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우간다 농업 현황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Share "우간다 농업 현황"

Copied!
2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국가별 농업자료

최 지 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고 영 곤

(우간다 주재 KOICA 파견 농업전문가)

우간다 농업 현황 *

1. 일반경제 현황

1)

우간다는 1987년 경제회복프로그램(Economic Recovery Program, ERP)을 통해 통화개 혁, 변동환율제 도입, 물가안정, 규제철폐, 국영기업의 민영화 등 자유 시장 경제체제 를 추구하면서 국제원조를 바탕으로 안정된 경제성장을 이룩해 왔다. 1997년 이후 3차 에 걸친 빈곤퇴치행동계획(Poverty Eradication Action Plan, PEAP)을 통해 경제성장을 추 구하면서,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사회적 안정을 회복하여 취약한 사회간접자본에도 불구하고 연평균 7%이상의 고도성장을 달성해 왔다

그러나 최근의 주요 경제지표를 보면 경제성장률이 둔화되는 가운데, 두 자리 수의 물가상승률, 수입증가율보다 현저하게 낮은 수출증가율 그리고 그로 인한 경상수지 적자의 증가 및 환율의 지속적인 상승, 그리고 외채의 증가 등 우간다 국민경제가 어 려운 상황에 처해 있다.

우간다의 1인당 국민총생산은 532달러(2012년 기준)에 그쳐 유엔에 의해 최빈국 (Least Developed Countries, LDCs)으로 분류되고 있다. 낙후된 도로망, 부족한 송배전시 설 등 경제 기반이 취약하고 미약한 세수기반으로 재정수지 적자 기조를 지속하고 있

* (jihchoi@krei.re.kr 02-3299-4121).

(2)

으나 2010년 이래 연 5%를 상회하는 경제성장을 지속하고 있으며 풍부한 석유 매장량 과 정보통신산업의 빠른 성장세 등의 성장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

우간다의 경제는 서비스업, 광공업, 농업이 주도하고 있다. 농업의 GDP 비율은 감 소하는 추세이나 여전히 우간다 노동인구의 80%가 종사하고 있는 국가 경제성장의 근간이며, 동아프리카공동체(East African Community, EAC) 국가들의 우간다에 대한 지 속적인 농산품 수출 수요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우간다 정부는 비즈니스 환경을 조성하고 연평균 GDP 성장 목표치 7.2%를 달성하 기 위해 농업, 산림, 관광업, 천연자원 개발, 제조업, IT 부문 등에 걸쳐 40여개의 프로 젝트를 진행 중이다.

표 1 주요 경제지표 추이(2008~2012)

구분 주요지표 단위 2008 2009 2010 2011 2012

국내 경제

GDP 억 달러 144 158 172 168 194

1인당 GDP 달러 456 482 506 476 532

경제성장률 % 10.4 3.9 5.6 5.5 5.1

재정수지/GDP % -1.9 -2.2 -4.9 -7.5 -5.5

소비자 물가상승률 % 12.1 13.0 4.0 18.7 11.5

대외 거래

환율(달러만, 연중) Ush. 1,720 2,030 2,178 2,523 2,480

경상수지 백만 달러 -1,314 -1,064 -1,740 -1,932 -3,138

상품수지 백만 달러 -1,875 -1,460 -2,100 -2,512 -3,431

수출 백만 달러 2,208 2,327 2,164 2,581 2,725

수입 백만 달러 4,043 3,787 4,264 5,093 6,156

서비스수지 백만 달러 -458 -456 -525 -790 -1,174

자본수지 백만 달러 1,155 1,631 1,148 na na

외화 보유액 백만 달러 2,300 2,769 2,485 2,399 na

외채 현황

총 외채잔액 백만 달러 2,594 3,850 4,235 4,268 5,358

단기외채 백만 달러 499 300 379 463 469

총외채잔액/GDP % 17.7 22.7 24.7 26.7 26.3

외채상환액/수출 % 4.5 2.5 3.5 3.6 3.5

자료: 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2012).

(3)

2. 농업일반 현황

2.1. 농업인구

우간다의 인구 3,400여만 명 가운데 경제활동 인구는 2009/10년 현재 1,340만여 명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활동 인구 가운데 농림수산업부문 취업자는 전체 경제활동 인구의 65.9%인 880만 명인 것으로 추정된다. 농림수산업부문 취업자 비중은 2005/06 년 71%에 비해 5%포인트 정도 낮아졌지만 농업부문 취업자의 절대 수는 770만 명에 서 100만 명 이상 증가하였는데 이는 높은 인구증가율에 기인한다.

2005년 우간다 인구 및 주택센서스 결과에 의하면 2002년 기준 10세 이상 인구 중 에서 농림수산업 종사자의 비중은 73% 수준에 달했던 것으로 조사되었고, 특히 여성 의 경우 83%에 달해 남성보다 월등히 높아 우간다 농업에서 여성노동력이 차지하는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통계에 의하면 2008/09년 현재의 농가호수는 395만 호, 농가인구는 1,930만 명 으로 추정되어 농가호당 평균 인구는 4.9명인 것으로 추정된다. World Bank 등의 추정 에 의하면 2012년 농가호수는 약 500만 호에 이르는 것으로 판단된다.

도시와 농촌의 인구추이를 비교해 보면 2012년 기준 85%의 인구가 농촌에 거주하 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2005~2012년 간 농촌인구가 24.9% 증가한데 비해 도시인구는 47.1%가 증가하여 농촌지역에서 도시로의 인구 이동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 인다.

2009/10년의 조사결과에 의하면 15~24세의 젊은 계층인구가 약 590만 명으로 젊은 계층 인구의 도시거주 비율이 27%로 전체인구의 도시거주비율 13%보다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나 젊은 계층을 중심으로 도시로 인구이동이 시작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2 도농 간 인구변화(2005~2012)

구 분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05~2012

총인구(백만 명) 26.7 27.6 28.6 29.6 30.7 31.8 32.9 34.1 7.4

농촌지역인구(백만 명) 23.3 24.0 24.8 25.2 26.1 27.1 28.1 29.1 5.8

도시지역인구(백만 명) 3.4 3.6 3.8 4.4 4.5 4.7 4.9 5.0 1.6

도시지역인구비중(%) 12.7 13.0 13.2 14.8 14.8 14.8 14.8 14.7 2.0

자료: UBOS(2012). Statistical Abstract 2012.

(4)

2.2. 농지

우간다는 농지가 비옥하며, 전체 국토면적의 17%정도가 호수와 강으로 되어 있고, 숲과 초지 습지를 제외한 경작가능면적은 약 828만ha로 우리나라 농지면적의 약 4.6배 에 달하는 수준으로 농지자원이 풍부하다.

실제 경작면적은 경작가능 면적의 절반 수준인 415만ha에 불과하고, 대부분의 토지 에서 2모작내지 3모작이 가능하다. 그러나 경작면적 중 관개시설이 확보된 면적은 단 지 7,000ha (경작 면적의 0.16%)에 불과해 향후 우간다의 농산물 생산 잠재력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우간다의 식량생산 잠재력과 관련하여 FAO는 기본적으로 우간다는 식량안전국가 (food secure country)로서 국민식량을 충분히 생산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하였고, USAID 는 우간다는 큰 어려움 없이 현재 우간다 인구의 7배 또는 동아프리카의 전체인구의 2배를 부양할 만큼의 식량을 생산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 것으로 추정한 바 있다.1) 커피, 차, 사탕수수 등의 생산을 위한 대규모 플랜테이션 농업도 행해지고 있으나, 이들 대규모 농장이 차지하고 있는 경지면적은 68,446ha로서 전체 경작가능면적의 0.8% 정도이고, 경작면적 대비 1.7% 수준이다.

표 3 우간다의 국토현황 및 경지면적

구분 면적 구성비

국토면적 241,551 km2 100.0

육지면적 199,807 km2 82.7

숲(bush) 1,422 km2 ( 142,200ha) 0.6

초지(grass land) 5,115 km2 ( 511,500ha) 2.1

습지(wet land) 484 km2 ( 48,400ha) 0.2

경작가능면적(arable land) 82,811 km2 (8,281,100ha) 34.2 경작면적(cultivated land) 41,473km2 (4,147,300ha) 17.1 자료: UBOS(2011), Statistical Abstract 2011.

1) Embassy of the Kingdom of the Netherlands in Uganda 2012, Food and Justice - Investing in human security in a challenging governance context. P.11.

(5)

2.3. 국민경제와 농업

우간다의 농업은 2006년 이후 대략 GDP의 21∼24%를 유지해 왔는데, 농업부문 취 업자 비중이 66% 수준으로 높아 농업부문 종사자의 생산성이 상대적으로 매우 낮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간다의 농림수산업은 국가전체 수출액의 48%를 차지하고 있고, 식품가공업이 전체 제조업의 40%를 차지할 만큼 농업의 제조업에 대한 원료제공 기 능을 담당하는 등 우간다 국민경제 발전에 있어서 농업은 핵심적인 열쇠를 쥐고 있다. 농림수산업의 구조를 보면 식량작물이 대체로 농업부문의 50%이상을 점유하고 있 고 임업과 수산업이 농업부문 GDP의 25∼30%를 차지하고 있고 전통적인 수출용 농 산물인 커피, 면화, 차, 사탕수수 등의 환금작물은 농업부문 GDP의 10% 미만이고, 이 들 환금작물의 비중은 2007년 이후 지속적으로 낮아지고 있다.

표 4 산업부문별 GDP 구성비 추이, 2006~2010

단위: %(경상가격기준)

구 분 2006 2007 2008 2009 2010

국내총생산 100.0 100.0 100.0 100.0 100.0

농림수산업 22.6 20.7 21.6 23.6 21.1

환금작물(Cash crops) 1.7 2.0 2.0 1.6 1.0

식량작물(Food crops) 13.4 11.0 11.9 14.3 12.1

축산(Livestock) 1.5 1.5 1.6 1.7 1.6

임업(Forestry) 3.2 3.5 3.5 3.6 3.6

수산업(Fishing) 2.7 2.7 2.6 2.3 2.8

2차 산업(Industry) 22.3 23.9 24.0 23.8 24.9

서비스업(Services) 49.1 49.0 48.0 46.2 47.7

조정계정(Adjustments) 6.1 6.4 6.4 6.4 6.4

자료: UBOS(2011), Statistical Abstract 2011.

산업부문별 GDP성장 추이를 보면, 국내총생산은 2006~2010년간 연평균 7%의 안정 적인 성장을 유지해 왔으나 농림수산업부문 GDP는 같은 기간 동안 연평균 1.2%의 성 장에 그쳐 2차 산업부문의 성장률 7.8%와 서비스업 성장률 8.3%에 크게 미달되었다.

이처럼 농업부문의 상대적인 저성장은 기본적으로 정부예산 가운데 농업부문 비중이 매년 3∼4%에 불과한 것이 그 원인이라 할 수 있다. 농림수산업부문의 분야별 GDP성 장률을 보면 먼저 식량작물의 경우 2006년 마이너스 성장을 보인 이후 매년 2∼3%의

(6)

안정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으나 이는 인구 증가율에도 미달하는 수준이다.

환금작물의 경우에는 커피를 비롯한 국제시장가격의 변동에 크게 영향을 받아 최대 11.6% (2008년) 에서 최소 -14.7% (2010년)까지 연도별 성장률의 진폭이 매우 큰 것으 로 나타났다. 반면 축산업부문의 GDP는 매년 3%의 안정적인 성장을 유지해 왔고, 임 업분야 또한 연평균 3.7%의 상대적으로 높은 성장률을 나타냈다.

표 5 산업부문별 GDP 성장률, 2006~2010

단위: %(2002년 불변가격기준)

구 분 2006 2007 2008 2009 2010 2006~2010

평균

국내총생산 7 8.1 10.4 3.9 5.6 7.0

농림수산업 -1.8 1.7 2.3 2.4 1.3 1.2

환금작물(Cash crops) -2.4 8.2 11.6 5.2 -14.7 1.6

식량작물(Food crops) -3.9 2.1 2.6 2.6 2.7 1.2

축산(Livestock) 3 3 3 3 3 3.0

임업(Forestry) 4.2 2.2 4.2 5.9 1.9 3.7

수산업(Fishing) -3 -5.9 -9.6 -7.3 5.9 -4.0

2차 산업(Industry) 6.4 8 15.4 0.5 8.9 7.8

서비스업(Services) 10.3 7.7 10.5 5.8 7.4 8.3

조정계정(Adjustments) 10.9 24.6 11.6 5.6 -5.6 9.4

자료: UBOS, Statistical Abstract 2011.

3. 주요 농업생산 동향

3.1. 농산물 생산 개황

우간다의 농산물 분류는 크게 식량작물(food crops)과 환금작물(cash crops)로 구분되는 데 식량작물에는 이 나라 국민들의 주식인 마토케 바나나2)와 함께 곡물, 두류 및 유지 작물(pulses 및 legumes), 뿌리작물 등이 있고, 환금작물로는 커피, 차, 면화, 코코아, 사 탕수수 등이 있다.

2) Plantain 바나나 또는 마토케 바나나는 통상적인 바나나보다 크고, 푸른색일 때 수확하여 이를 찐 다음 껍질을 벗겨 으깨어 먹는데 이를 마토케라 하며 우간다의 가장 대표적인 주식의 하나임, 이 마토케 바나나와 구분하여 통상적인 바나나를 sweet 바나나 또는 desert바나나라 부르기도 함.

(7)

표 6 우간다의 2010년 생산액기준 주요농산물, 2010(생산액 기준)

순위 품목 생산액1)

(백만 달러)

생산량) (1,000톤)

경작면적2) (1,000ha)

1 마토케 바나나(plantains) 1,479 9,550 916

2 카사바(cassava) 552 5,282 871

3 우유(cow milk, whole, fresh ) 371 1,190

4 쇠고기(Indigenous cattle meat) 353 131

5 두류(beans, dry) 249 460 618

6 고구마(sweet potatoes) 214 2,838 440

7 커피(coffee, green) 174 162 187

8 돼지고기 (indigenous pig meat) 174 113

9 옥수수(maize) 171 1,313 1,014

10 바나나(banana) 169 600

11 신선채소(vegetables, fresh) 143 760

12 조(millet) 137 850 250

13 참깨(sesame seed) 113 170 176

14 감자(potatoes) 104 695 33

15 사탕수수(sugarcane) 79 2,400

16 염소고기(indigenous goat meat) 77 32

17 땅콩(ground nuts) 71 172 345

18 수수(sorghum) 68 500 399

19 해바라기 씨(sunflower seed) 63 230

20 닭고기(indigenous chicken meat) 61 43

자료: UBOS, Statistical Abstract 2008/09, FAO Statistics.

우간다 주요 농축산물 품목의 2010년 생산액(FAO 통계기준)은 마토케 바나나와 카 사바가 각각 1위와 2위이고 축산분야에서는 우유와 쇠고기의 생산액이 가장 많다.3) 또한 각종 두류와 고구마 생산액이 각각 5위, 6위, 우간다의 대표적인 수출농산물 커 피가 7위, 경종작물 가운데 경지면적이 가장 많은 옥수수는 9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20위 안에 포함된 경종작물로는 바나나와 신선채소, 조, 참깨, 감자, 수수, 사 탕수수, 땅콩, 해바라기씨 등이고, 축산물로는 돼지고기, 염소고기, 닭고기 등이다.

3) FAO 의 통계가 우간다 국내통계 (UBOS 또는 MAAIF 등)의 통계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님.

(계속)

(8)

3.1.1. 식량작물

2008/09년 농업조사 결과에 의하면 옥수수와 함께 우간다 국민의 대표적인 주식인 마토케 바나나 또는 플랜틴(plantain)을 비롯한 바나나는 재배면적이 91만 6천ha로서 연 간 450만 톤 내외의 생산량을 기록하고 있다.4) 식량작물 가운데 가장 재배면적이 많 은 작물은 옥수수로 08/09년 농업센서스 결과 재배면적이 약 1백만ha, ha당 수확량은 2,300kg으로 낮은 수준이다. 기장과 수수는 각각 25만ha, 40만ha정도 재배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단수는 ha당 각각 900kg에서 1,100kg 수준이다.

우간다에서 벼는 약 4만 농가가 7만 5천ha 정도를 경작하고 있어 연간 약 20만 톤 내외를 생산하고 있으나 생산이 수요에 미치지 못하여 인도 베트남 파키스탄 등으로 부터 매년 쌀을 수입하고 있다. 재배면적은 우리나라의 약 9%에 못 미치는 수준이고, ha당 생산량은 조곡기준으로 2,500∼3,000kg에 불과한 지극히 낮은 수준이지만 최근 수량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우간다는 동아프리카(EAC)회원으로 이들 국가 간에 쌀의 무역에 있어서 무관세가 적용되므로 우간다의 쌀 농업은 수입대체산업으로써 그리고 수출산업으로서의 잠재 력이 큰 분야이다.

EAC 회원국 (우간다, 케냐, 탄자니아, 르완다, 부룬디)의 쌀 수입량은 증가추세를 보 이고 있고, 인접국 케냐의 수입 수요만 해도 연간 30만 톤에 달한다.

각종 두류(pulses)와 유지작물(legumes) 또한 우간다 농업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들 작물의 재배면적은 전체적으로 110만ha (땅콩 포함, 참깨 제외)에 달한다.

참깨는 약 18만ha정도가 재배되어 연간 약 11∼12만 톤 생산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대 표적인 뿌리작물인 카사바는 재배면적이 87만ha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고구마와 감자 재배면적도 각각 44만ha과 3만 3천ha에 달한다. 고구마 재배면적은 우리나라의 20배가 넘는데 ha당 생산량은 한국의 16톤에 비해 우간다는 4.5톤 수준이다. 감자 재 배면적은 우리나라의 2만 5천ha보다 많지만 ha당 생산량은 한국의 25톤에 비해 1/5수 준에 불과하다.

4) 우간다 정부통계에 의한 2010년 생산량 450만 톤은 FAO통계의 955만 톤에 비교해서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인데 이러 한 통계상의 불일치는 우간다 농업통계와 관련하여 종종 발견되는 것으로 농업통계의 확보는 우간다 농업발전을 위한 중요한 과제의 하나로 강조되고 있음.

(9)

표 7 주요 농산물의 재배면적, 생산량 및 단수

구 분 면적(천ha) 생산량 (천MT) 단수(Kg/ha)

2008/09 2009 2010 2011 2008/09 2009 2010 2011 2008/09 2009 2010 2011 바나나

(all type) 916 942 978 979 4,300 4,522 4,594 4,985 4,695 4,937 5,016 5,092

곡 물

옥수수 1,014 942 1,032 1,063 2,362 2,355 2,374 2,551 2,329 2,322 2,341 2,400 기장 250 192 167 172 277 250 268 292 1,108 1,000 1,072 1,698 수수 399 340 355 364 376 374 391 437 942 937 979 1,201

벼 75 86 87 90 191 206 218 233 2,544 2,744 2,903 2,589

두 류

Beans 618 616 633 654 929 925 949 915 1,504 1,498 1,537 1,399 Field

Peas 44 42 28 28 16 17 17 17 365 388 388 607

Cow

peas 24 28 24 25 10 11 12 12 420 462 504 480

Pigeon

Peas 30 31 32 33 11 13 13 13 369 436 436 394

유 지 작 물

땅콩 345 369 394 409 244 258 276 327 707 747 799 800 참깨 176 192 198 203 101 115 119 142 575 655 678 700

대두 36 45 45 45 23 27 27 32 631 741 741 711

구 근 류

카사바 871 777 794 822 2,894 2,952 3,017 2,712 3,321 3,388 3,462 3,299 고구마 440 463 442 450 1,819 1,943 1,987 1798 4,132 4,413 4,513 3,996

감자 33 35 36 37 154 162 167 180 701 4,945 5,098 4,865

자료: Calculated based on data from UBOS and MAAIF.

3.1.2. 환금작물

우간다의 환금작물(cash crop)은 기본적으로 국내 소비용 농산물이 아니라 수출용 농 산물로서 영국 식민지 시대 커피 및 차와 면화로부터 재배되기 시작하였다. 환금작물 가운데서는 커피와 면화의 재배면적이 각각 18만 7천ha와 8만ha로 가장 많고, 특히 커 피는 이 나라 전체 수출액 중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7.5%로서 단일품목 상품수출액 1 위이다.

이들 품목은 전통적 수출(traditional export)품목으로 국가적으로 가장 중요한 외화획 득원이 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량 거의 전부가 수출된다. 이들 품목의 대부분은 대규모 플랜테이션농업 형태로 생산되는데 차의 경우 전체면적 2만 6천ha 가운데 대 규모 농장이 1만 2천ha를 차지하고 있고, 코코아의 경우에도 대부분이 0.2∼3.0ha의 영 세농에 해당된다.

커피 재배면적은 2009년의 17만 8천ha에서 2011년에는 18만 7천ha로 조금씩 증가하

(10)

고 있으나 생산량은 감소추세이다. 이는 주요 커피 주산지에서는 가뭄 등 기상조건의 영향과 젊은이들의 영농기피로 인한 노동력 부족현상 등 복합적 요인에 기인한다. 또 한 커피나무의 노령화와 질병발생 등으로 매년 2,000만 주의 노령목을 신규 묘목으로 교체하는 등 묘목 갱신에 따른 생산량 감소도 원인이다.

코코아의 경우 고부가가치의 친환경적 농산물로 우간다 농가의 소득원이자 외화획 득 품목의 하나로 각광을 받고 있어 생산과 수출이 2004년의 6,000톤에서 꾸준히 증가 하여 2010년에는 1만 6천 톤을 초과하였다.

우간다 코코아 재배면적의 55%가 2001/02년 이후에 식재되어 아직 본격적인 생산에 접어들지 않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앞으로 우간다의 코코아 생산 및 수출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의 유통 처리 가공분야의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표 8 환금작물 생산과 수출현황

품목 10/11

재배면적(ha) 생산량 수출액

(US$백만)

구성비1/

(%)

커피 187,264 2,776천 bags/60Kg 283.9 17.5

면화 80,000 140,000 Bales 19.9 1.2

코코아 21,198 16,478 M/T 35.1 2.2

차 26,000 na 68.3 4.2

담배 na na 68.7 4.2

주: 국가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임.

자료: UBOS(2011), Statistical Abstract 2011.

3.1.3. 축산

우간다의 가축사육두수는 소, 양, 염소, 돼지 등 모든 축종에서 안정적인 증가를 보 이고 있고, 육류생산량이나 계란과 우유생산량 역시 2008∼2010년간 3%정도의 꾸준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소와 염소는 201년 사육두수가 각각 1,200∼1,300만 두에 달 해 국민 2∼3명당 평균 각각 1두씩의 소와 염소를 기르는 것으로 나타나 많은 숫자를 사육하고 있다. 소, 양, 염소 등의 가축은 95% 정도가 분디부기오(Bundibugyo), 마사 카(Masaka), 캅초르와(Kapchorwa), 카세세(Kasese) 등 일부 건조지대를 중심으로 사육되 고 있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5).

5) 전국적으로 약 75,400Km2에 달하는 이들 유목지대는 건조한 기후로 인해 관개시설이 확충되지 않는 한 다른 농작물 재배에 는 적절치 않은 것으로 판단됨. MAAIF, DSIP 2010/11~14/15, p. 11.

(11)

표 9 주요가축의 사육두수 및 육류 생산량

구 분 사육두수 고기(닭고기) 생산량

2008 2009 2010 2011 2008 2009 2010 2011

소(1,000두, 톤) 11,409 11,751 12,104 12,467 169,950 175,049 180,300 185,709

양(1,000두) 3,413 3,516 3,621 3,730 na na na na

염소(1,000두, 톤) 12,450 12,823 13,208 13,604 31,689 32,640 33,619 34,627

돼지(1,000두, 톤) 3,184 3,280 3,378 3,496 18,540 19,069 19,669 20,259

가금류(1,000수, 톤) 37,404 39,270 43,201 47,520 (24,800) (25,500) (26,300) na

우유(1,000리터) na na na na 1,298 1,334 1,377 1,418

자료: UBOS, Statistical Abstract 2011.

3.2. 지역농업 현황

우간다 국토는 지리적으로 중부, 동부, 북부, 서부로 구분되며 이들 지역별로 농업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3.2.1. 중부지역(Central Region)

수도 캄팔라를 끼고 있는 중부지역의 경우 식량작물 재배면적은 1백만ha에 못 미치 나 마토케 바나나가 단일작물로서 33만ha로 가장 많고, 곡물과 뿌리작물 재배면적도 각각 35.5%와 28.5%에 달한다. 중부지역의 식량작물로는 옥수수가 가장 많아 18만9천 ha에 달하고, 그 다음 두류이며 뿌리작물로는 카사바와 고구마가 각각 13만ha와 10만 ha를 차지하고 있다.

단위면적당 수확량을 다른 지역과 비교해 보면, 대두와 참깨의 경우 중부지역의 단 수가 가장 낮은 편에 속하고 다른 품목의 경우 대체로 중간수준을 나타내고 있으나 쌀의 경우 중부지역은 재배면적도 전체 쌀 면적의 3%미만이고 단당수량 또한 동부지 역의 1/4에도 미치지 못하는 낮은 수준이다.

3.2.2. 동부지역(Eastern Region)

동부지역의 경우 플랜틴(Plantain) 바나나 재배면적은 5%미만이고 곡물과 두류가 74 만ha로 전체의 50%이상을 차지하며, 뿌리작물 면적도 50만ha로 전체 식량작물 면적의 34.5%에 달한다. 단일품목으로는 옥수수와 카사바가 각각 30∼40만ha로 재배면적이 가 장 많다.

(12)

표 11 지역별 주요 곡물류 생산현황

 구 분   바나나

곡물 두류

기장 옥수수 수수 쌀 Beans Field

peas

Cow peas

Pigeon peas 면적

(ha)

중부 326,082 5,832 189,135 2,261 2,637 120,798 470 1,135 -

동부 69,504 86,911 388,762 101,645 36,033 108,107 8,014 12,976 876

동부지역 농업은 플랜틴(Plantain), 옥수수, 수수, 쌀, 고구마, 감자 등의 ha당 수확량이 다른 지역과 비교해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쌀의 경우 ha당 약 3,600kg(조 곡)을 수확하여 중부보다 4배 이상, 북부나 서부보다 두 배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표 10 지역별 주요 작물유별 재배면적

단위: 천 ha, %

  구 분 바나나 곡물 두류 구근류 유지작물 계

면적

중부 326.1 199.9 122.4 230.6 27.8 906.8

동부 69.5 613.4 130.0 503.6 145.0 1,461.4

북부 9.2 628.7 213.9 331.1 321.9 1,504.7

서부 511.1 296.7 248.7 279.1 62.6 1,398.2

계 915.9 1,738.6 715.0 1,344.4 557.3 5,271.1

비중

중부 36.0 22.0 13.5 25.4 3.1 100.0

동부 4.8 42.0 8.9 34.5 9.9 100.0

북부 0.6 41.8 14.2 22.0 21.4 100.0

서부 36.6 21.2 17.8 20.0 4.5 100.0

계 17.4 33.0 13.6 25.5 10.6 100.0

자료: UBOS(2011), Statistical Abstract 2011.

3.2.3. 북부지역(Northern Region)

북부지역은 다른 지역과 달리 플랜틴(plantain) 바나나 재배면적이 전체 식량작물 재배 면적의 1%에도 못 미치고 있다. 반면 곡물류와 뿌리작물의 재배면적이 각각 63만ha, 33 만ha에 달하고 있고, 곡물류 중에서 옥수수와 수수 면적이 각각 25만ha수준이고, 땅콩과 참깨 재배면적이 각각 14만ha, 16만ha 정도로 생산량은 각각 8만 3천 톤과 9만 3천 톤에 달한다.

단수면에서 보면 카사바의 경우 북부지역이 ha당 수량이 다른 어느 지역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기장과 수수의 경우 ha당 수확량이 다른 지역보다 월등히 낮다.

(13)

표 11 지역별 주요 곡물류 생산현황

 구 분   바나나

곡물 두류

기장 옥수수 수수 쌀 Beans Field

peas

Cow peas

Pigeon peas 북부 9,195 105,656 247,780 249,330 25,912 146,702 29,067 9,352 28,786

서부 511,096 51,588 188,583 46,016 10,504 241,915 6,286 354 139

합계 915,877 249,987 1,014,260 399,252 75,086 617,522 43,837 23,817 29,801

생산 (M/T)

중부 1,039,837 13,734 449,859 2,678 2,173 167,276 302 281 -

동부 342,234 106,838 1,108,554 133,313 128,195 98,834 3,233 7,086 219 북부 31,626 78,572 305,798 177,088 43,719 251,221 10,428 3,429 11,031

서부 2,883,648 77,784 497,745 62,716 16,649 411,945 2,489 261 80

합계 4,297,345 276,928 2,361,956 375,795 190,736 929,276 16,452 11,057 11,330

단수 (Kg/

ha)

중부 3,189 2,355 2,379 1,184 824 1,385 643 248 -

동부 4,924 1,229 2,851 1,312 3,558 914 403 546 250

북부 3,439 744 1,234 710 1,687 1,712 359 367 383

서부 5,642 1,508 2,639 1,363 1,585 1,703 396 737 576

합계 4,692 1,108 2,329 941 2,540 1,505 375 464 380

표 12 지역별 구근류 및 유지작물 생산현황

구 분  구근류  유지작물

 고구마 감자 카사바 땅콩 대두 참깨

면적 (ha)

중부 98,054 4,798 127,788 26,504 750 590

동부 159,948 1,271 342,387 122,404 7,279 15,316

북부 60,573 594 269,886 136,893 26,195 158,763

서부 121,681 26,096 131,328 59,431 2,220 928 합계 440,256 32,759 871,389 345,232 36,444 175,597

생산량 (M/T)

중부 312,402 13,290 409,812 32,757 208 127 동부 847,140 4,624 1,061,186 77,247 5,801 6,774 북부 292,932 1,311 983,124 83,182 15,727 93,562

서부 366,295 135,210 440,189 51,497 1,887 565

합계 1,818,769 154,435 2,894,311 244,683 23,623 452,222

단수 (Kg/ha)

중부 3,186 2,770 3,207 1,236 277 215

동부 5,296 3,638 3,099 631 797 442

북부 4,836 2,207 3,643 608 600 589

서부 3,010 5,181 3,352 867 850 609

합계 4,131 4,714 3,321 2,709 2,648 2,575

자료: UBOS(2011), Statistical Abstract 2011.

자료: UBOS, Statistical Abstract 2011.

(14)

3.2.4. 서부지역(Western Region)

서부지역의 플랜틴(plantain) 면적은 51만ha로 우간다 전체 재배면적 91만 5천ha의 56%에 달하며, 생산량 측면에서는 이 품목의 우간다 전체 생산량의 67%를 차지하고 있다는 특징을 지닌다. 또한 감자의 경우 우간다 전체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각각 3만 3천ha와 15만 3천 톤인데 서부지역의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각각 2만 6천ha와 13만 5 천ha로 전체의 79%와 88.2%를 차지하고 있다.

한편 대두와 참깨의 경우 재배면적은 다른 지역보다 훨씬 적어 전국 재배면적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각각 6%와 0.5%에 지나지 않지만 단위면적당 생산량은 다른 지역보 다 높아 특히 중부지방보다는 약 3배 높다.

4. 농업분야 정책 및 추진체계

4.1. 중장기 국가발전계획의 농림수산 분야 정책

4.1.1. 국가발전계획의 배경과 성격

우간다는 2017년까지 절대빈곤 인구를 10%미만으로 줄일 것을 목표로 하여 1997년 이후 세 차례의 빈곤타파행동계획(Poverty Eradication Action Plan, PEAP)을 수립추진 하 였다. PEAP는 우간다 최초의 본격적이고 포괄적인 국가발전전략으로 1997년 처음 수 립된 PEAPⅠ에 이어 2000년과 2004년에는 각각 PEAP II와 PEAP Ⅲ를 각각 수립하여 추진하였음. PEAP 추진기간 중 우간다의 경제는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성장을 기록하 였다. 우간다 정부는 이러한 PEAP 추진기간 중의 성장경험을 토대로 2010년 10월 새 롭게 국가발전계획 (National Development Plan, NDP 2010/11~14/15)을 수립하여 추진 중에 있다.

NDP는 앞으로 30년 안에 생계농업위주의 농업사회에서 현대적이고 번영된 국가로 의 전환 을 비전으로 하여, 성장, 고용, 번영을 위한 사회경제적 변화 (Growth, Employment, and Socio-Economic Transformation for Prosperity)를 추진함을 기본 방향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추진 중인 NDP(2010/11-2014/14)는 이러한 장기비전 달성을 위 해 앞으로 수립 추진될 여섯 차례의 5개년 국가발전계획의 제1차 계획으로써의 성격 을 지니고 있다.

(15)

4.1.2. NDP의 전략과 농업

NDP는 국가 최고수준의 포괄적인 발전전략으로 우간다의 모든 하부계획은 NDP 체 계에 맞추도록 되어있어 농업부문 또한 NDP체계의 한 분야이다. NDP는 이른바 준시 장접근(Quasi-market approach)방법, 즉 전략적 분야에는 정부투자를 활용하고 여타분야 에는 시장원리에 의한 민간투자가 병행되는 전략을 추구한다.

정부는 민간부문발전을 촉진하고 제도적 법률적 지원을 제공하면서 공공부문과 민 간부문의 동반 관계(public private partnership)를 적극 촉진하고 중시하고 있다.

NDP는 4대 투자우선부문 (인적자원개발, 사회간접자본 확충, 핵심생산자재, 과학기 술과 혁신)을 설정하고 있는데, 그 내용을 보면 다음에서 보는 바와 같이 농업과 밀접 한 관계가 있다. 특히 농업용수개발 및 농산물 가공 등에 필요한 에너지부문의 경우 NDP는 2014/15년까지 국민1인당 전기공급량을 75kWh에서 674kWh로 9배가량 획기적 으로 확대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철도 및 도로망을 대폭 확충 개선하도록 계획 되어 있어 농산물의 유통비용절감 및 농민들의 시장접근기회를 확대하는 데 크게 기 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전력공급확대를 위해서는 부자갈리(Bujagali) (250MW)수력발전소를 완공하는 외에 카루마(Karuma) (700MW), 아야고(Ayago) (700MW), 이심바(Isimba) (130MW), 아링가 (Arianga) (400MW) 등지에 수력발전소를 건설하는 동시에 화력, 지열, 바이오매스, 태 양열 등을 활용한 발전소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이들 계획이 순조롭게 진행될 경우, 농촌 전력공급비율은 2015년에 20%까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표 13 NDP의 4대 우선투자순위와 정책개입분야

순위 투자우선순위 정책 개입분야

1 인적자원개발 교육, 건강, 숙련도 향상, 식수와 위생

2 사회간접자본 확충 에너지, 수송인프라, 석유와 가스, 정보통신기술

3 핵심 생산자재 농업용 자재, 철광석, 생산용 수자원, 기상관측, 비료

4 과학기술과 혁신 산업기술과 투입재, 기술양성, 기술흡수와 상업화, 연구기금, 부가가치 증대의

촉진, 과학 공원조성, 자료: National Development Plan (2010/11-2014/15), p.49.

NDP는 또 농업을 수출 및 외화획득, 고용, 식량안보 등의 측면에서 핵심적인 분야 로 인식하고 농업생산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생산요소의 공급에 초점을 맞추고

(16)

있다. 토로로(Tororo) 지역에 인산비료공장을 건설하여 농민들에게 적정가격으로 공급 하고, 다수확 신품종 종자공급을 늘려 농민들의 이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계획이다.

농업용수확보 및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NDP는 농지면적 중 관개수혜택 면적을 14,418ha에서 22,000ha로 늘리고 축산지대 (cattle corridor)의 가축을 위한 물 공급률을 36%에서 50%로, 축산지대 밖의 물 공급률을 21%에서 30%로 높이고 농산물 가공 산 업 및 여타 제조업발전을 위한 농촌지역의 물 공급을 대폭 확대할 계획이다.

표 14 NDP기간 중의 부문별 농업성장률 전망치

단위: %

구 분 2010/11 2011/12 2012/13 2013/14 2014/15

GDP 6.6 7.0 7.2 7.4 7.5

2차 산업 부문 6.0 6.2 6.9 6.7 7.0

서비스산업 7.6 7.8 7.5 7.7 7.8

농림수산업 5.7 5.8 5.4 5.6 5.7

곡물 4.3 4.5 4.1 4.3 4.4

뿌리작물 5.8 6.0 5.6 5.8 5.9

두류 4.5 4.7 4.4 4.6 4.9

마토케(Matooke)6) 5.9 6.1 5.7 5.9 6.0

원예 6.2 6.5 6.1 6.2 6.4

수출작물 4.8 5.0 4.5 4.7 4.8

축산 5.4 5.6 5.2 5.4 5.5

임업 5.7 6.0 6.9 6.7 7.0

자료: National Development Plan (2010/11-2014/15), p.59.

산업부문별로 보면 서비스산업부문이 매년 7.5%이상, 2차 산업 부문이 매년 6∼7%

의 성장률을 나타낼 것으로 추정되며, 농업부문은 6%이하의 상대적으로 낮은 성장을 기록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한편, 농업부문 내부에서 분야별 성장률 전망치를 보면, 곡물, 두류, 커피 면화 담배 차 등의 수출작물의 연평균 성장률은 5%미만으로, NDP는 구근작물, 원예, 축산, 임업 등의 성장률은 상대적으로 높은 5~7%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4.2. 중장기 농림수산분야 주요 개발정책

우간다 정부는 2000년 PEAPII의 추진과 함께 농업부문 중장기 발전계획으로 농업현

6) 초록색의 덜 익은 바나나를 쪄서 으깬 음식.

(17)

대화계획(Plan for Modernization of Agriculture, PMA)을 작성하여 2001년부터 추진해 왔 다. PMA는 PEAP II의 4대 목표가운데 하나인 빈곤층의 능력향상과 소득증대를 달성 하기 위해서는 농업 생산성향상과 농가수취율의 제고, 그리고 취업기회 확대 가 중요 하다고 보고 이를 추구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PMA는 또 농업과 농촌발전이 단지 해당분야의 노력만으로 해결되는 문제가 아니 라 사회 각 분야의 공동노력을 통해서 비로소 성취될 수 있다는 인식을 토대로 마련 된 농업부문에 초점을 맞춘 복수분야정책체계(multi-sectoral policy framework)라는데 특 징이 있다7).

따라서 PMA의 시행을 위해 추진위원회와 사무국을 두고 있는데 추진위원회 위원장 은 재정기획경제발전부(MoFPED)장관이 담당하되, 사무국은 MAAIF에 설치하여 정부 내 여러 부처와 기관간의 업무를 조정하도록 되어 있다.

PMA는 농축수산부(MAAF) 소관 업무뿐 아니라 정부 내 여러 부처들을 포괄하는 정 책체계로 PMA의 수립 추진과정이 대체로 MAAIF가 아닌 재정기획경제발전부(MoFPED) 주도하에 이루어졌다. PMA가 본질적으로 농업부문의 구체적인 프로그램이나 투자계 획이 아니라 일부 전략적인 내용이 포함되어 있기는 하지만 전체적으로는 농업과 관 련된 기본 정책방향을 포괄하는 정책체계(policy framework)이고 이는 현재까지도 유효 한 것으로 볼 수 있다.8) 따라서 PMA는 우간다 농업정책은 물론 국가경제 전반에 걸친 정책방향과 흐름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는 PMA의 비전, 목적, 원칙 등에 나타나 있다.

4.3. 농림수산 발전전략 및 투자계획

우간다 농축수산부(MAAIF)는 2006년 처음으로 농업부문 중기계획인 「발전전략 및 투자계획(Development Strategy and Investment Plan, DSIP) 」을 수립하여 발표하였다.

DSIP는 당시 추진 중이던 농업현대화계획(PMA)에 담긴 국가적 차원의 목표와 우선순 위 및 전략을 농업부문의 구체적 정책 활동으로 표현한 것으로서 정책목표와 정책효 과, 공공투자예산 및 우선순위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2010년 국가발전계획(NDP)이 수립 추진되면서 농업부문에서는 새롭게 DSIP가 작성

7) Government of Uganda 2006. A Joint Evaluation, Uganda's Plan for the Modernization of Agriculture (funded and commissioned: Danida , consultant: Oxford Policy Management Ltd.).

8) 2006년 실시된 PMA 합동 평가단은 “ PMA is a framework, not a program, nor an agricultural strategy”라고 규정하였 고(Government of Uganda. 2006.9), 일부 비판론자에 의해 PMA는 “계획도 아니요, 현대화에 관한 것도 아니며, 꼭 농업에 관한 것도 아니다”(PMA is not a plan, it is not about modernization, and it is not just about agriculture)는 평가를 받는 것도 이 때문임.

(18)

되었는데 이는 2010/11∼2014/15의 제1차 NDP추진기간 중, 농업부문의 구체적인 정책 과 실행계획이라 할 수 있다. 이번에 작성된 DSIP는 경쟁력 있고, 수익성 있으며, 지 속가능한 농업 (Competitive, Profitable, Sustainable Agricultural Sector)을 그 비전으로 내세 우고, 농촌지역의 소득과 생활수준 향상과 가계의 식량과 영양의 안정성 제고를 목적 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4대 실행 목표를 설정하여 이를 달성하기 위한 4개의 정책프 로그램을 제시하고 있다. 4대 실행목표는 첫째, 농작물생산과 축산에 있어서의 요소 (토지, 노동, 자본)생산성의 제고와 수산업의 지속가능성 강화, 둘째, 원료농산물과 가 공농산물의 시장접근성 제고(국내시장, 해외시장), 셋째, 전체적인 가치사슬에 걸쳐 민 간부문의 확대와 수익성제고에 우호적인 법적 제도적 체계구축, 넷째, 농축수산부과 관련기관을 개혁적이고 책임감 있는 분위기에서 현대적이고 고객지향적인 기능을 수 행하도록 기능을 정립하는 것이다. 이들 목표는 사실상 PMA, RDS, NDP 등에서 강조 된 것과 큰 차이가 없다. 이와 함께 DSIP는 우간다의 농업발전을 위해서는 단지 농업 부문만의 노력으로는 불가능함을 분명히 하고 공공투자 특히 농촌도로, 철도, 전기, 통 신시설 등의 기반시설 투자가 병행되지 않고는 6%의 농업발전을 기대할 수 없음을 강 조하고 있다.

4대 실행목표를 토대로 DSIP는 4대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각 프로그램마다 각각 3~8개 총 22개의 세부시책을 제시하였다. 프로그램별 내용을 보면 먼저 8개의 세부시 책으로 구성되어 있는 프로그램 1은 농산물 생산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5개의 세부시 책을 포괄하는 프로그램 2는 농산물 유통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프로그램 3과 4는 정책적, 법적, 제도적 측면의 시책 그리고 그 추진주체인 농축수산부와 관련기관의 정 비에 관한 시책으로 각각 6개와 3개 세부시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DSIP는 전술한 4개의 프로그램 및 22개의 세부시책을 추진하기 위해 회계연도별 소 요예산을 책정하여 5년간 총 2조 7,313억 UgX를 제시하였는데, 그 구성을 보면 역시 첫 번째와 두 번째 프로그램 즉, 농업생산 분야와 농산물 유통분야가 각각 68.6%와 25.0%로 전체의 93.6%를 차지하고 있고 프로그램 3과 4에는 각각 4.2%와 2.2%의 예산 이 배정되어 있다.

세부시책별로 보면 농촌지도와 기술전파(세부시책1.2)가 전체의 26.7%를 차지함으 로서 우간다 농정의 최우선순위가 여기에 있음을 알 수 있고, 그 다음이 농업연구와 기술개발(세부사업 1.1)에 12.6%, 농산물의 부가가치 증대활동 촉진(세부시책 2.3)에 10.0%, 그리고 병충해 방지(세부사업 1.3)과 농업용수 확보(세부사업 1.5)에 각각 8.6%

(19)

와 8.4%가 배정됨으로써 이들 5개 세부시책에 2014/15회계연도까지 농정의 우선순위 가 두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4.4. 정책적 시사점

우간다는 농업 투입재 사용 부족, 품종개발 미흡 등으로 농업생산성이 낮고, 농산물 가공, 저장, 수송 등에 필요한 인프라 조성이 취약해 농업의 경쟁력은 낮은 수준이다.

또한 농축수산부 등 농업관련 정부조직과 관련공공기관 간의 조정기능이 원활히 이루 어지지 못해 농업정책추진도 충분한 성장 동력을 얻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우간다 농 업은 광활한 경지면적, 비옥한 토지, 풍부한 강수량과 연중 2모작 이상이 가능한 기후 조건 등으로 큰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우간다는 현재 수립한 중기농업발전계획인 DSIP를 바탕으로 외국의 공적개발원조 (ODA), 직접투자(FDI) 등을 효율적으로 활용한다면 빈곤 퇴치는 물론 동아프리카의 주 요 식량공급기지로 충분히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된다.

(20)

참고문헌

Embassy of the Kingdom of the Netherlands in Uganda. 2012. 「2012, Food and Justice - Investing in human security in a challenging governance context」. Embassy of the Kingdom of the Netherlands in Uganda.

Government of Uganda 2006. 「A Joint Evaluation, Uganda's Plan for the Modernization of Agriculture」Oxford Policy Management Ltd.

MAAIF. 2010. 「Development Strategy and Investment Plan for 2010/11-2014/15」. MAAIF.

National Planning Authority. 2010. 「National Development Plan, 2010/11-2014/15」Republic of Uganda.

Uganda Bureau Of Statistics. 2006. 「2002 Uganda population and Housing Cencus」. Uganda Bureau Of Statistics.

Uganda Bureau Of Statistics. 2010. 「Uganda Census of Agriculture 2008/09」. Uganda Bureau Of Statistics.

Uganda Bureau Of Statistics. 2011. 「Statistical Abstract」. Uganda Bureau Of Statistics.

Uganda Bureau Of Statistics. 2012. 「Statistical Abstract」. Uganda Bureau Of Statistics.

참고사이트

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www.keri.koreaexim.go.kr) FAO. FAOSTAT (www.fao.org)

참조

관련 문서

5개의 큰 질문을 중심으로 작은 질문을 생산하고 이 모든 질문에 대하여 해답을 찾는 과정이 사업계획수립의 Process 이다.. 이들 질문에

► 최근 5년간 인간의 연구에서 운동은 뇌의 기능을 향상 시키고 노화와 관련하여 인지 손상의 위험률을 감소시키 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

2008년 ‘OECD 유라시아 경쟁력강화프로그램(OECD Eurasia Competitiveness Programme)’의 일환으로 진행 중인 ‘카자흐스탄 경쟁력프로젝트 (Kazakhstan

특히 노트르담 항구와 암스테르담 항구는 유럽 무역 및 운송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원고에서는 네덜란드의 농업 현황을 농업인 구조 및 품목별 생산 과

이스라엘 농업 개황 및 농업정책 파라과이 농업 현황과 시사점 2월 나이지리아 나이지리아 농업 현황

농산물 가공업과 소수의 소비재 산업을 포함하는 제조업은 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위하여 인근 국가와 경쟁하고 있으며 서비스 산업의 비중은 2010년까지 꾸준히

동남아의 주요 농업 원조기관인 세계은행, USAID, JICA의 농업 부문에 대한 국제개 발협력의 특징을 보면 수원국과의 협력을 기반으로 원조 형태가

또한, 아제르바이잔에서 기존 에 생산하고 있는 깊이보다 더 깊은 곳에 석유·가스 가 추가로 발견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 으므로 이러한 탐사 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