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 2주. 매스커뮤니케이션 모델 이해하기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제 2주. 매스커뮤니케이션 모델 이해하기"

Copied!
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제 2주. 매스커뮤니케이션 모델 이해하기

1. 매스커뮤니케이션의 첫 번째 모델 -전달모델

1) 전달 모델 (라스웰의 모델이 전형) - 공간 팽창적이며 제국주의적인 관점으로 비판받고 있음. 장점은 사회와 수용자를 연결시키는 커뮤니케이션 역할 수행

S M C R E 모델 - 커뮤니케이션이란 “정형화된 양의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으로 보는 시각이다.

이 모델은 뉴스나 광고 기능을 다루는데 유용함

(뉴스의 효과, 광고의 효과 측정 등)

매스미디어 기능 - 환경감시 활동, 상관조정 활동 (논평), 사회 유산 전수, 오락의 기능

2) 전달 모델에서 다룰 수 있는 문제들

(1) 기술문제 차원: 커뮤니케이션의 상징들이 얼마나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는가 - 메시지를 부호화하는 기술 (방송 기술, 영상을 통한 상징의 전달 문제 혹은 단순한 단어의 선택, 광고 제작 기술)

(2) 의미문제: 전달된 상징들이 원하는 의미를 얼마나 정확히 담을 수 있는가 (미국의 뉴스의 의미가 정확하게 소련인에게 전달 되었는가 하는 문제, 광고주가 원하는 의미가 수용자에게 정확히 전달되었는가 등)

(3) 효과문제: 수신된 의미가 송신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얼마나 과적으로 수신자의 행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 (수용자의 태도 변화 문제)

(2)

3) 전달 모델의 단점

(1) 단선적이다. 송신자/메시지/수신자.

(2) 메시지 교환의 수준에만 집중해서 여러 다른 요소를 복합적인 관계의 구조로 구조화 시켜 파악하고 있지 못함. 메시지의 생산, 순환, 배포, 소비, 재생산의 과정을 구조로 파악하지 못함.

2. 매스커뮤니케이션의 두 번째 모델

- 의례화된 (ritual) 혹은 표현적 모델: 공유의 관점 (의례화된 시각은 정보를 전달하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커뮤니케이션은 공유하는 믿음을 표출하는데 있다)

드라마. <해를 품은 달> - 남녀간의 진실한 사랑 등

1) 커뮤니케이션은 공유, 참여, 그리고 공동의 신념을 소유하는 용어와 관련이 있음

2) 의례화된 시각은 메시지를 공간에서 확장하는데 그치지 않고 시간이 지나면서 사회를 유지하는데 모아짐

3) 커뮤니케이션은 정보를 전달하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공유하는 믿음을 표출하는데 있음.

4) 대표적 모델:

발신자 - 메시지 - 수신자

(공연, 실행, performance) (코드) (만족/공유된 경험)

공유, 참여, 융화, 공동의 신념 유지

(3)

예) 예술, 드라마, 오락에서 상징의 사용

(한복은 백의민족인 한국인의 상징, 남북간의 공유 국기)

문화적인 가치나 전통에의 소구

음주문화, 대학의 선후배 문화 등은 의례화된 커뮤니케이션의 예이다.

* 이 관점에서는 언론이 대중에게 무엇을 공유하고 믿게 하느냐가 늘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됨

* 커뮤니케이션은 그 자체가 문화로 해석될 수 있음. 따라서 이 관점에서는 매스커뮤니케이션보다는 문화커뮤니케이션이 적절한 표현이 될 수 있음.

3. 매스커뮤니케이션의 세 번째 모델 - 주목(attention)모델

- 커뮤니케이션의 목표는 단순히 시각적으로나 청각적으로 관심을 끄는 것, 커뮤니케이션은 오직 현재에만 일어남. 수용자에게 주어진 시간은 한정적

전시(display)와 주목(attention-spectatorship)으로서의 커뮤니케이션

1) 미디어는 직접적인 경제 목적, 즉 수용자의 관심을 끄는 것을 목표로 함.

수용자의 관심을 광고주에게 파는 것

2) 커뮤니케이션을 전시 - 관심 모델로 봄: 수용자는 도피와 시간 보내기를 위해 매스미디어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관심을 끌어보려고 하는 것은 미디어의 목표이다. 미디어는 경제적 목표가 있다. 높은 시청률 목표

4. 매스커뮤니케이션의 네 번째 모델 - 수용모델

- 수용자들에 의해 의미의 형성이 어떻게 이루어지는를 살펴보는 것:

부호화 해독 모델

(4)

비판적 시각의 모델 (비판이론, 기호학, 담론 분석에 뿌리를 둠) 메시지에 의미를 부여하는 수용자의 힘을 고려

1) 커뮤니케이터는 메시지를 기호화하는데 이데올로기적이고 제도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고 언어와 미디어를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의도적, 비의도적이건 조작한다.

예) 가부장적 이데올로기를 포함한 드라마의 경우 (남편과 아내의 관계, 남성과 여성의 관계)

2) 수용자들은 메시지를 보내진 것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이데올로기적 영향에 저항한다.

(예: 가부장적 이데올로기 프로그램에 양성 평등 이데올로기를 소유한 여성 시청자들의 저항)

<부호화 - 해독 모델>

의미있는 담론으로서의 프로그램

기호화 ↘ 기호해독

↗ 의미구조 1 의미구조 2

지식의 틀 지식의 틀 생산관계 생산관계 기술적 하부구조 기술적 하부구조

(1) 기술적 하부구조- 방송 프로그램을 생산해 내기 위해서는 제작관행과 네트웍, 조직 관계, 그리고 기술적 하부구조를 갖춘 제도적 구조가 필수적임

(5)

(2) 생산관계는 - 예로서, 방송사의 노동자들 (카메라맨, 프로듀서)과 방송사의 소유주의 관계를 말한다. 생산관계의 성격에 따라 프로그램의 성격이 달라진다. 예, 상업방송의 경우 광고주와 프로듀서 의 관계 등

(3) 지식의 틀 - 방송 종사자들이 속해있는 사회, 문화적, 정치적 구조 내의 환경 등으로 부터 방송프로그램의 소재, 처리방법, 의제, 사건, 수용자의 이미지, ‘상황의 정의’ 등을 끌어온다.

예) 현실 혹은 실재는 (옷, 복장, 환경, 행동, 제스쳐 등) 방송에 의해 재현(representation)의 단계를 거친다.

카메라, 조명, 편집, 음악 등에 의해서 실재는 재현된다.

재현되는 과정에 이데올로기가 개입된다. 즉 사회적으로 어떤 것이 수락될 것인지 방송이 결정한다. 즉, 개인주의, 가부장주의, 인종주의, 자본주의, 과학주의 등이 방송프로그램에 이념적인 코드로 사용된다.

참고문헌: 양승찬 외 (역). 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 (제 4판). 나남 출판사.

제 1부, 제 1장. 초기 이론들, 제 2장. 매스미디어의 기원 제 3장. 개념과 모델들

참조

관련 문서

한편, 시간 측정 담당자도 총소리를 듣고 시간을 측정하기 시작하면 오차 가 발생하므로, 총이 발사되는 순간(연기)을 잘 포착하여 시계를 작동시켜 야 한다.. 물질의 구조나

[r]

네트워크 계층은 페이로드로 받아 헤더를 추가하여 데이터그램 또는 패킷이라는 네트워크 계층 패킷으로 만들어 링크 계층에 전달. 링크 계층은 페이로드로 받아

시산표와 복식부기의

• Knowing the distance to the mirror, the number of teeth on the wheel, and the rate of rotation, Fizeau was able to calculate the speed of light as 313,000,000

공동체 의식의 유지임. 건강하지 않은 자의 반복된 이용으로 보험료를 인상할 경우 건강한 가입자 의 부담이 가중되고 공동체의식에 회의를 가지게 될 수도 있음. 본인부담금제도는

• 생명윤리의 문제는 인간의 존엄성과 사회적 효용 성이 서로 갈등을

C 언어 포인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