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Evidence-Based Practice in Neurological Physical Therapy (2) -Information Research Technology for Sustainable Practice of EBP-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Evidence-Based Practice in Neurological Physical Therapy (2) -Information Research Technology for Sustainable Practice of EBP-"

Copied!
1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 Abstract |

Purpose: Researchers found that blocks of evidence-based practice (EBP) implementation lacked opportunities for EBP education. The study found that physical therapists had negative views of research as well as their roles in EBP, lacked confidence in EBP, and had limited access to web-based materi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research technology for efficient EBP in a clinical environment.

Methods: The web-based information research technologies that should be used for sustainable EBP include: th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CPG) and PubMed’s My NCBI service. Journal mailing services and other academic information sources should also be used to gather information from RSS feeds. An EBP library or archive must be created. A site that provides EBP-specific information is also needed.

Results: We should usually do EBP. Practitioners must learn and use information technologies that will help them improve their EBP skills.

Conclusion: Facilitating EBP implementation and building an EBP system require related education as well as a practical work environment and equipment. However, the highest priority is individual efforts and trial. Information technology will complement the lack of time. It is important to use information research technology to overcome real obstacles. Lasting EBP must use a number of web-based information research technologies to overcome the practical challenges encountered in EBP implementation.

Key Words: Evidence based practice, Information research technology, Barriers to research utilization

†Corresponding Author : Jae-Heon Lim (limjaeheon@gmail.com)

Review Article Open Access

신경계물리치료에서의 근거중심실기(2) -지속가능한 EBP 수행을 위한 정보검색 기술-

이문규⋅김태윤 1 ⋅임재헌 2†

1)

씨티재활의학과 요양병원 재활센터, 1 원광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2 서남대학교 물리치료학과

Evidence-Based Practice in Neurological Physical Therapy (2)

-Information Research Technology for Sustainable Practice of EBP- Moon-Kyu Lee⋅Tae-Yoon Kim 1 ⋅Jae-Heon Lim 2†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City Rehabilitation Hospital

1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Wonkwang Health Science University

2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Seonam University

Received: January 18, 2017 / Revised: February 26, 2017 / Accepted: February 27, 2017

ⓒ 2017 Journal of Korea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Association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2)

116 | PNF and Movement Vol. 15, No. 2

Ⅰ. 서 론

EBP (evidence-based practice)는 높은 질의 무작위 임상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환자나 고객에게 적용하 는 것이다(Sackett et al., 1996). 하지만 질 높은 임상 연구를 확보했다고 해서 그 내용을 임상 현장에 적용 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 근거가 모든 것을 보증하 고 말해주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근거를 찾고 질 평가를 했다면 이제 그에 관한 지식을 치료사 자신의 상황과 고객의 상황과 요구에 통합해야 한다. 근거 이전에 임상적 추론이 우선해야 한다 . 고객의 상황과 요구를 파악하고 전문가 관점에서 임상적 의사결정을 할 때 근거는 의미가 있다.

이에 관한 내용은 신경계 물리치료에서의 근거중 심실기에 관한 시리즈 논문 중 첫 번째 논문에서 다루 었다(Lee et al., 2016). 첫 번째 논문에서 환자들의 문제 를 해결하는데 치료사들이 갖는 사고의 틀과 패러다 임 , 임상의사결정을 할 때 사용하는 근거의 종류, EBP 단계와 근거 찾는 방법을 제시하여 환자를 치료할 때 필요한 정보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관련 정보를 효율 적으로 검색하고 실제 임상 현장에 적용하는 과정에 대해 논의하였다.

필요성을 인지하고 현장에서 근거중심실기를 시행 하려는 치료사는 외적인 지지와 환경이 중요하다. 근 거중심실기의 필요성을 알고 시행하려고 해도 여러 가지 방해요인들로 시행하지 못할 수도 있다. 치료사 들의 의지에 찬물을 끼얹는 방해 요인은 무엇일까?

개인과 조직의 행동 변화는 개인의 의지만으로 실현 되는 것은 아니다. 최근 EBP 실행과 관련하여 촉진 요인과 방해 요인을 파악하려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Bernhardsson et al., 2016; Scurlock-Evans et al., 2014; Stevenson et al., 2004).

적극적으로 EBP를 임상에 적용하고 지속하기 위해 서는 어떤 요인이 EBP 실행을 저해하는지, 또 어떻게 하면 이를 극복할 수 있는지에 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EBP를 하기 어려운 것은 단순히 치료사 책임으 로만 돌릴 수 없다 . 치료사 개인뿐 아니라 우리가 일하

고 있는 환경이나 조직이 도와주어야 가능한 일이기 때문이다 . 신경계 물리치료에서의 근거중심실기 시리 즈 연구 중 두 번째 논문에서는 EBP 수행 장벽을 논의 하고 지속 가능한 EBP 수행에 도움이 될 만한 실질적 방법들을 제안하고자 한다.

Ⅱ. 본 론

1. EBP 시행의 장벽

EBP는 지속적인 과정이다. 급변하는 시대에, 정보 가 홍수처럼 쏟아지는 시대에 치료사들은 계속해서 전문지식을 확장하고 심화해야 한다. EBP의 가장 큰 장벽은 시간부족이다(Jette et al., 2003). 비단 우리의 현실만은 아니다 . Salbach 등(2007)은 뇌졸중 환자를 치료하는 치료사들의 EBP 실행을 어렵게 하는 장벽들 을 조사하였다(Fig. 1). 먼저 저자들은 EBP의 개념과 필요성에 관한 인지도를 대상자들에게서 알아보았다 . 연구 결과 , EBP를 학교에서 배운 치료사는 50%, 연구 결과가 도움 된다고 생각하는 치료사는 78%였다. 거 의 모든 치료사가 EBP에 관심이 있었지만, 물리치료 사가 문헌 고찰까지 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 치료 사는 응답자 중 50%였다. 또 논문을 찾고 질 평가하는 것에 대한 자신감을 묻는 항목에서는 80%가 자신감을 나타내었지만, 통계분석과 측정절차에 대한 것을 분 석하는 데에는 50%만이 자신감을 나타냈었다. 응답자 의 80%가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곳에서 일하고 있었 지만 EBP를 할 수 있는 시간이 확보된 곳에서 근무하 는 치료사는 5%에 불과했다.

연구자들은 EBP 실행에 가장 걸림돌이 되는 것으

로 교육의 기회 부족 , 연구에 대한 치료사들의 부정적

견해 , EBP에서 물리치료사의 역할에 대한 부정적 견

해 , EBP에 대한 자신감 부족, 웹(web) 기반 자료 접근

성 제한을 꼽았다 . 그중 가장 중요한 장벽으로 인지된

항목은 바로 시간 부족이었다(Salbach et al., 2007). 뇌

졸중 재활에 참여하는 치료사들을 대상으로 근거중심

치료 수행의 장벽을 규명하는 연구에서도 시간 부족 ,

(3)

능력 부족 , 연구 결과 적용 어려움이 EBP 수행을 방해 하는 요소라고 보고하였다(Pollock et al., 2000). 호주 치료사들을 대상으로 EBP 수행의 매우 중요한 장벽으 로 나타난 문제는 모두 시간 부족과 관련된 항목이었 다(Young & Ward, 2001). 우리나라의 경우 근거에 기 반한 치료를 하는데 가장 큰 걸림돌을 설문에 응한 참가자 60%가 부족한 시간이라고 하였다(Kwon, 2006). 또한 뇌졸중을 치료하고 있는 치료사들이 EBP 를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응답은 88.3%인 반면 실제적 용은 26.7%로 나타난 것은(Kwon, 2012), 시간 부족이 실제 EBP 적용을 방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생각 된다.

시간이 없어 EBP를 못하는 것도 사실이겠지만, 우 리나라 치료사들처럼 비영어권 치료사들은 또 다른 장벽에 부딪힐 것으로 생각된다. 바로 ‘영어’이다. 영 어에 대한 부담감이 EBP 실행에 있어 주요 걸림돌로 예상되지만 이에 관해 물리치료사를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는 없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기존의 EBP 설문지에서 언어에 관한 사항을 추가하여 조사한 결과, 간호사들의 근거중심실기에 영향을 주

는 요인들 중에서 영어로 되어 있는 보고서가 큰 영향 을 준다고 보고하였다(Oh, 2008). 비영어권 국가의 의 료계 종사들의 EBP 실행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영어 어학능력을 지목한 연구(Kajermo et al., 1998)에 비추 어 볼 때 우리나라 치료사들도 영어 어학능력이 EBP 수행의 주요 방해 요인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2. EBP 실행을 위한 개인적 차원의 노력

수행이란 변화를 방해하는 요인을 찾고 이를 극복 하는 능동적인 과정이다(Lomas, 1993). EBP 고지에 도달하지 못하는 우리 현실의 장벽은 연구방법 및 통 계 능력 부족을 포함한 연구 능력 부재 , 테크닉을 중요 하게 생각하고 연구결과는 의미 없다고 생각하는 EBP 에 대한 부정적 견해 , 영어로 되어 있는 근거를 해석하 지 못하는 영어 능력 부족, 시간 부족, 하고 싶지만 컴퓨터가 없고 인터넷도 안 되는 등 장비 지원 부족 , 유료로 되어 있어 접근할 수 있는 정보원 부족 등을 들 수 있겠다.

위의 문제점들을 개인과 환경(기관)의 차원으로 나

눠보자 . 연구 능력 부재, EBP에 대한 부정적 견해, 영어

Fig. 1. Perceived barriers to evidence-based practice.

(4)

118 | PNF and Movement Vol. 15, No. 2

능력 부족은 개인의 문제점으로 시간 부족, 장비 지원 부족, 정보원 부족은 환경(기관)의 문제로 구분할 수 있다 (Salbach et al., 2009). 환경과 시스템의 지원이 무 엇보다도 중요하지만 , 환경 탓만 하고 손 놓고 가만히 있을 수 없으니 개인 차원의 문제부터 해결해보자.

첫째, 영어 공부를 시작하는 것이다. 연구 문헌을 읽기 위한 단어와 독해 수준은 그렇게 광범위하거나 어렵지 않다 . 둘째, 쫓아다니며 배워보자. 최근 연구방 법과 EBP에 관한 강연과 세미나가 생겨나고 있다. 셋 째 , 연구를 직접 해보거나 참여하는 것이다. 지피지기 면 백전백승. 연구 근거의 질을 평가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하고 빠른 방법은 자기가 직접 논문을 써보는 것 이다. 한번 해보면 무엇이 문제이지 알 수 있다. 넷째, 자신의 사고의 틀을 점검하라. 자신의 그리고 기관의 임상의사결정 과정과 패턴을 정리해 보는 것이 좋다.

어느 추론과정에서 EBP가 필요하며 어떤 정보들이 필요한지를 파악해보자. 다섯째, 저널스터디를 하자.

저널스터디는 논문을 쓰려는 사람들이 또는 교수나 대학원생들이 하는 것이 아니라 이제 일선에 있는 치 료사들이 해야 하는 "일"이다. 함께 일하는 동료와 저 널 스터디를 계획하고 실행하자. 지역사회 치료사들 과 EBP Working Group을 만들어 협력하자. 여섯째, 가장 중요한 것. 상사, 직장, 협회(시도회 포함)에 EBP 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지속해서 알리고 필요한 지원 을 강력하게 요구하자.

3. 실현 가능하고 지속가능한 EBP를 위한 제안 EBP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익히는 것은 단기간 에 끝날 수 있지만, 그 행위는 지속해서 이루어지고 또 이어져야 한다 . 앞서 이야기했듯이 EBP 시행의 가 장 큰 장벽은 시간 부족이다. EBP를 위해 시간을 내기 가 어렵다는 현실 때문에 막 EBP에 관심을 둔 우리는 좌절할 수도 있겠지만 , 사실 내 치료 업무 모형과 나의 사고의 틀 그리고 내가 속한 집단의 패러다임을 이해 하면 우리가 신경을 써야 할 정보의 영역은 그다지 광범위하지 않다. 평소에 clinical practice guideline (CPG) 자료를 찾아 읽거나 스터디 해보자. CPG는 특

정 질환의 전반적인 임상 문제에 대한 질 높은 지침들 을 제공한다(Kopp & Lelgemann, 2005).

뇌졸중 재활분야에서 일하는 치료사들이 가장 관 심 있는 임상 질문은 주로 평가와 중재영역이다 (Salbach et al., 2009). 예를 들어 뇌졸중 보행과 관련하 여 치료사는 걷기 능력, 움직임 조절, 안정성, 기능, 집환경 평가에 어떤 결과측정 도구를 쓸 것인지에 관 심을 둔다(Sullivan et al., 2013). 뇌졸중 환자의 걷기 중재와 관련해서는 체중부하 훈련 , 균형, 걷기 활동, 움직임 조절에 어떤 중재를 시행할 것인가, 아니면 필 요한 보조 도구나 보조기는 무엇일까에 관심을 둔다 . 매우 귀찮게 되었지만 EBP는 이제 불가피하다. 그 렇지만 정보 기술은 발달하고 있고 기술의 발달은 우 리의 행위와 삶의 편리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

EBP도 마찬가지이다. 시간이 없기는 하지만 정보기술 을 잘 활용하면 EBP를 생활화 내지는 습관화할 수 있고 지속해서 시행할 수 있다. 문헌정보기술을 끊임 없이 받아들이고 새롭게 나오는 사용 방법을 익혀두 는 것이 좋다 . 문헌정보기술을 활용하는 방법은 EBP 를 가능하게 해 주는 중요한 요인이다. EBP를 지속적 으로 실행하기 위한 방법들 중에서 몇 가지 웹 기반 /컴 퓨터 기반 기술과 활용 방법들을 제안하고자 한다.

1) 평소에 CPG 읽기

CPG는 많은 임상 전문가와 환자 보호자, 관련 전문 가들이 협력하여 질 높은 임상 연구들을 통합하여 만 들어낸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임상 실기 지침이다. 특 정 질환의 특성과 분포, 진단, 예후, 치료 효과, 관리 지침에 이르기까지 많은 정보를 근거에 입각하여 정 리하여 제공되기 때문에 임상가와 환자들에게는 매우 유용한 정보이다 (Logerstedt et al., 2010). CPG는 현 시 대를 대표하는 진료지침으로 특정 임상상황에 치료사 들의 의사결정을 돕기 위해 개발된 자료이다 (Field &

Lohr, 1992). 이 자료들을 평소에 읽거나 동료와 스터디 하자. 자신이 주로 대하는 고객들의 문제에 대한 근거 높은 지침들을 전반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재활 관련 지침을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는 오타

(5)

와(Ottawa) 대학에서 운영하는 지침(d’Ottawa, 2005)뿐 아니라 각 나라의 위원회에서 발표하는 지침을 참고 할 수 있다. 각 나라의 CPG 정보 제공 사이트는 다음과 같다.

영국: http://www.nice.org.uk

호주: http://www.clinicalguidelines.gov.au/

뉴질랜드: http://www.nzgg.org.nz 미국: http://www.guideline.gov

또한, 진료지침(guideline) 국제 협력 기구도 있다.

진료지침국제네트워크: http://www.g-i-n.net/

2) 학술정보원의 메일링 서비스

주요 학술정보 웹사이트는 사용자들에게 여러 가 지 편의 기능을 제공한다 . 각 정보원의 메일링 서비스 를 이용하면 자신이 관심 있는 분야의 학술 정보를 메일로 받아 볼 수 있다. 의학보건분야의 대표적인 학술검색 사이트 PubMed에서 제공하는 My NCBI 서 비스를 이용해보자. NCBI는 PubMed에서 검색했던 활 동들이 자동 기록되며 특정한 검색어 조합으로 검색 한 결과들을 저장할 수 있다 . 또 자신만의 콜렉션을 만들어서 관리할 수도 있다 . 특히 검색식이나 키워드 를 저장해두면 다음에 검색할 때 약간 수정하여 활용 할 수 있다(Fatehi et al., 2014).

My NCBI에서는 특정 검색 결과에 새로운 문헌이

Fig. 3. Google scholar alarm service.

Fig. 2. PubMed’s My NCBI mailing settings screen and emailed search results.

(6)

120 | PNF and Movement Vol. 15, No. 2

추가될 때마다 업데이트된 정보를 메일로 보내주는 서비스를 제공한다(Fig. 2). 메일링 주기도 정할 수 있 어 매우 유용한 서비스이다 . 특정 검색식을 저장해두 고 메일링 서비스를 받는 것이 좋다 . 일부러 가서 찾지 않아도 새로운 논문이 추가될 때마다 자동으로 알려 주니 매우 좋다 . 간혹 귀찮아서 메일을 열어보지 않으 면 금세 쌓이는 것이 문제이긴 하다.

PubMed 뿐 아니라 최근에는 모든 학술 정보원 또는 학술지에서 메일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논문을 보 다보면 자신이 관심을 두는 학술지들이 정해지기 마련 이다 . 그러면 해당 학술지의 메일링 서비스를 한번 신청 해보는 것이 좋다 . 마찬가지로 일부러 찾아가지 않아도 새로운 내용이나 장차 실릴 논문 제목들까지 미리 보내 준다. 구글 학술검색(https://scholar.google.co.kr/) 경우 맨 첫 화면에서 알리미 메뉴로 들어가 자신이 관심 있는 키워드를 입력해 두면 등록한 이메일로 해당 논문을 주기적으로 발송해 준다(Fig. 3).

RSS는 ‘Really Simple Syndication’ 또는 ‘Rich Site

Summary’의 줄임말이다. 자주 이용하는 각종 홈페이 지나 블로그, 정보원의 업데이트된 내용을 이용자들 이 쉽게 받아 볼 수 있게 만든 규약이다 . RSS를 이용하 면 우리가 자주 이용하는 학술 정보원의 정보를 일부 러 찾아다닐 필요 없이 사용자에게 피드 (feed, 보내주 는 것 )해준다. 만약 RSS 리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다면 학술 정보들을 내 컴퓨터에서 편하게 받아보고 관리할 수 있어 시간을 많이 절약해준다 . 아래 그림은 RSS 리더 애플리케이션의 켭쳐 화면이다(Fig. 4). 자주 구독하는 학술 사이트나 정보원의 RSS 피드를 받아 업데이트한 내용을 평소에 확인할 수 있다.

3) 나만의 EBP 라이브어리/아카이브 만들기

최근 모든 학술지와 학술 정보원들은 모든 논문을

PDF 형식이나 전자 출판물 형식으로 제공한다. EBP를

하다 보면 한번 검색한 논문이나 또 평소에 보던 논문

파일들이 쌓이게 된다 . 새로운 연구 근거를 찾는 것도

일이지만 자기 컴퓨터에서 필요한 자료를 찾는 것도

Fig. 4. Application for RSS subscription.

(7)

때로는 시간 소모적인 일이 된다. 그래서 평소에 자신 의 문헌들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 다행히도 현재는 문헌을 관리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많다. Papers (www.papersapp.com) 등의 서지관리 앱을 이용하면 개 인 문헌 라이브어리를 구축할 수 있어서 필요한 논문 과 문헌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체계적으로 검색이 가능하다 (Fig. 5). 이런 방식의 어플리케이션은 많다.

Endnote (www.endnote.com) Refworks (www.refworks.com) Bookends (www.sonnysoftware.com) Zotero (www.zotero.org)

Mendeley (www.mendeley.com)

메모의 필요성을 말하는 것은 그 자체로 헛된 일이 다 . 너무나 당연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너무 많은 것을 기억해야 한다. 이전 논문에서 설명한 EBP 단계의 마 지막 5단계는 평가(evaluate)이다. 즉 자신의 EBP 과정 을 다시 점검하고 얻은 것과 나중에 더 보완해야 할

것을 반성적으로 생각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 이때는 이전의 정보들에서 필요한 정보들을 빠르게 찾고 활 용해야 한다 . 메모지나 노트에 메모 하는 것도 좋지만 그런 방법은 사후에 검색이 어렵다. 연구의 결과의 의미를 정리했다면 메모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 여 저장해두자 . 메모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 메모도 쌓이다 보면 검색하는 것도 큰 문제가 된다. 그래서 EBP 과정에서 얻은 정보, 나중에 읽어보고 검토하고 싶은 논문이나 웹 문서 그리고 자기 생각과 행위를 적은 것을 메모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관리해 보자. 에버노트(www.evernote.com)는 이런 정보를 관 리하는데 유용하다(Fig. 6).

4) EBP 특이적 큐레이션 사이트 참조

큐레이션(curation)이란 정보를 선별하는 하는 것을

의미한다. 마치 전시관의 큐레이터가 전시할 작품을

선별하는 것처럼 정보 큐레이션 사이트들도 정보를

선별하여 게시한다. 정보가 홍수처럼 쏟아지는 정보

의 바다에서 우리의 행위를 가이드해 줄 나침반 같은

정보가 있다면 얼마나 편리하겠는가. EBP에 특이적인

Fig. 5. Papers2, application for management of articles and publications.

(8)

122 | PNF and Movement Vol. 15, No. 2

정보들을 제공하는 사이트가 많다. 질환에 특이적인 EBP 정보를 건강/보건관리 전문가, 환자, 보호자, 관련 기관들에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이런 사이트가 많아지 고 있다.

다음은 뇌졸중 관련 정보 큐레이션 사이트이다.

⋅ Stroke Engine

(http://www.strokengine.ca/about-stroke-engine/)

⋅The Assess tool page of the Stroke Engine (http://www.strokengine.ca/find-assessment/)

⋅ Evidence-based review of stroke rehabilitation (http://www.ebrsr.com/evidence-review).

⋅ Neurology section page of APTA

(http://www.neuropt.org/professional-resources/neur ology-section-outcome-measures-recommendations)

Ⅲ. 결 론

환자들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정보가 무엇

인지를 인지하고 , 그 정보를 효율적으로 검색하고, 검 색한 정보의 가치를 판단하여 , 실제 임상 업무에 적용 하고, 그 결과를 다시 점검하는 과정이 바로 EBP의 전부이다 (Fetters & Tilson, 2012). 실제 현장에서 활용 및 적용이 어렵다면 그 의미와 필요성이 명백하더라 도 아무런 의미가 없다. 관련 연구들에서는 EBP 실행 을 저해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시간부족임을 말해준 다. 현장 업무를 하는 도중에 EBP 과정을 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EBP 수행을 촉진하고 그러한 시스 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관련 교육, 실행이 가능한 업무 환경과 장비도 중요하지만 가장 우선하는 것은 개인의 노력과 시도이다 . 시간부족을 보완할 수 있는 여러 정보 기술이 있다. 정보기술을 잘 활용하여 현실 적인 방해요인을 극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실현가능 하고 지속적인 EBP를 위해서는 EBP 실행의 실제적 난관을 극복할만한 여러 정보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판단된다.

Fig. 6. Evernote, application for management notes and information.

(9)

References

Bernhardsson S, Lynch E, Dizon JM, et al. Advancing evidence-based practice in physical therapy settings:

multinational perspectives on implementation strategies and interventions. Physical Therapy.

2016;97(1):51-60.

d’Ottawa University. Evidence-based practice. Available at:

http://health.uottawa.ca/rehabguidelines/en/login.php.

Fatehi F, Gray LC, Wootton R. How to improve your Pubmed/MEDLINE searches: 3. Advanced searching, MeSH and My NCBI. Journal of Telemedicine and Telecare. 2014;20(2):102-112.

Fetters L, Tilson J. Evidence based physical therapy.

Philadelphia. F.A. Davis Co. 2012.

Field MJ, Lohr KN. Guidelines for clinical practice: from development to use.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1992.

Jette DU, Bacon K, Batty C, et al. Evidence-based practice:

beliefs, attitudes, knowledge, and behaviors of physical therapists. Physical Therapy. 2003;83(9):

786-805.

Kajermo KN, Nordstrom G, Krusebrant A, et al. Barriers to and facilitators of research utilization, as perceived by a group of registered nurses in swede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998;27(4):798-807.

Kopp I, Lelgemann M. The agree (appraisal of guidelines research and evaluation) instrument. Zeitschrift für Ärztliche Fortbildung und Qualitätssicherung.

2005;99(8):497-498, 469-470.

Kwon MJ. A survey of evidence-based practice of physical therapist.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2006;18(3):23-36.

Kwon MJ. Implementation to evidence-based practice of physical therapists providing treatment and outcome measure to people with strok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2012;7(3):283-291.

Lee MK, Lim JH, Kim TY. Evidence-based practice in neurological physical therapy (1); applying EBP into clinical decision making. PNF and Movement.

2016;14(3):157-176.

Logerstedt DS, Snyder-Mackler L, Ritter RC, et al. Knee pain and mobility impairments: meniscal and articular cartilage lesions. Journal of Orthopa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2010;40(6): A1-A35.

Lomas J. Diffusion, dissemination, and implementation: who should do what?.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1993;703(1):226-237.

Oh EG. Research activities and perceptions of barriers to research utilization among critical care nurses in Korea.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2008;24(5):

314-322.

Pollock AS, Legg L, Langhorne P, et al. Barriers to achieving evidence-based stroke rehabilitation. Clinical Rehabilitation. 2000;14(6):611-617.

Sackett DL, Rosenberg WM, Gray JA, et al. Evidence based medicine: What it is and what it isn’t. British Medical Association. 1996;312(7023):71-72.

Salbach NM, Guilcher SJ, Jaglal SB, et al. Factors influencing information seeking by physical therapists providing stroke management. Physical Therapy. 2009;89(10):

1039-1050.

Salbach NM, Jaglal SB, Korner-Bitensky N, et al. Practitioner and organizational barriers to evidence-based practice of physical therapists for people with stroke. Physical Therapy. 2007;87(10):1284-1303.

Scurlock-Evans L, Upton P, Upton D. Evidence-based practice in physiotherapy: a systematic review of barriers, enablers and interventions. Physiotherapy. 2014;100 (3):208-219.

Stevenson K, Lewis M, Hay E. Do physiotherapists’ attitudes towards evidence-based practice change as a result of an evidence-based educational programme?

Journal of Evaluation in Clinical Practice.

(10)

124 | PNF and Movement Vol. 15, No. 2

2004;10(2):207-217.

Sullivan JE, Crowner BE, Kluding PM, et al. Outcome measures for individuals with stroke: Process and recommendations from the american physical therapy association neurology section task force. Physical

Therapy. 2013;93(10):1383-1396.

Young JM, Ward JE. Evidence-based medicine in general practice: beliefs and barriers among australian GPs.

Journal of Evaluation in Clinical Practice. 2001;7

(2):201-210.

수치

Fig. 2. PubMed’s My NCBI mailing settings screen and emailed search results.
Fig. 6. Evernote, application for management notes and information.

참조

관련 문서

ICH Q7 Guideline: Good Manufacturing Practice Guide for Active Pharmaceutical Ingredients Questions and Answers,

Preoperative evaluation of pelvic lateral lymph node of patients with lower rectal cancer: comparison study of MR imaging and CT in 53 patients?.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e used for the development for the future policies to boost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as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on professional self-concept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Methods:

In practice, the  equalization basin  volume will be larger 

In practice, the  equalization basin  volume will be larger  than the theoretical  value for several 

Situated learning in science education: socio‐scientific issues as contexts for practice?. What Major “Socio-Scientific Topics” Should the Science Curriculum

Based on the result of such assessment, this study attempted to establish a basis for establishment of physical epidemiology research evaluat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