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Coworking+공간+유형황에+따른+평면구성+비교분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1.+Coworking+공간+유형황에+따른+평면구성+비교분석"

Copied!
1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 광운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과 석사과정 (주저자: glorysheep@kw.ac.kr)

** 본 학회 정회원, 광운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과 조교수 (교신저자: realty@kw.ac.kr)

Coworking 공간 유형화에 따른 평면구성 비교분석 - 일본 Coworking 공간의 사례를 중심으로

Comparative Analysis of Floor Plan Configuration in Coworking Space - Focused on coworking space in japan

양재영* 고진수**

Yang, Jae-Yeong Ko, Jin-Su

Abstract

Coworking space represents urban working space and a network focal point, which also has high potential for future incorporation and expansion of various functions. Currently, coworking space is expanding, domestically and abroad, in diverse forms, for which, the present study aimed to categorize this into a set range and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spatial structure by each type. First,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layouts of coworking spaces in Japan, that are diverse and in general use, for the purposes of stereotyping them and analyzing the their differences. Types of space were categorized as incubating, coordinating, and networking types, and it was determin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layout structure based on operational objectives of each type. The point of discussion for the present study lies with the fact that, under the hypothesis that urban coworking space projects will expand and differentiate by function in the future, the present study verifi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spatial structure by type based on actual sharing of common work space and network between users.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co-working as urban space via analysis of sample case from Japan, the results of which can be used for comparative analysis with domestic situation and as basic data for spatial planning.

키워드 : Coworking, 평면구성, 업무공간

KeyWords : Coworking, spatial structure, work space

(2)

Ⅰ.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코워킹(Coworking) 공간이 업무공간의 공유와 이용자 간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다양한 형태로 확산하고 있다. 코워킹은 자발적이고 독립적인 사람들이 모여 교류와 협업을 통해 자유롭게 지식, 정보, 아이디어 등을 공유하고 확대하며 일하는 것이다. 이용자는 사무공간과 시설을 공유하여 고정비용을 절감함과 동시 에 인적네트워크와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는데, 생산적인 업무공간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큰 매력으로 다가 온다. 더불어 공유경제와 1인기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코워킹 공간이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코워킹의 다른 매력은 각 공간은 협업을 중심으로 다른 방면에서 모두 개성을 드러낸다는 점이다. 지역, 운영목적, 운영주체 등에 따라 공간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런 방식이 가능한 이유는 ‘데스크만 있 으면 어떠한 장소이든 협업이 가능’한 코워킹의 강점 때문인데, 이러한 특징이 공간의 구성과 활용을 특정 한 제약 없이 자유롭게 만들고 있다.

코워킹은 바로 이 점과 맞물려, 다양한 기능이 결합하고 확장하는 도시의 업무공간이자 네트워크의 구 심점으로써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오늘날은 소통과 융합이 사회발전에 중요한 요소로 대두하는 시대이 다. 앞으로의 코워킹 공간은 도시민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하며 적극적인 협력을 끌어냄으로써 도시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1)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다양한 코워킹 공간을 목적에 따라 유형화하여 공간적 구성의 차이를 확인 하고자 한다. 우리보다 먼저 코워킹 공간이 확산된 일본의 사례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한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를 통해 국내 코워킹 공간의 변화추이를 예상하고, 유형별 공간을 발전시키는 데 기초자료로써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2. 연구의 범위 및 내용

본 연구는 일본 코워킹 공간 중 일부를 선정하여 유형화한 뒤, 평면도를 통한 공간구성의 차이를 분석하 였다. 일본 코워킹 공간은 대중교통 접근성을 중심으로 공간이 입지하는 점과 타인과의 상호교류에 있어서 도 국내와 유사한 측면이 있다.2)

일본은 이미 코워킹 공간이 보편화되어 국내보다 앞선 사례로서 적절하다고 판단하여 선정하였다. 개별 공간의 선정은 구글(google) 지도를 기반으로 작성된 ‘Coworking/jelly! map’에 등록되어 평면자료를 제 공하고 있는 홈페이지를 기준으로 하였다. 코워킹 공간운영에서 인터넷의 활용은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3) 일부 공간은 사전 방문이 홈페이지를 통해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접근은 연구의 타당성 측면에서 적

1) 혁신 네트워크로써 활용될 수 있음을 말한다. 디지털 시대의 어떤 도시의 성공 여부는 네트워크 허브의 기능을 할 수 있느 냐에 달려 있다.(이성수, 2010)(강현수, 『도시, 소통과 교류의 장』, 삼성경제연구소, pp.70~71, 2007에서 재인용) 2) “불행하게도, 코워킹은 일본사람들에게 어려운 업무방식이다. 그들은 대개 수줍어하기 때문이다.” Anna cashman,

「Firsh coworking conference in Tokyo」 , 2012.6.13 (http://www.deskmag.com/)

3) Steve Glaveski, 「The 10 step guide to a successful coworking-space」 2014.4.8 (http://www.shareable.net/)

(3)

절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코워킹의 정의, 등장배경과 현황 등을 비롯하여 이론적으로 고찰한다. 이후 선행연구 검 토를 통해 코워킹 공간 분석틀과 유형화에 필요한 기준을 제시하여 유형별 공간 구성의 차이를 확인한다.

Ⅱ. 이론적 고찰

1. 코워킹 공간 개요

1) 정의

코워킹은 아직 학문적으로 명확하게 정의된 바는 없다. 국내외 선행연구에 따르면 코워킹은 독립적으로 일하지만 가치를 나누고, 재능있는 사람들과 같은 공간에서 일하는 것이 상생작용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 는 사람들의 사회적 모임(이성수, 2010), 코워킹은 일하는 사람들이 자신이 선택한 상황에서 소통과 협동 을 통해 공간을 창조적인 가치로 만들고 정보와 지혜를 공유하며 일하는 방법.(Tadashi, 2013) 서로가 함 께 일하고 업무공간과 자원을 공유하지만, 같은 직장이나 같은 프로젝트를 위해 일할 필요가 없는 사람들 로 이루어진 다양한 그룹의 역동성과 조직(set-up)(Genevieve DeGuzman,, 2011)이라고 정의했다.

표 1. 코워킹 5가지 가치관

핵심가치 내용4)

협력

(Collaboration) 다른 기술, 배경, 경험을 가진 다양한 그룹의 사람들 사이에 일하면서 얻을 수 있는 지식의 가치 공동체

(Community) 바라는 데로, 같은 마음과 행동을 하는 창의적인 사람들에게 둘러 쌓였을 때 더 생산적으로 되는 것 지속가능성

(Sustainability) 각자의 분야에서 환경, 기후적으로 함께 행동하도록 권하는 것 개방성

(Openness)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공유하는 것이 모두에게 이익이 될 것이라는 믿음 접근가능성

(Accessibility) 물리적 거리 뿐만 아니라 재정적인 거리감이 없어야 한다.

코워킹의 핵심 가치관은 협력(Collarboration), 공동체(Community),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개 방성(Openness), 접근가능성(Accessibility)로 알려져 있는데, 앞서 내려진 정의와 이러한 속성들을 종합 해보면 코워킹이란 ‘독립적인 소속과 능력을 가진 개인들이 마음을 열고 가치와 지식, 환경적으로 지속가 능한 것들을 공유하며 서로 협력을 통해 소속감과 커뮤니티를 키워가는 활동’으로 정의할 수 있다.

4) Genevieve DeGuzman, 2011

(4)

2) 등장 및 확산 배경

최초의 코워킹 공간은 2006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설립된 ‘Hat Factory’이다. 설립자인 브래드 노이 버그(Brad Neuberg)가 프로그래머로서 홀로 일하는 것에 쓸쓸함을 느껴 동료들을 집에 불러 함께 작업하 던 것을 시작으로 코워킹 공간을 설립했다. 초기 ‘Hat Facroty’는 마사지 센터가 딸린 빅토리아풍 고저택 에서, 화창하고 따뜻한 날씨에 영상·미디어 제작자, 프로그래머 등이 모여 음식과 차를 함께하면서, 편안 하고 친근한 환경에서 함께 의견을 나누며 일을 했다.5)

재택근무가 주는 안락함을 느끼고, 사람들과의 의견교환을 통해 고립감을 해소하며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는 환경은 홀로 일하는 사람들에게 폭발적인 인기를 끌게 되었다.

이후 지금까지 코워킹이 확산되는 데에는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작용했다. 우선 현재 세계 노동인구 중 약 37%인 10억 명이 개인사업자나 프리랜서로 추산되는데(이장수, 2012) 이는 스마트워크 시대, 디지털 노마드 시대가 가능하게 된 것을 배경(이성수, 2010)으로 하고 있다.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혼자서도 사업 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면서 IT와 연관된 사업으로 많은 창업자가 뛰어들게 되었다. 이 밖에, 사람들은 이러한 1인사업을 시작하면서 기존에 생활하던 집이나 카페에서 작업하는 것이 한계가 존재하며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점을 느끼게 되었다. 그리고 코워킹 공간은 이러한 상황에서 공유를 통한 경제성, 인적네트워 크 창촐, 지식의 교류를 통해 미국과 유럽 각지에서 큰 호응을 얻고 있다.6)

3) 국내외 현황

deskwanted 통계조사에 따르면, 오늘날 코워킹 공간은 80개국 2500여 곳에서 운영 중이다.7) 특히 일 본의 경우 2010년경 코워킹 명칭이 등장하여 2014년 173개소 이상으로 증가하였다.(박상헌, 2014) 국내 의 경우는 2010년 3월 ‘co-up’이라는 공간을 통해 코워킹 이 처음 선보이게 되었으며 현재 서울에 20여 개 이상의 코워킹 공간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코워킹 공간은 계속 변화하고 있다. 기존 공간에 도서관, 레스토랑, 지식나눔 커뮤니티, 비즈니스 지원 등 기능들이 인접하고 융합하게 되면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공간사업과 관련되어 대부분 의 초기 코워킹의 형태는 개인이나 소규모 집단에서 ‘Hat Factory’와 같은 커뮤니티를 꾸려가는 형식이었 으나 사회적·경제적으로 코워킹 공간에 관심이 쏠리게 되자 다양한 상업공간으로서의 양상이 주를 이루게 되었다. 그 밖에 일부는 지역 커뮤니티 차원의 풀뿌리 협동조합 등으로 등장하는 등 운영주체 면에서도 공 간의 개념이 다양하게 확장되고 있다.

국내에는 1인기업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정책적 지원이 활성화되면서 코워킹 공간을 지원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공간으로는 서울시에서 지원하는 사회적경제 지원센터, 서울시 NPO지원센터, 은 행권청년창업재단의 D.CAMP, 동그라미재단(구 안철수재단) 오픈컨텐츠랩, 여성능력개발센터의 ‘꿈마루’

등이 있다.

5) http://www.yelp.com/biz/hat-factory-san-francisco 6) 이유미, 2013. p.166 에서 재구성

7) deskwanted, "Global Coworking Censes, 2013; 2498 coworking spaces in 80 countries", 2013

(5)

4) 평면공간 구성요소

그림 2. 코워킹 평면공간 구성 업무공간

회의실 & 미팅룸 O,A 기기 공간

멀티오피스 개인오피스 오픈오피스 가상오피스

공용공간

리셉션 & 로비 Locker 폰 부스

키친네트 휴게 공간 라운지

*출처 : 한혜선, 2013

코워킹 공간들은 커뮤니티와 협업이 가능한 공간을 구성해놓은 점에서 공통적이다. 또한 공간의 특성상 소음 발생이 필연적이기 때문에 독립적이고 조용한 공간이 필요한 멤버는 분리된 업무공간을 이용할 수 있 도록 하고 있다.8) 한혜선은 코워킹 공간구성과 특성에 관한 연구(한혜선, 2013)에서 코워킹 공간은 업무 공간과 공용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두 종류의 공간이 적절하게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이 는 초창기와 달리 코워킹 멤버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발생하는 요구를 수용하면서 변화한 것으로 보인다.

2. 선행연구 검토

선행연구는 코워킹의 평면구성과 적용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이성수(2010a)는 1인기업 업무공간으로서 코워킹의 특징을 분석했으며, 협업의 작동을 개방성, 피어 링, 공유를 기본요소로 설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평면디자인을 제시했다.

이유미(2013)는 업무공간의 유형인 ‘스마트워크센터’에 코워킹개념을 도입했다. 이러한 비즈니스모델을 제안하면서 코워킹의 사례와 융합시켜 창업연계형, 육아연계형, 중개서비스형 모델유형을 도출하여 향후 도시의 코워킹 공간의 발전가능성을 시사했다.

유성은(2013)은 자유롭게 협업함으로써 성과를 극대화하는 업무방식으로써 스마트워크 공간에 대하여 설명하고, 계획요소를 제시했다. 각 사례를 물리적 측면에서 개인업무공간, 그룹업무공간, 지원공간으로 나누어 배치와 구성을 비교하였으며 전통적인 업무공간에 비해 공간간 경계가 모호해짐에 따라 다양한 업 무유형과 협업방식, 문화 등이 반영된 공간으로 제공됨을 확인하고 향후 업무공간 조성에 있어 이를 효과 적으로 계획할 것을 주장했다.

8) Deskmag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백그라운드 소음이 가장 짜증나는 부분이라고 답했다. (한혜선, 2013)(www..deskmag.

com)

(6)

한혜선(2013)은 국내외 사례의 코워킹 평면도를 비교·조사함으로써 업무공간과 공용공간을 가진 일반 적인 공간의 구성과 특성을 도출해냈다.

최동욱(2014)는 인큐베이팅 공간 디자인 유형을 분석하고 코워킹 개념이 접목된 효율적인 공간배치를 구상하면서 스타트업 운영목적에 맞는 평면공간을 제안했다.

이상의 선행연구에서 코워킹의 개념이 공간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으며 그 특성과 적용기준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또한 이용자와 목적, 활동에 따라 공간 구성에 차이를 두고 계획을 시도했으며 이에 코워킹 개념을 접목하기 위해 특정한 디자인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을 확인했다. 한편 업무공간으로써 코워킹이 다 양한 활동과 융합하여 발전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시사한 연구를 통해 유형별 분석에 대한 필요성을 검 토했다. 하지만 코워킹 공간이 목적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했으나, 유형에 따라 일반화 된 특성을 설명하지 않는 점에 있어 본 연구와 차이가 있다.

표 2. 관련 선행연구

저자 내용

이성수(2010a) 개방성, 피어링, 공유를 기본요소로 한 협업공간 디자인을 도출했으며 물리적인 요소로 파티션과 공 간의 위계, 공유공간을 중심으로 설명

이유미(2013) 스마트워크센터와 코워킹 개념을 융합한 창업연계형, 육아연계형, 중개서비스형 모델을 도출하고 향 후 발전가능성을 시사

유성은(2013) 활동이 고정되지 않은 업무공간으로써 계획요소와 특성을 구분하고 사례에 따라 다양한 공간 유형과 구성을 확인

한혜선(2013) 국내외 코워킹 평면도 비교분석을 통해 일반화된 평면공간 특성 도출

최동욱(2014) 인큐베이팅 오피스 공간 유형을 분석하고 스타트업 목적에 맞게 코워킹이 접목된 공간배치를 구상

Ⅲ. 분석틀

1. 유형분류 기준

코워킹 공간은 문화적·사회적·경제적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분화하는 양상이며, 그 중 스타트업과 비즈 니스 관련 공간이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에 우선 비즈니스와 그 외 공간으로 구분하였고 이를 좀 더 세분화시켰다. 따라서 이를 중점으로 공간유형의 기준을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하였으며 분류는 정수현 (2014)의 구분을 인용하였다. 첫째로 투자적 접근으로 신규사업들을 발굴·발전하는 인큐베이팅형, 둘째 로, 비즈니스 차원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코디네이팅형, 셋째로, 다양한 참여자들의 공동의 니즈로 만들 어지는 네트워킹형이다.9) 이는 <표 2>로 나타난다.10) 제시된 유형에 따라 모든 코워킹 공간이 정확히 구분 되는 것은 아니며 세부속성이 서로 중첩되는 경우도 볼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코워킹 공간의 변화와 확산 의 유형을 큰 맥락에서 보았을 때 이러한 구분은 적절하게 보인다.

9) 정수현, “공간을 오픈하면, 콘텐츠가 모인다.”, 2014.04.01, (http://nowplanb.kr/) 10) 출처의 내용을 표현의 편의를 위해 재구성

(7)

표 3. 코워킹 운영체제 인큐베이팅 (incubating)

코디네이팅 (coordinating)

네트워킹 (networking)

•투자적 접근

•목표 타겟 대상이 선명함

•스타트업

•신규사업발굴, 투자 연결

•엑셀러레이팅

•데모데이, 컨퍼런스, 이벤트

•평가 및 성과 측정 exit

•서비스적 접근

•목표 타겟 대상이 다양함

•신규사업 또는 프로젝트, 학생

•비즈니스/ 운영진 수익모델

•프로그램, 홍보 연계 등

•네트워킹 파티, 관련 이벤트

•운영 자율

•참여적 접근

•목표 타겟 대상이 모호함

•다양한 직업군, 프리랜서

•멤버십/ 회비 등의 운영 모델

•자체 프로그램 협업

•자체 네트워킹 행사 연계

•멤버십, 동호회적 성격

*출처 : 정수현, 2014

2. 평면공간 분석기준

평면도를 통해 확인 가능한 정보는 주로 실내공간의 용도별 구분이다. 또한, 대개의 경우 데스크별 위치 와 좌석, 파티션 유무 등을 게시하여 홈페이지를 통한 사전 방문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이를 자 료로써 활용한다.

분석을 위해 선행연구의 공간구분을 참고하였으며 사례의 통계적 분석이 가능하도록 정량적인 기준을 설정하였다. 개인의 업무활동 범위를 어떤 관점에서 바라보느냐에 따라 공간 구분에 다소 차이가 있다. 하 지만 cowoking 특성상 활동이 평면 공간에 명확하게 투영되기 어려운 점을 감안했을 때, 세밀한 구분이 이루어지더라도 그에 상응하는 분석을 기대하기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본적으로 개인/그룹과 업무/지원으로 나누어 크게 업무공간, 공용공간, 지원공간으로 구분하였다.

물리적 특성을 살펴보면 ‘파티션/공간위계 제거(이성수(2012a))’와 ‘탈영역성/비위계성(유성은(2013))’

이 같은 맥락으로 나타난다. 작게는 개인좌석의 개방성에서, 크게는 공간의 위계까지를 말하는데, 이는 데 스크의 파티션과 공간사이 벽의 유무에 따라 특정 지을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게시판 등 모임장소’와 ‘유 희성’은 본 업무에서 벗어날 수 있는 공간이지만, 단순한 휴게공간 또는 레크리에이션과 커뮤니티 요소가 가미되어있는 공간인지 차이를 비교하는 게 가능하다.

표 4. 선행연구 공간구분

코디네이팅 코디네이팅 코디네이팅

이성수

(2012a) 특정구분 없음

•파티션 제거(개방성)

•공간 위계 제거(피어링)

•게시판 등 모임장소(공유)

유성은 (2013) 최동욱 (2014)

개인업무공간 •지정 업무공간

•일반/집중 비지정 업무공간 •탈영역성/산재성/연결성

•형평성/비위계성

•가변성/융통성

•유희성/정체성 그룹업무공간 •프로젝트 공간

•공식/비공식 회의공간 지원공간 •휴게 및 레저 공간

•지원업무 공간 한혜선

(2013)

업무공간 •의실, 개인오피스, 오픈오피스, 멀티오피스 공용공간 •리셉션, 키친네트, 휴게공간, 라운지 등

(8)

종합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 기준을 설정하였다. 첫 번째, 좌석과 기능마다 공간분리 정도에 얼마나 차 이가 있는지(개방성). 두 번째, 오픈오피스가 전체 업무공간에서 얼마만큼의 비중을 가지고 있는지(비위 계성). 세 번째, 일반적인 휴게장소 이외에 레크리에이션과 커뮤니티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 하였는지를 기준으로 보았다. 네 번째, 건물의 면적을 확인하기 어려운 관계로 좌석배치 수를 통해 공간의 규모를 가늠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각 요소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세부적인 척도를 마련했으며 평면도를 통해 명확하게 확인할 수 없는 경우 홈페이지의 관련정보를 확인하였다.

세부척도에서 업무공간 분리 정도는 개인 또는 소규모 업무공간을 위해 별도로 부스, 칸막이를 설치한 비율로 전체 데스크 중에서 사적인 업무공간을 얼마나 가지고 있는지 측정한다. 지원시설 분리 정도는 업 무지원시설이 공간에서 얼마나 독립적으로 기능하는지 측정한다. 공용공간 분리정도는 공간에서 공용공간 이 업무로부터 얼마나 분리되는지 측정한다. 오픈오피스는 전체 데스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얼마나 되는 지 측정한다. 마지막으로 커뮤니티는 공간에서 일반적인 휴게공간을 제외하고 티타임, 식사, 놀이 등 적극 적인 커뮤니티 활동이 벌어질 수 있는 공간을 얼마나 제공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표 5. 평면도 관련 분석요소

범주 평면공간

분석요소 세부척도 속성값 해당공간 예시 홈페이지

추가 관련정보

공간 분리

개인공간 분리정도

좌석당 부스설치 비율

부스좌석 수 전체좌석 수

개인오피스, 멀티오피스

•지정석, 회원제 안내

•요금 안내 지원시설

분리정도

지원공간의 벽/칸막이 분리여부

있다 : 1 없다 : 0

O.A기기공간, Locker, 폰부스,

로비, 리셉션

•업무지원 안내,

•영업시간 안내

•공간 사진 공용공간

분리정도

공용공간의 벽/칸막이 분리여부

있다 : 1 없다 : 0

휴게공간

라운지 •공간 사진

오픈 오피스

오픈 오피스

비중

오픈오피스

데스크의 할당 비율 오픈오피스

커뮤 니티

커뮤니티 반영공간

이벤트룸, 주방, 카페, 놀이공간

있다 : 1

없다 : 0 키친네트 •공간 사진

•이벤트 개최안내

규모 공간규모 좌석 설치 수 개 - •공간 사진

Ⅳ. 사례 분석

1. 조사개요

사례 분석은 구글(google) 지도 기반의 coworking/ jelly!11)에 등록된 일 본 내 145개의 코워킹 공간 홈페이지 중, 현재 운영 중이고 내부 평면도가

11) https://www.google.com/maps/d/edit?mid=zD2diW37h8BQ.kN5snU2CzpzM&msa=0

표 6. 일본 코워킹 사례 빈도표

유형 사례

(백분율) 인큐베이팅 3 (7.9%) 코디네이팅 30 (78.9%)

네트워킹 5 (13.2%) 총합 38 (100%)

(9)

게시된 38개의 사이트를 선별하였다. 선별된 공간의 사업주체와 사업목표를 조사하여 유형을 분류하고 평 면공간 분석요소에 따라 <표 5>와 같이 정리하였다. 조사결과 코디네이팅 유형이 가장 많은 빈도(78.9%) 를 차지하였다.

표 7. 코워킹 공간별 평면도 출처 및 유형

호 출처 유형

개인 공간 분리 정도

지원 시설 분리 정도

공용 공간 분리 정도

오픈 오피스

비중 커뮤 니티 반영 공간

공간 규모

1 http://philport.jp/ 코디네이팅 0.15 1 1 0.4 0 106

2 http://nagoya-mycafe.com/info_nishiki.html 코디네이팅 0.54 1 1 0.3 0 122 3 http://nagoya-mycafe.com/info_fushimi.

html 코디네이팅 0.25 1 1 0.55 0 123

4 http://nagoya-mycafe.com/info_meieki.

html 코디네이팅 0.45 0 0 0.21 0 49

5 http://cococi-coworking.com/ 네트워킹 0 0 0 1 1 -

6 http://www.moboff.co.jp/harajuku/ 코디네이팅 0 1 1 0.52 1 84 7 http://www.moboff.co.jp/yotsuya/ 코디네이팅 0.15 1 1 0.16 1 160 8 http://www.moboff.co.jp/shinjuku/ 코디네이팅 0.13 0 0 0.33 1 207

9 http://tane-maki.net/ 네트워킹 0 0 0 0.85 1 27

10 http://www.samurai-incubate.asia/ssi/

index.html 인큐베이팅 0 0 0 0.23 1 156

11 http://hanalab.co/ 코디네이팅 0.16 0 1 0.83 1 31

12 http://lightningspot.com/ 코디네이팅 0.04 0 0 0.35 0 45

13 http://newsbase.in/ 코디네이팅 0 1 1 1 1 -

14 http://co-lab.jp/locations/sendagaya/

news_sendagaya%3C/div 코디네이팅 0.23 1 1 0.3 1 94

15 http://co-lab.jp/locations/nishi-azabu/

about_nishi-azabu 코디네이팅 0.17 1 1 0.33 1 84

16 http://www.co-lab.jp/locations/futako/

news_futako 코디네이팅 0.12 0 1 0.29 1 98

17 http://co-ba.jp/ 코디네이팅 0 0 0 1 1 -

18 http://roobikhouse.com/ 네트워킹 0 0 0 1 1 -

19 http://hapon.asia/shinjuku/ 코디네이팅 0.34 0 0 0.27 1 113 20 http://www.osakan-space.com/ 코디네이팅 0 0 1 0.39 0 31 21 http://www.k-society.com/csb 인큐베이팅 0 1 1 0.41 1 115 22 http://tokiwa-s.seesaa.net/ 코디네이팅 0.16 0 0 0.83 1 31

23 http://massmass.jp/ 코디네이팅 0.3 1 0 0.2 1 203

24 http://oinai-karasuma.jp/ 코디네이팅 0 0 0 0.66 1 57

25 http://www.tracoworking.com/ 코디네이팅 0 0 0 1 1 30

26 http://jokafe.com/ 코디네이팅 0 0 0 1 1 16

27 http://dots.bz/ 코디네이팅 0.24 0 0 0.39 1 69

28 http://93puku.jp/ 네트워킹 0 0 0 1 0 10

29 http://basecamp-nagoya.jp/ 코디네이팅 0 1 1 0.6 1 50

(10)

호 출처 유형

개인 공간 분리 정도

지원 시설 분리 정도

공용 공간 분리 정도

오픈 오피스

비중 커뮤 니티 반영 공간

공간 규모

30 http://co-lab.jp/locations/shibuya-atelier/

news_shibuya-atelier 코디네이팅 0.3 1 1 0.2 0 164

31 http://www.coloco-kobe.com/ 코디네이팅 0.15 1 0 0.42 0 74 32 http://www1.ocn.ne.jp/~co-macs/ 코디네이팅 0.09 1 1 0.82 0 44

33 http://mitacafe.co/ 코디네이팅 0 0 0 0.7 0 47

34 http://www.j-seed.com/ 인큐베이팅 0 1 0 0.35 1 46

35 http://spot3.in/ 코디네이팅 0 1 1 1 1 -

36 http://www.d-cross.biz/ 코디네이팅 0.06 1 1 0.83 1 35

37 http://tsunaguba.3ka9.com/ 코디네이팅 0 0 0 1 0 16

38 http://editory.jp/ 네트워킹 0 0 0 0.61 1 41

2. 자료 분석

측정된 자료를 유형별로 묶어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각 요소별 평균값은 <표 7>로 나타났다. 우선 파티 션을 통한 개인공간의 분리는 코디네이팅 유형에서만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정도는 다양한 분포를 가지고 있었다. ‘커뮤니티 반영공간’은 모든 유형에서 다소 차이는 있으나 중간 이상의 빈도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표 8. 코워킹 공간분석 요소의 유형별 평균

유형 개인공간

분리정도

지원시설 분리정도

공용공간 분리정도

오픈오피스 비중

커뮤니티

반영공간 공간규모

인큐베이팅 0.00 0.67 0.33 0.33 1.00 105.67

코디네이팅 0.13 0.50 0.53 0.56 0.63 80.85

네트워킹 0.00 0.00 0.00 0.89 0.80 26.00

각 유형별 평면공간의 차이를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큐베이팅형은 다른 유형에 비해 비교적 큰 규모로 조성되어 있으며 지원에 필요한 다양한 공간을 제공 하고 있어 지원시설의 분리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개인공간의 분리도는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인큐베이팅 의 특성상 개인공간보다 아이디어를 교환할 수 있는 커뮤니티를 중요시하는 점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12) 황혜경, “코워킹 공간 허브 서울의 이야기, 박동천 대표 인터뷰”, 2013.02.15 (http://platum.kr/arch) 코디네이팅형은 업무공간 분리를 통해 멤버가 사적인 공간에서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다 른 요소마다 중간정도의 빈도를 나타내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데스크 수가 수익과 가장 직결되기 때문에 이러한 선택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다시말해, 이용자의 업무환경을 고려함과 동시에 수익을 위한 데

12) 황혜경, “코워킹 공간 허브 서울의 이야기, 박동천 대표 인터뷰”, 2013.02.15 (http://platum.kr/arch)

(11)

스크수를 조절하는 결과로서 이러한 빈도가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네트워킹형은 오픈오피스와 커뮤니티 반영공간에 비중을 많이 두고, 지원시설은 대부분 공용공간 내에 구성되면서 독립성이 낮게 나타났다. 이는 멤버들이 상호작용에 최대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려는 의도와 동시에 다른 유형에 비해 공간의 규모가 작고 영세하기 때문에 밀집된 공간을 활용하기 위함으로 보인다.

Ⅵ. 결론

본 연구는 국내와 유사한 사례로서, 먼저 보편화하고 다양한 유형으로 자리 잡은 일본 코워킹 공간의 평 면도를 조사하여 유형화하고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공간유형은 인큐베이팅형, 코디네이팅형, 네트워킹 형으로 분류하였으며 각 유형은 운영목적에 따라 공간구성에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미는 앞으로 도시에서 코워킹 공간사업이 성장하고 기능적으로 분화하는 등 다양한 분야로 확산이 예측되는 상황에서, 코워킹 활동의 모호한 공간구성을 목적에 따라 유형화하고 특징을 분석하여 향 후 공간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기초연구를 통해 코워킹 공간이 가진 가치를 지속 해서 강화하고 이를 도시공간에 투영시킬 가능성을 발전시키는 밑거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는 두 가지 한계를 지니고 있다. 첫째, 홈페이지를 통한 조사가 어느 정도 타당성을 지녔더라도 직 접적인 현지조사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공간을 정확하게 이해하기에 부족했다는 점. 둘째, 일본 공간은 2014년 170여 개에 이른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에 대한 통계적 검증을 시도하려 했으나, 홈페이지상의 많 은 공간이 폐업되거나 평면도를 게시하지 않는 등의 제약으로 38곳의 자료를 구할 수밖에 없었기에 유형 별 분석에 한계를 지니고 있다는 점이다. 추가적인 자료보완을 통해 한계를 개선한다면 향후 연구를 통해 국내 코워킹 공간의 변화추이를 예상하고 시사점을 도출함에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12)

참고문헌

1. Genevieve DeGuzman, 『Working in the UnOffice: A Guide to Coworking for Indie Workers, Small Businesses, and Nonprofits』, Night Owls Press LLC, 2011

2. 강현수, 『도시, 소통과 교류의 장』, 삼성경제연구소, pp.70~71

3. 박상헌 외, 『코워킹 스페이스 그리고 강원도』, 제 389호, 강원발전연구원, 정책메모, 2014, pp.1-9.

4. 이성수, “‘Coworking space'의 의미와 가능성에 대한 연구”,『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4, Dec. 2010b.

5. 이성수, “1인 기업을 위한 "Coworking Space" 디자인 방향에 관한 연구”, 『조형미디어학』 Vol.13, No.3. 2010a.

6. 한혜선, “Coworking 공간구성과 특성에 관한 연구”,『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2권 제5호, 2013.10. pp. 276-283.

7. 이 유 미 외 1, “BMC를 활 용 한 공 유 경 제 기 반 의 스 마 트 워 크 센 터 모 델 연 구”,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제20권 제4호, 2013.12 pp.166-189.

8. 유성은 외 2, “스마트워크 업무공간의 유형과 계획 특성 분석”,『디자인지식저널』, Vol.25, 2013.3. pp 279-288.

9. 이장수, “구글앱스를 활용한 중소기업 업무지원 솔루션 컨설팅”, 호서대 대학원 석사논문, 2012 10. Tadashi, "What is Coworking? : A Theoretical Study on the Concept of Coworking", 2013 11. 최동욱, “인큐베이팅 오피스 공간계획 연구”, 가천대 대학원 석사논문, 2014

12. Anna cashman, 「Firsh coworking conference in Tokyo」 , 2012.6.13 http://www.deskmag.

com/

13. Steve Glaveski, 「The 10 step guide to a successful coworking-space」 2014.4.8 http://

www.shareable.net/

14. deskwanted, 『Global Coworking Censes, 2013; 2498 coworking spaces in 80 countries』", 2013, www.deskwanted.com

15. http://www.yelp.com/biz/hat-factory-san-francisco

16. 정수현, 『공간을 오픈하면, 콘텐츠가 모인다.』, 2014.4.1, http://nowplanb.kr/

17. 황혜경, 『코워킹 공간 허브 서울의 이야기, 박동천 대표 인터뷰』, 2013.2.15, http://platum.kr/

arch

논 문 접 수 : 2014.12.30 1차 심사완료 : 2015.04.08 게 재 확 정 : 2015.04.22

수치

표	3.	코워킹	운영체제 인큐베이팅 (incubating) 코디네이팅 (coordinating) 네트워킹 (networking) •투자적 접근 •목표 타겟 대상이 선명함 •스타트업 •신규사업발굴, 투자 연결 •엑셀러레이팅 •데모데이, 컨퍼런스, 이벤트 •평가 및 성과 측정 exit •서비스적 접근 •목표 타겟 대상이 다양함 •신규사업 또는 프로젝트, 학생•비즈니스/ 운영진 수익모델•프로그램, 홍보 연계 등•네트워킹 파티, 관련 이벤트•운영 자율 •참여적

참조

관련 문서

Space Viewer API를 통해 실제 공간의 사진 정보를 통해 분석된 공간 정보를 활용하여 다양한 증강 현실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Space Viewer’는 인테리어 디자인, 상품

그러면 공기나 물을 사용하여 팽창시키거나 공기 쿠션 또는 수압 그리고 수 반응성이 있는 기체나 액체부분을 사용한다... 우연한 막 또는

---- 매년 매년 매년 매년 사람들이 사람들이 사람들이 사람들이 인터넷을 인터넷을 인터넷을 통해 인터넷을 통해 통해 통해 공유하는 공유하는 공유하는 공유하는

- 페이스북이나 트위터를 통해 범죄자와 관련된 소셜 네트워크를 분석하여 범죄자 집단에 대한 감시 시스템 마련6. ■ 다양한 데이터

 흰색 윈도우에서 마우스 왼쪽 버튼을 누르면 검은색 윈도우의 타이 틀을 “World”에서 “Black”로 변경하자!.  HINT: 검은색

이런 공간들에서 문화적 재능 과 감수성을 가진 청년들이 모여 터를 이루고 네트워크를 형 성하면서, 단순히 공간의 점유가 아니라 이야기가 있는 공간

사물인터넷이 활용되고 있는 분야를 생각해보고 적어봅시다. 모둠 간 발표를 통해 친구들과 서로의 의견을 자유롭게 이야기해봅시다... 꿀벌이 좋아하는 쾌적한

따라서 공간이 사회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도시 공간이 정부에 의한 단일 한 공간적 체계로 완성시키지 않고 상호 작용하면서 변화될 수 있는 다각적인 공간을 형성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