및 제96조와 공유 수면매립법 제4조의 규정에 따라 계획된 대규모 간척사업이다.현재 새만금 사업의 총괄기획과 매립면허는 농림부에서 맡고 있고 설계․공사․감리 등의 업무는 농어촌진흥공사에서,지역개 발과 보상업무는 전라북도에서 담당하고 있다.

법원이 2005.1.17.새만금 간척 사업을 재검토하라는 조정권고안을 내놓으면서 일본의 이사하 야(諫早)만 하구 간척사업 공사를 예로 들어 눈길을 끌고 있다.서울 행정법원은 이날 조정권

(15)

간척갯벌의 면적이 전북지역 갯벌 총면적의 64.7%에 달한다.

이러한 연안습지의 사라짐은 무엇보다도 환경파괴의 심각한 폐해와 연결되며,해 양생물 서식지의 직접적인 상실을 초래한다.9)연안습지가 매립되면 여기에 서식하는 수많은 생물들이 살 곳을 잃게 되므로 연안습지 생태계는 일시에 와해되고 만다.연 안습지가 사라지면 그곳에서 생산되었던 수산물을 채취할 수 없게 되고,10)두 번 다

고문에서 “일본의 이사하야만 간척사업도 공사가 94% 정도 완성된 상태에서 공사 중지가 되어 있음을 볼 때 새만금사업에 대한 재검토는 결코 시기적으로 때를 놓쳤다고 볼 수 없다”고 지적 했다.법원은 또 “농지조성 등을 목적으로 86년 착공된 일본의 이사하야만 간척사업은 새만금 사업의 초기모델”이라고 소개했다.

일본 규슈(九州)나가사키(長崎)현 아리아케(有明)해 이사하야만 간척사업이나 새만금 사업은 둘 다 갯벌 매립을 통한 농지조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는 점과 진행 과정에서 소송이 제기됐 다는 점이 똑같다.물론 규모나 진행 정도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이사하야 간척사업의 전 체 매립규모는 3천500㏊(간척지 면적 861㏊)가량이며 총사업비는 2천469억엔(한화 2조5천억원 가량)이고,공정률은 93.6%다.90년대말 방조제 공사를 끝냈고,현재는 내부간척공사 중이다.

전국적으로 불필요한 공공사업이라는 비판이 제기된 데다 특히 2000년 겨울과 2001년 사이에 아리아케해에서 일어난 양식 김 흉작이 문제됐다.

반면 새만금 사업 매립 규모는 4만100ha(간척지 면적 2만8천㏊)의 세계 최대 규모이며 아직 방 조제 공사조차 끝나지 않았다.총 공사비는 수질 개선비용을 합치면 4조원가량으로 추산되며 공정률은 92%다.이사하야만 간척사업은 후쿠오카(福岡),구마모토(熊本),사가(佐賀)현 등 인근 어민들이 해류변화 등으로 인해 어업 피해를 봤다며 2002년 11월 소송을 제기했다.사가 지방 법원은 지난해 8월26일 “1심판결 선고시까지 공사 중지”결정을 내린 데 이어 지난 12일에는 농수성의 이의신청을 각하했다.1심 판결은 예정돼있지 않다.일본에서도 진행 중인 국가의 거 대 프로젝트를 사법부가 금지하는 판단을 내리기는 처음이었다.

새만금 소송은 어민과 환경단체들이 2001년 8월 새만금 간척사업 매립허가처분 등의 무효확인 소송을 냈다.법원은 2003년 7월 일본에 앞서 공사 중지 결정을 내렸지만 지난해 1월 항고심에 서 공사재개 결정을 내렸다.한국 법원이 17일 조정권고안을 낸 데 이어 원고나 피고측에서 이 를 수용하지 않을 경우 내달 4일 1심 판결을 내릴 예정이다.처음에는 “새만금사업의 초기모 델”이었지만 지금은 “일본판 새만금”으로 불리는 이사하야만 간척사업은 적어도 법원 판결에서 는 한국보다 늦게 진행되는 셈이다.하지만 농림부는 “일본에서는 방조제 내부는 소멸 보상을 했고,외부는 제한 보상을 했지만,우리나라는 내부뿐만 아니라 외부 10㎞까지 소멸보상을 한 만큼 직접 비교는 불가능하다”고 두 사업의 비교를 꺼리고 있다(연합뉴스,2005.1.17.).

9)우리나라 서해안은 한강․임진강․금강 등 강이 유입되는 주요한 하구 생태계를 이루고 있다.

또한 이곳에는 다양한 생물들이 서식하고 있어 많은 조류들에게 중요한 습지를 제공하고 있다.

서해안 일대는 넓은 퇴적층이 형성되어 오래 전부터 농경지로 이용되거나 염전이 발달하였다.

이러한 농경지와 염전은 다양한 조류에게 먹이와 휴식처를 제공해 왔다.이와 같은 여러 요인 들이 복합되어 서해안은 세계적인 철새도래지가 되었다.그러나 현재 서해안 습지의 대부분은 간척으로 인해 임해공단․신도시가 조성되거나 항만시설과 농지 등으로 전환되고 있어 많은 수 조류들이 위협받고 있다.

10)예를 들어 영산강의 하구언 사업으로 인해 유속이 감소하고 동시에 조수량과 영양염류의 유입 이 줄어들었으며,부정기적인 담수의 방류로 인해 부근 해수의 염도가 불안정하게 되고 수온 변화가 심하여 이 지역의 김 생산량이 52%나 감소하였다고 한다.또 간척사업기간중 공사로 인한 탁도의 증가와 조류소통의 불량,영양염류의 감소,수온변화 등으로 인해 시화지구 간척 사업의 경우 공사 직후인 1987-1988년에 김의 생산이 73%나 감소하였다고 한다.그리고 간척

(16)

시 동일한 모습의 생태계를 볼 수 없게 된다.또한 연안습지는 바다와 육지의 완충 지대로서 육지로부터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여과하고 분해하는 일종의 정화조 역할을 하는데,11)이들이 없어지면 오염을 유발하는 물질들이 정화되지 않고 바다로 바로 유입되어 인근 해역의 부영양화를 비롯한 오염을 가속화시킨다.

이제 연안습지의 보전은 그 특징상 어떤 지역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전지역적인 규모의 근본적인 해결책을 필요로 하는 국민과 인류 전체의 생존에 관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우리나라의 경우 습지보전법의 제정 전부터 적극적 환경보전의 필요성, 환경가치에 대한 재인식 등을 배경으로 하여 우리나라는 현행헌법 제35조에 환경권 을 명문화하고 있고,이를 근간으로 1990년 환경정책기본법과 더불어 여러 가지의 환경법규를 제정․정비하여 왔다.1999년에는 습지보전의 국제적인 추세와 람사협약 의 국내적 수용을 위한 습지보전법을 제정하여 늦게나마 습지보전에 힘쓰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습지보전을 위한 단일법의 제정에도 불구하고 연안습지는 계속 훼손 되고 있으며,이러한 훼손은 기존의 습지보전법만으로는 결코 해결될 수 없다는 결 론에 도달하게 된다.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서는 현재 구체적 권리로 인정되 지 않고 있는 환경권을 구체적 권리로서 보장받음으로써 환경권의 실현을 통한 습지 보전을 위해 취해야 할 방안과 함께 습지보전법과 습지관련 보전법의 새로운 관계설 정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습지보전법을 그 밖의 연안습지보전 관련법과 비교하면서 분 석․검토하고 그것의 습지보전능력의 한계 내지 문제점을 지적하면서,연안습지 생 태계의 효율적인 보전과 환경권의 실현을 위한 입법론 내지 기존 실정법의 정비․보 충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공사로 조류의 흐름이 느려져 갯벌이 썩게 되고,이 썩은 갯벌을 먹고 자란 숭어류는 푸른빛 을 잃고 흰빛을 띠면서 상품의 가치를 잃어버렸다.방조제의 물막이공사가 종료되면서 낙지는 1년도 되지 아니하여 사라지고,보리새우는 2년을 넘기지 못하고 사라져 버렸다고 한다.기수 성 어종 가운데 숭어보다 염분농도에 민감한 농어는 서식지를 더 일찍 상실해 버렸다.

새만금간척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전북지역의 경우,주요 어패류의 계통 판매량이 최근 수년간 현저히 감소하고 있는데,예를 들면,1989년의 5,899톤에 비해 1996년에는 978.4톤으로 약 84.5%가 감소했다.바지락은 1000톤이었던 것이 60-70톤으로 감소했고,백합류와 가무락은 계 통판매에서 자취를 감추었으며,갯벌에 서식하지 않는 피조개를 제외하고는 전체적으로 판매 량이 급감하였음을 볼 수 있다(유동운,“간척과 어장생태계의 변화”,「한국의 갯벌」,서울대학 교 출판부,758-777면 참조).

11)예를 들면,갯벌이 갖는 정화능력은 갯벌 10㎢당 25.3㎢의 면적을 가진 인구 10만 명 정도의 도 시가 배출하는 오염물질을 정화할 수 있는 하수종말처리시설에 상당한다고 한다(이흥동,“갯벌 보전과 농업생산의 가치에 대한 비교 연구”,OceanResearch20(2)Special:1998,149면).

(17)

제 제 제2 2 2절 절 절 연 연 연구 구 구의 의 의 범 범 범위 위 위와 와 와 방 방 방법 법 법

이 논문의 목적은 연안습지보전법제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즉 모든 국민은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권리를 가지며,국가와 국민은 환경보전을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는 헌법 제35조의 정신에 기초하여,지구 자원 중에서도 희귀자원인 동시에 연안의 자연 정화조와 같은 역할로 하여 우리의 먹거리와 건강을 지켜주는 연안갯벌을 인위적인 파괴로부터 지켜 그 혜택이 미래세 대에게 돌아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보전방법을 법학적 측면에서 접근하여 찾고자 함에 있다.

본 연구의 고찰대상은 습지 중 연안습지만으로 한정한다.연구의 범위를 습지 중 에서도 연안습지로 한정한 이유는 세계적으로 연안습지의 생산성과 생태적 가치는 내륙습지보다 훨씬 높이 평가되고 있으며,12)우리나라 습지는 면적의 크기로 보아 내륙습지 1%,연안습지 99% 정도로 연안습지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기 때문이다.13) 또한 서해안 갯벌은 세계적으로 그 생산성이나 생태적 측면에서 세계희귀갯벌에 속 하는데도 불구하고 계속 훼손되고 있는 현실을 직시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또한 이 논문은 연안습지보전에 관한 법제도의 측면을 다루고자 한다.연안습지의 효율적 보전을 위해서는 그 보전에 관한 과학․기술 및 관리기법의 개발도 중요하지 만,이 논문에서는 습지보전의 법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따라서 연안습지보전을 직접적으로 규율하고 있는 습지보전법은 이 논문의 주된 고찰대상이 된다.그렇지만 연안습지보전과 직접 또는 간접으로 관련된 법률은 무수히 많다.이 논문은 그 가운 데에서 연안습지보전에 보다 직접적으로 관계되고 연안습지보전의 기능을 할 수 있 다고 판단되는 법률,예컨대 환경정책기본법․자연환경보전법․자연공원법과 야생 동․식물보호법 및 독도등도서지역의생태계보전에관한특별법도 이 논문의 연구목적 에 따라 연안습지의 보전과 관련된 범위 안에서 검토한다.나아가 연안습지의 보전 은 넓은 의미에서 연안습지의 관리의 범주에 속하는 반면에 연안습지의 개발 내지 훼손과는 대척관계에 있기 때문에,그리고 연안습지의 관리 및 개발 내지 훼손과 포

12)조진상,“공유수면매립 관련법 및 갯벌보전 정책수단”,「한국의 갯벌」,서울대학교 출판부,991면.

13)고철환,“간척에서 보전으로의 전환”,「한국의 갯벌」,서울대학교 출판부,2001,1056면.

(18)

괄적 관련이 있는 연안관리법과 공유수면관리법 및 공유수면매립법도 이 논문의 연 구목적 달성에 필요한 범위 안에서 고찰하기로 하고,그 밖에 연안습지를 극히 지엽 적․부분적으로 훼손하거나 이용․정비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법률 들은 이 논문 의 고찰대상에서 제외하고자 한다.

이 논문의 주제는 연안습지보전에 관한 입법론이기 때문에,먼저 연안습지보전의 현실적 필요성과 그 당위성을 제시하고자 한다.우리나라의 연안습지 훼손원인의 대 부분은 대규모의 간척이나 매립에 있기 때문에,우리나라의 연안습지의 개발실태를 개관하고 그 개발논리를 비판함과 아울러 연안습지 개발에 따른 폐해를 적시함으로 써,연안습지보전의 현실적 필요성을 제시한다.그러한 현실적 필요성의 바탕 위에서 연안습지 보전의 법리적 기초로서 자연환경보전에 관한 법이론,즉 환경공유론과 공 공신탁이론 및 환경권의 법리를 고찰함으써 연안습지보전의 당위성과 기본목표 내지 방향을 설정하게 된다.그 다음에는 연안습지보전에 관한 국제협약,특히 이른바 람 사협약과 외국의 연안습지보전법제를 살펴봄으로써 연안습지보전과 관련하여 나타나 는 국제적 동향으로부터 우리나라가 준수해야 할 사항 내지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시사적 방향을 제시한다.그 다음에 이 논문의 주된 연구대상인 우리나라의 연안습 지보전 관련법제의 내용을 살펴보게 된다.그런데 실질적으로 연안습지의 보전이 가 능하도록 하는 환경입법에는 습지보전법을 비롯하여 관련법들이 있으나,직접적인 보전의 방법을 제시해 놓은 법은 습지보전법이기 때문에,여기서의 고찰은 습지보전 법을 중심으로 하게 된다.그러나 습지보전법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갯벌의 간척과 매립이 계속 진행되고 있는 실정 속에서,습지보전법이 현재의 간척과 매립으로부터 연안습지를 지켜내지 못한다면 그 문제점을 찾아내어 해결방안을 찾아서 실질적인 보전이 되도록 하는 것이 습지보전법의 입법목적에 합당할 것이다.따라서 이러한 해결방안을 강구하기 위해서 습지보전법과 습지보전관련 법들을 상호 비교하는 것이 필요하다.그러한 비교분석을 통하여 습지보전법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그것을 해결 하기 위한 바람직한 입법론적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이러한 개선방안을 제시 함에 있어서는 환경권의 구체적 실현을 위하여 환경입법 분야 전반에 걸쳐서 개선되 어야 할 사항도 고려하며,아울러 국제법이나 선진외국의 모범적 연안습지보전 입법 정책도 함께 고려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의 각종 단행본 및 논문,보고서 등을 통한 문헌조사방법을 비 교 분석하여 진행하였고,14)관련된 국제협약과 외국의 법․제도 및 사례는 인터넷을

(19)

통하여 관련 자료를 다운로드 하거나,기존 발행된 관련 외국 서적 또는 국내서적을 통하여 필요 자료를 입수하여 수행하였다.

제 제 제3 3 3절 절 절 논 논 논문 문 문의 의 의 구 구 구성 성 성

본 논문의 목적을 추구하기 위하여 모두 7개의 장으로 본 논문을 구성하였다.

제1장 서론에 이어서 제2장에서는 연안습지의 개념과 종류 및 그 훼손실태,그리 고 개발에 대한 문제점과 보전의 필요성과 당위성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이를 위한 첫 단계로서,연안습지 훼손의 가장 큰 원인인 간척의 허와 실을 기존의 자료를 취 합하여 분석함으로써 그로 인한 연안의 환경과 연안습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일반 적인 사항을 고찰한다.

제3장에서는 연안습지보전의 법리적 기초로서 먼저 고전적 이론인 환경공유론과 더불어 특히 미국에서 광범하게 입법화․통용되고 공공신탁이론을 고찰한다.그리고 우리나라처럼 헌법에 명문으로 규정하고 있거나 그렇지 못한 나라에서는 환경보전의 궁극적 이념 내지 목표로 이해되고 있는 환경권의 법리를 고찰한다.여기서 특히 공 공신탁이론을 비교적 상세히 다룬 것은,그 이론이 갯벌과 같이 한 번 훼손되면 재 생이 불가능하고 인간이 그 대체물을 만들 수 없는 귀중한 자연자원이며 만인에게 보편적인 자연자원 중 어떤 것은 공동체의 존속에 필수 불가결한 것이므로 반드시 보호되어야만 한다는 위기상황 하에서 환경보호를 위해 1970년대에 등장한 미국의

14)연안습지와 보전에 대한 정책방향의 설정이나 실질적인 관리방안 등에 대하여 정책입안자나 관리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내용이 집약된 단행본의 연구결과로서는 박태윤․이동근 의 「연안습지의 보전 및 효율적인 이용방안에 관한 연구」(1997)와 고철환의 「한국의 갯벌」

(2001)등이 있다.특히 「한국의 갯벌」속에는 한국 갯벌의 보전을 위한 정책을 위한 연구로 전재경,“갯벌보전의 법리”;조진상,“공유수면매립 관련법 및 갯벌보전 정책수단”;이지현,

“우리의 갯벌정책과 그 문제점”;김수일,“한국 갯벌의 생태공원화 가능성”;이지현,“갯벌보전 을 위한 제도 개선”;고철환,“간척에서 보전으로의 전환”;고철환,“독일의 갯벌 국립공원화 전략” 등이 있다.이 외에 단편적인 연구논문으로는 고철환의 “해양생태계 보전과 갯벌관 리”(1998)와 안동만 외 3인의 “갯벌의 보전과 현명한 이용을 위한 입법 방안에 관한 고 찰”(1998)및 홍재상의 “해양습지(갯벌)생태계의 이해와 환경영향평가”(1999)등이 있다.그리 고 연안습지에 대한 직접적인 연구는 아닐지라도 연안습지의 환경 및 보전과 관련된 연구로 는 이상돈의 “연안역의 환경관리법제에 관한 고찰”(1987)과 “환경보호법리로서의 공공신탁이 론과 해안 및 강안지역의 환경법적 문제에 관한 소고”(1983)등이 있다.이처럼 정책이나 관 리적 측면에서 적용이 가능한 형태의 연구 결과는 많다고는 할 수는 없지만 소량이나마 제시 되고 있으나,직접 습지보전관련법을 연구한 것은 별로 없다.

(20)

법 이론으로,오랜 시간을 거치면서 수많은 환경문제를 해결하는데 큰 공헌을 하였 고,따라서 연안습지의 훼손에 대한 현실적인 심각성과 습지자원의 보호 필요성에 대한 시급성에 비추어 볼 때,공공신탁이론의 도입을 습지보전의 현실적인 대안 중 의 하나로 인식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으리라는 생각 때문이다.그러나 우리나라의 현행헌법은 환경권을 명문으로 규정하고 있기에 연안습지보전의 입법론적 과제는 현 행헌법상의 환경권의 법리로부터 도출할 것이다.

제4장에서는 연안습지보전을 위한 국제적 동향을 살펴본다.이는 연안습지보전과 관련된 국제협약 및 미국과 독일 등 주요 선진국의 연안습지보전법제를 고찰함으로 써 외국의 선진습지보전정책의 우리나라에의 적용가능성을 가늠해보기 위함이다.특 히 독일의 경우는 갯벌지역이 국립공원뿐만 아니라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과 람사 습지로 지정․관리되고 있어서 세계에서 갯벌보전을 가장 잘하고 있다고 평가되고 있으므로 우리나라의 습지보전법제의 발전방향에 시사하는 바가 클 것이다.

제5장에서는 습지보전과 관련된 우리나라의 법률들을 분석해봄으로써 우리나라 습 지보전 관련 법률과 정책의 현실적인 문제점을 도출해내는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우리나라의 습지보전법제의 체계적 분석을 위해 먼저 환경정책기본법 등을 통해 연 안습지보전의 기본원칙을 고찰한 후,습지보전법․자연환경보전법 등 직접적으로 습 지보전과 관련된 법률들과 연안관리법․공유수면관리법 등 습지의 관리․개발을 위 주로 하면서 간접적으로 습지보전과 관련된 법률들을 분리해서 고찰한다.

제6장에서는 이상에서 연구한 내용을 근간으로 하여 연안습지보전을 위한 입법론 적 과제를 제시한다.습지보전법과 습지관련 법률들의 문제점을 비교․분석하여 연 안습지보전의 저해요인들을 찾아내어 습지보전법이 연안습지의 실질적인 보전의 역 할을 할 수 있도록 그 개선방안을 제시한다.그리고 헌법상 환경권의 구체적 실현이 라는 목표가 연안습지보전과 관련해서도 달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일반적인 환경 관련법제의 개선방안도 함께 제시된다.

마지막으로 결론부분인 제7장에서는 지금까지 고찰한 내용들을 요약해보고,이들 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방안들의 현실적 적용가능성을 가늠해 본다.

(21)

제 제2 2 2장 장 장 연 연 연안 안 안습 습 습지 지 지 보 보 보전 전 전의 의 의 필 필 필요 요 요성 성 성

제 제 제1 1 1절 절 절 서 서 서 설 설 설

국민소득이 낮은 개발도상국들은 환경보호를 위한 투자에 관심을 가질 경제적 여유 와 적절한 기술을 보유하고 있지 못하며,선진국을 뒤쫓기 위한 개발경쟁에서 환경에 대한 관심을 의도적으로 회피하는 경향이 있다.우리의 경우에도 1960년대와 1970년 대를 거치면서 개발우선 정책 앞에 환경오염에 대한 문제점의 제기가 오히려 죄악시 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15)연안습지의 경우에도 국토확장이라는 미명하에 무분별하게 매립해 왔으며,그 당시 어떤 누구도 여기에 대한 우려는 하지 않았으며,오히려 해안 선의 일직선화라는 매립기술에 대다수의 국민들은 격려의 박수를 보내었다.

그러나 1980년대 말로 들어서면서 공업화와 개발로 인한 후유증으로 인한 환경오 염에 직접적인 피해를 보기시작하자16)환경에 대한 인식이 개발에서 보전으로 바뀌 기 시작하였다.환경 중에서도 특히 전 국민적인 관심이 쏠린 곳은 갯벌이었으며,갯 벌자원은 개발이 아니라 보전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그러나 정부는 갯벌을 비롯한 연안습지가 연안의 환경과 경제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자연자원임을 인식하면서도 여전히 매립을 진행시키고 있다.

다음에서는 연안습지의 가치를 개발의 논리와 함께 살펴봄으로써 보전의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15)1973년에는 부산수산대학 교수의 해양오염에 대한 논문발표가 문제가 되어 그 대학 학장이 사 표를 내는 사건이 벌어지기도 하였다.당시 환경오염에 관한 자료는 기밀로 처리되었고,환경 오염을 이야기하는 것은 곧 반정부투쟁으로 여겨졌다(정수복,“환경운동의 형성과 발전”,「환 경의 이해」,1993,283면.

16)1985년 온산공단의 온산병 사건과 1991년 두산전자의 낙동강 페놀원액 누출사건 등을 각각 1980년대와 1990년대의 대표적인 환경오염 사건으로 꼽을 수 있다.

(22)

제 제 제2 2 2절 절 절 연 연 연안 안 안습 습 습지 지 지의 의 의 개 개 개념 념 념과 과 과 종 종 종류 류 류

1 1 1. . .연 연 연안 안 안습 습 습지 지 지의 의 의 개 개 개념 념 념

습지의 정의는 이용 지역의 이익과 목적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모든 사용자들이 만족할 만한 용어를 찾아내지 못하고 있다.습지에 대한 정의는 지질학․수문학․생 물학․경제학․정치학을 하는 사람들의 관점에 따라 차이가 난다.따라서 각국에서 는 풍토에 따라 형성된 습지의 특성과 연구 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로 정의되고 있 다.17)법학적인 측면에서의 정의를 살펴보면,람사협약에서의 습지란 자연적이거나 인공적이거나,영구적이거나 일시적이거나,또는 물이 정체하고 있거나 흐르고 있거 나,담수이거나 기수이거나 염수18)이거나 관계없이 소택지․늪지대․이탄지역 또는 수역을 말하고,이에는 간조시에 수심의 6미터를 넘지 않는 해역을 포함한다.19)미국 의 청정수법(the1977CleanWaterActAmendments)제404조에서 요구하는 준설과 매립허가의 이행에 대한 미공병단(theU.S.Army CorpsofEngineers)이 사용하는 법규에서는 습지를 전형적으로 흠뻑 젖은 토양의 조건에서 생활하는 식물의 번식에 적당하도록 자주 지속적으로 지표수에 의해 흠뻑 젖는 지역으로 정의하고 있다.20) 우리나라 습지보전법에서는 습지를 담수․기수 또는 염수가 영구적 또는 일시적으로 그 표면을 덮고 있는 지역으로 정의하고 있다(제2조).

17)미국에는 51개 이상의 연방과 주 습지 정의가 존재한다고 한다(MarkS.Dennison& JamesF.

Berry,WETLANDS:GuidetoScience,Law,andTechnology,NoyesPublication,1993,p.4).

18)담수(淡水)란 소금기가 없는 물이고,염수(鹽水)란 소금기가 있는 물이고,기수(汽水)란 담수와 염수가 같이 섞여 있는 물을 말한다.

19) wetland are defined as;“areas ofmarsh,fen,peatland or water,whether naturalor artificial,permanentortemporary,withwaterthatisstaticorflowing,fresh,brackishor sale,includingareasofmarinewaterthedepthofwhichatlow tidedoesnotexceedsix meters”.1)Inaddition,theConventionprovidesthatwetlands“mayincorporateriparianand coastalzonesadjacenttothewetlands,andislandsorbodiesofmarinewaterdeeperthan sixmetersatlow tidelyingwithinthewetlands”(Article1.1).

20)The term “wetlands"means those areas thatare inundated orsaturated by surface or ground waterata frequency and duration sufficientto support,and thatundernormal circumstancesdosupport,aprevalenceofvegetationtypicallyadaptedforlifeinsaturated soilconditions(33CFR 328.3(b);1984)

(23)

습지는 툰드라지역부터 열대까지 지구상의 어디에서나 볼 수 있지만 아직까지 지 표면의 얼마만큼이 습지인지 정확히 알지 못한다.대략 700-800백만㎢로 지표면의 4-6%에 해당한다고 한다.21)

습지는 물의 원천,토탄22)의 유무,범람시기,분지(basin)유역 형태 등에 따라 다 양하게 분류되지만, 일반적으로 연안습지․내륙습지․인공습지 또는 늪(swamps, marshes,bogs)으로 구분한다.23)내륙습지란 연안이 아닌 내륙에 발달된 습지로 보 통 산악습지24)와 배후습지(늪과 호수)25)로 구별한다.우리나라는 지진․화산․습곡․

단층 활동이 적고 또 빙하에 덮였던 지역이 적어 내륙습지가 덜 발달했다.연안습지 는 육상과 해양이 만나는 경계지역에 형성된 독특한 생태계를 이루는 지역을 말하 며,이에는 갯벌․ 염습지․하구․석호․해안사구․산호초군락 등이 있다.

연안습지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연안의 개념을 이해하여야 한다. 연 안은 바다와 이에 접한 일정한 육지를 지칭한다.우리나라 연안관리법상의 연안26)

21)W.J.Mitsch,R.H.Mitsch,andR.E.Turner,"WetlandsoftheOldandNew World:ecologyand management",GLOBALWETLANDSOLD WORLD AND NEW,ELSEVIER,1994,pp.3-5.

22)토탄이란 수생식물․이끼류․습지대의 풀 등이 지표 근처에 토지거하여 생화학적으로 탄화한 것으로 이탄(泥炭)이라고 한다.토탄지(土炭地,moorland,peatland)는 토탄이 퇴적되어 있는 토지,해안습지,얕은 늪,강기슭 등의 고인물에서 수생식물․잠수식물이나 갈대․사초(莎草) 등의 유체가 분해되지 않은 상태로 두껍게 쌓인 곳이다.토탄이 되는 식물유해가 쌓인 곳은 배수가 되지 않는 산간오지나 충적지 등에 생긴 호소이며,보통깊이가 10m이상이다(파스칼 백과사전,동서문화사).

23)DennisonandBerry,op.,cit.

24)우리나라 산악습지로는 강원도 양구군 대암산의 용늪,울산시 웅촌면 정족산의 무체지늪,그리 고 최근에 발견된 지리산 조개골늪 등이 있다.한라산의 ‘오름’꼭대기에 파인 호수들도 비록 말라버렸지만 산악습지의 하나로 취급할 수 있다.

25)배후습지란 영어의 backmarsh또는 backswamp를 번역한 말로서 강과 호수의 가장자리 또 는 뒤쪽이라는 의미에서 배후라는 뜻으로 사용한 말이다.강이 흐르던 중 그 물길이 막혀 습 지로 변한 곳을 뜻한다.배후습지로는 낙동강 중류지역의 서대구 달성늪지,대평질날,유전늪 지 등이 있다.

26)우리나라의 연안은 총 길이 11,542㎞에 달하는 해안선을 따라 분포하는데,서․남해안은 리아 스식 침강해안으로 해안선이 매우 복잡하고 총 3,153여 개의 도서가 산재해 있다.연안의 범 위에 속하는 영해의 면적은 71,000㎢에 달하며 이중 수심 20m 이내의 해역은 영해면적의 30%에 달하며 3해리 이내의 해역은 영해면적의 18%에 해당한다.대륙붕의 면적은 국토의 3 배에 달하는 297,000㎢에 달하고 배타적 경제수역은 국토의 4.5배인 447,000㎢이다.또한 서해 안은 조수간만의 차가 커서 대부분의 갯벌이 분포하고 있는데,우리나라 전체 갯벌 2,393㎢

중 약 83%에 달하는 갯벌이 서해안에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 연안에는 전체 인구 중 33%가 거주하고 인구밀도는 486명/㎢로 전국평균 466/㎢를 상회하고 있으며 전국적으로 바다를 인접하고 있는 시․군․구는 78개에 달한다.연안에 분포 하는 공단은 총 312㎢(전국의 65%)를 차지하고 총 40개소의 발전소가 연안에 입지(전국 81개 소)하고 있으며,50개의 항만과 25개 도시와 22개 임해공단이 위치하고 있는데,2005년에는 전

(24)

범위를 살펴보면,연안은 “연안해역”과 “연안육역”을 포함하는 지역으로 규정하고 있 다.연안해역에 해당하는 지역은 “바닷가”와 “만조 수위선으로부터 영해의 외측까지 의 바다”로 규정하고 있고,연안육역은 “무인도서”와 “연안해역의 육지쪽 경계선으로 부터 최대 500m27)(항만․어항․산업단지에서는 1㎞)범위내의 육지 지역”에 해당하 는 지역으로 규정하고 있다.

미국은 연안관리에 관한 기본적인 연방 법률인 연안관리법(CoastalZoneManagement Act)에서 연안의 범위를 섬․갯벌․염습지․습지․바닷가를 포함하여 해안선에 근접 하여 해안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연안수역과 인근 연안육역으로 하고 있다.육지측 한계는 연안수가 직접적으로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범위까지로 규정하고 있다.28)주 정부법에서는 연안의 범위를 보다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있다.29)예를 들면,캘리포니 아주연안법(CoastalActofCalifornia)은 연안해역은 주 정부의 관할의 외측한계30)

체 인구의 40%가 거주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연안의 이용실태를 살펴보면,총 1,920㎢의 연안해역이 수산양식장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1,387㎢의 해역이 항만수역에 포함되어 있다.해 상국립공원은 총 2,640㎢에 달하며 육역을 포함하여 연안에 분포하는 자연공원은 총 4,043㎢

에 달하며,전국 180㎢에 달하는 관광지 중 약 30%에 달하는 61㎢의 해안관광지가 분포하고 있고,연안해역에 지정되어 있는 자연환경보전지역은 4,979㎢에 달하며 이중 수산자원보전지 구가 2,556㎢에 달한다.1962년 이후 준공 및 시행된 연안의 간척 매립지는 약 1,872㎢에 달하 며 전국적으로 3,274개소(총 연장 2,338㎢)에 달하는 방조제 및 일반 제방이 분포되어 있다.(해 양수산부,「연안통합관리업무편람」,1999,4면 참조).

27)500m로 설정한 이유는 생활오․폐수의 자정거리가 일반적으로 500m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해양수산부,전게서(주 26),16면 참조).

28) The term “CoastalZone” means the coastalwaters(including the lands therein and thereunder) and the adjacent shorelands(including the waters therein and thereunder), stronglyinfluencedbyeachotherandinproximitytotheshorelinesoftheseveralcoastal states,and includes islands,transitionaland intertidalares,saltmarshes,wetlands and beaches.Thezoneextends,inGreatLakeswaterstotheinternationalboundary between the U.S.and Canada,in otherares,seaward to the outerlimitofthe United States territorialsea.Thezoneextendsinlandfrom theshorlinesonlytotheextentnecessaryto controlshorelands,theusesofwhichhaveadirectandsignificantimpactonthecoastal waters,and to controlthose geographicalareas which are likely to be affected by or vulnerabletosealevelrise.Excludefrom thecoastalzonearelandstheuseofwhichis by law subjectsolely to the discretion ofor which is held in trustby the Federal Government,itsofficersoragents.TheCoastalZoneManagementAct.16U.S.C.§1453(1).

29)연안의 범위가 비록 애매하고 각 주별로 개별적으로 정의되어 있지만,연안은 분명하게 육 지․바다․대기영역(airinterface)을 포함한다(DavidLetson․DanielSuman,ManojShivlane, Pollution Prevention in the CoastalZone :An Exploratory Essay with Case Studies, CoastalManagement,AnInternationalJournalofMarineEnvironment,Resources,Law and Society,Vol.26,p.159).

30)주정부의 관할권 한계는 육지로부터 3해리까지이고,연방정부의 관할권은 3해리로부터 200해

(25)

지로,연안육역은 평균고조선으로부터 1,000야드(약 914.4m)까지로 하되,다만 중요한 강 하구(estuarine)지역에는 내륙측으로 5마일(약 8,046.72m)까지로 하고 있다.31)연 안관리법(CoastalAreaManagementAct)에서는 태평양에 접하여 있는 군 또는 군 의 일부를 지사가 연안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더 나아가서 “환경적 관 심지역(areas ofenvironmentalconcern)”32)이라는 독특한 개념을 사용하여 연안을 특별 관리하고 있다33).로드아일랜드주의 경우 해역은 약 12,000㎞이고 육지쪽으로는 60m,플로리다주는 연안 인접지역 모두를 연안에 포함시켜 관리하고 있다.호주의 경우 해역은 1㎞이고 육역은 3㎞까지 연안에 포함시켜 관리하고 있다.34)

연안의 개념이 어떤 것인지는 위에서 충분히 살펴보았으며,연안습지의 개념이 어 떠할 것인지가 대강짐작이 가는바,연안습지란 연안환경과 관련된 습지이며,육상과 해양이 만나는 경계지역에 형성된 독특한 생태계를 이루는 지역을 말하며,습지보전 법에는 연안습지를 “바다 또는 강과 접한 육지 또는 섬에 있어서의 만조시 수위선으 로부터 간조시 수위선까지의 지역”으로 정의하고 있는데,이는 간석지 즉 갯벌만을 지칭한다.여기서의 고찰대상은 습지보전법상의 연안습지의 개념인 갯벌이지만 일반 적으로 연안습지라 함은 갯벌뿐만 아니라 갯벌의 주변부 즉,염습지․사구․석호 등 을 포함하는 개념으로,35)이들 지역과 갯벌은 퇴적물의 수급과 갯벌의 생태계 조성 에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는 지역으로서 갯벌에 비해 상대적으로 퇴적물이 견고하 고 육상과 가까워 개발의 일차대상이 되어 왔다.따라서 실질적인 연안습지의 개념

리까지이다(U.S.C.§1312).

31)1yd=0.9144m,1mile=1,760yd=1609.344m.

32) 주정부의 연안자원위원회(Coastal Resources Commission)는 공청회를 거쳐서 연안습지 (coastalwetlands),강하구수역(estuarinewaters),공공적 수자원 공급지역,환경 및 천연자원 을 포함하는 취약한 또는 사적 의미가 있는 지역,공공신탁 또는 일반인의 접근권의 적용을 받는 수로․간석지 또는 가항수․모래언덕․비치․범람원 등 자연적 위험지대,그리고 중요시 설로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지역을 “환경적 관심지역”으로 지정하며,특별한 관리를 받게 된 다(N.C.Gen.Stat,§113A-113).

33)이상돈,“연안역의 환경관리법제에 관한 고찰”,「해양정책연구」제2권 2/3,1987,186-194면.

34)해양수산부,전게서(주 26),17면.

35)예를 들면,Ramsar협약에서의 습지분류를 살펴보면 습지를 연안습지․내륙습지․인공습지로 분류하고 있다.연안습지에는 바다(간조시 6미터를 넘지 않음)․해안(바위․모래․자갈)․강하 구․조간대갯벌․염습지․석호 등이 있으며,내륙습지에는 호수․늪․강변 등이 있으며,인공 습지에는 연못․논․오수처리지역․저수지․운하․도랑 등이 있다(Key Documents ofthe RamsarConventionClassificationSystem forWetlandsTypeReprintedfrom theStrategic Framework and guideline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List of Wetlands of InternationalImportance,AppendixA).

(26)

이란 갯벌을 포함한 갯벌의 주변부를 포함하나,습지보전법상의 연안습지는 갯벌만 을 지칭한다.

우리나라는 지진․화산․습곡․단층 활동이 적고 또 빙하에 덮였던 지역이 적어 내륙습지면적이 적은 편인데,우리나라 습지는 면적의 크기로 보아 내륙습지 1%,연 안습지 99% 정도로 연안습지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다.36)남한의 연안습지 면적은 약4,000㎢(갯벌면적 약 3,800포함)인데,이 가운데 약 1/4에 해당하는 연안습지 1,260

㎢ 면적의 지역이 간척 및 매립사업으로 인해 상실되었으며,현재는 약 3,000㎢(갯벌 면적 2,393㎢ 포함)가 남아 있다.37)

다음에서는 일반적인 연안습지의 종류를 살펴보기로 한다.

2 2 2. . .연 연 연안 안 안습 습 습지 지 지의 의 의 종 종 종류 류 류

( ( (1 1 1) ) )갯 갯 갯벌 벌 벌

갯벌(tidalflat)이란 만조시에는 물속에 잠기나 간조시에는 육지로 드러나는 바닥이 모래와 뻘로 이루어진 평평한 지형을 말한다.갯벌은 파랑에너지의 세기에 의해 모 래나 펄로 바닥이 구성되기 때문에 퇴적상에 따라 모래갯벌․펄갯벌․모래펄갯벌로 나뉘며,위치에 따라 해변갯벌과 하구역 갯벌로 구분할 수 있다.38)

갯벌이 형성되려면 내만이 어느 정도 폐쇄되어 해안을 침식하는 파랑의 작용이 약 해야 하고 유입하천에 의한 토사의 퇴적작용이 있어야 한다.또한 간조때 노출되는 평평한 부분이 넓게 펼쳐지려면 조차가 커야 하며 모래나 펄이 쌓이기 위한 오랜 시 간이 필요하다.강과 바다가 만나는 곳에는 규모의 크고 작음은 있어도 반드시 갯벌 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하천은 갯벌이 형성되기 위한 중요한 조건이다.유입 하천 은 토사를 운반할 뿐만 아니라 풍부한 영양염류 등을 육상으로부터 간석지에 공급한 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따라서 갯벌은 흔히 큰 강과 연결되는

36)고철환,전게논문(주 13),1056면.

37)사구를 포함한 연안습지의 폭을 동해안과 제주도는 평균 200m,서해안과 남해안은 갯벌을 제 외한 염습지 상부와 사구의 폭을 평균 50m로 가정하고,여기에 갯벌의 면적 2,393㎢를 더하면 3,073㎢가 된다(해양수산부,「해양환경보전국가기본전략수립연구」,1999,117면).

38)홍재상,「한국의 갯벌」,대원사,1998,35면.

(27)

해안의 하구역이나 내만․석호 등의 반폐쇄적인 환경에 잘 발달한다.39)

이러한 갯벌은 희귀 철새를 포함한 다양한 생물들의 서식지가 되고,수산물의 생 산지이며,육지로부터 흘러 들어오는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능력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아름다운 경치와 심미적 가치를 제공한다.

전 세계적으로 갯벌은 아주 희귀하다.조석의 차이가 크고 지형이 완만하고 갯벌 을 만드는 토사가 충분히 육지로부터 유입되어야만 갯벌이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이 다.세계적으로 유명한 갯벌은 한국의 서해안 갯벌을 비롯하여 유럽의 북해 갯벌,미 국과 캐나다동부해안 갯벌,아마존강하구 갯벌을 들 수 있다.40)우리나라 서해안의 갯벌은 양쯔강과 황하,그리고 한강에서 유입되는 토사와 부유물로 형성되었다.서해 안과 남해안의 해안선은 복잡할 뿐 아니라 크고 작은 많은 만들이 있고,한강․금 강․만경강․동진강․영산강․섬진강․낙동강 등 큰 강들의 하구가 있으며,해안은 경사가 완만하며 조차는 매우 크다.이러한 해안환경은 갯벌이 생성될 천혜의 자연 조건을 갖춘 셈이다.우리나라의 갯벌이 다른 나라의 갯벌과 다른 점은 인근주민이 집중적으로 이용하고 있으며,갯벌의 높은 생산성이 주민의 높은 소득원과 연결되어 있다는 점이다.41)

갯벌은 습지보전법상의 습지보호지역의 지정에 의한 보호를 받는 대상이다.42)

39)홍재상,전게서(주 39),11-12면.

40)북해 갯벌은 네델란드․독일․덴마크 해안에 갯벌이 발달되어 있는데,이곳의 갯벌은 우리나 라와는 다르게 외해에 직접 맞닿아 있는 갯벌로서 모래가 많으며,갯벌의 바깥쪽은 모래섬이 둘러싸고 있다.갯벌의 총넓이는 9,000㎢인데,이 중에서 독일은 2/3의 갯벌을 갖고 있다.미국 과 캐나다 동부해안 갯벌은 세계적으로 조차가 가장 크다는 노바스코티아의 훤디만 갯벌이 하나의 예이다.만의 가장 안쪽으로 약 40㎞에 걸쳐 갯벌이 발달해 있으며 그 폭은 약 10㎢에 이른다.미국동부의 조지아 주 해안에도 갯벌이 발달해 있으나 우리나라와는 달리 모래로 이 루어진 소호이다.아마존강 하구 갯벌은 삼각주 형태로 발달되어 있으며 모래가 대부분이고 지형이 계절에 따라 변하므로 주로 뻘로 이루어진 우리나라 갯벌과는 많이 다르다.고철환, 전게논문(주 1),6-7면.

41)고철환,전게논문(주 13),1053면.

42)2004년 7월 현재 습지보전지역으로 지정된 곳은 총 5곳으로 전남 무안갯벌 35.59㎢(생물다양 성 풍부,지질학적 보전가치 있음),전남 진도갯벌 1.238㎢(수려한 경관 및 생물다양성 풍부, 철새도래지),전남 순천만갯벌 28.0㎢(흑두루미 서식․도래 및 수려한 자연경관),전남 보성벌 교갯벌 7.5㎢(자연성 우수 및 다양한 수산자원),인천 웅진 장봉도갯벌 69.4㎢(희귀철새 도래․

서식 및 생물다양성 우수)등 총 140.728㎢가 지정되어 있다(환경부,환경백서,2003).이는 전 체 갯벌면적의 약 5.88%에 해당한다.

(28)

( ( (2 2 2) ) )염 염 염습 습 습지 지 지

염습지(鹽濕地)는 연안에서 물이 들고나는 조간대 갯벌의 상층부에서 육상경계선 사이에서 해양환경과 육상환경이 만나는 반육상환경의 식생이 정착되어 있는 곳으로 육상생태계에 좀 더 가깝다.43)

염습지에는 많은 해양생물들이 육상환경에 적응하여 서식하고 있으며 동시에 육상 생물이 해양환경에 적응하여 분포하고 있어 다양한 생물이 출현하며 그 생물량 또한 대단히 많다 .염습지의 주변에는 갈대밭이 벌판을 이룰 정도로 잘 발달하고 그 사이 의 밑바닥은 뻘로 되어 있다.우리나라에서는 특히 갈대군락이 잘 발달하고 있는데, 갈대군락은 수질정화와 폐기물 처리,부영양화 억제 등 환경을 정화하는 다양한 기 능을 수한다.뿐만 아니라 국제희귀조류 및 천연기념물인 황새․재두루미․흑두루 미․저어새 등 겨울 철새들의 집단서식지이기 때문에 보존이 그 어느 때보다도 절실 하게 요구되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염습지 식생이다.44)

염습지를 상․중․하층으로 구분하여 만조의 빈도수를 살펴보면,염습지 하부층의 만조빈도수는 1년에 300회 이상이고,염습지 중부층의 만조 빈도수는 1년에 100회 미만이며,염습지 상부층 즉,육지쪽 경계지역으로 거의 만조의 횟수가 없다.45)이러 한 염습지 상부층은 실질적으로 갯벌생태계에 속함에도 불구하고 습지보전법상의 연 안습지로 분류되지 않고 있다.

( ( (3 3 3) ) )하 하 하구 구 구

하구(河口)는 일반적으로 하천의 입구,즉 하천이 바다 또는 큰 호수와 만나는 하 천어귀를 일컫는 용어이다.환경적 특징으로 볼 때 하구는 해수가 하천을 통해 유입 되는 담수에 의해 혼합․희석되는 수역이므로 지리적으로 그 경계가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담수와 해수가 맞닿아 섞여서 염분이 희석된 연안해역 또는 조석의 영향을 받아 염분이 올라가는 하천수역 등 하구특성을 보이는 수역을 통칭하여 하구역 또는

43)박태윤․이동근,「연안습지의 보전 및 효율적 이용방안에 관한 연구」,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 원,1997,3면.

44)홍재상,전게서(주 39),45면.

45)강래선,“염습지 식물군집에 대한 연구와 관리 방안”,「환경과 조경」101호,1996,60면.

(29)

염분 특성상 기수환경임을 반영하여 기수역이라 부르기도 한다.46)

하구는 지구생태계 중 가장 생태적인 가치가 높은 환경 중의 하나로 생태적 가치와 더불어 자연재해의 방지나 공간이용의 측면에서도 큰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하구지역 습지는 하천구역과 연안 해역에 존재하는 내륙습지 및 연안습지를 모 두 포함하고 있는데,현재 하구와 연계되어 발달한 갯벌의 면적은 최대 984.7㎢로 우리 나라 전체 갯벌 면적의 약 41.2%를 차지하고 있다.이처럼 하구를 구성하는 대부분이 연안과 관련이 있으나,하구는 습지보전법상으로는 내륙습지로 분류되어 있다.47)

( ( (4 4 4) ) )석 석 석호 호 호

석호(潟湖)는 해안선이나 하구에서는 분리되어 있지만 만조 때가 되면 해수가 유 입되고 간조 때에는 해수가 잔류함으로써 항상 염분을 포함하고 있는 호수이다.석 호는 후빙기에 해면이 상승하여 해안이 침수됨에 따라 하곡을 중심으로 낮은 곳이 만입되고 그 입구가 사취나 사주로 가로막혀 발달하게 되었다.48)

석호는 육상과 해양의 전이지역에 형성되는 기수환경으로써 육지보다는 연안에 가 까운 생태계이다.석호는 담수와 해수가 혼합되는 육상과 해양의 전이지역에 형성되 는 독특한 기수환경인데,이러한 독특한 생태적․경관적 기능 및 지형특성뿐만 아니 라 사회경제적 유용성으로 인해 매우 가치가 큰 생태환경으로 알려져 있다.49)

동해안의 석호는 현재 화진포호․송지호․청초호․영랑호․매호․경포호․ 향호․

풍호․궁개호․쌍호․천진호․봉포호․광포호 등 13개가 알려져 있다.호수의 규모 로 볼 때 화진포가 가장 크고(2.310㎢),청초호(1.362㎢)․영랑호(1.045㎢)의 순이다.50)

동해안의 현재 석호지역에 지정되어 있는 보전구역은 경포호가 자연환경보전법상 의 자연환경보전지역으로,송지호와 화진포는 조수보호및수렵에관한법51)에 의한 조 수보호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며,매호는 백로 및 왜가리 번식지로서 문화재보호법

46)이창희 외,「하구․석호 육해전이수역 통합환경관리방안 연구」,한국해양수산개발원,2001,14면.

47)갯벌과 사구로 구성되어 있는 약 4ha(0.04㎢)의 낙동강 하구는 2003년 현재 자연환경보전법상 의 생태계보전지역과 습지보전법상의 습지보호지역(내륙습지)으로 지정되어 있다(환경부,환경 백서,2003).

48)홍재상,전게서(주 39),6면.

49)이창희 외,전게서(주 46),1면.

50)이창희 외,전게서(주 46),85면.

51)이 법은 2005.2.9법률 제07167호 야생동․식물보호법의 발효와 더불어 폐지됨.

참조

관련 문서

14) 은 HERS의 붕괴로 치낭의 외배엽성 간엽세포가 침투하여 상아질과 접촉하게 되고,백악질과 치주조직을 형성할 것이라 주장하였다.또한 noveldenti nchamber

따라서 , 본 연구에서는 상변화 열전달 촉진 및 열전냉각장치의 냉각영역 개선을 위해 압전소자로 구성되어 진동을 일으키는 초음파 진동자와 압전 액츄에이터를

기를 높게 지각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해양관광레저스포츠 참 여유형에 따라 제약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검증한 결과,여 행,바다낚시,스쿠버 순으로

그러나 한 대상이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정도는 상황에 따라 변한다.그러므로 사람·대상·상황의 세요인은 관영도 문제에 있어 모두 고려되어야 하는 것이며,광

결론적으로,본 연구의 결과로서 사람의 골육종 세포주인 Saos2세포에서 중성아 미노산 수송계 L인 LAT1,LAT2및 그들의 보조인자 4F2hc의 발현을 확인하였으며, 수송계 L

둘째,Super효율성 모형에 의한 실증분석 결과를 년도별로 살펴보면,1995 년의 Super CCR모형에 의한 효율적인 은행들의 순위는 1위는 신한은행 (1.

실험 1주군에서는 주로 골 결손부에서 새로 형성되는 신생골 주위와 내부의 골모세포 와 골세포에서 강하게 발현되었으며 매식체 주위의 간질세포에서도 강한 발현을

즉,ERP 시스템 도입기업이 미도입기업에 비해 활동성 비율 중 제품회 전율이 크게 나타날 것이라는 가설은 전자업에서만 채택되어 통계적으로 유의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