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대구농수산물도매시장 활성화 방안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대구농수산물도매시장 활성화 방안"

Copied!
27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C2007-11 | 2007. 5.. 대구농수산물도매시장 활성화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국 김 이 조. 승 병 명 경. 용 률 기 출. 전문연구원 연 구 위 원 전문연구원 초청연구원. (협동연구) (주)종합건축사사무소 근정. 김 임 이 김. 종 봉 옥 문. 문 규 규 형. 대 표 이 사 상 무 이 사 부. 장. 대. 리.

(2) 연구 담당 국승용 김병률 이명기 조경출. 전문연구원 연 구 위 원 전문연구원 초청연구원. (주)종합건축사사무소 근정. 연구 총괄, 주요 현안 진단, 발전전략 수립 도매시장의 기능 분석 이전 타당성 분석 현황분석, 경제성분석 도매시장 이전 기본계획.

(3) i. 머 리 말. 대구광역시 북구 매천동에 위치한 대구북부농수산물도매시장은 전국 32개 도매시장 중 취급 규모 3위의 도매시장으로 대구광역시는 물론 경북 지역 농수산물 유통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대구북부도매시장은 국고 40억 원, 지방비 301억 원 등 총 664억 원을 투입하여 1988년 개장했으며, 개장 이후 관련상가, 청과B동, 수산동 등이 추가로 건립되어 현재와 같은 시설을 갖추게 되었다. 개장 이후 20여년 의 기간 동안 농수산물의 유통 환경이 지속적으로 변화해 왔으며, 특히 최근 나타나 고 있는 대형소매업체의 급격한 성장, 수입농산물의 확대 등의 현상은 도매시장의 기능과 역할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대구북부도매시장의 현황을 면밀하게 분석하고 급변하는 농수산물 유통환경의 변화를 반영하여 도매시장의 중장기 발전 전략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필요에 의해 이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 연구는 대구시청 담당자와 도매시장 관리사업소 직원은 물론 도매시장법인 임 직원, 중도매인, 출하자, 도매시장 구매자, 관련상가 임직원 등에 대한 직접 조사를 통하여 도매시장의 현황과 문제점에 대한 다양한 견해를 파악한 가운데 진행되었다. 또한 지난 5년간 축적된 수천만 건의 도매시장 거래자료를 분석하여 도매시장의 거 래 실태를 객관적으로 실증하였다. 대구북부농수산물도매시장의 발전 전략은 중장 기 추진 전략과 단기 개선 방안으로 구분하여 검토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서울가락 시장, 서울강서시장, 부산엄궁시장 등 국내 도매시장의 관리․운영 체계를 비교 고 찰하고, 일본과 미국의 도매시장의 물류 체계를 벤치마킹하였다. 이 보고서가 향후 대구북부농수산물도매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장기 발전 전략과 단기 개선 방안을 수립하고 추진하는데 실질적으로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아울러 이 연구 수행에 도움을 주신 대구시의회, 대구시청, 도매시장 관리사업소, 도매시장법인 과 중도매인을 포함한 거래 관련자 여러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2007. 5.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 최 정 섭.

(4) iii. 목. 차. 머리말 제1장 서. 론. 1. 연구 필요성과 배경····················································································· 1 2. 연구 목적······································································································ 4 3. 선행연구 검토 ······························································································· 5 4. 주요 연구내용······························································································· 8 5. 주요 연구방법····························································································· 11. 제2장 대구농수산물도매시장의 기능과 역할 1. 도매시장의 기능과 역할 ············································································ 13 2. 전국 농수산물 공영도매시장의 도매유통 현황 ······································ 17 3. 대구농수산물도매시장의 도매유통 기능 ·················································· 22 4. 유통환경의 변화와 대구농수산물도매시장의 발전방향 ························· 25. 제3장 대구농산물도매시장의 현황 1. 관련제도 ···································································································· 33 2. 시설 ············································································································ 38 3. 관리기구 ···································································································· 40 4. 유통기구 ···································································································· 43 5. 거래실태 ······································································································ 47. 제4장 대구농산물도매시장의 주요 현안 1. 도매시장의 거래감소. ·············································································· 52. 2. 비효율적 물류 여건 ·················································································· 58 3. 관련상가 ······································································································ 64 4. 불투명한 거래 관행 ··················································································· 68.

(5) iv. 제5장 대구농수산물도매시장 발전 전략 1. 대구농수산물도매시장 발전전략 ······························································· 80 2. 중장기 활성화 방안 ··················································································· 88 3. 단기 활성화 방안 ······················································································· 93 4. 시장도매인제 도입 타당성 및 도입방안 검토 ······································ 106. 제6장 대구농수산물도매시장 이전 타당성 분석 1. 이전의 필요성 ··························································································· 124 2. 취급량 추정 ······························································································· 126 3. 경제성 분석 ······························································································· 132 제7장 대구농수산물도매시장 이전기본계획 ··············································· 147. 부록 1. 시장도매인제의 경제적 편익 분석 1. 잠재가치를 고려한 비용 평가 ································································· 248 2. 물류비 ········································································································ 250 3. 시설이용비용 ····························································································· 251 4. 투입노동비 ································································································· 252 5. 경제적 편익 비교 ····················································································· 253. 연구결과 요약 ·································································································· 254 ABSTRACT ······································································································· 258 표 목차 ·············································································································· 260 그림 목차 ·········································································································· 263 참고문헌 ············································································································ 265.

(6) 1. 제. 1. 장. 서. 론. 1. 연구 필요성과 배경. ○. 1985년 가락동 도매시장 건설을 시작으로 2004년 서울 강서시장, 광주 서부시장 건설까지 전국 주요도시에 32개 공영도매시장 건설이 완료되었음.. ○. 도매시장 수의 증가로 인해 전체 도매시장의 거래규모는 완만한 증가 추세에 있 으나, 개별 도매시장 거래규모는 2000년 이후 정체 또는 감소 추세에 있음<그림 1-1>.. 그림 1-1. 도매시장의 거래량 및 평균거래량 추이 단위 : 천 톤. 6,000. 600. 5,500. 500. 5,000. 400. 4,500 300. 4,000. 200. 3,500 3,000. 100 2001. 총거래량. 2002. 2003. 특광역시거래량. 자료 : 농림부, 2005년도 도매시장통계연보, 2006. 2004. 평균거래량. 2005 특광역시평균거래량.

(7) 2 - 2000년 이후 특광역시에 5개의 도매시장을 신설하였으나, 특광역시 도매시장 의 총거래량은 뚜렷한 증가 추세가 나타나고 있지 않음. 이에 따라 특광역시 소재 도매시장의 평균 거래량은 비교적 큰 폭으로 감소하고 있음. ○. 2000년 이후 대구를 제외한 서울, 부산, 인천, 광주, 대전 등 5개 도시는 제2 도매 시장을 건설하였음. 또한 이들 도시에서는 제2 도매시장 개설 직후 해당 도시의 도매시장 취급량이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나, 향후 거래량이 완만하게 감소하고 있 음<그림 1-2>. - 제2 도매시장이 개설되지 않은 대구와 울산은 2002년 이후 완만하게 취급량이 감소하고 있음. - 특광역시 도매시장 거래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원인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과 도매시장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 모색이 필요함. 그림 1-2. 특광역시별 도매시장 취급량 추이(서울 제외) 단위 : 천 톤 600. 500. 400. 2001 2002 2003 2004 2005. 300. 200. 100. 0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자료 : 농림부, 2005년도 도매시장통계연보, 2006. ○. 대구 역시 2개 도매시장을 개설할 계획을 세웠으나, 제2 도매시장을 건설하지 않 고, 기존 도매시장을 확장하였음. - 다른 특광역시가 제2 도매시장 건설의 영향으로 당해 도시의 도매시장 취급량 을 확대할 수 있었음. 또한, 제2 도매시장은 상권이 충분히 성숙되지 못하여 제1 도매시장에 비해 활성화 정도가 낮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현대화된 시설의 이점을 활용해 취급량을 확대해 나가고 있음. - 반면, 대구도매시장은 도매시장 신설의 효과를 얻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2개 도매시장의 거래 주체들이 동일한 권역 내에 상활동을 전개하면서, 혼잡도의.

(8) 3 증가 등으로 인한 물류 비효율이 나타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음. - 이에 따라 대구도매시장의 전면적인 시설 개선이나 이전 등 도매시장 현대화 를 통한 활성화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음. ○. 전면적인 시설개선은 적지 않은 예산과 시간을 필요로 하므로, 현재 도매시장 시 설을 유지하면서 거래 체계를 개선해 시장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함.. ○. 한국과 유사한 도매시장 체계를 갖추고 있는 일본 역시 지속적으로 도매시장 경 유율이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난 바 있음. - <표 1-1>은 일본 도매시장 경유율 추이를 나타낸 것으로 1990년대 초반 이후 농수산물의 도매시장 경유율이 지속적으로 낮아지고 있음. - 일본은 경매를 도매시장의 거래 원칙으로 하고 예외적으로 상대매매 허용하였 으나, 1999년 도매시장법을 개정하여 경매와 상대매매 모두를 도매시장 거래 원칙으로 인정하였음. - 도매시장법 개정 이후 도매시장의 상대매매 비중이 급속하게 확대되고 있으 표 1-1. 일본 도매시장 경유율 추이 단위 : %. 구분. 청과. 연도. 소계. 채소. 과실. 1990. 81.9. 85.2. 76.1. 1991. 80.6. 82.9. 1992. 79.6. 1993. 수산물. 축산물. 화훼. 소계. 우육. 돈융. 72.1. 22.6. 38.2. 14. 82.3. 76.2. 76.7. 19.6. 34.1. 12.3. 86.6. 85.5. 69.9. 75.6. 17.9. 28.8. 11.7. 83.1. 80. 84.8. 82. 70.2. 16.3. 22.7. 12.1. 85.8. 1994. 74.7. 82.7. 62.8. 70.2. 16. 22.5. 11.5. 85.1. 1995. 74.2. 80.8. 63.4. 67.6. 15.5. 21.5. 11.1. 91.9. 1996. 74.8. 82.6. 61.7. 69.4. 14.9. 21.5. 10.6. 84.1. 1997. 74.7. 83. 61.6. 71. 15.1. 20.4. 11.2. 85.5. 1998. 74.8. 82.8. 61.7. 71.6. 15.5. 20.3. 12.1. 85.6. 1999. 71.4. 80.3. 57.2. 68.6. 16.7. 22.5. 12.8. 83.7. 2000. 70.9. 79.2. 57.6. 66.2. 17.1. 23.3. 12.6. 79.1. 2001. 69.3. 79.4. 54.1. 62.5. 14.3. 18.5. 11.8. 79.6. 2002. 70.3. 80. 55.5. 61.2. 13.4. 17.7. 11. 79.7. 자료 : 농림수산성, 도매시장자료집.

(9) 4 며, 상대매매의 비중이 90%에 육박하는 도매시장도 존재함. - 도매시장법 개정 이후 <표 1-1>의 도매시장 경유율이 확연하게 증가하고 있다 고 보기는 어려우나, 감소 추세가 완화되거나 일부 부류에서는 경유율이 반등 하는 현상이 관찰되고 있음. - 일본의 사례는 도매시장의 거래 체계를 개선함으로써 도매시장의 활성화에 기 여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음. ○. 한국은 2000년 농안법을 개정하여 경매가 아닌 방식으로 수집과 분산을 할 수 있 는 시장도매인제를 신설하였음. - 시장도매인제는 2004년 개장된 강서도매시장에서 처음으로 시행되었으며, 과 일 부류를 중심으로 비교적 빠르게 취급 규모가 확대되고 있음. - 대구시는 2006년 도매시장 조례 개정을 통하여 대구도매시장에서 시장도매인 제를 도입할 수 있는 제도적 근거를 마련하였음.. ○. 또한 2006년 12월에는 농안법을 개정하여 도매시장을 활성화를 위한 제도를 정비 하였음. - 상반기 중 시행령과 시행규칙을 정비하여 하반기에 시행할 예정임.. ○. 시장도매인제, 개정 농안법의 적용 등 대구도매시장에서 도입할 수 있는 다양한 제도적 대안을 평가하고, 도매시장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그 시행 방안을 마련하 는 것이 필요함.. 2. 연구 목적. ○. 대내외 농산물시장 및 유통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대구도매시장의 위상과 역할, 기능 재정립. ○. 거래제도 및 관리운영방식 개선 방안 도출. ○. 현대적인 도매시장으로서의 시설 재정비 및 구조 개선 방안 마련.

(10) 5. 3. 선행연구 검토. 3.1. 선행 연구 ○. 허길행 외(2004) 「농수산물 도매시장 운영 활성화 방안」 - 농수산물 산지, 도매, 소비지 유통환경의 변화 설명함 - 도매시장의 기능, 경쟁력을 설명하고 변화 전망을 제시함 - 도매시장의 관리 및 운영 체계, 시설, 유통종사자 현황, 거래 현황, 물류현황, 유통정보 현황 및 문제점을 설명 - 도매시장의 운영효율성 제고방안, 농수산물 집하․분산 능력 강화 방안, 거래 제도 개선 방안, 도매시장 기능 재정립과 시설 개선 방안, 물류 효율성 증진 방안, 유통정보의 선진화 방안, 제도 개선 방안 등이 제시 - 전국 32개 도매시장의 운영 활성화를 위한 포괄적인 정책 제안들이 제시되어 전반적인 활성화 방안을 이해하는데 매우 유용함. - 개별 시장의 특성을 고려하려는 노력이 있었으나 보다 개별 도매시장에 적용 하기 위해서는 보다 구체적인 정책 제안들이 필요함.. ○. 전창곤외 (2006) 「진주농산물도매시장 기능전환을 위한 리모델링 방안 연구」 - 진주도매시장 운영현황 및 문제점 분석 - 진주도매시장 기능 재정립을 위한 수산물시장의 건립 방향, 운영계획, 규모, 적정 배치를 제시 - 도매시장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여 시장을 활성화하려는 방안은 의의가 있음 -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구체적 시장 활성화 방안 제시는 부족함.. ○. 신창호(2004), 「도매시장 비전 2010」 - 유통비용 절감을 바탕으로 한 시설현대화 사업의 타당성을 제시하였으나 유통 비용 절감액 계산과정에서 사용한 기준 수치들이 현재화되지 못함. 수송비 절 감액 추정에서 거래물량과 수송차량별 비중은 2000년 기준 조사 자료임.. ○. 김병률 외(2005), 「가락동 농수산물 도매시장 시설현대화사업 건설기본계획 및 타당성 연구」 - 가락동 도매시장을 현재 위치에서 단계별로 재건축하는 방안(Rolling 방식)을.

(11) 6 제시하였음. - 재건축에 따른 경제적 타당성과 재무문석을 수행하였으며, 정책적인 타당성과 지역주민 및 환경개선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계측하였음. ○. 한국개발연구원(2004), 「예비타당성 조사를 위한 일반지침」 - 공공투자사업과 관련한 다양한 평가 기준을 제시하고 있음. - 수요, 편익, 비용 추정 방식과 경제적 타당성 및 재무적 타당성을 평가하는 기 준을 제시하고 있음. - 교통, 수자원 개발 등의 사업에 대해서는 비교적 상세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 나, 기타 사업에 대해서는 구체적 언급이 부족함.. ○. 한국개발연구원(2006), 「노량진수산물도매시장 현대화사업 예비타당성 조사」 - 한국개발연구원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위한 일반지침」에 의거하여 노량진 수산시장 현대화사업의 수요, 편익, 비용 등을 추정하고, 경제적 및 정책적 타 당성을 평가함. - 수용 추정시 시계열 방법(VAR), 구조적 방법(SUR)을 각각 활용한 후, 상호 비교함.. ○. 권승구(2006), 「경쟁력 강화를 위한 도매시장 경영활성화 전략」 - 일본 도매시장의 위기현상과 극복사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일본 도매시장의 대응전략을 현재의 한국 도매시장에 적용할 수 있는 모 범사례로써 제시함.. ○. 위태석(2006), 「거래제도개선을 통한 도매시장 활성화 방안」 - 유통환경의 변화에 따른 도매시장법인과 중도매인의 기능구분문제를 살펴보 고, 산지와 소비지의 욕구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거래방법으로써 정 가․수의매매의 효과적인 운용방안을 제시함.. ○. 김윤두(2005), 「시장도매인제 운영현황과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 - 통계자료 및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시설현황, 상인현황, 거래현황, 운영현황 등 시장도매인제의 전반적인 운영실태를 살펴보고 강서시장의 시장도매인제 의 원활한 적용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함..

(12) 7 ○ 허길행, 조명기(2006), 「농수산물 도매시장의 기능 재정립 방향」 - 거래규모와 시설을 중심으로 공영도매시장이 당면한 현황과 문제점을 검토하 고, 도매시장이 직면한 주요 환경여건을 검토한 후, 환경여건을 고려한 도매시 장의 기능 재정립 방향을 제시함. ○. 전창곤(2006), 「일본의 산지유통과 도매시장 연계에 대한 실증적 연구」 - 급변하는 소비지 농산물 유통체계에 대응하는 일본의 산지 생산자 및 도매시 장의 유통전략을 다루고 국내 공영도매시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함.. 3.2. 선행 연구와의 차별성 ○. 제시하는 대안에 대한 구체적인 시행방침 마련 - 이 연구에서 포괄하는 도매시장 개선 방안은 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것이 아니 라, 이미 농림부에서 수립한 정책을 대구도매시장 내에 효과적으로 적용시키 기 위한 것임. - 따라서 다각적인 검토를 통해 제시한 대안에 대해서는 도매시장의 개설자가 시행할 수 있도록 도매시장 관리 및 운영의 지침을 마련함.. ○. 전국 32개 공영도매시장에서의 거래규모는 증가하나 개별 도매시장의 거래규모 는 정체 또는 감소 추세의 원인에 대한 구체적 분석 - 기존의 연구는 대형유통업체의 급속한 증가에 따른 경쟁 심화, 이용자의 농산 물 구매 및 소비패턴 급변, 산지 출하자의 출하선택권 확대와 직거래 증가와 같은 유통환경의 변화에 대한 도매시장의 신속한 대응 부족이 개별 도매시장 거래규모 정체 또는 감소의 주된 원인이라고 봄(전창곤외(2006) 「진주농산물 도매시장 기능전환을 위한 리모델링 방안 연구」, 김병률외(2006) 「도매시장 제도․운영방식 및 구조개선에 관한 연구」). - 그러나 기존 연구는 위에 언급한 환경 변화의 도매시장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 고 다양한 검토는 제시하지 않음. 또한 유통환경 변화에 대한 도매시장의 대응 책으로서 거래방식, 관리운영방식과 제도적 개선과 및 유통시설의 신설 및 개 선과 같은 인프라 구축을 주로 제시하고 있음.. ○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를 기본으로 하여 유통환경의 도매시장에 대한 영향을 보.

(13) 8 다 구체적으로 면밀히 검토할 것임. 또한 제도적 개선 및 유통시설의 신설 및 개 선 정책에 추가하여 도매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필요한 시장 주체들의 경영 전략을 제시할 것임. - 도매시장의 시설 현대화 시, 인근 지역의 APC, 농수산물종합유통센터 등과 전 략적 제휴를 통해 도매 유통에 필요한 시설을 도매시장 외부에 확보하는 방안 을 검토함. - 구미, 포항 등 활성화가 저조한 인근 도매시장과의 연관지어 지역 거점 시장으 로서 대구도매시장의 기능을 재정립함. ○. 한국개발연구원의 예비타당성 지침에서 제시하는 기준을 최대한 반영함. - 수요, 편익, 비용 추정 및 경제성 평가에서 한국개발연구원의 기준을 충분히 고려하여, 이 연구에서 제시된 기본계획을 예비타당성 의뢰에 활용할 수 있도 록 구성함.. 4. 주요 연구내용. 4.1. 대구농수산물도매시장의 기능과 역할 ○. 도매시장의 필요성. ○. 전국 도매시장 유통 기능. ○. 대구도매시장의 유통 기능 평가. ○. 유통 환경의 변화와 대구농수산물도매시장의 역할. 4.2. 대구도매시장 현황 ○. 도매시장 관련제도 - 농안법 및 관련 규정.

(14) 9 - 공유재산및물품관리법 등 관련 법령 ○. 도매시장 시설. ○. 도매시장 관리기구 - 관리사업소 현황. ○. 도매시장 유통기구 - 도매시장법인, 중도매인 등. ○. 도매시장 거래실태 - 부류별, 시기별 출하량 - 출하지역 및 출하자 특성 - 거래가격 등 거래 특성. 4.3. 도매시장 관리 운영 효율화를 위한 당면 시책 ○. 개정 농안법 수용 방안 - 도매시장법인 등의 인수․합병을 통한 규모화 - 전자상거래 시 시장 외 유통 허용. ○. 시설 수요 및 투융자 계획 - 시장도매인 시행 시 필요 시설 등. ○. 관련상가 활용 방안 - 2008년 2월 이후 시에 기부 체납 예정 - 입찰, 기능 전환 등의 대안 마련. ○. 시장사용료의 합리적 책정.

(15) 10. 4.4. 시장도매인제 시행방안 ○. 강서도매시장의 시장도매인제 운영성과와 문제점 진단. ○. 시장도매인제 도입의 타당성 - 대구도매시장의 거래 실태를 근거로 삼아 재평가. ○. 시장도매인제 거래 구역 확보 방안 - 트럭단위 판매동 활용, 관련상가 활용, 도매시장법인 재지정 불허 후 경매장 활용, 이전 등. ○. 시장도매인제 확대 도입방안과 가이드라인(운영지침). 4.5. 도매시장 이전 타당성 분석 및 추진 전략 ○. 도매시장 이전의 필요성. ○. 대구도매시장 거래 규모 추정(2017년 기준) - 도매시장 환경 요인에서 도출한 다양한 요소 고려. ○. 대구도매시장 이전 후보지 선정 - 대구시에서 검토 중인 후보지 중 최적 후보지 선정. ○. 도매시장 시설 규모 및 사업 비용 추정 - 전문 기구에 위탁. ○. 도매시장 이전 타당성 분석. ○. 도매시장 이전 투융자 계획 - 가락시장 현대화 등 유관 사례 분석.

(16) 11. 5. 주요 연구방법. 5.1. 대내외 유통환경 변화와 전망 ○. 해외 사례는 일본 도매시장의 최근 변화에 주목. ○. 수요 추정을 위해 수집한 제반 자료들을 활용하여, 지역의 구체적 특성이 반영되 도록 접근. 5.2. 대구도매시장 거래 실태 분석 ○. 도매시장 거래내역 전산 자료 확보 -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효과적으로 자료 가공. 5.3. 대구도매시장 중장기 발전 전략 ○. SWOT 분석 - SO, ST, WO, WT 등 전략 마련. 5.4. 도매시장 이전 타당성 분석 및 추진 전략 ○. 대구도매시장 거래 규모 추정 - 경제변수의 변화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구조적 모형을 통해 추정. ○. 이전 사업 비용 추정 및 기본 설계 - 이전 후보지와 예상 취급량을 확정하여 전문 기관 위탁. ○. 경제성 평가 - 사회적 할인율 6.5% 적용(한국개발연구원 기준).

(17) 12 - 분석기간은 사업완료 후 30년 - 편익비용비율(B/C), 순현재가치(NPV), 내부수익률(IRR) 등 산출 ○. 투융자 계획 - 가락시장 현대화, 노량진수산시장 현대화 등 유사 사업의 사례 참조.

(18) 13. 제. 2. 장. 대구농수산물도매시장의 기능과 역할. 1. 도매시장의 기능과 역할. 1.1. 도매유통의 기능 ○. 유통의 기능은 크게 교환(Exchange)기능, 물류(Physical Distribution)1기능, 조성 (Facilitative)기능 등으로 구분됨(유병서 2001). - 교환기능에는 구매(수집)기능과 판매(분산)기능이 있음. - 물류기능에는 저장, 수송, 가공 등의 기능이 있음. 농산물의 경우 쌀의 도정, 원예작물의 포장 등을 가공으로 분류하고 있음. - 조성기능은 교환과 물류기능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말함. 조성기능은 표준화, 등급화, 금융, 위험부담, 시장정보제공 등의 기능을 포괄함.. ○. 교환, 물류, 조성 등의 유통기능은 유통의 단계나 유통 주체에 구애되지 않고 항상 수행되는 기능임. - 산지유통에서 교환은 산지공판장, 또는 산지유통인이 생산자로부터 농산물을 수집하여, 도매시장이나 기타 소비기구로 분산하는 형태로 이루어짐. 일반적 으로 산지공판장 거래의 경우에는 저장과 수송은 일반적으로 생산자가 수행 함. 포전거래의 경우에는 산지유통인이 수확이후의 과정을 책임지고 수행함. 산지거래에서 발생하는 계약, 선도자금 등은 교환과 물류가 원활하게 이루어. 1 원론적으로는 물적(Physical)기능으로 표기하지만, 물류라는 표현이 널리 통용되고 있어, 이 연구에서는 물류기능으로 표기하기로 함..

(19) 14 지도록 하는 유통조성기능에 해당함. - 생산자-소비자 직거래의 경우에도 팔고 사는 교환, 농산물이 이동하는 물류, 이들을 지원하는 금융거래, 보험 등의 조성 기능이 수행됨. ○. 농산물 도매시장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교환, 물류, 조성 기능이 이루어지고 있음. - 경매제 시장에서 도매시장법인은 수집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중도매인은 분산 하는 역할을 수행함. 도매시장법인은 경매를 통하여 농산물의 소유권을 출하 자로부터 중도매인으로 이전하는 역할을 수행함. - 시장도매인제 시장에서는 시장도매인이 농산물의 수집과 분산 기능을 동시에 수행함. - 중도매인이나 시장도매인은 사전에 체결된 계약에 의해 시장 밖으로 농산물을 판매하기도 하며, 시장을 방문한 구매자를 대상으로 판매하기도 함. 원활한 분 산활동을 위해서 중도매인이나 시장도매인이 행하는 거래처 확보, 상품진열, 다양한 판매촉진 활동 등이 분산 기능에 포함됨. - 중도매인이나 시장도매인에게 농산물의 소유권이 이전되기 전까지 발생하는 저장, 수송 등의 물류기능은 출하자의 책임 하에 이루어짐. 또한, 경매장이나 시장도매인 점포에 하역이 이루어진 후에 발생하는 저장, 수송 등의 물류 기능 은 중도매인이나 시장도매인의 책임 하에 이루어짐. 이같은 도매시장 내의 물 류기능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매시장은 저온저장고 등의 다양한 물류 설비를 구비하고 있음. - 도매시장의 포장규격화, 등급화, 도매시장법인의 출하대금 즉시 정산, 출하자 가 경락가격에 불만을 표시한 경우 발생하는 손실보상, 경락가격 정보 제공 등 이 도매시장이 행하는 유통조성기능으로 볼 수 있음.. 1.2. 도매시장의 필요성 ○. 유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앞서 언급한 교환, 물류, 조성 등의 유통기 능이 안정적으로 조화를 이루어야 하며, 이를 위해 도매시장과 같은 기구들이 필 요하게 됨. - 도매시장은 제반 유통기능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통 비용을 절감하고, 농산물의 가치를 높이는 역할을 수행함..

(20) 15 ○. 도매시장은 생산자와 소비자가 맺는 총거래 회수를 감소시켜, 사회전반의 유통비 용 감소에 기여함. - 서로 다른 품목을 생산하는 다수의 생산자로부터 소비자가 각각의 품목을 모 두 구매하는 경우 도매시장이 있을 때 그렇지 않을 때에 비해 총 거래 회수가 감소하며, 이는 사회전반의 유통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음. - <그림 2-1>의 ㉠은 도매시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거래관계를 나타낸 것이 며, ㉡은 도매시장이 존재하는 경우의 거래 관계를 나타낸 것임. 도매시장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총 20번의 거래가 발생해야 모든 소비자들이 필요로 하는 농산물을 구매할 수 있지만, 도매시장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9번의 거래를 통 해 모든 소비자들이 필요로 하는 농산물을 구매할 수 있음. - 생산자와 구매자 수가 많아질수록 도매시장을 경유할 때 총 거래수 감소 효과 가 크게 나타남. 그림 2-1. 도매시장의 총 거래수 감소 효과. ㉠. ○. ㉡. 도매시장은 생산자-구매자 간의 탐색을 원활하게 보장함으로써 거래비용을 절감 시킴. - 시장에는 다수의 생산자와 다수의 소비자가 존재하며, 거래가 이루어지기 위 해서는 상품과 가격 등 조건이 맞는 생산자와 소비자가 연결되어야 함. - 거래가 성사되기 위해서는 생산자와 소비자는 다수의 거래 상대방 중에서 적 합한 조건을 가지고 있는 상대방을 찾아야 하며, 이때 탐색비용(searching cost)이 발생함. - 도매시장의 유통인들은 생산자와 소비자에 대한 풍부한 정보를 소유하고 있어 적절한 조건에 거래가 성사되도록 중개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를 통해 탐색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

(21) 16 ○. 도매시장은 적당한 거래규모의 상품구색을 갖출 수 있도록 하여, 농산물의 거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 - 출하단위가 크면 클수록 생산자들은 수송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 즉, 1톤 단위 의 수송보다는 5톤 단위로 수송한 경우 수송비용이 절감됨. - 또한 생산자는 적은 수의 품목을 대규모로 출하하는 반면, 소비자들은 소량 다품목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음. - 도매시장은 서로 다른 품목을 취급하는 다수의 출하자로부터 대량의 농산물을 구매하여, 소량 다품목을 요구하는 소비자들에게 판매하는 역할을 수행함.. ○. 도매시장은 통합적인 재고관리 기능을 수행하여, 개별 구매자들의 재고관리 비용 절감을 가능케 함. - 도매시장 구매자들이 가공이나 판매를 안정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규모 의 재고를 확보해야 함. - 도매시장에서 저장 등의 기능을 통해 안정적으로 농산물을 공급하게 되면 구 매자들은 개별적으로 재고관리를 하지 않고도 도매시장을 통해 원활하게 농산 물을 공급받을 수 있음. - 도매시장은 시장 전반의 수급 상황을 고려하여 통합적으로 재고관리를 하므 로, 구매자가 개별적으로 재고관리를 하는 것에 비해 낮은 비용으로 효과적인 재고관리가 가능함.. ○. 도매시장은 농산물의 거래를 일상화함으로써 유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원 함. - 도매시장에서는 늘 거래가 이루어지며, 계약 거래의 경우에는 별도의 거래 조 건 협상 없이도 안정적인 거래가 가능함. - 이는 거래마다 새롭게 거래조건을 결정하는 것에 비하여 유통과정에서 발생하 는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음.. 1.3. 농산물 유통 경로와 도매시장 ○. <그림 2-2>는 농산물의 일반적인 유통경로와 그 속에서 도매시장 차지하는 위치 를 표현한 것임. - 생산자는 자신이 생산한 농산물을 일부는 스스로 소비하고, 일부는 직거래를.

(22) 17 통해 판매하며, 대부분의 농산물은 ‘산지유통기구-도매시장’ 경로를 통해 판매 함. - 도매시장은 농산물은 축산물과 수산물도 수집하고, 필요한 경우 수입 농축수 산물도 취급하여, 거래처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구색의 1차 상품을 구비함. - 도매시장은 일부 물량을 수출이나 대형유통업체에 분산하기도 하며, 대부분의 물량은 급식, 외식, 식료품 취급점 등에 분산함. 그림 2-2. 농산물의 유통경로와 도매시장. 2. 전국 농수산물 공영도매시장의 도매유통 현황. 2.1. 농수산물 공영도매시장 개설 현황 ○. <표 2-1>과 같이 공영도매시장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06년 말 현재 32개 소임. - 공영도매시장 추가 신설계획이 없어 당분간 32개 도매시장이 유지될 것으로 전망됨. - 대구도매시장을 비롯한 서울가락, 부산엄궁, 인천구월, 광주각화, 대전오정, 울 산 등 7개 공영도매시장과 노량진수산시장이 중앙도매시장으로 지정되어 있음..

(23) 18 표 2-1. 연도별 공영도매시장 수 변화 추이 단위 : 개소. 연 도. 1995.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공영도매시장수. 13. 18. 21. 23. 29. 30. 30. 32. 32. 자료 : 농림부, 2006, 「2005년도 농수산물도매시장통계연보」.. 표 2-2. 전국 공영도매시장 현황 단위 : 개소, ㎡. 시장별 서울가락 서울강서 부산엄궁 부산반여 대구북부 인천구월 인천삼산 광주각화 광주서부 대전오정 대전노은 울 산 수 원 구 리 안 양 안 산 춘 천 강 릉 원 주 청 주 충 주 천 안 전 주 익 산 정 읍 순 천 안 동 포 항 구 미 창 원 진 주 마 산. 개 장 일 ’85. ’04. ’93. ’00. ’88. ’94. ’01. ’91. ’04. ’87. ’01. ’90. ’93. ’97. ’97. ’97. ’96. ’99. ’01. ’88. ’95. ’95. ’93. ’98. ’00. ’01. ’97. ’01. ’01. ’95. ’99. ’02.. 6. 2. 12. 12. 10. 1. 5. 2. 3. 11. 7. 3. 2. 6. 9. 11. 9. 11. 4. 11. 11. 7. 10. 1. 3. 4. 4. 10. 4. 10. 11. 12.. 19 25 21 22 7 11 9 27 29 2 20 20 27 9 6 25 3 24 4 10 15 18 29 5 10 18 21 26 17 14 24 27. 법인수 (시장도매인) 10 3(52) 3 3 7 4 3 3 4 4 2 5 5 5 2 3 2 1 2 3 3 2 4 3 2 2 2 3 2 2 2 3. 자료 : 농림부, 2006, 「2005년도 농수산물도매시장통계연보」.. 규 모 부 지 543,451 210,362 155,788 151,942 152,074 60,810 107,912 56,206 111.201 71,482 112,282 41,011 56,926 186,575 84,939 42,499 31,499 65,825 44,880 34,380 45,756 43,670 59,577 105,782 70,917 74,461 36,279 84,053 83,049 56,884 77,254 77,229. 건 물 281,179 114,807 91,805 74,109 71,616 43,382 56,097 35,329 52,658 32,454 45,507 16,992 21,221 132,990 65,392 27,447 7,489 15,992 13,995 20,302 14,551 14,654 26,754 22,638 13,886 29,930 12,392 29,872 23,833 31,788 40,065 33,601.

(24) 19 ○. <표 2-2>는 32개 도매시장의 현황을 정리한 것임. - 85년 서울 가락시장 개장 이후, 공영도매시장으로서는 87년 대전 오정시장이 2번째로 개장하였으며, 대구도매시장은 88년 3번째로 개장하였음. - 특광역시의 제2도매시장으로 2000년 부산반여, 2001년 인천삼산과 대전노은, 2004년 서울강서와 광주서부 시장이 개장하였음. - 수산물을 취급하는 공영도매시장은 서울가락, 대구, 광주서부, 대전오정, 울산, 수원, 구리, 안산, 청주, 충주, 전주, 익산 등 12개소임. - 축산물을 취급하는 공영도매시장은 서울가락 1개소, 화훼를 취급하는 공영도 매시장은 마산 1개소임.. ○. 전국 32개 도매시장의 부지 연면적은 3,026㎡, 시설연면적은 1,515㎡임. -시장 부지 기준으로 대구도매시장은 서울가락, 서울강서, 구리, 부산엄궁에 이 어 5번째 넓은 도매시장임.. 2.2. 농수산물 공영도매시장의 도매유통 현황 ○. 32개 공영도매시장에서 거래된 청과물 및 수산물의 규모는 2005년 기준 각각 5,924천 톤과 254천 톤임. - 이는 2005년 국내에서 소비된 청과물과 수산물의 59.1%와 13.7%에 해당함.. ○. 도매시장의 청과물 총거래량은 2003년 다소 감소하였으나 2001년 이후 지속적으 표 2-3. 농수산물의 도매시장 경유율 추이 단위 : 천 톤, % 1). 구분. 도매시장 거래량 (A). 2). 국내 소비량 (B). 도매시장 경유율(A/B). 청과. 수산. 청과. 수산. 청과. 수산. 2001. 5,549. 274. 10,472. 1,684. 53.0. 16.3. 2002. 5,642. 247. 9,596. 1,730. 58.8. 14.3. 2003. 5,491. 242. 9,845. 1,844. 55.8. 13.1. 2004. 5,752. 252. 10,200. 1,974. 56.4. 12.8. 2005. 5,924. 254. 10,029. 1,857. 59.1. 13.7. 주 1) 농림부, 2006, 「2005년도 농수산물도매시장통계연보」. 2)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6, 「식품수급표 2005」. 청과는 과실류, 채소류, 서류, 견과류 의 합, 수산은 어패류의 합.

(25) 20 로 증가하여 2005년까지 5년간 6.8% 증가율을 기록함. - 2004년과 2005년의 도매시장 거래량 증가는 2004년 서울 강서와 광주 서부 도매시장의 개장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판단됨. - 도매시장 거래량의 증가에 따라 도매시장 경유율은 2001년 53%에서 2005년 59%로 상승함. ○. 도매시장의 수산물 총거래량은 2003년 다소 감소하였으나, 2002년~2005년 기간 동안 꾸준히 증가하여 그 증가율은 11%에 이름. - 도매시장의 수산물 거래량은 증가하였으나 그 폭이 수산물에 대한 국내 소비 량 증가 규모에는 미치지 못하여 수산물의 도매시장 경유율은 오히려 하락하 였음.. 2.3. 도매시장의 분산기능 ○. 전국 농수산물 도매시장의 중도매인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중도매인의 판매처별 매출 비중은 <표 2-4>와 같음. - 소매점, 차량행상, 요식업체 등의 비중이 비교적 높았으며, 이들 3가지 유형의 판매처가 차지하는 매출 비중이 약 60%에 달함. -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소매)하는 비중은 약 9.1% 였으며, 타시장으로 판매되 는 규모는 약 7.6%임. - 가공업체와 급식업체의 비중은 각각 1.4%와 5.1%으로 비교적 낮은 편이었음.. ○. 도매시장이 중소 자영업자에게 농산물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 - 소매점, 요식업, 차량 행상 등은 대표적인 소규모 자영업의 업태임. - 이들은 농산물의 취급 규모가 크지 않기 때문에 산지와 직거래를 통해 비용을 절감하기 어려운 여건에 있음. 표 2-4. 중도매인 판매처별 매출 비중(청과) 단위 : %. 대형소매 요식업체 가공업체 급식업체 차량행상 10.5. 11.1. 자료 : 김병률 외, 2006. 1.4. 5.1. 12.4. 소매점. 중간상. 소비자. 타시장. 36.3. 6.6. 9.1. 7.6.

(26) 21 - 도매시장이 갖추고 있는 다양한 품목 구성, 다른 유통 경로에 비해 비교적 저 렴한 가격, 중도매인이 제공하는 신용거래(외상) 등이 이들 자영업자들이 도매 시장을 선호하는 이유라 판단됨. ○. <표 2-5>는 대형소매, 중소소매, 외식/급식 업체의 농산물 구매 담당자들의 구매 처에 대한 선호를 조사한 것임. - 대형소매업체들은 도매시장구입을 현 수준에서 유지하거나 감축할 의향을 가 지고 있는 반면, 산지직구입을 확대할 의향을 가지고 있음. - 중소소매업체들은 도매시장구입을 현 수준에서 유지하거나 확대할 의향을 가 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외식/급식 업체들은 산지직구입을 확대할 의향을 일정 가지고 있으면서도, 도 매시장에 대한 구입비중은 현 수준을 유지할 것을 나타남.. ○. 대형유통업체의 소매시장 점유율이 확대되더라도, 중소 소매업이나 외식/급식 등 중소규모 농산물 구매 업체에 대한 도매시장의 농산물 분산 기능은 지속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음.. 표 2-5. 농산물 구매처의 구매거래처 선호 의향 단위 : 명. 업태. 품목 과일. 도매시장구입 확대. 유지. 산지직구입. 감축. 확대. 유지. 농협유통센터 감축. 확대. 유지. -. 13. 1. 11. 1. -. 1. 4. 대형. %. -. 92.9. 7.1. 91.7. 8.3. -. 20.0. 80.0. 소매. 채소. -. 12. 2. 10. 2. -. 1. 3. %. -. 85.7. 14.3. 83.3. 16.7. -. 25.0. 75.0. -. 23. - . -. -. -. -. . 과일. 감축 - - - . 중소. %. -. 100.0. -. -. -. -. -. 소매. 채소. 1. 20. -. -. -. -. -. %. 4.8. 95.2. -. -. -. -. -. 과일. -. 18. -. 2. 1. -. -. 2. -. -. 100.0. -. 66.7. 33.3. -. -. 100.0. -. 2. 2. -. -. 2. -. 50.0. 50.0. -. -. 100.0. -. 외식/. %. 급식. 채소 %. - -. 자료 : 김병률 외, 2006. 19 100.0. - -. . -.

(27) 22. 3. 대구농수산물도매시장의 도매유통 기능. 3.1. 대구지역 농수산물 소비량 ○. 식품수급표의 1인당 농수산물 소비량과 대구지역의 인구를 곱하여, 대구지역의 농수산물 총소비량을 산출함. - 2005년 기준 대구지역 농수산물 소비량은 채소류 41.3만 톤, 과실류 11.6만 톤, 수산물 9.8만 톤으로 추산됨. - 식품수급표는 국내 생산(어획)량과 수입 농수산물 수량, 폐기량, 이월량 등을 고려하여 작성되므로, 위에서 산출된 대구지역 농수산물의 소비량은 국산은 물론 수입 농수산물을 모두 집계한 소비량임. - 채소류 2001년도 1인당 소비량이 다른 해에 비해 현저히 높았음. 2001년도를 제외하면 채소류는 40~43만 톤, 과실류는 10~12만 톤, 수산물은 10만 톤 내 외의 수량이 해마다 대구지역에서 소비되고 있음.. 표 2-6. 대구지역 농수산물 소비량(추정) 단위 : kg, 명, 톤 1). 연도. 1인당 소비량 채소. 과실. 수산. 2001. 177.74. 43.46. 35.57. 2002. 158.34. 43.08. 2003. 165.14. 2004 2005. 총 소비량. 인구. 채소. 과실. 수산. 2,539,347. 451,344. 110,360. 90,325. 36.30. 2,539,843. 402,159. 109,416. 92,196. 40.61. 38.54. 2,544,667. 420,226. 103,339. 98,072. 169.29. 42.85. 41.06. 2,553,885. 432,347. 109,434. 104,863. 162.08. 45.58. 38.45. 2,550,516. 413,388. 116,253. 98,067. 주 1) 식품수급표 상 채소와 서류는 채소로, 과실과 견과류는 과실로 집계함. 어패류를 수산 으로 집계함.. 3.2. 대구농수산물도매시장 지역 내 유통 경유율 ○. 앞에서 추산한 대구지역의 농수산물 중에서 대구농수산물도매시장의 거래량이 차 지하는 비중을 계산하면, 대구농수산물도매시장의 경유율을 산출할 수 있음. - 하지만, 대구도매시장은 대구지역은 물론 인근 지역에도 농수산물을 분산하는.

(28) 23 거점 도매시장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므로, 인근 지역의 농수산물 소비량을 일정하게 감안해야 함. ○. 대구도매시장의 상권이 경북지역까지 미치고 있으므로 일정 수준의 경북지역 소 비량이 대구도매시장을 경유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함. 경북지역에는 구미, 안동, 포항 등 3개 도매시장이 존재하므로 대구도매시장이 경북지역 소비량의 1/4 을 취급한다고 가정하여 <표 2-7> 대구도매시장의 지역 내 유통경유율을 산출함. - 경북 인구의 1/4을 포함할 경우 2005년 대구도매시장의 청과류 경유율은 전국 도매시장 청과류 경유율과 유사한 수준을 나타냄. - 대구시 소비량만을 대상으로 한 경우 2005년 대구농수산물도매시장의 유통 경유율은 채소류 82.4%, 과실류 46.1%, 수산 15.1%임. 또한, 청과류의 경유율 은 74.5%로 전국 도매시장 경유율보다 약 15% 높게 나타남. - 대구시의 소비량에 경북 소비량의 1/4을 더한 값을 대상으로 한 경우 경유율은 채소류 65.4%, 과실류 36.6%, 수산 12.0%임. 표 2-7. 대구농수산물도매시장의 유통경유율 단위 : 톤, %. 도매시장 거래량 연도. 채소. 과실. 청과계. 경유율1(대구시). 경유율2(대구시+경북)1). 수산. 채소 과실 청과계 수산 채소 과실 청과계 수산. 2001 363,622. 78,836 442,458. 9,084. 80.6. 71.4. 78.8. 10.1. 63.4. 56.2. 62.0. 7.9. 2002 368,558. 69,568 438,126. 9,286. 91.6. 63.6. 85.6. 10.1. 72.2. 50.1. 67.5. 7.9. 2003 342,811. 67,457 410,268. 10,895. 81.6. 65.3. 78.4. 11.1. 64.4. 51.6. 61.9. 8.8. 2004 335,043. 55,454 390,497. 13,117. 77.5. 50.7. 72.1. 12.5. 61.4. 40.2. 57.1. 9.9. 2005 340,830. 53,588 394,418. 14,816. 82.4. 46.1. 74.5. 15.1. 65.4. 36.6. 59.1. 12.0. 주 1) 대구시의 총소비량과 경북 총소비량의 1/4을 더한 소비량에 대한 경유율. ○. 2002년을 제외하면, 채소류의 대구도매시장 유통경유율은 일정한 수준(경유율2의 경우 61%~65%)을 유지한 반면, 과실류의 유통경유율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 상이 나타남. - 2001년~2002년 기간 약 6%, 2003년~2004년 기간 약 11% 감소하는 등 과실 류의 경유율이 낮아져(점유율2 기준), 2001년에 비해 2005년의 과실류의 유통 경유율이 20% 감소하는 현상이 발생함. - 과실류 소비량이 채소류에 비하여 약 1/4 수준이어서 과실류 경유율의 감소가.

(29) 24 청과류 전체의 경유율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음. - 대구도매시장의 청과류 전체의 유통 경유율은 2001년에 비하여 2005년에 다 소 하락하였으나, 전반적으로는 60% 내외의 경유율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 으로 판단됨. ○. 수산물의 도매시장 경유율은 14% 수준이며, 대구도매시장의 경유율은 2005년 기 준 12%임(경유율2의 경우).. 3.3. 대구도매시장의 분산 기능 ○. 대구도매시장은 추석과 같이 농산물 거래가 빈번한 시기에는 일평균 5천대가 넘 는 차량이 이용하고 있으며, 11월과 같은 시기에는 일평균 약 4천대의 차량이 이 용하고 있음<표 2-8>. 표 2-8. 대구도매시장 이용차량 단위 : 대, 일. 연월. 2006.9. 2006.11. 2007.2. 총입차대수. 141,548. 105,342. 103,007. 거래일입차대수. 140,010. 104,604. 102,072. 26. 26. 23. 5,385. 4,023. 4,438. 거래일수 거래일평균입차대수. 자료 : 주차관리사업소(시설관리공단). ○. 조사결과에 따르면 요식업, 납품업, 소매업, 무점포소매업 등의 중소업체들이 대 구도매시장의 분산 거래처의 60% 내외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이는 <표 2-4>의 전국 도매시장 평균과 유사한 수준임.. ○. 대구시 사업체기초통계조사보고서에 따르면, 농수산물을 취급하는 요식업, 납품 업, 소매업 사업체수는 28,642개이며, 그 종사자는 70,320명임<표 2-9>. - 이는 대구시 총사업체수의 약 16%이며, 사업체 종사자의 약 10%에 해당하는 비중임. - 이들 사업체가 모두 대구도매시장을 이용한다고 볼 수 없으나, 도매시장에서 상대적으로 유리한 거래조건을 갖춘다면 대구도매시장을 이용할 수 있는 잠재.

(30) 25 고객으로 볼 수 있음. - 또한 이들 외에도 무점포소매업자(주로 차량행상)와 같이 사업체로 등록되지 않은 구매처들이 다수 존재함. 표 2-9. 대구도매시장 잠재 고객 단위 : 개소, 명. 구 분 계. 계. 개인사업자. 법인사업자. 사업체수 종사자수 사업체수 종사자수 사업체수 종사자수 28,642. 70,320. 28,358. 66,756. 229. 2,993. 슈퍼마켓. 382. 2,259. 332. 1,435. 20. 381. 체인화편의점. 478. 1,861. 418. 1,554. 59. 303. 기타음·식료품위주종합소매업. 4,516. 7,598. 4,506. 7,570. 4. 16. 과실및채소소매업. 1,371. 2,094. 1,368. 2,088. 2. 4. 일반음식점업. 15,947. 42,945. 15,862. 41,804. 70. 1,046. 기타음식점업. 5,948. 13,563. 5,872. 12,305. 74. 1,243. 자료 : 대구광역시, 2006, 2005년기준 사업체기초통계조사보고서. ○. 대구도매시장은 이들 대구지역 내의 거래처 외에도 경북 및 경남, 충북과 강원 일 부 지역 등의 농수산물 수요처에 농수산물을 분산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 4. 유통환경의 변화와 대구농수산물도매시장의 발전방향. 4.1. 유통환경의 변화 4.1.1. 대형유통업체의 소비지 시장 점유율 확대 ○. 대형유통업체의 소비지 시장 점유율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음. - 대형유통업체의 매출액과 점포수는 2001년~2006년 기간동안 각각 1.9배, 1.7 배로 증가하였음.<그림 2-3> - 전체 공영도매시장 거래액은 2001~2005년 기간 동안 55,613억 원에서 75,376 억 원으로 1.4배로 증가하였음. - 대구도매시장의 거래액은 2001~2006년 기간 동안 2,969억 원에서 4,007억 원 으로 1.3배 증가하였음..

(31) 26 그림 2-3. 대형유통업체 점포 수 및 매출액 성장추이 조원. 개. 345. 350. 30 304. 매출액 276. 점포수. 25. 300 26.3. 249. 250. 230 20 198. 23.7 21.5. 162. 15. 200. 19.5 150. 17.4. 115 13.8. 10. 100. 10.5 7.6 5. 50. 0. 0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추 정 ) 2006(전 망 ). 자료 : 통계청, 한국체인스토어협회, 신세계유통산업연구소(추정 및 전망). 4.1.2. 외식지출의 확대 ○. 도시가구는 식료품 구입액의 약 46%를 외식 소비로 지출하고 있음. - 채소류, 과실류의 지출액 비중은 연도별로 큰 차이가 없었고, 수산물의 지출액 비중은 다소 감소하였음. - 외식 지출의 비중은 2001년에 비해 2006년에는 약 5% 증가하였으며, 전체 식 료품 지출의 절반에 육박하는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가구에서 직접 구입하는 채소와 과실, 수산물이 전체 식료품 지출에서 차지하 는 비중은 약 20% 임.. ○. 도매시장에 비하여 대형유통업체의 시장 점유율이 빠르게 증가하여 도매시장과 경쟁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측면이 존재하나, 가구 식료품 지출의 절반 가량을 외 식이 점유하고 있고, 외식업체에서 도매시장을 활용하고 있어 도매시장의 역할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음. - <표 2-7>에서 채소류의 도매시장 경유율에는 커다란 변화가 없으나, 과실류의 경유율이 빠르게 감소하였음. - 이는 가구가 직접 구입하는 비중이 높은 과실류와 외식비중을 통한 소비 비중 이 상대적으로 높은 채소류의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생각됨. - 즉, 가구 직접 구입 비중이 높은 과실류는 대형유통업체와의 경쟁 등의 이유로.

(32) 27 표 2-10. 도시가구 월별 식료품 지출액 추이 단위 : 원, %. 연도. 식료품계 채소류 채소비중 과실류 과실비중 수산물 수산비중. 외식. 외식비중. 2001. 463,582. 34,673. 7.5. 28,179. 6.1. 32,855. 7.1. 190,480. 41.1. 2002. 481,049. 36,709. 7.6. 28,527. 5.9. 34,785. 7.2. 201,543. 41.9. 2003. 509,649. 40,051. 7.9. 28,173. 5.5. 31,786. 6.2. 233,210. 45.8. 2004. 544,775. 40,715. 7.5. 32,869. 6.0. 32,676. 6.0. 253,882. 46.6. 2005. 551,581. 40,533. 7.3. 34,096. 6.2. 32,544. 5.9. 255,850. 46.4. 2006. 558,342. 41,900. 7.5. 35,672. 6.4. 33,755. 6.0. 258,281. 46.3. 자료 : 통계청, 도시가구 소비지출(http://kosis.nso.go.kr). 도매시장의 경유 비중이 감소하고 있으나, 외식 소비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채소류 영역에서는 대형유통업체의 영향력이 크게 발휘되지 않고 있다고 볼 수 있음.. 4.1.3. 고품질 안전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 선호 ○. 친환경농산물 등 고품질 안전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임. - 2005년 기준 친환경 농산물의 유통량은 7,800억 원 규모로 추정되고 있으며, 이는 2000년 유통량의 4배에 가까운 규모임. - 안전한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가 친환경농산물의 유통량을 급속하게 증 가시키는 원인 중의 하나임. - 이에 따라 우수농산물인증(GAP), 지리적표시제, 이력추적(Traceability) 등 안 전한 고품질 농산물의 공급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 고품질 안전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는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 농림부는 친환경농산물과 우수농산물인증 농산물이 각각 전체 농산물 생산량 대비 10% 비중에 이르도록 생산량을 확대하는 것을 정책 목표로 삼고 있음.. ○. 고품질 안전 농산물에 대한 수요 확대와 함께 소비자들이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 는 신선편이 농산물, 간편조리 식품 등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33) 28 그림 2-4. 친환경농산물 유통액 추이 단위 : 억 원 9 ,00 0 8 ,00 0 7 ,00 0 6 ,00 0 5 ,00 0 4 ,00 0 3 ,00 0 2 ,00 0 1 ,00 0 0 2000년. 2001년. 2 0 0 2년. 2003년. 2 0 04 년. 20 0 5 년. 자료 : 농림부, 친환경농업육성정책, 2006. 4.1.4. 수입농산물의 증가 ○. 청과류의 수입 규모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음. - 2001년~2007년 기간 동안 청과물 수입은 거래량 기준 107%, 거래금액 기준 124% 증가하였음. - 같은 기간 동안 채소류 수입은 거래량 기준 209%, 거래금액 기준 160% 증가 하였으며, 과실류 수입은 거래량 기준 57%, 거래금액 기준 104% 증가하였음. - 과실류의 수입 규모가 채소류보다 크지만, 채소류의 수입규모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음.. ○. 수산물의 수입량은 비교적 완만하게 증가하고 있음.. 표 2-11. 농수산물 수입실적 추이 단위 : 천 톤, 백만 달러. 구분. 2001. 2002. 2003. 금액. 물량. 2004. 금액. 물량. 2005. 금액. 물량. 2006.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청과계. 723. 546. 794. 615 1,092. 776 1,165. 896 1,281. 997 1,498 1,223. 채소류. 238. 192. 259. 196. 452. 269. 503. 332. 588. 381. 736. 500. 과실류. 485. 354. 535. 419. 640. 507. 662. 564. 693. 616. 762. 723. 수산류 1,055 1,631 1,195 1,887 1,246 1,964 1,290 2,264 1,271 2,387 1,393 2,774 자료 : 농수산물물유통공사, 연도별 수출입통계(http://www.kati.net).

참조

관련 문서

○ 예술가 창작환경 안정화 및 질적 성장 지원을 위하여 입주작가 맞춤형 창작 환경 지원 , 입주작가 맞춤형 창작 역량 강화 프로그램 지원 , 경기창작센터 내 소통 활성화

대학과 공공연구소의 기상기술 이전 활성화 및 사업화 촉진을 위한 기술이전센터(TLO)

광고나 캠페인이 아닌, 개발중인 자동차 자체의 디자인이나 색상, 스펙 등에 대한 소비자 반응 평가 실험도 가능함2. 브랜드

제11조(사용허가의 취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언제든지 허가 한 재산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하여 사용허가를 취소할 수

고의성이나 불법적인 행동에 대한 특성이나 질을 알고 있는 정신상태에 대한 평가.

– 회원국가의 어느 시민이 자신의 나라에서 특허를 출원하였을 경우 다른 어떤 회원국에서도 똑 같은 특허 보호에 대한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 –

원자의 종류 및 구조에 대한 활성화 에너지가 다르다..

사업주는 터널 등의 건설작업을 할 때에 붕괴 등에 의하여 근로자가 위험해질 우려가 있는 경우 또는 법 제42조제1항제3호에 따른 경우에 작성하는 유해위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