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대체수자원개발 국내외 시장 분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대체수자원개발 국내외 시장 분석"

Copied!
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Water for Future

대체수자원개발 국내외 시장 분석

1. 머리말

기후변화, 글로벌 인구 증가 및 경제규모 확대 로 물·식량·에너지 등의 자원문제가 심화될 전망 이다. 2012년 70억 2천만 명으로 추정되는 세계 인구는 2100년에는 100억 명이 넘어설 전망으로 서 유엔식량농업기구(FAO)는 농업에 필요한 물의 양이 60% 증가해야 추가적인 20억 명에 대한 식 량 문제가 해결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글로벌 미래연구 싱크 탱크인 밀레니엄 프로젝트의 2011 년 미래 보고서에서는 2025년에 세계 인구 절반이 연간 1인당 물 사용량이 1,000m³가 되지 않는 물 부족을 겪을 것으로 예상되어 세계 인구의 40%가 심각한 물 부족 지역에 거주가 예상되는 등 수자 원 확보가 주요 이슈가 될 것으로 전망하였다. 전 세계적으로 급속히 진행된 산업화와 도시화로 물 수요량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반면, 사용할 수 있는 물의 절대 양은 한정되어 있어 세계적으로 물 부족 현상 가속화와 수자원의 지역적 편중에

따른 물 부족 등으로 물 분쟁이 발생할 개연성이 커지고 있다. 인구 1천만 명 이상이 거주하는 메가 시티는 2009년 21개에서 2025년 29개까지 늘어 날 전망이며, 이로 인한 물 소비량의 증가와 깨끗 하고 안전한 물 공급에 대한 필요성은 향후 물 산 업 전반에 다양한 변화를 가져올 수밖에 없다.

물 산업이란 일반적으로 생활과 공업에 필요한 용수를 생산하여 공급하는 산업, 발생된 하수와 폐수를 이송 및 처리하는 산업 및 이와 연관된 산 업을 총칭하는 개념이다. 최근에는 홍수와 가뭄과 같은 전통적인 수자원 영역(치수와 이수)과 수변 생태계와 수질관리, 하천복원 및 하천공간 활용 등의 통합적 물 순환 관리 및 유역종합개발과 활 용 영역 등도 물 산업의 주요 부분으로 부상되고 있다. 2009년 세계은행이 공동 발간한 “Charting Our Water Future” 보고서는 전통적인 상하수도 위주의 물 산업의 정의를 수자원 확보 관점의 새 로운 물 산업으로 확장하여 제시한 바 있다. 물 산 업의 범위가 기후변화 등의 영향으로 물 산업은 유역종합개발, 물 공급 안정성 확보를 위한 대체 수자원 확보 및 개발 등 물 순환 체계 전 과정까지 확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대체수자원이란 전통적으로 수자원을 취수하는 댐 용수 이용, 하천표류수 이용, 지하수의 직접 이 용 등의 방법이 아닌 새로운 개념의 수자원 취수 방식으로 확보되는 모든 수자원을 총칭한다(제주 이 종 석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성과관리실장 jslee@kaia.re.kr

(2)

Water for Future

발전연구원, 2008). 용수 절약, 빗물 이용, 하·폐 수처리, 해수담수화, 해양심층수 등 기존의 전통 적인 취수 방법이 아닌 새로운 개념의 취수 방식 으로 확보한 모든 수자원으로 의미가 확대되고 있 다. 우리나라의 경우 1990년대 후반에 들어 대체 수자원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나, 아 직까지는 이에 대한 명확한 정의없이 보조 수자원 이나 신규 수자원 등의 용어와 혼용하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다만, ‘물의 재이용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상 대체수자원 분야 중 물 재이용은 빗 물, 오수, 하수처리수, 폐수처리수 및 발전소 온배 수를 물 재이용 시설을 이용하여 처리하고, 그 처 리된 물을 생활, 공업, 농업, 조경, 하천 유지 등의 용도로 이용하는 것으로 정의되어 있다.

이 기사에서는 국내외 대체수자원 개발 중에서 해수담수화와 하수재처리수를 중심으로 한 국내 대체수자원과 물 산업의 현황과 전망을 살펴보고 자 한다. 그리고 국내외 기업들의 동향 파악을 통 해 우리나라 물 산업의 발전 방향을 모색할 수 있 을 것으로 기대된다.

2. 국내외 기술개발 동향

최근 전 지구적 기후변화에 따른 가뭄현상 빈발 및 물의 오·남용에 따른 물 순환체계 붕괴 등으로 많은 나라들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체 수자원에 대한 인식이 제고되면서 대체수자원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부족한 수자원을 댐 이나 저수지 등 공급위주의 시설 개발에 의존하기 보다는 환경 친화적이며 안정적으로 용수를 공급 할 수 있는 대체수자원 개발의 필요성은 인정되지 만, 기존의 전통적 취수방식(댐, 상수도 개발 등) 보다 경제성이 낮아 지자체나 민간차원의 대체수 자원개발 이용을 유도하고 제한적으로 개발 이용 되고 있는 대체수자원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 해서는 정책적 차원에서의 지원과 법적 근거 마련

등이 필요하다(건설교통부, 2006).

최근에는 관련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대규모 시 설 구축에 따른 수자원 확보 방안보다는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고 환경적 악영향을 최소화하면서 물 부족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대체수자원 개발 에 대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 그렇지만 현재 강변 여과수, 지하댐, 빗물이용, 해수담수화 등 대체수 자원 개발에 대한 연구는 진행 중이지만, 경제성 확보 및 국내 적용 가능지역의 제한성과 물재이용 의 경우 식수로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2.1 해수담수화 관련 동향

해수담수화 연구개발분야는 수처리 공정, 부품 소재, 담수화 플랜트 시공, 운영 및 유지관리 분 야로 크게 분류되며, 다양한 신 공정의 개발, 효 율 증대를 위한 멤브레인 개발, 그래핀, 나노소재 등의 신소재 개발, 에너지 저감을 위한 신재생에 너지 분야와 융합 및 응용 등이 주요 연구개발 분 야이다. 해수담수화 기술은 안정화 단계에 진입하 였다고 볼 수 있다. 기술 개발 주요 방향은 플랜트 운영에 있어서 에너지 효율 증대, 플럭스 증대, 단 위공정 효율향상 등이다.

담수화 기술의 패러다임 변화로 부품/소재 분 야의 기술력이 중요한 경쟁요소로 등장하고 있으 며, 차세대 담수화 기술은 차별화된 부품 및 솔루 션에 따라 생산성에 큰 차이를 나타낼 것으로 예 상된다. 국내외에서는 에너지 저감을 위한 신재 생에너지 활용 방안, 정삼투(Forward Osmosis), 막증발(Membrane Distillation), 압력지연삼투 (Pressure Retarded Osmosis), 하이브리드 방식 등 신공정 개발, 효율증대를 위한 새로운 멤브레 인 소재 개발 등의 연구가 최근 진행 중이다.

그림1은 해수담수화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정정별 중요도를 정리한 것이다. 해수담수화 관련 분야의 EPC(Engineering, Procurement, Construction) 업체들 사이 시장주도를 위한 기술경쟁은 점점

(3)

Water for Future

더 치열해지고 있으며, O&M (Operation and Maintenance, 운영 및 유지관리) 중요성이 부각 되고 있다. 특히 EPC 분야는 설계 표준화로 인해 기술적 격차가 거의 없어졌으며 가격 경쟁이 심화 되고 있는 상황으로 각 기업들은 장기적이고 안 정적인 수익 확보를 위해 O&M을 포함한 공정 최 적화 분야에 많은 기술력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ICT 기술의 적용과 Data 분석을 통해 역삼투막 등 부품 교체 주기 최적화, 멤브레인 세정기술, 약품 사용량 등 다양한 O&M 분야의 경쟁력 확보를 위 해 노력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국토교통부에서 2006년부터 해 수담수화사업단을 선정하여 유틸리티 분야 성과 및 테스트베드를 구축하여 대형 해수담수화 플랜 트 설계, 시공, 유지관리 기술개발을 지원하고 있 다. 16인치 해수담수화용 역삼투 분리막, 효성굿 스프링스의 해수담수화용 고압 펌프 해외 수출 등 유틸리티 분야 성과를 도출하였으며, 해수담수화 공정을 중심으로 부산 기장군 45,000㎥/일 규모 의 테스트베드 구축하여 실 규모 플랜트 운영 및 유지관리 기술을 축적할 예정이다.

그림 1. 해수담수화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공정별 중요도(한국무역협회, 2014)

2.2 하수 재처리수 관련 동향

하수 처리기술은 재이용의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 공정이 사용된다. 청소용수 등 잡용수로 재이용되는 경우에는 모래여과가 많이 사용되며, 인체 접촉 또 는 생산 공정의 원수공급에는 MF(Microfiltration, 정밀여과), NF(Nanofiltration, 나노여과), RO(Reverse Osmosis, 역삼투) 등과 같은 막여 과를 주로 이용한다. 상업적인 NF/RO 막을 생산

하고 있는 국가는 미국과 일본 등으로 매우 제한 적이며, FilmTec(미국), Hydranautics(미국/일 본), Osmonics(미국), Koch(미국), Trisep(미국), Toray(일본) 등이 세계 분리막(Membrane)1) 시장 을 독점하고 있다. MF와 UF (Ultrafiltration, 한 외여과) 분리막 제조업체로는 Aquasource(프랑 스), Memcor (호주), Zenon(캐나다), Toray(일본), Asahi Kasei(일본) 등이 있다.

국내의 경우 환경부에서 2004년부터 Eco- 1) 분리막은 물은 통과시키지만 부유고형물 등은 통과하지 못하게 하는 여과 역할을 하는 고분자 막이다.

(4)

Water for Future

STAR 프로젝트를 통해 막 특성, 파울링 방지, 에 너지 소비 최소화 등을 고려한 하수처리용 막 분 리 핵심 공정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웅진케미컬 의 Polyamide계 NF/RO 막 개발 성공으로 세계 세번째로 NF/RO 막 기술보유국이 되었으나, 세 계 시장에서의 인지도는 낮은 편이다.

3. 국내외 시장 현황 및 전망 3.1 대체수자원의 현황 및 전망

기후변화, 물 부족 등 전 지구적인 문제로 인해 세계 물 시장은 연 평균 4.9%씩 증가하여 2025년 에는 8,650억$2)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도시화의

진전, 인구 밀집형 메가시티(Mega City)의 부상 으로 대체수자원 시장은 빠르게 성장할 전망이며, 활용 또한 향후 예상되는 물 수요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꾸준히 증가 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표 1은 세계 물 시장 전 망을 정리한 것이다, 해수담수화 중심의 대체수자 원 시장은 2007년 대비 3배 이상으로 시장규모가 확대되고, 물 시장에서 비중도 2배 이상 증대될 전 망이며 연평균 시장 증가율 18.4%로 전체 물 시장 평균을 크게 상회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수 재이 용 분야는 2007년 0.1백억$에서 2025년 2.1백억$

로 21배 성장할 전망이며 연평균 증가율은 18.4%

로 예상되어 물 시장에서 가장 급성장할 분야로 부각되고 있다.

2) 2010년 세계 물 시장 규모는 4,800억$로 반도체(2,800억 $), 조선(2,500억$) 시장대비 2배 이상 표 1. 세계 용수이용별 물 시장(규모와 비중) 전망(기획재정부, 2012)

구분 2007년 2025년 연평균

증가율(%)

규모(억$) 비중(%) 규모(억$) 비중(%)

세계물시장 3,620 100 8,650 100 4.9

상수 1,720 48.5 3,880 44.9 4.6

하수 1,530 42.3 3,550 41.0 4.8

공업용수/하폐수 240 6.6 570 6.6 4.9

물재이용 10 0.3 210 2.4 18.4

해수담수화 120 3.3 440 5.1 7.5

가치사슬별 물 산업 규모를 살펴보면 2025년 총 8,650억 달러 중 제조·건설과 운영·관리 부 문이 각각 4,850억 달러, 3,800억 달러로 예측되 어 제조·건설 부문의 급격한 시장 확대가 예상되 고 있다. 특히, 해수담수화 분야는 2007년 운영/

관리 부분이 0.7백억$에서 2025년 3.4백억$로 약 500% 정도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세계 물 시장 에서 물 재이용 분야는 2007년 대비 2025년에는 제조/건설 부분이 2,100%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 망되고 있다(표 2 참조).

(5)

Water for Future

3.2 해수담수화의 현황 및 전망

해외 담수화 시장은 연평균 15% 정도로 급속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2030년에는 해수담수화 총 생산용량은 단위붙이 200백만m³/일이며, 연간 계약용량은 10백만m³/일 정도가 될 것으로 예상된 다(그림 2 참조). 증발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에너 지 소비가 낮은 역삼투 방식이 1995년 이후 담수 화 시장의 지배적 기술로 등장하였으며, 역삼투법

은 향후 전체 해수담수화 플랜트 시장에서 약 33 조원 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그림 3 참 조). 주요 국가별 담수화 시장 규모는 중동지역이 가장 큰 시장으로 사우디아라비아가 세계 1위의 해 수담수화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미국을 중심 으로 한 북미지역 또한 역삼투법을 중심으로 점차 시장이 확대되고 있으며, 물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 고 있는 중국 등 신흥 개발국 시장도 급성장 추세 이다.

표 2. 물 산업 가치사슬별 세계 물 시장 전망(녹색성장위원회, 2012)

구분 2007년 2025년

규모 제조/건설 운영/관리 규모 제조/건설 운영/관리

세계물시장 3,620 1,690 1,930 8,650 4,850 3,800

상수 1,720 660 1,060 3,880 1,901 1,980

하수 1,530 750 780 3,550 2,110 1,440

공업용수/하폐수 240 220 20 570 530 40

물재이용 10 10 - 210 210 -

해수담수화 120 50 70 440 100 340

그림 3. 2030년까지 담수화 시장 예측 (출처: GWI 2016)

(6)

Water for Future

국내 해수담수화 시설은 1980년 후반 공업용수 공급을 위해 중ㆍ소규모의 담수화시설 도입 이후 연안ㆍ도서지역 생활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소규모 시설이 운영3)되고 있다. 석유화학단지 등의 산업 시설에서 공업용수로서 해수담수화 시설을 사용하 는 규모는 총 137,420m³/일 규모이며, 대표적 담 수화 시설로는 포스코 광양제철소(30,000m³/일), 부산시 기장군(45,000㎥/일) 등이 있다. 우리나라 해수담수화 플랜트 수출은 지난 30년간 9배 이상 증가하였고, 두산, 웅진, 효성 등이 이미 해외에 진출해 있으며, 신규 사업진출을 위한 인수합병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3.3 하수재처리수의 현황 및 전망

전 세계 하수재처리수 이용량은 연간 하수처리수 의 약 5% 정도인 71억톤(세계 물 수요량의 0.18%) 정도이며, 이용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하 수재처리수 시장의 성장률은 급격한 산업화가 진행 중인 중국이 연간 29%로 가장 높고 그 뒤를 이어 미국과 중동/아프리카의 순서이다(Global Water Intelligence, 2010). 이 보고서에 따르면 2009년부 터 2016년까지 하수재처리수 최대 시장은 미국, 중 국, 사우디아라비아, 호주, 스페인 등이 될 것이며, 미국의 하수재처리수 시장 규모는 약 100억$에 달 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그림4 참조).

그림 3 해수담수화 플랜트 시장 규모(박광서, 2011)

그림 4. 세계 하수재처리수 시장 성장 전망(출처: GWI, 2010)

3) 도서지역 식수해결을 위한 해수담수화 시설은 2012년 기준으로 전국 101개소에 8천㎥/일 규모임

(7)

Water for Future

국내 하수재이용에 대한 활성화는 2001년 하수 도법 개정으로 공공하수처리시설에 방류되는 처리 수의 재이용계획 및 재이용시설의 설치에 관한 사 항이 포함되면서 시작되었다. 2014년 말 전국 597 개 공공하수처리시설(500m³/일 이상) 중 564개 공공하수처리시설에서 처리수를 재이용하고 있으 며, 연평균 하수처리량 6,998백만m³/년 중 13.5%

인 942백만 톤/년을 재이용하고 있다. 그림 5는 공공하수 처리수의 이용현황을 나타낸 것이다. 전 체 하수처리수 재이용수 중 처리장 장외용수의 용 도 변화를 살펴보면 하천유지용수가 가장 많이 사 용되고 있으며 기타 용수, 농업용수, 공업용수의 순서이다(국가하수도정보시스템, http://www.

hasudoinfo.or.kr).

그림 5. 공공하수처리수의 이용 현황(출처: 하수도종합정보관리시스템)

환경부는 ‘물 재이용 기본계획(2011~2020)’에 서 향후 하수처리수 재이용사업 확대 추진 및 수 요처 확보를 통해 하수처리수 사용량 (장외)연간 1,576백만m³까지 증대할 것을 목표로 제시하고 있다. 또한 물 재이용 산업육성을 위한 정부 지원 을 통해 10조 2,700억 원 규모의 국내시장 창출 및 해외진출 기반 확립 계획을 수립하였다.

4. 국내외 주요기업 동향

4.1 국내 기업 동향

국내 수처리 플랜트사업에 경쟁력을 갖춘 대기 업들은 계열사들을 통해 소재 개발·공급·시공·

운영까지 수직계열화하면서 시너지 창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코오롱은 코오롱FM(소재), 코오

롱생명과학(수처리제), 코오롱 환경서비스, 코오 롱인더스트리(멤브레인), 코오롱건설(수처리 설비 건설) 등 자회사를 통해 물 산업 관련 소재·시공·

운영 등 수처리 통합 솔루션을 구축하였다. 삼성 엔지니어링은 하·폐수, 정수 처리사업에서 초순 수, 해수담수화사업까지 확대하고 있다.

핵심기술을 보유한 국외기업의 인수합병을 통 한 시장 진출 경쟁력 확보에도 노력하고 있다. GS 건설은 역삼투압방식 담수플랜트 세계 10위권의 업체로 담수 시설뿐 아니라 슬러지 건조분야에서 세계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스페인의 이니 마(Inima OHL)를 인수하여 해외시장 공략에 박 차를 가하고 있으며, 두산중공업은 2005년 미국 AES사의 수처리 부문을 인수한 후, 2008년 미국 최대 수처리 엔지니어링 업체인 카를로(Carollo) 와 기술협약을 체결하여 수처리 사업 진출기반 구 4) 한국수출입은행(2014), “국내 물산업의 해외진출 전략”을 정리한 내용이다.

(8)

Water for Future

축하였다.

기존 소재·화학 전문기업들 역시 고부가가치의 수처리 소재 사업에 새로 뛰어들거나 공격적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제일모직은 의왕 연구개발 (R&D)센터에 분리막 파일럿 생산설비를 구축함 으로써 소재 사업에 진출하였으며, 웅진그룹은 웅 진코웨이(오폐수처리 엔지니어링 시스템)를 비롯 해 웅진케미칼(필터), 극동건설(수처리 설비건설), 그린엔텍(수처리 엔지니어링) 중심으로 물 산업을 진행하고 있다.

두산중공업은 해수담수화 분야 세계 2위의 EPC 업체로서 설계/시공기술 은 세계적 수준이나, O&M 기술 부족으로 선진국과는 3~5년 내외의 기술 격차를 보이고 있다. 포스코 건설은 2014년 에 국내 최초로 발전소에서 발생하는 온배수를 재 이용하는 30,000m³/일 규모의 해수담수화 시설 을 광양에 구축·운용 중이며, 중형 규모의 플랜 트 설계 및 시공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한국수자 원공사는 국내 도서 지역 소규모 해수담수화 플랜 트 시공 및 운영 경험을 다수 보유하고 있다.

4.2 국외 기업 동향

물 산업 분야에서 대표적인 국외 기업으로는 Veolia(프랑스), Suez Environment(프랑스), IDE Technologies(이스라엘), Abengoa(스페 인), Hyflux(싱가포르) 등이 있다. Veolia(프랑 스)는 세계 1위의 물 기업으로 지하수, 지표수, 기 수, 해수, 하폐수 등 모든 물 관련 Total Solution 을 제공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세계 담수 화 플랜트 시장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Suez Environment(프랑스)는 담수화플랜트 및 물 재 이용 시장에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으며, 2006년 스페인의 200천㎥/일 규모의 역삼투압 공 정 해수담수화 플랜트를 수주하고, 2008년에는 스페인의 대표적 물기업인 Agbar를 인수하는 등 시장을 넓히고 있다. IDE Technologies(이스라엘)

는 이스라엘의 한정된 수자원을 해결하기 위해 오 래전부터 담수화에 주력하여 세계 최고 수준의 역 삼투압 방식 담수화 기술 보유기업으로 성장하였 다. Abengoa(스페인)는 자국 내 실적을 토대로 전 세계 담수화 플랜트 분야에서 12번째 큰 공급자로 서 성장하였으며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최근 해 수담수화 수주 시장에서 급부상하였다. Hyflux(싱 가포르)는 다양한 막 여과 제품을 제조하면서 싱 가포르 최대 역삼투 방식 해수담수화 플랜트인 SingSpring 담수화 플랜트를 20년 운영조건으 로 수주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중국 Tianjin Dagang에 산업용수를 공급하는 막 기반 해수담 수화 플랜트를 수주하였다.

역삼투 방식 해수담수화 부품 소재의 핵심 인 멤브레인은 각 제조사 별로 염제거율 향 상, 막여과 투과율 상승을 위한 기술개발을 진 행 중 이며, 대표적 역삼투막 제조 기업으로는 Dow, Hydranautics, Toray 3개 사 있다. Dow Chemical은 안정성 있는 역삼투 분리막을 생산 하고 있는 업체로서 시장 점유율이 약 40%에 달 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멤브레인 공급 회사이다.

Hydranautics는 분리막 제조 기업으로서 기수용 역삼투막과 PRO (Pressure Retarded Osmosis) 분리막에 강점을 가지고 있다. Toray사는 염 제거 율이 높은 막 제조기술 보유하고 있으며, 시장점 유율은 크지는 않지만 높은 기술경쟁력을 가진 기 업이다.

5. 맺음말

최근 빈발하는 전국적 규모의 대가뭄으로 인해 새로운 대체수자원 확보와 수자원의 효율적 이용 은 그 어느 때 보다도 중요한 사회적 이슈로 대두 되고 있다. 여기서는 해수담수화와 하수재처리수 를 중심으로 한 물 산업(대체수자원)의 국내외 시 장 현황과 관련 기술 동향에 대해 검토하였고, 물

(9)

Water for Future

산업 관련 국내 기업들의 동향파악을 통해 우리나 라 물 산업이 발전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세계 물 시장 규모는 매우 높은 성장이 예상됨 에도 불구하고 물 산업은 국가의 기간산업이라는 특수성으로 인해 정부의 심한 규제로 인한 타 산 업대비 민간 기업들의 진입 장벽이 높은 산업5)임 을 명심해야 한다. 이에 국내 기업들이 세계 물 시 장에 성공적으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기술적 우위 뿐 아니라, 국가별 다양한 제도 및 규제, 기간산 업으로써의 정부와의 관계 등에 대한 높은 이해도

및 진입분야에 전략적 연구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물 산업의 핵심 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부품·소재의 맞춤형 제작 및 조달 기술, 개념 및 기초 설계 엔지니어링 역량, 운영 및 관 리 노하우, 네트워킹 및 자본 조달능력 등이 필요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위해 국내 물 산업 시장 에서 소규모·분리 운영으로 인한 비효율을 해소 하고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여 국내 물 산업의 시장 경쟁력을 높이는 전략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5) 2013년 세계 물 시장 5,560억 달러 중 민간 물 기업들이 접근 가능한 시장 규모는 1,860억 달러로 전 세계 물 시장의 30%에 불과하며, 타 산업 대비 복잡한 산업 특성으로 인해 시장실패율이 29%에 달해 시장실패율이 높음

건설교통부(2006). 대체수자원 확보에 관한 연구.

제주발전연구원(2008). 기후변화에 대비한 대체수원 활성화 방안.

한국무역협회(2011). 국내 물산업의 해외진출 동향 및 확대방안.

기획재정부 (2012). 물의 세계적 중요성 및 시사점.

녹색성장위원회 (2012). 물 산업 육성 및 해외수출 활성화 방안 이행점검 결과 및 향후 대책.

박광서(2011). “물 부족과 해수담수화 산업의 미래.” 해양산업 동향, 제33호, pp. 1~5.

참고문헌

참조

관련 문서

식품산업의 국민경제 파급효과 및 연계구조 분석 식품산업진흥 및 식품산업과 농어업 간의 연계 정보분석 국내외 식품산업 및 식품소비 동향과 트렌드 정보 국내외

당사는 산업에 대해 향후 1년간 해당 업종의 수익률이 과거 수익률에 비해 양호한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 Positive(긍정적) 의견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향후 1년간 수익률이 과거 수익률과 유사한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 Neutral(중립적) 의견을, 과거 수익률보다 부진한 흐름을 보일

또한 국내 유관기관 및 언론에 제공하고 있으며, 국내 기상 산업을 위하여 한국기상산업기술원 으로 매일 실시간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기상청의

(주의) 상수도 시설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공공측량을 적용하지 않는 사업에 대해 공사 담당자는 준공검사일(또는 기성검사일)로부터 14일 이내에 해당

국제화 시대에 택배산업의 발전은 국가 경제 발전과 일치한다. 경제 글로벌화 확산 으로 인해 택배산업 시장은 상대적으로 크며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택배회사는

바스켓 투입후 진공 진공해제(N 2

중국, 인도 등 여러 국가들의 경쟁력이 점차 높아짐에 따라 국내외 자동차 기업들은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청라국제도시는 자동차 시장의 지배력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