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조선대학교 조선대학교 조선대학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조선대학교 조선대학교 조선대학교 "

Copied!
6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

2008년 2월

교육학석사(기술․가정교육)학위논문

중등 중등 중등

중등 기술교과 기술교과 기술교과 기술교과 교육과정 교육과정 교육과정 개선을 교육과정 개선을 개선을 위한 개선을 위한 위한 위한 국제

국제 국제

국제 비교 비교 비교 연구 비교 연구 연구 연구

조선대학교 조선대학교 조선대학교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대학원 교육대학원 교육대학원

기술 기술

기술 기술․․․․가정교육전공 가정교육전공 가정교육전공 가정교육전공

김 김 김

김 진 진 진 진 희 희 희 희

(3)

중등 중등

중등 중등 기술교과 기술교과 기술교과 기술교과 교육과정 교육과정 교육과정 개선을 교육과정 개선을 개선을 위한 개선을 위한 위한 위한 국제 국제 국제

국제 비교 비교 비교 연구 비교 연구 연구 연구

An An An

An International International International Comparison International Comparison Comparison Comparison Study Study Study to Study to to to Improve Improve Improve Improve the the the the Curriculum

Curriculum Curriculum

Curriculum in in in in Secondary Secondary Secondary Secondary Education Education Education of Education of of of Technology Technology Technology Technology

2008 2008 2008

2008 년 년 2 년 년 2 2 2 월 월 월 월

조선대학교 조선대학교 조선대학교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대학원 교육대학원 교육대학원

기술 기술

기술 기술․․․․가정교육전공 가정교육전공 가정교육전공 가정교육전공

김 김

김 김 진 진 진 진 희 희 희 희

(4)

중등 중등

중등 중등 기술교과 기술교과 기술교과 기술교과 교육과정 교육과정 교육과정 개선을 교육과정 개선을 개선을 위한 개선을 위한 위한 위한 국제 국제 국제

국제 비교 비교 비교 연구 비교 연구 연구 연구

지도교수 지도교수 지도교수

지도교수 정 정 정 정 수 수 수 수 복 복 복 복

이 논문을 교육학석사 (기술․가정교육)학위 청구논문으로 제출함 .

2007 2007

2007 2007 년 년 10 년 년 10 10 10 월 월 월 월

조선대학교 조선대학교 조선대학교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대학원 교육대학원 교육대학원

기술 기술

기술 기술․․․․가정교육전공 가정교육전공 가정교육전공 가정교육전공

김 김

김 김 진 진 진 진 희 희 희 희

(5)

김진희의 김진희의 김진희의

김진희의 교육학 교육학 교육학 교육학 석사학위 석사학위 석사학위 석사학위 논문을 논문을 논문을 논문을 인준함

인준함 인준함 인준함 . . . .

심사위원장 심사위원장 심사위원장

심사위원장 조선대학교 조선대학교 조선대학교 조선대학교 교수 교수 교수 교수 인 인 인 인

심사위원 심사위원 심사위원

심사위원 조선대학교 조선대학교 조선대학교 조선대학교 교수 교수 교수 교수 인 인 인 인

심사위원 심사위원 심사위원

심사위원 조선대학교 조선대학교 조선대학교 조선대학교 교수 교수 교수 교수 인 인 인 인

2007 2007

2007 2007년 년 년 12 년 12 12 12월 월 월 월

조선대학교 조선대학교 조선대학교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대학원 교육대학원 교육대학원

(6)

목 목 목 목 차 차 차 차

목 차 ⅰ

표 목차 ⅲ

그림 목차 ⅳ

ABSTRACT ⅴ

Ⅰ Ⅰ

Ⅰ Ⅰ 서 서 서 서 론 론 론 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연구의 내용 2

C 연구의 제한점 2

Ⅱ Ⅱ

Ⅱ Ⅱ 이론적 이론적 이론적 이론적 배경 배경 배경 배경 3

A 교육과정의 정의 3

B 교육과정의 유형 4

1. 교과 중심 교육과정 4

2. 경험 중심 교육과정 5

3. 학문 중심 교육과정 5

4. 인간 중심 교육과정 6

C 교육과정 조직의 원리 7

1. Tyler의 학습 경험 조직의 원리 7

2. Bruner의 나선형 교육과정 7

D 기술교과 교육의 개념 8

E 기술교과 교육과정 11

1. 기술교과 교육과정 프로젝트(IACP)이론 11 2. 잭슨밀 기술 교과 교육과정 이론(JMIACT) 14

3. 미국 오하이오주 기술교육 모형 16

4. 기술교과 교육 내용의 구조 17

(7)

Ⅲ Ⅲ

Ⅲ Ⅲ 한국 한국 한국 한국 ․․․․ 미국 미국 미국 미국 ․․․․ 일본 일본 일본 기술교과 일본 기술교과 기술교과 기술교과 교육 교육 교육 교육 비교 비교 비교 비교 19

A 한국․미국․일본 기술교과 교육목표 비교 19

1. 한국의 기술교과 교육목표 19

2. 미국의 기술교과 교육목표 23

3. 일본의 기술교과 교육목표 25

B 한국 ․ 미국 ․ 일본 기술교과 교육내용 비교 26

1. 한국의 기술교과 교육내용 26

2. 미국의 기술교과 교육내용 28

3. 일본의 기술교과 교육내용 30

C 한국 ․ 미국 ․ 일본 기술교과 교육방법 및 평가비교 32

1. 한국의 기술교과 교육방법 및 평가 32

a. 교육방법 32

b. 교육평가 35

2. 미국의 기술교과 교육방법 및 평가 38

a. 교육방법 38

b. 교육평가 39

3. 일본의 기술교과 교육방법 및 평가 40

a. 교육방법 40

b. 교육평가 41

D 한국 ․ 미국 ․ 일본 기술교과 교육과정의 종합 비교 44

1. 기술교과 교육의 교육목표 종합비교 44

2. 기술교과 교육의 교육내용 종합비교 45

3. 기술교과 교육의 교육방법 및 평가 종합비교 46

Ⅳ 결론 결론 결론 결론 및 및 및 및 제언 제언 제언 제언 48

A 결론 48

B 제언 49

참고문헌 51

(8)

표 목차

<표 1> 교육과정의 변천 4

<표 2> 중학교 기술 교과 교육 목표의 변천 20

<표 3> 기술교과 교육의 기능과 목표 22

<표 4> 한국의 중학교 기술교과 교육 목표 22

<표 5> 미국 IACP와 JMIACP에서 규정한 기술교과 교육의 목표 23

<표 6> 미국직업교육협회에서 규정한 기술교과 교육 목표 24

<표 7> 일본의 기술․가정교과 교육 목표 25

<표 8> 한국의 중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의 교육 내용 27

<표 9> 미국의 주별 기술 교과 내용 체계 29

<표 10> 일본의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의 내용체계 31

<표 11>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기술교과 교육 방법 33

<표 12> 한국의 기술교과 교수 - 학습 과정 35

<표 13> 한국의 기술교과 영역별 평가 방법 35

<표 14> 한국의 기술교과 교육 방법 및 평가 37

<표 15> 캘리포니아주의 기술교과 교수 - 학습 계획 38

<표 16> 미국의 기술교과 교육 방법 및 평가 40

<표 17> 일본의 기술교과 교육 방법 및 평가 43

<표 18> 한국 ․ 미국 ․ 일본 간의 기술 교과 교육목표 비교 44

<표 19> 한국 ․ 미국 ․ 일본 간의 기술 교과 교육내용 비교 46

<표 20> 한국 ․ 미국 ․ 일본 간의 기술 교과 교육방법 및 평가 비교 47

(9)

그림 그림 그림

그림 목차 목차 목차 목차

<그림 1> IACP가 인식하는 인간 지식의 영역 12

<그림 2> IACP의 산업 관련도 13

<그림 3> IACP에 의한 기술 교과 내용 모형 13

<그림 4> JMIACT가 인식하는 지식의 영역 14

<그림 5> JMIACT의 기술교과 교육 과정 상호작용 모형 15

<그림 6> 오하이오주 기술교과 교육모형 16

<그림 7> 기술교과 내용 구조모형 17

(10)

ABSTRACT ABSTRACT ABSTRACT ABSTRACT

An An An

An international international international international comparison comparison comparison comparison study study study study to to to improve to improve improve the improve the the the curriculum

curriculum curriculum

curriculum in in in in secondary secondary secondary secondary education education education education of of of of technology technology technology technology

Kim, Jin-Hee

Advisor : Prof. Chung, Soo-Bok

Department of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curriculum in education of technology in Korea with those in Japan and USA that have long histories, have clarified the academic system, and have influenced in the field of education of technology; as a result, this study provides developmental ways for education of technology in Korea.

Through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object, the content, the system and the evaluation of education, this study gets following results.

First of all, the object in education of technology in korea was lack in providing abilities to solve problems, creativities and self-expression abilities.

Second, education of technology in Korea focuses on technology itself while the education in Japan has an emphasis on life technology and the education in USA deals with general areas of technology such as logistics of production, product management, safety habit, good use of leisure and mathematical ability.

Third, lecture was mostly used as an education method of technology. In particular, Korea is inclined to depend on the traditional method in lecturing, whereas Japan and USA have applied actual training in the technology class.

Fourth, Korea depends on accomplishment test such as a regular test(theory and practical test), while Japan and USA have done irregular and comprehensive test to promote the qualities of classes.

(11)

Ⅰ. 서론 서론 서론 서론

A.

A.

A.

A. 연구의 연구의 연구의 목적 연구의 목적 목적 목적 및 및 및 필요성 및 필요성 필요성 필요성

교육과정이란 한 나라의 교육방침을 구체화한 것이며, 이 교육과정은 현재의 학 생이 교육을 통하여 앞으로 어떤 사람이 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바람, 그리고 그러 한 사람으로 육성시키는데 필요한 교육의 내용과 방법 등을 어떻게 할 것인가 하 는 학교교육의 설계도이다. 그러므로 교육과정에 담겨진 내용과 운영 방법에 따라 그 나라의 교육 특성과 질을 결정하게 되며, 더 나아가 교육과정은 그 나라의 미 래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1)

최근 세계 각국은 정치, 사회·문화적, 경제 그리고 교육 등 전반에 걸쳐 그 어 느 때보다도 상호 밀접하게 서로 배우며 발전하고 있다. 특히, 교육 부문에서는 교육 발전을 위하여 각 나라 사이에 활발한 교육적 교류 및 연구가 이루어져 왔 다. 즉, 다른 나라의 교육과 교육 제도를 그 나라의 역사적, 정치적, 사회·문화 적, 경제적 그리고 종교적 상황에 관련시켜 신중하게 비교, 분석하여 각국 간의 유사성과 상이성을 분석, 종합함으로써 자국의 교육 개선에 도움이 되는 시사점을 찾고 있다.

우리는 고도의 정보화 사회를 앞 둔 무한 경쟁 시대 속에서 치열한 삶을 살고 있다. 특히, 기술교육은 새로운 지식과 기술, 그리고 새로운 문화를 창조할 수 있 는 역량있는 인간을 육성해 낼 수 있는 중요한 분야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 의 교육 현실은 전통적인 인문학 숭상의 사고방식과 입시 위주의 그릇된 교육 풍 토 속에서 아직도 기술교육에 소홀하고 있다.

세계 각국의 선진국들은 국민의 기술적 소양을 높이기 위한 전략을 강구하고 있 으며, 기술적 소양의 표준들을 연구 개발하고 있다. 21세기 지식 기반사회, 정보 화 사회를 맞이하면서 점차 자국의 기술 교과에 대한 관심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 특히 주변의 선진국의 기술 교과 교육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기술 교과 교육에 대한 국제적 표준이나 공통 교육 내용에 대한 관심도

1) 임갑철. 『공업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제의 한 ․ 일 비교』,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 교, 1997, p1

(12)

높아지고 있다. 민주 국가의 기반 강화, 평화와 통일, 국가 간 경쟁의 심화, 지방 분권화, 학교의 특성화와 민주화, 교사의 전문화, 교육의 질적 향상, 학부모와 학 생의 요구의 다양화, 시설과 재정의 열악성 등 우리나라 교육의 다양한 요구에 적 합한 기술 교과 교육과정을 만들어 가기 위해 기술교과 교육에 대한 국제적 비교 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중등학교 기술교과의 교육과정을 비교함에 있어서, 우리 보다 오랜 기술 교육의 역사를 가지고 학문적 체계를 분명하게 정립하였고, 한국과 지리적, 경제적, 정치적으로 가장 가까우며 가장 큰 영향을 끼치고 있는 일본과 미국의 기 술 교과 교육 과정을 심도 있게 비교 ․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기술 교육의 발전적 인 방향을 모색하려는 데 본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이 있다.

B. B.

B. B. 연구의 연구의 연구의 내용 연구의 내용 내용 내용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의 내용을 설정하였다.

첫째, 한국, 미국, 일본의 기술교과의 교육 목표를 비교 분석한다.

둘째, 한국, 미국, 일본의 기술교과의 교육 내용을 비교 분석한다.

셋째, 한국, 미국, 일본의 기술교과의 교육 방법 및 평가를 비교 분석한다.

넷째, 각 국 비교를 통해 기술교과 교육과정을 개선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C.

C.

C.

C. 연구의 연구의 연구의 제한점 연구의 제한점 제한점 제한점

첫째, 본 연구의 범위는 기술 교육을 실시하는 여러 나라 중 우리나라를 비롯한 미국, 일본의 중등 기술 교과 교육 과정의 목표와 내용, 방법 및 평가 등으로 제 한하였다.

둘째, 미국의 경우는 주마다 별도의 교육 과정이 편성 ․ 운영되므로 그 중에 캘 리포니아, 노스캐롤라이나, 뉴욕 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셋째, 각 국의 ‘교육과정문서’를 중심으로 한 문헌 연구 이므로 실제적인 교 과 운영의 현황과 실태를 파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13)

Ⅱ. . . . 이론적 이론적 이론적 이론적 배경 배경 배경 배경

A.

A.

A.

A. 교육과정의 교육과정의 교육과정의 정의 교육과정의 정의 정의 정의

교육 과정의 의미는 보는 시각과 관점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되고 있다. 교육 과 정을 넓게 생각하느냐, 좁게 생각하느냐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질 수도 있고, 어 디에 전제와 중점을 두고 있느냐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다. 또, 누가 어느 수준 에서 어떠한 준거와 방법으로 교육 내용을 결정하느냐에 따라서도 달라지게 된다.

‘쿠레레(currere)'라는 어원으로부터 출발한 ’교육 과정(curriculum)'이라는 용어는 경기코스, 트랙, 나아가 수행해야 할 교수요목(course of study)을 의미하 고 있다. 전통적으로 학교는 학생들에게 무엇인가를 가르쳐 왔다. 학생들에게 무 엇인가를 의도적으로 가르치는 행위를 ‘교육’이라고 본다면, 그 ‘무엇’이 교 육의 내용이 된다. 따라서, 의도적인 학교 교육에서 학생들에게 어떠한 교육 목표 를 성취시키기 위하여 일정한 수준의 교육 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해 놓은 공통적인 기준을 ‘교육 과정’이라고 하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었다.

교육 과정에 대한 개념 규정의 어려움은 근본적으로 교육을 보는 시각, 인간과 사회를 보는 시각, 즉 사물을 보는 철학적 견해의 차이에서 온다. 우리는 흔히

‘교육한다’는 말에서 핵심이 되는 요소로 교육의 대상(학생), 교육의 내용(교육 과정), 교육하는 사람(교사)을 생각하고 있다. 이것은 누가, 누구에게, 무엇을, 어떻게 가르치고 평가하느냐 하는 문제와 관련된다. 이 세 가지 요소 중에서 ‘무 엇’에 해당되는 것만을 교육 과정으로 생각한다면, 교육 과정 개념의 규정은 오 히려 쉬울 것이다. 그러나 가르치고 배우는 내용이 배우는 학생이나 가르치는 교 사와 무관할 수는 없다는 점에서 ‘왜, 무엇을, 어떻게 가르치고 배우느냐’는 것 에 대한 복잡한 의사 선택과 결정의 어려움이 뒤따르게 되는 것이다.

어떤 사람은 교육 과정을 학생들에게 가르쳐야 할 내용의 주제나 개념을 열거한 것이라고 하고, 어떤 사람은 학교의 지도 아래 계획적으로 제공하는 모든 경험이 라고도 한다. 또, 어떤 사람은 학습 프로그램이라 하기도 하고, 교과목의 모음으 로 설명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교과와 교과 외의 활동, 상담 지도, 대인 관계 등을 모두 포함하는 학교 내의 모든 교육 활동이라고 하는 등 그 의미는 수없이

(14)

많으며, 제각기 다양하게 쓰이고 있다.2)

B. B.

B. B. 교육과정의 교육과정의 교육과정의 유형 교육과정의 유형 유형 유형

교육과정의 유형이란 교육 목표 달성을 위해서 교육 내용을 선정․조직하는 형태 를 일정한 분류기준에 따라 유형화 해 놓은 것을 말한다. 교육과정에 대한 개념은 시대와 장소에 따라, 또는 논하는 사람에 따라 견해를 달리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정의를 간단히 내리기는 어렵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교육과정의 변천을 구분해보면 <표 1>과 같다.3)

<표 1> 교육과정의 변천

1. 1.

1. 1. 교과중심 교과중심 교과중심 교육과정 교과중심 교육과정 교육과정 교육과정

교과 중심 교육 과정은 가장 오랜 전통을 가진 교육 과정의 한 형태로 고대 그 리스 시대의 칠백 유학 예과 (七百由學藝科 : 3학-문법․수사학․논리학, 4학예-산술․

기하․천문학․음악)을 바탕으로 하여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초․중․고 교육 과 정에 폭넓게 활용되어 왔다.

교과 중심 교육 과정이란, 지식의 체계를 중요시하는 교육 과정이다. 여기서, 교육 과정이란‘학교의 지도하에 학생들이 배우는 일체의 교과와 교재’를 말한 다. 이 교육 과정은 교육 효과에 있어서 지식의 습득과 이성의 계발을 가장 중요 시하는 입장으로서, 각 교과는 그 자체의 논리와 체계가 있으므로 이 교과를 체계 2) 교육부 1997, pp.2

3) 이상혁․이상봉․진의남. 『기술교과 교수학습 방법론』, 서울: 교학사, 1999, pp.63

유 형 연 대 정 의 실 체 개념의 넓이

교과 중심 교육과정 1920~ 현재 교수요목 문서 대단히 좁다 경험 중심 교육과정 1930~ 현재 지도 경험 경험 넓다 학문 중심 교육과정 1960~ 현재 탐구 과정의 정의 문서 좁다 인간 중심 교육과정 1970~ 현재 경험의 총제 경험 대단히 넓다

(15)

적으로 학습하는 것이 교육의 가장 중요한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2. 2.

2. 2. 경험중심 경험중심 경험중심 교육과정 경험중심 교육과정 교육과정 교육과정

경험 중심 교육 과정은 교사의 지도하에 학생들이 체험하게 되는 모든 경험을 말한다. 이것은 교육 과정을 교과로 보는 교과 중심 교육 과정과는 큰 차이가 있 다. 즉, 교과 중심 교육과정이 모든 학생들에게 공통된‘표준’을 뜻한다면, 경험 중심 교육 과정은 학생들은 개개인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나는‘경험’자체를 의미 한다. 그러므로 교과 중심 교육 과정은 한 학급의 학생들에게 단지 하나의 교육 과정만이 제공되는 것에 반하여, 경험 중심 교육 과정은 경험의 개별성이 중시되 기 때문에 학생 수만큼의 교육 과정이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3. 3.

3. 3. 학문중심 학문중심 학문중심 교육과정 학문중심 교육과정 교육과정 교육과정

학문 중심 교육 과정은 진보주의 교육 철학과 그와 관련된 경험주의 교육 과정 에 대한 비판에서 출현하였다. 학문 중심 교육과정은‘각 학문이 내재되어 있는 지식 탐구 과정의 조직’으로 본다. 이러한 교육 과정이 출현하게 된 배경은 다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20세기 후반에 들어와 지식과 기술의 폭발적인 증가에 기인한다. 즉 오늘 날 지식과 과학 기술은 매 십 년마다 2배 증가되고 있기 때문에, 한정된 학교 교 육 기간 동안에 그 많은 지식을 가르칠 수 없고, 또한 어떠한 내용을 가르칠 것인 가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었다. 따라서, 학교에서 가르칠 내용을 선정하는 기준 으로 전이 가치가 높은 지식을 선택하자는 논리가 대두되었다. 전이 가치가 높은 지식을 바로 지식의 구조(structure of knowledge)라고 한다.

둘째, 진보주의 교육에 대한 거센 사회적 비판의 한 원인이 된, 1957년 소련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sputnik)의 발사였다. 1950년대는 냉전 시대로 미국과 소련 이 국방에서의 우위를 확보하기 위하여 인공위성 발사에 심혈을 기울였고, 그 토 대로서 과학 기술의 발전에 온 노력을 기울여 왔다. 그러나 소련이 미국에 앞서 인공위성을 발사한 것은 미국의 과학 기술이 소련에 비해 뒤졌다는 증거였고, 그

(16)

로 인해 20세기에 들어 미국 교육을 지배해 온 진보주의 때문이라는 비판이 일기 시작했다. 이러한 진보주의 교육에 대한 비판으로 제기된 것이 바로 학문 중심 교 육 과정이다. 학문 중심 교육 과정은 종래의 수학이나 과학 교육은 사실만을 강조 하고 이것을 습득시키기 위해 암기 방법이 주가 되었다. 그러므로 학문 중심 교육 과정은 지식의 구조를 강조하며 이러한 지식의 구조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탐구 과 정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4.

4.

4.

4. 인간중심 인간중심 인간중심 교육과정 인간중심 교육과정 교육과정 교육과정

인간 중심 교육 과정은 1960년대에 산업 사회가 발달하면서 나타나기 시작한 현 대 사회의 모순, 즉 인간성 상실, 기계주의, 물질 만능의 가치관, 자아의 상실 등 에 대한 비판으로 출발하였다. 따라서 인간 중심 교육 과정은‘학생들이 학교생활 을 하는 동안에 가지는 모든 경험’을 교육 과정으로 규정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경험들은 학생 개개인으로 하여금 교육을 통하여 참된 자아를 발견하고 인생의 의 미와 목적을 찾도록 할 뿐만 아니라, 안정적이며 균형 잡힌 조화로운 인격 형성을 촉진하도록 하는 것이어야 한다. 따라서 인간 중심 교육 과정의 목표는 현대 교육 이

직면하는 산업 사회의 비인간화 현상을 극복하고, 교육의 수단적․지식 위주의 기능 에 반대하여 인간 삶의 주체성과 자아 실현의 기능으로서의 교육을 목표로 한다.4)

4) 이상혁․이상봉․진의남. 『기술교과 교수학습 방법론』, 서울: 교학사, 1999, pp.63~65

(17)

C. C.

C. C. 교육과정 교육과정 교육과정 조직의 교육과정 조직의 조직의 조직의 원리 원리 원리 원리

1. 1.

1. 1. Tyler Tyler Tyler의 Tyler 의 의 의 학습 학습 학습 경험 학습 경험 경험 경험 조직의 조직의 조직의 조직의 원리 원리 원리 원리

Tyler는 교육과정이나 학습 지도 계획을 채울 때 반드시 고려해야할 중요한 사 항을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질문으로 표현하고 있다.5)

첫째, 학교에서 달성하고자하는 교육 목표는 무엇인가?

둘째,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학습 경험의 선정을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 는가?

셋째, 이러한 학습경험을 효과적으로 조직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넷째, 교육 목표의 달성 여부를 어떻게 평가할 수 있는가?

이러한 각 물음과 관련된 문제들은 교육목표의 설정, 학습경험의 선정, 학습 경 험의 조직, 학습 성과의 평가로 요약할 수 있는데, 이것이 바로 Tyler가 말하는 교육과정의 네 가지 기본 요소이다.

Tyler는 또한 학습경험의 효과적인 조직을 위하여 반드시 고려해야 될 세 가지 준거를 제시하고 있는데, 그 세 가지는 계속성(continuity), 계열성(sequence), 통합성(integration)이다.6)

2. 2.

2. 2. Bruner Bruner Bruner의 Bruner 의 의 의 나선형 나선형 나선형 나선형 교육과정 교육과정 교육과정 교육과정

Bruner는 ‘나선형 교육과정’을 어떤 학문의 개념이나 원리, 태도, 사고 방법 등이 학생의 발달 단계가 높아짐에 따라 그 지적 성격의 동일성을 유지하면서 점 점 세련된 형태로 가르쳐 지도록 계획된 교육과정을 ‘나선형 교육과정’이라고 이름 붙였다. 나선형 교육과정의 중요한 시사점은 학교 또는 학년 수준별 교육과 정 계획(교육내용의 종적 조직)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아이디어에 비추어 교육과

5) Tyler, R. W.,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49, pp. 1~2

6) Tyler, R. W.,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49, pp. 84

(18)

정을 계획하는 일은 모든 학교 수준에서 정확하고 치밀하게 가르칠 것인가를 결정 하는 일이다. 나선형 교육과정은 교육과정 계획에서뿐만 아니라 교사에게 그가 수 업에서 가르치는 지식을 어떤 관점에서 받아들여야 하는가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 을 제공한다. 교사는 자기가 가르치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알고 수업을 해야 한 다. 또 가르치는 내용 중에서 어떤 것이 더 중요한지도 알아야 한다. 불행한 교사 는 시험에 나오는 것이 더 중요한 지식이라는 그릇된 생각을 학생들에게 심어주게 된다.7)

D. D.

D. D. 기술교과 기술교과 기술교과 교육의 기술교과 교육의 교육의 교육의 개념 개념 개념 개념

기술에 관한 학자들의 정의는 기술의 특성 또는 본질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기술의 특성과 관련된 정의도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하 나는 기술의 중심적 또는 현저한 특징을 가지고 정의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기 술이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특성을 모두 포함하여 정의하는 것이다.

기술의 중심적 또는 현저한 특징을 가지고 정의하려는 입장의 대표적인 경우는 일본인 학자들에 의한 ‘기술론’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일본의 기술론에서는 기술 의 본질에 관하여 ‘적용설’과 ‘노동 수단 체계설’이 상호 대립되어 논쟁을 벌 여오고 있다.

일본의 다께히로 까즈의 적용설에서는 기술을 ‘생산적 실천에 있어서 객관적 법칙성의 의식적 적용’이라고 본다. 즉, 기술은 인간의 생산적 행위에 객관적, 과학적 법칙을 의식적으로 적용하는 것이라는 주장이다. 인간 행동의 목적 의식성 과 합법칙성을 지적하고 인간 행동의 주체성을 강조하는 설이다.

이 정의에서 ‘법칙성’은 자연 법칙성을 말하는데, 자연 법칙성에는 객관적인 것과 주관적인 것이 있다는 것이다. 객관적 법칙성은 누구에게도 객관적으로 인식 시키고 전달하여 이해시킬 수 있는 법칙성을 말하며, 주관적 법칙성은 개인 행위 속에서 파악될 수 있는 것으로 타인에게 객관적 지식으로 전할 수 없는 법칙성을 말한다. 적용설에서 ‘기술’은 조직적, 사회적인 것으로서 지식의 형태로 이해될 수 있고, 또 다른 사람에게 객관적으로 전수될 수 있다는 것이다.

7) 김정섭. 『한국과 일본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전기․전자 내용 분석』, 대학석사학위 논문, 한국교원대학교, 2006, pp. 8

(19)

이에 비해 ‘기능’은 지식으로 해명되지 않고, 객관적으로 나타나지 않은 숨어 있는 법칙성을 경험적으로 반복 훈련에 의해서 개개인의 행위, 즉 주관적인 입장 에서 파악될 수 있는 것으로 본다. 그리고 ‘생산적 실천’이란 인간이 하나의 목 적을 가지고 자연에 작용하는 생산 활동을 말한다. 이 생산 활동은 객관적 법칙성 에 의한 기술과 주관적 법칙성에 의한 기능과의 통합에 의해서 비로소 실련되는 것으로 본다.

한편 일본의 오까꾸니오의 노동 수단 체계설에서는 기술을 ‘노동 수단의 체 계’라고 규정했다. 즉, 기술을 인간의 활동에 있어서의 노동 수단과 그 체계로 보는 입장이다. 이러한 입장에서는 기술을 ‘어떤 사회체계 내에서 발전하는 노동 수단’ 또는 ‘자연에 관한 인식에 의지하여 인간에 의해 창조되는 노동 수단의 총체’등으로 규정하기도 한다. 여기에서 ‘노동 수단’이라는 것은 노동의 주체 (인간)와 노동의 대상(원료, 재료 등) 중간에 자리하여 그 상호 작용의 매체가 되 는 공구, 기계, 장치 등을 뜻한다. 그리고 ‘체계’라 함은 노동 수단이 생산 목 적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체계화되어야 한다는 것을 뜻한다. 그리고 노동 수단 체계설에서는 노동의 주체인 인간이 기술을 구사하는 능력을 체득했을 때 이 를 ‘기능’이라고 한다.

적용설과 노동 수단 체계설의 차이는 적용설이 기술에서 노동의 주체를 문제삼 는 데 비하여, 노동 수단 체계설에서는 기술을 하나의 객관적 체계로 보는 데에 있다.

또한 기술의 개념을 종합적 입장에서 파악한 학자로는 McGinn(1978)을 들 수 있 다. 그는 기술이 가진 여러 가지 요소를 모두 분석하고, 이를 종합하여 다음과 같 이 8가지 특성으로 내세웠으며 여덟 가지 항목에 어긋나는 것은 기술이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다.

기술은 인간 활동의 한 가지 형태(a form of activity)로서8) ① 물질적 생산품을 조립하는(fabricative) 활동이다.

② 물질적 대상을 변환하는(objet-transforming) 활동이다.

③ 인간의 힘으로 실현 가능한 영역의 확장에 목적을 가진(purposive) 활동이다.

④ 기술적 지식에 기초한(knowledge-based) 활동이다.

⑤ 자원을 이용하는(resource-employing) 활동이다.

8) 이상혁․이상봉․진의남. 『기술교과 교수학습 방법론』, 서울: 교학사, 1999, pp.6~9

(20)

⑥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해 결과가 좌우되는(methodical) 활동이다.

⑦ 사회․문화적, 환경 영향권(sociocultral-environmental context) 내에서 전개 되는 활동이다.

⑧ 기술 실천자의 정신적 경향(practioner's mental set)의 영향을 받는 활동이 다.

이와 같이 많은 학자들이 다양한 기술에 대한 해석을 하고 있으며, 따라서 원론적 으로 기술교과 교육은 이와 같은 기술에 대한 정의와 원리에 충실함으로써 서로 개인적 사회적, 국가적인 다른 상황을 극복하고, 인간의 기술적 소양과 능력을 길 러주는 목적을 가진 일반교양 교과 교육이라고 볼 수 있다. 기술이 자연대상으로 인간에게 유익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인간의 기술적 행위로 압 축할 수 있다면, 그리고 진화과정의 결과로 제한이 있었던 인간 능력의 확대를 위 한 구조화된 지식과 감각적인 것의 체계적인 응용에 관한 것을 포함하여 모든 문 화에서 수행된 기술적 방법과 수단의 연구라면, 기술교과 교육은 이것에 근거하여 각국의 교실상황, 즉 교육과정에서 “기술”의 정의에 기초한 본질적인 의미를 충 실히 해석하여 학교 현장에 조직되고 학습되어야 한다. 오늘날 사회주의 국가나 민주주의 국가를 막론하고, 모두가 기술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실감하여 일찍부터 실행해 오고 있으며, 그 범위를 확대해 가고 있다. 따라서 기술교과 교육은 인간 의 무한한 잠재력을 개발하기 위한 기술적 방법을 통하여 실생활에 적용하고, 응 용하여 보다 나은 미래를 개척하는데 개인적․사회적․국가적으로 도움을 주어야 한 다.

(21)

E. E.

E. E. 기술교과 기술교과 기술교과 교육과정 기술교과 교육과정 교육과정 교육과정

기술교과 교육과정을 연구함에 있어 기술 교과가 교육되어야 할 가치와 준거 및 기술 교과에 내재된 교육 내용의 원천과 그 근거는 무엇이고, 기술 교과 교육과정 을 안내하는 지침은 무엇인가에 대한 이론들을 살펴보자.

1.

1.

1.

1. 기술교과 기술교과 기술교과 기술교과 교육과정 교육과정 교육과정 교육과정 프로젝트 프로젝트 프로젝트 프로젝트 (IACP) (IACP) (IACP) (IACP) 이론 이론 이론 이론

기술 교과 교육의 가치와 준거를 지향한 교육의 내재적 관점에 접근될 수 있는 기술 교과 교육의 견해로 1965년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과 일리노이 대학의 공동 노력으로 개발된‘기술 교과 교육 과정 프로젝트(IACP; Industrial Arts Curriculum Project)가 제시되었다.

IACP 연구에서는 기술교과의 본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가정에서 출발 하였다.9)

첫째, 기술교과는 산업에 관하여 학습하는 교과이다. 이 교과는 학생들이 산업 환경에 대하여 더 잘 이해하고, 직업적 목적에 관련된 선택을 좀더 잘하게 하기 위하여 모든 학생에게 필수적이다.

둘째, 사람들은 산업과 재료, 생산과정, 조직체계, 연구 및 서비스 등에 관하여 관심을 가지고 있다.

셋째, 산업은 방대한 사회 조직이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가르치기 위해서는 기본 구조를 개념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IACP 연구자들은 인간의 지식에 대해 <그림 1>과 같은 독특한 지식 영역 이 상회 배타적으로 존대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9) 류창열, 『기술 교육 원론』, 충남대학교 출판부, 2000

(22)

<그림 1> IACP가 인식하는 인간 지식의 영역10)

IACP 연구팀은 실천적 지식을 지식의 독특한 한 영역으로 보아 그러한 지식의 형식에 근거하여 기술 교과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였으며, 이러한 관점 에서 기술 교과 교육의 목표를 세 가지로 설정하였다.

첫째, 산업 기술(industrial technology)에 대한 개념, 원리, 보편성, 전략 등 의 이해를 증진시킨다.

둘째, 인간의 욕구 충족을 위해 상품으로 제공하는 산업에 대한 관심과 인식을 증진시킨다.

셋째, 직업 생활, 소비 생활, 사회 문화 생활에 유용한 지식과 기능을 습득시킨 다.

그들은 위의 세 가지 교육 목표 아래 경제의 현 상황에 특별히 관련되지 않은 지식으로부터 산업 제품을 분리하기 위해, 산업 기술을 ‘산업 제품과 서비스에 관한 인간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지식’으로 규정하고, 기술 교과 교육 내용을 제 조 기술과 건설 기술을 중심으로 <그림 2>와 같이 구조화하였다.

10) Towers, E. R., Lux, D. G., and Ray, W. E, A Retionale and Structure for Industrial Arts Subject Matter, The Ohio State University and University of Illinois, 1966, p. 8

(23)

<그림 2> IACP의 산업 관련도11)

<그림 2>와 같이 제조업과 건설업은 모든 산물을 가공 변형시켜 제품 또는 구조물을 만들게 되므로 기술적 요소가 가장 많은 산업의 중추로 본 것이다. 즉 농업, 임업, 수산업, 광업 등의 생산물은 가공성이 적고 단순하여 소비자에게 직접 전달되거나 또는 가공 및 변형의 요소가 제조업이나 건설업을 통하여 소비자에게 전달되므로 기술적 요소가 적다고 본 것이다.

또한, 제조업과 건설업의 산업 영역에서 물질적 재화와 서비스(services)를 생 산해 내는 기술을 생산 기술(industrial production technology)과 관리 기술 (industrial management technology)로 나누어, 이들의 상호 관계를 <그림 3>과 같이 나타냈다.

<그림 3> IACP에 의한 기술 교과 내용 모형12)

11) Towers E. R., Lux D. G., and Ray W., 전게서, p. 75.

12) 상게서, p. 156.

(24)

즉, 제조와 건설의 생산 기술에는 각기 생산에 투입된 재료, 공구, 기계, 인력 등을 준비하는 전처리 과정, 실제 생산 행위를 하는 처리 과정, 가공된 생산물의 설치, 유지, 보수, 교체 등의 후처리 과정이 있으며, 각 과정은 다시 계획, 조직, 통제의 관리 기술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이다.

2.

2.

2.

2. 잭슨밀 잭슨밀 잭슨밀 기술교과 잭슨밀 기술교과 기술교과 기술교과 교육과정 교육과정 교육과정 이론 교육과정 이론 이론 이론 (JMIACT) (JMIACT) (JMIACT) (JMIACT)

‘잭슨밀 기술교과 교육과정 이론(JMIACT; Jackson's Mill Industrial Arts Curriculum Theory)은 1979년부터 1981년까지 21명의 미국 기술 교과 교육 전문가 들이 여러 차례 심포지엄을 개최한 결과를 정리한 이론이다.

이 이론에서는 인간의 적응이란 관점에서 지식을 인식하고자 한다. 인간의 적응 을 위한 인지적 기초로서 <그림 4>에서와 같이 네 가지 지식 영역이 본질적으로 관련되어 있다는 점을 인식하면서도, 기술학이 다른 영역의 지식과는 다른 독특한 영역의 지식임을 인식한다.

<그림 4> JMIACT가 인식하는 지식의 영역13)

이 이론에서는 ‘기술’과 ‘산업’을 기술 교과의 중요 영역으로 보아 일반 기 술까지도 그 교과 영역에 포괄함을 의미한다.

잭슨밀 교육 과정 이론이 제시한 교육 과정 상호 작용 모형은 다음의 <그림 5>

와 같다.

13) 장석민 외 2인, 기술 교육 과정 개발 및 운영 지침서, 한국교육개발원, 1985, p. 165

(25)

<그림 5> JMIACT의 기술교과 교육 과정 상호작용 모형14)

이 모형에서는 기술 교육의 영역을 제조, 건설, 통신 수송 기술 시스템으로 보 고, 이 기술 시스템의 요소를 투입, 과정, 산출 변인으로 구분했으며, 기술 시스 템이 고려되는 기산적 차원을 과거, 현재, 미래로 제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내용을 종합하여, 잭슨밀 이론이 제시하는 주요 요점을 간략하게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 교과는 기술, 산업과 그들의 영향에 관하여 학습하는 과목이다.

둘째, 그 학습 내용은 자연적, 인위적 환경에 대하여 적응하기 위한 인간의 오 랜 기술적 노력들 즉, 제조, 건설, 수송, 통신 기술 등으로 조직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셋째, 인간의 기술적 노력은 투입, 과정, 산출, 피드백의 요소를 갖는 시스템을 이룬다.

넷째, 각각의 기술 시스템은 생산과정 관리과정에 의하여 계속적으로 발전하는 데, 이들 과정이 기술 교과 교육의 핵심 부분이 된다.

다섯째, 이 기술 시스템들은 상호 관련성이 있으며, 과거, 현재, 미래를 갖는 역동적 활동이다.

즉, 기술 교과는 근본적으로 기술학에 기초하고 있으며, 기술학을 학습하는 근 복 목적이 우리가 인간적인 삶을 유지하는 데 적당한 미래를 계획코자 하는 데 있 다고 볼 수 있다.

14) 상게서, p. 176.

(26)

3.

3.

3.

3. 미국 미국 미국 오하이오주 미국 오하이오주 오하이오주 오하이오주 기술 기술 기술 교육 기술 교육 교육 교육 모형 모형 모형 모형

미국 오하이오 주 교육국의 지원 하에 수행된 이 연구에서는 21세기에 대비한 초, 중등학교의 기술교과 교육모형을 연구하여 <그림 6>와 같이 제시하였다.

<그림 6> 오하이오주 기술교과 교육모형15)

이 모형이 JMIACT의 모형과 다른 점은 기술 교과 내용 요소를 통신기술, 물리적 기술, 생명관계기술의 세 가지로 설정한 점이다.

① 물리적 기술 : 종래의 건설 기술, 제조 기술, 수송 기술을 포함하는 한편 상 품과 서비스의 관리, 폐품 처리 기술까지 포함하고

② 통신기술 : 정보의 부호화, 전달, 수신, 저장뿐만 아니라, 정보의 가공, 전자 메시지의 해독 등 도 강조하며,

③ 생명 관련 기술 : 산출물을 만들거나 변형시키기 위하여 생물 조직을 실제적 으로 응용하는 기술을 말한다.

15) Savage E. N., et al., A Model for Technology Education in Ohio, Ohio : The Ohio Department of Education, 1989, p. 13.

(27)

4.

4.

4.

4. 기술교과 기술교과 기술교과 교육내용의 기술교과 교육내용의 교육내용의 교육내용의 구조 구조 구조 구조

기술 교과 교육 내용의 구조와 자원은 기술학에 기초한 구조화된 지식의 체계로 서, 이 지식의 체계와 기술 교과 내용의 구조를 종합하여 정리하면 다음의 <그림 7>과 같다. 이는 기술의 영역, 기술의 요소, 기술의 진보를 축으로 하는 3차원의 메트릭스 모형이다.

<그림 7> 기술교과 내용 구조모형16)

이 모형에서는 기술의 영역을 제조 기술, 건설 기술, 수송 기술, 통신 기술, 생 물 기술의 5개 영역으로 나누었다. 이는 잭슨밀이론(JMIACT),산업과 기술교육 프 로젝트(Industrial and Technology Education Project)등에서 제시하는 4개 영역 에 생물 기술을 추가한 것으로, 현행 우리나라 기술․산업 교육과정에 반영되었다.

이 모형의 의미는 기술 교과 교육을 통하여 각 기술의 영역들이 투입, 과정, 산 출의 변인을 갖는 하나의 시스템으로서, 과거에서 현재까지 어떻게 진보하여 왔으 며, 미래에는 어떻게 발전하게 될 것인가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갖도록 해 주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16) 김진순, 초․중등학교 기술 교과내용 계열화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0, pp. 125~132.

(28)

이상에서 살펴본 기술 교과 과정 이론 또는 모형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시사점 을 얻을 수 있다.17)

① 기술 교과는 기술학이라는 인간의 실천적 지식 영역에 바탕을 둔 교과로서, 기술과 산업, 그리고 그것이 인간과 사회에 qalcl는 영향에 대해 학습한다.

② 기술과 산업에 대한 학습내용은 인간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오랜 기술적 노 력들로서, 학습내용은 제조, 건설, 수송, 통신, 셍물 기술이 기본이 된다.

③ 인간의 기술적 노력들은 기술 영역별로 각기 독립되면서 상호 관련을 맺고 있 는 시스템을 이루고 있으며, 투입-과정-산출과 피드백의 요소를 갖는다.

④ 이 기술 시스템들은 그 자체의 목적 달성을 위한 수단인 생산 기술, 관리 기 술 등이 발전됨에 따라 계속 변화하고 있다. 그러므로 기술 시스템에 대한 교 양적 지식을 통하여 학생들이 미래사회에 대처하도록 해 주어야 한다.

⑤ 기술 교과 교육 과정은 각급 학교 단계별로 기본 개념과 원리가 계속적으로 다루어지면서도, 점점 폭과 깊이를 더해 가도록 계열성이 유지되어야 한다.

17) 김종화. 『중학교 기술교과 교육과정 국제비교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1997, pp. 22~29

(29)

Ⅲ 한국 한국 한국 한국, , , , 미국 미국 미국 미국, , , , 일본 일본 일본 일본 기술교과 기술교과 기술교과 기술교과 교육비교 교육비교 교육비교 교육비교 및 및 및 및 분석 분석 분석 분석

A.

A.

A.

A. 한국 한국 한국, 한국 , , 미국 , 미국 미국, 미국 , , 일본 , 일본 일본 기술교과 일본 기술교과 기술교과 기술교과 교육목표 교육목표 교육목표 교육목표 비교 비교 비교 비교

1.

1.

1.

1. 한국의 한국의 한국의 기술교과 한국의 기술교과 기술교과 기술교과 교육목표 교육목표 교육목표 교육목표

현대 사회에서 우리에게 꼭 필요한 교과 중에 하나가 기술교과이며, 일상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교과이다. 오늘의 현대사회는 기술을 중심으로 하는 사회 이므로 기술과 산업 전반에 관한 사항을 이해하지 못하고는 현대 생활을 편리하고 합리적으로 영위할 수 없다. 이러한 현대 산업사회에서 인간은 기술의 사용자일 뿐 아니라, 때에 따라서는 기술의 창안이기도하다.

이웃나라 일본의 경우는 1960년에 이미 기술 교육이 시작되었고, 대만은 1962년 에 중 ․ 고교에서 기술교과 대한 논의와 미국, 일본, 대만 등 선진국과 같이 기술 교과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여론에 따라 1969년 제2차 교육과정을 수정하 면서 기술 과목을 신설 하였다.

따라서 기술교과는 제2차 교육과정부터 중학교 남학생용과 여학생이 처음으로 신설, 필수 교과로 이수함으로써 시작되었다. 교육목표도 과목 명칭과 함께 계속 적으로 바뀌는 혼선을 거듭하면서 오늘에 이르렀다. 기술 교과의 과목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제2차 교육과정에서는 ‘기술(남, 여)’, 제3차 교육과정에서는‘기 술(남), 제4차 교육과정에서는‘생활기술, 제5차 교육과정에서는‘기술’제6차 교 육과정에서는‘기술 ․ 산업’과목으로 변화 되었으며, 2001년부터 시행되는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기술 ․ 가정’이라는 과목으로 변화 하였다. 그리고 교육과정마다 교육목표가 달랐다. 2차 교육과정에서는 실생활에 필요한 기초적인 기술을 습득하 고, 현대기술에 대한 흥미를 고취시킨다는 목표였으며, 제3차 교육과정에서의 목 표는 생활에 필요한 기초적인 지식을 습득한다는 것이며, 제4차 교육과정에서는 가정생활과 산업에 관한 기초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는 것이며, 제5차 교육과정에서 는 산업과 기술에 관련된 일의 세계이해 및 진로를 탐색하는 것이다. 또 제6차 교 육과정에서는 기술과 산업에 관한 지식과 기능을 습득하고, 일과 직업세계를 이해

(30)

하는 것이 목표였으며,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개인과 가정, 산업생활의 이해와 적 응, 정보화, 세계화 등 미래 사회의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기른다 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다음은 중학교 기술교과 교육 목표의 변천과정을 교육과 정별로 나타내 보면 <표 2>과 같다.

<표 2> 중학교 기술 교과 교육목표의 변천18)

위와 같이 교육 목표를 보면 ‘실생활에 필요한 기초 기술 습득, 현대 기술에 대한 흥미 고취’에서 ‘기술과 산업에 관한 지식과 기능 습득, 일과 직업 세계 이해 ’을 강조하는 것으로 바뀌었고, 교육 내용 면에서 보면 ‘공업 위주의 기 술’에서 ‘산업 기술의 이해 및 일의 세계 이해’로 바뀐 것을 알 수 있다. 그리

18) 류창열, 『기술 교육 원론』, 충남대학교 출판부, 2000, p126

구분 고시일

(시행시기) 교과명 교육 목표

제2차 교육과정

1969.9.4 고시 (1970.3.1~)

기술(남) 기술(여)

실생활에 필요한 기초 기술 습득, 현대 기 술에 대한 흥미 고취

제3차 교육과정

1973.8.31 고시 (1974.3.1~)

기술(남) 생활에 필요한 기초 기술 습득

제4차 교육과정

1981.12.31 고시 (1984.3.1~)

생활 기술 가정생활과 산업에 관한 기초 지식과 기술 습득

제5차 교육과정

1987.3.1 고시 (1989.3.1~)

기술 산업과 기술에 관련된 일의 세계 이해 및 진로 탐색

제6차 교육과정

1992.6.30 고시 (1995.3.1~)

기술․산업 기술과 산업에 관한 지식과 기능 습득, 일 과 직업 세계 이해

제7차 교육과정

1997.12.30 고시 (2001.3.1~)

기술․가정

개인과 가정, 산업 생활의 이해와 적응, 정 보화, 세계화 등 미래 사회의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

(31)

고 7차 교육과정에서는 드디어 가정 교과를 기술과 통합하면서 “가정과 산업을 이해하고 적응”하도록 교육 목표가 변화 하였다.

교과의 남녀별 이수 방법에서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초기에는 남녀 모두 기술 과목을 배우다가 남자는 기술, 여자는 가정을 배우는 것으로 변하고, 제5차 교육 과정에서는 선택과목의 하나로 ‘기술․가정’이 들어왔다가, 제6차 교육과정에서는 남녀 모두 ‘기술․산업’ 과 ‘가정’을 배우는 것으로 되었다.

남녀가 모두 기술교과와 가정을 배우도록 한 것은 시대 추세에 따라 전통적인 남녀의 성역할이 변하고 있으며, 또 최근 발전된 기술과 산업 사회에 적응해야 할 필요성은 꼭 남자에게만 요구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바람직한 일로 받아들여진 다. 그러나 기술교과와 가정교과는 엄연히 다른 학문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고, 교 육 목표와 내용이 확연히 달라서 1:1의 물리적 통합에는 많은 무리가 있다. 일본 의 경우도 ‘기술․가정’이라는 교과명칭을 사용하고 있으나 기술교과와 가정교과 가 서로 분책이 되어 있는 점은 분명 우리가 주목해야할 사항이다.

또한 여기서 주목할 부분은 기술 교과 목표의 변천이다. 처음에는 “생활 기술 의 습득과 이해”에 중점을 두던 데에서 최근에는 “현대 기술의 이해”에 중점을 두는 방향으로 이행하고 있다. 이는 1987년에 공포된 제5차 중학교 기술교과 교육 과정에서 과목의 명칭을 종전의 “생활 기술”에서 “기술”로 바꿈과 동시에, 기 술교과 교육 내용의 조직의 기본 방향을 “생활 기술의 강조”보다는 “생산 기술 및 산업과 기술을 강조하도록 교육 내용을 구성한다.”19)고 밝히고 있다.

류창열은 기술 교과 교육의 기능과 목표를 <표 3>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20) 기 술 교과 교육의 목표를 6개의 기능으로 나누고 이것을 일반적인 교육 목표로 구분 하였다. 이 교육 목표(일반 목표)를 좀더 구체화하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활동 영역에 중점을 두어 10개의 간략한 기술교과 교육의 개략 목표(skeleton objectives), 개별 목표(individual objectives)를 진술하였다.

19) 곽상만, 『중학교 기술과 교육과정 국제동향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84, p126 20) 류창열, 『기술 교육 원론』, 충남대학교 출판부, 2000, p66

(32)

<표 3> 기술교과 교육의 기능과 목표

따라서 기술교과 교육 목표는 기술적 소양을 갖춘 일반 시민, 즉, 생활인이 되 어 사회에 충분히 적응할 수 있는 준비를 갖춘 사람이 되도록 양성하는 것이 바람 직하다. 한편 7차 교육과정에 따른 구체적인 기술 ․ 가정 교과의 목표는 <표 4>과 같다

<표 4> 한국의 중학교 기술 ․ 가정교과 교육목표21)

21) 교육부, 『중학교 교육 과정 해설』,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 1997, p213

기능 교육목표

1. 생산기능 1. 생산 활동의 이해

2. 생산적 기능 활동 경험의 체득

2. 진로 탐색 기능 3. 교육과 직업 선택에 관련된 정보의 이용 4. 일과 자기 발견을 위한 탐색적 기능 3. 소비자 기능 5. 제품의 합리적 활용 능력 함양

4. 기술 문명 이해 기능 6. 기술 문명의 이해

5. 여가 선용 기능 7. 여가 선용을 위한 흥미 계발 8. 창조적 소질 계발

6. 실용 기능 9. 실천 능력 함양 10. 문제 해결 능력 신장

총괄 목표

개인과 가정, 산업 생활의 이해와 적응에 필요한 지식과 기능을 습득하여 가정 생활을 충실하 게 하고, 종보화, 세계화 등 미래 사회의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가진다.

하위 목표

가. 일상 생활과 관련되는 일을 경험하며, 생활에 필요한 기초적 능력을 습득한 다.

나. 기술과 가정 생활에 관련되는 다양한 실천적 경험을 통하여 자신의 적성을 계발하고, 진 로를 탐색하며, 일과 직업에 대한 건전한 태도를 가진다.

다, 일을 창의적으로 계획하고 실천하여 자신의 미래 생활을 합리적으로 설계할 수 있으며, 그에 필요한 준비를 할 수 있다.

(33)

2.

2.

2.

2. 미국의 미국의 미국의 기술교과 미국의 기술교과 기술교과 기술교과 교육목표 교육목표 교육목표 교육목표

미국의 기술 교육은 19세기 후반에 시작하여, 수기 훈련(Manual Traning), 수공 예 교육(Manual Arts Education), 산업 공예 교육(Idustrial Arts Education)을 거쳐 현행의 산업 기술 교육, 또는 기술 교육(Idustrial Technology Education)의 순으로 발달하여 왔다.22)

미국의 기술교과 교육 과정의 목표는 <표 5>와 같이 IACP(Industrial Arts Curriculum Project)와 JMLACP(Jackson's Mill Industrial Arts Curriculum Theory) 에서 규정한 목표를 보면 쉽게 알 수 있는데 Lux와 Ray가 수행한 IACP에서는 기술 교과 교육의 목표를 산업기술에 국한시켰으나 잭슨밀의 기술교육과정 이론은 산업 기술 뿐만 아니라 일반 기술까지 포함시킴으로서 기술교육의 목표를 확대하였다.

즉 IACP에서 인정된 제조와 건설이외에도 통신과 수송 기술을 추가함으로서 교과 의 영역을 산업기술에 국한시키지 않고 일반기술로까지 확대시켰다.23)

<표 5> 미국 IACP와 JMIACP에서 규정한 기술교과 교육의 목표

미국의 국가수준의 기술교과 목표에 대하여 미국직업교육협회(American

Vocational Association)는 1953년에 <표 6>과 같이 규정했는데, 이 기본적 성격 22) 김영주, 『실업․가정 교과 체제 및 직업 과정 개선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0, p34 23) 김진순, 『초․중등학교 기술교과 교육내용의 계열화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

대학교 대학원, 1990, p34 구분

프로젝트 기술교과 교육목표

IACP (1966)

․ 산업 기술에 대한 개발 원리, 보편성, 전략들의 이해 증진 ․ 산업에 대한 관심과 인식 증진

․ 직업 생활, 소비 생활, 사회 문화생활에 유용한 지식과 기능 습득

JMIACP (1981)

․ 기술과 사회와의 관계 이해 ․ 기술과 환경의 가치 체계 함양

․ 도구, 기능, 기술적 자원의 적절한 사용 능력, 태도 개발 ․ 기술 사회에서의 잠재 능력 개발

(34)

은 그 이후에도 일관되게 유지하여 왔다.24)

<표 6> 미국직업교육협회에서 규정한 기술교과 교육목표

이상의 목표에서 보면 미국의 기술 교과의 목표는 매우 포괄적이고, 넓은 기술 의 영역을 기술교과의 교육 목표로 삼고 있는데 주로 산업생활, 생산과 유통의 문 제, 제품 선택과 평가 관리 능력, 습관과 태도, 안전 관리, 여가 선용, 표현 능 력, 수리 능력 등으로 미국에서는 전반적인 산업사회의 중요성과 다양한 분야의 기술적 행위나 분야에 대해 강조하고 있는 점과 기능의 숙달 못지않게 평가, 자기 표현과 자주성, 협동, 건설과 안전, 일에 대한 흥미, 규칙적인 생활 습관 등의 용 어가 쓰이고 있다는 점에 우리나라 기술 교과 목표와 다른 부분이며 이 부분에 대 해서는 유념할 필요가 있다.

24) 곽상만 외, 『제6차 교육 과정 각론 개정 연구(중학교 기술․산업과 및 가정과)』, 한국 교육개발원, 1992, p48

기술교과 교육의 목표

1) 산업생활, 생산과 유통의 문제와 방법에 대하여 적극적인 관심을 갖게 한 다.

2) 설계, 재료, 기능의 평가 및 공업 제품의 선택, 관리, 사용 능력을 발달시 킨다.

3) 실제적 장면에서 자기를 표현하고, 사태를 잘 처리하는 습관을 발달시킨다.

4) 남을 돕고 집단생활에 자진해서 참여하려는 태도를 기른다.

5) 건강과 안전에 대하여 바람직한 습관을 발달시킨다.

6) 쓸모 있는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을 자랑으로 여길 수 있게 하고, 여가를 선 용할 수 있는 수공적 노작에 대한 흥미를 신장시킨다.

7) 일을 규칙적이고 바른 순서에 따라 능률적으로 행하는 습관을 발달시킨다.

8) 일반적인 도형 표현에 대한 이해와 제도 및 스케치로 아이디어를 표현하는 능력을 기른다.

9) 일반적 도구나 기계를 사용하는 기능과 조립 및 수리에 필요한 이해를 발달시 킨다.

(35)

3.

3.

3.

3. 일본의 일본의 일본의 기술교과 일본의 기술교과 기술교과 기술교과 교육목표 교육목표 교육목표 교육목표

일본의 기술교과 교육 목표는 생활에 필요한 기초적 지식과 기술의 습득을 통하 여, 가정생활 및 사회생활과 기술의 관계에 대하여 이해를 깊게 하고, 나아가 고 안하여 창조하는 능력과 실천적 태도를 기르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일본의 현행 기술교과 교육과정의 교육 목표는 다음<표 7>과 같이 총괄목표가 있고 기술 분야 와 가정 분야로 나눠져 있다. 여기에서는 기술교과에 대한 목표만 제시했다.

<표 7> 일본의 기술교과 교육목표25)

우리나라와 일본의 기술․가정교과 교육 목표를 비교하면, 우선 생활 기술을 강조 하는 것과 기초적인 지식을 강조하는 것은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엄밀히 말하자면 우리나라는 기능(技能)의 습득이란 점과 일본은 기술(技術)의 습득이라 는 점에서 약간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다. 기능과 기술은 불가분의 관계가 있으 며, 하위 목표에는 양국 모두 기술의 중요성을 부각시켜 놓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일의 경험, 기초적 능력, 진로 탐색 등을 강조하며, 일본의 경 우는 물건 만들기, 에너지, 컴퓨터 등 보다 더 세밀하게 진술하고 있는 것이 특징 이며, 우리나라는 사회의 변화에 대처하는 능력과 태도를 목표로 하고 있고, 일본 은 생활 능력 향상을 위한 창조적 능력과 실천 태도를 목표로 하고 있어 보다 더

25) 文部省, 中學校 學習指導要領, 東京書籍 1998, p85 제 1 목표

생활에 필요한 기초적 지식과 기술의 습득을 통하여, 생활과 기술과의 관련성 에 대하여 이해를 깊게 하고, 나아가 생활 향상을 위하여 연구하고 창조하는 능 력과 실천적 태도를 기른다.

제 2 분야별 목표

<기술 분야>

실천적 ․ 체험적인 학습활동을 통하여 물건 만들기, 에너지 이용 및 컴퓨터 활 용 등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과 기술을 습득함과 아울러, 기술이 이루는 역할에 대하여 이해를 깊이하고 그들을 적절히 활동하는 능력과 태도를 기른다.

(36)

학생들의 잠재 능력을 자극하고, 산업 사회에 대응하는 적극적인 목표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B.

B.

B.

B. 한국 한국 한국, 한국 , , 미국 , 미국 미국, 미국 , , 일본 , 일본 일본 기술교과 일본 기술교과 기술교과 기술교과 교육내용 교육내용 교육내용 교육내용 비교 비교 비교 비교

1. 1.

1. 1. 한국의 한국의 한국의 기술교과 한국의 기술교과 기술교과 기술교과 교육내용 교육내용 교육내용 교육내용

우리나라의 기술교과 교육 내용은 일반적으로 중등학교에서 보통 교육을 실시하 는 교양 교육적 성격을 지닌다. 따라서 기술교과 교육은 학생들에게 일의 세계에 관한 기본적인 기능을 가지도록 하고, 일의 보람과 즐거움을 느끼도록 하는 데 목 적을 둔 교과 교육으로 일의 세계에 대한 탐색과 실천을 교육 내용으로 하는 경향 이 강하다.

현행 7차 기술교과의 교육과정에서 교과서와 교육과정 상의 명칭은 2007년 현재 기술․가정이라고 하며, 이는 일본과 동일한 명칭으로 사용하고 있다.

기술․가정교과는‘국민공통기본교과’로서 5학년부터 10학년까지 남녀 모든 학생 이 이수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학생의 실천적 경험과 실생활에의 유용성을 중시 하는 교과로서 5~6학년에서는‘자신의 일상생활과 가정 일에 필요한 기본적인 소 양’을, 7~10학년에서는‘기술․산업과 가정생활에 관한 다양한 경험과 진로탐색의 기회’를 주고, 11~12학년의 심화 선택과목을 선택하는 데 도움을 주는 교과로 학 생의 실천적 경험과 실생활에 대한 유용성, 직업과 진로에 대한 탐색적 기능을 동 시에 달성하도록 단계별로 연계시키는 내용을 가지고 있다.

7~10학년의 기술․가정은 6차 교육과정의 기술․산업교과와 가정교과를 통합한 것으 로, 초등학교의 실과를 바탕으로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의 남녀 학 생 모두에게 이수시키는 과목이며, 기술학과 가정학의 학문적 특성을 반영하여 기 술 및 가정생활과 관련되는 실천적 경험을 중시한다. 또, 중학교 단계는 진로탐색 의 시기이므로 기술․가정과와 관련되는 다양한 일과 직업 세계에 대한 탐색과 경험 의 기회를 제공하여 이 분야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높일 수 있는 내용을 가지고 있다.

현재 기술․가정은 제7학년의 경우 주당 2시간 8, 9학년의 경우 주당 3시간으로

참조

관련 문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gnitive meanings of English causative verbs such as make make make make, have have have have, , , le , le let,

Conclusion : The treatment using facet joint block with lumbar surgical operation seems to have short term clinical effects, however can't prevent

동전위분극시험(potenti odynami c pol ari zati on test)결과, 원심주조법 (centri fugalcasti ng method)으로 제조한 시편의 경우 주조조직의 결함으로 인해서 공식전위(pi

청소년기,특히 고등학교 시기는 자아 실현의 준비 단계이며,직업관이 형성되어 가는 시기로 자신의 미래에 대한 계획을 수립해 나가는 시기이다.또한 학생들에게

본 실험에서는 이미 보고 되어진 광 발광성 고분자 유기 화합물인 PTPS(Poly tetra phenylsilole)는 수용액상에서 LuminescenceSpectroscopy를 이용하여 전자

Pol y(2, 3, 4, 5-tetraphenyl )si l ol es (1 1 1, so cal l ed pol ysi l ol e, PTPS) shown i n Scheme1possessboth 2, 3, 4, 5-tetraphenyl -1-si l acycl openta- 2, 4-di

조선대학교는 저작물의 이용허락 이후 해당 저작물로 인하여 발생하는 타인에 의한 권리 침해에 대하여 일체의 법적 책임을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the effect of physical expression activity in the childlcare classroom influencing to the aggressions and the adjusting to school of t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