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현대 패션쇼에 나타난 가상적 표현에 관한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현대 패션쇼에 나타난 가상적 표현에 관한 연구"

Copied!
1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투고일_2019.08.10 심사기간_2019.09.01-14 게재확정일_2019.10.04

현대 패션쇼에 나타난 가상적 표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irtual Expression in Modern Fashion Show

강준호_경북대학교 의류학과 대학원 / 권기영(교신저자)_경북대학교 의류학과

Kang, Jun Ho_Graduate School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Kwon, Gi Young(Corresponding author)_Department of Clothing and Textil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차례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연구방법과 범위

2. 이론적 배경

2.1. 가상의 개념과 철학적 의미 2.2. 예술 분야에 나타난 가상적 표현 2.3. 패션쇼의 개념과 발전

3. 현대 패션쇼에 나타난 가상적 표현 유형 3.1. 빛을 이용한 가상

3.2. 현실과 중첩된 가상 3.3. 시각적 오류를 이용한 가상

4. 현대 패션쇼에 나타난 가상적 표현의 의미 4.1. 디지털 가상의 조합으로 새로운 조형미 생성 4.2. 가상 이미지를 활용한 공감각적 커뮤니케이션 형성 4.3. 패션산업의 디지털 가상 패러다임 구축

4. 결론

참고문헌

(2)

현대 패션쇼에 나타난 가상적 표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irtual Expression in Modern Fashion Show

강준호_경북대학교 의류학과 대학원 / 권기영(교신저자)_경북대학교 의류학과

Kang, Jun Ho_Graduate School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Kwon, Gi Young(Corresponding author)_Department of Clothing and Textil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요약 본 연구는 가상에 대한 개념과 철학적 사고를 토대로 현대 패션쇼에 나타난 가상적 표현 유형을 범주화하고 의 미를 도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으며, 연구방법과 범위는 국내외 관련 전문서적, 논문, 저널, 기사, 웹사이트 등의 문헌 연구를 토대로 이론적 고찰을 선행 후 디지털 가상을 활용한 패션쇼가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한 2010년 이후 사례를 범위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고대부터 시작된 가상에 대한 논의는 형이상학의 개념으로 다양한 철학적 관점이 존재하며, 현대사회에서 가상은 디지털을 기반으로 한 영어의 ‘virtuality’로 표기되며, 독 일어는 ‘schein’으로 표기된다. 철학적 접근에서 가상(schein)은 ‘빛나다’, ‘가시화되다’, ‘가짜’라는 세 가지의 다중적 개념을 가지며, 이를 통해 예술 분야에 나타난 가상과 예술의 본질적인 표현 특성은 빛을 이용한 가상, 현실과 중첩된 가상, 시각적 오류를 이용한 가상으로 범주화 된다. 현대 패션쇼에 나타난 가상적 표현 유형을 분석한 결과 그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상적 표현은 디자이너의 자유로운 콘셉트 표현을 가능하게 하며, 비형식적인 패션쇼 연출로 디지털 가상을 통한 새로운 조형미를 생성한다. 둘째, 패션 기업은 디지털 매체를 통 해 기존의 틀에서 벗어난 과감한 연출을 패션쇼에 시도함으로써 관람객들에게 공감각적인 체험을 제공하며, 콘 셉트에 충실한 실험적이고 혁신적인 연출은 소비자와 함께 교류하며 정확한 브랜드 메시지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셋째, 디지털 기술로 구현한 가상적 표현을 보이는 패션쇼는 패션업체와 소비자간의 상호소통을 확대하 며, 패션산업의 디지털 가상 패러다임을 구축하는 역할을 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상과 같이 패션쇼에서 나타난 가상적 표현은 패션쇼 연출에 다양한 영감을 제공하며, 시각적 표현 영역의 확장을 위한 미적 체계화를 수립하는데 기여하리라 기대한다.

This study categorizes the types of hypothetical expressions and meaning in modern fashion shows based on philosophical virtuality.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fashion show based on professional books, articles, journals, articles, websites which is related to digital fashion show since 2010. The virtual philosophical concepts are 'luminous', 'visualized', 'fake' and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are categorized into virtuality using light, nested virtuality with reality, virtuality using visual error. Virtual expression types in modern fashion shows are divided and extended of runway space using light, new expression mixed situations emerged by summarizing imaginary images beyond space-time into reality. And the expression of multidimensional space gives a visual error, and the audience can immerse. The analysis of the types of virtual expressions in modern fashion shows means the following. First, virtual expression can freely express the concept of designers, and a new formative beauty is created through digital imagination as a method of informal fashion shows. Second, fashion companies produce bold fashion shows through digital technology, and transmit brand messages to consumers through experimental and innovative performance. Thirdly, digital paradigm is constructed as active recognition and analysis of fashion products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in the digital environment and participation and sharing. As a result of this study, virtual expressions in modern fashion shows can provide a variety of inspiration to performance and establish aesthetic systematization for the expansion of visual expression.

중심어

패션쇼 디지털 가상

ABSTRACT Keyword

fashion show digital virtuality

(3)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오늘날 발달된 디지털 기술과 융합적 사고를 통해 패션 매체는 산업 전반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모하고 있다. 특히 패션 정보의 범람과 산업의 확장으로 소비자에게 각인시킬 수 있는 차별 적 콘셉트가 요구되는 시점에 패션산업에서 정기적으로 이루어지는 패션쇼는 디지털 기술의 융합으로 생성되는 가상 이미지를 접목함으로써 수용자들에게 감각적으로 소구하고 있다. 현 대 패션쇼는 뉴미디어의 활용으로 구성과 연출의 기법이 다양화되고, 기존의 프리젠테이션 방식에서 확장된 첨단의 공연예술로 변모하고 있다. 디자이너의 상상력은 다양한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비실재적, 비물질적 소재를 현실에서 표출하며 이는 가상과 현실이 혼재된 시각적 표현의 확장을 가져온다. 이처럼 가상 이미지의 활용을 통해 비실재적인 대상은 물질 그 자체 만이 아닌 대상이 종속되는 시간과 공간의 모든 한계를 벗어나게 된다.1) 소비자에게 의상 제품을 선보이고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현대 패션쇼는 감성적 이미지를 형상화하여 브랜드를 소비자에게 각인시키고 브랜드 이미지를 상승시키기 위해 디지털 기술 을 활용한 가상의 시적 공간을 활용한다. 이러한 패션쇼에서의 가상적 표현은 콘셉트를 효과적 으로 전달하여 전략적인 마케팅 측면뿐만 아니라, 새로운 형태의 조형미 연출을 가능하게 하 며, 이로 인해 패션쇼는 종합예술로서 가치를 지니게 된다.

현대 패션쇼는 디지털 기술의 활용으로 무대와 스크린 또는 모델과 관객 등 패션쇼의 다양한 요소들 간에 존재하는 현실과 가상의 경계를 무너뜨림으로써 가상적 공간과 물리적 세계의 구분이 모호해지는 단계까지 진화하였다. 이는 물질성과 비물질성을 혼재시키며 시공간을 확 장시켜 다채로운 시각적 표현을 가능케 하고, 패션 수용자의 몰입도를 높여 원활한 상호작용의 성립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시대의 흐름에 따른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가속화되어 매 시즌 새로운 형태의 패션쇼가 발표되고 시각, 청각, 후각, 촉각의 다감각적 경험을 느끼게 함으로써 관객의 오감에 호소하며 감각적 소구를 하고 있다.

가상 패션쇼와 관련된 국내 연구 동향으로는 정재석(2019)의 VR 패션쇼에 대한 고객경험이 고객만족 및 고객자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와 김석래, 안덕기(2016)는 3D 디지털 패션 쇼 중요 시각 구성요소에 대한 분석 연구, 그리고 우세희 외 6명(2013)의 디지털 패션쇼를 통한 3D 가상 의상 표현 연구 등 디지털, VR(virtual reality), 3D의 기술 구현을 통한 가상 환경과 관련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이러한 연구들은 가상환경에서 나타나는 시스템의 특성에 초점이 맞춰져있다. 반면, 가상에 대한 체계적 이론과 특성을 토대로 패션쇼에 적용한 연구는 현재까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대 패션산업에서 중추적 기능을 하는 패션쇼에 나타난 가상적 표현을 가상에 대한 철학적 접근을 통해 특성을 범주화하고, 디자이너의 독창적 인 상상과 시즌 콘셉트를 가상적 표현으로 연출한 다양한 패션쇼의 콘셉트 표현 유형 분석을 통해 패션쇼에 나타난 가상적 표현의 의미를 도출하고자한다.

1.2. 연구방법과 범위

연구방법은 이론적 배경으로서 가상의 개념을 살펴보고, 디지털 가상과 관련된 20세기 이후의 철학적 사고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관련 전문서적, 논문, 저널, 기사, 웹사이트 등의 문헌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도출된 가상의 개념에서 바라본 예술 작품을 선정하여 분석한 후 가상의 세 가지 철학적 개념으로 범주화하였다. 가상, 디지털 등의 주제어로 패션쇼 연구가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한 2010년 이후 발표된 가상적 표현의 패션쇼 중 2010년 S/S부터 2019 A/W까지의 36점이 수집되었으며, 의류학 전공자 3명과의 토의를 거처 가상의 3가지 개념에 가장 부합하는 패션쇼 사례 12점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패션쇼에서 나타난 가상 이미지의 표현유형을 범주화한 후 의미를 도출하였다.

1) 장 폴 사르트르, 『사르트르의 상상계』, 윤정님 역, 도서출판 기파랑, 2010, p.231

(4)

2. 이론적 배경

2.1. 가상의 개념과 철학적 의미

가상의 사전적 의미는 ‘실물처럼 보이는 거짓 형상’ 또는 ‘사실이 아니거나 사실 여부가 분명하 지 않은 것을 사실이라고 가정하여 생각하는 것’으로 사실과 대립적 관계로 이해된다.2) 고대 부터 시작된 가상에 대한 논의는 형이상학의 개념으로서 본질, 실재, 존재, 현실 등과 함께 현대까지 다양한 철학적 관점이 나타난다.

현대사회에서 가상은 디지털을 기반으로 한 형태인 영어 ‘virtuality’로 표기되며, 독일어는

‘schein’으로 표기된다. 가상의 개념은 18세기 이후 독일 미학에서 핵심 개념으로 자리 잡았으 며, 철학적 접근에서 ‘schein’은 ‘빛나다’, ‘가시화되다’, ‘가짜’라는 3가지 의미 층위의 단어들에 상응하는 말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철학적 의미에서 독일어 ‘shein’이 가지는 의미 중 첫째,

‘빛나다’는 그리스어 ‘빛남(splendor)’, ‘반짝임(limen)’을 뜻하는 그리스어에서 사용되었다.

둘째로는 ‘눈에 보임(phainomenon)’, ‘눈앞에 나타남(apparentia)’의 의미를 지닌 그리스어와 라틴어의 역어로 사용되며, 마지막으로 ‘가짜, 착각(pseudo)’, ‘환각(illusio)’을 뜻하는 그리스 어에서 비롯되었다.3) 가상은 넓은 의미에서 현실세계와 대비되는 내면세계에 대한 비판적 정신활동으로서 형이상적 철학을 근거로 하는 반면, 좁은 의미의 가상은 물리적 형상에서는 착시 또는 시각적 착오를 통한 왜곡과 환각의 무의식적 정신 상태로 이해되며, 디지털 기술을 비롯하여 생성된 비물리적 형상이 현실에 소환되면서 눈앞에 나타나는 의식적 정신 상태를 의미한다. 일반적 의미로 가상은 시각적 형상에 기반하지만, 모든 감각기관과 함께 지성과 이상의 상위 인식능력을 통해 비현실적인 것을 현실로 착각하는 일종의 오류로서 작용한다.4) 즉, 가상적 표현방법은 시지각(visual perception) 과정에서 일어나는 잘못된 지각현상으로 인간의 시각적인 특성에 의해 이루어지는 착시이다.5) 이러한 가상은 현대사회에서 디지털 이미지와 결합하여 인지적 부조화를 통해 혼재된 형태로 표출된다.

가상의 다양한 철학적 개념은 고대부터 논의되어 왔으나 근대 이후 과학 기술의 발전과 함께 가상의 개념은 변모하고 있다. 20세기 이후 가상에 대해 논의한 철학자 중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 1892~1940)은 가상은 감각적 재현이 아닌 신화적 매체와 같은 성격을 가지며 이 는 모방과 현실의 재현을 의미하는 ‘미메시스(mimesis)’ 개념을 가상과 유희의 양극적 성격으 로 바라보았다. 즉, 그는 미학적 측면에서 유희적 가치를 배제한 가상을 비판하고 미적 가상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6) 또한 그는 흉내낼 수 없는 고고한 분위기인 ‘아우라(Aura)’의 개념에 서 미적 가상은 재현을 넘어 상상을 구현하는 현대 예술의 핵심 요소로 사유하였다.7) 질 들뢰 즈(Gilles Deleuze, 1925~1995)는 우리의 삶 자체를 가상 즉, 이데아(idea)의 복제물로서 복제는 원형을 그대로 담을 수는 없으며, 복제하면 할수록 원형과는 점점 멀어지게 되는 것이 라고 주장하였다. 질 들뢰즈는 시뮬라크르(simulacre)를 실재하지 않는 가치 없는 것으로 여 긴 플라톤의 개념과 달리 단순한 복제의 복제물이 아닌 독립성을 가진 개체로 보았다.8) 그는 실제보다 더 실제 같은 이미지와 분위기를 재현함으로서 더욱 몰입되는 세계로 변모하는 현대 사회의 가상 개념을 강조하였다. 프랑스의 사회철학자 장 보드리야르(Jean Baudrillard, 1929~2007)는 급진적이고 허무적인 현대사회에서 실재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으며 파생공 간 속에서 조합적인 모델들로부터 발산되어 나온 합성물인 파생실재를 통해 실재나 진실이 아닌 다른 공간으로 이동하는 시뮬라시옹(simulation)의 시대가 열리고 모든 지시대상은 소멸 된다고 주장하였다.9) 그는 현실사회에서는 실제의 모습을 복제한 이미지가 실제의 이미지를

2) https://ko.dict.naver.com/#/entry/koko/a44994cdb3c94ef7b0e073bd53e2f997 3) 박민수, 『가상-미학의 개념』,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2016, pp.11-13

4)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712572&cid=41908&categoryId=41954 5) 이미희, 「디지털 시각환경에서 착시 기법 유형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p.23 6) 백용성, 「발터 벤야민의 이미지 이론」, 에피스테메, No.3, 2007, p.204

7) http://www.greenpost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90205

8)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37272&cid=43667&categoryId=43667

9) 김희봉, 「현대사회의 가상성과 보드리야르의 시뮬라크르 개념」,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60, 2014, pp.6-7

(5)

압도하는 현상이 일어나며, 이로 인해 가상은 끊임없이 생산되고, 현대인들은 실재와 가상, 본질과 현상의 구분이 사라진 가상이 지배하는 세계에서 머물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빌렘 플루 서(Vilém Flusser, 1920~1991)는 가상과 현실을 상대적 관점에서 사유하였던 관념을 뒤집고 가상이 현실을 구성하는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개념으로 이해하였다. 과학 기술의 발전으로 문자코드가 디지털코드로 전환되면서 정보의 형태와 특성에 변화가 나타나고 이러한 가상을 통해 의식변화가 일어난다고 지적하였다. 이는 가상공간의 가상현실 세계에서 인간 커뮤니케 이션은 기술적 형상을 통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가상 개념이 확장되고 수많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매개물이 된다는 것이다.10) 과학 기술의 발전이 시작된 20세기 이후의 가상에 대한 철학자들의 논의는 <표 1>과 같다.

철학자 가상에 대한 철학적 사고 가상의 철학적 의미

빛나다 가시화되다 가짜

발터 벤야민 (Walter Benjamin)

이념의 감각적 재현이 아닌 신화를 인식하게 하는 신화

적 매체와 같은 성격을 가지는 것

질 들뢰즈 (Gilles Deleuze)

사람이 살고 있는 현실 세계는 원형인 이데아, 복제물인

현실, 복제의 복제물인 시뮬라크르로 형성되는 것

장 보드리야르 (Jean Baudrillard)

가상과 현실의 대립항들이 서로 구별되지 않고 하나로

결합된 거대한 시뮬라시옹의 세계로 탄생되는 것

빌렘 플루서 (Vilem Flusser)

가상공간과 가상현실 세계는 기술적 형상을 통해 이루어

지는 것

<표 1> 20세기 이후 가상에 대한 철학적 사고 및 의미

2.2. 예술 분야에 나타난 가상적 표현

예술 분야에서 가상은 현실세계와 가상세계의 경계를 무너트리고 공감각적 표현 방법을 다양 화하였다. 형태와 구조, 색채와 물질 등 다양한 요소를 융합한 확산적 사고를 통해 사물과 공간은 기술적 표현으로 구현되어지며 관객들로 하여금 가상 이미지에 대한 감각을 제시한다.

그리고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여 초월적 사고를 현실에서 표출하며, 이를 통해 예술 분야에서 고유의 조형 형상은 확장된 형태를 보이거나 새로운 매체로 생성되기도 한다. 이러한 가상 이미지의 활용은 과학 기술에 대한 매료에서 시작된 것으로 디지털 아트라는 새로운 창작 영역 을 창출하였다.

가상 이미지는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따라 과학적 사고와 상상의 융합을 통해 다양한 표현이 가능해지면서 여러 조형예술 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디자인과 테크놀로지의 만남은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감각을 뛰어넘는 공감각적인 매체로 거듭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처럼 예술 분야에서 가상의 활용은 인간의 지각과 감각을 확장시켜 감성에 영향을 주고, 융합적 사고를 통한 기술적 표현을 통해 새로운 미학적 방향을 제시한다. 예술 분야에 나타난 가상적 표현은 가상(schein)이 함축하는 ‘빛나다’, ‘가시화되다’, ‘가짜’라는 세 가지의 다중적 의미를 통해 가상과 예술의 본질적인 표현 특성을 나타낸다.

미국의 작가 에릭 스탤러(Eric Staller)는 카메라를 활용한 촬영과 편집 기법을 이용하여 장시 간의 빛을 사용하여 도시 환경을 배경으로 <그림 1>의 작품을 만들었다. 그는 빛이라는 비물

10) 고선정, 「현대사회의 커뮤니케이션 디자인과 매체미학」,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p.84

<그림 1> 에릭 스탤러(Eric Staller), Light Tubes, 1977

(출처: www.dailymail.co.uk)

<그림 2> 오토 피네(Otto Piene), Lichtraum, 2014

(출처: www.db-artmag.de)

<그림 3> 제임스 터렐(James Turrell), Shanta Ⅱ(Blue), 1970

(출처: www.futurecrafter.com)

(6)

질성의 재료를 사진 기술로서 현실 공간과 중첩된 찰나의 순간을 연장시켜 가상적 이미지로 표현하였고, 이는 라이트 드로잉(Light Drawing), 라이트 브러쉬(Light Brush)라는 새로운 예술기법으로 발전하였다. 멀티미디어 아트의 선구자인 오토 피네(Otto Piene)는 작품 <그림 2>에서 다양한 천공의 조형물과 빛을 통해 가상적 공간을 창출하였다. 그는 불, 공기, 움직임 등 비물질성을 표현하기 위해 기술과 자연의 관계를 표현하였고, 공간을 통한 시적 의미를 부가하여 물리적 현실에서 가상 이미지를 나타내어 새로운 차원의 공간을 제시하였다. 예술의 전통적 기법과 표현 매체는 뉴미디어의 등장으로 인터페이스뿐만 아니라 관객들의 행동과 의 식을 변하게 했다. <그림 3>은 제임스 터렐(James Turrell)의 작품으로 전통적인 조각 기법 이 아닌 디지털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시각적 인식에 의존한 빛의 환상을 기하학적 모습으로 표현하였다. 직육면체 형태의 작품은 청색 형광의 빛으로 주변 공간에 간섭 효과를 만들어 관객이 빛의 존재를 물질적으로 느끼고 만지며 경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처럼 빛을 이용한 가상은 공간의 확장과 재창출, 그리고 비물질적 조형성으로 구성된 모순성을 강조하면서 가상 적 표현이 지닌 가치표상을 나타낸다.

<그림 4> Google, Tilt Brush, 2016 (출처: www.cpgagency.com)

<그림 5> 제프리 쇼(Jeffrey Shaw), Pure Land, 2006

(출처: www.jeffreyshawcompen dium.com)

<그림 6> 아바로 까시넬(Avaro Cassinell), Khronos Projector, 2004

(출처: www.alvarocassinelli.com)

<그림 4>는 2016년 구글(Google)사에서 개발한 가상현실 페인팅 기법인 틸트 브러쉬(Tilt Brush)를 활용해서 작가의 제작행위 전반의 과정을 보여주고 음악과 무대 등 융합적 퍼포먼스 를 선보이는 작품이다. 틸트 브러쉬는 가상공간에서 입체적인 그림을 그리는 도구로서 작가는 VR 헤드셋을 착장 후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예술 작품을 구현한다. 제프리 쇼(Jeffrey Shaw) 의 작품 <그림 5>는 360° 파노라마형 입체 프로젝션으로 엄청난 양의 불교 벽화의 이미지 조각을 재구성하여 관객들에게 몰입형 가상 체험을 제공한다. 다층의 멀티미디어 증강 현실 기능과 결합하여 관객의 시선과 사고에 의해 구현되는 시각적 경험을 제공하며, 작품의 조형미 와 배경정보 등 문화유산은 디지털 환경에서 보존됨으로써 기술적 운영 패러다임을 보여준다.

<그림 6>의 크로노스 프로젝터(Khronos Projector)는 인터랙티브 영상 미디어로 스크린 화 면의 터치를 통해 재생 과정을 완전히 새로운 방식으로 탐색할 수 있다.11) 이는 현실의 물리적 인 힘에 의해 가상의 시공간을 제어하는 것을 가능케 하며, 이를 통해 작품과 관람객 사이에 상호작용은 지속된다. 가상 이미지를 현실에서 소환하면서 인간의 상상력이 새로운 방식의 상호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예술작품으로 전환되고, 다양한 매체의 혼합성과 현실 상황의 혼재 성은 현실과 중첩된 형태의 표현방식으로 변환되는 의미를 가진다.

<그림 7>의 래리 벨(Larry Bell)의 작품은 반투명하고 부드러운 색조의 유리로 만든 상자의

11) Matthew Rampley ž Thierry Lenain ž Hubert Locher, 『Art History and Visual Studies in Europep』, Brill Academic Publishers, 2012. p.142

<그림 7> 래리 벨(Larry Bell), VFZ 1, 2017

(출처: www.ocula.com)

<그림 8> 훌리오 르 파크(Julio Le Parc), Image Courtesy of Perrotin, 2019 (출처: www.perrotin.com)

<그림 9> 다니엘 로진(Daniel Rozin), Selfish Gene Mirror, 2015 (출처: www.azdailysun.com)

(7)

조각물을 통해 베니스의 안개(Venice Fog)라는 주제를 표현하였다. 4개의 적층된 패널에 의 해 형성된 공간 사이에서 나타나는 작품은 물리적 투명성을 통해 지각적인 투명성을 부여하고 이를 통해 중첩된 공간 내에서 존재하는 가상 이미지를 전달한다. <그림 8>은 아르헨티나의 예술가 훌리오 르 파크 (Julio Le Parc)의 작품으로 흑백 줄무늬의 동적 패턴과 반사경을 사용 하여 대중들에게 불규칙적인 물리적 환경을 제시한다. 그의 미학에서 중요한 점은 시각적 불안 정성으로 주변 환경에 기반된 경험적 지식을 가상과 현실의 오묘한 공간으로 교체하는 것이다.

<그림 9>는 Selfish Gene Mirror를 통해 현상을 그림 이미지로 표시하며, 이는 거울 속 현실 이미지가 픽셀형태로 나타나는 시각적 착시를 이룬다. 가상은 물질 또는 비물질의 물리적 형상 에 대한 시각적 오류를 통한 정신적 환상으로 나타나며, 시각을 통한 보이는 형상에 기반되어 형성되지만 비현실적인 것을 현실로 착각하는 공감각과 동시에 지성의 상위 인식이 작용되어 나타난다.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가상의 표현은 예술계에도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테크놀로지의 발달로 디지털 아트는 가상공간에서만 구현되는 것이 아니라 가상 이미지가 현실공간에서 중첩되어 표출된 새로운 창작 패러다임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처럼 예술 분야에서 가상적 표현은 과학적 사고를 근거로 한 상상적 경험을 현실로 구현하며, 빛을 이용한 가상, 현실과 중첩된 가상, 시각적 오류를 이용한 가상이라는 세 가지 표현유형을 나타내었다.

2.3. 패션쇼의 개념과 발전

패션쇼의 사전적 의미는 모델들이 새로운 양식이나 최신 유행의 여러 가지 옷을 입고 나와 관객에게 선보이는 것으로서, 무대와 조명, 음향, 특수효과 등의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다.12) 또한 패션쇼는 소비자에게 구매 심리를 자극하는 홍보와 판매의 수단으로 활용되며, 브랜드의 시즌 콘셉트 전달을 극대화할 수 있는 다양한 연출을 통해 현대 패션산업에서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패션쇼는 오늘날 첨단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전통적인 연출 형식에서 벗어나 이종산업 간의 융합적 연출에 의한 환상적이고 독창적인 퍼포먼스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대표적 사례로 디지털 기술인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과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을 활용해 기존에 불가능하였던 가상적 이미지를 새로운 표현방식으로 연출하고 있으 며, 이러한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패션쇼는 가상이라는 핵심적 범주를 통해 이해할 수 있다.

특히 그래픽 기술의 발전은 가상 이미지를 활용한 패션쇼에 엔터테인먼트적인 요소를 가미하 여 차별화된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며, 관객과 상호소통하고 교감하는 것을 가능케 함으로써 대중의 관심을 유발하는 하나의 문화행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현대 사회는 분야별 경계와 구분이 모호해지고 상호 통합과 융합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 는 시대로서, 패션쇼에서도 다양한 역할 수행을 위해 기존의 틀을 해체하고 변하고 있는 소비 자의 감성과 라이프스타일에 소구할 수 있는 새로운 관점에서의 창조적 영감과 상상력이 요구 된다. 이 때 가상은 인간의 상상력을 바탕으로 생성된 구상력과 창조력을 현실에서 표출할 수 있게 하며, 가상과 현실이 중첩된 새로운 공간에서 미의식을 창출하여 패션쇼의 역할과 조형미의 범주를 확장하게 한다.

3. 현대 패션쇼에 나타난 가상적 표현 유형 3.1. 빛을 이용한 가상

빛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사물을 보게 하는 것으로서 인간은 빛을 통해서 대상을 인식한다.

하지만 상징의 관점에서 빛은 물리적 차원이 아닌 비물질적인 요소로 인식되어 정신적 의미를 내포하게 되고, 인간의 정신적 세계, 영혼, 신을 상징하게 되었다.13)

중세는 빛의 형이상학이 그리스도교의 종교 철학과 결부됨으로써 빛의 신비주의적 상징성이 중요시된 시기이다.14) 당시는 자연으로부터 생성되는 비물질적인 빛을 통해 가상을 설명하고

12) https://ko.dict.naver.com/#/entry/koko/912e169676fe46c5b1d6741bbfe1eedc 13) 송선, 「미디어 아트에서 빛의 상징과 표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p.6

(8)

이해하였으며 신비로운 공간을 창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여겼다. 이후 근대 과학이 발달하고 인공광이 등장하면서 빛은 예술가들의 작품주제가 되기도 했다. 특히 빛이 디지털 테크놀로지와 결합하면서 사회는 시각적 기능이 중요시되는 이미지의 시대로 전환되었다.15) 빛은 영상매체를 구현하는 핵심요소로서 현대 패션쇼는 빛을 이용하여 런웨이 공간을 분할하고 확장하며, 이 때 투사된 빛은 실제 모델과 어우러져 환상적인 가상의 세계를 실제로 구현한다.

<그림 10>의 시드니 패션위크의 패션쇼는 런웨이 무대 위에 좁은 통로를 설치한 후 그 공간 사이로 시간과 빛의 움직임을 포괄적으로 조직함으로써 가상의 공간을 연출한 것이다. 무대 위 설치물은 모델의 움직임과 음향의 크기에 따라 광도를 조절하면서 가상의 분위기를 연출하 고, 새롭게 생성된 공간에서 모델은 다중의 형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관객들은 반사된 표면에 의해 나타나는 의상을 다양한 궤적과 상황으로 관찰할 수 있다. 런던 패션위크에서 선보인 <그림 11>의 버버리(Burberry) 패션쇼는 아치형의 무대 공간에 프리즘 라이트 (Prism Light)를 투사하고, 벽면에 음향이 충돌하면서 자연의 법칙을 거스르는 가상의 무대 환경을 조성한다. <그림 12> 생로랑(Saint Laurent)의 컬렉션은 현대인들의 일상을 콘셉트 로 설정하고, 전체적인 조명을 제외한 네온 빛으로 무대공간을 연출하면서 의복 표면에 반사된 독특한 색감으로 가상 이미지를 표출한다. <그림 13>의 D&G 컬렉션은 지중해 양식의 건축 물과 공간을 다채로운 전구를 통해 표현하고, 시즌 콘셉트에 부합하는 의상의 문양과 동일한 이미지를 빛으로 표출하여 가상적 분위기를 연출하였다.

3.2. 현실과 중첩된 가상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융합적 사고로의 전환은 기술의 혁신을 이루는 이종산업 간의 교류를 요구하고, 패션산업에서도 시공간을 초월하는 가상의 이미지를 현실로 소환하여 기존의 사고 방식을 전복하는 혼재된 오묘한 상황의 새로운 표현방식이 등장하였다. 이때 가상은 현실과 분리된 막연한 가상도 아니고 온전한 현실도 아니며, 이 모든 것을 잠재한 주체와 만나 중첩된 현실을 만들어낸다.16)

<그림 14>의 디젤(Diesel)의 패션쇼는 미래의 수족관과 우주를 모티프로 한 컬렉션으로서, 발광된 생물 형태를 홀로그램 기술을 통해 전통적인 패션쇼와 혼재시킴으로써 실제 모델들과 가상의 이미지를 중첩시키며 오묘한 분위기를 연출하고 콘셉트 전달을 극대화한다. 게릿 제이

14) 정현, 「빛이 활용된 패션디자인의 조형성」,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p.15 15) 앞의 책, p.21

16) 박송화, 「증강현실의 매체적 특성과 사용자에 대한 미학적 고찰」,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p.2

<그림 10> Sydney Fashion Week, Frank Minnaert, 2013

(출처: www.frankminnaert.com)

<그림 11> Burberry, 2018 A/W (출처: www.stephilareine.com)

<그림 12> Saint Laurent, 2019 A/W (출처: www.patternindy.com)

<그림 13> D&G, 2012 S/S (출처: www.vogue.com)

<그림 14> Diesel, 2018 S/S (출처: /www.vogue.com)

<그림 15> Gerrit Jacob, 2019 (출처: www.standard.co.uk)

<그림 16> MCM, 2017 S/S (출처: www.vogue.com)

<그림 17> Arzu Kaprol, 2016 A/W (출처: www.gardiropmagazin.com)

(9)

콥(Gerrit Jacob)은 <그림 15> 런던패션위크의 컬렉션에서 증강현실을 통해 모델과 가상 이미지인 동물을 동시에 등장시켜 혼재된 상황으로 구현했다. 의상과 함께 디자인의 영감을 활용하여 혼합 현실을 나타냄으로써 관객들은 상황 자체를 가상으로 인식하며 신선한 자극을 느끼게 되고, 이를 통해 패션쇼는 흥미와 몰입감을 제공하는 마케팅의 수단으로 활용된다.

비, 바람, 태양과 같은 자연물에 영감을 받아 구현한 <그림 16>의 MCM 컬렉션은 360°의 디지털 디스플레이를 통해 변화하는 날씨를 표현하였다. 초록색 소용돌이의 바람 형상은 원형 디스플레이의 홀로그램 기술을 통해 재현되고, 모델들은 가상공간 안에서 퍼포먼스를 통해 현실과 가상 이미지가 중첩된 상황으로 표출된다. 아주르 카프롤(Arzu Kaprol)의 컬렉션 <그 림 17>은 홀로그램 기술을 이용하여 모델의 의상이 순식간에 교체되거나 동일한 실제 모델이 동시에 생성되고 소멸되는 가상적 현상을 연출한다.

3.3. 시각적 오류를 이용한 가상

시각적 오류는 사물의 크기, 형태, 컬러 등의 객관적인 성질과 눈으로 본 성질 사이에 차이가 있는 경우 발생된다.17) 이와 같은 오류는 항상 존재하고 양자의 차이가 큰 경우 효과는 극대화 된다. 현실세계에서는 불가능한 조합과 부조화를 통해 실제와 형상, 진짜와 가짜 사이의 경계 를 무너뜨리며, 수용자에게 착시를 통한 환상을 제공한다.18) 패션쇼에서도 다차원적 공간의 표현과 모델의 연출로 시각적 오류를 부여함으로써 관람객들에게 의외성을 제공하며 몰입도 를 강화한다. 이 밖에도 현대 패션쇼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연출법으로 청각, 후각, 촉각 등 공감각적 체험을 관람객들에게 제공하면서 시각적 오류를 도모한다.

<그림 18>의 랄프 로렌(Ralph Lauren)의 컬렉션은 워터 스크린(Water Screen)을 이용하여 가상의 구조물 위에 서 있는 모델을 연출하고 있다. 실제 구조물 위에 렌더링 기법으로 표면을 완벽히 재현함으로써 관객들에게 패션쇼의 지리적 환경에 대한 시각적 오류를 가져오고 콘셉 트의 의도를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그림 19> 빅터 앤 롤프(Viktor & Rolf)의 컬렉션은 미국 의 가수 카렌 카펜터(Karen Carpenter)를 뮤즈로 설정하고, 캣워크가 시작되는 무대 정면의 스크린에 그녀의 얼굴 이미지를 형상화하였다. 카펜터의 입에서 출입하는 모델들의 연출을 통해 관객들은 현실을 초월한 시각적 오류와 강한 메시지를 체감할 수 있다. 포에버 21(Forever21)의 컬렉션인 <그림 20>은 좌우 또는 상하로 반전한 모델의 모습을 동시에 표현했다. 물리적 법칙과 공간의 개념을 무시한 모델들의 연출은 관객들에게 시각적 오류를 불러일으키고 동시에 제품의 이미지 정보를 다각도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림 21>의 구찌 (Gucci) 컬렉션은 터널과 같은 공간을 패션쇼장에 설치한 후 콘셉트에 따라 교체되는 조명을 활용하여 유리벽에 시시각각 반사되는 형상을 구현함으로써 시각적 오류를 불러일으킨다.

4. 현대 패션쇼에 나타난 가상적 표현의 의미 4.1. 디지털 가상의 조합으로 새로운 조형미 생성

패션산업의 경쟁이 심화되고 의류 상품의 과잉으로 패션 기업은 소비자에게 소구할 수 있는 차별적 홍보수단을 요구하고, 이를 위해 패션쇼에서는 기존의 상식에서 벗어난 자유로운 가상

17)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45488&cid=40942&categoryId=32795

18) 김장현, 「현대 패션에 나타난 환상성의 표현 유형과 미적 특성」,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p.51

<그림 18> Ralph Lauren, 2015 S/S (출처: www.vogue.com)

<그림 19> Viktor & Rolf, 2018 S/S (출처: www.vogue.com)

<그림 20> Forever21, 2010 (출처: www.senatus.net)

<그림 21> Gucci, 2017 A/W (출처: www.vogue.com)

(10)

이 활용된다. 가상적 이미지를 형성하는 주요 도구인 디지털 기술을 통해 패션쇼의 공간은 확장되거나 모호한 분위기가 조성되고, 무대 공간에서 나타난 비물질의 가상 이미지는 복합적 인 조형적 형태로 표출된다.

현대 패션쇼는 디지털 기술을 통해 합성된 이미지와 무대 공간을 연결하여 현실과 구별되는 가상적 상상의 영역 경계를 해체하고 탈구조화 한다. 이를 통해 현실화된 가상성은 가상 이미 지를 현실로 소환하는 다양한 연출을 통해 탈형식화 된 조형 이미지로 변용되어 환상적인 분위 기를 패션쇼에서 구현한다. 패션 브랜드의 콘셉트를 제시하는 패션쇼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 여 상상력을 기반으로 한 가상 이미지를 현실 무대에 중첩시켜 표현하며 이를 통해 빛을 통한 형태와 재질, 색 등의 다양한 조형 요소를 조화롭게 연관시키고, 적용함으로써 새로운 가상적 무대의 조형미를 생성한다. 이처럼 현대 패션쇼에서 가상적 표현은 디자이너의 상상과 의도를 담은 콘셉트 전달에 중요한 요소로서, 기존 패션쇼의 미적 형식원리를 전복시켜 새로운 미적 이미지를 창출하는데 기여한다. 패션쇼의 조형 요소들은 가상을 통해 변형, 왜곡되고 시공간의 제약이 없는 창조적 표현이 가능해진다. 현대 패션쇼에 나타난 가상적 표현은 패션쇼 무대 전반에서 비형식적인 연출법을 통해 부조리하거나 유희적인 가상 이미지를 감각적 물리 세계 에 표출시킴으로써 의도하지 않은 새로운 조형미를 발산한다.

4.2 가상 이미지를 활용한 공감각적 커뮤니케이션 형성

패션쇼에 나타난 가상적 표현은 다양한 공감각적 가상 이미지를 표현하고 이와 함께 어우러진 퍼포먼스를 통해 패션기업과 소비자 간의 감각적 상호작용을 원활하게 한다. 이는 또한 소비자 에게 각인시킬 수 있는 다채로운 체험적 마케팅 전략으로서 효과를 발휘한다. 패션 기업은 가상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패션쇼를 활용해 기존의 틀에서 벗어난 과감한 연출을 시도하며, 콘셉트에 충실한 실험적이고 혁신적인 연출은 관람객들에게 공감각적인 체험을 제공하거나 소비자와 함께 교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브랜드 메시 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패션산업은 고객과의 감각적 상호소통을 위해 디자인과 커뮤니케 이션의 개념 변화와 표현에 있어 사고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으며, 패션쇼에 나타난 가상적 표현은 상상을 현실에서 표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환상적 분위기의 가상 공간을 생성 하고 소비자에게 공감각적으로 소구한다. 이러한 수용자 중심의 패션쇼는 몰입도를 높여 소비 자와의 공감대를 높이며, 브랜드의 메시지를 파악하는데도 도움을 준다.

초기 패션쇼는 빠르고 정확한 상품정보의 전달이 상호소통의 주된 목적이었지만, 현대 패션쇼 는 소비자에게 브랜드의 가치를 호소하고, 콘셉트의 감성적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실험적이 고 혁신적인 브랜드 메시지를 전달하는 매개체로 사용된다. 이러한 사고의 패러다임 전환은 패션기업이 소비자에게 단순한 물질의 제공뿐만 아니라 상호 연결이 되는 과정에서 가상 이미 지 표현을 통해 재미와 행복, 가치추구를 동반한 정신적 만족을 충족시키고, 브랜드 메시지를 전달하는 마케팅의 일환으로 패션쇼를 활용한다는 의미를 가진다.

4.3. 패션산업의 디지털 가상 패러다임 구축

패션쇼는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가상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문화적 요소와 융합된 새로운 종합예술의 역할을 하고 있다. 패션쇼의 연출 기법이 중요시되면 서 디지털 미디어를 접목한 가상 영상물을 통해 시각적인 표현과 더불어 다감각적 경험을 소비 자에게 제공하며, 이러한 변화는 패션쇼를 대하는 소비자들의 의식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패션쇼와 가상 이미지의 융합은 공간에 미디어 환경을 조성하는 방식으로 사용되고, 단순한 영상의 사용이 아닌 공간에 초현실적 가상 이미지 개념을 융합함으로서 하나의 문화 매개체로 서 패션쇼가 활용된다. 이러한 매체 환경의 변화는 패션 브랜드 특성에 맞는 효과적인 패션쇼 연출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패션쇼가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으로 다양한 고객층을 확보하는 데 주요한 도구로 사용됨을 의미한다.

과거 패션쇼에서 의복의 조형미와 상품의 외적 정보를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것과 달리 가상

(11)

이미지를 활용한 현대 패션쇼는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중요시하며, 패션산업의 디지털 패러다임을 구축하고 있다. 아날로그의 패션쇼를 가상의 디지털 공간 속으로 이동시켜 물리적 한계를 초월하거나 시공간의 제약 없이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디지털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은 전통적인 패션 이미지의 생산방식과 이를 향유하는 소비형태 의 변화를 가져오고 있으며 디지털 환경 속에서 가속화되고 있다. 이처럼 현대 패션쇼에 나타 난 가상적 표현은 다양한 혼합된 요소와 혼재된 상황으로 기존의 아날로그적 연출을 전복하고 패션쇼의 역할을 확장하고 있다. 이는 디지털 환경 속에서 주체와 객체간의 상호소통을 통해 패션 상품에 대한 능동적 인식과 분석 그리고 공동의 참여와 공유의 대상으로 디지털 가상 패러다임이 구축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표 2>는 현대 패션쇼에 나타난 가상적 표현특 성과 의미를 정리한 것이다.

5. 결론

오늘날 패션쇼는 디지털 기술의 접목으로 기존의 아날로그적 연출 방식에서 벗어나 가상과 현실이 혼재된 시각적 표현의 확장을 보여주고 있다. 가상적 표현에 관한 선행연구는 디지털 기술의 시스템에 따른 가상환경에 중점을 둔 반면 본 연구는 가상(schein)의 철학적 의미를 토대로 패션쇼에 나타난 가상적 표현에 대해 분석해 봄으로써 미적 조형성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상적 경험을 현실로 구현하는 가상적 표현은 과학적 사고를 근거로 한 빛을 이용한 가상, 현실과 중첩된 가상, 시각적 오류를 이용한 가상이라는 세 가지로 유형으로 분류되며, 이를 근거로 패션쇼를 분석한 결과 나타난 가상적 표현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상과 현실이 중첩된 환상적인 분위기의 연출로 물질성과 비물질성의 경계는 모호해지 고 혼재되며 새로운 조형미를 생성한다. 패션쇼는 기존의 단순한 홍보와 거래의 역할에서 벗어 나 예술을 비롯한 다른 분야의 가상적 이미지를 활용한 디지털 콜라주로 디자이너의 독창적인 상상과 표현을 가능하게 한다. 즉, 다양한 장르와 기술 그리고 사고의 융합을 통해 상상이 현실에서 재현됨으로써 상호간의 경계를 허물고 시공간을 초월하는 가상의 새로운 조형미를 창출한다. 이는 실제 현실에서 표현이 불가능한 콘셉트를 디자이너의 의도대로 제약 없이 표현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기존의 미적 관점의 범주를 디지털 가상의 영역으로 새롭게 확장 한다.

디지털 가상의 조합으로 새로운 조형미 생성

가상 이미지를 활용한 공감각적 커뮤니케이션 형성

패션산업의 디지털 가상 패러다임 구축 시각적

오류를 이용한 가상

현실과 중첩된 가상 빛을 이용한

가상

◾ 모델의 움직임과 음향의 크기에 따라 광도가 조절

◾ 프리즘 라이트를 투사하고, 벽면에 음향이 충돌

◾ 네온 빛으로 무대공간을 연출하면서 의복 표면에 반사

◾ 건축물과 공간을 다채로운 전구를 통해 표현

◾ 실제 모델들과 가상의 이미지가 중첩

◾ 증강현실을 통해 모델과 가상 이미지가 동시에 등장

◾ 디지털 디스플레이를 통해 변화하는 날씨를 표현

◾ 홀로그램 기술을 이용하여 동일한 실제 모델이 생성되고 소멸

◾ 워터 스크린을 이용하여 가상의 구조물 위에 서 있는 모델의 연출

◾ 무대 정면의 스크린에 얼굴 이미지를 형상화하여 모델들이 출입

◾ 물리적 법칙과 공간의 개념을 무시한 모델들의 연출

◾ 콘셉트에 따라 조명이 교체되고 유리벽에 반사

현대 패션쇼에 나타난 가상적 표현의 의미 현대 패션쇼에 나타난 가상적 표현특성

표현 유형 패션쇼 이미지

<표 2> 현대 패션쇼에 나타난 가상적 표현특성과 의미

(12)

둘째, 가상 이미지를 활용한 패션쇼는 디지털을 비롯한 다양한 기술의 활용과 새로운 형식의 무대연출로 소비자에게 공감각적 커뮤니케이션을 시도한다. 이를 통해 수용자의 몰입도는 향 상되고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며, 브랜드의 존재감을 수용자들에게 효과적으로 각인함으로써 브랜드 이미지와 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물리적 한계를 초월하여 시공간의 제약을 없애는 다양한 실험적이고 혁신적인 연출은 수용자에게 가상의 경험을 제공 하며, 이러한 공감각적 커뮤니케이션의 시도를 통해 가상 이미지의 활용은 현대 패션산업에서 브랜드 이미지의 가치를 상승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셋째, 가상적 이미지를 활용한 패션쇼는 패션산업의 측면에서 중요한 마케팅의 일환으로 디지 털 가상 패러다임을 구축하는 데 의미를 가진다. 패션쇼와 가상 이미지의 융합은 공간에 디지 털 미디어 환경을 조성하는 방식으로 사용되는데, 런웨이에서 연출되는 상품정보를 제공함으 로써 실시간 분석을 가능케 하며 이를 통해 소비를 유도하고 상품과 관련된 피드백을 얻을 수 있다. 이는 패션 제품 기획시 리서치나 설문조사의 복잡한 과정을 생략한 디자인 개발 방향 을 설정하는 데 도움을 주며, 유통 단계를 간소화하고 감각적 홍보를 통한 판매촉진의 역할도 가능하게 한다.

최근 패션산업에서 시각적 이미지를 통한 소비자와의 감각적 소통이 중요해지고 있는 시점에 서 패션쇼에 활용되는 가상 이미지의 표현은 일반적 상황을 초월하는 확산적 사고를 통해 패션 쇼 연출에 색다른 영감을 제공하며, 디자이너의 독창적인 상상과 표현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시도는 패션쇼의 시각적 표현 영역의 확장을 위한 아이디어를 제공할 것이다.

참고문헌

박민수, 『가상-미학의 개념』,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2016

장 폴 사르트르, 『사르트르의 상상계』, 윤정님 역, 도서출판 기파랑, 2010

Matthew Rampley ž Thierry Lenain ž Hubert Locher, 『Art History and Visual Studies in Europep』, Brill Academic Publishers, 2012

고선정, 「현대사회의 커뮤니케이션 디자인과 매체미학」,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김석래 ž 안덕기, 「3D 디지털 패션쇼 중요 시각 구성요소에 대한 분석 연구」,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2016 김장현, 「현대 패션에 나타난 환상성의 표현 유형과 미적 특성」,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김희봉, 「현대사회의 가상성과 보드리야르의 시뮬라크르 개념」, Vol.60, 철학과 현상학 연구, 2014 박송화, 「증강현실의 매체적 특성과 사용자에 대한 미학적 고찰」,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백용성, 「발터 벤야민의 이미지 이론」, 에피스테메, No.3, 2007

송선, 「미디어 아트에서 빛의 상징과 표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정재석, 「VR 패션쇼에 대한 고객경험이 고객만족 및 고객자산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정현, 「빛이 활용된 패션디자인의 조형성」,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우세희 외 6명, 「디지털 패션쇼를 통한 3D 가상 의상 표현 연구」,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2013 이미희, 「디지털 시각환경에서 착시 기법 유형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http://www.greenpost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90205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45488&cid=40942&categoryId=32795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712572&cid=41908&categoryId=41954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37272&cid=43667&categoryId=43667 https://ko.dict.naver.com/#/entry/koko/a44994cdb3c94ef7b0e073bd53e2f997 https://ko.dict.naver.com/#/entry/koko/912e169676fe46c5b1d6741bbfe1eedc

참조

관련 문서

The greatest difference in heart rate change and Wong-Baker Faces Pain Rating Scale score, between the control and virtual reality distraction groups, was seen in 5 - 7-year-olds

생물모방기술이란 생물체로부터 영감을 얻는 ‘생물영감 (Bioinspiration)’과 생물을 본뜨는 기술인 ‘생물모방(Biomimicry)’을 아우르는 것을 말한 다.

날씨에 관하여 긍정적인 감정을 갖게 하는 가상현실 미술작품 제작하기... Cospaces와 Tinkercad

본 연구는 현대 패션에 나타난 기모노와 코르셋의 미적 가치를 이론적 근 거로 하여 현재 패션 디자이너들의 컬렉션에 나타난 기모노룩과 코르셋 , 룩을

본 연구는 현대 패션에 나타난 기모노와 코르셋의 미적 가치를 이론적 근 거로 하여 현재 패션 디자이너들의 컬렉션에 나타난 기모노룩과 코르셋 , 룩을

증강현실 (Augmented Reality, AR)은 현실 세계에 3 차원의 가상 이미지를 포개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 는 기술을 말한다.. 새로운 수트를 만들 때도 투명 디스플레이

이렇게 공간디자인에 있어서 공간의 주체자인 인간의 능동적인 참여가 매우 중 요한 요소로 자리를 잡고 있다 이것은 다양한 방법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그중.

이러한 인체 조각 작품 활동을 통해 인체 구상표현에 대해 깊은 감명을 받았고, 나 아가 역동적인 인체조각의 표현에 다양한 시도와 독창적인 표현의 가능성을 발견 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