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경희대학교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경희대학교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Copied!
43
0
0
더 보기 ( 페이지)

전체 글

(1)

VIII. 우리 사회의 합법적 약물

니코틴과 담배

의학전문대학원

박해정

(2)
(3)

학습 목표

담배의 종류와 남용 역사를 알고 이해한다.

오늘날 담배

/흡연을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와 담배/흡연의 의미를 이해한다.

담배의 성분을 알고, 니코틴, 일산화탄소, 타르의 유해성을 이해한다.

니코틴이 의존성을 유발하는 기전을 이해하고 담배/니코틴의 내성, 의존성, 금단증

상을 안다.

니코틴의 만성효과와 간접흡연의 위험성을 이해한다.

금연의 이점과 금연 치료 보조 요법에 대해 이해한다

.

(4)

담배와 니코틴

• 담배(tobacco): 니코티아나 타바쿰 (Nicotiana tabacum,원산지: 남미)과 니코티아나 루스티카 (Nicotiana rustica, 원산지: 북미)의 잎 • 니코틴(nicotine): 니코티아나 (Nicotiana) 속 식물의 주요 활성 성분으로 독성이 강한 물질. 전세계 에서 카페인 다음으로 두 번째로 많이 남용되는 약물. • 니코티아나 루스티카가 니코티아나 타바쿰보다 더 강한 니코틴을 함유하지만 니코타아나 타바쿰이 다른 종류에 비해 질이 좋으며 맛이 좋아 더 많이 이용되고 재배되었음. • 타바쿰(tabacum)과 타바코 (tabacco)라는 용어는 미국의 원주민이 연기를 흡입하기 위해 사용하던 속이 빈 갈대에서 유래함. • 니코티아나(Nicotiana)는 프랑스에 그 식물을 성공적으로 도입시킨 프랑스 외과의사니코트 (J. Nicot)의 이름에서 유래함.

(5)

담배의 종류

• 유연담배: 불에 태우거나 연소 시키는 담배 • 무연담배: 입으로 씹거나 코로 들이쉬는 담배 1. 궐련형 담배(Manufactured cigarettes) •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소비됨. • 잘게 자른 담배에 멘톨 등 수백 개의 화학 물 질과 다양한 맛으로 처리되어 종이에 말려져 판매됨 • 담배 끝에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가 있 으며, 필터 반대쪽으로 불을 붙이고 필터 있 는 쪽으로 흡입함. 2. 크레텍(Kreteks) • 정향 맛 담배로 이국적인 향을 내고, 마취 효 과를 내는 유제놀(eugenol)을 포함. •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널리 사용하고 있으며 1880년경부터 기침약으로 사용하였음. • 정향담배를 피울 때 나는 소리가 키레텍-키레 텍하는 것 같아 그 소리를 따서 이름이 붙혀짐.

(6)

담배의 종류

3. 직접 말아 피우는 담배 (Roll-your-won, RYO cigarettes)

• 가늘게 썬 담배와 담배 종이를 이용해 흡연자가 직접 말아 피우는 담배

• RYO는 담배 분진, 타르, 니코틴, TSNAs (tobacco-specific nitrosamines)의 농도가 높으며, 인두, 후두, 폐, 식도에 암을 일으키는 위험물질을 포함하고 있음. • 유럽과 뉴질랜드에서 가장 널리 사용함 4. 비디 (Bidis) • 동남아시아, 인도에서 가장 많이 소비되고 있는 담배 • 마른담배 잎을 손으로 말아 끈으로 묶어 사용. • 작은 사이즈에도 불구하고 흡연 시 불이 꺼지지 않게 하기 위해 일반담배보다 좀 더 강하게 흡입해야 하기 때문에 타르와 일산화탄소를 더 많이 흡입하게 됨. 5. 파이프 (Pipes) • 연초를 종이에 마는 게 아니라 파이프에 다져 넣어서 피우는 담배

• 동남 아시아에서, sulpa, chillum 와 hookli로 잘 알려진 점토 파이프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전세계적 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음. 6. 스틱 (Sticks) • 햇빛에 말려 건조시킨 담배를 담배 종이로 말아서 만든 것. • 손으로 감아 쓰는brus가 있으며 파푸아뉴기니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음. 7. 시가 (Cigars) • 그늘에 말려서 발효시킨 담배를 담배 잎으로 싸서 만든 담배. • 오랜 숙성과 발효 과정은 연소되면서 배출되는 발암성 화학물질의 농도를 높인다고 알려져 있음. • 독성과 자극이 다른 담배에 비해 높으며 여러 가지 형태와 사이즈로 출시되고 있음. • 전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음.

(7)

담배의 종류

8. 물담배 (Water pipes) • 물 여과와 간접 열에 의해 작동됨 • 담배의 맛은 알루미늄 호일과 석탄으로 덮여진 둥근 그릇에서 태워지면서 나게 됨. • 연기는 물의 분자를 통해 여과되면서 시원해지고 호스와 마우스 피스를 통 해 입안으로 흡입하게 됨. • 북 아프리카, 지중해 지역, 아시아의 일부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전 지역으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임. 9. 건조시킨 코담배 (Dry snuff) • 코 혹은 입을 통해서 흡입하는 담배. • 광범위하게 사용되나 특히 유럽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음. • 하지만 그 사용은 점차 감소하고 있음.

10. 무연담배 (Dissolvable smokeless tobacco products) • 입안에서 녹여 점막을 통해 흡수되는 담배

• 구강 점막 내 니코틴 흡수를 돕기 위해 담배의 성분 뿐만 아니라 수많은 추가성분이 들어있다고 알려져 있음.

• 무연담배는 시중에 잘 알려진 담배 브랜드의 확장된 개념으로 판매되고 있음. (Camel Sticks, Strips, and Orbs, Marlboro Sticks, Ariva, Stonewall(Star Scientific)와 Zerostyle Mint(일본담배))

• 경구 무연 담배 제품들은 담배를 피울 수 없거나 피울수 없는 장소에 있는 흡연자를 위해 개발되었으며 선진국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음.

(8)

담배의 종류

11. Moist snuff

• 뺨과 잇몸사이 입안에 넣어 사용하는 담배

• 좀 더 편리한 사용을 위해 작은 종이나 천 패킷으로 포장하고 있음 • snus, khaini, shammaah, nass 혹은 naswa로도 잘 알려져 있음

• 가장 널리 사용하는 곳은 스칸디나비아와 미국이고 금지된 몇몇 나라를 제외하고 전세계적으로 널 리 사용되고 있는 추세임. 12. 씹는담배 (Chewing tobacco) • 입, 뺨, 입술 안에 두고 빨거나 씹는 구강 무연 담배. • 보통 흡연자들이 침을 뱉으면서 사용한다고 해서"침 담배"라고도 불림. • 인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전세계적으로 널리 펴져 사용되고 있음.

(9)

담배의 역사

기원 • 담배의 역사는 선사시대부터 시작되며 최초의 흔적은 아메리카의 마야문명의 유적에서 발견 됨. • 고대 마야인들은 담배를 신의 화신으로 여겼음. • 종교 의식에 담배를 이용했으며, 마법에 대한 보호책, 주문, 독이 있는 짐승을 막는 데에도 담배를 이 용하였음.  15-17세기 • 1492년 – 콜롬버스가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하고 원주민으로 부터 담뱃잎을 선물 받음 • 1560년 - 담배가 공식적으로 유럽에 소개됨 .

-프랑스의Jacques Nicot는 Catherine de Medici 여왕에게 편두통을 치료하기 위해 코담배를 보냄 – J. Nicot은 니코틴의 효과를 광범위하게 연구했으며 만병 통치약으로 권장하였음.

(10)

담배의 역사

15-17세기 (계속)유럽 • 이후 길고 우아한 파이프를 통한 담배 흡연이 귀족들 사이에서 유행하게 됨. • 그러나 영국의 왕James 1세는 담배 사용을 비난 하는 장문의 성명서를 발표하기도 함. - 그는 담배를 가리며 “냄새 나는 잡초”라 불렀고 흡연을 “보기에 역겹고, 코에 불쾌하며, 뇌에 해롭고, 폐에 위험한 습관’이라고 묘사함.  러시아, 터키, 일본, 중국 • 보수주의자들은 담배 흡연을 자국 문화의 순수성에 대한 서양의 위험한 영향이라고 보고 흡연에 대 해 채찍질, 유배, 고문 등 형을 가함. • 그러나 담배의 사용은 계속 퍼져 나갔음.  17세기 말 • 러시아, 터키, 일본, 중국 등 에서 담배의 존재를 인정할 수 밖에 없어지고 처벌이 사라짐. • 특히 러시아의 표트르 대제는 러시아를 서양에 개방할 것을 약속하고 담배는 현대화를 환영하는 상 징이 됨.

(11)

담배의 역사

18세기유럽 • 1700년대 – 담배를 갈아서 고운 가루로 만든 것 (코담배, snuff)을 약간 집어서 콧속에다 넣고 킁킁 들이 쉰 다음 재채기를 하여 내뿜는 것이 흡 연을 능가한 담배 복용의 지배적인 형태가 됨. • 재채기는 머리에서‘여분의 체액’을 제거해 주고 뇌에 활력을 주며 눈을 밝게하는 것으로 여겨짐.  미국 • 미국소재 영국의 식민지들, 특히 버지니아는 급격히 팽창하던 담배 시 장을 장악하고 있었음. • 미국은 독립전쟁에서 영국에 대항하는 것에 대한 지지를 얻기 위해 1777년 벤저민 프랭클린을 프랑스에 특사로 파견하고 프랑스의 지지의 대가로 양질의 버지니아 담배를 제공하기로 함. • 미국에서는 잎담배(또는 씹는 담배)가 유행하게 됨. – 일을 할 수 있게 끔 손이 자유롭다는 이점이 있고 가격도 저렴함. • 그러나 담배즙을 규칙적으로 뱉어내야만 했기 때문에 상스러운 행동 으로 비춰지게 되었으며, 공중 위생의 문제가 됨. 코담배, snuff 워싱턴은 담배 냄새 나는 타액의 사령부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미국의 모든 공공장소에서 이 더러 운 습관을 볼 수 있다. 법정에 가면 판사도, 정리도, 목격자도, 죄수도 각각의 타구가 있고, 배심원과 청 중들에게도 타구가 제공된다. - 찰스 디킨스

(12)

담배의 역사

1800년대 (남북전쟁의 시기) –시가의 인기와 궐련의 도입시가(Cigars) 흡연의 인기 • 성장 중이던 산업도시들을 중심으로 시가(Cigars) 흡연이 인기를 얻게 됨. • 담뱃잎을 말리는 새로운 기술이 나오며 더 순하고 연한 성질의 피우기 적당한 담배가 나오고 이런 담배를 재배하기에 이상적인 흙을 가지고 있는 노스캐롤라이나 주가 미국의 담배 재배의 중심지가 됨.  궐련(cigarettes) 의 도입 • 또 다른 담배의 형태로 궐련(cigarettes)이 도입됨. • 그러나 미국에서 시가 산업이 발달하고 있었기 때문에 잘 받아들여지지 않음 • 또한 궐련은 남성적인 시가의 여성스러운 변형으로 비춰짐. • 1881년 본새크 (James Bonsack)가 궐련제조기를 발명하여 궐련 제작 시간 및 가격이 떨어지면서 궐련의 인기가 급상승함. 시가(좌)와 궐련 (우)

(13)

담배의 역사

20세기 – 궐련의 대중화 • 1913년 –레이놀즈 타바코 컴퍼니가 “카멜”을 출시하며 현재 형태 의 미국형 담배가 탄생함. • “카멜”은 파이프 담배나 씹는 담배에만 사용되던 버어리 종 잎담 배를 궐련 담배에 첨가하여 독특하고 맛과 향이 뛰어난 담배로 큰 인기를 얻어 궐련 담배 시작의35%를 석권함. • 이후“체스터필드”, “럭키스트라이크”등이 등장함. • 1900년대 흡연률이 급격히 상승하였고, 1940-50년대 흡연률이 최고조에 달하였음. - 여성의 인권이 성장하며, 여성들도 남성의 특권 중 하나인 담배 흡연을 누리길 원하였고, 맛이 순하고 잡기도 쉬운 궐련이 여성들 에게 인기를 얻음. -당시는 제1차 세계 대전의 시기였으며, 궐련은 전쟁에 가지고 갈 담배의 형태로 가장 적합했음.

(14)

담배의 역사

1964년 이후 – 미국 담배소비량의 감소 • 1964년 흡연과 건강에 관한 최초의 공중위생국 보고서가 발표되고 담배 소비량이 꾸준히 감소되기 시작함. • 담배 흡연이 암 및 기타 심각한 질병과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보고하였음. • 보고 이후… 1. 보고서 발표 직후 한 달 동안 1인당 담배 소비 수준이 약 25% 가량 급감하였고, 이후 담배 소비의 장 기적인 경향은 지속적인 감소를 나타내고 있음. • 대중적 소비에 대한 규제가 법제화 되었음 • 1971년 - 담배의 TV 광고가 금지됨. • 1984년 – 인쇄 광고나 옥외 광고판 경고문구를 싣는 것이 필수화 됨. 2. 흡연자가 피우는 궐련의 종류가 변화함. • 1950년 부터 필터가 있는 궐련을 선택하는 흡연자가 늘어나기 시작하여 1990년대 흡연자의 95%가 필터있는 궐련을 사용함. • 그러나 담배 회사들은 담배의 풍미를 위해 더 많은 타르를 함유한 담배를 생산함. 3. 흡연으로 인한 건강 악화에 타르와 니코틴이 주된 역할을 하고 있다는 보고서의 발표에 의해 타르와 니코틴(T/N)이 낮은 새로운 브랜드의 궐련들이 출시됨 • 그러나 흡연자가 동일한 수준의 니코틴을 유지하기 위해 더 많은 수의 담배를 피우게 되고, 더 여러 번 들이마시고 더 깊이 흡입하며 담배를 더 끝까지 피우게 됨.

(15)

담배의 역사

(16)

우리나라의 담배의 역사

• 1590년대: 광해군 초, 담배가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기 시작 • 17세기 초: 담배를 의약품으로 사용함 - 기생충으로 인해 복통이 심할 때 담배를 피워 진통시키고 치통이 있을 때 담배 연기를 입안에 품어 진통시킴 - 곤충에 물렸을 때 그 부위에 담배를 피운 후의 침을 바르고 상처의 지혈 또는 염증을 방지하기 위한 약으로 사용 • 1887년: 외국제 연초를 판매하는 상점이 생김. • 1899년: 미국과 영국이 합작하여 우리나라에 “영미 궐련회사”를 설립 • 1900년대: 그리스와 영국이 합작하여 “동양궐련회사”를 설립 • 1945년: 정부 수립을 기념하여 우리 기술진의 힘으로 최초의 담배 “승리”를 제조 발매함. • 1960년대: 국민 1인당 하루 담배 소비량은 3개비 미만 • 1990년대 우리나라 최초의 담배 승리 - 경제가 성장하고 질 좋은 담배 생산이 가능해 지며 여 권 신장 및 학원의 자유화 물결(두발 자율화, 교복 자 율화)로 인해 흡연률이 급격히 상승함. - 국민 1인당 하루 담배 소비량은 7개비 이상으로 30년 만에2배 이상 증가

(17)

우리나라의 담배의 역사

• 2000년대 -금연 정책을 시행하기 시작 -금연공익광고 제작 및 방영, 법정 금연 구역 지정, 담뱃값 인상 우리나라 금연 정책

(18)

우리나라의 담배의 역사

자료/질병관리본부

현재: 흡연자는 약 1250만 명으로 추산되며 그

100만명은 여성으로 추산됨.

(19)

오늘날 담배/흡연의 의미

현재 흡연인구는 약

13억 명(5명중 한 명)으로 추산.

국제사회의 흡연문제에 대한 심각한 고민과 염려는

2005년 세계보건기구 담배규제기

본협약

(Framework Convention on Tobacco Control, FCTC)을 탄생시켰고, 전세계적

으로 강력한 담배규제정책을 펼치고 있음.

WHO 담배규제기본협약의 주요 내용

- 협약 발효 후 5년 안에 협약 가입국에서는 모든 담배 광고 판촉 후원을 전면 금지

- 담뱃갑의 최소 30% 면적에 암에 걸린 폐의 사진을 싣는 등 경고문구나 그림을 삽입

- 담뱃갑 겉면에 ‘저타르’ ‘마일드’ ‘라이트’ 등 소비자를 현혹시키는 문구 사용 금지

- 담배 자판기에 미성년자 접근 금지

- 개발도상국 지원을 위해 국제기금 조성

- 담배로 인한 건강상 위해에 대해 담배회사에 책임이 있다는 개념 처음으로 도입

최근 호주, 유럽 국가, 일부 아시아 국가들의 흡연율이 10% 대로 하락했다고 보고 되고

있음.

(20)
(21)

오늘날 담배/흡연의 의미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난

100년 동안 세계 담배소비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

전 세계 흡연인구의

80%이상을 개도국이 차지하고 선진국에서는 저소득층이 차지하

고 있음.

과거 담배는 부와 지식의 상징이었으나 현대인에게 담배란 가난의 상징

, 각종 질병과

사망의 원인을 상징하고 있음.

(22)

오늘날 담배/흡연의 의미

• 전세계적으로 흡연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연간6백만명에 달함. • 세계보건기구(WHO)는 지금 당장 강력한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 2030년에는 흡연으로 사망하는 전세계 누적인구가1억명이 될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으며, • 우리나라의 경우는 연간6만명이 흡연으로 인한 질병 (암, 심혈관 질환 등)으로 사망하고 있으며 • 흡연과 관련된 질환의 진료비는 연간1조6천억원으로 추산됨. • 흡연은“질병”으로 규정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질병을 분류하는 국제질병분류기호 (ICD-10)에 서도“F17.x 담배로 인한 정신적, 행동적 장애”라는 질병으로 분류되어 있음.

(23)

담배의 성분

• 가스상(gaseous phase)물질과 입자상 (particulate phase) 물질이 있음.

물질명 담배1개비당 발생량 물질명 담배1개비당 발생량 가스상 물질 디메칠니트로사민 1~200 ng 입자상 물질 Benzo(a)pyrene 8~50 ng Hydrazine 24~43 ng Benzo(a)anthracene 5~8 ng Urethane 10~35 ng Pyrene 50~200 ng 포름알데히드 20~90 μg 나프탈렌류 1~10 μg 시안화수소 30~200 μg 카테콜 40~460 μg Acrolein 25~140 μg β-나프틸아민 0~25 ng Acetaldehyde 18~1400 μg 니켈 화합물 10~600 ng 질소산화물 10~600 μg 카드뮴 화합물 9~70 ng 암모니아 10~150 μg 비소 1~25 μg 피리딘 9~93 μg 니코틴 0.1~2.0 mg 일산화탄소 2~20 mg N-니토르소노르니코틴 100~250 ng 담배 알칼로이드 0.01~0.2 mg 페놀류 10~200 μg 크레졸류 10~150 μg

(24)
(25)

담배의 성분-니코틴 (nicotine)

• 일반적으로 한 개비의 담배에2~3 mg의 니코틴이 들어 있고, 흡연을 통해 연기와 함께 흡입되면 이 중 약20%가 혈류에 도달함. – 약 니코틴 1 mg을 정맥 내에 주사하였을 때와 비슷함. • 니코틴은 독성이 강하고, 치사량이 약 60 mg임. • 그러나 니코틴은 흡연자의 입에 들어 오기 전에 일부가 타서 없어지고 입속에 들여 마신 후에도 그 중의 일부가 다시 밖으로 나오게 되므로 극소량이 체내에 머무르게 됨. • 니코틴은 혈액-뇌 장벽 (BBB)를 쉽게 통과하고 혈관-태반 장벽도 통과할 수 있음. – 폐 흡입 후 5-8 초 안에 뇌에 도달함. • 니코틴은 담배의 암모니아와 반응하여 알칼리성 유리염기 형태로 변하여 더 쉽게 혈류에 도달함.  작용 • 뇌의 대뇌피질의 아세틸콜린(acethylcholine) 수용체의 아형 중에 하나인 니코틴성 수용체를 활성 화 시킴  각성 상태를 유발하고 사고 및 집중력을 증진시킴. • 자율신경계에서 아세틸콜린을 모방하여 콜린성 신경을 흥분시킴. –> 부교감신경이 흥분함. -대장 활동이 증가되어 대장염에 취약하거나 만성적 결장 과민성을 가진 사람에게 만성적 설사를 일으킴. -위의 산 분비를 증가시킴– 위궤양 형성에 기여하거나 악화시킴. • 부신을 자극하여 아드레날린(adrenaline)분비를 증가시킴 –> 교감신경이 흥분함. - 호흡속도를 증가하며 심박수를 증가시킴. - 혈관을 수축시켜 혈압을 상승시킴 - 위장관 활동을 억제하고 간에 저장된 탄수화물을 방출시켜 혈당을 증가시켜 식욕이 감소됨 (또한 혀의 미뢰를 둔화시킴).

(26)

담배의 성분-니코틴 (nicotine)

니코틴의 분해

• 체내 니코틴의70~80%는 cytochrom P450 2A6 (CYP2A6)로 알려진 특이적 간 효소에 의해 cotinine으로 대사됨 .

• Cotinine과 nicotine-N-oxide, nornicotine 및 norcotinine 등 기타 니코틴 대사물들은 주로 소변으 로 배출됨. • 유전적 다양성 때문에 몇몇 사람들은 낮은 활성을 가진CYP2A6를 가지고 있음. - 니코틴 대사가 감 소됨 – 이런 사람들은 흡연자가 될 가능성이 낮고 만약 흡연자가 된다 해도 정상적인 활성을 나타내는 CYP2A6를 갖는 사람들보다 더 적은 양의 담배를 피우게 됨. • 반감기는2-3시간

(27)

담배의 성분-타르(tar)

• 흑갈색 물질로 담배를 피우면 필터나 파이프를 검게 변하게 하는 물질이며, 담배가 연소할 때 작은 입자로 연기 속에 존재함. • 궐련 흡연의 맛과 향에 중요한 요인임. • 수분을 제외한 담배에 포함된 모든 입자상 물질의 총칭으로200종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음. • 독성이 있고, 발암 물질임. – 특히 benzopyrene이 가장 위험함. • 담배 한 개비에 약12~16 mg에서 6 mg 이하까지 다양하게 포함하고 있음. • 특히 타르 총량의50%가 궐련에서 필터 쪽 1/3 속에 함유되어 있어 마지막까지 흡연하는 것은 매우 위험함.  작용 • 타르가 문제가 되는 것은 끈끈한 성질 때문으로 폐와 기도의 세포에 들러 붙게 됨. • 정상 상태에서… - 폐와 기도에 있는 섬모 (cilia)가 호흡에 방해되는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을 하고 있음. - 오염물질을 위쪽으로 밀어내어 목구멍으로 내보내는 역할을 하고 있음. • 끈끈한 타르가 폐와 기도에 축적되면… - 섬모들이 이러한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게 하고 제거되었어야 할 오염물질들이 폐와 기도의 조 직에 침잠되어 암을 유발할 수 있음.

(28)

담배의 성분-일산화탄소 (CO)

• 무색, 무미, 무취의 독성이 강한 기체  작용 • 적혈구의 헤모글로빈과 산소의 결합력보다 헤모글로빈과 일산화탄소와의 결합력이200배 이상 강 함. • 따라서 산소 대신 적혈구의 헤모글로빈과 결합하여 산소가 몸 속의 여러 기관으로 운반되는 것을 방 해함. • 또한 일산화탄소는 헤모글로빈과 잘 해리되지 않으며 시간이 가면서 일산화탄소의 축적이 일어남. • 저산소증을 유발하며 노화를 촉진하고 일산화탄소 중독을 일으킴. • 담배를 처음 피우거나 또는 오랜만에 피울 때 나타나는 어지러움의 원인이 됨. • 흡연자의 산소 이용률은 비흡연자보다20~30% 낮으며 이로 인해 흡연자는 기억력 감퇴, 시력저하, 호흡곤란, 현기증 등을 느낌. - 하루 한 갑 흡연 – 혈중 일산화탄소 2~5% -- 지각력이 약간 감소 - 하루 두 갑 흡연 – 혈중 일산화탄소 10~20% -- 만성적인 두통과 가벼운 운동시에도 호흡곤란이 옴.

(29)

남용성 약물로서 니코틴의 작용기전

• 니코틴은 아세틸콜린(acetylcholine)과 유사하며, 아세틸콜린 수용체의 아형 중에 하나인니코틴성 수용체를 활성화 시킴.  Na+, Ca2+등 양이온의 유입을 증가시켜 신경세포가 흥분하게 되고  아세 틸콜린, 도파민 등 신경전달 물질의 분비가 증가함. - 각성과 민감성의 증대, 스트레스 감소, 집중력을 향상시킴. • 도파민 보상회로(reward pathway)를 활성화시켜 도취감을 유발함. • 니코틴의 복용량이 증가하면 니코틴 수용체의 지속적인 활성 화와 시냅스의 지속적인 탈분극을 일으키고, 이것은 탈감작 (desensitization)을 유발함.  니코틴 중독을 유발함. • 탈감작: 아세틸콜린 또는 니코틴과 같은 효능제들이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에 상관없이 채널이 닫힌 수용체의 상태를 말함. ←지속적인 니코틴 노출에 의한 중뇌 도파민 신경세포의 탈감작

(30)

니코틴의 내성과 의존성, 금단증상

니코틴 의존성 • 생리적요인: 니코틴은 도파민성 보상회로를 활성화시킴 • 행동적 요인 - 니코틴은 5~8초 안에 뇌에 도달함 – 빠르게 도취감을 얻을 수 있음.  빠르게 만족감을 얻을 수 있 어 의존성이 심해짐. - 흡연 행위에 대한 다양한 상황과 환경들이 학습된 보상 역할을 하게 됨. – 강화(reinforcement)를 형 성함. 아침에 커피 한 잔과 함께 피우는 첫 담배가 잠에서 깨어나게 하며 하루를 시작하게 함. 고된 노동 중 피우는 담배가 피로를 풀어줌. -니코틴을 복용하는 횟수가 너무 빈번함. – 반감기가 짧아 (2~3시간) 반복적으로 약물을 찾게 되고 과학습된(over-learned) 행동을 보임  니코틴 내성 • 처음 흡연을 할 때 느끼는 매스꺼움, 구토, 어지러움은 니코틴 수용체의 내성이 생성되며 사라짐. • 심박률 증가, 떨림 등 다른 생리적 효과들은 내성이 생기지 않거나 약함.  니코틴 금단증상 • 마지막 흡연6시간 후 – 심박률과 혈압 감소 • 마지막 흡연24시간 후 – 불면증과 수면장애, 두통, 집중력 감퇴, 신경질, 졸음 및 피로감 • 금연 후3일 사이 최고조에 달하고 2주 동안 서서히 감소됨 • 그러나2주 후 수년까지도 담배에 대한 갈망이 남아있기도 함.

(31)

니코틴 의존도 평가

1. 아침에 일어나서 얼마만에 첫 담배를 피우나? ①5분이내 (3점) ② 30분이내 (2점) ③ 1시간이내 (1점) ④ 1시간이후 (0점) 2. 극장이나 도서관 같은 금연 구역에서 흡연 욕구를 참기가 어렵나? ① 그렇다(1점) ② 아니다 (0점) 3. 하루 중 담배 맛이 가장 좋은 때는 언제입니까? ① 아침 첫 담배(1점) ② 그 외의 담배 (0점) 4. 하루에 담배를 몇 개비 정도 피우나? ①10개비 이하(0점) ② 11~20개비 (1점) ③ 21~30개비 (2점) ④ 31개비 이상 (3점) 5. 아침에 일어나서 첫 한 시간 동안에 그 외 다른 시간 동안보다 더 자주 담배를 피우나? ① 그렇다(1점) ② 아니다 (0점) 6. 하루 종일 누워 있어야 할 만큼 아픈 날에도 담배를 피우나? ① 그렇다(1점) ② 아니다 (0점) 0~3점: 중독 정도가 낮은 편, 더 중독되기 전에 금연을 시도하는 것이 좋다. 혼자서도 금연에 도전할 수 있다. 4~6점: 중간 정도의 중독성. 혼자 금연에 도전해도 되지만 도움을 받는 것이 좋을 듯. 7~10점: 높은 중독성. 반드시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금연에 성공할 수 있다.

(32)

니코틴/흡연의 만성 효과

(좌) 전세계 흡연으로 인한 사망 원인 분포도 (2015년), (우) 흡연에 의한 질환 발생의 상대적 위험도

(33)

니코틴/흡연의 만성 효과 – 흡연 관련 질환

호흡기계에 대한 영향

• 만성폐쇄성폐질환, 폐암, 천식, 폐결핵, 호흡기 바이러스 감 염이 증가함.

만성폐쇄성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 기도나 폐 속에 이상이 생겨 호흡 장애가 일어나는 여러 질 병– 만성 기관지염 (chronic bronchitis), 기종 (emphysema) 등 • 환자의80~90%가 흡연으로 인해 발생함. • 만성 기관지염(chronic bronchitis) - 기관지에 점액이 과도하게 싸여서 기관지 조직의 염증이 생기는 질병 • 폐기종(emphysema) - 폐의 허파꽈리들이 비정상적으로 커지고 허파꽈리벽이 탄력이 없어지거나 파열하여 숨을 쉬는 것이 고통스럽고, 산소 부족으로 인한 호흡곤란을 겪게 되는 질병 - 타르가 폐에 침잠되어 허파꽈리의 탄력이 떨어지다가 흡연자가 기침을 할 때 파열됨. • 매년70,000명 이상의 사망원인이며, 흡연이 질환의 유일한 원인임.

(34)

니코틴/흡연의 만성 효과 – 흡연 관련 질환

폐암 • 1950년 이후 폐암과 흡연 사이의 직접적인 인과관계가 보고되어 왔음. • 흡연자의 약20% 정도가 폐암의 발생 위험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 흡연을 시작한 연령, 흡연 기간, 하루에 피우는 담배의 양, 흡입 정도 등이 폐암 발생과 관련되어 있음. • 타르의 침잠으로 섬모세포가 폐 조직의 보호기능을 수행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됨.  후두암 • 타르 성분 중 수많은 발암물질이 후두를 만성적으로 자극하여 발생함.  심혈관계에 대한 영향 • 흡연자의 경우 심혈관계 질환에 걸릴 위험이60~70% 정도 더 높음. - 관상동맥질환 (coronary heart disease, CHD), 동맥경화증 (arteriosclerosis), 죽상경화증 (atherosclerosis), 허혈성 뇌졸중 (ischemic stroke) 등 • 니코틴은 교감신경을 흥분시켜 심근 수축과 심박률을 증가시키며 혈관을 수축시켜 혈압이 증가함. • 니코틴은 혈액 내 혈소판 점착력(platelet adhesiveness)을 증가시켜 혈소판들이 서로 엉켜 붙어 혈전 생성의 위험성이 높아짐. • 니코틴은 혈청 콜레스테롤과 지방 침전물을 증가시킴. • 이와 같은 니코틴의 작용에 일산화탄소는 더욱 가중된 산소부족을 일으킴.

(35)

니코틴/흡연의 만성 효과 – 흡연 관련 질환

여성에 대한 영향 • 타아에 대한 영향: 임신 중 흡연은 태아에게 가벼운 일산화탄소의 중독을 일으키며 니코틴이 모세 혈관을 수축시켜 태아에게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지 못해 태아가 저산소증에 걸릴 확률이 높아짐. • 임신에 대한 영향: 자연유산과 태아 사망의 위험성 증가 • 신생아에 대한 영향: 신체 결함과 저체중아 출산의 빈도 증가. • 경구 피임약을 복용하는 흡연 여성은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도가 증가함. - 뇌졸중 사망의 위험 – 22배 증가 (피임약 복용+흡연 vs. 정상) - 심장마비 사망 위험 – 20배 증가 (피임약 복용+흡연 vs. 정상)

(36)

경구 피임약과 심혈관계 질환

경구피임약의 성분 : 에스트로겐(estrogen)과 프로게스테론 (progesterone)  경구피임약과 심혈관계 질환의 연관성 • 에스트로겐(estrogen): 콜레스테롤, 특히 LDL을 증가시키고, 혈액응고 인자들을 변화시켜 혈전 생 성의 위험을 증가 시킴. •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 HDL을 감소시킴. • 경구 피임약은 혈전색전증, 뇌졸중, 심근경색등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킴 – 경구피임약은 혈전색전증의 발생률을3배 이상 증가시킴. • 경구 피임약을 복용하는 흡연 여성은 뇌졸중 사망의 위험22배 증가, 심장마비 사망 위험 20배 증가

(37)

니코틴/흡연의 만성 효과 – 흡연 관련 질환

버거씨병(Buerger’s disease) • 하지 또는 상지의 동맥 중에서 비교적 직경이 작은 중 소 동맥에 염증이 생겨 동맥의 흐름 방해를 유발하는 질환으로 다른 말로 폐쇄성 혈전혈관염으로 일컬어짐. • 이로 인해 말초로 흐르는 피가 줄어드는(허혈) 증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초기에는 냉감, 파행증이 나타나나 병이 진행함에 따라 휴식 시 통증, 궤양 그리고 괴사까 지 유발하여 심할 경우 절단을 초래할 수도 있는 혈관 질환임. • 주로 흡연 중이거나 흡연의 과거력이 있는 젊은 남성 에게 잘 발생하며, 대개 40세에서 45세 이전에 첫 증상 이 나타남. • 최근 여성 흡연 인구가 늘어감에 따라 여성 환자의 비 율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임. • 유전적 소인이 있으나 흡연을 하지 않는 사람에게 거 의 발생하지 않으며, 발병 후에도 금연을 하면 증상이 호전됨. – 흡연이 주요 유발인자일 것으로 예상됨.

(38)

담배연기의 종류

- 간접흡연

주류연(main stream) • 흡연자가 담배로부터 자신의 폐로 빨아들인 담배연기 • 담배연기는 필터를 통과하면서 일부 화학 물질과 타르가 제거됨. • 그러나 흡연자가 담배연기를 내뿜으면 비흡연자는 이것을 필터 없이 흡입하게 됨. • 주류연은 간접흡연의 약15% 정도가 됨.  부류연(side stream) • 담배의 끝에서 공중으로 퍼지는 담배연기 • 담배연기는 필터를 거치지 않고 낮은 온도에서 타기 때문에 불완전 연소 되어 주류연보다 타르, 니 코틴 이산화탄소 등의 함량이 많고 발암물질도 더 많이 함유되어 있음. • 간접흡연의 약85%를 차지함.

(39)

담배연기의 종류

- 간접흡연

간접흡연 • 자기자신은 담배를 피우지 않지만 다른 사람의 흡연으로 인해 담배연기를 간접적으로 흡입하게 되는 것 니코틴의 약 ¾이 공기 중에 존재함.  급성 효과 • 눈의 가려움 및 건조, 충혈, 호흡곤란, 심한 두통, 구역질 및 어지러움  만성 효과 • 기관지 천식, 폐기종, 심장병 및 뇌졸중, 폐암의 위험이 높아짐. • 남편이 흡연자인 비흡연 여성은 폐암에 걸릴 가능성이 남편이 비흡연자 일 때보다30% 증가됨. • 비흡연자 여성이 간접흡연에 노출된 경우 심장마비의 위험성이2배 높아짐 캘리포니아의 흡연퇴치 캠페인의 일부인 이 광고판은 환경 내 담배연기의 위험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비흡연자의 간접흡연 효과

(40)
(41)

금연

금연의 이점 • 8시간 이내 – 혈중 일산화탄소 농도가 정상으로 떨어짐. • 24시간 이내 – 심장마비의 가능성이 감소함. • 2주~3개월 이내 – 혈액 순환이 개선됨. 폐 기능이 30%까지 증가됨. • 1~9개월 이내 – 기침, 피로, 숨가쁨이 감소됨. 폐 섬모의 기능이 정상으로 회복되어 점액을 잘 제거 하고 폐를 청소하며 염증을 감소시킴. • 1년 이내 – 흡연자와 비교하여 관상동맥질환의 위 험이 절반으로 됨. • 5~10년 이내 – 뇌졸중의 위험성이 비흡연자 수준 으로 감소함. • 10년 이내 – 폐암 사망률이 흡연을 계속하는 사람 의 절반을 됨. • 15년 이내 – 관상동백질환의 위험이 비흡연자와 동일해짐.

(42)

금연

금연성공률 • 잠깐 동안 담배를 끊기는 쉽지만 완전히 끊기가 어려움(재발 가능성이 높음) • 흡연자의1/3이 대부분 아무 치료의 도움없이 매년 금연을 시도하며 첫 번째 시도의 성공률은 3%임. • 그러나 모든 흡연자의½이 결국 도움을 통해 또는 도움없이 장기적 금연에 성공함.  금연- 치료방법  개인상담, 최면, 침술  약리학적 치료 • Bupropion 서방정 - 원래 우울증 치료제로 사용되는 약물이며, 1997년 금연보조제로 사용이 승인됨. - 이 약물을 복용한 우울증 환자들이 담배에 대한 갈망이 감소되었고 추가적인 치료적 중재 없이 금연 할 수 있었다는 것이 보고 되어 금연 보조제로 사용되고 있음. - 도파민 재흡수 억제와 니코틴성 콜린성 수용체의 약한 길항제로 작용하기 때문일 것으로 예상됨. - 담배를 끊기 1주일 전부터 약물을 복용하여 혈류 내 약물 농도를 어느 정도 유지시켜 금연으로 인한 니코틴 손실을 완충하도록 함. - Bupropion 복용자의 44%가 7주간 금연하였고, 23%가 1년간 금연 하였음. • Varenicline

- 복측피개영역 (ventral tegmental area, VTA)과 몇몇 뇌 영역에 발현되는 니코틴 수용체의 부분 효 능제로 작용

(43)

금연

• 니코틴 대체 요법- 니코틴껌, 패치, 스프레이 및 흡입제 - 의존성을 일으키는 니코틴 수준을 서서히 감소시키는 방법 - 담배를 끊는 동안 일산화탄소와 타르를 폐로 흡입하는 것 을 피하면서도 니코틴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함. 치료 장점 단점 니코틴 껌 사용이 용이; 유연한 투여; 일반의약품; 신속한 니코틴 운반 빈번한 투여 필요; 턱 통증 또는 입 아픔과 같은 부작용 니코틴 캔디 사용이 용이; 유연한 투여; 일반의약품; 신속한 니코틴 운반 빈번한 투여 필요; 너무 빨리 소비되면속 쓰림 또는 소화불량과 같은 부작용 경피 패치 사용이 용이; 일반의약품; 밤사이 사용으 로 아침 갈망 감소; 피부 자극 외에 부작 용 거의 없음 다른 치료에 비해 덜 유연한 투여와 더 느린 니코틴 운반; 밤사이 사용으로 불 면증 초래 코 분무 유연한 투여; 가장 빠른 니코틴 운반과 갈 망 감소 빈번한 투여 필요; 코와 눈 자극, 재채기 및 기침과 같은 초기 부작용 흡입기 유연한 투여; 흡연의 손-입 특성을 모방; 경미한 목구멍 자극과 기침 외에 부작용 거의 없음 빈번한 투여 필요 니코틴 대체 요법의 장점과 단점 니코틴 흡입기

참조

관련 문서

고등학교 졸업(예정)자 또는 법령에 의하여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로서 원서접수 마감일 현재 만 35세 이상인 자 및 가정주부인 자. ※외국고교

• Khan Asparukh가 이끄는 원 불가리아인들은 다뉴브 강을 건너 현 재의 불가리아 땅에 들어 왔으며 지금의 Shumen 가까이에 있는 Pliska에 수도를 정하고 비잔틴과 전쟁 후

-1396년 오스만 터키제국의 술탄 Bayezid I세는 불가리아 북부 다뉴브 강의 도시 Nikopo에서 십자군과의 전쟁인 Battle of Nicopolis에서 승리하여 불가리아를

Development of Bulgaria Граждани за европейско развитие на България.. Rosen Asenov Plevneliev

Randomised, double blind, placebo controlled study of fluticasone propionate in patients with moderate to severe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the

담배회사들은 새로운 담배 제품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키고 더 많이 창출하기 위해 지리학적으로 새로운 위 치에 신규 제조 기지를 설치하고 있다. 담배의 건강 위해성에 대한

“잠재 적 방랑자” 로서 새로운 사회에 대해서는 이질적 요소를 가진 존재이지만, 이 질적 요소의 혼종( Hybridity)에 의해 동질화 되어가는, 삶의 새로운 형식을 생

B 경로당 T-N.3 지점을 열화상으로 열성능을 평가할 때, 열성능 이 개선된 이유는 옥상에 쿨루프가 적용됐고, 벽체 전체에 진공단열재가 내단열 공법

좌담에서 곽재구는 광주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다른 동인지들에 평가를 하고 있다는 것 이 상당히 유의미하다 먼저 가장 오래된 동인지인. 『 목요시 에서는 시가 얼마나

이에 따라 중국에 진출한 한국 수출기업 중 상당수가 가공무역에 종사 하고 있고 중소규모 기업이 많아 새로운 규정이 시행되는 경우 원자재 수 입시 보증금 납부로

스킨스쿠버 참여동기와 재미요인의 인과관계 검증에서 스킨스쿠버 참여동기의 하위요인(학습, 즐거움, 건강, 체력)이 재미요인의 하위요인(건강) 요인에 유의한

- 10개 혁신도시의 새로운 구심점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새로운 국토공간체계 구축.. - 세종시와 10개 혁신도시 간 2시간 내 접근할

결점을 드러내면서 자신의 한계를 이해하는 것이 신뢰를 형성 하고 강점을 보이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이전의 관리직 업무에 서 질책을 받았던 경험을 새로운 직장의

 난제들 사이의 reduction 은 암호론 속의 다양한 주제들을 이어주는 다리 역할을 하고 있다..  새로운 reduction 은

이런 현상은 아직까지 한국에서 노동투입이 부가가치 증가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나 , 상대적으로 생산성 대비 높은 임금수준 이 지속될 경우

• 유용한 에너지와 힘을 전달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며 동력원을 포함하 는 장치를 기계machine라 하고, 계획된 운동을 전달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 로 하는

③ 새로운 조의 멜로디를 새로운 조에 맞는 계이름이 되도록 적는다.. ④ 임시표에 대한 검토를

이 외에도 각계에서 많은 명사가 홍위병의 학대와 핍박에 의해 사망하거나, 그 로 인한 병사, 혹은 이를 견디다

노년기에는 지속적으로 만족스러운 활동행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고, 노인은 새로운 역할을 발견하기보다는 이미 수행했던 역할을 지속적으로

• 불가리아의 소피아 대학교 한국어과는 이미 설립되어 있으나, 벨리코 떠르노보 대학교 한국어 과정이 운영중이고 바르나 자유대학교에도 한국어과가 생길 예정.

각 브랜드의 강점과 약점이 서로 상충되는 경우, 각 브랜드에 있어서 어떤 속 성의 약점을 다른 속성의 강점에 의해 보완하여 전반적인 평가를 내리는 것.

그럼 순현가법에 의해 DK(주)는 새로운 생산라인을 설치하는 것이 좋은가?. 아니면 기각하여야 하나?(할인율은 10%로 가정

서산 마 애삼존불을 지키는 역할을 하고 있는 듯한 이 미 륵불을 지나 조금 오르다가 냇가를 건너서 산길을 한참 오르면 벼랑의 끄트머리에 서산 마애삼존불 이

또한 건강 상태 점검을 잘 하고, 개학 전 교사와 학생 직원의 체온 검측을 잘 하고, 건강 상태와 이동 궤 적을 기록하며, 중점관리지역과 지역여가 사 상황을 중점적으로 살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