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초기철기시대 성립 배경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초기철기시대 성립 배경 "

Copied!
5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남한의 초기칠기시대, 원삼국시대

(2)

초기철기시대 성립 배경

철기

ㆍ중국 동북지방에 위치하던 전국시대 燕[연]나라로부터 가 도입됨으로써 초기철기시대가 시작.

기원전 4~3세기

ㆍ 고조선과 燕[연]나라의 무력 충돌(『史記[사기]』 朝鮮列傳[조선열전] 및 (『三國志[삼국지]』) 고조선은 서쪽 2천여리를 연에게 빼앗기고 千山山脈[천산산맥]을 경계로 연과 대치하게 되었음.

연, 고조선의 들 다수가 한반도 지역으로 유입

유이민

(3)

제1기 기원전 4세기 말~3세기 전반 제2기 기원전 3세기 후반~2세기 초기철기시대의 특징

철기 의 보급

청동기

대량 생산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한 단계

의 제작기술이 최고도에 도달

청동기시대의 도 이어서 사용 마제석기 점토대토기

토기 를 기준

한사군 설치 이후 한의 발달될 철기문화가 본격적으로 남한에 파급되는 시기까지임

(4)

초기철기문화의 전개

1.Ⅰ기(기원전 4세기 말~3세기 전반)

• 세죽리-연화보유형(요동반도와 서북한) 明刀錢[명도전] :

주조 철기

평안북도 龍淵洞[용연동]유적

청 천 강

평안북도 寧邊郡[영변군] 細竹里, 중국 요령성 蓮花堡

주로 연나라에서 사용된 청동 화폐

철기 출토 유적들은 지역에 한정되어 있음 북한

(5)

• 粘土帶土器[점토대토기], 세형동검, 細文鏡[세문경]: 고조선계(고조선의 유이민들과 관련)

• 遼寧[요령] 本溪縣[본계현] 上堡村[상보촌] 석곽묘

= 잔무늬 거울

• 遼寧[요령] 朝陽[조양]

十二臺營子[십이대영자]

석곽묘

9-8세기

(6)

2. 대전 괴정동유적

(7)

2. Ⅱ기(기원전 3세기 후반~2세기)

• 대동강유역에서는 전 단계의 청동기문화가 더욱 발전하여 세형동검 외에 細形銅戈[세형동과], 등의 청동기가 제작.

대동강유역은 사회, 정치, 경제적으로 중요한 거점일수밖에 없음.

고조선의 중심이 대동강유역이었다는 주장의 근거가 됨.

(8)

• 2세기 초 성립한 위만조선의 중심지도 역시 대동강유역으로 추정 위만조선의 물질문화 :

고조선과 연 전통의 문화요소를 융합한 바탕 위에 진, 한대의 새로운 문화요소를 수용

(점토대토기, 세형동검, 세형동과, 세문경)

(주조철기, 타날문 토기)

(반량전)

(9)

각종 유물에 대한 검토

1. 청동기

1) 세형동검(기원전 4~3세기)

요령지방 출토 세형동검(요령식 세형동검)

(10)

①Ⅰ식 세형동검 : 부여 연화리 석곽묘 출토품 등

(11)

② Ⅱ식 세형동검

(12)

마지막 형태

피홈

(13)

2) 劍把形[검파형] 지금까지는 충청남도의 대전 괴정동·아산 남성리·예산 동서리의 세 유적에서만 발견.

예 산 동 서 리 유 아 산 남 성 리 유 적

(14)

뒷면은 우묵하게 들어가 빈 대나무 속 같음

• 상부에 두 개, 하부에 하나씩의 ∩형 꼭지가 붙어 있어 의복과 같은 것에 매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추정.

(15)

3) 喇叭形[나팔형]

중국에서는 이 동기를 머리 장식으로 사용되었다고 함. 말

(16)

4) 동탁

3, 900년 전 중국 陶寺[도사], 3,700년 전 중국 二里頭[이리두]

(4세기 전반~중엽)

(17)

평양 上里[상리], 황해도 황주 黑橋里[흑교리](2세기) 창원 다호리고분군(원삼국시대)

(18)
(19)

5) 동령(3~2세기) : 제사장의 巫具[무구]로 추정되는 八珠鈴[팔주령], 竿頭鈴[간두령],

雙頭鈴[쌍두령] 등의 청동방울 세트가 충남, 전남 함평과 낙동강 상류에서 발견.

전남 화순 大谷里[대곡리]유적(3세기)

전남 함평 草浦里[초포리]유적(2세기)

전 논 산( 3

(20)

6) 거울

요령지방 출토

대전 괴정동유적 粗文鏡[조문경](4세기경)

부여 구봉리유적 석곽묘(3세기 말-2세기)

조문경

세문경

(21)

2. 철기

• 철기를 만들기 위해서는 원료를 채취하는 채광, 원료에서 철 성분을 추출하는 제련 과정이 있는데 이를 밝혀줄 초기철기시대의 자료는 아직 발견된 바 없음.

• 중국 동북지방과 한반도에서 철기문화의 시작은 기원전 4세기 무렵 연나라의 철기문화가 유입되면서 시작.

(22)

단편적이지만 청천강 이남의 철기문화 양상 부여 合松里[합송리]유적(2세기경)

당진 素素里[소소리]유적(2세기경)

(23)

3. 토기

• 기원전 800~600년경 요령지방 비파형동검 전기와 병행.

1) 점토대토기

遼寧[요령] 鄭家窪子[정가와자]유적(기원후 600년)

3지점

(24)

① 기원전 4세기경

안성 반제리 21호 주거지

② 기원전 3세기경 ③ 기원전 2세기경

안성 반제리 13호 주거지

대구 칠곡유적 3호 주거지

(25)

④ 종말기

(26)

2) 黑陶 長頸壺[흑도 장경호]

• 청동기시대 요녕식 동검문화권의 흑도 장경호와 연결 • 단면원형점토대토기와 공반

• 말기에 조합식 우각형파수가 부착되어 원삼국시대까지 유행

• 지역에 따라 고리형파수가 부착되기도 함

(27)
(28)

3) 甑[증] : 시루

(29)
(30)
(31)

4. 주거지

• 청동기시대와 큰 차이 없이 수혈 형태가 주류를 이룸.

• 달라진 점은 청천강 이북의 서북한, 중국 동북지방, 연해주 등지에서 종전의 화덕 대신에 과 조리 가능을 보다 강화 발전시킨 부뚜막과 구들 시설이 유행함.

흑룡강성 봉림성지 주거지

연해주 페트로바유적 주거지

난방

(32)

춘천 율문리유적

(33)

5. 무덤

• 청동기시대에 유행하던 는 초기철기시대에 들어오기 전부터 소멸되기 시작함.

• 초기철기시대에 주류를 이루는 무덤.

1) 木棺墓[목관묘]

→ 원삼국시대에도 계속 축조 고인돌(지석묘)

(34)

2) 甕棺墓[옹관묘](독무덤) : 유아용

• 범세계적인 묘제, 중국, 남만주, 한반도, 일본

• 화북지방 신석기시대 이래의 옹관묘제 → 요동반도 → 북한지방

청동기시대 후기

(35)

원삼국시대 개관

1. 역사적 상황

• 기원전 2세기말 설치 : 한사군

문화의 본격적 파급

• 대소 정치집단의 성립 2. 문화적 특징

낙랑군 설치 이후 철생산 본격화:

의 소멸, 철기의 생산과 보급 청동기

철제 농구와 牛耕[우경]에 의한 농업의 발달

일본에 수출 原史[원사]

철기

(36)

중부 및 서남부 지역

1. 개관

• 기원전 1세기∼ 3세기 중후엽경 한강유역으로부터

충청·전라도 지역에 분포되어 있던 여러 정치 집단의 통칭임.

≪삼국지≫ 위서 동이전 : 54개 소국

2. 마한지역의 원삼국문화

• 中島[중도]유형문화 :

춘천 중도유적 경질무문토기 등 주거지(집터) : 呂[려(여)]자형, 凸[철]자형

적석총

경질무문토기, 타날문토기

한성백제의 기층문화이자 濊[예]계 집단의 고고학적 문화

• 이 지역은 문헌상의 과 濊[예]계 집단의 활동 공간. 마한

무덤 : 토기 :

(37)

1) 주거지(집터) 呂[려(여)]자형

凸[철]자형

(38)

연 천 학 곡 리 적 석 총

연 천 횡 산 리 적 석 총

≪삼국지≫ 위서 예조 : 고구려와 같은 존속이어서 언어, 풍속 등이 기본적으로 유사함

2) 무덤

(39)

경질무문토기 : 3) 토기

청동기시대 무문토기 보다 그 경도가 단단하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명칭

타날문토기

낙 랑 토 기

(40)

39 장방형

천안 청당동유적

周溝[주구]토광묘

(41)

동남부 지역

• 원삼국시대의 영남지역은 동일한 문화권을 이루고 있음.

이러한 양상은 진, 변한 문화의 공통성을 보여주는 것이지만 훗날 신라와 가야 문화로 이어지면서

일부 요소는 공유하고 일부에서는 서로 다른 특징으로 발견시켜 나감.

주거지(집터) : 무덤 :

원형과 방형 목관묘과 목곽묘

≪삼국지≫ 위서 동이전 및 ≪후한서≫

弁, 辰韓合二十四國, 弁辰與辰韓雜居, 城郭衣服皆同, 言語風俗有異.

(42)

1) 주거지(집터)

사천 늑도유적 경주 황성동유적

(43)

2) 무덤

① 木棺墓[목관묘] 창원 다호리유적

(44)

② 木槨墓[목곽묘]

를 발전시킴

으로부터 매장 관념만 영향을 받음.

목관묘 낙랑

(45)

3) 철 생산

≪삼국지≫ 위서 동이전 변진조 :

나라에서 쇠가 나는데, 이를 예, 왜에서 가져 간다. 시장에서 물건을 사고 파는 것도 모두 쇠를 가지고 해서, 중국에서의 돈을 가지고 쓰는 듯하다. 또, 낙랑과 대방군에도 공급해 준다.

(46)

鐵鋌[철정]

제련, 용해

(47)

괭이 기래

(48)

쟁이

끌, 정

(49)

철제 농기구의 사용 석기나 목기의 사용보다 노동력과 시간이 현저히 감소

생산력 증대

철 정 철의 소재나 화폐의 기능

(50)

有刺利器[유자이기]

(51)

4) 토기 :

와질토기

회색 위주에 회흑색, 흑색 등의 색조를 띠며 단단하기가 와 비슷하다하여 붙여진 이름

바탕흙은 매우 고운 진흙을 사용

낙랑계(樂浪系)의 한식토기(漢式土器)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서 발생되었다고 보고 있음

주머니호

기와

(52)

원 저 장 경 호( 조 합 식 우 각 형 파 수)

고배

신선로형토기

(53)

오리모양 토기

≪삼국지≫ 위서 동이전 변진조 : 以大鳥羽送死, 其意欲使死者飛揚

참조

관련 문서

운송계약에 관한 상법규정의

한국전쟁과 한국경제의 시작...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 곳곳에는 현대 미술의 정수를 보여주는 수준 높은 예술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새로운 세계로의 여행을 준비하는 특별한

원조수혜국의 국가능력과 거버넌스 - 원조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정치/경제/사회 적 능력, 거버넌스, 인력absorptive capacity이 부족 - 원조의

French slang used by almost all youngsters especially in urban French areas. It consists in reversing the terms syllable by syllable, or even sometimes letter

효과적인 스포츠 마케팅 활동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정치, 문화 등의 요인.

따라서 는 전사준동형사상이다.. 따라서 보조정리는 성립 한다..

텍스트 표층에서 문법적·구문적 연 계가 잘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독자로 하여금 이 소설 특유의 반복되는 표현이나 패턴에 익숙하게 만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