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the Pituitary Adenoma: Analysis of the Enhancement Patterns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the Pituitary Adenoma: Analysis of the Enhancement Patterns"

Copied!
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대 한 방 사 선 의 학 회 지 1993; 29(6) : 1128~1133

Journal of Korean Radiological Society, November, 1993

- Abstract-

뇌하수체 선종의 자기공명영상 소견 조영증강 형태의 분석

。 t C그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익·최우석·신인수·류경남·윤 。j'='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the Pituitary Adenoma:

Analysis of the Enhancement Patterns Ik Yang, M.D., Woo 8uk Choi, M.D., In 800 8hin, M.D.,

Kyung Nam Ryu, M.D., Yup Yoon, M.D.

Departmeη t 01 Diagηostic Radiology, Kyung Hee University Hosþital

The magnetic resonance images (MRI) of 30 patients with surgically or biochemically confirmed pituitaη

adenomas (20 macroadenomas, 10 microadenomas) were retrospectively evaluated. Ten patients had hyperprolactinemia, another eight had acromegaly, another eight had nonfunctioning adenoma and four had Cushing disease.

The examinations were performed at a 1. 5-T superconducting MR system using a multisection spin-echo technique with 3mm-thick sections and a 256 x 224 matrix. Tl weighted sagittal and coronal images were ob tained before and within 30 minutes after the administration of Gd-DTPA (O.lmmoljkg). An떠ysis of the MRI was focused on the signal intensity and enhamcement patterns of the pituitary adenoma before and after Gd DTPA administration. Compared with endocrinologic dia밍losis , macroadenoma showed heterogeneous enhacement in 55%, rim enhancement in 35% and homogeneous enhancement in 10%, Conclusively, the en hancement patterns of the pituitaη adenoma did not correlate with the subtypes made according to hormone production.

Index Words: Pituitary gland, neoplasm 145.36 Pituitary gland, MRI 145.1214

Pituitaη adenoma, enhancement patterns

서 론

자기공명영상(이하 MR I)은 뇌하수체 선종의 좋은 진 단 방법으로서 널리 알려져 왔고 (1-4) 최근 Gd-DTPA

조영 증강 MRI 의 유용성 이 보고되 고 있다(5-11). 특히 뇌하수체 선종의 조영증강 순서와 신호 강도에 대해서는 많은 보고가 있으나, 조영증강 형태에 대한 연구는 적고,

의 목적은 Gd-DTPA를 사용한 뇌하수체 선종의 MRI 에서 조영증강 형태를 분석해 입상적, 내분비학적 진단과 의 상호 관련성을 비교하여 그 진단적 가치를 알아보고자 함에 있다.

대상 및 방법

조영증강 형태와 분비되는 호르몬 종류에 따른 내분비학 1991년 6월부터 1992년 7월까지 뇌하수체 선종이 의심 적 진단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드물다 (7, 8). 이 논문 되어 MRI를 시행한 거대선종(macroadenoma) 20예와 이 논문은 1993 년 4 월 1 일 접수하여 1993 년 5 월 10 일에 채택되었음.

1128 -

(2)

소선종(microadenoma) 10예의 총 30예(여자 22명, 남 자 8명/얀령 분포 20-67세)를 대상으로 MRI소견을 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거대선종은 7예(35%)는 수술로서 확진 되었고 13예(65%) 는 임상적 내분비학적으로만 진 단이 되었으며 그중 6예(30%)는 감마나이프를 용한 사선 치료를 받았다. 소선종은 수술 1예제외9예에 분비학적으로 진단이 되었다. 임상 및 내분비학적 진단은 프로락틴 분비종 (prolactinoma) 10예, 말단비대 (acromegaly) 8예, 비 기 능 (nonfunctioning) 선 8예, 쿠싱 (Cushing) 병 4예 였다.

앙 익 외 · 뇌하수체 선종의 자기공명영상

분비종, 1 비기능성 선종)에서(Fig. 1), 비균질성 조영증 강은 11예(55%: 4 비기능성 선종, 4 프로락틴 분비종,

3 말단비 대 증)에 서 (Fig. 2), 환상의 조 영 증강은 7예

(35%: 4 말단비대증, 2 비기능성 선종, 1 프로락딘 분비 종) 에 서 (Fig. 3), 조 영 증 강 이 되 지 않 는 는 없 었 다

(Table 1) 소선종은 9예에서 조영증강을 볼 수 없었으

Table 1. Enhancement Patterns: Macroadenoma (N=20)

Enhancement patterns Diagnosis

MRI 1.5T 초 전 장 치 (Toshiba, FX II) 이 Homogeneous Prolactinoma

하여 스핀에코(spin-echo) 방법으로 소선종의 경우에

는 3mm두께로 관상면, 시상연 T1강조영상(반복시간/에 Heterogeneous

Nonfunctioning adenoma Nonfunctioning adenoma 4 코시간, 600/20)얻은후 체중 1Kg당 O.lmmol의 Gd

-DTPA를 정맥주사한 30분 이내에 관상면 시상변의

Prolactinoma 4

Acromegaly 3

순으로

Tl강조영상(

반복시간/에코시간, 600 / 20) 을 얻었

Rim Acromegaly 4 으며 거대 선종의 MRI 촬영 방법은 소선종과 통일하였

다. 분석 방법은 거대선종의 경우는 조영증강의 형태를 균질성 비균질성, 변연부의 조영증강보이는 환상

(rim), 그리고 소선종의 경우에조영증강 유무로 분류

하고 임상적, 내분비학적 진단과의 상호 관련성을 후향적 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선종에서 균질성 조영증강은 2예 00% : 1프로락턴

a b

Nonfunctioning adenoma 2 Prolactinoma

Table 2. Enhancement Patterns: Microadenoma (N= 10) Enhancement patterns

No enhancement

Diagnosls

Prolactinoma 4 Cushing disease 4 Acromegaly Focal enhancement Prolactinoma 1

1129 -

Fig. 1. Sixty-three-year-old wo man with homogeneous enhance- ment (nonfunctioning macroade noma).

a. T1 weighted sagittal image re- veals isosignal intensity mass at intra and suprasellar macroade- noma.

b. Gd-DTPA enhanced Tl weight- ed sagittal image demonstrates ho- mogeneous enhancement with com- pression of the optic chiasm.

(3)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3 ; 29 (6) : 1 128~ 1 133

a b

a b

Fig. 2. Sixty-year-old man with heterogeneous enhancement (non- functioning macroadenoma).

a. T1 weighted coronal image sh- ows mild low signsl intensity mass at intra and supraseIIar area with compression of the optic chiasm (arrow).

b. Gd-DTPA enhanced Tl weight- ed coronal image shows heteroge- neous enhancement of the macroa- denoma.

Fig. 3. Twenty-six-year-old wo- man with rim enhancement (acro- megaly).

a. T1 weighted coronal image re- veals isointense mass in the seIIar area.

b. Gd-DTPA enhanced Tl weight- ed coronal image shows marginal rim enhancement of the macroa- denoma

나 프로락딘 분비종 1예에서 조영증강이 되지않는 소선종 지 않았다.

내부에 국소적 조영증강을 관찰 할 수 있었다(Table 2) 즉 거대선종의 조영증강 형태를 프로락틴 분비종은 4예에 서 비균질성 조영증강, 1예에서 균질성 1예에서 환상의 조영증강을 보였고, 비기능성 선종은 4예에서 비균질성

1예에서 균질성 2예에서 환상의 조영증강을 보였다. 말

단 비대증은 4예에서 환상의 조영증강을, 그리고 3예에서 비균질성 조영증강을 보였다. 소선종의 경우 프로락틴 분 비종 l예의 종괴 내부의 국소적 조영증강 외에 쿠싱병,

말단비대증의 모든 예에서 육안적으로 조영증강이 발견되

;ξ} 듣E

뇌하수체 선종은 뇌하수체 전엽인 adenohypophysis 의 상파(epitheliaJ)기원의 양성 종으로 터키안(sella turcica)내에 가장 호발하는 종양이다. 임상적으로 모든 두개내 종양의 약 10%정도를 차지한다(12). 뇌하수체 선 종은 농축된 reticulin을 강고있는 가성피막 (pseudocap- - 1130

(4)

앙 익 외 . 뇌하수체 선종의 자기공명영상

a b

sule) 에 의해 정상 뇌하수체로부터 분리된 비교적 경계가 명확한 병변으로 섬유성 피막은 없다. 가끔 종양의 가장 자리가 분명치 않은 경우는 가성피막이 잘 형성되지 않고 종양 세포의 소 (nests) 가 병변 주위의 정상 뇌하수체내로 들어간 경우이다(1 3). 이 병변의 임상적 증세는 호르몬 생성과 크기에 따라 좌우되는데 분비선종은 병적 호르몬 의 활성도에 의해 여러 증상를 나타내며 이는 크게 세군 으로 즉 1) 무월경, 유루증 (galactorrhea) 을 나타내는 프로락딘 분비종, 2) 말단비대증(거인증)을 나타내는 성 장호르몬 분비종, 3) 쿠싱 증후군을 나타내는 ACTH 분 비종등으로 분류되는데 호르몬 분비가 없는 선종은 보통 그들의 발견 시기에는 종괴가 매우 커져서 주위 구조물에 압박 증세를 나타내는데 종괴의 직경이 10mm 이하는 소 선종이라 하고 10mm 이상은 거대선종이라 한다(8).

방사선학적으로 과거에는 전산화단층촬영(이하 CT)이 뇌하수체 선종이나 터키안 주위의 다른 병변의 진단에 널 리 이용되어 왔으나 최근 여러 저자들에 의해 MRI의 유 용성이 많이 보고되고 있다(1-8, 14-16). 조영증강을 하 지않은 MRI 의 유용성으로 뇌하수체 선종에서 1. 5T 의 고자장 MRI는 시속교차 (optic chiasm)이나 해면정맥동 (cavernous sinus) 등의 터키안 주위의 구조물의 침범을 정확히 알 수 있고 특히 시력계(visual system)에 근접 한 장기의 병변을 가장 정확히 보여주며, 때로는 낭종 형 성이나 출혈도 잘 알 수 있어서 수술 소견과 우수한 일치 를 보였고 임상적 내분비학적으로 뇌하수체 선종이 의심 되는 환자에서는 수술전 작은 종괴의 위치 결정과, 큰 종 괴인 경우는 그 침범 범위를 잘 알 수 있고, 다방면의 영

Fig. 4. Thirty-five-year-old man with intratumora1 hemorrhage (nonfunctioning macroadenoma).

a. Tl weighted coronal image shows a large soft tissue mass ex- pands the sella, extends into the suprasellar cistern, and deviated and compress the optic chiasm.

The centra1 high signal intensity suggests intratumoral hemorrhage.

b. Gd-DTPA enhanced Tl weight- ed axial image reveals heteroge- neous enhancement of the aden- oma.

상을 얻을 수 있으며 수술 후 추적검사에 유용해 뇌하수 체의 임상적 평가에 있어서 일차적 진단 가치가 있다고 하였다(1, 3, 14). Davis 등(2) 은 MRI 는 영상의 우수성 외에도 특히 방사선 조사가 없고 요오드 조영제의 사용이 없어 뇌하수체 거대선종의 일차적 진단 방법이나 소선종 등의 국소병변이나 터키안 저부(f! oor) 의 미란의 발견에 는 CT가 우수하다고 하였다. 그러나 Kulkarni 등(1 5) 은 기술적 차이 (절편 간격과 sequence 기술)로 소선종의 진 단에 MRI가 CT보다 유용하며 앞으로 뇌하수체 선종 의 심시 선별검사 (screen) 법으로 대치휠 것이라고 하였다.

Gd←DTPA를 사용한 조영증강 후의 MRI 는 정상과 비정상 조직사이의 구별을 확실히 보여 주어서 조영증강 전의 MRI 에서 분명치 않은 뇌하수체 소선종의 진단에 더욱 유용하며(9, 11, 17, 18), 또한 최근 뇌하수체 선종에 서 MRI의 진단적 이용도를 높이기 위해 Gd-DTPA 조

영 증 강 동 적 (dynamic) MRI 가 도 입 되 었 는 데 Gd

←DTPA를 정 맥 내 에 bolus 주사한 후 매 우 짧은 반복시 간 (T R, repitition time) 으로 얻은 초기의 동적 MRI 에 서 소선종이 명확하게 잘 보였다 (5, 7, 9-11). Tien등(1 9) 은 동적 조영증강 MRI 는 뇌하수체의 여러 병변의 조영 증강의 일시적 변을 명확히 보여주며 뇌하수체 선종의 시 간 의존성 조영증강 형태는 뇌하수체의 국소적 혈관 분포 에 잘 일치된다고 하였다. Steiner등 (8) 은 38명의 뇌하수 체 선종 환자에서 Gd-DTPA 정맥 주사 후 13%는 고농 도로, 10% 에서는 같은 정도, 57%에서 정상 뇌하수체 조 직보다 낮은 정도로 조영증강이 되었고 20% 에서는 비균 질성 조영증강을 보였는데 조영증강의 정도는 분비 호르

1 , 4

(5)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3; 29(6) : 1128~1133

몬의 종류와 관련이 없었다고 하였다. Sakamoto등(7) 도 뇌하수체 선종의 분비 호르몬이나 크기에 따른 조영증강 형태의 신호강도 차이는 없다고 하였다.

저자들의 증례를 보면 거대선종에서 균질성 조영증강은 프로락틴 분비종, 비기능성 선종 각각 1예의 2예였다

(Fig. 1). 비균질성 조영증강은 11예와 4예의 비기능성

선종과 프로락틴 분비종 그리고 3예의 말단비대증에서 볼 수 있었는데(Fig.2) 1예에서는 종양내의 출혈을 잘 볼 수 있였다 (Fig.4) 뇌하수체내의 출혈(apoplexy)의 진 단은 CT 보다 MRI가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었는데 (20,

21) Lacomis등(20) 은 3예중 CT에서 진단이 안된 2예 종양내 출혈을 MRI에서는 진단할 수 있었다. 환상의 조 영증강은 말단비대증 4예, 비기능성 선종 2예 그리고 프 로락틴 분비종 1예에서 관찰되었다(Fig.3). 소선종의 경 우는 모든 예에서 조영증강이 없었는데 1예의 프로락틴 분비종에서 종괴 내부에 국소적 조영증강을 볼 수 있었 다.

결론적으로 뇌하수체 선종의 MRI에서 조영증강 형태 는 균질성, 비균질성, 환상, 조영증강이 없는 것 등 다양 했으나 임상적, 내분비학적 진단과의 상호 관련성은 없었 다.

참고문헌

1. Bilaniuk LT, Zimmerman 없, Sn얘er P

J.

et 꾀.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Pituitary Lesion Using 1.0 to 1.5T Field Strength. Radiology 1984; 153:415-418

2. Davis PC, Hoffman, Jr. JC, Spencer T, Tindall GT, Braun IF. MR Imaging of Pituitarγ

Adenoma: CT, Clinical, and Surgical Correla- tion. AJNR 1987; 8:107-112

3. Kucharczyk W, Davis DO, Kelly WM, Sze G, Norman D, Newton TH. Pituitary Adenomas:

High-Resolution MR Imaging at 1.5T. Radiolo- gy 1986; 161:761-765

4. Scotti G, Yu CT, Dillon WP. et al. MR Imaging of cavernous Sinus Involvement by Pituitary Adenomas. AJNR 1988; 9:657-664

5. Dwyer AJ, Frank JA, Doppman JL. et al. Pitui- tary Adenomas in patients with Cushing disease:

Initial Experience with Gd-DTPA-enhanced MR Imaging. Radiology 1987; 163:421-426

6. Haughton VM, Rimm AA, Czervionke LF. et al.

Sensitivity of Gd-DTPA-enhanced MR Imaging

of beni밍1 Extraaxial Tumors. Radiology 1988;

166:829-833

7. Sakamoto Y, Tak따lashi M, Korogi Y, Bussaka H, Ushio Y. Normal and Abnormal Pituitary Glands: Gadopentetate Dimeglumine-enhanced MR Imaging. Radiology 1991; 178:441-445 8. Steiner E, Irnhof H, Knosp E. Gd-DTPA en-

hanced high resolution MR imaging of pituitaη

adenomas. Radiographics 1989; 9:587-598 9. Newton DR, Dil10n WP, Norman D, Newton

TH, Wilson CB. Gd-DTPA-enhanced MR Imag- ing ofPituitary Adenomas. AJNR 1989; 10:949- 954

10. Miki Y, Matsuo M, Nishizawa S, Kuroda Y, Key싫 A, Makita Y, kawamura

J.

Pituitary Adenomas and Normal Pituitary Tissue: En- hancement Patterns on Gadopentetate-enhanced MR Imaging. Radiology 1990; 177:35-38 11. Davis PC, Hoffman, Jr. JC, Tindall GT, Takei Y,

Avruch L, Braun IF. Gadolinium-DTPA and MR Imaging of Pituitary Adenoma: Preliminaη Re- port AJNR 1987; 8:817-823

12. Kovacs K, Horvath E, Asa SL. Classification and pathology of pituitary tumors. In: Wilkins RH

,

Rengachary SS. eds. Neurosurgery. New York:

McGraw-Hill, 1985; 834-842

13. Kucharczyk W, Montanera W

J.

The Sellar and Parasellar Region. In: Atlas SW. eds.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the brain and spine. New York: Raven Press, 1991; 632-640

14. Pojunas KW, Daniels DL, Williams AL, Haugh- ton VM. MR Imaging of Prolactin-Secreting Microadenomas. AJNR 1986; 7:209-213 15. Kulkarni M, Lee KF, McArdle CB, Yeakley JW,

Haar FL. 1.5-T MR Imaging of Pititaη Microa- denomas: Techincal Considerations and CT Cor- relation. AJNR 1988; 9:5-11

16. Breger RK, Papke RA, Pojunas KW, Haughton VM, Williamms AL, Daniels DL. Benign Extra- axial Tumors: Cantrast Enhancement with Gd- DTPA. Radiology 1987; 163:427-429

17. Kilgore DP, Bregr PK, Daniels DL, Pojunas KW, Williams AL, Haughton VM. Cranial tissue: nor- mal MR appearance after intravenous injection of Gd-DTPA. Radiology 1986; 160:757-761 18. Doppman JL, Frank JA, Dwyer A

J.

et al. Gado-

- 1132 -

(6)

linium DTPA-enhanced MR imaging of ACTH- secreting microadenomas of the pituitaη gland.

] Comput Assist Tomogr 1988; 12:728-735 19. Tien RD. Sequence of Enhancement of various

Portions of the Pituitary Gland on Gadolinium- enhanced MR Images: Corelation with Regional

앙 익 외 : 뇌하수체 선종의 자기공명영상

Blood Supply. A]R 1992; 158:651-654

20. Lacomis D, ]ohnson LN, Mamourian AC. Mag- netic Resonance Imaging in Pituitary Apoplexy.

Arch Ophthalm이 1988; 106:207-209

21. Luxenberg MN. Pituitaη Apoplexy. Arch Oph- thalmol 1988; 106:269

- 1133 -

수치

Table 2.  Enhancement Patterns: Microadenoma  (N= 10)  Enhancement patterns  No enhancement  Diagnosls  Prolactinoma  4  Cushing disease  4  Acromegaly  Focal  enhancement  Prolactinoma  1
Fig.  2.  Sixty- year-old  man  with  heterogeneous  enhancement   (non-functioning macroadenoma)
Fig.  4.  Thirty-five-year-old  man  with  intratumor a1  hemorrhage  (nonfunctioning macroadenoma)

참조

관련 문서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Second,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sports participation tim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peration of the competition and

In this thesis, we studied the enhancement of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in InGaN-based light-emitting diodes (LEDs) patterned with nano structures.. The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worked one reasonable function analysis of the cost reduction and quality enhancement to spread out by using QFD (Quality

This study reports sensitivity enhancement method of a temperature sensor based on fiber Bragg grating (FBG) in combination with an auxiliary materials with a

Consequently, Zr-Cu binary alloys have the potential to be used as biomaterials with nullifying magnetic properties f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diagnosis and

This research suggests a need for an instructor education program for effective feedback practice and the enhancement of feedback quality in higher education..

paper proposes proposes proposes proposes a a a a new new new new contrast contrast contrast contrast enhancement enhancement enhancement enhancement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