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치매 의심증상과 우울증상의 변별*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치매 의심증상과 우울증상의 변별*"

Copied!
1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치매 의심증상과 우울증상의 변별*

Differentiation between Suspect-Symptoms of Dementia and Depression

김 정 모**박 선 희***전 영 숙**1) Kim, Jung Mo Park, Sun Hee Jeon, Young Sook

<abstract>

We reviewd symptoms of beginning dementia and depression in older adult and examined the differential characteristics of symptoms between them. Apathy, loss of initiative activity and decline of attention are the common symptoms, but the older adult with dementia see these symptoms as trivial, report the physical than affective symptoms and show effort for performance, whereas the older adult with depression overesmate the symptoms, ask for help, report the physicalas well as affective symptoms and show the loss of motivation.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common symptoms like loss of activity can be differentiated with relation to dementia or to depression and enable initial diagnosis between beginning dementia and depression.

Key words:suspect-symptoms of beginning dementia, depression in older adult 치매 의심증상 노년기 우울,

* 이 논문은 2002년도 한국 학술진흥재단 연구비에 의하여 지원되었음(KRF-99-005-B00004).

This work was supported by Korea Research Foundation Grant(KRF-99-005-B00004).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연구교수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and Rehabilitation Science, Daegu University.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연구원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and Rehabilitation Science, Daegu University.

(2)

.

연구의 의의 1.

치매와 우울은 노년기에 일어나는 대표적인 장애로써 치매는 65세 이상의 노인 에서 5%의 유병율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후 약 5년 마다 두배씩 증가하여 85세에서는 50% 이상의 유병율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Benedict & Nacoste, 1990; Villareal & Morris, 1999).

반면에 우울은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65세 이상의 인구에서 주요 우울장애는 의 유병율을 보이나 기분 부전 장애를 포함한 우울장애의 유병율은

2% 20-30%

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Baldwin, 1997; Wernicke et al., 1997). 특히 치매 노인 인구에서는 주요 우울장애의 유병율(comorbidity) 30%를 차지 하 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치매와 우울사이에는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다(Hautzinger, 2002; Teri & Reifler, 1987; Calabrese, 2002).

이러한 두 장애사이의 이러한 높은 동 유병율은 임상가의 증상에 대한 정보부족

진단 검사의 부정확성 등의 요인과 함

(pond et al., 1994), (Henderson, 1991)

께 일차 진료 기관이나 요양시설에서 치매와 우울을 변별하여 진단하는 과정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Alezopoulos et al., 2002; Clark, 2000).

실제 일반 내과의 일차 진료 기관과 요양시설에서 우울환자의 50%가 초기에 정 확히 진단 되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보고 되어 있으며(Yesavage, 1994), 200 명의 내과 의사를 대상으로 한 또 다른 연구에서는 의사의 진단 소견과 노인 우 울 척도(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사이의 일치도는 0.06으로 낮은 것 으로 나타났으며 DSM의 분류와의 일치도도 0.23으로 매우 낮은 것으로 밝혀지 기도 하였다(Pond, et al., 1994). 이 연구에서는 치매의 진단에 있어서도 인지 기능의 저하가 뚜렷이 나타나는 중기 치매단계에서도 의사의 진단과 간이 정신 검사(MMSE)사이에서의 일치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 되어 있다(Kappa, 0.60).

이와같이 일차 진료기관이나 요양시설에서 초기 치매의심단계에서 진단의 낮은 정확도는 효율적인 치료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혈관성 치매에 대한 의. 학적인 원인론적 치료는 물론 알츠하이머 치매에 있어서도 약물치료는 중기 이 후보다는 초기나 혹은 초기로 의심받는 시기에 사용하는 경우 치매의 발생을 막 거나 진행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 정확한 초기 진단이 성공적인 치

(3)

료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오병훈등( , 2002; 이상현, 1999; Francis, et al., 1999; Maslow, Selstad & Denman, 2002; Small, 1998).

특히 치매와 우울의 정확한 초기 진단은 장애의 진행과 예측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 주어 가족과 간병인이 재활계획을 성공적으로 준비하는데 도움이 되며 불필요한 경비를 절약하여 줄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성공적인 재활은 환자 자신. 은 물론 가족과 간병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요소가 되므로 정확한 초기 진단의 중요성이 매우 강조된다고 할 수 있다(Hill & Sprengler, 1997).

2.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치매와 노년기 우울의 높은 동 유병율을 설명 할 수 있는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치매의 초기 진단과 노년기 우울증상을 적절하게 변별하여 진단 할 수 있는 특성이 있는지를 살펴보기로 한다 이 후. 이러한 특성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을 논의하여 초기 치매단계의 증상과 노년기 우울증상을 변별하여 진단할 수 있는 검사지 개발의 선행지표로 삼기로 한다.

이론적 배경 .

초기 치매와 노년기 우울증상의 공통점 1.

치매와 우울의 높은 동 유병율은 두 장애사이에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시 사하여 준다 이러한 관련성에 대하여 노년기 우울은 치매의 발생에 영향을 주. 고 다른 한편 치매의 발생은 우울의 발생과 진행에 영향을 준다는 상호 작용에, 관한 가정이 연구 되어 왔으며 이 가정은 과거사 연구와 추적 조사를 통하여 지 지되고 있다(Heun, Kockler & Ptok, 2002; Jorm, 2001; Lundquist, Berens

& Olsen, 1997; Ross, Arnsberger & Fox, 1998; Zank & Leipold, 2001).

그러나 Butler (1992) 은 이러한 상호과정 이외에 치매와 우울사이에 공통적인 일련의 특정 증상들이 있다는 것을 가정하고 있으며 이러한 공통적인 증상들이, 높은 동 유병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간주한다 예를들면. 흥미 상실 과 동성 저하 같은 우울증상과 유사한 일련의 증상이 초기 치매단계에서 임상적으 로 보고되어 왔으며 이러한 증상들은 주로 매우 약한 치매”, “선행치매 혹은 연령에 따른 기억장애 의심되는 치매 경계치매 혹은 치매는 아닌 인지

”, “ ”, “ ,

(4)

적으로 손상된 상태 등의 개념으로 분류되어 왔다 (Butler , 1992).

또한 가족들과 임상 관련 종사자들은 치매 증상이 의심되는 노인에서 주로 취미 생활이나 독서 사회활동 참여의 중단등과 같은 행동의 변화를 관찰하게 되는데, 이러한 증상은 대표적으로 우울증상과 동일한 것으로 간주 된다(Clark, 2000).

한편 노년기 우울의 특징으로써 우울과 같은 정서적인 증상보다는 무감정과 흥 미 상실 활동성 저하 피곤함 수면 장애 식욕저하등과 같은 신체적 행동적 증, , , , , 상이 노년기 우울의 특징으로 간주 되며 참고( , “슬픔없는 우울”, Gallo &

는 이러한 증상은 주로 초기 치매 증

Rabins, 1999), Chaves Izquierdo(1992) 상이 의심되는 노인에게서도 나타난다고 강조한다.

이와 유사하게 노년기 우울이 심한 경우 기억력 장애와 판단력 저하 추상적 사, 고의 손상등이 나타나게 되며(Hill & Sprengler 1997), 이러한 인지 기능의 장 애는 대표적인 치매 증상으로 알려져 있다(DSM-IV, 1995).

다른 한편 McGuire Rabins(1994, 인용 Alexopoulos et al., 2002b)는 심리 운동기능의 저하와 급격한 정서 변화 수면장애와 체중감소 정서 표현의 곤란, , 함 그리고 비관적 생각등은 우울증과는 상관없이 치매 증상이 있는 모든 노인, 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이라고 간주한다.

초기치매와 우울의 변별검사 2.

초기 치매와 우울의 공통적인 증상으로 인하여 이를 변별하기 위한 검사의 필요 성이 대두 되어 왔으며 현재 초기 치매의 인지 기능 측정과 관련하여 전반적인, 인지 능력을 검사하기 위하여 정신 상태 검사(MMSE, Folstein, Folstein &

와 신경 심리학적 검사 요약 참고 등의 많은 표

McHugh, 1975) ( , Barrie, 2022)

준화된 검사들이 체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초기 우울증의 진단에. DSM을 기초 로 한 표준화된 인터뷰(SCID, 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for DSM-IV, 와 우울의 인지적 정서적 신체적 증상을 측정 First, Willams & Spitzer, 1997) , ,

하기 위한 검사로 Beck의 우울검사 척도(BDI, Beck’s Depressions Inventar, 와 노인 우울 검사

Beck & Steer, 1987) (GDS, Geriatric Depression Scale,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Sheikh & Yesavage, 1986) .

이러한 체계적이고 표준화된 각 각의 개별적인 검사를 기초로 하여 우울증상과 치 매 증상을 다차원적인 측면에서 좀 더 용이하게 측정하고 평가하기 위하여 치매 와 우울진단 인터뷰(CIE, Canberra Interview for the Elderly, Henderson,

초기 치매와 우울의 변별 검사

1992), (TFDD, Test zur Frueerkennung von 그리고 Demenzen mit Depressionsabgrenzung, Ihl & Grass-Kapanke, 2000),

(5)

의 진단기준을 기초로한 알츠하이머 치매 진단을 위한 구조화된 DSM ICD-10

인터뷰(SIDAM, Struktierte Interview fuer Diagnose der Demenz vom Alzheimer Typ, der Multiinfakt-Demenz und Demenzen nach anderer Aetiologie nach DSM-III-R, DSM-IV und ICD-10, Zaudig & Hiller, 1996) 과 같은 여러 검사지가 최근에 개발 표준화되어 치매와 우울증의 변별 진단에 큰, 진전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치매와 우울증상의 변별 검사에서는 주로 인지 기능과 관련된 내 용이 주된 척도로 사용되어 이미 인지기능에 손상이 나타나는 치매 단계에서는 검사의 변별력을 기대할 수 있으나 치매 의심 단계나 인지 기능의 손상이 심하 게 진행되지 않은 초기 치매 단계에서는 아직 그 효과가 검증된 것이 없다 예. 를들어 Canberra 치매 우울 진단 인터뷰- (CIE)에서 우울 증상과 기억 능력의 척 도가 사례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민감도(sensitivity) .71-.80(ICD-10 준 과) .57-.77(DSM 기준), 정확도(specificity) .61, (ICD-10 기준), .77(DSM 기준 등으로 전체 변별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Henderson, 1992). 그러나 실험 참가자는 DSM ICD, 그리고 MMSE검사를 통하여 치매로 진단되어 인지 기능의 손상이 예견되어 있으며 초기 인지기능에 손상이 없는 초기 치매 환자에 서도 척도의 높은 변별력이 유지되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또한 치매 우울 진단 검사(TFDD) 검사에서도 기존의 인지 기능의 척도와 우울증 상의 척도를 사용하여 치매 증상과 우울 증상의 구분점을 확인 하였는데 TFDD 점 이하는 치매로 간주하며 부가적으로 자기보고와 타인 보고를 통하여 우울 35

척도에서 8점 이상인 경우 우울증의 진단을 충족하는 것으로 간주한다(Ihl &

마찬가지로 이 검사에서도 인지 기능검사가 주된 척도 Grass- Kapanke, 2000).

로 사용되어 인지 기능의 손상이 크지 않은 초기 치매 의심환자가 우울증과 변별 되어 평가 될수 있는지는 회의적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몇 몇 실험 연구에서 치매 증상과 우울증상에 관한 변별 연구가 발표되어 있으나 이 연구들에서도 치매 환자와 우울환자들이 주로 인지 기능 검사와 우울 증상의 검사에 반응하는 양식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Chaves &

Izquierdo, 1992; Jorm et al., 1995; Lewis, et al., 1998). Lewis (1998) 가족을 통한 인터뷰 검사에서 ICD-10과의 변별도로써 치매의 구분점을 민감도

점 정확도 점 우울의 구분점을 민감도 점 정확도 점이 적절하다는

13 , 13 , 16 , 10

것을 밝혔지만 인터뷰 내용은 주로 인지 기능을 기초로 한 것이어서 위의 표준 화된 진단 검사와 마찬가지로 인지 기능의 크게 손상되지 않은 초기 치매 환자 에게도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지는 의문이라 할 수 있다. 또한 Chaves 의 연구에서도 치매 환자가 우울환자와 비교하여 기억 검사와 Izquierdo(1992)

(6)

추상적 능력 계산 능력 등에서 큰 차이를 보였으나 이 차이는 역시 중기 치매 환자(BDS, Blessed Dementia Scale < 10)와 우울환자와의 차이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현재의 대부분의 치매 우울 변별 검사는 인지기능의 수행을 기초로 하- 여 개발되어 있기 때문에 인지기능 손상이 진행된 초기 이후의 치매 환자와 우 울환자를 정확하게 변별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나 인지 기능의 장애가 크게 손상되지 않은 초기 치매의 의심단계에서는 그 사용에 한계가 있다고 할 수 있 다.

노년기 우울과 치매 의심단계에서의 증상의 차이점 3.

최근의 임상경험과 연구 결과들은 노년기 우울과 초기 치매 의심단계에서의 공 통적인 증상들사이에 질적인 차이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예를들어 에 따르면 무관심 과 주도적 인 활동성 상실 은 노년 Alexopoulos (2002a)

기 우울의 대표적인 증상이지만 이러한 증상은 주로 노년기에 나타나는 다른 신 체적인 기질장애 예 치매 에 의해서도 나타날 수 있다고 가정하며 치매에서와( , ) , 같이 신체적 기질 장애에 의하여 나타나는 무관심”, “활동성 상실 은 우울 증 상과 비교하여 정도가 심하지 않으며 지속기간도 짧고 변화가 심한 것이 특징이 라고 주장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증상은 흔히. DSM진단의 기준을 충족시키지 않 는 대신에 오히려 치매의 발생을 예언 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 되며 이러한 기질적 장애를 가정한 우울증상에 대해 Alexopoulos(2002b) 우울 실행- 장애 증후(depression-executive dysfunction syndrome, DED”라 명명하고 여 기에 전뇌 피질의 손상을 가정하고 있다 실행 장애란 억제 기능과 주도적 활성. 화 기능의 장애와 지속적 주의 집중 능력의 장애를 의미하는 것으로 임상적으로 는 심리운동기능의 저하 주도적인 활동성 감소 복잡한 일상 생활능력의 감소등, , 의 증상을 나타나게 된다(Alexopoulos et al., 2002a, 2002b). 이러한 증상들은 경과가 악화 되면서 좀더 심한 자기연민과 정서의 급격한 변화 반응성 상실등, 의 특징을 나타나게 되는데 이러한 증상은 흔히 치매 증상이 있는 노인의 우울 증상과 일치하는것으로 알려져 있다(Greenwald et al., 1989). 이와 유사하게 도 사회적 활동의 참여중지와 사회적 고립은 치매 증상이 있는 노 Olin (2002)

인에게서 나타나는 커다란 특징중의 하나라고 간주한다.

Small(1998)은 치매증상이 있는 노인이 겪는 우울증상은 직접적으로 정서 경험을 통하여 표현 되기 보다는 초조감과 수면장애 같은 간접적인 신체 증상 으로 표현 된다고 한다 또 치매와 우울증상의 질적인 차이는 동기의 유지 여부.

(7)

에 의해 파악될 수 있어서 우울증상이 있는 노인은 동기가 저하되어 검사 수행 에 적극적이지 않고 매 시행마다 수행성적에 차이가 있는 반면 치매 증상의 노 인은 검사 수행에 적극적이고 좋은 수행 성적을 위하여 노력하는 경향을 보이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낮은 수행성적이 일관적으로 반복 관찰된다고 하였다.

한편 우울증상이 있는 노인은 주관적으로 겪는 일상생활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도움을 요청하며 정서 경험을 상대적으로 솔직히 표현 하고 증상을 과대 평가하 는 경향을 보이게 되지만 치매 증상이 있는 노인은 우울과 같은 정서 경험 보다 는 신체의 증상을 호소하고 증상을 사소한 것으로 과소 평가하려는 경향을 보인 (Calabrese, 2002; Yesavage 1994). 예를들어 가족과 환자 자신의 검사 신 뢰도에 관한 연구에서 Albert (1999) CDR점수가 0.5로써 치매증상이 의심 되는 노인들의 자기 보고식 증상은 가족들이 보고한 증상과 일치도에 있어서 정 상 노인과 그 가족들간의 일치도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치매. 증상이 있는 노인이 자신의 증상을 사소하게 하려는 경향을 보여 주었으며 이는

의 임상적 경험과 일치하는 내용이기도 하다

Calabrese (2002) .

또 개인과 가족의 병력을 연구한 결과를 보면 우울증상이 있는 노인의 경우 개 인 자신이나 또는 가족 구성원 가운데 우울병력의 빈도가 높으며 치매 증상이 있는 노인의 경우에는 가족 구성원 사이에 우울보다는 치매의 빈도가 높은 것으 로 나타난다(Jorm, 2001; Watari & Gatz, 2002).

위의 내용을 종합하여 보면 초기 치매 의심단계와 노년기 우울증상을 변별 할 수 있는 가설적 차이를 < .1>에서 다음과 같이 정리 할 수 있다.

노년기 우울증상과 초기 치매 의심증상의 가설적 차이

< .1>

(8)

증상의 범주 우울 치매 의심증상* 경과와 진행

짧은 기간 개월 이전(6 ) 급격한 진행

우울이 인지 장애에 선행

긴 시간에 걸쳐 발생 개월 이상(6 ) 점진적 단계적 진행,

인지 장애가 우울에 선행

주관적 곤란함

과대평가 인지 장애 호소

도움 요청 인지 장애 강조, 구체적인 인지 장애 사례 예시

과소평가

인지 장애 사소한 것으로 여김 도움 요청 없음 성과를 즐거워 함, 추상적인 인지 장애 언급

정서 지속적인 우울 좌절 낙담,

우울감정의 변화 무관심

병력 가족: 개인

우울 우울 존재

알츠하이머 치매

( )

선행 우울 없음 사고 죄책감 실패에 대한 두려움,

자신감 결여

실패를 타인에 전가 자기 과신

수면장애 수면 장애 수면장애

동기

의욕 상실 과제 수행에 노력없음, 균일한 단기 장기 기억 손상,

지향성 검사시

( )

주로모른의 대답

기억증진을 위한 대체 노력 없음

상실 의욕없음 과제 수행에 노력, 단기 기억의 손상 지향성 검사시 적( ) 극적 틀린 대답,

대체 노력 메모지 사용( )

* 치매 의심증상 본 연구의 연구개념으로 치매로 진단하기에는 인지손상의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나 연구 목적상 치매로 진행한다고 가정된 증상

연구 계획 4.

치매 의심 증상과 우울증상의 가설적 차이 참고( < .1>)는 이러한 변인을 통 제한 장기적인 추적조사나 혹은 실험적 방법을 통한 횡단적 방법을 통하여 그 타당도를 알아 볼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질적으로 차이가 있다고 가정. 되는 위의 임상적 특징들이 실증적으로 검증되어 지지될 수 있는지를 검토하는 것을 1차적인 목적으로 한다 그러므로 초기 치매와 노년기 우울집단을 면접하. 여 과거 증상 발생 당시의 반응을 검토 할 수 있는 구조적인 인터뷰 검사 문항 을 개발하고 목표 집단사이의 가설적인 차이를 검증 할 수 있는 실험설계를 논 의하기로 한다.

(9)

구조적 인터뷰 검사 개발 1)

본 연구에서 검토하는 주된 변인인 우울증상과 치매 증상을 변별하는 질적인 차 이는 구조적인 인터뷰를 통하여 측정 된다 구조적 인터뷰의 장점은 검사 수행. 의 객관성과 높은 신뢰도에 있으며 명확하고 간결한 문항구성을 통하여 객관성 과 신뢰도는 물론 자기 보고식 검사보다 의사소통의 융통성을 가능하게 해 줄수 있다 이것은 주된 실험 참가자가 인지 장애를 지니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매. 우 중요한 점이라 할 수 있다 인터뷰는 기초적인 개인 정보 예 성 연령 학력. ( , , , 등 와) < .1>에서 나타나는 21개 내용의 가설적 차이를 문항으로 작성한다. 문항은 문제 행동 증상을 경험했는지를 확인하는 확인 질문 과 질문의 내용이"

가설적으로 치매 증상을 의미하는지 우울증상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내용질문"

으로 구성된다 참고( < .2>). 인터뷰 내용에 간이 정신검사의 지남력 검사 항목과 일상 생활척도(ADL)와 도구적일상생활 척도(IADL)의 문항을 첨가하여 일상 생활 척도와 치매 의심 증상 우울증상 사이의 연관성도 살펴 보기로 한다, . 실험 집단의 참가자와 직접 대면을 통한 인터뷰 양식과 실험 참가자의 가족 구 성원과의 인터뷰 양식 2 종류의 인터뷰를 개발하여 사용하는데 왜냐하면 이러한 가지 상이한 정보의 획득은 첫째 실험참여자의 가능한 인지 왜곡을 통제할 수

2 ,

있게 되며 둘째 좀 더 신뢰로운 정보의 출처를 예측해 볼 수 있도록 해주기 때, 문이다 문항은 기본적으로 개인이 자신의 과거를 회상하여 대답하거나 또는 가. 족 구성원이 실험 참여자의 과거 상태를 회상하여 대답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그러나 과제 수행에 대한 노력 과 같은 동기 항목은 인터뷰 실시자가 현재 검" "

사상황에서 참여자의 동기를 관찰 파악하여 평가하도록 한다 내용질문에서 가, . 설적으로 우울증상을 의미하는 방향은 0 ,점 치매 의심증상의 방향으로는 1점으 로 채점한다 그러므로 각 문항의 내용질문에 대한 점수는 한 실험집단에서 최. 21점을 획득하게 되고 치매 집단에서 높은 점수를 받는 문항 일수록 치매 의심 증상으로 간주되며 최소 점수는 0점으로 우울지단에서 최소 점수를 받는 문항일수록 우울증상을 나타내는 문항으로 간주된다 한편 문제 행동 증상의 유. 무를 판단하는 확인 질문 에 예" " " 아니오 잘 모르겠다 의" 3가지 대답 가능성 을 제시하여 치매 의심증상과 우울증상을 변별하는 문항의 타당도에 관한 지표 로 활용한다.

초기 치매 의심단계와 노년기 우울의 변별을 위한 구조적 인터뷰 항목의 예

< .2>

증상의 발생 기간에 관한 문항 예 환자와의 인터뷰( )

당신은 그 시기 초기 인지적 행동적 측면에서 문제가 일어난 시기 에 사

1. ( )

(10)

회활동을 중단하게 되었습니까? ( ) 아니오 ( ) 잘 모르겠다 ( ) 예인 경우 아래 질문 아니오 인 경우 다음 번 질문

( , 2 )

구체적인 경험한 예를 들어 주십시요 1.1

( )

구체적인 경험을 예로 들면서

1.2 ( )

그러한 사회 활동을 중단하게된 것은 단기간 개월 이전 에 걸쳐 일어났(6 ) 습니까? 아니면 장기간 개월 이상 에 걸쳐 일어 났습니까(6 ) ?

( )

계속 2. ( )

증상의 발생 기간에 관한 문항 예 가족 인터뷰( )

당신은 초기 인지적 행동적 측면에서 문제가 일어난 시기 에 가 참여

1. ( ) XXX

하던 사회활동을 중단하였다고 생각합니까 예? ( ) 아니오 ( ) 잘 모르겠다 ( )

예인 경우 아래 질문 아니오 인 경우 다음 번 질문

( , 2 )

구체적인 어떠한 사회활동을 중단하였는지 예를 들어 주십시요 1.1

( )

구체적인 경험을 예로 들면서

1.2. ( )

가 그러한 사회 활동을 중단하게된 것이 단기간 개월 이전 에 걸쳐

XXX (6 )

일어났습니까? 아니면 장기간 개월 이상 에 걸쳐 일어 났습니까(6 ) ?

( )

계속 2. ( )

실험 참가자 2)

실험집단을 구성하는 실험 참가자는 모두 50세 이상의 남여 노인으로 초기 치 매로 진단되나 다른 어떤 심리적 장애를 보이지 않거나 집단( 1), 50세 이상의 남 여 우울증으로 진단된 참가자는 치매로 진단 되지 않는 우울집단을 구성하며 집단 치매와 우울증으로 진단되지 않고 다른 어떤 심리장애를 보이지 않는 ( 2),

정상집단 집단( 3)은 통제 집단으로 구성된다 각 집단 모두. 20명의 참가자를 할 당하여 전체 60명이 참가 하게 된다.

초기 치매 집단의 경우 인지적인 평가와 판단에 큰 장애를 보이지 않아 인터뷰 를 통한 정보 획득에 커다란 어려움은 없다고 간주되나 인지적인 편향과 의도적 이지 않은 정보처리의 왜곡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참고( , Albert etal., 1999;

(11)

가족과의 인터뷰를 통하여 Alexopoulos & Abrams, 1991; Olin et al., 2002)

이러한 인지왜곡을 통제할 비교 집단이 구성된다.

가족 집단은 각 실험 집단 구성원의 가족중 1인으로 구성되며 각각 해당된 실험 집단의 구성원을 잘 알고 있는 참가자로 구성된다 가족 집단( 1, 2, 3). 그러므로 전체적으로 3개의 실험집단과 그 실험집단의 가족 구성원으로 구성되는 3개의 비교집단을 포함하여 모두 6개 집단(N= 120)으로 구성된다 참고( < .3>).

각 실험 집단의 기준점수

< .3>

실험집단 MMSE* GDS**

초기 치매(N=20) 18 - 23 < 6 노년기 우울(N=20) > 24 > 11

정상(N=20) > 24 < 6

*, ** 아래 참고

각 실험 집단은 DSM-IV를 기초로한 구조화된 진단 인터뷰 참고 아래 를 사용( , ) 하여 장애의 기준을 검토하고 각 개별적인 증상을 다음과 같은 검사 도구를 사 용하여 확인한다.

치매 우울 진단을 위한 인터뷰 3) ,

의 진단 기준을 중심으로 구조화된 인터뷰 절차를 활용한다

DSM-IV (SCID,

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for DSM-IV, First, Willams & Spitzer, 1997).

이러한 구조화된 인터뷰를 통하여 인지 기능의 손상으로 인하여 일상생활에 장 애가 초래되고 행동과 성격 변화가 수반하여 치매 진단기준을 충족하는지를 종 합적으로 평가한다 또 구조환된 인터뷰를 통하여 우울증상의 지속기간과 우울. 의 진단 기준을 충족하는 우울삽화에 대한 질적인 평가를 수행한다 이와 더불. 어 간이 정신 상태 검사(MMSE, 참고 아래 를 통하여 인지 기능의 손상을 파악, ) 하고 노인 우울척도(GDS, 참고 아래 를 이용하여 우울증상의 정도를 파악한다, ) .

간이 정신 검사

4) (MMS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Folstein, Folstein

& McHugh, 1975)

간이 정신 검사는 지남력 주의 집중 즉시 기억과 단기 기억 언어 능력과 실행, , , 능력을 평가 하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전반적인 정신 능력을 검사하게 된다 특. 정 장애를 정확히 구분하여 주는 정확도(specifity)는 낮지만 치매의 인지 손상

(12)

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일차적인 진단을 위한 선발검사로써 유용하게 사용된다.

최대 점수는 30점으로써 18-23점 영역은 약간의 인지 손상을, 17점 이하는 심 한 인지 손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상현( , 1999; Barrie, 2002). 본 연 구에서 18-23점을 초기 치매 집단의 구분 점수로 활용한다.

노인 우울척도

5) (GDS, Geriatric Depression Scale, Seikh & Yesavage, 1986) 노인 우울척도는 각각 30문항(Yesavage et al., 1983) 15문항(Seikh &

그리고 문항 참고 으로 구성된 종류가 있

Yesavage, 1986), 5 ( , Barrie, 2002) 3

으나 본 연구에서는 Seikh Yesavage(1986) 15 문항 척도를 사용한다 일. 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Beck의 우울 검사 척도와 비교하여 주로 인지적인 우 울증상의 문항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데 이러한 차이는 김진희와 안창일(1995) 의 연구에서도 나타난다 총. 15점으로 11점 이상은 심한 우울, 6-7점은 약한 우울증상으로 간주 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11점을 우울집단의 구분 점수로 활용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초기 치매의심증상과 노년기 우울증상의 공통점을 알아보고 초기 치매의심증상과 노년기 우울을 변별하는 특성을 살펴 보았다 예를들어 사회적. 고립 사회활동 참여의 중지와 같은 공통적인 행동변화는 노년기 우울의 경우에, 의욕상실과 같은 동기저하와 자신감 결여와 같은 인지적 특성과 연관되어 있으 나 초기 치매단계에서는 자기과신에도 불구하고 점진적 단계적으로 진행되는, 인지기능의 장애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또한 노년기 우울에서의 정서적인 경험은 짧은 기간에 급격히 나타나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와는 달리 초기 치매의심 단계에서의 정서경험은 변화가 심하고 점 진적인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표( 2. 참고).

비록 정신 장애의 진단및 통계편람(DSM-IV, 1995) 4 판에서 우울과 치매는 각각 제 1 축에서 독립적인 장애로 구분되어 있지만 최근에 사회적 고립”, “ 회활동의 참여 중단 과 같이 우울과 유사한 치매의 행동적 증상의 특성에 관한

(13)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Alexopoulos et al., 2002a, 2002b; Olin et al., 2002).

은 치매 증상이 있는 노인에게서 나타나는 이러한 증상은 정서 장 Olin (2002)

애로써의 우울증과는 다른 독립적인 일련의 치매 증상으로 간주하며 신경 화학 적인 이상에 기인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Olin등은 위의 연구에서 치매에서 나타 나는 증상이 심하지 않고”, “사회적 고립 으로 대표되는 증상을 치매의 잠정 적인 우울증 으로 명명하고 이를 위하여 하나의 독립적인 진단기준을 제안하였 다 이러한 제안에 따르면 기존의 정서 장애로써의 우울의 진단 기준과 비교하. 여 첫째, “5 ” 이상의 증상 대신에 “3 ” 이상의 증상으로 완화 하였으며 둘 , “(우울감정의 하루에 대부분의 시간) 기준을 배제 하였으며 셋째, “성급함 사회고립 혹은 사회활동 중단 의 증상을 추가 하였고 넷째 , “흥미나 즐거 움의 상실 대신 사회적 접촉과 일상 활동에 대한 긍정적 정서 혹은 즐거움의 저하 라고 하는 내용으로 수정한 점이 차이가 난다 그러나 이러한 일련의 치매 . 의 독립적 잠정적인 우울증상이 치매와 우울이론의 정립과 임상 치료에 도움( ) 이 되는 구성개념이라는 것을 실증적으로 지지해주는 연구가 보고된 것은 없다.

이와 유사하게 Finkel (1998) 은 치매의 반복적 질문 이나 배회 또는 우울 같은 행동적 심리적 증상이 인지기능보다 상대적으로 덜 연구되어 왔음을 지적- 하면서 이러한 행동적 심리적 증상은 인지적 기능장애에 의해 자연적으로 나타- 나는 장애가 아니라 하나의 독립적인 일련의 증상임을 강조한다 참고( , Hirsch, 이러한 독립적인 행동적 심리적 증상은 인지기능의 치료보다 더 효율적

1999). -

으로 치료될 수 있으며 치료 혹은 연구 목적에 따라 적절한 증상의 집합에 관한 특성이 연구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비록 구체적인 증상의 유형은 서로 상이하지만 본 연구에서도 임상적 관찰과 실 험 연구결과에 의해 초기 치매의심단계와 노년기 우울사이에 나타나는 공통적인 증상들이 질적으로 차이가 있음을 가정함으로써 참고( , 1) Olin (2002)

이 제안한데로 하위집단으로써의 독립적인 또 다

Alexopoulos (2002a, 2002b)

른 치매증상을 구성하는 것이 유용한 것인지를 검토해 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차이를 환자 자신과 가족 구성원의 면접을 통하여 파악하기 위하여 구조적인 인 터뷰 절차가 적절하다는 것이 논의 되었으며 궁극적으로 치매 증상을 단일차원 이 아닌 다차원적인 측면에서 보아야 하는지에 관한 논의의 기초를 제공해 줄 수 있다.

(14)
(15)

참 고 문 헌

김진희 안창일, (1995). 노인과 성인의 우울특성-GDS BDI의 비교-. 임상심리 학회 하계학술대회.

보건복지부 (2001).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오병훈등 (2002). 치매- 치매 이해와 치료의 바른 길잡이 서울 무지개사. : . 윤수진 이윤환 손태용 오현주 한근식 김경희, , , , , (2002). 지역사회 노인의 치매

와 우울증의 관련요인.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1, 59-73.

이상현 (1999). 치매에 대한 가정의의 진단과 치료적 접근. 가정의학회지, 20, 295-308.

우종인 이정희 유근연 홍진표 김창엽 김용익 이강욱, , , , , , (1997). 한국의 한 농 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에서의 치매의 유병률. 신경정신의학, 36, 92-102.

조맹제 함봉진 주진형 배재남 권준수, , , , (1998). 일 도시 지역사회 노인들의 인 지기능장애와 우울증상의 유병율. 신경정신의학, 37, 352-362.

Alexopoulous, G. S. et al., (2002a). Assessment of late life depression.

Biological Psychiatry

, 52, 164-174.

Alexopoulous, G. S. et al., (2002b). Clinical presentation of the

“Depression- Executive Dysfunction Syndrome” of late lif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 10, 98-106.

Baldwin, B. (1997). Depressive Erkrankungen. In H. Foerstl (Hrsg.),

Lehrbuch der Gerontopsychiatrie

(S. 408-418). Stuttgart: Enke.

Beck, A. T., & Steer, R. A. (1987).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San Antonio: The Psychological Corporation Inc.

Benedict, K. B., & Nacoste, D. B. (1990). Dementia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A framework for addressing diffculties in differential diagnosis.

Clinical Psychology Review

, 10, 513-537.

Butler, R. N., Finkel, S. I., Lewis, M. I., Sherman, F. T., & Sunderland, T.

(1992). Aging and mental health, part 2: Diagnosis of dementia and depression.

Geriatric

s, 47, 49-57.

Calabrese, P. (2002). Fruediagnostik kognitiver Defizite in der hausaerztlichen Praxis.

Hausarzt Kollege

, 19-22.

(16)

Chaves, M. L. F., & Izquierdo, I. (1992). Differential diagnosis between dementia and depression: A study of efficiency increment.

Acta Neurol Scand

, 85, 378-382.

정신장애의 진단및 통계편람 제 서울 하나의학사

DSM-IV (1995). ( 4 ). : .

Finkel, S. I., Silva, J. C., Cohen, G. D., Miller, S., & Sartorius, N. (1998).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 6, 97-100.

First, M. B., Willams, J. B., & Spitzer, R. B. (1997). 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for DSM-IV Axis I Disorders (Clinical Version) SCID-I administration B. American Psychiatric Press.

Fitz, A. G., & Teri, L. (1994). Depression, cognition and functional ability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Journal of American Geriatric Society

, 42, 186-191.

Folstein, M. F., Folstein, S. E., & McHugh, P. R. (1975). Mini-Mental State: A practial methode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stients for the clinican.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 12, 189-198.

Francis, P. T., Pamler, A. M., Snape, M., & Wilcock, G. K. (1999). The cholinergic hypothesis of Alzheimer’s disease: A review of progress.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and Psychiatry

, 66, 137-147.

Greenwald, B. S., Kramer-Ginsberg, E., Martin, D. B., Laitman, L. B., Herman, C. K., Mohs, R. C., & Davis, K. L. (1989). Dementia with coexistent major depression.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 146, 1472-1478.

Hautzinger, M. (2002). Depressive Stoerungen. In A. Maercker(Hrsg), Alterpsychotherapie und klinische Gerontopsychologie(S.

142-165). Berlin: Springer.

Henderson, A. S. (1991). The Canberra Interview for the Elderly: A new field instrument for the diagnosis of dementia and depression by ICD-10 and DSM-III-R.

Acta Psychiatr Scand

, 85, 105-113.

Heun, R., Kockler, M., & Ptok, U. (2002). Depression in Alzheimer’s disease: Is there a temporal relationship between the onset of depression and the onset of dementia?

Europaeische Psychiatry

,

(17)

17, 254-258.

Hill, C. L., Sprengler, P. L. (1997). Dementia and depression: A process model for defferential diagnosis.

Journal of Mental Health Counseling

, 19, 23-40.

Hirsch, R. D., & Meier-Baumgartner, H. P. (1999). Symptomvielfalt bei Demenzerkrankungen und deren Beeinflussung: Ein zentrales gerontopsychiatrisches Aufgabenfeld.

Zeitschrift Gerontologie und Geriatrie

, 32, 151-152.

Ihl, R., & Grass-Kapanke, B. (2000). Test zur Frueerkennung von Demenzen mit Depressionsabgrenzung, Manual. Libri Books.

Jorm, A. F. (2001). History of depression as a risk factor for dementia:

An updated review.

Austr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 35, 776-781.

Jorm, A. F., Mackinnon, A. J., Henderson, A. S., Scott, R., Christensen, H., Korten, A. E., Cullen, J. S., & Mulligan, R. (1995). The Psychogeriatric Assessment Scales: A multidimensional alternative to categorical dignosis of dementia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Psychological Medicine

, 25, 447-460.

Lundquist, R., Berens, A., & Olsen, C. G. (1997). Comorbid disease in geriatric patients: Dementia and depression.

American Family Physician

, 55, 2687-2694.

Mackinnon, A. et al., (1993). The Canberra Interview for the Elderly:

Assessment of its validity in the diagnosis of dementia and depression.

Acta Psychiatr Scand

, 87, 146-151.

Maslow, K., Selstad, J., & Denman, S. J. (2002). Guidelines and care management issues for people with Alzheimer’s disease and other dementias.

Disease Manage Health Outcomes

, 10, 693-706.

Migliorelli, R., Tenson, A., Sabe, L., & Petracchi, M., Leiguarda, R., &

Starkstein, S. E. (1995).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dysthymia and major depression among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 152, 37-44.

Olin, J. T. et al., (2002). Provisional diagnostic criteria for depression of Alzheimer disease: Rationale and background.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 10, 129-141.

(18)

Pond, C. D., Mant, A., Kehoe, L., Hewitt, H., & Brodaty, A. H. (1994).

General practitioner diagnosis of depression and dementia in the elderly: Can academic detailing make a difference?

Family Practice

, 11, 141-147.

Ross, L. K., Arnsberger, P., & Fox, P. J. (1998).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disease severity with depression in 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

Aging and Mental Health

, 2, 319-327.

Sheikh, J. I., & Yesavage, J. A. (1986). Geriatric Depression Scale(GDS):

Recent evidence and development of a shorter version. In T. I.

Brink (Ed.), Clinical Gerontology: A guide to assessment and intervention (p. 165). New York: Haworth Press.

Small, G. W. (1998). Differential diagnosis and early detection of dementia.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 6, 26-33.

Teri, L., & Reifler, B. V. (1987). Depression and dementia. In L Carstensen & B. Edelstein (Eds.),

Handbook of clinical gerontology

(pp. 1112-1119). New York: Pergamon Press.

Villareal, D. T., & Morris, J. C. (1999). The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 1, 249-263.

Wernicke, T. F., Geiselmann, B., Linden, M., & Helmchen, H. (1997).

Praevalenz von Depressionen im Alter Die Berliner Altersstudie.

In H. Radebold (Hrsg.),

Depression im Alter

(S. 81-82).

Darmstadt: Steinkopff.

Watari, K., & Gatz, M. (2002). Dementia: A cross-cultural perspective on risk factors.

Generations

, Spring, 32-38.

Yesavage, J. (1993). Differential diagnosis between depression and dementia.

The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 94(Suppl. 5A), 23-28.

Yesavage, J. et al. (198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eriatric depression screening scale: A preliminary report.

Journal of Psychiatry Research

, 17, 37-49.

Zank, S., & Leipold, B. (2001). The relationship between severity of dementia and subjective well-being.

Aging and Mental Health

, 5, 191-196.

참조

관련 문서

첫째, 본 연구는 대학생활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대학생들이 원활하게 대학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돕고자, 대학생의 학업 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에

치매 지식수준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종합해보면, 치매 지식에 대한 조사는 (성인, 노인을 포함한) 일반인구집단, 요양보호사, 의료인, (간호대학생을 포함한)

최근 10년 사이에 장기요양보험의 보장성 확대에 대 한 사회적 요구와 인지기능 저하 노인에 대한 돌 봄 확대 정책에 따라 일상생활에는 큰 어려움은 없지만 치매상병이나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오감체험 미술활동은 초기 노인성 치매 환자에 있어 인지적, 정서적, 운동 감각적 영역의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여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 체육과 지도 영역 중 가장 어려움을 겪고 있는 리듬 및 표현운동 중 전통 춤사위 교수-학습 활동을 구안ㆍ적용하고 다양한 춤사위 표현 운동의

첫째 특수교사들은 직무스트레스 상황에서 문제 중심적인 대처 방법과 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 방법을 많이 활용하였으며 정서 중심적 대처는 상대적으로

사후 만 측정 하였지만 본 연구에서는 인지기능 우울 삶의 질을 , , 3 차례 반복측정 하고 분석하여 IT -healthcare 프로그램 치매 예방 프로그램이 신체적 건강과

프로젝트 제작에 어려움을 겪는 친구들에게 쉽게 설명하여 가 르쳐 주면서 카드뉴스를 제작하였고, 사진과 도표, 삽화 자료 등을 적절히 배분하여 카 드뉴스를 제작함, 카드뉴스에 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