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최소 필요열량 기준 자급률 산정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최소 필요열량 기준 자급률 산정"

Copied!
2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최소 필요열량 기준 자급률 산정

(2)

본 연구는 비상시 국민에게 최소 필요수준의 열량을 공급하기 위한 자급률 산정과 품목별 국내 농업생산 수준을 산출하고자 수행되었다. 최소필요열량 은 영양학적 관념에서 보면 매우 주관적이기 때문에 정의하기가 쉽지 않지만 본 연구에서는 국가 안보적 차원에서 적정자급률을 설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입하였다. 이들 최소필요열량을 자급하기 위한 작물별 생산량과 농지면적 을 선형 및 비선형계획법에 의해 추정하였다. 최소필요열량에 대한 개념과 이에 기초한 연구결과는 많은 논란을 불러일 으킬 수 있지만 이는 향후 심층연구를 통해 규명되어야 할 것이다. 아무쪼록 이 연구가 향후 정부의 식량자급목표 설정 등 식량수급관련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2004. 3.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 이 정 환

(3)

목 차

제 1 장 서 론 ··· 1 1. 연구배경 ··· 1 2. 연구목적 ··· 3 3. 연구내용 ··· 3 4. 연구방법 ··· 4 제 2 장 열량 자급률의 개념과 산정방법 ··· 5 1. 열량 자급률의 개념 ··· 5 2. 열량 자급률 산정방식 ··· 6 제 3 장 열량 자급률 추세와 전망 ··· 8 1. 열량 자급률 추세 ··· 8 2. 주요국의 열량 자급률 수준비교 ··· 9 3. 열량 자급률 전망 ··· 10 제 4 장 최소 필요열량기준 자급률 산정과 생산량 추정 ··· 11 1. 최소필요열량 정의 ··· 11 2. 2002년 최소필요열량 기준 자급률 산정 ··· 12 3. 필요열량기준 자급을 위한 생산량 추정 ··· 13 제 5 장 요약 및 결론 ··· 18 참고문헌 ··· 20

(4)

표 목 차

제 1 장 <표 1> 주요 품목의 자급률 추이 ··· 2 <표 2> 한국과 일본의 식품류별 자급률 비교(2002) ··· 2 제 2 장 <표 3> 자급률 산정방식별 장단점 비교 ··· 7 제 3 장 <표 4> 열량, 단백질, 지방 자급률 추이 ··· 8 <표 5> 주요국의 열량 자급률 추이 ··· 9 <표 6> 2010년 열량 자급률 전망 ··· 10 제 4 장 <표 7> 우리나라 최소필요 공급(섭취)열량 수준 설정 ··· 12 <표 7> 2002년 최소필요열량 기준 자급률 ··· 13 <표 8> 최소 필요열량 수준별 작물별 생산량 추정 ··· 16 <표 8> 최소 필요열량 수준별 작물별 생산면적 추정 ··· 16 <표 9> 영양소 자급률 추정 ··· 17

(5)

제 1 장

서 론

1. 연구 배경

○ 우리나라 식량(곡류)자급률은 1970년 이후 지속적으로 낮아져 식용자급 률(사료용제외)은 1970년 86%에서 2002년 58%로 하락하였으며, 사료용 포함 자급률은 같은 기간 81%에서 30%로 하락함 ○ 자급률은 쌀을 제외한 대부분 품목이 감소하는 추세이며, 특히 밀과 콩 등의 곡류와 육류의 자급률 하락추세가 두드러지게 나타남(표 1) ○ 우리나라의 식량자급률은 선진국 중 일본 다음으로 낮고 자급률 감소 속도가 일본보다 빠르게 나타나고 있어 자급률이 지금과 같은 추세로 계속 하락하게 될 경우 세계 식량수급사정에 따라 식량의 안정적 공급 은 위협받게 될 것임(표 2)

(6)

<표 1> 주요 품목의 자급률 추이 단위: % 1970 1980 1990 1995 1998 2000 2002 곡물(전체) 곡물(사료제외) 쌀 80.5 86.2 93.1 56.0 69.6 95.1 43.1 70.3 108.3 29.1 55.7 91.4 31.4 57.6 104.5 29.7 55.6 102.9 30.4 58.3 107.0 밀 15.4 4.8 0.05 0.3 0.1 0.1 0.2 콩 86.1 35.1 20.1 9.9 9.5 6.4 7.3 채소 100.2 100.2 98.9 99.2 97.9 97.8 97.3 과실 100.2 98.6 102.5 93.2 94.2 88.5 88.9 우유 - 109.7 92.8 93.3 89.0 81.0 72.5 육류 100.0 97.8 90.0 84.6 89.2 78.8 76.6 계란 99.2 100.0 100.0 99.9 99.8 100.0 100.0 주: 쌀, 밀, 콩은 사료용 포함한 전체자급률 기준 <표 2> 한국과 일본의 식품류별 자급률 비교(2002) 단위: % 한국 일본 곡물 30.4 28.0 쌀 107.0 96.0 밀 0.2 13.0 서류 99.1 84.0 두류 7.3 7.0 채소 97.3 83.0 과실 88.9 44.0 육류 76.6 53.0 계란 100.0 96.0 우유 및 유제품 81.0 69.0 어패류 84.8 53.0 유지류 1.8 13.0 주: 물량기준 자급률임. 자료: 한국 「식품수급표」 및 일본 「식료수급표」

(7)

○ 시장개방에 따라 자급률은 계속 낮아질 것으로 전망되는데 국가 안보차 원에서 비상시에 대비한 국내 식량생산전략이 요구됨 ○ 최근 국민영양측면을 고려한 자급률 지표인 열량(칼로리) 자급률 개념 이 도입되었는데 이는 식품의 양보다 질을 종합 평가하는 자급률임 ○ 국민영양 측면에서 볼 때 적정 수준의 열량섭취는 필요하며 비상시에도 최소 필요 수준의 열량섭취가 보장되어야 함 ○ 정부는 비상시에 대비해 가능한 한 최소필요열량을 공급할 수 있은 자 급률과 이에 대응한 농업생산을 유지해야하며, 이를 위한 기초연구의 수행이 필요함

2. 연구 목적

○ 비상시 국민에게 최소 필요수준의 열량을 공급하기 위한 자급률산정과 품목별 국내 농업생산 수준을 산출하는데 있음

3. 연구내용

○ 열량(칼로리) 자급률의 개념과 산정방법 ○ 자급률 추세와 전망 ○ 최소 필요수준의 열량공급을 위한 자급률 및 생산량 산출 - 자급률 수준 검토

(8)

- 국내자급을 위한 농업생산 수준 산출

4. 연구방법

○ 선형(linear programming) 및 비선형계획(nonlinear programming) 모형을 이용하여 국민 1인당 최소 필요열량을 자급하기 위한 목표연도(2020년) 의 품목별 생산량 및 농지 필요량을 추정함

(9)

제 2 장

열량 자급률의 개념과 산정방법

1. 열량 자급률의 개념

○ 식생활의 고급화 및 다양화 추세, 소비자들의 건강 인식 증대로 식생활 은 과거 곡물류 위주에서 영양・맛 등을 중시하는 경향으로 전환하고 있음 ○ 자급률은 이러한 식생활 변화 반영을 위해 종전 단순한 물량개념에서 공급식품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평가하는 방식으로 새롭게 정립되어야 함 - 곡물류는 다른 식품류에 비해 해외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곡물류 중심으 로 식량자급수준 평가시 국내 농업생산에 대한 과소평가 초래 ○ 열량(칼로리) 자급률은 식품전체를 포괄하는 자급률지표로서 각 식품에 함유된 칼로리 량을 기준으로 가중 평균하여 국민공급열량의 어느 정도 를 국내에서 조달하는가를 나타내는 지표임

(10)

2. 열량 자급률 산정방식

<열량(칼로리) 자급률 산출방식> ■ 열량(칼로리) 자급률 = 1인 1일당 순식용 공급 칼로리 중에서 국내산 공급칼 로리의 비중 - 1인 1일당 순식용 공급칼로리: 1인 1일당 순식용공급량에 칼로리를 곱해서 산출 ∙ 순식용공급량= [ 국내 총 소비량-(사료용+종자용+가공용+감모량)] ×(1 - 폐기율) - 1인1일당 국내산 공급칼로리: 1인 1일당 순식용 공급칼로리에 품목별 물량 기준 자급률을 곱하여 산출 - 육류의 경우 국내산 공급칼로리산출시 사료자급률을 고려함 ∙ 쇠고기는 배합사료와 조사료의 자급률을 급여기준으로 가중평균한 자급 률 적용 ∙ 돼지고기와 닭고기는 배합사료 자급률 적용 - 물량기준 자급률이 100% 넘는 경우 그대로 적용 ○ 세계에서 열량 자급률을 발표하는 국가는 일본과 한국 뿐 이며 일본은 1988년부터 우리나라는 1995년부터 발표함 ○ 열량 자급률은 전체 식량의 자급 수준을 평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품목별 수급상황과 국민 영양공급측면을 반영해 자급률 목표설정 등 식 품생산 및 소비정책에 가이드라인을 제공함

(11)

<표 3> 자급률 산정방식별 장단점 비교 장 점 단 점 물량기준 자급률 ∙품목별 수급상황을 잘 반영 ∙전체 식품을 대표하는 자급률 산 출이 어려움 열 량 자급률 ∙전체 식품을 대표하는 자급률 산 출 가능 ∙품목별로 산출시 물량기준자급률 과 일치 ∙식품전체를 대표하므로 자급률 목표 설정에 적합 ∙칼로리 함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곡류자급률에 의해 크게 영향 ∙반면 농업내에서 비중이 증가하 고 있는 채소류, 과실류 등에 대 한 비중은 상대적으로 경시

(12)

제 3 장

열량 자급률 추세와 전망

1. 열량 자급률 추세

○ 열량 자급률은 1970년 79.5%, 1990년 62.6%, 2002년 47.1% 수준으로 1970년 이후 대체로 감소추세를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1980년 <표 4> 열량, 단백질, 지방 자급률 추이 단위:% 칼로리 단백질 지방 1970 1980 1990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79.5 70.0 62.6 50.6 50.1 53.6 54.2 49.0 50.6 49.2 47.1 80.1 75.2 67.8 57.2 56.6 58.1 57.1 54.7 52.8 51.9 49.1 77.2 64.2 30.3 26.8 26.9 25.2 27.1 23.6 21.4 20.3 20.2

(13)

대 후반 이후 수입자유화의 영향으로 육류 및 유지류 수입이 크게 증가함 에 따라 단백질과 지방자급률이 크게 하락함(표 4)

2. 주요국의 열량 자급률 수준 비교

○ 국가별 열량 자급률을 비교해 보면 호주, 캐나다, 프랑스, 미국 등 수출 국은 100%를 넘는 수준인 반면 일본(40%), 스위스(55%), 폴란드(67%), 이탈리아(69%), 영국(61%) 등은 낮음(표 5) <표 5> 주요국의 열량 자급률 추이 단위:% 1970 1980 1990 1995 2000 2001 호 주 206 212 233 261 280 265 카 나 다 109 156 187 163 161 142 프 랑 스 104 131 142 131 132 121 독 일 68 76 93 88 96 99 이 탈 리 아 79 80 72 77 73 69 폴 란 드 65 72 78 72 70 67 스 페 인 93 102 96 73 96 94 스 웨 덴 81 94 113 79 89 85 스 위 스 46 56 62 59 61 55 영 국 46 65 75 76 74 61 미 국 112 151 129 129 125 122 일 본 60 53 48 43 40 40 한 국 80 70 63 51 51 49 주: 한국을 제외한 국가는 일본의 「食料需給表」(2003)에서 인용

(14)

3. 열량 자급률 전망

○ 2010년에 생산과 소비가 현재의 추세대로 진행될 경우 열량 자급률은 2002년 47.1%에서 2010년 35% 수준으로 매년 1.5% 포인트씩 하락할 것 으로 추정됨(표 6) ○ 쌀은 2002년 99% 수준이었으나 2010년에 82∼83% 로 크게 하락할 것 으로 전망됨. 두류도 수요 증가에도 불구하고 생산 감소추세가 계속될 경우 2010년 자급률은 2002년 자급률의 절반수준에도 미치지 못할 것으 로 나타남. 그 밖의 품목도 자급률 하락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날 것으로 전망됨 <표 6> 2010년 열량 자급률 전망 단위:% 식품류 2002 2010 곡류 61.3 35.9 밀 0.1 0.2 쌀 99.2 81.9∼83.7 서류 99.0 110.1 두류 8.8 5.0 종실류 32.6 21.6 견과류 80.6 101.7 채소류 97.3 93.0 과실류 88.9 86.2 육류 22.2 20.6 계란류 100.0 100.0 우유류 81.0 72.6 어패류 63.1 75.4 전체식품 47.1 34.6∼35.2 주: 곡류 및 서류는 식용자급률로 사료용 수요가 자급률 산정시 포함되지 않으며, 육류자 급률에는 사료자급률이 포함됨.

(15)

제 4 장

최소 필요열량기준 자급률 산정과 생산량 추정

1. 최소필요열량 정의

○ 영양권장량은 일반 건강한 대다수 국민의 영양요구량을 충족시키기 위 하여 영양학자들이 권장하는 각 영양소의 섭취수준임. ○ 평균영양권장량은 국민 인구 전체의 구성을 고려하여 산출하는데 이는 전체 국민의 평균적인 영양권장량으로 하나의 비교기준치를 제공하여 국가적인 차원에서 국민 전체의 영양상태 파악, 식품수급계획 및 영양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함 ○ 반면에 최소필요열량은 국가 안보적 차원에서 적정자급률을 설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념을 도입한다면 국민이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열량수준으로 정의할 수 있음 ○ 최소필요열량은 영양학적 관념에서 보면 매우 주관적이기 때문에 아직 공식적으로 채택되지 않은 개념이며, 따라서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기

(16)

준치가 설정되어 있지 않음 ○ 외국에서도 최소필요열량개념은 정의되지 않고 있으며, 단지 유사한 기 준으로서 비만을 방지하고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다이어트를 위한 영양권장량이 제시되고 있음 ○ 미국의 연구에 의하면 성인 기준으로 1,250∼1,500Kcal 정도만 섭취하면 다이어트를 하면서도 생활에는 지장이 없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음. 미 국의 칼로리 섭취수준이 3,000Kcal 임을 감안할 때 이는 약 40∼50% 수 준임 ○ 미국의 가이드라인을 국내에 적용한다면 2001∼2002년 우리나라 1일당 평균 영양공급량 3,000Kcal임을 감안하여 최소필요공급열량은 1,250∼ 1,500Kcal, 섭취량 기준으로는 824∼988Kcal 수준으로 추정됨 <표 7> 우리나라 최소필요 공급(섭취)열량 수준 설정 단위: Kcal 공급열량(2001-2002) 섭취열량(2001) 실제 공급(섭취)수준 3,000 1,976 최소필요 수준 1,250∼1,500 824∼988

2. 2002년도 최소필요열량 기준 자급률 산정

○ 최소필요공급열량을 1,250∼1,500Kcal로 설정할 경우 2002년 기준 열량 자급률은 94.0∼112.7%로 거의 식량자급이 실현되는 것으로 분석됨

(17)

<표 7> 2002년 최소필요열량 기준 자급률

단위 : %

2002년 공급량 최소필요공급량

2,992Kcal 기준 1,250Kcal 기준 1,500Kcal 기준

열량 자급률 47.1 112.7 94.0

3. 필요열량기준 자급을 위한 생산량 추정

3.1. 추정모형

○ 선형(linear programming) 및 비선형계획(nonlinear programming) 모형을 이용하여 국민 1인당 소비열량 1500Kcal 및 1250Kcal를 자급하기 위한 목표연도(2020년)의 품목별 생산량 및 농지 필요량을 추정함 ○ 목적함수는 국민 1인당 1500Kcal 및 1250Kcal 열량 섭취를 자급하기 위 해 국내 식품공급비용을 최소화하는 것으로 설정함. 단, 비선형계획모형 의 경우 국내농산물의 급격한 가격 변화에 대한 위험회피계수를 도입하 고 품목별 가격을 내생화하였음. ○ 위험회피계수 도입은 급격한 가격변동에 대한 리스크프리미엄과 급격한 농업생산구조의 변화가 일어날 경우 국민경제의 부담을 고려하기 위한 것이며, 가격변수의 내생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기존연구들이 제공하고 있는 농산물별 가격탄력성을 이용하여 선형의 수요함수를 도입하였음 ○ 본 모형의 제약식은 크게 세 가지로 구성됨 - 첫째, 국민 1인당 주어진 열량공급량을 자급 - 둘째, 현재 경지면적과 경지이용율을 감안한 최대 이용가능 경지면적

(18)

추정 - 셋째, 열량기준 탄수화물, 지방, 그리고 단백질의 구성비는 69:20:11를 유지 ○ 목적함수와 제약식, 변수와 파라메타는 다음과 같음 Min. Q W I 'Q + π ( QdP'/POP ) 2 s.t. N ' ( Q - G Q) ≥ 365 * POP * ( S - F ) Q'l≤L CARBO :FAT :PRO = 69 : 20 : 11

여기서 W:요소 가격 I:투입계수 Q:국내 농산물 생산량 dP:국내농산물 가격변화 N:농산물 한 단위당(100g) 열량 G:감모, 사료 등 비식품 소비 비율 S:1인당 1일 최소열량소비량(1500Kcal, 1250Kcal) F:1인당 1일 수산물 등 기타 식품에서 섭취하는 열량 π:국내농산물 가격 변동에 대한 절대적 위험회피계수(coefficient of absolute risk aversion) POP:2020년 인구 (5,065만명) L:2001년 현재 경지이용면적 l:국내농산물 단위당(ton) 토지소요량 CARBO:탄수화물로부터 섭취되는 열량 FAT:지방으로부터 섭취되는 열량 PRO:단백질로부터 섭취되는 열량

(19)

3.2. 자료

○ 먼저 1인당 열량 및 영양소 섭취량 자료는 식품수급표(농촌경제연구원, 2002)를 이용하였으며, 식품별(39개 품목) 영양소 함유량은 식품성분표 (농촌생활연구소, 2002)를 이용하였음 ○ 국내농산물의 공급비용 즉 품목별 생산비 자료는 2001년 농축산물표준 소득(농촌진흥청, 2001)을 이용하되 비목별 생산비를 국내 식품의 공급 비용으로 간주함. 물론 향후 투입물가격의 변화 등을 고려하기 위해서 는 투입물별 투입량과 가격을 이용하여 생산비를 고려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지만 모형의 단순화 및 자료획득의 어려움으로 인해 투입량과 투입물별 가격자료 대신 비목별 생산비를 이용하였음

3.3. 추정결과

○ 추정결과 주어진 열량을 자급하기 위해서는 모형에 포함된 39개 모든 폼목을 생산할 수는 없는 것으로 나타남. 이는 농산물 생산비 구조상 가 장 저렴하게 생산하는 품목에 우선 생산이 분배되는 구조 때문임 ○ 선형모형의 경우 쌀, 무, 옥수수 등 2∼3개 품목만 생산할 수 있는 것으 로 추정되었으며, 위험회피계수를 도입한 비선형모형의 경우는 12∼13 개 품목을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 쌀 생산량은 비선형모형에서 4,345∼5,105 천톤으로 추정되었는데 이는 2001년 생산량보다 410∼1,170 천톤 감소한 수준임 ○ 쇠고기 생산은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된 반면 돼지고기와 닭고기는 생산 이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됨

(20)

<표 8> 최소 필요열량 수준별 작물별 생산량 추정

단위 : 톤 작목 2001년 생산량 Linear Model Non-linear Model

1500Kcal 1250Kcal 1500Kcal 1250Kcal

옥수수 57 3,007 107 107 콩 118 177 177 팥 11 15 15 녹두 3 4 4 무 1,732 19,190 33,431 4,073 4,073 배추 3,041 7,642 7,920 마늘 406 942 1,248 쇠고기 163 340 400 돼지고기 733 330 82 계란 529 31 닭고기 267 362 362 쌀 5,515 2,446 2,760 5,105 4,345 보리 269 431 431 <표 8> 최소 필요열량 수준별 작물별 생산면적 추정 단위 : ha

작목 Linear Model Non-linear Model

1500Kcal 1250Kcal 1500Kcal 1250Kcal

옥수수 345,809 12,360 12,360 콩 68,547 68,547 팥 9,210 9,210 녹두 2,992 2,992 무 77,320 483,119 58,867 58,867 배추 107,222 111,125 마늘 73,875 97,877 쌀 423,237 477,548 883,320 751,885 보리 168,911 168,911 면적합계 1,046,366 960,667 1,385,304 1,281,773

(21)

○ 작목별 재배면적은 선형모형의 경우 주어진 열량 자급을 위해서는 약 42∼48만ha의 논과 48∼62만ha의 밭 등 총 96∼105만ha의 경지가 소요 되는 것으로 추정됨. 비선형 모형의 경우는 논 75∼88만ha, 밭 50∼53만 ha 등 총 130∼139만ha의 경지가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남 ○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 추정작업은 1인당 1,250∼1,500Kcal의 최소 열량 자급만을 목표로 하였으며, 단백질, 칼슘, 철, 비타민 등 기초영양 성분의 자급율은 다음과 같이 추정되었음 <표 9> 영양소 자급률 추정 단위 : % 열량 및 주요 영양소

Linear Model Non-linear Model 1500Kcal 1250Kcal 1500Kcal 1250Kcal

열량 100.00 103.29 100 106.87 단백질 70.99 65.84 87.56 79.82 칼슘 71.43 95.36 58.73 59 철 116.29 140.7 77.99 73.61 비타민 A 21.45 9.81 42.11 31.55 비타민 B1 165.11 178.91 132.66 115.86 비타민 B2 44.01 35.13 71.61 64.65 나이아신 178.19 237.24 161.52 143.63 비타민 C 210.81 364.53 286.73 301.52

(22)

제 5 장

요약 및 결론

○ 본 연구는 비상시 국민에게 최소 필요수준의 열량을 공급하기 위한 자 급률산정과 품목별 국내 농업생산 수준을 산출하고자 수행되었음. ○ 연구내용은 선형(linear programming) 및 비선형계획(nonlinear

programm-ing) 모형을 이용하여 국민 1인당 최소 필요열량을 자급하기 위한 목표 연도(2020년)의 품목별 생산량 및 농지 필요량을 추정함을 주요 내용으 로 함. ○ 최소필요열량은 국가 안보적 차원에서 적정자급률을 설정하기 위한 목 적으로 도입하였는데 국민이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 의 열량수준으로 정의함. 최소필요열량은 영양학적 관념에서 보면 매우 주관적이기 때문에 아직 공식적으로 채택되지 않은 개념이며, 국내외적 으로 기준치가 설정되어 있지 않음. ○ 다이어트를 하면서도 생활에 지장이 없는 칼로리 섭취수준이 일상 섭취 수준의 약 40∼50% 수준으로 가정하여 최소필요공급열량은 1,250∼ 1,500Kcal, 섭취량 기준으로는 824∼988Kcal 수준으로 추정됨.

(23)

○ 추정결과 농산물 생산비 구조상 가장 저렴하게 생산하는 품목에 우선 생산이 분배되는 구조 때문에 선형모형의 경우 쌀, 무, 옥수수 등 2∼3 개 품목만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위험회피계수를 도입 한 비선형모형의 경우는 12∼13개 품목을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 남. ○ 쌀 생산량은 비선형모형에서 4,345∼5,105 천톤으로 추정되었는데 이는 2001년 생산량보다 410∼1,170 천톤 감소한 수준임. 쇠고기 생산은 증가 하는 것으로 추정된 반면 돼지고기와 닭고기는 생산이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됨. ○ 작목별 재배면적은 선형모형의 경우 주어진 열량 자급을 위해서는 약 42∼48만ha의 논과 48∼62만ha의 밭 등 총 96∼105만ha의 경지가 소요 되는 것으로 추정됨. 비선형 모형의 경우는 논 75∼88만ha, 밭 50∼53 만ha 등 총 130∼139만ha의 경지가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남.

○ 1,250∼1,500Kcal의 최소열량 자급을 목표로 할 경우 단백질과 칼슘의 자급률은 70% 수준에 머물 것으로 전망되어 영양소간에 불균형이 발생 할 것으로 전망됨.

(24)

참 고 문 헌

농촌생활연구소, 식품성분표, 2002

최지현․이계임, 칼로리 자급률의 개념설정과 목표설정, 200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2 식품수급표, 2003

일본농림수산성, 식료수급표, 2003

Institute of Medicine,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Energy, Carbohydrate, Fiber, Fat, Fat acids, Cholesterol, Protein, and Amino Acids, September 2002

Shlomo Reutlinger, Determining the Prevalence of Calories Deficient Diets in developing Countries by Alternative Methods of Measurement, World Bank, 1986

(25)

부표 1 품목별 단수 및 비용항목별 투입액 단위: kg/10a, 원/톤 식품 단수 노력비 토지임차료 비료비 농약비 영농시설비 농구비 기타 사료비 옥수수 613 538502 2127 83237 15468 47124 14462 65997 0 콩 164 1353274 95823 176848 67482 270970 27634 164793 0 팥 112 1367045 6036 176411 40491 102589 28741 127732 0 녹두 88 1755182 5227 244602 71330 131284 36977 165398 0 고구마 1678 206613 24175 21912 5788 30452 5772 106368 0 감자 1691 206949 21031 60105 18870 57655 5448 143699 0 무 4848 72820 3266 16950 3977 12435 1988 15707 0 배추 7509 59417 702 12883 3212 10109 1225 9450 0 양배추 6041 64741 841 18431 4316 8097 1391 14975 0 시금치 1979 430089 2663 84151 6607 129123 1690 187930 0 상추 4379 486646 28653 51330 4538 61010 7102 186278 0 파 3253 277033 3896 44592 16132 41338 5341 35367 0 양파 5654 89001 10276 20140 4767 15190 49 24008 0 마늘 1095 483882 37542 96724 22227 62048 350 305061 0 생강 1244 526909 11453 101682 40118 53661 13410 710900 0 고추 255 2832180 229216 292965 269922 416102 1588 563310 0 오이 15091 254697 3397 46043 15528 97154 3661 334216 0 토마토 8210 291434 7697 50782 12263 124251 7475 386687 0 당근 3241 115252 17099 39632 10093 18342 2290 61052 0 호박 6241 343050 3510 52154 8564 72561 5214 208442 0 참외 3196 660298 18007 78696 23627 97656 8281 276503 0 수박 2945 194661 5722 44889 19875 29842 4477 73047 0 딸기 3273 892359 16595 124796 44876 151082 14865 758220 0 참깨 71 3812648 573887 133549 206915 293014 5225 351352 0 들깨 84 3130202 0 416726 89595 449440 113429 137369 0 땅콩 270 1301137 70574 234596 82570 224759 51259 268393 0 사과 2162 445302 4544 103978 791 103373 13578 162175 0 배 2475 514123 8208 74219 177 94698 9652 206099 0 복숭아 1836 579460 3192 70367 990 96508 10260 147179 0 포도 2024 607529 7953 42703 158757 493020 12367 748011 0 귤 3448 179713 56343 52296 56343 673060 21158 1863073 0 감(단감) 5523 127452 514 21098 11259 20399 2309 25515 0 쇠고기 355 443449 2802 0 0 146152 14262 2377127 1465465 우유 6889 77140 0 0 0 31615 4355 92174 242173 돼지고기 75 70907 2872 0 0 43255 9719 550617 819588 계란 1650 75030 0 0 0 46242 6242 439273 634727 닭고기 104 69396 2215 0 0 42819 3423 399262 533020 쌀 516 243835 219843 45672 50434 376733 1056 42349 0 보리 218 65280 154757 592628 39789 164211 1060 77000 0

(26)

<부표 2> 품목별 기타 파라메타의 추정치 식품 관세율 2020 일인당 소비량(kg/년) 2002 일인당 소비량(kg/년) 기술변화율 가격탄력성 옥수수 374.1 26.6 35.2 0.7050 -0.42 콩 30 8.2 9.1 0.6345 -0.36 팥 20 0.7 0.7 0.7069 -0.36 녹두 20 0.2 0.2 0.7108 -0.36 고구마 243.9 3.5 3.1 0.7737 -0.47 감자 30 5.3 7.5 0.7880 -0.47 무 30 23.7 22.3 0.7006 -1.5 배추 30 37.8 39.4 1.0535 -1.5 양배추 30 5.1 4.8 0.8535 -1.5 시금치 30 1.8 2.4 0.8388 -0.5 상추 50 3.1 6.1 1.0751 -0.5 파 30 9.4 12.5 0.8743 -0.5 양파 136.5 16.6 26.0 0.8700 -1.5 마늘 364 6.4 11.5 0.8586 -1.5 생강 381.5 0.6 0.7 0.7514 -1.5 고추 273 2.3 2.4 0.8432 -1.5 오이 30 7.4 14.1 1.0269 -1.5 토마토 50 3.8 6.5 0.8959 -2 당근 41 2.6 3.0 0.6073 -1.5 호박 30 5.0 10.1 0.8209 -1.5 참외 30 3.7 5.4 0.9984 -1.5 수박 50 10.7 16.8 1.0853 -1.5 딸기 50 3.2 6.3 0.6715 -1.5 참깨 637 0.5 0.7 0.6068 -0.4 들깨 54.6 0.1 0.4 0.7129 -0.4 땅콩 230 0.6 0.9 0.6280 -0.4 사과 50 6.2 7.9 0.7337 -0.26 배 50 6.4 5.7 0.5538 -0.3 복숭아 50 2.7 2.9 0.7084 -0.61 포도 50 6.4 12.5 0.9120 -0.92 귤 54.9 9.9 10.8 0.8392 -0.62 감(단감) 50 2.9 6.4 0.8346 -0.3 쇠고기 40.5 7.9 17.1 0.8000 -0.47 우유 54.5 52.7 59.6 0.8000 -0.62 돼지고기 50 16.5 29.3 0.8000 -0.45 계란 42.1 9.4 10.1 0.8000 -0.67 닭고기 30 5.8 5.6 0.8000 -0.4 쌀 5 92.8 80.0 0.9000 -0.34 보리 327.6 2.0 2.0 0.8551 -0.56 밀 5 34.4 42.7 바나나 30 2.4 5.9 설탕 50 19.5 23.6 전지분유 180.4 0.6 0.8 탈지분유 180.4 0.1 0.1

(27)

<부표 3> 식품별 영양소 함유량(100g당) 식품 열량 (kcal) 단백질 (g) 칼슘 (mg) 철 (mg) 비타민 A 비타민 B1 비타민 B2 나이아신 (mg) 비타민 C 옥수수 337 9.7 25 2.1 156.51 0.33 0.11 1.4 0 콩 382 35.2 220 7.7 0.00 0.36 0.25 2.3 0 팥 306 20.4 75 5.2 0.00 0.5 0.15 2.1 0 녹두 335 22.3 100 5.5 39.96 0.4 0.14 2.0 0 고구마 128 1.4 24 0.5 376.29 0.06 0.05 0.7 25 감자 66 2.8 4 0.6 0.00 0.11 0.06 13.0 36 무 56 2.3 42 1.3 0.00 0.13 0.01 2.0 16 배추 13 1.3 51 0.3 29.97 0.05 0.06 0.3 46 양배추 19 0.6 29 0.5 3.33 0.04 0.03 0.3 36 시금치 30 3.1 40 2.6 2021.31 0.12 0.34 0.5 60 상추 18 1.2 56 2.1 1215.45 0.07 0.08 0.4 19 파 26 1.5 81 1.0 429.57 0.06 0.09 0.6 21 양파 34 1 16 0.4 0.00 0.04 0.01 0.1 8 마늘 126 7.3 5 1.4 0.00 0.21 0.1 0.5 31 생강 53 1.5 13 0.8 0.00 0.03 0.04 1.0 5 고추 221 11 58 6.8 15394.59 0.3 1.1 12.5 26 오이 11 1.1 28 0.6 33.3 0.04 0.02 0.3 9 토마토 14 0.9 9 0.3 299.7 0.04 0.01 0.6 0 당근 34 1.1 40 0.7 4229.1 0.06 0.05 0.8 8 호박 27 0.9 28 0.8 2370.96 0.07 0.08 1.5 15 참외 31 1 6 0.3 0.00 0.03 0.01 12.0 22 수박 31 0.7 6 0.2 93.24 0.06 0.02 0.2 6 딸기 26 0.8 13 0.4 6.66 0.02 0.02 0.3 82 참깨 548 20.5 1060 10.4 9.99 0.65 0.15 5.1 0 들깨 540 16 276 7.5 9.99 0.2 0.5 6.0 0 땅콩 563 26.1 78 2.1 0.00 0.8 0.13 18.1 0 사과 57 0.3 3 0.3 9.99 0.01 0.01 0.1 4 배 39 0.3 2 0.2 0.00 0.02 0.01 0.1 4 복숭아 34 0.9 3 0.5 6.66 0.02 0.01 0.4 7 포도 50 0.05 5 0.6 0.00 0.06 0.02 0.2 5 귤 43 0.9 38 0.2 49.95 0.11 0.02 0.3 43 감(단감) 44 0.5 8 0.3 462.87 0.03 0.03 0.3 50 쇠고기 141 18.7 13 1.8 23.31 0.05 0.15 3.1 0 우유 60 3.2 105 0.1 93.24 0.04 0.14 0.1 1 돼지고기 264 17.1 2 1.8 6.66 0.75 0.33 5.6 0 계란 158 12.5 39 2.0 529.47 0.06 0.42 0.1 0 닭고기 142 27.8 9 1.0 146.52 0.17 0.28 2.6 0 쌀 350 7.6 6 0.7 0.00 0.23 0.08 3.6 0 보리 344 10.33 30 1.9 0.00 0.2 0.06 3.7 0 밀 328 12 71 3.2 0.00 0.34 0.11 5.0 0 바나나 80 1.2 4 0.7 6.66 0.03 0.06 1.0 10 설탕 387 0 3 0.3 0.00 0 0 0.0 0 전지분유 360 34.5 1250 0.4 26.64 0.5 1.75 0.9 1 탈지분유 495 26 880 0.4 569.43 0.23 1.2 0.8 5

(28)

최소 필요열량 기준 자급률 산정 등 록 제5-10호(1979. 5. 25) 인 쇄 2004. 3. 발 행 2004. 3. 발행인 이 정 환 발행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30-710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동 4-102 전화 02-3299-4000 팩시밀리 02-965-6950 http//www.krei.re.kr 인쇄처 경희정보인쇄(주) 02-2263-7534(代) ▪이 책에 실린 내용은 출처를 명시하면 자유롭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무단 전재하거나 복사하면 법에 저촉됩니다. ▪이 연구는 본연구원의 공식견해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닙니다.

참조

관련 문서

매개변수는 순서대로 위치정보 제공자, 최소 업데이트 타임(millisecond), 최소 업데이트 거리(meter), 위치정보를 받을 리스너를 나타냅니다..

◦ 발생된 폐기물을 사업장내에서 재생하여 이용하는 경우 해당공정을 찾아 배출량을 산정.. 조립ㆍ포장ㆍ검사공정에서의

③ 과업심의위원회는 별표 1 소프트웨어 개발사업의 적정 사업기간 산정기준에 따라 적정 사업기간을 산정하고 별지 제3호서식 소프트웨어 개발사업의 적정 사업기간

❍ 정책의 대상이 되는 품목의 기준 수급물량 산정 시 작형별/품종별 생산량 변 동과 더불어 가격 변동성을 함께 고려하기 위하여 변이계수(coefficient of

[r]

Fitted with an integrated sideshift and tilting car- riage as standard, the uniquely designed triplex fixed mast has no central lift cylinder which, together with the

고분자의 명명법은 관용적으로 사용하는 원료 기준 명명법 (source based nomenclature)와 IUPAC의 구조 기준 명명법 (structure based

기산일로부터 소급한 1개월 평균종가, 1주일 평균종가, 최근일 종가를 산술평균하여 산정 - 산정가격이 최근일 종가를 상회하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