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축산물 수출입동향 2016년 1분기 (제4권 제1호)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Share "농축산물 수출입동향 2016년 1분기 (제4권 제1호)"

Copied!
8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Trend of agricultural trade with FTA partners

Ⅰ.

농축산물 수출입 개황

Ⅱ.

FTA 체결국별 수출입 동향

Ⅲ.

주요 품목별 수입 동향 분석 부록. 품목별 심층 분석: 최근 뉴질랜드 키위 산업 동향

FTA 체결국

농축산물 수출입 동향

제 4권 제 1호(통권 제 13호)

2016년

1분기

(2)

국 가

2015년 교역규모(백만 달러)

주요 교역 농축산물

전체 농축산물

수입 수출 수입 수출

칠레

발효(2004.4.1) 4,412(25) 1,742(42) 868(8) 8(48) 수입: 포도, 돼지고기, 포도주, 크렌베리, 키위 수출: 기타 음료, 치즈, 라면, 기타 과실

싱가포르

발효(2006.3.2) 7,944(18) 15,022(8) 132(29) 110(14) 수입: 초콜릿, 기타 코코아조제품, 코코아분말 수출: 딸기, 커피조제품, 맥주, 라면, 밀

EFTA

발효(2006.9.1) 5,122(23) 6,304(20) 64(41) 7(50) 수입: 커피, 초콜릿, 치즈, 효소 수출: 라면, 기타 음료, 커피, 느타리버섯

ASEAN

발효(2007.6.1) 45,037(5) 74,860(2) 4,240(3) 1,029(3) 수입: 바나나, 팜유, 기타 과실, 커피, 파인애플 수출: 커피조제품, 물, 라면, 닭고기, 딸기

인도

발효(2010.1.1) 4,240(27) 12,031(9) 521(18) 73(20) 수입: 참깨, 캐슈넛, 커피, 대두, 보리 수출: 채소종자, 커피조제품, 라면, 기타 당

EU

발효(2011.7.1) 57,178(3) 48,069(4) 3,650(4) 336(7) 수입: 돼지고기, 위스키, 밀, 치즈, 옥수수 수출: 라면, 기타 음료, 커피조제품

페루

발효(2011.8.1) 1,146(43) 1,218(52) 94(33) 4(58) 수입: 커피, 포도, 기타 과실, 바나나 수출: 효소, 라면, 기타 음료, 비스킷, 소주

미국

발효(2012.3.15) 44,029(6) 69,845(3) 7,010(1) 620(4) 수입: 쇠고기, 옥수수, 돼지고기, 밀, 대두 수출: 기타 음료, 라면, 배, 비스킷, 국수

터키

발효(2013.5.1) 789(52) 6,249(21) 51(46) 10(42) 수입: 헤이즐넛, 잎담배, 밀, 캔디 수출: 잎담배, 젤라틴, 채소종자

호주

발효(2014.12.12) 16,451(11) 10,839(12) 2,421(5) 150(10) 수입: 쇠고기, 사탕수수당, 밀, 보리, 치즈 수출: 라면, 커피조제품, 기타 음료

캐나다

발효(2015.1.1) 3,985(29) 4,623(27) 797(12) 109(15) 수입: 돼지고기, 밀, 보리, 감자, 대두 수출: 라면, 기타 음료, 느타리·팽이버섯

뉴질랜드

발효(2015.12.20) 1,224(41) 1,263(50) 815(11) 38(22) 수입: 쇠고기, 치즈, 키위, 녹용, 조제분유 수출: 커피조제품, 라면, 기타 음료, 김치

중국

발효(2015.12.20) 90,237(1) 137,140(1) 4,431(2) 1,054(2) 수입: 쌀, 기타 채소, 고추, 김치, 마늘 수출: 조제분유, 자당, 유자, 홍삼

베트남

발효(2015.12.20) 9,803(13) 27,773(6) 831(9) 372(5) 수입: 대두유, 커피, 기타 과실, 타피오카 수출: 권련, 닭고기, 조제분유, 과당

콜롬비아

비준(2014.4.29) 322(67) 1,129(55) 104(32) 7(51) 수입: 커피, 커피조제품, 기타 절화, 우황 수출: 기타 음료, 효소, 선인장, 라면 주: ( )는 우리나라 수출ㆍ입액의 국가별 순위를 나타냄.

자료: FTA 강국 KOREA, 한국무역통계진흥원, GTA.

FTA 체결 현황

(3)

■ 2016년 1분기 전체 농축산물 수입액은 71억 8천만 달러로 평년 동기 대비 3.2%, 전년 동기 대비 4.9% 감소

•전체 농축산물 수출액은 15억 달러로 평년 동기 대비 7.6%, 전년 동기 대비 3.3% 증가

■ 2016년 1분기 FTA 체결국으로부터의 농축산물 수입액은 58억 3천만 달러로 평년 동기 대비 3.8%, 전년 동기 대비 4.8% 감소

•FTA 체결국으로의 수출액은 8억 3천만 달러로 평년 동기 대비 13.6%, 전년 동기 대비 2.4% 증가

■ 2016년 1분기 농축산물 수입액은 미국·EU·캐나다산 돼지고기, 미국·호주·캐나다산 밀, 아르헨티나·인도산 대두박, 칠레·페루산 포도, 미국산 대두, 중국·에티오피아산 참깨 등의 수입 감소로 전년 동기 대비 4.9% 감소

•증가: 오렌지(3,388만 $), 팥(433만 $), 양파(306만 $), 마늘(267만 $), 녹용(227만 $)

•감소: 돼지고기(△3,647만 $), 밀(△3,531만 $), 대두박(△2,423만 $), 포도(△2,254만 $), 참깨(△1,602만 $)

■ 2016년 1분기 미국, ASEAN, EU, 뉴질랜드, 칠레, 캐나다, 인도, 싱가포르, 페루 등으로부터의 농축산물 수입액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으며, 그중 EU산 수입액(△12.0%)이 가장 크게 감소

•증가: 중국(0.9%), 호주(5.8%), EFTA(6.9%), 터키(2.2%), 베트남(11.7%),

•감소: 미국(△5.2%), ASEAN(△6.2%), EU(△12.0%), 뉴질랜드(△2.2%), 칠레(△19.6%), 캐나다(△5.4%), 인도(△4.9%), 싱가포르(△14.5%), 페루(△22.6%)

■ 2016년 1분기 쇠고기, 돼지고기와 닭고기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모두 증가

•쇠고기 수입량은 국내 도축두수 감소와 가격 상승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28.8% 증가, 돼지고기와 닭고기는 수입단가 하락 등으로 각각 3.0%와 3.3% 증가

■ 2016년 1분기 오렌지와 체리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 포도와 키위는 감소

•오렌지 수입량은 수입단가 하락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73.0% 증가, 체리는 FTA 이행에 따른 뉴질랜드산 관세철폐 등으로 77.0% 증가, 포도는 칠레산 작황부진 등으로 39.0% 감소, 키위는 이탈리아산 수입 감소로 56.6% 감소

■ 2016년 1분기 밀과 대두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 옥수수, 보리와 참깨는 감소

•밀과 대두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0.8%와 9.7% 증가, 옥수수, 보리와 참깨는 각각 1.5%, 56.0%와 13.1% 감소

4.9%↓

4.8%↓

단위: 억 달러 FTA 체결국 누적수입 기타국 누적수입

2015년 2016년 평년

75.5 61.2

71.8 58.3

3.2%↓

3.8%↓

74.2 60.6

단위: 억 달러 FTA 체결국 누적수출 기타국 누적수출

2015년 2016년 평년

14.5

8.1

15.0

8.3

3.3%↑ 7.6%↑

13.6%↑

13.9

2.4%↑ 7.3

요약

summary

(4)

Ⅰ 농축산물 수출입 개황

1) outlook

수입 개황

2016년 1분기 전체 농축산물 수입액은 전년 동기 대비 4.9% 감소한 71억 8천만 달러이며, FTA 체결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은 4.8% 감소한 58억 3천만 달러

단위: 억 달러

25 30

2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평년 2015년 2016년

[1분기 전체 수입액]

75억 5천만 달러(’15.1분기) → 71억 8천만 달러(’16.1분기) [1분기 FTA 체결국 수입액]

61억 2천만 달러(’15.1분기) → 58억 3천만 달러(’16.1분기)

2016년 1분기 미국, ASEAN, EU, 뉴질랜드, 칠레, 캐나다, 인도, 싱가포르, 페루 등으로부터의 농축산물 수입액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으며, 그중 EU산 수입액(△12.0%)이 가장 크게 감소

9.810.69.9

미국 중국 ASEAN EU 브라질 호주 뉴질랜드 칠레 캐나다 러시아 인도 싱가포르 페루 EFTA 터키

단위: 억 달러 평년 1분기 2015년 1분기 2016년 1분기

2.2 2.1 2.1 2.0 2.4 1.9 2.5 1.9 1.8

0.6 0.71.4 1.7 1.4 1.3

0.3 0.40.3 0.2 0.3 0.2 0.2 0.2 0.2 0.1 0.2 0.2 18.417.3

9.8 9.9 16.4

10.0

7.3

4.8 5.7 9.1

5.2 5.9

8.0 6.4 6.3

2016년 1분기 과일·채소(4.5%)와 가공식품(1.2%) 수입액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 곡물(△18.4%), 축산물 (△4.9%), 임산물(△2.8%)은 감소

곡물 과일·채소 축산물 임산물 가공식품

18.7 17.6

14.3

6.0 6.6 6.9

11.8

14.4 13.7 15.1 16.1 15.6

20.5 20.7 21.0

단위: 억 달러 평년 1분기 2015년 1분기 2016년 1분기

1) 농축산물 수출입 개황은 전체 농축산물을 대상으로 분석

(5)

수출 개황

2016년 1분기 전체 농축산물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3% 증가한 15억 달러이며, FTA 체결국으로의 수출액은 2.4% 증가한 8억 3천만 달러

단위: 백만 달러 600

550

500

450

40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평년 2015년 2016년

[1분기 대전체 수출액]

14억 5천만 달러(’15.1분기) → 15억 달러(’16.1분기) [1분기 대FTA 체결국 수출액]

8억 1천만 달러(’15.1분기) → 8억 3천만 달러(’16.1분기)

2016년 1분기 주요 수출대상국 중 일본, EU, 홍콩, 캐나다, 터키, 칠레 등으로의 수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감소, 그중 대UAE 수출액(3.9%)이 가장 크게 증가

23.723.922.2

일본 ASEAN 중국 미국 UAE EU 홍콩 대만 호주 러시아 인도 캐나다 EFTA 터키 칠레

21.8 24.526.1

12.214.216.4

5.97.2 11.1

7.79.4 9.1 7.9 8.9 8.2 6.2 6.57.7

2.1 3.33.5 5.2

2.0 2.4 1.2 1.3 2.3 1.4 2.4 1.4 0.1 0.2 0.2 0.30.3 0.2 0.1 0.2 0.2 30.628.7

27.4

단위: 천만 달러 평년 1분기 2015년 1분기 2016년 1분기

2016년 1분기 과일·채소(10.3%), 임산물(11.2%)과 가공식품(5.2%)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 곡물 (△26.9%)과 축산물(△16.7%)은 감소

곡물 과일·채소 축산물 임산물 가공식품

0.3 0.4 0.3

1.5 1.5 1.7

0.9 1.2 1.0 0.9 0.7 0.8

10.1 10.6 11.2

단위: 억 달러 평년 1분기 2015년 1분기 2016년 1분기

(6)

Ⅱ FTA 체결국별 수출입 동향

2) agricultural trade by FTA partners

미국

2016년 1분기 미국산 농축산물 수입액은 전년 동기 대비 5.2% 감소한 16억 4천만 달러, 대미 수출액은 15.3% 증가한 1억 6천만 달러

단위: 억 달러 9

7

5

3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평년 2015년 2016년

[수입액]

17억 3천만 달러(’15.1분기) → 16억 4천만 달러(’16.1분기) [수출액]

1억 4천만 달러(’15.1분기) → 1억 6천만 달러(’16.1분기)

2016년 1분기 미국산 쇠고기, 돼지고기와 오렌지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 밀과 감자는 감소

2015년 단위: 억 달러

2016년 평년

17.3 16.4

18.4 10.8% 5.2%↓

[쇠고기 수입량]

국내 도축두수 감소와 가격 상승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53.1% 증가

[돼지고기 수입량]

수입단가 하락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25.1% 증가 [오렌지 수입량]

미국 캘리포니아 생산량 증가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74.2% 증가

[밀 수입량]

호주산 수입 증가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2.8% 감소 [감자 수입량]

수입단가 상승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6% 감소

2.9 2.6 4.0 3.8 3.6 4.5

6.6 4.8 8.3

31.1 31.4 30.6

2.8 3.4 2.8

평년 1분기 2015년 1분기 2016년 1분기

쇠고기 돼지고기 오렌지 감자

단위: 만 톤

2) FTA 체결국별 수출입 동향 중 총수출입액은 전체 농축산물 기준이며, 품목별 수입량은 국내 FTA 피해보전제도 사업시행지침 모니터링 품목을 중심으로 해당 품목에 해당하는 HS코드 중 사료용과 종자용 등을 제외한 자료임.

(7)

중국

2016년 1분기 중국산 농축산물 수입액은 전년 동기 대비 소폭(0.9%) 증가한 10억 달러, 대중 수출액은 7.2% 감소한 2억 2천만 달러

단위: 억 달러 4.5

4.0

3.5

3.0

2.5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평년 2015년 2016년

[수입액]

9억 9천만 달러(’15.1분기) → 10억 달러(’16.1분기)

[수출액]

2억 4천만 달러(’15.1분기) → 2억 2천만 달러(’16.1분기)

2016년 1분기 중국산 양파, 당근, 팥, 대두와 밤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모두 증가

2.4%↑

0.9%↑

2015년 단위: 억 달러

2016년 평년

9.9 10.0 9.8

[양파 수입량]

국산 공급량 부족에 따른 TRQ 물량 도입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2.2배 증가

[당근 수입량]

수입단가 하락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24.5% 증가 [팥 수입량]

TRQ 물량 도입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61.4% 증가 [대두 수입량]

TRQ 물량 도입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2.5% 증가 [밤 수입량]

수입단가 하락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44.9% 증가

39.4

21.0 17.7 22.0

6.9 10.1

6.8 7.0

2.0 1.4 2.0 6.5

12.3 10.5 16.0

평년 1분기 2015년 1분기 2016년 1분기

양파 당근 대두

단위: 천 톤

(8)

Ⅱ FTA 체결국별 수출입 동향

agricultural trade by FTA partners

ASEAN

2016년 1분기 ASEAN산 농축산물 수입액은 전년 동기 대비 6.2% 감소한 9억 9천만 달러, 대ASEAN 수출액은 6.6% 증가한 2억 6천만 달러

단위: 억 달러 5

4

3

2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평년 2015년 2016년

[수입액]

10억 6천만 달러(’15.1분기) → 9억 9천만 달러(’16.1분기)

[수출액]

2억 4천만 달러(’15.1분기) → 2억 6천만 달러(’16.1분기)

2016년 1분기 ASEAN산 밀, 당근과 오이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 감자와 참깨는 증가

6.2%↓

2015년 단위: 억 달러

2016년 평년

10.6

9.9 9.8

1.6%↑

[밀 수입량]

상대적으로 높은 수입단가로 인한 수입선 전환 등으 로 전년 동기 대비 6.4% 감소

[당근 수입량]

중국산 수입량 증가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28.5% 감소 [오이 수입량]

수입단가 상승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7% 감소 [참깨 수입량]

수입단가 하락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7배 증가

38.2 44.3 41.4

7.6 41.6

29.7

4.9 12.3 10.6

0.0 0.0 0.7 0.0 0.1 1.7

평년 1분기 2015년 1분기 2016년 1분기

당근 오이 감자 참깨

단위: 백 톤

(9)

E U

2016년 1분기 EU산 농축산물 수입액은 전년 동기 대비 12.0% 감소한 8억 달러, 대EU 수출액은 3.0%

감소한 9,093만 달러

단위: 억 달러 5

4

3

2

1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평년 2015년 2016년

[수입액]

9억 1천만 달러(’15.1분기) → 8억 달러(’16.1분기) [수출액]

9,371만 달러(’15.1분기) → 9,093만 달러(’16.1분기)

2016년 1분기 EU산 돼지고기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 유제품, 보리, 감자와 오렌지 수입량은 증가

2015년 단위: 억 달러

2016년 평년

9.1

8.0

7.3 12.0%↓

10.0%↑

[돼지고기 수입량]

상대적으로 높은 수입단가에 따른 수입선 전환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8.3% 감소

[유제품 수입량]

EU 생산량 증가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31.3% 증가 [보리 수입량]

국내 수요 증가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6.8% 증가 [감자 수입량]

국내 수요 증가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7.1% 증가 [오렌지 수입량]

이탈리아산과 프랑스산 수입 증가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8% 증가

4.4 6.5 5.9

0.3 0.8

1.0

0.4 0.8 0.9

0.1 0.2 0.2

0.0 0.1 0.1

평년 1분기 2015년 1분기 2016년 1분기

돼지고기 유제품 보리 감자 오렌지

단위: 만 톤

(10)

Ⅱ FTA 체결국별 수출입 동향

agricultural imports by FTA partners

호주

2016년 1분기 호주산 농축산물 수입액은 전년 동기 대비 5.8% 증가한 6억 3천만 달러, 대호주 수출액은 5.8% 증가한 3,502만 달러

단위: 억 달러 3.0

2.5

2.0

1.5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평년 2015년 2016년

[수입액]

5억 9천만 달러(’15.1분기) → 6억 3천만 달러(’16.1분기)

[수출액]

3,311만 달러(’15.1분기) → 3,502만 달러(’16.1분기)

2016년 1분기 쇠고기, 밀, 감자와 체리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 보리는 감소

10.8%↑

5.8%↑

2015년 단위: 억 달러

2016년 평년

5.9 6.3

5.7

[쇠고기 수입량]

국내 도축두수 감소와 수입단가 하락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2% 증가

[밀 수입량]

수입단가 하락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6% 증가 [보리 수입량]

도입 및 통관 시차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50.5% 감소 [감자 수입량]

수입단가 하락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배 증가 [체리 수입량]

수입단가 하락과 관세율 인하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30.2% 증가

53.9

252.7 222.2

252.5

46.7

4.6 5.2 12.0

0.0 0.2 0.3 61.1

46.0 30.3 40.0

평년 1분기 2015년 1분기 2016년 1분기

쇠고기 보리 감자 체리

단위: 천 톤

(11)

칠레

2016년 1분기 농축산물 수입액은 전년 동기 대비 19.6% 감소한 1억 9천만 달러, 대칠레 수출액은 1.2%

감소한 161만 달러

단위: 억 달러 1.6

1.2

0.8

0.4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평년 2015년 2016년

[수입액]

2억 4천만 달러(’15.1분기) → 1억 9천만 달러(’16.1분기)

[수출액]

163만 달러(’15.1분기) → 161만 달러(’16.1분기)

2016년 1분기 돼지고기와 쇠고기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 포도와 호두는 감소

4.6%↓

19.6%↓

2015년 단위: 억 달러

2016년 평년

2.4

1.9 2.0

[돼지고기 수입량]

수입단가 하락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37.2% 증가 [쇠고기 수입량]

국내 도축두수 감소와 가격 상승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40.7% 증가

[포도 수입량]

작황부진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47.2% 감소 [호두 수입량]

미국산 수입 증가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83.6% 감소

8,638

98 128 180

113

151 143 159

131 21 16,285

18,235

9,622 6,295

8,128

평년 1분기 2015년 1분기 2016년 1분기

돼지고기 쇠고기 포도 딸기 호두

단위: 톤

(12)

Ⅱ FTA 체결국별 수출입 동향

agricultural trade by FTA partners

베트남

2016년 1분기 베트남산 농축산물 수입액은 전년 동기 대비 11.7% 증가한 2억 1천만 달러, 대베트남 수출액은 6.2% 증가한 8,968만 달러

단위: 억 달러 1.0

0.8

0.6

0.4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평년 2015년 2016년

[수입액]

1억 9천만 달러(’15.1분기) → 2억 1천만 달러(’16.1분기)

[수출액]

8,445만 달러(’15.1분기) → 8,968만 달러(’16.1분기)

2016년 1분기 베트남산 당근과 오이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 밀은 증가

40.0% 11.7%↑

2015년 단위: 억 달러

2016년 평년

1.9

2.1

1.5

[당근 수입량]

현지 출하시기 지연 및 중국산 수입량 증가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28.5% 감소

[밀 수입량]

수입단가 하락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51.7% 증가 [오이 수입량]

수입단가 상승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7% 감소

2,971

94 1,415

2,147

485

2 0 16 0 0 5

1,225 1,058 4,155

760

평년 1분기 2015년 1분기 2016년 1분기

당근 오이 감자 고구마

단위: 톤

(13)

뉴질랜드

2016년 1분기 뉴질랜드산 농축산물 수입액은 전년 동기 대비 2.2% 감소한 2억 1천만 달러, 대뉴질랜드 수출액은 9.0% 감소한 873만 달러

단위: 억 달러 1.0

0.8 0.9

0.7

0.6

0.5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평년 2015년 2016년

[수입액]

2억 1,163만 달러(’15.1분기) → 2억 691만 달러(’16.1분기)

[수출액]

959만 달러(’15.1분기) → 873만 달러(’16.1분기)

2016년 1분기 뉴질랜드산 쇠고기, 유제품과 체리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

6.4%↓

2.2%↓

2015년 단위: 억 달러

2016년 평년

2.12 2.07 2.21

[쇠고기 수입량]

수입단가 하락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22.3% 증가 [유제품 수입량]

수입단가 하락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7.2% 증가 [체리 수입량]

수입단가 하락과 관세율 인하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배 증가

8,162

4,432 4,366

4,682

101 111 280

9 10 9 18 51

0 6,676

7,896

평년 1분기 2015년 1분기 2016년 1분기

쇠고기 유제품 체리 감자

단위: 톤

(14)

Ⅱ FTA 체결국별 수출입 동향

agricultural trade by FTA partners

기타 국가

[캐나다] 2016년 1분기 농축산물 수입액은 전년 동기 대비 5.4% 감소한 1억 8천만 달러, 대캐나다 수출액은 39.3% 감소한 1,440만 달러

26.5%↓

5.4%↓

2015년 단위: 억 달러

2016년 평년

1.9 1.8

2.5

[돼지고기 수입량]

1만 3천 톤(’15.1분기) → 1만 톤(’16.1분기) [밀 수입량]

3만 1천 톤(’15.1분기) → 1만 5천 톤(’16.1분기) [대두 수입량]

2,620톤(’15.1분기) → 3,284톤(’16.1분기) [감자 수입량]

1,354톤(’15.1분기) → 2,028톤(’16.1분기)

[인도] 2016년 1분기 농축산물 수입액은 전년 동기 대비 4.9% 감소한 1억 3천만 달러, 대인도 수출액은 78.4% 증가한 2,318만 달러

21.4%↓

4.9%↓

2015년 단위: 억 달러

2016년 평년

1.4 1.3

1.7

[보리 수입량]

1만 톤(’15.1분기) → 59톤(’16.1분기) [참깨 수입량]

3,699톤(’15.1분기) → 8,495톤(’16.1분기) [대두 수입량]

2,322톤(’15.1분기) → 2,736톤(’16.1분기)

[싱가포르] 2016년 1분기 농축산물 수입액은 전년 동기 대비 14.5% 감소한 3,185만 달러, 대싱가포르 수출액은 8.6% 감소한 2,868만 달러

8.5%↓

14.5%↓

2015년 단위: 백만 달러

2016년 평년

37.2

31.8

34.8

[밀(가공/식용) 수입량]

1,218톤(’15.1분기) → 420톤(’16.1분기)

(15)

[페루] 2016년 1분기 농축산물 수입액은 전년 동기 대비 22.6% 감소한 2,467만 달러, 대페루 수출액은 81.7%

증가한 124만 달러

18.9%↑

22.6%

2015년 단위: 백만 달러

2016년 평년

31.9

24.7

20.7

[포도 수입량]

4,943톤(’15.1분기) → 3,772톤(’16.1분기) [커피 수입량]

2,596톤(’15.1분기) → 2,231톤(’16.1분기) [바나나 수입량]

1,305톤(’15.1분기) → 1,669톤(’16.1분기)

[EFTA] 2016년 1분기 농축산물 수입액은 전년 동기 대비 6.9% 증가한 1,661만 달러, 대EFTA 수출액은 41.7%

증가한 246만 달러

0.6%↑

6.9%↑

2015년 단위: 백만 달러

2016년 평년

15.5

16.6 16.5

[유제품 수입량]

76톤(’15.1분기) → 20톤(’16.1분기) [커피 수입량]

104톤(’15.1분기) → 150톤(’16.1분기)

[터키] 2016년 1분기 농축산물 수입액은 전년 동기 대비 2.2% 증가한 1,585만 달러, 대터키 수출액은 45.7%

감소한 165만 달러

11.7%↑

2.2%↑

단위: 백만 달러

15.5 15.8

14.2

[밀 수입량]

1,911톤(’15.1분기) → 1,278톤(’16.1분기) [기타 과실 수입량]

146톤(’15.1분기) → 267톤(’16.1분기)

(16)

Ⅲ 주요 품목별 수입 동향 분석

3) import trends by main products

축산물

livestock products

2016년 1분기 쇠고기, 돼지고기와 닭고기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8.8%, 3.0%와 3.3% 증가

45

29 29

8 7 7

49 38 40

단위: 천 톤 1월 2월 3월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쇠고기]

8만 톤(’15.1분기) → 10만 3천 톤(’16.1분기) [돼지고기]

12만 2천 톤(’15.1분기) → 12만 6천 톤(’16.1분기) [닭고기]

2만 1천 톤(’15.1분기) → 2만 2천 톤(’16.1분기)

2016년 1분기 쇠고기와 돼지고기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모두 증가, 닭고기는 감소

79 80 103

27 21 22 108

122 126

단위: 천 톤 평년 1분기 2015년 1분기 2016년 1분기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쇠고기]

국내 도축두수 감소와 가격 상승 등으로 평년 동기 대비 30.7% 증가

[돼지고기]

국내 수요 증가 및 수입단가 하락으로 평년 동기 대비 16.6% 증가

[닭고기]

국내 도계마릿수 증가 등으로 평년 동기 대비 19.8%

감소

2016년 1분기 쇠고기, 돼지고기와 닭고기의 평균 수입단가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3.9%, 18.1%와 9.1%

하락

단위: $/kg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5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월 2월 3월

4월 6월 7월 4월5월6월 7월8월 9월 10월 11월 12월 1월 2월 3월

2014년 2015년 2016년

7.50 6.00 4.50 3.00 1.50 0.00

[쇠고기]

6.60$/kg(’15.1분기) → 5.69$/kg(’16.1분기)

[돼지고기]

3.17$/kg(’15.1분기) → 2.59$/kg(’16.1분기)

[닭고기]

2.09$/kg(’15.1분기) → 1.90$/kg(’16.1분기)

3) 주요 품목별 수입 동향은 국내 FTA 피해보전제도 사업시행지침 모니터링 품목을 중심으로 해당 품목에 해당하는 HS코드 중 사료용과 종자용 등을 제외한 자료임.

(17)

쇠고기 beef

2016년 1분기 쇠고기 수입량은 국내 도축두수 감소(△17.8%)와 주요 수출국의 수입단가 하락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28.8% 증가한 10만 3천 톤

단위: 천 톤 50 45

30 35 40

25 20 15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평년 2015년 2016년

[한우 도축두수]

24만 5천 두(’15.1분기) → 20만 1천 두(’16.1분기) [한우가격]

5,090천 원/600kg(’15.1분기) → 6,582천 원/600kg(’16.1분기) [수입단가]

호주산: 6.08$/kg(’15.1분기) → 5.48$/kg(’16.1분기) 미국산: 8.06$/kg(’15.1분기) → 6.37$/kg(’16.1분기)

2016년 1분기 호주산, 미국산과 뉴질랜드산 쇠고기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7.2%, 53.1%와 22.3% 증가

2015년 단위: 천 톤

2016년 평년

80 28.8%↑ 30.7% 79

103

뉴질랜드 7기타 7

뉴질랜드 8기타 9

기타 10 뉴질랜드 8 미국

26

미국 40

미국 29

호주 46

호주

54 호주

40

[호주산]

4만 6천 톤(’15.1분기) → 5만 4천 톤(’16.1분기) [미국산]

2만 6천 톤(’15.1분기) → 4만 톤(’16.1분기) [뉴질랜드산]

6,676톤(’15.1분기) → 8,162톤(’16.1분기)

2016년 1분기 냉동쇠고기, 냉동갈비와 냉장쇠고기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3.4%, 32.7%와 23.1%

증가

기타 15.9%

냉동갈비

26.7% 냉동

쇠고기46.0%

호주: 65.8%

미국: 33.6%

호주: 66.0%

미국: 27.3%

2016년 1분기

냉장쇠고기 12.2%

미국: 62.4%

호주: 21.9%

뉴질랜드: 13.6%

[냉동쇠고기]

3만 5천 톤(’15.1분기) → 4만 7천 톤(’16.1분기) [냉동갈비]

2만 1천 톤(’15.1분기) → 2만 8천 톤(’16.1분기) [냉장쇠고기]

9,827톤(’15.1분기) → 1만 2천 톤(’16.1분기)

(18)

주요 품목별 수입 동향 분석

import trends by main products

17

돼지고기 pork

2016년 1분기 돼지고기 수입량은 국내 도축두수 증가(7.2%)에도 불구하고 주요 수출국의 수입단가 하락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3.0% 증가한 12만 6천 톤

단위: 천 톤 65

55

45

35

25

15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평년 2015년 2016년

[돼지 도축두수]

385만 두(’15.1분기) → 412만 두(’16.1분기) [돼지가격]

393천 원/110kg(’15.1분기) → 354천 원/110kg(’16.1분기) [수입단가]

EU산: 3.08$/kg(’15.1분기) → 2.60$/kg(’16.1분기) 미국산: 3.54$/kg(’15.1분기) → 2.52$/kg(’16.1분기)

2016년 1분기 EU산과 캐나다산 돼지고기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8.3%와 18.8% 감소, 미국과 칠레산은 각각 25.1%와 37.2% 증가

16.6%↑

단위: 천 톤

2015년 2016년 평년

122

3.0%↑ 108 126

캐나다 13

칠레 6 칠레 9

캐나다 10 칠레 8 캐나다 10

캐나다 15 미국

36 미국

45 미국

38 EU

65 EU

44 EU

59

[EU산]

6만 5천 톤(’15.1분기) → 5만 9천 톤(’16.1분기) [미국산]

3만 6천 톤(’15.1분기) → 4만 5천 톤(’16.1분기) [캐나다산]

1만 3천 톤(’15.1분기) → 1만 톤(’16.1분기) [칠레산]

6,295톤(’15.1분기) → 8,638톤(’16.1분기)

2016년 1분기 냉동돼지고기, 냉동삼겹살과 냉장삼겹살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0.8%, 17.7%와 10.6% 증가

냉동돼지고기 67.5%

기타 6.5%

냉장삼겹

1.9% 냉동삼겹

24.1%

2016년 1분기

EU: 36.1%

미국: 49.0%

캐나다: 8.9%

칠레: 4.5%

칠레: 32.2%

캐나다: 28.2%

미국: 26.0%

멕시코: 10.1%

EU: 83.8%

칠레: 14.7%

미국: 1.4%

[냉동돼지고기]

8만 4천 톤(’15.1분기) → 8만 5천 톤(’16.1분기) [냉동삼겹살]

2만 6천 톤(’15.1분기) → 3만 톤(’16.1분기) [냉장삼겹살]

2,127톤(’15.1분기) → 2,353톤(’16.1분기)

(19)

닭고기 chicken

2016년 1분기 닭고기 수입량은 국내 도계마릿수 증가(11.6%)에도 불구하고 주요 수출국의 수입단가 하락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3.3% 증가한 2만 2천 톤

단위: 천 톤 14

12

10 8

6

4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평년 2015년 2016년

[도계마릿수]

1억 5,641만 마리(’15.1분기) → 1억 6,228만 마리(’16.1분기) [육계 산지가격]

1,725원/kg(’15.1분기) → 1,422원/kg(’16.1분기) [수입단가]

브라질산: 2.63$/kg(’15.1분기) → 1.96$/kg(’16.1분기) 미국산: 1.39$/kg(’15.1분기) → 0.89$/kg(’16.1분기) EU산: 1.98$/kg(’15.1분기) → 1.72$/kg(’16.1분기)

2016년 1분기 미국산과 EU산 닭고기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89.6%와 1.0% 감소, 브라질산은 71.0% 증가

2015년 단위: 천 톤

2016년 평년

21

27

3.3%↑ 22 19.8%

EU 1

브라질 11

브라질

19 브라질

11 미국

8

미국 14 미국 1EU 2

EU 2

[브라질산]

1만 1천 톤(’15.1분기) → 1만 9천 톤(’16.1분기) [EU산]

2,100톤(’15.1분기) → 2,079톤(’16.1분기) [미국산]

8,132톤(’15.1분기) → 846톤(’16.1분기)

2016년 1분기 냉동닭다리와 냉동닭가슴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6%와 31.3% 증가, 냉동닭날개는 18.3% 감소

냉동닭날개 3.9%

기타 5.1%

냉동닭가슴 1.6%

냉동닭다리 89.4%

2015년 1분기

EU: 83.7%

브라질: 16.3%

미국: 4.3%

브라질: 93.7%

2016년 1분기

[냉동닭다리]

1만 9천 톤(’15.1분기) → 2만 톤(’16.1분기) [냉동닭날개]

1,057톤(’15.1분기) → 864톤(’16.1분기) [냉동닭가슴]

266톤(’15.1분기) → 349톤(’16.1분기)

(20)

주요 품목별 수입 동향 분석

import trends by main products

유제품

dairy products

2016년 1분기 치즈와 분유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7.7%와 15.7% 감소, 버터는 63.0% 증가

7.9 9.6

8.7

1.6 1.3 1.8 1.1 1.3 0.8

치즈 분유 버터

단위: 천 톤 1월 2월 3월

[치즈]

2만 8톤(’15.1분기) → 2만 6천 톤(’16.1분기) [분유]

5,617톤(’15.1분기) → 4,736톤(’16.1분기) [버터]

1,953톤(’15.1분기) → 3,183톤(’16.1분기)

2016년 1분기 치즈, 분유와 버터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모두 증가

4.1

1.4 5.6

2.0 20.4

28.426.2

4.7 3.2

치즈 분유 버터

단위: 천 톤 평년 1분기 2015년 1분기 2016년 1분기

[치즈]

EU산 수입량 증가 등으로 평년 동기 대비 28.7% 증가 [분유]

EU산과 뉴질랜드산 수입량 증가 등으로 평년 동기 대비 15.7% 증가

[버터]

EU산, 호주산과 뉴질랜드산 수입량 증가 등으로 평년 동기 대비 1.2배 증가

2016년 1분기 치즈, 분유와 버터의 평균 수입단가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5.0%, 29.2%와 4.4% 하락

3월 12월

5월 7월 9월 11월 4월 6월 8월 2월

4월 6월 8월 10월 1월 2월 3월 5월 7월 9월10월11월12월1월

2014년 2015년 2016년

7.00

5.50

4.00

2.50

1.00

단위: $/kg 치즈 분유 버터

[치즈]

4.77$/kg(’15.1분기) → 4.06$/kg(’15.1분기) [분유]

3.24$/kg(’15.1분기) → 2.29$/kg(’15.1분기) [버터]

4.09$/kg(’15.1분기) → 3.91$/kg(’15.1분기)

(21)

치즈 cheese

2016년 1분기 치즈 수입량은 주요 수출국의 생산량 증가와 수입단가 하락에도 불구하고 미국산 수입 감소로 전년 동기 대비 7.7% 감소한 2만 6천 톤

12 15

9

6

3

0

6월 8월

1월 2월 3월 4월 5월 7월 9월 10월 11월 12월

단위: 천 톤 평년 2015년 2016년

[치즈 생산량]

미국: 84만 5천 톤(’15.1~2월) → 88만 8천 톤(’16.1~2월) EU: 72만 7천 톤(’15.1월) → 73만 7천 톤(’16.1월) 호주: 2만 8,897톤(’15.1월) → 2만 8,993톤(’16.1월)

※ 자료: USDA, EU MMO, Dairy Australia

[수입단가]

미국산: 4.78$/kg(’15.1분기) → 4.27$/kg(’16.1분기) EU산: 4.87$/kg(’15.1분기) → 4.15$/kg(’16.1분기) 뉴질랜드산: 4.54$/kg(’15.1분기) → 3.37$/kg(’16.1분기) 호주산: 4.54$/kg(’15.1분기) → 3.73$/kg(’16.1분기)

2016년 1분기 EU산과 뉴질랜드산 치즈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3.2%와 12.8% 증가, 미국산과 호주산은 각각 30.2%와 20.8% 감소

28.7%↑

7.7% 26

20

뉴질랜드 5

미국 10 호주 2

EU 3 호주 128

뉴질랜드 4

EU 7

미국 15

EU 10

미국 11 호주 1 뉴질랜드 4 단위: 천 톤

2015년 2016년 평년

[미국산]

1만 5천 톤(’15.1분기) → 1만 1천 톤(’16.1분기) [EU산]

7천 톤(’15.1분기) → 1만 톤(’16.1분기) [뉴질랜드산]

3,913톤(’15.1분기) → 4,414톤(’16.1분기) [호주산]

1,411톤(’15.1분기) → 1,117톤(’16.1분기)

2016년 1분기 모차렐라와 체더치즈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7.0%와 23.0% 감소, 크림치즈는 6.2% 증가

기타 18.0%

크림 9.6%

체더 15.9%

모차렐라 56.5%

2016년 1분기

미국: 71.1%

호주: 22.4%

뉴질랜드: 63.3%

미국: 21.3% EU: 51.8%

미국: 39.8%

[모차렐라치즈]

1만 6천 톤(’15.1분기) → 1만 5천 톤(’16.1분기) [체더치즈]

5,433톤(’15.1분기) → 4,183톤(’16.1분기) [크림치즈]

2,367톤(’15.1분기) → 2,514톤(’16.1분기)

(22)

주요 품목별 수입 동향 분석

import trends by main products

분유 dry milk

2016년 1분기 분유 수입량은 주요 수출국의 생산량 감소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7% 감소한 4,736톤

단위: 천 톤 평년 2015년 2016년

2.5 3.0

2.0 1.5 1.0

0.0 0.5

6월 8월

1월 2월 3월 4월 5월 7월 9월 10월11월 12월

[분유 생산량]

EU: 5만 2천 톤(’15.1월) → 6만 4천 톤(’16.1월) 미국: 14만 3천 톤(’15.1~2월) → 12만 7천 톤(’16.1~2월) 호주: 2만 3천 톤(’15.1월) → 2만 1천 톤(’16.1월)

※ 자료: USDA, EU MMO, Dairy Australia

[수입단가]

EU산: 3.14$/kg(’15.1분기) → 2.46$/kg(’16.1분기) 호주산: 3.28$/kg(’15.1분기) → 2.07$/kg(’16.1분기) 뉴질랜드산: 3.43$/kg(’15.1분기) → 2.32$/kg(’16.1분기) 미국산: 3.22$/kg(’15.1분기) → 2.48$/kg(’16.1분기)

2016년 1분기 EU산, 미국산과 호주산 분유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7.1%, 48.5%와 16.3% 감소, 뉴질랜드산은 15.2% 증가

단위: 톤

14.7%↑

15.7%

EU 2,260

호주 2,055 미국 525 뉴질랜드 757

EU 1,874 호주 1,720 미국 270 뉴질랜드 872

EU 1,324

호주 2,082 미국 321 뉴질랜드 305 5,617

4,736

4,130

2015년 2016년 평년

[EU산]

2,260톤(’15.1분기) → 1,874톤(’16.1분기) [호주산]

2,055톤(’15.1분기) → 1,720톤(’16.1분기) [뉴질랜드산]

757톤(’15.1분기) → 872톤(’16.1분기) [미국산]

525톤(’15.1분기) → 270톤(’16.1분기)

2016년 1분기 탈지분유와 전지분유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6.9%와 7.2% 감소

전지 14.0%

2016년 1분기

탈지 86.0%

뉴질랜드: 59.2%

호주: 17.8%

EU: 11.0%

EU: 44.2%

호주: 39.3%

[탈지분유]

4,901톤(’15.1분기) → 4,073톤(’16.1분기) [전지분유]

715톤(’15.1분기) → 664톤(’16.1분기)

(23)

버터 butter

2016년 1분기 버터 수입량은 EU산 수입단가 하락 및 한·뉴질랜드 FTA 이행에 따른 뉴질랜드산 TRQ 적용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63.0% 증가한 3,183톤

단위: 백 톤 평년 2015년 2016년

14 12 10 8 6 4 2 0

6월 8월

1월 2월 3월 4월 5월 7월 9월10월11월 12월

[버터 생산량]

미국: 15만 2천 톤(’15.1~2월) → 15만 7천 톤(’16.1~2월) EU: 17만 3천 톤(’15.1월) → 18만 3천 톤(’16.1월) 호주: 8천 톤(’15.1월) → 6천 톤(’16.1월)

※ 자료: USDA, EU MMO, Dairy Australia

2016년 1분기 뉴질랜드산, EU산과 호주산 버터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0배, 1.5배와 23.0% 증가, 미국산은 50.0% 감소

단위: 톤

121.1 63.0%↑ %↑

뉴질랜드 724 호주 605 EU 331 미국 279

뉴질랜드 1,463

호주 744

EU 812 미국 140

뉴질랜드 702 호주 244

EU 182 미국 221 1,953

3,183

1,440

2015년 2016년 평년

[뉴질랜드산]

724톤(’15.1분기) → 1,463톤(’16.1분기) [EU산]

331톤(’15.1분기) → 812톤(’16.1분기) [호주산]

605톤(’15.1분기) → 744톤(’16.1분기) [미국산]

279톤(’15.1분기) → 140톤(’16.1분기)

2016년 1분기 뉴질랜드산, 호주산과 미국산 버터 평균 수입단가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0.7%, 2.6%와 6.6% 상승, EU산은 16.2% 하락

12월 2월 2월

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 1월 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1월 3월

2014년 2015년 2016년

8.00

6.00

4.00

2.00

단위: $/kg 뉴질랜드 EU 미국 호주

[뉴질랜드산]

3.44$/kg(’15.1분기) → 3.53$/kg(’16.1분기) [EU산]

5.56$/kg(’15.1분기) → 4.66$/kg(’16.1분기) [호주산]

3.52$/kg(’15.1분기) → 3.55$/kg(’16.1분기) [미국산]

5.42$/kg(’15.1분기) → 5.77$/kg(’16.1분기)

(24)

주요 품목별 수입 동향 분석

import trends by main products

과일

fruits

2016년 1분기 오렌지와 체리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73.0%와 77.0% 증가, 포도와 키위는 각각 39.0%와 56.6% 감소

5,210

2,819

0

461 10,830

3,938

20 144

68,324

8,077

138 0

단위: 톤 1월 2월 3월

오렌지 포도 키위 체리

[오렌지]

4만 9천 톤(’15.1분기) → 8만 4천 톤(’16.1분기) [포도]

2만 4천 톤(’15.1분기) → 1만 5천 톤(’16.1분기) [키위]

363톤(’15.1분기) → 158톤(’16.1분기) [체리]

342톤(’15.1분기) → 606톤(’16.1분기)

2016년 1분기 오렌지와 체리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모두 증가, 포도와 키위는 감소

66

19

0.3 0.4 0.2 0.1 0.3 0.6 49

24 84

15

단위: 천 톤 평년 1분기 2015년 1분기 2016년 1분기

오렌지 포도 키위 체리

[오렌지]

미국 캘리포니아 생산량 증가로 평년 동기 대비 28.2% 증가

[포도]

칠레 작황부진과 페루산 수입량 감소 등으로 평년 동기 대비 23.3% 감소

[키위]

EU산 수입 감소로 평년 동기 대비 47.0% 감소 [체리]

호주산과 뉴질랜드산 수입단가 하락 및 관세율 인하 등으로 평년 동기 대비 4.2배 증가

2016년 1분기 오렌지, 포도, 키위와 체리의 평균 수입단가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7.5%, 0.6%, 49.2%와 12.4% 하락

단위: $/kg 품목: 체리

단위:$/kg 품목: 오렌지, 포도, 키위

포도 키위

오렌지 체리

25.00 20.00 15.00 10.00 5.00 0.00

7월 9월 11월

5월 8월 10월 12월 1월2월3월

4월 6월 7월8월9월10월11월12월1월2월3월4월5월6월

2014년 2015년 2016년

5.00 4.00 3.00 2.00 1.00 0.00

[오렌지]

1.56$/kg(’15.1분기) → 1.44$/kg(’16.1분기) [포도]

3.34$/kg(’15.1분기) → 3.32$/kg(’16.1분기) [키위]

2.70$/kg(’15.1분기) → 1.37$/kg(’16.1분기) [체리]

12.34$/kg(’15.1분기) → 10.81$/kg(’16.1분기)

(25)

오렌지 orange

2016년 1분기 오렌지 수입량은 미국 캘리포니아 지역의 생산량 증가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73.0% 증가한 8만 4천 톤

단위: 천 톤 평년 2015년 2016년

80 70 60 50 40 30 20 10 0

6월 8월

1월 2월 3월 4월 5월 7월 9월 10월 11월 12월

[미국(캘리포니아) 생산량]

141만 9천 톤(’14/’15) → 152만 4천 톤(’15/’16)

※자료: USDA NASS(’16.4), 비발렌시아 기준

2016년 1분기 미국산과 스페인산 오렌지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74.2%와 13.8% 증가

단위: 천 톤

49

미국 48

84

미국 83

66

미국 66

73.0% 28.2%

2015년 2016년 평년

[미국산]

4만 8천 톤(’15.1분기) → 8만 3천 톤(’16.1분기) [스페인산]

969톤(’15.1분기) → 1,103톤(’16.1분기)

2016년 1분기 미국산 오렌지 평균 수입단가는 전년 동기 대비 7.9% 하락, 스페인산은 7.6% 상승

단위: $/kg 4.50 4.00 3.50 3.00 2.50 2.00 1.50 1.00 0.50 0.00

7월 9월 11월 1월 3월

5월 8월 10월 12월 2월

4월 6월 7월8월9월10월11월12월1월2월3월 4월5월6월

2014년 2015년 2016년

미국 칠레 남아공 스페인

[미국산]

1.57$/kg(’15.1분기) → 1.44$/kg(’16.1분기) [스페인산]

1.02$/kg(’15.1분기) → 1.10$/kg(’16.1분기)

(26)

주요 품목별 수입 동향 분석

import trends by main products

포도 grape

2016년 1분기 포도 수입량은 칠레의 작황부진과 페루산 수입 감소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39.0% 감소한 1만 5천 톤

35 30 25 20 15 10 5 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12월

단위: 천 톤 평년 2015년 2016년

[수입단가]

칠레산: 3.45$/kg(’15.1분기) → 3.56$/kg(’16.1분기) 페루산: 3.11$/kg(’15.1분기) → 3.02$/kg(’16.1분기) 미국산: 2.55$/kg(’15.1분기) → 2.46$/kg(’16.1분기)

2016년 칠레산과 페루산 포도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7.2%와 23.7% 감소, 미국산은 23.8% 증가

39.0%

23.3%

칠레 18 미국 1 페루 5 24

칠레 10 미국 1 페루 4 15

칠레 16 페루 3미국 1

19 단위: 천 톤

2015년 2016년 평년

[칠레산]

1만 8천 톤(’15.1분기) → 9,622톤(’16.1분기) [페루산]

4,943톤(’15.1분기) → 3,772톤(’16.1분기) [미국산]

968톤(’15.1분기) → 1,198톤(’16.1분기)

2016년 1분기 신선포도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41.8% 감소, 건포도는 25.8% 증가

2016년 1분기

신선 91.5%

건조 8.5%

칠레: 70.7%

페루: 27.8%

호주: 1.5%

미국: 95.4%

칠레: 1.6%

터키: 1.2%

[신선포도]

2만 3천 톤(’15.1분기) → 1만 4천 톤(’16.1분기) [건포도]

998톤(’15.1분기) → 1,256톤(’16.1분기)

(27)

키위 kiwi

2016년 1분기 키위 수입량은 이탈리아산 수입 감소로 전년 동기 대비 56.6% 감소한 158톤

단위: 천 톤 평년 2015년 2016년

6

6월 8월

1월 2월 3월 4월 5월 7월 9월 10월 11월 12월 5

4 3 2 1 0

[이탈리아산 키위 출하 및 수입시기]

출하시기: 10월 말 또는 11월 초부터 수확 수입시기: 1~4월

[EU산 키위 수입 허용시기]

이탈리아산: ’12년 4월 프랑스산: ’13년 8월 [국산 출하량]

864톤(’15.1분기) → 694톤(’16.1분기)

2016년 1분기 이탈리아산과 프랑스산 키위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63.9%와 50.0% 감소

297

EU (472) 56.6%

47.0%

158

기타 20 EU 138 363

EU 363 단위: 톤

2015년 2016년 평년

[이탈리아산]

317톤(’15.1분기) → 115톤(’16.1분기) [프랑스산]

46톤(’15.1분기) → 23톤(’16.1분기)

2016년 1분기 이탈리아산과 프랑스산 키위 평균 수입단가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60.4%와 7.8% 하락

7월 9월 11월 1월 3월

5월 8월 10월 12월 2월

4월 6월 7월8월9월10월11월12월1월2월3월4월5월6월

단위: $/kg 칠레 뉴질랜드

3.50 3.00 2.50 2.00 1.50 1.00 0.50 0.00

2014년 2015년 2016년

EU

[이탈리아산]

2.89$/kg(’15.1분기) → 1.14$/kg(’16.1분기) [프랑스산]

1.44$/kg(’15.1분기) → 1.33$/kg(’16.1분기)

참조

Outline

관련 문서

임산물은 전년 동기와 비슷한 수준임... 주요 품목의 FTA

□ 한·영연방 FTA의 이행 연차가 누적될수록 관세 인하폭이 커지기 때문에 국내 농업에 미치는 영향은 커지는 반면, 우리나라의 수출 기회는 확대될 것으로

2) FTA 수출 특혜관세 활용률은 전체 수출액에서 원산지 증명서가 첨부된 수출액을 기준으로 산출함.. 2) FTA 수출 특혜관세 활용률은 전체 수출액에서

[r]

6) 미국과의 농축산물 교역에서 FTA 수출 특혜관세 활용률이 수입 특혜관세 활용률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이유는 ① 사후 검증에 대한 부담, ② 수출

해당 품목은 흑 마늘액, 블루베리액, 홍삼액, 매실액 등이 관세청 분류사례로 포함... 『FTA 체결국 농축산물

시아의 수입 엠바고(2014년 8월)와 관련하여 폴란드를 포함한 EU의 농식품 수출 감소 폭이 뚜렷해짐에 따라 유럽 국가들의 농축산물 공급과잉 현상이 발생하였다..

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동향 분석 및 수학교과 중심의 STEAM 교수·학 습 프로그램의 개발.. 과학기술과 인문학 융합 내용 및 융합 방법 실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