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살롱의 문화적 기능과 공간 변화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살롱의 문화적 기능과 공간 변화"

Copied!
1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투고일_2018.10.10 심사기간_2018.11.01-18 게재확정일_2018.11.26

살롱의 문화적 기능과 공간 변화

Cultural Functions and Spatial Changes of Salons

강현정, 숙명여자대학교 미술대학 환경디자인 / 이진민, 숙명여자대학교 미술대학 환경디자인 / 장미정, 숙명여자대학교 미술대학 환경디자인 Kang Hyun Jung_Graduate School of SookMyung Woman`s University /

Rhie, Jin Min_Division of Art Collage, SookMyung Woman`s University / Jang, Mi Jeong_Division of Art Collage, SookMyung Woman`s University

차례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3. 선행연구

2. 살롱의 문화적 공간 이해 2.1. 일상문화공간의 살롱 2.2. 예술문화공간의 살롱 2.3. 소비문화공간의 살롱

3. 살롱의 문화적 공간 특성 3.1. 살롱의 문화적 공간 위치 3.2. 살롱의 문화적 공간 유형

4. 살롱의 문화적 공간 특성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2)

살롱의 문화적 기능과 공간 변화

Cultural Functions and Spatial Changes of Salons

강현정, 숙명여자대학교 미술대학 환경디자인 / 이진민, 숙명여자대학교 미술대학 환경디자인 / 장미정, 숙명여자대학교 미술대학 환경디자인 Kang Hyun Jung_Graduate School of SookMyung Woman`s University /

Rhie, Jin Min_Division of Art Collage, SookMyung Woman`s University / Jang, Mi Jeong_Division of Art Collage, SookMyung Woman`s University

요약 본 연구는 살롱의 시대적 변천 연구의 후속연구로서 살롱의 문화적 기능과 공간적 구성이 역사적인 관점에서 어떻게 변화되고, 해석되었는지에 관한 1차적 탐색연구이다. 살롱은 산업혁명 이후 개인의 경제적, 사회적 경험 수준과 지적 정보 공유의 공간에 대한 사용이 높아지면서 현재까지 다양하게 해석되고 있다. 실제로 구글 트렌 드에서 2004년부터 현재까지의 살롱검색에 대한 조사결과 ‘salon’ 용어의 관심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영항으로 나타난 현시대 살롱 연구는 디지털 시대의 피로증과 공통의 관심사에 대한 공유와 소통 증가로 실제 공간과 가상공간에서의 이용 가치가 꾸준히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살롱 공간에 대한 이해와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의 범위는 살롱이 처음 나타난 르네상스 시기부터 현 시대까지의 살롱공간과 문화적 기능 을 문화 해석학의 방법을 이용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은 첫째 살롱 공간의 해석을 위해 문화적 기능에 대한 이해와 살롱 공간의 발전 범주를 분류한다. 둘째, 살롱의 과거 문화적 공간들의 문헌 자료를 바탕으로 표 현되는 문화적 기능과 그에 따른 유형을 분석하여 셋째, 살롱 문화적 기능에 따른 공간구성의 시대적 변화를 파 악한다. 연구 결과로 살롱 초기 문화적 기능에 따른 시대적 변천은 일상문화공간의 살롱, 소비문화공간의 살롱, 예술문화공간의 살롱으로 전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살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초기 명확한 사적 공간에서 18세기 이후 목적을 가진 외부 공간으로 분리되고 현재는 공공영역의 복합 문화 콘텐츠에 따라 변화되는 유의 어 개념을 가진 공간의 형태로 변화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살롱의 시대적 변천 연구, 살롱의 문화적 기능과 공간 변화, 살롱문화공간의 유형과 콘텐츠에 대한 3단계의 연구 중 2단계 연구로 앞으로 연구하게 될 살롱문화 공간의 콘텐츠의 분석을 위한 연구에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Being a follow-up research of salons’ temporal changes, this research aims to conduct the first exploratory study on how salons’ cultural functions and spatial organization have changed and interpreted from the historical viewpoint.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each person’s level of economic and social experience has improved and use of space for intellectual information sharing has increased, resulting in different analyses on salons. In fact, the investigation by Google Trends on search of salons from 2004 to today shows that interest in the term of

‘salons’ has gradually increased. Therefore, the contemporary studies on salons have emerged due to such effect; salon space needs to be understood and analyzed, since the value of use in actual and virtual space is growing due to the increase in fatigue in the digital era and sharing and communications of common interests. As for the research scope, cultural hermeneutics was used for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space and cultural functions of salons from the Renaissance age when they first appeared to the present age. The research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understanding the cultural functions and categorizing the development scope of salons to interpret salon space. Second, analyzing the cultural functions presented based on literature data on the previous cultural space of salons and analyzing the resultant types. Third, identifying the temporal changes of space organization according to salons’ cultural functions.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the temporal changes according to the cultural functions in the early stage developed in salons of private cultural space, salons of consumption cultural space, and salons of artistic cultural space. As time passes, salons that used to be definite private space in the early stage were separated as external space with purposes after the 18th century, and now they have changed to space with a synonymous concept that varies complex cultural contents of public areas. As such, being stage 2 research among the 3 stages of research on the temporal changes of salons, the cultural functions and spatial changes of salons, and the types and content of salon cultural space, this research has the purpose of suggesting the direction for studies for analyzing content of salon cultural space.

중심어

살롱 salon Salon 문화공간

ABSTRACT Keyword

salon Salon

Cultural space

(3)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살롱은 주제를 가진 모임의 시작으로 두 가지의 사전적 의미로 해석될 수 있는데, 방, 응접실, 객실, 상점, 카페 등 형식으로 해석되는 “살롱, Salon”과 사교계, 초대회, 전시회 등 내용으로 해석되는 ‘살롱, salon’으로 나타난다.1) 내용과 형식을 동시에 형태로 나타나는 ‘살롱’은 헤어·

미용과 패션 분야에서 많이 나타나며, 현재에는 다양한 서비스 분야까지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초기 살롱형태는 시대적 유행이라는 배경 위에 특권 계층의 사회적 수준과 주인의 라이프스타일 영향으로 살롱 공간이 생겨났고, 산업혁명이후 개인의 경제력과 지적 수준이 높아지고 여성의 사회적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살롱’ 이라는 내용과 형식을 갖춘 모임이 소비 문화 활동과 연관되어 발전 되었다. 현재는 다양한 사회·문화의 미적 경험이 풍부해지면서

살롱의 형태가 여러 가지 복합적 결합의 형태로 발전하게 되었다. <그림 1>은 ‘살 롱’의 꾸준한 발전과정과 사회적 연관성을 비교하여 년대별로 관련된 자료의 빈도수 를 조사한 결과이다. 1800년대부터 2008 년까지의 ’SALON’, ‘Salon’, ‘salon’의 용 어 사용과 그에 대한 관련 자료가 1900년 대 산업부흥과 더불어 용어의 조사 빈도수 가 가장 높아졌고, 1930년대에서 1960년 대 전쟁 이후 점점 줄어들었으나 1990년 대 이후 현재까지 그 사용수가 점점 증가 하고 있다.2) 이에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사회·문화의 영향을 받은 공간 안에서 나타난 살롱의 문화적 특징이 어떠한 시대적, 문화적 콘텐츠에 따라 공간 특성이 발전되어 나타나는지에 대한 유형 분석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현시점에서는 시대적 변천과정에 나타난 과거 문화에 따른 공간의 분석과 새로운 문화와 결합된 공간의 다양성에 대한 이해와 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살롱의 문화적 기능에 대한 해석과 그에 따른 공간의 시대적 변화과정에 따라 나타 나는 공간 콘텐츠에 관한 연구를 해석하고자 하는데 목적 및 의의가 있다. 이번 1차적 연구에 서는 살롱 문화적 기능에 따른 공간의 발전 특성을 분류하고 2차적 연구에서 이번 공간 연구의 특성에 따라 분류된 살롱 공간 디자인 콘텐츠를 파악하기로 한다.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본 연구는 살롱의 시대적 변천 연구(2018)3)의 후속 연구이며, 살롱의 시대에 따른 사회·문화 적 특징과 연관성에 따라 변화되어 나타나는 공간의 변화에 대한 연구이다.

살롱에 관한 연구는 ‘살롱, salon’ 키워드를 중심으로 살롱이 국내에서 처음 연구된 1974년부 터 2018년까지의 학위논문4)을 조사결과 문학, 철학, 정치, 과학, 외교, 음악, 미술, 패션, 뷰티, 영화 등 여러 분야에서 전개되고 있다. 그 중 ‘살롱’과 ‘salon’, ‘~살롱’, ‘~문화’, ‘~ 시대적’,

‘시대적 양식’과 특정 주제에 따른 분야에 바탕을 두고 모임이 만들어졌으며, 모임의 장소는 시대적 실내 양식과 주체자의 라이프스타일과도 관련이 있음이 나타났다. 이에 살롱 공간의 연구의 방법과 범위는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의 방법은 시대적으로 나타나는 문화의 특징을 문화 해석학5) 방법으로 해석하여 살롱의 ‘방(room)' 문화에 대한 공간적 연구와 살롱공간의

1) 구글: salon meaning https://www.google.com/search?rlz=1C2QJDB_enKR806KR806&q=salon+meaning&sa=X&ved=0a hUKEwiH4db0ybfcAhWYAYgKHacnBkkQ1QII2wEoBg&biw=1920&bih=974/. 검색일 2018년 8월 21일.

2) 구글 Google Books Ngram Viewer 검색일 2018월 8월2일.

3) 강현정, 살롱의 시대적 변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9권 4호(통권88호).

4)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 조사기간: 1997.1~2018.2.

5) 페터 손디 지음, 이문희 옮김. 문화해석학이란 무엇인가. 아카넷. 2004. p.81~p.114.

과거 이론에 대한 역사적, 인식론을 바탕으로 현재의 역사적 입지점을 확보하며, 기존 문헌학의 역사적 한계를 극복하여 현재의 문

<그림 1> 1800년대부터 2008년까지의 salon과 관련된 자료의 빈도수

(4)

시대적 표현 특성을 구분하여 나타난 공간의 유형을 분류·분석하여 특정 공간에 나타난 시대적 유행 양식을 문헌 조사하였다. 살롱공간의 사진과 그림 자료는 문화·기술적 관찰법(ethnogr aphic observation)6)중 목적을 위한 탐색적 사례연구(exploraive case research)와 질적 사례 연구(qualitative case research)7)를 통해 연구 하였다. 시간적 범위는 살롱이란 용어가 사용 된 르네상스부터 21세기 현재까지의 시간적 관점에서 미술사 연대표8)를 참조 살롱과 연관된 실내 양식사 연대를 구성하였다. 살롱의 공간적 범위는 16,17,18세기 사회·문화의 영향이 가 장 활발했던 서유럽의 프랑스를 중심으로 시대적 양식이 발달된 특정국가의 주택 내에 위치한 살롱을 대상으로 한정하였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살롱문화공간을 고찰, 분류하고 살롱의 문화적 분류에 대한 관계성에 따른 범주를 설정하여 나타난 그림과 사진 자료에서 문화적 유형을 분석한다. 2)앞서 분석된 문화적 공간 유형의 흐름을 파악하고 각각의 분야에 따른 문화적 기능이 나타난 살롱 공간 특징을 찾아내어 3)살 롱공간의 시대적 변천 과정 파악한다.

위의 연구 방법으로 살롱공간의 변화에 따른 살롱의 문화적 기능에 대한 살롱 공간 변화를 예측한다.

1.3. 선행연구

본 절에서는 살롱의 문화적 기능에 따른 살롱 공간 변화 연구를 목적으로 일반적 살롱과 살롱 공간이 포함된 선행연구를 통해 특성적 공간구조의 변화를 찾고자 한다. 1974년부터 2018년 까지의 조사된 학위논문9)중 ‘살롱’과 ‘salon’, ‘~살롱’, ‘~문화’, ‘~ 시대적’, ‘시대적 양식’과 관련 주제로 총 993편으로 검색되었다. 첫째, 헤어, 뷰티, 네일, 복식에 관한 ‘미용, 패션’ 논문 이 50%로 편중되었으며, 둘째 시대의 특성을 나타내는 공간 스타일, 표현, 양식, 스타일과 관련된 유의적 개념의 ‘살롱 문화’논문은 22%, 셋째, 음악, 미술, 디자인 등 ‘사조, 시대’를 나타내는 예능계 대한 논문이 21%, 문학, 사회적 현상에 대한 논문이 6%로 집계 되었다.10) 시대의 특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공간 스타일, 표현, 양식, 스타일과 관련된 유의적 의미의 살롱 문화 연구 논문은 시대양식이 보편적 해석으로 쓰이고, 살롱 문화에 포함된 시대적 양식 을 나타내는 공간 특성에 대한 연구는 2%로 미만으로 나타났다. 그에 대한 연구 중 대부분이 헤어 살롱과 미용, 에스테틱 ‘~ 살롱’에 관한 연구들로 공간 해석이 아닌 복합어 사용으로 이에 따른 연구 중 이승미(2009) ‘헤어월드 챔피언십 대회 작품을 응용한 살롱 헤어스타일 연구’에서 제시된 살롱 스타일의 개념 연구에서는 살롱 스타일에 대한 특성이 나타나 있지 않으며 헤어스타일의 단일어 명칭으로 서술하였고, 조현진(2013) ‘보들레르 악의 꽃의 내적 구성 연구’에서는 사바티에 부인의 저택의 살롱은 예술적 표현 양식이나 스타일보다는 주거공 간인 ‘방’의 묘사에 그쳤다. 이처럼 살롱 공간에 관한 연구를 찾지 못해 살롱 공간의 특성, 스타일에 관한 연구가 절실히 필요하다. 특히, 최근 가상공간에서의 정보 교환 활동이 활발해

학관, 미학관 관점에서 해석의 이론을 전개한다.

6)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2」 – Methods, 아카데미프레스, 2013 /Application of Anthropological Approach in Marketing Fields, 이용숙, 한국마케팅학회 (2010년 1월).

인간 사회와 문화의 다양한 현상을 정성적, 정량적 조사기법을 사용한 현장 조사를 통해 기술하여 연구하는 학문의 분야이다. 문화 기술지는 어떤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각 부분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을 통해 전체 시스템의 총체적 연구 성과를 거둘 수 있다는 생 각에 기반을 두고 있다. 공식적, 역사적으로 과거 여행을 통한 여행기이나 제국주의 시대의 식민지의 공식 보고서에 그 시작을 두 고 있다. 문화기술지는 특히 구조주의와 상대주의 입장에서 연구하는 학문적 전통을 지니고 있으며 다양한 관심을 가진 다른 분야 의 유용한 1차적 연구 방법(Primary research) 으로서 활용되고 있다.

7) Robert E. stake[著];홍용희;노경주;심종희[옮김]. 질적사례연구, 창지사, 2000.

탐색적 사례연구 : 사례(주로 특정 프로그램)가 적용된 상황을 탐색하는데 중점을 두는 연구.

질적 사례연구 : 구체적인 사례(인물, 상황, 현상, 사건, 조직, 프로그램 등)가 갖는 특징과 의미에 초점을 두는 연구.

8) SeMA. 서양미술사연표. 서울시립미술관. C:\Users\imac\Desktop\SeMA - 연구출판자료 – 미술사연표.html 검색일 2018년 8 월 16일.

9)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 조사기간: 2018.1~2018.2.

10) 강현정, 살롱의 시대적 변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9권 4호(통권88호) p.4.

(5)

지고 그에 대한 디지털 피로증이 증가되면서 새로운 커뮤니티 공간으로 18~19세기의 살롱문 화와 살롱공간을 필요로 하고 있다. 중앙일보(2018.6.25.) ‘요즘 다시 뜨는 살롱문화’11)에는 현재 실제 공간에서의 살롱문화에 대한 경향과 살롱 공간의 확장 그에 따른 디자인 콘텐츠에 대한 필요성을 서술하고 있다. 이에 살롱 공간에 대한 범주의 확장과 공간 콘텐츠 특성에 관한 다양한 심층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살롱문화공간의 변화와 콘텐츠 특성을 순차적으로 연구하여 앞으로의 살롱 문화 공간 콘텐츠에 바탕이 되는 자료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2. 살롱의 문화적 공간 이해

살롱은 인간 중심의 문화·사회적 콘텐츠 집합체로서 주제를 가진 커뮤니티 모임이다. 살롱은 문화적 배경 속에서 생성되고 발전되며, 살롱 안에서 새로운 문화를 창출하기도 한다. 이에 문화는 살롱의 다양한 사회적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문화는 인간이 자연 상태에서 벗어나 일정한 목적 또는 이상을 실현하려는 활동 과정 및 그 과정에서 이루려한 물질적, 정신 적 소득을 총칭하며, 학문, 예술 종교, 도덕 등 인간의 내적 정신활동의 소산을 가리킨다.12) 이러한 문화적 활동의 기반이 되는 살롱 공간은 초기 상류층의 사교 모임 공간으로 집안의

‘방(Room)’인 폐쇄적 생활공간으로, 응접실이나, 손님용 접대실로 시대적 표현양식과 주체자 의 라이프스타일로 나타난 문화 공간 이였다. 초기 살롱 공간 형태는 생활에 기반이 되는 문화 공간의 형태로 볼 수 있다. 생활기반형 문화공간은 생활권 문화시설로 이용할 수 있는 커뮤니 티 단위의 소규모 문화시설이다. 문화 활동 동아리가 형성될 수 있는 강좌나 정보를 비롯하여 이들 활동을 위한 장소 제공이 주된 기능이다. 이로서 공동체 의식을 통한 지역사회의 문제 해결을 목적으로 한다.13)라고 정의 되며, 이는 초기 살롱이 만들어진 개념과 장소가 동일하며 역할이 점점 확대되면서 문학, 토론, 전시회, 음악회 등 활동이 다양해지면서 살롱의 공간도 용도에 따라 바뀌게 된다. 초기 살롱은 생활문화가 자체와 지식을 생산하기 위한 바탕이 되는 생활로서의 문화를 지향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초기살롱을 해석하면 공간의 형태보다는 내용적인 지식과 문화를 담고 있다. 그러나 시대적 변천에 따라 근대를 거쳐 현재에는 단순한 문화가 아닌 공간으로 살롱이 표현되기도 하여 형식적 문화 공간이 된다. 일반적으로 초기 살롱 모임은 프랑스 왕궁에 캐 비닛, 레듀트, 루엘, 알코브 등 특수 용도의 방들이 생겨나면 서 시작되었고, 이러한 방들은 특권층의 생활 속 사적 만남의 장소로 이용되었다. 다음 <표 1>14)에 정리된 문화시설 안에 포함된 살롱공간의 기능으로 생활 문화공간에서 발전된 단순한 문화장소 뿐만 아니라 소비와 예술이 결합된 문화를 생산하 는 것으로 살롱 문화의 개념이 생활양식에서 문화와 예술로 확대되어 소비를 위한 모임으로 까지 그 범주가 확대되었다. 르네상스부터 현재까지 살롱문화공간은 물질적 콘텐츠와 정신적

11) https://news.joins.com/article/22746947 백수진 기자 peck.soojin@joongang.co.kr, 사진=오종택 기자, 각 업체 [출처: 중 앙일보] “대화가 필요해” 요즘 다시 뜨는 살롱문화. 검색일 2018.06.26.

12) 김상유, 사회적 문화적 공간 확장과 문학적 형상화: 유럽연합출범이후 스페인 소설의 양상과 특징 -호세 카를로스 소모사의 작품 세계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08년, p.6.

13) 나명철, 「주민 생활권 문화시설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중앙대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15~16쪽.

14) 서울시정개발원(2002), 11쪽 재구성 / 박성은, 「생활기반형 문화공간의 정책적 의미와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2007, p.14. 참조 / 김률화, 「복합문화공간에 나타난 하이브리드 개념을 적용한 사례조사연구」, 석사학위, 국민대학 교, 2009, p.2. 참조 / 김은정, 박언곤 「커뮤니티 공간으로서의 복합문화시설의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004, p.64. 참조.

문화 시설

생활 문화 공간 복합 문화 공간 살롱 시기 초기, 근세, 근대, 현대 현대

살롱 목적 • 일상의 생활 양식(의·식·주)

• 문화의 유행

• 목적성 커뮤니케이션

• 문화의 창조, 유행, 개성

문화 개념 • 인간집단의 보편적 생활 양식

• 보편적 가치 중립적

• 예술을 적용

• 라이프스타일을 전시

• 정신적 문화를 충족

문화 환경 • 일상샐활을 위한 환경

• 자연 발생적

• 자리 이동 없이 한 공간 해결

• 다양한 문화를 한 공간에서 즐김 시·공간

활용

• 일상시간

• 보통 공간

• 공간의 목적이 없음

• 다양한 공간으로 변모기능

<표 1> 살롱의 문화 공간 변화

(6)

콘텐츠를 모두 표현하고 있는 문화 공간 자체로, 유형·무형문화자원이 바탕이 되어 운영이 활성화된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 문화공간은 다른 문화시설이나 문화자원과 문화 클러스터를 이룰 수 있다.15)또한 인간의 의·식·주가 이루어지는 생활공간은 살롱의 다양한 활동과 일상이 연결된 공간이기 때문에 가장 기본적 문화공간이 된다. 또한 근대 산업혁명이후 살롱공간은 카페, 상점, 쇼룸, 미용실 등 판매와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목적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판매 자는 주최자가 되어 살롱문화공간으로써의 콘텐츠 활용으로 매수자를 모집하며, 독립된 스타 일을 만들어낸다.

21세기에는 생활 문화와 더불어, 판매, 소통과 개성적인 콘텐츠의 활용으로 소비문화가 결합 된 복합적 문화공간을 만들어내고 있다. 과거 살롱은 문화 기반으로써의 역할을 하였다면 현재 살롱은 생활 속에서 커뮤니케이션, 소비, 예술 등 복합적 문화 역할을 하고 있으며, 살롱의 문화적 기능과 시대적 배경에 영향을 받아 해석된다.

살롱의 공간 개념은 사전적 의미인 ‘방(room)’으로 해석되며, 실내 공간으로써의 살롱에서는 다양한 표현양식을 볼 수 있다. 살롱공간은 시대적 대표 양식과 더불어 모임의 주제에 따라 변화되는 살롱공간에 대한 변화와 해석을 위해 살롱의 유형을 분류하고자 한다. 살롱의 어원과 배경에서의 용어 개념을 크게 공시적(共時的,synchronic) / 통시적(通時的, diachronic) 관점 으로 나누어 해석한다. 넓은 의미(공시적 해석)의 사전적 용어 해석과 살롱의 유의어 개념으로 사용되는 공간의 형태를 지칭하며, 내포된 의미(통시적 해석)는 유의어의 문화적 해석을 나타 내고 있기에,16) 공시적 해석에 바탕을 둔 사전적 의미의 해석과 유의어를 근거하였다. 또한, 사회·문화의 변화된 과정에서 나타난 살롱의 문화적 기능에 목적을 두고 탐색적 사례연구 (exploraive case research)를 방법으로 구분하였다. 사례분류방법은 구별짓기(La Distin tion)17)와 페티클라크의 법칙18)을 대입하여 살롱의 문화 공간 중 시대적 발전 상황에 나타난 공간의 유형을 세 가지로 분류 하였다. 아래의 <표 2>의 위의 방법으로 시대적 발달과정에 나타난 공간을 분류하여 종합 정리 하였다.

2.1. 일상문화공간의 살롱

살롱의 어원은 이탈리아어의 ‘sala’이며, ‘ala’는 이탈리아어, 로만스(Romance)19) 언어로 된

‘방(room)’을 의미한다. 살롱(salon)은 사전적 의미로 이탈리아어 낱말 salone(살로네)이 나 왔으며, 이탈리아 대저택의 큰 응접실, 강당을 나타내었고, 이것이 프랑스로 넘어와 캐비닛, 레듀트, 루엘, 알코브20)와 같은 방의 이름을 사용되었다. 살롱에서의 방의 역할은 16세기 상

15) 전영옥, 「문화자원개발과 지역활성화 전략」, 삼성경제연구소. 2004.

문화 클러스터(cluster)서로 밀접한 연계를 가지고 자기 조직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문화예술의 생산 및 관련기능의 지리적 집합체"

로 예술가들의 창작, 즉 문화의 생산기능의 집합체로 설명된다. 스턴과 세이퍼트의 정의(Stern and Seifert, 2007) 출처: http:

//arkonet.tistory.com/231 [문화예술협력네트워크].

16) 강현정, 살롱의 시대적 변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9권 4호(통권88호) p.5.

17) 피에르 부르디외. 최종철 역. 구별짓기: 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上下 . 새물결. 2005. p.416.

문화적 상품과 취향의 생산이 소비에 의존한다는 점에서, 생산자들도 자신들의 계급적 아비투스로부터 문화상품 생산을 결정하게 끔 유도된다. 그러므로 문화상품을 둘러싼 생산의 장의 논리와 소비의 장의 논리는 상동성을 띤다. 즉 제품집합이 소비자집단과 상응하는 소비관계가 나타난다. 이러한 경향성이 강화되는 과정에서 언론이나 비평가들의 ‘위치설정(repe-rage)’ 작업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18) 페티클라크의 법칙 [Petty-Clark's law, ─法則] : 농업 ·제조업 ·상업의 순서로 수익이 높다고 한 W.페티의 이론을 바탕으로 하 여, C.G.클라크가 국민소득의 국제비교 또는 시계열(時系列)비교를 통해 실증적으로 밝힌 노동력 구성비에 의한 산업구조 변화의 통계적 법칙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57844&cid=40942&categoryId=31819 검색일 2018년 09월 01일.

19) Romance : 로마의 직접적인 영향권에 속해 있던 중세 시대의 이탈리아 · 프랑스 ·스페인 · 포르투갈 등지에서 사용되던 로마 언어인 라틴어에서 기원한다./ 김광요, 박진권, 황성근, 류용상, 김종대. 드라마 사전. 문예림. 2010. p.10.

일상문화공간 예술문화공간 소비문화공간

살롱 시기 초기 근세, 근대, 현대 근대, 현대

공간 종류 방, 응접실, 거실 전시회, 아카데미, 음악 살롱, 헤어살롱, 패션 살롱, 극장

상점, 쇼룸, 카페, 헤어살롱, 패션살롱 레스토랑, 호텔

<표 2> 살롱의 문화 공간 변화

(7)

류층의 사적모임의 출발로 귀족들의 주택이나, 별장 등 개인적인 공간에서 이루어졌다. ‘방 (room)’의 기원은 기원전 약 2200 년경의 초기 미노스 문화에 시작되었는데, 산토 리니의 아크로티리 (Akrotiri) 에서의 발굴 작업으로 특정 구조물 내에서 명확하게 정의 된 방이 밝혀 졌다.21) 기원전 5세기 그리스에서의 실내 구조는 거실, 부엌, 욕실로 구성되었고 남자들의 방은 식사실에서 토론이 이루어졌으며 의자, 스툴, 카우치(couch), 테이블과 체스트(chest)가 사용된 가구의 전부22)였다. 로마시대에는 중심부에 연못과 주위에 침실, 접객실, 부엌, 식사실 등이 있었다. 손님 접대용 파티 식사실은 따로 이용되었으며, 테이블에는 여러 명이 함께 앉는 카우치가 사용되었다. 중세주택의 방에는 거실로 사용하는 주 공간(main room)이 있었는데, 큰 홀(Hall)을 중심으로 침실, 부엌, 작업장, 가축 외양간 등으로 사용되었다. 중세에 메인공간 에서 사용되었던 가구는 쿠션, 잠자리 짚을 이용한 의자로 옮기기 쉬운 형태로 사용하였으며 특히 서유럽에서의 홀(Hall)의 의미는 집 전체를 나타내기도 하며 그 역할이 매우 다양하면서 도 집안의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사용되었다. 16세기부터 연회를 위한 식당, 손님 방문 및 접대를 위한 장소, 집 소유자만을 위한 장소로 17세기부터는 대형 주택에는 엔터테인먼트를 위한 특별한 도서관, 연주실, 당구장, 게임방 또는 음악실 등이 포함되었다. 즉, 소유자의 생활 주거 공간인 동시에 유틸리티한 공간으로 사용되었다. 특히 프랑스의 도시형 귀족주택인 ‘오텔 (Hôtel)’은 단독주택의 형태로 공간구성에서 가장 중심에 사교를 위한 공간과 주인의 생활공 간으로 주인의 취향과 사치함23)을 나타내었다. 그림을 벽에 걸어 전시하거나, 주택 내에서 가장 큰 홀을 꾸며서 이국의 진귀한 물건을 전시하는 작은 박람회장을 손님에게 보여주는 것이 사교계의 문화로 자리 잡았고 이는 현대에 이르러 박물관으로 전한다. 1890년대부터 꾸미기 문학에서 처음 사용된 용어 리빙 룸(Living room)은 주택 내에서 거실로 불리 우며, 드로윙 룸, 손님 접대실 등 시대의 유행하는 문화와 더불어 현대 주택내의 실지적 모임공간이 되었 다.24) 전형적인 서양 거실 구성에는 소파, 의자, 임시 테이블, 커피 테이블, 책꽂이, 전기 램프, 양탄자 또는 기타 가구(사용자와 친밀한 가구)가 포함되며, 또한 전통적으로 영국과 서유럽 거실에는 난방을 위해 벽난로가 있었다.25) 19세기 이후 개인의 이 사회적 활동과 연관되어 나타나면서, 집합주택, 공동주택, 아파트의 개념으로 발달하게 되어, 사적인 공간에서의 실롱 활동이 사회로 진출하게 된다. 아래의 <그림 2>에 나타난 일상문화공간의 살롱은 다양한 주 제를 편안하게 소통할 수 있게 아늑하게 조성되어 특정 계층의 일상문화공간이 되었다.

20) 캐비닛[cabinet]: ‘작은 방(小室)’의 뜻. 뜻이 바뀌어 회의실이나 박물관의 진열실 등을 지칭 / 레듀트 [réduit]:

움푹 한 곳 , 구석 / 루엘[ruelle]: 침대와 벽 사이의 공간,두 침대 사이의 공간 / 알코브[alcôve]: 침실, 규방,(귀부인들이 손님을 맞이하던) 내실 겸 살롱 /https://ko.wikipedia.org/wiki/ (2018년 9월 3일) 사전 참조.

21) Oxford Dictionaries (2013) / "우리 방의 이야기". BBC 뉴스. 검색된 2018-07-11. 참조.

22) 김연숙, 서양의 실내공간과 가구의 역사. 경춘사, 1987. p.60.

23) 김정근, 홍형옥, 서양의 주택과 실내의 양식, 경춘사. 2002. p.37.

24) Rechavi, Talya B. (March 2009). A Room for Living: Private and Public Aspects in the Experience of the Living Room".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Volume 29, Issue 1, March 2009, p.133-143.

https://doi.org/10.1016/j.jenvp. 검색일 2008.05.001.

25) Rechavi, Talya B. (March 2009). A Room for Living: Private and Public Aspects in the Experience of the Living Room".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Volume 29, Issue 1, March 2009, p.133-143.

https://doi.org/10.1016/j.jenvp 검색일 2008년 5월 1일.

<그림 2> 주택 내 드로윙 룸, 응접실, 거실에서의 살롱. 왼쪽부터 장 프랑수아 드 트로이 (1728) / Rudolf von Alt Salon in the Apartment of Count Lanckoronski, Vienna / Hôtel de La Trémoille on the Rue Saint-Dominique in Paris.

ca,(1869) / Middle-class drawing room in Blackheath, London, (1841).

(8)

2.2. 예술문화공간의 살롱

살롱은 르네상스를 거치면서 17, 18세기 가장 많은 예술가들을 발굴하는 아카데미로 활성화 되었다. 예술문화공간에서의 살롱은 미적 경험이 가정 중요한 부분 중 하나였다. 살롱에서의 시와 문학, 음악과 예술은 주최자와 관객이 모두 살롱의 동일한 위치에서 즐겼으며, 특히, 여성 이 주가 되는 모임에서는 노래, 피아노, 춤 등이 더욱 더 살롱의 역할을 두드러지게 했다. 17세 기부터 18세기 계몽기 살롱은 아티스트, 작가 및 비평가가 문학과 정치에 관해 토론하고 음악 을 연주하고 시를 읽는 모임이 빠르게 퍼졌으며, 대중적인 부르조아 계층과 귀족 계층에서 의해서 만들어졌다. 장소 또한 주택내의 살롱과 별장이나, 타운하우스 등 외부에 따로 독립된 살롱이 제공 되었다. 미술전시를 위한 살롱전과 주택 내에서 살롱에서 열린 음악 감상으로 조용하고 아늑하게 집중해서 즐겼다. 아래 <그림 3> 음악 살롱은 작은 콘서트홀의 역할로 특정 장르와 캐릭터 음악을 위주로 듣는 같은 취향의 모임으로 구성되었다.

19세기 귀족 출신의 작곡가, 음악가 및 사람들은 미용실에서 만나 음악을 듣게 되었다. 주공간 은 피아노를 위주로 비교적 자유롭게 음악을 즐겼으며, 간단한 연극이나 솔로공연이 이루어졌 다. 이 당시 쇼팽의 음악 살롱이 유행하였으며, 음악 살롱의 역할이 소극장, 극장 등으로 현재 에는 펍이나, 음악공연의 클럽 등으로 간단한 음료와 곁들여 편안한 분위기의 장소로 변화되었 다. 16세기에는 문학·철학적 아카데미가 학문적으로 유행하였고, 점점 예술아카데미26)가 발 달되어 18세기 유럽 전역으로 유행하였다. 초기 살롱전은 루브르궁의 한 살롱에 열려 ‘르 살 롱’27)이라는 명칭으로 사용되었다. 17, 18세기 왕가를 비롯한 귀족들은 응접실(salon)에 자신 들이 소유한 미술작품과 희귀한 물건을 진열해 놓고 예술인, 애호가들과 함께 예술에 관한 대화와 토론을 하거나 작품을 감상하였다. 이는 현재 박물관, 미술관의 모태가 되기도 하였으 며 19세기에는 대형 혼합 미술 전시회를 위해 ‘정기적으로 열리는 살롱’이라는 일반적인 프랑 스 용어가 생겨났다. 벽에 그림을 걸어 전시하고 등수를 매기는 프랑스 살롱전이 열리게 되면 서 회화 살롱전은 19세기 인기를 누리게 된다. 그 결과 19세기 중반 경에 아카데미는 매우 보수적이 되었고, 살롱은 주요 전시회의 독점이며 다양하고 혁신적인 화풍이 유행을 선도하였 다.28) 현재까지 진행 중인 파리의 살롱전은 작게는 스튜디오에서 넓게는 전시홀과 미술관로 이어지고 있으며, 현재 살롱의 예술문화공간은 작가와 예술가들의 독창적인 작품세계와 비평 을 동시에 표현하고 있으며, 작가의 개인적 발표와 소규모 판매의 공간의 장소가 되고 있다.

현재의 예술문화기능의 소규모 살롱공간은 일상생활문화 공간의 편안하고 캐주얼한 표현과 분위기로 사용되고 있다.

26) https://translate.google.com/translate?hl=ko&sl=en&u=https://en.wikipedia.org/wiki/Academy&prev=search 마드리드 (1744 설립), 상트 페테르부르크 (1757) 제국 미술 아카데미, 런던의 왕립 아카데미 (1768)과 밀라노의 아카데미아 디 벨 아티 디 브레라 (1776)등.

27) 원래는 프랑스 왕립 회화 및 조각 학교 (Académie Royale de Peinture et de Sculpture)와 그 후계자인 Academy of Fine Arts (Academie des Beaux Arts)가 조직 한 공식 미술 전시회의 이름. 프랑스 미술실 및 아카데미 / ‘salon de paris’파리에 서 권위 있는 연간 미술 전시회 루이 14 세하에 시작 / ‘Salon des Refusés’, 때때로 논란이 되고 있는 새로운 스타일을 보여 주는 전시회. 1863~1886 / 살롱 데 Indépendants 처음으로 1884년에 개최 non-juried 대체 살롱 / Salon d' Automne, 1903년에 시작된 다양한 예술을 포함한 대체 살롱.

28) tate Art press. UK. https://www.tate.org.uk/art/art-terms/s/salon 검색일 2018년 10월 3일.

<그림 3> 예술문화 공간의 살롱. 왼쪽부터 르모니에(Anicet-Charles-Gabriel Lemonnier, 1812. 말메종 성 국립미술관, 프랑스

<조플린 부인의 살롱> / Archduke Leopold Wilhelm in His Private Picture Gallery by Teniers. C. 17th Century /“soirée”

and “salon culture” dates back to 17th century Paris / The Whip, mansion interior, photograph, Drury Lane, London, September 1909. © Victoria & Albert Museum, London

(9)

2.3. 소비문화공간의 살롱

살롱의 유의적 개념에서 소비문화공간으로 해석되는 것은 일반적인 상거래 사회 활동으로 초 기에는 개인과 타인을 구별 짓는 기호로서 상품을 소비하였기 때문에 살롱을 이용했다. 근대에 서 현대로 넘어올수록 산업의 발달로 소비의 성향이 강하게 나타나며, 살롱공간의 역할도 살롱 자체의 사회적 권위와 계층 구별에 따른 소비자 위주의 서비스 공간으로 변모하게 된다.29) 초기 살롱의 모임은 사교활동으로 주최자의 주도로 간단한 음료와 음식이 제공되었으며, 홀에 서 간단한 다과를 하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이후에 남성들이 주도하는 커피하우스가 생겨나면 서 사회적 상호 작용의 중심지가 되었다. 17세기에 오스만 제국 밖의 유럽에서 처음으로 커피 가 등장했으며, 첫 번째 커피 하우스는 1629년 베니스에 설립되면서 인기가 높아져 유럽으로 전파되었으며, 주 활동지는 영국 이였으며, 고객이 개인적으로 또는 소그룹으로 모임, 말하기, 읽기, 쓰기, 즐거움을 나누거나 시간을 보낼 휴식의 장소로 제공되었다. 같은 시기 영국에 티타 임 문화와 함께 1670년부터 1685년까지 런던 커피 하우스의 수가 증가하기 시작했고, 논쟁과 정치적 장소로 중요성이 커지기 시작하였다.30) 17세기와 18세기 영국의 커피 하우스는 특히 런던의 중요한 모임 장소였으며, 단지 테이블과 의자로 구성된 홀 형태의 장소로 여성들의 출입이 제한 된 남성 위주의 정치적 토론 장소로 이용되었다. 특히, 18세기에 들어서면서 영국 과 유럽의 커피 하우스는 독서 센터의 역할과 대중을 위해 인쇄물을 더 많이 제공하는 책의 대출 및 구독과 라이브러리의 역할로 술을 팔지 않는 공공의 장소로 이용되었고,31)19세기와 20세기에 커피 하우스는 일반적으로 유럽 전역의 작가와 예술가들의 가교 역할을 했다. 일반 적 노동자 계급과 서민들이 술과 오락을 즐길 수 있는 장소로 펍(pub)32)을 이용하였는데, 펍 안에는 카드 방 또는 당구 방등으로 공간이 구성되었으며, 술집은 입장료나 음료 가격을 높이기 위해 노래, 춤, 연극 또는 희극을 공연하고 테이블에서 음료를 제공하는 방등이 따로 있었다. 아늑함에 초점을 두어 살롱의 일상문화공간 성격을 동시에 가지고 있었다. 현대에 들어 대중음악적 기능이 강화된 펍은 카바레(cabaret)33), 바(bar) 등으로 역할이 확장되었다.

18세기 이후 상업 목적이 강한 카페(cafe)의 시작은 전시인 커피하우스의 확장 형태인 문화 공간의 역할로 다양한 분야와 특정 계층의 집합장소였다. 카페(café)란 용어는 프랑스어, 포르 투갈어 및 스페인어 철자로 19세기 후반에 영어권 국가에서 사용하였으며, 초기에는 알콜 음 료와 가벼운 음식을 제공하는 가벼운 레스토랑 이였다. 19세기에 카페공간은 시대문화와 더불 어 사교의 장으로 예술가들의 아지트가 되어 다양한 토론과 사회적 변화에 따른 만남의 장으로 이용되면서 레스토랑과 분리되었다. 현대에 와서는 문화와 사교, 유행의 중심지로 변모하고 있다. 살롱의 가장 큰 변화는 미용실과 패션쇼룸 등의 뷰티공간의 다양한 변화와 상점의 역할 이 증대되어 나타난 것인데, 이는 여성의 사회적 진출이 활발해지고 개인의 경제적, 문화적 해석 능력이 높아지면서 19세기 이후 살롱 문화 분야가 확장되었다. 17세기 미용실은 여성들 의 살롱에서 만들어졌는데, 미용사들은 상류층이 부르면 고객의 집으로 방문해서 주로 살롱에 서 음악 등을 즐기면서 사교와 미용활동을 하였고 이러한 영향이 현대까지 연결되어 미용에 관한 상점을 살롱이라 부르게 된다. 18세기 파리에서 첫 미용대회가 열린 후 유럽을 중심으로 발전 되어왔으며, 1906년 네슬레가 파머넌트 웨이브34)를 개발되면서 이때부터, 독립된 헤어 살롱의 공간이 유럽으로 퍼지게 되었다. 쇼룸이나 상점은 모자, 쥬얼리, 도자기, 그릇 샵에서도

29) 장 보드리야르. 소비의 사회 그 신화와 구조. 문예출판사. 2015.

30) Charles W. Colby, ed., Internet Modern History Sourcebook BC 55 - AD 1832 (런던 : Longmans, Green, 1920), p.208-212 Jerome S. Arkenberg, Cal.에 의해 스캔 됨. Arkenberg 교수에 의해 현대화.

31) Abbas, Hyder (February 2014). " 'A Fund of entertaining and useful Information': Coffee Houses, Early Public Libraries, and the Print Trade in Eighteenth-Century Dublin". Library & Information History. Taylor & Francis, Ltd.

30 (1): 46. doi : 10.1179/1758348913Z.00000000051. ISSN 1758-3489.

32) pub; 술집, 공공주택의 개념. 18 세기가 끝날 무렵 술집에 새로운 방, 술집이 설립. 노래, 게임 또는 스포츠와 같은 종류의 오락 을 제공. 바(bar), 선술집. / Public House Archived 4 May 2015 at the Wayback Machine. Britannica.com. Retrieved 3 September 2017. / https://en.wikipedia.org/wiki/Pub 검색일 2018년 9월 9일.

33) 카바레(cabaret) : Cabarets는 16 세기에 파리에 존재. 와인과 식사가 함께 판매. 18세기에는 음악, 가수 또는 마술사와 함께 음식을 제공하는 카페 콘서트 또는 카페가 열리는 엔터테이먼트 장소로 활용.

Fierro, Alfred (1996). 파리의 Histoire et dictionnaire de Paris. Robert Laffont. ISBN 2-221—07862-4.

34) 정현진외, 미용문화사. 광문사. 2004. p.162. 파마넌트 웨이브( Permanent Wave): 찰스 네슬러(Charles Nessler)가 개발. 붕 산과 알카리성 수용액을 이용하여 전기로 가열.

(10)

살롱 공간의 특징을 볼 수 있는데, 이는 특정계층의 일상과 연관된 소비 제품의 쇼룸으로 보여 진다. 이러한 소비적 공간의 살롱 모습은 주택내의 생활문화공간과 같은 편안한 표현과 분위기 로 보여 진다. 아래의 <그림 4>에서 보여 지는 상점은 17세부터 현재까지의 살롱 형태 쇼룸으 로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로 넘어오면서 백화점으로 잠시 살롱의 역할이 주춤했다. 이후 살롱의 소비적 역할이 20세기에서 21세기는 시대적 양식을 나타내는 살롱공간의 디자인 콘텐 츠가 모티브가 되어 클래식, 아방가드르, 쿠튀르, 부띠끄35)등으로 아늑하고, 고급스럽고, 개인 적인 서비스를 가진 공간으로 유행되고 있다.

3. 살롱의 문화적 공간 특성

본 연구에서 살롱의 문화적 공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살롱공간의 시대적 변화 과정 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였다. 이를 해석하기 위한 시대적 범위와 공간적 범위는 초기 살롱이 시작된 르네상스부터 현대까지의 시간적 배경과 살롱공간을 가장 많이 사용한 각 시대별 특정 계급의 주택 내의 살롱공간으로 나타난 자료를 바탕으로 하였다. 주택 내의 살롱 개념으로 사용된 사전적 의미의 살롱공간과 유의어 공간의 개념으로 사용된 살롱공간이 표현된 전형적 인 룸(Room) 형태의 공간을 설정하고자 한다. 살롱공간이 표현된 그림과 사진자료의 대표적 공간과 평면도의 사례들을 중심으로 시대적 문화와 그에 따른 유행양식을 연결하여 살롱 문화 적 기능에 따른 공간 위치 변화를 1차적으로 파악하고 문화적 기능에 따른 공간을 분류하고자 한다. 아래 <그림 5>는 살롱의 발전 상활과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시대별로 진행된 살롱공간 의 변천과정을 종합 정리한 것이다.

35) 아방가르드(avant-garde): 19세기 말 예술계에서는 전통과 관습 등 고정관념의 해체를 목표로 하는 전위적이고 급진적인 예술의 사조 / 쿠튀르(couture): 봉재, 또는 의복상점이란 뜻의 상류층을 위한 고급 맞춤 의상점 / 부티크( boutique): 작은 점포, 소매 점 등을 의미하는데 복식 분야에서는 규모는 작아도 멋있고 개성적인 의류를 취급하는 점포. https://www.google.com. 검색일 2018년 10월 3일.

<그림 5> 살롱공간의 시대별 변천사

<그림 4> 소비문화의 살롱. 왼쪽부터 17세기 이발소 디죵, 보쟈르 미술관 / Edward Lloyd’s Coffee Shop on Tower Street, London, 17th century. Wikimedia Commons. / window designed by Timothy Corrigan for #LEGENDS2013 / La firma italiana Bottega Veneta

(11)

3.1. 살롱의 문화적 공간 위치

살롱문화공간은 시대의 변천과정 속에서 일상생활공간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발전되어 왔 다. 초기 16세기 일상문화공간은 여성중심의 상류층 주택 내의 응접실이나, 서재, 손님맞이 공간으로 시대적 관습, 유행이 기본 축으로 주택 내의 실내양식은 시대적 건축양식에 따른 실내공간으로 구성 되었으며, 그에 따른 실내 양식은 조형 구성의 법칙과 실내장식의 효과로 나타났다. 살롱공간은 실내공간양식사에 나타난 유행양식을 기본적 바탕으로 진행되어 나타 났다. 살롱초기에는 여성중심의 살롱으로 기본적인 사교술의 일상문화생활로 나타나며, 르네 상스, 바로크, 로코코의 영향으로 실내장식의 가치가 높아지면서 1층에 위치 한 상류층의 보여 주기식 살롱으로 발전되었다. 특히 그에 따른 공간의 구조는 삼삼오오식의 그룹으로 모여 안 앉아 담소를 나누거나 게임을 하는 원형 형태로 테이블을 두고 돌려 앉았으며 사각테이블의 구성일 경우 식사와 공론장으로 주택안의 공적 살롱으로 사용 되였다. 17, 18세기 문학과, 철학의 영향으로 계몽주의 의식 변화가 남성중심의 살롱인 커피하우스, 아카데미, 개인호텔, 타운하우스 등으로 주택에서 분리되어 외부 공간으로 서서히 이동하게 되었다. 특히 이시기에 는 음악, 연극, 미술의 발달로 예술문화 중심의 살롱이 만들어 졌으며 공간의 형태는 주인공을 중심으로 앉고, 서서 감상하는 자유로운 분위기였다. 신고전주의의 영향과 혁명사상의 제국주 의 양식과 맞물려 살롱문화의 공적 역할이 두드러지게 되었다. 살롱의 역할이 1층 응접실에서 2층으로 드로윙룸(Drawing room), 도서관(Library), 갤러리(Gallery) 등 방이 용도에 따라 세세하게 분리 되었고, 빅토리아 시대를 기점으로 산업화와 결합되어 소비문화공간의 살롱이 나타나게 되었다. 19세기 주택 내의 살롱이 응접실 또는 리빙룸(Living room)이 생기게 되면 서 본격적 외부로 진출되어 공적 살롱의 역할을 하게 되었다. 루소의 영향으로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의 엄격한 분리36)가 18세기이후 제안되고, 주택건축양식이 빌라나 아파트먼트 등으 로 새롭게 변화되면서 유의어 살롱공간으로 분리되었다. 엘리트의 지식공유 공간으로 변화하 게 되며, 19세기 후반 주택의 모듈화가 되면서 살롱공간은 더 이상 일상문화공간이 아닌 외부 공간의 분리되어 다양한 문화공간으로 나타났다. 아래 <그림 6>37)는 살롱공간의 시대적 위 치 변화를 종합 정리한 것이다.

36) Professor Elena Russo (Johns Hopkins University). The World of the Salons: Sociability and Worldliness in Eighteenth-Century Paris.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015. p.119.

37) 이연숙. 서양의 실내공간과 가구의 역사. 경춘사. 1987 / Stephen Calloway (Editor), Alan Powers (Editor), Elizabeth Cromley (Editor), Elizabeth Collins Cromley, Jane Doe, Fire. The Elements of Style: An Encyclopedia of Domestic Architectural Detail. 2005 / 존 파일. 실내디자인사. 서우. 2003 / 오영근. 세계가구의 역사. 기문당. 1999 / sherrill whiton. elements of interior design and decoration. the newyirk school of interior design / 실내디자인 양식사. 이연 숙.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8 / interior design & decoration. sherrill whiton, stanley abrtcrimbie. prentice hall.

2002. 참조, 정리.

사진자료출처: http://purplefiles.net/katerina/FlorenceFiles/FlorentineCasaPlans.html/ https://www.pinterest.co.kr/pin /527554543825052161/ https://www.pinterest.co.kr/pin/398427898273382898/?lp=true/ https://en.wikipedia.or g/wiki/William_A._Clark_House/ https://smarthistory.org/william-morris-and-philip-webb-red-house/http://hocafer san.com/homes-with-floor-plans/homes-with-floor-plans-of-pole-barn-homes-floor-plans-lovely-pole-barn- home-plans-luxury-pole/

<그림 6> 살롱공간의 시대적 위치 변화

(12)

3.2. 살롱 문화적 공간의 유형

살롱의 일상문화 공간과 예술적 공간의 유형은 시대별변천과정에서 가장 중요하게 나타나는 데 공간의 양식으로 살롱의 초기부터 19세기 전반까지 명확한 시대적 양식을 따랐으며, 의·식·

주에 관련된 생활문화의 영향을 받았다. 이 시기에는 살롱공간의 형태가 시대적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명하게 나타나며, 18세기 후반에서 에서 19세기 이후의 살롱의 경향은 예술적 공간 과 소비적 공간의 유형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게 된다. 이는 살롱의 역할이 방의 용도에 따라 목적이 분명한 방으로 사용 되었기 때문이다. 이후 일상생활공간은 19세기 이후 주택안의 지 극히 사적 공간으로써 단순 주거의 역할로 바뀌게 되면서 살롱의 규모가 작아진다. 예술적 공간은 주택 안에 드로윙 룸으로 남아 다목적 방으로 사용되고 외부적으로는 살롱전시회를 지속적으로 열어, 전시회, 박람회 등으로 영역이 확장되었다. 이 시기에 미술계는 자본가와 부르주아의 지원으로 아카데미로 확장되며 소비적 살롱은 초기 소비적 살롱의 초기는 커피하 우스, 스모킹 룸 등으로 사회·문화·예술의 주제를 가진 남성들만의 모임으로 한정적이였으나 여성의 사회진츨로 대중적 공간으로 확장 발전되었다. 초기 캬바레와 같이 식사와 노래하는 클럽들이 형성된 곳은 ‘회원 전용’이라는 단어가 붙어 귀족이나, 엘리트 등의 계급 모임이였으 나 이 또한 식사문화를 만드는 곳으로 확장되었다. 다른 유의어 공간인 다이닝 클럽이 현재는 유명한 ‘~살롱’ 및 그랜드 수퍼마켓으로 존재한다.38)이후 쇼핑문화가 시골 협동조합을 시작 으로 소매업, 상점의 체인점 등의 작은 쇼룸이나 가게는 특정 기간 및 지리적 영역과 문화사의 관점에서 현재까지 뚜렷한 목적 공간으로 발전되었다. 이러한 소비문화의 영향으로 또 다른 의(衣)공간에서는 헤어살롱과 패션 쇼룸이 여성들의 모임이 주를 이루어 외부 공간으로 나가 게 되면서 살롱 안에서 패션과 음악, 차와 음료를 즐기게 되었다. 또한, 산업화와 교통의 발달 로 문화의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살롱의 공간 영역이 주(主)거 공간에서 식(食)공간과 의(衣) 공간까지 영역이 빠르게 확대되어 나타났다. 호텔공간의 영역이 로비와 레스토랑의 기능이 확대되면서 과거의 시대적 건축과 공간양식을 보존하면서 고급화되어 발전되었다. 21세기의 살롱은 국경, 언어 및 심지어 디지털과 방송의 네트웍크로 커뮤니케이션에 의존하고 있다.

하지만, 과거 초기 살롱의 개념과 형태 또한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현대의 살롱공간은 대체적 으로 과거 문화로 부터 암시적으로 영향을 받으며 다양한 문화주제에 맞게 변형이 가능하도록 조율되고 있다. 현재 대부분의 살롱공간은 ‘~ 살롱’으로 시대적 실내유행양식과 독창성, 다양 성, 개성을 갖추어 발전하고 있으며 가상공간의 살롱, 미디어 살롱도 등장하게 되었다. 살롱공 간의 변화는 20세기 초까지 시대적 양식에 배경에 발전되고 왔으나, 현재의 살롱은 과거의 문화양식 개념과 새로운 물질적 영향,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으로 실제와 가상에서 공간 형성이 되고 있다. 아래의 <그림 7>은 살롱 문화적 공간의 시대 유형 변화로 시대적 유행 양식 바탕 위에 사회와 문화의 기능에 따라 변화된 살롱 공간 구조의 변화과정으로 살롱의 초기 문화와 사회의 개념이 현시점까지 지속적으로 사용되고 새로운 문화와 결합하여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8) Jennifer Davis. Defining Culinary Authority: the Transformation of Cooking in France, 1650-1830. Baton Rouge, LA, Louisiana State University Press. 2013. p.113.

<그림 7> 살롱 문화적 공간의 시대 유형변화

(13)

4. 살롱 문화적 공간 특성 분석

살롱의 문화적 기능은 시대적 문화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중세 이후 인간중심의 예술과 철학, 인문학 등의 영향으로 주거환경, 건축양식, 시대유행이 바탕이 되면서 초기 살롱은 담론을 위한 공간이 생기고 그 안에 사교성의 문화가 생겼다고 할 수 있다.

중세시대의 개인 문화에서 사교적 사고와 지적 호기심을 위한 모임이 공동체에서 더 합리적이고 도덕적이며 심미적 문화를 만들 수 있다는 것에서 살롱은 발전되어왔다. 살롱은 일상생활에서의 즐거운 사교 모임에서 공적인 주제를 가진 심각한 모임으로 변화되었고, 서유럽이 중심이 되어 18세기이후 미국, 러시아, 아시아 등으로 퍼져나갔다. 모든 살롱 활동은 명확한 주제를 가진 추진 력과 살롱 상호 작용의 가장 중요한 규칙이 있어 뚜렷한 사회적 문화적 양식의 모델이 되었다.

첫 번째 일상문화공간의 살롱은 16, 17세기 장식과 양식의 문화 살롱 이였으며, 주최자와 구성원은 지적인 상호 작용에 대한 연속성의 제공 장소로 일상생활의 중요한 유행문화를 만들 고 그들의 일상의 모든 생활문화를 살롱공간에서 실행하였다.

두 번째 예술문화공간의 살롱은 18세기에서 19세기 살롱은 주택에서 분리 되어, 타운하우스 나, 별장, 아카데미 등 공적 공간의 영역인 동시에 외적 공간 사용처로 사용되어 시각 예술, 음악, 시 및 문학 등의 문학적 요소 모두가 공간을 만드는 중요한 문화적 콘텐츠로 작용되었다.

이러한 미학적 살롱 문화 양식은 서로의 커뮤니케이션으로 공유된 경험과 지식을 교류하고 동서양의 문화 결합양식으로 세련된 환경에서 새로운 상상력으로 지적, 미적 경험을 하게 되었 다. 18세기 후반에는 살롱에서 문화 생산을 강조하고 공헌함으로써 사회에 기여하도록 분위기 가 조성되었다.

세 번째 소비문화공간의 살롱은 19세기 산업 혁명을 기점으로 살롱의 소비적 영역이 의·식·주 공간으로 확대되면서 보편적 개방으로 바뀌었으나, 물질적 문화에 의한 계층으로 뚜렷이 구별 되었다, 즉, 대부분의 살롱 참가자는 여전히 엘리트와 부르주아로 제한되었고 단순히 같은 살롱공간에 다른 사회적 지위를 가진 사람들의 상호 작용이 완전한 평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 지는 않는다.

20세기 이후 살롱은 공공영역으로 확대되어 일상문화공간과 완전히 분리되었고, 소비문화공 간은 서비스가 포함되어 역할이 확대되었으며 예술문화공간의 살롱은 예술분야가 사진, 영화, 방송의 영역으로 확대되어 대중화 되었다. 현재 살롱은 각 계층의 폐쇄적 기능과 더불어 대중 간의 개방적 교류 문화 기능을 하는 양면성과 예술적 문화와 소비적 문화, 서비스 기능까지 결합된 공간의 복합적 확장이 이루어 졌다. 현재 살롱의 문화적 기능은 과거 상류층의 생활에 서 보여 지는 계급문화와 현재의 물질적 소비문화는 결합하고 있지만, 반면에 살롱은 고립과 불소통의 현시대의 딜레마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이며, 특히, 가상세계에서의 살롱 기능은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과 지속적인 접촉을 용이하게 하기 때문에 체계적인 상호 작용으로 대안적인 새로운 문화적 기능의 공간이 가능하다. 아래 <그림 8> 살롱의 시대 변천 과정에 따른 공간 변화를 종합 한 것이다.

<그림 8> 살롱의 시대 변천과정에 따른 공간 변화

(14)

5. 결론

본고는 살롱 문화적 기능과 공간 변화 과정에 나타난 문화적 기능에 따른 공간의 연관성에 대한 고찰과 분석에 대해 연구 하였고 이를 통한 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시대별 과정에 따라 나타난 살롱의 대표적 문화기능을 해석하고 그에 나타난 살롱 공간의 콘텐츠를 확인하기 전 단계로 공간의 형식 분류를 1차적으로 연구하였다.

첫 번째, 앞서 연구한 살롱 초기 폐쇄적 일상문화공간의 살롱이 활동기에 접어들면서 공적공간 으로 발전되고 20세기 공공영역으로 확장되어 대중적, 개방적으로 문화의 확장에 따라 복합문 화공간으로 확장되었다.

두 번째, 시대적 변천과정에서 사회 및 문화의 주제에 따라 모임의 형식이 변화하며, 주최자와 구성원들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살롱공간이 영향을 받는다는 라는 전제도 확인하였다.

세 번째, 그에 따른 살롱문화의 공간은 시대적 문화 변화에 따라 일상문화공간, 예술문화공간, 소비문화공간 등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어 현재까지 나타나고 있다.

네 번째, 새롭게 나타난 살롱공간은 시대,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고 살롱의 고유 개념이 지속되 면서 후에 새롭게 나타난 문화를 받아들이면서 나타난 유의어 개념인 ‘~살롱’으로 해석된다.

이에 살롱의 문화적 기능을 해석하면 유의어 개념의 살롱 공간 해석과 현재 나타난 새로운 살롱공간의 예측도 가능하다.

위의 연구 결과들을 사례로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살롱 문화적 기능에 따른 공간 변화가 시대 의 사회·문화와 연관성을 바탕으로 살롱문화공간이 형성되고 이를 통해 나타난 유의어 살롱공 간의 시대적 발전 상관성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는 ‘살롱 공간 디자인 콘텐츠’에 관한 개관 연구를 위해 1차적으로 진행된 연구 이며, ‘살롱의 시대적 변천 연구(2018)’의 후속연구이다. 아울러 다음 2차적 연구로 ‘살롱 문화 콘텐츠와 살롱 공간 콘텐츠 개발 연구’를 전개 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페터 손디 지음, 이문희 옮김. 『문화해석학이란 무엇인가』 아카넷. 2004.

로버트 E. 스테이크. 홍용희;노경주;심종희[옮김]. 『질적사례연구』, 창지사. 2000.

피에르 부르디외. 최종철 역. 『구별짓기: 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上下』, 새물결. 2005.

이연숙, 『서양의 실내공간과 가구의 역사』, 경춘사. 1987.

문화콘텐츠 연구회, 『살롱, 카바레, 카페』, 예림기획. 2004.

김정근, 홍형옥, 『서양의 주택과 실내의 양식』, 경춘사. 2002.

장 보드리야르. 『소비의 사회 그 신화와 구조』, 문예출판사. 2015.

정현진외, 『미용문화사』, 광문사. 2004.

이연숙, 『실내디자인 양식사』,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8.

이진민 외. 『실내디자인』, 서울특별시교육청. 2018.

위르겐 하머바스. 『공공 영역의 구조적 변형』, Camb., Mass.: MIT Press, 1989.

Rechavi, Talya B. 『A Room for Living: Private and Public Aspects in the Experience of the Living Room".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Volume29』, 2009.

Jennifer Davis. 『Defining Culinary Authority: the Transformation of Cooking in France, 1650-1830.Baton Rouge』, LA, Louisiana State University Press. 2013.

Elena Russo. 『The World of the Salons: Sociability and Worldliness in Eighteenth-Century Paris』,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015.

Sherril Whiton, Stanley Abercrombie. 『Interior Design & Decoration』, Prentice Hall.

5th Edition.

Sherril Whiton, 『Elements of Interior Desgin and Decoration』, the new york school of interior design.

강현정, 「살롱의 시대적 변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9권 4호(통권88호).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2」 Methods, 아카데미프레스, 2013 / Application of Anthropological.

참조

관련 문서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34;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cyberspace, hypermedia and multi-sensory experience of new media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can

Fourth, as the information technology is developed due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propor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 commercial

As we entered the fourth industrial era, we realized the unity of information and space. From industrialization to the information age, the rapid

• 이명의 치료에 대한 매커니즘과 디지털 음향 기술에 대한 상업적으로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치료 옵션은 증가했 지만, 선택 가이드 라인은 거의 없음.. •

Streeck, Wolfgang (1992) Social Institutions and Economic Performance: Studies of Industrial Relations in Advanced Capitalist Economies, SAGE

Given that IT Competency has revealed that the company has a major advantage against competitors in aspects of strength and power In the field

* It’s applicant’s duty to ask the deadline to the applying institution since each institution has set deadline individual itself. * Deadline for the recommendation 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