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金 章 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金 章 鎬"

Copied!
16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

지식기반사회로 이행되면서 인적자원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인적자원개발, 및 활용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의 필요성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또 정부의 정책과 관련해서도. 인적자원과 관련된 정책의 중요성이 점증되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이를 뒷받침하는 인적자원. 관련 통계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본원에서는 이러한 인적자원과 관련한 정책수립 및 관련 연구의 토대가 될 지표 생성의 중요 성을 인식하고, 1998년 직업교육훈련지표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를 시작으로󰡔 󰡕 1998년부터 년까지 한국의 직업교육훈련지표 를 발간하였다 년에는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지표집

2001 󰡔 󰡕 . 2001

발간을 위해 지표 체계 구성과 개별 지표를 선정하는 기초 연구인 인적자원개발지표 및 지수『 󰡕 를 수행하였다 이후 한국의 인적자원개발지표. 『 2002』 기존 직업교육훈련지표와의 연계성을는 중시하여 작성하였고 그 이후로는 지표의 연속성뿐만 아니라 거시적인 인적자원개발지표들을, 구체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형태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번에 발간되는 한국의 인적자원개발지표󰡔 2005󰡕는 그 간의 지표의 연속성을 유지하면서 대 표성 있는 통계를 제시하기 위하여 Ⅱ-28. 컴퓨터 사용능력, Ⅳ-8. 성별 산업별 고령취업자,

세 이상 비율

(55 ) Ⅴ-9. 학교도서관 좌석 및 장서수, Ⅴ-10. 인터넷 이용자수 및 인구100명 당 PC /수 인터넷 도메인수를 변경 제시하였고, , Ⅱ-14. 기능대 및 직업전문학교 훈련생 인당1 연간 훈련비 및 실습비 항목은 삭제하였다.

향후에도 본원에서는 인적자원개발과 관련한 국가적 차원의 거시적인 지표뿐 아니라 구체적 인 수준에서의 미시적인 지표를 연구 개발하여 정책수립에 도움이 되는 인적자원 지표를 수록 한 자료를 지속적으로 발간할 예정이다 이에 관심과 질책이 있기를 바라며 독자들의 의견을 충. , 분히 반영하여 더욱 알찬 지표집을 발간하도록 노력할 것이다.

끝으로 본 자료의 발간에 의견을 주신 통계청과 각 부처 통계담당자 등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 드리며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자료 발간에 힘쓴 연구진의 노고에 감사한다, .

년 월 2005 12

院長

金 章 鎬

(3)

분 야 별 담 당 자

편집총괄 강경종 동향정보팀장(kkj3498@krivet.re.kr) 김종우 전문연구원(kjw32@krivet.re.kr)

인적자원의 축적

. 김민경 연구원(mk77@krivet.re.kr) 인적자원의 개발 과정

. ( ) 엄준용 연구원(jyum94@krivet.re.kr)

인적자원의 이행

. 홍광표 연구원(hkp@krivet.re.kr)

인적자원의 활용

. 김민경 연구원(mk77@krivet.re.kr)

인적자원 활용의 결과

. 홍광표 연구원(hkp@krivet.re.kr) 인적자원의 유출과 상실

. 윤 성 연구원(pomy@krivet.re.kr)

(4)

1. 본 지표집은 정부 각 부처 및 국내 주요기관에서 공표한 공식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작성한 것이며 각 통계표 하단에 그 출처를 표기하였음 국내 주요기관의 약어는 다음과 같음. . 1) 교육인적자원부(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MOE & HRD: 2) 통계청(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NSO:

3) 노동부(Ministry of Labor) MOLAB:

2. 본 지표집의 체계 및 통계표의 수록 순서는 인적자원개발지표 및 지수『 』한국직업능력개( 발원, 2001:이하 기초연구『 』로 표기 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였으며 원 자료의 이용가) , 능성과 편집상의 문제로 기초연구『 』와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음.

3. 각 지표 항목에서 제시하는 통계표는 기본적으로1990년부터 작성되었음. 1990년 이후부 터 시작된 지표의 경우 지표 생성 당해연도부터 작성된 것임, .

4. 통계표에서 제시된 수치 중 인구기준이나 백분율 등으로 표기되는 경우는 세목과 합계가 각각 반올림 소수점 둘째자리 된 것이 있으므로 세목의 합이 전체 합계와 일치하지 않는( ) , 경우도 있음.

통계표의 기호 5.

1) -:해당 숫자 미상 또는 확인된 지표가 없음 2) ▼:시계열 불연속

3) p:추정치 추후 확정치로 바뀜( )

주요 자료의 조사 및 집계 기준일은 다음과 같음

6. .

교육통계연보 매년 월 일

1) : 4 1

경제활동인구조사 매월 셋째 주

2) :

사회통계조사 조사 분야별 매년 월 일이 속한 주간 다음 일 간 분야별 주기 년

3) : 9 15 10 ( 4 )

기타 행정부처 자료 매년 월 일

4) : 12 31

국제통계자료 익년 월

5) : 1

7. 본 자료는 국가인적자원개발 종합정보망 NHRD-Net(http://www.nhrd.net)에서도 확인할 수 있음.

8. 수록된 자료에 대한 문의사항이 있을 때에는 해당자료 출처기관이나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동향정보팀으로 문의하기 바람.

전화:02)3485-5253,5264,5218 팩스:02)3485-5200

(5)

▪ 머 리 말

···

▪ 일러두기

···

인적자원의 축적 9

The Stock of Human Resources

-1. 총인구 및 인구성장률···11

Total Population & Growth Rate

-2. 생산가능인구 및 구성비···12

Population in Working Ages & Distribution

-3. 부양비 및 노령화지수···13

Dependency Ratios and Index of Aging

-4. 수도권 인구수 및 인구비율···14

Population of Capital Area & Ratio

-5. 학령인구수···15

Distribution of Schooling Age Population

-6. 성 연령별 국민 평균교육년수···16

Average Years of Schooling by Sex and Age

-7. 국민의 학력구성비(25세 이상) ···17

Composition of Population by Educational Attainment(25 Years Old & Over)

-8. 고등교육기관별 학생수···18

Number of Students by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9. 인구10만명당 고등교육기관 여학생수···19

The Number of Female Students Enrolled in High Educational Institutions, per 100,000 People

-10. 교육수준별 경제활동인구 분포···20

Distribution of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by Educational Attainment

C O N T E N T S

(6)

-11. 계열별 학위 석사 박사 취득자 수( , ) ···21

Number of Persons Granted with Masters Degrees & Doctorates

-12. 국가기술자격 검정 현황(2004) ···23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ion Qualification, 2004

-13. 외국인 근로자수···24

Number of Foreign Workers

-14. 의료인력 인당 인구수1 ···25

Number of Population Per Medical Personnel

-15. 연령계층별 학생의 신장 체중 및 신체중량지수, ···26

Average Height, Weight & Body Mass Index of Students by Age

-16. 연령계층별 대학 이상 고등교육이수자 비율(2003) ···28

Percentage of The Population That Has Attained at Least Upper Secondary Education, by Age Group, 2003

-17. 주요국의25~64세 고용률의 학력별 성별 분포, (2003) ···29

Employment Ratio by Level of Educational Attainment and Gender for 25 to 64-year-olds, 2003

-18. 외국인 노동력 및 고급기술인력···31

Foreign Labor Force & Foreign High-skilled People

-19. 경제활동인구 및 경제활동 참가율···32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 Participation Rate

. 인적자원의 개발 과정 ( ) 33

Th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1. 교육단계별 직업교육기관 입학자수···35

Number of Vocational School Entrants by Education Level

-2. 계열별 실업계고 입학자수···36

Vocational High School Entrants by Field of Study

-3. 전문대 계열별 입학자수···37

Junior College Entrants by Field of Study

-4. 교육기회의 미충족 및 이유···38

Levels of Dissatisfaction with Education Attainment & Reasons for Dissatisfaction

-5. 직업교육기관별 교원 인당 학생수1 ···39

Number of Students per Teacher by Education Level

-6. 실업계고 학교유형별 교원 인당 학생수1 ···40

Number of Students per Teacher in Vocational High Schools by School Type

(7)

-7. 일반계고 대 실업계고 학생비율···41

Ratio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to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8. 교육단계별 직업교육기관 학생수···42

Number of Vocational School Students by Education Level

-9. 교육단계별 직업교육기관수···43

Number of Vocational Educational Institutions by Education Level

-10. 실업계고 학교유형별 학교수···44

Number of Vocational High Schools by School Type

-11. 실업계고 학교유형별 교실당 학생수···45

Number of Students per Classroom in Vocational High Schools by School Type

-12. 전문대 및 산업대 학생 인당 강의실 면적1 ···47

Classroom Area per Student at Junior Colleges & Industrial Universities

-13. GDP 대비 공교육비 비율 ···48

GDP vs Public Educational Expenditures Ratio

-14. 가구당 교육비 지출률···49

Percentage of Expenditure on Education per Household

-15. 분야별 사설학원 이수자수···50

Graduates of Private Institutes by Field

-16. 교육수준별 취업자 수···51

Employed Persons by Educational Attainment

-17. 입사이후 직무관련 훈련 참여율 및 평균일수(2001) ···52

Participation Rate & Average Days on The Job Training, 2001

-18. GDP대비 연구개발 투자비율···53

Ratio of Research & Development Expenditures to GDP

-19. 기업의 교육훈련비용 추이 상용근로자( 30인 이상) ···54

Investment in Employee Training of Cooperates(Companies with 30 Regular Employees or More)

-20. 기업규모별 교육훈련비 상용근로자( 10인 이상)(2003) ···55

Employee Training Cost by Size of Companies(Companies with 10 Employees or More), 2003

-21. 직업훈련기관 유형별 기능사양성실적···56

Number of Vocational Trainees by Type of Institutions

-22. 실업계고 학생의 중도탈락률···57

Discontinuation Ratio of Study among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8)

-23. 기능정도별 직업훈련 인원수···58

Number of Vocational Trainees by Skill Level

-24. 직업교육 실시 일반계고교 학생수 및 비율···59

Ratio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by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25. 직업훈련실적···60

Outcomes of Vocational Training

-26. 학교정보화···61

School Informatization

-27. 컴퓨터 사용능력(2005) ···62

Ability of Using PC, 2005

-28. 교육의 경쟁사회의 요구 부합정도(2005) ···63

The Degree of Meeting The Needs of a Competitive Economy, 2005

-29. 인터넷 사용자수(2004) 및 보안 서버수(2000) ···64

Internet Users, 2004 & Secure Servers, 2000

-30. PC보급대수 및 인터넷 호스트수(2003) ···65

PC Supply & Number of Internet Host, 2003

. 인적자원의 이행 67

The Transition of Human Resources

-1. 국공립 및 민간 직업안정기관수···69

Number of Employment Security Offices

-2. 직업안정기관의 취업알선 실적···70

Job Placement by Type of Employment Security Offices

-3. 성별 학력별 직업선택요인, ···71

Reasons for Job Selection by Sex & Educational Attainment

-4. 전문대 학생의 이동상황···72

Annual Mobility of Junior College Students

-5. 교육단계별 직업교육기관 졸업자의 진학률···74

Advancement Rate of Vocational School Graduates to The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6. 교육단계별 직업교육기관 졸업자수···75

Number of Graduates by Vocational Education Level

-7. 실업계고 졸업자의 진학률···76

Advancement Rate of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to The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9)

-8. 전문대 졸업자의 진학률 ···77

Advancement Rate of Junior College Graduates to The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9. 산업대 졸업자의 진학률···78

Advancement Rate of Industrial University Graduates to The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10. 교육단계별 직업교육기관 졸업자의 취업률···79

Employment Rates of Graduates by Vocational Education Level

-11. 직업교육기관 졸업자의 전공분야 취업률···80

Employment Rates of Vocational School Graduates in Specialized Fields

-12. 계열별 실업계고 학생의 국가기술자격 취득···81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Acquired by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13. 전문대 학생의 국가기술자격 취득자수···82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Acquired by Junior College Students

-14. 국가기술자격 취득자수···83

Technical Certificate Holders

-15. 산업별 이직률···84

Employment Separation Rate

-16. 취업알선률 및 구인배율···85

Job Opening & Employment Placement Rate

인적자원의 활용 87

The Utilization of Human Resources

-1. 경제활동인구 및 참가율···89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2-1. 연령계층별 성별 경제활동 참가율 남, ( ) ···90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by Age & Sex(Male)

-2-2.연령계층별 성별 경제활동 참가율 여, ( ) ···91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by Age & Sex(Female)

-3-1. 활동상태별 비경제활동인구의 구성 남( ) ···92

Not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by Activity Type(Male)

-3-2.활동상태별 비경제활동인구의 구성 여( ) ···93

Not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by Activity Type(Female)

(10)

-4. 직업별 취업자의 구성비···94

Distribution of The Employed by Occupation

-5. 종사상 지위별 취업자 구성비 전산업( ) ···95

Distribution of The Employed by Worker Status(Whole Industry)

-6. 생산가능인구(15~64 )세 대비 연구원 비율···96

R&D Personel as a Percentage of 15~64 Years Population

-7. 사업체 규모별 인력부족률···97

Shortage Ratio by Establishment Size

-8. 성별 산업별 고령취업자, (55세 이상 비율) ···98

Percentage of Employed Persons Aged 55 & Over by Sex & Industry

-9. 산업별 일자리 창출과 소멸 전년대비 증가율( ) ···99

Employment Creation and Extinction by Industry(Annual Increase Rate)

-10. 연령계층별 실업자수 및 구성비···100

The Number & Distribution of The Unemployed by Age

-11. 여성취업에 관한 태도···102

Attitudes Toward Female Employment

-12. 여성 전문 관리직 종사자 비율···103

Percentage of Professional Workers Among Females Employed

-13. 정부부분의 여성인력 비중···104

Total Government Employees & Percentage of Female Senior Government Officials

-14. 성별 산업별 주당 평균근로시간, ···105

Average Working Hours per Week by Sex and Industry

-15. 산업별 월평균 근로일수···107

Average Working Days per Month by Industry

-16. 산업별 월평균임금수준 및 임금격차···109

Monthly Wages by Industry & Wage Differences

-17. 직종별 월평균임금수준 및 임금격차···111

Monthly Wages by Occupation & Wage Differences

-18. 학력별 임금격차···113

Wage Differences by Educational Attainment

-19. 사업체 규모별 임금···114

Wages by Establishment Size

(11)

-20. 근로자 인당 노동비용 추이1 ···115

Change of Labour Cost per Regular Employee

-21-1. 근로여건에 대한 만족도1 ···116

Levels of Satisfaction with Working Conditions 1

-21-2. 근로여건에 대한 만족도2 ···118

Levels of Satisfaction with Working Conditions 2

-22. 성차별에 대한 인식(2002) ···120

Perception of Sexual Discrimination, 2002

-23. 노동시장 ․ 기술적 효용(2005) ···121

Labor Market Availability of Skills, 2005

-24. 여성의 정치 참여(2005) ···122

Women s Political Participation, 2005

인적자원 활용의 결과 123

The Result of Human Resources Utilization

-1. 지적재산권의 등록건수···125

Grants of Intellectual Property

-2. 노동소득분배율···126

Ration of Compensation of Employees to NI

-3.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가계수입 추이 전년대비 증가율( ) ···127

Trend of Monthly Income of Urban Wage Earner s Households(Annual Increase Rate)

-4. 소득10분위별 분포 및 소득집중도 도시 근로자 가구( ) ···128

Distribution of Income Decile & Index of Concentration(Urban Wage Earner s Households)

-5. 노동생산성 지수···129

Labor Productivity Indexes

-6. 생산구조···130

Production Structure

-7. 사회적 이동 가능성에 대한 태도···132

Attitudes Toward Social Mobility

-8. 독서인구비율···133

Percentage of People Who Read Books

-9. 학교도서관 좌석 및 장서수···135

Number of Seats and Volumes in school libraries

(12)

-10. 인터넷 이용자수 및 인구100명당PC /수 인터넷 도메인수···136

Number of Internet User & PC per 100 Persons/Domain

-11. 1인당 국내총생산 당해년가격( ) ···137

GDP per Capita

-12. 국가별 남녀평등 여성권한 평등기회 지수, , ···138

GDI, GEM, Equal Opportunity Index

-13. 국가정보화 지수···139

National Informatization Index

-14-1. 부문별 국가경쟁력 순위1 ···141

World Competitiveness Rank 1

-14-2. 부문별 국가경쟁력 순위2 ···143

World Competitiveness Rank 2

-15. 산업생산 지수···145

Industrial Production Index

-16. 과학환경지수(2005) ···146

Scientific Environment Index, 2005

-17. 기술관리 지수(2005) ···147

Technology Management Index, 2005

-18. 지적재산권(2002) ···148

Intellectual Property, 2002

-19. 인간개발지수(2003) ···149

Human Development Index, 2003

-20. 첨단기술수출(2003) ···150

High-tech Exports, 2003

인적자원의 유출과 상실 151

The Outflow and Loss of Human Resources

-1. 인구천명당 해외이민자수···153

Number of Emigration Permission per 1,000 Population

-2. 사망자수 및 조사망률···154

The Number of Deaths and Crude Death Rate

(13)

-3. 사인별 사망자수 및 구성비···155

The Death Toll & Composition by Cause of Death

-4. 주요 성인질환 유병률···156

Morbidity Rates on Adult Diseases

-5. 직업병 유병근로자비율···157

Rates of Health Examination & Occupational Disease

-6. 산업재해 발생률 강도율 사망만인률···158

Rates of Frequency, Severity & Death in Industrial Accidents

-7. 교통사고로 인한 인적자원의 손실···159

Traffic Accidents & Death by Means of Transport

-8. 경제활동인구대비 범죄자 비율···160

Rate of Offenders to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9. 주요범죄자수 소년범죄자 비율( ) ···161

Number of Major Criminal Offenders (Percentage of Juvenile Offenders)

(14)

개 요

Outline

지표 체계

System of HRD Indicators

(15)

한국의 인적자원개발지표 2005 체계

󰡔 󰡕

The System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 Indicators in Korea, 2005󰡕

목표영역

Objective area 관심영역

Interest area 세부관심영역 Detailed interest area 인적자원의 축적

The Stock of Human Resources

인구규모

Size of the population

인구추세 Population trends

장래인구 Future population

인구구조 분포 Distribution of the population

인구구성

The structure of population

성별인구 Gender population

인구분포

The distribution of population

인적자원의 수준 Levels of human resources

국민교육수준

The level of public education

계열별 교육수준

The education level according to the vocational fields

자격취득

Acquirement of certificates

해외인적자원

Overseas human resources

국민보건 Public health

기대수명 Life expectancy

보건환경

Public health environment

체격 및 체력

Physique health environment

건강평가

Evaluation of health

(16)

목표영역

Objective area 관심영역

Interest area 세부관심영역 Detailed interest area

Ⅱ 인적자원의 개발 과정. ( ) The Development (process) of Human Resources

공교육 학교교육 Public education (School education)

교육기회

Educational opportunities 인적 교육자원

Human educational resources 물적 교육자원

Material educational resources 교육재정

Educational finances 공교육평가

Evaluation of the public education 고등교육의 질 수준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인적자원의 집중

The concentration of Human resources

사교육

Private education

사교육비

The costs of private education 사교육 수강자

Participants in private education 사교육의 물적 인적 자원 The material and human resources of private

사내교육

Vocational education in enterprises

기업의 인적자원 개발환경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 environment

사내직업훈련

Vocational training in enterprises 산 학 연 연계 교육훈련 Education & training clinking the industrial sector, academia and government

기업의 인적자원 개발투자 Enterprise s investment in human resources

직업훈련 및 평생교육 Vocational training and lifelong education

교육기회 및 참여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participation

인적 물적 자원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정보화 교육

Informatizational education

정보화 환경

Informatizational environment 학교정보화수준 지수

The level of school informatization

(17)

목표영역

Objective area 관심영역

Interest area 세부관심영역 Detailed interest area

Ⅲ 인적자원의 이행. Transition of Human Resources

진로지도 및 취업알선 Academic counseling and employment introduction

취업정보

Employment information 진로선택

Choice of future life path 진로지도 시설

The facilities of academic counseling

진로지도 만족도

The satisfaction of academic counseling

진급과 진학 Entrance to a higher school

진학

entrance to a higher school 중도탈락 Dropout

졸업과 취업 Graduation and employment

졸업 Graduation 취업 Employment 재학중 자격취득

Certificate acquirement during school period

직업이동Vocational change 직업이동준비Preparation for job change 이직

Change of occupation 인적자원의 활용

.

The Utilization of Human Resources

고용과 실업 Employment and unemployment

경제활동참가 및 비활용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and inutility of human resources 취업

일자리의 창출과 소멸 The creation and termination of jobs

실업

여성고용Women employment 여성인력활용의 환경The utilization of women resources 여성취업

Women employment 비활용 여성인력

Unutilized women resources 근로조건Working condition 근로시간임금

노동비용 근로환경 만족도

Satisfaction with labor environment 차별대우Discriminative

treatment

성차별Sexual discrimination

비능력차별

Discrimination based on lack of abilities

(18)

목표영역

Objective area 관심영역

Interest area 세부관심영역 Detailed interest area

Ⅴ 인적자원 활용의 결과. The Results of

Human Resources Utilization

경제적 기여

Economic contribution

국가기여도

The contribution to the nation 가계기여도

The contribution to households 기업기여도

The contribution to enterprises 사회적 기여

사회적 자본 형성

사회통합수준

The level of social integration 계층이동

Change of social status 문화향유

Enjoyment of culture 정보통신활용

The utilization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국가경쟁력 개인의 경쟁력

Individual competitiveness 기업의 경쟁력

Enterprises competitiveness 국가경쟁력

National competitiveness 인간개발지수

인간개발지수

Human development index

인적자원의 유출과 상실

.

The Outflow and Loss of Human Resources

인적자원 유출 인구의 국제이동

International movement of population 인적자원의 유출

The brain drain of human resources

인적자원 상실 사망력

Death

산업재해로 인한 손실 Industrial disasters 사고로 인한 손실 Accidents

질병으로 인한 손실 Diseases

범죄로 인한 손실 Crime

(19)

한국의 인적자원개발지표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dicators In Korea

. 인적자원의 축적

The Stock of Human Resources 인적자원의 개발 과정

. ( )

Th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 인적자원의 이행

The Transition of Human Resources

. 인적자원의 활용

The Utilization of Human Resources

. 인적자원 활용의 결과

The Result of Human Resources Utilization . 인적자원의 유출과 상실

The Outflow and Loss of Human Resources

(20)

인적자원의 축적

인적자원의 축적 은 양적

[ ] 질적 측면에서 현재 우리나라 인적자원의 총량적 축 적량(Stock)을 의미한다 실질적으로 인적자원의 축적이라 함은 인적자원의 활용 및. 활용결과와 더불어 인적자원개발의 마지막 단계를 의미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 제개발이 시작된 이후 인적자원의 축적은 경제개발정책에 밀려 그 중요성을 인정받, 지 못했다 최근 사회발전의 원동력이 자본과 노동력에서 지식과 정보로 변화하면서. 지식과 정보를 갖춘 인적자원의 지속적 개발을 어떻게 가능하게 할 것인지가 세기21 국가발전의 핵심 문제로 등장하였다 따라서 현재까지 인적자원개발의 양적. 질적 축적량은 인적자원개발의 결과라기보다 세기 인적자원개발의 출발점으로 인식되어21 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인적자원의 축적 을 지표 체계의 서두로 삼아 총 개의 관. [ ] 4 심영역과13개의 세부관심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인적자원의 축적 의 개 관심영역은 각각 인구규모 인구구조 분포 인적자원의

[ ] 4 , , ,

수준 국민보건으로 구성하였다 인구규모는 총인구의 추세 및 장래인구 인구구조, . , 및 분포는 인구구성 성별인구 그리고 인구분포 등의 세부관심영역으로 구성된다 인, . 적자원의 수준은 국민교육수준 계열별 교육수준 자격취득 해외인적자원으로 구성, , , 되어 있으며 해외인적자원은 지구촌이라는 사회, 경제적 환경에서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 인적자원 및 해외에 거주하는 교포들의 인적자원 역시 전체적인 국가 인적자 원의 범위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의미에서 포함하였다.

한편 국민보건은 생존년수 보건환경 체격 및 체력 건강평가 등의 세부관심영역, , , , 으로 구분되었으며 이는 전반적인 국민보건의 수준이 인적자원개발 인프라를 구축, 한다는 거시적 차원에서 포함된 것이다.

(21)

총인구 및 인구성장률 -1.

Total Population & Growth Rate

단위 명: , % In person, %

총인구 Total Population

성비

Sex Ratio 인구성장률

Population Growth Rate 남자

Male 여자

Female

1990 42,869,283 21,568,181 21,301,102 101.3 0.99

1991 43,295,704 21,783,914 21,511,790 101.3 0.99

1992 43,747,962 22,013,655 21,734,307 101.3 1.04

1993 44,194,628 22,242,554 21,952,074 101.3 1.02

1994 44,641,540 22,472,496 22,169,044 101.4 1.01

1995 45,092,991 22,705,329 22,387,662 101.4 1.01

1996 45,524,681 22,924,512 22,600,169 101.4 0.96

1997 45,953,580 23,148,092 22,805,488 101.5 0.94

1998 46,286,503 23,295,727 22,990,776 101.3 0.72

1999 46,616,677 23,457,837 23,158,840 101.3 0.71

2000 47,008,111 23,666,769 23,341,342 101.4 0.84

2001 47,353,519 23,848,450 23,505,069 101.5 0.73

2002 47,615,132 23,980,764 23,634,368 101.5 0.55

2003 47,849,227 24,105,667 23,743,560 101.5 0.49

2004 48,082,163 24,228,209 23,853,955 101.6 0.49

2005 48,294,143 24,333,130 23,961,013 101.6 0.44

자료 통계청 장래인구특별추계: , , 2005. Source: NSO, Population Projections for Korea, 2005.

♣ 총 인 구:매 년 간격으로 실시되는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를 기초로 인구추계방법상 조성법으로5 추계한 연앙추계인구 월 일 시 기준 를 의미(7 1 0 ) .

♣ 성 비:여자를100으로 보았을 때 남자의 수를 의미. 산식 남자 여자: ( / )×100

♣ 인구성장률:추계연앙인구를 기초로 계산된 연도별 인구간의 성장률.

산식: {(당해년도 인구수 전해년도 인구수 전해년도 인구수- )/ }×100

(22)

생산가능인구 및 구성비 -2.

Population in Working Ages & Distribution

단위 명: , % In person, %

총인구 Total Population

생산가능인구 세 (15~64 ) Population in Working Ages

구성비 Ratio 남자

Male

여자 Female

1990 42,869,283 29,700,607 15,038,780 14,661,827 69.3

1991 43,295,704 30,170,543 15,279,882 14,890,661 69.7

1992 43,747,962 30,610,680 15,507,153 15,103,527 70.0

1993 44,194,628 31,023,107 15,722,055 15,301,052 70.2

1994 44,641,540 31,445,602 15,943,749 15,501,853 70.4

1995 45,092,991 31,899,511 16,182,123 15,717,388 70.7

1996 45,524,681 32,326,522 16,398,234 15,928,288 71.0

1997 45,953,580 32,791,167 16,650,569 16,140,598 71.4

1998 46,286,503 33,125,933 16,806,934 16,318,999 71.6

1999 46,616,677 33,420,207 16,962,242 16,457,965 71.7

2000 47,008,111 33,701,986 17,122,358 16,579,628 71.7

2001 47,353,519 33,923,376 17,251,638 16,671,738 71.6

2002 47,615,132 34,110,668 17,358,671 16,751,997 71.6

2003 47,849,227 34,300,454 17,473,720 16,826,734 71.6

2004 48,082,163 34,482,994 17,591,147 16,891,847 71.7

2005 48,294,143 34,670,970 17,704,011 16,966,959 71.8

자료 통계청 장래인구특별추계: , , 2005. Source: NSO, Population Projections for Korea, 2005.

♣ 생산가능인구:대한민국에 상주하는 만 세 이상 만 세 이하의 인구로 생산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15 64 , 인구의 규모를 의미.

⋙ 생산가능인구 구성비=(생산가능인구 총인구/ )×100

(23)

부양비 및 노령화지수 -3.

Dependency Ratios and Index of Aging

단위 명: , % In person, %

생산가능인구 세 (15~64 ) Population in Working Ages

세 0~14인구 0~14 Years

세 이상 65인구

Over 65 Years

노령화지수 Index of

Aging 총부양비

Dependency Ratio

유년부양비 Child Dependency

Ratio

노년부양비 Aged Dependency

Ratio

1990 29,700,607 44.3 10,973,592 36.9 2,195,084 7.4 20.0

1991 30,170,543 43.5 10,858,720 36.0 2,266,441 7.5 20.9

1992 30,610,680 42.9 10,791,426 35.3 2,345,856 7.7 21.7

1993 31,023,107 42.5 10,734,528 34.6 2,436,993 7.9 22.7

1994 31,445,602 42.0 10,653,446 33.9 2,542,492 8.1 23.9

1995 31,899,511 41.4 10,536,828 33.0 2,656,652 8.3 25.2

1996 32,326,522 40.8 10,403,277 32.2 2,794,882 8.6 26.9

1997 32,791,167 40.1 10,233,102 31.2 2,929,311 8.9 28.6

1998 33,125,933 39.7 10,091,517 30.5 3,069,053 9.3 30.4

1999 33,420,207 39.5 9,972,894 29.8 3,223,576 9.6 32.3

2000 33,701,986 39.5 9,911,229 29.4 3,394,896 10.1 34.3

2001 33,923,376 39.6 9,848,871 29.0 3,581,272 10.6 36.4

2002 34,110,668 39.6 9,725,532 28.5 3,778,932 11.1 38.9

2003 34,300,454 39.5 9,573,435 27.9 3,975,338 11.6 41.5

2004 34,482,994 39.4 9,417,397 27.3 4,181,772 12.1 44.4

2005 34,670,970 39.3 9,240,017 26.7 4,383,156 12.6 47.4

자료 통계청 장래인구특별추계: , , 2005. Source: NSO, Population Projections for Korea, 2005.

♣ 부 양 비:생산가능인구 만 세 만 세 에 대한 연소층인구( 15 ~ 64 ) (0~14 ),세 노년인구(65세 이상 그리고), 비생산 인구(0~14세와65세 이상 인구의 합 의 백분비) .

총부양비

={(0~14세 인구+65세 이상 인구)/15~64세 인구}×100 유년부양비

=(0~14세 인구/15~64세 인구)×100

노년부양비

=(65세 이상 인구/15~64세 인구)×100

♣ 노령화지수:연소층인구(0~14 )세 에 대한 노령층인구(65세 이상 의 비율) . 산식: (65세 이상 인구/0~14세 인구)×100

(24)

수도권 인구수 및 인구비율 -4.

Population of Capital Area & Ratio

단위 명: , % In person, %

전국 총인구 Total Population

수도권 인구 Population of Capital Area

인구비율수도권 Ratio 서울

Seoul 경기

Gyeonggi 인천

Incheon

1990 42,869,283 18,342,145 10,473,252 5,972,092 1,896,801 42.8 1991 43,295,704 18,735,055 10,461,122 6,294,496 1,979,437 43.3 1992 43,747,962 19,145,523 10,445,852 6,634,393 2,065,278 43.8 1993 44,194,628 19,561,129 10,420,119 6,987,963 2,153,047 44.3 1994 44,641,540 19,983,973 10,385,314 7,355,945 2,242,714 44.8 1995 45,092,991 20,413,857 10,342,224 7,737,864 2,333,769 45.3 1996 45,524,674 20,703,073 10,195,352 8,131,905 2,375,816 45.5 1997 45,953,582 20,985,939 10,115,551 8,449,371 2,421,017 45.7 1998 46,286,502 21,197,554 10,051,236 8,681,978 2,464,340 45.8 1999 46,616,677 21,422,955 10,035,808 8,892,806 2,494,341 46.0 2000 47,008,111 21,747,341 10,078,434 9,146,445 2,522,462 46.3 2001 47,353,519 22,091,697 10,081,047 9,458,625 2,557,025 46.7 2002 47,615,132 22,429,751 10,031,371 9,824,771 2,573,609 47.1 2003 47,849,227 22,755,749 10,013,677 10,165,039 2,577,033 47.6 2004 48,082,163 22,053,546 10,023,546 10,449,578 2,580,422 47.9 2005 48,294,143 23,336,075 10,033,274 10,711,195 2,591,606 48.3

자료 통계청 시도별 장래인구추계: , , 2005. Source: NSO, Population Projections by Provinces, 2005.

♣ 수도권 인구수 :행정구역상 서울 경기 인천지역에 거주하는 인구의 총수, , .

♣ 수도권 인구비율:총인구에 대한 수도권 인구의 비율로 인적자원의 수도권 지역 편중을 나타내는 지표임.

산식: {(서울 인천 경기 총인구+ + )/ }×100

(25)

학령인구수 -5.

Distribution of Schooling Age Population

단위 천명: In 1,000 persons

세 6~21합계

Aged Total

세 6~11

Aged 12~14세

Aged 15~17세

Aged 18~21세

Aged 계

Total 여자

Female 계

Total 여자

Female 계

Total 여자

Female 계

Total 여자

Female 1990 13,361 4,785 2,310 2,317 1,119 2,594 1,256 3,663 1,774 1991 13,114 4,662 2,248 2,313 1,118 2,481 1,200 3,658 1,774 1992 12,824 4,481 2,157 2,363 1,143 2,378 1,150 3,600 1,747 1993 12,508 4,265 2,050 2,438 1,180 2,311 1,117 3,493 1,694 1994 12,197 4,057 1,945 2,479 1,200 2,302 1,114 3,357 1,627 1995 11,917 3,901 1,862 2,442 1,181 2,349 1,137 3,224 1,561 1996 11,712 3,822 1,809 2,343 1,128 2,458 1,196 3,087 1,489 1997 11,545 3,822 1,801 2,179 1,045 2,499 1,215 3,043 1,472

1998 11,469 3,886 1,826 2,032 972 2,459 1,192 3,091 1,502

1999 11,432 3,980 1,865 1,925 919 2,330 1,123 3,196 1,555

2000 11,383 4,073 1,903 1,869 888 2,166 1,040 3,275 1,591

2001 11,281 4,151 1,940 1,847 871 2,017 965 3,266 1,583

2002 11,123 4,194 1,960 1,863 875 1,905 910 3,162 1,525

2003 10,926 4,184 1,959 1,916 897 1,847 879 2,979 1,430

2004 10,719 4,115 1,933 1,994 934 1,825 861 2,785 1,332

2005 10,537 4,018 1,891 2,064 966 1,840 865 2,615 1,247

자료 통계청 장래인구특별추계: , , 2005. Source: NSO, Population Projections for Korea, 2005.

♣ 학령인구수:6~21세까지의 각 학교급별에 해당하는 연령별 인구수. 6~11세는 초등교육학령,

12~17 는 중등교육학령, 18~21세는 고등교육학령임.

(26)

성 연령별 국민 평균교육년수 -6.

Average Years of Schooling by Sex and Age

단위 년: In year

Average평균 6~19세

Aged 20~29세

Aged 30~39세

Aged 40~49세

Aged 50세 이상

Age 50

& Over

1975 6.6 6.1 8.8 8.1 6.2 2.8

Male 7.6 6.3 9.2 9.3 7.9 4.0

Female 5.7 6.0 8.4 6.9 4.8 1.8

1980 7.6 6.5 9.9 9.2 7.6 4.1

Male 8.7 6.6 10.3 10.2 9.0 5.0

Female 6.6 6.1 9.4 8.1 6.0 2.2

1985 8.6 6.7 11.0 10.1 8.6 4.6

Male 9.7 6.7 11.3 11.0 10.0 6.5

Female 7.6 6.7 10.6 9.2 7.1 3.1

1990 9.5 7.7 12.0 11.1 9.5 5.5

Male 10.6 7.7 12.3 11.8 10.6 7.6

Female 8.6 7.8 11.8 10.4 8.4 3.9

1995 10.3 7.0 12.7 12.1 10.5 6.5

Male 11.2 6.7 12.7 12.7 11.4 8.5

Female 9.4 7.2 12.7 11.6 9.6 4.8

2000 10.6 5.7 13.1 12.8 11.2 7.2

Male 11.5 5.3 13.0 13.2 12.0 9.2

Female 9.8 6.0 13.2 12.5 10.5 5.5

자료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각년도: , , . Source: NSO, Population & Housing Census, various years.

♣ 국민 평균교육년수:6세 이상 인구 중에서 재학 중인 학생수를 제외한 전국민의 성별 연령대별 평균, , 교육년수임 각 학급별 중퇴자는 초교 중퇴는 년 중학 중퇴는. 3 , 7.5 ,년 고교 중퇴 10.5 ,년 초급 및 전문대 중퇴는13 ,년 대학 이상 중퇴는14년으로 계산함.

평균교육년수=국민의 총교육년수 만 세 이상 인구수 학생인구수/( 6 - )

(27)

국민의 학력구성비 세 이상

-7. (25 )

Composition of Population by Educational Attainment(25 Years Old & Over)

단위: % %

초졸 이하 Primary School Graduates & Under

Middle School중졸 Graduates

High School고졸 Graduates

대졸 이상 College, University Graduates & Over

1975 65.5 14.8 13.9 5.8

Male 53.1 17.7 19.7 9.5

Female 77.1 12.1 8.4 2.4

1980 55.3 18.1 18.9 7.7

Male 42.8 19.8 25.4 12.0

Female 67.0 16.5 12.9 3.6

1985 43.4 20.5 25.9 10.2

Male 31.9 20.5 32.1 15.5

Female 54.1 20.5 20.2 5.2

1990 33.4 19.0 33.5 14.1

Male 23.3 17.6 38.9 20.1

Female 43.0 20.3 28.4 8.3

1995 26.6 15.7 38.0 19.7

Male 17.8 14.2 41.4 26.6

Female 35.0 17.1 34.8 13.1

2000 23.0 13.3 39.4 24.3

Male 15.1 12.3 41.6 31.0

Female 30.4 14.3 37.3 18.0

자료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각년도: , , . Source: NSO, Population & Housing Census, various years.

♣ 학력구성비: 25세 이상의 성인 인구에 대한 각 교육단계별 졸업자의 구성비로 성인인구의 전반적인 학력수준을 나타냄 재학생 및 중퇴자는 바로 아래 단계의 학년으로 간주함. .

산식 교육단계별 졸업자수 윗단계 중퇴자 포함: { ( )/25세 이상의 성인인구수}×100

(28)

고등교육기관별 학생수 -8.

Number of Students by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단위 명: , % In person, %

총계1) Total

종합대 University

전문대 Junior College

기술대학산업대 Industrial University

교육대학 University of

Education

방송통신대학 Air & Corr.

College 여학생 비율

Female Ratio

1990 1,490,809 30.4 1,040,166 323,825 - 15,960 -

1991 1,540,961 31.1 1,052,140 359,049 - 16,019 -

1992 1,982,510 34.7 1,070,169 404,996 - 16,504 303,760

1993 2,099,735 35.5 1,092,464 456,227 - 17,158 327,895

1994 2,196,940 35.6 1,132,437 506,806 - 18,291 310,955

1995 2,343,894 36.2 1,187,735 569,820 - 19,650 314,977

1996 2,541,659 37.0 1,266,876 642,697 - 20,439 327,185

1997 2,792,410 37.6 1,368,461 724,741 - 20,948 370,879

1998 2,950,826 37.6 1,477,715 801,681 146,563 20,969 314,438 1999 3,154,245 37.7 1,587,667 859,547 158,444 21,323 316,365 2000 3,363,549 38.3 1,665,398 913,273 170,622 20,907 360,051 2001 3,500,560 38.6 1,729,638 952,649 180,068 21,418 370,661 2002 3,577,447 38.9 1,771,738 963,129 187,240 23,259 367,305 2003 3,558,111 38.9 1,808,539 925,963 191,656 23,552 308,290 2004 3,555,115 39.1 1,836,649 897,589 189,231 23,335 290,728 2005 3,548,728 39.0 1,859,639 853,089 188,753 25,141 282,023

자료 교육인적자원부 교육통계연보 각년도: , , . Source: MOE & HRD, Statistical Yearbook of Education, various years.

총계에는 각종학교 대학원 학생수 포함

1) , .

Total student includes the number of students enrolled in graduate schools and miscelleneous schools.

♣ 고등교육기관별 학생수:전문대 이상의 고등교육기관에 재학중인 학생수.

♣ 여학생 비율 :전문대 이상 고등교육기관에 재학중인 총학생수 대비 여학생비율.

⋙산식 여학생수 총학생수: ( / )×100

(29)

인구 만명당 고등교육기관 여학생수 -9. 10

The Number of Female Students Enrolled in High Educational Institutions, per 100,000 People

단위 명: In person

총 인구수 Total Population

총 고등교육기관 학생수 The Number of Total Students

Enrolled in High Educational Institutions

인구 만명당 고등교육기관 학생수10 The Number of Students Enrolled in High Educational Institutions, per

100,000 People 남

Male 여

Female 남

Male 여

Female

1990 42,869,283 1,037,298 453,511 2,419.7 1,057.9

1991 43,295,704 1,061,063 479,898 2,450.7 1,108.4

1992 43,747,962 1,295,220 687,290 2,960.6 1,571.0

1993 44,194,628 1,353,819 745,916 3,063.3 1,687.8

1994 44,641,540 1,414,572 782,368 3,168.7 1,752.6

1995 45,092,991 1,495,749 848,145 3,317.0 1,880.9

1996 45,524,681 1,601,484 940,175 3,517.8 2,065.2

1997 45,953,580 1,742,503 1,049,907 3,791.9 2,284.7

1998 46,286,503 1,841,641 1,109,185 3,978.8 2,396.3

1999 46,616,677 1,965,142 1,189,103 4,215.5 2,550.8

2000 47,008,111 2,076,787 1,286,762 4,417.9 2,737.3

2001 47,353,519 2,150,037 1,350,523 4,540.4 2,852.0

2002 47,615,132 2,185,896 1,391,551 4,590.8 2,852.5

2003 47,849,227 2,175,741 1,382,370 4,547.1 2,889.0

2004 48,082,163 2,163,361 1,391,754 4,499.3 2,894.5

2005 48,294,143 2,148,797 1,399,931 4,469.0 2,911.5

자료 통계청 장래인구특별추계: , , 2005. Source: NSO, The Future Estimated Population, 2005 교육인적자원부 교육통계연감 각년도, , . MOE & HRD, Statistical Yearbook of Education, various years.

♣ 인구 10만명당 고등교육기관 학생수:인구10만명당 고등교육기관에 재학 중인 성별 학생수로 성별 인적자원 개발의 규모를 비교할 수 있는 지표임.

⋙산식 성별 학생수 총인구수: ( / )×100,000

(30)

교육수준별 경제활동인구 분포 -10.

Distribution of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by Educational Attainment

단위 천명: In 1,000 persons

총 경제활동인구 Total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초졸 이하 Under Primary

School

중졸 Middle School

고졸 SchoolHigh

대졸이상 College

and University 여

Female 여

Female 여

Female 여

Female 여

Female 1990 18,539 7,509 5,299 3,000 3,597 1,497 7,054 2,372 2,589 640 1991 19,109 7,681 4,772 2,730 3,629 1,525 7,792 2,672 2,916 754 1992 19,499 7,805 4,583 2,647 3,496 1,470 8,128 2,827 3,293 861 1993 19,806 7,924 4,347 2,504 3,341 1,435 8,513 3,039 3,605 947 1994 20,353 8,179 4,316 2,484 3,396 1,476 8,859 3,190 3,782 1,029 1995 20,845 8,410 4,214 2,457 3,382 1,479 9,200 3,321 4,048 1,153 1996 21,288 8,638 4,115 2,404 3,417 1,501 9,435 3,452 4,322 1,280 1997 21,782 8,938 4,124 2,431 3,599 1,588 9,563 3,539 4,495 1,380 1998 21,428 8,576 3,732 2,191 3,119 1,412 9,531 3,466 5,046 1,507 1999 21,666 8,785 3,715 2,199 3,153 1,449 9,626 3,529 5,171 1,608 2000 22,134 9,101 3,688 2,217 3,177 1,475 9,830 3,651 5,439 1,757 2001 22,471 9,299 3,597 2,157 3,071 1,436 10,035 3,795 5,768 1,911 2002 22,921 9,486 3,509 2,091 3,055 1,421 10,225 3,897 6,131 2,076 2003 22,957 9,418 3,240 1,896 2,761 1,273 10,007 3,892 6,948 2,356 2004 23,417 9,690 3,147 1,852 2,766 1,274 10,209 4,019 7,296 2,545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 각년도: , , . Source: NSO, Annual Report on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various years.

♣ 교육수준별 경제활동인구 분포:만 세 이상 인구 중 경제활동인구 조사대상 주간동안의 취업자와15 실업자의 교육수준별 분포로 경제활동인구의 질적 수준을 파악할 수 있음.

(31)

계열별 학위 석사 박사 취득자 수 계속

-11. ( , ) ( )

Number of Persons Granted with Masters Degrees & Doctorates(continue)

단위 명: In person

인문계

Humanities 사회계

Social Sciences 자연계

Natural Sciences 석사

Master s Degree

박사 Doctor-

ates

여자1)

Female 석사

Master s Degree

박사 Doctor-

ates

여자1)

Female 석사

Master s Degree

박사 Doctor-

ates

여자1) Female

1990 1,794 365 770 4,823 424 608 6,634 909 1,043

1991 2,088 447 893 5,311 495 641 6,983 1,052 1,174

1992 2,133 487 881 5,627 576 719 7,288 1,132 1,275

1993 2,326 531 1,029 5,888 648 912 7,799 1,422 1,534

1994 2,380 487 1,071 6,020 636 1,002 8,694 1,489 1,731

1995 2,336 588 1,150 6,196 664 1,099 10,090 1,621 1,974

1996 2,376 545 1,170 6,368 728 1,334 10,679 1,846 2,021

1997 2,536 564 1,260 6,181 733 1,382 11,582 2,062 2,219

1998 2,944 548 1,356 7,256 733 1,783 13,614 2,156 2,533

1999 3,588 530 1,556 8,383 823 2,381 15,750 2,440 3,015

2000 4,276 581 1,734 9,782 935 2,982 17,574 2,637 3,393

2001 4,695 533 1,844 11,582 883 3,889 19,238 2,769 4,009

2002 5,146 639 2,104 13,176 951 4,605 19,011 3,050 4,488

2003 6,921 668 3,058 14,219 959 5,003 19,946 3,183 4,952

2004 7,160 643 3,335 14,816 1,188 5,275 6,178 1,545 3,238

2005 7,157 759 3,544 15,726 1,222 5,736 6,209 1,531 3,278

자료 교육인적자원부 교육통계연보 각년도: , , . Source: MOE & HRD, Statistical Yearbook of Education, various years.

여자의 경우 석사와 박사학위 취득자수를 합한 숫자임

1) .

The number indicates the number of female recipients of master s degrees and doctorates.

♣ 계열별 학위 석사 박사 취득자수( , ) :고등교육의 계열별 석사 및 박사학위 취득자수로 전문인력의 인적 자원개발 규모를 파악하는 지표임.

(32)

계열별 학위 석사 박사 취득자 수

-11. ( , )

Number of Persons Granted with Masters Degrees & Doctorates

단위 명: In person

의약계

Medical & Pharmacy 예체계

Art & Physical Education 교육계 Education 석사

Master s Degree

박사 Doctor-

ates

여자1)

Female 석사

Master s Degree

박사 Doctor-

ates

여자1)

Female 석사

Master s Degree

박사 Doctor-

ates

여자1) Female

1,904 674 579 1,129 26 749 3,504 83 1,287 1990

1,916 839 594 1,275 39 866 3,966 108 1,499 1991

2,150 806 701 1,367 63 944 3,873 147 1,576 1992

2,160 884 821 1,484 73 1,016 4,862 153 2,048 1993

2,337 977 817 1,514 78 1,056 4,842 151 2,133 1994

2,492 992 927 1,507 64 1,090 4,777 178 2,232 1995

2,597 1,100 973 1,715 90 1,250 5,454 153 2,591 1996

2,693 1,153 1,164 1,813 104 1,284 5,550 176 2,788 1997

3,167 1,236 1,288 2,042 137 1,490 5,852 189 3,117 1998

3,606 1,433 1,569 2,366 149 1,567 7,789 211 3,873 1999

3,883 1,598 1,733 2,600 176 1,742 9,111 226 4,651 2000

3,957 1,634 1,988 2,914 143 1,912 10,723 259 5,872 2001

4,260 1,659 2,120 3,380 156 2,240 12,018 303 7,043 2002

4,430 1,905 2,406 3,695 220 2,489 15,021 305 9,372 2003

4,865 2,012 2,720 4,077 300 2,792 15,786 349 10,233 2004

5,283 2,180 3,070 4,032 392 2,841 16,562 380 11,318 2005

자료 교육인적자원부 교육통계연보 각년도: , , . Source: MOE & HRD, Statistical Yearbook of Education, various years.

여자의 경우 석사와 박사학위 취득자수를 합한 숫자임

1) .

The number indicates the number of female recipients of master s degrees and doctorates.

♣ 계열별 학위 석사 박사 취득자수( , ) :고등교육의 계열별 석사 및 박사학위 취득자수로 전문인력의 인적 자원개발 규모를 파악하는 지표임.

(33)

국가기술자격 검정 현황

-12. (2004)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ion Qualification, 2004

단위 명: , % In person, %

자격취득1) 총 인원수 Total Acquired

People

실적 Results 원서접수

Receipt of Applications 응시

Participation 합격2)

Success in The Test 합격률 Success Ratio 총계

Total 8,166,035 2,274,535 1,796,804 502,596 28

기술사

Technician 27,197 22,091 15,639 1,167 7.5

기능장 Master

Craftsman 8,967 10,690 9,430 1,458 15.5

기사

Engineer 832,428 527,344 379,102 87,253 23

산업기사 Industrial Engineer

964,223 431,794 324,184 70,421 21.7

기능사3)

Craftsman 6,002,657 1,260,612 1,052,970 340,487 32.3

전문사무 Professional

Business

7,609 22,004 15,479 1,810 11.8

자료 한국산업인력공단 국가기술자격검정 통계연보: , , 2005. Sourc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Statistical Yearbook of National Skill Qualification, 2005.

자격취득 총 인원수

1) : 1977~2003.

Total number of people who acquired certificate from 1977~2003.

년도에 최초 원서제출 최초 수검 및 최종합격한 자임

2) 2003 , .

Those first applying, taking and passing the test in 2003.

기능사보 인원수는 포함되지 않았음

3) .

The number of assistant craftsman is not included.

⋙합격률=(합격자수 응시자수/ )×100

(34)

외국인 근로자수 -13.

Number of Foreign Workers

단위 명: In person

외국인근로자 Foreign Workers

교수 및연구 Teaching, Research

회화지도 Conversation

Instruction

기술지도 Technical Adviser

특정직업전문 및 Specific Occupations (Physicians,

etc.)

예술흥행 Entertainment

연수취업 Employed Persons

after Training

산업연수 Industrial Training

1993 11,815 526 1,136 320 1,367 418 - 8,048

1994 29,315 636 2,241 396 1,429 563 - 24,050

1995 50,944 937 4,230 599 1,864 598 - 42,716

1996 81,440 1,332 7,473 918 2,680 1,017 - 68,020

1997 105,024 1,519 7,607 997 3,088 1,444 - 90,369

1998 75,357 1,381 4,927 471 3,231 1,133 - 64,214

1999 91,537 1,343 5,009 347 3,628 2,265 - 78,945

2000 122,549 1,450 6,414 338 3,516 3,916 2,068 104,847

2001 128,539 1,614 8,388 206 3,211 5,092 9,684 100,344

2002 137,342 1,952 10,864 195 3,580 5,285 18,609 96,857

2003 145,532 2,288 10,822 215 3,710 4,060 28,761 95,676

자료 법무부 출입국관리통계연보 각년도: , , . 통계청 한국의 사회지표 각년도, , .

Source: Ministry of Justice, Statistical Yearbook on Departures & Arrivals, various years.

NSO, Social Indicators in Korea, various years.

♣ 외국인 근로자수 및 비율: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 근로자의 수 및 비율로 국내에 있는 외국인 인적자원의 규모를 파악할 수 있음 본 자료는 출입국 관리통계연보의 체류. 유형별 외국인 등록자수를 사용하였음.

⋙취업자 만명당 외국인 근로자 비율=(외국인 근로자수 총취업자/ )×10,000

♣ 출입국관리통계연보 자료는 2006년 5월 중에 발간될 예정이며 발표 되는대로, NHRD-Net (http://www.nhrd.net) 한국의 인적자원개발지표 에 탑재할 예정임.

(35)

의료인력 인당 인구수 -14. 1

Number of Population Per Medical Personnel

단위 명: In 1,000 person, person

의사천명

( )

Physicians 인당 인구 명1 ( )

Persons per Physician

치과의사(천명) Dentists

인당 인구 명1 ( ) Persons

per Dentist

간호사1) 천명

( )

Nurses 인당 인구 명1 ( ) Persons

per Nurse

한의사(천명) Oriental Medical Doctors

인당 인구 명1 ( ) Persons

per Oriental Medical Doctor

약사천명

( )

Pharmacists 인당 인구 명1 ( )

Persons per Pharmacist

1990 42.5 1,007 9.6 4,457 224.7 191 5.7 7,401 37.1 1,155

1991 45.4 952 10.1 4,271 239.0 181 6.1 7,074 38.3 1,128

1992 48.3 904 11.2 3,877 254.1 172 6.8 6,397 39.5 1,106

1993 51.5 858 12.1 3,628 269.9 164 7.5 5,839 40.7 1,084

1994 54.4 821 12.9 3,450 291.5 153 8.1 5,458 42.0 1,062

1995 57.1 789 13.6 3,296 309.1 146 8.7 5,175 43.2 1,042

1996 59.3 767 14.3 3,169 324.9 140 9.2 4,898 44.5 1,022

1997 62.6 735 15.3 2,990 341.4 135 9.2 4,951 45.8 1,004

1998 65.4 710 16.1 2,879 359.8 129 9.9 4,683 46.9 988

1999 69.7 672 17.2 2,712 389.8 120 11.3 4,130 49.2 952

2000 72.5 648 18.0 2,606 160.2 293 12.1 3,911 50.6 929

2001 75.2 629 18.8 2,507 170.8 277 12.7 3,700 51.8 913

2002 78.6 606 19.6 2,422 181.8 262 13.6 3,487 53.1 896

2003 81.3 589 20.4 2,344 192.4 249 14.5 3,293 54.3 881

자료 보건복지부 보건복지통계연보 각년도: , , . Sourc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Yearbook of Health & Welfare Statistics, various years.

년까지는 간호조무사 포함 년부터 간호조무사 제외

1) 1999 , 2000 .

Includes assistant nurse to 1999 & Excludes assistant nurse after 2000.

♣ 의료인력 1인당 인구수: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간호사 약사 등 의료면허등록을 한 의료인력 인당, , , , 1 인구수로 전반적인 의료수준을 나타냄.

⋙산식 총인구수 의료인구수: ( / )

♣ 보건복지통계연보 자료는 2006년 4월 말에 발간될 예정이며, 발표 되는대로 NHRD-Net (http://www.nhrd.net) 한국의 인적자원개발지표 에 탑재할 예정임.

(36)

연령계층별 학생의 신장 체중 및 신체중량지수 계속

-15. , ( )

Average Height, Weight & Body Mass Index of Students by Age(continue)

단위: cm, kg

신장Height 체중Weight

세 6~11

Aged 12~14세

Aged 15~17세

Aged 6~11세

Aged 12~14세

Aged 남

Male 여

Female 남

Male 여

Female 남

Male 여

Female 남

Male 여

Female 남

Male 여

Female 1990 131.2 131.1 156.5 154.0 168.6 158.1 29.0 28.6 46.9 46.4 1991 131.6 131.3 157.1 154.0 168.8 158.1 29.4 28.9 47.5 46.8 1992 132.0 131.7 157.6 154.8 169.2 158.4 29.7 29.4 48.1 47.3 1993 132.4 132.1 158.2 155.1 169.7 158.7 30.2 29.6 48.9 47.9 1994 132.6 132.4 158.5 155.4 170.0 159.0 30.4 29.9 49.1 48.3 1995 133.0 132.7 159.1 155.9 170.2 159.4 30.8 30.2 49.7 48.7 1996 133.1 132.9 159.4 156.0 170.8 159.5 31.0 30.2 50.2 48.9 1997 133.3 133.1 159.9 156.3 171.1 159.8 31.3 30.5 50.8 49.2 1998 133.5 133.1 160.2 156.4 171.5 159.9 31.4 30.5 51.1 49.2 1999 133.7 133.3 160.7 156.5 171.6 160.0 31.5 30.6 51.6 49.1 2000 134.0 133.6 161.3 156.9 171.9 160.1 32.2 31.1 52.7 49.7 2001 134.2 133.6 161.5 156.9 172.1 160.2 32.6 31.3 53.4 49.9 2002 134.4 134.0 161.7 157.0 172.2 160.4 33.1 31.9 54.4 50.5 2003 134.8 134.3 162.3 157.3 172.7 160.7 33.3 32.0 54.7 50.7 2004 134.8 134.4 162.4 157.3 172.6 160.7 33.4 31.9 55.2 50.7

자료 교육인적자원부 교육통계연보 각년도: , , . Source: MOE & HRD, Statistical Yearbook of Education, various years.

♣ 연령계층별 학생의 신장 체중, :6세에서17세 사이 성장기의 학생표본을 대상으로 한 연령계층별, 성별 평균 신장 및 체중.

♣ 신체중량지수(BMI) :체중과 신장으로 구할 수 있는 비만도 측정에 유용한 지표.

⋙산식 체중: (kg)/신장(m)2

(37)

연령계층별 학생의 신장 체중 및 신체중량지수

-15. ,

Average Height, Weight & Body Mass Index of Students by Age

단위: kg, cm cm, kg

체중Weight 신체중량지수BMI

세 15~17

Aged 6~11세

Aged 12~14세

Aged 15~17세

Aged 남

Male 여

Female 남

Male 여

Female 남

Male 여

Female 남

Male 여

Female

58.8 52.6 16.6 16.4 19.1 19.5 20.7 21.0 1990

59.1 53.0 16.8 16.5 19.2 19.7 20.8 21.2 1991

59.7 53.2 16.9 16.7 19.3 19.7 20.8 21.2 1992

60.5 53.4 17.0 16.7 19.5 19.9 21.0 21.2 1993

60.6 53.5 17.1 16.8 19.5 20.0 21.0 21.1 1994

61.3 53.6 17.2 16.9 19.6 20.0 21.1 21.1 1995

61.9 53.8 17.3 16.8 19.7 20.1 21.2 21.1 1996

62.1 54.1 17.4 16.9 19.8 20.1 21.2 21.2 1997

62.1 54.1 17.4 17.0 19.9 20.1 21.1 21.2 1998

62.4 54.0 17.4 17.0 19.9 20.0 21.2 21.1 1999

63.1 54.1 17.7 17.2 20.2 20.2 21.3 21.1 2000

63.8 54.3 18.1 17.3 20.5 20.7 21.2 20.8 2001

64.7 54.6 18.3 17.8 20.8 20.5 21.8 21.2 2002

66.0 54.7 18.1 17.5 20.9 20.5 22.1 21.3 2003

65.9 55.0 18.4 17.7 20.9 20.5 22.1 21.3 2004

자료 교육인적자원부 교육통계연보 각년도: , , . Source: MOE & HRD, Statistical Yearbook of Education, various years.

(38)

연령계층별 대학 이상 고등교육이수자 비율

-16. (2003)

Percentage of The Population That Has Attained at Least Upper Secondary Education, by Age Group, 2003

단위: % %

연령계층별 대학 이상 고등교육이수자 비율

The Rate of Those with Associated Degrees and High by Age Group 25 64세

Aged 25 34세

Aged 35 44세

Aged 45 54세

Aged 55 64세

Aged 북미 North America

캐나다 84 90 86 83 71 Canada

미국 87 88 88 89 85 U.S.A

태평양 연안 Asia & Pacific

한국 73 97 83 55 32 Korea

호주 62 75 64 58 47 Australia

일본 84 94 94 82 65 Japan

뉴질랜드 78 84 81 76 64 New Zealand

유럽 Europe

오스트리아 79 85 83 75 69 Austria

벨기에 62 78 68 55 43 Belgium

덴마크 81 86 82 80 74 Denmark

핀란드 76 89 85 73 55 Finland

프랑스1) 65 80 69 59 48 France1)

독일 83 85 86 84 78 Germany

아일랜드 62 78 67 52 38 Ireland

이탈리아 44 60 50 39 24 Italy

룩셈부르크 59 68 61 54 50 Luxembourg

네덜란드 66 76 71 62 53 Netherlands

포르투갈 23 37 22 16 10 Portugal

스페인 43 60 48 33 19 Spain

스웨덴 82 91 88 80 69 Sweden

영국1) 65 71 65 64 57 United Kingdom1)

기타OECD회원국 Other OECD Countries

노르웨이 87 95 92 85 76 Norway

폴란드 48 57 49 46 40 Poland

스위스 70 76 72 68 61 Switzerland

자료(Source): OECD,Education at a glance, 2005.

1)모든ISCED 3프로그램이ISCED 3장기 프로그램의 최소요구치 조건 에 부합하는 것은 아님( ) . Not all ISCED 3 programmes meet minimum requirements for ISCED 3C long programmes.

♣ 연령계층별 고등교육이수자 비율:25~64세 이하 인구의 고등교육 이수자의 연령계층별 비율.

참조

Outline

관련 문서

• Heat conduction with a electrical heat source, a nuclear heat source, a viscous heat source, and a chemical heat source.. • Heat conduction

5-4.. Source : Korea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1996. Educational Indicators in Korea, 1997.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People’s perseverance conserved the archival culture through the Jeongjoksan Archives and the Oegyujanggak (Royal Library) in Gangwha, the refuge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s vs.. Source : Ministry of Education, Statistical Yearbook of Education, various year.. Source : Ministry of Education, Statistical Yearbook

And we introduce you to the terminal caracteristics, and linear and lumped constant characteristics about electric circuit elements, which are voltage source,

• Tradeoff: For all the nice properties of Cascode, the “stacking” of M 2 on top of M 1 1 reduces the swing.. V out

Sourc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nual Report on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various years.. In 1989, the Labor Standard Act was revised to ‘44

Notes : According to the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Industry Source: NSO, Social Statistics Survey - Raw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