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부록 2. 서부 아무르유역 초기중세 토기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부록 2. 서부 아무르유역 초기중세 토기"

Copied!
2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Ⅰ. 미하일로프까문화토기

Ⅱ. 흑수말갈 나이펠트 그룹토기

Ⅲ. 뜨로이츠끼그룹 말갈토기

고고학민족학연구소) 번역 : 홍 형 우

(국립문화재연구소 유적조사연구실)

* 본 논문은 2005년도 문화재연구 전문가 초청 강연회의 강연 내용을

(2)

상 중 하류로 나뉘는 아무르유역은 현재 아무르주와 하바롭스크주, 그리고 중국 흑 룡강성의 아무르강 유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아무르유역의 북쪽 경계는 스타노프산맥, 남쪽은 일후리알린산맥, 동서는 소흥안령(小 安嶺)이다. 소흥안령은 아무르유역을 동부 와 서부 두 지역으로 나눈다<슬라이드1>. 이 산맥은 역사상 여러 단계에서 일정한 경 계를 이루는 역할을 하여왔다.

소흥안령의 서편인 서부아무르유역의 중세시대는 몽골어족 북실위(北室 )의 미하일 로브까문화와 관련된 서기 3세기에 시작되었다. 동부아무르유역의 중세시대는 퉁구스어 족 흑수말갈( 水 ) 나이펠트그룹(중국에서는 동인문화로 칭함)으로 4세기말에서 5 세기에 시작되었다. 7세기말에서 8세기에는 흑수말갈과 발해말갈 대그룹이 서부아무르 유역으로 이동하며, 10세기까지 토착민인 미하일로프까문화인들을 동화시켰다.

현재 5개 형식으로 나뉜다(전체 60개체). 이중 외반구연호와 호형토기 두 형식이 주 류를 이룬다. 이밖에 미하일로프까성 주거지에서는 10개의 소형토기가 출토되었으나, 형태에 있어서는 호형토기와 외반구연호와 같다<슬라이드 2, 3>.

1. 1형식

외반구연호. 어깨가 구분되며, 난형동체이고, 넓고 약간 외반한 목을 가진 토기들이다 (전체토기의 약 90%에 달한다). 저경과 구경의 비율은 1:2.3~3.5이다. 이 형식토기의 형태적 자료에 따르면 각 지수와 용량에서 상당한 다양성을 보여준다. 용량은 소형토기 가 0.2~0.5리터, 중형 토기가 1.5~2.0리터, 대형 토기가 3리터 이상이며, 가장 큰 것은 10리터 이상이다<도면 1-1~3>.

2. 2형식

좁은 목의 호형토기로 수량은 적으나 확실한 토기 형식을 이룬다(전체 토기의 10%미

(3)

만이다). 구형동체, 경사진 어깨, 깔때기모양으로 상당히 외반된 구연부를 가진다. 저부 는 넓다. 용량은 역시 다양한데, 소형은 0.5~0.6리터, 중형 1.0~1.5리터이고, 대형이 10~12리터이다<도면 1-7~8>.

나머지 3개 형식 토기들은 하나의 토기로 구성되어 있다.

3. 3형식

구형동체 단경호이다<도면 1-6>.

4. 4형식

부푼 동체의 외반구연토기이다(부긴스끼 끌류치2유적 1호주거지). 형태면에서 1형식 과 3형식의 중간형이다<도면 1-5>.

5. 5형식

타원형 동체로, 높은 어깨로 인해 최대경이 저부쪽인 동체하부에 있다<도면 1-4>

(토기 크기는 슬라이드 5 참조).

문양은 대부분 어깨에서 동체하부에 새겨져 있다<슬라이드 4>. 문양은 주로 목제 롤 러형 스탬프로 시문되었으며, 시문구 각 단위 문양은 정방형이 대부분이고, 드물게 장방 과 능형있다. 토기표면을 따라 시문구를 굴리는 기법으로 시문하였으며, 그 결과 전체적 으로 빽빽하게 문양이 새겨지는 유사직물문을 이룬다. 드물지만 다른 문양으로는 3~8 개의 빗살형 시문구를 수직으로 새긴 것이 있다<도면 1-3>. 무문토기도 한점이 있다

<도면 3-5>.

유사직물문의 기술적 의미는 기벽을 강화하는 것이다. 시문이후에 표면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 드물지 않게 마연이나 물손질에 의해 문양이 말소되었다. 특히 토기 접합부 의 문양이 말소되었다. 이 경우 동체부 두께는 두껍지 않으며, 가장 두꺼운 토기도 4~5mm이다.

다른 문양대는 외반구연호와 호형토기의 구연부 아래로, 덧띠파상문이 시문되었다.

드물게는 덧띠가 각목되어 있지 않으나, 대부분 수직 혹은 경사지게 깊게 각목되었다.

모든 미하일로프까토기의 구연에는 점토띠 같은 것이 남아 있는데, 이는 구연 접합부

(4)

미하일로프까토기의 형식과 기술적 특성은 외반구연호와 호형토기가 서로 비슷한데, 이들이 동시기에 존재하였음을 말하여준다. 이러한 상황은 한 주거지에서 두 토기가 함 께 출토된 것으로도 알 수 있다. 그러나 부레이강의 유적 발굴에서는 3~4세기초에는 호형토기가 나타나지 않는다. 이것으로 보아 호형토기는 조금 늦은 시기에 출현하였으 며, 4세기 후반에서 6세기로 편년된다.

아무르유역에서 일련의 발전 단계를 거친다. 첫 번째 단계(4,5~7세기)는 회전판을 이용한 호형토기와 외반구연호가 특징이다. 여기에는 동부아무르유역의 유적들이 속한 다. 두 번째 단계(8~10세기)에는 호형토기가 사라지고, 외반구연호가 주류를 이룬다.

문양은 보다 다양해져 문양요소의 수와 그 조합이 증가한다. 첫 번째 단계에서처럼 완- 찻잔이 생활용기로 계속 사용된다. 이 시기에 나이펠트 토기문화에 뜨로이츠끼 그룹과 의 상호작용의 결과에 따라 발형토기가 출현하지만, 주형식을 이루지는 못한다. 세 번째 단계(11~12세기)는 샤프까, 시까치-알랸, 물란치둔 같은 유적의 주거지에서 출토된 외 반구연호로 대표된다. 이들의 특징으로는 동체부에 시문되었던 덧문양 요소들이 감소한 것이다.

서부아무르유역 유적들(노보뻬뜨로프까고분, 샤프까 고분, 우스찌-딸라깐 유적, 꾸쁘 리야노보 주거지2)의 나이펠트 토기 형식은 주로 샤프까 고분의 연구로 대표된다(보정 연대 680~825년)<슬라이드 6, 7>. 고분에서 출토된 모든 토기들은 4형식으로 나뉜다

<슬라이드 8>.

1. 1형식

외반구연호<도면 3>로, 모든 토기들이 길죽하거나 혹은 아주 길죽하다. 이들은 주로 중간 정도의 프로필을 가지만, 아주 낮고, 넓거나 혹은 아주 넓은 목을 가지고 있다. 모 든 토기의 어깨는 상당히 약하게 구분된다. 대부분의 외반구연호는 길죽한 동체를 가지 고 있다. 저부는 넓거나 아주 넓다<도면 3-1~4, 8~15, 도면 4-1, 2, 4, 5, 7, 9).

2. 2형식

호형토기. 이 형식의 토기는 단 1점이며 도면복원된 것이다<도면 4-10>. 상당히 길 쭉한 토기이다. 각 지수에서 상당히 유사성을 가지고 있는 외반구연호와 이 호형토기의

(5)

차이점은 전체 높이에 따른 경부 높이에 있다. 외반구연호는 2:10을 이루지만 호형토기 는 3:10을 이룬다.

3. 3형식

완형토기. 나이펠트 그룹에는 드물며, 2개의 서로 다른 형태로 대각을 가진 완(고배) 과 접시가 있다<도면 4-8>.

4. 4형식

발형토기. 1개체가 있다<도면 4-3>. 목이 약하게 구분되며 동체는 타원형을 이룬다.

또한 목과 어깨가 만나는 부분에 좁은 각목되지 않은 덧띠문이 있는데, 이는 뜨로이츠 끼 그룹토기를 연상시킨다.

외반구연호는 3개의 문양대(구연아래, 어깨, 동체하부)와 2개의 문양형식이 있다. 새 김문(점열문; 다치압인문; 찌름문; 빗살문, 조문; 1~5개의 수평, 지그재그, 곡선, 아치형 압인선문; 수직선문; 드물지만 유사직물문 등)과 덧문(비각목과 각목된 1,2 덧띠파상문) 이다. 동체하부에 시문된 토기는 3점이 있다. 2점은 동체와 저부 접합부에 새겨져 있고, 1점은 저부에서 동체부 위쪽으로 2줄의 평행선을 그은 것이다. 전체적으로 토기복합체 의 특성의 관점에서 보면, 나이펠트 말갈 그룹(흑수말갈) 전통이 형성된 것으로 말할 수 있다.

5. 5형식

내반구연토기이다<슬라이드 10>. 서부아무르유역에서 유사한 형태의 토기가 드물지 만 제야강 우랄로프까마을, 아무르의 샤뽀치까마을, 벨로비료자 호수에서도 발견되었다.

벨로비료자 호수 토기는 수직축에서 약간 부푼 동체에 높지 않은 어깨가 있고, 목이 없 으며, 동체는 곧고 편평한 구연으로 직접 이어진다. 뒤쪽 벽은 거의 수직이고, 반대편은 좀더 부푼 편으로 토기 높이에 1/3지점이 가장 튀어나온 타원형을 이룬다. 하부쪽에 파 상덧띠문이 있다. 바닥은 평저이며 평면형태는 타원형이다.

서부아무르유역에서 출토된 몇몇 토기들은 토착적인 미하일로브까토기에 도래한 흑수 말갈문화의 영향 가능성에 대한 증거를 보여준다. 즉 자비따강의 파괴된 고분인 자비찐 스끄고분에서 나이펠트 1형식의 완형토기가 출토되었는데, 토기 동체에 전체적으로 유 사직물문이 시문되어 있었다<슬라이드 10>. 나이펠트토기 시문모티브 중에서 이러한

(6)

의 유적에서는 이러한 문양은 없었으며, 미하일로프까문화 토기에만 존재하던 특징이다.

따라서 이 토기는 나이펠트 토기전통에 따라 만들었으나 미하일로프까 문양이 시문된 것이다. 이러한 합성의 출현은 한 지역에 다양한 토기전통을 가진 주민들이 공존할 경 우에만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서부아무르유역에서 나이펠트보다는 훨씬 자주 나타나는데, 이는 틀림없이 그 주민의 수가 더 많았던 것과 관련될 것이다. 1980년대에서 1990년대에 연구된 뜨로이츠끼그룹 의 토기형식은 현재까지 큰 변화없이 이어져 온다. 구분된 4개의 토기형식(외반구연호, 호형토기, 발, 완)은 부레야강, 리뽀브이 부고르고분, 샤뽀치까마을, 뜨로이츠끼고분에서 새로운 자료가 출현했음에도 불구하고, 뜨로이츠끼토기의 근간으로 남아 있다. 토기복합 체에서 발형토기가 우세한 방향으로의 뜨로이츠끼그룹의 형식변화라는 상황 역시 같다

<슬라이드 11, 12>.

여기에서 보다 중요한 것은 뜨로이츠끼그룹 말갈토기의 기원에 관한 문제이다. 우리 가 이미 파악하고 있는 바와 같이 이는 아마도 이미 남만주의 말갈족 혹은 발해말갈이 8~11세기에 아무르유역에 출현한 것일 것이다. 소흥안령에서부터 서편으로 뜨로이츠끼 그룹 유적민들이 이주하였고, 동편으로는 아무르만주족이 이주하였는데(우리 의견으로 는, 이것은 10세기 이후 아무르유역의 민족적 적응이다), 이 기원은 역시 발해와 관련 이 있다. 이러한 명제는 아무르유역과 송화강의 고고학적 자료(大海猛 찰리바고분)의 비교분석에 기초한다. 아무르유역에 발해말갈의 도래와 더불어 북실위 미하일로프까문 화와 흑수말갈 나이펠트그룹에서는 없었지만 찰리바고분에는 잘 알려진 유물복합체가 출현한다. 유물에서의 매장의식의 일정한 유사성(나무곽구조, 불의식 사용, 2차장) 이외 에 차이점도 있다. 첫째, 아무르유역 고분들에서는 시신을 다리를 구부리고 무릎을 위로 들어 올려 등을 땅쪽으로 하여 안치한다. 찰리바의 고분들에는 다리가 펴져 있다. 둘째, 찰리바에는 철사고리와 연옥 디스크형 걸개가 결합된 복합형 귀걸이가 없으며, 여기에 는 시문된 말굽뼈도 발견되지 않았다. 아무르유역의 유적들에서는 이러한 형식의 귀걸 이들이 매우 많으며, 시문된 말굽뼈도 뜨로이츠끼그룹 유적들에는 많고, 아루르 만주에 는 이보다는 약간 적다. 셋째, 찰리바고분의 부장품은 아무르유역 유적들과는 달리 고분 에 매장되기 이전의 특별한 훼손흔적이 거의 없다.

유사한 경향은 토기 관계에서도 관찰된다. 만주와 아무르유역의 토기들의 형태적 유

(7)

사성에도 불구하고, 주목되는 것은 뜨로이츠끼그룹 토기의 특성인 유사직물문이 남만주 토기에는 없다는 점이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다음과 같은 가설이 제기된다. 즉 뜨로이츠 끼그룹 말갈은 송화강에서 도래한 말갈과 미하일로프까문화 토착주민의 융합의 결과이 다. 그 결과 토기 성형시 발해말갈의 토기에 무문이 아닌 유사직물문의 타날문기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미하일로프까인들이 이러한 기술(유사직물문)을 받아드린 이후, 미 하일로프까문화 토기제작의 특징이었던 굴림문기법은 더 이상 사용되지 않았다. 토착민 들에 채용된 두 번째 가능한 혁신은 그들에게는 새로운 장란형의 토기형태였을 것이다.

즉 이러한 크지않은 유물들은 아무르 강안 샤뽀치까 마을유적 주거지에서 발견되었다

<슬라이드 13>. 이밖에 미하일로프까 주민의 또 하나의 발해말갈의 토기제작기술 수용 은 구연단의 처리방법으로, 그 결과 미하일로프까문화에서는 거의 제거하지 않는 구연 단 외표면에 점토띠 같은 것이 남아 있다(찰리바고분출토 토기에는 이러한 요소가 없 다)<슬라이드 14>. 서부아무르유역 주민에 의한 이러한 토기제작 기술의 수용은 딸라 깐문화에서도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이러한 단순한 구연단 가공의 수용을 뿌리내린 말 간인들은 이후에 이를 토기제작시에 독창적으로 재이용하였다. 결과적으로 점토띠 같은 것은 특별히 덧붙인 덧띠로 변화되었으며, 그 후 2개의 파상문으로 나뉘었고 그중 윗부 분의 덧띠는 점토띠 같은 것을 모방한 것이다. 이러한 뜨로이츠끼토기는 뜨로이츠끼고 분, 리뽀브이 브고르고분, 샤뽀치까와 가르마깐 마을, 부레이강 거주지 등에서도 발견되 었다<도면 6>. 이러한 새로운 말갈토기제작 상황은, 이후의 뜨로이츠끼말갈 이동이 자 바이칼에서 가정되었던 것처럼 비단 서부아무르의 경계에 뿐 아니라 유사한 토기가 발 견된 바 있는 아무르 하류에도 일어났다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서부아무르유역 초기 중세에는 3개의 주요 토기전통이 있었으며, 그중 미 하일로프까문화가 토착적인 것이었다<슬라이드 15>. 북실위인들을 10세기까지 동화시 킨 도래한 흑수말갈과 발해인들은 크고(발해인들) 작게(흑수말갈) 미하일로프까 문화인 들의 몇몇 토기제작기법을 변화시켰다. 발해에 의해 몇몇 미하일로프까 토기제작 특징 들의 수용 결과, 말갈토기의 뜨로이츠끼 유형이 형성되었다. 여기서 주목되는 것은 현재 의 자료에 의하면 미하일로프까문화는 변화해간 것이 아니라 문화자체가 10세기에 사 라졌다는 점이다.

(8)

, ,

,

- , .

, - ,

.

: ( 2).

.

, ,

III .

.

- ( - )

IV - V . VII ? VIII .

,

. .

(60 ). - -

. , 10

, (

2, 3).

1. - , ,

, ( 90%

). 1:2,3-3,5.

(9)

. : - 0,2-0,5 ; - 1,5-2,0 ; ? 3 ,

- 10 ( . 1-3).

2 - , (

10% ). , ,

, .

.

: - 0,5-0,6 ; - 1,0-1,5 ; - 10-12 ( . 7-8).

.

3 - ( . 6).

4 - ,

( -2, 1). ,

1 3 ( . 5).

5 - ( ) -

,

( . 4). ( 5).

, ( 4).

, , , ,

.

,

, ( . 4).

( ) 3 8 ( . 3).

( . 5).

- .

,

.

, .

, 4 - 5 .

(10)

- . ,

,

. ,

.

, .

.

. , III - IV .

.

IV-VI .

. (IV-V - VII .) - ,

, . .

(VIII - X .) ,

.

. - .

,

. (XI - XII .)

, - , .

, .

( :

, , - , 2; )

. (

680-858 .) ( 6, 7).

( 8).

1 - ( . 3),

. , ,

. .

.

( . 3, 1-4, 8-15; . 4, 1, 2,4,

(11)

5, 7, 9).

2 - .

( . 4, 10). -

. ,

,

. 2:10, - 3:10.

3 - .

: ( . 4, 8).

4 - . ( . 4,

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5 ( 10).

. . , . . .

, , ,

, .

, -

1/3 . .

, .

(12)

. , .

1,

( 10).

, - .

,

. ,

, .

.

, , , , .

1980 - 1990-

.

- , , , - .

, , , ,

.

(((( 12,13 12,13 12,13 12,13 . . . . )))).

. , , , -

, - , VIII - IX . . , -

( ,

X .), .

( . , ) .

,

,

. . , ,

( , ,

), . ,

(1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

, ,

,

( ,

), ( 14).

. ,

,

. ,

, .

(14)

, , . . ( .

6). ,

,

, , .

,

,

( 15). , X

, ( ) ( )

.

. ,

,

, . .

(15)

THE MAP OF THE EAST ASIA

THE MAP OF THE WESTERN REGION OF AMUR RIVER

(16)

BK-1

BK-2

(17)

도면 2

. -

: 1-3 - 1, 7-8 - 2, 6 - 3, 5 - 4, 4 - 5, 9-12 -

도면 1. 미하일로프까문화 토기의 문양 - 형태적 형식 1~3(1형식), 7~8(2형식), 6(3형식), 5(4형식), 4(5형식), 9~12(소형토기),

도면 2. 부낀스끼끌류치 1 토기 도면 1

(18)

NN of the dwelling/

№ of the vessel

in it 

Diameter of a rim

 

Diameter of the basis of a neck

 

Diameter of the

body  

Diameter of a bottom

 

Height general

 

Height of a nec

 

Height of a shoulder

 

Height of lower

piece of vessel  Bukinskiy

Bukinskiy Bukinskiy

Bukinskiy Kluch-2Kluch-2Kluch-2Kluch-2

1111 1/1 10 7,3 11,2 5,2 12,5 1,7 4,5 6,3

2222 1/2 15 11 16 5 22 3 11 8

3333 1/3 10,5 7,5 9,6 4,2 13 1,7 4,7 6,6

4444 1/4 26 20,5 28,7 7,5 38 3,5 13,5 21

5555 1/6 18,5 14,5 20,5 6 24,5 2 11 11,5

6666 1/8 16,5 13,5 25,5 9 24,5 2,5 9 13

7777 1/10 13,5 10,5 14,3 6 18 2,3 7,8 7,9

8888 1/11 17,5 14 20,5 5 25 2,5 11 11,5

9999 2/12 15 10,5 16 6,5 22 3 7,5 11,5

BBBBoooollll sssshhhhiiiieeee SimichiSimichiSimichiSimichi 1010

1010 2/1 13,3 9,8-10 13,4 5,2 18,5 3 6 9,5

11 11 11

11 2/2 15,2 12,1 15,7 6 20 3 8 9

12 12 12

12 3/3 21 18 23 6,6 29 3 11 15

13 13 13

13 4/4 7,8 3,5 12,2 6 13 3 4 6

14 14 14

14 4/5 8,5 6,5 9,5 6 10,2 2,7 3,6 3,9

15 15 15

15 4/6 20,5 14 25,5 12 36 6 10 20

Bukinskiy Bukinskiy Bukinskiy

Bukinskiy Kluch-1Kluch-1Kluch-1Kluch-1 1616

1616 The Hole 1 23 18,5 25,8 7,8 33,5 3 12 18,5

1717

1717 1/7 31,5 28,5 37,5 9 44 4 15 25

18 18 18

18 1/2 32,5 25,8 33,8 12,2 46,1 4 16 26,1

19 19 19

19 3/5(2) 19,2 15,2 20,5 7,5 28,4 3 10,4 15

20 20 20

20 3/2 21 15 22 6 29 3,5 12,5 13

(19)

1983

2003

1983

M 16v

M 183

(20)

도면 3. 샤프까 고분군 출토 토기 도면 4. 샤프까 고분군 출토 토기

The vessels from a burial ground the Shapka

(21)

с

Place of a find

Diameter of a rim

Diameter of a neck

Diameter of a body

Diameter

of a bottom Height

Height of a neck

Height of a shoulder

Height of lower piece of vessel

Thickness of a wall

1 Sq. G-10 9,0 7,43-7,6 8,5-8,66 4,8-4,97 14,57-14,7 2,8 4,5 7,4 0,5 2 Sq. I-10 8,5-8,88 6,7-7,25 8-8,31 5,6-5,93 13,95-14 2,5 3,5 8 0,5

3 M. 12 9,9 7,9 9,4 5,6 15 3,0 4,2 7,8 0,3-0,6

4 M. 189 11,5-11,85 10,2-10,5 11,7-12,3 5,4-6,06 19,4-20,08 3,0 5,9 10,5 0,7 5 Sq. D-6 9,8-10,26 7,1-8,68 10,3-10,7 5,2-6,53 16,4-16,07 2,6 5,8 8 0,4 6 M. 187 11,4-11,64 9,2-9,24 11,5-12,04 7-7,45 17,9-18,17 3,0 7,2 7,7 0,5-0,6 7 M. 183 9-9,19 7,56-7,6 8,8 5-5,1 14,68-14,9 2,5 5,9 6,5 0,4-0,5 8 M. 190 8,3-8,4 7,6-7,7 8-8,4 4,3-4,73 14,5-14,58 2,0 4,4 8,1 0,4

9 Sq. D-12 8,9 7,7 9,6 5,4 14,7 1,5 5,3 7,9 0,4

10 M. 6 8,3 7,2 8,8 5,3 15,3 4,0 4,4 6,9 0,5

11 M. 25 11-15 9-9,9 10,14-10,4 5,87-5,9 16,5-16,64 5,3 4,4 6,8 0,5-0,6

12 M. 17 23,0 11,5 21,2 11,5 38,5 8,5 13 17 0,7-0,8

13 M. 45 8,4 7,3 8,1 5,1 12,4 1,8 4,6 6 0,5-0,7

14 M. 7 12,3-14 9,9-12,42 14,7-15 7,33-7,5 22,7-23,6 2,7 9,5 10,5 0,5-0,6 15 M. 2 15,4-17,6 13,2-14,2 16,3-17,2 7,9-7,78 31,6-32,4 4,5 11,6 15,5 0,4-0,6

16 Sq. -6 9,5 8,5 9,8 6,0 17,8 2,5 6,4 8,9 0,5-0,6

17 M. 23 b, g 9,4 7,6 10,5 6,0 17,5 1,5 7,4 8,6 0,5

18 M. 45 10,98 8,94 11,46 6,28 19,2-19,5 2,9 8,2 8,1 0,6

19 M. 189 8,67-8,7 7,3 8,4-8,5 5,3-5,6 14,72-14,8 3,2 4,7 6,9 0,5-0,6 20 M. 16 v 8,3-8,35 6,7-6,73 8-8,02 4,11-4,2 11,5-11,7 2,3 3,6 5,6 0,4-0,5 21 M. 12b 10,4-10,56 8,7-8,82 10-10,03 5,7-6,04 15,74-15,8 2.7 4,8 8,3 0,5-0,6

22 Sq. I-10 11,06 8,72 11,88 6,57 17,03 3,1 6,93 7,0 0,5-0,6

(22)

The Vessel from Beloberyozovoe Lake

The Vessel from the Zavitaya River

(23)
(24)

The Vessels from the Shapochka site

(25)

도면 6. 뜨로이츠끼 토기

(26)

참조

관련 문서

웹 표준을 지원하는 플랫폼에서 큰 수정없이 실행 가능함 패키징을 통해 다양한 기기를 위한 앱을 작성할 수 있음 네이티브 앱과

_____ culture appears to be attractive (도시의) to the

부록 경제활동인구조사 개요... 부록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34;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2) 일반적으로 유전자재조합기술에 의해 형질이 전환된 생물체를 유전자재조합생물체(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GMO)라 고 말한다.. 를 판매하지 않는 몇몇

 해류는 바람의 방향과 거의 일치하므로 동쪽에서 서쪽으로 흐 르는 B 해류는 동풍 계열의 바람에

In a recent study([10]), Jung and Kim have studied the problem of scalar curvature functions on Lorentzian warped product manifolds and obtained partial

metaphors) (conceptual metonymy), (profile shift) 와 같은 인기 기제를 통해서 원형적인 의미들로부터 확장되어 나온다고 주장 한다 이러한 다의어의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