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동남아 한상의 비즈니스 특성과 기업가정신 사례 비교분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동남아 한상의 비즈니스 특성과 기업가정신 사례 비교분석"

Copied!
2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동남아 한상의 비즈니스 특성과 기업가정신 사례 비교분석: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한상을

중심으로

이장섭1)

Ⅰ. 연구의 목적

Ⅱ. 기존 연구 및 분석틀

Ⅲ. 인도네시아 한상의 비즈니스 특성과 기업가정신

Ⅳ. 말레이시아 한상의 비즈니스 특성과 기업가정신

Ⅴ. 한상의 비즈니스 특성과 기업가정신 사례 비교분석 결과

◁ 목차 ▷

1)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연구교수

(2)

<Abstract>

Characteristics of Korean Business in Southeast Asia and Comparative Analysis of Entrepreneurial

Spirit Cases: Focused on Korean Business in Indonesia and Malaysia

Lee, Jangsub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analyze the business characteristics and entrepreneurial spirit of Korean business in Indonesia and Malaysia, based on the in-depth interviews about Korean business in Southeast Asia, which was arranged in Indonesia and Malaysia in August 2016. In addition, business characteristics and entrepreneurial spirits were analyzed as five types, such as resource saving type, labour saving type, market opening type, distribution service type and knowledge service types in Indonesia. In the case of Malaysia, it was classified as four types: distribution service type, trade service type, food service type, and Hallyu oriented type.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business characteristics and Korean business’

entrepreneurial spirit in two countries,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have been presented.

<Key Words> Korean Business in Southeast Asia, Korean Business in Indonesia, Korean Business in Malaysia, entrepreneurial spirit, business characteristics

(3)

I. 연구의 목적

인도네시아는 아세안 10개국 중 인구가 가장 많으며 세계 4위인 2 억 5천만 명으로, 1인당 국민소득 또한 5천 달러에 가깝다. 2016년도 기준으로 인도네시아에 거주하는 한인은 5만여 명 정도이며, 또한 한 인 기업 2,200여 개가 100만여 명의 현지인을 고용하며 활발한 비즈 니스 활동을 하고 있다2)

한편 말레이시아 거주 한인은 2015년도 기준으로 1만 3천여 명이 며 이 중 1만여 명은 쿠알라룸푸르와 인근 조호바루 지역에 거주하 고 있다. 이들은 한국에서 진출한 대기업의 지사나 상사원 또는 현지 진출 은행원이나 한국에서 진출한 공기업체의 직원, 대사관이나 영사 관의 직원, 그리고 그 가족들이 포함되어있다. 그러나 진출한 한인 중 대부분은 한국에서 현지에 스스로 진출하여 창업을 통해 성장해나가 는 기업이나 자영업자들이다. 이들은 현지에서의 비즈니스 실적이 축 적됨에 따라서 진출국에서의 경제적 입지 구축과 사회적 공헌을 통 하여 그리고 모국기업과의 경제적 네트워크를 통하여 성장해감으로 써 모국에 기여하는 바가 적지 않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인도네시아나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 한상3) (지상사 제외)에 대한 연구는 일천하다. 특히 본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한상에 대한 비즈니스 특성과 기업가 정신 사례연구는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인도네시 아에 진출한 한상과 말레이시아에 진출한 한상에 대한 사례조사를 통해 양국 한상 간 비즈니스와 기업가정신 차원에서 특성을 도출하

2) 한생컨설팅, 『종합가이드 인도네시아』2016: 26

3) 본 논문에서의 한상은 한국기업의 지사나 상사를 제외한 순수하게 현지에 서 창업을 통하여 성장해나가는 기업을 말한다.

(4)

여 한상들에게 필요한 정보제공과 아울러서 비즈니스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본 논문의 연구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2016년 7월 21일부터 8월 14일까지 인도네시 아와 말레이시아를 방문하여 현지진출 한상에 대한 면담을 통해 비 즈니스 특성과 기업가정신에 대한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양국 한상간의 특성 비교와 비즈니스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이는 동남아 한상네트워크 구축의 초석이 되며 나아가서는 세계 한 상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기반을 다지는데 이바지할 것으로 기 대된다.

Ⅱ. 기존 연구 및 분석틀

설동훈에 의하면 1998년 “한국기업의 인도네시아 진출” 논문에 서 한국기업의 인도네시아 투자유형을 자원확보형과 노임절감형, 시장진출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런데 본 연구자가 2016년 7 월 21일부터 8월 14일까지 인도네시아 한상에 대한 사례조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한계점을 찾을 수 있었다.

첫째, 1970년대 후반부터 인도네시아에 진출하여 한국식품을 수입 해서 인도네시아 전역에 유통을 하고 있는 유통서비스업에 대한 기 업의 유형을 간과한 것이다. 둘째, 인도네시아의 한인들이 진출한 초 창기부터 한인 기업가들의 인허가, 체류비자 획득 업무 등 지식서비 스형 비즈니스를 진행해 온 기업가들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이에 대 한 유형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설 동훈(1998)이 분류해 온 기존의 진출유형인 자원확보형과 노임절감 형, 시장개척형에 추가하여 유통서비스형과 지식서비스형의 5가지 유 형에 대한 인도네시아 한상들의 비즈니스 특성과 기업가정신 사례를 분석하였다.

(5)

<표 1> 한상의 인도네시아 진출유형 (설동훈, 1998)4) 일부 수정

한편 말레이시아 한상의 경우 기존 연구자들의 진출유형에 대한 선행연구가 전무하여 본 연구자가 현지에서 사례조사를 한 자료를 바탕으로 유통서비스형과 무역서비스형, 음식서비스형, 한류지향형의 5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말레이시아 한상의 업종 별 비즈니스 특성과 기업가정신 사례를 분석하였다.5)

4) 설동훈(1998)은 한인기업의 인도네시아 진출 유형을 자원확보형, 노임절감형, 시장개척형으로 나누었으나 본 연구자는 현지 사례조사를 통하여 유통서비형 과 지식서비스형을 추가하였다.

5) 한상의 말레이시아 진출유형의 경우 기존연구에서 진출유형에 대한 분석틀이 없어서 본 연구자가 현지 조사를 통하여 진출유형을 구성하였다.

진출

유형 기업의 특성

자원 확보형

⦁원재료의 안정적 공급원확보를 통한 생산의 수직적통합 -원유, 석탄, 동, 목재, 펄프, 고무, 사탕수수, 팜유 등 자

원개발 기업 노임

절감형

⦁노동비용 최소화에 주력하여 해외수출용 상품생산 -즉, 봉제의류, 신발, 완구 등 저기술·노동집약적 중소기

업 시장

개척형

⦁현지시장 개척과 판매망 확충

-전자, 자동차, 기계, 화학, 철강 등 고기술·자본집약적대 기업

유통서비스형

⦁인도네시아의 식품수입허가인 ML을 통하여 1000여 가 지 한국식품 유통 - 라면, 막걸리, 소주 등 한식의 세계 화에 앞장섬

지식서 비스형

⦁인도네시아 가처분 소득의 증가와 외식문화의 정착 등 서비스업의 확대로 금융, 컨설팅업의 지속적 성장가능

(6)

Ⅲ. 인도네시아 한상의 비즈니스 특성과 기업가정신 1. 인도네시아 시장의 특성과 한인의 실태

인도네시아에 거주하는 한인은 2016년 기준으로 5만여 명으로 조 진출

유형 기업의 특성

유통 서비 스형

⦁초창기에 진출하여 철저한 현지문화 체득을 통한 사업기반 확 보

⦁한국식품의 할랄식품으로 인적받기위한 장기적인 전략 주효

⦁월드옥타나 YBLF 등의 한상네트워크 무역

서비 스형

⦁한국은 말레이시아의 7대 교역국이자 제 2위의 투자국으로 활 발한 무역‧투자 활동을 전개함

⦁유창한 현지 언어를 무기로 수입 상품의 매출 증대 기여

⦁진출 국가에서의 사업 성공 첫째 요소는 현지화이나 인력은 현지인을 채용해야 함

음식 서비 스형

⦁교민 수 15,000명에 한국식당만 400개로서 식품한류가 힘을 받 고 있는 나라임

⦁드라마 ‘대장금’의 영향으로 한식에 대한 수요층이 급증하면서 한국식당의 급속 확산

⦁‘캠퍼스프로젝트’로 대학을 방문하여 한국식품 홍보 등 구전 마케팅의 효과 증대

한류 지향 형

⦁말레이시아는 베트남에 이어 태국, 싱가포르와 함께 한류가 하 나의 주요한 문화트렌드로 정착되고 있는 대표적인 나라 중 하 나임

⦁한류의 영향에 의해 한국산 식품류의 관심 증대에 따라서 한국 슈퍼마켓들이 몽키아라 등 지역에 성업 중임

⦁할랄인증 획득을 통한 말레이계 소비자 확대 마케팅전략 주효

<표 2> 한상의 말레이시아 진출유형

(7)

사 되었으며, 이들은 인도네시아 최대의 외국인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있다. 주요 한인단체로는 재인도네시아 한인회가 있으며 교육기관으 로는 자카르타 한국국제학교(JIKS)와 10개의 한국학교가 설립되어 있 다. 이외에 주요 단체로는 재인도네시아 한인상공회의소, 민주평통자 문회의, 세계한인무역협회지회, 한국자유총연맹지부, 대한체육회지부, 한인문화예술단체총연합회, 세계한민족여성네트워크지회 등이 있다.

또한, 현재 비즈니스 활동을 하는 한상은 2,200여 개가 있으며, 여기 에는 100여만 명의 현지인이 고용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인도네시아 시장의 특성을 보면 인도네시아는 초기 진출이 쉽지 않고 장기간이 소요되나 시장규모 및 특성, 산업구조, 성장잠재력 측 면에서 진출에 성공할 시 큰 기회를 제공해주는 시장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산업별 시장이 이미 어느 정도 포화상태이고 열악한 인프 라 및 낮은 정부신뢰도 등이 장애 요인이나 한국기업만이 보유한 강 점을 바탕으로 새롭게 활용 가능한 기회요인을 적절히 접목 시 진출 이 유리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현지 기업환경 및 문화를 충분히 이해하면서 이를 바탕으로 주력제품의 차별성을 확보 시 시너지효과 를 창출하고 상생협력을 통해 현지진출 확대가 가능하다.

진출 전략으로는 한국만의 차별화된 모델로 인도네시아 시장 진출 확대를 추진하기 위해 한국상품을 차별화하고 포지셔닝 할 필요가 있다. 인니 소비자에게 새로운 가치와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고 제조업 발전에 따라 필요한 자본재·중간재 유 망품목에 집중해야 한다. 그리고 투자를 인프라, IT, 제약, 자동차 등 내수시장 지향투자로 전환해야 한다. 또한, 인도네시아 시장 진출 시 인니 One Village on product의 체계적인 지원을 통해 지역사회의 성 장을 도모하고 협력모델을 발굴해야할 것이다.6)

6)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2017 인도네시아 진출전략」, 2016, p. 28

(8)

2. 인도네시아 한상의 단계별 진출과정

한국기업의 인도네시아 진출은 1960년대부터 시작되었으며 1980년 대까지 자원개발 또는 섬유, 신발·봉제 등 노동집약적 산업의 진출이 주축을 이루고 있었다. 1990년대 이후에는 내수시장을 목표로 진출분 야가 철강, 전자, 건설 등으로 다양해졌으며 2012년 이후부터는 포스 코, 한국타이어 등 대기업 진출로 투자 규모가 대형화되는 추세를 보 이고 있다. 또한 현지진출 한국 기업을 인도네시아에 정착시키기 위 한 회계나 법률서비스 등 고도의 지식서비스업이 활성화되어가는 추 세이다. 여기에는 회계나 법무법인의 진출과 아울러서 금융서비스를 위한 하나은행 등 금융기관의 진출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는 한국 기업이 동남아 등 후진국에 진출할 때 1차 산업에서 2차 산업으로 그리고 2차 산업에서 3차 산업으로의 자연스러운 진행이라고 보인다.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노동집약적 산업 (1980년~)

생산거점활용 (1990년~)

내수시장타겟 (2009년~)

산업서비스 (2012년~)

진 출 유 형

풍부한 저임 금 노동력 확 보를 목적

생산에 직결되 는 원부자재 확보(도자기:진 흙)와 양질의 노동력을 활용 한 조립형

소득수준 향상 에 따른 내수 시장 공략과 내수 및 수출 동시 타겟형 투자

현지 진출 한 국기업을 위한 회계·법률 등 고부가가치 서 비스 제공, 금 융 분야 M&A 시도

산 출 물

⦁봉제 산업 -진출기업수:

400여개

⦁한국도자기 -고용인원:2천 명

⦁롯데마트 -매장수: 30개 -매출: 1조원

⦁회계·법률 -회계법인:

PWC,

<표 3> 한국기업의 대 인도네시아 진출 추이

(9)

3. 인도네시아 한상의 부문별 진출현황

2015년 기준으로 인도네시아에 진출한 한국기업은 1,809 개에 달하 며 여기에 미등록 기업체까지 포함하면 3,000여 개에 이를 것으로 추 정된다.

<표 4> 2015년 인도네시아 진출 한국기업 부문별 진출현황 -매출규모:

70억 달러 -고용인원:

40만 명

⦁신발 산업 -진출기업수:

180여개 -매출규모:

20억 달러 -고용인원:

14만 명

-수출규모:

5,000만달러 세계유명브랜 드 도자기를 OEM생산.

20개국에 수출

⦁LG전자 -고용인원:

7천명 -수출규모:

20억 달러 TV,냉장고 생산공장운영

-고용: 5천명

⦁포스코 -생산능력:

후판/Slap 300만 톤 -투자규모:

30억 달러 -타겟시장:

동남아 및 내 수

KPMG, Deloitte -법무법인:

지평지성 APEX

⦁금융 -하나은행,

현지기업 -대상: 소매금

융서비스 한 국 금융기관 의 현지금융 회사 M&A 추진

부문 기업수 부문 기업수 부문 기업수

농업 21 종이 5 금융·보험 15

수산업 6 가구 21 통신업·IT 50

조림업 3 금속·금형 54 공기관·공기

업 19

축산업 2 산업용

기계·부품 57 컨설팅 36

광업·자원 46 전자제품 및 94 법률사무소 4

(10)

한국기업의 주요 진출분야는 제조업, 봉제 등 노동집약적 산업, 자 원·에너지 산업과 유통, IT 그리고 컨설팅, 금융 등이며 100만여 명의 고용 효과를 창출하고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한편 2012년도에 인도네시아 투자청(BKPM)에서 외국인투자 최소 액을 US$ 120만 달러, 최소 자기자본금을 25% 즉 US$ 30만 달러로 제한한 후 중소기업보다는 대기업의 투자가 두드러지고 있다. 그 이 유로는 인도네시아 정부가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해 업종별 외국인 투 자금지 및 소유지분 제한 등의 규정을 통해 외국기업 진출에 제약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그 이후 2016년 5월에는 인도네시아 투자조정청(BKPM)에서 특정 업종의 경우 외국인 지분제한을 완화하면서 투자촉진을 유도하는 한 편, 에너지산업 등 일부 특별관리산업에 대해서는 계속적으로 외국인 투자지분 제한을 유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인도네시아에 진출 해 있거나 향후 진출하려는 기업들은 인도네시아 정부의 정책에 주 안점을 두되 기업 자체적으로도 중장기적 전략으로 연구개발을 통한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고 현지국 소비자들의 니즈에 맞는 업종을 선별 하여 대응해 나가야 할 것이다.7)

7)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위의 자료, 2016, p. 23

개발 부품

식료품 9 조선 2 음식점 101

사료 7 자동차 및 부품 22 가라오케 6

의약품 1 악기 13 관광 42

의류·섬유 454 액세서리 9 항공 2

고무 14 가발·인공모발 22 기타서비스 36

가죽·피혁 33 건설, 시공업 16 교육 28

생활용품 10 무역. 도소매

판매유통 472 의료 3

목재 25 물류 및 운송 49 총계 1,809

*자료원 KOTRA 자카르타무역관 자체 조사

(11)

4. 인도네시아 한상의 진출 유형화

1) 자원확보형 투자(1968∼1972년)

한국의 해외투자 제1호 기업으로 1968년에 한국남방개발이 칼리만 탄의 삼림개발을 위해 진출하였으며 그 이후 1970년엔 인니동화도 같은 사업에 진출하였다. 이처럼 한국의 목재개발 기업들은 산림개발 의 과정에서 도로, 학교, 모스크 등을 건설하고 지역 경제발전에 기여 하여 주민들의 환영을 받기도 하였다. 1970년에는 삼환기업, 현대건 설, 대림건설, 쌍용건설 등 국내 건설업체들이 진출하였으나, 중동지 역 건설이나 토목사업에 비해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지는 못하였 다. 이어서 1971년에는 조미료 제조업체인 미원이 인도네시아 르나자 야사와 기술협력협정을 체결한 후 1973년도에 양국 정부의 진출허가 를 취득하여 미원인도네시아를 설립하고 1975년부터는 MSG 생산을 개시하였다.

2) 건설·무역업의 진출 및 자원확보형 투자(1973∼1986년)

1974년도에 삼환건설이 칼리만탄섬 발릭빠반에 유니온석유회사의 주택건설을 시작으로, 한국 건설업체들의 인도네시아 진출이 본격화 되었는데 인도네시아의 원목금수 제한이 발표된 이후에는, 다수의 기 업들이 원목을 직접 개발하기 위해 진출(1997년 아주임업, 1980년 림 바 선경, 1983년 유림사리 등)하였으나 초기에 진출한 꼬데꼬(한국남 방개발의 현지법인)와 코린도 등 일부기업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원 목개발업체들이 도산하거나 다른 업종으로 전환하였다.

1981년부터는 꼬데꼬의 주도로 서마두라 해상유전 개발 사업에 착 수하였으나, 상업적 가치를 지닌 유전개발에는 실패하였다. 다만 1993 년 이후 가스 생산을 개시하여 현재 인도네시아의 화력발전소에 납 품을 하고 있다.

(12)

3) 노임절감형 투자(1987∼1993년)

1987년에 한국사회의 민주화와 노동자 대투쟁 이후, 의복·신발·완 구 등 노동집약적 중소기업 등이 대거 인도네시아로 이전하였다. 이 상의 업체들은 내수보다 수출전문 기업들로, 당시 한국인 일반 특혜 관세 수혜대상국 지위를 상실한 것과도 연계된다. 따라서 인도네시아 로 사업체를 이전함으로써 GSP(일반특혜관세)혜택을 유지하여 제품 의 가격경쟁력을 유지 할 수 있었기 때문에 선진국의 수입규제 돌파 를 위한 방편으로 기업이전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자본이 영세한 중 소기업의 대량 진출로 저임금·장시간 노동, 열악한 노동조건, 폭력적 인 조직관리 관행의 동반 이전으로 현지 사회와의 갈등이 증폭되는 문제가 다수 발생했다. 그 이후 인도네시아로 집중되던 저임금 노동 에 기초한 노동집약적 중소규모 제조업 분야는 현지 갈등의 심화 및 1992년 중국 과 베트남 등 신규투자처가 부상하면서 진출업체가 대 폭 감소하였다.

4) 시장개척형 투자(1994년 이후)

1993년 이후 인도네시아의 최저임금 인상률이 연간 10%(1994년의 경우, 인상률이 30%에 달함)를 상회하면서, 인도네시아 노동자의 임 금이 상승하였고 이에 따라 해외투자 자본의 성격도 노동집약적 산 업에서 기술집약적 산업으로 전환 되었다.

1990년대 중엽 이후에는 석유화학, 조립금속, 종이 등 ‘중간기술 제 조업’과 철강, 자동차, 전자 등 기간산업 분야와 플랜트 건설 및 사회 간접자본시설 확충 부분에도 대거 참여하기 시작했다. 1980년대 후반 부터 1990년대 초까지 저임금에 기반을 둔 단순가공, 조립형태의 경 공업이 1990년대 중반 이후 비교 우위에 바탕을 둔 수평적 분업 형 태로 변모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산업 간 무역에서 산업 내 혹은 기 업 내 무역으로의 변화로도 볼 수 있다. 1997년에 경제위기와 1998년

(13)

민주화 과정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업가들이 잔류하여 사업체를 지켜 낸 이후, 인도네시아 내의 한인사회는 더욱 공고해지는 경향을 보였 다.

2000년대 이후에는 대 인도네시아 한인 투자의 제 2의 물결이 시 작되었다. 초창기는 동아시아 주변국의 투자 유인으로 대규모 투자는 유보된 반면에 경제위기 이후 인도네시아 현지통화의 가치하락으로 소자본 창업이 가능한 까닭에 중소기업 투자가 주도적 이였는데 200 0년대 중반 이후에는 전자와 봉제업종의 투자가 다시 증대되는 추세 를 보였다.

2010년 이후부터는 포스코와 한국타이어와 같은 대기업의 인도네 시아 진출이 있었으며 또한 롯데마트 등의 유통 대기업의 인도네시 아 진출이 활발해지고 있다8).

5) 유통서비스형 투자(1977년부터 현재까지)

인도네시아에서 현지 유통업체에 한국 상품을 공급하려면 한국식품 수입 허가를 완벽하게 갖추어야 하는데, 한국식품을 수입하려면 먼저 까다로운 식 품수입허가 ML(Makanan Luar)을 인도네시아 식약청에서 받아야 한다. 그런 데 6개월 단위의 검사 및 상품포장 단위와 디자인만 달라도 새로 ML허가를 받아야 하는 까다로운 수입규정 때문에 한국식품수입은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도네시아의 무궁화유통은 1977년도에 인도네시아에 진출한 김우재 회장이 창업한 식품유통 기업이다. 현재 인도네 시아 전역 4000여개의 유통망에 1000여 가지 한국 상품을 공급하고 있는 한 국 상품 전문업체이다.

6) 지식서비스형 투자(1990년부터 현재까지)

인도네시아는 가처분소득 증가와 도시화로 외식문화가 하나의 생 8) 엄은희, 「한국기업의 인도네시아진출의 역사와 현재」동남아 이슈페이퍼,

2013, pp.16-18

(14)

활양식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스마트폰과 태블릿PC를 즐겨 사용하 는 젊은 소비자층의 경우 이러한 현상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 다. 이렇듯이 인도네시아 또한 국민소득수준의 상승과 생활환경의 개 선에 의한 3차 산업형 서비스업의 발전이 현대사회에 들어서 눈에 뜨이게 증대되었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 이용자수의 증대에 의한 음 식배달서비스업의 폭발적 증대 또는 금융서비스와 제조업의 증대에 의한 각종사업관련 인허가, 체류비자 획득업무 대행 등을 전문으로 하는 컨설팅업의 성장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26년째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컨설팅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우리컨설팅의 김민규 대표 를 들 수 있다.9)

5. 인도네시아 한상의 비즈니스 특성과 기업가정신 사례분석

.

<표 5> 인도네시아 한상의 비즈니스 특성과 기업가정신 사례분석

9) 본 연구자는 현지 사례조사를 통하여 기존의 진출유형 4가지 외에 유통서 비형과 지식서비스형을 추가하였다.

진출

유형 비즈니스 특성 기업가

정신

자원 확보 형

⦁코린도그룹(승은호 회장): 산림, 제지 -인도네시아 한인기업사를 개척한 기업 -적극적 현지화의 실천 (한국 직원들의 현지

화, 현지인화를 위한 노력, 코린도 화문의 존 재)

<기업차원>

⦁사업위험 감수성

⦁경쟁적 전략

(15)

-현지국의 정책에 앞선 변화 인정과 사전 대 처

⦁제품, 서비 스 진취성

노임 절감형

⦁ KMK그룹(송창근 회장): 신발

-인도네시아정부의 기업 친화적 정책과 외국 투자기업의 현지생산화 확대의 일치

-Human Touch Management 경영철학 확립 -직원들을 위한 학교, 병원, 편의시설 등 적

극적 CSR 활동

<CEO차원>

⦁창의력 -참신성 -진취성

⦁자가유능 -사회적감

네트워킹

시장개척 형

⦁ 둘석인도네시아(이동균 대표): 건축자재의 생산 및 판매)

-정형외과 의사출신 CEO (필리핀4년, 인도네시아6년) -14년간의 의사생활을 접고 건축지붕재를 생산하며 일본, 한국, 이란 등에 수출 및 인도네시아 내수시장 -현지시장에 대한 연구와 도전 및 새로운 아이템 제개척

<CEO차원>

⦁위험감수 -도전의식성

⦁자가유능 -사회적감

네트워킹

유통서비 스형

⦁ 무궁화유통(김우재 회장): 인도네시아에 한국 상품 -인도네시아 전역 4,000여개의 유통망에 1,000여 가지유통

한국 상품을 공급하는 한국 상품 전문 업체임 -인도네시아에 무궁화재단을 발족시켜 CSR활동을 통

한 심장병 어린이 수술 돕기 사업 등 사회봉사활동 -인도네시아 식약청에 ML(Makanan Luar) 식품 수입

허가 통해 유통

-식품유통, 물류창고, 여행업, 제과업, 부동산업 등 영 역 확장

<CEO차원>

⦁성취욕구 -목표지향

⦁자기통제능 -긍정적력

사고 -자기 신념 지식

서비스형

⦁ 우리컨설팅(김민규 사장): 인도네시아 진출 한국기업 지원서비스

-우리컨설팅의 CEO는 인도네시아진출 26년째로 2003 년 3월 자카르타에 컨설팅회사를 설립하여 현재까지

<CEO차원>

⦁성취욕구 -혁신적 활동

⦁자기통제

(16)

Ⅳ. 말레이시아 한상의 비즈니스 특성과 기업가정신 1. 말레이시아의 한인사회

외교부 조사에 따르면 2015년 기준으로 말레이시아에 거주하는 재 외동포 수는 1만 2천 690명이다. 그 중 9천750명은 쿠알라룸푸르와 인근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즉, 조호바르 주에 900여 명, 페낭 주와 사바 주에 각각 800여 명이 살고 있으며, 사라왁 주에는 347명이 살 고 있다. 말레이시아의 재외동포 중 90% 이상은 일시 체류자로 추정 된다. 왜냐하면, 말레이시아는 말레이계 우대정책 등으로 외국인에게 는 영주권을 극히 제한적으로 부여하고 있기 때문이다. 제도적으로는 5년 이상 거주하고 말레이어를 하며, 이슬람교 신앙을 가지면 취득할 수 있지만 현재 한국인 영주권자는 60여 명에 불과하다. 따라서 한인 의 대다수는 장·단기 체류 자격만을 부여받고 있는 실정이다.

거슬러 올라가 보면 말레이시아에 처음 한국인이 정착한 것은 세 계보건기구가 44명의 의사를 한국에 요구해 한인의사가 말레이시아 에 부임하면서 부터이다. 또한, 베트남을 거쳐서 들어온 사람들도 있 었다. 그 후 말레이시아 건설부의 요청으로 한국건설 관계자 수 명이 입국했다. 한편 말레이시아 한국인 최초의 한국식당은 장순호씨 남매

투자사업 컨설팅 및 각종 사업 관련 인허가, 근로허 가, 체류비자 획득업무를 대행하는 업체임.

-CEO는 기본에 충실함을 원칙으로 교민사회에 꼭 필 요한 사업적 동반자로써 지원역할을 함

-초등학교 학력으로써 오직 정직과 성실, 전문성으로 성실한의지의 한국인임

-긍정적 사고능력

⦁위험감수성 -도전 의식

*본 연구자는 인도네시아 한상의 사례조사를 통해 6가지의 진출유형에 따 라서 분석한 비즈니스특성과 기업가정신에 대한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17)

가 열었던 ‘아리랑’이었다. 그 후 김여선 씨가 두 번째 한국식당인 ‘고 려원’을 열었다가 다른 사람에게 넘기고 미국에 이민을 갔다.

재말레이시아한인회는 1955년에 첫 모임이 시작된 이래 1966년에 정원상 씨가 초대 회장을 맡았는데 초기에는 의사, 건설 관계자, 개인 적으로 이주한 한인 등이 모이는 친목 단체에 불과하였다. 당시 비자 유효기간이 2주일밖에 되지 않아 싱가포르까지 기차를 타고 가서 재 입국하는 방법을 취하기도 했다. 그 후 해외투자가 늘어나면서 1988 년경부터 본격적으로 한인의 진출이 시작되었다. 상사 및 지사의 주 재원과 가족, 건설 현장의 근로자 및 직원과 가족 등 한인들의 수가 많이 늘어남에 따라서 한인회는 1988년도에 말레이시아 정부에 정식 으로 등록됐다.

말레이시아 한인사회는 장기체류하는 한인들과 3년 정도 체류하는 주재원 가족 등 단기 체류자가 섞여있는데. 한인회는 이를 고려해 회 장, 부회장, 총무 외에 현지법인으로 이루어진 진출업체 이사, 지역이 사제도를 도입했으며 한인사회의 단결과 통합을 위해 야유회와 체육 대회를 매년 개최하며 또한 연 2회 친선골프대회도 연다. 그 외에 어 린이 미술·웅변·글쓰기·바둑·장기·사진 전시회·영화의 밤·주부백일장·

민속놀이마당·불우이웃돕기바자회·송년회 등 각종 행사를 열고 있다.

한편 한인회는 1988년부터 월간으로 ‘한인회보’를 발행하고 있는데 회보는 경제적인 이유로 잠시 휴간된 일도 있었으나 말레이시아 이 민사 특집, 현지진출 기업인 소개, 동포 성공사례 등 다양한 소식으로 회원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10)

2. 한국기업들의 말레이시아 진출사

한국기업의 말레이시아 진출사는 약 3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데 당시 최초의 말레이시아 진출기업은 고려개발로서, 이 기업은 말 레이시아 동북구 트렝카누 지역의 농경지 수로 공사를 담당하였다.

10) 재외동포재단, 「재외동포의 창」,2016, pp.10-11

(18)

고려개발이 1970년에 착공하여 1973년에 완공한 이 공사는 한국의 토목기술을 처음으로 말레이시아에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후발 주자로 경남기업과 현대건설이 차례로 말레이시아에 진출하여 70년 대와 80년대 한국기업 진출의 교두보로 한국의 기술을 말레이시아에 알리는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당시 경남기업은 현 말레이시아 남북 고속도로의 초석이 되는 세렘반지역 도로공사를 완공했고(1972~1976 년), 현대건설은 당시 최대공사였던 트렝카누 지역의 사력댐(Kenyir Dam) 공사를 완공하였다 (1978~1984). 이 댐 공사의 성공적인 완공은 한국의 토목기술을 아시아 최고의 자리에 올려놓는데 결정적인 역할 을 하였다. 이후 한국의 손꼽히는 건설업체들이 대거 말레이시아에 진출하였고, 1980년대는 그 전성기를 이루면서 말레이시아 건축사에 많은 족적을 남기게 되었다.

1980년대를 건축과 토목의 전성기로 본다면, 1990년대는 종합상사 와 정밀전자분야의 진출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시기였으며 대표적 인 기업으로는 삼성전관을 꼽을 수 있으며 이 기업은 말레이시아 수 도인 쿠알라룸푸르에서 약 80㎞ 떨어진 써나왕이라는 곳에 삼성타운 을 조성하여, 삼성전관, 삼성코닝, 삼성디스플레이라는 기업들을 설립 하고, 컬러 픽쳐 튜브를 생산하고 있다. 따라서 이 단지에는 약 4천 명 정도의 현지 직원이 고용되어 있으므로, 이는 한국의 선진기술과 근면성을 알리는 동시에 현지의 고용창출과 지역개발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삼성 이외에도 LG, 대우전자 등이 종합무역업체로 말레이 시아 전자물품 유통에 큰 몫을 하고 있으며 동시에 일본제품과 경쟁 하면서 선전하고 있다.

이들 말레이시아에 진출한 한국기업들에 대한 말레이시아의 노동 정책은 매우 호혜적이다. 즉 말레이시아의 대외국인 정책은 말레이시 아의 “Look East Policy”를 바탕으로 동북아 국가들, 즉 한국, 대만, 일본에 대해 매우 우호적인 정책을 쓰고 있다. 예를 들면, 새로운 개 척분야에 대해서는 해당 외국업체에 조세를 면제해주는 조세감면 혜 택을 주어 말레이시아로의 외국기업 진출을 적극적으로 유도하고 있

(19)

다. 따라서 이것은 선진기술을 도입하려는 말레이시아의 노력과 말레 이시아에 진출해 저렴한 입지조건, 즉 노동력, 부동산으로 이익을 극 대화하려는 외국기업 간의 이해를 일치시키고 있다. 이들 중 특히 저 렴한 노동력을 이용할 수 있는 최저임금 정책과 노조 불인정 정책은 말레이시아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에게 좋은 영향을 주고 있다.

3. 초창기 한상들의 주요산업

말레이시아는 투자이민을 허용하지 않는 나라인데, 이는 다인종 국 가로서 더 이상의 인종 확산을 원하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고, 또는 말레이시아에서 자국민의 확고한 경제적 지위 획득을 확보하기 위해 서이기도 하다. 말레이시아 교민들의 사업은 주로 한국인 관광객과 상사주재원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상사주재원과 파견공무원을 제외 한 대부분 교민의 생활기반은 주로 무역업이고, 그 외에 한국 대형건 축회사를 상대로 한 하청건설업, 요식업, 그리고 여행사로서, 주로 한 국과 한국사람을 상대로 한 업종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교민 들의 사업영역은 매우 제한적이어서, 한국의 경제상황 변화에 거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는데 IMF 이후에는 일시적으로 한국인 관광 객이 급감하고 많은 한국 상사주재원들이 영구 귀국함에 따라 한인 교민들의 생활이 매우 어려워졌다. 또한, IMF 이후 관광객의 급감으 로 한인 여행사들이 도산하고, 한국 기업들의 자금압박으로 중단되는 건설현장이 곳곳에 생겨났다. 이에 따라 교민의 생활환경도 점점 더 어렵게 되었다.11)

11) 국민호, 1999 「말레이시아 한인사회의 현황과 과제」전남대학교 pp.298-299

(20)

4. 말레이시아 한상의 부문별 진출현황

2015년 현재 말레이시아에는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LG전자, SK 네트웍스, 포스코 등 한국의 주요 기업들이 대부분 진출해 있으며, 그 중 삼성전자는 쿠알라룸푸르 인근인 세렘반지역에, 고려제강은 싱가 포르 인근인 조호 지역에 생산 공장을 운영 중에 있는데 현재 말레 이시아 한국상공회의소에는 말레이시아 진출 한국기업 110여 개 사 가 등록되어 있다.

이를 분류해보면 삼성전자 등 전기전자 제조업의 진출이 뚜렷한 가운데 TV, 2차전지, 레인지 등을 주로 생산하고 있다. 2012년에는 한국타이어가 법인을 설립하였으며 한화케미칼이 독일의 태양광 패 널생산업체 큐셀의 말레이시아 법인을 인수하여 말레이시아 시장에 진출하였다. 또한 2013년에는 한화케미칼이 말레이시아에 법인을 설 립하였으며 전자부품 생산업체인 상신 이디피도 말레이시아에 현지 법인을 세웠다.

제조업 외에도 말레이시아가 지리적, 경제적 이점을 가지고 있고 금융, 물류 등 다방면에서 동남아시아의 허브 역할을 한다는 차원에 서 여러 서비스 관련 기업들도 진출해 있다. 즉, 금융권의 진출에는 자본금 규모 1억 달러라는 장벽이 있어 실제로 은행업을 하는 기업 은 없으나 우리은행이 연락사무소 형태로 진출해 있으며 또한 대한 항공의 경우 말레이시아가 갖는 아시아 지역 중심이라는 지리적 이 점과 발달된 통신과 영어 인프라 등을 활용하여 아시아지역 본부를 말레이시아에 두고 있다.

말레이시아가 강점을 갖고 있는 원유, 가스, 팜오일 관련 산업의 진출도 늘어나고 있으며 최근에는 대형 건설 프로젝트가 활발히 진 행됨에 따라 건설업계의 진출도 확대되고 있다. 2015년 6월에는 CJ 바이오가 Terengganu주에 8만 톤 규모의 사료용 필수아미노산 L-메 치오닌 공장 준공식이 있었고, 2015년 7월 휴켐스가 Sarawak주에 1 조원 규모의 화학공장 착공식을 진행하였다.12)

(21)

<표 6> 말레이시아 진출 주요 한국기업 현황

업종 주요기업

제조업

고려제강, 호남석유화학, 삼성전자, 삼성코닝, 삼성SDI,, 포스코, 한화 Q-Cells, CJ제일제당, 동화기업, KCC,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삼성중공업, 엘피온, 동부메탈, 코웨이, 롯데케미칼, 한국타이어 등

도소매업 대우인터네셔널, 삼성물산, SK네트웍스, 현대종합상사, 효성, GS글로벌 등

운수업 대한항공, 한진해운, 고려해운, 현대상선, CJ GLS, 범한판토스 등

건설업 대우건설, 현대건설, 삼성엔지니어링, 쌍용건설, 태영, 대림산업, GS건설 등

공기업 KOTRA, 한국관광공사, 한국가스공사 금융업/통신 우리은행, SK텔레콤

*자료원 Kotra (2016.08 기준)

12) KOTRA 쿠알라룸푸르 무역관,「2017 말레이시아 진출전략」, 2016

(22)

5. 말레이시아 한상의 업종별 비즈니스특성과 기업가정신 사례분석

<표 7> 말레이시아 한상의 업종별 비즈니스특성과 사례분석 진출

유형 비즈니스 특성 기업가정신

유통서비 스형

⦁ KMT(이마태오 대표): 식품유통

-한국식품유통전문회사로서 20년째 말레이시아에 한국 식품을 수입해 유통하고 있음

-말레이시아에서의 오랜 거주를 통한 문화 등 체득으로 철저한 현지화를 통한 사업기반 확보 및 한국식품의 할랄인증 획득

<CEO 차원>

⦁성취욕구 -미래지향성

⦁자가유능감 -사회적

네트워킹

무역서비 스형

⦁ Ecolon Pan SDN BHD(성용범 대표): 무역

-홍콩과 한국에서의 교육으로 말레이시아에서 주방용품, 내수 시장개척시 유창한 언어구사를 통하여 영업에 성 공 (언어의 중요성)

⦁ 청농무역주식회사(전광재 대표): 무역 -말레이시아 내수시장에서는 소량다품종이 필요 -사업성공을 위해서는 현지화와 현지인의 채용이 필수

<CEO 차원>

⦁창의력 -진취성

⦁자가유능감 -자기 확신 -사회적

네트워킹

음식서비 스형

⦁ 다오래(윤선규 대표): 요식업

-‘다오래’ 한식당 체인은 5개 대도시에 18개 식당 운영 -‘다오래’의 비즈니스 특징은 300여명의 합법적 체류자

인 직원으로써 위계질서가 철저함

<CEO 차원>

⦁성취욕구 -목표지향성 -미래지향성

(23)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는 인구, 면적, 국민소득, 비즈니스 환경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양국에 진출한 한상(지상 사 제외)간에도 비즈니스와 기업가정신에 특성과 차이가 있음을 분석 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시사점을 정리하기로 한다.

첫째, 비즈니스 특성을 보면 다음과 같다. 인도네시아 한상의 경우 많은 인구와 풍부한 자원에 연유한 비즈니스 환경에 의해서 초창기 에는 의류, 섬유, 신발, 봉제 등 자원확보형이나 노임절감형 형태의 진출이 많았으나 점점 비즈니스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무역, 도소매, 판매유통, 컨설팅 등 시장개척형이나 유통 및 지식서비스형으로의 비 즈니스 유형이 바뀜을 알 수 있었다.

⦁ 오이소(김영준 대표): 요식업

-오이소 식당의 성공전략: 식당에서 맛은 기본이며 따라 서 인테리어, 서비스, 콘셉트 등을 어떻게 잡느냐가 중 요한 전략이라고 생각함

-요식업의 핵심은 가치이며 따라서 본인이 돈을 내는 금액의 얼마만큼의 가치를 가지고 가느냐가 고객유치 의 핵심임

<CEO 차원>

⦁성취욕구 -미래지향성

⦁창의력 -확산적사고

한류지향 형

⦁ YCP트레이딩, MK스튜디오(유승복 대표)

-유승복 대표는 2011년도에 연예기획사를 설립해 말레 이시아 가수 디오를 키우고 있음.

-현재는 건강식품, 화장품, 한류, 농특산물에 초점을 맞 추어 MK사 운영

<CEO 차원>

⦁위험감수성 -도전의식

⦁창의력 -진취성

*본 연구자는 말레이시아 한상의 사례조사를 통해 4가지의 진출유형에 따라서 분석한 비즈니스 특성과 기업가정신에 대한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Ⅴ. 한상의 비즈니스특성과 기업가정신사례 비교분석 결과

1. 연구의 시사점

(24)

한편 말레이시아 한상의 경우는 말레이시아의 비즈니스 환경이 국 토에 비해 인구가 적고 또한 기타 비즈니스 환경에 의해서 주로 제 조업보다는 서비스업에 진출한 한상이 많은 것으로 연구결과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즉 말레이시아 한상의 비즈니스 진출 유형으로는 유통 서비스형과 무역서비스형 그리고 음식서비스형과 한류지향형으로 나 눌 수 있었다. 또한 비즈니스 특성으로는 철저한 현지화와 할랄인증 을 통한 식품유통서비스, 현지 언어체득과 문화습득, 현지인 채용 등 을 통한 무역서비스, 철저한 직원관리와 합법적 운영 및 사업자 간 상생마인드에 의한 음식서비스형, 동남아지역 한류확산에 의한 인삼 판매 및 연예기획사의 설립 등을 통한 한류지향형임을 현지한상과의 사례조사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양국에 진출한 한상(지상사 제외)들의 기업가정신을 보면 다 음과 같다. 인도네시아 한상의 경우 자원 확보나 노임절감, 시장개척 등이 주된 비즈니스 환경이기 때문에 위험 감수성에 의한 도전의식 이나 자기유능감에 의한 사회적 네트워킹의 기업가정신이 필요한 것 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말레이시아 한상의 경우 비즈니스 환경이 유 통, 무역, 음식 등의 서비스 유형이기 때문에 성취 욕구에 의한 미래 지향성이나 창의력에 의한 진취적인 기업가정신이 필요한 것으로 나 타났다.

셋째, 설동훈(1998)은 한국기업의 인도네시아 투자유형을 지원확보 형과 노임절감형, 시장진출형의 3가지로 나누었으나 이는 문헌연구에 의한 2차 자료 중심의 사례분석을 함으로써 1차 자료에 의한 실증을 하지 못하였다. 반면에 이 연구에서는 진출유형에 따른 한상들의 비 즈니스 특성을 현지 사례조사를 통하여 5가지로 확장함으로써 더욱 객관적인 분석을 시도한 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넷째, 이 연구의 가장 큰 공헌은 2개 국가에 진출한 한상을 현지 조사를 통하여 객관적으로 접근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현지에 진출한 한상들이 어떤 진출유형과 비즈니스 특성에 의해 시장을 개척하고 확장하였으며 이에 따른 필수적인 기업가정신이 무엇이었는가를 파

(25)

악하였다는 데 있다.

2. 연구의 한계와 향후의 과제

본 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도네시아의 경우 한상의 비즈니스 지역이 여러 지역인데도 불구하고 주로 자카르타지역에서 비즈니스를 하는 한상을 대상으로 사례조사를 했으며, 마찬가지로 말레이시아의 경우도 쿠알라룸푸르 이외에도 조호바루, 페닝 등이 있는데도 쿠알라룸푸르에 진출해있는 한상을 대상으로 사례조사를 진행했다는 점에서 지역편협적인 조사 에 그쳤다는 점이다.

둘째, 본 연구는 순수하게 현지국가에 진출하여 창업‧성장해가는 한인기업을 대상으로 이루어져야함에도 불구하고 단지 현지의 코참 이나 한인회, 월드옥타 등에서 추천해준 기업만을 대상으로 사례조사 를 했다는 한계점이 있다. 이는 말레이시아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조사지역의 확대를 고려할 것이다.

셋째,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에 진출한 한상들의 기업가정신을 조사하여 정성적인 기술을 한다는 것이 어렵고도 애매하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좀 더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분석틀을 통한 연구도구를 적용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현지국 한상의 비즈니스 특성과 기업가정신에 대한 사 례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진행되었는데 앞서 언급한 많은 제약과 한 계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시도한 적이 없는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 아 한상의 비즈니스 특성과 기업가정신을 조사‧연구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또한, 우리 기업들의 동남아 진출이 날로 증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향후 진출 기업에게 첨병역할을 할 수 있는 한상연구를 통 하여 진출 기업에게 길잡이가 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으며 나아가서는 동남아 9개국 한상네트워크 구축의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26)

<주요어> 동남아 한상, 인도네시아 한상, 말레이시아 한상, 기업가 정신, 비즈니스 특성

<참고문헌>

국민호(1999). 말레이시아 한인사회의 현황과 과제. 사회발전연구 Vol.-No.5. 289-300.

설동훈(1999). 한국기업의 인도네시아 진출: 역사와 미래. 고려대학교 노동문 제연구소 기타간행물(노동인력의 세계화) Vol.- No.-. 21-84.

엄은희.(2013). 한국기업의 인도네시아 진출의 역사와 현재 동남아 이슈페이 퍼. 서울대아시아연구소 동남아시아센터. 웹: http://seacenter.snu.ac.

kr/에서 2018년 9월 15일 검색하였음.

재외동포재단(2016). 한류열풍에 동포사회 동반성장. 재외동포의 창. 웹: http://we bzine.korean.net/201604/pages/sub01_02_01.jsp에서 2018년 8월 10일 검색 하였음.

한생컨설팅(2016). 종합가이드 인도네시아 서울: 명지.

KOTRA(2016a). 2017 말레이시아 진출전략. KOTRA 쿠알라룸푸르 무역관.

웹: https://news.kotra.or.kr/user/globalBbs/kotranews/21/globalBbsD ataList .do?setIdx=252에서 2018년 9월 2일 검색하였음.

KOTRA(2016b). 2017 인도네시아 진출전략.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웹: h ttps://news.kotra.or.kr/user/globalBbs/kotranews/21/globalBbsDataLi st.do?setIdx=252에서 2018년 8월 10일 검색하였음.

(27)

Name Lee, Jangsub

Belong Dept, research center for overseas korean business&culture Chonnam National Univ.

E-mail jslee3337@hanmail.net

투고일 2018/12/04 심사일 2018/12/05 게재확정일 2018/12/19

참조

관련 문서

• Kazakh legal entities and branches and representative offices of Kazakh legal entities are required to provide the National Bank of Kazakhstan with information

Uzbek legal entities (residents) may open and use foreign currency accounts with foreign banks outside Uzbekistan with the permission of the Central Bank of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KIPO) needs to consider the copyright attributes of goodwill BM developers because a number of Business Methods (BMs) in

z e-비즈니스 자체는 기업 내부 통합 단계를 지나 기업간 통합 단계로 발전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해외 선진국에 비해 기업간 통합 단계 진입이 지연되고 있음.

공기업, 금융자격증을 준비하는 학술 동아리 공부 잘하는 학생과 잘 노는 학생들이 많아요~. 혁신도시

# 청년 벤처창업 : 기술기반 - Digital Business, Silver business, Multimedia Business, Technology Innovation Business, etc - 확실하고 장기적인 수익모델 분야

판매액 감소폭은 두드러지지 않았으 나 , 이는 책값이 상승했기 때문임...

Marginal Line에 맞추어 Inside Address 위에, 또는 Salutation과 같은 Line. – File NO.~;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