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현행 초등학교 사회(역사)교과서의 다문화 인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현행 초등학교 사회(역사)교과서의 다문화 인식"

Copied!
2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요약_본고에서는 현행 초등학교 사회(역사)교과서의 다문화 내용을 검토하여, 다문화인 식이 어떻게 교과서에 구현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한다. 이를 위해 우선 사회과(역사) 영역 교육과정의 내용 및 특징을 검토하고, 다음으로 역사교육에서의 다문화교육의 필 요성을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체계와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교과서의 다문화 관련 내용을 살펴보았다.

먼저 현행 2015 개정 사회과(역사영역) 교육과정의 변화내용은 기존 사회과의 ‘목표’

를 ‘성격’과 ‘목표’로 분리하여 진술하고 있는 것과,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의 진술 부분임 을 알 수가 있었다. 다음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 역사 영역 체제의 특징은 크게 세 가 지를 들 수가 있다. 첫째로는 영역 간의 통합적 구성, 둘째로는 2007과 2009 개정 사회 과 교육과정에서 유지된 역사영역이 ‘독립 및 집중’ 구성 방식에서 2015 개정 사회과 교 육과정에서는 ‘통합 및 분산’ 구성 방식으로 변화되었다는 것, 셋째로는 선사 시대와 현 대사의 분산 배치였음을 확인했다.

둘째로 역사교육에서의 다문화교육에 대해서는, 다문화 시대 서로 다른 문화를 가지고 살아가는 이들이 삶의 모습을 통해 어떻게 함께 했고 또 어떻게 살아왔는지를 기억하고 이해할 수 있다면 전통적 역사교육이 생각했던 사회통합의 길을 오히려 더욱 가속화 시 킬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이 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셋째로 현행 교육과정이나 초등학교 역사교과서에는 다문화 관련 내용이 거의 없거나 미미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시간의 순서에 따른 연대기적 접근, 전시대 를 다루는 통사적 접근의 탈피가 필요하다. 민족을 중심으로 한 역사 전개에서 그 동안 소외되었던 이민족, 여성 그리고 피지배계층 등의 다양한 삶의 역사가 ‘주변’에서 ‘중심’

의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둘째로 정치사 중심의 서술에서 탈피해서 지역사나 생활사 중심의 서술이 되어야 한다 고 생각한다. 이렇게 되어야만 다문화 관련 내용의 보완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주요어_ 2015 개정교육과정, 다문화, 역사교과서, 다문화교육, 생활사

* 대구대, 한국사, hiswoon@daegu.ac.kr

현행 초등학교 사회(역사)교과서의 다문화 인식

윤재운*

(2)

1. 머리말

오늘날 범지구적으로 전개되고 있는 자본과 노동의 이동은 외국인 이민자의 급격한 증가를 야기하고 있으며, 개별 국가들은 자국민과 이주민의 사회적 통합 을 위한 새로운 국가적·사회적 정체성을 수렴해야 할 상황에 직면해 있다. 한국 사회 역시 지난 2007년 국내 거주 외국인의 숫자가 100만 명을 돌파하면서 본격 적인 다문화사회로 이행하고 있다.1 이주민의 유형은 외국인 근로자, 국제결혼 여성, 새터민, 외국인 유학생, 중도입국자녀 등 다양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특히 다문화가정에서 출생하는 아이들이 증가하면서 이들에 대한 교육적 측면의 정 책적 대안의 마련이 시급히 요구되는 상황이다.

다문화교육의 주요한 목표 중 하나는 인종·민족·종교·언어 등의 차이로 인 하여 생겨날 수 있는 고정관념이나 편견을 없애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현재 다문 화 교과교육과 관련된 연구는 다문화 교과교육의 방향성 모색(목적, 필요성, 방 법론), 다문화 교육과 교과교육학과의 연계성 모색, 각급 교과서의 다문화 관련 단원 구성 및 내용구성, 다문화 대안학교 교육과정 개발 등 다양한 측면에서 이 루어지고 있다(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동국대학교 역사교과서연구 소 편 2016).

이하에서는 현행 초등학교 사회(역사)교과서의 다문화 내용을 검토하여, 다문 화인식이 어떻게 교과서에 구현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한다. 이를 위해 우선 사회과(역사)영역 교육과정의 내용 및 특징을 검토하고, 다음으로 역사교육에서 의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체 계와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교과서의 다문화 관련 내용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 사회(역사)교과서의 다문화 내용의 특징 및 문제점을 인식하고 대 안도 모색해 보고자 한다.

1 2017년 12월 기준 통계청에 따르면 한국은 총인구 대비 3.4%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국내 거 주 외국인 주민 수는 176만 명, 북한이탈주민 3만 명, 결혼이주자 15만 3천 명이며, 다문화 학생 수는 10만 명으로 전체 초중고 학생의 1.7%에 해당한다(국가통계포탈 http://kosis.kr/index/index.do).

이러한 통계만 보더라도 한국사회가 이미 다문화 사회로 급격히 변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2. 사회과(역사)영역 교육과정의 내용 및 특징

한국의 사회과 교육과정에 대해서 시기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강진웅 2016: 4-5). 먼저 미군정 교수요목기(1945~1954) 초기 교육은 일제의 황국신민 화 교육을 철폐하고 민주주의 교육을 안착시키는데 주요한 목표가 있었다. 해방 과 함께 일제의 수신 과목이 공민 과목으로 대체되었고 1946년에는 수신, 국사, 지리를 포괄했던 일제의 ‘국민과’가 ‘사회생활과’로 대체되는 변화를 맞게 되었 다. 그러나 사회생활과를 포함한 전체 교육과정은 교수요목을 정하는 과도기적 의미를 가졌을 뿐 체계적인 교육과정은 1954년 4월 20일 ‘교육과정 시간 배정 기 준령’이 제정되고 제1차 교육과정(1954~1963)이 공포되면서 시작되었다.

제1차 교육과정은 한국 정부가 자주적인 문교정책을 수립하는 의의를 가졌을 뿐만 아니라 피상적인 실험으로 끝나버린 미군정의 민주주의 교육이 냉전시대 분단체제의 반공교육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했다. 따라서 도 의과목과 더불어 사회 교과는 이승만 정권의 반공 이데올로기를 구현하는 교과 로 기능했고 남북간 체제 경쟁을 낳은 적대적인 분단체제에서 한국의 초등 사회 과 교육과정은 반공을 통한 폐쇄적인 민족정체성 교육을 공고화해 나갔다.

사회과 교육이 정착되어 가는 제2차 교육과정(1963~1973)에서는 민족정체성 교육과 반공교육을 강조했다. 이후 유신체제가 정착되는 제3차 교육과정(1973~

1981)에서 초등 사회과의 ‘반공·도덕’이 독립 교과로 분리됨으로써 반공교육이 강화되었고, 이로써 이승만 정권의 제1차 교육과정에서 전두환 정권의 제4차 교 육과정(1982~1987)에 이르기까지 반공민족주의 분단교육이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을 지배하게 되었다.

1980년대 후반 이후 탈냉전 민주화의 무드에서 냉전시대 분단교육은 서서히 통일교육으로 전환되기 시작했다. 민주화로 이행하는 제5차 교육과정(1987~

1992)에서 통일안보교육이 제기되어 북한에 대한 맹목적인 적개심을 고취하는 교육이 지양되었고, 제6차 교육과정(1992~1997)부터는 이른바 ‘통일교육’이 강 조되어 교과 전반에 반영되기 시작했다. 제7차 교육과정(1998~2007)에 들어서 는 정보화, 세계화 시대의 민주 시민 교육이 강조되었으며, 특히 2000년대에 들

(4)

어 다문화시대의 변화상이 초등학교 교과 내용에 조금씩 반영되기 시작했다. 이 후 전면 개정에서 수시 개정으로 전환되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기존의 교사중심, 이데올로기 교육 및 단일민족 담론이 비판되었고 학생 중심, 탈이념 교육 및 다문화, 소수자 존중의 교육이 강조되기 시작했다.2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다문화교육은 더욱 강조되었다. 미래사회에서 요 구하는 핵심역량 등을 강조하여 다음과 같이 추구하는 인간상을 구체화하여 제 시하였다.

가. 전인적인 성장의 기반 위에 개성의 발달과 진로를 개혁하는 사람 나. 기초 능력의 바탕 위에 새로운 발상과 도전으로 창의성을 발휘하는 사람 다. 문화적 소양과 다원적 가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품격 있는 삶을 영위하

는 사람

라. 세계와 소통하는 시민으로서 배려와 나눔의 정신으로 공동체 발전에 기여 하는 사람(교육과학기술부 2009)

‘다’항과 ‘라’항은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다문화교육에 대한 국가·사회적 요 구가 더욱 강조되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으며, 특히 사회과에서 다문화교육의 역 할을 기대하게 하였다(이은실 2012).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개발된 5-2 초등 사회교과서는 2015년 2학기에 첫 적용이 되었으며, 6-1 초등 사회교과서는 2016년 1학기에 적용되었다. 2011 년에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각론이 고시된 지 각각 4년, 5년 만이다. 이후 2015 개정 교육과정이 확정고시(2015.9.23) 되면서 초등학교 3-1, 3-2, 4-1, 4-2 사 회교과서가 개발 적용되었다. 다만 5학년과 6학년 교과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

2 “세계화 및 개방화와 같은 사회 변화 흐름에 따라 사회 내의 다양한 하위집단들의 독특한 사고방식과 생활 방식에 대한 존중과 이해가 중요한 사회적 과제로 드러나면서 배타적인 동질성과 획일적인 보편 성을 추구하던 시대로부터 이질적인 문화의 독특성과 다원성을 중시하는 사회로 급속하게 이행하고 있다. 따라서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은 이러한 세계화, 정보화, 개방화, 다원화 등과 같은 사회 환경의 변화에 부응할 수 있도록 교과목표, 학습 내용,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 등을 제시하고 있다.”(교육과 학기술부 2008: 295).

(5)

에 의해 개발된 것이다.

현행 2015 개정 사회과(역사영역) 교육과정의 변화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기존 사회과의 ‘목표’를 ‘성격’과 ‘목표’로 분리하여 진술하고 있다. 다음으로 가 장 큰 변화는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의 진술 부분이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는 지리, 일반사회, 역사 영역에 해당하는 대단원을 3~4학년, 5~6학년별로 구 분하여 내용 체계를 제시하였다. 반면에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기존의 사회 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상의 학교급간 연계성, 교육내용과 성취기준과의 연계성 부족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학습자가 학습해야 할 핵심적인 내용에 대한 수평 적·수직적 연계 상황을 체계적으로 제시함으로서 교과의 전체 흐름과 관계를 보 여주는 내용 체계를 제시하고 있다(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11). 성취기준은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2007 개정 교육과정과 마찬가지로 대강화 체제를 유

표 1. 교육과정 구성 체제 비교

2009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1. 목표

2. 내용의 영역과 기준 가. 내용 체계

나. 영역 및 학습내용 성취 기준

<3~4학년>

<5~6학년> [지리·일반사회 영역] [역사 영역]

학년군 학습 내용 개관·대단원명·대단원 개 관ㆍ성취기준

3. 교수·학습 방법

가. 교수·학습의 원칙(6가지) 나. 교수·학습의 방법(11가지) 4. 평가

가. 평가방향(9가지) 나. 평가내용(5가지) 다. 평가방법(5가지) 라. 평가 결과의 활용(2가지)

1. 성격 2. 목표

3.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가. 내용 체계 나. 성취기준

[초등학교 3~4학년] [초등학교 5~6학년]

대단원명ㆍ대단원 개관ㆍ중단원명ㆍ성취기 준(학습요소, 성취기준 해설, 교수ㆍ학습방법 및 유의사항, 평가방법 및 유의사항) 4.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

가. 교수·학습 방향 1) 교수·학습의 원칙(6가지) 2) 교수·학습의 방법(10가지) 나. 평가방향

1) 평가의 원칙(6가지) 2) 평가의 내용(5가지) 3) 평가의 방법(5가지) 4) 평가 결과의 활용(2가지)

자료: 허영훈·김봉석 2016: 125

(6)

지하며 ‘학년군 학습 내용 개관-대단원명-대단원 개관-성취기준’으로 제시하 였으나,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대단원명-대단원 개관-중단원명-성취기 준’순으로 세분화하여 제시하고 있다.

다음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 역사 영역 체제의 특징은 크게 세 가지를 들 수 가 있다. 첫째로는 영역 간의 통합적 구성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은 대주제(대 단원) 수준, 중주제(중단원)수준, 성취기준 수준의 3가지 층위별로 통합적 접근 을 시도하고 있다. 둘째로는 2007과 2009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유지된 역 사영역이 ‘독립 및 집중’ 구성 방식에서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서는 ‘통합 및 분산’ 구성 방식으로 변화되었다. 즉 2009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서는 5학년 2학기, 6학년 1학기로 1년 동안의 사실상 독립된 역사 영역이 집중 배치되었으 나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서는 일부나마 학년별 분산 배치로 변화되었다 (<표 2> 참조). 셋째로는 선사 시대와 현대사의 분산 배치이다. 2015 개정 교육과 정에서는 통사적 구성인 5-2학기 역사 영역에서 선사시대가 사라지고, 고조선 부터 우리 역사가 시작하게 되어 있다. 선사시대 부분은 고대사와 분리하여 3학 년 2학기에 반영되어 있다.

표 2. 2015 개정 사회과(역사영역) 교육과정 성취기준

학년 대단원 중단위 성취기준

3-1 (1)우리가 살아가는 곳

우리가 알아보 는 고장 이야기

[4사01-03] 고장과 관련된 옛이야기를 통하여 고장의 역사적인 유래와 특징을 설명한다.

[4사01-04] 고장에 전해 내려오는 대표적인 문화유산을 살펴보 고 고장에 대한 자긍심을 기른다.

3-2

(2)우리가 살아가는 모습

시대마다 다른 삶의 모습

[4사02-03] 옛 사람들의 생활 도구나 주거 형태를 알아보고, 오 늘날의 생활 모습과 비교하여 그 변화상을 탐색한다.

[4사02-04] 옛날의 세시 풍속을 알아보고, 오늘날의 변화상을 탐 색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한다.

가족의 모습과 역할 변화

[4사02-05] 옛날과 오늘날의 혼인 풍습과 가족 구성을 비교하고, 시대별 가족의 모습과 가족 구성원의 역할 변화를 탐색한다.

4-1

(3)우리 지역 의 어제와

오늘

우리가 알아보 는 지역의 역사

[4사03-03] 우리 지역을 대표하는 유·무형의 문화유산을 알아 보고, 지역의 문화유산을 소중히 여기는 태도를 갖는다.

[4사03-04] 우리 지역과 관련된 역사적 인물의 삶을 알아보고, 지역의 역사에 대해 자부심을 갖는다.

(7)

5-1

(2)인권 존중 과 정의로운

사회

인권을 존중하는 삶

[6사02-01] 인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인권 신장을 위해 노력했 던 옛 사람들의 활동을 탐구한다.

5-2

(3)옛 사람들 의 삶과 문화

나라의 등장과 발전

[6사03-01] 고조선의 등장과 관련된 건국 이야기를 살펴보고, 고 대 시기 나라의 발전에 기여한 인물(근초고왕, 광개토대왕, 김유 신과 김춘추, 대조영 등)

[6사03-02] 불국사의 석굴암, 미륵사 등 대표적인 문화유산을 통 하여 고대 사람들이 이룩한 문화의 우수성을 탐색한다.

독창적 문화를 발전시킨 고려

[6사03-03] 고려를 세우고 외침을 막는 데 힘쓴 인물(왕건, 서희, 강감찬 등)의 업적을 통하여 고려의 개창과 외침 극복 과정을 탐 색한다.

[6사03-04] 고려청자와 금속 활자, 팔만대장경 등의 문화유산을 통하여 고려 시대 과학기술과 문화의 우수성을 탐색한다.

민족 문화를 지 켜 나간 조선

[6사03-05] 조선을 세우거나 문화 발전에 기여한 인물(이성계, 세종대왕, 신사임당 등)의 업적을 통해 조선 전기 정치와 민족문 화의 발전상을 탐색한다.

[6사03-06] 대표적인 유적지(행주산성, 남한산성 등)와 인물들 (이순신과 곽재우, 김상헌과 최명길 등)의 활동을 통하여 임진왜 란, 병자호란 등과 같은 국가적 위기의 극복 과정을 탐색한다.

(4)사회의 새로운 변화 와 오늘날의

우리

새로운 사회를 향한 움직임

[6사04-01] 영·정조 시기의 개혁 정치와 서민 문화의 발달을 중 심으로 조선 후기 사회와 문화의 변화 모습을 탐색한다.

[6사04-02] 조선 사회의 모순을 극복하기 위해 개혁을 시도한 인 물(정약용, 흥선대원군, 김옥균과 전봉준 등)의 활동을 중심으로 사회 변화를 위한 옛 사람들의 노력을 탐색한다.

일제의 침략과 광복을 위한

노력

[6사04-03] 일제의 침략에 맞서 나라를 지키고자 노력한 인물(명 성황후, 안중근, 신돌석 등)의 활동에 대해 조사한다.

[6사04-04] 광복을 위하여 힘쓴 인물(이희영, 김구, 유관순, 신채 호 등)의 활동을 파악하고, 나라를 되찾기 위한 노력을 소중히 여기는 태도를 기른다.

대한민국의 수립과 6·25

전쟁

[6사04-05] 광복 이후 정부 수립의 과정을 살펴보고, 대한민국 수립의 의의를 파악한다.

[6사04-06] 광복을 위하여 힘쓴 인물(이회영, 김구, 유관순, 신채 호 등)의 활동을 파악하고, 나라를 되찾기 위한 노력을 소중히 여기는 태도를 기른다.

6-1 (5)우리나라 의 정치발전

자유민주주의 의 발전과 시민

참여

[6사05-01] 4·19혁명, 5·18민주화 운동, 6월 민주 항쟁 등을 통해 자유민주주의가 발전해 온 과정을 파악한다.

[6사05-02] 광복 이후 시민의 정치 참여 활동이 확대되는 과정을 중심으로 오늘날 우리 사회의 발전상을 살펴본다.

(8)

(6)우리나라 의 경제발전

경제생활의 변 화와 우리나라

경제의 성장

[6사05-03] 농업 중심 경제에서 공업·서비스인 중심 경제로 변 화하는 모습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경제성장 과정을 파악한다.

[6사05-04] 광복 이후 경제성장 과정에서 우리 사회가 겪은 사회 변동의 특징과 다양한 문제를 살펴보고,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 위하여 해결해야 할 과제들을 탐구한다.

6-2

(8)통일 한국 의 미래와 지 구촌의 평화

한반도의 미래 와 통일

[6사08-01] 독도를 지키려는 조상들의 노력을 역사적 자료를 통 하여 살펴보고, 독도의 위치 등 지리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 으로 하여 영토주권 의식을 기른다.

[6사08-02] 남북통일을 위한 노력을 살펴보고, 지구촌 평화에 기 여하는 통일 한국의 미래상을 그려본다.

자료: 교육부 2018a

3. 사회과(역사)교과서의 다문화 내용

이 장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체계와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교과서 의 다문화 관련 내용을 살펴보고자 한다. 다만 2018년도 현재 2015개정 교육과 정에 입각한 교과서는 3~4학년용만 개발이 되어 있는 상황이므로, 5~6학년용 교과서는 기존 검토사항에 대한 연구사 검토와 교육과정상의 내용체계와 성취 기준만을 검토대상으로 한다.

먼저 2015개정교육과정 역사 영역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이미 지적된 바가 있 다(허영훈·김봉석 2016). 이에 따르면 문제점은 크게 세 가지를 들 수가 있다. 첫 째는 인물사와 문화사 중심의 주제서술이 통사구조와 양립이 가능한가? 이고, 둘째는 정치사와 민족사의 강화 가능성 여부, 셋째는 지역사 학습의 강화이다.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역사 영역이 집중 배치된 5학년 2학기 부분을 살펴보면, 대주제인 ‘(3)옛사람들의 삶과 문화’와 ‘(4)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 날의 우리’는 통사적 흐름을 유지하면서 정치사를 배경으로 인물사와 문화사를 연계하여 배치하였다(은지용 외 2015). 문제는 고대 시기부터 광복까지 시대적 흐름에 딸 구성된 통사 구조 속에서 인물사와 문화사라는 두 가지 축을 연계하는 교과서 서술이 과연 어떻게 가능할까라는 점이다. 더욱이 학습 기간도 한 학기라 는 짧은 시간 내에 여러 시대를 한 번에 다루는 구조이다.

(9)

표 3. 2015 개정교육과정 사회과(역사영역) 내용체계

영역 핵심 개념 일반화된 지식

내용 요소 초등학교

3~4학년 5~6학년

역사

일반 역사의 의미 역사학은 ‘기록으로서의 역사’

•우리가 알아보 는 고장이야기(고 장과 관련된 옛이 야기, 고장의 문화 유산, 고장의 지명)

정치

· 문화

선사시대와 고 조선의 등장

한반도에는 구석기시대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하였으며,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를 거친 후 최초의 국가 인 고조선이 등장하였다.

•시대마다 다른 생활모습(옛 사람 들의 생활 도구와 주거 형태) 여러 나라의

성장

고조선이 멸망한 후 부여, 고구려, 옥 저, 동예, 삼한 등이 등장하였다.

삼국의 성장과 통일

고구려, 백제, 신라는 중앙 집권화를 거쳐 국가로 발전하였으며, 서로 간 의 항쟁을 거쳐 신라가 통일을 이루 었다.

•고대국가의 등장 과 발전(삼국의 발전, 불국사와 석굴암)

통일신라와 발해

통일신라는 전제 왕권을 바탕으로 국가적 통합을 이루고자 하였으며, 옛 고구려 땅에서 등장한 발해는 고 구려 계승 의식을 내세우며 문화적 으로 발전한 국가를 이루었다.

•통일신라와 발해

고려 문벌귀족 사회의 형성과

변화

후삼국을 통일한 고려는 문벌귀족을 중심으로 정치가 발전하였으며, 무 신집권기를 거쳐 몽골의 간섭을 받 았다.

•독창적 문화를 발 전시킨 고려(고려청 자와 고려 문화, 금속 활자와 그 의의, 팔만 대장경)

조선의 건국과 유교 문화의

성숙

성리학을 정치 이념으로 내세운 조 선은 유교 정치를 표방하였으며, 이 를 바탕으로 문화를 발전시켰다.

•민족 문화를 지켜 나간 조선(이성계, 세 종, 훈민정음) 전란과 조선

사회의 변동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거친 조선은 새로운 사회로 변화되었다.

•새로운 사회를 향 한 움직임(영·정조의 정치)

개항과 개화파

개항 이후 개화파의 등장으로 근대 개혁이 이루어졌으나 일제의 침략으 로 좌절되었다.

•새로운 사회를 향 한 움직임(근대 개혁)

(10)

이에 대해 임기환(2013)은 인물 중심의 서술에 대하여 교과서라는 제한된 지 면에 생동감 있는 인물의 묘사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특정 인물의 특징 이미지와 성격만이 부각되고, 인물의 성취에 초점이 맞추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하였 다. 나아가 인물 중심 서술과 통사적 구성은 사실상 양립하기 어렵다고까지 하였 다. 강선주(2011)는 교과서에 제시된 인물의 행위는 간략하게 제시될 뿐 그 인물 이 왜 그러한 행위를 하였는지, 그러한 행위를 하게 된 상황이나 인물의 의도, 구 체적 의사결정과정 등은 거의 드러나지 못한다고 지적하였다. 따라서 연대기적 통사구조에서는 사실상 인물사와 문화사 중심의 내용 구성이 난항을 겪을 것으 로 예상이 된다.

둘째로 2015 개정 사회과(역사영역) 교육과정이 통사적 구조의 흐름 속에 인 물사와 문화사 두 가지 축으로 조직되었음을 살펴보았다. 그런데 인물사와 관련 된 성취기준을 보면 ‘나라의 발전과 성장’, ‘국난 극복’이며, 문화사와 관련된 성취

일제 식민 지배와 광복을

위한 노력

일제의 지배에 맞서 나라를 되찾기 위한 노력을 하였다.

•일제의 침략과 광 복을 위한 노력

대한민국의 발전

광복 후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었 으며, 6·25전쟁을 거쳐 민주화와 산 업화를 이룩하였다.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과 6.25전쟁

•민주주의 발전과 시민참여

대한민국의 미래

우리나라는 남북통일과 주변국과의 역사 갈등 해소를 통해 평화롭고 번 영하는 미래를 추구해 나가야 한다.

•통일을 위한 노력

•역사 갈등 해소를 위한 노력과 독도

사회

· 경제

신분제의 변화

전근대 시대 신분제는 정치 변동과 함께 변화하다가 근대에 이르러 사 라졌다.

•인권 개선을 위한 노력

경제적 변동

전근대 시기 농업 중심의 경제는 현 대에 들어서 상공업 중심 경제로 변 화하였다.

•경제생활의 변화 와 우리나라 경제의 성장

가족 제도 우리나라의 가족제도는 시대 변화에 따라 다양하게 변하였다.

•가족의 모습과 역할 변화 전통문화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는 시대 변화에

따라 변화 발전되어왔다.

•세시 풍속의 변 화상

자료: 교육부 2018a

(11)

기준은 ‘문화의 우수성’과 같은 거대 담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에 따른 교과 서 서술은 당연히 인물사는 국가 중심의 정치사로, 문화사는 민족사 중심으로 흐 를 가능성이 커 보인다(허영훈·김봉석 2016).

셋째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내용 구성의 원리로 학습적인 공간 인지 발 달, 사회적 경험 세계 등을 고려한 환경확대법을 탄력적으로 적용하였다(은지용 외 2015). 역사영역에서도 마찬가지로 이에 대한 사항으로 3학년 1학기와 4학년 1학기에서 지역사 학습과 관련된 성취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고 장과 지역의 문화유산의 차별성이 얼마나 드러날 수 있는가와 지역과 관련된 인 물사 학습의 난관을 지적할 수가 있다.

그럼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입각한 초등학교 사회(역사영역) 3학년 교과서에 대해 살펴보겠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표 4. 2015 개정 사회과(역사영역) 3학년 교과서 내용

학년 대단원 중단원 주요내용

3-1

2. 우리가 알 아보는 고장

이야기

①우리 고장의 옛 이야기

오늘날 고장의 옛이야기가 중요한 까닭을 알아봅시다/옛이야 기에 담겨 있는 고장의 모습을 알아봅시다/우리 고장의 옛이 야기를 조사해 봅시다/우리 고장의 옛이야기를 다양한 방법으 로 소개해 봅시다

②우리 고장의 문 화유산

우리 고장의 문화유산이 소중한 까닭을 알아봅시다/우리 고장 의 문화유산을 조사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우리 고장의 문화 유산을 조사하는 계획을 세워 봅시다/우리 고장의 문화유산을 소개해 봅시다

3-2

2. 시대마다 다른 삶의

모습

①옛날과 오늘날 의 생활 모습

자연에서 얻은 도구를 사용하던 옛날의 생활 모습을 알아봅시 다/새로운 도구를 만들어 사용하던 옛날의 생활 모습을 알아 봅시다/농사 도구의 변화로 달라진 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알 아봅시다/음식과 옷을 만드는 도구의 변화로 달라진 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알아봅시다/사람들이 사는 집의 모습은 어떻게 변화했는지 알아봅시다/집의 변화로 달라진 사람들의 생활 모 습을 알아봅시다

②옛날과 오늘날 의 세시 풍속

세시 풍속이 무엇인지 알아봅시다/옛날에는 어떤 세시 풍속이 있었는지 알아봅시다/옛날과 오늘날의 세시 풍속을 비교해 봅 시다/옛날부터 전해 내려오는 세시 풍속을 체험해 봅시다 자료: 교육부 2018b; 교육부 2018c

(12)

먼저 초등학교 3-1교과서에서는 ‘우리가 알아보는 고장이야기’라는 대단원 아 래 ‘우리 고장의 옛이야기’와 ‘우리 고장의 문화유산’이라는 중단원이 서술되어 있다. 우선 우리 고장의 옛이야기 단원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 단원에 는 ‘오늘날 고장의 옛이야기가 중요한 까닭을 알아봅시다’, ‘옛이야기에 담겨 있 는 고장의 모습을 알아봅시다’, ‘우리 고장의 옛이야기를 조사해 봅시다’, ‘우리 고 장의 옛이야기를 다양한 방법으로 소개해 봅시다’라는 소단원의 내용이 있다.

그 주요 내용은 ‘오늘날 고장의 옛이야기가 중요한 까닭을 알아봅시다’에는 경 기도 용인시 포은이라는 지명의 유래가 서술되어 있다. ‘옛이야기에 담겨 있는 고장의 모습을 알아봅시다’에서는 서울 종로구 피맛골, 탄천, 천안삼거리, 안성 의 지명 유래를 서술하였고, 두물머리·얼음골·기와말·말죽거리·독도에 대한 설명도 추가되어 있다. ‘우리 고장의 옛이야기를 조사해 봅시다’와 ‘우리 고장의 옛이야기를 다양한 방법으로 소개해 봅시다’에서는 지명유래의 조사 및 발표 방 법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이 학생활동중심을 표방한 만큼 원칙을 충실히 반영하였다고 판단된다. 다만 나름 지역 안배를 한 것으로 보이는 지명 유래 설명에서 다문화와 관련된 내용은 하나도 보이지 않는 것은 아쉽다고 생각된다. 이미 한국 역사 안의 다문화 연구현황에 대한 검토와 청소년을 위한 다문화 역사교재가 개발되어 있으므로(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동국 대학교 역사교과서연구소 편 2016; 전영준 2009) 최소한의 보완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우리 고장의 문화유산’이라는 중단원에는 ‘우리 고장의 문화유산이 소중한 까 닭을 알아봅시다’, ‘우리 고장의 문화유산을 조사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우리 고장의 문화유산을 조사하는 계획을 세워 봅시다’, ‘우리 고장의 문화유산을 소개 해 봅시다’가 서술되어 있다.

그 주요내용은 ‘우리 고장의 문화유산이 소중한 까닭을 알아봅시다’에서는 경 주 동궁과 월지·성덕 대왕 신종·가야금 병창·전통장·향교·첨성대·누비·탈 춤·불국사와 석굴암·화랑도·경주 세계 문화 엑스포·경주 양동 민속 마을에 대 해 소개하였다. ‘우리 고장의 문화유산을 조사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에서는 조 사 방법에 대해, ‘우리 고장의 문화유산을 조사하는 계획을 세워 봅시다’에서는

(13)

답사계획서에 대해, ‘우리 고장의 문화유산을 소개해 봅시다’에서는 계획서의 내 용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경주 특집이라고 할 정도로 경주시의 문화 유산에 대해 집중적으로 소개하고 있는 점이 주목이 된다. 앞의 중단원에 비해 특정 지역에 대한 서술이 집중되고 있는 점이 주목된다. 물론 경주라는 고장이 우리 역사에서 차지하고 있는 비중이 적지 않음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으나, 경 주 지역을 집중적으로 다루더라도 그 지역의 다문화 양상에 대한 서술이나 내용 이 전혀 없다는 것이 아쉽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초등학교 3-2교과서에서는 ‘시대마다 다른 삶의 모습’이라는 대단원 아래 ‘옛날과 오늘날의 생활 모습’과 ‘옛날과 오늘날의 세시 풍속’이라는 중단원 이 있다. ‘옛날과 오늘날의 생활 모습’에는 ‘자연에서 얻은 도구를 사용하던 옛날 의 생활 모습을 알아봅시다’, ‘새로운 도구를 만들어 사용하던 옛날의 생활 모습 을 알아봅시다’, ‘농사 도구의 변화로 달라진 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알아봅시다’,

‘음식과 옷을 만드는 도구의 변화로 달라진 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알아봅시다’,

‘사람들이 사는 집의 모습은 어떻게 변화했는지 알아봅시다’, ‘집의 변화로 달라 진 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알아봅시다’의 소단원이 있다.

그 중요내용은 ‘자연에서 얻은 도구를 사용하던 옛날의 생활 모습을 알아봅시 다’에서는 집·사냥·음식과 옷·토기를 서술하고 있고, ‘새로운 도구를 만들어 사 용하던 옛날의 생활 모습을 알아봅시다’에서는 청동기와 철기를 서술하고 있고,

‘농사 도구의 변화로 달라진 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알아봅시다’에서는 땅을 가는 도구·곡식 수확 도구의 과거와 현재에 대해 서술하고 있고, ‘음식과 옷을 만드는 도구의 변화로 달라진 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알아봅시다’에서는 음식과 옷을 만 드는 도구의 어제와 오늘에 대해 설명하였고, ‘사람들이 사는 집의 모습은 어떻 게 변화했는지 알아봅시다’에서는 동굴이나 바위·움집·귀틀집·초가집·기와 집·아파트의 서술을 통해 집의 변천의 역사에 대해 서술하고 있고, ‘집의 변화로 달라진 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알아봅시다’에서는 집의 변천에 따른 생활모습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결국 3학년 초등학교 역사교과서에는 다문화관련 내용은 전혀 없다고 할 수 있다. 다문화시대에 접어든 현재 상황이나 교육과정상의 목표를 고려할 때, 다문

(14)

화관련 내용의 보완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상의 내용 외에는 초등 역사교과서에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아닌 2009 개 정 교육과정이 반영된 교과서가 학교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래서 성취기준 을 중심으로 살펴보겠다.

4학년 교과서에 해당하는 대단원의 성취기준은 ‘우리가 알아보는 지역의 역사’

이다. 해당 단원의 성취기준은 다음과 같다.

[4사03-03]우리 지역을 대표하는 유·무형의 문화유산을 알아보고, 지역의 문 화유산을 소중히 여기는 태도를 갖는다.

[4사03-04]우리 지역과 관련된 역사적 인물의 삶을 알아보고, 지역의 역사에 대해 자부심을 갖는다.

성취기준에 따르면 [4사03-03]에서는 우리 지역에 있는 대표적인 유·무형의 문화유산에 대하여 조사 학습 등을 통해 알아보고, 지역의 문화유산이 지닌 가치 를 이해하여 지역의 문화유산을 소중히 여기는 태도를 갖도록 한다고 한다. 그리 고 [4사03-04]에서는 우리 지역을 대표하는 인물들의 삶을 알아보고 그들의 삶 이 지역과 사회에 준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우리 지역에 대한 자부심을 함양하도 록 한다고 한다. 기존 2015 개정 교육과정이 반영된 교과서의 사례에 비추어 볼 때, 4학년 교과서에도 다문화관련 내용이 포함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우리가 알아보는 지역의 역사’라는 단원은, 3학년 교과서에 반영된 서술내용과 중복이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초등학교 5~6학년 교과서는 아직 2015 개정 교육과정이 반영되지 않았다. <표 3>의 정치·문화사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성취 기준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대단원별로 살펴보면, ‘옛 사람들의 삶과 문화’에서는 고대~조선 전기, ‘사회 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에서는 조선 후기~현대에 대한 내용을 서술하 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 성취 기준 해설에 따르면, 전자에서는 고대 시기부터 조 선 전기에 이르기까지 나라의 성장과 문화 발전에 기여한 인물의 삶을 알아보고, 문화의 우수성을 탐색하는 데 주안점을 둔다고 한다. 후자에서는 조선 후기부터

(15)

6.25 전쟁까지 우리나라의 역사 발전에 기여한 인물들의 활동을 통해 우리나라 의 역사 발전 과정을 이해하고, 대한민국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는 자세의 중요성 을 인식하도록 하는 데 주안점을 둔다고 한다. 6학년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내용 은 아직 2015 개정 교육과정이 반영된 것을 확인하지는 못했지만, 2009 개정 교 육과정과 성취기준면에서는 차이가 별로 보이지 않는다. 특히 다문화교육 측면 표 5. 2015 개정 교육과정 6학년 성취기준

대단원 중단원 성취기준

옛 사람 들의 삶 과 문화

나라의 등장 과 발전

[6사03-01] 고조선의 등장과 관련된 건국 이야기를 살펴보고, 고대 시기 나라 의 발전에 기여한 인물(근초고왕, 광개토대왕, 김유신과 김춘추, 대조영 등)의 활동을 통하여 여러 나라가 성장하는 모습을 탐색한다.

[6사03-02] 불국사와 석굴암, 미륵사 등 대표적인 문화유산을 통하여 고대 사 람들이 이룩한 문화의 우수성을 탐색한다.

독창적 문화 를 발전시킨

고려

[6사03-03] 고려를 세우고 외침을 막는 데 힘쓴 인물(왕건, 서희, 강감찬 등)의 업적을 통하여 고려의 개창과 외침 극복 과정을 탐색한다.

[6사03-04] 고려청자와 금속 활자, 팔만대장경 등의 문화유산을 통하여 고려 시대 과학 기술과 문화의 우수성을 탐색한다.

민족 문화를 지켜 나간

조선

[6사03-05] 조선을 세우거나 문화 발전에 기여한 인물(이성계, 세종대왕, 신사 임당 등)의 업적을 통해 조선 전기 정치와 민족문화의 발전상을 탐색한다.

[6사03-06] 대표적인 유적지(행주산성, 남한산성 등)와 인물들(이순신과 곽재 우, 김상헌과 최명길 등)의 활동을 통하여 임진왜란, 병자호란 등과 같은 국가 적 위기의 극복 과정을 탐색한다.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 의 우리

새로운 사회를 향한

움직임

[6사04-01] 영·정조 시기의 개혁 정치와 서민 문화의 발달을 중심으로 조선 후기 사회와 문화의 변화 모습을 탐색한다.

[6사04-02] 조선 사회의 모순을 극복하기 위해 개혁을 시도한 인물(정약용, 흥 선 대원군, 김옥균과 전봉준 등)의 활동을 중심으로 사회 변화를 위한 옛 사람 들의 노력을 탐색한다.

일제의 침략 과 광복을 위한 노력

[6사04-03] 일제의 침략에 맞서 나라를 지키고자 노력한 인물(명성황후, 안중 근, 신돌석 등)의 활동에 대해 조사한다.

[6사04-04] 광복을 위하여 힘쓴 인물(이회영, 김구, 유관순, 신채호 등)의 활동 을 파악하고, 나라를 되찾기 위한 노력을 소중히 여기는 태도를 기른다.

대한민국 정 부의 수립과

6.25 전쟁

[6사04-05] 광복 이후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 과정을 살펴보고, 대한민국 정부 수립의 의의를 파악한다.

[6사04-06] 6.25 전쟁의 원인과 과정을 이해하고, 그 피해상과 영향을 탐구한 다.

자료: 교육부 2018a

(16)

에서는 더더욱 그렇다고 할 수 있다.

다문화적 관점에서 역사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다양한 계층 및 사회적 소수자의 문화와 역사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어야 한다. 전통적 역사교육에서 소 홀히 다루었던 소외된 ‘소수자(여성, 노비 등)’의 역사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기 존의 남성중심의 역사서술에서 중심이 아닌 ‘주변’은 여성이었다(김한종 2008).

남성 영웅 중심의 역사 속에 묻혔던 여성의 역사를 복원하는 것은 한국사에 존재 하는 다양한 주체들을 재발견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여성의 관점에서 한국사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역사는 오랫동안 개인이나 다양한 집단을 다루기보다는 ‘민족’이란 집단을 단 위로 다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었다. 그러나 다문화사회에서는 전통적 역사서술에서 소외되었던 역사 속 주체들의 다양화와 역사를 바라보는 시선 및 가치의 다양화를 추구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한국의 전통문화가 다양한 외래문 화의 영향 아래 형성되었다는 사실을 통해 문화 속에 내재된 다문화적 특성을 부 가시킬 필요가 있다.

한국사 속에 존재하는 ‘다양성’은 크게 ‘소수자’, ‘관점의 다양성’, ‘상호교류’로 나누어 살펴 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다양성’에 대한 주장을 정리하여 초등역 사교과서에서 다문화적 관점으로 ‘다양성’을 체크하기 위한 분석틀3을 제시하고 검토를 시행하기도 하였다(이은실 2012).

기존 초등학교 역사교과서는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역사를 우리 조 상들이 직면한 문제해결의 역사로 보는 관점을 반영하였다. 또한 교과서 속에는

3 표 6. ‘다양성’을 체크하기 위한 분석틀

내용요소 하위내용

다양성

소수자 - 여성의 역사를 다루고 있는가?

- 피지배층(하층민, 어린이 등)의 역사를 다루고 있는가?

관점의 다양성

- 역사적 사건들을 다양한 관점(소수 집단과 다수 집단의 관점)에서 서술하고 있는가?

- 역사적 인물이 각 영역별로 고르게 서술되어 있는가?

- 역사적 맥락에 비추어 당시 사람들의 관점에 대한 감정이입을 하고 있는가?

상호교류 - 문화적 교류로 인해 만들어진 새로운 유형의 문화에 대한 내용이 서술되어 있는가?

자료: 이은실 2012: 40-41

(17)

많은 전쟁들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국가 간에 흥망을 주고 겨루는 전쟁에 대한 원인과 결과들이 너무 생략되어 있다. 그리고 전쟁의 과정과 결과에 대한 서술에 서도 침공국의 야욕으로 일어난 전쟁을 우리 민족의 단합된 힘으로 물리칠 수 있 었다는 식의 서술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서술 방식은 곧 전쟁을 바라보는 폭넓은 시각을 제공하기 보다는 승리한 전투나 외세에 대한 저항 자체만을 강조하는 ‘도 덕적 서술’로 귀결되기 마련이다(임기환 2013: 26).

교과서에는 정치 및 항쟁사 관련 인물들이 70% 가까이 차지하고 있어 다양한 역사 주체를 보여주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상호문화 역사 서술을 위해서는 정 치사 중심이 아닌 생활사, 지역사가 더욱 강조되어야 한다. 한국사의 문제는 한 국사의 맥락에서만 이해될 수 없고, 해결될 수 없다. 세계가 하나의 지구촌을 이 루고 있는 지금, 한국사와 세계사의 대화를 시도해야 할 것이다. 전근대는 동아 시아사 관점으로 접근하고, 근현대사는 세계사 속의 한국사로 접근하는 것도 하 나의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문재경 2016). 이러한 기존 2009 교육과정 교과 서의 이러한 문제점은 2015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에서도 반복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다양성의 관점이나 다문화 적인 측면을 고려한다면, 2015 개정 교육과 정 초등학교 역사교과서는 생활사나 지역사 중심으로 서술되어야 한다고 생각 된다.

4. 역사교육에서의 다문화교육의 필요성과 방안

한국 사회가 급격하게 다문화사회로 이행하면서 내국인과 새로운 사회구성원 (다문화가정 자녀, 중도입국 자녀, 외국인 자녀 등)의 다문화사회 통합의 필요성 이 증대하고 있다. 공동체 구성원 간의 차이와 다름의 인정, 차별과 배제의 지양 을 위한 다문화 교육이 어느 때보다 절실한 상황이다.

우리사회가 다문화사회로 빠르게 진입함에 따라 상이한 인종, 언어, 문화, 종 교를 지닌 공동체 구성원과 공존하고 협력할 수 있는 시민 양성이 교육의 주요한 과제로 부상하였다. 자문화 및 다른 문화를 이해하는 안목을 기르고, 다른 문화

(18)

집단의 사람들을 공동체의 일원으로 이해하고 포용하며, 전지구적으로 문화 집 단간 이동과 교류의 폭과 깊이가 계속 심화되고 있는 사회에서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다하고, 사회 내에 존재하는 부정의를 일소하기 위해 노력하는 시민의 자 질을 함양하는 것이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다.

다문화교육에 대한 관심은 사회과에서 먼저 이루어졌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 과 같은 근거가 제시된 바가 있다. 첫째, 사회과는 한 나라와 세계의 역사와 문화, 지리, 정치, 사회, 민속 등의 제반 인간생활 영역을 두루 포함하는 교과이다. 따라 서 이러한 인간생활의 변화 속에서 나타나는 다문화현상 및 그와 관련된 사회문 제는 사회과가 탐구하는 주요한 주제가 된다. 둘째, 사회교과는 당면한 사회현상 과 사회변동, 갈등을 주요한 교과의 내용으로 다룬다. 따라서 오늘날 한국사회의 주요한 인구 사회학적 변화인 다문화현상과 그에 따른 제반 사회문제는 사회과 에서 다루는 주요한 내용요소가 된다(차경수·모경환 2008). 셋째, 사회과는 당 대의 사회와 국가의 요구와 필요성에 가장 민감하게 영향을 받으며 공동체의 유 지와 발전을 위한 정치적 사회화 기능을 담당한다. 따라서 다문화적 사회변화에 따른 교육적 요구는 민주시민과 공동체정신을 강조하는 사회교과에 주로 반영 된다. 넷째, 다문화교육과 사회과는 바람직한 민주시민 육성을 목표로 한다는 점 에서 공통점을 가진다. 다문화교육의 목표는 다양한 배경의 학생들이 평등한 교 육 기회를 제공받고, 다원화된 민주 사회에서 자신의 집단과 주류 문화, 세계사 회의 문화 속에서 효율적으로 기능할 수 있는 민주시민을 육성하는데 있다. 따라 서 다문화교육과 사회과교육은 공통적인 목표를 가진다고 한다(모경환·임정수 2011).

한편 초등사회과 역사교육의 목적은 올바른 역사의식을 심어주고 역사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며, 역사적 사고력과 판단력을 육성하며 인류역사 발전에 기여 할 수 있는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질 육성에 있다(한국사회과교육연구회 1989).

사회에서 거주하는 다양한 출신의 사람들을 이해하고 어울려 살아가는데 는 역사교육이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지식이나 계층 집단의 구 성원들이 어떤 전통과 역사를 가지고 자신의 문화나 가치관을 형성하였는지 알 아야 한다. 역사교육의 이러한 성격은 다문화교육의 목적과 일맥상통하며, 역사

(19)

교육과 다문화교육이 공통적으로 추구하는 목표이다.

이은실(2012)는 다문화교육차원에서 역사교육의 필요성을 크게 세 가지로 보 았다. 첫째는 역사적 사실은 하나의 관점이 아니라 ‘다양한 관점’을 통해 이해하 고 해석할 수 있다. 즉 학습자들의 다원적인 역사의식의 형성에 기여할 수 있다.

둘째는 그 동안 역사 속에서 소외되었던 여성·이방인·하층민의 역사에 관심을 가질 수 있어 역사 전개 과정에서의 다양한 삶을 살펴 볼 수 있다. 한국 사회가 고 대부터 다양한 종족과 민족이 정착하여 각기 나름의 생활 방식을 영위하고 있었 음을 역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그러한 다문화적 현상을 슬기롭게 극복해왔 다는 인식도 심어 줄 수 있다. 셋째는 역사 속에서 다양한 문화들과 집단들의 다 양성에 대해 배움으로써 문화들 간의 차이를 인정함과 동시에 우수한 문화만이 세계의 발전에 기여한 것이 아니라 다양한 문화가 어울려 세계 문화 역시 발전에 동등하게 기여하였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고 한다.

박재영(2016)은 역사적인 측면에서의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였 다. 한 나라의 문화의 근간이 되는 것이 역사이다. 그 나라의 역사를 배우고 역사 지식을 습득함으로써 문화의 본질에 더 쉽게 다가갈 수 있으며, 이는 단지 지식 의 차원을 넘어서 스스로가 역사의 진행과정에 있음을 깨닫게 된다. 또한 역사학 습을 통하여 수많은 세월이 흐르면서 역사 속에 내재된 문화적 다양성을 이해할 수 있으며, 이는 오늘날 한국 다문화사회의 상호 이해와 소통의 기반이 된다고 한다.

아울러 다문화 역사교육의 구체적인 내용 선정 이전에 다문화 교육과 역사교 육의 관계 속에서 공통적으로 추구하는 가치가 모색되어야 한다고 한다. 즉 이를 테면 다양성, 반인종주의, 평등, 평화, 타문화 존중, 세계화, 소통과 공존 등이 그 것이다. 따라서 다문화 역사교육은 무수한 역사적 사실들 중에서 그러한 가치를 내포하고 있는 내용을 선별하여 재구성해 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는 기존의 역사교과서 내용에 대한 전면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결국 역사 서술의 구체적인 내용구성 방식이나 서술에서 다문화적 관점이 반 영되어야 한다. 다문화 시대 서로 다른 문화를 가지고 살아가는 이들이 삶의 모 습을 통해 어떻게 함께 했고 또 어떻게 살아왔는지를 기억하고 이해할 수 있다면

(20)

전통적 역사교육이 생각했던 사회통합의 길을 오히려 더욱 가속화 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이은실 2012).

본고에서는 현행 초등학교 사회(역사)교과서의 다문화 내용을 검토하여, 다문 화인식이 어떻게 교과서에 구현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한다. 이를 위해 우선 사회과(역사)영역 교육과정의 내용 및 특징을 검토하고, 다음으로 역사교육에서 의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체 계와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교과서의 다문화 관련 내용을 살펴보았다.

먼저 현행 2015 개정 사회과(역사영역) 교육과정의 변화내용은 기존 사회과 의 ‘목표’를 ‘성격’과 ‘목표’로 분리하여 진술하고 있는 것과, 내용 체계 및 성취기 준의 진술 부분임을 알 수가 있었다. 다음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 역사 영역 체 제의 특징은 크게 세 가지를 들 수가 있다. ① 영역 간의 통합적 구성, ② 2007과 2009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유지된 역사영역이 ‘독립 및 집중’ 구성 방식에 서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서는 ‘통합 및 분산’ 구성 방식으로 변화되었다 는 것, ③ 선사 시대와 현대사의 분산 배치였음을 확인했다.

둘째로 역사교육에서의 다문화교육에 대해서는, 다문화 시대 서로 다른 문화 를 가지고 살아가는 이들이 삶의 모습을 통해 어떻게 함께 했고 또 어떻게 살아 왔는지를 기억하고 이해할 수 있다면 전통적 역사교육이 생각했던 사회통합의 길을 오히려 더욱 가속화 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이 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함 을 확인하였다.

셋째로 현행 교육과정이나 초등학교 역사교과서에는 다문화 관련 내용이 거의 없거나 미미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시간의 순서에 따른 연대기적 접근, 전시대를 다루는 통사적 접근의 탈피가 필요하다(이은실 2012). 민족을 중심으 로 한 역사 전개에서 그 동안 소외되었던 이민족, 여성 그리고 피지배계층 등의 다양한 삶의 역사가 ‘주변’에서 ‘중심’의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아울러 정치 사 중심의 서술에서 탈피해서 지역사나 생활사 중심의 서술이 되어야 한다고 생 각한다. 이렇게 되어야만 다문화 관련 내용의 보완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21)

교신: 윤재운(대구대학교 역사교육과 부교수)(hiswoon@daegu.ac.kr, 전화: 053-850-4132) Correspondence: Yun, Jae Woon(Associate Professor, The Department of History Education)

(hiswoon@daegu.ac.kr, phone: 053-850-4132)

2018.11.26 접수, 2018.12.03 심사, 2018.12.11 게재확정

참고문헌

교육과학기술부, 2008,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Ⅲ), 한솔사.

교육과학기술부, 2009,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사회복지법인 홍애원.

교육부, 2015, 초등학교 사회 5-2, 천재교육.

교육부, 2016, 초등학교 사회 6-1, 천재교육.

교육부, 2016,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초등학교-, (사)한국장애인문화인쇄협회.

교육부, 2018a, 사회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8-162호[별책7].

교육부, 2018b, 초등학교 사회 3-1, 지학사.

교육부, 2018c, 초등학교 사회 3-2, 지학사.

교육부, 2018d, 초등학교 사회 4-1, 지학사.

교육부, 2018e, 초등학교 사회 4-2, 지학사.

강선주, 2011, 5학년 역사 내용 구성 방향, 역사교육 117, 29-63.

강진웅, 2016, 초등 사회과의 다문화교육-탈민족화와 재민족화의 역설, 사회과교육, 55(3),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1-19.

김한종, 2008, 다원적 관점의 역사이해와 역사교육, 8, 229-261.

모경환·임정수, 2011, 사회과 다문화교육의 현황과 과제, 교육문화연구, 17(1), 261-290.

문재경, 2016, 초등학교 사회(역사) 교과서의 대안적 구성 논리와 방안-5,6학년 사회(역사) 교 과서 한국사 내용을 중심으로, 역사교육연구, 26, 87-136.

박재영, 2016, 다문화 역사교육을 위한 교재개발 과정과 내용구성-『한국사 속의 다문화』를 중심으로-, 다문화콘텐츠연구, 22, 25-49.

은지용 외, 2015, 2015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시안의 기본 방향과 주요 특징 및 변화 양 상, 사회과교육, 54(4), 65-83.

이은실, 2012, 다문화교육관점에서 본 초등학교역사교과서의 내용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임기환, 2013, 2009 초등역사교육과정 및 현행 초등역사교과서 서술 검토, 역사학보, 218, 3-34.

(22)

전영준, 2009, 한국의 다문화연구 현황, 다문화콘텐츠연구, 6, 109-130.

허영훈·김봉석, 2016, 2015 개정 초등 사회과(역사 영역) 교육과정 분석 및 교과서 개발 방향 탐색, 사회과교육, 55(2), 123-139.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동국대학교 역사교과서연구소, 2016, 한국사 속의 다문 화, 도서출판 선인.

차경수·모경환, 2008, 사회과교육, 동문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2015 사회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공개 토론회 자료집, 연구자료 ORM 2015-19.

한국사회과교육연구회, 1989, 한국사회과교육학개론, 교육과학사.

(23)

Multicultural Awareness in the Current Elementary Social Studies(History) Textbooks

Yun, Jae Woon*

Abstract_This study set out to review multicultural content in current Social Studies(History) textbooks in elementary school and examine the ways that mul- ticultural awareness was materialized in textbooks.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first reviewed the cont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Studies(History) cur- riculum and then examined a need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history educa- tion and multicultural content in textbooks based on the content systems and achievement criteria of Revised Curriculum of 2015.

First, there were changes to the content of the current Social Studies(History) curriculum of 2015 including the division of “objectives” in the old Social Stud- ies subject into “nature” and “objectives” in the new curriculum. Changes were also found in the parts of content systems and achievement criteria. There were three major characteristics in the system of history in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5: first, there was an integrated composition between different areas; second, the “independence and concentration” approach that was maintained through- out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s of 2007 and 2009 was replaced with

“integration and decentralization” in the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of 2015; and the approach of decentralized arrangement was applied to prehistory and modern history.

Secondly, a need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history education was con- firmed: if multicultural education helps people remember and understand how people of different cultures got along and led a life in the multicultural era, it will offer a new plan of accelerating the path to social integration envisioned by tradi- tional history education.

* Daegu University, Professor, History Education, hiswoon@daegu.ac.kr

(24)

Finally, the study found that there was little or poor multicultural content in the current curriculums and elementary history textbooks.

The study made a couple of proposals to solve these problems: first, there is a need to grow out of the old chronological approach according to the time order and the diachronic approach encompassing all the periods. The history of diverse lives among migrants, women and the ruled, who have been alienated in the historic development around ethnic groups, should be organized as “central con- tent” rather than “marginal content.”

Second, the old political history-based description should be replaced with local history- or life history-based description in order to supplement multicultural content.

Keywords_ Revised Curriculum of 2015, Multicultural, History textbook, Multicultural education, Life history

수치

표 3. 2015 개정교육과정 사회과(역사영역) 내용체계 영역 핵심 개념 일반화된 지식 내용 요소초등학교 3~4학년 5~6학년 역사 일반 역사의 의미 역사학은 ‘기록으로서의 역사’ •우리가 알아보는 고장이야기(고장과 관련된 옛이 야기, 고장의 문화 유산, 고장의 지명) 정치 · 문화 사 선사시대와 고조선의 등장 한반도에는 구석기시대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하였으며,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를 거친 후 최초의 국가인 고조선이 등장하였다

참조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