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Factors Confluencing the Result of Percutaneous Balloon Kyphoplasty in Osteoporotic Thoracolumbar Compression Fracture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Factors Confluencing the Result of Percutaneous Balloon Kyphoplasty in Osteoporotic Thoracolumbar Compression Fracture "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76 통신저자황 대 우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6가 18-79 국립의료원 정형외과

Tel:02-2260-7193․Fax:02-2278-9570 E-mail:kmcoshdw@dreamwiz.com

Address reprint requests to:Dae-Woo Hwang, M.D.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National Medical Center, 18-79, Euljiro 6-ga, Jung-gu, Seoul 100-799, Korea

Tel:82-2-2260-7193․Fax:82-2-2278-9570 E-mail:kmcoshdw@dreamwiz.com

골다공증성 흉요추부 압박골절에서 경피적 풍선 척추 성형술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정희․황대우*․신재흥*․홍우성*․김주완*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국립의료원 정형외과*

목 적: 경피적 풍선 척추 성형술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술 후 예후 측정 인자를 모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9월부터 2005년 10월까지 본 술식을 시행 받은 환자 중 6개월 이상 (평균 10.5개월) 추시 가능한 50명, 55추체를 대상으로 술 전 골밀도 값, 압박률, 술 후 복원율, 술 중 시멘트 유출의 발생 유무에 따라 분류하고, 각각의 술 전, 술 후, 추시 측면 방사선 사진상 압박률, 복원율을 비교 분석 하였다.

결 과: 골밀도 값이 0.4 g/cm2 이상인 12추체의 평균 압박률은 30.58%, 술 후 복원율은 12.35%P, 추시 복원율은 9.93%P로 2.42%P 의 복원 소실이 있었으며, 0.4 g/cm2 미만인 15추체의 경우 각각 26.73%, 11.77%P, 5.26%P로 6.51%P의 복원 소실이 있었다 (p=0.004). 그 밖의 인자에 대한 연구상 술 전 압박이 적을수록, 술 후 복원이 적을수록, 그리고 골시멘트의 누출이 없을수록 복원의 소실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모두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결 론: 언급된 요인들 중 골밀도 값이 술 후 결과에 영향을 주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며, 술 전 압박률, 술 후 복원율, 술 중 추체외 시멘트 유출의 유무는 술 후 결과에 영향은 주나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색인 단어: 골다공증, 흉요추부 압박골절, 경피적 풍선 척추 성형술, 복원율

Factors Confluencing the Result of Percutaneous Balloon Kyphoplasty in Osteoporotic Thoracolumbar Compression Fracture

Jung-Hee Lee, M.D., Dae-Woo Hwang, M.D. *, Jae-Heung Shin, M.D.*, Woo-Sung Hong, M.D.*, Ju-Wan Kim, M.D.*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Kyunghe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National Medical Center*, Seoul, Korea

Purpose: We are to find the method to objectify postoperative prognosis, analyzing the factors confluencing the result of kyphoplasty in osteoporotic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 (OVCF).

Materials and Methods: Our study included 50 patients (55 vertebral bodies) who have undergone kyphoplasty from Sep. 2004 until Oct. 2005. We divided in the group according to bone mineral density (BMD), compression rate, recovery rate and cement leakage. We verified the significance of each group, using independent t-test, and ANOVA test among observers.

Results: We performed kyphoplasty on 55 vertebral bodies, 12 cases with more than 0.4 g/cm2 in BMD (mean: 0.53 g/cm2) and their mean preoperative compression rate (CR), immediate postoperative recovery rate (RR-IPO), and recovery rate after 6 months (RR-6M) was each 30.58%, 12.35%P, 9.93%P. 15 cases under 0.4 g/cm2 (mean 0.31 g/cm2), and their CR, RR-IPO and RR-6M was 26.73%, 11.77%P, 5.26%P respectively. The p-value was 0.004. Another studies according to CR, RR-IPO and leakage of cement revealed the better results in the cases of the lower CR, the smaller reduction and abscecnce of cement leakage, but statistically insignificant (p=0.309, 0.069, 0.356).

Conclusion: Preoperative BMD was most important factor that confluencing postoperative radiological result in OVCF. Other factors were also thought to be confluencing factors, but statistically insignificant.

Key Words: Osteoporosis, Thoracolumbar compression fracture, Kyphoplasty, Recovery rate

(2)

Table 1. Patients' demographics

󰠚󰠚󰠚󰠚󰠚󰠚󰠚󰠚󰠚󰠚󰠚󰠚󰠚󰠚󰠚󰠚󰠚󰠚󰠚󰠚󰠚󰠚󰠚󰠚󰠚󰠚󰠚󰠚󰠚󰠚󰠚󰠚󰠚󰠚󰠚󰠚󰠚󰠚󰠚󰠚󰠚󰠚󰠚󰠚󰠚󰠚󰠚󰠚󰠚󰠚󰠚󰠚󰠚

Level of fracture Male Female

󰠏󰠏󰠏󰠏󰠏󰠏󰠏󰠏󰠏󰠏󰠏󰠏󰠏󰠏󰠏󰠏󰠏󰠏󰠏󰠏󰠏󰠏󰠏󰠏󰠏󰠏󰠏󰠏󰠏󰠏󰠏󰠏󰠏󰠏󰠏󰠏󰠏󰠏󰠏󰠏󰠏󰠏󰠏󰠏󰠏󰠏󰠏󰠏󰠏󰠏󰠏󰠏󰠏

T6 1 0

T8 1 3

T10 0 1

T11 2 3

T12 6 10

L1 0 10

L2 2 3

L3 1 6

L4 1 4

L5 0 1

󰠏󰠏󰠏󰠏󰠏󰠏󰠏󰠏󰠏󰠏󰠏󰠏󰠏󰠏󰠏󰠏󰠏󰠏󰠏󰠏󰠏󰠏󰠏󰠏󰠏󰠏󰠏󰠏󰠏󰠏󰠏󰠏󰠏󰠏󰠏󰠏󰠏󰠏󰠏󰠏󰠏󰠏󰠏󰠏󰠏󰠏󰠏󰠏󰠏󰠏󰠏󰠏󰠏

14 41

Total

(1pt-overlapped) (4pt-overlapped)

󰠏󰠏󰠏󰠏󰠏󰠏󰠏󰠏󰠏󰠏󰠏󰠏󰠏󰠏󰠏󰠏󰠏󰠏󰠏󰠏󰠏󰠏󰠏󰠏󰠏󰠏󰠏󰠏󰠏󰠏󰠏󰠏󰠏󰠏󰠏󰠏󰠏󰠏󰠏󰠏󰠏󰠏󰠏󰠏󰠏󰠏󰠏󰠏󰠏󰠏󰠏󰠏󰠏

Fig. 1. Image of the L2 vertebral body from 80-years-old woman. a: Anterior height of vertebral body, p: Posterior height of vertebral body. Compression rate (%): (p-a)*100/p, Immediate recovery rate (%point): Preoperative compression rate-Immediate post-operative compression rate, Follow up recovery rate (%point): Preoperative compression rate-Follow up compression rate.

서 론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은 골다공증에 의한 병적골절 중 가 장 흔한 골절 중의 하나로 국내 연구에서 Jahng 등12)은 폐경 후 여성에서 38.3%의 발생률을 보고하였다. 이에 대해 여러 가지 수술적 요법이 환자의 연령 및 외상의 정도에 따라 시 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외상의 기전이나 정도가 심각하지 않은 골다공증성 흉요추 골절의 수술적 치료로는 앞서 언급 된 경피적 척추 성형술과 경피적 풍선 척추 성형술이 안전하 고 만족스런 수술법으로서, 보편적으로 시행되고 있다4,5,10-12). 기존의 골다공증성 흉요추 압박골절의 치료에 시행되던 척 추성형술은 동통을 감소시키고 추체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 시켜 함몰이 심화되는 것을 막을 수는 있으나, 후만변형을 효 과적으로 호전 및 예방할 수 없고, 시멘트가 추체외로 유출되 어 혈관색전 또는 신경손상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17,18). 최근 시행되고 있는 경피적 풍선 척추 성형술은 후만변형을 교정하면서 동통의 감소와 안정화를 시킬 수 있어 선호되고 있다. 경피적 풍선 척추 성형술은 척추경을 통해 척추체 내 로 풍선을 삽입 후, 풍선을 부풀려 압박된 척추체를 들어 올 리고 공동 (cavity)을 생성한 후에 풍선을 제거하고 그 공간 에 골시멘트를 낮은 압력으로 주입하여 동통의 감소와 추체 의 안정화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수술 기법으로 시멘트의 유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4,10). 최근 연구 결 과에 의하면, 경피적 풍선 척추 성형술에 의해 1개 추체당 술 후 전방 척추는 39%, 후방 척추는 15%의 척추높이 증가 의 복원율을 얻을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으나4,11,22), 그 결과 는 환자마다 차이가 있으며, 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유추하는 것이 환자의 술 후 관리 및 예후를 결정하 는 데 유용할 것으로 판단하여, 본 저자들은 환자의 술 전

골밀도 값, 골절된 척추체의 압박률, 술 후 복원율, 술 중 추 체외 시멘트 유출 등의 인자들에 따른 결과의 차이 및 통계 적 유의성을 분석해 보았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9월부터 2005년 10월까지 경피적 풍선 척추 성형 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6개월 이상 (평균 10.5개월) 추시 가 능한 골다공증성 흉요추 압박골절 환자 50명, 55추체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의 평균연령은 75.34±8.71 (범위: 5 0~88)세였고, 이 중 남자는 13명 (26%), 여자는 37명 (74%) 이었다. 대상 추체는 모두 55추체로 제12흉추가 16예, 제1요 추가 10예로 대다수를 차지하였고 2개 이상의 척추체에 압 박골절이 있었던 경우는 5예였다 (Table 1). 방사선학적 진 단으로 술 전 앙와위 요천추, 흉요추 전후면, 측면 단순 방사 선 사진상 전방척주의 압박을 보이는 추체가 확인된 환자들 중 술 전 골주사 검사상 음영증강이 확인된 환자의 경우, 전 산화 단층 촬영을 추가로 시행해 압박골절을 증명했으며, 자 기공명영상검사상 신선골절이 확인된 환자의 경우, 골주사 검사를 생략하고 골다공증성 흉요추 압박골절을 진단하였고, 골밀도의 측정은 양에너지 방사선 골밀도 측정기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그 평균치를 이용하였다. 풍선 척추 성형술은 수상일로부터 2주 이상 2개월 미만이 경과된 압박률 20% 이상의 환자들에 게 시행하였으며, 수술 중 추체에 주입한 PMMA 골시멘트의 양은 반고체 상태로 추체당 평균 5.12 cc로, 4.5 cc 이상 7.5

(3)

Fig. 2. Simple radiographs of 74 years old male has BMD score 0.333 with L1 compression fracture.

(A) Preoperative lateral radiograph showed L1 compression fracture (compression rate: 20%).

(B) Postoperative lateral radiograph showed kyphoplasty on T12 (recovery rate: 10%).

(C) Postoperative 6 months follow up lateral radiograph (recovery rate: 6%).

Table 2. Comparision according to BMD

󰠚󰠚󰠚󰠚󰠚󰠚󰠚󰠚󰠚󰠚󰠚󰠚󰠚󰠚󰠚󰠚󰠚󰠚󰠚󰠚󰠚󰠚󰠚󰠚󰠚󰠚󰠚󰠚󰠚󰠚󰠚󰠚󰠚󰠚󰠚󰠚󰠚󰠚󰠚󰠚󰠚󰠚󰠚󰠚󰠚󰠚󰠚󰠚󰠚󰠚󰠚󰠚󰠚

BMD (case) <0.04 (15) >0.04 (12)

󰠏󰠏󰠏󰠏󰠏󰠏󰠏󰠏󰠏󰠏󰠏󰠏󰠏󰠏󰠏󰠏󰠏󰠏󰠏󰠏󰠏󰠏󰠏󰠏󰠏󰠏󰠏󰠏󰠏󰠏󰠏󰠏󰠏󰠏󰠏󰠏󰠏󰠏󰠏󰠏󰠏󰠏󰠏󰠏󰠏󰠏󰠏󰠏󰠏󰠏󰠏󰠏󰠏

BMD (g/cm2) 0.31 0.53

Preoperative compression rate (%) 26.73 30.58 Postoperative recovery rate (%P) 11.77 12.53

F/U recovery rate (%P) 5.23 9.91

Recovery loss (%P) 6.54 2.62

󰠏󰠏󰠏󰠏󰠏󰠏󰠏󰠏󰠏󰠏󰠏󰠏󰠏󰠏󰠏󰠏󰠏󰠏󰠏󰠏󰠏󰠏󰠏󰠏󰠏󰠏󰠏󰠏󰠏󰠏󰠏󰠏󰠏󰠏󰠏󰠏󰠏󰠏󰠏󰠏󰠏󰠏󰠏󰠏󰠏󰠏󰠏󰠏󰠏󰠏󰠏󰠏󰠏

p-value: 0.004.

cc를 초과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술 전 압박률은 앙와위 전후면, 측면 단순 방 사선 사진을 기준으로 압박된 추체의 전방 추체높이와 후방 추체높이를 기준으로 그 차이값의 백분위로 계산하였고, 술 후 복원율은 술 후 앙와위 전후면, 측면 단순 방사선 사진을 기준으로, 추시결과는 기립위 전후면, 측면 단순 방사선 사 진을 기준으로 전방 추체높이와 후방 추체높이를 측정하여 술 전 압박률의 계산과 같은 방법으로 구한 값에서 술 전 압 박률을 감한 %P값으로 정의하고 3인의 정형외과의에 의하여 각3회 측정하여 평균치를 이용하였다 (Fig. 1).

대상을 술 전 골밀도 값 (기준: 0.4 g/cm2), 술 전 골절된 추체의 압박률 (기준: 30%), 술 후 복원율 (기준: 10%P), 술 중 추체외 시멘트 유출 유무로 분류하고 각각의 요소에 따른 압박률, 복원율을 비교하였다. 각 군 간의 비교는 indepen- dent t-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측정자 간의 신뢰도는 ANOVA test를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임상적 결과는 술 후 동통의 호전 및 기립보행 장애 여부로 평가하였다.

결 과

1. 골밀도 값에 따른 분석

80세 미만의 환자는 34명으로, 모두 술 전 골밀도 표준편차 가 -3.0 이하에 해당되었으며, 압박골절은 37추체에 발생하 였다. 이 중 골밀도 값이 0.4 g/cm2 이상 (평균 0.53 g/cm2)인 12추체의 압박률은 30.58%, 술 후 복원율은 12.53%P, 6개월 후 추시 복원율은 9.91%P로 2.62%P의 복원소실이 있었으며, 골밀도 값이 0.4 g/cm2 미만 (평균 0.31 g/cm2)인 15추체의 평균 압박률은 26.73%, 술 후 복원율은 11.77%P, 6개월 후

추시 복원율은 5.23%P로 6.54%P의 복원소실이 있었다. 두 군의 결과를 independent t-test로 분석한 결과, p-value는 0.004로 술 전 골밀도 값이 큰 경우 술 후 추시에 있어서 복 원소실이 유의하게 적었다 (Table 2, Fig. 2).

2. 술 전 압박률에 따른 분석

골절된 척추체의 술 전 압박률에 따른 분석에서는 압박률 이 30% 이상인 27추체에서 평균 압박률은 43.81%, 술 후 복 원율은 18.19%P, 6개월 후 추시 복원율은 16.17%P로 2.02%P 의 복원소실이 있었으며, 압박률이 30% 미만인 28추체에서 평균 압박률은 17.32%, 술 후 복원율은 10.24%P, 6개월 후 추시 복원율은 6.28%P로 3.96%P의 복원소실을 보였다. 압 박률에 따른 분류에서는, 술 전 압박률이 30% 이상이었던 경우보다 추시 시 복원소실이 더 큰 결과를 보였지만, in- dependent t-test로 분석한 결과, p-value는 0.309로 통계학 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Table 3, Fig. 3).

(4)

Fig. 3. Simple radiographs of 74 years old female has compression fracture on T12.

(A) Preoperative lateral radiograph showed T12 compression fracture (compression rate: 15%).

(B) Postoperative lateral radiograph showed kyphoplasty on T12 (recovery rate: 12%).

(C) Postoperative 6months follow up lateral radiograph (recovery rate: 12%).

Fig. 4. Simple radiographs of 80 years old female has compression fracture on T12.

(A) Preoperative lateral radiograph showed T12 compression fracture (compression rate: 35%).

(B) Postoperative lateral radiograph showed kyphoplasty on T12 (recovery rate: 17%).

(C) Postoperative 6months follow up lateral radiograph (recovery rate: 3%) Table 3. Comparision according to preoperative compression

rate

󰠚󰠚󰠚󰠚󰠚󰠚󰠚󰠚󰠚󰠚󰠚󰠚󰠚󰠚󰠚󰠚󰠚󰠚󰠚󰠚󰠚󰠚󰠚󰠚󰠚󰠚󰠚󰠚󰠚󰠚󰠚󰠚󰠚󰠚󰠚󰠚󰠚󰠚󰠚󰠚󰠚󰠚󰠚󰠚󰠚󰠚󰠚󰠚󰠚󰠚󰠚󰠚󰠚

Preoperative compression rate (case) <30% (28) >30% (27)

󰠏󰠏󰠏󰠏󰠏󰠏󰠏󰠏󰠏󰠏󰠏󰠏󰠏󰠏󰠏󰠏󰠏󰠏󰠏󰠏󰠏󰠏󰠏󰠏󰠏󰠏󰠏󰠏󰠏󰠏󰠏󰠏󰠏󰠏󰠏󰠏󰠏󰠏󰠏󰠏󰠏󰠏󰠏󰠏󰠏󰠏󰠏󰠏󰠏󰠏󰠏󰠏󰠏

Preoperative compression rate (%) 17.32 43.81 Postoperative recovery rate (%P) 10.24 18.19

F/U recovery rate (%P) 6.28 16.17

Recovery loss (%P) 3.96 2.02

󰠏󰠏󰠏󰠏󰠏󰠏󰠏󰠏󰠏󰠏󰠏󰠏󰠏󰠏󰠏󰠏󰠏󰠏󰠏󰠏󰠏󰠏󰠏󰠏󰠏󰠏󰠏󰠏󰠏󰠏󰠏󰠏󰠏󰠏󰠏󰠏󰠏󰠏󰠏󰠏󰠏󰠏󰠏󰠏󰠏󰠏󰠏󰠏󰠏󰠏󰠏󰠏󰠏

p-value: 0.309.

Table 4. Comparision according to postoperatve recovery rate

󰠚󰠚󰠚󰠚󰠚󰠚󰠚󰠚󰠚󰠚󰠚󰠚󰠚󰠚󰠚󰠚󰠚󰠚󰠚󰠚󰠚󰠚󰠚󰠚󰠚󰠚󰠚󰠚󰠚󰠚󰠚󰠚󰠚󰠚󰠚󰠚󰠚󰠚󰠚󰠚󰠚󰠚󰠚󰠚󰠚󰠚󰠚󰠚󰠚󰠚󰠚󰠚󰠚

F/U compression rate (case) <10% (25) >10% (30)

󰠏󰠏󰠏󰠏󰠏󰠏󰠏󰠏󰠏󰠏󰠏󰠏󰠏󰠏󰠏󰠏󰠏󰠏󰠏󰠏󰠏󰠏󰠏󰠏󰠏󰠏󰠏󰠏󰠏󰠏󰠏󰠏󰠏󰠏󰠏󰠏󰠏󰠏󰠏󰠏󰠏󰠏󰠏󰠏󰠏󰠏󰠏󰠏󰠏󰠏󰠏󰠏󰠏

Preoperative compression rate (%) 25.20 34.60 Postoperative recovery rate (%P) 5.64 21.23

F/U recovery rate (%P) 2.47 16.71

Recovery loss (%P) 3.17 4.52

󰠏󰠏󰠏󰠏󰠏󰠏󰠏󰠏󰠏󰠏󰠏󰠏󰠏󰠏󰠏󰠏󰠏󰠏󰠏󰠏󰠏󰠏󰠏󰠏󰠏󰠏󰠏󰠏󰠏󰠏󰠏󰠏󰠏󰠏󰠏󰠏󰠏󰠏󰠏󰠏󰠏󰠏󰠏󰠏󰠏󰠏󰠏󰠏󰠏󰠏󰠏󰠏󰠏

p-value: 0.069.

3. 술 후 복원율에 따른 분석

술 후 복원율에 따른 분석에서는 복원율이 10%P 이상인 30추체의 평균 복원율은 21.23%P였고, 술 전 압박률은 평균 34.60%, 6개월 후 추시 복원율은 16.71%P로 4.52%P의 복원

소실을 보였다. 술 후 복원율이 10%P 미만인 25추체의 평균 복원율은 5.64%P였고, 술 전 압박률은 25.2%, 6개월 후 추 시 복원율은 2.47%P로 3.17%P의 복원소실이 있었다. 두 군 의 비교 분석결과 술 후 복원율이 컸던 경우 그 복원율의 소 실 역시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p-value는 0.069로 통계학적

(5)

Fig. 5. Simple radiographs of 74 years old male with T8 compression fracture.

(A) Preoperative lateral radio- graph showed T8 compres- sion fracture (compression rate:

24%).

(B) Postoperative lateral ra- diograph showed kyphoplasty on T8 (recovery rate: 3%).

(C) Postoperative 6 months follow up lateral radiograph (recovery rate: 3%).

(D) CT scan of T8 with end- plate crack.

Table 5. Comparision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cement leakage or not

󰠚󰠚󰠚󰠚󰠚󰠚󰠚󰠚󰠚󰠚󰠚󰠚󰠚󰠚󰠚󰠚󰠚󰠚󰠚󰠚󰠚󰠚󰠚󰠚󰠚󰠚󰠚󰠚󰠚󰠚󰠚󰠚󰠚󰠚󰠚󰠚󰠚󰠚󰠚󰠚󰠚󰠚󰠚󰠚󰠚󰠚󰠚󰠚󰠚󰠚󰠚󰠚󰠚

Leakage No-leakage Leakage (case)

(34) (21)

󰠏󰠏󰠏󰠏󰠏󰠏󰠏󰠏󰠏󰠏󰠏󰠏󰠏󰠏󰠏󰠏󰠏󰠏󰠏󰠏󰠏󰠏󰠏󰠏󰠏󰠏󰠏󰠏󰠏󰠏󰠏󰠏󰠏󰠏󰠏󰠏󰠏󰠏󰠏󰠏󰠏󰠏󰠏󰠏󰠏󰠏󰠏󰠏󰠏󰠏󰠏󰠏󰠏

Preoperative compression rate (%) 30.76 29.62 Postoperative recovery rate (%P) 15.88 11.33

F/U recovery rate (%P) 11.97 11.03

Recovery loss (%P) 3.91 0.27

󰠏󰠏󰠏󰠏󰠏󰠏󰠏󰠏󰠏󰠏󰠏󰠏󰠏󰠏󰠏󰠏󰠏󰠏󰠏󰠏󰠏󰠏󰠏󰠏󰠏󰠏󰠏󰠏󰠏󰠏󰠏󰠏󰠏󰠏󰠏󰠏󰠏󰠏󰠏󰠏󰠏󰠏󰠏󰠏󰠏󰠏󰠏󰠏󰠏󰠏󰠏󰠏󰠏

p-value: 0.356.

인 유의성은 없었다 (Table 4, Fig. 4).

4. 술 중 추체외 시멘트 유출 유무에 따른 분석

술 중 추체외 시멘트 유출이 발생한 추체는 34예로, 제8번 흉추가 1예, 제10번 흉추가 1예, 제11번 흉추가 2예, 제 12번 흉추가 11예, 제1번 요추가 7예, 제2번 요추가 2예, 제3번 요 추가 6예, 제4번 요추가 4예였으며, 추체 전방으로 유출이 발생한 경우가 13예, 추체 후방으로 유출이 발생한 경우가 3 예, 추체간 디스크 공간으로 유출이 발생한 경우가 18예였 다. 저자들은 시멘트 주입 시 과도한 압력을 가하지 않는 것 을 원칙으로 하였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멘트의 유출이 나타난 경우는 골절된 추체의 균열이 의미 있게 큰 경우로 판단하여 두 군을 구분하였다. 시멘트 유출이 발생한 34 추

체의 평균 압박률은 30.76%, 술 후 복원율은 15.88%P, 6개 월 후 추시 복원율은 11.97%P로 3.91%P의 복원 소실이 있 었으며, 시멘트 유출이 발생하지 않은 21추체의 평균 압박률 은 29.62%, 술 후 복원율은 11.33%P, 6개월 후 추시 복원율 은 11.06%P로 0.27%P의 복원소실이 있었다. 두 군의 비교 분석 결과 술 중 시멘트 유출이 있었던 경우에 복원의 소실 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p-value는 0.356으로 통계학적 인 유의성은 없었다 (Table 5, Fig. 5).

5. 임상적 결과

경피적 풍선 척추 성형술을 시행한 골다공증성 흉요추 압 박골절 환자 50명의 술 전 VAS scale은 평균 8.05, 술 후 평 균 4.93, 6개월 추시 3.05로 동통의 호전을 보였다. 6개월 후 외래에서 관찰 시 전예에서 기립보행이 가능하였으며, 신경 학적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술 후 복원율에 따른 VAS score는 술 후 복원율이 10%P 이상이었던 집단에서의 평균 VAS score는 술 전 8.36, 술 후 5.34, 6개월 (혹은 마지막) 추시 시 3.01의 동통 호전을 보였으며, 술 후 복원율이 10%P 미만이었던 집단에서의 평균 VAS score는 술 전 7.82, 술 후 4.59, 6개월 (혹은 마지막)추시 3.08의 동통호전을 보였다.

골밀도에 따른 VAS score 역시 0.4 g/cm2 이상인 집단에서 는 술 전 8.05, 술 후 4.55, 6개월 (혹은 마지막) 추시 2.84의 동통 호전을, 0.4 g/cm2 미만인 집단에서는 술 전 8.00, 술 후 5.12, 6개월 (혹은 마지막) 추시 3.28로 동통의 호전을 보 였다.

(6)

고 찰

골은 피질골과 소주골로 구성이 되며, 장관골은 주로 피질 골로, 척추체는 소주골로 구성되어 있다7). 이로 인해 장관골 에 비해 척추체의 골다공증이 노인에게서 흔하게 나타나며, 척추 골다공증에 대한 관심은 정형외과의 영역뿐만 아니라 일반인에게도 매우 관심이 높은 질환이다. 미국 골다공증 학 회의 보고에 따르면 2,800만명이 골다공증을 가지고 있고 이 중 70만명이 척추압박 골절이라고 보고하고 있다19). 또한 서 양인과는 다른 생활방식과 문화를 가진 동양인에 대한 연구 에서도 Horikawa 등11)은 205명의 일본인 남자와 323명의 일 본인 여자를 대상으로 하여 골다공증성 척추체 골절이 남자 에게서 21명 (10.2%), 여자에게서 73명 (22.6%), 합계 94명 (17.8%)에서 보였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러한 척추 압박골절 은 골다공증과 최근 장기 이식이 늘어나면서 스테로이드 장 기 사용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으며15), 이외의 원인으로 척 추체 전이암, 다발성 골수종 및 통증성 혈관종 등을 들 수 있다5,13).

특히 Kado 등16)이 실시한 연구에 기초한 전향적 연구 (population-based prospective study)에서 골다공증에 의한 척추체의 압박골절은 사망률을 약 25~34% 증가시키는 위 험인자로 보고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도 점차 노인 인 구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인구고령화가 되어가는 상황으로 이러한 척추체 압박골절이 증가할 것은 분명한 사 실이다14).

척추압박 골절의 경우 가장 흔한 증상은 급, 만성 통증이 고 그 원인으로는, 불완전한 골유합으로 인해 진행성 압박에 의한 경우와 후만 기형으로 인해 척추의 생역학이 변화하여 발생하는 경우 및 가관절증이 골절부에 있는 경우 등이 생각 되고 있다1). 이러한 통증에 대한 척추체 압박골절의 보존적 인 치료는 아이러니컬하게 노인에게서 골밀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적절한 운동 및 활동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장기간 침상 안정 및 통증으로 인한 활동의 저하로 결국 골밀도의 저하라는 악순환을 초래하여 다른 골절을 유발시키는 등의 합병증이 따랐다2,6,8,9,18)

. 척추 압박골절의 통증경감과 척추체 의 안정성 유지를 위해 척추 성형술이 시행되고 있으나, 이 것은 골절되어 무너진 척추체 내에 낮은 점도의 PMMA 시멘 트를 강제로 주입하는 것이므로 척추체의 높이를 회복하지 못하고 또한 시멘트 유출로 인한 치명적인 합병증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었다22). 최근 많이 시행되고 있는 경피적 풍선 척추 성형술은 Voggenreiter23)의 연구에서처럼 척추골절에 모멘트 암 (moment arm)을 줄이고 추체 높이를 신연시켜 중력의 중심을 중앙으로 환원시킬 수 있어 통증 및 다른부위 의 척추체 골절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실제 본 연구에서 도 현격한 통증완화 및 전방 추체높이의 복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척추골절의 진단과 압박률에 대해서는 Suk 등21)이 연구한 것과 같은 방식으로 본 논문에서도 대상군의 척추체 내에서 후방 추체높이 및 전방 추체높이의 비율로서 척추 골 절을 진단하였다. 척추골절에 대한 복원과 치료에 대해 여러 연구가 행해졌는데, Belkoff 등3)의 연구에 의하면 경피적 척 추후굴 풍선복원술로써 97%의 변형의 교정을, 척추체 성형 술로써 30%의 변형의 교정을 보인다고 발표하였다. 또한 경 피적 풍선 척추 성형술 후 추체높이의 증가는 주로 전방과 중간 척추체에서 두드러졌는데, 이는 Voggenreiter23)에 의하 면 30명을 대상으로 한 39개의 압박골절된 척추체의 경피적 풍선 척추 성형술 시행 후, 전방 추체높이, 중간 추체높이와 후방 추체높이는 각각 19% (range, 0~38%), 18% (range, 0.5~36%), 0% (range, 0~7%)의 개선을 보였으며, Rhyne 등20)에 의한 연구에서도 52명 환자의 82개의 척추체를 대상 으로 한 경피적 풍선 척추 성형술 시행 후 추체높이 평가에 서 전방 추체높이는 술 전 19.6 mm에서 술 후 24.2 mm로 4.6 mm의 개선을, 중간 추체높이에서는 술 전 16.8 mm에서 술 후 20.7 mm로 3.9 mm의 개선을, 후방 추체높이에서는 술 전 25.8 mm에서 26.1 mm로 0.3 mm의 개선을 보였다. 같은 연구에서 VAS 통증척도는 술 전 9.16에서 술 후 2.91로 개선 을 보였다고 한다. 본 연구에서도 척추압박 골절의 복원에 있 어서 경피적 풍선 척추 성형술 후 추체높이의 복원에 있어서 앞서 다른 논문들과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골다공증이라는 요소가 척추체 압박골절 뿐만아니라, 경피적 풍선 척추 성형 술을 통한 압박골절된 척추체의 추체높이 복원의 결과에도 유 의한 결과를 보이는 요소가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 론

경피적 풍선 척추 성형술을 시행한 골다공증성 척추체 압 박골절에서 술 전 골밀도 값, 골절된 추체의 압박률, 술 후 복원율, 술 중 추체외 시멘트 유출 여부 등이 술 후 방사선 학적 결과에 영향을 주는 예후 요소라는 가설을 설정하여 연 구를 시행하였으며, 평균 10.5개월간의 추시관찰을 통한 총 55예의 척추체를 통한 본 연구에서 그러나 통계학적인 유의 성을 보이는 가장 중요한 예후 요소는 술 전 골밀도 값뿐이 었다. 본 연구를 시행하면서 상기와 같이 골다공증이 경피적 풍선 척추 성형술의 원인뿐만 아니라, 결과에도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미루어보아 골다공증의 조기발견 및 치료를 통하 여 골다공증성 척추 압박골절의 예방에 주력하여야 할 것으 로 생각된다. 또한 경피적 풍선 척추 성형술을 시행한 골다 공증성 척추체 압박골절 환자는 대부분의 경우에서 통증의 급격한 경감을 보여 이에 의해 장기적인 추시관찰을 할 수 있는 기회가 국한되어 있어 본 연구에서는 단기적 추시만이 가능하였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여 술 후 장기적인 추시

(7)

관찰이 가능하다면 복원의 유지 또는 소실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더욱 정확히 규명할 수 있을 것이다. 추시 기간이 길 어진다면 압박골절 및 그 복원에 따른 부분 척추후만에 대한 연구 역시 가능할 것이라 추측한다.

참 고 문 헌

1) Amar AP, Larsen DW, Esnaashari N, Albuquerque FC, Lavine SD, Teitelbaum GP: Percutaneous transpedicular poly- methylmethacrylate vertebroplasty for the treatment of spinal compression fractures. Neurosurgery, 49: 1105-1114, 2001.

2) Barr JD, Barr MS, Lemley TJ, McCann RM: Percutaneous vertebroplasty for pain relief and spinal stabilization. Spine, 25: 923-928, 2000.

3) Belkoff SM, Mathis JM, Fenton DC, Scribner RM, Reiley ME, Talmadge K: An ex vivo biomechanical evaluation of an inflatable bone tamp used in the treatment of compression fracture. Spine, 26: 151-156, 2001.

4) Bouza C, Lopez T, Magro A, Navalpotro L, Amate JM:

Efficacy and safety of balloon kyphoplasty in the treatment of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s: a systematic review. Eur Spine J, 15: 1050-1067, 2006.

5) Chan JH, Peh WC, Tsui EY, et al: Acute vertebral body compression fractures: discrimination between benign and malignant causes using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s. Br J Radiol, 75: 207-214, 2002.

6) Cotten A, Boutry N, Cortet B, et al: Percutaneous verte- broplasty: state of the art. Radiographics, 18: 311-320, 1998.

7) Cummings SR, Kelsey JL, Nevitt MC, O'Dowd KJ: Epide- miology of osteoporosis and osteoporotic fractures. Epidemiol Rev, 7: 178-208, 1985.

8) Deramond H, Depriester C, Galibert P, Le Gars D: Percuta- neous vertebroplasty with polymethylmethacrylate. Technique, indications, and results. Radiol Clin North Am, 36: 533-546, 1998.

9) Daramond H, Depriester C, Toussaint P, Galibert P: Percu- taneous vertebroplasty. Semin Musculoskelet Radiol, 1: 285- 296, 1997.

10) Hiwatashi A, Sidhu R, Lee RK, deGuzman RR, Piekut DT, Westesson PL: Kyphoplasty versus vertebroplasty to increase vertebral body height: a cadaveric study. Radiology, 237:

1115-1119, 2005.

11) Horikawa K, Kasai Y, Yamakawa T, Sudo A, Uchida A:

Prevalence of osteoarthritis, osteoporotic vertebral fractures, and spondylolisthesis among the elderly in a Japanese village.

J Orthop Surg (Hong Kong), 14: 9-12, 2006.

12) Jahng JS, Kang KS, Park HW, Han MH: The assessment of bone mineral density in postmenopausal and senile oste- oporosis using quantitative computed tomography. J Korean Orthop Assoc, 25: 262-269, 1990.

13) Jensen ME, Kallmes DE: Percutaneous vertebroplasty in the treatment of malignant spine disease. Cancer J, 8: 194-206, 2002.

14) Joh JY, Bae YG, Kim YH, et al: Retrograde study on thoracic percutaneous vertebroplasty and kyphoplasty done by transpedicular approach. Korean J Pain, 18: 204-207, 2005.

15) Jungreis CA, Cohen WA: Spinal cord compression induced by steroid therapy: CT findings. J Comput Assist Tomogr, 11:

245-247, 1987.

16) Kado DM, Browner WS, Palermo L, Nevitt MC, Genant HK, Cummings SR: Vertebral fractures and mortality in older women: a prospective study. Study of Osteoporotic Fractures Research Group. Arch Intern Med, 159: 1215-1220, 1999.

17) Khanna AJ, Reinhardt MK, Togawa D, Lieberman IH:

Functional outcomes of kyphoplasty for the treatment of osteoporotic and osteolytic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s.

Osteoporos Int, 17: 817-826, 2006.

18) Martin JB, Jean B, Sugiu K, et al: Vertebroplasty: clinical experience and follow-up results. Bone, 25(Suppl 2): S11-S15, 1999.

19) Moreland DB, Landi MK, Grand W: Vertebroplasty: techni- ques to avoid complications. Spine J, 1: 66-71, 2001.

20) Rhyne A 3rd, Banit D, Laxer E, Odum S, Nussman D:

Kyphoplasty: report of eighty-two thoracolumbar osteoporotic vertebral fractures. J Orthop Trauma, 18: 294-299, 2004.

21) Suk SI, Lee CK, Kang HS, et al: Vertebral fracture in osteoporosis. J Korean Orthop Assoc, 28: 980-987, 1993.

22) Theodorou DJ, Theodorou SJ, Duncan TD, Garfin SR, Wong WH: Percutaneous balloon kyphoplasty for the correction of spinal deformity in painful vertebral body com- pression fractures. Clin Imaging, 26: 1-5, 2002.

23) Voggenreiter G: Balloon kyphoplasty is effective in deformity correction of osteoporotic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s.

Spine, 30: 2806-2812, 2005.

수치

Fig. 1. Image of the L2 vertebral body from 80-years-old  woman. a: Anterior height of vertebral body, p: Posterior  height of vertebral body
Table 2. Comparision according to BMD
Table 4. Comparision according to postoperatve recovery rate
Table 5. Comparision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cement  leakage or not

참조

관련 문서

It considers the energy use of the different components that are involved in the distribution and viewing of video content: data centres and content delivery networks

After first field tests, we expect electric passenger drones or eVTOL aircraft (short for electric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to start providing commercial mobility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Percutaneous polymethylmethacrylate vertebroplasty in the treatment of osteoporotic vertebral body compression fractures: technical aspects. Pulmonary embolism caused

Second, as a result of the IPA analysis of the sub-factors of audience perception, the factors of entry route were located in the first quadrant, the

Thermal balloon ablation versus endometrial resection for the treatment of abnormal uterine bleeding. Thermal balloon ablation in myoma-induced menorrhagia

Changes in body, flexibility, and physical strength levels of women participating in Pilate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psychological chan ges.. Summarizing

Purpose: Calcaneal fracture is a rare fracture, which accounts for about 2% of all fractures, but is one of the most common fractures in the ankle bone.. There 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