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동물은 그 서식장소에 따라 수생동물(aquatic animal)과 육생 동물(terrestrial animal)로 분류한다.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 동물은 그 서식장소에 따라 수생동물(aquatic animal)과 육생 동물(terrestrial animal)로 분류한다. "

Copied!
9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I. 수생동물과 그 생활환경

˚ 동물은 그 서식장소에 따라 수생동물(aquatic animal)과 육생 동물(terrestrial animal)로 분류한다.

˚ 수생동물은 스스로 자기 체온조절이 불가능한 변온동물로서, 환 경의 변화에 매우 민감하다.

˚ 따라서 수의사는 수생동물의 질병을 이해하고 진료함에 있어서,

동물의 환경과 정상적인 생활상태에 관한 지식이 꼭 필요하다.

(2)

What is aquatic animal medicine?

Aquatic animal medicine is a young specialty of veterinary medicine that includes medical care of marine mammals, sea turtles, fishes and aquatic invertebrates. There are broad sub-specialties within aquatic medicine which include care of captive marine mammals, care of pet fishes, zoo and aquarium species, aquaculture medicine, and clinical research involving free-ranging aquatic

species. Specialty training incorporates aspects of clinical medicine, wildlife health,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Aquatic animal health specialization requires substantial training and experience beyond the four year veterinary degree, and may include graduate school, internships, and in some cases, residency training. Currently, there is a specialty certificate in aquatic medicine which can be earned through board certification by the American College of Zoological Medicine. There is also a certificate in fish pathology which can be earned through the American Fisheries Association.

(3)

What is aquatic animal?

An aquatic animal is an animal, either vertebrate or invertebrate, which lives in water for most or all of its life.

Natural environments and the animals that live in them can be categorized as aquatic (water) or terrestrial (land). Animals that move readily from water to land and vice versa are often referred to as amphibious.

The term aquatic can in theory be applied to animals that live in either freshwater or saltwater.

However, the adjective marine is most commonly used for animals that live in saltwater, i.e. in oceans, seas, etc.

Aquatic animals (especially freshwater animals) are often of special concern to conservationists because of the fragility of their environments. Aquatic animals are subject to pressure from overfishing, destructive fishing, marine pollution and climate change.

(4)

•나무에 사는 물고기도 있다네 *

- 서양 서안 홍수림서 `킬리피시` 발견 -

물고기가 물을 떠나 나무에서 사는 일이 가능할까. 나무에서 사는 물고기를 물고기라 불러야 할지는 의문이지만 물과 나무를 오가며 사는 물고기가 존재하는 것은 사실이다.

최근 뉴사이언티스트지 보도에 따르면 대서양 서안 맹그로브 숲(홍수림)에 서식하는 한 물고기는 가뭄으로 물이 마 르면 습기가 찬 나무 구멍 속에 들어가 물이 다시 찰 때까지 몇 달씩 생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물고기는 송사리과에 속하는 맹그로브 킬리피시(학명 Kryptolebias Marmoratus)로 평소에는 홍수림의 뿌리 주 변에 고이는 물 웅덩이에 살다가 물이 마르면 썩은 나무에 나 있는 축축한 벌레 구멍 속으로 터전을 옮긴다.

캐나다 사이먼 프레이저 대학 연구진에 따르면 이 킬리피시는 먹이와 짝짓기에 불리한 환경 속에서 생존과 번식을 위 해 아가미를 개조하고 단성생식(parthenogenesis; 자웅동체 hemaphrodite)으로 번식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몸무게가 0.1g에 불과할 정도로 아주 작은 이 물고기는 지금까지 발견된 최초 무성생식 등뼈동물이다.

성체가 된 킬리피시는 난정소라는 생식기관을 통해 난자와 정자를 모두 배출해 체내에서 자가수정하고 체외로 수정 란을 배출해 어린 성체를 부화시키는 방법으로 종족을 번식시키고 있다.

이들 킬리피시는 마치 콩깍지 속의 콩알처럼 썩은 나무 속 벌레구멍을 가득 채우며 살아간다. 이들은 평소 물 속에서는 영역다툼을 하지만 나무 속에 살 때는 공격성이 크게 줄어 서로 최대한 인내하며 공존하는 특성을 보인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물 밖에 드러난 나무에 살게 되면서 이들의 생리에도 변화가 생겼다.

캐나다 겔프대학 연구진은 앞서 킬리피시들이 물과 영양분을 비축할 수 있도 록 아가미를 개조하고 질소 폐기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피부에 새로운 단백질 을 형성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처럼 극적인 생리적 변화 과정 속에서도 이 물고기들은 비교적 일정한 대사 율을 유지하며 물로 돌아오면 원래 상태를 회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킬리피시는 브라질에서부터 플로리다까지 광범위한 지역에 서식하고 있는데 이들의 무성생식 방식이 서식지 개척에 매우 유리했기 때문인 것으로 연구진 은 보고 있다.

(5)

I-1. 수생동물의 종류

1.서식장소에 의한 구분

1) 담수동물 (fresh water animal)

하천, 호수, 온천 등의 담수역 (내수면이라고 도 함)에 서식하는 동물

2) 기수동물 (brackish water animal)

담수와 해수가 섞여지는 하구(estuary)나 호 수에 서식하는 동물 (숭어, 문절망둑, 바지락 등) 3) 해수동물 (marine animal)

연안, 해양, 해저 등 해수 중에 서식하는 동물

(6)

2. 생활양식에 의한 구분

1) 부유동물 (plankton)

수중에서 서식하는 동물성플랑크톤으로 수류, 조류, 바람에 의해 수동적으로 이동하며 생활 (연체, 환형, 절족동물의 유생)

2) 유영동물 (nekton)

자신의 운동기관으로 자유롭게 (육상 또는 공 중도) 이동하며 생활 (두족류, 갑각류, 어류, 양서류, 파충류, 수생조류, 수생포유류)

3) 저생동물 (benthos)

물 밑 바닥에서 주로 생활 (패류 등)

(7)

Plankton are any drifting organisms (animals, plants, archaea, or bacteria) that inhabit the pelagic zone of oceans, seas, or bodies of fresh water. That is, plankton are defined by their ecological niche rather than phylogenetic or taxonomic classification.

They provide a crucial source of food to larger, more familiar aquatic organisms such as fish and whales

Nekton refers to the aggregate of actively swimming aquatic organisms in a body of water (usually oceans or lakes) able to move independently of water currents. Nekton are contrasted with plankton which refers to the aggregate of passively floating, drifting, or somewhat motile organisms occurring in a body of water, primarily comprising tiny algae and bacteria, small eggs and larvae of marine organisms, and protozoa and other minute predators.

Benthos is the community of organisms which live on, in, or near the seabed, also known as the benthic zone. This community lives in or near marine sedimentary environments, from tidal pools along the foreshore, out to the continental shelf, and then down to the abyssal depths.

(8)

3. 용도에 의한 구분

˚ 사람을 중심으로 한 관점에서 수생동물은 유용, 무용, 유해한 동물로 구분되며, 유용한 동물은 다음과 같이 세분된다.

˚ 유용한 동물 중에도 유해한 동물이 적지 않으므로 수생동물은 공중 위생학의 중요한 대상이다.

1) 식용동물

사람에게 동물성 단백질을 공급하는 중요한 식량자원

(조개, 게, 새우, 오징어, 해삼, 우렁쉥이, 각종 어류, 개구리, 자라,

고래 등)

(9)

2) 애완(관상)용 동물

개인의 취미에 따라서 사육이 가능한

수생동물 (비단잉어, 금붕어, 자라, 도마뱀 등) 3) 전시용 동물

동물원이나 수족관 등에서 관람을 목적으로 사육되는 수생동물 (열대어나 돌고래 등 모든 수생동물이 대상)

4) 장식품용 동물

장식용이나 보석 등으로 가공 사용되는 수생동물 (진주조개, 전복, 악어 등)

5) 유희용 동물

낚시와 같이 게임을 목적으로 이용

되는 수생동물(붕어, 잉어, 연어 등)

(10)

6) 실험용 동물

생리실험, 약품의 독성실험, 환경 독성실험에 사용되는 수생동물 (개구리, 잉어, 송사리, 구피 등)

7) 약용동물

동양의학에서 한약제조에 사용되거나, 동물의 특수성분을 약품에

가공 이용하는 수생동물 (잉어, 자라, 미꾸라지, 거머리, 게 등)

(11)

'사람의 각질을 먹는다'는 '닥터피시'

체험 열기가 찜질방, 테마파크, 온천뿐 아니라 카페에까지 퍼 진 것. 닥터피시 체험장을 설치한 업체들은 "각질 제거, 마사 지 효과는 물론 아토피성 피부염(atopic dermatitis)이나 건 선(psoriasis) 등의 피부 질환에 효능이 있다"고 대대적으로 홍보하고 있다.

'닥터피시'는 37℃의 온천에서 서식하는 잉어과의 물고기.

터키 터어키의 캉갈 온천에 서식하는 '캉갈피시(학명 가라루 파·Garrarufa)'를 일컫는다. 물 속에서 사람의 피부를 핥는 짓을 통해 아토피 등 피부질환을 치료한다고 해서 '닥터피시 (의사 물고기)'로 불리게 됐다. 현재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 스 등에서 대체 의학용으로 쓰인다

하지만 국내에 들어와 있는 '닥터피시'는 대부분 '중국산 짝 퉁'으로 중국의 친친어(親親魚·'뽀뽀하는 물고기'라는 뜻)다.

"친친어는 의학적으로 효능이 검증된 바가 전혀 없고, 유럽 어느 나라에서도 피부 테라피에 사용하지 않는다"며 "닥터피 시는 오직 캉갈피시 한 종뿐"이라고 말했다. 업체들이 친친 어를 닥터피시로 소개하면서 '아토피 등 피부 질환을 치료한 다'고 홍보하는 것은 명백한 과장 광고라는 주장이다.

캉갈피시는 잉어과에 속하고, 친친어는 농어목 시클리드과 에 해당한다. 캉갈피시는 빨판형의 입을 통해 피부를 빨아먹 지만, 친친어는 돌출된 형태의 입으로 피부를 쪼아서 각질을 먹는다.

대다수 전문가들은 닥터피시의 치료 효능에 의문을 표시한 다. “물의 상태가 청결하지 못한 경우 물고기가 각질을 뜯어 먹는 과정에서 상처가 생기면 그 상처에 세균에 오염된 물이 들어가 치료는커녕 병만 얻게 될 수 있다"고 했다.

(조선일보 ; 2007. 1.12) 터키산 캉갈피시(위)와 중국산 친친어.

/닥터피시 주식회사 제공

(12)

미국이 지난 30년 동안 수중 기뢰(submarine mine)를 찾는 데 돌고래와 바다사자 등 해양 동물을 투입해 상당한 성과를 거뒀다 고 AP통신이 13일 보도했다.

미 해군은 특히 돌고래와 바다사자를 여러 전투에 투입해 큰 재 미를 봤으며, 현재 샌디에이고의 포인트 로마 기지에서만 돌고래 75마리, 바다사자 25마리를 훈련시키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돌고래와 바다사자는 수중에서 후각.청각.시각이 모두 뛰어나 기 뢰 찾기에 제격이다. 특히 사람은 물론 로봇조차 들어가 활동하 기 힘든 수심 200m까지 잠수할 수 있다.

통신에 따르면 기뢰를 찾도록 동물을 훈련하는 일은 생각보다 간 단하다. 동물에게 기뢰를 보여줄 때마다 먹이를 준다. 그러면 동 물은 다시 먹이를 얻을 기대감으로 수중에서 기뢰를 찾아낸다.

이런 훈련을 반복적으로 받은 동물은 기뢰를 발견하면 특이한 초 음파를 보내게 된다. 그러면 군인들이 바다 위 선박이나 수중 잠 수함에서 특수 장비로 이 초음파를 포착해 수뢰 위치를 확인하는 것이다. 돌고래의 경우 지능지수(IQ)가 70~90으로 인간으로 치 면 다섯 살 아이와 비슷할 정도로 머리가 좋다.

(중앙일보, 2007.4.14)

기뢰 찾기 특수임무 `척척`

돌고래·바다사자 쇼만 하는 줄 알았더니 …

미 해군서 100마리 훈련 기뢰 찾으면 초음파 보내

(13)

어린이들을 태워주는 야생 돌고래가 화제가 되고 있다고 8일 뉴질랜드 언론들이 보도했다.

수영을 즐기는 어린이들 사이에 돌고래 한 마리가 함께 있다. 아이들을 태우고 수영을 하기도 한다. 현지 TV가 “디즈니 여름 블록버스터의 한 장면 같다”고 평한 이 이색적인 장면의 주인공은 모코라는 이름 의 돌고래.

뉴질랜드 기즈번 남쪽에 있는 마히아의 해변에 나타난 이 돌고래는 작년 8월부터 목격되기 시작했다. 올 여름 돌아온 모코는 더욱 친절하고 사교적이다.

어린이들은 물론 어른들과도 서로 껴안은 채 수 영을 즐기는 돌고래 모코는 지역 신문 및 방송 등에 소개되었으며 많은 관광객들이 돌고래를 보기 위해 이 지역을 찾고 있다고 언론은 전했다.

돌고래와 함께 수영을 즐긴 경험을 한 지역 주민 및 관광객들은 “돌고래가 너무나 사랑스럽다”

면서 놀라움을 표시했다. 돌고래가 사람을 위해 자신의 등을 내주기도 하며, 지느러미를 잡은 채 수영을 할 수도 있다는 것이 지역 주민의 설명.

또 모코가 사람들이 주는 먹이도 잘 받아먹고 있 다고 언론은 덧붙였다.

과학자들은 이런 일이 대단히 희소하다고 평했 다. 그러나 일부 동물 전문가들은 이 돌고래가 공격적으로 변하거나 질병을 옮길 수도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사진 : 천사돌고래 ‘모코’의 모습 / 뉴질랜드 언 론 보도 화면)

영화 속 한 장면 ? 어린이들 태워주는 돌고래 화제

(14)

4. 계통분류학에 의한 구분

(15)

* 동물의 계통수 (dendrogram)*

(16)

Domains of Life

For many years, living organisms were divided into two kingdoms: Animalia (animal) and Plantae (vegetable). In the 1800s, scientists realized these two kingdoms could not adequately express the diversity of life. Since the 1960s, the most widely used scheme for classifying life consists of five kingdoms. This "kingdom scheme" has co-existed with another classification of living organisms based on cell complexity:

•Eukaryotes: Complex cells with organized structures inside called "organelles" (e.g., nuclei, mitochondria, chloroplasts).

Protists, Fungi, Plants, and Animals are examples

•Prokaryotes: Simple cells without organelles. Bacteria, for example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bacteria are far more diverse than previously thought. Thus Prokaryotes are now divided into two domains: Bacteria and Archaea; these are as different from each other as either is from the Eukaryotes.

Viruses are fourth group of biological entities, although not organisms in the same sense as Eukaryotes, Archaeans, and Bacteria. However, they are of considerable biological importance and, like bacteria, help cycle organic matter in the marine food web.

(17)

The Classification of animals

The science of classifying organisms is called taxonomy.

In order to study living things, scientists classify each organism according to its:

Kingdom-Phylum-Class-Order-Family-Genus-Species

In biology, kingdom is a taxonomic rank, which is either the highest rank or in the more recent three-domain system, the rank below domain. Kingdoms are divided into smaller groups called phyla (in zoology) or divisions in botany.

The complete sequence of ranks is life, domain, kingdom, phylum, class, order, family, genus, and species.

Currently, textbooks from the United States use a system of six kingdoms (Animalia, Plantae, Fungi, Protista, Archaea, Bacteria) .

British textbooks may describe five kingdoms (Animalia, Plantae, Fungi, Protista, and Prokaryota or Monera).

(18)

1. Kingdom

1) Animalia ; which is made up of animals 2) Plantae ; which is made up of plants

3) Protista ; which is made up of protists (single-celled creatures invisible to the human eye) 4) Fungi ; which is made up of mushrooms, mold, yeast, lichen, etc

5) Monera : which is made up of the three types of bacteria 2. Phylum - Kingdom Animalia

1) Chordata ; which contains all animals with backbones (fish, birds, mammals, reptiles, amphibians) 2) Arthropoda ; insects, spiders, crustaceans

3) Mollusca ; snails, squid, clam 4) Annelida ; segmented worms

5) Echinodermata ; starfish, sea urchin 3. Class – Phylum Chordata

1) Aves (birds) 2) Reptilia (reptiles) 3) Amphibia (amphibians)

4) Mammalia (mammals) and several others.

4. Order - Class Mammalia

- Rodentia (mice, rats), Primates (Old- and New-World monkeys), Chiroptera (bats), Insectivora (shrews, moles), Carnivora (dogs, cats, weasels), Perissodactyla (horses, zebras), Artiodactyla (cows), Proboscidea (elephants) and many more.

5. Families - Order Carnivora

- Canidae (dogs), Felidae (cats), Ursidae (bears), Hyaenidae (hyaenas, aardwolves), Mustelidae (weasels, wolverines), and many more.

6. Genus - Family Felidae

- Acinonyx (cheetah), Panthera (lion, tiger), Neofelis (clouded leopard) and Felis (domestic cats).

7. Species - Genus Panthera

- Panthera leo (lion) and Panthera tigris (tiger).

(19)

The kingdom Animalia contains approximately forty phyla.

The largest and most commonly studied phyla of animals are:

1) Porifera (sponges)

2) Cnidaria (jellyfish, hydras, sea anemones, Portuguese man-of-wars, and corals) 3) Platyhelminthes (flatworms, including planaria, flukes, and tapeworms)

4) Nematoda (roundworms, including rotifers and nematodes)

5) Mollusca (mollusks, including bivalves, snails and slugs, and octopuses and squids) 6) Annelida (segmented worms, including earthworms, leeches, and marine worms) 7) Echinodermata (including sea stars, sea cucumbers, sand dollars, and sea urchins) 8) Arthropods (including arachnids, crustaceans, millipedes, centipedes, and insects) 9) Chordata (animals with nerve chords - this group includes the vertebrates)

(20)

Kingdom Nr. of species Bacteria... 4,000 Protoctists (algae, protozoa, etc)... 80,000 Animals, vertebrates... 52,000 Animals, invertebrates... 1,272,000 Fungi... 72,000 Plants... 270,000

Total number of described species... 1,750,000 Possible nr. with unknown species: 14,000,000

from the United Nations publication: UNEP-WCMC (2000). Global Biodiversity:

Earth's living resources in the 21st century. Cambridge, World Conservation Press.

(21)

Nomenclature, classification and identification

In biological science, at least, nomenclature is regarded as a part of taxonomy. Taxonomy can be defined as the study of classification including its principles, procedures and rules,while classification itself is the ordering of taxa (the objects of classification) into groups based on similarities and/or differences.Doing taxonomy entails identifying, describing and naming taxaso nomenclature, in this strict scientific sense, is that branch of taxonomy concerned with the application of scientific names to taxa, based on a particular classification scheme and in accordance with agreed international rules and conventions.

Identification determines whether a particular taxon (singular of taxa) is identical to another one that has already been classified and named – so classification must precede identification.As taxa are rarely strictly identical, but only treated as such for the purposes of the classification, this procedure is sometimes referred to as “determination".

The formal system of naming species of living things is called binomial nomenclature (especially in botany, but also used by zoologists), binominal nomenclature (since 1953 the technically correct form in zoology), or binary nomenclature. This system of naming was invented by Linnaeus. The up-to-date version of the rules of naming for animals and plants are laid out in the International Code of Zoological Nomenclature and the International Code of Botanical Nomenclature respectively.

The essence of the binomial system of naming is this: each species name has two parts, the genus name and the species name (also known as the specific epithet), for example, Homo sapiens, which is the scientific name of the human species. Every two-part scientific name is either formed out of (modern scientific) Latin or is a Latinized version of words from other languages.

(22)

1) Protozoa (phyla: protozoa)

Protozoa are simple, single-celled animals. They are the smallest of all animals. Most protozoa are microscopic in size, and can only be seen under a microscope. However, they do breathe, move and reproduce like multicelled animals.

There are several types of protozoa. The amoebas are clear, shapeless cells. Flagellates have a body shape looking like a hair.

Although we can't see them, protozoa do a lot for us. Protozoa play a useful role in the food chain as a source of food for fish and other animals. Some protozoa are helpful to humans by eating

dangerous bacteria. Unfortunately, other protozoa are parasites and can be harmful to humans by transmitting disease.

Protozoa eat tiny algae and bacteria. Some protozoa absorb food through their cell membrane.

Others surround and engulf their food or have openings to collect food.

They digest their food in stomach-like compartments called vacuoles.

Protozoa take in oxygen and give off carbon dioxide through the cell membrane. Protozoa reproduces by splitting in half.

(23)

1) 무척추동물(invertebrate) 1. 원생동물

원생동물문 Protozoa : 단일세 포로 구성

- 편모충강 (flagella), 육질강 (amoeba), 포자충강 (sporozoa), 섬모충강 (cilia)

2. 해면동물

해면동물문 Porifera : 최하등의 후생동물,

고착성, 방사상 대칭

(24)

1) 해면동물문(Phylum Porifera) - 해면(여과섭식자, 암수한몸, 운동 성 없음)

몸은 원통형이고, 위강

(spongocoel) : 중심강(central cavity)이 있으며, 끝에 대공 (osculum)이 있다.

소공세포(porocyte) : 물을 위강으 로 들어가게 하는 역할

위층(안쪽벽)은 편모를 갖는 동정세 포(choanocyte, collarcell)로 되어 있다.

→ 수류를 일으켜 바닷물을 소공세 포로 들어오게 함(물 : 산소와 먹이 제공)

동정세포 : 소공세포를 통해 들어온 물을 점액성 분비물을 통해 유기물 포획

→ 식세포작용(phagocytosis)을 통 해 유입 → 식포(food vacuole) 속 에서 소화

(25)

3. 강장동물, 유즐동물

a. 강장동물문 Coelenterata : 정형의 조직, 기관과 소화강을 갖는 진 정후생동물 (Eumetazoa). 고착성인 폴립 (polyp ; 산호, 말미잘)과 유영성이며 양성생식을 하는 해파리 (medusa)가 있다.

- 히드로충강 (해파리), 발충강, 화충강 (말미잘, 산호)

b. 유즐동물문 Ctenophora : 2축의 방사상 대칭의 삼배엽성 동물

(sea gooseberry)

(26)

* Cnidarians (corals, anemones, jellyfish) *

(27)

TISSUES AND THE RADIAL PLAN PHYLA CNIDARIA AND CTENOPHORA 후생동물 - 좌우대칭 또는 방사대칭

(1) 자포동물문(강장동물문으로 분류 ; Phylum Cnidaria) - 둬은 막으로 된 동물 히드로충류, 해파리류, 산호충류, 말미잘 등이 포함

대부분 조직단계로 구성(기관 - 촉수)되어 있으나 몇몇은 기관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 종의 촉수는 자세포(cnidocyte; 자포(nematocyst) 발사)라는 쏘는 세포로 무장 위수강(gastrovasoular cavity) : 주머니 모양의 장으로 소화와 순환기능 수행

신경계는 중심화하지 못해 신경망(nerve net) 형태(신경전도는 일방통행)

→ 감각세포로부터 충격을 받으면 수축세포와 자세포에 전하여 반응 성체 : 폴립형(polyp) - 고착성, 메두사형(medusa) - 헤엄쳐 다님

⇒ 일부 자포동물에서는 폴립형과 메두사형이 세대교번 중 나타남 (모두 2배체 - 식물 세대교번과의 차이점)

①히드로충강(Class Hydrozoa) : 히드라(무성출아로 생식, 유성생식은 상황이 나쁠 때 만)

대부분 폴립상태이며 조밀한 군체 형성 출아에 의한 무성생식

(일부 폴립들은 유성생식에 특수화되어 정자와 난자를 형성하는 메두사형을 만듬) 섬모운동에 의해 먹이 흡수

히드라 : 꽃병과 간은 모양으로 개체상태이며, 몽이 대단히 작고 가늘며, 대부분 길이가 3cm, 메두사형단계와 플라눌라 유생단계가 없다.

(28)

②해파리강(Class Scyphozoa)

대부분 유영의 메두사형 단계이며, 생활사는 히드로충류와 반대 몸이 종 모양이고 촉수로 둘러싸여 있으며, 밑면 중앙에 입이 있다.

보통 떠다니지만 근육섬유의 수축에 의해 유영도 할 수 있음

암수딴몸이며 체외수정 → 유영하는 플라눌라 유생이 발달되면 곧 바다 바닥의 암석에 착성하게 되고, 히드라와 비슷한 작은 폴립인 스키피스토마(scyphistoma)로 변함

→ 스피키스토마가 계속 분열하여 어린 해파리 방출

③ 산호충강(Class Anthozoa) : 산호, 말미잘

폴림형, 출아에 의한 무성생식으로 새로운 폴립 생성

cf. 유성생식 - 암컷과 수컷 폴립이 각각 정자, 난자를 만들어 물 속에서 수정

→ 접합체는 유영성 풀라눌라로 발달

산호 : 촉수로 먹이를 섭취할 수 있었으나 대부분 열대 산호는 광합성 공생조류가 영양공급

(2) 유즐동물문(Phylum Ctenophora) - 빗해파리류 방사대칭이며 발광성 생물 - 자세포가 없다.

자포동물과 달리 섬모가 함쳐져 만들어진 8줄의 즐판대(comb row; 운동성 부여)를 가짐 촉수에는 자세포 대신 아교세포(glue cell)로 무장 → 먹이를 유혹해 함정에 빠뜨림

(29)

4. 편형동물, 중생동물

a. 편형동물문 Platyhelminthes : 좌우대칭,두부분화, 중배엽의 기관 - 와충강, 흡충강 (flukes), 조충강 (tapeworms)

b. 중생동물문 Mesozoa

5. 유형동물, 곡형동물, 부형동물

a. 유형동물문 Nemertinea : 좌우대칭의 긴 띠 모양, 관상의 소화관, 자웅이체 b. 곡형동물문 Kamptoza : 해저에 착생하는 소태상 동물

c. 부형동물문 Aschelminthes : 좌우대칭, 원통형 또는 실 모양

- 윤형강 (rotifers), 복모강, 선형강 (round worms), 유선형강,

동문강, 새예강, 구두강 (spiny-headed worms)

(30)

2) Annelids (phyla: Annelida); worms and leeches

There are about 9,000 species of Annelids known today, including worms and leeches. They can be found almost anywhere in the world. Annelids have existed on Earth for over 120 million years.

Annelids have bodies that are divided into segments. They have very well-developed internal organs. One common characteristic of annelids is that they don't have any limbs.

Some annelids may have long bristles. Others have shorter bristles and seem smooth, like the earthworm shown here.

There are many types of worms. Commonly known worms include earthworms, roundworms and flatworms. Most worms are small, measuring fractions of an inch to several inches long. Other worms, such as the ribbon worm, can grow up to 100 feet in length. Some worms are considered parasites, in that they live inside the human body.

(31)

BODY CAVITIES, A ONE-WAY GUT, AND PHYLA NEMATODA AND ROTIFERA

대부분의 동물들은 좌우대칭으로의 전화와 함께 두화(cephalization; 동물들이 머리 와 꼬리 부분을

갖추게 됨, 머리 부근의 끝은 음식물, 빛, 소리 등의 자극을 감지하기 위한 감각구조 장치 → 신경세포들이 머리 끝에 집중되고 뇌의 진화는 가속화) 경향을 갖음

(1) 3배엽의 배(Three-Layered Embryo)

자포동물과 유즐동물을 제외한 모든 후생동물은 중배엽(mesoderm)을 갖음(3배엽 동물)

3배엽 : 외배엽 - 신경계의 기원

내배엽 - 분비선, 장, 혈관 등의 안족 벽과 호흡 생식계 안쪽 벽의 기원 중배엽 - 근육 형성, 척추동물에서는 내골격과 혈액 형성에 관여

(2) 편형동물문(Phylum Platyhelminthes) - 편형동물 좌우대칭 → 앞쪽 끝과 뒤쪽 끝이 있다.

몇 개의 기관계를 갖는다.

3배엽 동물에는 중배엽에서 기원한 조직에 근육과 그와 연합된 유조직세포 (parenchyma cell)가 있다.

호흡계와 순환계가 없다(대부분의 세포들이 몸 표면에 근접해 있어 대상 필요한 충분 한 가스가

세포 사이로 쉽게 확산)

기생성 종들은 신경계와 소화계가 거의 퇴화했거나 존재하지 않음

다른 3배엽 동물과 달리 장과 체벽 사이에 내부 강소가 없다 → 무체강 동물

(32)

① 와충강(Class Turbellaria) : 자유 생활 편형 동물

ex) 플라나리아(planaria

Dugesia

)

기관계 발달, 신경계는 중심화 집중화 현상 → 앞 쪽끝에 집중되어 커다란 신경절

(gangia)과 안점(eyesport)이 있다. 두 개의 복 신경

(ventral nerve)이 몸의 길이를 따라 뻗어있고 수많은 작은 신경절로부터 나온 가지들이

사다리 같이 배열

포식자이며 부식성 동물 → 점액질층에 먹이를 가두고 근육질의 인두(pharynx)로 섭식

⇒ 위수강 속에서 소화되기도 하고, 식세포 작용 을 통해 소화되기도 함

원신관(protonephridium) - 민물산 편형동물 의 삼투조절(몸 속의 물과 이온의 평형 유지)을 담당하는 불꽃세포계

암수한몸이며 무성생식과 유성생식 방법 모두 사 용

플라나리아는 작은 성체로 직접 발생하지만, 많 은 해산와충류는 성모난 유생단계를 거친다.

(33)

② 흡충강(Class Trematoda) : 흠충

기생성이며 섬모가 없고, 위수강이 분지되지 않아 관 모양의 두 부분으로 나뉨 흡반(구흡반, 복흡반)은 숙주의 조직에 부착할 때 사용

많은 종류의 동물에 침입하여 아가미, 허파, 간, 소화관등 여러부분에 그들의 집 마련 간흡충(

Chlonorchis inensis

)의 생활사

1. 사람 : 유성생식에 의해 미라시디아(miracidia)를 품는 알집 발생

→ 미라시다아는 배설물을 통해 1차 숙주를 떠남 → 배설물을 먹은 달팽이 감염 2. 달팽이 : 스포로시스트(sporocyst) 형성

→ 무성생식에 의해 수 많은 레디아(redia) 형성

→ 헤엄칠 수 있는 세르카리아(cercaria) 형성 → 물고기에 부착

3. 물고기 : 근육 속에 구멍을 파고 들어가 포낭 형성 → 1착 숙주가 물고기를 먹음

→ 메타세르카리아(metacercaria)가 창자에서 부화 → 간으로(생활사 반복)

③ 촌충강(Class Cestoda) : 촌충

소화강이 없으며 체벽을 통해 숙주의 소화된 음식을 직접 흡수

(촌충류의 가장 바깥 막은 고도의 주름으로 되어 있어 표면적을 넓게 한다) 숙주 동물에 큰 해를 주지 않음

편절(proglottid) : 출아법을 통해 생성 완전한 생식단위로 난소, 정소 그리고 수컷과 암컷의 교접 기구 모두 보유 교차수정과 편절간의 자가수정 또는 편절 내 자기수정도 발생

(34)

(3) 유형동물문(Phylum Nemertina, Thynchocoela) - 유형동물

자유생활을 하느 해산 포식자

내부에 체강이 없으며(무체강 동물) 몸에 섬모가 있다.

삼투조절에 불꽃 세포 이동

한쪽에는 입을 그리고 다른 한쪽에는 항문 을 갖는 작은 관과같은 장(gut)을 갖는다.

체강과 한 방향의 장(두번째 진화적 발달) - 선형동물과 윤형동물문한 방향으로 잘 발달 : 입, 장, 항문을 갖는 소화관을 갖춤 (장이 체벽내에 있기 때문)

체강동물(coelomate) : 체강(coelom; 관 들 사이의 공간)이 있는 동물

진체강 - 중배엽으로부터 유래된 조직으 로 싸여 있으며, 이 조직을 복막

(peritoneum)이라함

의체강(pseudocoelom) - 몸 속의 강소 가 부분적으로만 중배엽성 조직과 접해 있 는 경우

ex) 선형동물문, 윤형동물문

(35)

(1) 선형동물문 (Phylum Nematoda)-회충, 선모충

좌우대칭, 뚜렷한 머리는 없고 몸은 유연성있는 강한 각피로 둘러싸임

유체골격(hydrostatic skeleton) : 액체로 채워진 의체강으로 동물의 형태를 유지시켜 고 착 근육운동을 위한 지지체 역할을 한다.

① 회충 : 돼지와 사람이 숙주이며 암수딴몸, 중간숙주는 없다.

가늘고 원통형이며 통상양쪽 끝이 더욱 가늘다. 숙주의 장에서 기생하며 알은 배설물을 통 해 밖으로 나감 → 유생은 작은 창자에서 부화 → 창자벽을 통해 혈류를 타게됨 단백질 소화 효소인 트립신을 중화할 수 있어 장 속에서 생존가능

② 선모충 : 돼지, 집쥐, 사람이 숙주

오염된 고기에 의해 감염 → 포낭으로된 유생은 창자의 벽에 구멍을 파고 그곳에서 성숙 생 식 → 림프 경로를 통해 이주

(2) 윤형동물문(Phylum Rotifera)

기생성이 아니다. 머리 부근에 있는 두 쌍의 섬모환을 사용하여 섭식 → 식도나 모래주머니 속에서 잘게 부서진다.

원신관을 갖는다 ⇒ 진짜 배설계를 형성하여 질소노폐물을 배설하고 삼투조절의 문제를 해 결한다.

유성생식하는 윤형동물의 암컷 ⇒ 무성생식으로 여러 세대를 거침(단위생식)

→ 난은 감수분열하지 않기 때문에 2배체로 존재 → 2배체의 알이 분열하여 많은 암컷 발생 환경의 자극 : 감수분열에 의해 반수체 난 형성

→ 수정되지 않을 경우 수컷 발생 → 반수체 난과 정자 수정 → 두껍고 저항력 강한 접합자 형성 → 환경이 적당해지면 암컷으로 발생

※ 수컷 역할은 단순하지만 가끔 일어나는 유전자 유입을 통해 집단의 유전적 다양성 부가

(36)

6. 환형동물

환형동물문 Annelida : 체절구조 (metamerism), 중배엽 상피의 진정체강, 근육, 신경,순환, 배출, 생식계를 가짐, 자웅이체의 난생 - 원시환충강, 다모강 (갯지렁이; lugworm), 빈모강

(common earthworm), 거머리강 (leeches), 흡구충강

7. 성구동물, 촉수동물

a. 성구동물문 Sipunculoidea : 좌우대칭의 원통형, 바다에 서식 b. 촉수동물문 Tentaculata : 촉수가 있는 구상돌기, 3등분된 체강

8. 여러 가지 소동물

a. 모악동물문 Chaetogonatha : 소형, 원통형의 해산부유동물 b. 반색동물문 Hemichordata : 원통형의 3등분된 좌우

대칭 구조를 갖는 저상동물 c. 유조동물문 Onychophora : 간단한 눈과 촉각을 가짐 d. 완보동물문 Tardigrada : 통상 수생의 현미경적 동물 방추형

e. 설형동물문 Pentastomida : 포유류나 파충류의 기생동물

(37)

구더기·거머리… ‘난치병 해결사’ 귀한 몸

구더기·돼지의 편충·거머리·물고기 등 생물체를 이용한 치료법이 현대 의학에서 부상하고 있다. 민간 요법이나 고대 의술에서 쓰이다 그 효 과가 검증된 데 따른 것이다. 일부 온천에서 도입해 널리 알려진 잉어 과 물고기 ‘닥터 피시(Doctor Fish)’로 건선(乾癬)같은 피부병을 치 료하는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 구더기

세균에 감염된 지저분한 상처를 치료하는 ‘구더기 요법’은 전 세계적으로 2000여 의료기관 에서 시행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최근 10여 개의 대학병원이 이를 도입했다.

구더기는 파리의 알에서 나오는 유충(幼蟲)으로 길이는 0.5~1㎝이다. 구더기는 침에서 생체 조 직을 녹이는 효소를 갖고 있는데, 이를 분비하여 생체를 녹이고 입 안의 강력한 펌프로 빨아들인 다. 이 과정을 통해 구더기가 상처에 있는 세균 물질을 삼키고 새 살을 돋게 한다. 구더기 한 마 리는 0.3g에 해당하는 상처의 고름과 죽은 살을 5분 안에 없앨 수 있다.

분당서울대병원 성형외과 허찬영 교수팀이 수술로 제거할 수 없는 지저분한 상처가 있는 환자 11명에게 구더기 요법을 실시한 결과, 5명의 상처가 깨끗이 아무는 효과를 봤다. 허 교수는

“중풍 환자처럼 오랫동안 누워있어 엉덩이 이 짓물러 생기는 욕창을 회복시키는 데 구더기 요 법이 제격”이라고 말했다

◆돼지의 편충

약물로 잘 낫지 않는 대장염 치료를 위해 돼지의 편충(기생충의 일종)을 이용한 치료법 연구는 미국과 독일 등에서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국내에서도 의료용 편충 알이 곧 수입될 예정이다.

(38)

미국 아이오와대 의대 데이비드 엘리어트 교수팀은 난치성 장염을 앓고 있는 환자 54명을 두 그룹으로 나눠 한 쪽에는 돼지의 편충 알을 2주 간 격으로 12주간 대장에 투여하고, 다른 그룹에는 가짜 약을 투여했다. 그 결과 편충 알을 투여 받은 환자의 대장염이 씻은 듯이 나았다..

그의 이론에 따르면, 선진국에서 급증하고 있는 장염이나 ‘크론씨병’(소 장과 대장에 만성적인 염증과 궤양이 생겨 구멍이 뚫리는 희귀질환)은 몸 속 기생충이 박멸된 데 따른 결과라는 것이다. 사람의 장 속에는 어느 정도의 편충이 살고 있어서 대장염 등 질병에 대한 면역력을 키우도록 돕고 있는데, 기생충이 사라지면서 덩달아 문제가 생겼다는 주장이다. 이 런 이론을 바탕으로 ‘오버메드’라는 독일계 회사에서 돼지 편충 알을 의 약품으로 생산하고 있다.

◆거머리

우리나라에서 한 해 2만~3만 마리의 거머리가 소비될 정도로 의료계에서 거머리는 상한가를 기록하 고 있다. 성형외과학회에서 거머리 요법 연구 논문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거머리는 2004년 미국 FDA 승인을 받은 정식 ‘의료용 물질’이다.

거머리는 주로 손가락 절단 후 접합 부위를 자연스레 낫게 하는데 쓰인다. 손가락 끝 마디가 사고 등 으로 절단되면 현미경을 보면서 동맥을 이을 수 있으나, 정맥은 쪼그라들어 이을 수 없다. 이렇게 되 면 접합된 손가락에 피가 고여 퉁퉁 붓는다. 그래서 고안해 낸 것이 피를 빠는 거머리 요법.

이 요법을 약 1주일간 매일 하면 손가락 혈액 순환이 이뤄지고 그 사이 새로운 정맥이 생겨나 접합 수술 성공률이 올라간다. 거머리 침의 ‘히루딘’이라는 물질은 피를 잘 빨게 하고 상처도 아물게 한 다.

거머리 요법을 당뇨병 때문에 생긴 발 궤양 등에 쓰고 있는 한동하(한의사) 원장은 “처음엔 환자들 이 징그럽게 생각하지만 한번 효과를 보면 태도가 달라진다”라고 말했다

(39)

구더기·거머리 등을 이용한 치료가 활발해지면서 의료용 생물체 시장도 점차 커지고 있다.

구더기는 현재 전국 10여개 대학병원에서 수술이나 약물로 낫지 않는 지저분한 상처 치료 에 쓰인다. 구더기는 1회용 녹차를 담은 ‘티백’처럼 망사형 주머니(바이오백)에 담겨 공 급된다. 크기 4×4㎝ 주머니에 200∼250마리의 구더기가 들어간다. 이 주머니를 상처 부 위에 붙이면 구더기가 망사 사이로 상처 부위를 핥아 먹는다. 주머니 하나의 값은 20만원 선. 국내에 의료용 구더기를 공급하는 ‘바이오몬드 코리아’사(社)에 따르면 매달 15개 의 바이오백이 팔려 나간다. 회사는 구더기 주문이 늘자 무균 구더기 바이오백 생산 기술을 독일로부터 도입해 작년부터 본격 국내 생산해 왔다. 과거에는 구더기를 상처 부위에 풀어 놨으나 관리하기가 힘들어 ‘바이오백’ 시스템이 개발됐다. 이 회사는 난치성 장염 치료 에 쓰이는 ‘돼지 편충 알(TSO)’도 수입할 예정이다.

의료용 거머리는 국내에서 한 해 3만~4만 마리가 소비되고 있다. 거의 대부분이 영국산이 다. 국산 참거머리는 크기가 작아 피를 빠는 힘이 약하기 때문에 덩치가 2배 이상인 영국산 (최대 길이 8∼9㎝)을 쓴다. 한 마리당 가격은 2만5000원 선이다. 하루 한 번 치료에 통상 2~4마리의 거머리가 쓰인다.

의료용 생물체 가격은…

영국산 의료용 거머리, 마리당 2만 5000원 구더기 200~250마리 담긴 주머니 20만원

(40)

THE COELOM AND COELOMATES ; 체강(coelom)

a. 중배엽에서 유래된 단단한 복막(peritoneu)으로 싸여 있으며, 복막으로부터 주름 잡힌 장간막 (mesentery)이 형성

※ 장간막 : 기관들을 고정시키는 역할 → 기관들이 체강 속에서 어느 정도 움직일 수 있게 해줌

b. 순환계가 있는 종에서는 혈관이 장간막을 통과하면서 소화관에 혈액 운반

c. 유체골격 형성 : 체강 속의 액체에 대항해서 생기는 근육의 압력이 몸을 단단하게 하고, 구멍을 팔 수 있게 한다.

(41)

9. 연체동물

연체동물문 Mollusca : 좌우대칭의 두부와 몸통으로 나뉨. 족부 (foot)가 발달. 체표는 여러 층의 각 (shell) 으로 구성, 자웅이체로 대부분 난생

- 다판강, 구복강, 단판강, 복족강 (소라고둥, 우렁이

등의 권패류), 굴족강, 이매패강 (bivalves ; 대합,

홍합, 굴, 가리비 등의 일반 패류), 두족강 (갑오징어,

오징어, 낙지, 문어 등)

(42)

3) Mollusks (phyla: Mollusca)

Mollusks were among the first inhabitants of the Earth. Fossils of mollusks have been found in rocks and date back over 500 million years. Mollusk fossils are usually well preserved because of their hard shell.

Most mollusks have a soft, skin-like organ covered with a hard outside shell. Some mollusks live on land, such as the snail and slug. Other mollusks live in water, such as the oyster, mussel, clam, squid and octopus.

Land living mollusks, like the snail, move slowly on a flat sole called a foot.

Ocean living mollusks move or swim by jet propulsion. They propel themselves by ejecting water from their body. For example, the squid ejects water from a cavity within its body, and the scallop ejects water to move by clamping its shell closed.

Other ocean living mollusks, like the oyster, attach themselves to rocks or other surfaces, and can't move. They feed by filtering small food particles from water that flows through them.

(43)

10. 절지동물

절지동물문 Arthropoda : 서로 다른 모양의 체절 구조로, 두부, 흉부, 복부로 나뉨. 소화관은 전장, 중장, 후장으로 되어 있고, 자웅이체의 체내수정. 난생 또는 난태생. 키틴질의 외골격. 동물 중 가장 종류가 많음

- 삼엽충강 (화석), 갑각강 (가재류, 물벼룩,

물이, 크릴, 새우류, 게류), 곤충강(insect),

순각강, 배각강, 소각강, 결합강, 절구강

(horseshoe crab), 거미강, 바다거미강

(44)

4) Arthropods (phyla: Arthropoda)

Arthropods make up over 75% of the world's animal species. Arthropods include animals such as insects, crustaceans and arachnids. The largest group of Arthropods is the insects. The next

largest group is the crustaceans, including lobsters and crabs. The arachnids include spiders and ticks. Other Arthropods include centipedes and millipedes.

Arthropods have limbs with joints that allow them to move. They also have an exoskeleton, which is a hard, external skeleton. Their body cavity contains the nervous system, circulatory system, reproductive system and digestive system.

(45)

한국 강태공들이 남극 생태계 망치는 주범이라뇨?

환경운동연합은 ‘지구 온난화와 남극생태계의 위기’를 주제로 한 토론회에서 한국의 낚시 인들이 남극의 생태계를 위협하고 있다는 주장을 폈다. 또 토론회 전날에는 서울시청 앞 광장 에서 펭귄 고래 등 남극생물의 모형을 쓰고 낚시꾼에게 크릴 사용 중단을 호소하는 퍼포먼스 를 펼치기도 했다. 한국이 남극에서 연간 4만t 정도를 잡아서 2004년과 2005년 어획량이 세 계 1위였으며 이들 대부분이 낚시용 미끼로 쓰이고 있으니 꾼들이 자제해달라는 것이다.

크릴은 전 세계에 50여 종, 남극에 20여 종이 서식하고 있는 난바다곤쟁이과에 속하는 플랑 크톤. 새우와 모양이 비슷해 ‘크릴새우’라고 부르는 이들도 있으나 엄밀히 말하면 고등한 동물성 플랑크톤이다. 이끼류와 식물성 플랑크톤-크릴-오징어류로 이어지는 남극의 먹이사 슬에서 크릴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높다. 총 자원량이

5억t에 이른다고 하지만 지구온난화의 위협을 생각한 다면 조심스러운 접근이 필요한 것이 사실이다.

크릴은 주로 물고기 양식과 향료생산, 낚시용으로 소 비하고 연구용으로도 상당량을 쓰고 있다.

크릴이 낚시미끼로 인기가 높은 것은 아미노산이 풍부 하게 함유돼 있기 때문. 낚시뿐 아니라 부시리나 방어, 참돔 어업용 미끼로 폭넓게 쓰이고 있다.

(조선일보 ; 2007.10.15)

(46)

11. 극피동물

극피동물문 Echinodermata : 두부와 체절구조가 없는 방사상 모양 (five-rayed radical symmetry) 의 저착성 해산동물 - 불가사리강 (star fishes), 거미불가사리강, 성게강 (sea urchins), 해삼강 (sea cucumber)

12. 원삭동물

원삭동물문 Protochordata : 착생, 부유 또는 매몰 생활을 하는 척삭 (notochord)을 갖는 후구동물.

새열 (gill slit)이 있는 새강 (branchial cavity)을

가짐 - 미삭강(우렁쉥이, 미더덕), 두삭강(창고기)

(47)

5) Echinoderms (phyla: Echinodermata); starfish, sea urchin and family

Echinoderms are marine animals that live in the ocean. Common echinoderms include the sea star, sea urchin, sand dollar and sea cucumber. Most echinoderms have arms or spines that radiate from the center of their body. The central body contains their organs, and their mouth for feeding.

Sea stars, commonly known as the starfish, have 5 or more arms attached to their body. On the bottom of the Starfish are small tube feet to help with movement and feeding. The starfish's mouth is underneath, and is capable of eating other sea life such as clams and mussels.

Another type of echinoderm is the sea urchin. Sea urchins have many spines connected to their body. These spines help to protect them from predators.

(48)

PROTOCHORDATA (원삭동물문)- 미삭동물, 두삭동물

a. 새열(gill slit)이 있다(원시 척색동물-먹이 섭취, 어류-새열 사이의 새궁(gill arch)이 아가미 지지, 이외 척추동물-발생중 내에서만 나타남)

b. 등쪽에 속이 빈 신경삭(nerve cord; 척삭notochord이라는 연골성 구조)을 가진다.

c. 항문 뒤쪽에 꼬리가 있다.

※ 모든 척삭동물은 적어도 발생중 어느 한 시기에 척삭을 갖는다.

d. 척삭(notochord) : 등 뒤쪽에 있으며 유연 골격 지지체 역할

e. 현존 척삭동물에서는 발생중의 배나 유생에서만 나타나고, 척추동물에서는 발생 초기 등뼈가 나타나기 시작하면 척삭은 사라짐

(1) 미삭동물아문(Subphylum Urochordata) - 피낭류와 탈리아강류

① 피낭류(tunicate)

유생 : 척삭, 등쪽의 빈 신경삭, 새열, 꼬리를 갖는다. → 성체로 자라면서 척삭동물의 특징 을 잃는다(꼬리, 척삭, 신경삭은 몸 속으로 흡수되고 새농(gill sac)만 남는다)

여과섭식자, 순환계는 개방형, 피낭이 섬유소(cellulose)를 포함

② 탈리아강류(salp)

새열, 꼬리, 척삭을 갖는 어린 개체의 구조를 성체에서도 유지(생식적인 성숙만 진행 유형 생식) ⇒ 유형생식(neoteny)

(2) 두삭동물아문(Subphylum Cephalochordata) - 창고기

창고기(lancelet) : 성체에서 척삭이 뚜렷, 성체 두색동물 : 인두새열(pharyngeal gill slit) 을 유지하며, 등쪽에 속이 빈 신경색 발달, 몸은 근육성이며, 반복되는 근절로 구성

여과섭식자(창고기)로서 성모를 움직여 물을 빨아들이고, 입에 있는 촉수는 먹이 조각들을 분리하는 일을 한다.

(49)

6) Chordates

Chordates are defined as organisms that possess a structure called a notochord, at least during some part of their development. The notochord is a rod that extends most of the length of the body when it is fully developed. Lying dorsal to the gut but ventral to the central nervous system, it stiffens the body and acts as support during locomotion. Other characteristics shared by chordates include the following (from Hickman and Roberts, 1994):

• bilateral symmetry

• segmented body, including segmented muscles

• three germ layers and a well-developed coelom.

• single, dorsal, hollow nerve cord, usually with an enlarged anterior end (brain)

• tail projecting beyond (posterior to) the anus at some stage of development

• pharyngeal pouches present at some stage of development

• ventral heart, with dorsal and ventral blood vessels and a closed blood system

• complete digestive system

• bony or cartilaginous endoskeleton usually present.

(50)

A. Subphylum Urochordata - notochord, nerve cord, postanal tail only in free swimming larva, adults sessile, occasionally planktonic ; sea squirt (tunicates)

B. Subphylum Cephalochordata - body laterally compressed and transparent (fish like), all four chordate characteristics persist throughout lifetime; Amphioxus

C. Subphylum Vertebrata - notochord, nerve cord, postanal tail and gill slits at least present in embryonic stages, vertebrae surround nerve cord and serve as primary axial support, skeleton modified anteriorally into skull for protection of brain, features have enabled them to become predominate group of large animals.

Classes : Agnatha – lamprey, hagfish

Chondrichthyes - sharks, skates, rays Osteichthyes- bony fish

Amphibia Reptilia Aves- birds Mammalia

(51)

* 창고기 (amphioxus : Branchiostoma belcherii ) *

활유어(蛞蝓魚 ; lancelet)라고도 한다. 몸길이 25~54mm이다. 몸은 버드나무잎 모양 으로 가늘고 길어 어린 물고기와 비슷하다. 몸 빛깔은 연한 복숭아색이고 약간 투명하 다. 머리 끝은 뾰족하고 그 아래쪽에 수염이 달린 주름이 있는데, 그 속에 입이 나 있다.

물고기처럼 등지느러미·뒷지느러미·꼬리지느러미가 있다. 몸 안에는 탄력성이 있는 척 삭이 머리에서 몸 끝까지 나 있으며, 척삭 둘레에는 64개의 근절(筋節)이 있어 이 근 육을 움직여서 운동한다.

혈관계는 완전한 폐쇄혈관계이다. 배 쪽의 굵은 혈관 일부가 수축하여 혈류 를 일으키고 혈액은 무색이다. 자웅이 체이다.

(52)

* 척추동물의 특징에 의한 분류 *

있 음 없음

척추의 유무

있음 없 음

횡격막 유무

태생 난 생

번식방법

정 온 변 온

체온

있 음 없 음

양막의 유무

폐 아가미/폐

아 가 미 호흡기 종류

후 신 중 신

전신 신장의 종류

포 유 류 (토끼) 조 류

(참새) 파 충 류

(도마뱀) 양 서 류

(개구리) 어 류

(잉어) 원 구 류

(먹장어) 생 물 군

(특 징)

(53)

(1) Fish (order: Pisces)

Almost three-forths of the world's surface is covered in water. This water is home to over 20,000 different species of fish. The earliest fossils of fish date back over 400 million years.

There are a wide variety of fish — from the goby which is less than one half an inch long, to the whale shark which can be over 60 feet long.

Most fish breathe through gills. Gills perform the gas exchange between the water and the fish's blood. They allow the fish to breathe oxygen in the water.

Fishes are vertebrates that have a skeleton made of either bone or cartilage. About 95% of fishes have skeletons made of bone. These bony fishes have a swim bladder, a gas-filled sac, that they can inflate or deflate allowing them to float in the water even when

not swimming. Fishes with a cartilage skeleton tend to be heavier than water and sink. They must swim to keep afloat. Cartilaginous (cartilage) fish include the ray and the shark.

Most fish swim using a tail fin. Muscles in the tail fin move it from side to side, forcing water backward, and propelling the fish forward.

Other fins help the fish change direction and stop. Pectoral fins on their side help them swim up and down. Dorsal and anal fins on the top and bottom keep the fish upright. Pelvic fins on the underside help steer left and right.

Many fish eat plants, while others such as the shark, eat other fish.

(54)

2) 척추동물(vertebrate)

발생 시 척삭 (notochord), 인두낭

(pharyngeal pouch)이나 인두열 (pharyngeal slit)을 갖는 인두, 중추신경계 (central nervous system), 그리고 척주 (vertebral column)가 척추동물의 가장 큰 특징

1. 무악류 Agnatha

a. 갑주어 Ostracodemis : 가장 오래된 화석 상의 척추동물

b. 원구류 Cyclostomes : 턱뼈와 비늘이 없으며, 가슴지느러미와 배 지느러미가 없는 척삭만 있는 원시적 동물이다.

- 칠성장어 (lampreys), 먹장어 (hagfishes)

2. 극어류 (Acanthodii)와 판피류 (Placodermi) : 화석상의 가장 오래된 유악어류

(55)

(1) 무악어강(Class Agnatha) - 턱이 없는 어류 a. 갑주어(ostracoderm) : 갑주로 무장되어 있고 턱이 없다. 포식성 아니고, 여과섭식자이다.

오르도비스기, 실루리아기, 데본기 퇴적물에 존재 b. 칠성장어(lamprey)와 먹장어(hagfish) : 원구 아강(Subclass Cyclostomata; 원형의 입)의 구성 원, 쌍으로된 지느러미는 없지만, 연골과 척삭은 일 생동안 유지

-칠성장어 : 길거나 빨아들이는 구기를 이용해 먹 이 섭취 경골의 골격이 없다.

-먹장어 : 부식동물

(2) 판피어강(Class Placoderm ; 멸종한 턱이 있 는 어류)

a. 갑주로 무장했으며 움직일 수 있고, 턱을 갖음 (척추동물에 있어 가장 중요한 사건)

b. 턱의 발달 → 포식성 먹이 섭취의 생태적 지위 확립(턱은 새궁에서 유래), 경첩은 턱의 운동성 향 상시킴.

(56)

3. 연골어류 Chondrichthyes : 비늘과 치아 외에는 경골이 없고, 입이 배 쪽에 위치.

a. 판새류 Elasmobranchs : 편평한 몸 통과 운동기관인 앞지느러미, 5쌍의 새열 - 상어, 가오리, 홍어, 톱상어 b. 전두류 Holocephalans :비늘이 없 고, 새열은 덮개로 덮여 있다.

- 은상어류(chimaera)

4. 경골어류 Osteichthyes : 경골로 된 골격을 갖고 새열은 아가미덮개 로 덮여 있으며, 부레를 갖고 배설강이 매우 짧은 것이 특징.

a. 조기어류 Ray-finned fishes : 기조와 기막으로 된 지느러미를 가 지며, 내비공이 없는 경골어류이다.

a-1. 연질어류 Chondrosteans : 내골격 은 연골로 되어 있고, 비늘에는 경 린(ganoid scale)이 없다.

-철갑상어(sturgeon), 용상어(green sturgeon).

(57)

물고기 머리 닮은 돌덩이.... 알고 보니 8천만년전 어류 화석

영국켄트주에 사는 노부부가 15년 동안 마당에 장식해 놓았던 돌 한 점이 무려 8천만 년 전 어류 화석으로 밝혀져 화제가 되었다.

텔레그라프, 데일리 메일 등 주요 언론에 따르면 피터(74세), 다프네 파빈 부부가 이 돌을 발견한 곳은 휴가를 보내기 위해 찾은 서섹스 주의 페븐시 근처 해안이었다고. 평소 특이한 모양의 돌을 수집하기 좋아하는 파빈 부부는 물고기 머리 부분을 닮은 이 특이한 돌을 놓치지 않았고, 이들의 집 앞마당으로 옮겨진 돌은 이후 15년 동안 방문객들의 눈길을

한 몸에 받았다. 그러던 중 최근 우연히 만난 켄트 메이드스톤 시의 자연사 박물관 관련자가 파빈씨에게 전문 감정을 제안하 였고 결국 이 돌은 8천만 년 전 지구를 헤엄쳐 다니던 진짜 물고기의 머리 화석으로 밝혀졌다.

메이드스톤 자연사 박물관장 에드 자젬보스키 박사는 이 물고 기가 백악기에 공룡들과 함께 공존했던 견골어류의 조상으로 보인다며, 이들 화석을 개인적으로 소장하고 있는 사람이 있다 는 것은 알았지만 실제로 확인하게 되어 놀랍다고 전했다. 이런 결과가 나오자 파빈 씨는 이 화석을 자연사 박물관에 기증하기 로 하였다.

(58)

The dumbest looking fish you will ever see !!

This stupid looking fish inhabits the deep waters off the coasts of Australia and Tasmania.

It is rarely seen by humans. The flesh of this goofy looking thing is primarily a gelatinous mass with a density slightly less than water.

(59)

Giant River Stingrays Found Near Thai City

When anglers called that March afternoon to say they had caught a giant freshwater stingray near this bustling Thai city, biologist Zeb Hogan couldn't believe it.

He had just spent a week in the remote Mekong River in northern Cambodia, searching for the ray—which might be the world's largest freshwater fish species—to no avail.

Hogan, of the University of Nevada in Reno, is documenting the rays as part of the Megafishes Project, an effort to document Earth's 20 or so freshwater giants.

Hogan is also a National Geographic Society Emerging Explorer. (National Geographic News is part of the National Geographic Society.)

Many of these behemoths, including the giant stingray, have declined in recent years. The ray, listed as

"vulnerable" on the 2007 World Conservation Union Red List of species, has been overfished in its Mekong River habitat, Hogan said.

But when Hogan arrived at the river that afternoon, he found that not only had the anglers reeled in a 14-foot-long (4.3-meter-long) ray, but that the creature had also just given birth to a dinner plate-size baby.

The newborn clung to the rough skin on the back of its mother, which was being held at the riverbank by nine handlers. (Stefan Lovgren in Chachoengsao, Thailand for National Geographic News, April 29, 2008)

(60)

낚시꾼 두 명이 무게 230kg에 3m가 넘는 길이의 초대형 철갑상어를 낚아 화제가 되고 있다고 17일 영국 언론이 보도했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영국 콘월과 에버딘에 사는 낚시꾼 닉 칼레야와 조지 카스테어 스는 최근 캐나다 브리티시 콜럼비아 프레이저 강으로 보트 낚시 여행을 떠났다.

길이 3m에 약 230kg 무게의 철갑상어는 카스테어스의 낚시 바늘에 걸렸는데, 물고 기의 힘이 너무나 강력해 낚시 도중 보트에서 떨어질 뻔 했다면서 낚시꾼들은 당시 의 아찔했던 상황을 회고했다.

낚시 바늘에 걸린 초대형 철갑상어가 최소 100살은 넘은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 이들 낚시꾼들의 설명이다. (중 앙이보 ; 2008. 1. 17)

나이 100살, 230kg 철갑상어 낚여

(61)

A new scourge strikes Florida: Big, airborne fish

On the water, there was reason to be anxious. Florida's season of

"sturgeon strikes" - the law enforcement term for collisions between the state's largest freshwater fish and hapless boaters - was already well under way.

It may seem bizarre, but it is no joke. Leaping sturgeon have injured three people on the Suwannee so far this year, including a woman on a Jet Ski and a girl whose leg was shattered when one of the big fish jumped aboard her boat. Eight others were hit last year, and with traffic growing on the storied river, sturgeon are joining alligators and

hurricanes on the list of things to dread in Florida.

"These injuries are very impressive," said Lawrence Lottenberg, director of trauma surgery at the University of Florida College of Medicine in nearby Gainesville. "You've got people sitting on the front of an open boat, and the boat is going 20, 30, 40 miles per hour. The fish jumps up and usually slaps these people right across their face and upper chest.

Almost every one of them, universally, has been knocked unconscious.

If you're not wearing a life jacket, you're going to fall in the water and potentially drown."

Fortunately, most sturgeon in Florida stick to the Suwannee, which winds 265 miles, or 425 kilometers, from southern Georgia to the Gulf of Mexico. Known as Gulf sturgeon, they migrate between the river, where they spawn in spring and relax in summer, and the Gulf, where they return in the fall to feed. They have no teeth or temper, only a pressing, mysterious urge to jump all summer long.(http://www.iht.com/

articles/2007/07/04/news/fish.php)

(62)
(63)

(3) 연골어강(Class Chondrichthyes) - 상어, 가오리등의 포식자와 부식성 어류로 구성.

a. 보호용 갑주와 무거운 골격을 질긴 피부, 가벼운 뼈대, 빠른 움직임으로 대체 b. 연골성 골격을 원시적 특성으로 간주했으나, 최근 상어의 연골성 골격이 새로 생겨 난 형질이라는데 동의 → 상어 척주에서 결골조직의 잔재 발견

e.g. 연골성 골격 : 심해의 생활에 적응하기 위한 진화(부력용 부레(swim bladder)가 없다)

* 상어 : 피부 - 질기며 순린(placoid scale ; 기부판에 의해 진피 속에 고정, 이빨과 같 은 방법으로 형성)

소화계 - 나선판(spiral valve ; 칠성장어와 일부 경골여류)은 흡수성 조직이 창자 안 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으로 창자의 표면적을 넓힌다.

spiral valve는 음식물을 천천히 이동하도록 하여 충분히 소화되도록 시간 조절 총배설강(cbaca) : 배설계뿐 아니라 생식계에서 오는 관도 연결, 출산관으로도 작용 모든 척추동물에서 발견되지만 포유류에서 대부분 발생배에만 존재

감각기 - 측선기관(lateral line organ) : 몸 길이를 따라 있는 관이며, 감각세포가 있 고, 물의 움직임을 감지, 체내수정을 한다.

(64)

(4) 경골어강(Class Osteichthyes) - 경골어류, 수생의 거의 모든 생태적 지위를 차지 한다.

a. 경골어류의 지느러미는 상어에 비해 기동성이 높다.

b. 피부가 비늘로 덮여 있고, 점액선으로 표피를 끈적끈적하게 하여 물과의 마찰을 70%

까지 줄임

c. 부레 : 평형을 유지, 물 속에서 움직이지 않고 머무를 수 있게 한다. -가스샘(gas gland)으로 부레에 가스를 분비, 재흡수 부위(reabsorptive area)로 가스 제거 (가장 진보된 형태)

d. 아가미필라멘트(gill filament) : 가스교환 장소

e. 순환계 : 2개의 심방을 가지고 근육질의 심실은 혈액을 아가미로 보내고, 아가미에서 CO2와 O2를 교환

* 허파를 가지고 호흡하던 민물 조상에서부터 진화해 왔다고 믿어지며, 3개의 그룹 1. 조기류(Actincpterygii) - 지지성 가시가 있는 납작하고 얇은 지느러미를 가지며 오 늘날의 경골어류가 진화되어 옴

2. 폐어류(Dipneustei, lungfish) - 고도로 맥관화된 허파가 인두에 연결

3. 총기류(Crossopterygii) - 육질의 엽상구조에 부착된 납작한 지느러미를 가진다.

참조

관련 문서

“Characteristics of Meteorological Variables in the Leeward Side associated with the Downslope Windstorm over the Yeongdong Region.” Journal of the Korean

• 이명의 치료에 대한 매커니즘과 디지털 음향 기술에 대한 상업적으로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치료 옵션은 증가했 지만, 선택 가이드 라인은 거의 없음.. •

하나는 그 사람을 돕는 것이고, 나머지 하나는 그 사람에게 작은 선물을 주는 것입니다.. 11 해설 주어는 His smile 이며 동사구는 3

Between the date of this last passage and the publication of the Schreber case history more than ten years elapsed with scarcely a mention of paranoia in

동물 및 식물유 4 Animal and vegetable oils, fats and waxes 화학제품 5 Chemicals and related products, n.e.s. 공산품

Animal Life Sciences Division of Applied Animal Science(Animal Biotechnology, Food Science and Technology in Animal Resources) Education Education, Korean

Evidence for the acceptability of the Geneva Bible has been found in the fact that its original and revised editions were published and circulated more

(A) Interestingly, this has often been the case with English animal expressions.. As you may have observed, they make irregular twists and turns in thei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