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Objects & methods : The authors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93 patients who had undergone a pancreaticoduodenectomy with the duct-to-mucosa method between 1994 and 2000 by one surgeon.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Objects & methods : The authors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93 patients who had undergone a pancreaticoduodenectomy with the duct-to-mucosa method between 1994 and 2000 by one surgeon. "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췌십이지장 절제술에 있어 췌관-공장 점막문합술과 술전 경피적 담도 배액술의 임상 경험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이 경 근 * 이 광 수 * 권 오 정 * 이 흥 우 * 박 훤 겸

Clinical experiences of Duct-to-Mucosa Pancreaticojejunostomy and PTBD in Pancreaticoduodenectomy(personal experiences of 93 cases)

Department of Surgery, Ha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Kyeong Geun Lee, M.D., Kwang Soo Lee, M.D., Oh Jung Kwon, M.D.,

Heung Woo Lee, M.D., Hwon Kyum Park, M.D.

Background : Pancreaticoduodenectomy is well established in the armamentarium of the surgeon treating periampullary carcinoma and benign lesion. With refinement of operative technique and more enlighting management during the postoperative period, the morbidity and mortality of this procedure have reduced significantly. Leakage of the pancreaticojejunal anastomosis has been a major complica- tion after this procedure, frequently reported in an incidence of 5 percent to 15 percent. Therefore, authors retrospectivly reviewed about clinical experience of duct-to-mucosa anastomosis and PTBD in pancreaticoduodenectomy.

Objects & methods : The authors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93 patients who had undergone a pancreaticoduodenectomy with the duct-to-mucosa method between 1994 and 2000 by one surgeon.

Results : The male-to female ratio was 2.1:1(63:30) and mean age was 57 years old(range from 26 to 77). Thirty patients(32.6%) of 93 patients were distal common bile duct cancer, 22 patients(24%) were pancreatic head cancer, 21 patients(23%) were Ampulla of Vater cancer, 5 patients(5.4%) were chronic pancreatitis, 3 patient(3.3%) were duodenal cancer. The operative morbidity was 35.8%, and there was three perioperative mortality(3.2%). The mean operative time was 8.8 hours. A pancreatic fistula was diagnosed in 6 of the 93 patients(6.5%) and surgical intervention was done in 1 of the 6 patients. A PTBD for preoperatively biliary drainage was done 64 cases and complication related PTBD was 3 cases(4.7%, hemobilia).

Conclusions : Even if this anastomotic technique requires a little more time and attention by the sur- geon, we experienced that the low incidence of pancreatico-jejunal anastomosis related complication represents a validation of the method, and a motivation to adapt this anastomotic technique. But, this method is not absolute because surgeon’s preference is most important factor in operation.

Key Words: Whipple’s procedure, Duct-to-mucosa pancreaticojejunostomy, PTBD Vol. 5. No. 2. 2001

책임저자 : 이광수, 서울시 성동구 행당동 17번지 우. 133-792 한양대학교병원 외과 Tel: 02-2290-8451 Fax: 02-2281-0224

※ 본 논문은 2001년 한양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으로 연구되었음.

(2)

서론

췌십이지장 절제술은 1935년 Whipple등에 의해 서 성공적으로 시행된 이래 팽대부 주위암 및 췌장 두부의 양성 질환에서 흔히 적용되는 표준술식이 다. 그러나 당시에는 높은 수술 사망률과 합병증으 로 인하여 외과의사들이 기피하는 술식중의 하나였 다. 최근 마취학의 발달, 수술수기 및 술전, 술후 환 자 관리의 발전등으로 인하여 수술 합병증 및 사망 률이 크게 낮아지기는 했으나 다른 복강내 수술에 비하여 여전히 합병증의 비율이 높은 수술이다. 특 히 잔여 췌장과 공장과의 문합부 누출은 패혈증, 출 혈, 복강내 농양형성 등의 합병증을 유발하여 높은 사망률을 보이고, 췌장액 의 복강내 누출과 관련된 여러 전신적인 합병증을 유발한다. 이러한 이유로 잔여 췌장의 처리에관한 많은 연구가 시행되었고 최근에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잔여 췌장과 소장과 의 문합이 시행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저자들은 췌관-공장 점막문합술의 경험과 술전 시행한 PTBD 를 이용한 담도 감압술의 효과에 대한 경험을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한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8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한양대학교병원 외과학교실에서 한 외과의에 의하여 췌십이지장 절 제술을 시행받은 9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 을 토대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각각의 원인 질환 은 조직학적 진단을 근거로 빈도를 결정하였으며, 원인 질환에 따른 합병증과, 악성과 양성 질환의 합 병증의 빈도를 비교하였다. 합병증은 수술과 관련 된 합병증을 복강내 합병증과 전신적인 합병증으로 구분하여 기술하였으며, 동반된 경우는 각각 따로 기술하였다. 췌장-공장 문합부 누출같은 주요 합병 증은 따로 상세히 기술하였으며, 기왕의 논문에서 발표된 합병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관한 통계 적 처리 및 의미에 관한 기술은 따로 하지 않았는 데, 이는 이미 발표된 국내외 많은 논문에서 대동소 이한 결과를 보이고, 본 연구의 목적이 한 외과의가 경험한 췌십이지장 절제술의 수술수기 및 합병증의 고찰에 있기 때문이다.

결과

1. 환자의 특성

총 93명의 환자중 남자 63명, 여자 30명으로 남녀 의 비는 2.1:1 이었고, 평균 연령은 57세(±11)였고, 분포는 26세부터 77세였다.

조직학적 진단에따른 분류에서 원위 총수담관 암 이 32.6%(30예)로 가장 많았고, 췌장 두부암과 팽대 부 주위암이 각각 22예(24%), 21예(23%)로 비슷한 분포를 보였다. 양성 질환으로는 만성 췌장염이 5예 (5.4%)였다(Table 1). 내원 당시의 주증상으로는 황 달이 45.1%(42예), 상복부 동통 31.2%(29예)를 보 여 황달 및 동통이 주된 증상임을 알 수 있었다 (Table 2).

2. 수술

췌십이지장 절제술이 91예, 유문부 보존 췌십이지 장 절제술이 2예에서 시행되었다. 91예의 췌십이지 장 절제술중 5예(Left lateral segmentectomy:2예, Right lobectomy:2예, Extended right lobectomy:1 예)에서 동반 간절제가 시행되었으며, 4예에서는 문맥절제후 문맥 단단문합를 동시에 시행하였다 (Table. 2).

술중 수혈은 2pints이하 인경우가 78예로 전체의 84%를 차지하였고, 3pints이상인 예가 15예였다(0- pint:25예, 1-2 pints:52예, 3-4 pints:13예,>5 pints:2 Table 1. Histologic diagnosis of 93 cases

Histologic Diagnosis Number

Distal common bile duct carcinoma 30

Pancreas head carcinoma 22

Ampullar of Vater carcinoma 21

Chronic pancreatitis 5

Duodenal carcinoma 3

Islet cell tumor, pancreas 3

Intraductal papillary mucinous tumor, pancreas 3

Solid pseudopapillary tumor, pancreas 2

Serous cystic neoplasm(adenoma), pancreas 1

Metastatic tumor(hepatocellular carcinoma) 1

(3)

예).

수술 시간은 평균 8.8시간(range:5.6h-14.7h)이었 고, 수술시간이 가장 오랜환자는 총수담관 암으로 간좌엽절제를 동시에 시행한 환자였다.

전이성 암으로 수술한 환자는 1990년 간세포암으 로 간절제술후 추적관찰 중이던 환자로 1999년 폐 쇄성 황달소견보여 췌십이지장 절제술 시행후 조직 검사상 간세포암의 췌장 전이였으며 환자는 2001년 3월에 간세포암의 다발성 간내 전이로 사망하였다.

유문부 보존 췌십이지장 절제술을 시행한 2예중 1 예에서 심한 위배출 지연장애 소견을 보여 위-공장 문합술을 재시행하였다.

3. 수술 수기

본 저자들은 췌두부 절제술에있어 가장 위중한 합 병증을 일으키는 췌-공장 문합부 누출을 예방하고, 췌관의 연속성을 유지하기위해 췌관-공장간 점막대 점막 문합술을 93예 전예에서 시행하였다. 술전 황 달이 있는 환자는 가능한한 경피적 담도 배액술 (PTBD)을 시행한후 황달을 경감시킨후 수술을 하 였고, 경피적 담도배액관(Percutaneous transhepat- ic biliary drainage catheter))은 총수담관 공장 문합 후 스텐트로 사용하여 배액관을 공장내 위치시켜 담즙과 췌장액이 외부로 배액되게 하였다.

췌-공장 점막대 점막 문합은 비흡수성 ethibond 5-0를 사용하여 후벽을 비연속성으로 문합한 다음 (Fig. 1), 췌관내에 스텐트로 실리콘관(silastic catheter)를 삽입한후 후벽 문합에 사용한 ethibond

로 고정후, 전벽을 같은 방법으로 문합하였다(Fig.

2). 점막 문합후 췌장 막과 공장의 장막을 비연속성 으로 silk 4-0(atraumatic)를 이용하여 문합하였다.

총수담관-공장 문합은 흡수성 Vicryl 4-0를 이용하 여 단층, 비연속성으로 문합한후 경피적 담도배액 관(PTBD catheter)을 공장내에 위치시켰다.

4. 술후 사망률

술후 30일이내 수술 합병증과 관련하여 사망한 경 우를 주술기 사망으로 정의(perioperative mortali- ty)하여 93예중 3예에서 사망하여 3.2%의 술후 사 망률을 보였고, 술후 병원 사망률은 6예에서 발생하 여 6.5%의 병원 사망률을 보였다. 3예의 술후 사망 한 환자중 2예는 문합부 누출과 관련하여 각각 패혈 증, 출혈로 사망하였고, 다른 1예는 술후 급성 신부 전으로 인한 폐부종, 급성 호흡부전으로 술후 5일째 사망하였다.

패혈증으로 사망한 환자는 췌장-공장 문합부의 누 출 소견보여 술후 6일째 재수술 시행하였는데 재수 Table 2. Chief complaints of 93 patients.

Chief Complaints Cases(%)

Jaundice 42(45.2)

Abdominal pain 9(31.2) Indigestion (8.6) General weakness 5(5.4) Weight loss 2(2.1) Fever/Chilling 2(2.1) Abdominal mass 1(1.1)

Etc 4(4.3)

Fig. 1. Posterior wall of pancreatic duct( ▶) was anastomosed with mucosa of jujenum.

Fig. 2. Internal stent(▶) was inserted to pancreatic

duct before anterior wall anastomosis.

(4)

술 소견상 췌장-공장 문합부의 췌장 단면에서의 출 혈로 인하여 문합부 파열이 있었고, 담도-공장의 문 합부 누출이 있었다. 재수술은 담도-공장 문합부 누 출부 문합, 췌장-공장 재문합은 Dunking method로 하였으나 다시 누출 소견보여 패혈증으로 사망하였 다. 출혈로 사망한 환자는 총수담관 암의 좌측 간내 담도의 침범으로 좌간 절제술을 동시에 시행받은 환자로 문합부 누출에의한 주요혈관의 출혈로 사망 하였다.

술후 병원에서 사망한 3예의 환자는 술전 오랜기 간 황달로 인하여 술후 간부전 소견보여 장기간 입 원치료중 사망하였다.

5. 합병증

전체 환자 중 33예에서 한가지 이상의 합병증을 보여 술후 합병증의 비율은 35.8%였다. 수술과 관 련된 복강내 합병증은 32예(34.4%)였고, 전신적인 합병증은 23예(24.7%)였다. 복강내 합병증중 가장 빈도가 높은 것은 출혈(술후 3pints이상 수혈)로써 복강내 출혈은 11예(11.9%), 장내 출혈은 4예 (4.3%,3예:hemobilia, 1예:출혈성 위염)였다(Table 3).

술후 전신적인 합병증은 늑막 삼출, 폐부종 등 폐 합병증이 15예(16%)로 가장 흔하였고, 급성 신부전 도 2예에서 관찰되었다(Table 3).

술후 합병증중 가장 위중한 합병증인 췌장-공장 문합부 누출은 재수술이나 영상진단을 통해 확인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확인할 방법이없어 술후 7일 이 후 배액관을 통한 amylase 측정에서 정상 혈중 농 도의 3배이상이 검출된 경우로 정의하였는데, 6예 (6.5%)에서 있었으며 3예는 사망하였다. 생존한 3 예중 한예는 췌장액의 누출로 인해 공장-피하, 공 장-횡행결장 누공이 있었으나 적절한 체외 배액관 의 삽입으로 누공 궤적이 막혀 치유되어, 술후 67일 째 퇴원 하였다. 다른 2예는 췌장액 누출과 관련된 특별한 증상 없이 배액관의 amylase 상승이 있었던 경우로 Octreotide(Sandostatin)처방외 별다른 치료 없이 배액관의 amylase 정상 수치로 회복되었다.

담도-공장 문합부 누출은 2예에서 있었는데 앞에 서 기술한 췌장-공장 문합부 누출이 함께있었던 환 자였고 2예 모두 사망하였다.

6. 술후 환자관리

1) 술후 환자의 비위관은 특별한 문제가 없는한 술 후 5일째 제거하였고, 술후 음식물의 경구 섭취 는 유동식으로 시작 하였는데 전체 환자의 80%(73예)에서 술후 7일째 유동식를 시작하였다.

2) 배액관 및 경피적 담도 배액관

: 배액관은 술후 14일째 경피적 담도 배액관의 결찰후 담도-공장 문합부의 누출이 없고 통과 장애가 없음을 확인후 경피적 담도 배액관의 제거후 복강내 배액관을 제거하였다.

3) Octreotide(Sandostatin)의 사용

: 1997년 이후 전예(62예)에서 술후 7일간 사용

Table 3. Surgical and General complication

Surgical complications Cases(32) General complications Cases(23) Operative bleeding 11 Pleural effusion 7 Pancreatic fistula 6 Pulmonary congestion 6 Wound complication 4 Post-operative liver failure 3

Hemobilia 3 Post-operative ascites 3

Post-operative ileus 2 Renal failure 2

Intraabdominal abscess 2 Pneumonia 2

Hemorrhagic gastritis 1

T-tube leakage 1

Post-operative pancreatitis 1

Gastric emptying delay 1

(5)

하였으며 배액관의 amylase수치의 상승이 있 는 경우예는 정상수치가 될 때까지 사용기간 을 연장하였다. Octreotide를 술 후 사용한 군 에서는 4예 에서 췌장액 누출 소견이 보였으 며, 사용하지 않은 군(30예)에서는 2예에서 췌 장액 누출 소견을 보여 두군간 특별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7. 술전 경피적 담도배액술

전체 93예중 64예에서 시행되었고 경피적 담도배 액술과 관련된 합병증인 담도-문맥 누공, 담즙 누출 에 의한 복막염, 출혈등은 1예에서도 없었다. 다만 3예(4.7%)에서 술후 경피적 담도배액관을 통해 출 혈소견보여 보존적 치료로 지혈되었다. 경피적 담 도배액관은 술후 담즙 및 췌장액의 배액관으로 사 용되었고, 담도-공장 문합 및 췌관-공장 문합의 누 출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경피적 담도배액관을 통한 담도-공장 조영술로 문합부의 누출을 확인하는데 사용하였다.

술전 간내 담도의 확장이 없어 경피적 담도배액관 을 삽입하지 못한 경우에는 담즙 배액 및 담도-공장 문합부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해 문합부 내부에 실 리콘 스텐트를 삽입하였고(25예), T-관(T-tube)는 3 예에서 사용하였는데 1예에서 누출이 있었다.

고찰

췌십이지장 절제술은 1935년 Whipple

1

에 의해 팽 대부 주위암의 근치적 절제술로 보고된 이후, 지금 까지 많은 예의 수술이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높은 수술 합병증과 사망률로 인하여 쉽게 접근하기 어 려운 수술인 것이 사실이다.

술후 합병증 및 사망률을 감소 시키기위한 많은 연구가 시행되어 1970년대에 각각 18%, 48%에 이 르던 수술 사망률과 합병증이 1980년대는 7%, 35%

로 감소하였다.

2

1990년 이후에는 수술 수기의 발달 과 많은 수술 경험의 축적으로 일정기간 동안 사망 률 0%를 보고하는 논문들을 쉽게 찾아볼수 있고

3,4

, 대체로 5%이하의 술후 사망률을 보고하는 논문들 이 대부분이다.

5,6

췌십이지장 절제술에있어 수술 사 망률 및 합병증에 있어 가장 중요하고, 위중한 인자

는 잔여 췌장과 위 혹은 소장과의 문합부의 안정성 이다. 현재는 대체적으로 췌장-공장 문합과, 췌장- 위장 문합술 두가지가 시행되고 있다. Cameron등 은

7

1993년부터 1995년까지 145예의 두 문합 방법 의 비교에서 췌장루의 빈도는 췌장-공장 문합이 11.1%, 췌장-위장 문합이 12.3%로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고 하였고, 누출에 관여하는 인자는 수술자 의 경험과 환자의 전신상태라고 하였다. 그러나 Morris등과

8

, Miyagawa등은

9

문합부의 안정성에 있 어 췌장-위장 문합이 우월하다고 하였는데, 이는 췌 장액의 위산의 노출에 의해 활성화가 되지않기 때 문에 문합부의 누출에있어 안전성이 있다고 하였 다. 국내에서는 김등

10

이 86예의 분석에서 췌-공장 문합부 누출은 15.8%, 췌-위장 문합부 누출은 2.1%

로 보고하여 췌-위장 문합이 기술적으로나 기능적 으로 안전하고 용이한 방법이라고 하였다.

췌-공장 문합 방식은 췌관 및 췌장액의 처리 방법

에따라 여러 가지 다양한 방법이 있으나 크게 두가

지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첫째 공장의 단면과

췌장의 단면을 telescoping 시키는 Dunking 방식

과, 둘째 공장의 측면 점막과 췌장도관을 문합하는

duct-to-mucosa 문합 방식이다. 문합 방식에 따른

안정성의 절대적인 비교는 불가능하지만 국 내외에

서 발표된 여러 논문에서 후자의 방식이 술후 췌장

액의 누출 빈도나 췌장의 기능적인 측면에서 우수

한 결과를 보이는 보고를 접할 수 있다. 국내에서

김등은

11

췌장-공장 점막 문합술을 시행한 56예에서

췌장과 관련된 합병증은 1예도 없었으며, 4예의 재

수술은 담도-공장 혹은 십이지장 문합부 누출 3예,

긴장성 위천공 1예였고, 수술 사망률은 1예에서 있

었는데 술후 경피적 담도 배액관을 통한 대량출혈

로인한 급성 호흡부전으로 사망하였다고 보고하였

다. Sikora등은

12

1324예의 분석에서 췌장루의 빈도

는 Dunking 방식은 16.5%, Duct-to-mucosa 방식은

11.5%를 보 고 하 여 안 전 성 에 있 어 서 duct-to-

mucosa 문합술이 우수하다고 하였다. 특히 췌관의

확장이 있는 경우는 duct-to-mucosa 방식이 안전성

에있어 우수하다고 하였으며, 췌관의 확장이 없고

잔여 췌장이 부드럽고 약한 경우 Dunking 방식이

췌장액의 누출의 측면에서 우월하다고 하였다. 또

한 Masahiro등은

13

120예 분석에서 문합 방식에 따

(6)

른 췌장루의 빈도의 보고에서 Interrupted duct-to- mucosa(93cases)는 11.8%, continuous duct-to- mucosa(120cases)는 4.2%, invaginated parenchy- ma-to-jejunal anastomosis(87cases)는 17.2%를 보 고하여 duct-to-mucosa 방식이 안전성에있어 우수 하다고 하였다. 그러나 1996년 본원의 결과를 보고 한 신등은

14

91예중 췌장루 4.4%(4예), 수술 사망률 4.4%의 빈도를 보고하였는데, 1994년 이후 시행한 16예의 점막대 점막 문합술의 예에서는 1예의 누출 도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췌십이지장 절제술의 경 험의 축척과 수술수기의 발달에의한 것으로 보이 며, 췌장-공장 문합 방식에 따른 췌장루 및 합병증 의 빈도는 특별한 차이를 보이지 않고 수술자의 경 험과 수술팀의 숙련도에따라 결정된다고 하였다.

췌관-공장 문합후 췌관의 연속성 및 술후 췌장의 기능적인 측면은 과거에는 수술 환자들의 조기사망 으로 인하여 관심을 가지지 못하였으나, 생존기간 이 늘어나면서 췌십이지장 절제술후 잔여췌장의 기 능적인 측면에서의 장기적인 술후 합병증이 새로운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Barry등은

15

개를 이용한 동 물실험에서 duct-to-mucosa 방식이 췌관의 연속성 을 유지하는데 dunking 방식보다 우수하다고 하였 다. Longmire JR등은

16

췌관-공장 문합후 췌관의 협 착은 수술후 일정기간이 지나면 올수있는데, duct- to-mucosa 방식이 아닌 경우에서 흔하여 췌관의 연 속성 및 잔여 췌장의 기능적인 측면에서 duct-to- mucosa 방식이 우월하다고 하였다.

췌장-공장 문합부의 누출에 의한 합병증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문합술이 적용되는 것과 동시에 췌관- 공장 문합시 stent, 문합후 문합부에 fibrin glue sealing, 술후 Octreotide의 사용등의 다양한 시도들 이 적용되고 있다. Traverso등은

17

췌관-공장 문합시 polytetrafluoroethylene(PTFE)를 내부 스텐트 (internal stent)로 사용함으로써 췌장루, 췌관의 협 착 및 폐쇄를 줄일수 있다고 하였다. 저자들은 시리 콘 스텐트를 사용하였는데 췌장루의 빈도, 협착, 폐 쇄의 정도를 통계적으로 증명할 수는 없지만 문합 시 스텐트의 사용은 duct-to-mucosa 문합시 기술적 으로 용이한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췌 장 루 의 빈 도 를 줄 이 기 위 해 사 용 하 는 Octreotide는 비용 대 효과라는 측면에서, 수술 전

후 췌장루의 발생여부에 관계없이 일상적인 사용은 아직 논란이있지만, 췌장루가 확인된 경우 보존적 인 치료로 사용되고있다.

18-20

저자들은 1997년이후 모든예에서 술후 Octreotide를 사용하고 있으며 효 과적인 면에서는 고찰이 이루어지지않아 언급 할수 없지만, 다른 여러 보고들은 Octreotided의 술전후 사용이 췌장루의 빈도를 의미있게 낮출수있다고 하 였다.

총수담관-공장 문합술후 담즙의 배액을위해 저자 들은 술전 시행한 경피적 담도 배액관를 체외 배액 관으로 사용하였다. 경피적 담도배액관을 담도-공 장 문합부 하방 공장내에 위치시켜 담즙 및 췌장액 을 배액하여, 술후 장마비 및 장폐쇄에의한 담즙 및 췌장액 저류로 인한 문합부 누출의 가능성을 줄이 고, 만일 임상적으로 누출이 의심되었을 때 경피적 담도배액관을 통한 영상진단이 가능하여 담즙루 및 췌장루를 조기발견하여 적절한 치료를 할 수 있는 잇점이있다.

요약

배경

췌십이지장 절제술은 팽대부주위의 악성 및 양성 질환의 치료에있어 표준술식이다. 수술 수기의 발 달, 마취 및 술후 환자 관리의 발달등으로 최근에는 술 후 사망률과 합병증의 빈도가 현저하게 감소하 였다. 주요 합병증인 췌장루는 보고에따라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5-10%대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저 자들이 경험한 췌관-공장 점막 문합술과 술전 경피 적 담도 배액술의 임상 경험에 대해 고찰하였다.

대상 및 방법

췌십이지장 절제술을 받은 93명의 환자를 대상으 로 술후 사망률, 합병증등에 대해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의 특성에서 남녀비는 2.1:1(63:30), 평

균연령은 57세였다. 93명의 환자중 원위 총수담관

암이 32.6%로 가장 많았고, 췌장 두부암(24%), 팽

대부암(23%), 만성 췌장염(5.4%), 십이지장암

(3.3%) 순서였다. 수술과 관련된 사망, 합병증의 빈

(7)

도는 각각 3.2%, 35.8%였고, 평균 수술시간은 8.8 시간 이었다. 췌장루는 6예에서 발생하여 6.5%의 빈도를 보였고, 1예에서 재수술 하였다. 술전 경피 적 담도 배액술은 64예에서 시행하였으며, 관련된 합병증으로 3예(4.7%)에서 혈담즙증이 있었다.

결론

췌십이지장 절제술은 최근 사망률 및 합병증이 현 저하게 감소하여 팽대부 주위암 뿐만아니라 췌장 두부와 팽대부 주위의 양성질환에도 근치적 치료의 수단으로써 널리 적용되는 술식이다. 하지만 여전 히 높은 수술 합병증과 장시간의 수술로 인하여 모 든 외과의가 쉽게할 수 있는 술식은 아니다.

수술 합병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췌장루를

줄일 수 있는 여러 가지 수술방법 및 수기들이 여러 논문을 통해서 발표되고 있지만, 각각의 술자에따 라 수술수기의 특성이 반영되기 때문에 틀린 결과 를 보인다. 따라서 췌장루를 비롯한 합병증을 줄일 수 있는 절대적인 방법은 없고 술자의 특성에 맞는 수술수기의 선택이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된다.

이상에서 고찰한 바와같이 췌십이지장 절제술을 안전하게 하기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전문성이 있는 수술자를 중심으로 하는 수술팀의 숙련도가 가장중요한 사항이라고 사료되며, 더불어 신중한 환자의 선택, 수술과정에서의 세심한 주의와 집중, 술 전 환자의 전신상태 교정, 술 후의 적절한 환자 의 관리 등은 수술과 관련된 합병증 및 사망률을 줄 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1. Whipple AO, Parson WB, Mullins CR.

Treatment of carcinoma of the ampulla of Vater. Ann Surg 1935; 102: 763-79.

2. Jeffrey HP, Larry CC. Historical review of pancreaticoduodenectomy. Am J Surg 1991;

161:219-25.

3. Trede M, Schwall G, Saeger HD. Survical after pancreaticoduodenectomy. Ann Surg 1989; 211:447-58.

4. Cameron JL, Pitt HA, Yeo CJ, Lillemoe KD, Kaufman HS, Coleman J. One hundred and forty-five consecutive pancreaticoduodenec- tomy without mortality. Ann Surg 1993; 5:

430-8.

5. Fernandez-del Castilo C, Rattner DW, Warshaw AL. Standards for pancreatic resec- tion in the 1990s. Arch Surg 1995;130:295- 300.

6. Jurden DR, Hubert JT, Knut AB, Raymonde B,

Claus-Dieter H, Rudiger S. Stented versus nonstented pancreaticojejunostomy after pan- creatoduodenectomy. Ann Surg 1999; 229:41- 8.

7. Yeo CJ, Cameron JL, Masher MM, Sauter PK, Zahurak ML, Talamini MA, Lillemoe KD, Pitt HA. A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of pan- creaticogastrostomy versus pancreaticoje- junostomy after pancreaticoduodenectomy.

Ann Surg 1995; 222:580-92.

8. Morris DM, Ford RS. Pancreaticogastrostomy:

prefered reconstruction for Whipple resec- tion. J Surg Res 1993; 54: 122-5.

9. Miyagawa S, Makuuchi M, Lygidakis. A retro- spective comparative study of reconstructive methods following pancreaticoduodenecto- my-pancreaticojejunostomy v. pancreatico- gastrostomy. Hepatogastroenterology 1992;

60: 973-6.

10. Kim SW, Youk EG, Park YH. Comparison of

pancreatogastrostomy and pancreatojejunos-

(8)

tomy after pancreatoduodenectomy per- formed by single surgeon. J Korean Surg Soc 1996; 51:106-12.

11. Lee KU, Kim SW, Kim KH. Clinical analysis of a duct-to-mucosa pancreatojejunostomy in a pancreatoduodenectomy. J Korean Surg Soc 1999; 56:715-722.

12. Siroka SS, Posner MC. Management of the pancreatic stump following pancreaticoduo- denectomy. Br J Surg 1995; 82: 1590-7.

13. Masahiro T, Hironobu K, Kohij K, Kazuhisa Y, Kiichi M, Yoshitaka K. Management of continuous anastomosis of pancreatic duct and jejunal mucosa after pancreaticoduo- denectomy: Historical study of 300 patients.

Surgery 1998; 123: 617-21.

14. Shin DI, Lee KS, Kim YI, Kwak JY.

Pancreaticoduodenectomy: Decreased mor- bidity and mortality 1996; 50: 545-52.

15. Greene BS, Loubeau JM, Peoples JB, Elliott DW. Are pancreatoenteric anastomosis improved by duct-to-mucosa suture?. Am J Surg 1991; 161: 45-50.

16. Forrest JF, Longmire JR WP. Carcinoma of the pancreas and periampullary region: A

study of 279 patients. Ann Surg 1979; 189:

129-38.

17. Biehl T, Traverso LW. Isstenting necessary for a successful pancreatic anastomosis?. Am J Surg 1992; 163: 530-2.

18. Montorsi M, Zago M, Mosca F, Capussotti L, Zotti E, Ribotta G, etc. Efficacy of octreotide in prevention of pancreatic fistula after elec- tive pancreatic resection: A prospective, controlled, randomizes clinical trial. Surgery 1995; 117: 26-31.

19. Buchler M, Friess H, Klempa I, Hermanek P, Sulkowski U, Becker H, etc. Role of dotreotide in prevention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 following pancreatic resection.

Am J Surg 1992; 163: 125-31.

20. Yeo CJ, Cameron JL, Lillemoe KD, Sauter

PK, Coleman J, Sohn TA, Campbell KA,

Choti MA. Does prophylatic octreotide

decrease the rate of pancreatic fistula and

other complication after pancreaticoduo-

denectomy? Results of a prospective ran-

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Ann Surg

2000; 232: 419-29.

수치

Fig. 2. Internal stent(▶) was inserted to pancreatic duct before anterior wall anastomosis.
Table 3.  Surgical and General complication

참조

관련 문서

the records have a unique identifier field or field combination called the primary

* in large objects with small surface area A to volume V ratio (A/V)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are primarily defined by the bulk (inside). * in small objects with

When static keyword is used with the variables and the methods, it signifies that these members belongs to the class and these members are shared by all the objects of

The “Asset Allocation” portfolio assumes the following weights: 25% in the S&P 500, 10% in the Russell 2000, 15% in the MSCI EAFE, 5% in the MSCI EME, 25% in the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 Despite medical intervention with supportive care (78% of the patients use corticosteroids), patients continued to show disabling symptoms, progressive complications,

Methods: I conducted a retrospective analysis of clinical records of children aged between 4 and 19 years who were treated with flunarizine for headache at

Therefore, nurses should be responsible for the relations to resolve the needs of care between nurses and patients and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pat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