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만화 에 나타나는 민간신앙의 의미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만화 에 나타나는 민간신앙의 의미"

Copied!
1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투고일_2021.06.10 심사기간_2021.07.01-14 게재확정일_2021.07.22 DOI https://doi.org/10.47294/KSBDA.22.4.1

만화 <이누야샤(犬夜叉)>에 나타나는 민간신앙의 의미

The Meaning of Folk Beliefs in The Comics <Inuyasha(犬夜叉)>

강설송, 부산대학교 대학원 / 윤기헌(교신저자), 부산대학교 디자인학과 Kang, Sul Song_Graduate School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

Yoon, Ki Heon(Corresponding author)_Department of Design, Pusan National University

차례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2. 연구 방법 및 범위 1.3. 선행연구

2. 루믹월드에 나타난 민간신앙 2.1. 다카하시 루미코의 작품세계 2.2. 민간신앙을 모태로 한 작품

3. <이누야샤>의 작품분석

3.1. <이누야샤>와 <파이어 트리퍼>

3.2. 민간신앙의 만화적 체현

4. <이누야샤>에 나타나는 민간신앙 의미와 분석 5. 결론

References

(2)

만화 <이누야샤(犬夜叉)>에 나타나는 민간신앙의 의미

The Meaning of Folk Beliefs in The Comics <Inuyasha(犬夜叉)>

강설송, 부산대학교 대학원 / 윤기헌(교신저자), 부산대학교 디자인학과 Kang, Sul Song_Graduate School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

Yoon, Ki Heon(Corresponding author)_Department of Design, Pusan National University

요약

중심어 만화 민간신앙 애니미즘 이누야샤 전국시대

일본 최고의 작가 중 한 명이라 인정받는 다카하시 루미코의 대표작 <이누야샤>에는 요괴, 무녀, 신 사 등 일본 전통문화 및 종교적 소재가 등장하며, 일본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가장 대중적인 일본 만 화, 애니메이션으로 평가받고 있다. 한편, <이누야사>의 영향력만큼이나 학계에서도 작품에 관한 본 격적인 연구가 필요했지만, 전반적인 연구가 매우 미미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 해 일본 콘텐츠에 등장하는 민간신앙의 일반적인 관념을 살펴본 후 <이누야샤>에 민간신앙이 어떻게 접목되고 구현되는지, 또한 다카하시의 작품세계에 반영되는지를 연구한다. 연구 결과, 사학을 전공한 다카하시의 작품세계에는 일본인의 자연환경에 의해 형성된 애니미즘을 바탕으로 한 자연관에 의해 독특한 방식을 보였다. <이누야샤>의 전개 양상과 특징을 통해 모든 물체 안에 영혼이 존재한다고 믿는 일본인의 신도적 신관과 설화와 신화, 전설, 그리고 민담과 같은 일본 전통 혹은 동양 전통 소재 와 관련된 것들이 그녀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일본의 종교와 민간신앙은 다카하시 의 작품세계를 형성하는 기본적인 요소이며, 세일러복, 전국시대 등의 현대적 장치들과 로맨스, 코미 디, 호러, 타임리프 등의 대중 오락적 소재를 통해 다카하시만의 독특한 세계관, ‘루믹월드’를 형성할 수 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누야샤>의 배경에 전국시대가 등장한 이유는 중국 <삼국지>와 같 이 군웅할거 이야기가 풍부하기 때문이다. 만화 <배가본드>, 소설 <미야모토 무사시>, 애니메이션

<모노노케 히메> 등이 전국시대를 배경으로 한 작품이며 이야기가 풍부한 전국시대는 일본 콘텐츠 시장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누야샤>를 통해 살펴본 민간신앙의 의미와 분석은 일본 문화 콘텐츠에 나타나는 특징들을 해석하는데 하나의 중요한 표본으로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며, 본 연구가 앞으로 더욱 이론의 틀에서 연구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Keywords comics folk beliefs animism Inuyasha

warring states period

Rumiko Takahashi's representative work, “Inuyasha,” which is recognized as one of Japan's best writers, features traditional Japanese culture and religious materials such as goblin, lady, Buddhist, congregation, shinmok, and shrine, and is considered the most popular Japanese comics and animation in the world. Meanwhile, full-fledged research on the work was needed in academia as much as the influence of Inuyasa, but overall research is very insignificant.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general notion of folk belief in Japanese content through prior research and studies how folk belief is incorporated and implemented in Inuyasha, and also how it is reflected in Takahashi's work world. As a result of the study, Takahashi's work world, which majored in history, showed a unique way based on the animism formed by the natural environment of the Japanese. Through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Inuyasha, we can see that the divine divinity of the Japanese people who believe that souls exist in all objects, tales, myths, legends, and traditional Japanese or Eastern subjects, such as folk tales, have influenced her a lot. Japan's religion and folk belief are fundamental elements of Takahashi's work world, and modern devices such as Sailor's suits and the National Era, as well as popular entertainment materials such as romance, comedy, horror and time leap, have helped form Takahashi's unique worldview, “Rumik World.” Also, the reason why the national era appeared in the background of “Inuyasha” is that there are many stories to be fought with, such as “The Three Kingdoms” in China. Comics such as “Vagabond,” novel “Miyamoto Musashi,” and animation

“Mononoke Hime” are set in the national era, and the story-rich national era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Japanese content market. The meaning and analysis of folk beliefs viewed through Inuyasha can serve as an important example of interpreting the features of Japanese cultural content, and we expect this study to be further studied in the framework of theory.

본 논문은 교육부 및 한국연구 재단의 4단계 두뇌한국21 사업 (4단계 BK21 사업)으로 지원된 연구임.

(3)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일본 문화 콘텐츠는 터부 없이 다양한 소재를 활용하는 스토리텔링에 지난 70여 년간 발전해 왔다. 종교와 사상, 이념을 뛰어넘는 창작의 표현 중에서 연구자가 주목한 것은 설화와 신화, 전설, 그리고 민담과 같은 일본 전통 혹은 동양의 전통 소재와 관련된 것들이다. 먼저 일본 만화, 애니메이션에 자주 등장하는 요괴, 정령 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일본 전통 종교, 신도 (神道)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일본 문화부 ≪종교연감(宗教年鑑)≫에 따르면 신도 란 “일본 민족에게 고유한 가미(神) 및 신령(神靈)에 관련된 신념을 기반으로 발생 전개되어 온 다종교를 총칭하는 말이다. 또한, 신념이나 종교적 실천에 한정하지 않고, 넓게 생활 속에 전승되어 온 태도나 사고방식까지 함축”되어 있다고 정의한다(Agency for Cultural Affairs [ACA], 2020).

일본 러브 코미디 만화의 여왕으로 불리는 다카하시 루미코(Takahashi Rumiko, 이하 다카하 시)의 작품세계에도 이와 같은 소재가 등장한다. 특히 대표작 <이누야샤(犬夜叉)>는 기상천 외한 요괴들이 등장하는 판타지 장르로 무녀, 불교, 신도, 신목, 신사 등 일본 전통문화 및 종교 적 소재가 다수 보인다. 따라서 만화 발간 시점인 1996년 당시 한국 정식 발매가 불가능한 작품이었지만, 1998년 일본 대중문화 개방 이후 일본 문화가 드러난 부분을 삭제 또는 편집하 는 검열 작업 없이 일본판 이름 그대로 정식 발매되었다. <이누야샤>는 2002년 애니메이션 수입을 시작으로 국내 팬덤(fandom)이 형성되었고, 여전히 다카하시 작품 중 가장 인지도가 높은 작품이다.

한편, <이누야사>의 영향력만큼이나 학계에서도 작품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가 필요했지만, 국내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며 작가에 관한 전반적인 연구 역시 보기 힘들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량적인 연구를 통해 일본 콘텐츠 시장에 민간신앙이 어떻게 접목되고 구현되는지, 다카하시의 작품세계에 반영되는지를 연구한다. 또한, 일본 최고의 작가 중 한 명이라 인정받는 다카하시와 그의 작품들을 더욱 이론의 틀에서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2. 연구 방법 및 범위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일본 콘텐츠 시장에 등장하는 민간신앙의 요소들을 살펴본 후 다카 하시의 작품세계에도 이와 같은 요소들이 나타나는지 대표작 <이누야샤>를 중심으로 전개 양상과 특징을 분석한다. 이는 일본 문화 콘텐츠에 민간신앙 요소들이 얼마나 활용되는지 그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이누야샤>의 시대적 배경인 전국시대(戰國時代)에 대 한 일반적인 관념을 살펴본 후 민간신앙과 만화적 체현(體現)의 의미를 고찰한다. 연구범위는 다카하시 작품 중 민간신앙 소재를 가장 적극적으로 활용했고, 국내에서 다른 작품보다 비교적 인지도가 높은 <이누야샤>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1.3. 선행연구

조현미(Jo, H., 2007)는 일본 애니메이션에 나타나는 반인(半人)의 개념과 형태가 등장하는 캐릭터를 살펴보고 애니메이션으로 국내 팬을 확보한 <이누야샤>와 비교 분석했다. 이에 따 르면 <이누야샤>의 반요(半妖) 캐릭터는 일본 사학을 전공한 작가에 의해 일본의 요괴 문화 와 토테미즘이 반영된 일본의 독특한 캐릭터이며, 이는 애니메이션의 한 장르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요괴 문화에 나약하고 불완전한 인간 심리가 반영되어 있듯 모든 면에서 불완전한 반요 캐릭터는 완전해지고 싶다는 인간 심리, 즉 욕망을 그리고 있다.

정동환, 조혜정, 권혜주(Jeong, D., 2011; Cho, H. J., 2015; Kwon, H., 2018)는 일본 애니메이 션의 거장, 미야자키 하야오(Miyazaki Hayao, 이하 미야자키)의 작품에 나타나는 일본인의 신관, 신도적 애니미즘을 분석했다. 공통으로 <이웃집 토토로(となりのトトロ)>(1988), <모 노노케 히메(もののけ姫)>(1997),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千と千尋の神隠し)> (2001) 에 대해 분석하지만, 권혜주(2018)는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을 중심으로 일본의 가미,

(4)

정령, 요괴에 대한 체계적인 신관을 고찰한다. 이들 작품에 나타나는 일본의 가미는 유일하거나 완전한 존재가 아니라 다양하고 변덕스러우며 기괴한 존재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 동물, 식 물, 무생물에 이르기까지 생명을 불어넣음으로써 신도적 애니미즘에 접근한 미야자키의 작품 세계는 자연을 인간 중심적으로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에 대한 존중을 통해 자연과 인간이 공존할 수 있다는 사상이 담겨있다. 정동환(2011)은 미야자키의 작품에 등장하는 캐릭터와 중국의 대표적 신화ㆍ지리서인 ≪산해경(山海經)≫의 캐릭터 분석을 통해 일본인의 신관을 분석하고 있다. 조혜정(2015)은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을 일본 신도의 가미 신앙 관점에서 분석했고, 그의 작품에 나타나는 가미 신앙은 자연과 인간의 화해, 공존이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신도적 애니미즘과 자연스럽게 만난다.

문인숙(Moon, I. S., 2019)은 <모노노케 히메>에 나타나는 사슴을 통해 그들의 정신세계나 관념 속에서 신록(神鹿)의 문화적 현상을 샤머니즘 관점에서 분석한다. 사슴은 때로는 신격화 되고 의인화되며, 샤머니즘에서 중요한 역할 담당자로 등장한다. 이러한 사슴의 이미지는 하늘 과 땅을 연결하는 우주록(cosmic deer)으로 간주하였기 때문에 사슴 분장을 통해 사회 구성원 들의 문제를 해결했다고 본다.

논문 주요 연구 내용 주요 연구 결과

조현미(2007), 재패니메이션에 나타나는 반요(半妖) 형태의 캐 릭터가 갖는 의미와 분석: <이 누야샤(犬夜叉)>를 중심으로

일본 애니메이션에 반요 형태의 캐릭터가 등장하게 되는 배경과 원인 그리고 의미 분석

<이누야샤>의 반요 캐릭터는 일본인의 전통 문화인 요괴 문화와 자연 종교관이 깊이 녹아 있으며, 모든 면에서 불완전한 인간 심리가 반영

정동환(2011), 애니메이션에 나 타나는 애니미즘 캐릭터와 일본 의 신관

일본의 애니미즘을 애니메이션에 서는 어떻게 반영되는지 미야자 키 하야오의 작품을 통해 분석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 속 캐릭터는 포스트 모던적 특징, 퓨전의 형태. ≪산해경≫과 유사

조혜정(2015), 미야자키 하야오 의 신도적 애니미즘 연구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을 일본 신도의 가미 신앙 관점에서 분석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에 나타나는 가미 신 앙은 자연과 인간의 화해, 공존이 가능

권혜주(2018), 미야자키 하야오 의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 나타난 신관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 나 타난 일본 가미 신앙의 관념 분 석 후 제상(制相) 고찰

애니미즘 적 캐릭터를 창조해 신도적 신관을 보편화시킴. 이는 흥행 성공 요인으로 고찰

문인숙(2019), 사슴을 통해 본 일본의 샤머니즘 문화

일본의 고대 신화 속에 나오는 사슴을 샤머니즘 관점에서 분석

사슴은 신의 사자로 간주하였기 때문에 사슴 분장을 함으로써 문제해결이 가능

<Table 1> Precedent Study of Folk Beliefs

이처럼 일본 콘텐츠에는 신도적 애니미즘, 토테미즘, 샤머니즘과 같은 민간신앙을 분석한 연구 가 다수 보이지만 그 분석이 대부분 애니메이션에 편향되어 있고, 만화를 원작으로 한 작품분석 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이 아닌 <이누야샤>의 원작, 만화에 등장하는 민간신앙에 대한 의미를 고찰하는 데 의의가 있다.

2. 루믹월드에 나타난 민간신앙 2.1. 다카하시 루미코의 작품세계

<란마1/2>, <이누야샤> 등으로 유명한 일본 여성 만화작가, 다카하시의 작품은 매우 흥미롭 다. 여성 작가 특유의 모에(萌え)적 감성과 소년만화의 코믹한 요소들이 가미된 그녀의 작품세 계는 독자들에 의해 ‘루믹(rumic)월드’로 표현되는데 이는 루미코(rumico)라는 작가의 이름과 만화(comic)의 합성어이다.

다카하시는 1957년 일본 니가타현(新潟県)에서 태어났다. 니혼여자대학 사학과를 졸업했으 며, 1978년 <제멋대로인 녀석들(勝手なやつら)>이 쇼가쿠칸 신인 코믹스 대상 가작에 당선 되면서 데뷔하였다. 같은 해 SF 코미디 <시끌별 녀석들(うる星やつら)>을 연재하면서 단숨에

(5)

인기작가의 반열에 올랐고, 1980년 봄 <시끌별 녀석들>을 연재하는 동시에 높은 나이의 독자 들을 대상으로 한 러브 코미디의 <메종일각(めぞん一刻)>을 발표한다. 이후 <란마 1/2(らん ま1/2)>, <이누야샤> 등 한국에서도 잘 알려진 대표작들을 연재한다. <란마 1/2>이 격투기 를 소재로 한 코미디에 중심을 두었다면, <이누야샤>는 개그 요소를 줄인 진지한 작품으로 그 작품성을 인정받아 제47회 쇼가쿠칸 만화상을 수상했다. 2009년 <경계의 린네(境界の RINNE)>에서는 다카하시의 특색 있는 코미디를 더 진하게 그려냈으며, 2019년부터 현재 61 세의 나이로 <MAO>를 연재하고 있다.

년도 제목 특징

연재작

1978년 시끌별 녀석들(うる星やつら) 전 34권 (完)

1980년 11월 메종일각(めぞん一刻) 전 15권 (完)

1984년 8월 인어 시리즈(人魚シリーズ) 전 3권

1987년 란마 1/2(らんま1/2) 전 38권 (完)

1987년 1파운드의 복음(1ポンドの福音) 전 4권 (完)

1996년 이누야샤(犬夜叉) 전 56권 (完)

2009년 경계의 린네(境界の RINNE) 전 40권 (完)

2019년 MAO(漫画) 연재 중

단편집

1984~1985년 루믹월드(るーみっくわーるど) 전 3권, 초기 단편집

1995년 9월 1 or W 전 1권

2015년 7월 거울이 왔다(鏡が来た) 전 1권

1994년 P의 비극(Pの悲劇)

<다카하시 루미코 걸작 단편집> 시리즈, 비정기

1999년 전무의 개(専務の犬)

2005년 붉은 꽃다발(赤い花束)

2011년 운명의 새(運命の鳥)

2019년 마녀와의 디너(魔女とディナー)

<Table 2> List of Works by Takahashi Rumiko

루믹월드를 구성하는 작품 <시끌별 녀석들>, <메종일각>, <란마2/1>, <이누야샤>, <경계 의 린넨> 등은 전 세계적인 인기를 끌었으며, 1995년에 세계 누적 단행본 판매 부수 1억 부를 돌파했다. 이는 <원피스(ワンピース)>, <나루토(ナルト)>, <블리치(ブリーチ)>와 같이 2000년대 ≪소년 점프≫의 3대 인기 만화들보다 훨씬 앞선 결과이다. 2017년 일본인 중 두 번째로 SF 판타지 명예의 전당에 입성했고, 2018년 미국 아이스너 상의 명예의 전당에 등재되 었다. 아이스너 상은 세계 만화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상으로 다카하시는 데즈카 오사무(手塚 治虫), 코이케 카즈오(小池一夫), 코지마 고세키(小島剛夕), 오토모 카츠히로(大友克洋), 미야 자키 하야오(宮억 駿)에 이어 6번째, 최초의 일본 여성 만화작가로서 처음 이름을 올렸다.

2019년 앙굴렘 국제 만화 페스티벌의 최고상인 그랑프리를 수상하기도 했다.

러브 코미디 장르의 여왕답게 다카하시의 작품에는 기본적으로 사랑을 소재로 삼은 코미디 작품이 많다. 1980년대 러브 코미디 대표작 <시끌별 녀석들>과 <메종일각>을 시작으로 액 션 러브 코미디 <란마 1/2>, 스포츠 러브 코미디 <1파운드의 복음(1ポンドの福音)> 등이 그 예이다. 러브 코미디 장르는 일반적으로 남자 주인공을 중심으로 하는 사랑 이야기가 많기 때문에 현재 남성향 로맨스 장르로 굳혀졌으며, 다카하시의 작품세계에 등장하는 캐릭터의 대 부분은 변태의 영역에 가까울수록 자신의 욕망에 충실하다. 바람둥이 고등학생 ‘모로보시 아타 루(난星 あたる)’와 호피 무늬 비키니를 입은 도깨비족 미소녀 ‘라무(ラム)’의 좌충우돌 코미디

<시끌별 녀석들>은 이러한 특징이 잘 나타나 있다. <시끌별 녀석들>에서 구축되기 시작한 그녀만의 캐릭터는 <메종일각>, <란마 1/2>를 거치며 완성되었고, <이누야샤>에서 정점을 찍었다. <시끌별 녀석들>의 입체적이고 개성적인 캐릭터는 이후의 작품에서 그대로 등장하고 있으며, 독자들의 호응을 이끌어 왔다.

(6)

다카하시는 많은 양의 단편 작품을 보유한 작가이다. 대표적으로 <P의 비극(Pの悲劇)>, <전 무의 개(専務の犬)>, <붉은 꽃다발(赤い花束)> 등이 있으며, 권마다 여러 편의 단편들이 수 록되어있다. 그녀의 단편은 정형화되지 않고 우리가 사는 일상 속에서 소재를 발견하고 발전 시켜 나간다. ‘루믹’을 구축하게 된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한 캐릭터의 힘이 단편에서 더욱더 현실적이고 생동감 있게 두드러지며, 러브 코미디, SF, 판타지, 공포, 스릴러, 일상, 성인 등 다양한 장르가 포함된 다카하시의 단편집은 그녀가 폭넓은 장르를 소화해 내는 작가라는 것을 보여준다.

이처럼 다양한 장르를 넘나드는 다카하시의 작품에는 몇 가지 공통된 특징을 보인다. 첫 번째는 스토리 전개가 독보적이라는 것이다. 빠른 전개의 도입 부분과 다카하시 특유의 군더더기 없는 스토리텔링 방식은 긴장감을 유지하며 독자들의 흥미를 자극한다. 두 번째는 루믹월드에 등장 하는 주인공들은 청초한 미모를 가지고 있다. 주인공의 외모는 미인으로 평가되는 경우가 많으 며, “일본 만화업계에서는 다카하시의 1980년대 작품들이 지금의 인기 미소녀 캐릭터의 기준 을 만들었다고 평가한다(Kim, H., 2018 October 13).” 이러한 외형적 특징은 작가의 탁월한 개그 감각을 통해 모에 감성과 시너지(synergy) 효과를 만든다.

2.2. 민간신앙을 모태로 한 작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 따르면 민간신앙이란 “속신(俗神) 또는 미신이라고 생각되는 것들 만을 지적하는 경우도 있고, 점복(占卜)·금기(禁忌)·주술(呪術)의 현상이나 신흥종교의 특별 한 점”을 민간신앙이라 정의하지만, 무속신앙(巫俗信仰)을 지칭하거나 원시 신앙으로 한정 지 어 생각하는 경우도 있다(Choi, G., 1996). 일본인들에게 민간신앙은 그들의 일상생활과 유착 관계에 있으며, 특히 일본인들의 “삶의 가치관을 비롯한 세계관이나 우주관을 규명하는 열쇠”

가 된다(Hwang, D., 2008, p.208). 즉, 민간신앙은 일본 문화 콘텐츠를 형성하는 기층적 문화 형태로 볼 수 있다. 사학을 전공한 다카하시의 작품 <인어 시리즈>(1991), <이누야샤>

(1996), <MAO>(2019) 등에도 이러한 민간신앙 요소들이 잘 나타나 있으며 설화, 신화, 전 설, 그리고 민담과 같은 일본 전통 소재를 활용한 독보적인 스토리 전개를 보여 준다.

① <인어 시리즈>(1991)

<인어 시리즈>는 다카하시의 작품 중 전설 속 생물, 인어를 소재로 한 비정기적 연재 작품의 총칭하지만 전 화에 걸쳐서 공통되는 주역 캐릭터가 존재하고 있다. 인어 고기를 먹고 몸이 불로불사(不老不死)가 된 주인공 ‘유타(湧太)’가 일본 전국시대에서 현대까지 살아오면서 겪 는 여러 이야기를 옴니버스 구조로 다루고 있으며, 1991년 <인어의 숲(人魚の森)>, 1993년

<인어의 상처(人魚の傷)>, 1994년 <야차의 눈동자(夜叉の瞳)>, 총 3편의 단행본으로 발간 된 작품이다. 작품에 등장하는 인어는 일본 호쿠리쿠 지방(北발地方)을 중심으로 전승되어온 인어의 전설, ‘야오비구니(八百比丘尼)’를 모티브(motive)로 한다. 지역에 따라 조금씩 내용이 다르지만, “인어의 고기를 먹은 처녀가 그 후 비구니가 되어 팔백 년을 생존했다는 내용은 공통 으로 나타난다”(Kang, M., 2018, p.220). 불로불사를 향한 인간의 탐욕과 욕망을 흡입력 높은 공포로 연출한 <인어 시리즈>는 개그 요소가 강한 다카하시 작품 중에서도 이색 작으로 취급된다.

② <이누야샤>(1996)

1996년 일본 도쿄, 히구라시 신사에 사는 현대의 여중생 ‘히구라시 카고메(日暮かごめ, 이하 카고메)’는 15번째 생일날 신사의 ‘뼈를 먹는 우물(骨喰いの井戸)’에서 나온 요괴에게 휘말려 전국시대로 ‘타임리프(Time Leap)’하게 된다. 그녀의 몸속에 잠들어 있던 사혼의 구슬과 함께 시간 이동을 한 카고메는 전생의 무녀, ‘키쿄우(桔梗)’에 의해 봉인되어 잠들어 있는 ‘이누야샤’

를 만나 그와 함께 부서진 사혼의 구슬 조각을 찾아 여행을 떠난다. 특히 <이누야샤>에는 송장 까마귀(屍舞烏), 역발의 유라(逆髪の結羅), 토토사이(刀々斎), 타타리모케(タタリモッ ケ) 등 기발하고 엉뚱한 요괴들이 등장하는데 그들은 주인공 일행과 맞닥뜨리게 되면서 각자의 개성을 뽐낸다. 이노우에 엔료(井上円了)의 ≪요괴학(妖怪學)≫(1892)에 따르면 요괴란 “요

<Figure 2> Inuyasha Cover, ⓒ 1997 by TAKAHASHI Rumiko

<Figure 1> Mermaid Forest Cover, ⓒ 2003 by TAKAHASHI Rumiko

(7)

상하고 괴의(怪疑)하며 신비로운 모든 것에 속하는 것들”이라고 정의한다. 이는 일본 만화, 애니메이션에 자주 등장하는 소재이며, 산, 숲, 돌, 신목 등의 자연이나, 특정 인물을 모시는 일본 전통의 애니미즘과 800만의 신이 존재한다는 ‘야오요로즈노 카미(八百万の神)’라는 관념 이 깊게 뿌리 내려 있다. 즉, 민간신앙을 중시하는 일본인의 신관을 가장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③ <MAO>(2019)

현재 연재 중인 <MAO>는 초등학교 1학년 때 사고로 부모님을 잃고 죽었다 살아난 경험이 있는 중학교 3학년 여학생 ‘키바 나노카(黄葉菜花)’가 어느 날 두 세계를 잇는 문에서 음양사 소년 ‘마오(摩緒)’를 만나게 되면서 일어나는 일을 그리고 있다. 음양사는 90년대 중반 이후 일본 만화, 애니메이션에서 인기 있는 소재로 보통 요괴를 퇴치하는 인물로 등장하는데 김정희 (Kim, J., 2016, pp.78-79)에 따르면 음양사란 “율령제(律令制)의 관청인 음양료(바陽療)에 속한 관료”를 말한다. 또한, 그들은 “점술, 달력, 천문 등으로 국가의 길흉을 점치고, 불길한 징조를 미연에 막고자 하라이(祓い)라는 종교 행위를 통해 주술, 제사와 같은 활동을 한다”고 주지한 바 있다. <MAO>는 2019년 5월 8일 ≪주간 소년 선데이≫ 23호에서 연재를 시작했으 며, 전작 <이누야샤>의 캐릭터 설정과 요괴, 시간 이동 등의 소재를 조합한 다소 무거운 분위 기로 다카하시 특유의 코미디 요소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 <이누야샤>가 전국시대를 배경으 로 하고 있다면 <MAO>는 다이쇼 시대(大正時代, 1912~1926년)를 배경으로 실제 관동 대지 진 사건을 중심으로 초반 이야기가 전개되고 있다.

3. <이누야샤>의 작품분석 3.1. <이누야샤>와 <파이어 트리퍼>

<이누야샤>는 1990~2000년대 대표적인 판타지 만화 중 하나로 속도감 있는 액션, 매력적인 캐릭터, 상상력이 가득한 요괴, 작가 특유의 코미디 요소들을 결합하여 주인공들의 성장 과정을 균형 있고 설득력 있게 전달하고 있다. 1996년부터 2008년까지 ≪주간 소년선데이≫에 연재 되었으며, 누계 발행 부수 5,000만 부를 넘는 인기 작품으로 일본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가장 대중적인 일본 만화, 애니메이션 중 하나이다. <이누야샤>는 세일러복을 입은 현대의 여중생 ‘카고메(かごめ)’가 일본 전국시대로 시간 여행을 하며 일어나는 이야기이다. 이전 다카 하시의 작품과 달리, 전국시대의 설정을 이용해 전쟁, 역병 등 폭력적인 내용을 그리고, 일부 코미디 요소를 유지하면서 더 진지하고 심각한 주제를 다룬다. 그래서 “가슴 두근거리고, 때로 는 울고, 때로는 웃으며” 즐길 수 있는 작품이다(Takahashi R., 2010).

<파이어 트리퍼>는 1983년 《주간 소년 선데이 S》에 게재된 단편 작품으로 단편집 <루믹월 드(るーみっくわーるど)>에 수록되어있다. 17세의 여고생 ‘스즈코(涼子)’가 어느 날 이웃 소 년 ‘슈헤이(周平)’와 함께 가스 폭발 사고에 휩쓸려 전국시대로 돌아가게 되면서 일어나는 일들 을 그리고 있으며, 세일러복의 여학생이 전국시대로 시간 여행을 한다는 부분은 <이누야샤>

와 이야기의 구성, 소재 등 유사성이 많아서 프로토타입(prototype)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다 카하시의 단편 작품 중 처음 OVA(Open Versatile Anime)화되어 1985년 12월 발매되었다.

3.2. 민간신앙의 만화적 체현

일본에서 가장 인기 있는 역사 장르는 전국시대이다. NHK 대하 드라마 작품 60편 중 전국시대 를 배경으로 한 작품이 26개로 43.3%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전국시대가 인기 있는 이유에 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큰 이유는 전국시대가 일본 역사상 처음 도래한 지방의 시대이기 때문이다. 전국시대는 일본 무로마치 시대(室町時代, 1336~1573년) 말기 15세기 후반부터 16세기 후반까지의 사회적, 정치적 변동 및 계속되는 내란의 시기이다. 1493년의 ‘메이오 정변 (明応の政変)’, 더 이르게는 1467년 ‘오닌의 난(応仁の乱)’ 이후의 시대를 당시의 공가(公家) 가 고대 중국의 춘추 전국 시대의 난세에 비유하여 ‘전국시대’라고 표현했던 것에서 유래한다.

“이 시기는 거의 1백 년 동안 지속되면서 일본 전국의 백성들을 불안과 고통 속으로 몰아넣었 다. 오로지 무력만을 앞세워 각 지방에서 일어난 영웅들은 서로 밀고 당기는 싸움을 되풀이하면

<Figure 3> MAO Cover, ⓒ 2019 by TAKAHASHI Rumiko

(8)

서 그의 세력을 확장하여 천하통일의 꿈을 실현하려 하였다(Kang S, 2010, p.2).

세계적으로 1억 부 이상이 팔린 <슬램덩크(スラムダンク)>(1990)의 작가 이노우에 다케히 코(井上雄彦)의 작품 <배가본드(バガボンド)>(1998)는 전국시대 말기에서 에도시대(江戶 時代, 1603~1867년) 초기를 배경으로 한다. 검호 ‘미야모토 무사시(宮本武蔵)’가 주인공으로 요시카와 에이지(吉川栄治)의 소설 <미야모토 무사시>를 각색한 작품이다. 미야모토 무사시 는 60여 차례의 결투 경험을 바탕으로 두 검을 사용하는 이도류(二刀流)를 창안하면서 일본의 수많은 검객들을 제치고 정점에 오른 인물이다. 치열했던 전국시대 말기에 태어나 일평생 단 한 번도 결투에서 패배한 적이 없다고 알려져 일본인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아왔다.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 <모노노케 히메(もののけ姫)>(1997)의 시대적 배경 역시 무로마치 막부, 즉 전국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이 시대는 전쟁이 계속되는 시대였지만 전란의 영향으로 농업, 공업 모두 기술이 향상되고 생산도 증가해 사람과 물건의 유동이 활발해졌다. 이와 같은 경제 발달로 인해 “자연에 깃든 신들을 숭배하던 시대가 종말을 고하고, 자연의 신성한 질서가 인간의 문명적 사고력에 의해 와해”하기 시작한다(Cho, H. J., 2015). <모노노케 히메>에는 인간들의 욕망으로 인해 재앙신으로 변해버린 ‘타타리가미(タタリ神)’가 등장하며, 이는 일본 의 원령(怨靈) 사상에 기초하고 있다. 원령 신앙은 해, 달, 별 또는 불, 바람 등과 같은 자연계의 모든 사물, 또는 무생물과 생물 모두에게 생명이 있고, 그들을 초자연적인 영적 존재로 영혼(靈 魂)이 깃들어 있고 믿는 민간신앙 중 하나인 애니미즘의 관념에서 파생된 사상이다. 원령은 원한을 품은 사령 또는 생령으로, 작품 제목 ‘모노노케(物の怪)’를 말한다. 때문에 <모노노케 히메>는 ‘원령공주’로 번역된다.

이처럼 <배가본드>, <미야모토 무사시>, <모노노케 히메>의 배경에 전국시대가 등장한 이 유는 중국 《삼국지(三國志)》와 같이 군웅할거(群雄割據) 이야기가 풍부하기 때문이다. 난세 에 영웅이 나타나듯 이야기 소재가 풍부한 전국시대는 일본 만화, 애니메이션에서도 매우 중요 한 역할을 하고 있다.

4. <이누야샤>에 나타나는 민간신앙 의미와 분석

<이누야샤>는 <시끌별 녀석들>, <메종일각>과 같은 이전 다카하시 의 작품에 비해 개그 요소를 줄인 액션 모험 활극이다. 전쟁과 역변, 혼란의 전국시대를 배경으로 하여 살인, 시체, 해골과 같은 잔혹하고 충격적인 장면이 자주 나오지만 이러한 어두운 면을 계속 보여주지 않 고 산뜻한 소년 만화로 풀어내는 점이 다카하시의 매력이다. 기존 다카 하시의 작품에 시대적 배경을 유추할 수 있는 소재가 직접 등장하는 일이 매우 드물다. 하지만 <이누야샤> 3권을 살펴보면 전국시대의 무 장 ‘오다 노부나가’가 언급된다. 어린 시절부터 사람들은 그를 ‘오와리 의 팔푼이(尾張の大うつけ)’라 불렸는데, 노부나가와 이름만 같은 다 케다 가문의 캐릭터 ‘아마리 노부나가(甘利信長)’가 “그런 오와리의 팔 푼이”라고 하는 것을 보아 그가 소년기였던 1540년대 중 후반임을 알 수 있다.

일본인은 종교적 믿음이 약하지만 정말 무종교적인 일본인은 별로 없 다. “일본인에게 가장 오래되고 너무나 친숙하여 아예 일상적 습속이 되어버린 종교, 신도가 있기 때문이다.” <이누야샤>에는 현대를 배경 으로 한 히구라시 신사가 등장한다. 신사는 일반적으로 “신도의 신전 (Shinto shrine)”으로 말해지며, 실제로 본전(本殿) 이 없는 신사도 있 다(Park, G., 2017). 또한, 일본에는 신도와 불교가 융합되어 하나의 종교 체계를 이룬 신불습합(神佛習合)이라는 종교현상이 있다. 1867 년 신불습합의 관습을 금지하여 신도와 불교가 명확하게 분리되었지 만, 그 차이는 크지 않다. 오늘날 신도와 불교 모두 일본인에게 친숙한 것이 되었으며, 많은 일본인이 그들의 신에게 기도하고, 매년 정월에는

<Figure 4> ⓒ 1997 by TAKAHASHI Rumiko

<Figure 5> ⓒ 1997 by TAKAHASHI Rumiko

(9)

신사에 참배하며, 장례식은 불교의 방식으로 거행되기도 한다. 두 종교를 위화감 없이 받아들이 고 있는 것은 일본문화의 독특한 점이다.

히구라시 신사가 전국시대부터 500여 년의 시간 동안 대대로 지켜온 신목, 시대수(時代樹)는 시대를 초월하는 불가사의한 신비의 힘을 가진 정령이 깃든 신비의 나무이자 그 나무의 영혼인 정령이다. “신목이란 일반적으로 유례에 있어 제신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그 신령을 상징하는 수목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혹은 신사 경내에 있는 모든 나무를 신목으로 간주하기도 한다.

특히 신사의 유래와 관계가 깊은 신목에는 금줄을 두르고 울타리를 만들어 놓았다. 이는 고대적 수목 신앙을 반영하는 것으로 신역의 수목을 벌채하면 신벌이 내린다고 여겨졌다”(Park, G., 2017, p.285). 따라서 시대수는 신성한 나무로 불리기도 하며, 시간 여행의 통로이자 시간 이동 할 수 있는 장치로서 역할을 수행한다.

<이누야샤>의 ‘이누(犬)’는 개를 의미하고, ‘야샤(夜叉)’는 불교의 야차(夜叉)를 말한다. 개 요괴 아버지와 인간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이누야샤’는 인간과 동물, 혹은 요괴의 결합체로 반인반수(半人半獸) 캐릭터에 해당한다. 반인(半人)은 말 그대로 반은 인간, 나머지 반은 가미, 동물, 요괴 등인 사람을 뜻하는 말이다. 반인반수는 ≪산해경≫에 등장하는 신화적 소재로서 판타지적 요소가 강해 일본 콘텐츠에서 다양한 형태로 활용되어왔다. 또한 토테미즘이 발달한 동양에서는 “공존의 대상이며, 더 나아가 인간이 가질 수 없는 초월적 능력으로 인해 숭배의 대상이 된다”(Jung, J., 2020, p.1724). 불법을 수호하는 여덟 신장 중 하나인 야차는 초자연적 인 힘을 지닌 존재로 신도적 애니미즘과 불교가 융합된 신불습합의 요소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강종임(2011)은 야차의 형상이 동물과 인간의 모습을 혼합해 놓은 괴물 적인 존재라는 점에서 야차가 동물들의 이종교배적인 산물임을 의미하며, 야차의 괴물성 자체는 순수한 혈통이 아니 라고 주지한 바 있다. 이누야샤의 형, 셋쇼마루(殺生丸) 역시 반인반수 캐릭터로 “요괴이지만 요괴의 형상이 아닌 매력적인 인간형으로 여성 시청자들을 포섭하는 역할을 한다”(Lee, C.,

& Lee, Y., 2013, p.15). 셋쇼마루의 셋쇼(殺生)는 ‘살생’을 뜻하며 마루(丸)는 옛날 일본 사무 라이들의 이름 끝부분에 붙어진 이름이다. 그 때문에 한 번 휘두르면 백의 목숨을 살릴 수 있는

‘천생아(天生牙)’라는 칼을 항상 들고 다닌다.

메인 빌런(villain), 나라쿠(奈落)는 불교에서 말하는 지옥, 나라카(Naraka)를 뜻하는 말이다.

이누야샤와 같은 반요 캐릭터이지만 그와 달리 애니미즘 사상이 단선적으로 나타난다. 나타쿠 의 본질은 인간과 요괴의 융합 체이기 때문에 그 형상이 일정하지 않고, 신체를 자유자재로 변형시킬 수 있다. 그의 재생 능력과 생명력은 작중에서 따라올 자가 아무도 없고, 결계, 독기, 촉수, 흡수 등 초월적 능력을 통해 최종 보스 임무를 수행한다.

이름 특징 이름의 의미

이누야샤 (犬夜叉)

요괴와 인간 사이에서 태어난 반인반요. 평소에 는 은 백발에 개의 귀가 있지만, 초하룻날이 되 면 요력이 사라져 검은 머리의 인간 모습으로 변한다.

‘이누(犬)’는 개를 의미하고 ‘야 샤(夜叉)’는 불교의 ‘야차(夜 叉)’, 요괴를 의미한다.

히구라시 카고메 (日暮かごめ)

현대에서 전국 시대로 타임 슬립 해 온 중학생 소녀. 키쿄우가 환생한 무녀로 활솜씨는 별로지 만 강력한 정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카고메 카고메(かごめかごめ)’

라는 일본의 어린이 놀이 중 하 나이다.

미로쿠 (弥勒)

보라색 법복을 입고 있는 법사. 여자를 밝히는 성격으로 나라쿠로부터 받은 풍혈의 저주를 오 른손에 계승하고 있다.

미래의 부처, 미륵(彌勒)을 뜻하 는 말이다.

<Table 3> InuYasha Characters, http://www.asahi-net.or.jp

(10)

조현미(2007, p.281)에 의하면 일본에 요괴 문화가 등장한 이유는 인간이 스스로 나약한 존재 임을 알고 있고 이성적으로는 이해하기 어려운 불가사의한 현상이나 초자연적 힘에 대해 공포 와 불안을 느끼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러한 내면의 심리는 요괴라는 추상적인 존재를 창조해냈 다. 따라서 <이누야샤>에 등장하는 반인반수, 요괴 캐릭터들은 “나약한 인간이 자신보다 우월 한 동물들의 능력을 이미지로 형상화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식”으로 조금 더 강하고 초월적인 힘을 가지고자 했던 고대 일본인들의 욕망과 상상력이 만들어 낸 추상적인 존재라 할 수 있다 (Kang, J., 2011, p.53).

한편 <이누야샤>에 등장하는 전국시대의 캐릭터 대부분은 일본 전통 의상 기모노(着物)를 착용하고 있다. ‘기모노’라는 단어의 본래 뜻은 ‘입는 것’으로 오늘날 여성들이 의례나 결혼식과 같은 특별한 행사가 있을 때 많이 입는다. <이누야샤>의 주요 등장인물 키쿄우는 사혼의 구슬 을 요괴들로부터 지켜온 전국시대의 무녀로, 흰색 고소데(小袖)에 주홍색의 하카마(袴)를 입 고 긴 머리를 뒤로 모아 묶고 있는 전형적인 무녀 복장을 하고 있다. 하카마는 기모노의 한 종류로 허리 아래에 입는 품이 넓은 하의를 말한다. 고대 일본의 무녀는 “병을 치료하고 주술을 통해 이적하고 영혼의 안내자(psychopmp) 역할을 하며 사제, 신비가, 의사, 심지어 시인 노릇 도 하였다”(Lee, B., 2017, p.339). 키쿄우 역시 신의 사제로서 주술적 능력을 갖춘 존재이지만 오늘날 신직을 도와 신도 의례 및 사무를 수행하는 ‘미코(みこ)’와 달리 각지에 정착하거나 떠돌아다니며 무녀의 임무를 수행한다.

카고메는 키쿄우의 환생체로서 일방적인 무녀 의 역할을 강요받게 된다. 그녀는 이를 탈피하 기 위해 대부분 세일러복을 입고 등장하며, 전 국시대의 기준으로 세일러복은 현대적 장치이 기 때문에 그 시대 사람들에게 종종 요괴라 오 해받기도 한다. 세일러복은 1920년 일본 헤이 안 여학원에서 처음 교복으로 사용했는데, 메 이지 시대(明治時代, 1868~1912년)에는 하 카마를 교복으로 입었다. 따라서 세일러복은

산고 (珊瑚)

전국시대의 요괴 퇴치사. ‘코하쿠(琥珀)’라는 남 동생이 있으며 비래골을 무기로 한다. 항상 고 양이 요괴 ‘키라라(雲母)’와 함께 다닌다.

불교에서 7가지 보배 중 하나인 산호(珊瑚)를 의미한다.

싯포 (七宝)

여우 요괴. 사람의 모습이지만 몸은 여우의 꼬 리와 발을 가지고 있으며 변신 능력과 환술을 구사한다.

불교에서 7가지 보배, 칠보(七 宝)를 일컫는 말이다.

키쿄우 (桔梗)

이누야샤의 첫사랑이자 전국시대의 무녀. 나라 쿠의 모략에 의해 이누야샤를 봉인하고 자신도 목숨을 잃는다. 50 년 후 사혼(死婚)으로 되살 아난다.

'키쿄우'의 뜻인 '도라지'의 꽃 말은 영원한 사랑을 의미한다.

셋쇼마루 (殺生丸)

이누야샤의 이복 형. 이누야샤와 달리 완전한 요괴로 평소 사람의 모습을 하고 있지만 개 요 괴의 모습으로 변신할 수 있다.

셋쇼(殺生)는 살생을 뜻하며, 마 루(丸)는 옛날 일본 사무라이들 의 이름 끝부분에 붙여진 이름 을 의미한다.

나라쿠 (奈落)

<이누야샤>의 메인 빌런. 이누야샤와 마찬가지 로 반인반요. 산적 오니구모의 영혼을 통해서 나타난 존재로 사혼의 구슬을 가지기 위해 다양 한 모략을 꾸민다.

불교에서 말하는 지옥 나라카 (Naraka)를 뜻하는 말로 한자로 나락(奈落)이라고 읽는다.

<Figure 6> (Left) Hakama Worn by Kikyow, (Right) Sailor Suit Worn by Kargome, ⓒ 1997 by TAKAHASHI Rumiko

(11)

카고메를, 하카마는 키쿄우를 상징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세일러복은 카고메의 트레이드마크 (trademark)로 전생과 현생으로 묶여있는 두 여주인공을 구분하는 매개체, 또는 카고메 내면 의 정체성을 표출하는 매개체로서 존재한다.

<이누야샤>의 이야기 중심에는 사혼(四魂)의 구슬이 있다. 사혼(四魂)이란, 용혼(勇魂), 친 혼(親魂), 지혼(知魂), 애혼(愛魂)을 네 가지 로 통틀어 말하며 각각 용감함, 친근함, 지혜, 사랑을 의미한다. 이는 일본 신도의 일령사혼 (一霊四魂) 이론에서 시작됐으며, 이 사혼을 직령(直靈)이라고 하는 하나의 혼이 컨트롤하 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혼의 구슬은 무녀

‘미도리코(翠子)’의 영혼과 수많은 요괴의 영 혼이 합쳐져서 태어났다. 미도리코는 자신의 혼 속에 수많은 요괴의 혼을 빨아들인 뒤 구슬 형태로 만들어 냈는데 이는 만물에 영혼이 있다고 믿는 애니미즘을 기반으로 탄생하였다. 사혼 의 구슬은 생명을 유지, 부활시키거나 요력(妖力)을 높여주기 때문에 구슬을 소유한 자의 영혼 에 따라, 구슬을 선하게도 악하게도 이용될 수 있다. 사혼의 구슬은 불멸의 존재이지만, 단 하나의 ‘올바른 소원’에 의해서만 소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야기 최종 국면에서 카고 메가 구슬이 영원히 사라지기만을 원했기 때문에 사혼의 구슬은 소멸하게 된다.

또한, 일본 사람들은 “축복(祝福)이나 기원(祈願) 등 호의적인 말을 할 때 행운이 올 것이고 사람들의 소원이나 생각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믿었 다”(She et al., 2021, p.262). <이누야샤>에는 이러한 언령신앙(言霊信 仰)이 잘 드러나 있다. 언령이란 일본의 신도에서 시작된 신앙으로 말에 깃들어 있다고 믿어지는 영적인 힘을 말한다. 폭주하는 이누야샤를 진정시 키기 위해 키쿄우의 동생, 카에데(楓)가 이누야샤의 목에 염주를 씌우게 되고, 카고메가 진혼의 언령으로 “앉아(おすわり)”를 외치게 된다. “앉아”

는 본래 개에게 복종의 의미로 쓰이며, 이누야샤의 ‘이누’가 개를 의미함으 로 카고메의 언령은 본래의 의미와 유사한 쓰임을 한다. <이누야샤>에서

“앉아”는 진지하고 심각한 순간 긴장감을 풀 개그 코드로 쓰이는 경우가 많으며, 다카하시 작품의 특징을 보여 주는 요소 중 하나이다.

5. 결론

본 연구는 일본 만화, 애니메이션에 나타나는 민간신앙에 관련된 선행연구와 사례들을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다카하시의 작품세계에 반영된 민간신앙의 의미를 만화 <이누야샤>를 중심으 로 연구했다. 또한 일본 문화 콘텐츠에 등장하는 전국시대에 대한 일반적인 관념을 살펴보고 주된 콘텐츠로서의 가치를 살펴보았다.

오늘날 다카하시 루미코의 작품들은 시간이 지날수록 변화를 거듭해왔고, 러브 코미디에 국한 된 것이 아니라 공포, 스릴러, 일상, 성인 등 다양한 주제의 작품을 통해 현재 일본 최고의 만화가 중 한 명으로 존경받게 되었다. 사학을 전공한 다카하시의 작품은 일본인의 전통 민간신 앙 애니미즘을 바탕으로 한 자연관에 의해 독특한 방식을 보이며, 작가 특유의 모에 감성과 소년만화의 코믹한 요소들이 가미된 특징이 있다. 민간신앙을 모태로 한 다카하시의 작품들은 신도, 불교, 민간신앙 등 일본인의 신관으로 연결된다. 일본의 종교와 민간신앙은 다카하시의 작품세계를 형성하는 기본적인 요소이며, 전국시대, 다이쇼시대 등의 현대적 장치들과 로맨스, 코미디, 호러 등의 대중오락 요소는 세계관, 루믹월드를 탄생시켰다.

특히 대표작 <이누야샤>는 세일러복을 입은 여중생이 일본 전국시대로 시간 이동을 하며 일 어나는 이야기로 세일러복, 타임리프와 같은 현대적 요소는 일본의 민간신앙과 만나 전대미문

<Figure 7> A Conceptual Diagram of A Spirit or Four Souls, https://ja.wikipedia.org/wiki/一霊四魂

<Figure 8> The Word of The True Soul, ⓒ 1997 by TAKAHASHI Rumiko

(12)

(前代未聞)의 작품을 탄생시켰다. <이누야샤>의 시대적 배경에 전국시대가 등장한 이유는 중국 <삼국지(三國志)>와 같이 춘추 전국 시대와 군웅할거 이야기가 풍부하기 때문이다. 만 화 <배가본드>, 애니메이션 <모노노케 히메>, 소설 <미야모토 무사시> 등이 전국시대를 배경으로 창작된 작품이며, 이야기가 풍부한 전국시대는 일본의 대표적인 원천 콘텐츠 중 하나 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이누야샤>에는 현대를 배경으로 한 히구라시 신사, 시대수가 등장한다. 이는 일본인의 종교적 관념을 보여주는 소재로 신도적 애니미즘 사상이 담겨있다. 이누야샤, 셋쇼마루, 나라쿠 와 같은 반인반수 캐릭터, 혹은 요괴와 같은 상상적 존재들을 형상화한 <이누야샤>는 자연 종교관이 깊이 녹아있는 다카하시의 사상이 창조해낸 결과물로 볼 수 있다. 작품 속 캐릭터들은 기모노, 하카마 등 일본 전통 의복을 입고 등장한다. 특히 키쿄우는 항상 흰색 고소데에 주홍색 의 하카마를 입고 있는 전형적인 무녀 복장 복장을 하고 있으며 주술적 능력을 갖춘 존재로 정착하거나 떠돌아다니며 무녀의 역할을 수행한다. 스토리의 중심을 이끌어주는 사혼의 구슬 역시 일본 신도의 일령사혼 이론에서 시작되었으며, 명대사 “앉아”에는 말에 영적인 힘이 담겨 있다고 믿는 일본인의 언령신앙이 잘 드러나 있다. 이를 통해 모든 물체 안에 영혼이 존재한다 고 믿는 일본인 작가의 신관과 민간신앙, 일본 전통 소재와 관련된 것들이 그녀에게 많은 영향 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다카하시의 만화는 기본적으로 일본 종교와 민간신앙, 현대적 장치, 대중오락 요소를 적극적으로 활용했기 때문에 그녀만의 독특한 작품 세계관을 형성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일본인에게 민간신앙 또는 신도, 불교와 같은 종교가 위화감 없이 받아들여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세월에 따라 다양하게 변주되어 그들만의 특색 있는 문화를 형성하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가 다카하시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의 시발점으로서 일본 문화 콘텐츠에 나타나는 특징들을 해석하는데 하나의 중요한 표본으로써 활용되기를 기대하며, 앞으로 그녀 의 작품들이 더욱 이론의 틀에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References

Agency for Cultural Affairs [ACA]. (2020).

Religious Yearbook

. [ACA].

Cho, H. J., (2015). A Study on the Shinto Animism of Miyazaki Hayao : Focusing on My Neighbor Totoro, The Princess Mononoke, Spirited Away.

Korean Cinema Association (KCA),

(66), 209-231. http://dx.doi.org/10.17947/kfa..66.201512.008

Encyclopedia of Korean National Culture. (n.d.). folk belief.

In http://encykorea.aks.ac.kr/

. Retrieved June 5, 2021, from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0061

Hwang, D. K., (2008). The Social Meaning and Function of Folk Religion in a Japanese Rural Society. 

The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Society Of Korea, 38

, 279-292.

https://DOI.org/10.18631/jalali.2008..38.018

Inuyasha's Outline and Characters.

(n.d.). http://www.asahi-net.or.jp. Retrieved June 2, 2021, from http://www.asahi-net.or.jp/~hn7y-mur/inuyasha/rumilink1.htm

Japanese religion. (2021, June 5). In

Wikipedia.

https://ja.wikipedia.org/wiki/%E6%97%A5%E6%9C%AC%E3%81%AE%E5%AE%97%E6%95%99 Jo, H. M., (2007). Analysis and meaning of the semi-monster in the ‘Japanimation’ - Regarding

〈Inuyasha> in particular.

Korea Digital Design Society, 7

(2), 277-286.

http://dx.doi.org/10.17280/jdd.2007.7.2.027

Jeong, D. H., (2011). Animism Characters in Animation and the Japanese View of God - focusing on Miyajaki Hayao's works -,

Korea Society of Design Trend,

 (32), 207-216.

http://dx.doi.org/G704-000594.2011..32.010

(13)

Jung, J. C., (2020).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Half Human and Half Animal in the San Hae Gyng,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11

(2), 1721-1732.

http://dx.doi.org/10.22143/HSS21.11.2.120

Kang, J. I., (2011). Existence of Yakkha- Focus on the section of Yakkha In Tai-Ping-Guang-Ji.

The Society For The Research Of Chinese Novels, 33,

47-67.

https://DOI.org/10.17004/jrcn.2011..33.003

Kang, M. G., (2018). The study on the possibility and role as cultural contents through the image and narrative of East Asian mermaids.

The Korean Academy Of Taoism And Culture, 49,

211-242. https://DOI.org/10.38113/jstc.2018.11.49.211

Kang, S. M., (2010).

From the modern era of the Japanese military to the 夫度度度

. Chongsh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Theology.

Kawauso., (2020, June 17). Why is it so popular during the Warring States period? The reason why the audience rating is high even in taiga dramas.

First Three Kingdoms.

https://hajimete-sangokushi.com/2020/06/17/sengokuninki/

Kwon, H. J., (2018). A View of Kami in Sento Tihirono Kamigakusi by Hayao Miyazaki.

The Japanese Education Association Of Korea, 86

, 149-169.

http://dx.doi.org/10.26591/jpedu.2018..86.011

Kim, G. I. (2016, March 16). Inuyasha, Takahashi Lumiko.

World Cartoon Power outage.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80373&cid=59065&categoryId=59072

Kim, H. W., (2018, October 13). [Kim Hyung-won's Odeok Story] Takahashi Lumiko, a cartoonist based on the criteria of Japanese Miso Girl characters.

It Chosun.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0/13/2018101300025.html

Kim, J. H., (2016). The Curse and Onmyoji in the Middle of Heian Times -Previous History of Modern Onmyoji Boom-. 

The Center for Japanese Studies, 47

, 77-96.

Kim, Y. H., (2004, December 21). Inuyasha Named Best Animation of the Year.

Money Today Star News.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108&aid=0000004422

Lee, B. L., (2017). A Study on Korean Shamanistic Beliefs and Japanese Shinto -Based on Shiba Ryotaro's Shamanistic Idea-, 

The Japanese Culture Association Of Korea (Jcak), 75

, 337-355.

https://DOI.org/10.21481/jbunka..75.201711.337

Lee, C. R., & Lee, Y. S., (2013). The study of the Korean Traditional Hybrid Character Shape; for Jangseung and Dokkaebi.

 Korean Society of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31

, 1-27.

https://DOI.org/10.7230/KOSCAS.2013.31.001

Mononoke. (2021, June 5). In

Wikipedia.

https://ko.wikipedia.org/wiki/%EC%9B%90%EB%A0%B9 Moon, I. S., (2019). The Study of Shamanistic Cultures Through the Deers in Japan.

The Institute

for Japanese Studies Dongguk University, 48

, 189-220.

http://dx.doi.org/10.21442/djs.2019.48.08

One spirit and four souls. (2021, June 5). In

Wikipedia.

https://ja.wikipedia.org/wiki/%E4%B8%80%E9%9C%8A%E5%9B%9B%E9%AD%82 Park, G. T. (2017).

History and Faith of Japanese Shrines

. Youkrack Books

Sengoku period. (2021, June 5). In

Wikipedia.

https://ko.wikipedia.org/wiki/%EC%84%BC%EA%B3%A0%EC%BF%A0_%EC%8B%9C%EB%8C%80 She, Q. L., & Choi, D. H., (2021). The Study of Language Worship in Japanese Animation -

Focused on TV Animation <Natsume's Book of Friends>.

Korean Society of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62

, 259-297.

Takahashi R. (2010).

Inuyasha 1-56 completed

. Haksan Publishing co.,Ltd.

Toshio, K. (2006).

Genealogy of the theory of the gods

. Hozokan

참조

관련 문서

&lt;표 8&gt;에 의하면 댄스스포츠 참가유무에 따른 결혼만족의 4가지 하위변인 중 애정적인 부부관계,결혼생활에 대한 적응,권위적인 부부관계에서 유의한

정서․행동문제의 11개 하위척도별로 정상집단과 임상집단에 따라 형제관 계의 갈등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검정을 실시한 결과는 &lt;표 Ⅳ

본 연구는 공적개발원조를 양자간 원조와 다자간 원조로 세 분화하고 금융시장의 발전에 따른 원조의 효과를 경제 성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으로 구분하여 실증적으로 살펴본

연구를 위해 NCI-CTC version 3.0 에 따라 환자들이 카보플라틴을 투여 받은 후 발생되는 부작용을 분류하였다. NCI-CTC에 따르면 항암치료 후 나타나는

자료형태 &lt;physicalDescription&gt;&lt;form&gt; 필수 디지털 품질 &lt;physicalDescription&gt;&lt;reformattingQuality&gt; 필수

프로그램 적 용 후 학생들은 &lt;안다&gt;는 것은 &lt;행동함&gt;과 연결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하나의 문제를 해 결하기 위해 다양한 과목과 역량이 필요하다는

이에 본 논문은 뮤지컬에 있어서 무용의 극적 기능을 살펴보고,무용의 형태와 특성을 분석,고찰하여 대중성을 지향하는 공연예술인 뮤지컬 속에 서 무용이 가질 수

따라서 본 연구는 체육수업 모형으로 핸드볼 종목을 적용하여 실제 핸드볼 경기 시에 나타나는 운동강도와 운동량에 대해서 알아보고 이를 통해 학생들에게 신체 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