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임산부 및 영·유아의 영양교육 및 보충 영양 개선 효과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임산부 및 영·유아의 영양교육 및 보충 영양 개선 효과"

Copied!
6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 01 2 년 8월 석사학위논문

2 0 1 2 년

8 월 석 사 학 위 논 문

임 산 부 및 영 · 유 아 의 영 양 교 육 및 보 충 영 양 개 선 효 과

전 남 함 평 군 을 중 심 으 로

심 화

임산부 및 영· 유아의 영양교육 및 보충 영양 개선 효과

- 전남 함평군을 중심으로 -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대체의학과

심 화 섭

(2)

임산부 및 영· 유아의 영양교육 및 보충 영양 개선 효과

- 전남 함평군을 중심으로 -

TheEf f ect sofNut r i t i on Educat i on and Nut r i t i onalSuppor tPr ogr amsf orWomen,

I nf ant s,and Chi l dr en

- Focused on Hampyeong Area in Jeonnam-

2012년 8월 일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대체의학과

심 화 섭

(3)

이 논문을 대체의학 석사학위신청 논문으로 제출함.

임산부 및 영· 유아의 영양교육 및 보충 영양 개선 효과

- 전남 함평군을 중심으로 -

지도교수 문 경 래

2012년 4월 일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대체의학과

심 화 섭

(4)

심화섭의 석사학위논문을 인준함

위 원 장 조선대학교 교수 서 재 홍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수 박 상 학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수 문 경 래 인

2012년 6월 일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5)

목 차

그림 목차 ․․․․․․․․․․․․․․․․․․․․․․․․․․․․․․․․․․․․․․․․․․․․․ ⅲ 표 목차 ․․․․․․․․․․․․․․․․․․․․․․․․․․․․․․․․․․․․․․․․․․․․․․ ⅳ ABSTRACT ․․․․․․․․․․․․․․․․․․․․․․․․․․․․․․․․․․․․․․․․․․․ v

Ⅰ.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 1 제2절 연구의 목적 ․․․․․․․․․․․․․․․․․․․․․․․․․․․․․․․․․․․․․․․․․․ 2 제3절 연구 모형의 설계 ․․․․․․․․․․․․․․․․․․․․․․․․․․․․․․․․․․․․․․ 3 제4절 연구의 가설 ․․․․․․․․․․․․․․․․․․․․․․․․․․․․․․․․․․․․․․․․․ 5 제5절 연구범위와 한계 ․․․․․․․․․․․․․․․․․․․․․․․․․․․․․․․․․․․․․․․ 5 제6절 용어의 정의 ․․․․․․․․․․․․․․․․․․․․․․․․․․․․․․․․․․․․․․․․․ 6

Ⅱ.문헌고찰

제1장 임산부 및 영․유아 보충영양사업 ․․․․․․․․․․․․․․․․․․․․․․․ 7 제2장 보충영양사업 동향 ․․․․․․․․․․․․․․․․․․․․․․․․․․․․․․․․․․ 8

제1절 보충영양사업의 국내 동향 ․․․․․․․․․․․․․․․․․․․․․․․․․

․․․․․․ 8 제2절 보충영양사업(WIC)의 국외 동향 ․․․․․․․․․․․․․․․․․․․․․․․․․․․․ 8 제3절 임산부의 건강과 영양․․․․․․․․․․․․․․․․․․․․․․․․․․․․․․․․․․․ 12 제4절 수유부의 건강과 영양 ․․․․․․․․․․․․․․․․․․․․․․․․․․․․․․․․․․ 12 제5절 영․유아의 건강과 영양․․․․․․․․․․․․․․․․․․․․․․․․․․․․․․․․․ 13 제6절 저소득층 및 농촌 여성의 건강과 영양 ․․․․․․․․․․․․․․․․․․․․․․ 14

제3 장 보충영양사업 영양교육 ․․․․․․․․․․․․․․․․․․․․ 15

제1절 임산부 및 영유아의 영양교육 ․․․․․․․․․․․․․․․․․․․․․․․․․․․․ 15 제2절 보충영양교육 사업의 진행경과 ․․․․․․․․․․․․․․․․․․․․․․․․․․․ 16 제3절 보충영양 사업의 배경 및 전망 ․․․․․․․․․․․․․․․․․․․․․․․․․․․․ 18

Ⅲ.연구 방법 ․․․․․․․․․․․․․․․․․․․․․․․․․․․․․․․․․․․․․․․ 20

제1절 연구설계 ․․․․․․․․․․․․․․․․․․․․․․․․․․․․․․․․․․․․․․․․․․․․ 20

(6)

제2절 연구대상 및 표집방법 ․․․․․․․․․․․․․․․․․․․․․․․․․․․․․․․․․․ 20 1)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0 2)신체계측 ․․․․․․․․․․․․․․․․․․․․․․․․․․․․․․․․ 21 3)생화학적 검사 ․․․․․․․․․․․․․․․․․․․․․․․․․․․․․․ 21 4)영양지식 및 식태도와 만족도 조사․․․․․․․․․․․․․․․․․․․․․ 21 5)영양섭취상태 조사 ․․․․․․․․․․․․․․․․․․․․․․․․․․․․ 23 6)영양교육 기간 및 방법 ․․․․․․․․․․․․․․․․․․․․․․․․․․ 23 7)식품패키지별 식품제공량 ․․․․․․․․․․․․․․․․․․․․․․․․․ 25

제3절 통계분석 ․․․․․․․․․․․․․․․․․․․․․․․․․․․․․․․․․․․․․․․․․․․․ 26

Ⅳ.연구결과 및 논의 ․․․․․․․․․․․․․․․․․․․․․․․․․․․․․․․․․․ 2 9

제1절 연구 결과 ․․․․․․․․․․․․․․․․․․․․․․․․․․․․․․․․․․․․․․․․․․․ 29 1.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9 2.대상자의 신체계측 조사 ․․․․․․․․․․․․․․․․․․․․․․․․․ 30 3.대상자의 생화학적 조사 ․․․․․․․․․․․․․․․․․․․․․․․․․ 30 4.대상자들중 임산부 측정 전후 비교 ․․․․․․․․․․․․․․․․․․․․ 32 5.대상자들중 유아 측정 전후 비교 ․․․․․․․․․․․․․․․․․․․․․ 32 6.만족도 검사 ․․․․․․․․․․․․․․․․․․․․․․․․․․․․․․ 33 제2절 논의 ․․․․․․․․․․․․․․․․․․․․․․․․․․․․․․․․․․․․․․․․․․․․․․․ 34

Ⅴ.결론 및 제언 ․․․․․․․․․․․․․․․․․․․․․․․․․․․․․․․․․․․․․ 3 6

제1절 결론 ․․․․․․․․․․․․․․․․․․․․․․․․․․․․․․․․․․․․․․․․․․․․․․ 36 제2절 제언 ․․․․․․․․․․․․․․․․․․․․․․․․․․․․․․․․․․․․․․․․․․․․․․․ 38

참 고 문 헌

․․․․․․․․․․․․․․․․․․․․․․․․․․․․․․․․․․․․․․․․․․․․․․ 39 1.국내문헌 ․․․․․․․․․․․․․․․․․․․․․․․․․․․․․․․․․․․․․․․․․․․․․․․․․․․ 39 2.국외문헌 ․․․․․․․․․․․․․․․․․․․․․․․․․․․․․․․․․․․․․․․․․․․․․․․․․․․ 41

부 록 1.설문지․․․․․․․․․․․․․․․․․․․․․․․․․․․․․․․․․․․․․․․․․․․․․․․․․․43

(7)

그 림 목 차

<그림 1-1> 연구설계 ․․․․․․․․․․․․․․․․․․․․․․․․․․․․․․․․․․․․․․․․․․․ 3

<그림1-2> 보충영양관리사업의 배경 ․․․․․․․․․․․․․․․․․․․․․․․․․․․․․․19

(8)

표 목 차

<표-1-1> 일본과 미국,독일의 영양지원제도 비교 ․․․․․․․․․․․․․․․11

<표 1-2> 임신부 및 영유아 영양플러스 사업 진행경과 ․․․․․․․․․․․․ 17

<표 1-3> 영아 및 출산수유부의 영양교육 일정 ․․․․․․․․․․․․․․․ 24

<표 1-4> 유아의 영양교육 일정 ․․․․․․․․․․․․․․․․․․․․․․ 24

<표 1-5> 임산부의 영양교육 일정 ․․․․․․․․․․․․․․․․․․․․․ 25

<표 1-6> 식품패키지별 식품 제공량(1인 1일 환산치)․․․․․․․․․․․․․ 27

<표 1-7> 식품패키지별 월별 식품제공량 ․․․․․․․․․․․․․․․․․․ 28

<표 2-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9

<표 2-2> 보충식품 제공 및 영양교육 전후 신체계측․․․․․․․․․․․․․ 30

<표 2-3> 보충식품 제공 및 영양교육 전후 헤모글로빈 농도 변화 ․․․․․․․ 30

<표 2-4> 보충식품 제공 및 영양교육 전후 빈혈 유병율 변화 ․․․․․․․․ 31

<표 2-5> 보충식품 제공 및 영양교육 전후 영양 상태 변화 ․․․․․․․․․․ 31

<표 2-6> 보충식품 제공 및 영양교육 전후 신체 판정의 변화 ․․․․․․․․․ 31

<표 2-7> 임신부 측정 전후 대응 테이블 ․․․․․․․․․․․․․․․․․․ 32

<표 2-8> 유아 측정 전후 대응 테이블 ․․․․․․․․․․․․․․․․․․․ 33

<표 2-9> 영양 측정 전후 만족도 검사 ․․․․․․․․․․․․․․․․․․․ 33

(9)

ABSTRACT

TheEf f ect sofNut r i t i on Educat i on andNut r i t i onalSuppor t Pr ogr amsf orWomen,I nf ant s,andChi l dr en

- Focused on Hampyeong Area in Jeonnam-

Sim Hwa-Seop

Advisor:Prof.Moon,Kyung-Rye,M.D.,Ph.D.

DepartmentofAlternativeMedicine GraduateSchoolofHealthScience ChosunUniversity

Thisstudyassessestheeffectsofcustomizedlocalnutritionalsupportprogramsfor pregnant or nursing women,infants,and children in health centers located in Hampyeong area,Jeonnam,Korea,in order to implement a nutritionalsupport program for women,infants,and children (WIC program). Data were collected overa five-month period between December1st,2011and April30th,2012.were comprised ofresponses to surveysconducted by a WIC program.There were68 respondents,including42childrenandinfantsand26expectingmothers.

Expecting mothers gave a score of9.15 and children gave a score of9.04 for satisfactionwiththeWIC program. Theseresultsshow thattheparticipantswere highlysatisfiedwiththeWIC program beforeandafterparticipatinginit.

Ourresults show thatthe program helped improve the recipients’knowledge of nutrition and diet,in addition to lowering the rate ofanemia in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Nutritionaleducation,in addition to food supplements,has been shown topositively affectthenutritionalstatusof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However,since low-income people do not have extensive economic resources,supportprogramsledby thenationalandprovincialgovernmentsshould

(10)

continue to be expanded.We hope for an environmentwhere practicalhelp is provided to improve nutritionalstates resulting from unstable lives or limited economicmeans(Woo1985;Lee2001).Toimprovethenutrition statusofchildren with nutritionalimbalance from low-income families,there is an urgentneed for continuous developmentofmaterials fornutrition education as wellas legaland regulatory structuresto promotetheeffectsofsupplementalnutrition management programs forwomen and children.Ourfindings on the satisfaction levels ofthe recipientsofWIC programscan serveasabasison which many moreprograms assadcanbedevised.

(11)

Ⅰ.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최근 급속한 경제 성장의 결과로 생활수준이 놀랍게 향상되고 있다.그 결과 식생활의 서구화 뿐 만 아니라 식사의 심각한 불균형이 초래되고 있으며,핵가족 및 가정의 구심점이던 여성들의 사회진출로 인한 바쁜 일상생활이 가공된 인스 턴트식품과 같은 인공감미료가 가미된 식품의 소비를 더욱 증가시키고 있다.현 대인들에게 있어 건강하게 산다는 것은 단순히 신체적 건강만이 아닌 정신적 및 사회적 건강을 포함시키며 건강에 대한 열망은 빈부의 차이를 따지지 않으며 인 간으로서 당연히 누려야 할 특권처럼 인식 되 가고 있다(오승호,1998;박혜련, 2002).지난 30여년 동안 급속한 경제성장과 함께 국민의 평균 소득과 생활수준 향상,평균 수명의 연장 등 여러 사회 환경 지표들에서 괄목할만한 변화가 있었 으며 이러한 변화에 따른 합리적이고 장기적인 정책을 마련하고 해결책을 모색 하는 일 또한 국가 보건 정책의 중요한 부분이 되고 있다.현재 국가와 관이 주 도하는 중요정책들도 국민건강을 위한 정책들이 주를 이루고 있는 것 또한 현실 이다.이제 국민건강을 위한 국가차원의 건강증진 정책이 좀 더 구체적인 모형을 갖추어야 할 때를 맞이하고 있다.특히,생애 최초 단계인 영․유아기와 태아로 있는 임산부 시기의 적절한 영양 공급을 위한 영양교육은 올바른 영양지식 형성 에 도움을 줌으로 일생의 건강을 좌우하게 된다.유아기에는 식습관이 형성되는 시기이고,이때 형성된 식습관은 신체적,정신적,환경적인 영향에도 가장 커다란 영향을 미침으로 이 시기의 잘못된 영양교육은 자극결핍이 누적되므로 인한 일 생의 건강이 위협받을 수 있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서영희,2007).또한 임산부에 있어 시기적절한 영양교육은 모체 뿐 만 아니라 태아의 건강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임산부 및 영․유아들이 영양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지극히 제한되어 있는 실정이다.임산부들은 책 이나 인터넷을 통해 일시적으로 영양지식을 접하고는 있다지만 대도시나 중소도 시도 아닌 농어촌 지역의 상황은 생각보다는 심각하다고 볼 수 있다.

보충영양관리사업(WIC 사업)은 미국에서 시범사업을 통해 진행되어 오고 있으 며 프로그램 참여 이후 대상자의 영양상태 및 빈혈의 이환율이 유의적으로 감소

(12)

하며 저 체중아 출생률이 낮아지는 등 긍정적인 결과가 보고 되었다(박혜련, 2002). 우리나라의 보충영양관리 프로그램은 2004년 ‘취약계층을 위한 국가영양 지원제도 도입연구’로 사업을 개발하여 2005∼2007년 3년에 걸쳐 시범사업을 실 시하였으며,사업적용 가능성 및 지역에 따른 사업적용 방안이 확대되어(한국보 건산업진흥회,2007),2008년 전국 16개 지역 100개소 보건소이던 것이 2009년엔 245개소 보건소,2010년엔 250개소,2011년에는 251개소로 확대 시행되고 있는 추세다.

인간은 성장에 있어서 생리적 적응성을 나타내는데 이때 성장 시기를 놓치게 되면 그 후 아무리 좋은 영양 상태를 제공한다 하더라도 성장을 위한 적절한 시 점을 놓치게 된다.매일 적절한 영양소 공급 및 섭취가 필요한 시기에 생활이 어 려운 가정에게 다음 생애주기까지 지속적으로 영양 상태를 개선해 나가야 할 것 이 큰 과제일 수 있다.

본 논문을 통해 지역 저소득층 가정들을 위한 국가차원의 심도 깊은 지원을 통해서 보충영양사업의 범위를 넓혀갈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될 수 있기를 바란 다.아울러 다문화 가정의 급속한 유입으로 인한 언어적 불편감 해소를 위한 꾸 준한 노력 등과 임산부와 영유아들을 위한 요가,필라테스,명상,자가마사지,원 예체험,물리치료와 같은 다양한 건강관련 프로그램들이 병행되는 것도 보충영양 사업의 안정적인 발전과 저변확대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거라 생각한다.

제2절 연구의 목적

본 논문은 전라남도 함평군보건소에서 임산부 및 영․유아 보충영양관리 사 업(WIC)실시를 목적으로 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함평군에 거주하는 임산 부,수유부,영․유아를 대상으로 하여 대상자별 특이사항 및 영양실태를 파악함 으로써 보충영양관리사업(WIC 사업)의 선정 대상자의 실태를 조사하고,실태 자 료에 근거한 올바른 영양과 건강을 위한 영양서비스 방안을 수립함은 물론,실질 적인 지역사회의 맞춤형 영양지원 프로그램의 효과를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현 재 도시 인근 지역의 임산부들은 임신 및 출산으로 인해 일반 성인에 비해 영양 필요량이 증가되고 있어 적절한 지원이 요구되고 있다.도움이 필요한 영․유아 들은 급격한 성장으로 보충영양 공급이 필요하지만 모유 수유만으로 아기를 양

(13)

Step 1 사업 참여 전

Step 2 영양공급

Step 3 사업 참여 후

Experimental group Experimental group

사업 참여 전 사업 참여 후

체 중

체 중 보충영양관리사업

(보충식품공급 및 영양공급실시)

BMI BMI

헤모글로빈 헤모글로빈

영양섭취상태 영양섭취상태

영양지식 영양지식

<그림 1-1> 연구 설계

육하는 경우 올 수 있는 영양결핍을 예상해야 한다.영아의 성장을 돕는 에너지, 단백질,필수 미량영양소 등을 충분하게 공급받을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지자체 사업의 노력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시행함으로써 국가사업이 더욱 탄력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이며 지역 보충영양관리사업의 효과성 을 평가하고,차후 사업 확대를 위한 근거 및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1.임산부 및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여 대상자별 일반적 특이사항 및 영양 실태를 파악한다.

2.임산부 및 영․유아 보충영양관리사업 만족도 조사를 통해 보충영양관리 사업 효과를 규명한다.

제3절 연구모형의 설계

가.연구의 모형

본 연구는 보충영양관리사업 참여에 의한 보충식품 공급,영양교육 및 상담 실

(14)

시에 따른 유아들의 체중,BMI(체질량 지수, Body Mass Index),헤모글로빈, 영양섭취상태,영양지식을 검증하여 영양관리사업 전과 후를 비교하였으며 실험 전후의 만족도를 평가하여 사업의 효과성을 규명하고 있는 것이다.다음 <그림 1-1>과 같이 사업전후의 체중,BMI와 헤모글로빈,영양섭취상태와 영양지식을 전후로 나누는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나.변수의 측정

(1)체중

영유아의 경우 저 체중이나 성장부진 등으로 분류된 경우에 질병관리본부・대 한소아과학회・소아청소년 신체발육표준치 제정위원회에서 발표한 ‘2007소아 및 청소년 표준 성장도표’에 근거했다.

(2)BMI

본 연구에서는 BMI백분위수가 10백분위수 미만인 경우 영양위험 있음을 판정 하였다.즉,연령별 BMI백분위수가 10thpercentile미만인 경우와 임신/출산/수 유부가 저 체중으로 판정된 경우였다.(BMI18.5미만)

(3)헤모글로빈

헤모글로빈은 적혈구 내의 산소를 운반하는 혈색소로 혈 중 헤모글로빈 농도 를 측정하여 빈혈 판정 기준으로 사용하였다.혈중 헤모글로빈 농도에 의해 빈혈 로 판정된 경우의 기준은 WHO 기준을 사용하였다.

(4)영양섭취상태(식이섭취조사)

24시간 회상법에 의해 문제 영양소의 섭취부족으로 판정된 경우로 영양소 섭 취상태에 의한 영양 위험판정은 한국영양학회에서 발표된 한국인 영양섭취기준 (DRIs,2005)에 근거했다.

(5)기타 영양 위험요인 조사

기타 영양위험요인 조항에 해당 사항이 있는 경우로 저 체중아 출산,저 체중 으로 출생한 영아,조산,사산,유산,기형아 출산 경력,모유수유 하는 경우 모체 와 영아 영양위험요인이 상호 적용될 때를 적용했다.

(15)

제4절 연구의 가설

본 연구의 가설은 연구모형을 근거로 하여 보충영양관리사업에 참여한 만 5세 미만의 영·유아와 임산부에게 사업실시 전과 후를 비교하는 것이다.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연구가설 1;보충영양관리사업 실시 전과 후에 따라서 체중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가설 2;보충영양관리사업 실시 전과 후에 따라서 BMI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가설 3;보충영양관리사업 실시 전과 후에 따라서 헤모글로빈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가설 4;보충영양관리사업 실시 전과 후에 따라서 식이섭취상태가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가설 5;보충영양관리사업 실시 전과 후에 따라서 영양지식과 식이태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가설 6;보충영양관리사업 실시 전과 후에 따라서 보충영양사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 것이다.

제5절 연구범위와 한계

본 연구는 영양취약계층의 실태 및 보충영양관리사업의 만족도 조사를 통한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해서지만 전국이 아닌 지역의 보건소로 제한하였으며 영양 취약계층을 임산부와 유아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을 밝힌다.가구소득 기준은 보 건복지부에서 지정하는 가구별 기초생계비의 200% 미만인 경우로 사업대상을 제한함으로 인해 포괄적인 시행이 어려웠던 부분이 아쉬웠다.

(16)

제6절 용어의 정의

1.임산부(姙産婦)와 임신부(姙娠婦)

임산부(姙産婦)란 아이를 밴 여자와 아이를 낳은 여자를 아울러 이르는 사전적 인 의미가 있다.임부,혹은 임신부(姙婦,姙娠婦)라고도 한다.‘임산부(姙産婦)’와

‘임신부(姙娠婦)는 다소 차이가 있다.‘임산부’는 산부와 임부를 아울러 이르는 말 이고 ‘임신부’는 아이를 밴 여자를 가리키기 때문이다.본 논문의 연구에 응한 대 상자들은 아이를 밴 여자와 아이를 낳은 여자를 총칭해서 임산부라고 볼 수 있 다.임산부가 주의해야 할 질병으로는 입덧,피부병,기미·주근깨,알레르기에서 부터 빈혈,설사,여름 감기,유산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여름철 냉방병,임신중 독증,감기,낙상,피부병 등 잠시도 긴장을 풀어서는 안 된다고 볼 수 있다.특 히 생활능력이 떨어지는 임산부들에게는 본인 및 유아의 영양에 대한 모성애의 발동과 관심으로 지나치게 민감해지거나 우울해질 수 있는 시기이다.본 논문에 서는 빈혈,저 체중,성장부진,영양섭취상태 불량 등 한 가지 이상의 영양 위험 요인을 보유하고 있는 전라남도 함평군보건소 관할 지역 가구 규모 별 최저생계 비 대비 200% 미만의 취약계층 임산부가 대상이다.

2.영․유아

영아(嬰兒)란 1세(12개월)미만의 아이를 지칭하는 말로 젖을 먹을 나이의 어 린아이를 가리키는 말이다.후진국일수록 영아 사망률이 높은 통계를 접할 수 있 으며,맞벌이 부부를 위하여 영아 전문 탁아소를 설치하는 직장이 늘고 있는 등 사회적인 관심이 필요한 시기의 어린아이들이다.유아(幼兒)는 걸음마를 시작할 즈음의 어린이를 의미하며,인간 발달 과정의 두 번째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영아(嬰兒)기를 지난 이후 아동(소년·소녀)이전의 1세에서 4∼6세까지의 시절을 말하며 이 시기에는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상당한 성장기에 이르게 되며 유 치원 또는 어린이 집에서 또래 집단과의 교육이 이루어지는 시기에 해당한다.본 논문은 만 5세 미만의 영유아가 대상이다.

(17)

3.보충영양관리사업

임산부 및 영유아 보충영양관리사업은 생리적 요인과 환경여건 등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영양상태가 취약한 대상에게 그들의 불량한 영양섭취상태의 개선을 통한 건강증진을 위해 영양교육을 실시하고,영양불량 문제의 해소를 돕기 위한 특정식품들을 일정기간 동안 지원하는 제도로써 오늘날 당면한 저 출산 고령화 시대로 인한 중요도가 더욱 높아지고 있는 태아 및 영유아의 미래건강을 위해 영양 측면의 위험 집단인 임산부(임신부,출산부,수유부)및 영유아에 대한 영양 지원을 실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는 사업이다.여성의 생활주기를 볼 때 가장 책임이 무거운 시기가 임신기(모수미 등 2006)라고 볼 때 보충영양관리 사업은 지역의 어려운 취약계층을 위한 좋은 해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Ⅱ.문헌고찰

제1장 임산부 및 영․유아 보충영양관리사업

임산부 및 영․유아 보충영양 관리사업은 생리적 요인과 환경여건 등으로 인 해 상대적으로 영양상태가 취약한 대상에게 영양교육을 실시하고,영양불량문제 의 해소를 돕기 위한 특정식품을 일정 기간동안 지원하는 제도이다(한국보건산 업진흥원,2007).

전 생애에 걸친 ‘평생건강관리’가 국가 보건정책의 주요 목표임에도 불구하고, 사실상 장기적인 예방 중심의 관리를 위한 사업이 부족하였으며,성인이나 노인 층을 위한 프로그램 외에,생애의 최초단계인 태아나 영․유아를 위한 정책이나 프로그램이 미진했다는 판단에서,국가 영양지원제도를 도입하기 위한 첫 시도가 이루어진 것이다(임산부 및 영․유아 보충영양관리사업 공청회 자료집,2010).

구재옥,최경숙(2001)은 보건소 영양사업의 요구도중 영․유아와 관련해서 실 제 어머니들을 조리 지도,식단 작성 등 실제적인 정보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러한 요구를 영․유아 영양사업의 개발 시 적절히 활용하여 소비자 요구 지향 적인 서비스의 필요함을 지적하기도 했다.

(18)

제2장 보충영양사업 동향

제1절 보충영양사업의 국내 동향

현재 전국의 보건소에서 모자보건사업과 영양사업이 진행 중이나 그 내용이 일괄적인 영양상담 등에 치우치고 있는 실정이다(계승희,2000).신애자(2000)의 보건소 시범영양사 업 실태조사에 의하면 시범 영양 사업을 실시하고 있는 보건소 사업의 내용을 살펴 본 바 조사를 실시한 32개 보건소에서 영양 상담이 이루어지고 있으며,영양실태 조사는 14 개 보건소에서 실시되고 있어 영양사업 내용이 주로 상담과 교육에 많은 부분을 차지하 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2005년에 1차 보충영양관리시범사업으로 서울 성북구,경기도 군포시, 충남 아산시보건소 3개소가 지정되어 시작되었다.2006년에 12개 보건소를 추가하여 11개 시도에 15개소 시범사업이 진행되었으며,2007년 기존 15개 보건소 외에 신규 5개 보건소 가 추가되었다.시범사업에서 참여 대상자의 영양/건강상태 개선 효과가 입증됨에 따라, 2008년부터 전국 단위 사업으로 시작하여 2010년까지 단계적으로 모든 보건소로 확대될 예정이다.2008년부터 사업이 전국단위로 이루어짐에 따라 사업계획서를 검토하여.기초 생활수급 영유아수,기존 영양사 채용 현황,담당인력 수,계획의 적절성 등 지역사회 현 황파악을 위주로 한 사업 필요성 및 수행능력을 평가한 후 10인의 중앙 평가위원회의 계 획서 평가를 통해 선정되었다(한국보건산업진흥회,2007).

제2절 보충영양사업( WI C) 의 국외 동향

보충영양관리사업(Special Supplemental Nurtrition Program for Women, InfantandChildren:WIC)프로그램은 미국에서 1972년부터 2년간의 시범사업을 거쳐 1974년에 본격적으로 도입하여 연방정부의 농무성(USDA)가 지원하는 영양 프로그램으로 여러 가지 영양프로그램 중 가장 성공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으 며 현재까지 운영해오고 있다.이 프로그램은 저소득,부적절한 영양으로 건강 위험이 높은 임산부,수유부,영아 5세 이하 미취학 아동에게 보충식품을 제공하 는 동시에 영양교육 및 건강관리를 위한 의료서비스와의 연계를 실시하여 그들 의 영양 상태를 개선하고 건강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19)

(박혜련,2002).1992년 세계보건기구(WHO)와 국제연합식량농업기술(Food and Agricu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FOA)에서는 국제 영양학회 (InternationalConfernece ofNutrition ICN)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영양불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목표와 다각도의 전략을 수립하여 9개 전략과 목표를 담은 ‘세 계 영양을 위한 선언과 행동계획(World Declaration and Plan ofAction for security)'을 향상시키는 것,사회경제적으로 소외되거나 영양적으로 취약한 계층 에 대한 보호,모유수유의 촉진,미량 영양소의 결핍에 대한 예방과 보호,감염성 질환의 예방과 관리 등 영양결핍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영양 위험군에 대한 대 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한 목표 및 전략으로 포함되어있다.

(1)미국의 WIC Program

WIC Program(The SupplementalFood Program for Women,Infants and Children)은 1972년부터 2년 동안 시범사업과정을 거쳐 정착된 미국의 중요 식품 조달 서비스 중의 하나이다(VictorOliveira.등,2002)영양적 위험요인을 가지고 있는 저소득층 임산부,출산부,영아,유아들에게 특정 보충식품 제공과 영양교육 및 상담을 실시함으로서 대상자들의 건강을 증진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고 할 수 있다(MaureenM.등,2007).

미국의 경우 농림부에서 주관하는 WIC Program은 임신․수유부 및 5세 미만 의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며,영양교육,보충식품 공급 등을 통해 프로그램 참 여자의 영양과 건강상태 향상을 목표로 한다(손숙미 등,2007).이 프로그램은 미 국의 대표적인 영양지원 사업으로서,여러 연구에서 WIC 사업을 통해 태아 및 영․유아의 사망률 감소,조산률 감소 및 저 체중아 출생율 감소,임산부 및 영․유아의 철 결핍성 빈혈 발생율 감소,어린이 식생활 개선 및 임산부의 체중 증가 등의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어왔다(한국보건산업진흥원,2007).

미국연방정부 프로그램인 WIC Program에 참여하는 가구의 수입은 최저 생계 비 185%미만인 저소득층으로 제한하고 있는데(KristineAltucher등,2005),이는 우리나라 임산부 및 영․유아 보충영양관리사업의 최저생계비 200%와 거의 일 치하는 수준이다.또한 저소득층 가구의 경우 철 결핍성 빈혈과 같은 영양위험 요인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고,올바른 식생활을 영위하지 못해 질병발생 위 험이 높아 보충식품의 제공이 가장 필요한 계층이라는 점을 바탕으로 하였다.

(KristineAltucher등,2005;전주영,2008).WIC Program은 저 체중아의 비율 을 줄이고 이에 따른 영․유아기의 의료비용을 줄이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20)

미국은 저소득층에 대한 식품보조프로그램과 병행하여 사회복지 성격의 영양 사업을 실시하고 있으며,오랜 지방자치의 영향으로 지역별 보건영양사업이 다양 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2)일본의 영양지원사업

일본은 중앙의 후생노동성과 지방 도도부현(都道府縣)의 보건소와 시정촌(市町 村)의 보건센터에서 영양지원사업을 시행하고 있다.국가의 정책목표로서 영양목 표를 설정하고,지방은 중앙의 영양목표 기반아래 해당지역의 실정에 적절한 지 역목표를 설정한다.또한 오지와 벽지의 영양사 등 인력채용에 따른 예산을 지역 보건법에 의거하여 도도부현과 국가에서 지원하고 있다.

도도부현의 보건소에 1~5명의 관리영양사가 배치되고 시정촌 단위의 보건센터 에는 일반 영양사가 배치되어 영양교육과 상담 위주로 영양사업을 수행하고 있 으며,관련기관에 대한 감독업무는 보건소에 배치된 영양사가 담당한다.또한 다 양하고 실용적인 영양교육 자료가 개발되어 있고 전산프로그램을 이용한 식생활 분석 및 상담도구가 일반화되어 있다.이와 함께 최근 보건서비스가 복지서비스 와 연계 및 통합화가 이루어지면서 지역 영양서비스에서도 보건과 복지의 연계 가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3)독일의 영양지원사업

독일은 의료보험사들을 통한 ‘자기 돌봄(self-care)'의 일환으로 건강 및 영양 상담 등 영양서비스가 1~3차 예방사업단계에 포함되어 있으며,지역영양사업에는 의료보험사 및 독일 연방 건강가족청소년부(Bundesministerium fureGesundheit und Jugend,BMGFJ)의 영양사업 담당자 외에 지역의 영양인력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또한 의료비 절감을 위한 휴양제도의 일환으로 성인병 예방에 보 다 관심을 갖고 운영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중앙의 보건소와 지방의 의료보험사 지역사업소에서 영양지원사 업을 운영하고 있으며,의료보험사협의회에서 지역사업소에는 영양상담원이 배치 되어 프로그램 운영의 전문성을 높이고,의료보험사 재원의 일정을 예방보건사 업,피보험자 상담사업에 투입하고 이에 따라 영양상담에 예산을 할당하는 형식 을 취하고 있다.이상과 같이 일본과 미국,독일의 영양지원제도를 요약하면 <표 1-1>과 같다.

(21)

일본 미국 독일 사

업 주 체

• 중앙:후생노동성

• 지방 :도도부현 보건소,시정촌보건센터

• 중앙:보건복지부, 농무부

• 지방 : 지방보건부 프로그램 운영사업소

• 중앙 :보건소,사업 실시주체는 의료보험사

• 지방 :의료보험지역 사업소

지 역 영 양 사 업 목 표

• ‘건강일본 21’에서 국가의 보건목표 중 영 양목표를 설정하고,이 에 따른 지역목표가 설 정

• Healthy People 2010에서 국가의 보건 목표 중 영양 목표를 설정하고 이에 따른 지 역목표가 설정됨

• 국가 영양목표에 따 른 지역영양목표 설정 은 없으나 의료보험사 간의 협의회에서 영양 사업 내용,방법,제도 에 관한 사항 등 규정

사 업 인 력

• 행정영양사로 보건 소에 1~5명의 관리영양 사 배치,시정촌 보건센 터는 영양사가 1명 배 치된 곳 많음

• 지역보건법 근거 오 지와 벽지의 전문 인력 은 해당현과 국가 지원

• 공중보건 영양인력 이 9등급으로 분류되어 각 사업특성에 따라 고 용됨

• 주로 주 보건강국 WIC 사업소 등에 고용 됨

• 의료보험사 지역사 업소에 영양상담원이 다수 배치됨

• 지방 :주의 복지부 에서 영양소를 배치하 고,가사일 상담소에 영 양상담원을 배치

사 업 예 산

• 보건소,시정촌 보건 센터에서 이뤄지는 영 양사업과 사업인력지원 을 위하여 지방정부, 중앙정부에서 국고지원

• 연방정부의 식품 지 원정책으로 이루어지는 사업다수

• 의료보험사 재원일 정액을 예방보건사업, 피보험자 상담,사업에 투입하고 이에 따라 영 양상담에도 할당

사 업 특 성

• 지역공중보건사업으 로 영양사업 정착

• 건강가꾸기 3대요소 인 영양,운동,휴양의 한 요소로 영양사업 강 조

• 지역 민간인력 및 자원을 활용한 연계사 업 전개 강화

• 연방정부의 식품지 원정책으로 이루어지는 사업 다수

• 의료보험사 통한 self-care의 일환으로 건강상담 등 영양서비 스가 1‧2‧3차 예방사업 단계에 포함됨

• 지역영양사업에 의 료보험사 및 보건부의 영양사업 담당자 외 지 역영양인력이 적극참여

• 의료비 절감 위한 휴양제도로 성인병 예 방 위한 영양상담 적극 적 실시

<표 1-1> 일본과 미국, 독일의 영양지원제도 비교

(22)

제3절 임산부의 건강과 영양

이정아 등(2004)의 연구에서는 임신기의 영양상태가 태아 및 영유아의 성장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특히 모체 자신의 건강 및 태아의 발달 뿐 아니라 출생 후 아기의 건강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 시기의 적절한 영양공급이 매우 중요하 다고 하였다.특히 철분은 흡수율이 다른 영양소에 비해 낮기 때문에 결핍의 우 려가 비교적 크며 생리적 요구량이 증가하는 임산부,수유부의 경우 결핍이 더욱 우려되며 임신 전반기에 실제 권장량의 52.3%(윤진숙 외,2003),임신기간동안 69.2% (유경희,윤진숙,1999)를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윤진숙 등(2003) 연구에서는 철분의 급여 식품인 고기,생선,콩,계란을 권장 기준과 비교하였을 때 58.3%,우유 및 유제품은 57.5%로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권장 섭취 량의 절반 수준에 해당하는 불량한 수준으로 연구되었다.또한 철분 섭취량의 절 반 수준에 해당하는 불량한 수준으로 연구되었다.

유경희,윤진숙(1999)의 연구에서도 철분,엽산 등 영양소 섭취상태에 있어서 가장 문제가 되는 무기질 권장량의 약 50%를 겨우 상회하는 수준으로 전반적인 영양소의 불균형이 문제가 되고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송요숙,김숙희(1989)에 따르면 농촌지역의 임산부의 열량과 단백질의 섭취량 이 임신전에 비하여 증가하지 않고 임신전과 같은 정도로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 되었고,칼슘 및 철분섭취량도 영양권장량에 부족 되게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되 었고,칼슘 및 철분결핍은 흔하다고 보고 되었다.또한 신생아의 체중,두위 모두 임산부의 임신전 체위와 유의적인 상관 경향을 보여 임신상태보다 임신전의 영 양 상태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였다.이와 같이 임신전의 건강상태에서부터 장기 간에 걸친 임산부의 영양 상태를 증진 시키는 것이 임산부는 물론 영유아의 건 강에도 큰 영향력이 미치는 것으로 보고 되었다.

제4절 수유부의 건강과 영양

임신 후의 산후 관리 및 올바른 수유를 위한 영양관리를 위해 수유부의 식습 관은 매우 중요한데 윤진숙 등 (2005)의 연구에 따르면 수유기 여성과 비수유기 여성의 식습관 점수를 비교하여 볼 때 12점 만점의 수유기 여성은 6.68점,비수 유기 여성 4.7점으로 수유기 여성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수유형태별로 각 영양 소의 섭취 비율을 보았을 때 인,비타민A,비타민C에서 유의한 차이 (p<0.05)가

(23)

있었으며,그 밖의 영양소에서는 절대 섭취량에서 모유수유를 하는 수유부가 높 은 것으로 조사되었다.영유아기에 시작된 올바른 영양관리는 평생에 걸친 건강 을 좌우하고 있으며 영유아의 수유실태,성장발육상태 및 수유부들의 산전관리 실태가 실제적인 영양교육의 내용과 방향을 설정하여 효과적인 지역사회영양사 업의 설계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최경숙(2000)의 연구에서 임신기간 중 음주를 한 경우 33.3%,흡연을 했다고 응답한 비율은 4.2%,커피를 섭취한 경우가 54.2%로 타나나 임산부들의 산전관 리가 소홀한 것으로 조사되어 실태파악 및 임산부들의 산전관리에 관한 교육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출산 후 적정한 산후 관리가 어려워 비만으로 진행되어 중년 여성들의 비만 이환율이 높아짐도 심각한 영양문제로 대두되고 있다.유윤희 등(1997)은 불규칙 한 식생활,지나친 간식섭취,운동량의 부족과 더불어 당질의 과다 섭취가 체지 방과의 양의 상관관계를 가져 올바른 영양섭취와 더불어 다이어트 등 체중관련 보건서비스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모유수유의 중요성이 인식되고 또한 실제 모유 수유율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수유부의 영양이 영아의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여러 연구를 통 해 알려졌으며 올바른 모유수유를 실행하고 방해요인을 해결할 수 있는 실제적 인 해결방안 제시가 중요하다.

제5절 영유아의 건강과 영양

영유아의 신체계측에 의한 성장발육정도를 수유 형태별로 비교해 볼 때(안홍 석,정지윤,1998),이유 전 시기인 1∼3개월의 모유수유 영아가 혼합수유 또는 인공수유 영아에 비해 체중,신장,머리둘레,가슴둘레 등에서 높은 수준이었고, 이유초기인 4∼6개월 영아의 경우 모유수유 영아와 혼합수유 및 인공수유 영아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이유 보충식의 유무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였다.

전반적으로 6개월까지 모유수유 영아와 혼합 수유 및 인공수유 영아의 신체 발 육치 비교 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3개월까지는 모유수유 영아의 성장발달 정도가 다소 우수한 편이라고 할 수 있다.

영유아기는 신체발육이 가장 왕성한 시기로써 이 시기의 성장발육상태는 아동 및 성인기의 건강 및 정신발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전희순,홍성야, 1996).그러나 이 시기의 성장발육은 영양공급형태나 공급량뿐만 아니라 여러 환 경인자들의 영향을 크게 받으며 영아 자신의 내 ․ 외적 요인과도 밀접한 관련

(24)

성을 맺는 것으로 보고 되었다(김복희,1995).

안홍석,정지윤(1998)은 도시 저소득층의 영유아를 대상으로 영양공급방법과 성장발육을 평가한 결과,생후 6개월까지의 영유아들의 신체 계측치는 영양공급 방법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일반적으로 분유 영양아 보다는 모유영양아,이유보충식을 섭취하지 않는 영유아 보다는 이유보충식을 섭취하는 영유아의 신체계측치가 높은 경향을 보이기도 했다.유아의 식습관의 문제에서 결식,그 중에서도 아침 결식이 심한 것으로 강금지(2005)의 연구에서 조사되었 고,그 이유로 간식이 차지하는 비율이 31.9%로 비교적 높았으며,칼슘 및 철분 등의 중요 영양소는 권장량 이상으로 섭취하고 있었지만 유아원이나 유치원의 점심 식단에 햄,소시지 등 가공 식품의 육류 섭취가 많아 간식에 대한 올바른 교육과 함께 영․유아 교육기관의 올바른 식단제시 등의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 였다.

제6절 저소득층 및 농촌 여성의 건강과 영양

이정숙 등(1996)의 연구에 따르면 저소득층의 영양섭취실태가 총열량의 섭취량 이 부족할 뿐 아니라 단백질은 권장량의 75%미만을 섭취하고 있고,단백질 부족 이 우려되는 주민도 34%로 보고하였다.칼슘 섭취량은 71%가 권장량의 75% 미 만으로 섭취하고 있었고,철분의 경우 권장량의 75%를 밑도는 주민도 47%나 나 타나 빈혈 이환률이 높은 것과 철분 섭취량의 부족이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비타민의 경우 대부분이 권장량의 75% 미만으로 섭취하고 있는 비율이 30%의 수준을 보였다.특히 점심의 결식률이 평균 10%로 높았으며,식사의 다양도는 1 일 평균 12.7가지 식품을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손숙미,박성희(1999)의 연구에서는 저소득층의 취학 전 아동의 영양소 섭취실 태를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영양소의 평균섭취량이 영양권장량의 80%를 넘어섰 으나,4∼6세 아동의 에너지 섭취량,4세 아동의 비타민 A 섭취량이 영양권장량 의 80%미만을 나타냈으며 칼슘의 섭취량은 3,4세의 경우는 영양권장량을 초과하 였으나 5세군이 70.1%로 가장 낮았다.철분섭취량은 3∼5세군은 영양권장량의 80% 미만으로 나타났고 5세군은 69.0%로 가장 낮았다.아동들이 영양소 섭취량 을 지나치게 간식에 의존하고 있으므로 간식의 횟수와 양을 줄이고 식사의 양을 늘려야 할 것으로 보이며 아침을 결식하는 아동이 없도록 가정에서 세심한 배려 를 해야겠다고 하였다.

(25)

임화재,윤진숙(1997)의 연구에 의하면 일부 농촌 여성들의 경우 대부분 평소 에 건강하지 못하다고 느끼고 있고 시장을 가지 않는 이유로 시간적 여유 및 기 타,자급자족,거리의 순으로 조사되었다.농번기 식사관리 실태에서 조사대상자 의 경우 농사참여 정도는 높으나 식욕 및 식이섭취는 각각 전체의 78.9%,63.2%

가 평소와 같거나 오히려 감소하여 활동량에 대비하여 식사관리 및 섭취가 제대 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고,계절별 섭취량에서 농한기인 2월의 경우 모든 영양소의 섭취량이 가장 낮았고,대부분이 권장량에 미달되는 결과에 따라 계절별 영양섭취의 변화가 심한 경향을 띄었다.조유향,정해옥(2006)의 연구에서 도 농촌 주민의 주관적인 건강 인식상태를 묻는 조사에서 24.3%가 건강하지 못 하다고 대답하였고,영양지식과 영양태도에서 건강한 영양 실천 생활이 높은 것 으로 나타난 반면,인스턴트 음식의 섭취 및 기름진 음식의 섭취,군것질의 빈도 등에서 문제점이 지적되기도 했다.건강관심도는 영양태도에 있어 유의한 영향을 미치므로 주부들을 대상으로 한 영양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올바른 영양지식을 가 지게 하며,지식을 실생활에 활용 하여 실천할 수 있는 바른 영양 태도를 가지도 록 해야 한다고 보고했다.

제3장 보충영양관리사업 영양교육

제1절 임산부 및 영유아의 영양교육

부모의 영양지식 및 태도가 자녀의 식습관과 영양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보면,이정숙(1993)의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영양지식 점수가 높을수록 유 아의 영양섭취도 좋아졌고,어머니의 영양지식 수준과 식생활태도는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어머니의 식생활태도가 좋을수록 유아의 영양섭 취도 좋아졌고,단백질,칼슘,지방과는 유의적 상관을 보였다.유아의 발육상태 는 어머니의 교육수준이나 영양지식 정도보다는 식생활태도와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정화(2008)의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영양지식 점수는 20,30대에 비해 40대 어머니들의 영양지식 점수가 다소 높았으며,고졸 어머니에 비해 대졸 어머니의

(26)

영양지식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고,영양지식이 많을수록 어머니의 비만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또한,어머니의 비만도가 높을수록 유의적으로 자녀의 비만도 도 높았다.전반적으로 양양지식이 “하”인 집단 어머니 자녀가 비만발생 관련 식 습관을 더 많이 가지고 있었다.결론적으로 영양지식 점수가 높은 어머니가 유아 비만 예방과 관련된 식생활에 더 많은 신경을 쓰고 있었으며 자녀의 식습관도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명희 등(1992)의 연구에서는 4주간 8시간의 영양교육 후 영양지식도의 증가 에 따라 영양태도의 개선,식사 다양도 증가 및 식사 균형도의 증가 등을 볼 수 있었고 이것은 이들 저소득층 주부들 대상으로의 실제적인 영양교육 프로그램이 그들의 식생활 개선에 효과가 있었다는 충분한 증거가 될 것이라고 하였다.

Rosander와 Sims(1981)는 실천위주 영향력 있는 영양교육의 실시 후 참석자들 의 지식뿐 아니라 태도와 행동까지도 바람직하게 변화된 것을 볼 수 있었다고 하였다.

영양교육은 실시한 후 금방 가시적인 결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장기간에 걸쳐 그 효과가 나타나므로,보건정책을 수립할 때 영양사업이 우선순위에서 밀리게 된다.그러나 장기적으로 본다면 비용-효과 면에서 영양교육의 중요성 및 필요성 이 강조되고 있다(손숙미 외,2009)

최근 보육시설과 유치원에 가는 영․유아가 많아지면서 보육시설의 영양교육 도 강조되고 있다.급식시간 외에도 관련 교육시간에 영양교육을 하여 영양소와 건강,신체와의 관계 등에 대해 올바르게 이해하고 바른 식사태도를 형성하게 된 다.따라서 영․유아 보육시설에서 적절한 급식 제공과 함께,모든 유아의 연령 발달에 알맞은 영양지식의 보급,바람직한 식사지도와 식습관을 육성하는 영양교 육이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구재옥 등 2008).

제2절 보충영양 사업의 진행경과

우리나라의 임산부 및 영유아 보충영양 관리사업은 2005년부터 2007년까지 3 년간 시범사업이 실시되었으며 성공적인 시범사업 수행결과에 힘입어,2008년부 터는 본 사업으로서 ‘영양플러스’라는 이름으로 전국 사업으로 확대되어 2009년 에는 전국 16개 시․도 245개 시․군․구 보건소에서 실시된 이래 연도별 진행 경과는 <표 1-2>와 같다.

(27)

년도 내용 보건소 수 대상자 수

2004년도

취약계층을 위한 국가영양지원제도 도입연구

-사업안 마련

- -

2005년도

1차 시범사업 실시

-사업의 적용가능성 검토 -사업안의 수정/보완

3개 보건소 1,404

2006년도

2차 시범사업 실시

-지역에 따른 사업적용방안 검토 -사업안의 수정/보완

11개 시․도

15개 보건소 6,908

2007년도

3차 시업사업 실시

-보다 확대된 지역에서,효과적인 사업 운영방안 검토

-사업안의 수정/보완

13개 시․도

20개 보건소 11,162

2008년도

전국단위 본사업실시 :“영양플러스”로 명칭 변경

-상반기 108개 보건소 사업 참여 개시 -하반기 45개 보건소 추가 참여

16대 시․도

153개 보건소 46,047

2009년도 전국단위 본 사업 확대 실시 16개 시․도

245개 보건소 74,406 2010년 전국단위 본 사업 확대 실시 16개 시․도

250개 보건소 78,923 2011년 전국단위 본 사업 확대 실시 16개시도

251개 보건소

(출처 :2011년도 임산부 및 영유아를 위한 영양플러스 사업 안내지침서)

<표 1-2> 임산부 및 영유아 영양플러스 사업 진행경과

2008년 사업에 참여한 대상자의 사업 전․후 영양상태의 변화를 보면,빈혈, 유병율은 사업 전 약 54%에서 사업 후에는 33.86%로 유의적으로 감소했으며,

(28)

2011년에는 58.50%에서 20.49%로 감소했다.식생활 위험요인 보유자의 비율은 사업 전 약86.8%에서 사업 후에는 60.59%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영아와 유 아 대상자 중 저체중 신체계측에 의한 영양위험 보유자 비율은 사업 전 34.52%

에서 사업 참여 후 28.55%로 유의적으로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영양플러스 사업 대상자의 영양섭취 적정도 개선 효과역시 2008년에는 0.76%에서 0.88%로 15.8%가 향상됐고,2010년에는 0.75%에서 0.87%로 16%가 향상됐다고 보고 됐다.

영양지식 점수와 태도 점수 모두 사업 전에 비해 사업 후에 유의적으로 증가하 였으며,태도보다는 지식 점수의 상승폭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제3절 보충영양사업의 배경 및 전망

임산부 및 영유아 보충영양 관리사업은 생리적 요인과 환경여건 등으로 인해 상대적 영양취약 대상인 임산부와 영유아에게,그들의 불량한 영양섭취 상태의 개선을 통한 건강증진을 위해 영양교육을 실시하고,영양섭취 불량의 해소를 돕 기 위해 특정양의 특정식품들을 일정기간 지원하는 제도로서,국민의 건강을 태 아의 단계부터 관리하여 전 생애에 걸쳐 건강할 권리를 보장하는 ‘평생 건강 관 리형’영양지원제도라고 할 수 있다.임산부 및 영유아 보충영양관리사업의 구상 은,날로 심해지는 저 출산 ․ 고령화 현상과 관련된 제반 문제에 대한 국가의 체계적인 관리 및 지원을 위해 2004년에 미국의 WIC 프로그램을 벤치마킹하기 시작하였다(한국보건산업진흥원,2008).좀 더 거슬러 올라가보면 1999년 보건복 지부는 지금까지의 모자보건사업의 성과를 반성하고 UN 국제인구개발회의 등 외국의 모자보건사업 동향을 참조하여 단일 보건사업의 한계를 뛰어넘는 다양한 사회,경제적인 요인과 건강문제의 대상을 여성과 어린이의 건강문제를 포괄하는 새로운 영양보충관리사업을 <그림 1-2>처럼 전개하기에 이르렀다.

1972년부터 시행된 미국연방정부,USDA가 지원하는 영양프로그램으로 미국의 여러 가지 영양프로그램 중 가장 성공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는 WIC Program 이 미국 및 선진국에 다양한 형태로 정착되고 있다.이 프로그램의 공통점은 저 소득과 부적절한 영양으로 건강 위험이 높은 임산부,수유부,5세 이하 유아에게 보충식품을 제공하고 영양교육,보건 서비스의 기회도 제공하여 그들의 영양상태 를 국가가 개입하여 개선하려고 하는 정책이다.우리 사회의 소득수준별 지역별

(29)

• 기존의 모성,영유아 건강문제의 지속

• 새로운 건강문제의 증가

• 포괄적/통합적 보건사업 접근의 확산

• 여성과 어린이 건강의 다양한 의학적,보건학적,사회경제학적 용인

● 모자모건사업

• 단일 보건사업

• 보건문제에 집중

• 특수한 건강문제 중심

• 영유아 및 가임여성에 초점

여성과 어린이 건강사업

• 통합적 보건 사업

• 보건을 포함한 다양한 요인들 모두 고려

• 포괄적인 건강 문제 대상

• 여성과 어린이 전반을 대상

영양문제는 결핍과 과잉을 포함한 영양불균형으로 국가 경제발전에 의한 빈부 격차가 영양문제에 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어 적극적인 대국민 영양교육과 영양 적 사고 함양을 포함하는 영양정책의 수립과 수행이 필요한 시기를 맞이하고 있 다.

<

그림 1-2> 보충영양관리사업의 배경

(30)

Ⅲ.연구방법

제1절 연구 설계

본 연구는 함평군 지역에 거주하며 소득수준이 최저생계비 200% 미만인 저소 득층 가정 중 영양플러스 사업 대상자 영양위험 요인(성장부진,빈혈,영양섭취 부족 등)해소에 만족하는 만 5세 (60월)미만의 영유아와 임산부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대상자수는 영아,유아를 합쳐 42명,임산부 26명로 총 68명을 조사 하였고 2011년 12월부터 2012년 4월 30일 까지 실시되었다.

제2절 연구대상 및 표집방법

5개월 동안 영양플러스 사업에 참여한 대상자들에게 영양교육 실시와 보충식 품 제공에 따른 영양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사업 전․후에 신체계측,생화 학적검사,영양지식 및 식태도 조사,영양섭취상태 조사를 실시하였다.사업 전 조사는 2011년 12월에 실시하였고,사업 후 조사는 2012년 5월에 실시하였다.

1)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대상자의 구분,성별,양육자 및 대상자 학력,경제 수준,수유형태,가족 수를 분석하였다.대상자의 구분은 영아,유아,임산부로 구 분하였으나 논문의 전개 편의상 유아로 통일하였다.성별은 남,여로 구분하였다.

대상자나 보호자의 학력은 초졸,중졸,고졸,대졸,대학원졸로 구분하였고 경제 수준은 최저생계비 100미만인 기초생활수급자,최저생계비 100∼120%인 차상위 계층,최저생계비 120∼200%인 기타로 분류하였다.수유형태는 완전모유수유,혼 합수유,조제분유로 구분하였고 가족 수는 태아를 포함한 인원이 2인,3인,4인, 5인,6인,7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31)

2)신체계측

체중은 체중계를 이용하여 0.1kg까지 측정하였다.서 있을 수 없는 영유아는 영아용 체중계에 눕혀서 체중을 측정하였다.

영유아는 대한소아과학회 소아청소년 신체발육표준치 제정위원회에서 발표한

‘2007 소아 및 청소년 표준 성장도표’에 근거하여,연령별 체중 ․BMI,신장별 체중 백분위수가 10thpercentile미만이거나 표준체중에 대한 비율이 80%미만에 한 가지 이상 해당 될 경우에 저 체중이나 성장부진 등으로 분류하여 영양위험 요인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정하였다.임신/출산/수유부가 저 체중으로 판정된 경 우도 해당됐다.(BMI18.5미만).

3)생화학적 검사

빈혈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혈중 헤모글로빈 농도를 측정하였다.대상자들의 손 가락 끝에서 채혈한 후 헤모글로빈 측정기(HemoCueHb201,Sweden)를 이용해 헤모글로빈 농도를 측정하였다.빈혈 판정기준은 WHO기준에 의해 6∼59개월 영 유아는 11g/dl미만,만 5세 유아는 11.5g/dl미만,임산부 11g/dl미만,출산수유부 는 12g/dl미만인 경우에 빈혈로 판정하였다.6개월 이하 영아의 경우 혈액검사를 생략할 수 있으며 모체의 위험요인을 적용할 수 있다.

4)영양지식 및 식태도와 만족도 조사

영양지식 및 식태도 조사는 한국건강증진재단에서 제공하는 설문지를 이용하 여 조사하였고 대상구분별로 영유아는 보호자를 대상으로,임산부는 본인을 대상 으로 조사하였다.

(1)영양지식조사

영양지식조사는 총 10문항으로 O,X형식으로 응답하도록 하여 맞으면 1점, 틀리면 0점으로 환산하였다.문항내용은 영아의 경우 모유수유기,생우유 섭취시 기,모유의 장점,이유식시기와 방법,이유식 진행시기 적절한 식품 등에 관한 질 문으로 구성되었고 유아의 경우 간식의 필요성,균형식의 필요성,우유의 섭취량,

(32)

간식으로 적당한 식품,빈혈 예방을 위한 식품,결식의 문제점,뼈의 성장을 위한 영양소 등으로 구성되었다.임산부의 경우 우유의 적절한 섭취량,빈혈예방을 위 한 식품,임신 시 술의 허용여부,뼈와 치아를 위한 영양소,임신 시 적절한 체중 증가,모유수유의 장점 등으로 구성되었다.

(2)식태도 조사

식태도 조사는 총 10문항으로 각 문항에 ‘전혀 아니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

6점까지 6점 척도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문항내용은 영아의 경우 모유수유의 중요성,시판이유식보다 직접 이유식 조리하여 먹이기,새로운 음식을 시도할 때 한번에 한 가지씩 주기,아기의 성장 단계에 맞추어 이유식 진행하기,아기가 스 스로 먹도록 격려하기,위생적이고 신선한 식품으로 이유식 만들기 등으로 구성 되었고 유아의 경우 유아기 때 좋은 식습관 형성의 중요성,매 끼니 균형적인 식 사제공 노력,규칙적인 식사와 간식 제공을 위한 노력,좋은 간식 제공을 위한 배려,식사 전에 손 씻기 교육 등으로 구성되었다.임산부의 경우 모유수유의 장 점,하루에 우유 3잔 이상 마시기,균형적인 식사를 위한 노력,싱겁게 먹기,술, 카페인 음료 피하기,적당한 활동과 운동 실천,가공식품이나 인스턴트식품 피하 기 등에 관한 내용을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영양지식 및 식태도를 묻는 조사 의 신뢰도는 Chronbach'sa=0.86이었다.

(3)만족도 조사

만족도 조사는 총 17문항으로 각 문항에 ‘기대가 매우 낮음’1점에서 ‘기대가 매우 높음’10점까지 10점 척도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문항내용은 사업에 참 여하기 전,사업의 전반적인 질,본 사업의 수혜대상자 선정과정에서 대상자 선 정이 분명한 기준에 의해 이루어졌다고 생각하는가,본 사업의 수혜를 받아야 할 사람들이 사업에 참여되도록 배려되었다고 생각하는가,보충식품의 공급이 적절 한 시간주기로 이루어졌다고 생각하는가,보충식품의 양과 내용이 적절했다고 생 각하는가,영양교육의 내용이 얼마나 유용했다고 생각하는가,영양교육의 방식이 나 내용이 적절했다고 생각하는가,전반적으로 영양플러스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 는가,본 사업에 대해 기대했던 것과 비교하여 어떠했는가,본 사업이 영양상태 가 취약한 임산부와 영유아를 위한 영양관리사업으로써 이상적인가,본 사업이 앞으로 영양상태가 취약한 임산부와 영유아를 위한 좋은 사업이 될 것을 확신하

(33)

는가,주위에 영양플러스 사업이 필요한 사람들이 있다면 참여를 권하고 사업에 대해 긍정적으로 이야기해 줄 의향이 있는가,본 사업에 참여하는 중 담당자에게 사업에 대해 불만족스러운 점이나 개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을 이야기한 적이 몇 회나 되는가,(14)에서 이야기한 경험이 있는 경우)담당자에게 이야기 한 부분이 잘 반영되었다고 생각하는가,본 사업에서 불만스러웠거나 개선이 필 요한 점이 있다면 답해 주시오라는 총 16가지의 문항을 가지고 대상자의 사업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고 사업의 개선방안을 모색했다.영양교육 실시와 보충식품 제공에 따른 영양개선효과 만족도 조사의 신뢰도는 Chronbach's a=0.93이었다.

5)영양섭취상태 조사

영양섭취 상태는 24시간 회상법으로 조사하였고 조사의 정확성을 위해 식품모 형과 1인 분량의 식품모형,식품사진,그릇 등으로 이용하였다.

24시간 회상법에 의해 문제 영양소의 섭취부족으로 판정된 경우에 식생활 위 험요인 보유자로 판정하였다.영양섭취 부족 판정기준은 한국영양학회에서 발표 된 한국인 영양섭취기준(DRIs,2005)에 근거하여 에너지 섭취량이 필요추정량 (EER)의 75% 미만이거나 단백질,칼슘,철,비타민 A,리보프라빈,나이아신,티 아민,비타민 C 중 한 가지라도 그 섭취량이 평균필요량(EAR)미만인 경우에 해당된다.영아의 경우 모유 수유량의 측정이 어렵다는 점을 감안하여 영양섭취 결과를 대상자격 판정에 이용하지는 않았다.영양섭취량 산출은 한국보건산업진 흥원에서 제공하는 웹기반의 영양 솔루션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영양소 섭취량, 권장섭취량에 대한 섭취비율,식생활 위험요인 보유자비율 등을 분석하여 사업 전․후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6)영양교육 기간 및 방법

영양교육은 영아,유아,임산부로 각각 나누어 대상에 맞는 내용으로 구성하여 실시하였고 한 그룹에 15명 내외로 구성하여 매월 1회,1회당 30분씩 교육을 실 시하였다.영아 및 유아는 보호자를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하였다.

단체 영양교육에 사정이 있어 참석하지 못한 대상자들은 개별적으로 교육을

(34)

실시하였고 단체교육에 2회 이상 불참하지 않도록 하였다.

(1)영아 및 출산수유의 영양교육

영아보호자와 출산수유부를 함께 교육하는 이유는 영아보호자 중 출산 후 수 유하는 사람이 많고 영아기 때 이유식을 해야 하는 중요한 시기이므로 연계성이 많기 때문에 함께 교육하는 것이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영아 및 출산부의 영양교육 일정은 <표 1-3>와 같다.1차시에 영양플러스 사 업에 대한 이해를 돕고 원활한 참여를 위해 사업소개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였고 2차시에 보건복지가족부에서 제시하는 식생활 실천지침을 교육하여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올바른 식생활에 대해 교육하고 소책자를 식품배송 시 각 세대에 발 송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3차시에는 영양플러스 사업에서 제공하고 있는 식품패키지의 보충식품을 활용한 레시피 소개하고 원하는 세대에는 e-mail로 교 육 자료를 추가로 보내어 가정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2)유아의 영양교육

유아의 영양교육 일정은 <표 1-4>과 같다,교육내용은 1차시에서 3차시까지는 영아 및 출산수유부와 동일한 방식으로 각 대상자에게 적합한 내용으로 구성하 여 실시하였다.

<표 1-3> 영아 및 출산수유부의 영양교육 일정

회수 교 육 내 용 교 육 자 료

1차 임산부 및 영유아 영양플러스 사업소개 PPT,마그네틱 2차 영아와 출산수유부의 식생활 실천지침 PPT,소책자

3차 식품패키지의 보충식품을 활용한 레시피 PPT,소책자,e-mail

<표 1-4> 유아의 영양교육 일정

회수 교 육 내 용 교 육 자 료

1차 임산부 및 영유아 영양플러스 사업소개 PPT,소마그네틱

2차 유아 식생활 실천지침 PPT,소책자

3차 식품패키지의 보충식품을 활용한 레시피 PPT,소책자,e-mail

(35)

(3)임산부의 영양교육

임산부의 영양교육 일정은 <표 1-5>와 같다.교육내용은 1차시에서 3차시까지 는 영아 및 출산수유부와 동일한 방식으로 각 대상자에게 적합한 내용으로 구성 하여 실시하였고 4차에서 6차까지는 함평군 임산부 대상으로 하는 해피맘 출산 준비 교실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외부강사를 초빙하여 교육을 실시하였다.

<표 1-5> 임산부의 영양교육 일정

회수 교육내용 교육자료

1차 임산부 및 영유아 영양플러스 사업소개 PPT,소마그네틱

2차 임산부 식생활 실천지침 PPT,소책자

3차 식품패키지의 보충식품을 활용한 레시피 PPT,소책자,e-mail 4차 분만 시 호흡법,마사지 및 출산 전,후 체조 PPT,실습

5차 한의학 태교-태교의 필요성,종류,방법 PPT 6차 성공적인 모유수유와 신생아 관리 PPT,실습

7)식품패키지별 식품제공량

대상자에게 제공되는 식품패키지는 대상구분별로 해당되는 식품패키지를 처방 하여 가정으로 직접 배달하여 제공하였고 식품의 보관 가능기간에 따라 달걀,당 근,감자,우유,오렌지주스는 월 2회,나머지 식품은 월 1회 제공하였다.식품이 배송되기 전날 식품업체를 방문하여 식품의 무게,품질,유통기한 및 포장상태를 확인하여 검수를 실시하였고,식품의 보관 상태도 점검하였다.대상자로 하여금 식품의 종류,양,물품의 이상여부를 확인하도록 교육하여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교환하여 제공하였고 대상자가 상점에서 다른 물건으로 바꾸지 않도록 하였다.

제공된 식품은 해당 월,혹은 정해진 기간에 다 섭취하지 못한 경우 유통기한에 유의하고,유통기간이 지난 식품은 반드시 폐기하도록 교육하였다.

식품패키지에 따른 식품별 제공량의 1인 1일 환산치는 <표 1-6>과 같다.이 제공량은 한국인의 영양권장량에 수록된 ‘식사구성안’의 식사분량과 가공식품 영 양표시를 위한 기초 자료로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서 개발한 ‘식품 표시 참고량

(36)

및 1회 분량’자료를 활용하고,각 대상 연령군의 평균적 영양 섭취상태에 근거 하여 관련 영양문제를 보완하는 수준으로 도출하였다.

1)모유수유를 우선적으로 권장하며,분유는 필요량에 따라,제품에 표기 된 권장 섭취량의 1/2까지 제공함.

2)감자는 7,8월 국수로 지급.이 경우 식품패키지 2에서는 국수를 공급하지 않음.

3)달걀 50g은 달걀 1개로 계산하여 공급함.

4)전란을 지급하되,영아는 노른자만 먹도록 교육함.

5)검정콩과 시리얼은 격월로 제공.

6)혼합수유부의 경우 출산 후 7개월째부터 보충 식품은 우유만 제공.

7)쌀과 현미는 격월로 제공.

(출처:2012년도 영양플러스 사업안내 지침서에 근거하여 함평군 실정에 맞춤)

식품패키지에 따른 식품별 제공량의 1인 1일 환산치에 근거하여 실제로 제공 된 식품패키지별 월별 식품 제공량은 <표 1-7>과 같다.

제3절 통계분석

본 연구에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PackageSocialScience)17.0프로 그램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일반적인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 하였고,빈혈상태와 영양 상태를 조사하기 위한 체중,체질량 지수(BMI:Body MassIndex)등의 신체계측과 헤모글로빈 수치에 의한 빈혈을 판정하는 생화학 적 검사,영양지식 및 식태도 점수에 대한 검정은 pairedt-test를 이용하여 검정 하였고,빈혈유병률,영양섭취부족 대상자 비율의 비교분석은 McNemar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사업 참여 기간에 따른 유아의 영양개선 효과는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통계적인 유의성은 p〈0.05수준에서 결정하였다.영양보충 관리사업의 만족도를 통한 효과성 검증을 위해 독립 t-test를 이용하였고,저소득 층 영양위험군중에서 보충영양관리사업에 참여한 임산부 및 유아들의 만족도 검 사 또한 독립 t-test를 통해 이루어졌다.

참조

관련 문서

배변 간격을 알아서 변기 또는 화장실에서 누게 한다4. 아기의

임산부 및 영・유아 등록관리 생애 초기 건강관리 시범사업 가임기 여성 건강증진사업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 지원

세포성 면역이 저하되어 있는 고령자, 신생아, 임산부, HIV 감염자, 당뇨환자, 투석환자, 장기이식환자, 암환자, 스테로이드 치료 중인 환자, 알코올중독자는

식품 및 영양 안보는 생산과 무역에 달려 있으며 소비자에게 식품 가용성을 제고하려면 제대로 기능하는 공급망과 사회 안전망이 필요. 코로나 조치로 인해 식량

또한, 「기상청 데이터 관리 및 제공 규정」 제6조(공공데이터제공담당관의 임무)에는 데이터 관리에 관한 기본정책의 수립 및 제도의 개선, 데이터 통계의 작성·관리

임산부 연령과 우울점수와의 관계에서는 단일변량 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유 의한 수준을 보였으나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관련성이 없는 것으

마지막으로 순회교육의 효율화 방안 및 개선 방안을 위해 제안하고 싶은 점을 특수교육지원센터에 근무하는 순회교사는 순회교육 외의 업무경감,순회교사의 처

○ 원도심 활성화 및 생활환경 개선 도모, 여건변화에 선제적 대응으로 지역 균형발전 추진. ○ 효율적 토지관리 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