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인터넷 환경과 멀티미디어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인터넷 환경과 멀티미디어"

Copied!
5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인터넷 환경과 멀티미디어

(2)

차 례

1. 인터넷의 개요 2. 인터넷 구조 3. HTTP와 HTML

4. 인터넷의 활용분야

(3)

1. 인터넷의 개요

• 인터넷의 정의

• 배경과 장점

• 인터넷의 발전과정

• 인터넷의 보급

• ARPAnet

• NSFnet

(4)

4

인터넷의 정의

• 유럽 입자 물리연구소(CERN: the European Laboratory for Particle Physics)에서 제안

• 협의:IP(Internet Protocol)를 전송규약으로 사용하여 연결된 모든 네트 워크

• 광의: Network of networks

• 정보의 바다(Sea of Information)

World Internet Connection

(5)

배경과 장점

• 배경

– 엄청난 양의 연구결과 및 자료의 효율적인 공유를 목적으로 1989년 3월 Tim Berners의 제안으로 연구가 시작되고 개발

• 장점

– 간편하고 빠르게 정보를 얻을 수 있다.

– 해당분야의 전문가와 쉽게 의견을 교환할 수 있다.

– 최신정보를 얻을 수 있다.

– 자신이 가진 정보를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 국가나 지역이 다른 사용자와 쉽게 공동연구나 공동 작업을 할 수 있 다.

– 전 세계의 정보를 제약 없이 얻을 수 있다.

(6)

인터넷의 발전 과정

1969년 미국 국방성의 ARPANET(ARPA: Advanced Research Project Agency)이 인터넷 의 기원

1982년 통신 프로토콜을 TCP/IP로 전환

TCP/IP프로토콜의 사용으로 컴퓨터간의 상호 정보전달을 위한 규약이 통일되면서 인터넷 사용자는 크게 증가

1984년에는 도메인 네임 서비스(Domain Name Service, DNS)가 소개

1980년대: 기술적인 성장

1990년대: 공공, 비영리적인 경향에서 영리적이고 상업적인 성격을 띄게 됨

1991년에는 분산된 하이퍼미디어시스템을 제공하는 WWW(웹, World Wide Web)

1993년에 최초의 브라우저 모자이크(Mosaic)가 개발, 그 후 넷스케이프 커뮤니케이터 (Netscape Communicator)나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 등의 브라우저가 개

인터넷의 발전과정

(7)

인터넷의 발전 과정

연 도 국 외 국 내

1969 ARPAnet 개통

1972 E-mail 프로그램 개발, telnet 표준안

1973 FTP 표준안

1974 Ethernet/TCP의 개발

1977 E-mail 표준안

1979 Usenet 시작

1982 TCP/IP 도입 서울대-KIET간 SDN구축

1983 ARPANET이 ARPANET과 MILNET으로 분리 미국과 유럽에 UUCP 연결 사용

1984 DNS 제시

1985 교육망과 BITnet과 ARPANET 통합 1986 NSFnet 구축 NNTP(Network News

TransferProtocol) 개발

1987 교육연구전산망 구성(ARPANET, BITNET 연결)

1989 WWW의 개발

1990 ARPANET 폐지 연구전산망에 인터넷 연결

1991 Gopher 시작

1992 WWW 시작

1993 Mosaic 개발

1994 GUI 방식의 웹 브라우저 상용화 상용망(KORNET) 서비스 시작

(8)

인터넷의 보급

전 세계 인터넷 사용자수

– 1995년 4,500만 명

– 2000년에는 4억 2천만 명으로 10배 가까이 증가 – 2005년에는 10억을 돌파

– 인도는 그 중 5천 60만 명을 차지

– 2005년 말 기준으로 미국은 2억 명에 가까운 인터넷 사용자로 여전히 1위를 차지 – 중국과 인도는 각각 2위와 4위를 기록

– 2011년에는 전 세계 인터넷 사용자수가 20억에 달할 것으로 전망 – 앞으로의 증가율 전망은 20% 이하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국내의 인터넷 사용 인구

– <2004년 상반기 정보화실태조사>

– 2007년 6월 현재 우리나라 인터넷 사용 인구는 3067만 명(만 6세 이상, 월 1회 이상 인터넷 이용자)

– 휴대전화 가입자 3360만 명에 근접

– 94년 KT와 데이콤이 인터넷 상용 서비스를 시작 – 97년 100만 명을 돌파

– 99년에는 1000만 명, 2001년에는 2000만 명 – 2007년 6월 3000만 명 시대

10년 만에 이용자수가 200배 이상 증가 (2006년 1월 10일 Hindustanitims.com)

(9)

ARPAnet(The Advanced Research Project Agency Network)

• 1969년에 군사적인 목적으로 미국 국방성이 구축

• 미국 국방부에서 연구 기관과 국방 관련 사업체 등 관련 기관 간의 정보 공유를 지원하기 위해 추진한 ARPA(The Advanced Research Project Agency) 프로젝트에 의해 개발된 컴퓨터망

• 데이터 전송을 위해 IP (Internet Protocol) 전송규약을 사용

• 1986년까지 인터넷의 백본(backbone)망

• 1990년 미국 국방부에서 해체

ARPAnet의 구성 형태

(10)

NSFnet(National Science Foundation Network)

• 미국 국립 과학 재단(NSF)이 관리하는 광역 정보 통신망

– 미국에 분산되어 있는 5곳의 슈퍼컴퓨터 센터, 연구 기관, 대학, 도서 관 등을 상호 접속

– 과학 기술 분야의 교육과 연구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망

• 1986년에 구축,TCP/IP를 사용

• 구축한 ARPAnet을 대신하여 미국 내 인터넷 기간망(backbone)의 역할 – 미국 연구 교육망(NREN)이 완성되어 새로운 고속 통신망인 NREN으

로 대체

• 1990년대 초까지 NSFnet은 T3 백본을 사용

• Net이 상용화된 1995년까지 주요 인터넷 백본 역할

(11)

2.인터넷의 구조

• 프로토콜과 패킷

• 인터넷의 연결

•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 TCP/IP

• 인터넷의 구조

• 표준 주소 표기방법

• 도메인 표기법

• IP Address

• URL

• NIC

• 네트워크와 컴퓨터를 연결시켜주는 연결 장비들

• 네드워크 장비들

(12)

12

프로토콜과 패킷

• 프로토콜(Protocol)

– 패킷을 수신지에 정확하고 빠르게 전달하기 위한 규약

• 패킷(Packet)

– 일정한 크기의 정보 조각들로 나누어진 송수신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프로토콜과 패킷의 개념 출처:멀티미디어배움터2.0(생능출판사,p240)

(13)

인터넷의 연결

• LAN(

Local Area Network

), WAN(

Wide Area Network

)을 이용

• 전 세계 인터넷의 백본(Backbone)망은 미국의 NSFnet(The National Science Foundation Network)

•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 Internet Service Provider) 이용

인터넷의 연결 형태

(출처:유비쿼터스시대의 멀티미디어(사이텍미디어, p450)

인터넷 전용선을 통한 인터넷 접속 방법 모뎀을 통한 인터넷 접속 방법

(14)

인터넷의 연결

• 통신 프로토콜

– 서로 다른 컴퓨터간의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규약 – 원활한 정보의 교환 책임

• 정보를 오류 없이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

•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 네트워크와 컴퓨터를 연결시켜 주는 라우터(Router)나 게이트 웨이(Gateway) 등등의 연결 장비들이 필요

– 인터넷 주소체계인 URL과 도메인 네임 필요

• 일반 사용자가 손쉽게 인터넷에 접근 가능

• 인터넷을 구성하는 구성요소 – TCP/IP 프로토콜

–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다양한 프로토콜

– 네트워크와 컴퓨터를 연결시켜 주는 연결 장비

– 인터넷 주소체계인 URL과 도메인 네임(domain name)

(15)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 기술의 발달로 통합된(정적데이터+동적데이터) 멀티미디어를 사용

• 정적 데이터: 텍스트나 이미지

• 동적 데이터: 애니메이션이나 비디오, 사운드

– 인터넷상에서 구현

• 정적인 데이터: 웹브라우저만으로 충분

• 동적인 데이터: 플러그인(plug-in) 기능 필요

– 플러그인은 웹 브라우저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해석해 주는 일종의 번역기이다.

• 2차원의 애니메이션: Animated GIF나 Shockwave Flash 사용

• 실시간으로 동영상과 사운드를 구현

– 실시간 데이터 전송 기능이 탁월한 RealPlayer(압축과 복원 기능 우수)

(16)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 정의

• TCP/IP는 인터넷의 표준 프로토콜

• 컴퓨터 간의 통신 위해 미국 국방부에서 개발한 통신 프로토콜

• TCP와 IP라는 두 개의 프로토콜을 조합 – 특징

• 다른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비하여 신뢰성과 호환성이 뛰어나 다 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

• 유닉스에서는 표준 프로토콜로 내장

• 거의 모든 운영 체계에서 구현, 널리 보급되어 있다.

– TCP는 데이터의 정확도를 확인하고, IP는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전송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 IP는 패킷을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고, TCP는 정보의 흐름을 관리

• 정보를 전송할 때에는 패킷(Packet)이라는 단위로 전송

(17)

인터넷의 구조

– IP 주소

• 32bit로 구성

• 255이하의 숫자 4개를 마침표(.)로 구분

• 송신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1500문자 이하의 데이터로 패킷을 구성하고 이를 나누어 전송

• 수신시 TCP는 각각의 패킷을 원래대로 복구

TCP/IP 프로토콜의 구성도 OSI 7계층 TCP/IP 계층

(18)

– 표준 주소 표기 방법

• IP 어드레스 방식

•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방식

– IP 어드레스 방식

• 다른 정보들과 구별을 위하여 독립적이고 유일한 주소를 의미

• 32bit의 숫자로 표현

– 도메인 네임(domain name)

• IP 어드레스는 숫자로만 구성

• 주소를 기억하기 어려움

• 각각의 IP 어드레스 숫자에 대응되는 문자로 구성된 주소

– 도메인 네임 서버(DNS: Domain Name Server)

• 도메인 네임을 IP 어드레스로 변환하여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

• 예를 들어서 chollian.dacom.co.kr와 같은 주 컴퓨터의 도메인 네임을 164.124.101.2와 같은 IP 어드레스로 변환하고 라우팅 정보를 제공하는 분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다.

표준 주소 표기 방법

(19)

도메인의 표기법

• /주 컴퓨터의 이름/소속 기관/소속 기관의 종류를 나타내는 도메인/소 속 국가/

• 예 : “chollian.dacom.co.kr”

기관명

도메인

미국 미국 이외의

국가

교육기관 edu ac

기업체 com co

정부기관 gov go

비영리 공공기관 org or

네트워크 관련기관 net ne

[표 12-4] 도메인 네임에서 기관

종류의 표기법 도메인 네임의 계층적 구조도

(20)

IP Address

네트워크에 관한 부분(Netid)과 호스트 부분(Hostid)으로 이루어진 32bit 숫자

클래스에 따라 연결할 수 있는 호스트의 수가 달라진다. 클래스는 네트워크에 관한 부분의 길이에 따라 A, B, C, D, E로 구분되고 실제로는 A, B, C가 사용 된다.

클래스 내 용

A

첫1 bit가 0이며 Netid가 8bit로 구성된 IP 주소를 클래스 A 주소라고 한다.

첫 번째 바이트의 나머지 7비트가 네트워크 식별자이고, 하위 3바이트는 호스트 식별자이다.

1.0.0.0∼126.255.255.255의 범위를 갖는 최대 126개의 네트워크

B

첫2 bit가 10이며 Netid가 16bit로 구성 주소를 클래스 B 주소라고 한다.

첫 바이트의 나머지 6 비트와 두 번째 바이트가 네트워크 식별자이고, 마지막 두 바이트는 호스트 식별자로 사용된다. 128.1.0.0∼191.254.255.255의 범위를 갖는 최대 16,382개의 네트워크

C

첫 3 bit가 110이며 Netid가 24bit로 구성 주소를 클래스 C 주소라고 한다.

세 번째 바이트까지가 네트워크 식별자이고 마지막 한 바이트는 호스트 식별자이다.

클래스 C 주소는 네트워크마다 254개까지 호스트를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작은 규모의 네트워크에서 사용된다.192.0.1.0∼ 223.255.254.255의 범위를 갖는다.

IP 어드레스의 클래스

D 처음 4 bit의 값이 “1110”인 주소를 클래스 D 주소라고 한다. 클래스 D 주소는 네트워크 식별자와 호스트 식별자의 구분이 없고 전체 주소가 멀티캐스팅용으로 사용된다.

E 처음 4 bit의 값이 “1111”인 주소를 클래스 E 주소라고 하며 추후 사용을 위해 예약된 주소이다.

(21)

URL(Uniform Resource Locator)

• 멀티미디어 정보의 인터넷상 위치에 대한 표준 주소표기 방법

• URL은 protocol://IP address/object-path의 형태

• URL에서 처음에 표기하는 프로토콜은 사용자가 웹상에서 수행하고자 하는 작업형태에 따라 사용

프로토콜 이름 기 능

ftp File Transfer protocol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gopher The Gopher protocol

mailto Electronic mail address news USENET news

nntp USENET news using NNTP access telnet Reference to interactive sessions wais Wide Area Information Servers file Host-specific file names prospero Prospero Directory Service

프로토콜의 종류

(22)

NIC(Network Information Center)

• IP 어드레스와 도메인 네임의 관리

• 미국의 네트워크 정보센터

• 인터넷의 IP 어드레스의 할당 및 운용 관리 등을 주관하는 조직

• 각 국의 NIC을 총괄적으로 관할하는 기관을 InterNIC – 각 지역별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하부 기관

• 국내: 한국전산원의 한국인터넷정보센터(KRNIC), 일본:JPNIC 대행

• 인터넷의 물리적 연결

– 금속선이나 전자파를 이용한 접속 – 광파이버 등의 매체를 이용

– 대륙 간의 연결은 해저케이블이나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연결한다.

(23)

23

네트워크와 컴퓨터를 연결시켜 주는 연결 장비

• 라우터(Router), 게이트웨이(Gateway),

• 허브(Hub), 모뎀(Modem)

네트워크 장비(a 허브, b 게이트웨이, c 라우터)

(출처:멀티미디어배움터2.0,생능출판사,p243)

(24)

네트워크 장비

• 컴퓨터를 인터넷과 같은 온라인망에 연결시키기 위한 장비

• 가장 흔한 네트워크 장비는 다이얼업 모뎀으로 전화선을 통해 컴퓨터 를 온라인망에 연결시켜주는 장치

• 분류

– 시스템 장비

• 네트워크 서비스 업체들이 인터넷서비스 등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

• 라우터, 스위치, ATM 스위치, PSTN 스위치, 인터넷 전송장비, 무선중계기 등

– 단말기

• 모뎀처럼 개인 이용자가 PC를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

• 다이얼업 모뎀, 초고속인터넷 접속에 필요한 ADSL모뎀, 케이 블모뎀 등 각종 모뎀, 랜카드

(25)

네트워크 카드

두 대의 컴퓨터를 네트워크로 구성하기 위해서 각각의 컴퓨터에 장착하는 장비

네트워크 카드 또는 NIC(Network Interface card)이라고 한다.

역할

– 독립적으로 존재하던 두 대의 컴퓨터가 서로 대화/통신을 할 수 있도록 연결

신호를 전달하고 처리하는 방식에 따라 여러 가지 존재

– 10baseT Ethernet 네트워크 카드, Gigabit Ethernet 네트워크 카드, 802.11b 무선 랜 카드, 802.11g 무선 랜 카드 등

듀플렉스 모드

– 통신 과정 중에 양쪽의 네트워크 카드가 신호를 어떻게 주고받을지를 정해 주는 것 – 하프 듀플렉스(half duplex) 모드

•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불가능

– 풀 듀플렉스(full duplex) .

• 일반 전화와 같이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할 수가 있다.

네트워크 카드

(26)

무선 네트워크 카드

• 컴퓨터의 위치에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쉽게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변경 가능

• 무선 랜카드가 장착된 컴퓨터들은 무선 신호가 전달되는 범위 안에서 액 세스 포인트와 같은 별도의 장비 없이 서로 통신이 가능

• 애드혹(ad hoc) 방식

– 액세스 포인트 없이 무선랜 카드들만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것

다양한 무선 랜카드의 형태

(27)

네트워크 케이블(cable)과 컨넥터

• 네트워크 카드들을 서로 연결해야 할 경우 사용

• Fast Ethernet 카드의 경우에는 STP(Shielded Twisted Pair) 혹은 UTP(Unshielded Twisted Pair) 라는 케이블을 사용

• 네트워크 케이블을 네트워크 카드에 연결하기 위한 컨넥터의 경우에 는 동축케이블과 함께 사용되는 BNC 컨넥터와 TP 케이블에 사용되 는 RJ-45 컨넥터가 많이 사용

네트워크 케이블과 컨넥터

(28)

기타의 네트워크 장비들

• 리피터(Repeater)

– 네트워크 케이블상을 흐르는 신호를 증폭해 주는 역할

–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신호는 노이즈나 신호 감쇠 현상으로 인해서 단일 케 이블로 연결할 수 있는 최대 사용 길이가 정해져 있다.

– 리피터는 신호 증폭 기능으로 네트워크 케이블의 최대 사용 길이를 연장시켜 준다.

• 허브(Hub)

– 여러 대의 컴퓨터를 손쉽게 연결 시켜주는 장비

– 연결할 컴퓨터의 대수가 3대 이상으로 많아지면 허브를 사용하면 편리하다.

24포트 허브 형태

(29)

• 브리지(Bridge)

– 동축 케이블이나 TP 케이블과 같이 종류가 다른 네트워크 매체를 연결 – 서로 다른 종류의 케이블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카드들을 연결

– 네트워크를 여러 개의 세그먼트로 분리

• 네트워크의 병목 현상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컴퓨터의 대수를 늘려주고, 네트워크의 길이를 연장

– 최근에는 브리지의 기능을 향상시킨 스위치가 주로 사용 – 브리지는 보통 2~4개의

세그먼트들을 연결

– 스위치는 더 많은 수의 세그먼트들을 연결

브리지의 구성 예

기타의 네트워크 장비들

(30)

•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 무선 네트워크 구성에서 브리지 같은 역할을 해주는 장비

– 무선 네트워크 카드를 장착한 컴퓨터들이 인터넷과 같은 외부의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비이다.

– 액세스 포인트 없이 각각의 무선 랜 카드를 장착한 컴퓨터간의 통신을 애드혹(ad hoc) 상태라고 하고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네트워크 통신은 인프라스트럭처(infrastructure) 상태라고 한다.

– 사용하려는 무선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표준을 지원해주는 액세스 포인트를 사용해야 한다.

기타의 네트워크 장비들

(31)

스위치(Switch)

브리지의 기능을 개량한 장비

일반 브리지를 이용하는 경우

– 세그먼트1과 세그먼트2가 서로 통신을 하는 동안에는 다른 세그먼트들 사이의 통신 불 가능

스위치를 이용하는 경우

– 스위치의 내부에서 세그먼트1, 2 사이의 독립적인 연결 상태를 만들어 주고, 동시에 세그먼트 3과 4 사이의 통신이 필요할 때는 역시 독립적으로 세그먼트 3과 4 사이의 연결 상태를

만들어 줄 수 있다.

– 동시에 세그먼트 1, 2 사이의 통신과 세그먼트 3, 4 사이의 통신이 가능

– 네트워크의 전송 효율 (band width)이 증가

(32)

라우터와 게이트웨이

• 라우터(router)

– 브리지는 MAC 주소를 이용해서 ‘네트워크 세그먼트’를 분리

– 라우터는 IP와 같은 논리적인 주소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세그먼트’를 나누어 주는 장비이다.

– 인터넷은 TCP/IP의 라우팅 기능을 통해서 전 세계의 컴퓨터들을 연결 시켜준 다.

– 라우터는 인터넷의 핵심 장비 역할을 한다.

• 게이트웨이(Gateway)

– 브리지와 마찬가지로 서로 다른 네트워크 매체를 연결

– 양쪽 네트워크의 프로토콜이 다른 경우에도 통신 가능하게 해주는 장비이다.

라우터의 구성 형태

(33)

3. HTTP와 HTML

• HTTP

• HTTP 프로토콜의 구성요소

• HTML

• XML

(34)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 분산 환경 및 공동작업 환경에 이용할 하이퍼미디어 정보 시스템의 개발 을 목적으로 설계된 응용 계층의 프로토콜

• 인터넷의 월드 와이드 웹(WWW) 서버와 웹(WWW) 브라우저가 하이퍼텍 스트 문서 등의 정보를 송수신하는데 사용되는 클라이언트/서버 규약

• 음성, 화상, 데이터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데이터 형식도

MIME(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s)로 정의하여 전송 가능

• 요청/응답(request/response) 방식의 서비스 제공

(35)

HTTP 프로토콜의 구성 요소

• 브라우저가 서버에게 요청하는 명령들

• 서버가 브라우저에게 응답하는 명령들

• HTTP가 지원하는 두 종류의 요청 지원 – 단순 요청 (simple request)

• 프로토콜 버전의 명시 없이 원하는 페이지를 가리키는 GET 라인 으로만 구성. 이에 대한 응답으로, 헤더와 MIME이 없고 인코딩도 되지 않은 순수한 페이지를 전송 받는다.

– 완전 요청 (full request)

• GET 요청 라인에 프로토콜 버전을 명시.

• 요청은 여러 라인으로 구성될 수 있고 마지막 라인은 필히 공백 라인으로 끝나야 한다.

• 완전 요청 라인의 첫 번째 단어는 단순히 웹 사이트(또는 일반적 인 객체)에서 실행되는 명령의 이름이다.

(36)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 ISO 표준 8879의 어플리케이션

• 웹 프로그래밍 언어

• 문서 형식을 기술하는 마크업(Markup) 언어

• HTML에서 사용하는 명령어를 태그(Tag)라고 부른다.

• SGML (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에서 발전된 형태

• 웹 브라우저는 HTML 파일에 마크업 명령어들을 내장하고 이들을 규격화 함으로써 임의의 웹페이지를 읽어 들이거나 형식을 수정할 수 있게 된다.

• Microsoft의 Frontpage, Macromedia의 Dreamweaver 등이 HTML 에디 터로 많이 사용

(37)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 웹페이지

– <HTML>과 </HTML>라는 태그(tag: 형식 명령어)로 둘러싸인 head 부분 – body 부분으로 구성

• 태그들은 대소문자를 구별 않음, <HEAD>와 <head>는 동일하게 인식

• 태그는 또 하나의 태그를 가질 수 없다. 한 페이지에 여러 FORM을 사용 하려면 각각 독립되게 구성되어야 한다.

• 태그는 입력양식이라고도 하는데 회원가입 페이지에서 볼 수 있는 이름 이나 ID 등을 입력 받는 양식이나 설문조사에서 사용자에게 선택을 요구 하는 양식을 말한다.

– 입력 양식은 HTML 태그 중 사용자와 HTML과 상호 의견을 주고받을 수 있는 유일한 형식이다.

• 태그를 사용하는 궁극적인 목표는 다른 HTML태그의 목적인 문서의 레 이아웃을 정하고, 구성을 어떻게 하느냐가 아닌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 받고, 그에 따른 적절한 결과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38)

HTML 문서의 특징

대·소문자 구분이 없다

문서의 확장자는 *.htm 또는 *html을 사용

HTML 문자열 사이에 있는 하나 이상의 공백은 무시된다.

– 스페이스바로 띄어쓰기를 하거나 엔터키로 줄을 바꿔도 인식 못함

시작과 끝,순서를 반드시 지켜야 한다. 예를 들어 <font>로 시작했으면 </font>

로 끝을 맺어야 한다.

태그를 잘못 사용하더라도 브라우저에서는 에러가 나타나지 않는다.

</head> 내용을 먼저 실행한 후 </body> 부분 순서로 실행한다.

(39)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 HTML의 한계성

– HTML은 확장성이 없다.

– 애매모호한 정의(오류가 있는 HTML 문서 증가)

– 브라우저 공급자들이 특정 플랫폼에서만 사용 가능한 명령어들을 만 들어 냄(시장 확보 위해)

• 상호 호환성에 대한 위협과 HTML의 한계를 벗어나기 위해 HTML를 대 체할 목적으로 각 플랫폼 특유의 마크업 대신에 사용할 수 있고,

CSS(Cascading Style Sheets)와 완전히 확장 가능하고 구조적으로 완 벽하게 표준화 된 작업을 진행한 페이지 기술 언어인 마크업 언어인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을 발표 함.

– 1998년 2월에 XML 1.0의 권고안이 공표 되었고, 현재는 XML 2.0이 발표된 상태이다.

(40)

XML의 특징

차세대 정보 포맷 표준

웹이나 인트라넷 환경에서 정보를 생성하고 데이터 자체와 데이터의 포맷 형태를 동시에 공유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서로 다른 시스템이나 작업 환경에서도 각종 문서를 불러올 수 있는 호환성을 갖 고 있음

XML기반의 EDI가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구축할 때 가장 각광받는 분야로 떠오르 고 있다(표준화한 포맷으로 자리 잡음)

– CSS

• CSS는 문서의 구조(절 헤더, 본문 텍스트, 링크)와 분리해서

페이지 요소들의 스타일 (여백 주기, 테두리, 여백, 글씨 모양 등)을 명시

• 표현으로부터 구조를 분리시키게 되면 유지관리가 쉬워짐

(41)

XML

• DTD(Document Type Definition)

– XML 문서에서 사용되는 마크업을 선언 – 문서에 대한 논리, 물리 구조를 정의 – 문서의 구조를 정의하는 방법을 말함

– XML 문서의 요소 및 계층의 구조, 요소의 부속 정보인 속성 등을 선 언하는 방법이다.

– 애플리케이션 개발 관점에서 보면 데이터베이스 개발자들이 DB 스 키마에 따라 응용 프로그램을 작성하듯이 XML 개발자들은 DTD에 따라 응용 프로그램을 작성한다.

(42)

XML

– 스키마(Schema)

• 개발자들이 DTD가 프로그램 상에서 필요한 기능을 만족하기에는 융통성이 충분하지 않음을 느끼고 그 대안으로 제안한 XML 문서 구조를 정의하는 방법이다.

• 스키마는 XML 구문을 이용하여 XML 문서 구조를 정의하며, 스키 마의 구조를 정의한 DTD를 준수한다.

– XML을 이용한 마크업

• 내용과 표현을 분리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어떤 형의 데이터 라도 구조적인 방법으로 데이터를 기술할 수 있다. XML 문서

는 .xml로 끝나는 텍스트 파일로 저장한다.

(43)

XML

• XML 문서의 구성

– XML 문서의 정보를 기술하는 Prolog 부분 – 문서의 내용에 해당하는 Body 부분

– Prolog

• XML 파서 혹은 애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XML 문서를 어떻게 처 리할지 알려주는 PI(Processing Instruction) 부분이 제일 앞에 나 온다.

• CSS와 DTD나 스키마를 사용하는 문서인 경우 어떤 DTD나 스키 마를 사용하는지 알려주는 부분이 나온다.

문서 예제 코드

(44)

XML

• PI로 작정된 구문의 뜻은 다음과 같다.

<?xml version=

“2.0” encoding=“euc-kr”?>

– version

• 현재 사용하는 xml 버전을 작성해 넣는 곳이다.

– encoding

• 기본적으로 영어는 사용이 가능하며, 다른 언어를 xml 문서에서 사용하려면, encoding 속성에서 사용하고 싶은 언어를 설정하면 된다.

„euc-kr‟은 한글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 XML 문서는 두 가지 종류로 구분 가능

– W3C에서 제시한 XML 규칙만을 지켜서 작성된 문서로서 ‘Well- Formed XML

‟이라고 말한다.

• 만약 W3C가 제시한 규칙에 어긋나는 XML 문서이면 XML 파서 (Parser, 문서의 구조와 구문을 분석하는 소프트웨어)는 오류 메 시지를 보여준다.

– W3C에서 제시한 규칙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정의한 DTD 또는 스키 마의 규칙까지 지켜서 작성된 문서로서 ‘Valid XML

‟이라고 말한다.

(45)

XML

– Well-Formed XML 요구사항

• 시작 태그와 끝 태그가 일치해야 한다.

• 최상위(루트) 요소(element)는 한 개만 존재해야 한다.

• 태그를 지정할 때 대소문자를 구분한다.

• 하부 요소는 중첩하지 않는다.

• 속성(attribute)에 설정되는 값은 반드시 인용부호를 사용해야 한다.

• 하나의 요소에서 속성을 반복하여 사용하지 않는다.

– XML 선언 규칙

• xml 선언은 “<?xml” 문자로 시작하여 “?>”로 끝나야 한다.

• xml 선언할 때 “<?”와 “xml”은 띄어 쓰지 못한다.

• xml 선언은 최소한 xml과 version이 삽입되어 있어야 한다.

• encoding과 standalone은 선택적이다.

• 속성은 반드시 다음 순서대로 한다.

version→encoding→standalone

• XML 선언은 반드시 문서의 맨 처음에 와야 한다. 어떠한 공란도 허용되 지 않고, XML 문서의 맨 처음 문자는 반드시 xml 선언의 시작을 알리는

(46)

XML

CSS가 적용된 XML 문서의 결과 CSS 문서를 적용한 XML 문서

(47)

4. 인터넷 활용과 멀티미디어

• 인터넷 신문과 방송

• 전자상거래

• 엔터테인먼트

• 교육

• 사이버 공간과 아바타

(48)

48

인터넷 신문과 방송

인터넷 신문: 갱신이 빠르고 비용 절감, 자원절약

인터넷 방송: 멀티미디어 기술 적용, 스트리밍 기술

오마이 뉴스 KBS 방송

(49)

49

인터넷 방송

• 인터넷 방송과 공중파 방송과의 차이

– 공중 무선망을 이용 불특정 다수에게 정보를 전송,일방적 – 인터넷망을 이용 접속하는 사용자에게 정보 전송,상호대화식

• IPTV

– IPTV사업자가 확보한 콘텐츠,유로 – KT/SKB/LG U+

• 웹TV

– 온라인상에 유통되는 콘텐츠 – 곰RV,유투브,넷플릭스,Hulu

(50)

50

전자상거래(e-Commerce)

• B2B(기업과 기업), B2C(기업과고객), B2G(기업과정부), C2C(소비 자와 소비자)

• 인터넷 쇼핑

• 인터넷 뱅킹

옥션 외환은행 인터넷 뱅킹

(51)

51

엔터테인먼트

• 음악관련 사이트, 인터넷 게임

• 팟케스팅서비스:mp3단말기에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을 인터넷을 통 해 배급(ex:나꼼수)

한게임(인터넷게임사이트) 멜론(인터넷음악사이트)

(52)

52

교육(e-Learning)

e-Learning 유아 교육 사이트

(53)

53

사이버공간과 아바타

사이버공간 사이버공간의 아바타들

참조

관련 문서

 RSS is a family of Web feed formats used to publish frequently updated content such as blog entries, news

문제의 문제의 문제의 은폐방지를 문제의 은폐방지를 은폐방지를 위해 은폐방지를 위해 위해 위해 시각적 시각적 시각적 관리도구 시각적 관리도구 관리도구 사용 관리도구

더욱이 기성세대에 비하여 호기심은 많으나 미성숙한 판단력과 스스로를 통제하 는 능력이 부족한 초등학생들의 인터넷 사용 증가는 올바른 인터넷 사용 교육의

기존의 듀티 싸이클 구조의 MAC 프로토콜이 데이터 전송을 위해 RTS와 CTS 전송 을 위한 listen 구간의 개선에 집중한 반면, INS 프로토콜은 SYNC 패킷 전송을

이상과 같이 인터넷 중독은 체력 및 건강생활 습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따라서 성장기에 있는 청소년들에게 중독적 인터넷 사용 의 경각심과

인터넷 환경과 멀티미디어 인터넷 환경과 멀티미디어.

 멀티미디어 정보의 활용을 위해 인터넷 인프라를 강력하게 구축.  21 세기에는 많은 정보들이 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