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GCC FTA 협상대비 농업분야 영향분석 및 대응방안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한·GCC FTA 협상대비 농업분야 영향분석 및 대응방안 연구"

Copied!
12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정책연구보고 C2008-6 | 2008. 1.. 한․GCC FTA 협상대비 농업분야 영향분석 및 대응방안 연구. 임 송 수 신 유 선. 연 구 위 원 초청연구원.

(2) 연구 담당 임 송 수 신 유 선. 연구위원 초청연구원. 연구 총괄, 제1장, 제3-6장 집필 제2장.

(3) i. 머 리 말. 최근 국제유가가 연일 고공행진을 하면서 석유부국 중동에 대한 관심이 다 시 커지고 있다. 중동은 일반적으로 페르시아만 지역의 사우디아라비아, 아랍 에미리트(UAE), 쿠웨이트, 오만, 카타르, 바레인, 이란, 이라크, 예멘을 비롯해 지중해 연안 지역의 시리아, 요르단, 레바논, 팔레스타인 그리고 북아프리카지 역의 알제리, 리비아, 이집트, 튀니지, 모로코 등 총 18개국을 가리킨다. 그 중에서도 사우디, UAE, 카타르, 쿠웨이트, 오만, 바레인으로 구성된 GCC(Gulf Cooperation Council)는 이라크전 이후 오일머니(Oil Money) 유입으 로 인한 소득 증대 및 인구 증가로 최근 신흥경제 4국인 BRICs 지역 못지않은 중요한 시장으로 대두되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GCC 국가들은 오일머니(2005년 2,800억 달러)를 자국의 SOC, 금융, 관광, 국방분야에 쏟아 붓고 있으며, 대외적으로도 미국, 영국 등에 오일머니의 절반 가까이를 투자하 고 있다고 한다. 이러한 GCC와 FTA 체결을 앞두고 있는 우리나라는 GCC와의 FTA 체결이 국내에 미칠 영향을 사전 평가 및 분석하여 시장개방에 따른 농업부문의 피해 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GCC 농업 부문에 관한 국내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며, 외국에서 일부 관련 내용이 단편적으로 제시되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GCC 회원국의 농업구조와 무역정책, 경쟁력 등을 비교 분석하고, 우 리나라와 GCC간 FTA 체결이 국내에 미칠 영향을 사전 평가 및 분석하여 우리 나라의 효율적인 협상 전략과 국내 대응 방안을 찾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런 배경 아래 이 연구는 GCC 농업 부문 관련 정보를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FTA의 국내 영향을 사전에 분석하고 평가함으로써 협상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2008. 1.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 최 정 섭.

(4) iii. 요. 약. 이 연구는 우리나라와 GCC간의 FTA 협상 대비를 위한 농업부문 영향분석 및 대응방안에 관해 다루고 있다. 국내 농업 부문에 미칠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GCC와의 협상 방안은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① 한-GGC 간 FTA 협상에서 농 업 부문의 이해관계는 양국 모두 크지 않으며, 농산물이 무역수지 측면에서 차 지하는 비중 또한 작아 주요 협상 의제가 되지 않을 것이다. ② 미니멀리스티 (minimalist) 원칙에 따라 농업 분야는 양국의 민감품목이나 부문에 대한 양허 를 최소화하거나 양허 대상에서 제외하는 접근 방식이 바람직할 것이다. ③ GCC와 FTA 체결로 말미암아 늘어나는 우리나라 수출 농산물은 주로 가공식 품과 기호품에 국한 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런 품목의 시장접근 협상에 초점 을 맞추어야 할 것이다. ④ 부가가치 기준에 따른 원산지 기준은 수입 원료를 사용한 가공식품의 수출 비중이 높은 우리나라 처지에서 오히려 수출을 저해 할 수 있으므로 GCC의 재수출 견제와 국내산 제품의 원활한 수출 간에 적절한 균형을 맞추어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⑤ GCC와 FTA에서 SG를 도입하는 것은 안전망을 확보한다는 측면에서 고려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어떠한 대가 를 지급해야 한다면 SG를 고집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5) iv ABSTRACT. Economic Impact Analysis for Korea-GCC FTA in the Agricultural Sector. This study has performed economic impact analysis for upcoming Korea-GCC FTA in the agricultural sector and proposed some negotiation strategies. Research outcom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gricultural trade is likely to be of little interest between the two partners considering present states of agricultural structure and trade balance. Second, it suggests that Korea follow a minimalist approach to making market access commitments given the nature of agricultural sensitivity within the country and relatively weak potential gains expected from both sides. Third, since increases in market access will be mostly beneficial to processed and preferential food or products, attention should be warranted in these areas during negotiations. Fourth, the rule of origin must take into account the fact that Korea exports a number of value added food using imported ingredients. Besides, it needs to focus attention on prevailing re-export practices by the GCC countries. Finally, securing safeguard is important only when the resulting compensation is not beyond the reach of the government.. Researchers: Lim, Song-Soo and Shin, You-Seon Research period: 2007. 7. - 2008. 1. E-mail address: songsoo@krei.re.kr.

(6) v. 차. 례. 제1장 서론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 1 2. 연구내용 및 방법 ························································································· 3 3. 국내외 연구동향 ··························································································· 4 4.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 5 제2장 GCC 농업구조와 무역동향 1. 농업구조 현황과 특징 ·················································································· 6 2. 한-GCC간 농산물 무역동향 ······································································ 36 제3장 주요국과 GCC간 FTA 협상 동향과 시사점 1. 유럽연합(EU) ······························································································ 59 2. 미국 ·············································································································· 62 3. 호주 ·············································································································· 67 4. 기타 ·············································································································· 69 제4장 FTA 체결에 따른 국내 영향 분석 1. 주요 품목별 경쟁력 분석 ·········································································· 70 2. 주요 품목별 국내영향 분석 및 전망 ······················································· 98 제5장 FTA 협상 전략 수립 방안 1. 농업 분야 협상의 특성 감안 ·································································· 106 2. 미니멀리트스 전략 구사 ·········································································· 107 3. 가공 산업 위주의 협상 추진 ·································································· 112.

(7) vi 4. 원산지 기준 설정에 주의 ········································································ 113 5. 농산물 세이프가드의 활용 가능성 ························································· 114 제6장 요약 및 결론 ······················································································ 115 참고 문헌 ··········································································································· 118.

(8) vii. 표 차 례. 제2장 GCC 농업구조와 무역동향 표 2- 1. GCC의 농촌 거주 인구 변화 ························································· 7 표 2- 2. GCC의 농업 인구 변화 ·································································· 8 표 2- 3. GCC의 농업 경제활동 인구 변화 ··············································· 10 표 2- 4. GCC의 농지면적 변화 ·································································· 11 표 2- 5. GCC의 주요 품목별․국가별 농지면적 ······································ 14 표 2- 6. GCC의 주요 품목별 농산물 생산량 ············································ 17 표 2- 7. GCC의 세부 품목별 농산물 생산량 ············································ 19 표 2- 8. GCC 국가별 농산물 생산량 ························································· 27 표 2- 9. GCC의 주요 품목별 축산물 생산량 ············································ 30 표 2-10. GCC의 세부 품목별 축산물 생산량 ··········································· 31 표 2-11. GCC의 국가별 축산물 생산량 ····················································· 34 표 2-12. 한국과 주요국의 교역 현황: 2006년 ··········································· 36 표 2-13. 한-GCC간의 교역 현황: 2006년 ·················································· 37 표 2-14. 한-GCC간 농산물 교역 현황 ······················································· 38 표 2-15. 한-GCC간 품목별 농산물 수입 현황 ·········································· 43 표 2-16. 한-GCC간 국가별 농산물 수입 현황 ·········································· 46 표 2-17. 한-GCC간 품목별 농산물 수출 현황 ·········································· 51 표 2-18. 한-GCC간 국가별 농산물 수출 현황 ·········································· 56 제3장 주요국과 GCC간 FTA 협상 동향과 시사점 표 3-1. 미국-오만 FTA 시장접근 합의 내용 ············································· 63 표 3-2. 미국-바레인 FTA 시장접근 합의 내용 ········································· 65.

(9) viii 제4장 FTA 체결에 따른 국내 영향 분석 및 전망 표 4-1. 한-GCC간 품목별 농산물 수입 단가 ············································ 73 표 4-2. 한-GCC간 품목별 농산물 수출 단가 ············································ 78 표 4-3. GCC의 국가별 농산물수출 실적 ··················································· 83 표 4-4. GCC의 품목별 농산물 수출 실적 ················································· 88 표 4-5. GCC 주요 농산물의 수출 단가 ····················································· 94 표 4-6. GCC 농산물의 국내수입 가능 품목: 2000~05년 평균 ············· 99 표 4-7. 국내 과일 생산 실적 ····································································· 102 표 4-8. 한국과 GCC의 담배 생산 현황 ··················································· 104 표 4-9. 국내 축산물 생산 현황 ································································· 105. 제5장 FTA 협상 전략 수립 방안 표 5-1. 한-싱가포르 FTA의 양허 결과 ···················································· 109 표 5-2. 우리나라 FTA 양허 결과: 민감품목 ··········································· 111.

(10) ix. 그 림 차 례. 제2장 GCC 농업구조와 무역동향 그림 2-1. 한국-GCC간 농산물 수출입 비중 ················································ 39 그림 2-2. 한국-GCC간 농산물 수입 구성 ···················································· 42 그림 2-3. 한국-GCC간 농산물 수출 구성 ···················································· 49.

(11) 1. 제. 1. 서. 장. 론.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이 연구의 목적은 GCC 회원국의 농업구조와 무역정책, 경쟁력 등을 비교 분 석하고, 우리나라와 GCC간 FTA 체결이 국내에 미칠 영향을 사전 평가 및 분 석하여 우리나라의 효율적인 협상 전략과 국내 대응 방안을 찾아 제시하는 데 있음. 우리나라는 GCC(Gulf Cooperation Council)와 2008년 초에 FTA 협상을 추 진할 것으로 예상함. GCC 경제는 전통적인 석유산업에서 서비스와 에너지 관련 산업 등으로 다 각화를 추구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 1) 2004년 기준으로 경제규모는 사우디아라비아 GDP가 2,786억 달러로 회 원국 중 가장 크고, 아랍에미리트가 1,227억 달러, 쿠웨이트가 588억 달러 순임. 2) 석유가격 상승과 생산 증대로 수출이 늘고 있으며, 부가 창출되면서 수입 도 함께 늘어남..

(12) 2 3) 카타르의 1인당 GDP는 4만 달러가 넘어 세계 최고 부국 가운데 하나임. 4) 농업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사우디아라비아가 4%로 가장 높고 아 랍에미리트 2.6%, 오만 1.7%, 나머지 회원국은 1% 미만임. GCC는 공동시장과 화폐를 개발하여 역내무역과 경제 다각화 및 안정성 제 고, 외국 투자 유치 등을 추진하고 있으며, 2003년부터 관세동맹을 출범시켜 대부분의 역외 수입품에 대해 5%의 공통 관세를 부과함. 1) 주요 무역 상대국은 EU, 미국, 일본, 중국 등임. 2) 2003년 기준으로 한국과 일본은 GCC의 최대 수출시장(대부분 석유)이며, 우리나라는 카타르와 아랍에미리트의 각각 9위와 10위의 수출국임. GCC의 농업 부문은 작으나 최근에는 농업생산을 증대하려고 많은 투자를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특히 과실과 채소 생산량이 상당히 늘어남. 1) 1990~2003년에 과실과 채소의 생산량은 연간 9.8% 늘어났고, 육류와 유 제품은 연간 3% 이상의 오름세를 나타냄1. 2006년에 우리나라와 GCC간의 농산물 수출은 14만 달러, 수입은 2만 달러 로 무역수지는 12만 달러를 기록함. 1) 우리나라는 주로 연초류, 과자류, 조제분유 등을 수출하고 주류와 경주용 말 등을 수입함. GCC 농업구조나 생산 및 무역 경쟁력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며, 한-GCC FTA가 우리나라 농업 부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대응방안을 마 련하려면 체계적인 관련 자료 수집이 선행되어야 할 것임. 1) 특히 기존 통계들이 대부분 FAO나 IMF와 같은 국제기구에 의존한 것들 이나, GCC 국내자료에 직접 접근하여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근거로 한 분석이 필요함. 1 FAOSTAT<http://faostat.fao.org>.

(13) 3 이 연구에서는 GCC 농업 부문 관련 정보를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FTA의 국 내 영향을 사전에 분석하고 평가함으로써 협상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할 것임.. 2. 연구내용 및 방법. 1.1. 연구내용 GCC 농업구조와 무역제도 1) 회원국별 주요 농업지표 비교 2) 농산물 무역 동향 3) 관세구조와 무역장벽 외국과 GCC의 FTA 협상 동향과 시사점 1) 외국과 FTA 협상 동향 2) 외국과 FTA 협상의 쟁점 및 시사점 FTA 체결에 따른 국내 영향 분석 1) 주요 품목별 경쟁력 분석 2) 주요 품목별 국내영향 분석 및 전망 FTA 협상 전략 수립 방안 1) 민감 품목 선정 방안 2) 양허 전략 수립.

(14) 4. 1.2. 연구방법 문헌조사와 통계자료 수집 및 분석 1) FAO, IMF 등 국제기구 자료 수집 2) GCC 회원국별 중앙은행 등 국내자료 공급처를 통한 자료 수집 3) GCC와 FTA 논의 중인 외국의 정보 수집 및 분석 4) 농수산물유통공사, 관세청 등의 수출입 자료 수집 및 분석 계량분석 1) 주요 품목별 사전 영향 분석 2) 주요 품목별 경쟁력 분석 3) 수출입 전망 업무 협의회 개최 1) 정부 관계자와 관심 사항 파악과 쟁점에 관한 의견 교환 현지 조사 출장 1) 현지 자료 수집과 GCC 관심 사항 파악. 3. 국내외 연구동향. GCC 농업 부문에 관한 국내 연구는 거의 없으며, 외국에서 일부 관련 내용 이 단편적으로 제시되고 있는 수준임. 1) Bazza(2005)는 GCC의 수자원과 식량안보 문제를 FAO 자료를 가지고 분 석함..

(15) 5 Legrenzi(2003)은 GCC 출범의 배경과 목적을 검토하고 일반적인 경제 동향 을 소개함. 주동주 등(2006)은 GCC 경제 개관을 제시하고 FTA와 플랜트(plant) 수출에 관한 분석 결과를 제시함. Australian Government(2005)는 GCC 중 사우디아라비아를 제외한 5개국과 호주 사이의 무역관계를 고찰하고, 건설업 분야의 진출 방안을 논함. USTR(2004)은 관세, 수입허가제 등 GCC의 무역장벽 개황을 제시함.. 4.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우리나라의 잠정 FTA 상대국인 GCC의 농업 부문에 관한 정보 및 자료 분석 과 국내 영향분석을 통하여 효과적인 협상 전략을 수립하고 국내 대책을 마련 하는 데 이바지할 것이며, FTA 협상과 국내대책 마련에 기초자료로 활용함..

(16) 6. 제. 2. 장. GCC 농업구조와 무역동향. 1. 농업구조 현황과 특징. 1.1. 농업 인구 변화 1.1.1. 농촌 거주 인구 GCC의 총인구는 2005년 기준 3,586만 명인데, 이 중 도시 거주 인구는 3,160만 명이고 농촌 거주 인구는 483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3%를 차지하고 있음. 1) GCC 회원국 중 농촌 거주 인구의 비율이 가장 높은 국가는 오만으로 2005년 기준 55만 명(21%)임. 2) 그 뒤를 이어 아랍에미리트 65만 명(15%), 사우디아라비아 283만 명(12%), 바레인 7만 명(10%), 카타르 6만 명(8%), 쿠웨이트 10만 명(4%) 순임. 우리나라의 경우 농촌 거주 인구는 2005년 약 876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8%를 차지하고 있는데2, 이는 GCC의 13% 보다 높은 수치임. 2 농림부, 농림업 주요통계, 2007. 9..

(17) 7 표 2-1. GCC의 농촌 거주 인구 변화 구 분. 총인구. 회원국.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사우디아라비아. 21,484. 22,088. 22,704. 23,326. 23,950. 24,573. 아랍에미리트. 3,247. 3,488. 3,756. 4,031. 4,284. 4,496. 쿠웨이트. 2,230. 2,340. 2,438. 2,525. 2,606. 2,687. 오만. 2,442. 2,471. 2,493. 2,511. 2,534. 2,567. 카타르. 606. 642. 686. 733. 777. 813. 바레인. 672. 685. 696. 706. 716. 727. 30,681. 31,714. 32,773. 33,832. 34,867. 35,863. 2,973 (14). 2,938 (13). 2,906 (13). 2,876 (12). 2,850 (12). 2,829 (12). 500 (15). 531 (15). 565 (15). 600 (15). 630 (15). 653 (15). 89 (4). 91 (4). 92 (4). 92 (4). 94 (4). 97 (4). 587 (24). 588 (24). 585 (23). 577 (23). 566 (22). 548 (21). 카타르. 52 (9). 53 (8). 56 (8). 58 (8). 61 (8). 62 (8). 바레인. 70 (10). 70 (10). 71 (10). 71 (10). 71 (10). 71 (10). 4,271. 4,271. 4,275. 4,274. 4,272. 4,825. 18,512. 19,151. 19,798. 20,450. 21,100. 21,744. 아랍에미리트. 2,747. 2,957. 3,191. 3,431. 3,655. 3,843. 쿠웨이트. 2,141. 2,250. 2,346. 2,432. 2,513. 2,590. 1,855. 1,884. 1,908. 1,933. 1,968. 2,019. 카타르. 555. 589. 630. 675. 716. 751. 바레인. 602. 615. 625. 635. 645. 656. 26,412. 27,446. 28,498. 29,556. 30,597. 31,603. 합계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쿠웨이트 농촌 거주 인구. 단위: 1,000 명, %. 오만. 합계 사우디아라비아. 도시 거주 인구 오만. 합계. 주: ( )안의 수치는 총인구에서 농촌 거주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임. 자료: FAOSTAT(http://faostat.fao.org).

(18) 8. 1.1.2. 농업 인구 GCC의 농업 인구 변화를 살펴보면, 2000년 322만 명(10.5%)에서 2005년 274만 명(7.7%)으로 감소하였음. 1) GCC에서 농업 인구의 비중이 가장 높은 국가는 오만으로 2005년 83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32%를 차지하고 있음. 2) 사우디아라비아의 농업 인구는 2000년 212만 명(10%)에서 2005년 170만 명(7%)으로 감소하였음. 3) 쿠웨이트, 카타르, 바레인의 농업 인구 비중은 1%로 매우 낮음. 표 2-2. GCC의 농업 인구 변화 단위: 1,000 명, %. 구 분. 회원국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쿠웨이트. 농업 인구. 오만 카타르 바레인. 비농업 인구. 합계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쿠웨이트 오만 카타르 바레인 합계. 2000 2,119 (10) 160 (5) 25 (1) 903 (37) 8 (1) 7 (1) 3,222 19,365 3,087 2,205 1,539 598 665 27,459. 2001 2,031 (9) 164 (5) 25 (1) 891 (36) 8 (1) 7 (1) 3,126 20,058 3,324 2,315 1,580 635 678 28,590. 2002 1,944 (9) 168 (4) 26 (1) 876 (35) 8 (1) 7 (1) 3,029 20,759 3,588 2,412 1,616 678 689 29,742. 2003 1,860 (8) 172 (4) 27 (1) 860 (34) 8 (1) 6 (1) 2,933 21,465 3,859 2,498 1,651 725 699 30,897. 주: ( )안의 수치는 총인구에서 농업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임. 자료: FAOSTAT(http://faostat.fao.org). 2004 1,777 (7) 174 (4) 27 (1) 844 (33) 8 (1) 6 (1) 2,836 22,173 4,110 2,579 1,689 769 710 32,030. 2005 1,696 (7) 174 (4) 28 (1) 832 (32) 8 (1) 6 (1) 2,744 22,877 4,322 2,659 1,735 805 721 33,119.

(19) 9 우리나라의 농업 인구는 2005년 343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7%를 차지하고 있으며3, 이는 GCC의 7.7%와 비슷한 수준임.. 1.1.3. 농업경제활동인구 GCC의 경제활동인구는 2000년 1,190만 명(38.8%)에서 2005년 1,465만 천명 (40.8%)으로 소폭 증가한 반면, 농업경제활동인구는 117만 명(3.8%)에서 104 만 명(2.9%)으로 1% 가량 감소하였음4. 1) 이와 유사하게 우리나라의 농업경제활동인구가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 율도 2000년 4.8%에서 2005년 3.8%로 1% 감소하였음5. 경제활동인구에서 농업경제활동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2000년 9.8%에서 7.1%로 2.7% 감소하였음. 1) 우리나라의 경우도 농업경제활동인구가 2000년 224만 명(10.1%)에서 2005년 182만 명(7.6%)으로 GCC와 비슷하게 감소하였음6. 농업경제활동인구에서 남성이 차지하는 비율은 아랍에미리트, 쿠웨이트, 카 타르, 바레인이 각각 100%이고, 오만 93%, 사우디아라비아 91%로 매우 높음. 1) 경제활동인구에서 남성의 비율이 80%를 차지하는 것과 비교할 때, 타산업 과는 달리 농업에서 남성 종사자가 많음을 알 수 있음.. 3 4 5 6. 농림부, 농림업 주요통계, 2007. 9. ( )안의 수치는 총인구에서 경제활동인구와 농업경제활동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임. 농림부, 농림업 주요통계, 2007. 9. 농림부, 농림업 주요통계, 2007. 9..

(20) 10 표 2-3. GCC의 농업 경제활동 인구 변화 단위: 1,000 명, %. 구 분. 경제활동인구. 회원국.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사우디아라비아. 7,270 (82). 7,530 (82). 7,805 (81). 8,094 (80). 8,391 (80). 8,694 (79). 아랍에미리트. 1,863 (87). 2,016 (87). 2,187 (86). 2,363 (86). 2,527 (86). 2,666 (86). 쿠웨이트. 1,199 (77). 1,263 (76). 1,320 (76). 1,372 (75). 1,421 (75). 1,469 (74). 오만. 912 (87). 926 (87). 936 (86). 946 (85). 959 (84). 977 (83). 카타르. 340 (82). 365 (82). 396 (82). 429 (82). 460 (83). 486 (83). 바레인. 320 (79). 328 (78). 334 (78). 340 (78). 347 (77). 353 (77). 11,904. 12,428. 12,978. 13,544. 14,105. 14,645. 사우디아라비아. 717 (91). 692 (91). 669 (91). 645 (91). 623 (91). 600 (91). 아랍에미리트. 92 (99). 95 (100). 98 (100). 101 (100). 103 (100). 103 (100). 13 (100). 14 (100). 14 (100). 15 (93). 15 (100). 15 (100). 337 (95). 334 (95). 329 (95). 324 (94). 319 (94). 317 (93). 카타르. 4 (100). 4 (100). 5 (100). 5 (100). 5 (100). 5 (100). 바레인. 4 (100). 3 (100). 3 (100). 3 (100). 3 (100). 3 (100). 합계. 1,167. 1,142. 1,118. 1,093. 1,068. 1,043. 합계. 쿠웨이트 농업경제활동인구. 주: (. 오만. )안의 수치는 전체 경제/농업경제 활동인구에서 남성이 차지하는 비율임.. 자료: FAOSTAT(http://faostat.fao.org).

(21) 11. 1.2. 농지 면적 변화 1.2.1. 농업 면적 GCC의 전체 국토 면적은 2005년 기준 2억 5,723만 ha로 이 중에서 농업면적 은 1억 7,631만 ha로 68.5%를 차지하고 있음. 표 2-4. GCC의 농지면적 변화 단위: 1,000 ha, %. 구 분. 회원국 2000 사우디아라비아 214,969 8,360 아랍에미리트 1,782 쿠웨이트 30,950 총 면적 오만 1,100 카타르 71 바레인 257,232 합계 사우디아라비아 173,785 (81) 552 아랍에미리트 (7) 148 쿠웨이트 (8) 농업 면적 1,080 오만 (3) 71 카타르 (6) 10 바레인 (14) 175,646 합계 3,785 사우디아라비아 247 아랍에미리트 12 쿠웨이트 80 농경지 면적 오만 21 카타르 6 바레인 4,151 합계. 2001 214,969 8,360 1,782 30,950 1,100 71 257,232 173,791 (81) 567 (7) 151 (8) 1,081 (3) 71 (6) 10 (14) 175,671 3,791 262 15 81 21 6 4,176. 2002 214,969 8,360 1,782 30,950 1,100 71 257,232 173,793 (81) 571 (7) 154 (9) 1,081 (3) 71 (6) 10 (14) 175,680 3,793 266 18 81 21 6 4,185. 2003 214,969 8,360 1,782 30,950 1,100 71 257,232 173,798 (81) 559 (7) 154 (9) 1,080 (3) 71 (6) 10 (14) 175,672 3,798 254 18 80 21 6 4,177. 2004 214,969 8,360 1,782 30,950 1,100 71 257,232 173,709 (81) 560 (7) 154 (9) 1,805 (6) 71 (6) 10 (14) 176,309 3,709 255 18 105 21 6 4,114. 2005 214,969 8,360 1,782 30,950 1,100 71 257,232 173,710 (81) 560 (7) 154 (9) 1,805 (6) 71 (6) 10 (14) 176,310 3,710 255 18 105 21 6 4,115.

(22) 12 (표 2-4 계속) 구 분. 회원국 2000 3,592 사우디아라비아 60 아랍에미리트 10 쿠웨이트 38 오만 - 경지 18 카타르 2 바레인 3,720 합계 193 사우디아라비아 187 아랍에미리트 - 다년생 2 쿠웨이트 42 작물 오만 3 카타르 재배지 4 바레인 0 합계 사우디아라비아 170,000 305 아랍에미리트 136 쿠웨이트 1,000 영구 목초지 오만 50 카타르 4 바레인 0 합계 2,728 사우디아라비아 310 아랍에미리트 4.9 쿠웨이트 2 임업 면적 오만 카타르 0.4 바레인 0 합계 사우디아라비아 38456 7,498 아랍에미리트 1,629 쿠웨이트 29,868 기타 오만 1,029 카타르 61 바레인 0 합계. 2001 3,600 71 13 38 18 2 3,742 191 191 2 43 3 4 0 170,000 305 136 1,000 50 4 0 2,728 310 5.0 2 0.4 0 38450 7,483 1,626 29,867 1,029 61 0. 2002 3,600 75 15 38 18 2 3,748 193 191 3 43 3 4 0 170,000 305 136 1,000 50 4 0 2,728 311 5.1 2 0.4 0 38448 7,478 1,623 29,867 1,029 61 0. 2003 2004 3,600 3,500 64 64 15 15 37 62 18 18 2 2 3,736 3,661 198 209 190 191 3 3 43 43 3 3 4 4 0 0 170,000 170,000 305 305 136 136 1,000 1,700 50 50 4 4 0 0 2,728 2,728 311 312 5.3 5.4 2 2 0.4 0.4 0 0 38443 38532 7,490 7,488 1,623 1,623 29,868 29,143 1,029 1,029 61 61 0 0. 주: 1) 국토 면적=농경지면적+영구목초지+임업면적+기타 2) 농업 면적=농경지면적(경지+다년생 작물재배지)+영구목초지 3) ( )안의 수치는 총면적(국토면적)에서 농업면적의 비율임. 자료: FAOSTAT(http://faostat.fao.org). 2005 3,500 64 15 62 18 2 3,661 210 191 3 43 3 4 0 170,000 305 136 1,700 50 4 0 2,728 312 5.6 2 0.5 0 38531 7,488 1,623 29,143 1,029 61 0.

(23) 13 1) 이처럼 GCC의 농업면적 비중이 높은 것은 사우디아라비아의 농업면적이 1억 7,371만 ha(81%)로 대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임. 2) 사우디아라비아를 제외한 GCC 국가들의 농업면적 비율은 8% 정도로 매 우 낮음. 우리나라의 농업면적은 2005년 188만 ha로 전체 면적의 19%를 차지하고 있음7. GCC의 농경지 면적은 2005년 기준 사우디아라비아 371만 ha, 아랍에미리트 26 만 ha, 쿠웨이트 1만 8,000 ha, 오만 1만 5,000ha, 카타르 2만 ha, 바레인 6,000 ha임. 우리나라의 농경지 면적은 2005년 182만 ha로 2004년에 비해 0.6% 증가하 였음8. 1) 농경지 면적에서 경지는 162만 ha, 다년생작물재배지는 20만 ha임. 2) 영구목초지는 5만 7,000ha로 카타르(5만 ha)와 비슷함.. 1.2.2. 농지 면적 GCC의 품목별 농지면적을 살펴보면 <표 2-5>와 같음. 1) 2000~06년 평균 품목별 농지면적은 곡물류 68만 ha, 과일류 45만 ha, 채소 류 13만 ha, 유지작물류 3,400ha, 두류 4,500ha, 구근류와 괴경류 1만 7,000ha, 사료작물류 14만 ha, 담배 300ha 임. GCC의 농지면적을 국가별로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우선 곡물류는 사우디 아라비아가 66.8만 ha로 99%를 차지함. 1) 과일류는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가 각각 20만 ha(45%)로 대부분 을 차지함.. 7 농림부, 농림업 주요통계, 2007. 9. 8 농림부, 농림업 주요통계, 2007. 9..

(24) 14 2) 채소류는 사우디아라비아 9만 6,000ha(73%), 아랍에미리트 1만 8,000ha(13.5%), 오만 1만 ha(8.5%)임. 3) 유지작물류와 두류의 농지면적도 모두 사우디아라비아가 99%로 거의 대부 분을 차지함. 4) 구근류와 괴경류(91%), 사료작물류(83%)에서도 사우디아라비아의 농지 면적 비중이 상당 부분을 차지함. 우리나라의 경우는 2000~06년 평균 농지 면적은 곡물류 112만 ha, 과수 재배 면적 17만 ha, 채소 재배면적 37만 ha, 유지작물류 16만 ha, 콩 재배면적 1만 6,000ha, 구근류와 괴경류 4만 ha, 담배 재배면적 1만 9,000ha임9. 표 2-5. GCC의 주요 품목별․국가별 농지면적 단위: 1,000ha. 구 분. 곡물류. 과일류. 채소류. 회원국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쿠웨이트 오만 카타르 바레인 합계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쿠웨이트 오만 카타르 바레인 합계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쿠웨이트 오만 카타르 바레인 합계. 2000 616.37 0.06 1.22 3.68 1.76 623.09 193.35 187.76 1.43 41.62 2.43 1.46 428.05 79.51 37.98 3.78 11.15 3.35 1.05 136.82. 9 FAOSTAT<http://faostat.fao.org>. 2001 659.12 0.05 1.60 3.68 1.63 666.08 191.32 187.59 1.44 40.08 1.95 1.46 423.84 101.23 10.15 3.77 11.43 2.55 0.90 130.03. 2002 704.80 0.03 1.92 3.65 1.64 712.04 193.35 187.46 1.43 40.06 1.96 2.31 426.57 99.31 10.71 3.68 11.36 2.59 0.79 128.44. 2003 697.31 0.01 1.23 3.57 1.91 704.03 196.14 187.42 1.43 39.74 1.96 2.31 429 99.96 9.48 4.00 11.31 1.48 0.88 127.11. 2004 682.18 0.01 1.30 5.64 1.33 690.46 205.52 206.83 1.54 41.54 2.10 2.30 459.83 98.12 16.70 4.17 12.01 1.60 0.79 133.39. 2005 628.35 0.00 1.59 4.50 1.94 636.38 209.35 221.44 1.68 36.45 1.97 2.35 473.24 98.66 19.90 4.34 10.64 1.74 0.82 136.1. 2006 688.30 0.00 1.59 4.50 1.94 696.33 209.35 221.44 1.68 36.45 1.97 2.35 473.24 98.66 19.90 4.34 10.34 1.74 0.82 135.8. 평균 668.06 0.02 1.49 4.17 1.74 0.00 675.49 199.77 199.99 1.52 39.42 2.05 2.08 444.82 96.49 17.83 4.01 11.18 2.15 0.86 132.53.

(25) 15 (표 2-5 계속) 구 분. 회원국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쿠웨이트 유지작물류 오만 카타르 바레인 합계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쿠웨이트 두류 오만 카타르 바레인 합계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쿠웨이트 구근류와 오만 괴경류 카타르 바레인 합계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쿠웨이트 사료작물류 오만 카타르 바레인 합계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쿠웨이트 담배 오만 카타르 바레인 합계.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평균 3.35 2.82 2.74 2.68 3.88 3.88 3.88 3.32 0.04 0.04 0.04 0.03 0.03 0.03 0.03 0.03 0.01 0.01 0.01 0.02 0.03 0.03 0.03 0.02 154.89 181.62 155.91 155.82 130.34 113.55 113.55 143.67 4.30 4.50 4.50 4.50 4.50 4.50 4.50 4.47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4.31 4.51 4.51 4.51 4.51 4.51 4.51 4.48 14.52 13.11 13.78 13.69 14.86 18.11 18.11 15.17 0.86 0.51 0.50 0.27 0.27 0.27 0.27 0.42 0.66 0.77 0.70 0.76 0.76 0.76 0.76 0.74 0.70 0.39 0.50 0.50 0.56 0.21 0.19 0.44 0.00 0.00 0.00 0.01 0.00 0.03 0.01 0.01 16.74 14.78 15.48 15.23 16.45 19.38 19.34 16.78 131.09 156.95 130.76 131.72 106.04 89.25 89.25 119 2.49 3.37 3.85 2.80 3.00 3.00 3.00 3.07 18.00 18.00 18.00 18.00 18.00 18.00 18.00 18.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0.31 0.30 0.30 0.30 0.30 0.30 0.30 0.30 154.89 181.62 155.91 155.82 130.34 113.55 113.55 143.37 0.05 0.05 0.05 0.01 0.03 0.03 0.03 0.04 0.27 0.27 0.27 0.27 0.27 0.27 0.27 0.27 0.32 0.32 0.32 0.28 0.3 0.3 0.3 0.31. 자료: FAOSTAT(http://faostat.fao.org).

(26) 16. 1.3. 농산물 생산량 1.3.1. 품목별 농산물 생산량 GCC의 품목별 주요 농산물 생산량은 <표 2-6>과 같음. 1) 2000~06년 평균 기준으로 곡물류 283만 톤, 과일류 249만 톤, 채소류 340 만 톤, 유지작물류 7,800톤, 두류 8,200톤, 구근류와 괴경류 42만 톤, 사료 작물류 668만 톤, 담배 2,000톤 등의 농산물이 생산됨. GCC의 농산물 생산량을 국가별로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우선 곡물류는 대 부분이 사우디아라비아(280만 톤, 99%)에서 생산됨. 1) 과일류는 사우디아라비아(133만 톤, 53.1%), 아랍에미리트(83만 톤, 33.1%), 오만 (31만 톤, 12.4%)에서 주로 생산됨. 2) 채소류는 사우디아라비아(190만 톤, 56%)와 아랍에미리트(104만 톤, 30.5%)에서 대부분이 생산됨. 3) 유지작물류와 두류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각각 7,700톤(98.5%)과 8,200톤 (99.8%)이 생산됨. 4) 구근류와 괴경류도 사우디아라비아에서 37만 톤으로 90% 가량이 생산되 며, 다른 국가들의 생산 실적은 미미함. 5) 사료작물류는 사우디아라비아(178만 톤, 63.9%), 오만(50만 톤, 18%)에서 주로 생산됨. 6) 마지막으로 담배는 아랍에미리트와 오만에서 생산되는데, 아랍에미리트 600톤(32.4%), 오만 1,300톤(67.6%)임. 우리나라의 경우 2000~06년 평균 기준으로 곡물류 706만 톤, 과일류 268만 톤, 채소류 1,148만 톤, 유지작물류 19만 톤, 두류 2만 톤, 구근류와 괴경류 96 만 톤, 담배 5만 톤 등의 농산물이 생산됨10. 10 FAOSTAT<http://faostat.fao.org>.

(27) 17 표 2-6. GCC의 주요 품목별 농산물 생산량 단위: 1,000톤. 구 분. 곡물류. 회원국.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평균. 사우디아라비아 2,167. 2,592. 2,853. 2,949. 3,189. 2,999. 2,881. 2,804. 아랍에미리트. 0.36. 0.16. 0.12. 0.02. 0.02. 0.02. 0.02. 0.10. 쿠웨이트. 2.84. 3.22. 4.65. 3.26. 3.26. 3.83. 3.83. 3.56. 오만. 9.28. 9.30. 9.25. 9.05. 7.60. 15.13. 14.17. 10.54. 카타르. 7.22. 6.58. 6.78. 7.08. 5.49. 7.09. 7.09. 6.76. 바레인. -. -. -. -. -. -. -. 2,187. 2,611. 2,874. 2,968. 3,205. 3,025. 2,906. 2,825. 사우디아라비아 1,188. 1,210. 1,241. 1,312. 1,408. 1,458. 1,458. 1,325. 합계. 아랍에미리트 796.55 794.53 794.98 783.39 840.95 885.71 885.71 825.97 쿠웨이트 과일류. 오만. 11.57. 13.47. 16.72. 16.93. 17.32. 17.32. 14.94. 335.23 356.35 297.34 274.08 288.72 298.38 308.43 308.36. 카타르. 17.54. 14.32. 16.23. 17.96. 19.63. 21.82. 21.82. 바레인. -. -. -. -. -. -. -. 2,349. 2,387. 2,363. 2,404. 2,574. 2,681. 2,691. 2,493. 사우디아라비아 1,546. 1,791. 1,822. 1,898. 2,081. 2,084. 2,084. 1,901. 568. 523. 381. 931. 1,169. 1,169. 1,035. 합계 아랍에미리트 채소류. 11.25. 2,506. 18.47. 쿠웨이트. 172.66 182.88 185.30 208.17 208.26 214.35 214.35 198.00. 오만. 213.64 230.09 222.30 223.31 238.50 206.07 204.91 219.83. 카타르. 56.63. 39.19. 39.05. 19.07. 24.73. 25.52. 25.52. 32.82. 바레인. 11.24. 9.60. 7.78. 9.36. 7.67. 8.02. 8.02. 8.81. 합계. 4,506. 2,821. 2,799. 2,739. 3,491. 3,707. 3,706. 3,396. 사우디아라비아. 7.40. 6.24. 6.82. 6.50. 8.86. 8.90. 8.90. 7.66. 아랍에미리트. 0.05. 0.05. 0.20. 0.13. 0.11. 0.09. -. 0.09. 쿠웨이트. 0.01. 0.01. 0.01. 0.03. 0.04. 0.04. 0.04. 0.03. -. -. -. -. -. -. -. 카타르. -. -. -. -. -. -. -. 바레인. -. -. -. -. -. -. -. 7.46. 6.3. 7.03. 6.66. 9.01. 9.03. 8.94. 유지작물류 오만. 합계. 7.78.

(28) 18 (표 2-6 계속) 구 분. 회원국.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평균. 8.00. 8.20. 8.20. 8.20. 8.20. 8.20. 8.20. 8.17. 아랍에미리트. -. -. -. -. -. -. -. 쿠웨이트. -. -. -. -. -. -. -. 오만. -. -. -. -. -. -. -. 카타르. -. -. -. -. -. -. -. 바레인.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합계. 8.01. 8.21. 8.21. 8.21. 8.21. 8.21. 8.21. 8.18. 사우디아라비아. 두류. 사우디아라비아 380.58 315.89 315.01 317.94 387.34 440.97 440.97 371.24. 구근류와 괴경류. 아랍에미리트. 15.58. 11.50. 10.05. 7.09. 7.09. 7.09. 7.09. 9.36. 쿠웨이트. 17.98. 31.85. 17.47. 20.81. 20.74. 20.74. 20.74. 21.48. 오만. 18.22. 12.69. 15.45. 15.45. 15.50. 5.94. 5.39. 12.66. 카타르. 0.03. 0.02. 0.02. 0.05. 0.01. 0.03. 0.00. 0.02. 바레인. 0.03. 0.01. 0.02. 0.02. 0.04. 0.04. 0.04. 0.03. 합계. 432.42 371.96 358.02 361.36 430.72 474.81 474.23 414.79. 사우디아라비아 1,927. 1,969. 1,738. 1,787. 1,770. 1,645. 1,645. 1,783. 아랍에미리트 214.59 285.10 321.79 197.37 210.00 210.00 210.00 235.55 쿠웨이트 사료작물류 오만 카타르. -. -. -. -. -. -. 510.00 500.00 500.00 500.00 500.00 500.00 500.00 501.43 250.00 250.00 250.00 250.00 250.00 250.00 250.00 250.00. 바레인. 23.00.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20.43. 합계. 2,925 3,0245. 2,830. 2,754. 2,750. 2,625. 2,625. 2,790.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0.66. 0.63. 1.18. 0.64. 0.61. 0.61. 0.61. -. -. -. -. -. -. -. 1.30. 1.27. 1.27. 1.27. 1.27. 1.27. 1.27. 카타르. -. -. -. -. -. -. -. 바레인. -. -. -. -. -. -. -. 1.96. 1.9. 2.45. 1.91. 1.88. 1.88. 1.88. 아랍에미리트 쿠웨이트 담배. -. 오만. 합계. 자료: FAOSTAT(http://faostat.fao.org). 0.71. 1.27. 1.98.

(29) 19 GCC의 농산물 생산량을 품목별로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2000~06년 평균 기준으로 알파파 244만 톤, 밀 238만 톤, 대추야자 185만 톤, 토마토 93만 톤, 기타 채소 65만 톤, 감자 41만 톤 등이 생산됨<표2-6>. 알파파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178.3만 톤(73%)이 생산되며, 오만에서도 일 부(18%) 생산됨. 1) 밀은 사우디아라비아에서 거의 대부분(99.9%)이 생산됨. 2) 대추야자 생산은 사우디아라비아 88만 톤(48%), 아랍에미리트 67만 톤 (36%), 오만 25만 톤(14%)임. 3) 토마토는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에서 각각 43만 톤(46%), 40만 톤(43%)이 생산됨. 4) 기타 채소 생산은 사우디아라비아 39만 톤(56%), 아랍에미리트 12만 톤 (19%)임. 5) 감자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90%가 생산됨. 우리나라의 경우 2000~06년 평균 기준으로 밀 238만 톤, 토마토 39만 톤, 기 타 채소 40만 톤, 감자 7만 톤, 수박 43만 톤, 기타 멜론 2만 톤, 오이류 1,000톤, 기타 과일 2,000톤, 기타 감귤류 1,000톤 등의 농산물이 생산됨11. 표 2-7. GCC의 세부 품목별 농산물 생산량 단위: 1,000톤. 품목명. 알파파. 회원국.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평균. 사우디아라비아. 1,927. 1,969. 1,738. 1,787. 1,770. 1,645. 1,645. 1,783. 아랍에미리트. 215. 285. 322. 197. 210. 210. 0.00. 206. 오만. 510. 500. 500. 500. 500. 500. 0.00. 430. 바레인. 23.00. 20.00. 20.00. 20.00. 20.00. 20.00. 0.00. 17.57. 합계. 2,675. 2,774. 2,580. 2,504. 2,500. 2,375. 1,645. ,2436. 11 FAOSTAT<http://faostat.fao.org>.

(30) 20 (표 2-7 계속) 품목명. 밀. 회원국.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평균. 사우디아라비아. 1,788. 2,082. 2,436. 2,524. 2,776. 2,648. 2,400. 2,379. 아랍에미리트. 0.36. 0.16. 0.12. 0.02. 0.02. 0.00. 0.00. 0.10. 쿠웨이트. 0.37. 0.31. 0.73. 0.51. 0.51. 0.51. 0.51. 0.49. 오만. 1.41. 1.43. 1.42. 1.21. 1.20. 0.87. 0.78. 1.19. 카타르. 0.08. 0.03. 0.03. 0.03. 0.02. 0.02. 0.00. 0.03. 합계. 1,790. 2,084. 2,434. 2,526. 2,777. 2,650. 2,401. 2,381. 사우디아라비아. 735. 818. 830. 884. 941. 970. 970. 878. 아랍에미리트. 758. 758. 758. 758. 815. 859. 0.00. 672. 10.16. 10.38. 12.58. 15.81. 16.00. 16.37. 16.37. 13.95. 280. 298. 238. 219. 231. 247. 259. 253. 카타르. 16.12. 13.11. 14.85. 16.58. 18.22. 19.84. 0.00. 14.10. 바레인. 16.51. 16.51. 14.50. 14.00. 14.00. 15.00. 0.00. 12.93. 합계. 1,815. 1,913. 1,868. 1,908. 2,035. 2,128. 1,246. 1,845. 사우디아라비아. 310. 396. 409. 424. 480. 496. 496. 430. 아랍에미리트. 946. 331. 231. 134. 503. 664. 0.00. 401. 쿠웨이트. 36.71. 41.14. 42.66. 63.81. 55.14. 55.75. 55.75. 50.14. 오만. 39.59. 46.54. 43.07. 41.93. 44.48. 39.36. 40.44. 42.20. 카타르. 9.40. 5.71. 5.90. 4.83. 7.38. 5.33. 0.00. 5.51. 바레인. 4.21. 3.40. 2.05. 3.75. 2.09. 2.10. 0.00. 2.51. 합계. 1,347. 824. 734. 673. 1,092. 1,262. 592. 932. 사우디아라비아. 363. 393. 378. 400. 400. 400. 400. 391. 아랍에미리트. 221. 60. 141. 150. 150. 150. 0.00. 124. 쿠웨이트. 45.98. 46.00. 48.00. 48.00. 48.00. 48.00. 48.00. 47.43. 오만. 98.00. 98.00. 98.00. 98.00. 98.50. 98.50. 0.00. 84.14. 카타르. 7.55. 7.55. 7.55. 1.45. 1.94. 0.00. 0.00. 3.72. 바레인. 1.65. 1.60. 1.60. 1.60. 1.60. 1.60. 0.00. 1.38. 합계. 737. 606. 674. 699. 700. 698. 448. 652. 쿠웨이트 대추야자. 토마토. 기타채소. 오만.

(31) 21 (표 2-7 계속) 품목명. 회원국 사우디아라비아. 감자. 수박. 기타멜론. 수수. 오이류.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평균. 381. 316. 315. 318. 387. 441. 441. 371. 아랍에미리트. 15.58. 11.50. 10.05. 7.09. 7.09. 7.09. 0.00. 8.34. 쿠웨이트. 17.98. 31.85. 17.47. 20.81. 20.74. 20.74. 20.74. 21.48. 오만. 18.22. 12.69. 15.45. 15.45. 15.50. 5.94. 5.39. 12.66. 카타르. 0.03. 0.02. 0.02. 0.05. 0.01. 0.00. 0.00. 0.02. 바레인. 0.03. 0.01. 0.02. 0.02. 0.04. 0.04. 0.00. 0.02. 합계. 432. 372. 358. 361. 431. 475. 467. 414. 사우디아라비아. 275. 251. 272. 283. 331. 364. 364. 306. 아랍에미리트. 13.32. 5.63. 6.70. 2.27. 6.63. 8.03. 0.00. 6.08. 쿠웨이트. 0.25. 0.44. 0.27. 0.24. 0.24. 0.30. 0.30. 0.29. 오만. 24.01. 29.91. 26.96. 26.62. 27.00. 26.97. 0.00. 23.07. 카타르. 1.30. 0.26. 0.26. 0.26. 0.27. 0.30. 0.00. 0.38. 바레인. 0.03. 0.04. 0.05. 0.02. 0.02. 0.02. 0.00. 0.03. 합계. 314. 287. 307. 313. 365. 400. 365. 336. 사우디아라비아. 105. 212. 221. 233. 246. 230. 230. 211. 아랍에미리트. 165. 12.46. 12.33. 4.69. 43.56. 61.59. 0.00. 42.84. 쿠웨이트. 1.39. 1.40. 1.07. 0.80. 0.80. 0.97. 0.97. 1.06. 오만. 11.42. 11.40. 11.37. 11.32. 10.80. 12.04. 5.03. 10.48. 카타르. 4.30. 4.30. 4.30. 4.30. 4.48. 4.61. 0.00. 3.76. 바레인. 0.10. 0.18. 0.12. 0.15. 0.10. 0.14. 0.00. 0.11. 합계. 288. 242. 250. 254. 305. 309. 236. 269. 사우디아라비아. 212. 248. 240. 242. 284. 205. 244. 239. 오만. 2.95. 2.95. 2.90. 2.90. 1.30. 9.54. 8.78. 4.47. 합계. 215. 251. 243. 245. 285. 215. 253. 244. 사우디아라비아. 136. 166. 177. 180. 217. 212. 212. 185. 아랍에미리트. 36.83. 23.98. 25.88. 11.31. 21.50. 24.01. 0.00. 20.50. 쿠웨이트. 31.59. 32.30. 32.61. 34.07. 35.73. 37.26. 37.26. 34.40. 오만. 2.33. 2.36. 2.41. 2.49. 3.30. 1.36. 2.40. 2.38. 카타르. 7.89. 4.36. 0.90. 0.09. 0.09. 0.73. 0.00. 2.01. 바레인. 0.29. 0.29. 0.06. 0.03. 0.04. 0.06. 0.00. 0.11. 합계. 215. 229. 239. 228. 277. 275. 251. 245.

(32) 22 (표 2-7 계속) 품목명 클로버(사료용). 기타과일. 기타 감귤류. 호박류. 보리. 시금치. 회원국.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평균. 카타르. 250. 250. 250. 250. 250. 250. 0.00. 214. 사우디아라비아. 212. 163. 179. 180. 180. 180. 180. 182. 아랍에미리트. 5.60. 5.15. 6.12. 4.84. 0.00. 0.00. 0.00. 3.10. 쿠웨이트. 0.61. 0.61. 0.61. 0.61. 0.61. 0.61. 0.61. 0.61. 오만. 1.30. 0.00. 0.00. 0.00. 6.24. 9.06. 9.50. 3.73. 카타르. 0.35. 0.35. 0.35. 0.35. 0.35. 0.89. 0.00. 0.38. 바레인. 3.20. 3.20. 3.20. 3.20. 3.20. 3.20. 0.00. 2.74. 합계. 223. 172. 189. 189. 190. 194. 190. 193. 사우디아라비아. 125. 137. 140. 151. 172. 175. 175. 154. 아랍에미리트. 5.98. 5.75. 5.93. 4.92. 4.95. 5.00. 0.00. 4.65. 카타르. 0.80. 0.80. 0.80. 0.80. 0.83. 0.86. 0.00. 0.70. 합계. 131. 144. 147. 156. 178. 181. 175. 159. 사우디아라비아 78.42. 105. 98.81. 101. 127. 135. 135. 111. 아랍에미리트. 40.16. 27.40. 20.50. 19.81. 29.81. 34.44. 0.00. 24.59. 쿠웨이트. 4.88. 4.80. 4.62. 5.05. 5.55. 5.96. 5.96. 5.26. 오만. 1.10. 1.09. 1.07. 1.04. 0.74. 1.47. 1.35. 1.12. 카타르. 8.50. 8.50. 8.50. 1.85. 1.53. 1.32. 0.00. 4.31. 바레인. 0.79. 0.20. 0.21. 0.13. 0.18. 0.18. 0.00. 0.24. 합계. 134. 147. 134. 129. 165. 178. 142. 147. 사우디아라비아. 118. 231. 138. 138. 67.36. 47.44. 138. 125. 쿠웨이트. 2.08. 2.48. 3.13. 1.95. 1.95. 2.52. 2.52. 2.38. 오만. 3.51. 3.52. 3.53. 3.54. 3.70. 3.33. 3.22. 3.48. 카타르. 4.14. 3.89. 3.89. 5.11. 3.08. 4.89. 0.00. 3.57. 합계. 128. 240. 148. 149. 76.09. 58.18. 144. 135. 사우디아라비아. 620. 1.15. 0.82. 0.89. 86.30. 128. 0.00. 120. 쿠웨이트. 1.11. 1.17. 0.63. 0.85. 0.90. 0.94. 0.94. 0.93. 카타르. 0.31. 0.05. 0.05. 0.08. 0.05. 0.29. 0.00. 0.12. 합계. 621. 2.37. 1.50. 1.83. 87.26. 129. 0.94. 121.

(33) 23 (표 2-7 계속) 품목명. 가지. 포도. 양파(건조). 양배추. 당근과 순무. 회원국.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평균.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쿠웨이트 오만 카타르 바레인 합계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쿠웨이트 카타르 바레인 합계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오만 카타르 바레인 합계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오만 카타르 바레인 합계. 65.37. 71.66. 75.52. 74.36. 71.89. 73.63. 73.63. 72.29. 40.89. 20.23. 18.14. 14.10. 9.58. 5.31. 0.00. 15.46. 12.00. 15.94. 16.62. 14.75. 17.11. 18.26. 18.26. 16.13. 5.01. 5.02. 5.04. 5.07. 5.43. 4.59. 4.25. 4.91. 5.29. 3.23. 3.50. 0.28. 3.02. 3.10. 0.00. 2.63. 0.47. 0.59. 0.38. 0.35. 0.25. 0.41. 0.00. 0.35. 129. 117. 119. 109. 107. 105. 96.14. 112. 117. 91.79. 92.52. 96.98. 114. 132. 132. 111. 0.05. 0.06. 0.05. 0.02. 0.08. 0.10. 0.00. 0.05. 0.00.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11. 0.03. 0.03. 0.03. 0.06. 0.07. 0.00. 0.05. 0.13. 0.13. 0.13. 0.13. 0.13. 0.13. 0.00. 0.11. 117. 92.01. 92.74. 97.17. 114. 132. 132. 111. 94.65. 93.26. 86.39. 91.62. 91.53. 72.70. 72.70. 86.12. 6.59. 4.95. 7.37. 7.61. 8.00. 8.00. 8.00. 7.22. 13.93. 17.36. 15.65. 17.64. 17.60. 5.39. 4.24. 13.12. 3.70. 0.92. 4.00. 1.42. 1.56. 2.99. 0.00. 2.08. 1.53. 1.25. 1.31. 1.26. 1.15. 1.15. 0.00. 1.09. 120. 118. 115. 120. 120. 90.22. 84.94. 110. 294. 28.40. 29.89. 14.32. 45.56. 56.34. 0.00. 66.97. 5.31. 6.53. 8.91. 7.74. 9.29. 9.50. 9.50. 8.11. 6.78. 6.83. 6.93. 7.06. 8.50. 5.06. 8.69. 7.12. 2.42. 0.95. 1.00. 0.73. 0.98. 0.90. 0.00. 1.00. 0.78. 0.74. 0.68. 0.84. 0.56. 0.60. 0.00. 0.60. 310. 43.44. 47.40. 30.69. 64.89. 72.40. 18.19. 83.80. 사우디아라비아 65.79. 62.52. 58.73. 62.69. 65.35. 55.59. 55.59. 60.89. 아랍에미리트 쿠웨이트 오만 카타르 바레인 합계. 1.85. 2.16. 1.98. 1.12. 1.43. 1.37. 0.00. 1.41. 1.83. 2.24. 1.12. 1.37. 1.70. 1.87. 1.87. 1.71. 0.83. 0.83. 0.84. 0.85. 0.93. 0.73. 0.57. 0.80. 0.56. 0.23. 0.22. 0.13. 0.24. 0.56. 0.00. 0.28. 0.09. 0.08. 0.08. 0.03. 0.10. 0.10. 0.00. 0.07. 70.94. 68.05. 62.97. 66.19. 69.74. 60.22. 58.02. 65.16.

(34) 24 (표 2-7 계속) 품목명. 옥수수. 오크라. 채소유. 바나나. 대두유. 고추류(신선. 회원국.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평균. 사우디아라비아 40.61 0.39 쿠웨이트 1.79 카타르 42.79 합계. 19.92. 29.46. 35.88. 53.54. 90.63. 90.63. 51.52. 0.44. 0.80. 0.80. 0.80. 0.80. 0.80. 0.69. 1.47. 1.67. 1.47. 1.16. 0.84. 0.00. 1.20. 21.82. 31.93. 38.14. 55.50. 92.27. 91.43. 53.41. 사우디아라비아 52.54 2.47 쿠웨이트 0.00 오만 0.83 카타르 55.84 합계 사우디아라비아 14.56. 40.87. 45.83. 48.27. 51.85. 46.37. 46.37. 47.44. 2.40. 2.40. 2.40. 2.50. 2.50. 2.50. 2.45. 0.00. 0.00. 0.00. 6.57. 3.98. 3.65. 2.03. 0.25. 0.25. 0.28. 0.25. 0.28. 0.00. 0.31. 43.51. 48.48. 50.95. 61.17. 53.13. 52.52. 52.23. 14.91. 11.98. 16.48. 11.52. 11.52. 11.52. 13.22. 아랍에미리트 쿠웨이트 합계 아랍에미리트. 0.23. 5.83. 26.98. 45.26. 67.36. 55.46. 28.76. 0.20 0.41. 0.29. 0.20. 0.16. 0.21. 0.21. 0.21. 0.24. 15.18. 15.44. 18.01. 43.62. 57.00. 79.10. 67.20. 42.22. 0.14. 0.13. 0.13. 0.17. 0.16. 0.16. 0.00. 0.13. 오만 바레인 합계 아랍에미리트 쿠웨이트 합계. 32.15. 33.68. 32.92. 28.75. 34.00. 26.72. 25.96. 30.60. 0.73. 0.73. 0.73. 0.73. 0.73. 0.74. 0.00. 0.63. 33.02. 34.54. 33.78. 29.65. 34.89. 27.62. 25.96. 31.35. 0.00. 0.00. 5.60. 26.80. 45.00. 67.10. 55.20. 28.53. 0.28. 0.17. 0.00. 0.00. 0.02. 0.02. 0.02. 0.07. 0.28. 0.17. 5.60. 26.80. 45.02. 67.12. 55.22. 28.60. 아랍에미리트. 17.76. 4.34. 5.26. 5.45. 5.52. 5.53. 0.00. 6.27. 쿠웨이트 오만 카타르. 5.49. 6.76. 5.89. 7.48. 7.70. 8.24. 8.24. 7.11. 8.74. 8.83. 9.01. 9.26. 11.96. 5.53. 4.56. 8.27. 1.20. 0.65. 0.35. 0.26. 0.65. 0.81. 0.00. 0.56. 바레인 합계. 0.22. 0.26. 0.11. 0.02. 0.11. 0.12. 0.00. 0.12. 33.41. 20.84. 20.63. 22.46. 25.93. 20.22. 12.79. 22.33. 22.81. 12.54. 12.52. 5.53. 11.83. 13.64. 0.00. 11.27. 6.55. 7.65. 5.93. 6.81. 7.60. 8.26. 8.26. 7.30. 1.18. 1.20. 1.25. 1.32. 2.05. 0.31. 3.78. 1.59. 1.75. 0.77. 0.81. 1.14. 0.79. 1.13. 0.00. 0.91. 0.42. 0.31. 0.32. 0.17. 0.40. 0.45. 0.00. 0.30. 32.71. 22.48. 20.83. 14.97. 22.68. 23.80. 12.05. 21.36. 아랍에미리트 쿠웨이트 꽃양배추와 브 오만 카타르 로콜리 바레인 합계.

(35) 25 (표 2-7 계속) 품목명.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평균. 아랍에미리트. 17.18. 16.20. 15.32. 11.27. 11.30. 11.50. 0.00. 11.82. 쿠웨이트. 0.01. 0.01. 0.02. 0.02. 0.03. 0.03. 0.03. 0.02. 오만. 8.21. 8.56. 8.39. 6.83. 5.88. 6.16. 5.92. 7.13. 바레인. 0.95. 0.95. 0.95. 0.95. 0.96. 0.96. 0.00. 0.82. 합계. 26.35. 25.71. 24.68. 19.07. 18.16. 18.65. 5.94. 19.80. 아랍에미리트. 83.11. 34.35. 13.23. 15.94. 0.00. 0.00. 0.00. 20.95. 아랍에미리트. 9.58. 9.14. 9.32. 4.26. 4.30. 4.50. 0.00. 5.87. 오만. 10.87. 10.95. 10.91. 10.91. 8.70. 7.74. 6.88. 9.57. 합계. 20.45. 20.08. 20.23. 15.17. 13.00. 12.24. 6.88. 15.44. 아랍에미리트. 1.71. 1.41. 1.73. 0.81. 0.33. 0.04. 0.00. 0.86. 쿠웨이트. 7.86. 6.63. 6.38. 6.26. 7.22. 7.82. 7.82. 7.14. 카타르. 0.52. 0.35. 0.34. 0.22. 0.18. 0.12. 0.00. 0.25. 바레인. 0.66. 0.67. 0.81. 1.02. 1.07. 1.10. 0.00. 0.76. 합계. 10.75. 9.07. 9.25. 8.30. 8.80. 9.07. 7.82. 9.01. 사우디아라비아. 8.51. 11.15. 8.94. 8.63. 8.89. 7.37. 8.00. 8.78. 사우디아라비아. 8.00. 8.20. 8.20. 8.20. 8.20. 8.20. 8.20. 8.17. 바레인. 0.01. 0.01. 0.01. 0.01. 0.01. 0.01. 0.00. 0.01. 합계. 8.01. 8.21. 8.21. 8.21. 8.21. 8.21. 8.20. 8.18. 참기름. 사우디아라비아 10.95. 11.68. 7.83. 10.30. 2.53. 2.53. 2.53. 6.91. 면실유. 사우디아라비아. 3.61. 3.23. 4.15. 6.18. 8.99. 8.99. 8.99. 6.31. 참깨. 사우디아라비아. 3.40. 2.24. 2.82. 2.50. 4.90. 4.96. 4.96. 3.68. 아랍에미리트. 1.27. 2.68. 2.23. 1.06. 1.20. 1.20. 0.00. 1.38. 쿠웨이트. 1.70. 1.60. 0.14. 0.28. 0.30. 0.30. 0.30. 0.66. 카타르. 0.00. 0.00. 0.00. 0.07. 0.07. 0.16. 0.00. 0.04. 합계. 2.97. 4.28. 2.37. 1.41. 1.57. 1.66. 0.30. 2.08. 아랍에미리트. 0.66. 0.63. 1.18. 0.64. 0.61. 0.61. 0.00. 0.62. 오만. 1.30. 1.27. 1.27. 1.27. 1.27. 1.27. 0.00. 1.09. 합계. 1.96. 1.90. 2.45. 1.91. 1.88. 1.88. 0.00. 1.71. 레몬과 라임. 양파(신선) 과아버, 맹고, 맹고스틴. 상추와 치커리. 기장 기타 콩류. 두류(신선). 담배(미제조). 회원국.

(36) 26 (표 2-7 계속) 품목명.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평균. 오만. 1.40. 1.40. 1.40. 1.40. 1.40. 1.40. 0.00. 1.20. 카타르. 0.00. 0.00. 0.00. 0.48. 1.22. 1.35. 0.00. 0.44. 합계. 1.40. 1.40. 1.40. 1.88. 2.62. 2.75. 0.00. 1.64. 아랍에미리트. 0.36. 0.19. 0.18. 0.72. 0.47. 0.45. 0.45. 0.40. 바레인. 0.35. 0.35. 0.35. 0.35. 0.35. 0.35. 0.35. 0.35. 합계. 0.70. 0.53. 0.53. 1.07. 0.82. 0.80. 0.80. 0.75. 카타르. 0.00. 0.00. 0.00. 0.21. 0.07. 0.00. 0.00. 0.04. 합계. 0.00. 0.00. 0.00. 0.21. 0.07. 0.00. 0.00. 0.04. 아랍에미리트. 0.05. 0.05. 0.20. 0.13. 0.11. 0.09. 0.00. 0.09. 아랍에미리트. 0.42. 0.51. 0.51. 0.31. 0.39. 0.39. 0.00. 0.36. 카타르. 0.16. 0.03. 0.20. 0.20. 0.17. 0.16. 0.00. 0.13. 합계. 0.58. 0.53. 0.71. 0.51. 0.56. 0.55. 0.00. 0.49. 쿠웨이트. 0.48. 0.45. 0.37. 0.35. 0.11. 0.02. 0.02. 0.26. 오만. 0.72. 0.71. 0.71. 0.71. 0.66. 0.77. 0.48. 0.68. 합계. 1.20. 1.16. 1.08. 1.06. 0.77. 0.79. 0.49. 0.94. 낙화생유. 쿠웨이트. 0.13. 0.13. 0.19. 0.15. 0.19. 0.19. 0.19. 0.17. 낙화생(미탈각). 사우디아라비아. 4.00. 4.00. 4.00. 4.00. 3.96. 3.94. 3.94. 3.98. 채두류. 쿠웨이트. 0.47. 0.48. 0.32. 0.32. 0.38. 0.40. 0.40. 0.40. 옥수수(신선). 카타르. 0.98. 0.98. 0.98. 1.47. 1.16. 0.84. 0.00. 0.91. 머스타드유. 아랍에미리트. 0.20. 0.23. 0.23. 0.18. 0.26. 0.26. 0.00. 0.19. 기타 견과류. 바레인. 0.35. 0.35. 0.35. 0.35. 0.35. 0.35. 0.00. 0.30. 올리브. 쿠웨이트. 0.01. 0.01. 0.01. 0.03. 0.04. 0.04. 0.04. 0.02. 오렌지. 쿠웨이트. 0.01. 0.01. 0.01. 0.01. 0.03. 0.03. 0.03. 0.02. 파파야. 오만. 2.67. 2.36. 2.52. 2.52. 2.90. 1.37. 1.44. 2.25. 향신료. 쿠웨이트. 0.25. 0.25. 0.25. 0.25. 0.25. 0.25. 0.25. 0.25. 기타 향신료. 쿠웨이트. 0.25. 0.25. 0.25. 0.25. 0.25. 0.25. 0.25. 0.25. 초본류 딸기. 쿠웨이트. 0.46. 0.56. 0.24. 0.25. 0.25. 0.27. 0.27. 0.33. 사탕수수. 오만. 0.00. 0.00. 0.00. 1.47. 1.71. 0.63. 0.52. 0.62. Sugarcrops. 오만. 0.00. 0.00. 0.00. 1.47. 1.71. 0.63. 0.52. 0.62. 기타 곡물. 견과류. 치커리 뿌리 면실 무화과. 마늘. 회원국. 자료: FAOSTAT(http://faostat.fao.org).

(37) 27. 1.3.2. 국가별 농산물 생산량 GCC의 주요 농산물 생산량을 국가별로 살펴보면 <표 2-8>과 같음. 1) 사우디아라비아에서는 2000~06년 평균 기준으로 밀 238만 톤, 알파파 178만 톤, 대추야자 88만 톤, 토마토 43만 톤 등의 농산물이 생산됨. 2) 아랍에미리트에서는 대추야자 67만 톤, 토마토 40만 톤, 알파파 21만 톤 등이 주로 생산됨. 3) 쿠웨이트의 주요 농산물로는 토마토 5만 톤, 기타 채소 5만 톤, 오이류 3만 톤 등이 있음. 4) 오만에서는 알파파 43만 톤, 대추야자 25만 톤 등이 생산됨. 5) 카타르의 주요 농산물에는 클로버 21만 톤, 대추야자 1만 톤 등이 있음. 6) 끝으로 바레인의 경우는 알파파 2만 톤, 대추야자 1만 톤 등이 생산됨. 표 2-8. GCC 국가별 농산물 생산량 단위: 1,000톤. 회원국. 사우디아라비아. 품목명.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평균. 밀. 1,788. 2,082. 2,436. 2,524. 2,776. 2,648. 2,400. 2,379. 알파파 (사료용). 1,927. 1,969. 1,738. 1,787. 1,770. 1,645. 1,645. 1,783. 대추야자. 735. 818. 830. 884. 941. 970. 970. 878. 토마토. 310. 396. 409. 424. 480. 496. 496. 430. 기타 채소. 363. 393. 378. 400. 400. 400. 400. 391. 감자. 381. 316. 315. 318. 387. 441. 441. 371. 수박. 275. 251. 272. 283. 331. 364. 364. 306.

참조

관련 문서

[r]

[r]

[r]

- Saad Al Kaabi 에너지담당 국무장관 겸 QP CEO는 이번 계약을 통해 해외 고 객에게 안전하고도 적시에 맞는 LNG 배송을 위한 기존 인프라 확장이 가능할

Ⅶ.. 그런 면에서 본고에서는 한미 FTA 협상 지적재산권 분야에서 논의될 것으로 예상되는 이슈들을 구체적으로 살펴 보고 협상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고는

- 공공보건부 산하 건강관리 면허 및 인가부(Healthcare Facilities Licensing and Accreditation Dept.)는 동 조치는 코로나19 관련 환자들과 의료부문 근

[r]

1차 보건기관인 헬스센터들과 협력하여 코로나19로 인한 심리적 부담 완화를 위한 정신건강 관 련 전화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발표함... 몰도바 Igor Dod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