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위장관 이물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위장관 이물"

Copied!
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대한소화기학회지 1999;33:464 - 472

2)

서 론

위장관의 이물은 일상 생활에서 흔히 경험하는 접수: 1998년 2월 13일, 승인: 1998년 10월 23일 연락처: 한석원, 420-717,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소사동 2

가톨릭대학교 성가병원 내과

Tel: (032) 340-2020, Fax: (032) 340-2669

질환으로 소아에서는 우발적인 사고에 의하여 발생 하고, 성인에서는 위장관의 양성 및 악성 협착, 위장 관 운동장애, 정신질환자, 의치 사용자, 알코올중독 자 등에서 발생한다. 대부분의 작은 이물은 증상 없 이 위장관을 통과하여 배설되기도 하지만 약 10- 20%는 위장관의 생리적, 병적 협착 부위에서 통과 되지 않아 치료가 필요하다.1 특히 소아의 식도 이

위장관 이물 118예에 대한 고찰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박순민・정명선・최주연・윤종구・김성수・채현석 최명규・김재광・한남익・최규용・한석원・선희식

Ga s t ro i n t e s t i n a l F o r e i g n B o d i e s : R e v i e w o f 1 1 8 Ca s e s

S oo n Mi n P a rk , M.D., My u n g S u n Ch u n g , M.D., J u Yu n Ch o i , M.D., J o n g Go o Yo o n , M.D., S u n g S o o Ki m , M.D., H i u n S u k Ch a e , M.D.,

My u n g Kyu Ch oi , M.D., J a e Kw an g Ki m , M.D., N a m Ik H a n , M.D., Ky u Yo n g Ch o i , M.D., S o k Wo n H a n , M.D. a n d H e e S i k S u n , M.D.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Korea

Background/Aims: Most of foreign bodie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are passed spontaneously, bu

10-20% of those needs treatment. We evaluated the role of endoscopy for removal of foreign bodie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Methods: We investigated retrospectively 118 cases with foreign bodie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They had been treated at Holy Family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from January, 1990 through December, 1996. Results: The age ranged from 3 month to 78 years. Patients under 15 years were 76 cases and male was more prevalent than female (M:F=

1.68:1). Half (59 cases) of the patients had no symptom. Two most common foreign bodies were coins (45 cases) and sharp materials (18 cases) in children, while gastric bezoars (15 cases) and bones (10 cases) in adults. The most common location was esophagus (61 cases). In eighty-eight cases (74.6%), foreign bodies were removed by rigid or flexible endoscopy or anoscopy. Conclusions:

Rigid and flexible endoscopy are useful tools for removal of foreign bodies in the gastrointestina tract. (Kor J Gastroenterol 1999;33:464 - 472)

Key Words: Foreign body, Gastrointestinal tract, Removal

(2)

466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 Vol. 33, No. 4, 1999

물은 천공,2 흡인성 폐렴,3 농양 형성,3,4 종격동염 및 종격동 기흉,4 장관 외 이동,3 식도기관루 또는 식도 대동맥루4 등의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어 응급 치료 를 요한다.

기도와 식도 이물은 강직형 내시경으로 제거되어 왔으며 1945년 식도의 고기감입 치료에 파파인 효소 를 사용하였고,5 1966년 방사선 비투과성 이물을 Foley 도관을 사용하여 제거하였다.6 1972년 유연형 내시경으로 이물을 제거한 이후7 유연형 내시경을 이용한 이물 제거가 점차 증가되어 보편화 되었다.

그러나 위장관 이물을 내시경적으로 제거할 때 날카 로운 이물에 의한 점막 손상, 식도 열상, 천공, 출혈 등의 합병증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치료 방 법의 선택과 충분한 준비가 필수적이다.

저자들은 위장관 이물의 위치, 종류, 치료 방법 등 을 조사하고 내시경의 역할에 관하여 알아보기 위하 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 대상 환자

1990년 1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이물 섭취 후 가톨릭대학교 성가병원에 내원하여 치료받은 118예 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성별, 연령, 임상 증상, 최초 진단 방법, 이물의 종류와 위치, 원인 질환, 이물의 치료 및 제거 방법, 응급 이물 제거 여부, 이물 제거 시 합병증 등에 대하여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2. 이물의 내시경적 제거 방법

이물을 내시경적으로 제거하는 경우에는 유연형 내시경(Olympus GIF-XV10, GIF-Q230), 강직형 식 도경, 항문경 등을 사용하였으며 다양한 이물 적출 용 처치 용구들을 이용하였다. 성인에서는 일반 내 시경 검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전처치 후 내시경적 이물 제거를 시행하였으나 협조가 어려운 유아나 소 아에서는 chloral hydrate 또는 diazepam을 투여하거 나 전신 마취 하에 시행하였다.

응급실 또는 외래로 내원한 118예 중 연하 곤란, 경부 이물감, 복통, 구토, 흑색변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는 내원 8시간 이내에 응급으로 이물을 제거하

였고 증상이 경미하거나 무증상인 경우는 선택적 내시경 등의 방법으로 제거하였다.

결 과

1. 연령 및 성별 분포

118예의 위장관 이물 환자의 연령은 3개월부터 78세까지였으며, 15세 이하가 76예(64.4%), 16세 이 상이 42예(35.6%)를 차지하였다. 15세 이하의 소아 에서는 5세 이하 50예(42.4%), 6세에서 10세가 23예 (19.5%)로서 전체 위장관 이물 환자의 61.9%가 10 세 이하에서 발생하였다.

성별 분포는 전체 118예 중 남자 74예(62.8%), 여 자 44예(37.2%)로 남자가 1.68배 많았으나 성인에서 는 남자 23예, 여자 19예로 성별 분포에 큰 차이가 없는 반면, 소아에서는 남자 51예, 여자 25예로 남자 가 2.04배 많았다(Table 1).

2. 임상 증상

임상 증상은 무증상이 59예(50.0%)로 가장 많았 고 연하 곤란 및 경부 이물감 40예(33.9%), 흉부와 복부불쾌감 15예(12.7%), 구토 2예(1.7%), 토혈과 흑 색변 각각 1예(각 0.8%)였다. 소아의 증상은 무증상 55예(72.4%), 연하 곤란 및 경부 이물감 21예(27.6%) 였으나 성인의 증상은 연하 곤란 및 경부 이물감 19 예(45.2%), 흉부와 복부 불쾌감 15예(35.7%), 무증상 4예(9.5%), 구토 2예(4.8%), 토혈과 흑색변 각각 1예 (각 2.4%)였다(Table 2).

3. 이물의 종류

전체 대상 환자에서 이물의 종류는 동전이 45예 (38.1%)로 가장 많았고, 날카로운 이물 22예(18.6%), 위석 15예(12.7%), 골편 14예(11.9%)였으며, 그 외에 바둑알, 음식물, 고깃덩어리, 플라스틱, 수은전지, 쇠 공, 의치 등이 있었다.

소아에서는 동전이 45예(59.2%)로 가장 많았고, 날카로운 이물 18예(23.7%), 바둑알 4예(5.3%), 골편 (닭뼈 3예, 생선가시 1예) 4예(5.3%)였으며 그 외에 자두씨, 플라스틱, 고깃덩어리, 수은전지, 쇠공 등이 각각 1예(각 1.3%)였다.

(3)

박순민 외 11인. 위장관 이물 118예에 대한 고찰 467

성인에서는 위석 15예(35.7%), 골편 10예(23.8%), 고깃덩어리 4예(9.5%), 날카로운 이물 4예(9.5%),

음식물 4예(9.5%), 플라스틱 3예(7.1%), 의치 2예 (4.8%)였다(Table 3).

Table 2. Clinical Symptoms of 118 Cases with Foreign Body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Symptoms Children (%) Adults (%) Total (%) No symptom

Dysphagia

Chest or abdominal discomfort Vomiting

Hematemesis Melena Total

55 (72.4) 21 (27.6)

0 0 0 0 76 (100)

4 ( 9.5) 19 (45.2) 15 (35.7) 2 ( 4.8) 1 ( 2.4) 1 ( 2.4) 42 ( 100)

59 (50.0) 40 (33.9) 15 (12.7) 2 ( 1.7) 1 ( 0.8) 1 ( 0.8) 118 ( 100)

Table 3. Types of Foreign Bodie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Type Children (%) Adults (%) Total (%)

Coin

Sharp foreign body Bone

Chicken Fish Cow Dog Baduk stone Food Meat Plastic Button battery Iron bead Bezoar

Artificial denture Total

45 (59.2) 18 (23.7) 4 ( 5.3) 3 1 0 0 4 ( 5.3) 1 ( 1.3) 1 ( 1.3) 1 ( 1.3) 1 ( 1.3) 1 ( 1.3) 0 0 76 (100)

0 4 ( 9.5) 10 (23.8)

3 5 1 1 0 4 ( 9.5) 4 ( 9.5) 3 ( 7.1) 0 0 15 (35.7)

2 ( 4.8) 42 ( 100)

45 (38.1) 22 (18.6) 14 (11.9)

6 6 1 1 4 ( 3.4) 5 ( 4.2) 5 ( 4.2) 4 ( 3.4) 1 ( 0.8) 1 ( 0.8) 15 (12.7) 2 ( 1.7) 118 ( 100) Table 1. Distribution of Age and Sex in 118 Cases with Foreign Body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Age Male (%) Female (%) Total (%)

0-15 0- 5 6-10 11-15 16-78 Total

51 (43.3) 33 (28.0) 16 (13.6) 2 ( 1.7) 23 (19.5) 74 (62.8)

25 (21.1) 17 (14.4)

7 ( 5.9) 1 ( 0.8) 19 (16.1) 44 (37.2)

76 (64.4) 50 (42.4) 23 (19.5) 3 ( 2.5) 42 (35.6) 118 (100)

(4)

468 대한소화기학회지 : 제 33 권 제 4 호 1999

4. 이물의 위치

이물의 위치는 식도가 61예(51.7%)로 가장 많았 고 위 34예(28.8%), 십이지장 3예(2.5%), 소장 10예 (8.5%), 대장 3예(2.5%), 직장 1예(0.8%)였으며, 식 도 이물 61예는 상부식도 53예(86.9%), 중부식도 6 예(9.8%), 하부식도 2예(3.3%)였다. 그러나 이물의 위치가 확인되지 않은 경우도 6예 있었는데 이 중 성인 3예는 모든 검사에도 불구하고 이물이 확인되 지 않아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없었으며, 소아 3예는 방사선검사에서 복부 이물이 확인되었으나 정확한 위치를 판단할 수 없었다.

소아에서 이물의 위치는 식도 40예(52.6%), 위 24 예(31.6%), 십이지장 1예(1.3%), 소장 5예(6.6%), 대 장 2예(2.6%), 직장 1예(1.3%), 위치 불명확 3예(3.9%) 였고 이 중 식도 이물은 상부식도 38예(50.0%), 중부 식도 2예(2.6%)였다. 성인은 식도 21예(50.0%), 위 10예(23.8%), 십이지장 2예(4.8%), 소장 5예(11.9%), 대장 1예(2.4%), 위치 미확인 3예(7.1%)였고 이 중 식도 이물은 상부식도 15예(35.7%), 중부식도 4예 (9.5%), 하부식도 2예(4.8%)에서 관찰되었다(Table 4).

5. 원인 질환

원인 질환 동반 예는 17예(14.4%)였으며 이 중 위 장관 협착은 14예(11.9%)로 양잿물 복용에 의한 식 도 협착 5예, 소화성 궤양에 의한 위 유문부 및 십이

지장 협착 3예, 위공장문합술 후 협착 3예, 식도암 에 의한 식도 협착 1예, 위 분문부 암의 하부식도 침범에 의한 식도 협착 1예, 개복술 후 장 유착에 의한 회장 협착 1예였다. 협착이 없는 원인 질환은 뇌경색 1예, 당뇨병 2예였다(Table 5).

6. 최초 확진 방법

최초 진단 방법은 경부 정면 및 측면 X-선검사 42 예, 복부 단순촬영 40예, 흉부 X-선검사 4예, 상부위 장관조영술 5예, 식도조영술 2예, 소장조영술 1예였 다. 상기 X-선검사로 확인되지 않은 이물은 강직형 식도경(7예), 유연형 내시경(14예) 검사를 통하여 확 진되었으며, 성인 3예는 이물(유리조각 2예, 이온음 료 캔 조각 1예) 섭취 후 내원하였으나 모든 검사에 서 확인되지 않았다.

7. 이물 제거 방법

88예(74.6%)에서 내시경적 이물 제거를 시행하였 으며 전신 마취 후 강직형 식도경을 이용한 경우가 51예(43.2%)로 가장 많았고 전신 마취 후 유연형 내 시경 이용 22예(18.6%), 마취 없이 유연형 내시경 이 용 14예(11.9%), 항문경 이용 1예(0.8%)였다. 17예 (14.4%)는 자연 배출되었고 7예(5.9%)는 수술을 시 행하였다. 3예(2.6%)는 이물이 확인되었으나 자연 배출이 확인되기 전에 조기 퇴원하였고, 3예(2.6%) 는 모든 검사에서 이물이 확인되지 않았다.

Table 4. Location of Foreign Bodie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Location Children (%) Adults (%) Total (%) Esophagus

Upper Mid Lower Stomach Duodenum Small intestine Colon

Rectum Unidentified Total

40 (52.6) 38 (50.0)

2 ( 2.6) 0 24 (31.6)

1 ( 1.3) 5 ( 6.6) 2 ( 2.6) 1 ( 1.3) 3 ( 3.9) 76 ( 100)

21 (50.0) 15 (35.7)

4 ( 9.5) 2 ( 4.8) 10 (23.8)

2 ( 4.8) 5 (11.9) 1 ( 2.4) 0 3 ( 7.1) 42 ( 100)

61 (51.7) 53 (44.9)

6 ( 5.1) 2 ( 1.7) 34 (28.8)

3 ( 2.5) 10 ( 8.5) 3 ( 2.5) 1 ( 0.8) 6 ( 5.1) 118 ( 100)

(5)

Park et al. Gastrointestinal Foreign Bodies: Review of 118 Cases 469

소아 76예 중 58예(76.3%)에서 내시경적 이물 제 거를 시행하였으며 전신 마취 후 강직형 식도경 이 용 37예, 전신 마취 후 유연형 내시경 이용 20예, 항 문경 이용 1예였다. 자연 배출 16예, 이물 배출 확인 전 조기 퇴원 2예였으며 자연 배출된 16예 중 3예는 방사선검사에서 이물이 확인되었으나 정확한 위치 를 알 수 없었던 경우로 나중에 자연 배출이 확인되 었다. 성인 42예 중 30예(71.4%)에서 내시경적 이물 제거를 시행하였고 전신 마취 후 강직형 식도경 이 용 14예, 마취 없이 유연형 내시경 이용 14예, 전신 마취 후 유연형 내시경 이용 2예였다. 그 외 수술 7 예, 자연 배출 1예, 이물 배출 확인 전 조기 퇴원 1 예였으며, 3예는 모든 검사에서 이물이 확인되지 않 았다(Table 6).

이물 제거시 사용된 보조 기구는 용종 제거용 올 가미, 삼본조 파악겸자, 생검 겸자, Foley 도관 풍선 등을 이용하였다. 이물제거수술을 시행한 경우는 성 인에서만 7예가 있었으며 이 중 6예는 위석에 의한 위, 장관 폐색, 1예는 생선가시에 의한 소장 천공이 었다.

8. 이물 섭취 후 자연 배출

이물 섭취 후 자연 배출된 경우는 총 17예로 소아 16예, 성인 1예였으며(Table 6), 날카로운 이물 22예 중 9예(40.9%)에서 자연 배출되었다. 자연 배출된 이물의 종류는 소아는 날카로운 이물(핀 혹은 못) 9 예, 동전 2예, 수은전지, 쇠공, 바둑알, 음식물(자두 씨), 골편(닭뼈) 각각 1예였고 성인은 위석 1예였다.

성인 3예는 이물 섭취 후 모든 검사에도 불구하고 확인되지 않았고 소아 2예, 성인 1예는 이물 배출 확 인 전에 퇴원하였으나 이 환자들이 이물에 의한 증 상이나 합병증으로 다시 내원하지 않았으므로 자연 배출되었으리라 추정된다.

9. 응급 내시경 이물 제거

88예(74.6%)에서 내시경을 이용하여 이물이 제거 되었으며 이 중 내원 8시간 이내에 응급으로 제거한 경우는 41예(46.6%)였고 내원 8시간 이후에 제거한 경우는 47예(53.4%)였다(Table 7).

응급 제거 41예를 소아와 성인으로 비교하여 보 면 소아 60예 중 32예(53.3%), 성인 28예 중 9예

Table 6. Methods of Treatment or Removal of Foreign Bodie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Method Children Adults Total (%)

Rigid esophagoscopy with GA Flexible endoscopy with GA Flexible endoscopy without GA Anoscopy

Surgery

Spontaneous passage Early discharge No removal Total

37 20 0 1 0 16 2 0 76

14 2 14 0 7 1 1 3 42

51 (43.2) 22 (18.6) 14 (11.9) 1 ( 0.8) 7 ( 5.9) 17 (14.4) 3 ( 2.6) 3 ( 2.6) 118 ( 100) GA, general anesthesia.

Table 5. Underlying Diseases of the 17 in 118 Cases with Foreign Body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Underlying disease Number Esophageal cancer

Cardiac cancer

Esophageal stricture (lye) Peptic ulcer with stricture Stricture of gastrojejunostomy site Ileal stricture after abdominal surgery Cerebral infarction

Diabetes mellitus Total

1 1 5 3 3 1 1 2 17

(6)

470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 Vol. 33, No. 4, 1999

(32.1%)였고 전 예에서 내시경적 이물 제거가 가능 하였다.

10. 이물에 의한 합병증

생선 가시에 의한 소장 천공 1예, 플라스틱(약 포 장지)에 의한 식도 열상 및 궤양 1예였다.

고 찰

위장관 이물은 그 형성 기전에 따라서 다음과 같 이 대별할 수 있다.8 첫째 잘 씹지 않거나 우발적으 로 삼킨 식괴와 생활 주변의 고형 물질, 둘째 위석과 같이 음식물이나 머리털로 구성되어 위 내에서 직접 종괴를 형성한 경우, 셋째 수술 후 봉합사의 잔존, 넷째 장관과 다른 부위에 누공이 생겨 이물이 내부 로 들어오는 경우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가장 흔한 것이 삼킨 고형 물질로 대개 10세 이하의 유, 소아에서 많이 발생하며 주로 동전, 장난감, 크레용, 볼펜 뚜껑 등이다.9 성인은 정신질환자, 알코올중독 자, 잇몸 감각이 둔해진 노인, 의치 사용자, 혹은 환 자 부주의로 고깃덩어리, 골편, 생선뼈 등을 삼키는 경우가 많다.8

상부위장관 이물 환자의 연령 분포는 식도 이물 의 경우 5세 이하의 유, 소아에서 흔히 발생하여 전 체 식도 이물 환자의 54.2-71%를 차지하나3,8,10 Nandi와 Ong4은 소아 14.32%, 성인 85.67%로 보고 하여 차이가 있었는데 이는 주로 성인 대상(성인 2051예, 소아 343예) 연구였다. 본 연구는 15세 이하 소아가 64.4%였으며 특히 10세 이하가 전체의 61.9%였다.

남녀 비는 1.38:1-1.4:1로 대부분 비슷하였지 만,3,10-12 동전 61예 중 남자 45예(73.8%), 식품류 25 예 중 여자 20예(80%)로 이물의 종류에 따라 성비의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체 118예 중 남자 74예, 여자 44예로 남자가 1.68배 많았으며, 성인은 남녀 비의 차이가 없었던 반면 소아는 남자 51예, 여자 25예로 남자가 2.04배 많았다. 이와 같이 남아 의 이물 발생이 많았던 이유는 전체 위장관 이물 환 자 중 소아가 64.4%를 차지하였고, 남아가 여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활동이 많은 데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10

식도 이물은 지속적인 이물감과 연하 곤란 등을 일으키고8,11,13,14 이물이 상부식도에 걸려 있는 경우 흡인성 폐렴이나 호흡 곤란을 유발할 수 있어9,15 즉 각적인 응급 처치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위 내 이물 은 무증상인 경우가 많지만 폐색에 의한 구토가 나 타나기도 한다.16 본 연구 결과 소아의 72.4%, 성인 의 9.5%가 무증상이었다. 소아에서 무증상이 많았던 이유는 대부분 우발적으로 이물을 섭취하였으며, 자 신이 섭취한 이물이 유해한 것인지를 스스로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이 없고, 자신의 증상을 잘 표현하지 못 하기 때문일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에 성인들은 자 신이 무엇을 섭취하였는지를 잘 알고 있고, 나타난 증상을 정확히 표현하며, 정신질환이나 치매 등 판 단력이 저하된 질환이 적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위장관 이물의 종류는 10세 이하는 동전, 30세 이 상의 성인은 골편과 식괴가 많았다.3,8,10,17,18 국내 보 고를 종합한 연구14에서 5세 이하는 동전(85.6%)이 가장 많고, 31세 이상은 골편(72.6%)이 가장 많으며 육류 및 식괴가 17%를 차지한다고 하였다. 본 연구 에서 소아는 동전(45예), 날카로운 이물(18예)이 많 은 반면, 성인은 위석(15예), 골편(10예)이 많았다.

15예의 위석 중 11예에서 위 유문부, 십이지장 및 장 폐색이 관찰되었고 6예에서 수술을 시행하였다. 이 와 같이 위석이 많은 이유는 한국인의 식생활이 많 이 서구화되었다고 하더라도 아직 식물성 음식을 많 Table 7. Removal of Foreign Bodies by Emergency or Elective Endoscopy in 88 Cases

Age Emergency (within 8 hours) Elective (after 8 hours) Total Children

Adults Total

32 (53.3%) 9 (32.1%) 41 (46.6%)

28 (46.7%) 19 (67.9%) 47 (53.4%)

60 (100%) 28 (100%) 88 (100%)

(7)

박순민 외 11인. 위장관 이물 118예에 대한 고찰 471

이 섭취하기 때문이다. 또한 원인 질환 동반 17예 중 8예에서 위장관 협착이나 당뇨병에 의한 위장 운 동 장애가 있었는데 이러한 원인 질환이 있는 경우 위석이 호발한다는 보고가 있다.19

이물의 위치는 식도 이물(51.7%)이 가장 많았고 특히 상부식도가 53예(86.9%)로 가장 많아 다른 보 고와 비슷하였으며,3,4,8,10,14 그 외에 위(34예), 소장 (13예, 십이지장 포함)이 많았다. 식도 이물과 관계 된 해부학적인 병리 상태는 식도환, 식도망(esopha- geal web), 역류성 식도염, 식도암, 식도정맥류 경화 요법 후의 협착 등이 있다. 24명의 소아 중 21명에서 수술이 필요한 식도 이상을 가지고 있다고 하는 연 구20가 있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소아에게서 원인 질 환이 있는 경우는 없었다.

방사선검사는 이물 진단에 필수적이며 목과 흉부 의 정면 및 측면 사진이 기본이다. 경부 측면 사진은 경부식도의 작은 골편검사에 중요한데 이는 흉부 정 면 사진에서 이물이 경추와 겹치기 때문이다. 또한 동전과 같은 납작한 금속 이물이 기도에 있는 경우 는 흉부와 경부 정면 사진에서 동전의 옆면이 보이 고 측면 사진에서는 동전 면이 보이나, 식도에 있는 경우는 이와 반대로 보이기 때문에 이물의 위치 감 별에 도움이 된다.9 바륨조영촬영술은 일반적인 X- 선검사에 나타나지 않는 유리조각, 고깃덩어리, 알 루미늄, 플라스틱, 나무조각 등의 발견에 사용될 수 있으나9 내시경에 의한 이물 제거시 조영제가 내시 경 시야를 불량하게 하기 때문에 드물게 사용되며19 방사선 비투과성 이물의 경우도 내시경검사로 쉽게 진단과 제거를 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는 거의 사용 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도 86예는 일반적인 X-선 검사만으로, 21예는 유연형과 강직형 내시경에 의해 최초진단이 가능하였고 8예만 바륨조영촬영술이 진 단에 이용되었다.

위장관 이물의 80-90%는 환자가 의식하지 못하 는 상태에서 대변으로 자연 배설되므로19,21 경과를 추적 관찰하면서 기다리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위장관 이물의 10-20%는 제거가 필요하며,1 응급제 거적응증은 호흡 곤란,22 식도의 완전 폐색,22 천공,22 단추형 전지나 날카로운 이물,12,23 증상을 동반한 이 물,19 이물 직경이 2.5 cm 이상,19 길이가 긴 이물(성

인 13 cm 이상, 소아 6 cm 이상),19 위 내에 2-3일 이상 남아 있는 경우 등이 있다.19

이물의 치료 방법은 이물의 종류, 위치, 환자 상태 에 따라 내시경적 제거, 수술, 기타의 제거술이 고려 될 수 있다. 내시경적 제거는 강직형 식도경과 유연 형 내시경이 사용될 수 있으며, 유연형 내시경을 적 절히 이용하면 전신 마취의 위험과 불편을 감소시킬 수 있다. 강직형 식도경의 경우 소아는 대부분 전신 마취 하에 시행하고 성인은 경우에 따라 국소 마취 도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 내시경 또는 항문경을 이용하여 이 물을 제거한 경우는 88예(74.6%)로서 가장 유용한 치료 방법이었으며, 이는 전자 내시경의 개발과 overtube, 투명 캡, 바스켓 등 다양한 보조기구의 개 발로 내시경적 이물 제거의 위험이 현저히 감소되었 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자연 배출이 가능한 이물도 상당수 내시경적으로 제거되었으리라 추정 된다. 내원 8시간 이내에 응급으로 이물을 제거한 경우는 41예였으며 소아(53.3%)에서 성인(32.1%)에 비해 많았다.

소아는 강직형 식도경(37예)과 유연형 내시경(20 예) 시행시 모두 전신 마취 하에 이물을 제거하였다.

그 이유는 소아가 이물섭취 후 응급실로 내원하였을 때 경험이 없는 응급실 수련의가 이비인후과 또는 외과에 먼저 보고하여 응급 또는 선택적으로 전신 마취 후 강직형 식도경 또는 유연형 내시경을 시행 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또한 성인도 전신 마취 후 강직형 식도경을 사용한 경우가 15예 있었다. 따라 서 향후 각 병원에서 내과, 외과, 이비인후과, 응급 실 사이에 체계적인 연락망을 갖추고 준비하면 불필 요한 전신 마취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 다.

내시경적 이물 제거시 사용되는 보조 기구는 생 검 겸자, 악어턱모양 겸자, 서치겸자, 삼본조 파악겸 자, 올가미, 봉합사 제거 가위, Dormia 바스켓 등이 있다.19 고기 감입은 조기에는 올가미나 Dormia 바 스켓 1회 시술로 제거될 수 있으나 시간이 지나면 overtube나 Stiegmann-Goff 투명 캡으로 여러 번 시 술하여야 한다. 이물을 제거한 후에는 반드시 식도 내시경검사로 협착의 존재 유무와 이물에 의한 점막

(8)

472 대한소화기학회지 : 제 33 권 제 4 호 1999

부종 등을 관찰하고 협착 부위는 곧바로 확장술을 시행하며 의심 가는 병변은 조직검사를 시행한 다.9,19,24

날카로운 이물은 날카로운 부분이 원위부로 향하 게 하여 제거하면 천공을 방지할 수 있으며, 면도칼 같이 날카로운 면이 있을 때에는 overtube를 삽입 후 제거하면 점막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반지나 열쇠 고리 등 구멍이 있는 이물은 string 기법을 사용하면 쉽게 제거할 수 있다.9,19,25

이물에 의한 합병증은 1-4%로19 천공,2 흡인성 폐 렴,3 농양 형성,3,4 종격동염 및 종격동 기흉4 등이 있 으며 후기 합병증으로 만성 호흡기질환,19 장관 외 이동,3 식도 협착,19 식도기관루,19 반복성 폐렴,19 식 도대동맥루4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 합병증은 생선 가시에 의한 소장 천공 1예, 플라스틱(약 포장지)에 의한 식도 열상 1예였다.

요 약

목적: 위장관의 이물은 일상 생활에서 흔히 경험 하는 질환으로 10-20%에서는 자연 배출되지 않으므 로 치료가 필요하다. 저자들은 위장관 이물 환자를 대상으로 이물의 종류, 위치, 제거 방법, 내시경의 유용성 등에 관하여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0년 1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가톨릭 대학교 성가병원에 내원한 위장관 이물 환자를 대상 으로 유연형 내시경, 강직형 식도경, 수술 등의 방법 으로 이물을 제거하였으며, 연령 분포, 임상 증상, 이물의 위치, 종류, 진단 방법, 제거 방법, 제거 시기, 원인 질환, 합병증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위장관 이물 환자는 모두 118예였으며 연령 분포는 3개월부터 78세로 15세 이하가 76예(64.4%)였고, 남 자가 74예로 여자보다 1.68배 많았다. 임상 증상은 무증상(59예), 연하 곤란 혹은 경부 이물감(40예), 흉 부와 복부 불쾌감(15예) 순이었다. 소아는 동전(45 예)과 날카로운 이물(18예), 성인은 위석(15예)과 골 편(10예)이 가장 흔하였다. 식도 이물이 61예로 가장 많았고, 위 내 이물은 34예였다. 원인 질환은 위장관 협착이 14예, 당뇨병 2예, 뇌경색 1예였다. 88예에서 강직형 식도경, 유연형 내시경, 항문경 등을 이용하

여 이물을 제거하였고, 7예에서 수술을 시행하였으 며, 17예에서 자연 배출되었다. 이물에 의한 합병증 은 생선가시에 의한 소장 천공 1예, 플라스틱에 의 한 식도 열상 1예였다. 결론: 강직형 식도경과 유연 형 내시경이 위장관 이물 제거에 가장 유용하게 사 용되었다.

색인단어: 이물, 위장관, 이물 제거

참 고 문 헌

1. Davidoff E, Towne JB. Ingested foreign bodies. N Y State J Med 1975;75:1003-1007.

2. Schwartz JT, Graham DY. Toothpick perforation o the intestine. Ann Surg 1977;185:64-66.

3. 전광훈, 서병도. 식도 및 기도이물의 임상적 관찰. 가 톨릭대학의학부 논문집 1980;33:525-532.

4. Nandi P, Ong GB. Foreign body in the oesophagus review of 2394 cases. Br J Surg 1978;65:5-9.

5. Richardson JR. A new treatment for esophagea obstruction due to meat impaction. Ann Otol Rhino Laryngol 1945;54:328-348.

6. Bigler FC. The use of a Foley catheter for remova of blunt foreign bodies from the esophagus. J Thorac Cardiovasc Surg 1966;51:759-760.

7. Morrissey JF. Gastrointestinal endoscopy. Gastroen terology 1972;62:1241-1268.

8. 이문성, 라동집, 김진홍, 조성원, 심찬섭. 상부소화관 이물의 내시경적 적출술의 검토. 대한소화기내시경학 회지 1990;10:47-52.

9. Webb WA. Management of foreign bodies of the upper gastrointestinal tract. Gastroenterology 1988;

94:204-216.

10. 박원주, 한중엽, 김중환, 이강온, 원나경, 이영호. 식도 이물에 대한 임상통계적 고찰. 한이인지 1991;34:

1089-1093.

11. 김우중, 이명식. 상부위장관 이물질의 내시경적 적출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1992;12:227-230.

12. Stringer MD, Capps SN. Rationalising the manag ement of swallowed coins in children. BMJ 1991 302:1321-1322.

13. 박수헌. 식도 이물의 굴곡형 내시경을 이용한 치료

(9)

Park et al. Gastrointestinal Foreign Bodies: Review of 118 Cases 473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1996;2:182-193.

14. 정필상. 식도 이물의 강직형 식도경술을 이용한 치료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1996;2:170-181.

15. Norton RA, King GD. "Steakhouse syndrome": the symptomatic lower esophageal ring. Lahey Clin Found Bull 1963;12:55-59.

16. Goldberg SB, Galen EH. Phytobezoar and gastros copic observation. Am J Med 1966;41:851-854.

17. Clerf LH. Foreign bodies in the air and food pas sages: observations on end-results in a series of nine hundred and fifty cases. Surg Gynecol Obstet 1940 70:328-339.

18. Lerche W. The esophagoscope in removing sharp foreign bodies from the esophagus. JAMA 1911;56 634-637.

19. Quinn PG, Connors PJ. The role of upper gastroin testinal endoscopy in foreign body removal. Gas trointest Endosc Clin N Am 1994;4:571-593.

20. Crysdale WS, Sendi KS, Yoo J. Esophageal foreign bodies in children. 15-year review of 484 cases.

Ann Otol Rhinol Laryngol 1991;100:320-324.

21. Schwartz GF, Polsky HS. Ingested foreign bodies o the gastrointestinal tract. Am Surg 1976;42:236-238 22. Shemesh E, Czerniak A, Hakerem D. Endoscopic

removal of penetrating foreign bodies from the stomach. Gastrointest Endosc 1989;35:473-474.

23. Suita S, Ohgami H, Nagasaki A, Yakabe S. Manage ment of pediatric patients who have swallowed foreign objects. Am Surg 1989;55:585-590.

24. Webb WA, McDaniel L, Jones L. The use of endos copy in assessment and treatment peptic strictures o the esophagus. Am Surg 1984;50:476-478.

25. Shull HJ Jr, Avant GR, Dunkerley RC, Dunn GD Fiberendoscopic removal of large foreign bodies from the stomach. Gastrointest Endosc 1975;21:170- 171.

수치

Table 2. Clinical Symptoms of 118 Cases with Foreign Body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Table 4. Location of Foreign Bodie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Table 5. Underlying Diseases of the 17 in 118 Cases with Foreign Body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참조

관련 문서

For that purpose, the investigator analyzed the cases of web animation coding algorithm web applicat ions that were the most familiar to designers and set

* Unvaccinated cases were more likely to present classic manifestations of measles [OR=3.656 (p <0.000)](among 330 measles cases with available data)... Outbreak Name

• Markov property for reinforcement learning problem: When considered how a general environment might respond at time t +1 to the action at time t, in most general and

Third, direct tensile strength tests showed that tensile performance appeared to be higher in cases where fiber volume fraction was high and in cases of 1% fiber volume

In addition, Wallace and Froum 20) reported that the bone formation rate was superior in the cases using a barrier membrane in comparison with the

purpose of introducing the representative lawsuits in such a trend,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status of representative cases and judicial issues in

As the number of clinical cases requiring supracrestal apical-coronal positioning is increasing, we examined the utility of FEA in such cases. In this study,

In these 3 cases common factors were searched, 1) upstair jet stream which passaged from Sandung peninsula to Yodong peninsula helped the low stair conversion and 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