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Dokdo: Korean Territory Since the Sixth Century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Dokdo: Korean Territory Since the Sixth Century"

Copied!
2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Dokdo: Korean Territory Since the Sixth Century

Table of Contents

Part I: Profile of Dokdo ... 1

1.Geography and Environment ... 1

2. Names ... 2

Part II: Korean Sovereignty over Dokdo - Facts and Evidence ... 3

1. When Did Dokdo Become a Part of Korean Territory? ... 3

2. Ahn Yong-bok’s Activities and Japan’s Confirmation of Korean Sovereignty over Dokdo ... 4

3. Korean Sovereignty over Dokdo Reconfirmed: Japanese Documentary Evidence of the Late 19th Century ... 5

(1) Chōsenkoku Kōsai Shimatsu Naitansho (A Confidential Inquiry into the Particulars of Foreign Relations of Korea) of 1870 ... 5

(2) Dajokan Directive of 1877, A Prima Facie Evidence of Japan’s Recognition of Korean Title to Dokdo ... 5

4. The Rise of Japanese Imperialism and Japan’s Shimane Prefectural Notice No. 40 (1905) ... 6

(1) Japan’s Bizarre Rationale in Claiming Sovereignty over Dokdo ... 6

(2) Nakai’s Memorandum, A Testimony to the Underhandedness of the Japanese Incorporation of Dokdo in 1905 ... 8

(3) The First Korean Knowledge of and Response to the Japanese Incorporation of Dokdo ... 9

(4) The Fall of Japanese Imperialism and the Restoration of Korean Sovereignty over Dokdo ... 10

Part III: The Only Conclusion ... 11

Dokdo Facts ... 12

(2)

The Republic of Korea regrets that Japan is undermining relations between the two nations by challenging Korean sovereignty of Dokdo, an island that has been Korean territory for fifteen hundred years. Korean title to Dokdo is indisputable, borne out by a wide variety of historical and documentary evidences, including documented cases where the Japanese government itself recognized Korean sovereignty of the island. In spite of these facts, Japan is making a groundless territorial claim to this Korean island. Sadly, Japan’s territorial claim prompts Koreans to recall painful memories of brutal Japanese colonial rule, and to ask themselves whether they can cultivate genuine friendship with their island neighbor. As the following paper will demonstrate, Korean sovereignty over Dokdo is truly beyond question or argument. Japan’s continued challenge against it -sustained only by disregarding or distorting well-established historical facts- only serve to reinforce our suspicion that the public apologies by Japanese leaders and politicians for Japan’s past aggression have been nothing but hollow words and empty gestures.

Part I: Profile of Dokdo

1.Geography and Environment

Dokdo is a Korean island located roughly midway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at 37° 14´ 26.8˝ N and 131° 52´ 10.4˝ E). Actually, Dokdo is not a single island, but a group of islands. It consists of two main islands, Dongdo (East Island) and Seodo (West Island), around which 89 smaller rocks are scattered. The area of Dongdo is 73,297m², and Seodo has an area of 88,639m². The total land area of Dokdo is 187,453m².

Dokdo has a unique ecosystem. Producing a small amount of fresh water, its volcanic surfaces, partially covered with thin soil and moss, serve as a habitat for about 70 to 80 species of plants, 22 species of birds, and 37 species of insects. The island’s surrounding waters, where cold and warm ocean currents meet, are also home to a diverse community of marine organisms, including seals and as many as 100 species of fish.

Dokdo had been used for centuries as a temporary anchorage for Korean fishermen, and in 1953, a permanent human settlement was established on this lonely island. In April that same year, a 33-member voluntary Dokdo guards organized by Korean civilians became the first year-round inhabitants of the island. The voluntary Dokdo guards would remain on the island for three and a half years, until the Korean Police assumed official responsibility for the island’s defense in December 1956.

Dokdo carries a great symbolic importance for the Koreans because it constitutes Korea’s easternmost national territory. But, its importance is also material, as it has for centuries provided shelter for Korean fishermen who fish in the central stretches of the East Sea. The island also serves as Korea’s easternmost seismological observation platform and meteorological observation station.

(3)

※ It should be noted that the Koreans have long considered Dokdo to be an associated dependency of Ulleungdo, a Korean island situated 87.4 km to the northwest of Dokdo. Dokdo is readily visible from Ulleungdo in clear weather, and Ulleungdo residents have long sailed to Dokdo to fish in its waters. The 33 members of the voluntary Dokdo guards were all residents of Ulleungdo.

2. Names

Today, the Koreans and the Japanese use the names “Dokdo” and “Takeshima”

respectively to refer to the island. But, before these names were adopted, a wide variety names were used to refer to Dokdo in both Korea and Japan.

Dokdo has had several different names throughout Korean history, including Usando, Sambongdo, Gajido and Seokdo. (The suffix “do” means “island” in Korean) However, Usando had been the most commonly used name for the island until the late 19th century, when the names Seokdo and Dokdo gained widespread usage. Seokdo and Dokdo are two different Chinese translations of the same Korean word, Dokseom, meaning “rock island” in the dialect used by the inhabitants of Ulleungdo. (During the Joseon Kingdom, most official documents were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When

“Dokseom” was translated to Chinese ideographs according to its meaning, it was written as “Seokdo”. When translated into Chinese ideographs according to its pronunciation, it is written as Dokdo.)

Japanese had also previously used a variety of names for the island, such as Matsushima, Riyangkotō and Takeshima. It would not be until 1905 that the Japanese adopted the name of Takeshima for Dokdo. It is, particularly, interesting to note that the Japanese mistakenly used the names Takeshima and Matsushima for Ulleungdo and Dokdo interchangeably until the very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In the 1667 Japanese topographical survey, Onshū Shichō Gōki -(Records on Observation in Oki Province), Dokdo and Ulleungdo were called Matsushima -(Pine Tree Island) and Takeshima -(Bamboo Island), respectively. From that time up until the late 19th century, the Japanese have used the name “Matsushima” to refer to Dokdo. Riyangko, or Ryangko, is the Japanese name for the French whaling ship, “Liancourt,” that had first discovered Dokdo with Western eyes and given rise to the name “Liancourt Rocks,” which historically has enjoyed popular usage in the West. From 1905, the Japanese have referred to Dokdo by the present name of Takeshima, which means

“Bamboo Island.” No Japanese source, official or unofficial, has yet come to light that gives a convincing account of how this rocky island came to be called by this name.

(4)

Part II: Korean Sovereignty over Dokdo - Facts and Evidence

1. When Did Dokdo Become a Part of Korean Territory?

Korean title to Dokdo dates back to the 6th century. According to the records of Samguk Sagi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Korean sovereignty over the island was established with the incorporation of Usanguk -(“guk” means “state”) into the Kingdom of Silla, one of the three ancient kingdoms of Korea, in 512 A.D. Samguk Sagi records that in 512 A.D., Yi Sa-bu, a Silla government official, subjugated the island state on behalf of Silla. The territory of Usanguk comprised the islands of Ulleungdo and Usando -(present-day Dokdo). Historical facts surrounding this event and the establishment of Korean title to Dokdo are further buttressed by medieval Korean records: Sejong Sillok Jiriji -(Geographical Appendix to the Annals of King Sejong) and Sinjeung Dongguk Yeoji Seungnam -(Revised and Augmented Version of the Survey of the National Geography of Korea), published in 1454 and 1531 respectively. Within the two official records marking sovereign limits of the Kingdom of Joseon, Dokdo was clearly marked as belonging to Gangwon Province, one of eight provinces of the medieval Korean kingdom. It is particularly worth noting that Sinjeung Dongguk Yeoji Seungnam appends Paldo Chongdo -(Map of Eight Provinces of Korea) and Gangwondo Jido -(Map of Gangwon Province), both of which mark Ulleungdo and Dokdo as belonging to Korea’s Gangwon Province.

The variety of Korean documentary and cartographical evidence naturally leads to questions to what, if any, kind of materials the Japanese have presented in challenging Korean ownership of Dokdo. The first documented Japanese mention of Dokdo appeared in the mid-17th century. Onshū Shichō Gōki, the 1667 topographical survey, was edited by a local official in the Izumo region, which was then a part of the present-day Shimane Prefecture. It contains the following passage:

“Onshū of Japan (present-day Oki Island) lies in the middle of the northern sea… Not connected to anywhere to the north and east, Matsushima (Dokdo) is located at a distance of two days and one night. From here, located at a distance of one day is Takeshima (Ulleungdo). While no one lives on the two islands, looking at Goryeo (Korea) from this island is the same as looking at Onshū from the Izumo region. Therefore, the northern limit of Japan is this Shū (Onshū or Oki Island).”

The Japanese have adopted the first underlined sentence as written evidence representing their geographical knowledge of Dokdo in the 17th century, and also as evidence that Dokdo was an associated island dependency of Oki Island. However, it is logical to infer from the second underlined sentence that the Japanese at the time clearly did not consider Dokdo to be a part of their territory, since Oki Island was explicitly referred to as the “limit of Japan.”

(5)

2. Ahn Yong-bok’s Activities and Japan’s Confirmation of Korean Sovereignty over Dokdo

In the late 17th century, a quarrel occurred between Korean and Japanese fishermen, creating the circumstances for Korea and Japan to make the first intergovernmental contacts specifically with regard to Dokdo. This event must constitute a central landmark in the history of Dokdo for the simple fact that it resulted in the Japanese government’s first official recognition of Korean sovereignty over Ulleungdo and Dokdo.

Ahn Yong-bok was a Korean fisherman who had sailed to Ulleungdo to engage in fishing and farming. According to the records in Sukjong Sillok -(The Annals of King Sukjong), published in 1728, it was in 1693 that Ahn and other Korean fishermen had become involved in disputes with Japanese fishermen of the Ōtani family. During the dispute, Japanese fishermen forcibly took Ahn and another Korean fisherman to Oki Island. Upon arriving in Japan, Ahn appeared before the Lord of Oki Island to assert Korean ownership of Ulleungdo. Ahn was ultimately repatriated to Korea, and his activities in Japan prompted the feudal Japanese Lord to make an inquiry to the central authority in Edo -(present-day Tokyo) as to Ulleungdo’s sovereign status. In 1696, the Tokugawa Shogunate (then the de facto Japanese government) affirmed that Ulleungdo and its associated feature -Dokdo- belonged to Korea. The Japanese central authority’s affirmation of Korean ownership of Ulleungdo and Dokdo is recorded in official Japanese documents of the Genroku Era (1688-1704).

However, the Japanese government’s recognition of Korean ownership appeared to have failed to guarantee the complete cessation of Japanese fishermen trespassing in to these Korean islands, which subsequently resulted in what is known as “Ahn’s second journey to Japan,” as recorded in Sukjong Sillok.

In 1696, Ahn would sail to Ulleungdo with the aim of stamping out the encroachment by the Japanese nationals. Upon arriving in Ulleungdo, Ahn spotted and rebuked the Japanese fishermen for encroaching upon Korean territory. Ahn even chased after them beyond Dokdo, and ended up going as far as Oki Island. Following his arrival at this Japanese island, Ahn was once again granted an audience by the Lord of Oki Island, and once again protested against the continuing Japanese encroachment upon Korean territory. Ultimately, at the inquiry made by the Lord of Oki Island, the Lord of Hokishū -(present-day Tottori Prefecture of Japan) reaffirmed Korean ownership of Ulleungdo, along with that of Dokdo. Subsequently, diplomatic documents were exchanged in 1699 which recognized Korea’s title to Ulleungdo and Dokdo.

Some Japanese scholars have attempted to discredit evidential value of the 17th century episode by saying that the activities were no more than a fiction, or that Ahn had falsified his activities. Yet, Ahn’s activities are established historical facts recorded in Korean as well as Japanese sources. These Japanese sources include: 朝鮮交通大記 (Chōsen Kōzudaigi), 伯耆民譚記 (Hoki Mintanki), 焦慮雜期 (Shōryo Zatki), 交隣高略 (Kōrin Kōryaku), 竹島考 (Takeshima Kō), and 因府年表 (Inpu Nenpyō).

(6)

3. Korean Sovereignty over Dokdo Reconfirmed: Japanese Documentary Evidence of the Late 19th Century

(1) Chōsenkoku Kōsai Shimatsu Naitansho (A Confidential Inquiry into the Particulars of Foreign Relations of Korea) of 1870

From the 17th century onward, Japan would maintain a policy of seclusion (Sakoku) for around two hundred years. Under this policy, a strict ban was placed upon overseas travel for Japanese nationals. This policy of seclusion would not be lifted until the overthrow of the Tokugawa Shogunate in 1868. It was within such a context that the Japanese government sought to study the Korean situation. For this purpose, the Japanese government dispatched a team of three Foreign Ministry officials to Korea in 1869. A part of their mission was to obtain a clear picture of developments on the long-forgotten islands of Ulleungdo and Dokdo. The mission was entrusted to them through a Japanese Foreign Ministry Directive entitled Takeshima Matsushima Chōsen Fuzokuni Sōseikōshimatsu (The Particulars of How Takeshima and Matsushima Have Come Under Korea’s Possession). On completing their mission, this study team presented a report, Chōsenkoku Kōsai Shimatsu Naitansho (A Confidential Inquiry into the Particulars of Korea’s Foreign Relations), which stated:

“1. The particulars of how Takeshima (Ulleungdo) and Matsushima (Dokdo) have come under Chōsen’s (Korea’s) possession

Matsushima (Dokdo) in this case is a neighboring island of Takeshima (Ulleungdo).

No document has been filed concerning Matsushima so far. There was a case in which Takeshima had been leased from Chōsen for settlement for some time during the Genroku era. At that time, it was still an uninhabited island, as was before. Tall reeds grow from bamboo trees or bamboos, and wild ginseng grows naturally. It is said that there are also marine products of other kinds.”

(2) Dajokan Directive of 1877, A Prima Facie Evidence of Japan’s Recognition of Korean Title to Dokdo

In 1877, the Japanese government announced an important administrative measure that reflected its view of the status of Dokdo. The whole affair had been initiated by an inquiry made by a local government in Japan. On October 16, 1876, the Japanese Naimusho (Ministry of Home Affairs) received an inquiry from its Shimane Prefecture.

This inquiry was about whether or not the prefecture should extend its administrative sphere to Takeshima (Ulleungdo) and Matsushima (Dokdo), and whether the islands should be officially included on its map and land register. Since the inquiry involved territorial sovereignty of the nation, the Home Ministry again consulted Dajokan (Council of the State), then Japan’s highest national decision-making organ, the following year. A subsequent note of inquiry presented by the Home Ministry, dated March 17, 1877, states the following:

“A Note of Inquiry about the Compilation of the Land Register and on Takeshima (Ulleungdo) and Another Island (Dokdo) in the Sea of Japan

… although we were told that Japan has nothing to do with (these islands), we hereby consult you as per the enclosed papers, since disposition of territory is a matter of great importance.”

(7)

It is also important to scrutinize the annex to the note enclosed in the Home Ministry memorandum, since it clearly establishes that “another island” mentioned above in the main text was Dokdo. The annex states, following an account of Takeshima (Ulleungdo), “Then, there is an island called Matsushima (Dokdo). Lying along the same route toward Takeshima (Ulleungdo), its circumference is (approximately) 3.270 km and is located (approximately) 314.181 km from Oki Island. Trees or bamboos are rare.” This passage in the annex is an unmistakable indication that “another island” in question was Dokdo. No island in the East Sea other than Dokdo can realistically fit the geographical description of it as referred to in the memorandum and specified in the annex.

Ultimately, after some deliberation, Dajokan conveyed the following official reply, dated March 29, 1877, to the Home Ministry as follows:

“Re: The Cadastre for Takeshima and Another Island in the Sea of Japan as per Home Ministry Inquiry

Knowing that our country has nothing to do [with the islands] as the result of the communication between our old government and that country involved after the entry into the island by Korea in Genroku 5, and having examined the view stated in the inquiry, the following draft directive has been made for deliberation and sanction.

Draft Directive

Re: Note that our country has nothing to do with Takeshima (Ulleungdo) and another island (Dokdo) inquired about.”

As articulated in these governmental correspondences, the Japanese government recognized that Japan had title to neither Ulleungdo nor “another island inquired about,”

which was Dokdo.

4. The Rise of Japanese Imperialism and Japan’s Shimane Prefectural Notice No. 40 (1905)

(1) Japan’s Bizarre Rationale in Claiming Sovereignty over Dokdo

Another key event in the history of Dokdo would occur on February 22, 1905. On this day, Japan’s Shimane Prefecture issued Notice No. 40, announcing the incorporation of Dokdo into its territory. Japan has long referred to this administrative measure as a central piece of evidence in challenging Korean sovereignty over Dokdo, but the Japanese themselves are split about the Shimane Prefectural Notice. That is, there appear to be two Japanese arguments about what the 1905 measure represented for Japan’s claimed sovereignty of Dokdo. The first is that Japan legitimately incorporated Dokdo into its territory in 1905 and that the island had previously been terra nullius (no man’s land). The second view holds that Dokdo had been Japanese territory since

“olden times”, and that the 1905 measure was nothing more than a reconfirmation thereof.

It is interesting to note also that the Japanese government itself has developed a

(8)

bizarre mix of two conflicting rationales in its position toward the legal effect of the 1905 measure. Originally, Tokyo incorporated Dokdo into its territory under the rationale of the acquisition of legal title to terra nullius. In making a cabinet decision of January 28, 1905 to incorporate Dokdo, the Japanese government stated, “no evidence can be found of this uninhabited island being under the possession of any foreign country.” However, the Japanese government would modify its original position by combining the “integral part of Japanese territory since olden times” rationale with the

“adding to the territory of Japan” rationale (see Japanese note verbales dated July 13, 1953 and February 10, 1954). The inconsistency in the Tokyo’s position raises a seemingly unanswerable question of how Japan could “add” to its territory an island that had already been its territory since “olden times.” No convincing Japanese account for this bizarre combination of two irreconcilable rationales has yet been given.

In fact, there is plenty of evidence that Dokdo was never terra nullius at the time Shimane Prefecture issued its Notice No. 40, and that this Japanese act itself failed to stand up as a valid act of state in acquiring territorial sovereignty.

First, the Japanese argument that Dokdo was terra nullius at the time of Notice No.

40 is rendered groundless -even contradicting Japan’s own previous position [by the actions of the Japanese government itself]. The Japanese government had already recognized Korean title to Dokdo, in the form of the Dajokan Directive of 1877. In addition, five years before the Japanese act of 1905, the Korean government took a significant step in reaffirming its sovereignty over Ulleungdo and Dokdo. In issuing Imperial Ordinance No. 41, Korea upgraded the administrative level of Ulleungdo to gun (county), establishing that the Ulleung-gun office had jurisdiction over Ulleungdo itself as well as Jukdo (an islet off Ulleungdo) and Seokdo (Dokdo). This measure was taken following the delivery in 1900 of a protest to the Japanese Minister in Seoul against Japanese encroachment upon Ulleungdo. The content of the Imperial Ordinance was also carried in the official gazette at that time, so the Japanese cannot reasonably claim ignorance of any possible Korean territorial right to Dokdo at the time.

Second, as can be inferred from in the above account, Japan made no attempt to notify Korea of its intention to acquire Dokdo, despite sufficient awareness of the possible Korean title to the island. Attention needs to be called here to the historical precedent that was set when the Japanese government gave notification to the consular offices of the United States, France and Germany in Tokyo before incorporating Ogasawara shoto (The Bonin Islands) in 1876. Note how, by contrast, these notification and verification procedures were conspicuously ignored in the case of Dokdo.

It can be pointed out that an exception might be allowed to the prior notice requirement for acquiring a new territory. This exception was made in the very famous case of the Island of Palmas arbitration (1928). In this case, sole arbitrator Max Huber ruled that prior notice was not a requisite for occupation because said island was an inhabited one (with a population of about 750), and where the owner, presuming there to be one, would notice any attempted occupation by another party. However, this significant exception created by Judge Max Huber’s arbitral award could never be applied to the Japanese incorporation of Dokdo in 1905 for the following reason: There are strong indications that, at least by the time the cabinet decision of January 1905 was made, the Japanese had a clear awareness that Dokdo was Korean territory, and indications that Japan in this case had deliberately glossed over the requirement of giving notice of the intention to acquire a new territory. A clue as to why Japan took these anomalous steps can be found when one examines the activities of Nakai Yōsaburo.

(9)

(2) Nakai’s Memorandum, A Testimony to the Underhandedness of the Japanese Incorporation of Dokdo in 1905

Nakai Yōsaburo was a Japanese national who engaged in seal hunting business.

Knowing that Dokdo would be a lucrative sealing site, Nakai submitted a request to the Ministries of Home Affairs, Agriculture-Commerce and Foreign Affairs on September 29, 1904, entitled Riyangotō Ryōdohennyu Narabi Kashisagenegai (A Request for the Incorporation of Dokdo into National Territory and for its Lease), in which he requested that the ministries incorporate Dokdo into Japanese territory and lease him the island.

Nakai’s 事業經營槪要 (Jigyō Keiei Gaiyou- A Summary of Business), written in 1911, provides important contextual information pertaining to the situation prior to Japan’s incorporation of Dokdo in 1905. It offers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events:

“Thinking that the island was Korean territory attached to Ulleungdo, I went to the capital and made many plans, trying to submit a request to Residency-General. But, as suggested by Fishery Bureau Director, Maki Bokushin, I came to question Korea’s ownership of Takeshima, and after diligent investigation into the matter, I finally became convinced that the island belonged to neither party based on the conclusion made by the then Hydrographic Director Admiral Kimotsuki.

Accordingly, I submitted an application stating in detail the commercial reason for its necessity via the Home Ministry to the Home, Foreign and Agriculture-Commerce Ministers, respectively, urging incorporation of the island into Japanese territory and for its lease to me. The Home Ministry authorities cautioned that the gains would be extremely small while the situation would become grave if the acquisition of a barren rock suspected of being Korean territory at this point in time [during the Russo-Japanese War] would greatly rouse the suspicion of various foreign countries that Japan has an ambition to annex Korea. Accordingly, the Home Ministry authorities, saying that it would not be easy, seemed set to reject my petition.

Thinking I could not now be frustrated thus, I immediately rushed to the Foreign Ministry to discuss the matter in detail with the then Political Affairs Bureau Director, Yamazawa Enjiro. He said incorporation was particularly urgent under the present situation and that it was not only advisable but necessary to construct observation posts and install wireless or submarine cables to keep watch on hostile warships. Particularly he said diplomacy is free of such considerations as required in the Home Ministry. In high spirits, he said the application must be speedily forwarded to the Foreign Ministry. Thus this island was finally incorporated into our territory.”

The first and second underlined sentences in the above passage clearly indicate that Japan proceeded to incorporate Dokdo into its territory in spite of its own strong presumption of Korean ownership. The second underlined sentence also points to the fact that Japan had a good reason to cover up its incorporation of Dokdo. That is, it was of Japan’s concern that such a striking act of state would invite external powers’ check on Japan’s supremacy in East Asia.

What made the Japanese hypersensitive to any such foreign meddling was apparently the bitter lesson learned from the “Tripartite Intervention”. Japan captured China’s Liaotung Peninsula as spoil of the Sino-Japanese War (1894-1895). But Japan had no option but to return the strategically important peninsula back to the Chinese, when three Western powers -Russia, Germany and

(10)

France- required it to do so. Thus it stands to reason that Japan devised such stealthy incorporation of Dokdo in order to avoid repeating the mistake it had made a decade earlier.

Finally, the third underlined sentence confirms that the forcible incorporation of Dokdo into Japanese territory at that particular point was being driven by strategic incentives. As the Foreign Ministry official Yamazawa pointed out, construction of the Dokdo watchtower seemed to carry great urgency to the Japanese Navy facing impending battle with its Russian counterpart. In the summer of 1904, Russia had already decided to dispatch its Baltic Fleet to the Northeast Asian theatre. Ultimately, a Japanese cabinet decision was made to incorporate Dokdo into Japan on January 28, 1905, and the Shimane Prefecture issued Notice No. 40 on February 22, 1905 announcing this administrative measure. The Dokdo watchtower was completed in August, and submarine cables were laid connecting Dokdo with Ulleungdo and Izumokuni of Japan in October 1905. It is also important to note that Dokdo was not the only Korean territory that the Japanese had appropriated for tactical purposes in the war against Russia. In order to monitor Russian fleet movements, Japan built and operated some twenty observation posts in Korea, including those in Jukbyeon, Ulsan, Geomundo, Jejudo and Ulleungdo.

Shimane Prefectural Notice No. 40 and Japan’s incorporation of Dokdo were tactical interest-driven covert measures without basis in any standard of international law. As further evidence, one can review a variety of post-Notice No. 40 Japanese materials describing and marking Dokdo as belonging to Korea. These Japanese materials include a series of charts published by the Hydrographic Office of the Japanese Navy Department: Vol. 6 and Vol. 10 of 日本水路誌 (Nihon Suiroshi- Hydrographic Chart of Japan), published in 1911 and 1920 respectively, and 朝鮮沿岸水路誌 (Chōsen Engan Suiroshi- Hydrographic Chart of Korea), published in 1933. Also, in 1930, a renowned Japanese scholar Hibatakke Sekko, in an article carried in a Japanese journal, 歷史地理 (Rekishi Chiri- Historical Geography), stated that

“Takeshima and Ulleungdo belong to Gangwon Province of Korea, and they constitute the eastern limit of Korea.”

(3) The First Korean Knowledge of and Response to Shimane Prefectural Notice No. 40

In arguing the legitimacy of its incorporation of Dokdo in 1905, Japan asserts that Korea did not expressly protest the Japanese measure. The fact is, however, that Korea could not protest because it did not know about the Japanese act. Shimane Prefectural Notice No. 40 was issued secretly, without proper notification: not even the Japanese public itself, let alone foreigners, would have had knowledge about this measure. The notice was not publicized in Shimane’s official gazette, nor was it an external display of state intent, issued as it was in the name of the prefectural governor. Thus, the Japanese incorporation of Dokdo in 1905 had no legal effect whatsoever upon the status of the island as a Korean territory.

The Koreans learned of the Shimane Prefectural Notice No. 40 a full year after the actual issuance of the measure. On March 28, 1906, Japanese local officials of Shimane Prefecture, who were visiting Ulleungdo, informed the Korean governor of Ulleung County of Japan’s incorporation of Dokdo. This was reported to the central government in Seoul. On receiving this report, Lee Ji-yong, Minister of Interior, denounced the Japanese measure as being invalid. In addition, Deputy Prime Minister Pak Je-sun

(11)

ordered an investigation of the facts surrounding what the Japanese had done, also condemning the Japanese act. Yet, ultimately, the Korean government would appear to have failed to lodge an official diplomatic protest against the Japanese incorporation of Dokdo into its Shimane Prefecture.

Such a failure must be seen in the context of the prevailing balance of power between Korea and Japan at the time. Since being forced to sign the Korea-Japan Protocol of February 1904, Korea had been under Japanese military administration, enforced by two Japanese divisions and a several thousand-strong military police. In signing a further Korea-Japan Agreement in August 1904, Korea’s diplomatic and financial affairs would come under the control of foreign advisers appointed by Japan. In addition, following the signing of the Treaty of Protectorate in November 1905, Korea was deprived of the right to autonomously conduct diplomatic affairs, and its Foreign Ministry was disbanded. It was thus virtually impossible for Korea to deliver any meaningful diplomatic protest. Still, Korean opposition to the Japanese act was, however, clearly expressed in major Korean newspapers- such as Daehan Maeil Sinbo (May 1, 1906) and Hwang Seong Sinmun (May 9, 1906), both of which declared that the Japanese act was completely invalid.

(4) The Fall of Japanese Imperialism and the Restoration of Korean Sovereignty over Dokdo

After Korea was annexed by Japan in 1910, contention over the status of Dokdo became irrelevant. Then, after the Second World War, Korea was liberated and regained its entire territory, and Japan was obligated by the 1943 Cairo Declaration to renounce all the territories it had “taken by violence and greed.” In the 1945 Potsdam Declaration, the Allied Powers declared: “Japanese sovereignty shall be limited to the Islands of Honshu, Hokkaido, Kyushu, Shikoku, and such minor islands as we determine.” When it surrendered to the Allied Powers in 1945, Japan accepted this Declaration unconditionally. The Allied Powers did not include Dokdo among “such minor islands”

whose Japanese sovereignty was to be determined. Instead, in 1946, the Supreme Command for the Allied Powers explicitly separated Dokdo from Japanese territory proper by issuing SCAPIN No. 677, which provides: “Japan is defined to include the four main islands of Japan… excluding (a) Utsuryo (Ulleung) Island, Liancourt Rock (Take Island)….”

However, no mention of Dokdo was made in the final text of the Treaty of Peace with Japan (also known as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signed in September 1951.

Article 2 (a) of the treaty provided as follows: “Japan recognizing the independence of Korea, renounces all right, title and claim to Korea, including the islands of Quelpart, Port Hamilton and Dagalet.”

※ Quelpart, Port Hamilton and Dagalet are names that had been used by Westerners to refer to the Korean islands of Jejudo, Geomundo and Ulleungdo,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Japanese interpretation, Japan regained its ownership of Dokdo by such omission. The Japanese government argues that the peace treaty did not explicitly include Dokdo among the islands to be returned to Korea. If one follows the Japanese interpretation of the treaty, only three Korean islands would have been returned to Korea. Given the fact that there are more than 3,000 Korean islands, such an

(12)

interpretation is absurd. Clearly, this clause intended to name only three islands from among all the Korean islands for illustrative purposes, rather than resorting to an exhaustive enumeration of the islands to be returned to Korea.

Part III: The Only Conclusion

After Korea was liberated in 1945 from Japanese colonial rule, its long-established title to Dokdo was also restored. And,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August 1948, Dokdo was given an address:- 1 Do-dong (village), Nam-myeon (town), Ulleung-gun (county), Gyeongsangbuk-do (province), Republic of Korea. And in March 2000, the island was granted separate administrative status:- San 1-37, Dokdo-ri, Ulleung-eup, Ulleung-gun, Gyeongsangbuk-do, Republic of Korea. That same month, Gyeongsangbuk-do assessed the land value of Dokdo at 262,921,000 won (approximately $ 259,444), which roughly equates to 1,453 Won ($1.43) per square meter.

Increased Korean concerns about ecological disruption was also reflected in this easternmost tip of their national territory. As part of an effort to preserve Dokdo’s natural environment and ecosystem, the Korean government designated the island as

“Natural Monument No. 336” in 1982, and an “Environmentally Protected Area” in accordance with the “Protection of Cultural Properties Act” in 1999. In 2000, under the

“Special Act on the Preservation of the Ecosystem of Dokdo and other Island Groups,”

Dokdo was given a “Special Island” designation.

Today Dokdo is no longer a lonely island. The island has residents who live on it all year round. At the moment, 37 Korean police officers and three lighthouse keepers are the residents of San 1-37, Dokdo-ri. It is also amazing to see the once-lonely island becoming an increasingly popular sightseeing attraction. These days, two ferries, operated by two Korean companies, navigate regularly between Ulleungdo and Dokdo.

Based in Ulleungdo, these ferries convey Korean tourists to Dokdo and offer them a unique opportunity to explore the easternmost territory of their country. The increased number of visitors to Dokdo has compelled the Korean government to take regulatory measures aimed at preventing ecological disruption and improving safety on the steep rocky terrain of the island. Hence, the maximum number of visitors now allowed to land on Dokdo is limited to 140 per day, and 70 at one time.

Korean sovereignty of Dokdo is beyond question or argument. As enumerated throughout this paper, Korean sovereignty over this island is abundantly documented and supported by historical facts, the rule of international law, and a wide range of official documents issued by both the Korean and Japanese governments. What’s more, Japan itself has confirmed and reconfirmed Korean sovereignty of Dokdo. Yet in spite of these historical facts, Japan has attempted to justify its claim to Dokdo by devising invalid rationales, such as the one based upon Shimane Prefectural Notice No. 40, a measure that was a manifestation of Japan’s imperial ambitions in the Korean Peninsula.

Japan’s challenge of Korean sovereignty over Dokdo, most recently issued in the form of the Shimane Prefectural Assembly’s passage of the so-called “Takeshima Day”

ordinance on March 16, 2005 amounts to a denial of Korean independence from Japanese colonial rule, and an effective withdrawal of the apologies that Japanese leaders and politicians have made for Japan’s past aggressions and imperialist record.

(13)

Location (Coordinates) Dongdo (East Island) 37° 14´ 26.8˝ N 131° 52´ 10.4˝ E Seodo (West Island) 37° 14´ 30.6˝ N

131° 51´ 54.6˝ E

Distance Between

Dokdo - Ulleungdo 87.4 km

Dokdo -Jukbyeon (Gyeongsanbuk-do

Province) 216.8 km

Jukbyeon - Ulleungdo 130.3 km Dokdo - Oki Island * 157.5 km

Dongdo - Seodo 151 m

Land Area

Dokdo 187,453 m²

Dongdo 73,297 m²

Seodo 88,639 m²

Adjoining Insular Features 25,517 m²

Highest Point Dongdo 98.6 m

Seodo 168.5 m

Circumferences Dongdo 2.8 km

Seodo 2.6 km

Number of Adjoining Insular

Features 89

Dokdo Facts

* the nearest Japanese island from Dokdo

(14)

독도 : 6세기 이래 대한민국의 영토

독도(獨島)는 지난 천 오백년간 대한민국의 영토였다. 대한민국 정부 는 일본이 명백한 한국의 영토인 독도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함으로서 한일양국 관계를 손상시키고 있음을 심히 유감스럽게 생각한다. 독도 는 논쟁의 여지가 없는 우리 대한민국의 영토이다. 이는 다양한 역사 적 사실의 기록과 공식문서에 의해 증명되고 있으며, 일본 스스로도 수차례에 걸쳐 독도가 한국의 영토임을 인정한 역사적 선례가 있다.

일본은 이러한 부인할 수 없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근거 없는 영유권 주장을 계속해오고 있다. 슬프게도,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은 우리 국민들로 하여금 잔혹한 일제 식민통치의 아픈 기억들을 회상하게 하 고, 일본과 진정한 우호관계를 만들어 나아갈 수 있을지에 대해 자문 하지 않을 수 없게 만들고 있다. 다음의 글에서 증명되는 바와 같이, 독도에 대한 대한민국의 주권은 논쟁의 여지가 없는 것이다. 일본은 확립된 역사적 사실을 무시하고 왜곡하면서까지 독도에 대한 그들의 영유권 주장을 계속해오고 있다. 이러한 일본의 행태는 과거 일본의 지도자와 정치인들이 행한 과거사 사죄 발언이 공허한 말장난이나 정 치적 제스처에 지나지 않았다는 우리 국민의 확신을 더욱 강화시킬 뿐이다.

제1장: 현황

1. 지리와 환경

독도는 한반도와 일본열도의 중간쯤에 위치한 섬이다 (북위 37˚

14’ 26.8”, 동경 131˚ 52’ 10.4”). 실제, 독도는 하나의 섬이 아니라, 여러 도서지형물의 집합체이다. 즉, 독도는 동도(東島)와 서도(西島) 두 개의 주 섬과, 주변에 산재한 89개의 암석들로 구성되어 있다. 동도와 서도 의 면적은 각각 73,297 평방미터, 88,639 평방미터이며, 독도전체의 면 적은 187,453 평방미터이다.

독도는 독특한 생태계를 갖고 있다. 현재 서도에서는 소량의 담수

(15)

가 생산되고 있으며, 독도를 덮고 있는 얇은 토양과 이끼로 덮인 화산 암들은 70-80 종의 식물과 22종의 조류(鳥類) 그리고 37종의 곤충들의 서식지를 이루고 있다. 또한 한류와 난류가 교차하는 섬 주변 해역은, 강치와 100여종의 어류를 포함한 다양한 해양 생물들의 서식처이기도 하다.

독도는 수백 년간 한국 어부들의 임시 정박지로 이용되어 왔으나, 항구적으로 인간이 거주하기 시작한 것은 1953년에 이르러서다. 즉, 동 년 4월, 대한민국의 민간인으로 구성된 33명의 독도 수비대가 최초의 독도 거주민이 되었으며, 독도 수비대는 1956년 12월 대한민국 경찰에 독도 수비업무를 공식적으로 이양(移讓)할 때까지 약 3년 반 동안 섬 의 경계임무를 수행하였다.

대한민국 국민들에게 독도는 국토의 최동단(最東端)으로서 중요한 상징적 의미를 갖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징적 중요성외에도, 독도는 동해 한가운데서 조업하는 우리 어부들에 의해 임시 대피소로 활용되 고, 대한민국의 최동단 지진 관측소 및 천체 관측소로 이용되는 등 실 질적 중요성도 제공해왔다.

※ 예로부터 한국인들은 독도를 울릉도의 부속도서로 생각해 왔다.

독도는 울릉도로부터 남동쪽으로 87.4km 떨어져 있으며, 맑은 날에는 울릉도에서 독도를 쉽게 볼 수 있다. 또한 울릉도 주민 들은 독도 주변에서 조업을 해왔으며 독도 의용수비대 33명도 모두 울릉도 주민이었던 것이다.

2. 명칭

오늘날 한국인들과 일본인들은 이 섬을 각각 “독도”와 “다케시마”

라 부른다. 그러나 이 명칭들이 채택된 전에는 다양한 이름들이 독도 를 호칭하는데 사용되었다.

독도는 한국 역사상, 우산도(于山島), 삼봉도(三峯島), 가지도(可支 島), 석도(石島)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어 왔다. (한국어에서 접미어

“도”는 섬을 의미). 그러나 이러한 이름 중에서도 우산도가 가장 흔히 사용되는 이름이었고, 19세기 후반이 되면서 석도와 독도가 광범위하 게 쓰이기 시작했다. 석도와 독도는 “독섬”의 한문표기이며, 독섬은 울

(16)

릉도 방언으로 바위섬을 의미한다. 즉, “독섬”이 그 의미에 따라 한문 으로 옮겨졌을 때, “석도(石島)”라고 표기되는 것이며, 발음에 따라 한 문으로 옮겨졌을 때, “독도”라고 표기되었던 것이다.

일본은 1905년에야 독도를 다케시마라고 부르기 시작하였다. 일본 인들도 독도를 호칭하기 위해 마츠시마 (松島), 리양꼬도(リヤンコ島), 다케시마(竹島) 등 다양한 이름을 사용해 왔다. 특히, 주목을 끄는 점 은 일본인들이 독도를 마츠시마(松島)로, 울릉도를 다케시마(竹島)로 호칭해오다, 20세기 초부터 갑자기 독도를 다케시마로 울릉도를 마츠 시마로 변경하여 호칭하기 시작하였다는 것이다. 1667년 일본에서 출 간된 풍토기(風土記)인 은주시청합기(隱州視聽合記)에, 독도와 울릉도 는 각각 마츠시마(송도)와 다케시마(죽도)로 표기되어 있다. 그때부터 독도를 지칭하는 일본 이름은 마츠시마였다. 19세기 후반 경부터는 리 양꼬 (또는 량꼬)라는 이름도 쓰였는데, 이는 서양세계에서 처음으로 독도를 목격한 프랑스 포경선 리앙쿠르호의 일본식 표기이다. 당시 독 도를 목격한 프랑스인들은 배의 이름(Liancourt)을 따서 독도를 “리앙 쿠르 암(Liancourt Rocks)”이라 명명했다. 그 후 리앙쿠르 암은 서양인 들이 독도를 호칭할 때 널리 사용하는 이름이 되었다. 1905년부터, 일 본인들은 독도를 현재 명칭인 다케시마로 부르고 있으며, 이는 “대나무 섬”을 의미한다. 공식, 비공식을 막론한 어떤 일본 측 자료도 바위투성 이 섬 독도가 왜 대나무 섬으로 불리게 되었는지에 대한 설득력 있는 설명을 제공하고 있지 못하다.

제2장: 대한민국의 독도 영유권 - 역사적 사실과 증거

1. 언제 독도는 한국의 영토가 되었는가?

독도가 대한민국 고유의 영토라는 근거는 서기 6세기로 거슬러 올 라간다. 독도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서기 512년에 신라의 이사부가 나 무로 만든 사자를 이용한 계교로써 우산국을 정복하였다는 삼국사기의 기록이다. 당시 우산국의 영토는 울릉도 본 섬과 그 부속도서인 독도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동해에 울릉도와 독도 두 개의 섬이 존재

(17)

하고 있다는 우리 조상들의 지리적 인식은 그 후 조선시대에 간행된 세종실록지리지(1454)와 동국여지승람(1531)에도 잘 나와 있다. 특히 이 두 개의 책에 수록된 팔도총도와 강원도 지도에는 독도가 조선의 강원도에 속하는 섬임이 명확하게 표시되어있다.

한편, 독도에 대해 언급하고 있는 일본 최초의 기록은 일본 이즈 모지방(出雲地方)의 관료인 사이또 호센(薺藤豊仙)이 번주(藩主)의 명 에 의해 편찬한 풍토기인 은주시청합기 이다. 은주시청합기는 “은주(隱 州)는 북해 가운데 있다. 옛날에는 은기도(隱岐島)라고 했다... 북서쪽으 로 1박 2일을 가면 송도(독도)가 있다. 또 이곳에서 다시 1일 낮을 가 면 죽도(울릉도)가 있다. 이 두 섬은 사람이 살지 않는 땅으로 이 섬에 서 고려를 보는 것이 운주(雲州)에서 은기도를 바라보는 것과 같다. 그 런즉 일본의 북쪽경계는 이 주(오끼섬)를 한계로 한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일본인들은 은주시청합기의 기록을 그들의 독도에 대한 지리적 인 식과 독도가 오끼섬의 부속도서라는 주장의 근거로 인용해왔다. 그러 나 은주시청합기의 “일본의 북쪽경계는 이 주(오끼섬)를 한계로 한다.”

라는 구절은 우리 측에 의해 당시 일본인들이 독도가 그들의 영토가 아닌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음을 증명하는 중요한 자료로 인용되고 있 다.

2. 안용복과 일본에 의한 조선의 독도 영유권 인정

17세기 말에 소위 “안용복”사건이라는 것이 이러나게 되는데, 이 는 독도의 역사에서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중대한 사건이다. 그 이 유는 당시 조선의 어부 안용복의 활동으로 조선과 일본이 최초로 정부 차원의 외교적 접촉을 하게 되었으며, 이를 계기로 일본 정부가 한국 의 독도 영유권을 공식적으로 인정했기 때문이다.

안용복은 조선의 어부로, 숙종실록의 기록에 의하면 숙종 19년 (1693) 박어둔 이하 십여 명과 함께 울릉도에서 어로 및 농사 활동을 하던 중 일본 오다니(大谷)가문의 어부들과 충돌하여 일본 오끼섬까지 납치당하게 된다. 오끼도주는 안용복 일행을 돗토리성(鳥取城)의 호키 슈(伯耆州)태수에게 이송하게 되며, 안용복은 호끼슈 태수 앞에서 울릉

(18)

도가 조선의 영토임을 강조하며 일본인들의 출어를 금지하여 줄 것을 요구하였다. 이에 호끼슈 태수는 이를 도쿠가와 막부에 보고하고 “울릉 도는 일본의 영토가 아니다”라는 서계를 써주어 안용복 일행을 조선으 로 귀국하게 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안용복의 활동과 일본 중앙정부의 결정은 원록(元祿)시대(1688-1704)의 일본 측 기록에도 잘 나타나 있 다. 그러나 안용복의 도일(渡日) 활동에도 불구하고 일본 어부들의 울 릉도 침범은 계속되었으며, 결국 안용복은 이의 근절을 위해 그의 두 번째 도일을 감행하게 된다.

1696년 일본인들의 침입을 근절하기 위한 목적으로 울릉도에 입도 (入島)한 안용복은, 거기서 일본인 어부들과 다시 조우하게 되며, 결국 일본인 어부들을 쫒아 오끼섬을 재차 방문하게 된다. 다시 오끼도주 앞에 선 안용복은 일본인들의 계속되는 침범을 근절하여 줄 것을 요구 하였던 것이다. 결국 안용복의 2차 도일의 결과 도쿠가와 막부는 울릉 도와 독도가 조선의 영토임을 다시 한 번 확인하게 되고 양도(兩島)에 대한 일본인들의 도해(渡海)를 금지하였던 것이다.

일본학자들은 안용복의 활동이 사실이 아니라거나 그의 진술이 거 짓이라 하며 역사적인 안용복의 도일활동 결과를 부정하려 하지만, 안 용복 사건은 일본 측 자료에도 기록되어 있는 역사적 사실이다. 안용 복의 활동을 기록한 일본 측 자료에는 조선통교대기(朝鮮交通大記), 백 기민담기(伯耆民譚記), 초려잡기(焦慮雜期), 교린고략(交隣高略), 죽도고 (竹島考), 인부연표(因府年表) 등이 있다.

3. 조선의 독도 영유권을 재 확약한 19세기 후반 일본 측 자료

(1) 조선국교제시말내탐서(1870)

1868년 도쿠가와 막부를 타도하고 신정부를 수립한 일본의 메이지 정부는 1869년에 3인의 외무성 관료를 조선에 보내어 조선의 사정을 염탐하도록 지시하면서 “죽도(울릉도)와 송도(독도)가 조선의 부속으로 되어 있는 전말”까지 조사하도록 하였다. 동 외무성 관료들의 조사를 바탕으로 1870년에 작성한 보고서 조선국교제시말내탐서(朝鮮國交際始

(19)

末內探書)는 다음과 같이 울릉도와 독도가 조선의 영토가 된 전말을 설명하고 있다.

“죽도와 송도가 조선 부속으로 되어 있는 시말

이 건의 송도(독도)는 죽도(울릉도)의 이웃 섬으로서, 송도의 건에 관해서는 이제까지 게재된 서류도 없다. 죽도의 건에 대해서는 원록(元祿) 이후 잠시 동 안 조선으로부터 거류를 위해 빌린 바 있다. 당시는 이전과 같이 무인도였다.

대나무 또는 대를 비롯해서 큰 갈대가 자라며 인삼 등이 자연으로 난다. 그밖 에 해산물도 상응하여 있다고 들었다...”

(2) 1877년 태정관 지령: 근대 일본이 독도가 조선의 영토임을 인정 한 부인할 수 없는 증거

메이지 정부의 최고 의사결정 기관인 태정관(太政官)이 1877년에 내무성에 하달한 태정관 지령문은 일본이 조선의 독도 영유권을 인정 한 또 하나의 결정적인 증거이다.

당시, 일본 내무성은 관내의 지적(地籍) 조사와 지도 편찬 작업을 하고 있던 시마네현으로부터 죽도(울릉도)와 송도(독도)를 현의 관할 지역에 포함시킬지 여부에 관한 질의를 1876년 10월 16일자로 접수하 게 된다. 이를 접수한 내무성은 시마네현이 제출한 부속 문서뿐만 아 니라 17세기 말 일본과 조선사이의 왕복문서들을 모두 조사해 본 후 죽도(울릉도)와 송도(독도)는 조선의 영토이며 일본과는 관계가 없다는 결론을 내리게 된다.

그러나 영토 문제는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에 내무성 단독으로 시 마네현 관할 지역에 포함시키지 말라는 지시를 하달하지 못하고 국가 최고 기관인 태정관의 결정을 받기 위하여 이듬해인 1877년 3월 17일 다음과 같은 질의서를 태정관에 제출하게 된다.

“일본해내 죽도 외 일도 지적 편찬에 대한 질의서(日本海內 竹島外一島 地籍 編纂方伺)

...일본은 관계가 없다고 들었지만, 영토의 처리 문제는 중대한 사건이므로 별 지 서류를 첨부하여 품의합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동 문서에서 “죽도 외 일도(竹島外一島)”의

“일도(一島)”가 바로 독도라는 사실이다. 즉 송도(독도)에 대해서는 “외

(20)

일도”로 이름 없이 취급한 다음 별지 서류에서 다시 “다음에 섬이 하 나 있는데 송도라고 부른다. 둘레의 주위 30정보 정도이며, 죽도와 동 일한 뱃길 상에 있다.”라고 하면서 이 섬이 송도 즉 독도임을 밝히고 있다. 울릉도 인근 동해상에서 위 문서상의 묘사에 부합하는 섬은 오 로지 독도 밖에 없다고 할 수 있다. 즉 내무성은 울릉도와 독도의 소 속에 대해 품의 하였던 것이다.

이 질의서를 검토한 후 태정관은 1877년 3월29일자로 다음과 같이 울릉도와 독도가 일본과 전혀 관계가 없다는 취지의 공문을 하달하게 된다.

“별지 내무성이 품의한 일본해 내 죽도 외 일도의 지적 편찬에 관한 건

위는 원록 5년 조선인이 입도한 이래 구정부와 조선간의 문서왕복의 결과 마 침내 일본은 관계가 없다는 것을 들어 상신한 품의의 취지를 듣고 다음과 같 이 지령을 작성하여 품의합니다.

지령안

품의한 취지의 죽도외 일도의 건에 대하여 일본은 관계가 없다는 것을 명심 할 것”

위 지령문에 명시된 것처럼 일본의 메이지 정부는 공문서를 통해 울릉도와 독도가 일본의 영토가 아님을 확인하였던 것이다.

4. 일본 제국주의의 부상과 시마네현 고시 제40호(1905) (1) 일본 독도 영유권 주장의 기괴한 논리

1905년 2월22일 일본 시마네현은 독도의 자국 영토 편입을 선언하 는 시마네현 고시 제40호를 행하게 된다. 일본인들은 동 고시를 일본 의 독도 영유권 주장과 독도에 대한 한국의 역사적 권원을 부정하는 유력한 근거로 인용해왔다. 그러나, 일본인 자신들도 1905년 독도의 시 마네현 영토편입 조치의 법률적 효과에 대해서는 의견이 일치되어 있 지 않다. 동 조치의 효력에 대해 일본인들은 대체로 두 가지 입장을

(21)

취하고 있다.

첫째 주장은 무주지 선점론(無主地先占論)에 바탕을 둔 것으로, 독 도는 이전부터 주인이 없는 땅 즉 무주지(terra nullius)로서, 1905년에 시마네현 고시를 통해 합법적으로 일본 영토로 편입되었다는 것이다.

두 번째 주장은 고유영토설(固有領土說)에 바탕을 둔 것으로 독도는 원래부터 일본 땅이었고, 1905년 조치는 그 사실을 재확인한 것에 불 과하다는 것이다.

특히 주목할 점은, 1905년 조치의 법적 효과에 대해 일본 정부조 차 서로 양립할 수 없는 “무주지 선점론”과 “고유영토설”이 혼합된 기 괴한 논리를 펴왔다는 것이다. 일본 정부는 1905년 1월28일의 내각결 정에서 “이 무인도(독도)는 어떤 국가의 소유로도 되어 있다고 인정할 만한 형적이 없다”라고 하며 무주지 선점론을 근거로 독도의 일본 영 토 편입을 결정하였다. 그러나, 그 후 일본 정부는 독도는 “고대로부터 일본영토의 불가분의 일부”라 하며 기존의 무주지 선점론에 고유영토 설을 혼합하였던 것이다. (1953년 7월 13일자 및 1954년 2월 10일자 일 본 측 구상서 참조) 즉, 일본인들은 1905년 불법적인 독도의 일본 영토 편입을 합리화하기 위해 고대로부터 자국의 고유영토였던 이 섬을 근 대에 와서 다시 자국의 영토로 편입하였다는 기괴한 논리를 만들어 냈 던 것이다. 이처럼 서로 양립할 수 없는 두 개의 논리를 억지로 결합 시켜 놓고도 아직까지 일본은 이에 대한 납득할만한 해명을 내놓지 못 하고 있다.

시마네현 고시 제40호가 발표된 당시 독도는 결코 무주지가 아니 었으며, 일본의 독도 편입 자체도 영토주권을 획득하기위한 국가의 유 효한 법률적 행위로서 인정될 수 없다는 많은 증거가 있다.

첫째, 시마네현 고시 제40호가 행해졌을 당시 독도가 무주지였다 는 일본 측 주장은 자기부정의 논리이다. 앞서 언급했던 1877년의 태 정관 지령의 예로부터도 증명될 수 있듯이 한국(조선)의 독도 영유권 은 일본 정부(도쿠가와 막부와 메이지 정부) 스스로도 인정했던 사실 이다. 특히 시마네현 고시 5년 전인 1900년에 대한제국 정부는 울릉도 와 독도에 대한 통치를 강화하는 중요한 행정적 절차를 밟았다. 당시 대한제국은 황실칙령 제41호를 통해, 울릉군이 울릉도뿐만 아니라, 죽

(22)

도(울릉도 연안의 소도), 석도(독도)까지 관할토록 정하면서 울릉도의 행정단위를 군으로 승격시켰다. 이 조치는 조선정부가 서울주재 일본 공사에게 일본인들의 울릉도 침입을 근절하여 줄 것을 요구한 직후에 취해졌으며, 동 칙령의 내용은 관보에도 게재된 만큼, 독도가 대한제국 의 영토라는 사실을 몰랐다는 일본의 주장은 전혀 합리성을 결여한 궤 변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위의 설명에서 추론될 수 있듯이 일본은 독도가 한국의 섬 일 것이라는 점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사전에 한국 정부에 독도 영토편입의 의사를 알리기 위한 어떠한 시도도 하지 않았 다. 일본 정부는 1876년에 오가사와라 제도(The Bonin Islands)를 일본 영토에 편입하기 전 동경에 있는 미국, 프랑스, 독일 공관에 이 사실을 통보하였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독도 편입 시 일본 정부는 이 사실을 대한제국 정부에 통보하지 않았던 것이다.

국가의 의사로서 새로운 영토를 취득할 시에는 이 사실을 관련국 에 통보해야 된다는 것이 국가간의 관례이다. 물론 이러한 영토취득의 사의 대외적 표시의무가 예외적으로 면제된 사례도 있다. 이러한 예외 는 유명한 팔마스섬 중재사건(1928)에서 찾을 수 있다. 동 중재사건에 서 단독심을 맡았던 막스 후버(Max Huber) 판사는 문제가 된 팔마스 도는 유인도(인구 약750명)로 이 섬의 거주자들은 타국이 동 도서를 점령하려 시도할 경우 이를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경우 통보의 의 무는 요구되지 않는다고 판시하였다.

그러나, 팔마스섬 중재사건에서 예외적으로 인정되었던 공시의무 의 면제는 일본의 1905년 독도편입에는 결코 적용될 수 없다. 반복하 자면, 적어도 1905년 1월의 내각결정이 있었던 그 시점에서 일본 정부 는 독도가 조선의 영토라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일 본 정부는 당연히 관련국인 대한제국 정부에 독도를 일본의 영토로 편 입할 의사가 있음을 알렸어야만 했던 것이다. 일본 정부가 고의로 이 러한 공시의 의무를 이행하지 않았다는 명확한 증거가 있다. 일본인들 이 불법적 조치를 취하면서까지 무리하게 독도의 영토편입을 추진한 이유는 일본인 나카이 요사부로(中井養三郞)가 작성한 사업경영개요(事 業經營槪要)와 그 당시 일본이 처했던 국제정치 현실을 살펴보면 통해

(23)

명확해진다.

(2) 나카이의 사업경영개요: 일본의 1905년 독도 영토편입의 불법성 을 입증하는 증거

나카이 요사부로는 강치어업에 종사하던 일본인이었다. 독도에서 강치가 잘 잡힌다는 것을 안 나카이는 1904년에 내무성, 농상무성 및 외무성에 “독도영토편입 및 대하원”이라는 것을 제출하여, 동 섬을 일 본 영토에 편입하고, 자신에게 빌려줄 것을 청원하게 된다. 1911년 작 성된 나카이의 사업경영개요는 1905년에 일본이 독도의 영토편입을 무 리하게 추진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에 대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 다. 사업경영개요는 다음과 같이 당시 정황을 설명하고 있다.

“이 섬이 울릉도에 부속한 조선의 영토라고 생각하여, 장차 통감부에 가서 할 바가 있지 않을까 하여 상경해서 여러 가지 획책중에, 당시 수산국장 마키 보쿠신의 주의로 말미암아 반드시 조선령에 속하는 것은 아니지 않을까 하는 의문이 생겨서, 그 조사를 위하여 여러 가지로 분주한 끝에, 당시의 수로국장 키모츠키 장군에 의뢰한바 이 섬이 전적으로 무소속인 것을 확신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경영상 필요한 이유를 상세히 진술하여 이 섬을 우리 영토에 편입하 고 또 대부해 줄 것을 내무, 외무, 농상무의 세 대신에게 원출하여, 원서를 내 무성에 제출했더니 당시 내무국장은 이 시국에 즈음하여 조선의 영토일지 모 르는 황량한 일개 불모의 암초를 취하여 여러 외국에게 아국이 조선 병탄의 야심이 있는 것을 의심하게 하는 것은 이익은 극히 작은데 반하여 실행은 결 코 용이하지 않다고 하여 여하히 진변해도 원출은 장차 각하되려고 하였다.

그리하여 좌절해서는 안되기 때문에 곧바로 외무성으로 달려가서 당시의 정무 국장 야마자와 엔지로와 상세히 논의하였다. 그는 시국이야말로 그 영토편입을 급히 필요로 하고 있다. 망루를 건축해서 무선 또는 해저전신을 설치하면 적함 감시상 극히 좋지 않겠는가. 특히 외교상 내무와 같은 고려를 요하지 않는다.

모름지기 속히 원서를 본성에 회부케 해야 한다고 의기가 고조되어 있었다. 이 와 같이 해서 이 섬은 드디어 우리 영토에 편입된 것이었다.”

위의 첫째와 둘째 밑줄 친 문장은 일본이 독도가 한국의 영토임을 강 하게 추정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독도를 자국 영토로 편입하였음을 명확히 증언하고 있다. 또한, 두 번째 밑줄 친 문장은 일본이 독도편입

(24)

을 비밀리에 추진해야만 했던 충분한 이유가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즉, 일본은 독도의 자국영토편입이 알려져 동아시아에서 일본의 우위 를 견제하려는 서구열강의 개입을 불러올 것을 우려하고 있었던 것이 다.

※ 외국세력의 개입에 대한 일본의 우려와 민감성은 삼국간섭이란 쓰라린 경험에서 기인한다고 할 수 있겠다. 일본은 청일전쟁 (1894-1895) 승리의 전리품으로 중국의 랴오뚱 반도를 얻게 된 다. 그러나 러시아, 독일, 프랑스 등 서구 3국이 전략적으로 중 요한 랴오뚱 반도를 중국에 돌려줄 것을 요구하자 3국과 군사 적 대결을 할 자신이 없었던 일본은 이 요구를 받아들일 수 밖 에 없었던 것이다. 자연히 일본은 10년 전의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하여 독도의 편입을 은밀히 추진하였던 것이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밑줄 친 문장은 당시 일본의 독도편입이 전략 적 동기에 의해 추진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외무성 관리 야마자와가 지적했듯이, 독도에 망루를 건설하는 것은 러시아와의 중요한 일전을 앞두고 있는 일본 해군에게 있어서는 매우 시급한 일이었다. 1904년 여름, 제정러시아는 발틱 함대를 동북아시아 전역(戰域)으로 급파할 것 을 이미 결정한 상태였다. 결국 1905년 1월28일 일본 내각은 독도의 일본 영토편입을 결정하였고, 2월 22일에는 시마네현 고시 제40호라는 형태로 동 결정을 고시하였다. 일본은 같은 해 8월에 독도 망루를 완 성하고, 10월에는 독도와 울릉도, 일본의 이즈모쿠니를 연결하는 해저 전선의 가설을 완료하였다. 특히, 일본은 러시아 함대의 움직임을 감시 하기 위해 독도 뿐 아니라 죽변, 울산, 거문도, 제주도 및 울릉도 등 한 국의 여러 곳에 20여개의 망루를 건설하여 운영하였던 것이다.

이처럼 시마네현 고시 제40호와 일본의 독도 영토편입은 국제법적 타당성을 결여한 채, 전략적 목적 달성을 위해 은밀히 이루어졌다. 이 외에도, 1905년 독도 영토편입의 불법성을 증언하는 다양한 일본자료 들이 있다. 이러한 일본 측 자료에는 일본 해군성의 수로국이 1911년 과 1920년에 각각 발간한 일본 수로지 제6권 및 제10권, 그리고 1933 년에 발간된 조선연안수로지 등이 있다. 또한 1930년 일본의 저명한

(25)

학자인 히마다케 세코는 학술잡지 “역사지리(歷史地理)”에 실린 그의 글에서, “다케시마(독도)와 마츠시마(울릉도)는 한국의 강원도에 속하 며, 한국의 동쪽 경계를 이룬다”라고 밝힌 바 있다.

(3) 시마네현 고시 제40호에 대한 한국의 최초 인지와 대응

일본은 불법적인 1905년 독도 영토편입조치를 합리화하는 계교의 하나로서, 당시 대한제국이 일본 측 조치에 대해 항의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대한제국은 일본의 독도 영토편입이 적절한 통고도 없이 은밀한 방법으로 이루어 졌기 때문에 알 수도 없었고, 따라서 항 의도 할 수 없었던 것이다. 당시 외국인은 물론 일본인들 조차도 1905 년 일본의 독도 영토편입에 대해 아는 바가 없었던 것이다. 즉 일본의 조치는 시마네현의 관보에도 실리지 않았으며, 현 지사의 이름으로 공 표되었을 따름인 바, 국가의사의 대외적 표시라고 할 수 있는 것이 아 니었다. 따라서, 일본의 1905년 독도 영토편입조치는 원인무효이며 한 국령으로서 독도의 지위에 여하한 변화도 초래하지 못하는 것이었다.

한국이 일본의 불법행위를 알게 된 것은 시마네현 고시가 있은 후 약 1년이 지나서이다. 1906년 3월 28일, 울릉도를 방문한 일본 시마네 현 관리들은 울릉군 군수에게 일본의 독도 영토편입 사실을 알렸으며, 그 후 이 사실은 서울의 중앙정부에 보고되었다. 이 보고를 받은 내무 대신 이지용은 일본의 독도 영토편입을 무효라고 선언했으며, 의정부 참정대신 박제순은 일본의 행위를 비난하면서, 이에 대한 사실 관계의 조사를 지시하였다. 그러나, 대한제국 정부는 일본의 조치에 대해 외교 적 수단에 의한 공식적 항의를 제기하지는 못하였다.

당시 일본은 대한제국에 제1차 한일의정서(1904년 2월 23일)의 체 결을 강제하였으며, 동 의정서의 결과 한반도에 들어온 2개 사단 규모 의 군대와 수천 명의 헌병을 통해 대한제국에 대한 사실상의 군정을 시행하고 있었다. 또한 일본은 1904년 8월 22일의 제1차 한일협약을 통해 대한제국에 대한 고문 정치를 행하다가, 1905년 11월 17일에는 제2차 한일협약(을사보호조약)의 체결을 강제하여 아예 대한제국의 외 부(外部)를 폐지시켜 외교권을 강탈해갔다. 그리고 1906년 2월1일부터 는 서울에 일제 통감부(統監府)를 개청(開廳)하여 통감정치를 시작하였

참조

관련 문서

German Federal Government) 9 ; two South Korean public actors (an executive from the Korea Foundation and a manager from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the

• 이명의 치료에 대한 매커니즘과 디지털 음향 기술에 대한 상업적으로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치료 옵션은 증가했 지만, 선택 가이드 라인은 거의 없음.. •

3 You know Dokdo is located in the East Sea of Korea, don’t you. 1 Busan is the city where Bora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established and implemented the policy, where villages independently rehabilitated economy, in order to revitalize

Korean Communist Party embodied Korean People’s Republic as National united front including all people except the-Japanese group and traitor, being based

Facing these kinds of economic circumstance, to implement prediction for the Korean economy of this year itself is not easy job because the economic

Various women, including a North Korean defector, a banned short track skater, middle age woman and a middle school student, come together to form the first

This certificate will be highly appreciated in the process of selection of Korean Government Scholarship recipients and the admissions to a Korean university. Ple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