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Primary Testicular Tumors in Children: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Primary Testicular Tumors in Children: "

Copied!
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593 서 론

소아 고환종양은 소아에서 발생하는 모든 고형 종양의 1-2%를 차지하며 전체 고환종양 중에는 3%를 차지하는 드 문 종양으로,1,2 성인에서 발생하는 고환종양과는 병리조직 학적 분포, 자연경과, 치료 및 예후 등에 있어 차이를 보인 다. 성인에서는 남자 10만 명당 5.4례의 고환종양이 발생하

는 반면 소아에서는 소년 10만 명당 0.5-2.0례의 고환종양이 발생한다.2,3 성인에서 발생하는 고환종양의 경우에는 생식 세포종양이 전체의 약 95%를 차지하며, 그중 약 60%가 혼 합세포종양이다.2 반면에 소아에서는 생식세포종양이 60- 75%를 차지하며 대부분에서 단일조직으로 구성되어 있

다.2,4,5 성인에서 주로 발생하는 정상피종, 융모암, 기형암종

등은 소아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1,2,4 또한 소아 고환종양 의 경우에는 성인에 비해 양성 종양이 많고, 악성 종양인

Primary Testicular Tumors in Children:

Histopathological Distribution and Clinical Behavior

Yong Yeun Won, Dong Keun Oh, Young Soo Kim, Jin Kwan Chung1, Do Hwan Seong1, Sang Min Yoon1, Jin Seon Cho2, Se Joong Kim

From the Department of Urology, Ajo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uwon,

1Inh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Incheon, 2Hally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Chuncheon, Korea

Purpose: It has generally been accepted that the most common primary testicular tumor in the pediatric population is yolk sac tumor. Recently, there have been some reports that teratoma is the most common tumor in this age group. The histopathological distribution and clinical behavior of primary pediatric testicular tumors from three hospitals were retro- spectively reviewed.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was performed on 30 pe- diatric patients, who had been treated for primary testicular tumors, at three hospitals. The records of the patients were reviewed with respect to age at diagnosis, affected sites, presentation, operation, pathology and prognosi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68.3 months (1-234).

Results: The most common presentation was a painless scrotal mass (86.7%). In patients younger than 15 years, the most common testicular tumor was teratoma at one hospital and yolk sac tumor at the other two hospitals. Totally, the most common testicular tumor was teratoma (52%), followed by yolk sac tumor (40%). In 5 patients, aged 15-20 years, the pathological distribution of the testicular tumor was the same as that observed in adults. No patients had had a recurrence after a mean follow- up of 30.6 months (3-109).

Conclusions: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prognosis for children with testicular tumors is favorable. The most common primary prepubertal testis tumor is teratoma, followed by yolk sac tumor, although yolk sac tumor was the most common tumor at two of the hospitals in this study.

A large prospective multi-center study will be required to determine the pathological distribution of pediatric testicular tumors. (Korean J Urol 2005;46:593-597)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Key Words: Testis, Tumor, Children

대한비뇨기과학회지 제 46 권 제 6 호 2005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비뇨기과학교실, 1인하대학교

의과대학 비뇨기과학교실,

2한림대학교 의과대학

비뇨기과학교실

원용연․오동근․김영수․정진관1

성도환1․윤상민1․조진선2․김세중

접수일자:2005년 1월 7일 채택일자:2005년 4월 15일

교신저자: 김세중

아주대학교병원 비뇨기과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원천동 산 5번지

ꂕ 443-721 TEL: 031-219-5272 FAX: 031-219-5276 E-mail: sejoong@ajou.ac.kr

(2)

경우에도 저병기인 경우가 흔하고 전이의 빈도가 낮아서 예후가 양호하다.1,2,6

소아 고환종양의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위하여 미국소아 학회 비뇨기과분과에서 1980년부터 시작된 소아 고환종양 등록현황에 의하면 소아에서 발생하는 원발성 고환종양 중 에는 난황낭종이 62-63%를 차지하여 가장 흔한 것으로 알 려져 왔다.7,8 그러나 최근에는 기형종이 난황낭종에 비하여 오히려 더 흔하게 발생한다는 보고들도 있다.2,9-12

이에 저자들은 경기도에 소재하는 3개 대학병원에서 원 발성 고환종양으로 치료받은 소아 환자들을 대상으로 소 아 고환종양의 병리조직학적 분포 및 임상양상을 알아보 았다. 또한 병리조직학적 분포에 관하여는 대한비뇨기과학 회 수련병원 진료통계 자료집에 나와 있는 고환종양의 통 계자료13와 비교하여 봄으로써 소아 고환종양의 현황을 알 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경기도에 소재하는 3개 대학병원에서 각 병원의 개원 (A 병원: 1994년 6월, B병원: 1996년 5월, C병원: 1998년 12월) 후부터 2004년 8월까지 원발성 고환종양으로 치료받은 소 아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소아의 연령에 대한 기준은 최근에 대한소아과학회에서 정한 소아기의 분류14를 이용 한 20세 미만과 기존에 일반적으로 소아의 기준으로 이용 해 왔던 사춘기 전 연령인 15세 미만의 두 군으로 나누어 자료를 분석하였다. 소아 고환종양의 병리조직학적 분류는 Kaplan 등1이 제안한 고환종양 분류법에 따랐으며, 환자의 연령, 고환종양의 위치, 주증상, 병리조직학적 진단, 병기 및 치료방법 등에 관하여 병력지를 중심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20세 미만인 소아 고환종양 환자는 총 32례였으며, 그중 원발성 고환종양이 아닌 2례 (횡문근육종 1례, 림프종 1례)

를 제외한 30례를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총 30례 환 자들의 평균연령은 68.3개월 (1-234)이었고, 그중 15세 미만 인 25례의 평균연령은 37.4개월 (1-143), 15-20세인 5례의 평 균연령은 222.8개월 (216-234)이었다. 이들 총 30례 환자들 중 13례 (43.3%)에서는 우측에, 17례 (56.7%)에서는 좌측에 고환종양이 발생하였고, 양측성으로 발생한 환자는 없었다 (Table 1).

결 과

20세 미만인 총 30례 환자들의 주증상으로는 무통성 음낭 종물이 26례 (86.7%)로 가장 많았으며, 3례 (10%)는 음낭수 종, 1례 (3.3%)는 잠복고환이었다 (Table 1). 이들 30례 환자 모두에서 근치적 고환적출술을 시행하였다. 15세 미만인 25 례의 환자들 중 13례 (52%)는 기형종이었고, 10례 (40%)는 난황낭종, 2례 (8%)는 표피양낭이었다 (Table 2). 15-20세에 고환종양이 발생한 5례 중 4례는 혼합 생식세포종양이었으 며, 1례는 정상피종이었다. 고환종양에 따른 내원 당시의 평균연령은 기형종과 난황낭종의 경우가 다른 종양에 비해 적었다 (Table 3).

총 30례 환자들의 술전 혈청 고환종양지표 검사에서 al-

Table 1. Patient characteristics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Characteristics No. of patients (%)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Affected sites

Right 13 (43.3)

Left 17 (56.7)

Bilateral 0 (0)

Presenting symptoms and signs

Painless scrotal mass 26 (86.7)

Hydrocele 3 (10.0)

Undescended testis 1 (3.3)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Table 2. Pathological distribution of testicular tumors in children younger than 15 years at three hospitals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No. of patients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Tumor type Percent

A B C

Total hospital hospital hospital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Teratoma 11 2 0 13 52

Yolk sac tumor 4 4 2 10 40

Epidermoid cyst 2 0 0 2 8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Total 17 6 2 25 100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Table 3. Patient age at presentation for different tumor types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No. of Mean age

Tumor type

patients (months, range)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Teratoma 13 33.8 (4-110)

Yolk sac tumor 10 33.9 (1-108)

Mixed germ cell tumor 4 224.5 (217-234)

Epidermoid cyst 2 78.0 (13-143)

Seminoma 1 216.0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3)

pha-fetoprotein (AFP)은 16례 (53.3%)에서, β-human chorionic gonadotropin (β-hCG)은 3례 (10%)에서 각각 증가하였다. 혈 청 AFP 수치는 난황낭종에서는 100% (10/10례)에서, 기형 종에서는 23.1% (3/13례)에서 증가하였다 (Table 4). 기형종 에서 AFP 수치가 증가된 3례의 나이는 모두 1세 미만이었 다 (Table 5). 혈청 β-hCG 수치는 난황낭종, 기형종 및 정상 피종에서는 모두 정상범위 내에 존재하였고, 혼합 생식세 포종양에서는 75% (3/4례)에서 증가하였다 (Table 4).

진단 당시의 병기는 15세 미만인 25례 중에는 난황낭종 1례에서만 stage III이었고, 그 외에는 모두 stage I이었다.

15-20세인 5례 중에는 진단 당시에 혼합 생식세포종양 1례 에서만 stage III이었고 나머지 4례는 stage I이었으나, 추적 관찰 중 혼합 생식세포종양 1례에서 추가로 전이가 발견되 었다. 진단 당시에 stage III이었던 2례와 추적관찰 중 전이 가 발견된 1례에서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였고, stage I인 정상피종 1례에서는 방사선요법을 시행하였다. 총 30명 환 자들은 평균 30.6개월 (3-109)의 추적관찰 기간 중 완전 관 해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고 찰

소아 고환종양의 병리조직학적 분포를 보면 난황낭종이

가장 흔하며, 기형종은 두 번째로 흔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

미국소아학회 비뇨기과분과에서 1980년부터 시작된 소아 고환종양 등록현황에 의하면 난황낭종이 62-63%를, 기형종 은 14-23%를 차지하였다.7,8 Weissbach 등5이 1955년부터 1981년까지 보고된 논문들과 독일의 본 고환종양 등록 조 사에서 수집된 38례, 그리고 Bundeswehr 병원 환자 7례를 합친 총 1,124례의 소아 고환종양에 대해 분석한 결과에서 도 난황낭종이 49%, 기형종은 13%를 차지하였다. 대한소아 비뇨기과학회에서 1997년부터 2001년까지의 자료를 모아 서 2004년에 보고한 한국 소아 고환종양 등록현황에서도 난황낭종이 41.8%, 기형종이 35.7%로 난황낭종이 기형종에 비해 더 흔한 것으로 보고하였다.15

반면에 소아 고환종양에서 기형종이 난황낭종에 비하여 오히려 더 흔하다는 보고들도 있다.2,9-12 Metcalfe 등9은 1984 년부터 2002년까지 단일 기관에서 확인된 총 51례의 소아 원발성 고환종양 환자들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기형종이 Table 4. Serum tumor markers in 30 pediatric testicular tumors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Serum tumor Mean level Elevated

markers (n) (range) patients (%)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AFP (ng/ml)

Total (30) 45,382.1 (1.0-1,210,000.0) 16 (53.3) Teratoma (13) 5.8 (1.0-21.1) 3 (23.1) Yolk sac

135,231.3 (500.3-1,210,000.0) 10 (100.0) tumor (10)

Mixed germ cell

2,268.5 (9.2-5,368.5) 3 (75.0) tumor (4)

Epidermoid cyst (2) 1.0 (1.0) 0 (0.0) Seminoma (1) 0.9 0 (0.0) β-hCG (mIU/ml)

Total (30) 58.5 (0.0-1,695.0) 3 (10.0) Teratoma (13) 1.8 (0.0-2.0) 0 (0.0) Yolk sac tumor (10) 1.3 (0.0-3.0) 0 (0.0) Mixed germ

428.3 (2.0-1,695.0) 3 (75.0) cell tumor (4)

Epidermoid cyst (2) 2.0 (2.0) 0 (0.0) Seminoma (1) 2.0 0 (0.0)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Normal range: alpha-fetoprotein (AFP)≤10ng/ml, β-human cho- rionic gonadotropin (β-hCG)≤5mIU/ml

Table 5. Serum alpha-fetoprotein levels in patients younger than 1 year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Mean level Elevated Tumor type (n)

(range) patients (%)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Teratoma (5) 11.3 (2.1-21.1) 3 (60.0)

Yolk sac tumor (1) 28,789.7 1 (100.0)

Mixed germ cell tumor (0) — —

Epidermoid cyst (0) — —

Seminoma (0) — —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Total (6) 4,807.7 (2.1-28,789.7) 4 (66.7)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Fig. 1. Annual frequency of testicular tumors in resident training hospital, including data collected from the Korean Urological Association for pediatric and adult patients. (A) teratoma, (B) em- bryonal carcinoma, (C) yolk sac tumor.

(4)

43%를 차지하였고, 난황낭종은 단지 8%만을 차지하였다.

Sugita 등10도 1967년부터 1996년까지 단일 기관에서 확인된 소아 원발성 고환종양 환자 55례 중 기형종이 49.1%, 난황 낭종이 30.9%였다고 보고하였다. Farivar-Mohseni 등11도 1984년 이후 단일 기관에서 확인된 37례의 소아 원발성 고 환종양 환자 37례 중 기형종이 37.8%, 난황낭종이 8.1%였다 고 보고하였다. 또한 Lee 등16도 1977년부터 1986년까지 단 일 기관에서 확인된 17례의 소아 고환종양을 분석한 결과 기형종이 47.0%, 난황낭종이 41.2%였다고 보고하였다. 그러 나 이와 같은 단일 기관의 보고들은 지역특성 등에 따라 환 자들이 한쪽으로 편중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미국소아학회 비뇨기과 분과에서 보고한 소아 고환종양 의 등록현황에 의하면 1988년의 보고1에서는 난황낭종이 65%, 기형종이 13%, 1993년의 보고8에서는 난황낭종이 63%, 기형종이 14%, 2002년의 보고7에서는 각각 62%, 23%

로 점차 기형종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대한비뇨기과학회 수련병원 진료통계13에 의하면 1998년에 는 기형종이 45례, 태생암이 30례, 1999년에는 기형종이 25 례, 태생암이 38례 (난황낭종: 21례)로 비슷한 발생빈도를 보였다. 그러나 2000년에는 기형종이 23례, 태생암이 10례 (난황낭종: 3례), 2001년에는 기형종이 33례, 태생암이 8례 (난황낭종: 2례), 2002년에는 기형종이 17례, 태생암이 10례 로 2000년 이후에는 기형종이 난황낭종을 포함한 태생암에 비해 많이 발생하였다 (Fig. 1). 이 통계 자료에서는 소아와 성인을 구분하지는 않았지만 성인에서 기형종이 단일조직 으로 발생하는 경우는 흔하지 않으므로 대부분이 소아에서 발생하였을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Pohl 등12이 미국과 캐나 다의 주요 4개 소아병원의 자료를 모아서 2004년에 발표한 결과를 보면 기형종이 48%, 난황낭종은 15%를 차지하였다.

저자들의 연구에서도 3개 대학병원 중 2개의 병원에서는 난황낭종이 기형종에 비해 더 많았지만, 3개 병원의 자료를 모두 합친 결과에서는 15세 미만 총 25명의 환자들 중 기형 종이 52%, 난황낭종이 40%로 기형종이 더 많았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보면 과거에 비해 기형종이 난황낭종보 다 점점 더 많이 발생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그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 확실치 않다. 고환종양 등록사업 자료에 있어서 문제점 중의 하나로 과학적인 증 거는 부족하지만 양성 종양의 경우에는 보고가 덜 되는 경 향이 있다는 주장이 있다.12,17 또한 양성 종양의 경우에는 지역병원에서 치료가 되고 좀 더 심하고 드문 경우들만 3차 병원 등으로 전원되는 경향이 있는데, 자료를 수집하는 과 정에서 3차 병원 등의 자료만 포함이 되고 지역병원 등에서 치료된 양성 종양의 경우에는 보고가 누락됨으로써 악성 종양의 발생빈도가 좀더 높게 보고되었을 가능성도 있

다.9,11,12 그리고 대한비뇨기과학회 수련병원 진료통계13

료에 의하면 비록 소아와 성인을 따로 구분하지는 않았지 만 기형종의 발생빈도는 매년 비슷한 정도로 보고되는 반 면 난황낭종을 포함한 태생암의 경우에는 점차 감소하고 있는 추세로 보인다. 따라서 기형종의 발생빈도는 비슷하 지만 난황낭종의 발생빈도가 감소하면서 기형종의 발생빈 도가 상대적으로 증가하고 있을 가능성도 생각할 수 있다.

물론 이 자료도 수련병원의 자료만을 조사하였다는 문제점 이 있다. 이러한 의문들에 대해서는 향후 수련병원뿐만 아 니라 종합병원까지도 포함하는 다기관 연구를 시행함으로 써 그 해답을 얻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기형종이 사춘기 전 소아에서 발생한 경우에는 전이가 보고된 적이 없으므로 고환적출술로 완치가 가능하다.2 또 한 최근에는 고환의 양성 종양에서 고환보존수술을 시도하 여 좋은 결과들을 보고하고 있다.9,18-20 따라서 과거에 비해 기형종의 발생빈도가 난황낭종에 비해 증가하고 있다면 근 치적 고환적출술보다는 고환보존수술을 좀더 시도하도록 노력해야 하리라 생각한다.

고환종양의 병리조직학적 분포는 소아에서는 성인의 경 우와 다르지만 사춘기가 되면 성인과 양상이 같아진다.5,21,22 저자들의 연구에서도 사춘기 이후 연령인 15-20세 환자들 5명에서는 사춘기 이전 환자들과는 전혀 다른 병리조직학 적 분포 (혼합 생식세포종양, 정상피종)를 보여 성인에서 발 생하는 고환종양과 유사하였다.

소아 고환종양의 예후에 관하여는 양성 종양이 25-30%

정도를 차지하며, 악성 종양인 경우에도 성인에 비하여 저 병기인 경우가 흔하고 전이의 빈도가 낮아서 예후가 양호

하다.1,2,6 저자들의 연구에서도 15세 미만 25명 중 stage III이

었던 난황낭종 1례를 제외하고는 모두 stage I이었고, stage III인 1례에서도 항암화학요법 시행 후 68개월의 추적관찰 기간 중 완전 관해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예후가 좋음을 알 수 있었다.

결 론

경기도에 소재하는 3개 대학병원에서 소아 고환종양으 로 치료를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분석하여 본 결과 소아 에서 발생한 고환종양은 예후가 좋았다. 15세 미만의 소아 고환종양의 병리조직학적 분포에 관하여는 3개 병원 중 2 개 병원에서는 난황낭종이 기형종에 비해 많았지만, 3개 병 원의 자료를 모두 합쳤을 때에는 기형종이 가장 흔하였다.

소아 고환종양의 병리조직학적 분포에 관하여는 향후 전향 적으로 다기관 연구를 통한 규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 다. 15-20세에 발생한 고환종양의 병리조직학적 분포는 성

(5)

인의 경우와 유사하였다.

REFERENCES

1. Kaplan GW, Cromie WC, Kelalis PP, Silber I, Tank ES Jr.

Prepubertal yolk sac testicular tumors—report of the testicular tumor registry. J Urol 1988;140:1109-12

2. Walsh C, Rushton HG. Diagnosis and management of teratomas and epidermoid cysts. Urol Clin North Am 2000;27:509-18 3. McKiernan JM, Goluboff ET, Liberson GL, Golden R, Fisch

H. Rising risk of testicular cancer by birth cohort in the United States from 1973 to 1995. J Urol 1999;162:361-3

4. Brosman SA. Testicular tumors in prepubertal children. Urolo- gy 1979;13:581-8

5. Weissbach L, Altwein JE, Stiens R. Germinal testicular tumors in childhood. Report of observations and literature review. Eur Urol 1984;10:73-85

6. Marshall S, Lyon RP, Scott MP. A conservative approach to testicular tumors in children: 12 cases and their management.

J Urol 1983;129:350-1

7. Ross JH, Rybicki L, Kay R. Clinical behavior and a contem- porary management algorithm for prepubertal testis tumors: a summary of the Prepubertal Testis Tumor Registry. J Urol 2002;168:1675-9

8. Kay R. Prepubertal Testicular Tumor Registry. J Urol 1993;

150:671-4

9. Metcalfe PD, Farivar-Mohseni H, Farhat W, McLorie G, Khou- ry A, Bägli DJ. Pediatric testicular tumors: contemporary inci- dence and efficacy of testicular preserving surgery. J Urol 2003;170:2412-6

10. Sugita Y, Clarnette TD, Cooke-Yarborough C, Chow CW, Wa- ters K, Hutson JM. Testicular and paratesticular tumours in children: 30 years' experience. Aust N Z J Surg 1999;69:505-8 11. Farivar-Mohseni H, Bägli DJ, McLorie G, Salle JP, Khoury

A. Prepubertal testicular and paratesticular tumours. J Urol 1996;155(Suppl):392A, abstract 325

12. Pohl HG, Shukla AR, Metcalf PD, Cilento BG, Retik AB, Bagli DJ, et al. Prepubertal testis tumors: actual prevalence rate of histological types. J Urol 2004;172:2370-2

13. The Korean Urological Association. Data on statistics of man- agement in resident training hospital in the Korean Urological Association: 1984-2002. Seoul: Eui-hak Publishing & Printing Co.; 2004;28-31

14. Hong CH. Introduction. In: Kang JI, Kang JM, Kang JH, Go YY, Go JM, Go CJ, editors. Pediatrics. 8th ed. Seoul: Daehan Printing and Publishing Co.; 2001;15-21

15. The Korean Society of Pediatric Urology. Pediatric Testicular Tumor Registry in Korea: 1997-2001. Korean J Urol 2004;45:

563-72

16. Lee KS, Kim KS, Lee SC. Testicular tumors in children: a review of 17 cases. Korean J Urol 1989;30:678-81

17. Gomez SL, Glaser SL, Kelsey JL, Lee MM. Bias in comple- teness of birthplace data for Asian groups in a population- based cancer registry (United States). Cancer Causes Control 2004;15:243-53

18. Rushton HG, Belman AB, Sesterhenn I, Patterson K, Mostofi FK. Testicular sparing surgery for prepubertal teratoma of the testis: a clinical and pathological study. J Urol 1990;144:

726-30

19. Valla JS, The Group D'Etude en Urologie Pédiatrique. Testis- sparing surgery for benign testicular tumors in children. J Urol 2001;165:2280-3

20. Shukla AR, Woodard C, Carr MC, Huff DS, Canning DA, Zderic SA, et al. Experience with testis sparing surgery for testicular teratoma. J Urol 2004;171:161-3

21. Grapin C, Boyer C, Gruner M. Tumors of the testis in children.

J Urol (Paris) 1994;100:8-16

22. Schneider DT, Calaminus G, Koch S, Teske C, Schmidt P, Haas RJ, et al. Epidemiologic analysis of 1,442 children and adolescents registered in the German germ cell tumor proto- cols. Pediatr Blood Cancer 2004;42:169-75

참조

관련 문서

Despite intensified treatments for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HNSCC), patients still have a high risk of recurrence or second primary tumors occurring within or in

The Delhi Population Based Cancer Registry data during the period 2003-2007 were used to describe the epidemiology of primary malignant brain and central nervous system

Background: This study analyzed 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End Results (SEER) data to assess if socio- economic factors (SEFs) impact on endometrial cancer survival..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0 samples of gastric adenocarcinoma and 10 of normal tissues from Sari hospital were selected and after DNA extraction from tissues,

The programme used visual inspection of cervix after acetic acid application (VIA) as a screening tool, nurses in the primary care centres as the primary screeners and

erature; epidermal tumors (including basal cell tumor and squamous cell carcinoma) and adenexal tumors (including tri- cholemmoma, trichoblastoma, pilomatricoma, sebaceous

Methods: Whole-skin samples were obtained from the backs of Rex rabbits at 0, 2, 4, 6, and 8 weeks of age, the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primary and secondary HFs was observed,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cyclic intravenous treatment with an aminobisphosphonate, pamidronate in cases of primary osteoporosis.. Methods: Eighteen pat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