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Correlations Between the Expression of Steroid Hormone Receptors and Oncoproteins as a Histologic Grade of Breast Cancer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Correlations Between the Expression of Steroid Hormone Receptors and Oncoproteins as a Histologic Grade of Breast Cancer "

Copied!
1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유방암의 악성도에 따른 스테로이드호르몬 수용체와 종양단백질의 발현과의 상관성

서울보건대학 임상병리과․한양대학교구리병원 병리과1

김태전․문희주․배형준․백운철1

Correlations Between the Expression of Steroid Hormone Receptors and Oncoproteins as a Histologic Grade of Breast Cancer

Kim, Tai Jeon., Moon, Hi Joo., Bae, Hyung Joon., Back, Oun Chul

1

Department of Biomedical Laboratory Science, Seoul Health College, Sungnam, Korea Department of Pathology, Han Yang University Kuri Hospital, Kuri, Korea

1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overall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factors inducing breast cancer, the steroid hormone receptors(ER and PR), and oncoproteins(C-erbB-2, P-53 and Bcl-2). A total of 21 test samples underwent tissue studies with H&E staining to test histologic grading. ER, PR, P-53, C-erbB-2, Bcl-2, and Ki 67 were examined with immunohistochemistry. Although ER and PR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histologic grade, the induction of PR increased when induction of ER increased showing a significant relationship(P<0.05). C-erbB-2 oncoprotein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histologic grade, nuclei mitosis index, lymphnode metastasis, menopause, and P-53 oncoprotein, whereas i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PR, ER, and Bcl-2 oncoproteins(P<0.05). P-53 oncoprotein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C-erbB-2 oncoprotein, histologic grade, lymphnode metastasis, and menopause, whereas i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ER, PR, Bcl-2, and nuclei mitosis index(P<0.05). Bcl-2 oncoprotein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lymphnode metastasis, histologic grade, and menopause, whereas i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other pathological prognosis factors(ER, PR, P-53, C-erbB-2 and nuclei mitosis index)(P<0.05). In conclusion, ER, PR, and oncoproteins(C-erbB-2, P-53 and Bcl-2)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histologic grade. However ER, PR, and oncoproteins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The induction rate of P-53 oncoprotein was low when that of Bcl-2 oncoprotein was high while Bcl-2 oncoprotein and P-53 oncoprotein showed a reciprocal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Key Words: Steroid hormone receptors(ER and PR), Oncoproteins(P-53, C-erbB-2 and Bcl-2), Histologic grade

임상병리검사과학회지 : 35권 제1호, 57-67, 2003

1)

교신저자 : 김태전,(우)461-713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양지동 212 번지 서울보건대학 임상병리과

Tel : 031-740-7154 E-mail : taijeon@shjc.ac.kr

(2)

I. 서 론

한국 여성은 자궁암과 위암에 의한 사망률이 높았으나, 조기검진과 생활 습관이 개선되면서 자궁암과 위암은 줄 고있는 반면, 유방암의 발생율은 80-82년 9.30%에서 91-92년 11.4%로 상대적으로 증가되고 있으며, 수십 년간 다양한 수술 및 치료방법의 시도에도 불구하고 유방암의 치료율은 뚜렷한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Fisher 등(1991)은 유방암이 발생시초부터 전신적 질환이라 하여 종래의 액 와림프절을 포함한 광범위 수술의 장점에 대한 상반된 이 론을 제시하였는데, 이것은 유방암이 그 예후를 예측하기 힘든 질병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특히 액와림프절의 전이 가 없어서 예후가 좋을 것으로 예상되었던 유방암 환자들 의 약 30%에서 재발되고 있다(Page, 1991). 이와 같이 유 방암은 조직소견이 유사할지라도 호르몬 수용체와 종양 단백질의 발현률이 연령, 폐경, 조직학적 악성도 등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생물학적 특징도 다양하다.

최근 유방암에 대한 생물학적 발생기전 및 예후인자들 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병리학적 예후인자들의 특성들이 밝혀지고 있으며, 이러한 예후인자들 중 치료 방법의 선택에 필요한 스테로이드 호르몬 수용체와 세포 의 성장과 증식에 관여하는 c-erbB-2, Bcl-2 및 p53 단백질 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유방암에서 기존 예후인자인 에스트로겐 수용체(estrogen receptor, ER) 와 프로게스테론 수용체(progesterone receptor, PR)의 존재 유무는 치료약제 선택과 향후 치료의 반응에 대한 예측 지표가 될 수 있다고 Khane 등(1994)이 보고하였으며, 이 러한 스테로이드 호르몬 수용체와 연관성이 있는 종양단 백질에 대한 연구도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c-erbB-2 종양단백질은 185 kd의 막당단백질로 tyrosine kinase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EGFR(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과 구조적 상동성이 있어서 표피성장인자 와 결합하여 세포의 증식과 성장에 관여하며, c-erbB-2 종 양단백질은 인체의 여러 선암종에서 발현이 증가되고 유 방암에서도 증가된다(Sharma, 1999). 그러나 유방암에서 c-erbB-2 종양단백질의 발현되는 원인 및 기전은 분명히 규명되지 않아 계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세포의 유사분열을 조절하여 조직의 항상성을 유지시 켜주는 계획된 세포사(apoptosis)는 다세포 동물의 발달된

생리기능 중 하나로 핵과 세포질이 응축, 분절되어 대식 세포에 의해 탐식되며 염증 반응이 없이 사멸하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계획된 세포사가 억제되었을 때 종양과 같은 질병이 발생하며, Bcl-2 종양단백질이 계획된 세포사 를 억제한다는 보고가 있다(Korsmeyer, 1992; White 등, 1994). 그러므로 Bcl-2 종양단백질은 종양에서 계획된 세 포사를 억제하여 종양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그 기전은 분명하게 규명되지 않았다. 유방암에서도 Bcl-2 종 양단백질이 발현되며 종양의 증식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Barner 등, 1991; Hengartner와 Horvitz, 1994).

세포주기에서 사이클린 의존 인산화효소(Cyclin Depen- dent Kinase)를 억제하여 세포를 G1기에 정지시켜 S기로 넘어가는 세포의 수를 조절하는 p53 단백질은 정상적으 로 종양을 억제하는 유전자로 작용한다. 그러나 유전자의 손상이나 돌연변이가 생겼을 때는 p53 종양단백질은 종 양의 발생이나 증식의 억제기능을 상실하여 종양의 성장 을 유도한다고 보고되었다(Levine 등, 1991; Pezzella 등, 1994). 그리고 유방암에서도 변이형 p53 종양단백질이 발 현되어 종양의 성장에 관여한다고 보고되었다(Elledge 등, 1993).

상술한 바와 같이, 유방암에서 각각의 예후인자들의 병 리학적 가치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각 예후인자들을 종합하여 평가하고 예후인자들 간의 상호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방암환자의 수술을 통해 얻어진 종양조직 을 Hematoxylin & Eosin(H&E) 염색과 면역조직화학적인 염색을 시행하여 유방암의 조직학적 악성도를 평가하고, 기존의 예후인자로서 에스트로겐 및 프로게스테론 수용 체의 존재 유무와 c-erbB-2, p53 그리고 Bcl-2 종양단백질 을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통해 평가하고 예후 인자들간 의 상호 연관성을 관찰하고자 실시하였다.

II. 재료 및 방법

1. 재료

본 실험에 사용된 재료는 1996년 1월부터 2000년 1월

에 걸쳐 한양대학교 구리병원에서 유방암으로 진단 받고

(3)

Parameter Classification No. of patient(%)

Age ≤30 1(4.8)

31-45 9(42.8)

46-60 9(42.8)

>60 2(9.5)

Menopause Premenopausal 13(61.9)

Postmenopausal 8(38.0)

Tumor size <2cm 5(23.8)

2-5cm 14(66.7)

≥5cm 2(9.5)

LM * Nagative 11(52.4)

Positive 10(47.6)

*LM: lymph node

Table 1. Distribution of histopathologic parameter in 21 breast

ductal carcinoma *lymph node metastasis

유방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의 종양조직을 사용하였다.

특히 대상을 일관성 있게 하기 위하여 유방의 침윤성 선 관암종(invasive ductal carcinoma)으로 진단을 받은 예에 국한시켰으며 파라핀 블록의 보존상태가 좋은 21예를 대 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병력기록지를 확인하여 다음과 같 이 연령, 폐경, 종양의 크기 그리고 림프절 전이에 따라 분류하였다(Table 1).

2. 방법

1) 유방암의 조직학적 악성도 검사

외과적인 수술로 절제된 유방암 조직을 일반적인 조직 표본 제작과정인 10% 포르말린 용액에 고정한 후 수세하 였다. 조직절편을 파라핀 침투과정과 포매과정으로 파라 핀 블록을 만들어 박절기(Microtome, Leica)를 이용하여 조직절편을 4 ㎛ 두께로 박절하여 유리 슬라이드에 부착 시켰다. Xylene용액으로 탈파라핀과정을 거친 후 100, 90 및 70% 알코올용액으로 함수과정을 실시하였다. H&E 염 색액으로 핵과 세포질을 각각 염색하였고, 70, 90 및 100% 알코올용액으로 탈수과정을 거친 후, Xylene용액으 로 투명과정을 실시하였다. 염색표본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기 위해 Canada balsam(Kanto Chemical, Japan)을 사 용하여 cover glass로 봉입하였다.

유방암에 대한 조직학적 악성도는 Elston & Ellis(1991) 가 제안한 유방암의 조직학적 악성도 측정을 위한 반정량 적인 방법(semi-quantitative method for assessing histologic grades in breast carcinoma)을 기준으로 광학현미경으로 검 경하여 판정하였다.

2) ER 및 PR 검사

일반적인 조직표본 제작을 통해 만들어진 파라핀 블록 을 박절기를 이용하여 4 ㎛두께로 박절하였다. 전처리 과 정에서의 조직표본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 3-Amino- propyltriethoxy silane(Sigma Chemical, Germany)으로 처리 된 코팅 슬라이드를 제작하여 부착시켰다. 탈 파라핀과 함수과정을 실시한 후 10 mM 구연산용액(pH 6.0)에 조직 표본 슬라이드를 담아 고압증기멸균기를 사용하여 121℃

에서 15분간 전처리를 하였다. 10% H

2

O

2

메탄올을 사용 하여 내인성 인자를 제거한 후 10분간 Protein Blocking Agent(PBA)로 비특이적으로 항체와 반응하는 단백질을 차단하였다. LSAB Kit(Immunotech, France)를 사용하여 Avidin Biotin Complex(ABC)법으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였다. ER(Immunotech, France, Clone ER1D5) 생쥐 IgG1, PR(Immunotech, France, Clone PR10A9) 생쥐 IgG2a 의 단클론1차 항체를 이용하여 각각 30분간 실온에서 반 응시켰다. Biothinylated 2차 항체를 사용하여 ER 및 PR 항체와 반응시킨 후 Streptavidin-Peroxidase를 부착시켜 AEC Chromogen으로 발색하였다. Mayer's Hematoxylin으 로 핵염색을 실시한 다음 Glycerin(Yakuri Pure Chemical, Japan)으로 봉입하였다. 음성대조로는 1차 항체대신에 처 리하지 않은 생쥐 IgG를 사용하였고, 양성대조로는 인체 의 난소 조직을 사용하였다.

3) 종양세포의 유사분열 계수 검사

박절된 조직표본을 코팅 슬라이드에 부착시켜 10 mM

구연산용액에 담아 고압증기멸균기를 사용하여 121℃에

서 15분간 전처리를 하였다. Ki-67 항원(Immunotech,

France, Clone MIB-1) 생쥐 IgG1의 단클론항체를 사용하

여 유사분열(G1, S, G2, M phases)을 하는 세포의 핵을

ABC법으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였으며, Mayer's

(4)

Hematoxylin으로 핵염색을 하였다. 음성대조로는 1차 항 체대신에 처리하지 않은 생쥐 IgG를 사용하였으며 양성 대조로는 인체의 편도조직을 사용하였다.

4) c-erbB-2, p53, Bcl-2 종양단백질 발현검사

박절된 조직표본을 코팅 슬라이드에 부착시킨 후 탈 파라핀과 함수과정을 거쳐 각각의 슬라이드를 10 mM 구 연산용액에 담아 c-erbB-2단백질은 10분간 전자오븐에 전 처리를 하였고, p53과 Bcl-2 단백질은 고압증기멸균기를 사용하여 121℃에서 15분간 전처리를 하였다. 10% H

2

O

2

메탄올을 사용하여 내인성 인자를 제거하였다. 그리고 c-erbB-2(Dako, USA, Clone 3B5) 생쥐 IgG1, p53(Zymed, USA, Clone DO-7) 생쥐 IgG2a 및 Bcl-2(Dako, USA, Clone 124) 생쥐 IgG1 각각의 단클론항체를 이용하여 ABC법으 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여 각각의 단백질을 검출 하였으며 Mayer's Hematoxylin으로 대조염색을 하였다. 음 성대조로는 1차 항체대신에 처리하지 않은 생쥐 IgG를 사 용하였으며, 양성대조로 c-erbB-2 단백질은 인체의 상피조 직을 사용하였고, p53과 Bcl-2 단백질은 인체의 편도조직 을 사용하였다.

5) 면역조직화학적염색 평가 및 통계처리

ER 및 PR과 p53 종양단백질의 판정은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여 핵에 염색되면 양성 판정을 하였다. c-erbB-2 종 양단백질은 세포막을 따라 염색되면 양성으로 판정을 하 였고, Bcl-2 종양단백질은 세포질에 염색되면 양성으로 판정하였다. 평가는 반정량적인 방법으로 전체 종양 조직 에서 양성세포의 백분율이 0% 인 경우 Ⅰ, 1-30% 인 경우

Ⅱ, 31-60% 인 경우 Ⅲ, 그리고 61% 인 경우 Ⅳ로 하였다.

핵의 유사분열 판정은 전체 종양조직의 핵에서 염색되면 양성으로 판정하고 평가는 전체 종양 조직에서 핵에 염색 되는 핵의 수를 측정하여 5% 이하인 경우 Ⅰ, 6-30% 인 경우 Ⅱ, 31% 이상인 경우 Ⅲ로 평가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Windows version 8.0을 이용하여 조직 병리학적 예후인자들인 ER, PR과 c-erbB-2, p53 그리고 Bcl-2 종양단백질들간의 유의성을 상관분석과 카이제곱 (χ

2

)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으며 P<0.05일 때 유의성이 있다고 판정하였다.

III. 결 과

1. 유방암의 조직학적 악성도

유방암의 조직학적 악성도를 검사하기 위해 H&E로 염 색한 표본 슬라이드를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암조 직내에 세관(tubule)의 형성은 총 21예에서 75% 이상(1점) 인 경우는 1예(4.7%), 10-75%(2점)인 경우는 14예(66.7%) 그리고 10% 이하(3점)인 경우는 6예(28.5%)였고, 핵의 다 형성(nuclear pleomorphism)이 경도 (1점)인 경우는 2예 (9.5%), 중등도(2점)인 경우는 11예(52.4%) 그리고 고도(3 점)인 경우는 8예(38.1%)였으며, 핵 분열수(mitotic count) 는 0-9개(1점)인 경우 8예(38.1%), 10-19개(2점)인 경우 10 예(47.6%) 그리고 20개 이상(3점)인 경우 3예(14.3%)로 나 타났다(Table 2). 조직학적 악성도는 각각의 조직표본에서

Feature Score No. of case(%) Tubule formation

Majority of tumor(>75%) 1 1(4.7) Moderate degree(10-75%) 2 14(66.7) Little or none(<10%) 3 6(28.5) Nuclear pleomorphism

Small regular uniform cells 1 2(9.5)

MV* 2 11(52.4)

Marked variation 3 8(38.1)

Mitotic count**

(field diameter 0.56mm)/10HPF

0-9 1 8(38.1)

10-19 2 10(47.6)

>20 3 3(14.3)

Table 2. Summary of semi-quantitative method for assessing

histologic grades in 21 breast ductal carcinoma

* Moderate increase in size and variability.

**Assessed as number of mitosis per 10 high power fields at the tumor periphery.

Sum of score Grade No. of case(%)

3-5 grade Ⅰ 4(19.0)

6-7 grade Ⅱ 13(61.9)

8-9 grade Ⅲ 4(19.0)

Table 3. Histologic grades of 21 breast ductal carcinoma

(5)

Fig. 1.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ER and PR in human breast ductal carcinoma(x 400). A; Showing ER positivity in nuclei of cancer cells(arrow). B; Showing PR positivity in nuclei of cancer cells(arrow).

관찰된 세관 형성, 핵의 다형성 및 분열수의 점수를 합하 여 판정하였으며, 총 21예 중 gradeⅠ인 예가 4예(19%)였 으며, gradeⅡ인 예는 13예(61.9%)였고, grade Ⅲ인 예는 4 예(19%)로 나타났다(Table 3). 이러한 결과 암조직내 세관 의 형성이 많고 핵의 다형성과 분열수가 적을수록 악성도 가 낮은 반면에 암조직내 세관의 형성이 적고 핵의 다형 성과 분열수가 많을수록 악성도가 높게 나타났다.

2. ER 및 PR의 발현

유방암조직에서 ER 및 PR의 발현률을 검사하기 위해 면역조직화학적 염색법으로 염색한 표본 슬라이드를 광 학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유방암내에 종양세포의 핵은

Parameter ER(%) PR(%)

Positive Negative P Positive Negative P

PR 0.001 -

Positive 19(90.5) 0 - -

Negative 1(4.8) 1(4.8) - -

HG* 0.076 0.554

Ⅰ 4(19.1) 0 4(19.1) 0

Ⅱ 13(61.9) 0 12(57.1) 1(4.8)

Ⅲ 3(14.3) 1(4.8) 3(14.3) 1(4.8)

ER - 0.001

Positive - - 19(90.5) 0

Negative - - 1(4.8) 1(4.8)

Table 4. Correlations between histologic grades and steroid

hormone receptors in 21 breast ductal carcinoma

* Histologic grade

적색으로 염색되었고 세관이 많이 형성된 조직일수록 염 색강도와 발현률이 높게 나타났다(Fig. 1A, B). 전체 종양 세포의 핵과 염색된 핵의 수를 백분율로 계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ER은 총 21예 중Ⅰ은 1예(4.8%)였고, Ⅱ는 6예(28.6%),

Ⅲ는 3예(14.3%) 그리고 Ⅳ는 11예(52.4%)였으며, PR은

Ⅰ는 2예(%)였고 Ⅱ는 6예(28.6%), Ⅲ는 5예(23.8%) 그리 고 Ⅳ는 8예(38.1%)였다. 그리고 ER과 PR 모두 양성인 예 는 19예(90.5%)였고, 모두 음성인 예는 1예(4.8%)로 나타 났다. ER의 발현률이 증가할 때 PR도 같이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냈으나(P<0.05), 조직 학적 악성도에 대해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able 4).

3. 종양세포의 유사분열 계수

Ki-67 항원을 사용하여 유방암 조직을 면역조직화학적 으로 염색하였고, 염색된 표본 슬라이드를 광학현미경으 로 관찰한 결과, 분열시기에 있는 세포의 핵은 적색으로 염색되었으며(Fig. 2), 전체 종양세포의 핵과 염색된 핵의 수를 백분율로 계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Ki-67 항원에 의한 핵의 유사분열 계수는 총 21예 중

Ⅰ는 3예(14.3%), Ⅱ는 16예(67.2%) 그리고 Ⅲ는 2예 (9.5%)로 나타났다.

4. c-erbB-2, p53, Bcl-2 종양단백질의 발현

유방암 조직에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통해 c-erbB-2, p53

그리고 Bcl-2 종양단백질의 발현을 검사하였다. 면역조직

(6)

Fig. 2.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Ki-67 antigen in human breast ductal carcinoma(x 400). Showing Ki-67 antigen

positivity in nuclei of dividing cells(arrow).

Fig. 3.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c-erbB-2 in human breast ductal carcinoma(x 400). c-erbB -2 protein shows the

strong membranous reaction of cancer cells (arrow).

Fig. 4.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p53 in human breast ductal carcinoma(x 400). Shows p53 protein positivity in

nuclei of cancer cells and infiltrating growth boundary part are strong positive reaction (arrow).

(7)

Fig. 5.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Bcl-2 in human breast ductal carcinoma(x 400). Shows Bcl-2 protein strong

positivity in cytoplasm of cancer cells(arrow).

화학적으로 염색한 표본 슬라이드를 광학현미경으로 관 찰한 결과 c-erbB-2 종양단백질은 종양세포의 세포막을 따라 적색과립으로 염색되었으며 핵은 Hematoxylin에 의 해 청색으로 염색되었다(Fig. 3). p53 종양단백질을 검사 한 조직표본 슬라이드에서는 종양세포의 핵에서만 적색 으로 염색되었고 주변 기질세포와 정상 선상피의 핵에서 는 염색되지 않았으며, 종양세포가 침윤성 성장을 하는 경계부에서 강한 양성반응이 나타났다(Fig. 4). 그리고 Bcl-2 종양단백질은 종양세포의 세포질과 핵막에 적색으 로 염색되었고, 핵은 Hematoxylin에 의해 청색으로 염색 되었다(Fig. 5).

유방암조직에서 면역조직화학적으로 염색된 표본들을 분석한 결과에 의해서 각각의 종양단백질과 조직병리학 적 예후인자들간의 상관관계를 비교하였다(Table 5).

c-erbB-2 종양단백질은 총 21예 중 Ⅰ는 2예(9.5%), Ⅱ 는 6예(28.6%), Ⅲ는 5예(23.8%) 그리고 Ⅳ는 8예(38.1%) 로 나타났으며, ER, PR과 Bcl-2 종양단백질과는 통계적으 로 유의성이 있었으나(P<0.05), 조직학적 악성도, 핵의 유 사분열계수, 림프절 전이, 폐경과 p53 종양단백질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p53 종양단백질은 총 21예 중

Ⅰ는 9예(48.6%), Ⅱ는 7예(33.3%), Ⅲ는 2예(9.5%) 그리 고 Ⅳ는 3예(14.3%)였으며, p53 종양단백질과 조직병리학 적 예후인자와의 상관관계는 ER, PR 및 Bcl-2 종양단백 질과 핵의 유사분열계수에서는 통계적인 유의한 관계를 보였고(P<0.05), c-erbB-2 종양단백질과 조직학적 악성도

그리고 림프절 전이 및 폐경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Bcl-2 종양단백질은 총 21예 중 Ⅰ는 1예(4.8%), Ⅱ 는 4예(19.0%), Ⅲ는 4예(19.0%) 그리고 Ⅳ는 12예(57.1%) 로 나타났다. Bcl-2 종양단백질은 통계학적으로 림프절 전이, 조직학적 악성도 및 폐경과는 유의성이 없었으나, 다른 병리학적 예후인자들(ER, PR, p53, c-erbB-2, 핵 유 사분열 계수)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5).

IV. 고 찰

유방암은 수술에 의해 종양이 제거되어도 재발의 위험 이 높으므로 수술 후 재발 방지를 위한 치료가 중요하다.

수술 후 치료는 기존의 예후인자인 액와림프절의 전이유

무, ER 및 PR의 존재여부, 종양의 크기 및 조직학적 진단

에 의해 이루어진다(Clark 등, 1990; Tandon 등, 1989). 또

한, 최근 많은 종류의 암에서 연구되어지는 종양 유전자

와 종양유전자에 의해 발현되는 단백질이 유방암에서도

발현되어지며, 특히 c-erbB-2, Bcl-2 및 p53 종양단백질들

은 세포의 성장과 증식에 관여하므로 유방암에서 이러한

단백질의 발현은 종양의 성장과 예후에 중요한 역할을 한

다. 본 연구에서는 유방암의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 수용체와 세포의 성장에 관여하는 종

양단백질들을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실시하여 유방암에

(8)

Parameter c-erbB-2 p53 Bcl-2 Positive

No.(%)

Negative

No.(%) P Positive

No.(%)

Negative

No.(%) P Positive

No.(%)

Negative

No.(%) P

ER 0.001 0.011 0.024

Positive 19(90.5) 1(4.8) 11(52.4) 9(42.9) 19(90.5) 1(4.8)

Negative 0 1(4.8) 1(4.8) 0 1(4.8) 0

PR 0.006 0.018 0.001

Positive 18(85.7) 1(4.8) 10(47.6) 9(42.9) 19(90.5) 0

Negative 1(4.8) 1(4.8) 2(9.5) 0 1(4.8) 1(4.8)

Ki-67 0.430 0.011 0.009

Positive 17(80.1) 1(4.8) 10(47.6) 8(38.1) 17(80.9) 1(4.8)

Negative 2(9.5) 1(4.8) 2(9.5) 1(4.8) 3(14.3) 0

HG * 0.510 0.490 0.158

Ⅰ 4(19.1) 0 1(4.8) 3(14.3) 4(19.1) 0

Ⅱ 12(57.1) 1(4.8) 8(38.1) 5(23.8) 12(57.1) 1(4.8)

Ⅲ 3(14.3) 1(4.8) 3(14.3) 1(4.8) 4(19.1) 0

LNM ** 0.724 0.461 0.812

Yes 9(42.9) 1(4.8) 7(33.3) 3(14.3) 10(47.6) 0

No 10(47.6) 1(4.8) 5(23.8) 6(28.6) 10(47.6) 1(4.8)

Menopause 0.153 0.903 0.590

Yes 7(33.3) 1(4.8) 4(19.1) 4(19.1) 8(38.1) 0

No 12(57.1) 1(4.8) 8(38.1) 5(23.8) 12(57.1) 1(4.8)

c-erbB-2 - 0.064 0.032

Positive - - 10(47.6) 9(42.9) 18(85.7) 1(4.8)

Negative - - 2(9.5) 0 2(9.5) 0

p53 0.064 - 0.004

Positive 10(47.6) 2(9.5) - - 11(52.4) 1(4.8)

Negative 9(42.9) 0 - - 9(42.9) 0

Bcl-2 0.032 0.004 -

Positive 18(85.7) 2(9.5) 11(52.4) 9(42.9) - -

Negative 1(4.8) 0 1(4.8) 0 - -

* Histologic grade

** Lymph node metastasis

Table 5. Correlations between expression of oncoproteins(c-erbB-2, p53, Bcl-2) and histopathological parameters in 21 breast ductal

carcinoma

서 발현률과 각 예후인자들 사이의 상호 연관성을 조사하 였다.

본 연구에서 ER 및 PR은 유방암 조직의 핵에 염색되었

고, 발현률은 높게 나타났으며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ER의 발현률에 따라서 PR의 발현률도 상승하였

으며, 이 결과는 Khan 등(1994)과 Karayiannakis 등(1996)

(9)

이 ER 및 PR은 양성종양보다 악성종양에서 발현률이 높 고 ER과 PR의 발현률은 서로 연관성이 있다는 보고와 차 이가 없었다. 그리고 ER 및 PR의 발현률은 Bcl-2, c-erbB-2 및 p53 종양단백질들의 발현률과는 유의성이 있 었으나, 조직학적 악성도에 대해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 다(Table 4, 5). 유선이나 자궁내막의 성장에 있어서 스테 로이드 호르몬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 이다. 그러나 이러한 호르몬이 표적세포에 작용하기 위해 서는 세포의 핵막에 존재하는 수용체와 결합해야 하며, 스테로이드 호르몬 수용체가 과발현된 유방암은 증식에 있어서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영향을 받으므로 유방암의 치료에 있어서 방사선 치료나 항암 화학요법 대신 호르몬 치료요법이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리고 스테로이 드 호르몬 수용체는 세포의 성장에 관여하는 c-erbB2, Bcl-2와 p53 종양단백질에 의해 조절될 수 있는 가능성도 시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세포의 성장에 관여하는 c-erbB-2 종양단백질은 종양 조직의 세포막을 따라 염색되었고 Bcl-2 종양단백질과 유 의성을 보였다. c-erbB-2 종양단백질이 증폭되어 발현하면 Bcl-2 종양단백질의 발현률도 증가하였는데 이러한 결과 는 Barner 등(1991)이 보고한 결과와 차이가 없었다. 그리 고 c-erbB-2 종양단백질의 발현은 림프절 전이나 조직학 적 악성도와는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Table 5). Marx 등(1990)의 보고에 의하면 c-erbB-2 종양단백질 발현과 림 프절 전이와는 상관성이 없다고 하였으나, Tandon 등 (1989)은 상관성이 있다고 하였다. c-erbB-2 종양단백질과 조직학적 악성도의 상관성은 Berger 등(1988)이 유의하다 고 하였고, 반면에 Tsuda 등(1992)은 상관성이 없는 독립 적인 예후인자라고 하였다. 이와 같이, 유방암에서 c-erbB-2 종양단백질의 과발현은 세포의 성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나, 다른 예후인자와의 연관성과 유방암에서 c-erbB-2 종양단백질의 증폭되는 원인과 작용기전에 대해 서는 분명히 규명되지 않았으므로 앞으로 많은 연구가 필 요하다고 본다.

종양억제인자인 p53 종양단백질은 유방암 조직에서 돌 연변이형으로 발현되었고, 유사분열 계수와 유의한 차이 를 보였으며, Bcl-2 종양단백질과는 역의 상관 관계를 보 였다. 그러나 조직학적 악성도와 림프절 전이에 대해서 유의성이 없었다(Table 5). 이러한 결과는 Elledge 등(1993)

이 보고한 결과와 차이가 없었지만, p53 종양단백질의 발 현과 조직학적 악성도, 림프절 전이와의 상관성은 Haerslev와 Jacobsen(1995)이 보고한 결과와는 차이가 있 었다. 따라서 p53 종양단백질이 Bcl-2 종양단백질과 역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은 p53 종양단백질은 DNA가 손상 된 세포의 계획된 세포사를 유발하는 유전자로서 정상적 인 유전자를 유지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사료된 다. 또한 정상적인 p53 종양단백질은 세포의 유사분열을 억제시켜 종양의 증식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지만 종양이 발생하여 유전자에 이상이 발생하면 유사분열을 억제하 는 기능이 상실되므로써 계획된 세포사를 유도하지 못하 고 오히려 종양의 증식을 유도하여 종양세포의 유사분열 계수도 증가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계획된 세포사의 억제인자인 Bcl-2 종양단백질은 종양 의 세포질과 핵막에 염색되었고 스테로이드 호르몬 수용 체와 Ki-67 항원 및 c-erbB-2 종양단백질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계획된 세포사를 억제하는 Bcl-2 종양단백질과 세포사를 유발하는 p53 종양단백질과는 역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Table 5). 이러한 결과는 Collins 등(1992)이 보고 한 내용과 차이가 없었다. Lane(1993)의 보고에 의하면 여 러 원인에 의해 Bcl-2 종양단백질이 활성화되거나 p53 종 양단백질이 불활성화 되면 계획된 세포사가 억제되고 유 전자가 손상된 세포의 수명이 연장되어 암으로 발달할 수 가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유방암에서 종양세포는 고도의 증식력을 갖기 때문에 계획된 세포사를 억제시키기 위해 서 Bcl-2 종양단백질의 발현이 증가되는 것이라고 본다.

결론적으로 조직학적 악성도와 예후인자 사이에는 유

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예후인자들 중 스테로이드 호

르몬 수용체와 c-erbB-2, Bcl-2 및 p53 종양단백질은 유의

한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Bcl-2 종양단백질과 p53 종양단

백질은 역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종양단백질의 발

현은 스테로이드 호르몬 수용체와 유방암의 발생기전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기존의 많

은 연구에서도 예후인자들 간의 상관관계에 대해 일치되

는 소견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결과

들의 차이는 검사 방법의 선택과 조직의 상태 그리고 결

과의 평가에 있어서 주관적인 관점의 개입에 의해 차이를

보여주는 것에서 기인한다고 본다. 그러므로 결과의 차이

를 근접시키기 위해서는 각각의 예후인자와 관련된 유전

(10)

자에 대한 연구와 예후인자들의 조합을 위한 동시발현 연 구는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유방암 환자의 예후 및 치료에 대한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V. 결 론

유방암의 악성도에 따른 각각의 독립된 예후인자들로 작용하고 있는 스테로이드 호르몬 수용체(ER 및 PR)와 종양단백질들(p53, c-erbB-2, and Bcl-2)간의 연관성을 비 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1. ER 및 PR은 조직학적 악성도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ER의 발현이 증가하면 PR의 발현도 증가하였고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P<0.05).

2. c-erbB-2 종양단백질은 조직학적 악성도, 핵 유사분열 계수 그리고 림프절 전이와 폐경, p53 종양단백질에서 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으나, PR 및 ER과 Bcl-2 종양 단백질과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었다(P<0.05).

3. p53 종양단백질은 c-erbB-2 종양단백질과 조직학적 악 성도 그리고 림프절 전이 및 폐경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ER 및 PR 그리고 Bcl-2 종양단백질과 핵의 유사분열계수에서는 통계적인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P<0.05).

4. Bcl-2 종양단백질은 통계학적으로 림프절 전이, 조직학 적 악성도 및 폐경과는 유의성이 없었으나, 다른 병리 학적 예후인자들(ER, PR, p53, c-erbB-2 그리고 Ki-67) 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결론적으로, ER, PR과 종양단백질(c-erbB-2, p53 그리고 Bcl-2)은 조직학적 악성도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 다. 그러나 ER, PR과 종양단백질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 을 보였고, 특히 Bcl-2 종양단백질의 발현률이 높으면 p53 종양단백질의 발현률은 낮게 나타났으며 Bcl-2 종양단백 질과 p53 종양단백질은 역의 상관관계를 이루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종양단백질의 발현은 스테로이드 호 르몬 수용체와 유방암의 발생기전과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의 많은 증례가 나 온다면 유방암의 예후나 치료에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참 고 문 헌

1. Barner DM, Meyer JS, Gonzalez JG, Gullick WJ.

Relationship between c-erbB2 immunoreactivity and thymidine labeling index in breast carcinoma in situ.

Breast Cancer Res 18:7-11, 1991

2. Berger MS, Locher GW, Saurer S, Gullick WJ.

Correlation of c-erbB-2 gene amplification and protein expression in human breast carcinoma with nodal status and nuclear grading. Cancer Res 48:1238-1240, 1988 3. Clark GM, Borg A, Tandon AK, Sigurdsson H.

HER-2/neu amplication predicts poor survival in lymph node-positive breast cancer. Cancer Res 50:4332-4336, 1990

4. Collins MKL, Marvel J, Malde P, Lopez-Rivas, A.

Interleukin-3 protects murine bone marrow cells from apoptosis induced by DNA damaging agents. J Exp Med 176:1043-1045, 1992

5. Elledge RM, Fuqua SAW, Clark GM, Pujol P, Allred DC. The role and prognostic significance of p53 gene alteration in breast cancer. Breast Cancer Res 27:95-99, 1993

6. Elston CW, Ellis IO. The value of histological grade in breast cancer: experience from a large study with long-term follow-up. Histopathology 19:403-410.

7. Fisher B, Redmond C, Fisher ER. The contribution of recent NSABP clinical trials of primary breast cancer therapy to an understanding of tumor biology. Cancer Res 46:1009-1015, 1991

8. Haerslev T, Jacobsen GK. An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p53 with correlation to histopathological parameters, c-erbB-2,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and prognosis. Hum Pathol 26:295-301, 1995

9. Hengartner MO, Horvitz HR. C. elegance cell survival gene encodes a functional homolog of the mammalian proto-oncogene Bcl-2. Cell 76:665-671, 1994

10. Karayiannakis AJ, Bastounis EA, Chatzigianni EB,

Makri GG. Immunohistochemical detection of estrogen

receptor in ductal carcinoma in situ of the breast. Eur J

(11)

Surg Oncol 22:578-582, 1996

11. Khan SA, Rogers MAM, Obando JA, Tamsen A.

Estrogen receptor expression of benign breast epithelium and its association with breast cancer. Cancer Res 54:993-997, 1994

12. Korsmeyer SJ. Bcl-2 initiates a new category of oncogene: regulators of cell death. Blood 80:879-882, 1992

13. Lane DP. A death in the life of p53. Nature 362:786-792, 1993

14. Levine AJ, Momand J, Finlay CA. The p53 tumor suppressor gene. Nature 351:45-48, 1991

15. Marx D, Schauer A, Reiche C, May A. c-erbB-2 expression in correlation to other biological parameter of breast cancer. J Cancer Res Clic Oncol 116:15-23, 1990 16. Page DL. Prognosis and breast cancer: recognition of

lethal and favorable prognostic types. The Am J Surg Pathol 15:334-339, 1991.

17. Pezzella F, Micklem K, Turley H. Antibody for detecting p53 protein by Immunohistochemistry in normal tissues. J Clin Pathol 47:592-596, 1994

18. Sharma BK. Immunohistochemical co-expression of c-erbb-2/neu oncoprotein, altered tumor suppressor p53 protein, EGF-R and EMA in histological subtypes of infiltrating duct carcinoma of the breast. Indian J Exp Biol 37:223-227, 1999

19. Tandon AK, Clark GM, Chamness GC, Ullrich A.

HER-2/neu oncogene protein and prognosis in breast cancer. J Clin Oncol 7:1120-1123, 1989

20. Tsuda H, Tsugane S, Fukutomi T, Nanasawa T.

Progonostic factors for recurrent breast cancer :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including histologic grade and amplification of the c-erB-2 proto-oncogene.

Jpn J Clin Oncol 22:244-246, 1992

21. White K, Grether ME, Abrams JM, Young L, Farrell K,

Steller H. Genetic control of programmed cell death in

Drosophilia. Science 264:677-682, 1994

수치

Fig. 1.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ER and PR in human breast ductal  carcinoma(x 400)
Fig. 2.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Ki-67 antigen in human breast ductal carcinoma(x 400)
Fig. 5.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Bcl-2 in human breast ductal carcinoma(x 400)

참조

관련 문서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ethical dilemma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regard to age, economic status and satisfaction of

Histologic evaluation of early human bone response to different implant surfaces2. Histologic evaluation of human bone integration on machined and

Complete blood , white blood cell and platelet counts all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ces (p&lt;0.05), as did. In other tests, PT and aPTT had

Final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obsessive passion, one of the subfactors of sport passion, and in physical game performance, one

First, the level of career barriers of visually impaired university stude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in their majors, but the level

First, Among the variations in the variables b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leader mentoring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alysis of whether social support affects psychological well-being showed positive influence, especially that evaluation support has a statistically

Results: The results demonstrat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muscle atrophy and the tendon tear.(p&lt;0.05) And there was statistic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