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전문대학생의 기초학습능력 증진 방안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전문대학생의 기초학습능력 증진 방안"

Copied!
28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0 3 - 1 3

전문대학생의 기초학습능력 증진 방안

연구책임자 : 이 종 성

공동연구자 : 정 향 진

(2)

직업교육의 성공 여부는 직업교육을 이수한 자가 직업생활을 얼마나 잘 영위해 나가느냐에 달려 있으며, 직업교육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고 있는 전문대학의 성공 여부도 학생들이 대학의 교육을 얼마나 충실하게 받고, 그 들이 습득한 능력을 산업현장에서 얼마나 잘 발휘하느냐에 달려 있다.

그러나 전문대학을 포함한 대학교육이 보편적인 대중교육의 성격을 갖게 되고, 입학 정원이 고등학교 졸업자들보다 대학의 입학 정원이 많아지게 됨 에 따라 고등학교 졸업자들은 원할 경우에는 그들의 능력에 관계없이 전문 대학에 입학할 수 있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전문대학 입학생들의 학습능력이 낮아지게 되었고, 심지어는 많은 학생들이 전문교육을 올바르게 받을 수 없으며, 대학을 졸업한 후에 산 업현장의 직무변화와 기술의 발전에 적응하지 못하는 상황에까지 이르게 되 었다. 이러한 어려움을 타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전문대학 입학생들에게 먼 저 기초학습능력을 갖추도록 하기 위한 노력은 전문교육을 시키기에 앞서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가와 대부분의 전문대학은 학생들의 기초학습능력의 저하를 방지하거나 증진시키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거나 프로그램을 개발 ・ 운영하는데 별로 관심을 두지 않고 있으며, 소수의 전문대학만이 나름대로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적 요청에 부응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전문대학 학생들의 기 초학습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전문대학에 제공함으로써 전문대학이 직업교육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특히 이 연구를 통하여 소개되는 전문대학 학생들의 기초학습능력 신장을 위한 사례들은 타 전문대학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며, 본 연구의 결과로 제시되는 전문대학 학생들의 기초학습능력 증진과 지원방안은 전문대학의 어려움을 해소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3)

용 교수, 두원공과대학의 조병섭 교수에게 고마운 마음을 전하며, 아울러 연 구 수행과정에서 많은 자료와 의견을 제공하여 주신 전문대학의 교수 및 산 업현장에 계신 전문가와 전문대학 입학생들의 대학수학능력시험 결과를 제 공하여 주신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관계자에게 감사를 드린다.

2003년 9월

院 長 金 章 鎬

(4)

【연구 요약】

1. 개요

우리가 접하고 있는 지식 ・정보화 사회는 정보의 양과 흐름이 빠르게 증가하고 이와 관련된 분야는 이와 더불어 재 구조화되고 있으며, 교육 에 있어서는 고등교육 기회의 확대, 평생직업교육훈련 체제의 구축 등 을 통하여 고등교육의 보편화를 추구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전문대학 은 입학 자원의 부족으로 운영의 애로를 겪게 되었으며, 학생들은 기초 학습능력이 점차 낮아져 대학 교육을 이수하기에 어려운 상황에 이르고 있다.

반면에 산업체는 산업구조의 변화와 기술의 발달에 대응하기 위하여 전문대학 졸업생들에게 지식 ・정보화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요구하 고 있기 때문에 교육 자원의 질과 기대하는 교육 산출과의 간격은 더욱 커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학생들에게 기초학습 능력을 갖추도록 하기 위한 노력은 직무수행능력을 습득시키기 위한 조 건으로 인식되고 있으나, 국가와 전문대학은 학생들의 기초학습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거나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는데 소홀 히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시대와 현장의 요청에 부응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첫째, 전문 대학생들의 기초학습능력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며 둘째, 전문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는 기초학습능력의 증진 사례를 분석하고 셋째, 전문대학에 서 활용할 수 있는 기초학습능력 증진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관련 문헌 및 자료 분석, 3회에 걸친 전문가와의 협의, 전문대학을 방문 하여 의견 청취 및 기초학습능력 증진 우수 사례 발굴, 세미나 개최 등 을 통하여 수행되었다.

(5)

2 . 기 초 학 습 능 력 의 개 념 과 의 미

기초학습능력이란 조은상 등(2000)이 좁은 의미로 정의한 전문대학 학생이 취업을 위해 필요한 전문교과를 학습할 수 있는 최소한의 능력 을 말하며, 그 하위 영역으로는 정철영 등(2001)이 제시한 전문대학 학 생들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하위영역 중에서 의사소통능력, 수리능력, 정보능력으로 제한하였다.

의사소통능력은 다른 사람과 원만하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는 것으로, 그 구성 요소로는 읽기능력, 쓰기능력, 듣기능력, 말하 기능력, 비언어적 표현 이해 및 반응 능력, 외국어를 읽고 이해하는 능 력 등이 있다.

수리능력은 자연, 노동, 사회 일반의 사물 현상을 수량적으로 분석하 고 파악, 처리하는 능력을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것으로서, 그 범위는 셈 하기, 대소 구별하기 등의 수개념으로부터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등 의 사칙연산, 통계, 확률 등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 까지를 포괄한다.

정보능력은 정보가 개인이나 사회 발전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정 보화 시대를 맞이하여 각 개인이 자신의 업무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 고, 이를 분석 ・비판하여 의미 있는 정보를 찾아내며, 이를 적절히 조직 하여 업무에 활용함은 물론 체계적으로 계속해서 관리하는 종합적인 능 력을 의미한다. 그 구성 요소로는 대체로 정보처리기술능력, 정보생산능 력, 컴퓨터사용능력 등으로 구분된다.

한편, 전문대학의 교육과 관련하여 기초학습능력을 기를 수 있는 교 과를 교양교과와 관련하여 살펴보면, 의사소통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관련 교과로는 국어교과와 외국어교과를 들 수 있으며, 수리능력을 향 상시킬 수 있는 관련 교과로는 수학교과를 들 수 있고, 정보능력을 신 장시킬 수 있는 관련 교과로는 과학 및 컴퓨터 관련 과목을 들 수 있으 나, 전공 교과도 큰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말할 수 있다.

(6)

3 . 전 문 대 학 생 의 기 초 학 습 능 력 현 황

우리나라 전문대학의 학생 현황을 보면, 2002년 현재 전문대학의 학 생 정원은 595,543명이나 재적 학생은 정원의 87.6%인 521,795명이며, 재적 학생의 96.0%는 사립전문대학에 등록하고 있다. 특히 전문대학은 1998년부터 입학 정원의 미달 현상이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2000 년에는 12,963명이 미달되었고, 전문대학의 입학 정원이 현재와 같다고 할 때 입학 대상자는 2006년에 29.3%, 그리고 2010년에는 22.6%가 부족 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고등학교 졸업생들에게 능력 에 관계없이 전문대학에 입학할 수 있는 기회를 주기 때문에 전문대학 생들의 기초학습능력 저하에 큰 원인이 되고 있다.

전문대학 입학생들의 기초학습능력에 관련하여 2002년도 대학수학능 력시험 점수를 보면, 지역별로는 서울, 인천, 경기 지역에 있는 전문대 학 학생들의 수학능력시험 점수가 타 지역에 있는 전문대학 학생들의 수학능력시험 점수보다 높으며, 계열별로는 간호보건계열, 사회실무계 열, 공업계열, 예체능계열, 농업계열 순으로 점수가 높았다. 수도권과 간 호보건계를 제외한 전문대학 교수들은 학생들의 대학수학능력시험 점수 가 낮아 대학교육을 받기에 어려운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한편 조은상 등(2000)이 전문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기초수학능력에 대 하여 국어, 영어, 수학 과목으로 측정한 결과를 출신 고등학교의 계열로 나누어 보면, 인문계 고등학교 졸업 일반전형, 인문계 고등학교 졸업 특 별전형, 실업계 고등학교 일반전형, 산업체 특별전형, 실업계 고등학교 특별전형 순으로 점수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전문대학의 전문교육을 학습할 수 있는 최저능력으로 설정한 점 수를 통과한 학생들의 비율을 전문대학의 계열별로 살펴보면, 간호보건 계의 학생들은 국어, 영어, 수학 과목 모두 70%를 넘어서고 있으나 그 외의 계열에서는 세 과목 모두 60%를 넘어서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예체능 계열에서는 세 과목 모두 30%미만으로 나타나고 있다.

(7)

4 . 전 문 대 학 교 육 과 기 초 학 습 능 력

전문대학에서 학생들의 기초학습능력 증진을 위하여 제공하고 있는 프로그램으로는 발달교육, 교양교육, 직업기초능력 함양을 들 수 있다.

발달교육은 개별 학생들이 중등학교 이후의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 하여 선행되는 기초적인 학문적 ・지적 ・정서적 능력의 개발을 도와 주 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특히 발달교육에는 학습부진 학생들의 학습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것으로 읽기능력, 수리능력, 과학적 능력 등을 위한 보충강좌 프로그램, 학생의 성장에 필요한 비교과 영역의 학업지 원 프로그램 등이 활용되고 있다.

전문대학의 교양교육은 전공교육과 구분하여 전문직업인으로서 갖추 어야 할 인격적 소양을 키우는 교육이지만 전문교육을 받기 위한 기초 능력을 키우는 교육으로서의 목적을 가지고 있다.

전문대학의 교양교육은 국어, 영어, 수학, 컴퓨터 관련과목, 체육, 사 회, 문화, 경제 ・경영, 교육관련 과목의 9개 영역으로 실시되고 있으며, 이 중에서 국어, 영어 수학, 컴퓨터 관련 과목은 기초학습능력을 신장시 키기 위한 과목으로 그 역할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기초학습능력은 전문대학 교육을 받기 전에, 직업기초능력은 전문대 학 교육을 받은 후의 능력이라는 면에 핵심을 두고 있으나, 직업기초능 력이 의사소통능력, 수리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관리 및 개발능력, 자 원활용능력, 대인관계능력, 정보능력, 기술능력, 조직이해능력으로 구성 되어 있기 때문에 기초학습능력을 위한 학습내용과 학습방법에 많은 유 사성을 가지고 있다. 정철영 등(1998)과 조은상(2000)이 조사한 직업기 초능력의 영역 중에서 국어, 영어, 수학 및 컴퓨터와 관련된 과목에 관 한 능력을 보면, 전문대학 학생들은 의사소통능력, 영어소통능력 및 정 보소양능력은 중요하다고 보고 있으나 수리능력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 은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그들이 인지하고 있는 자신들의 능력은 의 사소통능력은 약간 높지만 영어소통능력과 수리능력은 아주 낮으며,

(8)

정보소양능력은 보통이라고 보고 있다.

특히 미국의 VIML은 직무분석 자료에서 해당 직무를 수행하기 위하 여 갖추어야 할 기초학습능력을 의사소통능력, 수리능력 및 과학능력을 제시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공업계열에 전자, 사회실무계열에 기업정보 시스템, 보건간호계열에 보건관련 직업, 예 ・체능계열에 상업사진 직종 에 관한 기초학습능력을 부록으로 제시하였다.

5 . 전 문 대 학 의 기 초 학 습 능 력 증 진 사 례

전문대학에서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활용하고 있는 기초학습능력 증진 을 위한 사례의 선정 방법과 사례별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및 교육인적자원부 에서 실시한 제1회 전국 전문대학 교수 ・학습 방법 경진대회의 우수사 례로 기초학습능력과 관련된 것 중에서 교수-학습 방법으로 안동과학대 학의 자기주도적 교수-학습 모형 을 선정하고, 학습공동체로 수원여자 대학의 외국어 학습능력신장을 위한 학습공동체 활용 맞춤식 교수모 형 을 선정하였다.

② 정규 교육과정개발과 운영, 정규 교육과정 이외의 활동에 관한 사 례에 대하여는 전문대학의 관계자에게 의견을 조사하여, 정규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으로는 우송공업대학의 전문대학 학생들의 기초학습능력 증진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의 개선 을 선정하고, 정규 교육과정 이외의 활동으로는 두원공과대학의 능력중심교육과정과 수리능력의 신장 을 선정하였다.

각 사례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부록에 제시하였다.

6 . 전 문 대 학 생 의 기 초 학 습 능 력 증 진 방 안

전문대학생의 기초학습능력 증진을 위한 교육방안과 지원방안을 제시 하면 다음과 같다.

(9)

1) 기초학습능력 증진을 위한 교육 방안

첫 번째는 교육과정을 개선하되, 능력중심 교육과정으로 개편하여 실 생활 및 직업생활에서 필요로 하는 의사소통능력, 수리능력, 정보소양능 력의 습득을 위한 독립된 교양교과를 구성하거나, 전공교과의 내용과 통합된 교과를 구성한다.

두 번째는 교수-학습 방법을 개선하는 것으로, 다양한 교수-학습방법 즉 문제해결법, 프로젝트법, 토의법, 학습의 개별화 등을 활용하며 나아 가 모듈학습을 적극적으로 도입한다.

세 번째는 학습공동체를 운영하되,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여러 교과를 연계시켜 학생들이 학습하여야 할 내용을 보다 체계적으로 구성 하여 학생과 학생 또는 학생과 교수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학습의 효 과를 높인다.

네 번째는 동아리 등의 과외활동을 활성화시키되, 발달교육을 통한 보충강좌의 실시, 학생들이 관심을 갖는 영역별 토론회 및 심포지움 등 의 개최 또는 외국어 동아리의 조직과 운영 등의 활동을 적극적으로 전 개한다.

2) 기초학습능력 증진을 위한 지원방안

먼저 전문대학에서 지원하여야 할 방안으로는 대학별로 상황을 고려 하여 교육과정을 개편하고, 교수-학습센터를 설립하여 교수-학습방법과 자료를 연구 개발하여 보급하고, 비정규 교육과정의 활동을 강화하되 참여 교수들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참여 학생에게는 학점을 인정하 고, 교수들의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능력 신장을 위하여 연수를 강화하거나 신규 임용시 이에 대한 이수를 요구하며, 전문대학 간에 상호협력체제를 구성한다.

국가의 지원방안으로는 국가 수준의 교수-학습지원센터를 설립하여 지역 또는 대학의 교수-학습센터를 지원하고, 각종 사업에 관한 행 ・재 정적인 지원 및 신규 교수임용에 따른 교직과목 이수를 제도화한다.

(10)

차 례

연구요약

Ⅰ. 서 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의 범위와 제한 ・・・・・・・・・・・・・・・・・・・・・・・・・・・・・・・・・・・・・・・・・・・・・・・・・・・・・・・・・・・・・・・・・・・・・・・・・・・・・・・・・・・・ 2

3. 연구 방법 ・・・・・・・・・・・・・・・・・・・・・・・・・・・・・・・・・・・・・・・・・・・・・・・・・・・・・・・・・・・・・・・・・・・・・・・・・・・・・・・・・・・・・・・・・・・・・・・・・・・・ 3

4. 용어의 정의 ・・・・・・・・・・・・・・・・・・・・・・・・・・・・・・・・・・・・・・・・・・・・・・・・・・・・・・・・・・・・・・・・・・・・・・・・・・・・・・・・・・・・・・・・・・・・・・・・・ 4

Ⅱ. 기초학습능력의 개념과 영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1. 기초학습능력의 개념과 의미 ・・・・・・・・・・・・・・・・・・・・・・・・・・・・・・・・・・・・・・・・・・・・・・・・・・・・・・・・・・・・・・・・・・・・・ 5

2. 기초학습능력의 범위 및 영역 ・・・・・・・・・・・・・・・・・・・・・・・・・・・・・・・・・・・・・・・・・・・・・・・・・・・・・・・・・・・・・・・・・・・ 9

Ⅲ. 전문대학 입학생의 기초학습능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1. 전문대학 현황과 입학 자원 ・・・・・・・・・・・・・・・・・・・・・・・・・・・・・・・・・・・・・・・・・・・・・・・・・・・・・・・・・・・・・・・・・・・・・ 11

2. 전문대학 입학생의 기초학습능력 ・・・・・・・・・・・・・・・・・・・・・・・・・・・・・・・・・・・・・・・・・・・・・・・・・・・・・・・・・・・・ 16

Ⅳ. 전문대학의 교육과 기초학습능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

1. 전문대학의 발달교육 ・・・・・・・・・・・・・・・・・・・・・・・・・・・・・・・・・・・・・・・・・・・・・・・・・・・・・・・・・・・・・・・・・・・・・・・・・・・・・・・・ 22

2. 전문대학의 교양교육 ・・・・・・・・・・・・・・・・・・・・・・・・・・・・・・・・・・・・・・・・・・・・・・・・・・・・・・・・・・・・・・・・・・・・・・・・・・・・・・ 35

3. 전문대학의 교육과 직업기초능력 ・・・・・・・・・・・・・・・・・・・・・・・・・・・・・・・・・・・・・・・・・・・・・・・・・・・・・・・・・・・・ 44

Ⅴ. 전문대학생의 기초학습능력 증진을 위한 사례 ・ ・ ・ ・ ・ ・ ・ ・ ・ ・ ・ ・ ・ ・ ・ ・ 56

1. 사례의 선정 ・・・・・・・・・・・・・・・・・・・・・・・・・・・・・・・・・・・・・・・・・・・・・・・・・・・・・・・・・・・・・・・・・・・・・・・・・・・・・・・・・・・・・・・・・・・・・・・ 56

2.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 ・・・・・・・・・・・・・・・・・・・・・・・・・・・・・・・・・・・・・・・・・・・・・・・・・・・・・・・・・・・・・・・・・・・・・・・・・・・・・ 57

3. 교수-학습 방법 ・・・・・・・・・・・・・・・・・・・・・・・・・・・・・・・・・・・・・・・・・・・・・・・・・・・・・・・・・・・・・・・・・・・・・・・・・・・・・・・・・・・・・・・・・・ 62

4. 학습공동체 운영 ・・・・・・・・・・・・・・・・・・・・・・・・・・・・・・・・・・・・・・・・・・・・・・・・・・・・・・・・・・・・・・・・・・・・・・・・・・・・・・・・・・・・・・・ 70

5. 정규 교육과정 이외의 활동(동아리 활동) ・・・・・・・・・・・・・・・・・・・・・・・・・・・・・・・・・・・・・・・・・・・・・ 77

(11)

Ⅵ. 전문대학생의 기초학습능력 증진방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7

1. 기초학습능력 증진을 위한 교육방안 ・・・・・・・・・・・・・・・・・・・・・・・・・・・・・・・・・・・・・・・・・・・・・・・・・・・・・・・ 87

2. 기초학습능력 증진을 위한 지원방안 ・・・・・・・・・・・・・・・・・・・・・・・・・・・・・・・・・・・・・・・・・・・・・・・・・・・ 102

참고 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9

ABSTRAC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5

<부록 1> 미국 VIML에서 제시한 기초수학능력 ・ ・ ・ ・ ・ ・ ・ ・ ・ ・ ・ ・ ・ ・ ・ ・ ・ ・ ・ 119

<부록 2> 전문대학생의 기초학습능력 신장을 위한 사례 ・ ・ ・ ・ ・ 159

(12)

표 차 례

<표 Ⅱ-1> 전문대학 학생 기초학습능력 신장 프로그램의 모듈 구성 ・・・・・・・・・・・・ 7

<표 Ⅲ-1> 전문대학 현황 ・・・・・・・・・・・・・・・・・・・・・・・・・・・・・・・・・・・・・・・・・・・・・・・・・・・・・・・・・・・・・・・・・・・・・・・・・・・・・・・・・ 11

<표 Ⅲ-2> 설립주체별 ・계열별 학생의 입학정원 및 현황 ・・・・・・・・・・・・・・・・・・・・・・・・・・・・ 12

<표 Ⅲ-3> 학년별 ・주야간별 학생 현황 ・・・・・・・・・・・・・・・・・・・・・・・・・・・・・・・・・・・・・・・・・・・・・・・・・・・・・・・・・ 13

<표 Ⅲ-4> 연령계층별 인구 구성비 ・・・・・・・・・・・・・・・・・・・・・・・・・・・・・・・・・・・・・・・・・・・・・・・・・・・・・・・・・・・・・・・・・ 13

<표 Ⅲ-5> 전문대학의 연도별 학생 미달 현황 ・・・・・・・・・・・・・・・・・・・・・・・・・・・・・・・・・・・・・・・・・・・・・・ 14

<표 Ⅲ-6> 대학 입학 자원의 부족 전망 ・・・・・・・・・・・・・・・・・・・・・・・・・・・・・・・・・・・・・・・・・・・・・・・・・・・・・・・・・ 14

<표 Ⅲ-7> 고등학교 졸업자의 고등교육기관으로의 진학률(1975-2001) ・・・・・・・・ 15 <표 Ⅲ-8> 전문대학의 지역별 ・계열별 2000학년도 수학능력시험 결과 ・・・・・・ 17

<표 Ⅲ-9> 전문대학의 지역별 ・계열별 2001학년도 수학능력시험 결과 ・・・・・・ 18

<표 Ⅲ-10> 전문대학의 지역별 ・계열별 2002학년도 수학능력시험 결과 ・・・・・ 18 <표 Ⅲ-11> 계열별 전문대학 학생들의 과목별 평균점수 및 최저 통과점수 도달 비율 ・・・・・・・・・・・・・・・・・・・・・・・・・・・・・・・・・・・・・・・・・・・・・・・・・・・・・・・・・・・・・・・・・・・・・・ 19

<표 Ⅲ-12> 대학 입학 경로에 따른 학생들의 과목별 평균 점수 및 최저 통과 점수 ・・・・・・・・・・・・・・・・・・・・・・・・・・・・・・・・・・・・・・・・・・・・・・・・・・・・・・・・・・・・・・・・・・・・・・・・・・・・・・・・・・・・・・・ 21

<표 Ⅳ-1> 보충강좌의 구성 내용 ・・・・・・・・・・・・・・・・・・・・・・・・・・・・・・・・・・・・・・・・・・・・・・・・・・・・・・・・・・・・・・・・・・・・ 30

<표 Ⅳ-2> 학업지원 서비스 프로그램의 구성 ・・・・・・・・・・・・・・・・・・・・・・・・・・・・・・・・・・・・・・・・・・・・・・・・ 33

<표 Ⅳ-3> 교양교육과정의 영역과 교과목(예시) ・・・・・・・・・・・・・・・・・・・・・・・・・・・・・・・・・・・・・・・・・・・・ 38

<표 Ⅳ-4> 전문대학에 개설된 교양교과목 ・・・・・・・・・・・・・・・・・・・・・・・・・・・・・・・・・・・・・・・・・・・・・・・・・・・・・・ 41

<표 Ⅳ-5> 직업기초능력의 영역과 하위 요소 ・・・・・・・・・・・・・・・・・・・・・・・・・・・・・・・・・・・・・・・・・・・・・・・・ 45

<표 Ⅳ-6> 전문대학 학생들이 인지하고 있는 직업기초능력의 중요도 ・・・・・・・・ 45

<표 Ⅳ-7> 전문대학 학생들이 직업기초능력에 대하여 인지하고 있는 자신들의 능력 ・・・・・・・・・・・・・・・・・・・・・・・・・・・・・・・・・・・・・・・・・・・・・・・・・・・・・・・・・・・・・・・・・・・・・・・・・・・・・・・・・ 46

<표 Ⅳ-8> 국어, 영어 및 수학 교과와 관련된 직업기초능력 수준 : 고등학교 단계 ・・・・・・・・・・・・・・・・・・・・・・・・・・・・・・・・・・・・・・・・・・・・・・・・・・・・・・・・・・・・・・・・・・・・・・・・・・・・・・・・・ 47

<표 Ⅳ-9>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실업계 고교와 전문대학 학생의 능력 비교・・・・・・・・・・・ 48

<표 Ⅳ-10> 의사소통능력의 교육 방안 ・・・・・・・・・・・・・・・・・・・・・・・・・・・・・・・・・・・・・・・・・・・・・・・・・・・・・・・・・・・ 51

<표 Ⅳ-11> 수리능력의 교육 방안 ・・・・・・・・・・・・・・・・・・・・・・・・・・・・・・・・・・・・・・・・・・・・・・・・・・・・・・・・・・・・・・・・・・・ 53

<표 Ⅳ-12> 정보능력의 교육 방안 ・・・・・・・・・・・・・・・・・・・・・・・・・・・・・・・・・・・・・・・・・・・・・・・・・・・・・・・・・・・・・・・・・・・ 55

(13)

<표 Ⅴ-1> 직업기초능력개발 교과 운영 사례 ・・・・・・・・・・・・・・・・・・・・・・・・・・・・・・・・・・・・・・・・・・・・・・・・ 58

<표 Ⅴ-2> 의사소통능력의 개발 방안 ・・・・・・・・・・・・・・・・・・・・・・・・・・・・・・・・・・・・・・・・・・・・・・・・・・・・・・・・・・・・・ 60

<표 Ⅴ-3> 수리능력의 개발 방안 ・・・・・・・・・・・・・・・・・・・・・・・・・・・・・・・・・・・・・・・・・・・・・・・・・・・・・・・・・・・・・・・・・・・・ 61

<표 Ⅴ-4> 정보능력의 교육 방안 ・・・・・・・・・・・・・・・・・・・・・・・・・・・・・・・・・・・・・・・・・・・・・・・・・・・・・・・・・・・・・・・・・・・・ 62

<표 Ⅴ-5> 토목과 교육목표 및 교육내용 ・・・・・・・・・・・・・・・・・・・・・・・・・・・・・・・・・・・・・・・・・・・・・・・・・・・・・・・・ 63

<표 Ⅴ-6> 토목과 교과목 변경 내용 ・・・・・・・・・・・・・・・・・・・・・・・・・・・・・・・・・・・・・・・・・・・・・・・・・・・・・・・・・・・・・・・ 64

<표 Ⅴ-7> 모듈식교재 개발을 위한 학생들의 요구분석 내용 ・・・・・・・・・・・・・・・・・・・・・・・ 65

<표 Ⅴ-8> 학습공동체형 교육과정 ・・・・・・・・・・・・・・・・・・・・・・・・・・・・・・・・・・・・・・・・・・・・・・・・・・・・・・・・・・・・・・・・・・ 72

<표 Ⅴ-9> 교양교과의 3단계 발전 전략 ・・・・・・・・・・・・・・・・・・・・・・・・・・・・・・・・・・・・・・・・・・・・・・・・・・・・・・・・・ 79

<표 Ⅴ-10> 기대되는 결과(Comp etency)의 도출 ・・・・・・・・・・・・・・・・・・・・・・・・・・・・・・・・・・・・・・・・・・・・ 81

<표 Ⅴ-11> 교양교과의 교과목 ・・・・・・・・・・・・・・・・・・・・・・・・・・・・・・・・・・・・・・・・・・・・・・・・・・・・・・・・・・・・・・・・・・・・・・・・ 82

<표 Ⅵ-1> 수리능력의 하위 요소별 기초적 필요능력 ・・・・・・・・・・・・・・・・・・・・・・・・・・・・・・・・・・・・ 88

<표 Ⅵ-2>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모듈(예시) ・・・・・・・・・・・・・・・・・・・・・・・・・・・・・・・・・・・・・・・・・・・・・・・・・・・ 96

<표 Ⅵ-3> 모듈의 구성 요소(예시 : 우리말하기) ・・・・・・・・・・・・・・・・・・・・・・・・・・・・・・・・・・・・・・・・・・・ 97

<표 Ⅵ-4> 의사소통능력을 위한 보충강좌 ・・・・・・・・・・・・・・・・・・・・・・・・・・・・・・・・・・・・・・・・・・・・・・・・・・・・ 100

(14)

그림 차례

〔그림 Ⅳ-1〕발달교육의 구성 체계 ・・・・・・・・・・・・・・・・・・・・・・・・・・・・・・・・・・・・・・・・・・・・・・・・・・・・・・・・・・・・・・・・ 29

〔그림 Ⅴ-1〕AD-ISD의 기본 모형 ・・・・・・・・・・・・・・・・・・・・・・・・・・・・・・・・・・・・・・・・・・・・・・・・・・・・・・・・・・・・・・・・・ 66

〔그림 Ⅴ-2〕자기주도적 협력 학습을 위한 모듈식 교수-학습 모형 ・・・・・・・・・・・ 67

〔그림 Ⅴ-3〕교재 및 강의 교과목의 모듈 구성 ・・・・・・・・・・・・・・・・・・・・・・・・・・・・・・・・・・・・・・・・・・・・ 69

〔그림 Ⅴ-4〕수원여대 영어과 학습공동체 교육과정 운영 사례 ・・・・・・・・・・・・・・・・・・ 73

〔그림 Ⅴ-5〕교수법 진행 절차 ・・・・・・・・・・・・・・・・・・・・・・・・・・・・・・・・・・・・・・・・・・・・・・・・・・・・・・・・・・・・・・・・・・・・・・・ 76

〔그림 Ⅴ-6〕교양교육과정 개발과 시행의 추진 방향 ・・・・・・・・・・・・・・・・・・・・・・・・・・・・・・・・・・ 78

〔그림 Ⅴ-7〕교양교육과정의 개발절차 및 방법 모형 ・・・・・・・・・・・・・・・・・・・・・・・・・・・・・・・・・・ 79

〔그림 Ⅴ-8〕Knowledge, Skill 및 Value 도출 절차 ・・・・・・・・・・・・・・・・・・・・・・・・・・・・・・・・・・・・・ 80

〔그림 Ⅴ-9〕재미있는 수학의 구조 ・・・・・・・・・・・・・・・・・・・・・・・・・・・・・・・・・・・・・・・・・・・・・・・・・・・・・・・・・・・・・・・・ 84

〔그림 Ⅴ-10〕단계별 교수-학습 전략 ・・・・・・・・・・・・・・・・・・・・・・・・・・・・・・・・・・・・・・・・・・・・・・・・・・・・・・・・・・・・・ 86

〔그림 Ⅵ-1〕모듈학습의 구성 ・・・・・・・・・・・・・・・・・・・・・・・・・・・・・・・・・・・・・・・・・・・・・・・・・・・・・・・・・・・・・・・・・・・・・・・・・ 95

〔그림 Ⅵ-2〕기초학습능력 증진을 위한 종합 시스템 ・・・・・・・・・・・・・・・・・・・・・・・・・・・・・・・・・ 105

(15)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우리가 현재 접하고 있는 지식 ・정보화 사회는 정보의 양과 흐름이 빠르 게 증가하고 모든 분야가 지식 ・정보화에 맞게 재구조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기술과 기능의 융합, 교육과 훈련의 통합, 직업 변화에 대한 적응성 을 높이기 위한 직업기초능력의 강화, 평생 학습 사회에 따른 계속교육 체제 의 구축 등을 요구하고 있어 직업교육 체제 개선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고등교육 기회의 확대, 평생직업교육훈련 체제의 구축 및 대학 입학 학령 인구의 감소는 긍정적인 면에서 교육의 보편화를 추구하는데 일 익을 담당하고 있으나, 정규 직업교육기관을 운영하는데 어려움을 주고 있는 면도 있다. 특히 그동안 양적인 팽창을 거듭하여온 4년제 대학교와 전문대학 은 입학 자원의 부족으로 운영의 애로를 겪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전문대학 은 입학생들의 기초학습능력이 점차 낮아져 대학 교육을 이수하기에 어려운 상황에 이르고 있다.

반면에 산업체는 산업구조의 변화와 기술의 발달에 대응하기 위하여 전문 대학 졸업생들에게 지식기반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 즉 직업기초능력과 다양하고 전문적인 직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교 육 자원의 질과 기대하는 교육 산출과의 간격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전문대학은 산업현장의 요구를 수용하여 직무수행능 력을 습득시키고자 노력하고 있으나 산업 현장의 직무는 전문대학으로 하여 금 직무 내용을 분석하여 교육에 적용할 수 없게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내용을 바로 활용할 수 없게 광범위하게 넓어지고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타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전문대학 입학생들에게 먼저 기초학습능력을 갖추도록 하기 위한 노력은 전문기초능력 또는 직무수행능 력을 습득시키기 위한 조건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가와 전문대학은 학생들의 기초학습능력의 저하를

(16)

방지하거나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이 부족하여 대책을 마련하거나 프로그램 을 개발 ・운영하는데 별로 관심을 두지 않고 있으며, 소수의 전문대학만이 나름대로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전문대학 입학생들의 기초학습능력을 증진시켜 전문교육을 충실히 받을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산업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기 위한 노력은 무엇보다도 시급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시대와 현장의 요청에 부응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들의 기초학습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수행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학생들의 기초학습능력에 대한 실태를 파악한다.

둘째, 전문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는 기초학습능력의 증진 사례를 분석한다.

셋째, 전문대학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초학습능력 증진 방안을 제시한다.

2. 연구의 범위와 제한

본 연구의 범위와 제한은 다음과 같다.

⑴ 본 연구에서 기초학습능력은 전문대학의 교육을 받을 수 있는 능력으로 제한하여 사용되며, 전문대학 입학생들이 취득한 대학수학능력시험 결과를 그들이 가지고 있는 기초학습능력으로 본다.

⑵ 본 연구에서 기초학습능력의 영역은 직업기초능력의 유사한 하위 영역과 관련짓되 의사소통능력은 국어 및 영어와, 수리 능력은 수학과, 정보능력은 컴퓨터 관련 과목의 학습을 통하여 증진하는 제한적 의미로 사용된다.

⑶ 전문대학생들의 기초학습능력 증진을 위한 우수 사례는 전문대학을 방문 하여 조사 ・발굴하며, 교육과정, 교수-학습방법, 학습공동체 및 비정규 교육 과정을 통한 활동으로 나누어, 내용별로 1개 대학을 선정하여 제시한다.

⑷ 전문대학생들의 기초학습능력 증진 방안은 단위 전문대학에서 시행 가능 한 것으로 계열별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공통적인 방안 중심으로 제시한다.

(17)

3. 연구 방법

이 연구는 전문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는 학생들의 기초학습능력 증진을 위 한 사례들을 발굴하여 이를 보급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수행되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⑴ 관련 문헌 및 자료 분석

연구 내용과 관련된 변인들의 속성을 밝히고, 연구의 틀을 구성하기 위하 여 아래의 사항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 기초학습능력의 개념

- 전문대학 교육의 내 ・외적 환경과 입학 자원 - 전문대학 입학생들의 질적 수준과 기초학습능력 - 발달교육을 포함한 기초학습능력 관련 프로그램 - 기초학습능력과 교양교육

- 기초학습능력과 직업기초능력

- 전문대학 교육과정 운영 및 교수학습 실태

⑵ 전문가 협의회

전문가와의 협의는 주로 연구 방향에 대한 확인, 연구 진행사항에 대한 점 검 및 연구 결과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모두 3회가 실시되었다.

- 연구방향 설정을 위한 전문가 협의 1회

- 연구의 진행 사항에 대한 점검을 위한 전문가 협의 1회 - 연구 결과의 적용성 검토를 위한 전문가 협의 1회

⑶ 전문대학 방문 및 의견 청취

다음 사항에 대하여 전문대학 학장 및 교수, 학생들의 의견을 청취하였다.

- 연구방향 설정에 대한 의견

- 전문대학 학생들의 기초학습능력에 대한 실태

- 전문대학 학생들의 기초학습능력 증진을 위한 요구 사항

⑷ 기초학습능력 증진 우수 사례 발굴

(18)

전문대학을 방문하여 기초학습능력 증진을 위하여 실시하고 있는 사례들 을 확인하고, 우수한 사례에 대하여 자료 제공을 요청하였다.

⑸ 세미나 개최

전문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는 기초학습능력 증진을 위한 우수 사례와 본 연구의 결과를 발표하고 토의하였으며, 그 주제는 다음과 같다.

- 전문대학 학생들의 기초학습능력 증진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의 개선 - 자기주도적 교수-학습 모형

- 외국어 학습능력 신장을 위한 학습공동체 활용 맞춤식 교수모형 - 능력중심 교육과정과 수리능력의 신장

- 전문대학생의 기초학습능력 증진 방안

4. 용어의 정의

⑴ 기초학습능력

기초학습능력이란 조은상 등(2000)이 좁은 의미로 정의한 전문대학 학생 이 취업을 위해 필요한 전문교과를 학습할 수 있는 최소한의 능력 을 말하며 그 하위 영역에는 의사소통능력, 수리능력, 정보능력 등이 있다.

⑵ 발달교육

발달교육이란 학생들이 전문대학의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되는 기초적인 학문적 ・지적 ・정서적 능력을 개발하는 것을 도와주는 것 을 말한 다.

⑶ 직업기초능력

직업기초능력이란 정철영 등(1998)이 제시한 직종이나 직위에 상관없이 대 부분의 직종에서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데 필요한 능력으로 지식, 기 술 등을 포함하며, 그 하위 영역에는 의사소통능력, 수리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관리 및 개발능력, 대인관계능력, 자원활용능력, 정보능력, 기술능력, 조 직이해능력 등이 있다.

(19)

Ⅱ. 기초학습능력의 개념과 영역

1. 기초학습능력의 개념과 의미

기초학습능력의 개념은 학습자가 자기 개발을 위하여 학습할 수 있는 능 력을 말하는 것으로 학습자가 얻고자 하는 능력 또는 학력에 따라 그 수준 이 다르게 나타난다. 여기에서는 전문대학에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수준으 로 국한하여 그 개념을 알아보고자 한다.

가. 학력(學力)과 학습능력(學習能力)

기초학습능력의 개념을 고찰하기에 앞서 학력(學力)과 학습능력(學習能力) 을 살펴볼 필요가 있는데, 이는 기초학습능력이 기본적으로 학력과 학습능력 에 개념적 토대를 두고 있기 때문이다.

교육학대사전(1996) 등에 의하면 학력은 학교교육 등의 학습이나 훈련에 의하여 획득한 지적 적응능력 , 교과 내용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그것을 지식 으로서 몸에 익히고 그 지식을 응용하여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힘 또는 학 교나 여타 교육기관에서 일정기간 특정 교과목을 학습해서 얻은 지식 ・기능 의 양이나 정도 등으로 정의되고 있다. 이렇듯 학력은 보는 시각과 기대하 는 방향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가진 능력으로 폭넓게 인식될 수 있다.

이러한 학력에는 기본적으로 두 가지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한 가지 요소 는 학(學)이 나타내고 있는 배움 또는 학습과 관련된 것이고, 다른 한가지 요 소는 력(力)이 나타내고 있는 능력과 관련된 속성이다(황정규, 2001). 먼저 학 력의 성질 중 배움과 관련된 학(學)의 부분은 학습자가 학교에서 배우는 것, 학습하는 것, 사회가 학교를 통해 교육하려는 것을 지칭한다. 이것은 학교 혹은 사회, 국가가 학습자의 성장을 위해 지원하는 제반 교육적 노력을 통해 학습자가 성취하기를 바라는 경험의 내용을 강조하는 요소이다.

한편 학력의 성질 중 능력 또는 힘과 관련된 력(力)의 부분은 학습 내용,

(20)

문화 내용, 경험 내용에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일반화된 능력 , 메타내용적 능력 이 존재함을 상정한다. 이것은 곧 배우는 능력 , 학습하는 능력 , 모든 학업 성취에 기여하는 보편적 능력 등을 지칭한다. 이와 같이 학력의 의미 를 학습을 나타내는 학(學)과 능력을 나타내는 력(力)이라는 두 가지 구성 요 소의 복합체로 본다면, 이미 학력의 개념 속에는 학습능력이라는 의미가 내 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나. 학습능력의 하나로서의 기초학습능력

곽병선(2001)은 학습능력 가운데 국민 누구나 기본적으로 성취해야 할 공 통적인 필수 학습능력을 핵심 학습능력 또는 기본 학습능력 으로 명명하고, 이의 구성 영역을 크게 일곱 가지로 제안하였다1). 그러나 곽병선이 제안하는 핵심 학습능력은 국가 학습목표로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이 연구 에서는 전문대학 수준에서 학습능력을 다루고 있는 나승일 등(2002)의 논의 를 참고하고자 한다.

나승일 등(2002)은 전문대학 학생의 학습능력 신장 프로그램 개발 연구 에서 학습능력(Learning Competencies)을 학생 스스로가 학습해야 할 필요를 느끼고, 학습해야 할 과제를 선정한 후, 그 해결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통해 서 과제를 해결해 나가는 통합적인 능력을 의미한다고 밝히고 있다. 이러한 학습능력은 기초학습능력(basic learning competencies), 실무학습능력 (advanced learning comp etencies)2), 바람직한 학습습관(desired learning habit)3) 등 세 가지 하위 영역으로 나뉘어진다. 여기서는 학습능력의 하나인

1) 이는 인간으로서 자기 존재에 대한 인식 영역, 상황주도적 시민의식에 관한 영역, 이해력에 관한 영역, 문해력에 관한 영역, 수리력에 관한 영역, 문제해 결능력에 관한 영역, 생애에 걸친 지속적 학습능력에 관한 영역 등 일곱 가 지고 분류된다.

2) 실무학습능력은 대학에서의 학습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데 요구되는 능력으로 시간관리능력, 정보관리능력, 자기관리능력, 수험능력, 수강능력으로 구성된다.

3) 바람직한 학습습관은 학습성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학습양식이 해, 학습태도 및 습관, 성취동기로 구성된다.

(21)

기초학습능력에 중점을 두고 살펴보고자 한다.

학습능력의 하나로서의 기초학습능력은 모든 분야의 학생들이 대학에서의 학습을 수행하는 데 있어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하는 능력을 말하는 것으로, 여기에는 듣기능력, 읽기능력, 쓰기능력, 말하기능력, 산술능력 등을 포함한 다. 나승일 등(2002)은 학습능력의 개념적 모형과 전문대학 학생들을 대상으 로 실시한 조사 결과에 기초하여, 전문대학 학생의 학습능력 신장 프로그램 을 모듈화 하였는데, 기초학습능력과 관련된 부분을 제시하면 <표 Ⅱ-1>과 같다.

<표 Ⅱ-1> 전문대학 학생 기초학습능력 신장 프로그램의 모듈 구성 대모듈 중모듈 소모듈

기초학습능력

듣기능력

강의목표 파악하기 요약하면서 듣기

들은 내용 재확인 및 질문 만들기

읽기능력

저자의 의도 예견 능력

읽기 자료의 핵심 내용 이해 능력 진리와 의견을 구분하는 능력 개요 정리 능력

주된 내용이 담긴 문장을 찾아내는 능력 자료의 가치와 객관적 타당성 평가 능력 표, 차트 및 그래프 해석 능력

전문 용어를 읽고 이해하는 능력

말하기능력

자신의 의견을 논리적으로 말할 수 있는 능력 토론 능력

주요 논점을 명확히 말할 수 있는 능력 말할 재료의 철저한 준비 능력

주어진 시간 내 의견 제시 능력

쓰기능력

들으면서 주요 용어 메모 능력

정확한 맞춤법, 구두점, 문법 적용 능력 읽기 쉽게 쓸 수 있는 능력

요구되는 형식을 갖추어 쓸 수 있는 능력 산술능력 전공과 관련된 복잡한 수식 계산 능력

논리적 전개에 의한 산술 문제 해결 능력

자료: 나승일 등(2002). 전문대학 학생의 학습능력 신장 프로그램 개발 연구, 직업교 육연구 21(2). p . 147. 일부발췌.

(22)

다. 기초학습능력의 의미와 범위

조은상 등(2000)은 전문대학 교육과 관련하여 기초학습능력을 좁은 의미와 넓은 의미로 나누고, 그 범위에 대해서 직업기초능력의 연구에 터하여 전문 대학 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기초학습능력의 범위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1) 좁은 의미의 기초학습능력

좁은 의미의 기초학습능력은 전문대학 학생이 취업을 위해 필요한 전문교 과를 학습할 수 있는 최소한의 능력이라고 정의된다. 이럴 경우 전문대학은 계열에 따라 이수해야 하는 전문교과가 다르기 때문에 요구되는 기초학습능 력에도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사회실무 계열의 경우에는 영 어가 수학보다 기초학습능력으로서 더욱 요구되는 반면에, 공업 계열의 경우 에는 수학이 영어보다 기초학습능력으로서 더 중요시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전문대학 학생의 전문교과 학습을 위한 기초학습능력은 시발점 행동 으로도 정의된다. 시발점 행동이란 새로운 단원이나 학습과제를 학습하기 전 에 학습자가 이미 획득하고 있는 지식, 기술, 태도까지도 포함한다. 이러한 시발점 행동은 전문교과를 통해 지적 내용뿐만 아니라 기능을 익혀야 하는 전문대학 학생들에게는 지적인 능력을 의미하는 기초학습능력보다 더 적절 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좁은 의미의 전문대학 학생의 기초학습능력이란 전문대학의 교육과정을 이수하기 위해 이미 획득한 지식, 기능, 태도를 일컫 는 시발점 행동에 해당된다.

2) 넓은 의미의 기초학습능력

넓은 의미의 기초학습능력은 전문대학 학생이 급속히 변화하는 직업세계 에서 전문직업인으로서 자신을 개발하고 성장하기 위해 요구되는 기초능력 이라고 정의된다. 전문대학 졸업생은 취업을 한 후에도 평생교육의 차원에서 직업인으로서의 전문성을 갖추기 위한 계속교육을 받아야 하는데, 이는 전문 대학에서의 전문교과를 학습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것 이상의 기초능력을 포

(23)

함한다. 예컨대 공업계열 출신인 경우, 외국에서 도입된 기계를 사용하기 위 해서는 영어로 된 매뉴얼을 읽고 작동시킬 수 있어야 하며, 기계에 문제가 발생되면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정도의 기초능력이 있어야 한다. 이는 직업기 초능력 중 영어의사소통능력에 해당하는 것으로, 넓은 의미의 전문대학 학생 의 기초학습능력이란 직업기초능력4)이라고 할 수 있다.

2. 기초학습능력의 범위 및 영역

기초학습능력의 범위는 기초학습능력을 정의하는 학자의 입장에 따라 다 소 다르게 표현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기초학습능력에 포함되는 요소 로 나승일 등(2002)은 듣기능력, 읽기능력, 쓰기능력, 말하기능력, 산술능력 등 5개 영역으로 구분하였고, 조은상 등(2000)은 직업기초능력의 구성 요소와 동일시하였다. 여기에서는 정철영 등(2001)이 제시한 전문대학 학생들의 직업 기초능력에 대한 하위영역별 교육방안5) 중에서 의사소통능력, 수리능력, 정 보능력을 전문대학 학생들의 기초학습능력의 범위 및 영역으로 한정하여 살 펴보면 다음과 같다.

의사소통능력은 직업인으로서 개인이 다른 사람과 원만하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는 것으로, 그 구성 요소로는 읽기능력(독해능력), 쓰기능력(작문능력), 듣기능력(청취능력), 말하기능력(스피치능력), 비언어적 표현 이해 및 반응 능력, 외국어를 읽고 이해하는 능력 등이 있다.

수리능력은 자연, 노동, 사회 일반의 사물 현상을 수량적으로 분석하고 파 악, 처리하는 능력을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것으로서, 그 범위는 셈하기, 대소 구별하기 등의 수개념으로부터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등의 사칙연산, 통

4) 여기에서의 직업기초능력이라 함은 학교의 교육을 통하여 이미 획득한 능력뿐만 아니 라 이 능력을 기초로 다시 새로운 것을 습득하여 관련 전문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 서 접하게 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자신을 개발할 수 있는 포괄적 의미의 기초 능력을 말하는 것이다.

5) 이는 의사소통능력, 수리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관리 및 개발능력, 자원활용 능력, 대인관계능력, 정보능력, 기술능력, 조직이해능력 등 9개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24)

계, 확률 등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까지를 포괄한다.

정보능력은 정보가 개인이나 사회 발전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정보화 시대를 맞이하여 각 개인이 자신의 업무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분 석 ・비판하여 의미 있는 정보를 찾아내며, 이를 적절히 조직하여 업무에 활 용함은 물론 체계적으로 계속해서 관리하는 종합적인 능력을 의미한다. 그 구성 요소로는 대체로 정보처리기술능력, 정보생산능력, 컴퓨터사용능력 등 으로 구분된다.

한편, 전문대학의 교육과 관련하여 기초학습능력을 기를 수 있는 관련 교 과를 살펴보면, 의사소통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관련 교과로는 국어교과와 외국어교과를 들 수 있다. 국어와 외국어 교과는 기본적으로 학생들로 하여 금 언어사용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목적이 있으므로, 교과 본래의 목적 달성 에 충실한다면 기초학습능력으로서 요구되는 의사소통능력 함양에 이바지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수리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관련 교과로는 수학교과를 들 수 있다. 이는 수학교과의 교과목적이 기본적으로 학생들의 수리능력 함양을 통 한 문제해결능력의 신장에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정보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관련 교과로는 과학 및 컴퓨터 관련 과목을 들 수 있다. 과학교과는 실험을 통하여 얻은 결과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해 유사한 실험 결과에 대한 각종 통계치를 수집, 분 석, 비교해야 하며, 좋은 성과를 낸 실험 결과는 잘 보관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과정 자체는 정보능력을 함양시킬 수 있으며 컴퓨터 관련 교과는 실 험 결과를 적절한 그래프나, 도표로 제시함은 물론 정보화 마인드의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25)

Ⅲ. 전문대학 입학생의 기초학습능력

1. 전문대학 현황과 입학 자원

가. 전문대학 현황

2002년도 국내 전문대학의 수는 159개이다. 159개 전문대학을 설립주체별로 보면 국 ・공립대학과 사립대학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표 Ⅲ-1>과 같다.

<표 Ⅲ-1> 전문대학 현황

(단위: 수, %) 설립주체

지역 국 ・공립대학 사립대학 합 계

대학수 지역별점유비율(%) 서 울 1 12 13 8.2 부 산 - 11 11 6.9 대 구 - 7 7 4.4 인 천 1 4 5 3.1 광 주 - 7 7 4.4 대 전 - 5 5 3.1 울 산 - 2 2 1.3 경 기 2 31 33 20.8 강 원 2 7 9 5.7 충 북 2 4 6 3.8 충 남 2 6 8 5.0 전 북 1 10 11 6.9 전 남 2 9 11 6.9 경 북 1 17 18 11.3 경 남 2 8 10 6.3 제 주 - 3 3 1.9 합 계 16(10.1%) 143(89.9%) 159 100

1) 자료 : 양한주 등(2003), 2002학년도 전문대학 교육지표,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p .2

2) 조사일시 : 2002년 4월 1일 기준

(26)

전문대학 159개교중 국 ・공립대학은 16개교로 10.1%를 점유하고 있고, 사 립대학이 143개로 89.9%를 차지하고 있어 국내의 전문대학의 설립주체는 대 부분 사립의 양상을 띄고 있다. 특히,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 울산광역시, 제주도에는 국 ・공립대학이 전혀 없는 상황이다.

한편 지역별로 구분하여 보면 경기도가 33개교로 20.8%를 점유하고 있고 다음으로는 경북이 18개교로 11.3%를 차지하고 있다. 가장 낮은 지역으로는 울산광역시가 2개교로 점유율은 1.3%를 차지하고 있다.

나. 전문대학의 학생 현황

전문대학 학생의 입학정원과 현황을 계열별로 살펴보면 <표 Ⅲ-2>와 같다.

<표 Ⅲ-2> 설립주체별 ・계열별 학생의 입학정원 및 현황 계열

설립주체 입학정원 재학생 현황

공학 인문사회 자연과학 예체능 합계

국공립

1 11,828 7,038 1,866 1,499 841 11,244 2 11,550 5,770 1,562 1,264 697 9,293 3 500 - - 423 - 423 소계 23,878 12,808 3,428 3,186 1,538 20,960

사립

1 277,860 118,958 65,509 48,929 25,825 259,221 2 277,185 103,395 60,314 42,157 20,654 226,520 3 16,620 - - 15,094 - 15,094 소계 571,665 222,353 125,823 106,180 46,479 500,835 합 계 595,543 235,161 129,251 109,366 48,017 521,795 1) 자료 : 양한주 등(2003), 2002학년도 전문대학 교육지표,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p .40

2) 조사일시 : 2002년 4월 1일 기준

계열별로 가장 학생이 많이 재학하고 있는 것은 공학계열로 235,161명으로 전체의 45.1%를 차지하며, 인문사회계열이 그 다음으로 129,251명으로 24.8%

를 차지하고 있다.

(27)

한편, 국 ・공립대학은 20,960명으로 4.0%를 차지하며, 사립대학은 500,835 명으로 96.0%를 차지하고 있다.

전문대학에 재학하고 있는 학생 수와 정원을 학년별과 주 ・야간으로 나누 어 살펴보면 <표 Ⅲ-3>과 같다.

<표 Ⅲ-3> 학년별 ・주야간별 학생 현황

(단위:명) 구분 재학생 수 정원

학년별

1 270,465 289,688 2 236,813 288,685 3 15,517 17,120 소계 521,795 595,493

주 ・야간별

주간 410,876 477,223 야간 110,919 118,320 소계 521,795 595,493

1) 자료:양한주 등(2003), 2002학년도 전문대학 교육지표,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p .37

다. 전문대학 입학자원 현황

학령 인구인 15세이상 29세 이하는 <표 Ⅲ-4>와 같이 계속 감소할 것이며, 이는 전문대학 입학 자원의 부족 현상을 초래할 것으로 예상된다.

<표 Ⅲ-4> 연령계층별 인구 구성비

(단위 : 천명, %) 연령층 연도 1990 1995 2000 2005 2010

15~29세 13,111(41.1) 12,589(36.4) 12,005(32.4) 10,713(27.7) 10,312(25.4) 30~54세 13,843(43.4) 15,894(46.0) 17,883(48.1) 19,555(50.5) 20,243(49.9) 55세 이상 4,941(15.5) 6,073(17.6) 7,203(19.4) 8,434(21.8) 9,984(24.6) 15세 이상 인구 31,896(100) 34,556(100) 37,041(100) 38,072(100) 40,537(100) 주:( )안은 15세 이상의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임

자료:통계청(1996),『장래인구추계』, 김호동(2000), 고등교육의 전망과 전문대학의 대응 92쪽 에서 재인용

(28)

전문대학은 <표 Ⅲ-5>와 같이 1998년부터 입학 정원의 미달 현상이 심각 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2000년에는 12,963명이 미달되었고, 현재와 같이 전문 대학의 입학 정원이 유지된다고 할 때 고등학교를 졸업하는 입학 대상자는

<표 Ⅲ-6>과 같이 2006년에는 29.3%, 그리고 2010년에는 22.6%가 부족할 것 으로 전망되고 있다.

<표 Ⅲ-5> 전문대학의 연도별 학생 미달 현황

구 분 1998 1999 2000 수도권

비수도권 계

76 7,278 7,354

57 16,407 16,464

9 12,954 12,963 자료 : 교육부(2000), 내부 자료.

<표 Ⅲ-6> 대학 입학 자원의 부족 전망 (단위 : %) 연도 전국 수도권 강원권 충북권 충남권 전북권 전남권 경북권 경남권 제주권

1998 -0.092 0.054 -0.291 -0.313 -0.375 -0.173 -0.070 -0.242 0.043 -0.158 1999 -0.063 0.088 -0.233 -0.320 -0.383 -0.092 -0.068 -0.222 0.088 -0.094 2000 -0.037 0.118 -0.212 -0.301 -0.366 -0.067 -0.042 -0.200 0.118 -0.069 2001 -0.108 0.035 -0.270 -0.353 -0.413 -0.136 -0.113 -0.260 0.035 -0.138 2002 -0.186 -0.055 -0.334 -0.410 -0.464 -0.212 -0.190 -0.324 -0.055 -0.213 2003 -0.283 -0.167 -0.413 -0.479 -0.528 -0.305 -0.286 -0.404 -0.167 -0.306 2004 -0.259 -0.140 -0.393 -0.462 -0.512 -0.282 -0.263 -0.385 -0.139 -0.284 2005 -0.288 -0.173 -0.417 -0.483 -0.531 -0.310 -0.292 -0.409 -0.173 -0.312 2006 -0.293 -0.179 -0.421 -0.487 -0.534 -0.315 -0.297 -0.413 -0.179 -0.316 2007 -0.288 -0.173 -0.417 -0.483 -0.531 -0.310 -0.291 -0.409 -0.173 -0.311 2008 -0.269 -0.152 -0.402 -0.470 -0.519 -0.292 -0.273 -0.393 -0.151 -0.293 2009 -0.269 -0.151 -0.401 -0.470 -0.519 -0.292 -0.273 -0.393 -0.151 -0.293 2010 -0.226 -0.102 -0.366 -0.439 -0.490 -0.250 -0.230 -0.357 -0.101 -0.252 자료 : 정택수 등(2000), 기능대학 통합 및 발전방안 연구, Ⅱ-11쪽

(29)

최근 4년제 대학 정원의 증가로 수 차례의 복수 지원이 가능해짐에 따라 학생들의 4년제 대학 선호가 강하게 나타나면서 전문대학에는 대학 수학능 력 고사의 점수 또는 고등학교의 내신 성적이 낮은 학생들이 입학하는 경향 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실업계 고등학교 졸업자를 대상으로 하는 특별 전형 의 비율이 높아지는 현상도 학생들의 질이 낮아지고 있는 원인이 되고 있다 (정태화 등, 2000).

김현철(2001)의 연구보고서에서는 고등학교 전체 졸업자의 고등교육기관 진학률을 2001년 현재 70.5%로 나타내고 있다(표 Ⅲ-7 참조). 이는 1975년 진 학률 25.8%에 비해 44.7%가 증가한 것으로 고등학교 졸업자의 대부분이 고 등교육으로 진학을 하고 있음을 말한다. 진학률 상승의 추세를 보면 1990년 대까지 30% 내외의 상승을 보였으나 1995년 51.4%로 급격히 상승한 이후 지 속적으로 높은 상승률을 보이고 있다. 이를 고등학교의 계열별로 살펴보면 일반계 고등학교 경우 1975년 당시에는 41.5%로 80년대까지는 큰 변화가 없 었으나 이후 상승세가 지속되어 1995년 72.8%, 2001년에는 85.2%의 진학률을 보였다. 실업계 고등학교 졸업자의 진학률은 1975년 8.8%에서 큰 변화 없는 추세였으나 1990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2001년 현재 진학률은 44.9% 까지 증가되었다.

<표 Ⅲ-7> 고등학교 졸업자의 고등교육기관으로의 진학률(1975~2001)

(단위 : %) 연도 일반계 실업계 계

1975 41.5 8.8 25.8 1980 39.2 11.4 27.2 1985 53.8 13.3 36.4 1990 47.2 8.3 33.2 1995 72.8 19.2 51.4 2000 84.5 42.0 68.0 2001 85.2 44.9 70.5 주 : 진학률 = 고등교육 입학자수/ 고등학교 졸업자수.

자료 : 교육인적자원부, 교육통계연보, 각 년도.

(30)

이러한 높은 진학률은 향후 더욱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왜냐하면 통계 청의 분석(통계청, 2001)에 따르면, 고등교육 취학 연령인 18세 인구가 점차 감소해 가고 있고, 90년대 들어 실질적으로 정부가 조정하던 정원 조정권이 대학에 일임됨에 따라 대학정원이 크게 확대되었기 때문이다.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 에 따르면 2003년에는 대학입학 대상연령인 18세 인구가 대학입학정원 보다 더 적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000년 고등교육 입학자 수를 기준으로 볼 때, 2000년 대학 입학 대상연령인 18세 인구는 82 만7천명으로 입학자수 67만7천명보다 많았으나, 2003년에는 63만명이 되어 입학자수의 98%수준으로 줄어들었다가 2009년~2015년은 다소 증가한 후 2016년 62만 6천명인 98%에서 줄어들기 시작하여 2020년에는 54만7천명인 81%에 도달할 전망이다.

이상에서 보았듯이 국민의 고등교육에 대한 높은 수요와 대학의 재정수 입 증대를 위한 정원확대 노력 등에 따른 학생수의 증가는 우리나라의 고 등교육이 대중화 단계를 지나 실질적으로 원하는 경우 언제든지 진학할 수 있는 보편화 단계에 진입하였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향후 고등교육은 취학가능 인구의 감소, 인구의 노령화 등 인구구조의 변화와 지식정보화 사회의 도래라는 사회경제 환경의 변화와 맞물려 그간 양적 팽창이 질적 으로 변화될 시점에 놓여 있다. 또한 나아가 이러한 변화는 교육정책당국, 고등교육 기관과 고등교육 수요자까지 광범위하고 깊게 영향을 미칠 것으 로 전망된다.

2. 전문대학 입학생의 기초학습능력

전문대학 학생들의 기초학습능력을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는 것은 대학수 학능력시험이라고 할 수 있다. 전문대학 학생들의 대학수학능력시험 결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전문대학교육협의회의 전문대학 입시현황자료에서 2000학 년도에서 2002학년도까지 제시된 전문대학의 지역별 ・계열별 대학수학능력 시험 결과를 정리하여 나타내면 <표 Ⅲ-8>, <표 Ⅲ-9>, <표 Ⅲ-10>과 같다.

수학능력시험 결과를 제시하기 위하여 자료를 정리한 조건은 다음과 같다.

참조

관련 문서

둘째, 관세 인하 의무.. 1) 최혜국대우(most-favored-nation treatment: MFN) 관세, 과징금, 수출입에 관한 규칙 및 절차 등 통상관계 에 있어서 제3국에 부여하고 있는

학업을 수행하고 학습을 해나가는 자발적인 의지와 태도/학습자가 스스로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적절한 학습 전략을 선택하여 계획을 수립·실행하는 과정. ․

대덕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현재 학교에서 배우고 있는 미적분에 대해 얼마나 이해하고 있는지, 어떤 내용을 제일 어려워하는가에 대해서

둘째,문법․어휘 학습이 영어듣기 받아쓰기에 미치는 영향은 사전 조사의 평소에 받아쓰기 수업이 실제 이루어지는지에 관한 조사를 하였으나 65명중 5명의

모든 학교는 신뢰성있고, 타당한 방법으로 학생의 학습을 평가하여야 한다. 고 등학교에서의 음악과 평가는 각 학생이 기준에 얼마나 달성하였은지에 대한 개개

2단계지난 시간에 그린 나만의 감정 로봇 그림을 다시 살펴보세요. 3단계그 그림을 입체로 표현할

언어 학습에서 어휘의 교수 학습은 대단히 중요하다.멀티미디어를 이용한 영어 교육 방법론들을 이해하고 어휘 교수 학습 활동에 적극 도입함으로써 구성주의에

각 항목은 학습 에 대한 정의적 측면을 담고 있는 평가기준으로 구성하였다... 각 학급의 성격에 맞게 구상한 수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