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Neonatal Hepatic Hemangioendothelioma: A Single Institute Experience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Neonatal Hepatic Hemangioendothelioma: A Single Institute Experience"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단일기관에서 진단받은 신생아간혈관내피종의 임상적 고찰

길이혁1ㆍ유기영2ㆍ정현주1ㆍ박준은1

1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2한국혈우재단

Neonatal Hepatic Hemangioendothelioma: A Single Institute Experience

Leehuck Gil, M.D.1, Ki Young Yoo, M.D.2, Hyun Joo Jung, M.D.1 and Jun Eun Park, M.D.1

1Department of Pediatrics, Ajo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uwon, 2Korea Hemophilia Foundation, Seoul, Korea

Background: Hepatic hemagioendothelioma in neonatal period was rarely seen, so standard treatment does not established yet.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patients with neonatal hepatic hemangioendothelio- ma at Ajou University Hospital between 2001 and 2016 was performed.

Results: Six patients with hepatic hemangioendothelioma in neonatal period were founded. Mean age at diagnosis was 6.1 days (range, 1-26 days). Three patients have no symptoms; diagnostic approach was prenatal ultrasonography in 2 patients, and in- cidental abnormal ultrasonographic findings in 1 patient, but the other 3 patients have hepatomegaly and/or congestive heart failure. Three patients were observed without treatment and the other 3 patients received medical and/or surgical treatment. Three patients of those who did not receive treatment became spontaneous regression. Of the other 3 patients, 1 patient achieved complete tumor disappearance after surgical re- section, another 1 patient achieved to decrease tumor size with interferon-alpha treat- ment for 6 months and then had complete resolution of tumor after partial liver lobec- tomy, and other 1 patient who received hepatic artery embolization decreased in the size and number of lesions and then regressed gradually.

Conclusion: Asymptomatic patients with neonatal hepatic hemangioendothelioma could have spontaneous remission, but patients with symptoms such as hepatomegaly with congestive heart failure or thrombocytopenia needed to be applied with medical and/or surgical treatment.

pISSN 2233-5250 / eISSN 2233-4580 http://dx.doi.org/10.15264/cpho.2016.23.1.46 Clin Pediatr Hematol Oncol 2016;23:46∼52

Received on April 9, 2016 Revised on April 16, 2016 Accepted on April 25, 2016

Corresponding Author: Jun Eun Park Department of Pediatrics, Ajo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164 Worldcup-ro, Yeongtong-gu, Suwon 16499, Korea Tel: +82-31-219-5167 Fax: +82-31-219-5169 E-mail: pedpje@ajou.ac.kr ORCID ID: orcid.org/0000-0003-4292-3500

Key Words: Hemangioendothelioma, Neonatal, Hepatic, Tumor

서 론

신생아간혈관내피종(neonatal hepatic hemangioendothe- lioma)은 신생아기에 진단되는 비교적 드문 중간엽 종양 (mesenchymal tumor)으로 미국의 경우 약 20,000명 중에 1 명 정도의 확률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출생 후

4주 이내에 진단받은 간혈관내피종을 신생아간혈관내피종이

라 하며 여아에서 발생률이 2배로 높고, 종양의 크기, 위치와

각각의 합병증에 따라 다른 임상 경과를 보인다. 간혈관내피

종의 약 85%는 생후 2개월 이전에 진단되고 3세 이상에서 진

단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3]. 신생아간혈관내피종의 증상은

매우 다양한데, 종양의 크기가 클 경우 간비대나 복부 팽창,

상부 복부 종괴 등이 나타나고, 약 50-60%에서는 종양 내 다

(2)

량의 동정맥 단락으로 인한 울혈심부전을 보일 수도 있다. 빈 혈이나 혈소판 저하와 같은 혈액 증상을 동반하기도 한다 [4-6]. 임상증상 및 초음파 촬영, 컴퓨터 단층촬영과 같은 방사 선학적 검사를 통해 진단하며[7,8], 특별한 종양 표지자가 없 어, 간모세포종(hepatoblastoma), 중간엽과오종(mesenchymal hamartoma) 등과 구분이 어려운 경우에는 병리진단이 필요 한 경우도 있다[9]. 치료법으로는 스테로이드, 인터페론알파, 방사선치료, 간동맥색전술 등이 주로 이용되고 드물게 외과 절제술이나 간 이식까지도 시도된 사례도 있지만 아직 추천되 는 단일 치료법은 없다[10]. 신생아간혈관내피종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아직까지 정형화된 치료 방법이나 치료와 관련된 예 후가 정립된 것이 없어 본 연구에서는 국내 단일 기관에서 기관 내 치료방침에 준 하여 최근 15년간 진단 및 치료한 신생 아간혈관내피종의 임상 양상과 예후에 대한 경험을 공유하고 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 대상

2001년 1월 이후부터 2016년 3월까지 아주대학교 병원에서 신생아간혈관내피종으로 진단된 6명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2) 방법

의무 기록을 이용한 후향적 분석을 통해 신생아간혈관내피 종이 영상이나 병리 소견으로 진단된 환아들의 임상증상, 성별, 진단 시 나이, 진단 방법, 종양 위치, 종양 개수, 종양 크기, 혈액학적 소견(전체혈구계산, 간기능검사, 프로트롬빈시간, 활성부분트롬보플라스틴시간, 알파태아단백질), 치료방법, 관 찰 기간과 예후에 대해 조사하였다. 치료 효과는 치료 방법에 관계없이 ‘소실(resolution)’, ‘퇴행(regression)’, ‘진행(pro- gression)’과 ‘변화 없음(no change)’으로 분류하였으며, 소실 은 종양의 크기가 초기 병변의 10% 이하로 감소한 경우로 정 의하였고 퇴행은 종양의 크기가 초기 병변보다 감소하였으나 10% 이상인 모든 경우로 정의하였다.

간혈관내피종은 주로 초음파 촬영과 컴퓨터 단층촬영을 이 용하여 진단하고 간비대나 복부 팽창 이외에 호흡 및 수유곤 란, 혈소판감소증과 같은 종양관련 증상이 있을 경우 약물이 나 중재시술을 통한 치료를 시도한다. 아주대학교병원 소아청 소년과 치료방침에 따라, 간비대나 복부 팽창을 보인 모든 신 생아는 복부 초음파 촬영을 시행하였고 이 중 간혈관내피종이 의심된 경우 정확한 진단 및 다른 종양과의 감별을 위해 복부 컴퓨터 단층촬영과 혈관종 단광자컴퓨터단층촬영(hemangioma

single-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SPECT)을 시행하였다. 영상소견을 통한 진단이 명확하지 않을 때는 혈 중 알파태아단백질 농도를 측정하거나 조직 검사를 통한 병리 진단을 시도하였다. 종양의 위치와 개수에 따라 단일 종양과 다발 종양으로 구분하였다. 임상증상이나 단순흉부방사선검 사에서 울혈심부전이 의심될 경우 심초음파검사를 시행하였 다. 신생아간혈관내피종의 치료는 종양의 크기와 증상의 중증 도에 따라 결정하였다. 간비대나 복부 팽창 이외에 동반된 임 상증상이 없고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종양을 가지고 있는 경우, 치료 없이 관찰하였다. 복부 팽창 이외의 임상증상이 있는 환자 중에서 단일 종양으로서 외과 절제술 시행이 가능 한 경우 간엽부분절제술을 고려하였고, 첫 치료로 외과 절제 술을 시행하기에 종양의 크기가 클 경우 스테로이드와 인터페 론알파를 이용한 약물치료로 종양의 크기를 줄인 후 간엽부분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종양이 여러 개 이거나 활력징후가 불 안정하여 수술이 불가능한 환자의 경우, 간동맥색전술을 시행 한 후 스테로이드와 인터페론알파를 이용한 약물치료를 시행 하였다. 스테로이드는 경구용 프레드니솔론을 1 mg/kg/day 로 시작하여 환아의 상태에 따라 점차적으로 감량하는 방법을 사용하였고, 인터페론알파는 2,000,000-3,000,000 IU/m

2

/day 를 6-12개월간 유지하였다. 울혈심부전을 동반한 환자는 해당 치료를 병행하였다.  

결 과

2001년 1월부터 2016년 3월까지 아주대학교 병원에서 신생

아간혈관내피종으로 진단받은 환자는 총 6명이었다. 진단 시

연령은 1일에서 26일까지였고, 이 중 2명은 출생 후 3일 이내

에 진단되었으며 2명은 산전 초음파 촬영으로 진단된 상태에

서 출생하였다. 관찰 기간은 24개월에서 180개월까지였다

(Table 1). 6명 모든 환자에서 1차 복부 초음파 촬영시 확장된

간의 혈관계통 소견과 2차 복부 컴퓨터단층촬영에서 점차적

인 종양 중심부 조영증강이 되는 신생아간혈관내피종에 합당

한 소견을 보였다(Fig. 1). 이 중 3명의 환아에서 조직학적으

로 신생아간혈관내피종을 확진하였는데, 1명(사례 2번)은 영

상학적으로 간모세포종과 감별이 어려워 치료 시작 전 조직

검사를 시행하였고, 2명(사례 1번과 4번)은 간엽부분절제술로

종양을 수술적으로 제거한 후 이를 통한 병리소견으로 한 겹

의 혈관 내피층 세포가 간질에 쌓여있는 신생아간혈관내피종

과 일치하는 소견 확인하였다. 종양의 위치는 6명 중 5명의

환자에서 단일 종양이 보였고 1명의 환자만 다발 종양을 보였

다. 단일 종양은 모두 우측엽에 존재하였다. 1명을 제외한 모

(3)

든 환자에서 시행한 혈관종 SPECT는 연속지연영상에서 방사 능 집적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소견 보였고, 다른 내부장기 에 동반된 혈관종이 확인된 환자는 없었다(Fig. 2).

진단 시 간혈관내피종에 의한 임상증상을 동반한 환자는 3명(50%)였다. 그 외의 환자 3명 중 1명은 잠복고환을 주소로 시행한 복부 초음파 촬영에서 우연히 진단되었고 2명은 산전 초음파 촬영으로 진단 후 출생한 환아였다. 간혈관내피종에 의한 초기 임상증상은 복부팽창(2명), 수유곤란(2명), 호흡곤 란(2명)이었다. 울혈심부전 증상을 보인 환아는 단순 흉부방 사선사진에서 심장비대가 관찰되었고 심초음파검사에서 울혈 심부전에 합당한 소견이 확인되었으며 그에 대한 약물치료를 병행하였다. 다발 종양을 가진 사례 6번 환자는 진단 시 중증 울혈심부전으로 인한 불안정한 생체징후를 나타내었다.

진단 시 간기능검사 이상 소견을 보인 환자는 4명이었으나 모두 유의할 만큼의 증가는 보이지 않았고(aspartate amino- transferase (AST)/alanine aminotransaminase (ALT), 평균 67 (30-113) U/L/26 (6-51) U/L) 단기간 추적 검사에서 정상화되 었다. 진단 시 및 추적 검사에서 응고장애를 포함한 혈액이상 을 시사하는 임상증상을 보인 환자는 없었으나, 가장 큰 단일 종양을 가진 1명(사례 1번)의 경우 진단 시 경증 혈소판감소 증(91,000/mm

3

)을 보였다가 단기간 추적 검사에서 정상화 되 었다. 진단 시 임상증상을 동반하거나 방사선학적 검사에서 간모세포종을 배제할 수 없었던 총 4명의 환자에서 혈중 알파 태아단백질 수치를 측정하였고, 모두 환자 나이 대비 정상 범 위였다.

6명 중 복부 팽창을 제외한 임상증상이 없고 상대적으로 종양의 크기가 작았던 3명의 환자(사례 2, 3, 5번)는 치료 없 이 관찰하였다. 사례 2번은 1차 초음파 촬영에서 혈관종으로 진단되었으나 복부 컴퓨터 단층촬영에서 다른 고형암 가능성 고려되어 조직 검사를 통한 병리진단으로 신생아간혈관내피 종을 확진하였고 이후 치료 없이 경과 관찰하여 자연 퇴행한 것을 확인하였다. 사례 3번과 5번은 방사선학적 검사 소견으 로 진단 후 치료 없이 경과 관찰하여 종양의 크기가 각각 90%

와 50% 이상 자연 퇴행한 것을 확인하였다. 6명 중 치료를 받은 환자는 3명(사례 1, 4, 6번)이었다. 사례 1번은 비교적 큰 종양(최대 지름 10 cm)과 울혈심부전, 경증 혈소판감소증 증상을 동반하여 11개월간의 인터페론알파와 스테로이드 치 료를 동시에 시행 후 크기가 감소하여(4 cm) 간엽부분절제술 을 시행하였다. 사례 4번은 1차 초음파 촬영에서 신생아간혈 관내피종으로 진단되었으나 복부컴퓨터단층촬영에서 간모세 포종으로 의심되어 간엽부분절제술후 병리진단으로 신생아간 혈관내피종 확진하고 추가 치료 없이 경과 관찰하였다. 사례

Table 1.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results in patients with neonatal hepatic hemangioendothelioma CaseSexAge (day)LesionsMass size (cm)Presenting symptomsAFP (ng/mL)GOT/GPT (U/L)TreatmentFollow up duration (mo)Outcome 1F2Solitary (Rt)10*7Hepatomegaly (abdominal distension) & CHF (feeding difficulty, dyspnea)

57,659113/20IFN-a & steroid → Op (partial liver lobectomy)107Resolution 2M26Solitary (Rt)4*3Hepatomegaly (abdominal distension)1,45561/51Observation18075% Regression 3M0Solitary (Rt)3*2PrenatalND55/31Observation84Resolution 4M0Solitary (Rt)6*4Prenatal37,70030/6Op (partial liver lobectomy)24Resolution 5M3Solitary (Rt)3*2IncidentalND104/25Observation6350% Regression 6F6MultipleMultipleCHF (feeding difficulty, dyspnea)6,71039/25Embolization → IFN-a & steroid4675% Regression F, female; M, male; Rt, right; CHF, congestive heart failure; AFP, alpha-fetoprotein; ND, not done; Mo, months; IFN-a, interferon-alpha; Op, operation.

(4)

Fig. 1. (A1, A2) Initial computerized tomography (CT) of patient No. 6 shows low attenuated multifocal scattered nodule in preen- hanced state and central enhanced nodule representing multiple hepatic hemangioendothelioma. (B1, B2) Thirty-five months later after hepatic artery embolization followed by steroid and interferon alpha treatment, CT shows marked regression of tumors (black arrow) and multiple calcified lesions (white arrow).

6번은 진단 시 다발 종양으로 불안정한 생체징후를 동반한 심 한 울혈심부전 증상이 있어 조기에 간동맥색전술을 시행하고 이후 10개월간 인터페론알파와 스테로이드 치료를 동시에 유 지하였으며, 치료 종료 후 추적 관찰한 복부 컴퓨터 단층촬영 에서 종양의 감소 및 석회화를 보였다(Fig. 1). 전체 추적 관찰 기간(24개월-180개월) 동안 정기적으로 확인한 결과, 모든 환 자에서 재발하거나 진행하는 경우 없이 성공적으로 종양의 크 기가 감소하였고, 치료와 관련된 증증 합병증은 발견되지 않 았다. 본 연구 기간 중 방사선요법이나 간 이식을 받은 사례는 없었다.

고 찰

혈관내피종(hemangioendothelioma)은 완전히 양성인 혈

관종(hemangioma)과 매우 악성인 혈관육종(angiosarcoma) 의 경계선상의 생물학적 특성을 보이는 혈관종양으로, 1982년 Weiss와 Enzinger에 의해 처음 정의되었다[11]. 간혈관내피종 (hepatic hemangioendothelioma)은 전체 소아 종양의 2-3%

를 차지하는 신생아기의 흔하지 않은 혈관종양으로써 본 연구 에서는 16년 동안 총 6명의 환자가 포함되었다[2,4]. 대부분 생후 6개월 이전에 진단되며, 성비는 여자에게서 더 흔한 질 환으로 알려져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1:2로 남자가 2배 더 많 았다.

신생아간혈관내피종에서 보일 수 있는 임상증상은 무증상

으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에서부터 중증의 울혈심부전이나

혈액응고장애까지 다양하다. 임상증상은 종양의 크기와 위치

에 의해 결정되는데, 간비대(83%), 복부 종괴(66%), 피부 혈

관종(65%), 구토(25%) 등이 흔하고 일부에서 성장장애(25%)

(5)

Fig. 2. Hemangioma single-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SPECT) image of patient No. 3 shows diffuse increased uptake in Right lobe mass of liver.

가 있을 수도 있다[6,7]. 종양 안에 다량의 동정맥 단락이 존재 하는 경우 말초혈관저항이 감소하여 전신의 총순환량 유지를 위해 총 혈액량과 심박출량이 늘어나 울혈심부전이 발생하는 데, 전체 환자의 50-60%까지 동반될 수 있으며 주로 수유곤란 이나 호흡곤란 등의 비특이적인 증상으로 나타난다[1,12-14].

신생아간혈관내피종 환자 중 10-15%에서는 피부, 폐, 림프절, 췌장, 후복막강과 뼈 등의 다른 장기에 혈관종이 함께 관찰되 며, 그 외에 드물게 비장비대, 호흡곤란, 황달, 복수와 같은 증상이 동반될 수 있다[13]. 신생아간혈관내피종 혈관 내부에 서 일어난 소모성 응고로 인해 혈소판감소증과 같은 혈액학적 이상 소견이 함께 발생할 수 있는데, 이처럼 혈소판감소증을 동반한 중증 혈관종을 Kasabach-Merritt syndrome이라 부르 며 이 경우 매우 높은 사망률을 나타낸다[12]. 본 연구에서는 1명(사례 6번)이 피부혈관종이 동반되어 있었고, Kasabach- Merritt syndrome은 없었다. 본 연구의 6명 환자 중 3명은 진 단 시 특이한 임상증상을 보이지 않았는데 이들 중 2명은 산 전 초음파 촬영에서 발견되었고(사례 3번과 4번), 1명은 잠복 고환으로 시행한 복부 초음파 촬영에서 우연히 발견되었다(사 례 5번). 본 연구에서 진단 시 임상증상이 발현된 환자는 3명 으로 각각 간비대 2명(33%), 울혈심부전 증상 2명(33%)이었

고 1명은 두 가지 증상을 동시에 나타내어, 이전 문헌에서 알 려진 신생아간혈관내피종의 임상증상 발현 비율보다 낮았다.

특히, 진단 시 임상증상이 없었던 환자 2명(33%)은 산전 초음 파 촬영으로 출산 전에 종양이 확인되어 출산 직후 치료를 미 리 계획하였던 경우였다. 본 연구에서 연구 대상 환자 수는 총 6명으로 임상증상 발현 비율을 일반화 할 수 없고 산전 초 음파 촬영으로 출산 전에 진단된 신생아간혈관내피종 환자 모 두 임상증상을 보이기에는 작은 크기의 종양이었다는 한계는 있으나 산전 초음파 촬영술의 발달로 출생 전에 미리 종양을 발견하는 것이 가능해졌으며 이를 통해 임상증상이 발생하기 전에 적절한 치료를 계획함으로써 신생아간혈관내피종 환자에 서 중증 임상증상의 발현 비율을 낮출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초음파 촬영술은 신생아간혈관내피종의 초기 진단도구로 매우 유용한 도구로써, 다양한 정도의 고에코와 저에코의 에 코결이 동반된 고형의 간조직으로 이루어진 특징적인 병변과 도플러 초음파에서 확장된 간의 혈관계통과 현저하게 많은 혈 류가 있는 동정맥 단락이 관찰되는 경우에 진단할 수 있다[7].

비조영증강 컴퓨터 단층촬영에서 신생아간혈관내피종은 정상

간조직에 비해 저감쇠를 보이는 명확한 경계가 있는 덩이를

보이는 경우가 많은데, 16-40%에서는 중심부의 출혈이나 석

(6)

회화로 덩이의 중심부에 고감쇠를 보이는 비균질한 모습을 보 이기도 한다[8]. 조영증강 컴퓨터 단층촬영에서는 초반에는 결 절 모양의 변연부의 조영증강을 보이다가 점차적으로 중심부 조영증강이 되는 성인의 거대혈관종과 비슷한 양상이 관찰되 며 크기가 큰 종양에서는 섬유화나 출혈 혹은 괴사 등으로 중심부 조영증강이 되지 않을 수 있다[8]. 본 연구에서는 단일 종양으로 크기가 가장 컸던 1명(사례 1번)에서 괴사로 중심부 조영증강이 되지 않는 모습을 보였다. 혈관종 SPECT는 혈류 기에는 방사능 집적이 감소 또는 증가의 다양한 소견을 보이 나 연속지연영상에서 방사능 집적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소 견을 보인다[15]. 본 연구는 모든 환자에서 첫 진단 방법으로 초음파 촬영을 시행하였고, 정확한 해부학적인 구조와 조직의 조영증강양상 확인을 목적으로 컴퓨터 단층촬영을 시행하였 다. 컴퓨터 단층촬영상 전형적인 혈관종과 다른 모습을 보였 던 환자는 2명(사례 2, 4번)이었고 사례 2번과 사례 4번의 모 두 불균일한 조영증강을 보이며 낭포성 변화와 출혈이 동반되 어 있었다. 혈관종 SPECT를 시행한 5명의 환자는 모두 혈관 종에 합당한 소견을 보였다(Fig. 2).

병리 진단은 영상학적으로 진단이 모호할 경우 시행한다.

조직학적으로 신생아간혈관내피종은 한 겹으로 이루어진 혈 관 내피층 세포가 담관이 잘 보존되어 있는 채로 섬유성 간질 에 둘러싸여 있고 중심부에 섬유화나 석회화와 동반되어 있는 양상을 보인다[16,17]. 본 연구에서도 영상학적으로 간모세포 종과 감별이 어려웠던 1명(사례 2번)에서 치료 시작 전 조직 검사를 시행하여 조직학적으로 확진하였다. 간엽부분절제술 로 수술적으로 종양을 제거한 1명(사례 4번)에서도 조직학적 으로 신생아간혈관내피종이 확진되었다.

혈중 알파태아단백질은 소아에서의 간종괴를 평가하는데 중요한 종양표지자로 출생 후 급격히 감소하여 생후 8개월경 에는 거의 성인과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며, 간모세포종과 달 리 신생아간혈관내피종 환자에서는 알파태아단백질이 상승하 는 경우는 드물다[9].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학적 검사에서 간 모세포종을 배제할 수 없거나 진단 시 간비대과 같은 임상증 상이 있었던 4명의 환자에서 혈중 알파태아단백질을 측정하 였고 검사 당시 나이 대비 정상 범위였다. 4명의 환자에서 진 단 시 경증의 간 기능 이상 소견을 보였으나 단기간 추적 검사 에서 정상화되어, 간기능검사 이상 소견과 환자의 임상증상의 연관관계는 찾을 수 없었다.

신생아간혈관내피종의 치료를 위해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 고 있으나 아직 표준적인 치료는 없다[18]. 가장 흔히 사용되 는 1차 치료법은 스테로이드를 이용한 약물적 치료로 정확한 기전은 밝혀져 있지 않지만 스테로이드가 내피세포의 증식을

막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프레드니솔론을 수주 간 사용하 다 감량하는 방법이 흔히 사용되고 있다[19]. 이와 더불어 인 터페론알파를 이용한 약물적 치료도 사용되는데, 일반적으로 스테로이드의 효과가 명확하지 않을 때 대치하거나 병용하는 방법으로 3-6개월 정도 유지하며 간 기능저하, 골수억제와 같 은 심각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어 신중한 관리가 필요하다 [19]. 울혈심부전이 동반되면서 생체징후가 불안정할 때는 간 동맥색전술로 동정맥 단락에 대한 직접적인 접근을 시도할 수 있다. 방사선치료도 고려될 수 있으나 간경화나 백혈병 등의 중증 장기 부작용에 대한 가능성을 신중히 고려하여야 한다 [20]. 본 연구에서는 스테로이드와 인터페론알파를 이용한 약 물치료를 한 사례는 2명(사례 1, 6번)으로, 두 경우 모두 스테 로이드와 인터페론알파를 동시에 사용하였다. 이들 중 1명은 약물치료 후 간엽부분절제술을 시행하였고, 다른 1명은 진단 시 중증 울혈심부전으로 간동맥색전술 이후 약물치료를 시행 하였다. 약물치료 없이 간엽부분절제술로 치료한 환자는 1명 이었다. 치료 없이 관찰했던 환자는 3명으로 종양의 크기가 크지 않고 동반된 임상증상이 없었던 경우였다. 모든 경우에 서 성공적으로 종양의 크기가 감소하였고, 종양 자체나 치료 와 관련된 증증 합병증은 없었다. 신생아간혈관내피종에서 중 요한 예후 인자는 증상이 있는 종괴, 울혈심부전, 황달과 다발 종양의 유무이다[21,22]. 신생아간혈관내피종과 관련해 생길 수 있는 심각한 합병증으로는 울혈심부전이나 소모성응고병 증과 동반된 혈소판감소증(Kasabach-Merritt syndrome)이 있 으며 그 중 울혈심부전은 치료받지 않은 환자 사망원인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중요한 사망요인이다[19]. 본 연구에서 도 다발종양을 가진 환자(사례 6번)에서 불안정한 생체징후를 동반한 심한 울혈심부전 증상을 보였고, 조기 간동맥색전술로 울혈심부전이 호전된 후 양호한 치료 경과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 임상증상이 없는 경우 치료 없이 관찰한 경우에서도 충 분한 종양의 퇴행을 기대할 수 있고, 임상증상 특히 울혈심부 전 증상을 보이는 환자의 경우 적극적인 치료로 합병증 없이 양호한 임상 경과를 유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신생아간혈관내피종은 비침습적인 영상학적 검사로 비교적

쉽게 진단이 가능하지만 울혈심부전이나 혈소판감소증와 같은

중증 합병증 여부에 따라 그 예후가 매우 달라질 수 있다. 산

전 초음파 촬영이 발달하면서 출산 전 발견되는 비율의 증가가

기대되며 이를 통해 임상증상이 심각해지기 전에 적극적인 치

료가 가능해졌다. 임상증상이 없는 신생아간혈관내피종의 경

우 지속적인 방사선학적 검사나 혈액검사를 통한 추적 관찰만

으로도 호전되었지만, 일률적인 치료 방법보다는 환자의 증상

을 고려하여 단순 추적 관찰하거나, 울혈심부전이나 혈소판감

(7)

소증 같은 증상이 있는 환자의 경우 약물, 중재시술 혹은 수술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치료할 수 있다. 향후 치료 대상과 방법 에 대한 구체적인 치료방침을 고안하기 위해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References

1. Selby DM, Stocker JT, Waclawiw MA, Hitchcock CL, Ishak KG. Infantile hemangioendothelioma of the liver. Hepatology 1994;20:39-45.

2. Parker BR. The hepatobiliary system. In: Silverman FN, Kuhn JP, editors, Caffey’s pediatric X-ray diagnosis: An integrated imaging approach. 9th ed. St. Louis: Mosby, 1993;915-69.

3. Park EA, Seo JW, Lee SW, Choi HY, Lee SJ. Infantile he- mangioendothelioma treated with high dose methylpredni- solone pulse therapy. J Korean Med Sci 2001;16:127-9.

4. Pariente D. The liver, biliary tract and spleen. In: Carty H, Shaw D, Brunelle F, Kendall B, editors, Imaging children. 1st ed. New York: Churchill Livingstone, 1994;485-560.

5. Zenge JP, Fenton L, Lovell MA, Grover TR. Case report: in- fantile hemangioendothelioma. Curr Opin Pediatr 2002;14:

99-102.

6. Dehner LP, Ishak KG. Vascular tumors of the liver in infants and children. A study of 30 case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Arch Pathol 1971;92:101-11.

7. Buonomo C, Taylor GA, Share JC, Kirks DR. Abnormalities of the hepatobiliary system. In: Kirks DR, Griscom NT, edi- tors, Practical pediatric imaging: diagnostic radiology of in- fants and children. 3rd ed. Philadelphia: Lippincott-Raven, 1998;954-79.

8. Ingram JD, Yerushalmi B, Connell J, Karrer FM, Tyson RW, Sokol RJ. Hepatoblastoma in a neonate: a hypervascular pre- sentation mimicking hemangioendothelioma. Pediatr Radiol 2000;30:794-7.

9. Kadian YS, Singh M, Rattan KN, Gupta V. Infantile hepatic hemangioendothelioma in an 11-year-old child: A case report and review of literature. OGHR 2014;3:36-9.

10. Al-Tonbary Y, Fouda A. Infantile hepatic hemangioendothe-

lioma: an 8-month old infant successfully treated with a corticosteroid. Hematol Oncol Stem Cell Ther 2009;2:422-5.

11. Weiss SW, Enzinger FM. Epithelioid hemangioendothelioma:

a vascular tumor often mistaken for a carcinoma. Cancer 1982;50:970-81.

12. Lu CC, Ko SF, Liang CD, Kuo HW, Tiao MM. Infantile hepatic hemangioendothelioma presenting as early heart failure: re- port of two cases. Chang Gung Med J 2002;25:405-10.

13. Riley MR, Garcia MG, Cox KL, Berquist WE, Kerner JA Jr.

Hepatic infantile hemangioendothelioma with unusual mani- festations.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2006;42:109-13.

14. Robbins RC, Chin C, Yun KL, Berry GJ, Bernstein D, Reitz BA. Arterial switch and resection of hepatic hemangioen- dothelioma. Ann Thorac Surg 1995;59:1575-7.

15. Royal HD, Brown ML, Drum DE, Nagle CE, Sylvester JM, Ziessman HA. Procedure guideline for hepatic and splenic imaging. Society of Nuclear Medicine. J Nucl Med 1998;39:

1114-6.

16. Davenport M, Hansen L, Heaton ND, Howard ER. Heman- gioendothelioma of the liver in infants. J Pediatr Surg 1995;

30:44-8.

17. Konez O, Burrows PE. An appropriate diagnostic workup for suspected vascular birthmarks. Cleve Clin J Med 2004;71:

505-10.

18. Maguiness SM, Frieden IJ. Current management of infantile hemangiomas. Semin Cutan Med Surg 2010;29:106-14.

19. Fok TF, Chan MS, Metreweli C, Ng PC, Yeung CK, Li AK.

Hepatic haemangioendothelioma presenting with early heart failure in a newborn: treatment with hepatic artery emboliza- tion and interferon. Acta Paediatr 1996;85:1373-5.

20. Al-Rashid RA. Cyclophosphamide and radiation therapy in the treatment of hemangioendothelioma with disseminated intra- vascular clotting. Cancer 1971;27:364-8.

21. Daller JA, Bueno J, Gutierrez J, et al. Hepatic hemangioendo- thelioma: clinical experience and management strategy. J Pediatr Surg 1999;34:98-105.

22. Chen CC, Kong MS, Yang CP, Hung IJ. Hepatic he- mangioendothelioma in children: analysis of thirteen cases.

Acta Paediatr Taiwan 2003;44:8-13.

수치

Fig. 2. Hemangioma single-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SPECT) image of patient No

참조

관련 문서

: Bone response to unloaded titanium implants with a sandblasted and acid-etched surface : A histomorphometric study in the canine mandible.. : Early

The feed is commonly a solution in a solvent like ethanol or t-butanol, and the nonsolvent is water..

For my study, this being diagnosed with prostate cancer receiving treatment in patients with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for their experience

Lee, H.S., et al., Therapeutic efficacy of transcatheter arterial chemoembolization as compared with hepatic resection in hepatocellular carcinoma patients with compensated

In this study, a titanium surface was modified with acrylic acid (AA) using a plasma treatment and immobilized with bioactive arginine- glycine-aspartic acid (RGD) peptide,

"Guidelines for the early management of adults with ischemic stroke: a guideline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American Stroke Association Stroke

Guidelines for the early management of adults with ischemic stroke: a guideline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American Stroke Association Stroke Council,

verify that USF2 interacts with BRCA1 in HeLa cells, and investigate changing interaction between.. BRCA1 and USF2 after treatment of ionizing radiation (IR), w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