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Effects of Stretching and Aerobic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in Middle-aged Women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Effects of Stretching and Aerobic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in Middle-aged Women"

Copied!
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스트레칭운동과 유산소 운동이 중년여성의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중구 보건소, 서울시립대1

김 홍 인․김 설 향1

Effects of Stretching and Aerobic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in Middle-aged Women

Hong-In Kim, Seol-Hyang Kim1

Jung-gu Health Community Center, The University of Seoul

1

요 약

연구배경: 스트레칭운동은 본 운동을 하기 전 준비운동과 이후 정리운동에 주로 행하여지는 운동형 태이지만 본 연구는 40, 50, 60대 여성 3집단을 대상으로 30분간의 스트레칭운동에 근육성 운동을 더 한 캘리스쎄닉 운동과 더불어 체중감량과 심폐기능을 증진하기 위하여 전통적으로 많이 시행하고 있는 속보, 자전거 타기, 그리고 계단오르기 60분 운동을 12주간 실시하여 중년여성의 신체조성에 어떠한 변 화 양상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방법: 서울 중구 보건소 건강증진센터에서 실시하는 신나는 건강운동교실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중년 여성 총 3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신체조성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Skinfold thickness로 상완삼두, 상장골, 대퇴부를 측정하였다. 검사시 10시간의 공복상태를 유지하였고, 측정시간은 오전 9시에서 11시 까지 일정한 시간에 실시하였다. 검사는 운동 전과 12주 운동 후에 측정하였다. 피험자들에게 체중을 몇% 감량하라는 구체적인 제시는 하지 않고 잘못된 식습관이 있는지에 대한 상담을 영양사와 1회 실시 하였다. 스트레칭은 13가지 내용을 3회 반복하였고, 유산소 운동의 운동강도는 분당 심박수 120∼140 (70%)를 유지할 수 있도록 20분간 속보 운동은 4.0에서 6.5 km까지 점차적으로 증가하게 하였고, 자 전거 20분은 12단계의 운동 중 1∼3단계에서 실시하였고, 계단 오르기 20분은 2∼5단계까지 능력에 맞 추어 점차로 증가시켰다. 운동시간은 총 90분으로 일주일에 3회를 실시하되 격일로 하였다. 운동전, 후 측정에 대한 통계처리는 paired t-test 하였고, 집단간의 차이는 One-way ANOVA로 검정하였고 유 의성 검증은 p<0.05로 하였다.

결과: 12주간 운동 프로그램 후 체중은 60.4±6.2 kg에서 58.55 kg으로 유의하게(p<0.05) 약 1.9 kg 감소하였다. 운동 프로그램 참가자 중 40대는 62.28±3.99 kg에서 58.75±4.27 kg으로 3.53 kg 유의하 게(p<0.05), 50대는 60.92±7.52 kg에서 59.51±6.77 kg으로 1.4 kg 유의하게(p<0.05), 60대도 58.55±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교신저자: 김홍인, 서울시 중구 무학동 50-5번지, 중구보건소

Tel: 02)2250-4478, E-mail: Hongin1022@hanmail.net, Mobile: 010-4787-4200

(2)

서 론

비만은 심혈관계 질환1), 당뇨병2), 관절염, 암 등을 유발할 수 있는 위험 요인이다. 미국이나 유럽, 그리고 우리나라도 비만의 유병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 는 추세여서 비만이 건강을 해칠 수 있는 요인으로 심 각하게 인식하고 있다. 비만을 치료하는 방법은 흔히 식이 섭취를 제한하는 것이다. 이것은 단기간에 걸쳐 서 체중감소를 시키는데 효과적이지만 장기적인 입장 에서 체중관리를 할 때 체중이 다시 증가하는 비율도 높다.

체중감소의 또 다른 방법은 신체활동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즉,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것이다. 규칙적인 운 동은 체력을 증가시키는데, 이때 건강을 해칠 수 있는 체지방은 감소하고, 에너지를 많이 소모하게 하는 근 육량은 증가한다. 식이제한으로 인하여 체중이 감소하 는 형태는 근육이 감소하여 언제라도 방심하면 또 다 시 체중이 증가할 수 있고 오히려 더 많은 증가가 일 어날 수도 있다. 그래서 그 다음에는 더 많은 식이 제 한을 하여야 체중감량이 가능하게 된다. 1995년 Bro- wnell3)에 의하면 미국의 경우 1900년에 비하여 1990 년대의 열량섭취는 10% 줄었는데 비만 인구는 두 배 증가하였다고 하였고, 비만한 유아에서도 열량섭취가

특별히 많지 않았다고 하는 의미 있는 연구4)를 수행하 였다. 이를 근거로 신체활동의 감소가 비만에 큰 영향 을 준다고 볼 수 있다. 열량섭취를 줄이는 것만으로는 비만 해결이 쉽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체지방량은 연령이 증가하면서 증가하는데, 젊은 청 년의 경우 체지방이 증가하면 근육중량도 덩달아 증가 하는데 비하여 고령자들의 경우 체지방량은 증가하고 제지방인 근육중량은 감소한다5,6). 이러한 경우 신체적 인 기능 및 능력은 더욱 감퇴할 수밖에 없다.

과다한 체지방량 축적시 복부 둘레 증가는 복부 내 지방 (Intra-abdominal fat) 증가를 의미하므로 노화와 함께 당뇨병, 고혈압, 동맥경화와 같은 질환 발병을 유 발하게 하는 것으로 주의하여야 한다7).

Wilmore8)에 의하면 운동이 총 체중과 체지방은 감 소시키고, 제지방 즉 근육량은 적당량 증가시킨다고 연구보고 하였다. 이러한 변화양상은 운동의 빈도, 강 도, 기간에 따라서 다를 수 있다. 체중감량을 좀더 효 과적으로 하기 위해서 주로 실시하는 운동은 유산소 체계에 의하여 운동을 실시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래서 운동의 흐름도 유산소 운동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근육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저항성 근력운동을 하 여야 한다. 그러나 특히 중년이나 고령자들이 저항성 5.00 kg에서 57.08±4.73 kg으로 약 1.5 kg 유의하게(p<0.05) 감소하였다. Skinfold thickness에 대한 40대의 상완삼두는 19.92±3.12 mm에서 17.21 mm로, 50대는 21.11±5.11 mm에서 19.32±4.74 mm로, 60대는 21.04±5.28 mm에서 17.75±4.22 mm로 유의하게(p<0.05) 차이가 각각 나타났다. 상장골은 40 대 19.28±17.07 mm로, 50대 20.50±18.23 mm에서 18.23±6.08 mm로, 60대 22.08±4.85 mm에서 19.00±4.95 mm로 유의하게(p<0.05) 나타났다. 그리고 대퇴부의 경우 40대는 22.78±5.15 mm에서 20.07±5.66 mm로, 50대는 25.35±8.24 mm에서 22.85±7.23 mm로, 60대는 22.92±4.85 mm에서 19.16±5.20 mm로 각각 유의하게(p<0.05) 나타났다.

결론: 12주간 90분간 주 3일간 운동을 실시하여 40, 50, 60대의 체중과 3부위의 피부두께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일주일에 5회 이상 40∼60분 운동이 체중감소가 일어 난다고 하였는데 일주일에 3번의 90분간 운동으로도 신체조성의 변화가 나타난 의미 있는 연구결과이 었다. 앞으로 많은 참여자를 대상으로 연구가 더 보충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중심단어: 스트레칭운동, 유산소 운동

(3)

근력 운동을 한다면 Valsalva maneuver로 알려진 생 리적 기전으로 혈압이 심각하게 증가할 수 있기 때문 에 유산소 운동에 초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 는 40대, 50대, 60대의 비만 여성을 대상으로 60분 유 산소 운동과 더불어 운동을 쉽게 적응할 수 있도록 30 분간의 스트레칭, 미용체조를 실시하여 운동에 따른 부위별, 연령별 신체조성의 변화를 비교하여 중년 여 성을 위한 운동프로그램 및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 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대상자는 환자를 대상으로 중구보건소 신나 는 운동교실에 자발적으로 자원한 자들을 대상으로 하 였다. 연구대상자의 연령범위는 최저 40세에서 최고 69세 (평균연령 55.3±3.2세)까지 모두 중년여성들로 이루어졌다. 각 연령 대별 인원수는 40대는 7명이고, 50대는 17명이고, 그리고 60대는 12명으로 총 36명이 었다. 각 대상자들은 당뇨병, 고혈압, 비만 등 생활 습 관 병을 앓고 있는 자들로 합병증은 없는 자들이었다.

2. 연구방법 1) 신체계측

10∼12시간의 공복상태에서 가벼운 반팔 티셔츠에 반바지를 착용하고 신장과 체중을 Fanics (SPC, Korea) 로 측정하였다. 측정한 시간은 오전 9시에서 11시 사 이에 실시하였다.

2) 둘레 및 신체조성 측정

신체조성의 측정의 하나로 둘레 측정은 Rollfix (Germany)를 가지고 가슴 (Chest) 부위, 허리 (Waist) 부위, 그리고 엉덩이 (Hip)부위 3곳을 측정하였다. 체 지방량을 측정하기 위해서 피하지방 두께를 Lange Skinfold Caliper (USA)로 삼두근 (Triceps), 상장골 (Suprailliac), 그리고 대퇴 (Thigh)부를 3회 측정하여 평균한 값을 계산하였다.

3. 운동프로그램 1) 스트레칭과 미용체조

준비운동과 더불어 운동에 알맞은 몸을 형성하기 위 하여 스트레칭과 미용체조를 30분간 실시하였다. 이들 의 운동내용은 윌리암스 굴전운동인 한쪽 발을 가슴으 로 당기기, 양 무릎을 가슴으로 당기기, 누워서 다리 들어 반대로 젖히기 (좌, 우), 옆으로 누워 다리 옆으로 들어올리기 (좌, 우), 누워서 좌, 우로 다리 들어올리기, 브리지 모양으로 배 들어올리기, 무릎 굽혀 다리 들고 윗몸일으키기 (30∼40회), 멕킨지 신전운동인 엎드려 다리들어올리기 (좌, 우), 엎드려서 가슴 위로 올리기 (20∼25회), 한쪽 무릎피고 반대는 굽히고 가슴 닿기 (좌, 우), 다리 벌려 가슴 닿기, 무릎 꿇고 가슴 닿기, 팔을 위로 올려 한쪽으로 팔꿈치 굽혀 당기기 (좌, 우) 등을 2회에서 3회 반복을 하였다.

2) 유산소 운동

본 운동인 유산소 운동은 최대산소섭취량의 60∼65%

로 설정하여 운동을 실시하였다. 각 운동종목별 운동 내용은 트레드밀에서 4.0∼6.5 km/h로 속보를 실시하 였고, 자전거는 1∼3단계에서 운동을, 그리고 계단오 르내리기는 3∼5단계에서 실시하였다. 그러나 관절염 이 있는 환자는 2단계도 각도를 줄여서 운동을 실행하 였다. 운동시간은 3가지 운동종목에서 20분씩 총 60분 유산소 운동을 일주일에 3회 격일제로 3개월 진행하였 다. 또한 상체근력 증강 및 어깨 통증, 어깨의 뻣뻣함 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아령 2∼3 kg을 가지고 biceps와 shoulder press를 15회 3세트를 하도록 권장하였다.

4. 자료 분석

결과분석은 평균과 표준편차로 표시하였고, 통계분 석은 SPSS/PC+WIN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운 동 전, 후 40대, 50대, 그리고 60대에 대한 효과를 결 정하기 위해서 모든 집단에 대한 paired t-test를 하였 고, 변화에 대한 집단간의 차이는 One-way ANOVA 로 검정하였고 유의수준은 p<.05로 하였다.

(4)

결 과 1. 평균 신체조성의 결과

40세에서 최고 69세 (평균연령 55.3±3.2세)에 이르 기까지 총 36명을 대상으로 3개월간 스트레칭, 미용체 조 및 유산소 운동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체중은 60.6±5.4에서 58.4±5.2 kg으로 2.2 kg 감소하 여 유의한 차이 (p<.05)가 나타났다. 둘레측정에 의하 여 나타난 가슴부위는 90.7±6.7에서 89.5±6.3 cm로 유의한 감소 (p<.05)가 있었고, 허리부위도 83.3±6.4 에서 80.0±6.0 cm로 유의한 감소 (p<.05)가 있었고, 엉덩이부위도 95.7±4.6에서 94.3±4.8 cm로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 (p<.05)가 나타났다. 피부두께로 측정 한 삼두부는 20.7±4.4에서 18.0±4.5 mm로 유의한 감소 (p<.05)가 있었고, 상장골은 20.6±6.3에서 18.0

±5.5 mm로 유의한 감소 (p<.05)가 있었고, 대퇴부위 도 23.5±6.0에서 20.6±6.1 mm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 (p<.05)가 나타났다.

2. 연령대별 신체조성의 결과

12주 동안 스트레칭과 유산소 운동을 통하여 40대, 50대, 그리고 60대 간 신체조성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는 Table 2와 같다. 40대에서 체중은 62.3±3.9에서 58.7±4.2 kg으로 3.6 kg 유의하게 감소 (p<.05)하였다.

둘레측정에 의한 가슴부위는 90.7±6.7에서 89.5±6.3 cm로 유의한 감소 (p<.05)가 있었고, 허리부위는 83.3

±6.4에서 80.0±6.0 cm로 유의한 감소 (p<.05)가 있었 고, 엉덩이 부위도 95.7±4.6에서 94.3±4.8 cm로 유 의한 차이 (p<.05)로 감소하였다. 피하지방두께의 경우 삼두부위는 19.9±3.1에서 17.2±4.3 mm로 유의한 감 소 (p<.05)가 있었고, 상장골부는 19.2±7.6에서 17.0

±5.7 mm로 유의한 감소 (p<.05)가 있었고, 대퇴부도 22.7±5.1에서 20.0±5.6 mm로 유의한 차이로 감소 (p<.05)가 있었다. 50대에서 체중은 60.9±7.5에서 59.5±6.7 kg으로 1.4 kg 유의하게 감소 (p<.05)하였다.

둘레측정에서 가슴부위는 90.6±5.2에서 90.0±4.4 cm 로 유의한 감소 (p<.05)가 있었고, 허리부위는 81.0±

5.3에서 79.5±5.7 cm로 유의하게 감소 (p<.05)하였고, 엉덩이부위도 95.0±4.9에서 94.7±4.6 cm로 유의한 차이 (p<.05)로 감소를 나타냈다. 피하지방두께의 경우 삼두부위는 21.1±5.1에서 19.3±4.7 mm로 유의한 감 소 (p<.05)가 있었고, 상장골부는 20.5±6.5에서 18.2

±6.0 mm로 유의한 감소 (p<.05)가 있었고, 대퇴부도 25.3±8.2에서 22.8±7.2 mm로 유의한 차이로 감소 (p<.05)가 있었다. 60대에서 체중은 60.9±7.5에서 59.5

±6.7 kg으로 1.5 kg 유의하게 감소 (p<.05)하였다. 둘 레측정에서 가슴부위는 90.3±9.3에서 89.3±9.3 cm로 유의한 감소 (p<.05)가 있었고, 허리부위는 86.9±7.2

Table 1. Changes of Body Composition after 3 Months of Aerobic Exercise

Valiables pre test post

Age (year) 55.3±6.0

Height (kg) 155.4±4.8

Weight (kg) 60.6±5.4 58.4±5.2*

Chest (cm) 90.7±6.7 89.5±6.3*

Waist (cm) 83.3±6.4 80.0±6.0*

Hip (cm) 95.7±4.6 94.3±4.8*

Triceps (mm) 20.7±4.4 18.0±4.5*

Suprailiac (mm) 20.6±6.3 18.0±5.5*

Thigh (mm) 23.5±6.0 20.6±6.1*

Values are mean±S.D.

*p<.05

(5)

에서 84.4±5.9 cm로 유의하게 감소 (p<.05)하였고, 엉 덩이부위도 96.9±4.8에서 94.1±4.7 cm로 유의한 차 이 (p<.05)로 감소를 나타냈다. 피하지방두께의 경우 삼두부위는 21.0±5.2에서 17.7±4.2 mm로 유의한 감

(p<.05)소가 있었고, 상장골부는 22.0±4.8에서 19.0±

4.9 mm로 유의한 감소 (p<.05)가 있었고, 대퇴부도 22.2±4.8에서 19.1±5.2 mm로 유의한 차이로 감소 (p<.05)가 있었다. 그러나 연령대별 집단간의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 (p<.05)는 허리둘레에만 있었고 나 머지는 나타나지 않았다.

고 찰

연령이 증가할수록 신체적인 능력은 감소하지만 신 체조성의 변화에서 체지방량은 오히려 증가한다. 체지 방량이 증가한다는 것은 지방량은 많아지고 근육량은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연령이 증가할수록 에너지 생산능력이 줄어들고 근력이 부족하고 관절이 약하여 운동을 실행하기가 더 어렵게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운동을 좀더 적응을 잘 해 나 갈 수 있도록 스트레칭과 미용체조를 30분간 실시하여

60분간의 유산소 운동을 문제없이 잘 수행하는데 초점 을 두어 몸만들기에 주안점을 두었다.

신체조성은 체지방량과 제지방량으로 구성된 것을 말하는데, 주로 체지방량에 중점을 두고 있다. 왜냐하 면 신체활동 부족과 체지방량 증가는 서로 상관관계가 있고, 성인병인 비만, 고혈압, 관상동맥질환, 당뇨병 발 9), 그리고 유산소 능력 증진 및 체중감소로 관련10) 이 있기 때문이다.

총 12주간 스트레칭, 미용체조와 유산소 운동 90분 을 일주일에 3회 실시한 결과 40대와 50대, 그리고 60 대 모든 연령층에서 유의한 (p<.05) 체중감소가 나타 났다. 40대의 체중 감소는 3.6 kg이었고, 50대는 1.4 kg, 60대는 1.5 kg으로 각각 나타나 평균 2.2 kg의 감 소가 있었다. 체중감소가 가장 많은 집단은 40대로 나 타나 이러한 방식의 운동이 체중감소에 효과적이었음 을 나타내었다. 50대와 60대는 체중감량의 차이가 없 었고, 40대는 이 두 집단과 비교하여 거의 두 배에 가 까운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처럼 많은 체중의 차이가 있는 것은 40대의 체중은 평균 62.7 kg으로 50, 60대 의 60.9와 58.6 kg으로 2∼4 kg 더 높았고 이들과 비 교하여 연령이 10∼20세 젊기 때문에 운동량 또는 활 Table 2. The Results of body Composition in Different Groups after 3 Months of Aerobic Exercise

Valiables 40대 (n=7) 50대 (n=17) 60대 (n=12)

pre test post test pre test post test pre test post test

Age, year 45.7±6.7 55.7±4.5 65.2±5.8

Height (cm) 155.7±6.3 158.3±5.1 152.2±3.5

BW (kg) 62.3±3.9 58.7±4.2* 60.9±7.5 59.5±6.7* 58.6±5.0 57.0±4.7* BMI (kg/m2) 25.69±9.3 24.2±7.9* 24.3±5.1 23.7±6.0* 25.2±3.7 24.6±3.4* Chest (cm) 91.3±5.5 89.4±5.3* 90.6±5.2 90.0±4.4* 90.3±9.3 89.3±9.3* Waist (cm) 81.4±6.8 78.6±6.6* 81.0±5.3 79.5±5.7* 86.9±7.2 84.4±5.9* Hip (cm) 95.1±4.1 94.1±5.3* 95.0±4.9 94.7±4.6* 96.9±4.8 94.1±4.7* Triceps (mm) 19.9±3.1 17.2±4.3* 21.1±5.1 19.3±4.7* 21.0±5.2 17.7±4.2* Suprailiac (mm) 19.2±7.6 17.0±5.7* 20.5±6.5 18.2±6.0* 22.0±4.8 19.0±4.9* Thigh (mm) 22.7±5.1 20.0±5.6* 25.3±8.2 22.8±7.2* 22.2±4.8 19.1±5.2*

* p<.05

BW : Body weight BMI : Body mass index

(6)

동량이 정상적인 운동 프로그램 이외에 더 많을 것이 라는 추측을 할 수 있겠다. 또한 식이섭취제한에 대한 요인도 좀 더 젊은 중년으로서 체중감소에 대한 욕구 가 더 많은 체중감소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사료된 다.

본 연구에서 유산소 운동은 트레드밀에서 속보, 자 전거 타기, 그리고 계단 오르내리기로 구성하였는데, Murphy & Hardman14)은 44세의 중년여성을 대상으 로 속보운동 (5.6∼6.4 km/h)을 30분씩 3개월 진행한 후 1.7 kg의 감소를 나타내어 본 연구의 50, 60대와 동 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속보와 자전거 운동으 로 체중감량이 이루어진 Grant Gwinup11) 사례 (20∼

40세 여자)들을 보면 6개월간 장기적인 속보운동 60 분으로 체중은 7.8 kg 감량을, 60분 자전거 타기는 8.6 kg감량을 각각 나타내어 본 연구의 40∼65세 여성의 3개월 운동에 비교한다면 크게 높은 수준에서 체중이 감소하였다. Anderson 등12)은 3개월간 신체활동 프로 그램을 통하여 남, 여간 성차에 대한 체중감량의 차이 를 연구한 결과 여자는 2.6 kg의 체지방 감량이 있었 다고 하여 본 연구의 2.2 kg과 유사한 결과가 있었다.

Ballor 등13)은 56∼70세의 남자, 여자를 대상으로 12 주간 유산소 운동과 웨이트 운동을 한 결과 유산소 운 동 집단은 2.5 kg 감소가 있었고 웨이트 운동 집단은 0.4 kg 감량에 그쳐 운동종류별로 체중감량에 차이가 있었다. 이의 연구에서도 본 연구와 비교하면 거의 유 사한 결과가 있었다. Muryhy & Hardman14)은 평균 45세의 여성을 대상으로 속보운동을 일주일에 5회 30 분씩 운동한 결과 1.7 kg의 감소가 있어 본 연구와 일 치함을 나타내었다. Schmidt, Craig, and Linda16) 평균 20세의 여성을 대상으로 12주간 유산소 운동을 30분간 한번에 30분을, 15분씩 2번을, 10분씩 3번을 3 집단으로 일주일에 3∼5회 운동한 결과 30분 한번에 한 집단은 2.7 kg 감소를, 15분씩 2번한 집단은 2.97 kg 감소를, 그리고 10분씩 3번한 집단은 4.4 kg 감소 를 보고하여 본 연구와 일치함을 나타내었다. Shi- mamoto 등15)은 12주 유산소 운동을 일주일에 2∼3회 를 60분씩 진행한 결과 체중 3.3 kg 감소가 있었다고 보고하여 본 연구와 일치하였다. Shinkai 등17)은 유산 소 운동과 식이요법을 병행하여 12주간 45∼60분간

일주일에 3∼4회 운동요법을 실시한 결과 4.5 kg 감량 하여 본 연구와 일치하였다. Skyes, Choo, and Cott- errell18)은 42세의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하루에 400 kcal 소비하는 속보와 실내용 자전거를 일주일에 5회 를 2개월 실시한 후 체중, 체지방량, 그리고 허리둘레 가 유의한 감소가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Utter 등19) 운동, 식이요법, 그리고 운동과 식이요법을 병행한 집 단에서 12주간 45분씩 운동한 결과 식이요법과 운동 과 식이요법을 병행한 집단에서 7.8 kg과 8.1 kg씩 각 각 감소하였지만 운동만 실행한 집단에서는 유의한 변 화가 없었다고 하였다. 그리고 Wilmore8)에 의하면 12 주 기간동안 유산소 운동을 60분간 일주일에 3회 실시 하여 연구한 수 백편의 연구논문을 분석한 결과 평균 3.2 kg의 체중감량이 있다고 하여 본 연구와 일치함을 주장하였다.

신체조성에서 중요한 내용은 체지방량 (% body fat) 이다. 체지방량 과다는 임상적으로 심혈관계 질환1) 뇨병2), 관절염, 암 등을 유발할 수 있는 위험 요인이 되기 때문에 현재 건강측면에서 대단히 중요하게 다루 고 있다. 체지방량은 정량적으로 나타내는 것이 일반 적이나 본 연구에서는 둘레 측정이나 피하지방 측정으 로 연령별로 나타내었다. 둘레측정에 의한 40대, 50대, 60대의 가슴부위와 엉덩이 부위는 집단 내에서는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로 감소 (p<.05)가 있었으나 집단 간에서는 감소가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없었 다. 그러나 허리부위는 40대와 60대 집단 간에서만 유 의한 차이 (p<.05)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여 러 가지 부위에서 지방이 축적되어있는데 운동요법에 의한 부위별 감소율이 가장 높은 부위가 허리라는 사 실을 말해주는 것이다. 이는 Muryhy & Hardman14), Skyes, Choo, and Cotterrell18)의 연구 결과와 같다.

피하지방 측정에 의한 연령별 부위별 감소결과는 40 대, 50대, 60대에서 삼두부, 상장골부, 그리고 대퇴부 위는 모두 집단 내에서는 유의한 차이로 감소 (p<.05) 가 있었지만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는 인식되지 않 았다. 40대의 3부위 감소율은 2.5mm (12.3%)이었고, 50대는 2.2 mm (9.7%)이었고, 60대는 3.2 mm (14.5%) 로 평균 2.6 mm의 감소율을 보여 60대가 가장 많이 감소하였다. 40대의 삼두부위는 2.6 mm (12.5%)의 감

(7)

소율이 있었고, 50대는 2.5 mm (12.1%)의 감소율이, 그리고 60대는 2.8 mm (11.9%)의 감소율을 나타내어 상당량의 체지방량이 감소하고 대신 운동을 통하여 근 육량이 증가한 것으로 해석되고8,10,15,16,20)

다른 연구결과 와 일치한다.

결론적으로 스트레칭, 미용체조 30분과 유산소 운동 60분으로 총 90분 간 운동을 일주일에 3회를 총 12주 간 실시한 결과 40대, 50대, 그리고 60대에 이르기까 지 체중과 신체둘레 및 피하지방 두께 모두에서 유의 한 차이로 감소가 이루어져 신체조성에 아주 유익한 결과가 있었다. 체지방 및 체중은 감소하고 운동에 의 한 근육량 또는 제지방량이 증가하여 근력 및 유산소 능력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앞으로 체지방 차이에 따른 혹은 근육량에 따른 연령별 유산소 능력 의 차이를 알아보는 연구도 진행될 필요가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retching and aerobic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in middle-aged women after 12-week exercise training program. Thirty-six middle-aged women (55.3±3.2 years) with hypertension, diabetes, and obes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exercise training program consisted of on a treadmill walking, cycle ergometer, and step climbing at intensity of 60

∼65% Vo2max. Subjects trained for at 12 weeks, three times per week. The average training duration was 90 minutes (30 minutes of stretching & calisthe- nics+60 minutes of aerobic exercise).

The main conclusion was drawn by as follows.

1. In all subjects, the average body weight decre- ased significantly (p<.05) from 60.6±5.4 to 58.4±

5.2 after 3 months of stretching, calisthenics and aer- obic exercise.

2. In circumference measurement, chest circum- ference reduced significantly (p<.05) from 90.7±6.7 to 89.5±6.3 cm, waist circumference 83.3±6.4 to

80.8±6.0 cm, and hip circumference 95.7±4.6 to 94.3±4.8 cm significantly (p<.05), respectively.

3. In skinfold thickness, Triceps decreased signifi- cantly (p<.05) 20.7±4.4 to 18.0±4.5 mm, suprailiac 20.6±6.3 to 18.0±5.5 cm, and thigh 23.5±6.0 to 20.6±6.1 mm significantly (p<.05), respectively.

4. In result of 40,'s, 50's, and 60's age level, 40's weight reduced 62.3±3.9 to 58.7±4.2 kg, 50's weight 60.9±7.5 to 59.5±6.7 kg and 60's weight 60.9±7.5 to 59.5±6.7 kg significantly, respectivel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age's group.

5. In circumference measurement, 40's chest circ- umference reduced 90.7±6.7 to 89.5±6.3 cm, 50's chest circumference 90.6±5.2 to 90.0±4.4 cm, 60's chest circumference 90.3±9.3 to 89.3±9.3 cm signi- ficantly (p<.05), respectively. 40's waist circumference reduced 83.3±6.4 to 80.0±6.0 cm, 50's waist circu- mference 81.0±5.3 to 79.5±5.7 cm, 60's waist circ- umference 86.9±7.2 to 84.4±5.9 cm, significantly (p<.05), respectively. 40's hip circumference reduced 95.7±4.6 to 94.3±4.8 cm, 50's hip circumference 95.5±4.9 to 94.3±4.8 cm, 60's hip circumference 96.9±4.8 to 94.1±4.7 cm significantly (p<.05), resp- 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age's group. but waist circumference decreased significantly difference only between 40' and 60'.

6. In skinfold thickness measurement, 40's triceps skinfold thickness reduced 19.9±3.1 to 17.2±4.3 mm, 50's triceps skinfold thickness 21.2±5.1 to 19.3±4.7 mm, 60's triceps skinfold thickness 21.0±5.2 to 17.7

±4.7 mm significantly (p<.05), respectively. 40's su- prailiac skinfold thickness reduced 19.2±7.6 17.0±

5.7 mm, 50's suprailiac skinfold thickness 20.5±6.5 to 18.2±6.0 mm, 60's suprailiac skinfold thickness 22.0±4.8 to 19.0±4.9 mm, significantly (p<.05), res- pectively. 40's thigh skinfold thickness reduced 22.7

±5.1 to 20.0±45.6 mm, 50's thigh skinfold thickness 25.3±8.2 to 22.8±7.2 mm, 60's thigh skinfold thickn- ess 22.2±4.8 to 19.1±5.2 mm significantly (p<.05),

(8)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age's group.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Key Words: Aerobic exercise, Body composition,

Circumference, Skinfold thickness

참 고 문 헌

1. Manson JE, Willett MJ, Stamfer GA, Colditz DJ, Hunter SE, Hankinson CH, Speizer FE. Body weight and mortality among women, New Eng- land Journal of Medicine 1995;333:677-685.

2. Bray GA. Coherent preventive and management strategies for obesity, In The origins and conseq- uences of obesity, eds, DJ, Chadwick and G, Cardew, Ciba Foundation Symposium London;

John Wiley 1996;20:228-246.

3. Brownell KD. Exercise in the treatment of obe- sity, In Brownell KD, Fairburn CG editors, Eating disorders and obesity: A comprehensive handbook, New York City; Guilford Press; 1995;473-475.

4. Beaton, et al. An examination of factors believed to be associated with infantile obesity Am J Clin Nutr 1979;32:1997.

5. Bemben MG, Kuchera M, Bemben DA. Physio- logical changes related to aging: Implications for health and fitness. Journal of Osteopathic Sports Medicine 1989;3:15-19.

6. Stamford BA. Exercise in the elderly; In Exer- cise and Sports Sciences Reviews, New York:

Macmillan. 1988.

7. Kohrt WM, Obert KM & Holloszy JO. Exercise training improves fat distribution patterns in 60 to 70-year-old men and women. Journal of Gero- ntology 1992;47(4):M99-105.

8. Wilmore JH. Body composition in sport and exercis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Med Sci Sports Exerc 1983;15:21-31.

9. Kiyonaga A, Aragawa K, Tanaka H, Shindo M:

Blood pressure and hormonal responses to aerobic exercise. Hypertension 1985;72:125-131.

10. King AC, Frey-Hewitt B, Dreon DM, Wood PH.

Diet vs exercise in weight maintenance: the effe- cts of minimal intervention strategies on long- term outcomes in. Arch Intern Med 1989;149:

2741-2747.

11. Grant Gwinup. Weight loss without dietary rest- riction: Efficacy of different forms of aerobic exercise. The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 cine 1987;15(3):275-279.

12. Anderson B, Xu XF, Rebuffe-Scrive M, Terning K, Krotkiewski M, Bjorntorp P. The effect of exercise,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and met- abolism in men and women. Int J Obes 1991;

15(1):75-81.

13. Ballor DL, Harvey-Berino JR, Ades PA, Cryan J, Calles-Escandon J. Contrasting effect of resist- ance and aerobic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and metabolism after diet-induced weight loss.

Meatbolism 1996;45(2):179-83.

14. Muryhy MH, Hardman AE. Training effects of short and long bouts of brisk walking in seden- tary women. Med Sci Sports Exerc 1998;30(1):

152-7.

15. Shmamoto, et al. Low impact aerobic dance as a useful exercise mode for reducing body mass.

Journal of Physiological Anthropology and Applied Human Science 1998;17(3):109-114.

16. Schmidt WD, Craig JB, Linda, KK. Effects of long versus Short Bout Exercise on Fitness and Weight Loss in Overweight Females. Journal of the American Collage of Nutrition 2001;20(5):

495-501.

17. Shinkai S, Watanabe S, kurokawa Y, Torij J, Asai H, Shephard RJ. Effects of 12 weeks of aerobic exercise plus dietary restriction on body compo- sition, resting energy expenditure and aerobic fitness in mildly obese middle-aged women. Eur

(9)

J Appl Physiol Occup Physiol 1994;68(3):258-65.

18. Skyes K, Choo LL, Cotterrell M. Accumulating aerobic exercise for effective weight control. J R Soc Health 2004;124(1):24-8.

19. Utter AC, Nieman DC, Shannonhouse EM, But

terworth DE, Nieman CN. Influence of diet and/or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and cardiorespi- ratory fitness in obese women. 1998;8(3):213-22.

20. Forbes GB. Exercise and body composition. J Appl Physiol 1991;70:994-997.

수치

Table  1.  Changes  of  Body  Composition  after  3  Months  of  Aerobic  Exercise

참조

관련 문서

O.(2011) The Effects of Aroma Self-Foot Reflex Massage on Stress and Immune Responses and Fatingue on Middle-Aged Women in Rural Areas Department of Nursing, Graduate School

In this study, 12 weeks of aerobic exercise was conducted in middle-aged women aged 45 to 55 years with a body fat rate of 30% or more to determine the effects of bl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8 weeks trampoline exercise on health promotion (health related fitness, blood lipid) 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8 weeks of Zumba dance exercise for obese middle-aged women on blood lipid index and vascular aging.. The subjects of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BOSU Ball exercise, which can develop core muscles in middle-aged women, affects body composition and

12 weeks of combined exercise (body strength exercise and aerobic exercise) was applied to measure health fitness (muscle strength, muscular endur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after 12 weeks of practice with middle-aged women cente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8-week aerobic exercise program affects the physical strength and stress of obese women in t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