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해외곡물시장 동향 제4권 제5호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Share "해외곡물시장 동향 제4권 제5호"

Copied!
18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015 제4권 제5호

(2)

세계곡물시장 동향과 관련 정보, 주요 지표를 정리·분석하여 발간하고 있습니다.

또한 세계곡물시장 수급 및 가격동향을 신속히 전달하기 위해

해외곡물시장정보 홈페이지(http://grains.krei.re.kr)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담당

성명환 연구위원 mhsung@krei.re.kr 이동소 연구원 petit211@krei.re.kr

TEL

02-3299-4322

FAX

02-960-0164

(3)

품목별 곡물 수급 동향과 전망 17 곡물 선물 4월 동향과 5월 전망 35 국제금융시장 동향 및 환율 전망 55 원자재 및 에탄올시장 동향 67 곡물 해상운임 동향과 전망 77

해외곡물산업 포커스 87

2015·16년 중국의 곡물 시장 및 정책 동향 89 중국 식량안보 전략과 정책 107

해외곡물시장 브리핑 135

FAO 곡물시장뉴스 137

해외곡물시장 뉴스 153

세계 농업기상 정보 161

주요 곡물생산국의 농업기상 현황 163

부록 175

세계 곡물 통계 177

주요 수출국 대두 가공품 통계 181

(4)
(5)

세계 곡물시장 동향과 전망 5

품목별 곡물 수급 동향과 전망 17

곡물 선물 4월 동향과 5월 전망 35

국제금융시장 동향 및 환율 전망 55

원자재 및 에탄올시장 동향 67

곡물 해상운임 동향과 전망 77

(6)
(7)

세계 곡물시장 동향과 전망

해외곡물시장담당자

1. 세계 곡물 수급 동향 및 전망

1.1. 곡물 전체

1)

2015/16년 세계 곡물 생산량은 2,478~2,509백만 톤으로 전망된다. USDA는 전년보다 0.3% 증가한 2,478백만 톤, FAO는 1.6% 증가한 2,509백만 톤으로 전 망하였다. 곡물 소비량은 전년대비 0.7~1.0%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USDA는 2,486백만 톤, FAO는 2,522백만 톤으로 전망하였다.

교역량과 관련하여 USDA는 전년대비 3.5% 감소한 358백만 톤, FAO는 0.6%

감소한 349백만 톤으로 전망하였다. 기말재고량은 519~627백만 톤으로 전년대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USDA는 전년대비 1.5% 증가한 519만 톤, FAO는 2.9%

감소한 627백만 톤으로 전망하였다. 2015/16년 곡물의 소비대비 재고율은 전년보 다 감소한 20.9~24.8%로 전망된다.

표 1. 세계 곡물 수급량

(단위: 백만 톤, %) 구분

USDA IGC FAO-AMIS

2014/15 (추정)

2015/16 (5월 전망)

전년 대비

2013/14 (추정)

2014/15 (4월 전망)

전년 대비

2014/15 (추정)

2015/16 (5월 전망)

전년 대비

생산량 2,487 2,478 -0.3 2,479 2,483 0.2 2,549 2,509 -1.6

공급량 2,995 3,006 0.4 2,925 2,993 2.3 3,158 3,155 -0.1

소비량 2,468 2,486 0.7 2,415 2,455 1.6 2,497 2,522 1.0

교역량 371 358 -3.5 350 352 0.6 351 349 -0.6

기말재고량 527 519 -1.5 510 538 5.5 646 627 -2.9

재고율 21.4 20.9 - 21.1 21.9 - 25.9 24.8 -

자료: USDA, IGC, FAO-AMIS

(8)

1.2. 쌀

2015/16년 세계 쌀 생산량은 태국, 인도 등 아시아 지역의 쌀 생산량 증가로 인 해 전년대비 증가한 482~500백만 톤으로 전망된다. USDA는 전년대비 1.3% 증 가한 482백만 톤, FAO는 1.2% 증가한 500백만 톤으로 전망하였다. 쌀 소비량은 전통적으로 쌀 소비 비중이 높은 중국, 태국 등의 소비 증가의 영향으로 전년대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USDA는 전년대비 0.9% 증가한 489백만 톤으로 예상하 였으며, FAO는 1.6% 증가한 508백만 톤으로 전망하였다.

기말재고량은 중국을 제외한 태국, 인도네시아 등 주요국의 기말 재고량 감소로 인해 전년대비 감소한 92~168백만 톤으로 전망된다. USDA는 전년대비 7.0% 감 소한 92백만 톤, FAO는 4.5% 감소한 168백만 톤으로 전망하였다. 2015/16년 쌀 의 소비대비 재고율은 전년보다 감소한 18.7~33.1%로 전망된다.

표 2. 세계 쌀 수급량

(단위: 백만 톤, %) 구분

USDA IGC FAO-AMIS

2014/15 (추정)

2015/16 (5월 전망)

전년 대비

2014/15 (추정)

2015/16 (4월 전망)

전년 대비

2014/15 (추정)

2015/16 (5월 전망)

전년 대비

생산량 476 482 1.3 476 474 -0.4 494 500 1.2

공급량 583 581 -0.4 588 583 -0.8 675 676 0.1

소비량 485 489 0.9 479 484 0.9 500 508 1.6

교역량 44 42 -2.9 43 41 -3.5 41 42 2.4

기말재고량 98 92 -7.0 109 100 -8.3 176 168 -4.5

재고율 20.3 18.7 - 22.8 20.7 - 35.2 33.1 -

자료: USDA, IGC, FAO-AMIS

그림 1. 세계 쌀 생산량, 소비량, 재고율 변화 추이

자료: USDA

(9)

1.3. 밀

2015/16년 세계 밀 생산량은 미국, 중국 등 일부 국가를 제외한 주요국의 생산 량 감소로 인해 전년보다 감소한 705~719백만 톤으로 전망된다. USDA는 전년대 비 1.0% 감소한 719백만 톤으로 전망하였으며, IGC는 2.3% 감소한 705백만 톤, FAO는 1.4% 감소한 719백만 톤으로 전망하였다. 소비량은 주요국의 식용 및 사 료용 밀 수요 증가의 영향으로 전년대비 0.2~0.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USDA는 전년대비 0.2% 증가한 717백만 톤, FAO는 0.6% 증가한 716백만 톤으 로 전망하였다.

기말재고량은 USDA는 캐나다 및 인도를 제외한 주요국의 기말 재고량 증가로 전년보다 1.2% 증가한 203백만 톤으로 전망한 반면, FAO는 0.5% 감소한 199백 만 톤으로 예측하였다. IGC는 전년보다 3.0% 감소한 194백만 톤으로 전망하였다.

2015/16년 밀의 소비대비 재고율은 전년보다 감소한 27.2~28.4%로 전망된다.

표 3. 세계 밀 수급량

(단위: 백만 톤, %) 구분

USDA IGC FAO-AMIS

2014/15 (추정)

2015/16 (5월 전망)

전년 대비

2014/15 (추정)

2015/16 (4월 전망)

전년 대비

2014/15 (추정)

2015/16 (5월 전망)

전년 대비

생산량 726 719 -1.0 721 705 -2.3 729 719 -1.4

공급량 916 920 0.4 908 904 -0.4 919 919 0.0

소비량 715 717 0.2 709 711 0.3 712 716 0.6

교역량 164 157 -4.1 152 151 -0.7 153 151 -1.3

기말재고량 201 203 1.2 199 194 -3.0 200 199 -0.5

재고율 28.1 28.4 - 28.1 27.2 - 28.1 27.8 -

자료: USDA, IGC, FAO-AMIS

그림 2. 세계 밀 생산량, 소비량, 재고율 변화 추이

(10)

1.4. 옥수수

2015/16년 세계 옥수수 생산량의 경우 USDA는 중국을 제외한 우크라이나, 남 아공 등 주요국의 생산량 감소의 영향으로 전년대비 0.6% 감소한 990백만 톤으로 전망하였다. IGC는 전년대비 4.3% 감소한 951백만 톤으로 전망하였으며, FAO는 미국 옥수수 재배면적 감소의 영향으로 전년대비 2.9% 증가한 995백만 톤으로 예 측하였다. 옥수수 소비량의 경우 USDA와 FAO는 산업용(연료 및 사료용)옥수수 수요의 증가로 전년대비 1.3% 증가할한 990백만 톤, 997백만 톤을 전망한 반면, IGC는 0.2% 감소한 969백만 톤으로 예측하였다.

기말재고량은 주요국의 생산량 감소의 영향으로 전년대비 0.3~8.7% 감소한 것 으로 전망되며, USDA는 전년대비 0.3% 감소한 192백만 톤, IGC는 8.7% 감소한 181백만 톤, FAO는 2.3% 감소한 217백만 톤으로 전망하였다. 2015/16년 옥수수 의 소비대비 재고율은 전년보다 감소한 18.7~21.8%로 전망된다.

표 4. 세계 옥수수 수급량

(단위: 백만 톤, %) 구분

USDA IGC FAO-AMIS

2014/15 (추정)

2015/16 (5월 전망)

전년 대비

2014/15 (추정)

2015/16 (4월 전망)

전년 대비

2014/15 (추정)

2015/16 (5월 전망)

전년 대비

생산량 996 990 -0.6 994 951 -4.3 1,025 995 -2.9

공급량 1,170 1,182 1.1 1,169 1,149 -1.6 1,214 1,217 0.2

소비량 977 990 1.3 971 969 -0.2 984 997 1.3

교역량 121 121 -0.1 118 119 1.1 116 117 0.9

기말재고량 193 192 -0.3 198 181 -8.7 222 217 -2.3

재고율 19.7 19.4 - 20.4 18.7 - 22.6 21.8 -

자료: USDA, IGC, FAO-AMIS

그림 3. 세계 옥수수 생산량, 소비량, 재고율 변화 추이

자료: USDA

(11)

1.5. 대두

2015/16년 세계 대두 생산량의 경우 USDA는 전년과 비슷한 317백 만톤으로 전망하였다. IGC와 FAO는 주요 생산국의 단위면적당 생산성 증가의 영향으로 2014/15년 세계 대두 생산량을 2013/14년보다 11.3~11.4% 증가한 317백만 톤, 316백만 톤은 예측하였다. 소비량의 경우 USDA는 2015/16년 세계 대두 소비량 은 중국, 미국 등 주요국의 소비량 증가로 전년보다 4.3% 증가한 304백 만톤으로 전망하였다. IGC와 FAO는 2014/15년 세계 대두 소비량을 2013/14년보다 증가한 301백만 톤, 300백만 톤으로 예측하였다.

기말재고량의 경우 USDA는 2015/16년 기말 재고량을 전년대비 12.5% 증가한 96백 만톤으로 전망하였다. IGC와 FAO는 2013/14년 기말 재고량을 전년보다 50.0~54.8% 증가한 47백 만톤, 48백만 톤으로 예측하였다. 2015/16년 대두의 소비대비 재고율은 전년보다 증가한 31.6%로 전망된다.

표 5. 세계 대두 수급량 (단위: 백만 톤, %)

구분

USDA IGC FAO-AMIS

2014/15 (추정)

2015/16 (5월 전망)

전년 대비

2014/15 (추정)

2015/16 (4월 전망)

전년 대비

2014/15 (추정)

2015/16 (5월 전망)

전년 대비

생산량 317 317 0.0 285 317 11.4 284 316 11.3

공급량 381 403 5.8 312 347 11.2 311 348 11.9

소비량 292 304 4.3 282 301 6.6 281 300 6.8

교역량 118 122 3.8 111 116 4.4 114 119 4.4

기말재고량 86 96 12.5 30 47 54.8 32 48 50.0

재고율 29.3 31.6 - 10.7 15.5 - 11.4 16.0 -

자료: USDA, IGC, FAO-AMIS

그림 4. 세계 대두 생산량, 소비량, 재고율 변화 추이

(12)

2. 세계 곡물가격 동향

2.1. 월별 선물가격 동향

❚ 미 달러화 강세약화로 밀과 대두가격 전월대비 상승

밀 선물가격은 2010년 305달러로 마감하였으나 주요 생산국의 극심한 가뭄에 따른 생산차질 우려로 2011년 343달러, 2012년 후반 336달러까지 급등하면서 국 제곡물시장에 불안을 야기하였다. 그리고 그 후에도 몇 차례 등락을 반복하며 2014년 중반 289달러로 상승하였다가 238달러로 마감하였다. 한편 2015년 5월 현재 밀 선물가격은 톤당 218달러로 전년동월대비 25%나 하락한 반면 전월대비는 12.4% 상승하였다.

옥수수 선물가격도 2010년 233달러로 마감하였으나 밀과 마찬가지로 수급상의 불안정으로 2011년 296달러로 급등한 후 등락을 거듭하다가 2012년 중반 300달러 까지 재급등 후 2014년 안정세를 찾아가며 158달러로 마무리하였다. 2015년 5월 현재 옥수수 선물가격도 톤당 140달러로 전년동월과 비교하여 28% 하락, 전월대 비도 5.4% 하락한 수준이다.

대두 선물가격도 다른 곡물들과 마찬가지로 주요 생산국의 가뭄으로 인한 수급 차질로 2011년 513달러까지 상승하고 2012년 618달러까지 재급등하였다가 2013년 후반 470달러 선으로 안정세를 보였다. 그리고 2014년 초중반 548달러까 지 재반등하는 모습을 보이긴 했으나 2014년말 379달러로 마감하였다. 한편 2015년 5월 현재 대두 선물가격은 톤당 358달러로 전년동월 대비 34%나 하락하 여 밀, 옥수수, 대두 중 전년동월대비 가장 큰 하락폭을 보이고 있는 반면 4월가격 대비는 0.3% 상승하였다.

이와 같이 밀과 대두가격은 4월대비 상승하였는데 이는 미 달러화 강세약화에 주요원인이 있으며, 특히 밀은 최근 미국 밀 재배지역의 강우증가 전망에 따른 작 황부진 우려로 전월대비 상승압력을 받았다. 한편 옥수수 가격은 전월대비 약세를 보이고 있는데 그 원인은 USDA의 옥수수 기말재고율 상향조정 발표에서 찾을 수 있다. 한편 FOMC의 금리인상이 9월에 시행될 가능성이 높아 미 달러화 강세가 다 시 나타날 수 있어 곡물 선물가격 약세가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13)

그림 5. 밀·옥수수·대두의 월별 선물가격 동향, 2001.1-2015.5

자료: USDA AMS and ERS(Average monthly closing price for the nearby futures) 주: 1) 밀은 Kansas Chicago Hard Red Winter Wheat 2등급

2) 옥수수는 Chicago Yellow Corn 2등급 3) 대두는 Chicago 1등급

표 6. 곡물 선물가격 동향

단위 : 달러/톤 2013/14 2014/15 2014.5 2015.4 2015.5

증감률(%) 전년

대비

전년동월 대비

전월 대비

밀¹ 262 232 289 194 218 -11.5 -24.6 12.4

옥수수² 174 147 193 148 140 -15.5 -27.5 -5.4

대 두² 491 366 544 357 358 -25.5 -34.2 0.3

자료: USDA AMS and ERS(Average monthly closing price for the nearby futures) 주: 1) 밀의 곡물연도는 6-5월이며 2015년 5월가격은 13일 현재까지의 평균가격임.

2) 옥수수 및 대두의 곡물연도는 9-8월이며 2015년 5월가격은 13일 현재까지의 평균가격임.

2.2. 월별 현물가격(FOB) 동향

❚ 밀 현물가격은 풍부한 세계 밀 공급 및 수출수요 부진으로 약세,

반면 대두 현물가격은 국내 농가판매 둔화 및 중국으로부터의

새로운 수요로 전월대비 견조세

(14)

슷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선물가격과 마찬가지로 최근 소폭 하락세로 접어들었 다. 2015년 5월 현재 밀의 수출가격도 톤당 226달러로 전년동월대비 34%, 전월대 비 6.2%나 하락하였다. 이러한 밀 수출가격 약세는 풍부한 세계 밀 공급 및 미국 산 밀의 낮은 가격경쟁력으로 인한 수출수요 부진에서 이유를 찾을 수 있다.

옥수수 수출가격도 선물가격과 전체적인 동향은 비슷하며 2015년 5월 현재 옥 수수의 수출가격도 전년동월 대비 24% 하락, 전월대비도 2.3% 하락하였다. 전년 동월과 비교했을 때 현재 톤당 173달러인 반면 작년 5월가격은 227달러로 하락폭 이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타이트한 선적용량 및 국내 농가판매 둔화의 영향으로 밀 수출가격에 비하면 전월대비 하락폭이 크진 않았다.

대두 수출가격도 전반적인 추세는 과거 10여년 동안 선물가격과 비슷하게 나타 나 최근 5월가격도 392달러로 전월가격 390달러와 비교하여 0.5% 상승한 반면 전 년동월 대비는 32% 하락하였다. 이러한 대두가격의 전월대비 견조세는 국내 농가 판매 둔화, 중국으로부터의 새로운 수요의 영향이 있으나 남미산 대두에 대한 수 출수요 증가로 상승폭은 다소 제한되었다.

그림 6. 밀·옥수수·대두의 월별 현물가격 동향, 2001.7-2015.5

자료: 국제곡물이사회(IGC) 주: 1) 밀은 US HRW Gulf

2) 옥수수는 US 3YC Gulf 3) 대두는 US 2Y Gulf

(15)

❚ 태국산 쌀가격은 소비강화로 상승, 반면 캘리포니아 쌀가격은 2015/16년 쌀 생산전망 상향조정으로 전월대비 하락

미국 캘리포니아 쌀은 2008년 1200달러로 급등하였다가 2009년 중반부터 1000 달러 이하로 하락하면서 2013년 430달러, 2014년 433달러로 안정세를 나타냈으 며, 2014년 12월 871달러로 마감하였다. 2015년 5월 현재 캘리포니아 쌀가격도 톤 당 849달러로 전년동월대비 16.3% 하락한 반면 전월대비는 2.2% 상승하였다.

태국산 장립종의 수출가격도 2008년 949달러까지 급등하였다가 2010년대에 접 어들면서 700달러대로 서서히 안정세를 찾아가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2008년 이 전보다는 높은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2013년에는 430달러, 2014년에는 433달러 로 마감하였다. 2015년 5월 현재 태국산 장립종 가격도 398달러로 전월대비 2.7%, 전년동월대비 0.3% 하락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태국산 쌀가격의 전월대비 상승의 원인에는 태국산 쌀에 대한 소비증가 가 있으며 캘리포니아 쌀가격의 전월대비 하락은 2014/15년 쌀 생산전망이 16%

증가하였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림 7. 쌀의 월별 현물가격 동향, 2001.1-2015.5

자료: USDA Rice Outlook 주: 1) 태국 100% grade B

2) 캘리포니아 Medium Grain 1등품

(16)

표 7. 곡물 현물가격 동향

단위 : 달러/톤 품목 2013/14 2014/15 2014.5 2015.4 2015.5

증감률(%) 전년

대비

전년동월 대비

전월 대비

밀¹ 318 282 343 241 226 -11.4 -34.1 -6.2

옥수수² 215 185 227 177 173 -14.0 -23.8 -2.3

대 두² 538 420 580 390 392 -21.8 -32.4 0.5

쌀³ 태국 430 433 399 409 398 0.7 -0.3 -2.7

캘리포니아 826 909 1014 831 849 10.0 -16.3 2.2

자료: 국제곡물이사회(IGC), USDA Rice Outlook

주: 1) 밀의 곡물연도는 6-5월이며 2015년 5월가격은 13일 현재까지의 평균가격임.

2) 옥수수 및 대두의 곡물연도는 9-8월이며 2015년 5월가격은 13일 현재까지의 평균가격임.

3) 쌀의 곡물연도는 8-7월이며 2015년 5월가격은 14일 현재까지의 평균가격임.

(17)

품목별 곡물 수급 동향과 전망

김민수(애그스카우터 대표)*2)

이상적인 기후 조건으로 올해 주요 곡물의 생산량이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시장을 압도하 더니, 어느 새 엘니뇨라는 복병이 발생하여 곡물 시장에 이율배반적인 상황이 연출되고 있다.

작년 이맘때 엘니뇨로 부산을 떨었다가 한 순간에 침몰하였던 상황과는 대조적으로 세계 곡물 공급 과잉 전망이 기후 악화로 공급 부족 가능성을 겪을 것이라는 예측으로 전환됨에 따라 새로운 변곡점을 만들어 낼 수 있을지는 향후 상황을 지켜보아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비춰지 고 있는 세계 곡물의 수급 지표들은 안정적인 것으로 파악되나, 향후의 기후 변화가 곡물에 미치는 영향에 따라 계속해서 수정될 것이다. 또한 곡물의 수급에 미치는 크고 작은 변동 요인 들은 선물 시장(Futures Market)에 선반영되는 구조를 갖추고 있어 국제 곡물 시장에 대한 지속 적인 정보 습득을 통해 곡물 가격의 변동성에 대처해나가는 안목을 키워나가야 할 것이다.

곡물 가격의 흐름에 대한 방향성 설정이 모호해지는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여 러 요건들의 변화에 따라 품목 자체뿐만 아니라 품목간의 변동성도 확대되고 있 다. 지난달 4월 9일 발표된 미국 농무부 세계 곡물 수급 전망 보고서 이후 5월 15일까지의 곡물 가격 변화는 날씨에 따른 곡물의 수급 변화에 민감한 반응을 보 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전반적으로 5월 초까지 옥수수를 비롯한 밀 가격은 미국을 비롯한 주요 산지의 양호한 날씨 영향으로 올해 최저점을 계속해서 갱신해 나갔으나, 중장기적인 날씨 악화 전망이 새롭게 부각되면서 최근 들어 밀을 중심으로 가격 상승이 확대되고 있다. 반면 대두 가격은 남미발 파업 리스크(브라질의 제2차 트럭 운송업체의 파 업 재개와 아르헨티나에서의 견인선 파업과 연계한 주요 항만의 선적 중단 사태) 와 중국의 단기 대두 수요 부족 현상 등으로 인하여 5월초까지 가격 상승의 흐름 을 보였으나, 남미의 14/15년도 대두 생산량 증가 전망과 미국의 양호한 대두 신 곡 파종 진척 등이 가격 하락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18)

곡물 가격 하락 요인으로는 미국의 빠른 옥수수 파종과 미국 내 조류 인플루엔자 확산에 따른 사료용 수요 감소, 겨울밀의 생육 상태 개선, 봄밀의 빠른 파종, 세계 밀 의 공급 과잉, 미국의 빠른 대두 파종과 남미의 대두 생산량 및 공급 증가 등이 있다.

반면, 곡물 가격 상승 요인으로는 날씨 악화와 수급 불안정성 등이 거론된다. 이 미 일본 및 호주 기상청이 엘니뇨 발생을 경고하고 나섰으며, 연이어 미국 또한 엘니뇨 발생을 거론하며 중장기적으로 주요 곡물 산지에 상당한 피해를 입힐 것이 라는 전망이 시장을 강타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18년 만에 초강력 엘니뇨가 발생 할 것이라고 예견하는 곳도 있어 향후 날씨에 대한 모니터링이 보다 더 강화되어 야 할 것이다. 또한 최근 미국 밀 위원회가 겨울밀의 주산지인 캔자스 주 및 인근 주들에 대한 겨울밀의 품질 조사 결과 가뭄과 냉해 및 병충해 등으로 인한 손상 정 도가 커 단위당 수확량이 감소할 것이라는 결과를 도출한 바 있으며, 유럽 일부 지 역과 동호주 등의 밀 산지에는 가뭄이 발생하는 등 밀의 생육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남미의 곡물 수출 시즌에는 열악한 물류 인프라에 따른 공급의 병목현 상과 브라질 및 아르헨티나 노동자들의 임금 인상 및 처우 개선 등의 크고 작은 파 업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는 점 등은 잠재적 위험 요소로 작용한다. 그밖에 거 시경제 지표상 달러 가치 하락과 국제 유가 및 에탄올 가격의 점진적 상승 등이 곡 물 가격 상승을 견인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날씨 변화에 따른 곡물 수급의 변동성이 향후 곡물 가격 형성에 가장 중 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주요 곡물 생산국의 생산 상황과 주요 수입국의 수요 증감 등이 중장기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전 세계적 으로 곡물 사용량의 60% 가까운 양이 사료용으로 소비되고 있는 바, 전 세계적으 로 만연되어 있는 동물 질병(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돼지유행성 설사병 및 구 제역 등)으로 인한 수요 감소 여부 등도 고려해 나가야 할 것이다.

그 어느 때 보다도 세계 곡물의 수급 상황이 중요시되고 있어, 대내외 시장의 변 동 요인과 더불어 기후 변화가 곡물 생육에 미치는 영향력 등을 계속해서 모니터 링하여 곡물 가격의 변동에 대비하여야 할 것이다. 미국 농무부에서는 2015/16년 도 주요 곡물의 국가별 수급 예상과 전망치를 올해 5월부터 내년 4월까지 매월 중 순경에 발표해 나갈 것이다. 따라서 이번 5월 12일자부터 2015/16년도 곡물 수급 예상과 전망 자료들을 중심으로 세계 주요 국가들의 곡물 수급 관계를 살펴본다.

(19)

1. 세계 곡물 수급 동향 및 전망

옥수수, 수수, 보리, 귀리, 호밀을 합산한 세계 잡곡의 15/16년도 생산량 예측치 는 14/15년도 전망치 대비 0.6%(747만 톤) 감소한 12억 7,731만 톤에 이를 전망이 며, 수입량 예측치 또한 0.6%(87만 톤) 감소한 1억 5,520만 톤에 이를 전망이다.

국내 소비량 예측치는 12억 8,071만 톤으로 14/15년도 전망치 대비 1.0%(1,295만 톤) 증가함에 반해, 수출량 예측치는 1억 5,844만 톤으로 14/15년도 전망치 대비 3.0%(484만 톤)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생산량 감소와 국내 소비량 증가에 따라 재고비율2)은 3.0%p 감소한 15.6%에 이를 전망이다.

표 1. 세계 잡곡 수급량

(단위: 백만 톤, %)

구분 기초

재고량 생산량 수입량 국내

소비량 수출량 기말

재고량 재고비율

15/16.5(A) 227.81 1277.31 155.20 1280.71 158.44 224.41 15.6 14/15(B) 210.78 1284.78 156.07 1267.76 163.28 227.81 15.9 13/14(C) 167.22 1281.36 155.94 1238.30 164.43 210.78 15.0

증감률(A/B) 8.1 -0.6 -0.6 1.0 -3.0 -1.5

증감률(A/C) 36.2 -0.3 -0.5 3.4 -3.6 6.5

자료: USDA, WASDE-541 MAY 2015.

15/16년도 세계 쌀 생산량 예측치는 14/15년도 전망치 대비 1.3%(641만 톤) 증 가한 4억 8,210만 톤에 이를 전망이나, 수입량 예측치는 3.5%(145만 톤) 감소한 3,955만 톤에 이를 전망이다. 국내 소비량 예측치는 4억 8,898만 톤으로 14/15년 도 전망치 대비 0.9%(439만 톤) 증가함에 반해, 수출량 예측치는 4,240만 톤으로 14/15년도 전망치 대비 2.9%(128만 톤)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생산량 증가와 교 역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이월 재고 감소와 국내 소비량 증가로 인하여 재고비율은 1.4%p 감소한 17.2%에 이를 전망이다.

(20)

표 2. 세계 쌀 수급량

(단위: 백만 톤, %)

구분 기초

재고량 생산량 수입량 국내

소비량 수출량 기말

재고량 재고비율

15/16.5(A) 98.41 482.10 39.55 488.98 42.40 91.54 17.2 14/15(B) 107.32 475.69 41.00 484.59 43.68 98.41 18.6 13/14(C) 110.64 477.89 38.36 481.21 41.73 107.32 20.5

증감률(A/B) -8.3 1.3 -3.5 0.9 -2.9 -7.0

증감률(A/C) -11.1 0.9 3.1 1.6 1.6 -14.7

자료: USDA, WASDE-541 MAY 2015.

15/16년도 세계 밀 생산량 예측치는 14/15년도 전망치 대비 1.0%(752만 톤) 감 소한 7억 1,893만 톤에 이를 전망이며, 수입량 예측치 또한 4.0%(636만 톤) 감소 한 1억 5,361만 톤에 이를 전망이다. 국내 소비량 예측치는 7억 1,659만 톤으로 14/15년도 전망치 대비 0.2%(113만 톤) 증가함에 반해, 수출량 예측치는 1억 5,695만 톤으로 14/15년도 전망치 대비 4.1%(675만 톤)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생 산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이월 재고 증가와 교역량 감소 영향으로 재고비율은 14/15년도 전망치 대비 0.4%p 증가한 23.3%에 이를 전망이다.

표 3. 세계 밀 수급량

(단위: 백만 톤, %)

구분 기초

재고량 생산량 수입량 국내

소비량 수출량 기말

재고량 재고비율

15/16.5(A) 186.57 726.45 158.96 715.82 162.03 197.21 22.5 14/15(B) 187.49 724.76 157.48 714.53 160.57 197.71 22.6 13/14(C) 175.59 716.82 157.84 705.84 165.80 186.57 21.4

증감률(A/B) -0.5 0.2 0.9 0.2 0.9 -0.3

증감률(A/C) 6.3 1.3 0.7 1.4 -2.3 5.7

자료: USDA, WASDE-540 APR. 2015.

15/16년도 세계 옥수수 생산량 예측치는 14/15년도 전망치 대비 0.6%(629만 톤) 감소한 9억 8,983만 톤에 이를 전망임에 반해, 수입량 예측치는 2.9%(331만

(21)

톤) 증가한 1억 1,876만 톤에 이를 전망이다. 국내 소비량 예측치는 9억 9,040만 톤으로 14/15년도 전망치 대비 1.3%(1,298만 톤) 증가함에 반해, 수출량 예측치는 1억 2,090만 톤으로 14/15년도 전망치 대비 0.1%(13만 톤) 감소할 것으로 보인 다. 따라서 생산량 감소와 소비량 증가로 인하여 재고비율은 0.2%p 감소한 17.3%

에 이를 전망이다.

표 4. 세계 옥수수 수급량

(단위: 백만 톤, %)

구분 기초

재고량 생산량 수입량 국내

소비량 수출량 기말

재고량 재고비율

15/16.5(A) 192.50 989.83 118.76 990.40 120.90 191.94 17.3 14/15(B) 173.80 996.12 115.45 977.42 121.03 192.50 17.5 13/14(C) 136.51 990.64 123.76 953.35 131.07 173.80 16.0

증감률(A/B) 10.8 -0.6 2.9 1.3 -0.1 -0.3

증감률(A/C) 41.0 -0.1 -4.0 3.9 -7.8 10.4 자료: USDA, WASDE-541 MAY 2015.

15/16년도 세계 대두 생산량 예측치는 14/15년도와 거의 동일한 3억 1,730만 톤 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에 반해, 수입량 예측치는 4.8%(548만 톤) 증가한 1억 1,963만 톤에 이를 전망이다. 국내 소비량 예측치는 3억 428만 톤으로 14/15년도 전망치 대비 4.3%(1,252만 톤)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수출량 예측치 또한 1억 2,198만 톤으로 14/15년도 전망치 대비 3.8%(448만 톤)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소 비량 및 교역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상당한 양의 이월 재고로 인하여 재고비율은 1.7%p 증가한 22.6%에 이를 전망이다.

표 5. 세계 대두 수급량

(단위: 백만 톤, %)

구분 기초

재고량 생산량 수입량 국내

소비량 수출량 기말

재고량 재고비율

15/16.5(A) 85.54 317.30 119.63 304.28 121.98 96.22 22.6 14/15(B) 63.40 317.25 114.15 291.76 117.50 85.54 20.9 13/14(C) 56.47 283.25 111.25 274.64 112.94 63.40 16.4

증감률(A/B) 34.9 0.0 4.8 4.3 3.8 12.5

(22)

2. 국가별 쌀 수급 동향 및 전망

15/16년도 주요 국가의 쌀 생산량 예측치를 살펴보면, 태국의 쌀 생산량 증가세 가 두드러져 14/15년도 대비 5.6%(105만 톤) 증가할 전망이다. 그 밖에 주요국들 의 쌀 생산량 예측치도 14/15년도 대비 0.5% ~ 1.6% 증가할 전망이다. 13/14년도 대비해서는 인도 및 태국의 쌀 생산량이 각각 2.4%, 3.2% 감소함에 반해 미얀마, 필리핀, 중국의 쌀 생산량은 각각 7.0%, 4.6%, 2.4% 증가할 전망이다.

표 6. 국가별 쌀 생산량

(단위: 백만 톤, %)

구분 인도 태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필리핀 미얀마 중국

15/16.5(A) 104.00 19.80 28.20 36.65 12.40 12.80 146.00 14/15(B) 102.50 18.75 28.05 36.30 12.20 12.60 144.50 13/14(C) 106.54 20.46 28.16 36.30 11.86 11.96 142.53

증감률(A/B) 1.5 5.6 0.5 1.0 1.6 1.6 1.0

증감률(A/C) -2.4 -3.2 0.1 1.0 4.6 7.0 2.4

자료: USDA, WASDE-541 MAY 2015.

15/16년도 주요 국가의 쌀 소비량 예측치를 살펴보면, 태국의 쌀 소비량 증가 세가 두드러져 14/15년도 대비 2.7%(30만 톤) 증가할 전망이다. 그밖에 주요국들 의 쌀 소비량 예측치도 14/15년도 대비 0.1% ~ 1.8% 증가할 전망이다. 13/14년도 대비해서는 베트남을 제외한 주요국의 쌀 소비량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태국 이 4.8%로 증가세가 두드러지는 가운데, 필리핀, 미얀마, 중국 또한 각각 3.1%, 3.3%, 3.2% 증가할 전망이다.

표 7. 국가별 쌀 소비량

(단위: 백만 톤, %)

구분 인도 태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필리핀 미얀마 중국

15/16.5(A) 99.50 11.40 22.00 38.65 13.25 10.80 151.00 14/15(B) 99.35 11.10 21.90 38.60 13.20 10.70 148.40 13/14(C) 99.18 10.88 22.00 38.50 12.85 10.45 146.30

증감률(A/B) 0.2 2.7 0.5 0.1 0.4 0.9 1.8

증감률(A/C) 0.3 4.8 0.0 0.4 3.1 3.3 3.2

자료: USDA, WASDE-541 MAY 2015.

(23)

15/16년도 주요 국가의 쌀 수출량 예측치를 살펴보면, 14/15년도 전망치 대비 인도의 쌀 수출량이 16.7%(170만 톤) 감소함에 반해 미국의 쌀 수출량은 2.1%(7만 톤) 증가할 전망이다. 그밖에 주요국의 쌀 수출량은 변동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13/14년도 대비해서는 인도의 쌀 수출량이 16.3% 감소함에 반해 미국 및 파키스탄 의 쌀 수출량이 각각 14.7%, 18.8% 증가할 전망이다. 태국 및 베트남의 쌀 수출량 또한 13/14년도 대비 다소 증가할 전망이다.

표 8. 국가별 쌀 수출량

(단위: 백만 톤, %)

구분 미국 인도 파키스탄 태국 베트남

15/16.5(A) 3.43 8.50 3.80 11.00 6.70

14/15(B) 3.36 10.20 3.80 11.00 6.70

13/14(C) 2.99 10.15 3.20 10.97 6.33

증감률(A/B) 2.1 -16.7 0.0 0.0 0.0

증감률(A/C) 14.7 -16.3 18.8 0.3 5.8

자료: USDA, WASDE-541 MAY 2015.

15/16년도 주요 국가의 쌀 수입량 예측치를 살펴보면, 인도네시아 및 필리핀의 쌀 수입량 감소세가 두드러져 14/15년도 전망치 대비 각각 12.0%(15만 톤), 18.8%(30만 톤)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에 반해, 중국의 쌀 수입량은 6.8%(30만 톤) 증가할 전망이다. 미국의 쌀 수입량 역시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13/14년 도 대비해서는 인도네시아 쌀 수입량이 10.6% 감소하는 것을 제외한 주요국의 쌀 수입량은 6.1% ~ 16.9% 증가할 전망이다. 특히 중국의 쌀 수입량이 13/14년도 대 비 16.9%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표 9. 국가별 쌀 수입량

(단위: 백만 톤, %)

구분 인도네시아 필리핀 중국 미국 일본

15/16.5(A) 1.10 1.30 4.70 0.78 0.70

14/15(B) 1.25 1.60 4.40 0.76 0.70

13/14(C) 1.23 1.20 4.02 0.73 0.66

증감률(A/B) -12.0 -18.8 6.8 2.6 0.0

(24)

15/16년도 주요 국가의 쌀 기말 재고량 예측치를 살펴보면, 중국을 제외한 인 도, 태국, 인도네시아의 쌀 기말 재고량이 14/15년도 대비 각각 25.6%(4백만 톤), 26.5%(230만 톤), 20.2%(230만 톤) 급감할 것으로 전망된다. 13/14년도 대비해서 는 인도를 비롯한 태국, 인도네시아의 쌀 기말 재고량의 감소세가 더욱 더 확대되 어 각각 48.8%, 45.6%, 35.5% 감소할 전망이다.

표 10. 국가별 쌀 기말 재고량(재고율)

(단위: 백만 톤, %)

구분 인도 태국 인도네시아 중국

15/16.5(A) 11.60 (10.7) 6.37 (28.4) 3.55 (9.2) 46.21 (30.5) 14/15(B) 15.60 (14.2) 8.67 (39.2) 4.45 (11.5) 46.91 (31.5) 13/14(C) 22.65 (20.7) 11.72 (53.6) 5.50 (14.3) 46.81 (31.9) 증감률(A/B) -25.6 (-3.5) -26.5 (–10.8) -20.2 (-2.3) -1.5 (-1.0) 증감률(A/C) -48.8 (–10.0) -45.6 (–25.2) -35.5 (–5.1) -1.3 (–1.4) 주. 괄호 안은 기말 재고율과 기말 재고율의 변동폭임.

자료: USDA, WASDE-541 MAY 2015.

3. 국가별 밀 수급 동향 및 전망

15/16년도 주요 국가의 밀 생산량 예측치를 살펴보면, 14/15년도 전망치 대비 미국, 호주, 중국의 밀 생산량이 각각 3.0%(168만 톤), 8.3%(200만 톤), 3.0%(383만 톤) 증가함에 반해, 동유럽권 국가의 밀 생산량 감소세가 두드러져 우 크라이나는 11.1%(275만 톤), 러시아는 9.4%(558만 톤) 감소할 전망이다. 인도의 밀 생산량 또한 6.1%(585만 톤)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13/14년도 대비해서는 EU 를 비롯한 러시아, 중국의 밀 생산량이 각각 4.1%, 2.7%, 6.6% 증가함에 반해 그 밖에 주요국의 밀 생산량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며, 특히 캐나다의 밀 생산량이 22.7% 급감할 것으로 전망된다.

(25)

표 11. 국가별 밀 생산량

(단위: 백만 톤, %)

구분 미국 호주 캐나다 EU 인도 러시아 우크라이나 중국

15/16.5(A) 56.81 26.00 29.00 150.29 90.00 53.50 22.00 130.00 14/15(B) 55.13 24.00 29.30 156.45 95.85 59.08 24.75 126.17 13/14(C) 58.11 26.93 37.53 144.42 93.51 52.09 22.28 121.93 증감률(A/B) 3.0 8.3 -1.0 -3.9 -6.1 -9.4 -11.1 3.0 증감률(A/C) -2.2 -3.5 -22.7 4.1 -3.8 2.7 -1.3 6.6 자료: USDA, WASDE-541 MAY 2015.

15/16년도 주요 국가의 밀 소비량 예측치를 살펴보면, 14/15년도 전망치 대비 미국, EU, 인도의 밀 소비량이 14/15년도 전망치 대비 각각 1.9%(61만 톤), 0.3%(40만 톤), 0.8%(77만 톤) 소폭 증가함에 반해, 캐나다를 비롯한 우크라이나, 중국의 밀 소비량은 각각 14.4%(163만 톤), 2.5%(30만 톤), 2.0%(250만 톤) 감소 할 전망이다. 13/14년도 대비해서는 주요국의 밀 소비량이 0.8% ~ 5.5% 증가함 에 반해 미국은 2.8% 감소하고 중국은 변동이 없을 전망이다.

표 12. 국가별 밀 소비량

(단위: 백만 톤, %)

구분 미국 캐나다 EU 인도 러시아 우크라이나 중국

15/16.5(A) 33.18 9.70 123.50 94.60 35.50 11.70 121.50 14/15(B) 32.57 11.33 123.10 93.83 35.50 12.00 124.00 13/14(C) 34.15 9.41 117.10 93.85 34.10 11.50 121.50

증감률(A/B) 1.9 -14.4 0.3 0.8 0.0 -2.5 -2.0

증감률(A/C) -2.8 3.1 5.5 0.8 4.1 1.7 0.0

자료: USDA, ASDE-541 MAY 2015.

세계 밀 소비량의 20%를 차지하는 사료용 밀의 15/16년도 국가별 소비량 예측 치를 살펴보면, 14/15년도 대비 캐나다를 비롯한 러시아, 우크라이나, 중국의 밀

(26)

6.7%(30만 톤) 증가할 전망이다. 13/14년도 대비해서는 미국을 비롯한 중국의 사 료용 밀 소비량이 각각 19.1%, 4.8% 감소함에 반해 캐나다를 비롯한 EU, 우크라 이나의 사료용 밀 소비량은 7.1%, 10.1%, 2.9% 증가할 전망이다.

표 13. 국가별 사료용 밀 소비량

(단위: 백만 톤, %)

구분 미국 캐나다 EU 인도 러시아 우크라이나 중국

15/16.5(A) 4.90 4.50 54.50 4.80 12.50 3.50 20.00 14/15(B) 4.35 6.00 54.50 4.50 13.00 4.00 23.00 13/14(C) 6.06 4.20 49.50 4.80 12.50 3.40 21.00 증감률(A/B) 12.6 -25.0 0.0 6.7 -3.8 -12.5 -13.0

증감률(A/C) -19.1 7.1 10.1 0.0 0.0 2.9 -4.8

자료: USDA, WASDE-541 MAY 2015.

15/16년도 주요 국가의 밀 수출량 예측치를 살펴보면, 14/15년도 전망치 대비 미국과 호주의 밀 수출량이 각각 7.5%(176만 톤), 8.8%(150만 톤) 증가함에 반해, 캐나다를 비롯한 EU, 러시아, 우크라이나의 밀 수출량은 각각 12.8%(300만 톤), 5.8%(200만 톤), 7.0%(150만 톤), 8.7%(100만 톤) 감소할 전망이다. 13/14년도 대비해서는 미국과 캐나다의 밀 수출량이 각각 21.4%, 11.9% 급감함에도 불구하 고 러시아 및 우크라이나의 밀 수출량은 13/14년도 대비 각각 7.7%, 7.6% 증가할 전망이다.

표 14. 국가별 밀 수출량

(단위: 백만 톤, %)

구분 미국 호주 캐나다 EU 러시아 우크라이나

15/16.5(A) 25.17 18.50 20.50 32.50 20.00 10.50 14/15(B) 23.41 17.00 23.50 34.50 21.50 11.50 13/14(C) 32.01 18.62 23.27 32.03 18.57 9.76

증감률(A/B) 7.5 8.8 -12.8 -5.8 -7.0 -8.7

증감률(A/C) -21.4 -0.6 -11.9 1.5 7.7 7.6

자료: USDA, WASDE-541 MAY 2015.

(27)

15/16년도 주요 국가의 밀 수입량 예측치를 살펴보면, 14/15년도 전망치 대비 브라질이 1.6%(10만 톤) 증가함에 반해, 중국을 비롯한 주요 수입국들의 밀 수입 량은 대폭 줄어들 전망이다. 특히 중국의 밀 수입량은 14/15년도 전망치 대비 20.0%(30만 톤) 감소할 전망이며, 서남아시아 및 북아프리카 또한 각각 7.8%(179 만 톤), 2.2%(55만 톤)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13/14년도 대비해서는 중국의 밀 수 입량이 대폭 줄어 82.3% 감소할 전망이며, 브라질 및 북아프리카 또한 각각 8.1%, 4.6%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서남아시아 및 동남아시아의 밀 수입량은 각각 1.7%, 13.3% 증가할 전망이다.

표 15. 국가별 밀 수입량

(단위: 백만 톤, %)

구분 브라질 중국 서남아시아 북아프리카 동남아시아

15/16.5(A) 6.50 1.20 21.05 24.10 18.60

14/15(B) 6.40 1.50 22.84 24.65 18.70

13/14(C) 7.07 6.77 20.69 25.27 16.41

증감률(A/B) 1.6 -20.0 -7.8 -2.2 -0.5

증감률(A/C) -8.1 -82.3 1.7 -4.6 13.3

자료: USDA, WASDE-541 MAY 2015.

15/16년도 주요 국가의 밀 기말 재고량 예측치를 살펴보면, 14/15년도 전망치 대비 중국을 비롯한 미국, 호주의 밀 기말 재고량은 각각 13.8%(870만 톤), 11.8%(227만 톤), 5.2%(32만 톤) 증가함에 반해 캐나다를 비롯한 EU, 인도, 러시 아, 우크라이나의 밀 기말 재고량은 각각 14.0%(74만 톤), 4.8%(71만 톤), 27.9%(460만 톤), 21.7%(165만 톤), 3.0%(15만 톤) 감소할 전망이다. 13/14년도 대비해서는 캐나다와 인도의 밀 기말 재고량이 각각 55.9%, 33.3% 감소함을 제외 하고는 주요국의 밀 기말 재고량은 4.4% ~ 39.1% 증가할 전망이다.

(28)

구분 미국 호주 캐나다 EU 인도 러시아 우크라이나 중국 15/16.5(A) 21.58(37.0) (25.0)6.46 (15.1)4.56 14.01(9.0) (12.5)11.90 (10.7)5.96 (21.7)4.82 71.64(58.5) 14/15(B) 19.31(34.5) (25.4)6.14 (15.2)5.30 14.72(9.3) (17.0)16.50 (13.4)7.61 (21.1)4.97 62.94(50.4) 13/14(C) 16.07(24.3) (24.2)6.19 10.35(31.7) 10.07(6.8) (17.8)17.83 (9.8)5.18 (17.3)3.67 60.27(49.2) 증감률(A/B) 11.8(2.5) (-0.4)5.2 (-0.1)-14.0 (-0.3)-4.8 -27.9(-4.5) -21.7(-2.7) -3.0(0.6) (8.1)13.8 증감률(A/C) (12.7)34.3 (0.8)4.4 (-16.6)-55.9 (2.2)39.1 -33.3(-5.3) (0.9)15.1 31.3(4.4) (9.3)18.9

표 16. 국가별 밀 기말재고량

(단위: 백만 톤, %)

주: 괄호 안은 기말 재고율과 기말 재고율의 변동폭임.

자료: USDA, WASDE-541 MAY 2015.

4. 국가별 옥수수 수급 동향 및 전망

15/16년도 주요 국가의 옥수수 생산량 예측치를 살펴보면, 남아프리카를 비롯한 아르헨티나, 중국의 옥수수 생산량이 14/15년도 전망치 대비 각각 19.5%(220만 톤), 2.0%(50만 톤), 5.7%(1,233만 톤) 증가함에 반해, 미국을 비롯한 브라질, 우 크라이나의 옥수수 생산량은 14/15년도 전망치 대비 각각 4.1%(1,487만 톤), 3.8%(300만 톤), 8.6%(245만 톤) 감소할 전망이다. 13/14년도 대비해서는 중국의 옥수수 생산량이 4.4% 증가함에 반해 우크라이나 및 남아프리카가의 옥수수 생산 량은 각각 15.9%, 9.9% 감소하는 등 주요국의 옥수수 생산량은 1.4% ~ 15.9% 감 소할 전망이다.

표 17. 국가별 옥수수 생산량

(단위: 백만 톤, %)

구분 미국 아르헨티나 브라질 남아프리카 우크라이나 중국

15/16.5(A) 346.22 25.00 75.00 13.50 26.00 228.00 14/15(B) 361.09 24.50 78.00 11.30 28.45 215.67 13/14(C) 351.27 26.00 80.00 14.98 30.90 218.49

증감률(A/B) -4.1 2.0 -3.8 19.5 -8.6 5.7

증감률(A/C) -1.4 -3.8 -6.3 -9.9 -15.9 4.4

자료: USDA, WASDE-541 MAY 2015.

(29)

15/16년도 주요 국가의 옥수수 소비량 예측치를 살펴보면, 14/15년도 전망치 대 비 일본의 옥수수 소비량이 1.3%(20만 톤) 감소함을 제외하고는 미국을 비롯한 브 라질, EU, 중국, 멕시코의 옥수수 소비량은 각각 0.5%(161만 톤), 3.5%(200만 톤), 1.3%(100만 톤), 1.9%(400만 톤), 1.2%(40만 톤) 증가할 전망이다. 13/14년 도 대비해서는 브라질을 비롯한 멕시코의 옥수수 소비량이 각각 7.3%, 7.1% 증가 하는 등 주요국의 옥수수 소비량은 0.7% ~ 7.3% 증가할 전망이다.

표 18. 국가별 옥수수 소비량

(단위: 백만 톤, %)

구분 미국 브라질 EU 중국 일본 멕시코

15/16.5(A) 301.26 59.00 78.50 220.00 15.20 33.95 14/15(B) 299.65 57.00 77.50 216.00 15.40 33.55 13/14(C) 293.05 55.00 76.50 212.00 15.10 31.70

증감률(A/B) 0.5 3.5 1.3 1.9 -1.3 1.2

증감률(A/C) 2.8 7.3 2.6 3.8 0.7 7.1

자료: USDA, WASDE-541 MAY 2015.

세계 옥수수 소비량의 60%를 차지하는 사료용 옥수수의 15/16년도 국가별 소비 량 예측치를 살펴보면, 14/15년 전망치 대비 일본의 사료용 옥수수 소비량이 1.8%(20만 톤) 감소함을 제외하고는 미국을 비롯한 브라질, EU, 중국, 멕시코의 사료용 옥수수 소비량이 각각 1.0%(127만 톤), 4.2%(200만 톤), 1.7%(100만 톤), 1.3%(200만 톤), 2.1%(35만 톤) 증가할 전망이다. 13/14년도 대비해서는 멕시코 를 비롯한 브라질의 사료용 옥수수 소비량이 각각 12.8%, 8.7% 증가하는 등 주요 국의 사료용 옥수수 소비량은 0.9% ~ 12.8% 증가할 전망이다.

표 19. 국가별 사료용 옥수수 소비량

(단위: 백만 톤, %)

구분 미국 아르헨티나 브라질 남아프리카 우크라이나 EU

15/16.5(A) 134.63 50.00 59.50 160.00 10.70 17.15 14/15(B) 133.36 48.00 58.50 158.00 10.90 16.80 13/14(C) 127.87 46.00 58.00 154.00 10.60 15.20

증감률(A/B) 1.0 4.2 1.7 1.3 -1.8 2.1

(30)

15/16년도 주요 국가의 옥수수 수출량 예측치를 살펴보면, 14/15년도 전망치 대비 미국을 비롯한 아르헨티나, 남아프리카의 옥수수 수출량이 각각 4.1%(190만 톤), 3.3%(50만 톤), 114.3%(80만 톤) 증가함에 반해, 브라질을 비롯한 우크라이나, EU 의 옥수수 수출량은 각각 6.4%(150만 톤), 11.1%(200만 톤), 16.7%(50만 톤) 감소할 전망이다. 13/14년도 대비해서는 브라질과 EU의 옥수수 수출량이 각각 4.9%, 4.2%

증가함에 반해, 남아프리카와 우크라이나의 옥수수 수출량이 각각 25.0%, 20.0% 감 소하는 등 주요국의 옥수수 소비량은 0.9% ~ 25.0% 감소할 전망이다.

표 20. 국가별 옥수수 수출량

(단위: 백만 톤, %)

구분 미국 아르헨티나 브라질 남아프리카 우크라이나 EU

15/16.5(A) 48.26 15.50 22.00 1.50 16.00 2.50 14/15(B) 46.36 15.00 23.50 0.70 18.00 3.00 13/14(C) 48.70 17.10 20.97 2.00 20.00 2.40

증감률(A/B) 4.1 3.3 -6.4 114.3 -11.1 -16.7

증감률(A/C) -0.9 -9.4 4.9 -25.0 -20.0 4.2

자료: USDA, WASDE-541 MAY 2015.

15/16년도 주요 국가의 옥수수 수입량 예측치를 살펴보면, 14/15년도 전망치 대비 EU를 비롯한 한국, 멕시코, 이집트의 옥수수 수입량이 각각 50.0%(400만 톤), 4.2%(40만 톤), 3.0%(30만 톤), 6.7%(50만 톤) 증가함에 반해, 일본의 옥수수 수입 량은 1.3%(20만 톤) 감소할 전망이다. 13/14년도 대비해서는 일본의 옥수수 수입량 이 0.5% 증가함을 제외하고는 EU를 비롯한 중국의 옥수수 수입량이 각각 24.6%, 8.5% 감소하는 등 주요국의 옥수수 수입량은 3.9% ~ 24.6% 감소할 전망이다.

표 21. 국가별 옥수수 수입량

(단위: 백만 톤, %)

구분 EU 중국 일본 한국 멕시코 이집트

15/16.5(A) 12.00 3.00 15.20 10.00 10.30 8.00

14/15(B) 8.00 3.00 15.40 9.60 10.00 7.50

13/14(C) 15.92 3.28 15.12 10.41 10.95 8.73

증감률(A/B) 50.0 0.0 -1.3 4.2 3.0 6.7

증감률(A/C) -24.6 -8.5 0.5 -3.9 -5.9 -8.4

자료: USDA, WASDE-541 MAY 2015.

(31)

15/16년도 주요 국가의 옥수수 기말 재고량 예측치를 살펴보면, 14/15년도 전망 치 대비 남아프리카 및 중국의 옥수수 기말 재고량이 각각 39.2%(62만 톤), 13.7%(1,095만 톤) 증가함에 반해, 미국을 비롯한 아르헨티나, 브라질, 우크라이 나의 옥수수 기말 재고량은 각각 5.7%(267만 톤), 32.5%(49만 톤), 30.1%(520만 톤), 14.9%(35만 톤) 감소할 전망이다. 13/14년도 대비해서는 미국을 비롯한 남아 프리카, 중국의 옥수수 기말 재고량이 각각 41.7% 2.3%, 17.6% 증가함에 반해, 아르헨티나, 브라질, 우크라이나의 옥수수 기말 재고량은 각각 27.7%, 36.4%, 11.1% 감소할 전망이다.

표 22. 국가별 옥수수 기말 재고량(재고율)

(단위: 백만 톤, %)

구분 미국 아르헨티나 브라질 남아프리카 우크라이나 중국

15/16.5(A) 44.35 (12.7) 1.02 (4.0) 12.07 (14.9) 2.20 (17.1) 2.00 (7.6) 90.91 (41.3) 14/15(B) 47.02 (13.6) 1.51 (6.2) 17.27 (21.5) 1.58 (13.3) 2.35 (8.3) 79.96 (37.0) 13/14(C) 31.29 (9.2) 1.41 (5.4) 18.97 (25.0) 2.15 (15.9) 2.25 (7.5) 77.32 (36.5) 증감률(A/B) -5.7 (-0.9) -32.5 (–2.2) -30.1 (-6.6) 39.2 (3.8) -14.9(-0.7) 13.7 (4.3) 증감률(A/C) 41.7 (3.5) -27.7(-1.4) -36.4 (–10.1) 2.3 (1.2) -11.1 (0.1) 17.6 (4.8) 주: 괄호 안은 기말 재고율과 기말 재고율의 변동폭임.

자료: USDA, WASDE-541 MAY 2015.

5. 국가별 대두 수급 동향 및 전망

15/16년도 주요 국가의 대두 생산량 예측치를 살펴보면, 14/15년도 전망치 대비 브라질 및 EU의 대두 생산량이 각각 2.6%(250만 톤), 12.4%(21만 톤) 증가함에 반해, 미국을 비롯한 아르헨티나, 중국의 대두 생산량은 각각 3.0%(323만 톤), 2.6%(250만 톤), 6.9%(85만 톤) 감소할 전망이다. 13/14년도 대비해서는 중국이 5.7% 감소함을 제외하고는 미국을 비롯한 아르헨티나, 브라질, EU의 대두 생산량

(32)

표 23. 국가별 대두 생산량

(단위: 백만 톤, %)

구분 미국 아르헨티나 브라질 EU 중국

15/16.5(A) 104.78 57.00 97.00 1.90 11.50

14/15(B) 108.01 58.50 94.50 1.69 12.35

13/14(C) 91.39 53.50 86.70 1.21 12.20

증감률(A/B) -3.0 -2.6 2.6 12.4 -6.9

증감률(A/C) 14.7 6.5 11.9 57.0 -5.7

자료: USDA, WASDE-541 MAY 2015.

15/16년도 주요 국가의 대두 소비량 예측치를 살펴보면, 14/15년도 전망치 대비 주요국의 대두 소비량은 증가할 전망이다. 특히 중국의 대두 소비량이 4.1%(355만 톤) 증가할 전망이며 아르헨티나 및 브라질의 대두 소비량 또한 14/15년도 전망치 대비 각각 6.7%(300만 톤), 2.4%(98만 톤) 증가할 전망이다. 13/14년도 대비해서 도 아르헨티나를 비롯한 중국, 브라질, 미국 등 주요국의 대두 소비량이 2.6% ~ 17.3% 증가할 전망이다.

표 24. 국가별 대두 소비량

(단위: 백만 톤, %)

구분 미국 아르헨티나 브라질 EU 중국

15/16.5(A) 53.19 47.60 41.73 14.53 89.25

14/15(B) 52.83 44.60 40.75 14.37 85.70

13/14(C) 49.85 40.57 39.28 14.16 80.30

증감률(A/B) 0.7 6.7 2.4 1.1 4.1

증감률(A/C) 6.7 17.3 6.2 2.6 11.1

자료: USDA, WASDE-541 MAY 2015.

15/16년도 주요 국가의 대두 수출량 예측치를 살펴보면, 14/15년도 전망치 대비 미국의 대두 수출량이 1.4%(68만 톤) 감소함에 반해, 아르헨티나 및 브라질의 대 두 수출량은 각각 6.3%(50만 톤), 9.0%(410만 톤) 증가할 전망이다. 13/14년도 대 비해서는 주요 수출 3국인 미국, 아르헨티나, 브라질의 대두 수출량이 각각 7.8%, 8.4%, 6.2% 증가할 전망이다.

(33)

표 25. 국가별 대두 수출량

(단위: 백만 톤, %)

구분 미국 아르헨티나 브라질

15/16.5(A) 48.31 8.50 49.75

14/15(B) 48.99 8.00 45.65

13/14(C) 44.82 7.84 46.83

증감률(A/B) -1.4 6.3 9.0

증감률(A/C) 7.8 8.4 6.2

자료: USDA, WASDE-540 APR. 2015.

15/16년도 주요 국가의 대두 수입량 예측치를 살펴보면, 14/15년도 전망치 대비 중국의 대두 수입량이 5.4%(400만 톤) 증가함을 제외하고는 기타 국가의 대두 수입 량은 큰 변동이 없을 전망이다. 13/14년도 대비해서는 중국의 대두 수입량이 10.1%

증가함에 반해, EU 및 일본의 대두 수입량은 각각 1.5%, 1.4% 감소할 전망이다.

표 26. 국가별 대두 수입량

(단위: 백만 톤, %)

구분 EU 중국 일본

15/16.5(A) 12.80 77.50 2.85

14/15(B) 12.75 73.50 2.85

13/14(C) 12.99 70.36 2.89

증감률(A/B) 0.4 5.4 0.0

증감률(A/C) -1.5 10.1 -1.4

자료: USDA, WASDE-541 MAY 2015.

15/16년도 주요 국가의 대두 기말 재고량 예측치를 살펴보면, 14/15년도 전망치 대비 중국의 대두 기말 재고량이 3.5%(50만 톤) 감소함을 제외하고는 미국을 비롯 한 아르헨티나, 브라질, EU의 대두 기말 재고량이 각각 43.1%(410만 톤), 2.8%(90만 톤), 24.3%(607만 톤), 25.9%(7만 톤) 증가할 전망이다. 13/14년도 대

(34)

표 27. 국가별 대두 기말 재고량(재고율)

(단위: 백만 톤, %)

구분 미국 아르헨티나 브라질 EU 중국

15/16.5(A) 13.61 (13.4) 32.85 (58.6) 31.00 (33.9) 0.34 (2.3) 13.88 (15.5) 14/15(B) 9.51 (9.3) 31.95 (60.7) 24.93 (28.9) 0.27 (1.9) 14.38 (16.7)

13/14(C) 2.50 (2.6) 26.05 (53.8) 16.53 (19.2) 0.28 (2.0) 14.43 (17.9) 증감률(A/B) 43.1 (4.1) 2.8 (-2.1) 24.3 (5.0) 25.9 (0.4) -3.5 (-1.2) 증감률 (A/C) 444.4 (10.8) 26.1 (4.8) 87.5 (14.7) 21.4 (0.3) -3.8 (–2.4)

주: 괄호 안은 기말 재고율과 기말 재고율의 변동폭임.

자료: USDA, WASDE-541 MAY 2015.

(35)

곡물 선물 4월 동향과 5월 전망

임호상(삼성선물 리서치팀 책임연구위원)*3)

4월 곡물 선물 시장은 월초 미국의 옥수수 작부의향 면적 축소 기대로 일시적 가격 상승 흐름을 보였으나, 미국과 흑해 연안의 강우로 인한 겨울 소맥 작황 개선, 미국의 옥수수 기말 재고율 상향 수정 등의 요인들로 인해 하락 마감했다. 근월물 기준으로 옥수수가 전월말 대비 -4.4%, 대두가 -0.1%, 소맥이 -7.7%를 기록했다.

5월에는 시장외적인 요인들 가운데 단기적인 요인과 중장기적인 요인간의 시장 방향성이 차이가 나게 될 것으로 보인다. 단기적으로는 미국의 3월 비농업부문 고용자수 부진 영향 속 에 달러화 강세 흐름이 완화되며 곡물 가격 지지 요인을 제공할 전망이다.

반면 중장기적으로는 FOMC의 금리 인상이 9월에 단행될 가능성이 높아 달러화 강세 흐름 재연을 통해 미국산 곡물선물 가격에는 불리한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펀드멘탈 요인들은, 단기적인 요인으로는 최근 미국 재배지역의 강우량 증가 예보에 따른 소맥 작황 악화 우려, 그리고 옥수수 파종 지연 가능성 등이 단기 곡물 가격 지지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다만 곡물별 중장기 수급에 영향을 미칠 요인들이 달라 서로 다른 방향성을 보일 것으로 보여, 지난 달과 마찬가지로 곡물 가격의 레인지장 전개 가능성을 전제로, 여전히 적극적인 추격 매수 보다는 가격 하락 시 저가 매수 위주의 조심스런 접근이 필요하다.

1. 곡물선물 4월 동향: 달러화 흐름에 연동된 곡물 가격 움직임

표 1. 4월 주요 상품선물 최근월물 기준 가격 등락률 (4.30일 종가 기준)

품목 옥수수 대두 소맥 원당 원면 원유

전월말比(%) -4.4% -0.1% -7.7% +8.7% +6.7% +21.4%

전년말比(%) -11.3% -5.8% -20.7% -14.1% +9.0% +6.5%

참조

관련 문서

[r]

미국과 함께 세계 주요 곡물 생산국이자 수출국인 남미 또한 가뭄으로 몸살을 겪고 있으며, 러시아를 비롯한 유럽 남부 발칸반도와 흑해지역 국가들도 가뭄으로 인하여

23~26 에는 장마전선의 영향으로 전국적인 강수현상이 있 었으며,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많은 비가

중순 전반동안에는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아 대체로 맑은 날씨를 보였고 후반에는 찬 대륙고기압이 확 , 장하며 기온의 변동폭이 컸다. 17

5 일과 10 일에는 약한 기압골의 영향으로 지역에 따라 비가 조금 내렸다 중순에는 대륙고기압과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아 맑고 매우 건조한 날씨를

2 일에는 남 서쪽에서 다가온 기압골의 영향으로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강수현상이 있었고 , 6~7 일에는 북서쪽에서 다가 온 기압골의 영향으로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중순 전반에는 찬 대륙 고 기압의 영향을 받아 맑고 건조한 날이 많았으며, 후반에는 서고동저형 기압배치를 보여 한두 차례 눈이 내렸다.. 13일과 17일에는

체하면서 한기가 남하하여 평년보다 낮은 기온분포를 보였으며 서쪽 기압골의 영향으로 , 8 9 ~ 일에는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비가 왔다 중순 전반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