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Formal Characteristics and Classifications of Pagodas in the Period of Bagan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Formal Characteristics and Classifications of Pagodas in the Period of Bagan"

Copied!
1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ISSN 1598-1142 (Print) / ISSN 2383-9066 (Online) https://doi.org/10.7738/JAH.2016.25.5.075

1. 미얀마 불교의 의미

* Corresponding Author : dycheon@hanmail.net

이 논문은 2014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4S1A5A2A01016014)

이 논문은 2016년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대회에 발표한 논문을 수정·보완한 논문임.

미얀마 속담 중에 “버마족이 되는 것은 불교도가 되 는 것이다.”

1)

라는 속담이 있다. 굳이 이 말을 빌리지 않 더라도 미얀마를 ‘불탑의 나라’라고 불리게 한 미얀마 전역에서 보이는 각양각색의 수많은 불탑, 현재까지도

1) Melford E. Spiro, Buddhism and Society: a Great Tradition and its Burmese Vicissitud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2, p.19

; 정기선, 미얀마 불교의 역사와 사회적 위상 , 동국대학교 대학원 불교학 석사학위논문, 2015, 47쪽에서 재인용.

버강 시기 불탑의 형식적 특성과 분류

Formal Characteristics and Classifications of Pagodas in the Period of Bagan

염 승 훈 Yeom, Seung-Hoon

(전남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석사과정) 천 득 염*

1)

Cheon, Deuk Youm (전남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김 소 영 Kim, So-Young

(전남대학교 대학원 문화재학협동과정 석사과정)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pagodas during the Bagan period, which are thought to be most valuable among those in Myanmar. They have not been sufficiently studied, in spite of their high Buddhist status. It considers the contemplation of Pato, their formal characteristics in the Bagan period and the formal categorizations of pagodas in the same period. Thus, following seven kinds of conclusions are derived: first, researchers provide opinions to the Pato which should be regarded as the Buddhist shrine-type of pagoda with a unique Bagan form, symbolically indicating that Theravada Buddhism incorporated Hinduism; second, the terraces were characteristic components in pagodas, during the Bagan period, which were built after the enthronement of King Anawratha and are thought to symbolically express the wish to widely spread Theravada Buddhism; third, Shwesandaw Zedi seems to affect not only Shwezigon Zedi, a representative standard form of pagoda in Myanmar, but also Ananda Pato; fourth, it is thought to be proper to examine the terraces by classifying them into lower, central(from pedestals to Angryeon and Bokryeon) and upper part, if it intends to divide a pagoda with bell-shaped body on the terraces during the Bagan period, into three parts; fifth, the Pato may be identified as a form of pagoda during the Bagan period, and such a form can be classified as that of Sikhara on the rectangular terrace; sixth, forms of Myanmar’s pagodas can be classified into fourteen kinds of them, and they may be also grouped into transmitted, general and special type; and seventh,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it is thought that the pagodas during the Bagan period may be classified into six forms, and they can be largely categorized into transmitted, general and special type.

주제어 : 버강, 불탑, 형식, 테라스, 파토, 시카라 Keywords : Bagan, Pagoda, Form, Terrace, Pato, Sikhara

(2)

끊이지 않고 이어지고 있는 탁발의 전통, 미얀마 남성의 절반 이상이 하는 신퓨(Shinpyu, 출가식) 등은 미얀마에 서 불교가 삶의 일부이자 그들의 영혼과 같다는 말에 주저 없게 해준다.

불교는 과거 1,000년이 넘는 오랜 기간 동안 아시아를 불교 오이코메네(Buddhist oikoumene, 보편적인 불교 공 동체)로 여길 만큼 거대한 정신적·문화적 공동체를 형성 하였지만,

2)

현재 아시아 다수의 국가에서는 그 흔적만이 남아 있을 뿐이다.

이런 상황에서 미얀마는 과거와 변함없이 불교의 가르 침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여전히 불교가 삶의 전반에 녹 아 있어 불교 연구에 있어 여러모로 주목되는 나라이다.

미얀마의 이런 불교에 대한 굳건한 믿음의 출발점은 대개 버강(Bagan) 왕조로 본다.

3)

버강 지역은 캄보디아 의 앙코르와트(Angkor Wat), 인도네시아의 보로부두르 (Borobudur)와 더불어 세계 3대 불교 유적지로 손꼽히 며, 미얀마 정형(定形) 양식의 대표라 할 수 있는 쉐지곤 제디(Shwezigon, 1085)가 있는 지역이기도 하다.

버강 왕조는 현재까지 미얀마 인들이 굳건히 믿고 있는 상좌부불교를 공고히 한 왕조로, 아노라타 왕(Anawratha, 1044∼1077) 이래로 여러 왕들이 자신을 전륜성왕과 같 은 존재라 여겨 국내에는 물론이고 국외에도 불탑을 건 립하는 등 불교 전파에 지대한 관심을 가졌다. 이는 현 재 버강 지역에 남아 있는 2,500여 기의 불탑과 미얀마에 서 속담처럼 회자되는 “버강에 4,446,733개

4)

의 불탑이 있 었다(hale win yoe than ta nyan nyan, Bagan payar paung).”

5)

라는 말, 짠싯타 왕(Kyanzitta, 1084∼1113)이 보드가야의 마하보디 사원을 보수하였다는 사실 등을 통 해서 살펴볼 수 있다.

6)

버강 왕조는 당시 대표적인 상좌부불교 국가였던 스 리랑카의 폴론나루와(Polonnaruwa) 왕조와 더불어 상 좌부불교의 전통을 굳건하게 유지하고 있던 몇 안 되는 국가였다. 이 시기에 대하여 루스(Luce)는 “가장 위험 했던 시기”라 부르며 “불교는 오로지 영웅적인 전사였 던 비자야바후(Vijayabahu)

7)

와 아노라타에 의해 살아남

2) 디트리히 제켈(Dietrich Seckel), 불교미술, 이주형 역, 예경, 2010, 21쪽

3) 김성원, 버간(Bagan) 시기를 통해 본 미얀마 신앙체계의 기원 , 비 교문화연구, 10집, 1999.2, 173∼187쪽; 정기선, 앞의 논문; 차장섭, 아 름다운 인연으로 만나다 미얀마, 역사공간, 2013

4) 이는 믿기 어려운 수로 아소카 왕이 84,000여 개의 불탑을 건립했 다는 것과 같이 상징적인 수라고 생각된다.

5) 김성원, 미얀마 왕조사, 부산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01, 43쪽 6) 차장섭, 앞의 책, 244쪽

았다”고 말하였다.

8)

이후 버강 왕조는 상좌부불교가 점 차 쇠락해가던 스리랑카를 대신하여 대표적인 상좌부불 교 국가가 되었고, 그 이래로 미얀마는 인도, 스리랑카, 태국 등 인근 지역과 많은 영향을 주고받으며 상좌부불 교를 발전시켰다. 제5차·6차 불교경전 결집은 대표적인 상좌부불교 국가로서 미얀마의 위상을 잘 보여주는 예 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의의에도 불구하고 미얀마 불교, 특히 불탑에 대한 연구는 인근의 국가에 비해 미진하다고 생각된다.

이는 폐쇄된 국가체제

9)

등 때문에 연구의 제한이 있었 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본고에서는 2016년 1월에 시행한 현지답사

10)

를 토대 로 미얀마 불탑 중 가장 가치 있다고 평가되는 버강 지 역의 불탑에 대한 몇 가지 단상(斷想), 연구자들마다 각 기 다르게 분류하는 파토(Pato)에 대한 고찰과 이를 통 해 자연스럽게 살펴볼 수 있는 이전 시기와 차별되는 버강 시기 불탑의 형식적 특성, 그리고 버강 시기 불탑 의 형식 분류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아노라타 왕이 즉위한 1044년 부터 상부 미얀마가 몽골의 행정구역에 편입된 1285년 까지로 한정하였고,

11)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미얀마의 현재 행정구역상 버강 지역으로 한정하였다. 연구대상 은 총 33기의 미얀마 불탑으로 이 중 연구 범위에 해당 되며 현지답사를 시행한 쉐지곤을 비롯한 17기의 불탑 을 주로 고찰하였으며, 현지답사는 못 하였지만 도면을 확보한 연구 범위 내 6기의 불탑을 추가적으로 고찰하 였다. 더불어 타 시기 및 지역의 불탑과 비교를 위하여 연구 범위 외의 불탑 10기를 고찰하였다.

12)

이를 표로 정리하면 <표 1>과 같다.

2. 파토에 대한 고찰

버강의 불탑은 크게 제디(Zedi)와 파토(Pato)로 나눠서

7) 11세기 스리랑카의 왕

8) Roger Bischoff, Buddhism in Myanmar, The Wheel Publication, 1995, p.19; 정기선, 앞의 논문, 30쪽에서 재인용.

9) 미얀마는 1964년부터 1997년까지 외국인의 출입이 제한되었다.

10) 2016년 1월의 현지답사를 포함하여 3차례(2010, 2012)의 현지답사 를 시행하였다.

11) 버강 왕조는 몽골의 침략 이후 쇠퇴의 길을 걷는다. 본고에서는 상부 미얀마가 몽골의 행정구역에 편입된 1285년 이후부터는 버강 왕 조가 이전 시기만큼 불탑을 건립할 여력이 없어졌다고 생각하였다.

12) <표 1> 연번 18의 KKG-3 제디와 연번 27의 마웅디 제디를 제

외하고는 모두 현지답사를 시행하였다.

(3)

살펴볼 수 있다. 제디와 파토는 크게 내부 공간의 유무 로 구분되는데, 내부 공간이 없는 불탑을 제디, 내부 공 간이 있는 불탑을 파토라고 한다. 이 둘을 통칭하여 파 야(Paya)라고 하지만, 이는 사원의 의미로 이해하는 게 더 적절하다고 생각된다. 이는 보보지 제디(Bawbawgyi, 6C∼7C)와 쉐지곤 파야가 둘 다 제디로 분류됨에도 불 구하고 각기 다른 명칭으로 지칭됨을 통해서 살펴볼 수 있다. 쉐지곤 파야는 중앙의 쉐지곤 제디를 중심으로 경 내와 경외가 구분되어 있고, 경내에 상좌부불교와 정령 신앙인 낫(Nat) 신앙과 관련된 여러 건조물이 건립되어 있다. 미얀마에서는 이러한 사원을 대체로 파야로 명명 하였으며, 이에 대한 고유명사로서 중앙에 위치한 불탑 의 명칭을 쓴다고 생각된다.

제디는 연구자에 따라 스투파(Stupa) 또는 파고다 (Pagoda)로 번역되고, 파토는 연구자에 따라 파고다

13)

또는 템플(Temple)

14)

로 번역된다. 스투파나 파고다는 통

13) 서성호, 바간 인 미얀마, 두르가, 2006; 서성호, 황금불탑의 나라 미얀마, 두르가, 2011; 마츠하사 사브로, 동양미술사, 김원동 외 5명 역, 예경, 1993; Thein Sein, The Pagodas and Monuments of Bagan, Translated by Khin Maung Nyunt, Printing & Publishing Enterprise, Myanmar, 1994

14) 디트리히 제켈(Dietrich Seckel), 앞의 책; 이미림 외 5명, 동양 미술사 하권, 미진사, 2009; 차장섭, 앞의 책; Kyaw Lat, Art and Architecture of Bagan and Historical Background, Maharbandula Housing, Myanmar, 2010; U Win Maung, Evolution of the Stupas in Myanmar,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Buddhist Conference, Thailand, 2007; Thet Oo et al., Architectural Aspects of Stupas during the Reign of King Narapatisithu in Bagan, Myanmar, Asia Pacific Sociological Association, 2015; Richard M. Cooler, The Art and Culture of Burma, Northern Illinois University (http://www.seasite.niu.edu/

설적으로 불탑의 동의어로 이해되므로, 제디와 파토를 위와 같이 번역한 연구자는 이를 불탑으로 분류하였다고 생각되지만, 템플은 신전 또는 사원의 의미를 지니기 때 문에 파토를 템플로 번역한 연구자는 이를 불전으로 분 류하였다고 생각된다.

불탑과 불전의 구분 기준으로 쿼우 랏(Kyaw Lat)은 “내 부 공간에 불상을 모신 점(Buddhist structures with inner spaces)”을 들었고,

15)

리차드 쿨러(Richard M. Cooler)는

“내부 공간이 있고 하나 이상의 예배를 위한 이미지가 있는 점(Temples have an open interior that may be entered and in which are displayed one or more cult images as a focus for worship)”을 들었다. 하지만 미 야제디(Myazedi, 11C후∼12C초)를 예로 들면서, 이 구 분이 명확한 것은 아니라고 하였다.

16)

그림 1. 미야제디(Myazedi, 11C후∼12C초) 전경(좌)과 평면도(우)

(Richard M. Cooler, The Art and Culture of Burma 편집)

burmese/cooler/BurmaArt_TOC.htm) 15) Kyaw Lat, op. cit., p.61 16) Richard M. Cooler, op. cit.

현지답사 불탑 (버강 지역) 버강 지역 외 미얀마 불탑

연번 명 칭 시 기 분 류 지 역 연번 명 칭 시 기 분 류 지 역

1 민카바 1045 제디 버강 18 KKG-3 2C∼3C 제디 베익타노

2 로카난다 1050 - - 19 구빈테콘 5C∼6C 제디 스리크세트라

3 쉐산도 1057 - - 20 부파야 3C 제디 버강

4 쉐지곤 1085 - - 21 보보지 6C∼7C 제디 스리크세트라

5 사파다 12C후 - - 22 파야지 6C∼7C 제디 스리크세트라

6 담마야지카 1196 - - 23 응아줴나다웅 10C 제디 버강

7 밍글라제디 1284 - - 24 낫라웅짜웅 11C 이전 힌두사원 버강

8 나가욘 11C후 파토 - 25 슐레 - 제디 양곤

9 아페야다나 11C후∼12C전 - - 26 짜익티요 11C 제디 바고

10 아난다 1086 - - 27 마웅디 1050 이전 제디 양곤

11 로카테익판 12C전∼12C중 - - 현지답사를 못 한 불탑 (버강 지역)

12 탓빈뉴 1144 - - 28 쉐구지 1141 파토 버강

13 담마얀지 1170 - 29 에트윈지곤 11C후∼12C초 제디 -

14 고도팔린 1175 - - 30 미야제디 11C후∼12C초 제디 -

15 술라마니 1183 - - 31 소민지 11C∼12C 제디 -

16 마하보디 1215 - - 32 구바욱지(웨찌인) 13C 파토 -

17 탈로민로 1218 - - 33 쉐난인 13C 제디 -

표 1. 연구대상 불탑 목록

(4)

불탑의 원의(原意)는 부처의 진신사리를 모신 무덤이 다. 그렇기에 불교에 있어서 불탑은 부처를 상징하는 지 극히 성스러운 건조물이자, 불상과 함께 가장 중요한 예 배 대상이다.

17)

불교는 1,000년이 넘은 오랜 기간 동안 아시아를 불교 오이코메네로 여겨질 만큼 거대한 정신적·

문화적 공동체를 형성하였다. 그만큼 아시아 전역에는 각 양각색의 수많은 불탑이 건립되었다. 이 수많은 불탑에 모두 부처의 진신사리를 모실 수 없었기에 사리의 의미 와 범주는 확장되었고, 자연스레 불탑도 부처의 진신사리 를 모시는 무덤이라는 원의에서 부처의 사리가 없지만 부처의 깨달음, 부처의 가르침을 상징하는 기념비적 건조 물까지도 포함하는 포괄적인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18)

불탑의 형태는 시간이 흐르고 점차 많은 지역에 불교 가 전파되면서 원형의 봉분에서 더 많은 구성 요소를 지니고 상승감을 나타내는 부처의 깨달음을 상징하는 건조물의 형태로 변모하였다고 생각되는데, 이는 각 지 역의 문화적·자연적 환경과 각 지역에서 받아들인 불교, 불탑의 의미 상호작용의 결과물이라고 생각된다.

이에 근거하여 본고에서는 파토를 당시 버강의 역사 적 상황을 반영한 버강만의 독특한 형식의 불전형 불탑 이라고 생각한다. 부처의 열반 이후 초기의 불탑은 내부 공간이 없고 불상을 모시지 않았지만, 태국과 동아시아 의 수많은 불탑과 마하보디 불탑, 스리랑카의 사트마할 프라사다(Sathmahal Prasada) 불탑, 캄보디아의 산보르 프레이 쿡크의 불탑 등을 살펴보면 알 수 있듯이 후기 로 갈수록 불상을 모시고 내부 공간이 조성된 불탑이 건립된다.

그러므로 불탑의 여부는 불상, 내부 공간의 여부가 아 닌 사리의 봉안, 사리봉안의 상징성, 외관의 형태가 부 처의 깨달음, 불법의 전파와 같은 불교적 의미를 상징하 고 있는지 등을 통하여 판단해야 한다고 생각된다.

버강 왕조의 3대 걸작

19)

으로 평가받는 아난다 파토 (Ananda, 1086)와 당시의 역사적 상황을 통해 이를 자 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불탑의 여부와 관련하여 크게 세 가지 부분이 주목된 다. 첫째, 넓고 높은 테라스 부분이다. 이는 버강 왕국을 미얀마 최초의 통일왕국으로 만든 아노라타 왕이 최초로 건립한 불탑인 쉐산도 제디(Shwesandaw, 1057)에서부터

17) 천득염, 인도 불탑의 의미와 형식, 심미안, 2013, 30쪽 18) 천득염, 앞의 책, 30∼48쪽

19) 쿼우 랏(Kyaw Lat)은 버강 왕조의 3대 걸작으로 쉐지곤 제디, 아 난다 파토, 탓빈뉴 파토(Thatbyinnyu, 1144)를 들었다.(Kyaw Lat, op.

cit., p.125)

나타나는 테라스와 연관이 있다. 쉐산도 제디의 테라스는 상좌부불교를 버강에 최초로 도입한 아노라타 왕이 기존 의 불탑과 차별화되며 상좌부불교의 가르침이 널리 퍼지 길 바라는 염원을 형상화한 부분으로 생각된다.

20)

그림 2. 아난다 파토

(Thein Sein, The Pagodas and Monuments of Bagan, 1994, p.8 편집)

아난다 파토는 짠싯타 왕이 즉위 다음 해에 건립한 불 탑으로, 이 시기는 아노라타 왕의 시기와 마찬가지로 상 좌부불교라는 새로 도입된 종교를 통해 백성들의 정신적 통일을 이루고자 하는 시기였다. 그러므로 짠싯타 왕은 이러한 목적을 염두에 두고 불탑을 건립하였을 것이며, 이의 일환으로서 쉐산도의 테라스를 참고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는 상부의 하중을 줄이면서 상승감과 비례감을 얻기 위한 결과물이기도 하다고 생각된다.

둘째, 테라스 위의 시카라형의 건조물이다. 불탑에 시 카라형의 건조물이 나타난 예는 드물지만,

21)

버강의 파

20) 본고에서 이렇게 생각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다음의 3장에서 살 펴보도록 하겠다.

21) 이런 형식의 대표적인 예로 북인도의 마하보디 불탑(불전)을 들

수 있다. 천득염은 이런 새로운 형식에 대하여 “초기 스투파 양식에서

간다라 양식의 건축적 미의식이 반영되어 발전함과 더불어 힌두교라

는 타 종교의 양식이 적극적으로 반영된 결과라고 생각하는 것이 더

합리적일 수 있다.”라고 하였다.(천득염, 앞의 책, 229∼230쪽)

(5)

토에서 이는 일반적이다. 시카라형의 건조물과 불교적 의미의 상징과 연관성은 당시의 역사적 상황을 통하여 살펴볼 수 있다. 아노라타 왕 시기 이전의 버강은 아예 찌(Ari) 불교, 낫 신앙, 힌두교, 대승불교 이 네 신앙이 백성들의 기저에 자리 잡고 있었다.

기존의 신앙으로 백성들의 정신적 통일을 이루기 어 렵다고 생각한 아노라타 왕은 신 아라한(Shin Arahan) 의 도움으로 버강에 상좌부불교를 도입하였다. 아노라타 왕은 기존 신앙의 무조건적인 배척은 백성들의 반발을 불러일으킬 수 있으며, 내세 지향적인 상좌부불교로 백 성들의 현세구복을 충족시켜 줄 수 없다고 판단하여 상 좌부불교라는 종교적 틀 안에 기존의 신앙을 포용하였 다고 생각된다. 이는 아노라타 왕이 기존의 수많은 낫 을 36명의 낫으로 정리하고 불교에서 불법의 수호신으 로 여기는 제석천을 37번째 낫이자 낫들의 왕인 드쟈민 (Thagyamin)으로 하였다는 사실을 통해 알 수 있다.

짠싯타 왕도 아노라타 왕의 이런 불교 정책을 계승하 였는데, 이는 파토에 나타난 시카라형의 건조물을 통해 서 살펴볼 수 있다. 시카라는 힌두교 신전에서 보이는 상부구조물이다.

22)

당시 버강은 힌두교가 성행하였는데 이는 점성술과 나가(Naga) 숭배를 통해서 알 수 있다.

특히 왕위 대관식을 점성술사가 선도하였다는 사실은 버강에서 점성술과 힌두교의 위치를 살펴볼 수 있는 부 분이다.

23)

아노라타 왕이 상좌부불교를 통해 낫 신앙을 포용하는 것에 힘을 쏟았다면, 짠싯타 왕은 상좌부불교 를 통해 힌두교를 포용하는 것에 힘을 쏟았다고 생각된 다. 이는 짠싯타 왕이 자신이 전생에 비슈누(Vishnu)의 화신이었다고 선언한 사실과 신 아라한에게 불교와 힌 두교의 연관을 이론적으로 설명하도록 지시하였다는 사 실을 통해서 살펴볼 수 있다.

24)

이는 아노라타 왕의 불 교 정책보다 적극적인 정책으로 생각되는데, 파토에 나 타난 시카라형의 건조물은 이런 적극적인 정책을 불탑 에 반영한 예라고 생각된다.

25)

셋째로, 시카라형의 건조물 위에 제디형 건조물을 들 수 있다. 동아시아의 많은 유형의 불탑이 불상을 모신 내부 공간이 있음에도 불전이라 하지 않음에는 크게 두 가지 이유가 있다고 생각되는데, 상륜부와 사리를 모신

22) 이미림 외 5명, 앞의 책, 246∼247쪽 23) 김성원, 앞의 논문, 177∼178쪽 24) 김성원, 앞의 논문, 183쪽

25) Hmannan Mahayazawindawzi(유리궁전 연대기)에서는 들소로 변한 정령이 아노라타 왕을 죽음에 이르게 하였다고 한다. 이를 통해 아노라 타 왕의 불교 정책이 급진적이고 기존 신앙의 포용에 소극적이어서 백 성들의 반발이 있었다고 추측할 수 있다.(서성호, 앞의 책, 65쪽)

심주가 그 이유라 여겨진다.

26)

사리를 모신 심주는 불탑 이 계속해서 건립됨에 따라 변신사리(變身舍利)가 들어 가거나 이 또한 들어갔는지의 여부가 확실치 않아지며, 점차적으로 간략화되므로 그 중요도가 낮아진다 할 수 있다. 그에 비해 상륜부는 비교적 시기가 흐름에도 그 형태와 의미를 유지하였다고 생각된다. 이와 관련하여 천득염은 다음과 같이 말하였는데, 이는 본고의 논지와 연관성이 있어 주목된다.

그러나 이처럼 확대된 개념을 지닌 스투파도 후세에 그 진위를 가려낼 수 없게 되자 (중략) 그러자 이와 같이 신 령스러운 옛터를 표시하는 기념탑적인 것을 지제(支制), 즉 차이티야(Caitya)라고 하여 불사리를 봉안하는 탑과 구 별하게 되었다. 어떤 경전에는 ‘사리가 있는 것을 탑이라 하고, 사리가 없는 것을 지제라 하여’ 구분하였지만 후세 에 이르러 사리의 있고 없음을 외관상으로 구별하기가 어려워지면서 탑과 지제를 동의어로 사용하고 있는 경우 도 있다.

27)

또한, 심주는 동아시아의 불탑에서 주로 나타나는 불 탑의 구성요소이지만 상륜부는 지역에 따라 그 형태와 명칭을 달리하며 아시아 전역에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불탑의 구성요소이므로, 상륜부의 유무가 불탑과 불전 을 구분하는 중요한 기준이라 생각된다.

불탑의 형식과 관련하여 디트리히 제켈(Dietrich Seckel) 은 다음과 같이 말하였는데, 이는 본고의 논지와 연관성 이 있어 주목된다.

스투파 건축은 시대와 관계없이 기본적으로 동일한 형식 을 유지하였다. 얼핏 보면 근본적인 변화가 있었던 것처럼 보일 수도 있으나, 그러한 변형은 본질적으로는 동일한 하 나의 기본유형이 조금 변한 것에 불과하였다.

28)

앞서 본고에서는 불탑의 여부는 ‘사리의 봉안, 사리봉 안의 상징성, 외관의 형태가 부처의 가르침, 불법의 전파 와 같은 불교적 의미를 상징하고 있는지 등을 통하여 판

26) 강우방은 불탑의 여부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말하였는데, 이는 본 고의 논지와 연관성이 있어 주목된다.

불탑은 두 가지 조건을 충족시켜야 하는데, 첫째는 석가모니의 사리를 봉안해야 하는 것이고, 둘째는 상륜을 갖추고 있어야 하 는 것이다. 사리의 봉안이 석가모니의 무덤을 알리는 실질적인 내용이라면, 상륜은 인도 스투파를 축소시킨 상징적 형식이다.

(강우방 외 1명, 탑, 솔, 2003, 63쪽) 27) 천득염, 앞의 책, 42쪽

28) 디트리히 제켈, 앞의 책, 139쪽

29) 출처를 따로 명기하지 않은 것은 필자 촬영임.

(6)

단해야 한다고 생각된다.’라고 하였다. 그렇다면 제켈의 논지, 동아시아의 경우 천득염의 논지에 비춰 파토를 고 찰한다면, 시카라형 건조물 위에 제디 형태의 건조물은 파토를 불전형 불탑으로 볼 수 있는 중요한 구성 요소라 고 생각된다. 더불어 아난다 파토 내부 공간의 커다란 중 심 기둥은 인도 초기 불탑의 야슈티(Yashti)와 비슷한 의 미를 지녔다고 해석할 수 있으며, 사방에 불상이 모셔졌 고 그 주위로 회랑이 있어 사방의 불상에 예배를 드리기 위하여 빙 돌면 마치 그 위에 있는 탑신처럼 보이는 부 분을 탑돌이 하는 것과 같다는 것은 주목되는 부분이다.

그림 6. 아난다 파토 평면도(좌)와 입면도(우)

(좌: Kyaw Lat, Art and Architecture of Bagan and Historical Background, 2010, p.124 / 우: Thein Sein, op. cit., p.32)

버강 시대 3대 걸작으로 평가받는 아난다 파토를 살펴 본 결과, 파토는 상좌부불교가 힌두교를 포용함을 상징적 으로 나타낸 버강만의 독특한 형식의 불전형 불탑으로 생각된다. 본고에서 주목한 세 가지 부분은 이후에 건립 된 대표적인 파토로 여겨지는 탓빈뉴 파토(Thatbyinnyu, 1144), 고도팔린 파토(Gawdaw Palin, 1175), 술라마니 파 토(Sulamani, 1183) 등에서도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3. 버강 시기 불탑의 형식적 특성에 관한 고찰

앞의 ‘파토의 분류에 대한 고찰’에서, 본고는 파토의 불교적 의미의 상징과 관련하여 ‘테라스’, ‘시카라형 건

조물’, ‘제디형 건조물’이 주목된다고 하였다. 이 중 ‘테 라스’와 ‘시카라형 건조물’은 버강 불탑의 형식적 특성과 도 연관이 있다고 생각되는데, 이에 대하여 고찰하겠다.

테라스는 아노라타 왕이 상좌부불교를 도입한 이후 최 초로 건립한 불탑인 쉐산도 제디가 이전 시기의 제디와 차별화되는 가장 특징적인 부분이라고 생각된다. 이는 이 전 시기의 제디인 보보지 제디, 민카바 제디(Myinkaba, 1045), 마웅디 제디(Maung Di, 1050 이전), 짜익티요 제디 (Kyaiktiyo, 11C)와 비교를 통해서 살펴볼 수 있다.

보보지 제디와 민카바 제디는 각각 쿼우 랏이 분류 한 6가지 스투파 형식

30)

중 4번째인 원형 기단 위 원 통형 탑신 스투파(Tall cylindrical Stupas on circular base), 5번째인 다각형 기단 위 원통형 탑신 스투파 (Tall cylindrical Stupas on polygonal base)의 대표작 이며, 짜익티요 제디

31)

와 마웅디 제디는 상좌부불교가 성행했던 따톤(Thaton) 왕국에 11세기에 건립됐다고 추 정되는 제디이다.

쉐산도 제디를 위 네 기의 제디와 비교하여 살펴보면 넓고 높은 테라스가 차별화되는 가장 특정적인 부분임 을 알 수 있으며, 이런 테라스는 따톤 왕국의 영향을 받 았음을 알 수 있다.

32)

대체로 가치 있다고 여겨지는 건 축물일수록 건립자의 이념이 많이 담겨 있으며, 이는 그 형태를 통하여 표현된다. 그러므로 아노라타 왕이 상좌 부불교가 도입된 이후로 최초로 건립하였으며 부처의 머리카락을 모셨다고 전해지는 쉐산도 제디에 아노라타 왕의 상좌부불교에 대한 이념이 여느 불탑보다 많이 담

30) Kyaw Lat, op. cit., p.60

31) 짜익티요 제디는 미얀마의 3대 성물의 하나로 미얀마 사람들은 미얀마의 3대 성물로 양곤의 쉐다곤 제디(Shwedagon)와 만달레이의 마하무니 불상(Mahamuni), 짜익토의 짜익티요 제디를 든다.(서성호,

 황금불탑의 나라 미얀마, 두르가, 2011, 76쪽)

32) Win Maung, Evolution of the Stupas in Myanmar, International Buddhist Conference, Bangkok, 2007, p.7

그림 3. 탓빈뉴 파토

29)

그림 4. 고도팔린 파토

(http://www.thousandwonders.net)

그림 5. 술라마니 파토

(7)

겨 있다고 생각된다.

테라스는 불탑을 크게 기단부, 탑신부, 상륜부로 구분 하여 살펴볼 때 기단부에 해당된다. 높은 기단과 계단은 불탑의 신체(神體)를 격상시키며 불법이 계단을 통하여 널리 퍼지도록 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33)

쉐산도의 넓 고 큰 테라스도 이런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생각되는데, 이는 당시의 역사적 상황을 통하여 추측할 수 있다.

아노라타 왕 시기 이전의 버강은 아예찌 불교, 낫 신 앙, 힌두교, 대승불교가 성행하고 있었다. 아노라타 왕은 기존의 신앙으로 국민들의 정신적 통일을 이룰 수 없다 고 생각하여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종교를 원했다. 때마 침 신 아라한을 통하여 접한 상좌부불교는 그를 감화시 켜 아노라타 왕은 버강에 상좌부불교를 도입하였다. 그 러므로 쉐산도의 넓고 큰 테라스는 이전 시기 불탑과 차별화되며 상좌부불교가 널리 퍼지길 바라는 아노라타 왕의 염원을 표현한 특징적인 부분이라고 생각된다.

더불어 지금은 거의 사라져서 흔적을 찾기 힘들지만 원래는 화려하게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장엄, 그리고 불탑의 영역 내에 있는 힌두교와 관련된 링가(Linga) 사 당 또한 이런 아노라타 왕의 염원을 나타낸 부분이라고 생각된다. 이는 아노라타 왕의 다음과 같은 말을 통하여 추측할 수 있다.

백성들은 새로운 믿음을 가지기 위해 찾아오지는 않을 것이다. 그들이 지금까지 해왔던 것처럼 그들의 신을 위 해 오게 하라. 그러나 그들은 점차적으로 새로운 가르침 으로 오게 될 것이다.

34)

테라스의 등장과 기존의 불탑에서 기단부로 여겼던 부 분의 대좌(臺座)와 같은 형태로의 변모는 두 가지의 변화

33) 천득염, 앞의 책, 24쪽

34) Maung Htin Aung, Folk Elements in Burmese Buddhism, p.75

; 김성원, 앞의 논문, p.182에서 재인용.

를 초래하였다고 생각된다. 첫째, 기존의 기단부로 여겨 졌던 부분은 대좌와 유사한 기능을 하게 됐고, 둘째, 테 라스와 기존의 기단부로 여겨졌던 부분이 구분된 듯한 인상을 줘 이 둘을 구분하여 볼 필요가 생겼다는 점이다.

더불어 테라스에는 기둥의 표현, 난간의 설치, 계단의 존

35)

등 건축적 요소가 보이지만 기존의 기단부로 여겼 던 부분에는 이러한 요소가 보이지 않는다는 점은 테라 스와 기존의 기단부로 여겼던 부분을 구분하여 볼 필요 를 증대하였다고 생각된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쉐산도 제디를 세 부분으로 구분 한다면 테라스를 하부(기단부), 기존의 기단부라 여겨졌 던 부분부터 앙련과 복련이 나타나는 부분까지를 중부 (탑신부), 그 위를 상부(상륜부)로 봐야 한다고 생각된 다.

36)

이는 이후 건립된 쉐지곤 제디를 포함한 ‘테라스 위 종형 탑신 형식’의 불탑에 똑같이 적용할 수 있다.

이런 쉐산도의 형태는 크게 두 가지 양상으로 변하여 각각 제디와 파토에 영향을 끼쳤다고 생각된다.

첫 번째 양상은 너무 강조된 넓고 큰 테라스를 줄이 고 그만큼 불탑의 원의를 지닌 상부 건조물을 부각시키 며, 대좌 부분을 테라스와 자연스럽게 이어지게 하여 전 체적인 형태가 상승감을 잘 나타내는 양상이다. 이 양상 은 미얀마 정형 양식의 불탑을 대표하는 쉐지곤 제디에 서 잘 살펴볼 수 있다.

두 번째 양상은 기존의 넓고 큰 테라스는 전체적인 비례에 적합하게 조정하고 대좌 부분은 기존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며, 대좌 부분 위에 시카라형의 건조물을 추가한 양상이다. 이 양상은 버강 왕조의 3대 걸작이라 평가받는 아난다 파토에서 잘 살펴볼 수 있다.

35) 천득염은 인도 초기 불탑을 살펴본 결과, 대개 기단에는 상부로 오르는 계단이 있다고 하였다.(천득염, 앞의 책, 123∼125쪽) 36) 서성호, 앞의 책, 146∼147쪽; Thet Oo et al., op. cit., p.2; Elizabeth Moore et al., Shwedagon: Golden Pagoda of Myanmar, River Books, Thailand, 1990, pp.131∼138을 참고함.

그림 7. 보보지 제디 그림 8. 민카바 제디

(http://www.myanmartours.us)

그림 9. 짜익티요 제디

(http://www.pinterest.com)

그림 10. 마웅디 제디

(Donald M. Stadtner, Sacred Sites of

Burma, 2010, p.43)

(8)

그림 11. 쉐산도 제디

(Thein Sein, op. cit., p.74 편집)

앞서 본고에서는 파토를 상좌부불교가 힌두교를 포용 함을 상징적으로 나타낸 버강만의 독특한 형식의 불전형 불탑으로 생각된다고 하였다. 그렇다면 이 형식을 버강 시기 불탑의 한 형식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런 형식 의 불탑을 ‘사각형 테라스 위 시카라 탑신 형식’으로 분 류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림 12. 낫라웅 짜웅의 시카라(좌)와 다양한 시카라 형식(우)

(우: 이미림 외 5명, 동양미술사 하권, 2009, 247쪽)

이 형식의 시카라 모양은 기존의 시카라에서 보이는 형태와 약간 상이한 형태를 보이고 있어서 주목된다. 이 형태는 현존하는 버강 유일의 힌두교 신전인 낫라웅 짜 웅(Nat Hlaung Kyaung, 아노라타 왕 시기 이전에 건립 된 것으로 추정) 신전에서 보이는 시카라와 매우 유사한 형태이다. 그러므로 이 형식을 ‘사각형 테라스 위 낫라웅 짜웅 탑신 형식’으로 불러도 적절하다고 생각된다.

4. 버강 시기 불탑의 형식 분류

기존의 미얀마 또는 버강 불탑을 분류한 연구자로 쿼 우 랏, 윈 마웅(Win Maung), 텟 오(Thet Oo) 등이 있다.

쿼우 랏은 2세기부터 13세기까지의 에야와디 강 중부 지역 스투파를 주변국(지역)의 대표적인 초기 불탑과의 형태적 유사성, 전체적인 형태, 기단의 분류 및 형태, 탑신의 형태에 근거하여 6가지 형식으로 분류하였으며 이는 다음과 같다.

37)

1. Andhra influenced Stupas (안드라 형식) 2. Gupta influenced Stupas (굽타 형식) 3. Bulbous shape [총화(

花)형]

4. Tall cylindrical Stupas on circular base (원형 기단 위 원통형 탑신 형식)

5. Tall cylindrical Stupas on polygonal base (다각형 기단 위 원통형 탑신 형식)

6. Tall cylindrical Stupas on multi terraces (다층 테라스 위 원통형 탑신 형식)

이 중 본고의 연구 범위의 불탑 형식은 ‘4∼6’이 해 당된다.

윈 마웅은 1세기부터 19세까지의 미얀마의 스투파를 주변국(지역)의 대표적인 초기 불탑과의 형태적 유사성, 발견된 소탑의 형태(Relic Gasket Type Stupas, Thaung Pyae Kon incase Stupa), 전체적인 형태, 기단의 분류 및 형태, 탑신의 형태, 기단과 탑신의 비례에 근거하여 형식을 분류하였으며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12가지 형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38)

1. Andhra influence Style (안드라 형식) 2. Gupta influence Style (굽타 형식)

3. Relic Gasket Type Stupas (봉헌용 소탑 형식) 4. Egg shape Type Stupas on circular base (원형 기단 위 계란형 탑 형식)

5. Thaung Pyae Kon incase Stupa (내부 매장 소탑) 6. Bulbous Type [총화(

花)형]

7. Tall Cylindrical Type Stupas on circular base (원형 기 단 위 원통형 탑신 형식)

8. Tall Cylindrical Type Stupas on polygonal base (다각형 기단 위 원통형 탑신 형식)

9. Bell Shape Stupas on rectangular base (사각형 기단 위 종형 탑신 형식)

10. Bell Shape Stupas on rectangular multi terraces (사 각형 다층 테라스 위 원통형 탑신 형식)

11. Bell Shape Stupas on polygonal multi terraces (다각형 다층 테라스 위 원통형 탑신 형식)

12. Ceylonese Type (스리랑카 형식)

이 중 본고의 연구 범위의 불탑 형식은 ‘10∼12’가 해 당된다.

텟 오는 7세기부터 13세기까지의 버강의 스투파를 주

37) Kyaw Lat, op. cit., pp.59∼60

38) Win Maung, op. cit., pp.2∼11

(9)

변국(지역)의 대표적인 초기 불탑과의 형태적 유사성, 전체적인 형태, 기단의 형태에 근거하여 6가지 형식으 로 분류하였으며 이는 다음과 같다.

39)

1. Stupas with Bulbous Shape [총화(

花)형]

2. Stupas with Octagonal Basement (팔각형 기단 형식) 3. Stupas with Rectangular Basement (사각형 기단 형식) 4. Stupas with Circular Basement (원형 기단 형식) 5. Stupas with Pentagonal Basement (오각형 기단 형식) 6. Sinhalese Type Stupas (스리랑카 형식)

이 중 본고의 연구 범위의 불탑 형식은 ‘2∼6’이 해 당된다.

본고의 버강 시기 불탑의 형식 분류를 위해 위 연구 자들의 형식 분류를 표로 정리하면 <표 2>와 같다. 위 연구자들의 형식 분류를 정리하면 미얀마의 불탑 형식은 총 14가지 형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40)

이는 <표 2>와 같이 일반형, 전래형, 특수형 3가지의 큰 유형으로 분류 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일반형은 불탑의 기단부와 탑신 부의 형태를 통하여 분류된 형식을 일컫고, 전래형은 주 변국(지역)의 영향을 받아 해당국의 불탑과 비슷한 형식 으로 건립한 불탑을 일컫는다. 특수형은 전래형과 일반 형에 포함되지 않는 특수한 형식의 불탑을 일컫는다.

39) Thet Oo et al., op. cit., pp.21∼26

40) Ceylonese type과 Sinhalese Type Stupas와 같이 동일한 형식을 각 기 다른 명칭으로 쓴 것을 통일시키고, Stupas with Octagonal Basement 와 Stupas with Pentagonal Basement와 같이 세세하게 형식을 분류 시킨 것을 polygonal base 또는 polygonal terraces와 같은 큰 분류의 형식에 포함시켰다.

이에 근거하여 버강 시기 불탑 형식을 분류한다면 다 음의 6가지 형식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는 일반형과 전래형, 특수형 3가지 큰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일반형은 ‘1∼3’이 해당되고, 전래형 ‘4∼5’가 해당되고, 특수형은 ‘6’이 해당된다.

1. 다각형 기단 위의 종형 탑신 형식 (Bell shape stupas on polygonal base type)

2. 사각형 테라스 위 종형 탑신 형식 (Bell shape stupas on rectangular multi terraces type)

3. 다각형 테라스 위 종형 탑신 형식 (Bell shape stupas on polygonal multi terraces type)

4. 굽타 형식 (Gupta influence type) 5. 스리랑카 형식 (Ceylonese type)

6. 사각형 테라스 위 시카라 탑신 형식 (Sikhara shape stupas on rectangular multi terraces type)

기존의 연구에서는 본고의 연구 범위의 탑신부의 형 태를 종형과 원통형(Tall cylindrical)으로 분류하였는 데, 기존의 원통형으로 보았던 탑신은 이전 시기의 원 통형 탑신을 지닌 불탑에 비해 탑신의 비중이 줄어들 고, 상대적으로 탑신 하부의 지름이 탑신 중부의 지름 에 비해 커서 이 탑신의 형태를 종형으로 봐야 한다고 생각된다. 이는 쿼우 랏이 ‘Tall cylindrical Stupas on polygonal base(다각형 기단 위 원통형 탑신 형식)’의 대표작이라 여겼던 로카난다 제디(LokaNanda, 1050)와

‘Tall cylindrical Stupas on circular base(원형 기단 위 높은 원통형 탑신 형식)’의 대표작으로 여겼던 보보지 제디(6C∼7C)와의 비교를 통해서 살펴볼 수 있다. 그

Kyaw Lat (에야와디 강 중부)

2C∼13C Win Maung (미얀마)

1C∼19C Thet Oo (버강) 7C∼13C

1. Bulbous shape

2. Egg shape Stupas on circular base

3. Tall cylindrical Stupas on circular base 4. Tall cylindrical Stupas on polygonal base 5. Tall cylindrical Stupas on terraces

6. Bell shape Stupas on rectangular base

7. Bell shape Stupas on rectangular terraces

8. Bell shape Stupas on polygonal terraces

9. Bell shape Stupas on circular terraces

10. Andhra

11. Gupta

12. Ceylonese

특 수 형

13. Relic Gasket

14. Thaung Pyae Kon incase

표 2. 기존 연구자의 불탑 형식 분류 정리(회색을 채운 부분은 본고의 연구 범위에 해당되는 불탑 형식임)

(10)

러므로 탑신의 형태는 종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연구에서는 본고 연구 범위의 테라스 형 태를 사각형, 다각형, 원형으로 분류하였는데, 이 중 원 형의 테라스를 지닌 불탑은 전체적인 형식이 스리랑카 형식과 유사하므로 이를 스리랑카 형식으로 분류하였다.

그러므로 테라스의 형태는 사각형과 다각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다각형의 테라스는 대체로 팔각형이나 담마야 지카 제디(Dhammayazika, 1198)와 같이 오각형도 있다.

그림 17. 담미야지카 제디 앙시도

(Thet Oo et al., op. cit., p.24)

굽타 형식은 다각형의 기단 위에 반구형의 탑신, 그 위에 하르미카(Harmika)가 있는 형식으로 대표적인 불 탑으로 쉐난인(Shwenanyin, 13C) 제디를 들 수 있다.

스리랑카 형식은 원형의 기단 위에 반구형의 탑신 그 위에 하르미카가 있는 형식으로, 대표적인 불탑으로는 사파다 제디(Sapada, 12C)를 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고에서는 파토를 버강 시기만의 독특 한 유형의 불전형 불탑으로 생각하여 파토의 불탑 형 식을 ‘사각형 테라스 위 시카라 탑신 형식’으로 분류하 였다. 또한, 이 형식의 테라스는 기단부로 보기 어려워 특수형에 해당된다.

5. 맺음말

본고에서는 크게 파토, 버강 시기 불탑의 형식적 특 성, 버강 시기 불탑의 형식에 대해 고찰하였고, 이와 관 련하여 다음의 일곱 가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연구자들마다 의견이 분분하였던 파토는 불탑의 원의와 확장된 불탑의 의미, 동아시아에서 불탑과 불전 을 구분하는 기준, 제켈과 천득염의 논지, 버강의 당시 역사적 상황에 비추어 상좌부불교가 힌두교를 포용함을 상징적으로 나타낸 버강만의 독특한 유형의 불전형 불 탑으로 볼 수 있다고 생각된다.

둘째, 버강 시기 불탑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테라스는 버강 시기 불탑에서 나타난 특징적인 구성요소로 상좌 부불교가 널리 전파되길 바라는 염원이 표현된 부분이 라고 생각된다.

셋째, 쉐산도 제디는 미얀마 정형 양식의 불탑을 대표 하는 쉐지곤 제디뿐만 아니라 버강의 3대 걸작으로 불 리는 아난다 파토에도 영향을 끼쳤다고 생각된다.

넷째, 버강 시기의 ‘테라스 위의 종형 탑신 형식’의 불 탑을 세 부분으로 분류하여 살펴본다면 테라스를 하부 (기단부), 대좌부터 앙련과 복련이 나타나는 부분까지를 중부(탑신부), 그 위를 상부(상륜부)로 분류하여 살펴봄 이 적절하다고 생각된다.

다섯째, 파토를 버강 시기 불탑의 한 형식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런 형식의 불탑을 ‘사각형 테라스 위 시카 라 탑신 형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파 토에서 나타나는 시카라형의 건조물은 이전 시기에 건립 된 힌두교 신전인 낫라웅 짜웅의 시카라와 매우 유사한 형태이므로 위 형식을 ‘사각형 테라스 위 낫라웅 짜웅 탑신 형식’으로 불러도 적절하다.

여섯째, 미얀마 불탑의 형식을 14가지 형식으로 분류 할 수 있으며, 이의 큰 유형을 일반형, 전래형, 특수형 으로 분류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림 13. 보보지 제디 그림 14. 로카난다 제디

(Thet Oo et al., op. cit., p.26)

그림 15. 사파다 제디

(U Win Maung, op. cit., 2007, p.9)

그림 16. 굽타 형식과 스리랑카 형식

(11)

일곱째, 이와 본고의 논지를 바탕으로 버강 시기 불 탑을 6가지 형식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의 유형을 일반형, 전래형, 특수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불교권에 해당하는 많은 지역의 불교 유물·유적에 대 한 연구는 대개 서양인들에 의해 시작되었다. 이런 선행 연구는 후속 연구를 진행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되지만, 한편으로 선행 연구의 관점에서 자유롭기 어렵다는 점도 있다. 미얀마의 불탑 연구도 이런 관점에서 크게 벗어나 지 못하였다고 생각된다.

미얀마 불탑 연구는 미얀마 불교와 불탑이 지닌 가치 만큼의 진전이 이뤄지지 못하였다고 생각된다. 이의 가 장 큰 이유 중 하나는 오랜 기간 동안 유지된 폐쇄된 국 가체제일 것이다. 그러므로 이런 제한이 풀린 현시점에 다양한 관점에서의 미얀마 불탑에 대한 접근은 미얀마의 불탑, 불교 연구의 발전적 방향이 될 것으로 생각되며 본고가 궁극적으로 지향하고자 하는 방향인 아시아의 불 교 전래와 불교건축의 변모양상의 전모를 밝힘에 있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본고의 버강 시기의 불탑에 대한 연구는 이의 단초로 서 미얀마 불탑, 불교 연구의 발전적 방향이 되기를 기 대한다.

참고문헌

1. 강우방 외 1명, 탑, 솔, 2010

2. 김성원, 미얀마 왕조사, 부산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1 3. 김성원, 미얀마의 종교와 사회, 부산외국어대학교출

판부, 2005

4. 김성원, 버간(Bagan) 시기를 통해 본 미얀마 신앙체 계의 기원 , 비교문화연구, 10집, 1999.2

5. 서성호, 바간 인 미얀마, 두르가, 2006

6. 서성호, 황금불탑의 나라 미얀마, 두르가, 2011 7. 박순관, 동남아 건축문화 산책, 한국학술정보, 2013 8. 이미림 외 5명, 동양미술사 하권, 미진사, 2009 9. 정기선, 미얀마 불교의 역사와 사회적 위상 , 동국대학교

대학원 불교학 석사학위논문, 2015

10. 주경미 외 1명, 미얀마 버강시대 로카테익판 사원 연 구 , 불교미술사학, 21집, 2016

11. 차장섭, 아름다운 인연으로 만나다 미얀마, 역사공간, 2013

12. 천득염, 인도 불탑의 의미와 형식, 심미안, 2013 13. 허지혜, 스리랑카 불탑의 구성요소와 형식 , 전남대학

교 대학원 건축공학 석사학위논문, 2016

14. 디트리히 제켈(Dietrich Seckel), 불교미술, 이주형 역, 예경, 2010

15. 마츠하사 사브로, 동양미술사, 김원동 외 5명 역, 예경, 1993

16. Donald M. Stadtner,

The Mon of Lower Burma

, Journal of the Siam Society, Vol.96, 2008

17. Donald M. Stadtner,

Sacred Sites of Burma

, River Books, Thailand, 2011

18. Department of Higher Education Ministry of Education Rangoon,

Architectural Drawings of Temples in Pagan

, 1989

19. Elizabeth Moore

et al.

,

Shwedagon: Golden Pagoda of Myanmar

, River Books, Thailand, 1990

20.

Hmannan Mahayazawindawzi

(유리궁전 연대기) 21. Kyaw Lat,

Art and Architecture of Bagan and Historical

Background

, Maharbandula Housing, Myanmar, 2010 22. Kyaw Lat,

History & Theory of Art & Architecture

23. Pamela Gutman,

Burma’s Lost Kingdoms: Splendours

특 수 형

다각형 기단 위

종형 탑신 형식 사각형 테라스 위

종형 탑신 형식 다각형 테라스 위

종형 탑신 형식 굽타 형식 스리랑카 형식 사각형 테라스 위

시카라 탑신 형식 표 3. 본고의 불탑 형식 분류

(12)

of Arakan

, Orchid press, Bangkok, 2001

24. Richard M. Cooler,

The Art and Culture of Burma

, Northern Illinois University (http://www.seasite.niu.edu /burmese/cooler/BurmaArt_TOC.htm)

25. Thein Sein,

The Pagodas and Monuments of Bagan

, Translated by Khin Maung Nyunt, Printing & Publishing Enterprise, Myanmar, 1994

26. Thet Oo

et al.

,

Architectural Aspects of Stupas during the Reign of King Narapatisithu in Bagan, Myanmar

, Asia Pacific Sociological Association, 2015

27. U Win Maung,

Evolution of the Stupas in Myanmar

,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Buddhist Conference, Bangkok, Thailand, 2007

28. U Win Maung,

The Ancestral Stupas of Shwedagon

,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Buddhist Conference, Brastagi, Indonesia, 2010

접수(2016. 8. 15) 게재확정(2016. 9. 27)

수치

그림 1. 미야제디(Myazedi, 11C후∼12C초) 전경(좌)과 평면도(우) (Richard M. Cooler, The Art and Culture of Burma 편집)
그림 3. 탓빈뉴 파토 29) 그림 4. 고도팔린 파토 (http://www.thousandwonders.net)
그림 11. 쉐산도 제디 (Thein Sein, op. cit., p.74 편집) 앞서 본고에서는 파토를 상좌부불교가 힌두교를 포용 함을 상징적으로 나타낸 버강만의 독특한 형식의 불전형 불탑으로 생각된다고 하였다
표 2. 기존 연구자의 불탑 형식 분류 정리(회색을 채운 부분은 본고의 연구 범위에 해당되는 불탑 형식임)
+2

참조

관련 문서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cyberspace, hypermedia and multi-sensory experience of new media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can

Such characteristics influenced the views on colors and each period showed the following views on colors: In Three Kingdoms of Korea, natural and light

Schematic shape and technical drawing of the prototype GS type jellyfish separator system used in the CWC experiment.. Schematic shape and technical drawing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12-week complex type correction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houlder angle, trunk rotation angle, and body shape

Seasonal dispersion pattern of Liriomyza trifolii (Diptera: Agromyzidae) infesting bell pepper. Flight activity of Liriomyza trifolii

mould with rapid and uniform cooling characteristics using the deposition of the multi-materials based on the direct metal rapid tooling process.. In order

고전주의 협주곡의 구조를 다시한번 간단히 정리하면,제 1악장은 Sonata 형식(리토르넬로 원리와 소나타 형식의 원리가 통합된 형식),제 2악장은 Li ed 형식(일종의

Spoilage potential of psychrotrophic lactic acid bacteria (LAB) species: Leuconostoc gelidum subsp. gasicomitatum and Lactococcus piscium , on sweet be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