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촉매반응을 이용한 수소정제기술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촉매반응을 이용한 수소정제기술"

Copied!
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서론

지난 수십년간 화석연료에 집중된 에너지 생산 구조로 인하여 인류는 온실가스 배출에 의한 지구 온난화와 기후변화의 가속화, 미세먼지 과다 배출 에 의한 대기오염, 에너지 자원의 지역 편중과 수 급 불안 등과 같은 여러 문제점에 직면하고 있으 며, 이에 따라 지속적이고 친환경적인 미래 에너지 원인 수소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수 소에너지는 화석에너지원과 같이 지역 편중적인 자원이 아니며 적절한 기술 확보 수준에 따라 세계 어디서든 생산이 가능하고, 특히, 재생에너지와 연 계된 수전해 기반의 수소생산기술의 경우 친환경 적이고 지속가능한 수소에너지(소위 그린수소)로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 수전해 기술 이 다시 조명을 받고 있으며, 특히, 재생에너지 연 계 운전이 가능한 여러 모델의 수전해 기술 개발 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재생에너지 연계형 수 전해 시스템은 본질적으로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에 기인한 성능과 안전성에 취약점이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2019년 강릉 산업단지 수소저장탱크 폭

발사고를 들 수가 있는데, 해당 사고는 신재생에너 지원을 이용하여 수전해 설비를 통해 수소를 생산 하는 공정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낮은 부하의 전력 이 공급되는 조건에서의 분리막 가스 교차현상, 가 스 센서 측정 시간 지연, 수소 내 산소 농도를 제한 범위 이하로 통제하기 위한 2차적 장치, 예컨대 산 소제거 촉매반응장치, 등과 같은 기술의 부재로 발 생하였기에 재생에너지 연계형 수전해 시스템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술 개발 이 필히 수반되어야 한다. 특히, 수소탱크의 폭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수소 내 산소 농도가 폭 발 한계 농도인 4% 이하로 항상 유지되어야 하며 [1], 생산된 수소가 에너지원으로써 다양한 연료전 지 시스템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수소 내 산소, 질 소,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탄화수소 등의 각종 불순물의 농도가 국제표준화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에서 정 하는 수치를 만족하여야 한다(표 1). 예컨대, 산소 의 경우 차량용 연료전지의 동력원으로 쓰이는 경 우(Types Ⅰ & Ⅱ Grade D)에는 5 ppm이하를 만 족하여야 하고, 그 외 전자기기 연료전지의 동력원

촉매반응을 이용한 수소정제기술

김성탁

충남대학교 응용화학공학과 sunnykim@cnu.ac.kr

2006 숭실대학교 환경화학공학과 공학사

2015 Univ. South Carolina,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Ph.D.

2017 한국화학연구원, 탄소자원화연구소, 박사후연구원 2019 고등기술연구원, 에너지환경연구팀, 선임연구원 현 재 충남대학교 응용화학공학과 조교수

(2)

으로 쓰이는 경우에는 200 ppm 이하로 그 농도를 유지하여야 한다.

수소 정제를 위한 기술로는 온도 혹은 압력 변동흡착(temperature or pressure swing adsorption)법을 포함하는 흡착방식, 극저 온 분리(cryogenic separation)방식, 고분자 (polymer), 팔라듐(palladium) 혹은 다른 유기 물질을 이용한 멤브레인(membrane) 분리 방법, 금속 수소화물(metal hydride), 고체고분자전극

(solid polymer electropyte cell), 촉매적 정제 (catalytic purification)을 이용한 분리 기술이 대 표적인 기술로 제시되고 있다(Fig. 1). 흡착방식은 온도나 압력의 변동 조건에서 흡착제를 사용하여 가스 스트림 내의 불순물을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방식이며, 극저온 분리법은 온도에 따른 물질의 응 축 성질을 이용하고, 금속, 유기물질 및 고분자 막 을 모두 포함하는 막분리는 각 물질의 막 투과도 차이를 이용한 분리 방식이다. 이러한 분리 방식은

표1. ISO 14687-2 and ISO 14687-3 규격에 따른 수소연료의 순도 Component

Maximum impurity amount fraction (in μmol mol-1 unless stated) Types Ⅰ & Ⅱ Grade

D Type Ⅰ Grade E

category 1 Type Ⅰ Grade E

category 2 Type Ⅰ Grade E category 3

Water 5 See note (a) See note (a) See note (a)

Total hydrocarbonsa 2 10 2 2

Oxygen 5 200 200 50

Helium 300 500,000c 500,000c 1000d

Nitrogen 100b 500,000c 500,000c 1000d

Argon 100b 500,000c 500,000c 1000d

Carbon dioxide 2 See note (b) See note (b) 2

Carbon monoxide 0.2 10 10 0.2

Total Sulphur compounds 0.004 0.004 0.004 0.004

Formaldehyde 0.01 3 0.01 0.01

Formic acid 0.2 10 0.2 0.2

Ammonia 0.1 0.1 0.1 0.1

Total halogenated compounds 0.05 0.05 0.05 0.05

Particulate concentration 1 mg kg-1 1 mg kg-1 1 mg kg-1 1 mg kg-1

Fuel quality requirements specified by ISO 14687-2 (Types Ⅰ & Ⅱ Grade D) and ISO 14687-3 (Type Ⅰ Grade E). the grades of hydrogen relate to :

- Type Ⅰ Grade D: Gaseous hydrogen fuel for PEM fuel cell road vehicle systems.

- Type Ⅱ Grade D: Liquid hydrogen fuel for PEM fuel cell road vehicle systems.

- Type Ⅰ Grade E Category 1: Gaseous hydrogen fuel for PEM fuel cell applications for stationary appliance systems (for high efficiency applications: 50% minimum hydrogen).

- Type Ⅰ Grade E Category 2: Gaseous hydrogen fuel for PEM fuel cell applications for stationary appliance systems (for high load applications: 50% minimum hydrogen).

- Type Ⅰ Grade E Category 3: Gaseous hydrogen fuel for PEM fuel cell applications for stationary appliance systems (for high fuel index hydrogen application: 99.9% minimum hydrogen).

Note (a): specified as non-condensing at ambient conditions.

Note (b): specified as ‘included in total non-hydrogen gases’ which must be a maximum of 50% mol mol-1.

a the specification for total hydrocarbons is stated as a methane basis.

b Total nitrogen and argon must not exceed 100 μmol mol-1 (total non-hydrogen gas must not exceed 300 mol mol-1).

c Total helium, nitrogen and argon must not exceed 500,000 μmol mol-1.

d Total helium, nitrogen and argon must not exceed 1000 μmol mol-1.

(3)

물리적 수소 정제 기술이며 제거 대상 물질이 산소 에 국한되지 않고 H2O, CO, CO2, N2 등의 불순물 을 포괄적으로 포함한다. 반면, 수소와 메탈의 가 역적 반응을 통한 메탈하이드라이드로의 변환이 나 촉매적 정제는 화학적 수소 정제 기술로 분류되 며, 특히 수소와 산소의 재결합 반응을 이용한 촉 매적 정제는 산소만을 선택적으로 이론상 0에 가 깝게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이다. 특히, 전체 수전해 시스템의 안정성 확보와 안정적인 수소 품질유지 의 측면에서 수소-산소 결합반응을 이용한 촉매적 정제 기술 개발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인데, 그 이유 촉매적 정제 기술은 다른 기술 들과는 달리 외부의 요인(ex. 부하변동 및 압력변 화)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수소 내 산 소를 제거할 수 있는 기술로 고안전성 수소생산공 정의 상용화를 위해서 필수적인 기술이기 때문이 다. 따라서, 본 칼럼에서는 수소와 산소의 재결합 반응을 이용한 촉매적 수소 정제 기술의 발전과 산 소제거촉매(deoxo-catalyst)의 사례에 대해 소개 하고자 한다.

본론

1934년 Chapman 과 Gregory가 Pd 촉매를 이 용하여 수소와 산소의 재결합 반응을 보고하였고 [2], 수전해 기술과 마찬가지로 처음 발표된 이후 한 세기 가까이의 시간이 지났다. 수소와 산소의 재결합 반응은 수전해의 반대되는 반응으로 식 1과 같이 표현되는 강한 발열 반응이며 촉매 반응이다.

촉매의 선택에 따라 외부로부터의 전력공급 없이 도 상온 상업 조건에서 이론적으로 수소 스트림 내 산소의 농도를 0%에 가깝게 유지할 수 있으며, 반 응식에서 알 수 있듯이 생성물로 물이 생성되기 때 문에 추가적인 응축 & 건조 시스템이 필요하다.

1/2O2 + H2 → H2O ΔH = -242 kJ/mol (1) 촉매적 정제 기술을 포함하여 2가지 이상의 수 소 정제 방식이 적용된 수전해 시스템은 여러 차례 보고된 바 있다. Pyle은 산소제거 촉매 장치가 탑 재된 태양 발전 연계 수전해 시스템, 소위 solar- hydrogen을 보고 하였다 [3]. 최근 스위스의 Ligen 연구팀은 가스 분리기, 산소제거 촉매 장치,

그림 1. 수소정제 기술의 분류.

(4)

압력변동흡착 장치를 갖춘 50 kW 급 알칼라인 수 전해 시스템을 실증하였다 [4]. 해당 알칼라인 수전 해 시스템에서 산소제거 촉매 장치(그림 2)에서 생 산된 수소 스트림 내 산소 농도는 4 ppm 수준으로 일정하게 유지되었고, 상온 & 상업에서 운전이 개 시 되었으나 발열 반응 특성에 기인하여 촉매층 온 도는 50~55 ℃ 사이에서 유지된 것으로 보고되었 다. 수소와 산소의 재결합 반응을 이용한 가스 정 제 시스템은 수전해 시스템 뿐만 아니라 원자력 발 전 분야에서 원자로 내 발생되는 수소를 제거하기 위해 이용되고 있으며, 후쿠시마 원전 폭발사고 이 후로 매우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5, 6].

수소와 산소의 결합반응에 높은 활성을 가지는 촉매 물질은 Pd 와 Pt 금속이며, 이에 따라 상업용

혹은 연구용으로 제조되는 촉매 조성 또한 이 두 금속을 기본으로 한다. Pd 표면에서 H2 분자의 해 리흡착은 활성화에너지 장벽이 거의 또는 전혀 없 는 상태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Pd는 실온과 대기 압에서 많은 양의 수소를 흡수하여 수소화팔라듐 (PdHx)을 형성한다 [7]. Pt 또한 수소 친화력이 매 우 높기 때문에 Pd 와 Pt 메탈을 주요 촉매 물질로 활용하면 99.999% 이상의 높은 순도의 수소 얻을 수 있다[8]. 뿐만 아니라 Pd 와 Pt 는 산소에 대한 친화력이 매우 강하며, 때문에 수소와 산소 기체 분자들은 낮은 온도에서 dissociation 에 의한 이 온화가 진행되고, 아래의 식 (2) ~ (4) 에 나타난 바 와 같이 메탈 표면에 화학흡착 된 각각의 이온들이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물을 형성한다 [9, 10].

그림 2. 50kW 급 알칼리 전해조의 단순화된 정제 흐름도와 탈산소 반응기의 사진 및 적외선 이미지 [4].

(5)

Oads + Hads = OHads (2) OHads + Hads = H2Oads (→ H2O gas) (3) H2Oads + Oads = 2 OHads (4) 식에서 알 수 있듯이 물은 반응 중 필연적으로 발생하며, 표면에 흡착된 물 분자가 반응에 다시 참여하여 중간체를 형성하므로 전체 반응에서 중 요한 요소가 된다. 하지만 반응 중 과도하게 생성 된 물 분자들이 수막을 형성하여 금속 입자 전체 를 덮어 촉매의 비활성화를 초래하기도 한다 (그림 3(A)). 반응 자체의 강한 발열 특성 때문에 때때로 활성 금속입자 표면에서 700 ℃ 이상의 hot spot 생성에 의한 auto ignition & local explosion (그림 3(B))이 발생하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Pd

는 300 ℃ 미만의 온도에서 수소와 반응하여 취화 (embrittlement)되기 쉬우며[11], Pd 와 Pt 모두 탄소화합물에 의한 비활성화[12, 13] 및 황 화합물 에 의한 비가역적인 중독(poisoning)[14-16]으로 인한 촉매 비활성화가 발생하기 때문에 다른 금속 을 첨가하여 수소 산소 재결합반응에서의 Pd와 Pt 의 촉매적 특성은 유지 또는 높이면서 물분자의 과 도한 흡착 억제, 발화 억제 및 취화에 대한 내성을 부여하는 형태로 촉매 개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 고 있다.

특히, Pt 혹은 Pd 계열 촉매의 수소-산소 재결합 반응은 상온에서 진행될 수 있다. 그 예로 실온조건 Pt-Pd/TiO2 촉매에서 Pt-Pd 복합조성의 촉매의 반응 성이 보고되었다[8]. 0.1%Pt-0.9%Pd/TiO2

촉매의 경우 0.5% 수소 주입 조건에서 90%의 높 은 수소 전환율을 얻었고, 수소의 농도가 증가할수 록 전환율은 점점 높아져 1% 수소 주입 조건에서 거의 100%의 수소 전환율을 얻었다. 촉매의 활성 과 특성 사이의 상관관계를 위해 분석결과 Pt는 활 성금속(Pt-Pd)에 높은 분산도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표면 Pd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수소 활성도 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Pd의 원자가 상태 가 촉매의 수소 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 였다. Pd0/PdTotal의 비율은 reduction 온도에 따라 45.21(300 ℃) < 56.67(400 ℃) < 68.53(500 ℃) <

79.52(600 ℃) 로 증가하였으며, Pd0/PdTotal이 증

그림 3. H2-O2 재결합 반응 중 Pd 금속 표면에서 형성되는 수분 및 발화.

그림 4. (왼쪽) Pt-Pd/TiO2 촉매에 대한 Pt/Pd 비율의 영향. (오른쪽) 0.1%Pt-0.9%Pd/TiO2 촉매의 환원 온도가 반응에 미치는 영향 [8].

(6)

가함에 따라 낮은 수소 농도에서의 촉매활성도가 증가하였음을 보여주고있다 (그림 4).

결론

수소 정제 기술방식은 멤브레인 분리법, 압력 변동흡착법, 메탈하이드라이드, 극저온분리, 촉매 적 정제법 등 여러 방식이 있다. 특히 차량용 연료 전지에 사용되는 수소의 국제 규격(5 ppm 이하) 을 달성하고 수전해 기술을 이용한 수소 생산 시스 템에는 최소한 2가지 종류 이상의 수소 정제 방식 의 조합이 필요하다. 특히, 재생에너지와 연계되어 운전되는 수전해 시스템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안정적인 산소 제거 장치로 주목받고 있는 수소와 산소의 재결합 반응을 이용하는 촉매적 수소 정제 기술 및 대표적인 사례에 관해 간단히 살펴보았다.

해당 기술 분야에 대해서는 촉매활성도 및 촉매 안 정성의 개선이 있었지만 2000년대 이후 촉매적 산 소 정제 및 관련 촉매 개발은 대부분 원자력발전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분야에서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제는 재생에너지와 연계된 수전해 시스템과 그린 수소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관련 조 건에서의 촉매적 정제 기술과 촉매 개발, 그리고 실증화 연계 기술이 함께 개발되어져야 한다.

참고문헌

[1] V. Schröder, B. Emonts, H. Janûen and H.-P. Schulze, Chem. Eng. Technol., 2004, 27, 847-851.

[2] D. L. Chapman and G. Gregory, Proc. R. Soc. A, 1934, 147, 68-75.

[3] W. Pyle, Home Power, 1998.

[4] Y. Ligen, H. Vrubel and H. Gira, Int. J. Hydrogen Energy, 2020, 45, 10639-10647.

[5] FrédéricPayot, E.-A. Reinecke, F. Morfin, J.-C.

Sabroux, N. Meynet, A. Bentaib, P. March and R. Zeye, Nucl. Eng. Des., 2012, 248, 178-196.

[6] K. R. Kim, S. W. Paek and H. J. Choi, J. Ind. Eng.

Chem., 2001, 7, 116-120.

[7] B. D. Adams and A. Chen, Mater. Today., 2011, 14, 282-289.

[8] G. J. Kim, J. H. Shin and S. C. Hong, Int. J. Hydrogen Energy, 2020, 45, 17276-17286.

[9] S. Volkening, K. Bedurftig, K. Jacobi, J. Wintterlin and G. Ertl, Phys. Rev. Lett., 1999, 83, 2672-2675.

[10] O. Deutschmann, R. Schmidt, F. Behrendt and J.

Warnatz, twenty-sixth symposium (International) on combustion, 1996, 1747-1754.

[11] F. Di Pascasio, D. Gozzi, B. Panella and C. Trionfetti, Intermetallics, 2003, 11, 1345-1354.

[12] S. N. Paglieri, K. Y. Foo, J. D. Way, J. P. Collins and D. L. Harper-Nixon, Ind. Eng. Chem. Res., 1999, 38, 1925-1936.

[13] H. Amandusson, L. G. Ekedahl and H. Dannetun, Appl. Surf. Sci., 2000, 153, 259-267.

[14] A. Kulprathipanja, G. O. Alptekin, J. L. Falconer and J.

D. Way, J. Membr. Sci., 2005, 254, 49-62.

[15] A. Li, W. Liang and R. Hughes, J. Membr. Sci., 2000, 165, 135-141.

[16] M. Kajiwara, S. Uemiya and T. Kojima, Int. J.

Hydrogen Energy, 1999, 24, 839-844.

참조

관련 문서

where, F is a type of fuel for power generation (excluding RE sources and solar photovoltaic), t a given time instance in the plan period, R is a type of renewable

We have recently reported that the PtCo/C alloy catalyst synthesized in the presence of CTAB (hexadecyltrimethylammonium bromide, C 19 H 42 BrN) as a stabilizer exhibited twice

Chemical Micro Process 한 분야로 폭넓은 연구가 이루어지는 부분이 마이크로 구조의 연료 프로세서의 개발이다.. Kolb, Micro Structured Fuel Processors for Energy

This study implements equivalent stiffness using multi-materials for dash parts of the vehicle body to improve fuel economy in accordance with fuel

Crashworthiness of the rotorcraft fuel tank could be guaranteed through the crash impact tests which are specified in the MIL-DTL-27422D.. Fuel tanks for Korea Helicopter

Demand for all types of energy increases in non-OECD countries, while demand for coal &amp; oil declines in the OECD.. China's role in global energy China's role in global energy

Proton Exchange Membrane 혹은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 Direct Methanol Fuel Cell, DMFC

[2] Passalacqua E, Lufrano F, Squadrito G, Patti A, Giorgi L, Influence ofstructure in low-Pt loading electrodes for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s, Electrochim..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