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단일 응급센터로 내원한 저압 전기 손상 환자의 임상적 고찰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단일 응급센터로 내원한 저압 전기 손상 환자의 임상적 고찰"

Copied!
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대한화상학회지 제 15 권 제 2 호

92

Journal of Korean Burn Society

Vol. 15, No. 2, 92-95, 2012

책임저자:이 근, 인천시 남동구 구월동

󰂕 405-760, 가천대학교 길병원 응급의학교실 Tel: 032-460-3015, Fax: 032-460-3019

E-mail: er@gillhospital.com

단일 응급센터로 내원한 저압 전기 손상 환자의 임상적 고찰

한조은ㆍ김진주ㆍ이 근ㆍ양혁준ㆍ현성열ㆍ조진성ㆍ박원빈

가천대학교 길병원 응급의학교실

Clinical Analysis of Low Voltage Electrical Injury in One Emergency Center

Jo Eun Han, M.D., Jin Joo Kim, M.D., Keun Lee, M.D., Hyuk Jun Yang, M.D., Sung Youl Hyun, M.D., Jin Sung Cho, M.D.

and Won Bin Park, M.D.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Gachon University Gil Hospital, Incheon, Korea

Purpose: The majority of electrical injuries coming to emer-

gency department are low voltage injuries cases. Therefor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clinical character- istics and the treatment outcomes of patients with low voltage electrical injury in one emergency center.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the patients who visited emergency department between July, 2007 and May, 2012. We noted demographics, entrance and exit point of burn injuries, associated injuries and symp- toms, electrocardiograms, laboratory results, results of treat- ment, and so on.

Results: There are 103 patients enrolled. Sixty-eight (66%)

patients were men with a mean age of 24 years. Pediatric pa- tients (≤15) were 41 (40.0%). The right upper extremity was the most common entry point, and exit point was unclear in almost cases. There were no lethal complications, except 1 case. The case with lethal complication was 57 year old man who survived from out-of hospital cardiac arrest. He was in- jured by 220 V electric current during 2 minutes and total ar- rest time was 20 minutes. He was applied with mild ther- apeutic hypothermia and later, discharged with favorable neurologic outcome (Cerebral Performance Categories scale 2). Overall rate of discharge, admission and transfer were 67.0%, 28.2% and 4.9%, respectively. Among the discharged patients, no patient re-visited to emergency department with severe complication. After admission, all patients discharged without severe complication.

Conclusion: There were neither unexpected complications

nor delayed complication in our study. Therefore, ED physi-

cians might consider discharge if patients had only minor complications that can manage out-patients follow up at the initial evaluation. (J Korean Burn Soc 2012;15:92-95)

Key Words: Electric injury, Arrhythmia, Complication

서 론

전기는 우리 삶에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에너지이며 우 리주위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고 그에 따른 전 기 손상 또한 응급센터로 내원하는 환자의 주요한 부분을 차지 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전기 손상에 대한 연구는 고압 전기 손상을 위주로 이루어졌으나 실제로 우리가 생활하는 가정과 직장에서 사용되는 전기는 저압 전기이며 실제로 응급센터로 내원하는 환자의 상당수는 저압 전기 손상 환 자이다

1)

.

저압 전기란 1,000 V 이하로 정의하며 국내에는 가정용 인 220 V와 산업용인 380 V가 주로 쓰인다. 전기 손상은 피부 화상, 절단, 추락으로 인한 외상, 연부조직 손상, 고칼 륨혈증, 급성 신부전, 부정맥, 백내장, 말초신경 손상, 말단 혈관 손상 등을 일으키며 일반적으로 저압 전기 손상이 고 압 전기 손상보다 경미한 손상을 일으킨다

2-4)

.

저자들은 가천대 길병원 응급센터로 내원한 전기 손상 환자 중 저압 손상만을 대상으로 현황을 파악하고 특성을 분석하여 치료와 예후 예측에 도움을 얻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7월부터 2012년 3월까지 가천대 길병원의 응급센

터에 전기 손상으로 내원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가

천대 길병원은 총 1,500병상의 규모이며, 응급센터는 권역

응급의료센터로 지정되어 있고 응급센터를 통해 한해 약

90,000명의 환자가 내원한다. 연구 기간 동안 내원한 전체

전기 손상 환자는 총 130명이었고 고압 손상환자는 9명, 전

압을 알 수 없었던 환자는 15명, 저압 손상환자 중 의무기록

이 불충분한 3명의 환자를 제외한 103명의 환자를 대상으

(2)

한조은 등:단일 응급센터로 내원한 저압 전기 손상 환자의 임상적 고찰

93

Variable N (%)

Sex Male 68 (66)

Female 35 (34)

Age Mean (yr) 24.1±18.8

Age group <10 34 (33)

10∼19 12 (11.7)

20∼29 12 (11.7)

30∼39 20 (19.4)

40∼49 16 (15.5)

50∼59 8 (7.8)

≥60 1 (1)

Table 1. Demographics of the 103 Patients of Low Voltage

Electrical Injury

Enterance Exit

RUE 48 (46.6%) 2 (1.9%)

LUE 30 (29.1%) 2 (1.9%)

BUE 16 (15.5%) 0 (0%)

RLE 0 (0%) 0 (0%)

LLE 1 (1%) 1 (1%)

BLE 1 (1%) 0 (0%)

Torso 1 (1%) 0 (0%)

Head & neck 1 (1%) 0 (0%)

Unknown 5 (4.9%) 98 (95.1%)

RUE = right upper extremity, LUE = left upper extremity, BUE = both upper extremity, RLE = right lower extremity, LLE = left lower extremity, BLE = both lower extremity

Table 2. Enterance and Exit of the 103 Patients of Low

Voltage Electrical Injury

EKG rhythm N (%)

Normal sinus rhythm 92 (89.3)

Sinus tachycardia 3 (2.9)

Sinus bradycardia 4 (3.9)

Sinus arrhythmia 1 (1)

Frequent VPC 1 (1)

1st degree AV block 1 (1)

Asystole 1 (1)

VPC = ventricular premature contraction, AV block = Atrioventricular block

Table 3. EKG Findings of the 103 Patients of Low Voltage

Electrical Injury

로 대상환자들의 성별, 연령과 더불어 내원 당시 심전도, 화 상의 입구와 출구, 동반된 증상 및 합병증 등의 임상적 특성 을 의무기록 검토를 통해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전체 환자 103명 중 남성이 68명(66%), 여성은 35명(34%) 으로 남성이 많았으며 평균 연령은 24.1세였다. 연령대는 10세 미만이 34명(33%)으로 가장 많았으며 전체 소아환자 (≤15세)는 41명(40%)을 차지하였다(Table 1). 손상 전압은 98명(95.1%)이 220 V에 수상하였으며, 5명(4.9%)은 380 V에 수상하였다.

1. 화상의 입구 및 출구

화상의 입구는 우측상지가 48명(46.6%)으로 가장 많았으 며 좌측상지가 30명(29.1%)으로 두번째, 양측상지가 16명 (15.5%)으로 세번째를 차지하였다. 그 이외에도 좌측하지 1

명(1%), 양측하지 1명(1%), 체간 1명(1%), 두경부 1명(1%) 이 있었으며 입구를 알 수 없는 경우도 5명(4.9%)이 있었다.

출구는 98명(95.1%)이 알 수 없었으며 우측상지 2명(1.9%), 좌측상지 2명(1.9%), 좌측하지 1명(1%)이었다(Table 2).

2. 심전도

응급실 도착 당시 시행한 심전도는 정상인 경우가 92명 (89.3%), 동성 서맥 4명(3.9%), 동성 빈맥 3명(2.9%), 동성 부 정맥 1명(1%), 1도 방실차단 1명(1%), 심실조기수축 1명 (1%), 무수축 1명(1%)이었다. 1명의 무수축을 보였던 환자 를 제외하면 정상소견 이외의 심전도를 보였던 환자들 중 흉부 불편감, 흉통, 두근거림의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는 없 었다(Table 3). 1명의 무수축을 보였던 환자는 57세 남자로 공사현장에서 그라인더 작업 중 220 V의 전류에 2분 정도 감전된 후 의식소실 되어 바로 119에 신고 되었으며 3분만 에 119가 현장 도착하여 심폐소생술 시행하였고 12분만에 응급실 내원하여 5분의 추가적 심폐소생술 후 자발순환이 회복된 환자이다. 환자는 이후 치료적 저체온 요법을 시행 하여 Cerebral performance category scale (CPC) 2점으로 퇴원하였다.

3. 동반된 증상 및 합병증

응급센터에 내원할 때까지 증상이나 합병증이 남아 있었 던 경우는 91명(88.3%)이었다. 이중 피부 증상이 동반된 경 우가 전체환자의 68.9%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1∼2도 화상이 동반된 경우가 65명(63.1%), 2∼3도 화상 4 명(3.9%), 자상 4명(3.9%), 찰과상 2명(1.9%) 순이었다. 신경 학적 증상이 21.8%에서 나타났고 각각 말초신경병증 16명 (15.5%), 두통 5명(4.9%), 실신 4명(3.9%), 떨림 2명(1.9%), 현훈 1명(1%), 의식 변화 1명(1%)이었으며, 의식변화를 일 으킨 1명은 심전도에서 무수축을 보인 환자와 동일하다.

이비인후과적 증상으로 이명 1명(1%), 청력장애 1명(1%)이

(3)

94

대한화상학회지 Vol. 15, No. 2, 2012

Symptoms & complications N (%)

Cutaneous Burn 1o∼2o 65 (63.1)

Burn 3o∼4o 4 (3.9)

Laceration 4 (3.9)

Abrasion 2 (1.9)

ENT Tinnitus 1 (1)

Hearing disturbance 1 (1) Cardiology Chest discomfort 5 (4.9)

Chest pain 3 (2.9)

Palpitation 2 (1.9)

Neurology PN 16 (15.5)

Headache 5 (4.9)

Syncope 4 (3.9)

Tremor 2 (1.9)

Dizziness 1 (1)

Mental change 1 (1)

Orthopedics Myalgia 9 (8.7)

Fracture 5 (4.9)

C-spine sprain 1 (1)

Contracture 1 (1)

ENT = ear, nose and throat, PN = peripheral neuropathy

Table 4. Associated Symptoms & Complications of the 103

Patients of Low Voltage Electrical Injury

있었고 정형외과학적 증상으로 근육통 9명(8.7%), 골절 5명 (4.9%), 타박상 1명(1%), 경추 염좌 1명(1%), 구축 1명(1%) 이 있었다. 심장학적 증상도 흉부 불쾌감 5명(4.9%), 흉통 3명(3.9%), 심계항진 2명(2.9%)이 있었으나 심전도는 모두 정상소견을 보였다(Table 4).

4. 진료 결과

응급실 진료 후 퇴원율은 67%였고 입원과 전원은 각각 28.2%와 4.9%였다. 응급실에서 퇴원한 환자 중 치명적 합 병증으로 다시 응급실을 찾는 경우는 없었으며, 입원한 이 후에는 모든 환자가 심각한 합병증 없이 퇴원하였다.

고 찰

전기 손상은 전기에너지에 의한 인적 피해를 총칭하는데 전류가 인체에 흐를 때 직접적인 전류에 의한 손상과 인체 내부조직의 저항에 의해 발생하는 줄(Joule)열이나 아크에 의한 수천도의 고열로 인해 세포가 괴사되는 손상을 포함 하고 전기 감전 시 추락이나 근육 수축에 의하여 기계적인 손상 또한 동반되는 경우가 많아서 일반적인 화상과는 다 른 전문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1,5)

.

전기 손상의 중증도를 결정하는 인자는 에너지의 크기, 전압, 저항, 전류의 종류, 노출된 기간, 몸에서 전기가 통과

한 경로 등이 있다. 대부분의 심각한 전기 손상은 고압전류 에 의한 것이지만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전기, 즉 220 V와 380 V의 전압에도 치명적 손상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실 생활에서 사용하는 전기는 교류인데 교류의 경우 골격근에 경직성 수축을 일으켜 손상의 원인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 해하여 노출되는 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그리고 교류 전 기가 직류전기에 비해 심실세동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R-on-T현상과 같이 심장박동 중 상대적 불응기에 전 류가 흐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6)

.

전기 손상시 전기에 의한 열 생성은 줄의 법칙에 의하여 Energy (J) = I(전류)

2

× R(저항) × T(접촉시간)으로 설명된 다. 저항이 크면 열 발생이 증가하게 되는데, 신체 조직은 골, 지방, 건, 피부, 근육, 혈관, 신경 순으로 저항이 크다.

그 외에도 저항은 접촉면적, 접촉 압력, 전류의 크기와 지속 시간, 습기 등에 영향을 받는다

7-9)

. 전류의 인체 내 통과 경 로는 주로 전압에 의해 좌우된다. 저압 전류는 저항이 작은 쪽을 통로를 따라 흐르지만 고압 전류는 전류와 접촉한 부 위 사이의 최단거리 경로를 취하며, 이 때 인체는 저항이 거의 균일한 일종의 입체적 도체가 된다

10)

.

본 연구에서 입구는 잘 알 수 있었던 반면 출구는 상대적 으로 잘 알 수 없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는 저전압 손상에서 는 주관적, 객관적 증상, 증후가 뚜렷하지 않고 연구 대상 중 소아환자의 비율이 높아 병력청취가 어려웠던 점이 출 구를 추정하기 어렵게 하였다.

전기 손상의 큰 특징 중 하나는 심근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만약 치명적 부정맥이 발생할 때 즉각적인 조 치가 없다면 사망에 이를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런 사실이 전기 손상의 예후를 예측하고 환자의 입, 퇴원 및 지속적인 심전도 감시의 필요성을 결정하는데 어려움을 주고 있는데 Fish 등

11)

의 연구에서 과거 보고된 지연성으로 치명적 부정 맥이 나타났던 환자들을 다시 검토하여 다섯가지의 심전도 감시의 적응증을 제시하였는데 1) 의식 소실 2) 부정맥 3) 심전도의 이상 소견 4) 비정상적인 의식상태나 비정상적인 이학적 소견 5)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해지거나 전해질 불균 형을 초래 할 수 있는 화상이나 조직손상 등이 있으면 심전 도 감시를 해야 한다고 말하였다. 특히 초기 심전도의 중요 성을 강조하였는데 초기 심전도에서 정상소견이고 심장학 적 증상이 없으면 심장의 손상가능성이 떨어진다고 말했 다.

Benoit 등

12)

의 연구에서는 지속적인 심전도 감시의 필요

성을 결정하는데 전류의 흉곽통과여부, 경직성 수축, 고압

손상, 초기 심전도의 비정상 소견 등의 고위험 인자를 가진

환자를 조사하였는데 지연성으로 치명적 부정맥이 발생한

경우는 없다고 보고하였다.

(4)

한조은 등:단일 응급센터로 내원한 저압 전기 손상 환자의 임상적 고찰

95

본 연구가 시행되었던 센터에서는 내원 당시 입원을 요 하는 합병증이 있었던 환자, 심전도에서 이상을 보였던 환 자, 흉부 및 중추 신경계 증상을 보였던 환자 등을 입원하여 관찰하였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 외래 경과 관찰하였는데 입원하여 경과 관찰 후 퇴원하였던 환자들과 응급실에서 바로 퇴원하였던 환자들 중 치명적인 합병증으로 응급실에 재내원 한 경우는 없었다.

전기 손상은 심장 외 다른 장기에도 다양한 합병증을 일 으킬 수 있는데 두뇌, 척수, 말초신경에 영향을 줘 의식소 실, 경련, 마비, 감각이상 등의 다양한 신경학적 증상을 일 으킬 수 있다. 피부 화상을 보일 수 있으며, 경직성 근육 수 축과 낙상 등에 의해 골절이 생길 수 있다. 또한 혈관/근육 손상에 의한 구획증후군, 횡문근융해증도 나타난다. 그외, 오존, 일산화탄소등의 독성 기체에 의한 흡인 손상, 백내장, 망막박리, 각막화상, 안구내 출혈 등과 같은 안구 손상, 청 각 손상, 소화기계 손상, 응고장애, 폭압손상 등 다양한 합 병증을 유발시킬 수 있다

13)

. 본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피부 합병증과 신경학적 합병증이 전체 합병증의 대부분을 차지 하였고 정형외과적, 심장학적, 이비인후과적 합병증도 발견 되었으나 그외 안구손상, 구획증후군, 횡문근융해증, 흡인 손상, 응고장애 등은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대부분의 합 병증이 고압 전기에서 잘 나타나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다양한 합병증이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첫째, 퇴원하거나 전원간 환자 들에 대한 추후 관찰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이 다. 퇴원시 모든 환자에서 외래를 통한 경과관찰을 교육하 였으나 외래에 다시 내원한 환자는 소수에 불과했다. 경과 관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환자 중에서 치명적 합병 증이 나타났을 가능성을 배제 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둘째 일개 응급센터에서 이루어진 후향적 연구로 전기 손상시 드물게 나타날 수 있는 합병증을 모두 알기에 는 환자의 숫자가 부족하였고 전반적인 임상 고찰로서 각 항목에 대한 심도 있는 조사가 이루어지지 못한 점을 들 수 있다.

결 론

1예에서 병원 전 심장마비 환자가 있었으나 그 외의 경우 에서는 치명적 합병증을 보이지 않았고 응급실에서 즉시 퇴원한 경우나 입원 이후 퇴원한 경우에도 추후 치명적 합 병증으로 응급실에 재 내원하는 경우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를 바탕으로 저압 전기 손상으로 내원하는 환자에 있어 서 초기 평가 후 치명적 합병증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퇴원 을 고려 할 수 있을 것이며, 정확한 퇴원의 적응증을 확립하 는데는 향후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 다기관 연구 가 필요할 것이다.

REFERENCES

1) Kim JS, Sin HS, Kim HS, Kim JH, Yi GH, Lim HS. A statistical analysis on the electrical accidents in 2010. The 22th Korean Institute of Fire Investigation autumn conference; 2011 Nov 24 P. 133-43.

2) Baxter CR. Present concept in the management of major electrical injury. Surg Clin North Am. 1970;50:1401-1418.

3) Rouse RG, Dimick AR. The treatment of electrical injury compared to burn injury: a clinical review of pathophy- siology and comparison of patient management protocols. J Trauma. 1978;18:43-47.

4) Hussmann J, Kucan JO, Russell RC, Bradley T, Zamboni WA.

Electrical injuries-morbidity, outcome, and treatment ratio- nale. Burns. 1995;21:530-535.

5) Terry L, Vanden H, Laurie J, Morrison, Michael S, Michael D, et al. Part 12: Cardiac arrest in special situations: 2010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Circu- lation. 2010;122:829-861.

6) Fish R. Electric shock, Part II: Nature and mechanism of injury. J Emerg Med. 1993;11:457-462.

7) Esses SI, Peters WJ. Electrical burns: pathophysiology and complications. Can J Surg. 1981;24:11-14.

8) Zimmermann U. Electrical breakdown, electropermeabili- zation and electrofusion. Rev Physiol Biochem Pharmacol.

1986;105:176-256.

9) Fish R. Electric shock, Part I: Physics and pathophysiology.

J Emerg Med. 1993;11:309-312.

10) Hunt JL, Mason AD Jr, Masterson TS, Pruitt BA Jr. The pathophysiology of acute electric injuries. J Trauma. 1976;

16:335-340.

11) Fish R. Electric injury, part III: cardiac monitoring indications, the pregnant patient, and lightning. J Emerg Med. 2000;18:

181-187.

12) Benoit B, Sylviane F, Pierre G. Prevalence of potential risk factors in victims of electrocution. Forensic Sci Int. 2001;

123:58-62.

13) Fish R: Electric injury. Tintinalli’s emergency medicine: A comprehensive study guide. 7th ed. 1386-1391, New York:

McGraw-hill; 2011.

수치

Table 1. Demographics  of  the  103  Patients  of  Low  Voltage  Electrical  Injury Enterance  Exit RUE 48  (46.6%)   2  (1.9%) LUE 30  (29.1%)   2  (1.9%) BUE 16  (15.5%)   0  (0%) RLE   0  (0%)   0  (0%) LLE   1  (1%)   1  (1%) BLE   1  (1%)   0  (0%) To

참조

관련 문서

This result also correspond with the one studying children using the community children center such as 'study on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y of single parent

Therefore, in this study, genetic test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and identify the infections of Orientia tsutsugamushi, Ricekttsia genus, Anaplasma phagocytophilum ,

The aim of this study was not only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ego-resilience between students with high experience and students with low experience in

surveillance study of patients with Emergency Department injuries under the control of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Statistic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isure activities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during the summer break and

Although visceral fat adiposity ha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clinical, pathologic, and oncologic outcomes in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CRC), the

In elderly metastatic colon cancer patients, the treatment results of combination therapy with targeted treatment showed similar results to those reported in clinical trial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ducing the incidence of bradycardia in the atropine and ephedrine pretreatment groups when compared with t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