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물류의 기초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물류의 기초"

Copied!
10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물류의 기초

1. 정의

- 물(物)의 흐름(流)을 뜻하며, 물품의 흐름에 관한 경제활동으로서 생산된 제품을 소비자에게 이동시키는 과정과 관련한 운송, 보관, 하역, 포장 및 정보활동을 통칭함

(1) 미국

- 미국 마케팅협회(1948, AMA :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 생산 단계에서 소비에 이르기까지 정보를 포함한 제품의 이동 및 취급을 관리 하는 것. 즉, 제품 및 서비스가 최초 생산자부터 최종 소비자에 이르기까지 물리적인 흐름과 관련한 활동

- 국가물류관리협의회(1960, NCPDM : National Council of Physical Distribution Management) : 완제품을 생산라인의 종점에서 소비자에게 효과적으로 이동시키는 것

- 로지스틱스관리협의회(1985, NCLM : National Council of Logistics Management) : 원자재 조달에서 생산 과정을 거쳐 완제품이 최종 소비 지점에 이르기까지의 활동

- 결국 미국에서는 주로 개별기업의 마케팅 관점에서 물류를 마케팅 분야의 하부활동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판매물류에 중점을 둔 Physical Distribution에서 추후 원자재 조달까지 포함하는 Logistics 개념으로 확대

(2) 일본

- 1956년 미국에 파견된 일본 생산성본부가 물류를 “유통기술”이라는 용어로 도입

- 1961년 유통기술이라는 용어를 Physical Distribution의 앞글자를 따서 PD로 명명하다가 추후 “물적유통”에서 “물류”로 개칭

- 산업구조심의회 : 유․무형의 물리적인 제품 공급업자로부터 수요자에 이르는 실물적인 흐름이며, 구체적으로 수송, 보관, 하역, 포장 및 정보 등으로 이루어진 제반활동

- 통계심의회 : 물리적 및 사회적인 물(物)의 흐름에 관한 경제활동으로 물자유통과 정보유통이 포함

(2)

* 한국에서는 1980년대 “유통근대화촉진법(현재 유통산업발전법)”이 제정되고, 1990년대 이후 항만, 공항 등 인프라의 정비와 복합물류터미널 및 종합물류 단지 조성과 공동물류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물류 관심 급증

* 물류의 발전과정 : Physical Distribution → Logistics → SCM

2. 물류의 목적

- 물류는 제품의 시간적, 공간적 차이를 극복하는 수단으로 저비용으로 고객을 만족시키는 서비스 제공

- 물류합리화, 효율화, 최적화를 통해 기업의 물류비를 낮추고 판매 증대를 통한 기업의 수익 증대

- 다품종 소량생산과 다빈도 소량배송의 환경 하에서 물류합리화를 통해 새로운 이윤 창출(제3의 이윤원)

3. 물류의 원칙

- 3S 1L : Speedy, Low, Safely, Surely를 통한 고객서비스 증진

- 7R : Right Commodity, Right Quality, Right Quantity, Right Time, Right Place, Right Impression, Right Price

* 5S : Service, Speed, Space Saving, Stock Minimum, Scale Optimization

4. 물류의 하부구조(활동)

- 운송(수배송) 활동: 운송수단에 의한 화물의 장소적 이동을 말하며, 물류 비용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

- 보관 활동 : 화물을 물리적으로 보존하는 것으로 생산과 소비의 기간적 차이를 극복하며, 최근에는 물류센터(창고)에서 고객서비스 기능까지 포함.

보관시설을 제공하는 활동과 설비를 이용하는 활동

- 하역 활동 : 운송과 보관 사이의 활동으로 상하차, 이동, 분류, 피킹까지 포함

- 포장 활동 : 생산의 마지막이자 완제품 운송의 출발로서 포장방법에 따라 운송 및 보관에 영향을 미치므로 물류비 절감의 수단

- 정보 활동 : 무형의 자료를 대상으로 하며, 운송, 보관, 하역, 포장 전반에 걸쳐 존재

* 유통가공 활동 : 원자재에 부가가치를 더하여 제품을 만들거나, 고객의 요 구에 맞도록 물류센터에서 화물의 재포장 작업, 라벨부착 작업 등이 포함

(3)

5. 물류의 영역

- 조달물류 : 필요한 (원)자재가 공급업자에서 출발하여 구매업자의 보관 창고에 입고되는 범위의 물류

- 생산물류 : 자재 창고에서 생산과정을 거쳐 완제품 창고에 입고될 때까지의 모든 활동을 지칭

- 판매물류 : 완제품 창고에서부터 소비자에게 전달될 때까지의 모든 활동을 포함

- 리버스물류

a) 반품 또는 회수물류 : 판매한 제품의 결함이나 상이로 인해 반품되는 활동과 재활용(빈병, 종이) 또는 리콜(전자제품, 자동차) 등의 활동을 말함

b) 폐기물류 : 수명을 다한 제품을 거두어 소각, 매립 등 폐기하는 활동

6. 물류의 기능

- 장소적 기능 : 운송 - 시간적 기능 : 보관

- 수량적 기능 : 포장, 집하 및 배송 - 품질적 기능 : 포장, 유통가공 - 인격적 기능 : 운송, 포장

7. 물류의 관심사

- 물류 아웃소싱 : 물류를 직접 수행하지 않고 전문물류업자(제3자 물류 또는 제4자 물류)를 활용

- SCM(Supply Chain Management) : 현대는 기업간 경쟁이 아닌 channel (또는 network)간 경쟁이므로 중요성 부각

- e-Logistics : 인터넷 기반의 정보 전달을 하기 위한 정보시스템 구축 - Green Logistics : 환경친화적 물류활동 지향

※ 상류․물류의 분리 원칙

- 상류 : 소유권 흐름, 대금지급 흐름, 정보 흐름, 촉진활동 흐름 - 물류 : 화물의 흐름

- 경영합리화를 위해서는 상물 분리의 원칙이 적용

(4)

물류 표준화 및 공동화

1. 물류 표준화

(1) 개념

- 물류를 시스템화하기 위해 단순화(simplification), 규격화(standardization), 전문화(specialization)를 통해 물류활동에 있어 공통의 합리적인 기준을 부여하고 활동함으로써 물류 전체의 이익과 효율성을 높이는 작업

- 운반성, 편의성, 사용성, 판매성, 안전성에 근거하여 표준화하여야 하며, 화물의 수량, 크기, 길이, 무게, 품질 및 서비스 등을 고려하여 수행

F 결국 물류비 감소 및 효율성 제고를 위하여 물류 표준화가 선행되어야 하며, 국제물류에 대비하여 국제표준화(ISO)도 고려해야 함

(2) 필요성

- 물동량 증가에 비해 노동력 부족으로 인한 노동비 증가하므로 이를 보완 하기 위해 물류 기계화 및 자동화가 필요

- 운송, 보관, 포장, 하역, 정보의 일관처리를 통한 효율성 제고 필요 - 물류기기 및 시설에 대한 국제표준화 대비

(3) 대상

- 운송 : 트럭, 화차, 선박, 항공기 등의 적재함과 팔레트 및 컨테이너 - 보관 : 창고 및 물류센터의 보관 랙(rack)과 설비

- 포장 : 운송용 외포장의 치수를 통일하여 포장공정의 단순화 및 규격화 - 하역 : 파렛트 및 컨테이너를 다루는 물류기기(화차, 지게차(folk lift),

크레인, 컨베이어 등)의 규격화

- 정보 : 사용하는 물류시스템(EDI, POS, RFID)

- 기반시설 : 도로, 철도, 항만, 공항, 각종 터미널 시설

F 운송장비, 보관시설, 하역기기 등 하드웨어 부문의 표준화와 포장단위, 정보시스템 등 소프트웨어의 표준화를 통해 유닛로드시스템 구축

F 설비 및 장비의 상호 이용이 가능하므로 추후 물류 공동화가 용이

(5)

(4) 내용

- 하드웨어 부문

a) 파렛트 : 파렛트는 컨테이너와 함께 유닛로드시스템을 구축하는 수단 으로 우리나라는 1,100mm x 1,100mm가 표준 파렛트

b) 컨테이너 : 세계적으로 TEU(Twenty foot Equivalent Unit)와 FEU(Forty foot Equivalent Unit)가 사용

c) 운반, 하역기기 : 지게차가 대표적으로 차체의 폭, 포크의 크기, 작업 시야 범위, 작업회전 반경, 인양높이 등

d) 트럭적재함 : 도로운송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적재함의 크기 규격화 e) 물류시설 : 창고(물류센터)의 랙의 표준화와 자동창고 시설 규격화 - 소프트웨어

a) 물류용어 : 표준물류용어 사용

b) 포장치수 : 골판지 상자 가로, 세로, 높이 규격화 및 포대, 백(bag), 캔 (can), 드럼(drum) 규격화

c) 거래단위 : 동종물품의 크기, 중량, 수량 등 거래단위를 표준화하여 물류활동의 낭비요소 제거 → 상류활동까지 효율성 제고

d) 물류정보 : EDI 또는 인터넷기반의 주문, 생산, 판매를 함으로써 사무 처리 및 물류활동 효율화

2. 파렛트(pallet)

(1) 개념

- 운송과 보관에 있어서 운반 및 하역작업을 합리화하기 위한 화물적재판 - 작업 자체를 표준화함으로써 운송, 적재, 보관 효율을 높이고 화물 파손

및 비용을 감소시키는 수단

- 실제적인 물류 표준화의 출발점으로 유닛로드시스템 구축의 첨병

(2) 종류

- 재질에 의한 분류

a) 목재 : 저가격, 사용 편리, 경량, 보수 용이, 미끄럼 현상 적으며 가장 많이 사용

b) 합판재 : 일반목재보다 내구성 우수

c) 철재 : 강도 및 내구성 우수, 중량, 미끄럽고 보수 어려움 d) 알루미늄 : 경량에 가공성이 좋으나 고가격

(6)

e) 종이 : 압축한 종이로 제작하여 1회용으로 사용. 습도에 약함

f) 플라스틱 : 비교적 저가, 경량, 외관, 위생, 내구성, 습도에 우수하나 온도에 민감하고 폐기시 공해 유발

tip.) 목재 파렛트(목재 포장재도 포함)는 수출입시 병충해를 옮길 수 있으 므로 열처리나 훈증 처리(메틸브로마이드) 마크가 있어야 하며, 가공 된 목재의 경우는 예외(2005년 국제식물보호협약 사무국에서 제정) - 형태에 의한 분류

a) 적재판 사용면 : 단면형, 양면형

b) 차입 방향 수 : 2방향 차입형, 4방향 차입형

c) 그 외에 박스형, 롤형, 롤 박스형, 사일로형, 탱크형, 기둥형 파렛트 등

(3) 규격

- 원활한 국가간 물류활동을 위해 ISO 파렛트기술위원회에서 일관운송용 국제표준 파렛트 규격 제정

- ISO는 2003년 독일 도르트문트에서 개최된 회의에서 6종류의 국제표준 파렛트 채택

(단위 : mm)

정사각형 직사각형

- 1,100 x 1,100(아시아·태평양 표준) - 1,140 x 1,140(호주 표준)

- 1,067 x 1,067

- 1,219 x 1,016(미국 표준) - 1,200 x 800(유럽 표준)

- 1,200 x 1,000(독일·네덜란드 표준) - 우리나라 표준 파렛트는 T-11형(1,100 x 1,100)으로 2003년 국제표준

규격으로 확정되었고, 국제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규격은 T-12형 (1,200 x 1,000)

※ 주 사용 국가

- T-12형(1,200 x 1,000) : 미주대륙, 영국, 네덜란드, 독일, 중국, 홍콩, 대만, 싱가포르,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뉴질랜드, 남부 아프리카 등

- T-11형(1,100 x 1,100) : 한국, 일본

- 1,200 x 800 : EU(영국, 네덜란드, 독일 제외)

(7)

※ 참고 자료(한국파렛트풀(주)(www.kpp.logisall.com)에서 발췌 인용)

재질 : 플라스틱 형태 : 4방향 차입 양면형 하중 : 1톤

재질 : 목재

형태 : 2방향 차입 양면형 하중 : 1.5톤

재질 : 철재

형태 : 2방향 차입 단면형 하중 : 3톤

3. 일관 파렛트화(palletization)

(1) 개념

- 복수 단위의 화물을 파렛트 한 단위로 전환하여 화물의 취급빈도와 운반 또는 하역장비를 이용하여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물류작업의 효율성 증진 - 송하주로부터 수하주까지 운송, 하역, 보관 등 적재된 화물의 형태를 변형

시키지 않고 일관되게 운반하여 물류 전체적인 효율 증대 - 스웨덴에서 처음으로 시작

(8)

(2) 전제조건

- 물류 모듈체계 확립 : 포장치수 표준화 및 모듈화

tip 1.) 모듈화는 화물의 적재단위 및 기기나 설비의 치수와 사양에 관한 기준 척도. T-11형 표준치수를 정수로 분할하여 산정. 포장모듈치수 (분할모듈)는 이들의 조합(4분할 : 650과 450, 6분할 550과 366, 8분할 : 450과 325)

tip 2.) NULS(Net Unit Load Size)와 T-11형 치수의 40mm 가감한 가로, 세로 최대 1,140mm을 인정하는 PVS(Plan View Size)가 있으며, 이는 물류설비(랙과 컨베이어는 1,140mm), 컨테이너(2,330mm), 트럭 적재함(2,340mm)의 치수의 근간(배수모듈)

- 표준 파렛트 채택 - 운송 중 적재형태 유지

tip) 파렛트 위에 쌓는 방식(블록형, 교호열, 핀휠, 벽돌, 스필릿 방식 등) 이나 추가 포장(띠 두르기 또는 필름 포장)

- 출하방식 및 출하단위 조정 - 관련업체간 이해관계 협의

(3) 효용

- 장점 : 화물 단위화에 따른 포장 간소화 및 포장비 절약, 화물 파손 방지, 검수 용이, 적재공간 절약, 작업의 표준화 및 기계화 용이, 작업능률 및 운송 효율 증대, 인력 절감 등

- 단점 : 넓은 작업공간 및 통로 필요, 설비비 지출, 파렛트 관리 복잡 등

(4) 유닛로드시스템(ULS : Unit Load System)

- 화물을 일정 중량이나 크기로 단위화(파렛트 및 컨테이너), 하역작업의 기계화를 통해 물류활동을 표준화시키는 것

- 전제 조건 : 거래단위 표준화, 포장단위 치수 표준화, 파렛트 표준화, 운송 수단 적재함 표준화, 운반하역장비 표준화, 창고(물류센터) 표준화

- 효과 : 표준화된 작업을 수행하게 되므로 적재효율 향상과 화물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인건비 및 포장비가 절감되고 물류의 신속성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시간 절약

(9)

※ 사례

a) 파렛트 활용 : 1940년대 미국에서 작업장 내 운반합리화를 목적으로 지게차를 활용하여 파렛트 로드 상태로 일관하여 운송하는 단계로 발전.

일관 파렛트화로 인해 포장비 및 화물파손 감소

b) 컨테이너 활용 : 1920년대 미국 철도회사들이 컨테이너를 활용하였으며, 1956년 미국 Sea Land사가 컨테이너에 로드한 상태의 화물을 연안운송 시작.

현재는 트럭, 화차, 해상, 항공을 아우르는 일관운송 형태로 발전

4. 파렛트풀시스템(PPS : Pallet Pool System)

(1) 개념

- 파렛트는 공장, 운송, 창고, 터미널, 거래처 등지에 모두 있어야 하므로 화물의 실제 생산 및 이동량보다 많아야 하며, 특히 파렛트 사용 성수기에 맞추어 이를 제작하거나 구입해야 하므로 비용 과다 소요

- 외부로 유출된 파렛트를 회수하는 관리작업과 비용이 소요되며, 파렛트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인력과 경비 소요

F 파렛트의 규격을 표준화하고 공동사용, 상호교환함으로써 물류효율을 향상 시키는 것이 PPS → 한국파렛트풀(주)(www.kpplogisall.com)가 주도적 역할

(2) 필요성

- 일관 파렛트화 및 유닛로드시스템을 실현시키는 수단 - 지역간 수급 불균형 해소

- 계절적 수요에 융통성 부여 - 효율적인 파렛트 회수 대행

- 기업 비용 절감(파렛트 제작, 구입, 관리, 분실 위험 등)

(3) 형태

- 교환방식 : 송하주가 화물 적재된 파렛트를 철도역에 운송하면 동수의 빈 파렛트를 즉시 교환해주며, 수하주는 적재 파렛트를 수취하면서 빈 파렛트를 전달

- 렌탈방식 : 파렛트풀 회사에서 일정규격의 파렛트를 필요시점과 장소로 공급 해주고 회수

- KPP는 일관수송용 파렛트풀시스템과 구내용 파렛트풀시스템 운영

(10)

(4) 아시아 파렛트풀시스템(APP)

- 개요 : 국제무역에서 국제물류 수행을 위해 파렛트를 구입하고 운송함에 있어 파렛트 편중현상과 회수비용의 과다를 해소하기 위해 한국, 일본, 중국 (상해, 청도, 천진 등을 포함한 7개 지역), 대만, 싱가포르, 태국, 필리핀이 공동으로 T-11형 파렛트를 렌탈하는 방식

- 운영 : 수출입시 일회용 파렛트를 사용하지 않고 APP 제휴사의 파렛트를 렌탈하여 사용 후 해당국 제휴사에 반납

- 장점 : APP시스템을 통한 일관운송시스템 실현 및 비용 절감, 플라스틱 T-11형 사용으로 환경친화적(일회용 파렛트 사용 후 폐기에 비해서), 훈증처리 불필요(절차 간소화), 기업의 물류관리 효율화 및 경쟁력 향상

※ 참고 : 10cm의 차이(국토해양부 보도자료(2009.3.12.) 발췌 인용)

- T-12형을 사용하면 컨테이너나 적재함 적재효율 향상(표준 파렛트 복수화)

(11)

5. 물류 공동화

(1) 개념

- 2개 기업 이상이 물류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운송, 보관, 포장, 하역, 정보 활동을 공동으로 수행

- 운송(수·배송) 공동화, 보관(물류센터) 공동화, 정보 공동화가 가장 활발 Tip) 수송은 대량의 화물을 물류센터(거점)이나 대량고객에게 이동시키는

것이고, 배송은 물류센터에서 다수의 고객에게 이동시키는 것 - 물류효율을 높이고 비용절감 효과 달성

(2) 필요성

- 내부적 : 독자적 물류시스템 구축에 과다 비용 소요

- 외부적 : 소량 다빈도 배송 환경에서 저비용으로 고객만족도 증진에 필수 - 국가적 : 중복투자 및 과당경쟁 방지, 사회적 자원의 효율적 활용

(3) 전제조건

- 공동의 목적을 지닌 2개 기업 이상 존재

- 운송공동화는 참여기업의 수·배송 조건 및 제품의 유사성 - 보관공동화는 보관특성의 유사성과 공동물류센터 활용가능성 - 정보공동화는 데이터 형태 및 처리방식의 유사성

- 공동화를 주도하거나 운영하는 기업 필요 - 공동규칙 제정 및 준수

(4) 형태

- 추진 주체별 : 화주가 직접 수행, 자회사를 통하여 수행, 공동물류회사(협 동조합 포함)를 설립하여 수행, 제3자 물류업체를 활용하여 수행

- 기능별 : 운송 공동화, 보관 공동화, 정보 공동화

(5) 위험요인

- 기업의 기밀 유출 위험

- 독특한 서비스 제공의 한계와 서비스 질 저하 - 물류센터에서의 출하 순서 및 화물 배송 순서 상충 - 책임소재 불분명 및 이윤배분의 충돌

(12)

물류와 고객서비스 및 마케팅

1. 고객서비스의 의의

- 물류를 관리하는 목적은 고객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제품을 신속, 안전, 정확하게 그리고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것

F 마케팅의 목표는 고객만족, 물류관리의 목표는 고객서비스

- 고객서비스를 증대시키면 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에 기업경영전략에 따라 결정된 고객서비스 수준과 합리적인 비용을 고려해야 함

- 고객서비스는 고객의 요구수준에 부합하는 물류관리활동의 산출물로서 기업이 고객에게 제공하는 제품 또는 서비스의 부가가치 전달과정(유통 경로에 해당)

- 고객서비스 수준을 통하여 타 기업과의 차별화가 가능하고 기존 고객 유지, 새로운 고객 유치, 수익성 제고 가능

2. 고객서비스의 정의

- 제품의 시간적, 공간적 효용을 창출하는 물류활동의 결과물 - 제품의 유통경로를 통한 부가가치 전달과정

- 고객만족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지칭하므로 마케팅의 목표와 물류관리의 연결고리 역할

- 차별화를 통한 기업 경쟁우위 창출의 필수 요소

3. 고객서비스의 구성

- 경영 및 기술 서비스 : 경영지도 서비스, 자금지원 서비스, 기술지원 서비 스, 정보 서비스, 기업 시스템화에 의한 서비스 등

- 마케팅 서비스 : 제품전략, 가격전략, 유통전략, 촉진전략을 통하여 적정 제품, 타당한 가격, 애프터서비스, 마케팅시스템 서비스 등의 제공 행위 - 물류 서비스 : 마케팅의 4P중 유통전략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납품율,

납기율, 반품율, 품질불량률, 재고서비스율 및 물류시스템 서비스 등 F Physical Distribution을 포함하여 5P로 지칭

4. 물류 서비스의 정의

- 주문접수, 처리, 배송, 고객과의 의사소통 등 고객에게 제품을 전달하기 위한 모든 활동

(13)

- 3S 1L 및 7R에 의거한 적절하고 정확한 배송

- 제품이나 서비스의 이동과정에서 생성되는 부가가치 총합이 고객서비스를 좌우하며 고객을 만족시키는 중요한 역할 담당

F 앞으로는 물류 서비스와 물류 고객서비스를 동일한 의미로 취급

5. 물류 고객서비스의 구성 요소

(1) 거래 전 요소

- 명문화된 서비스 정책문 및 배부 - 고객서비스 조직구조

- 시스템의 유연성

- 경영관리 및 기술 서비스

(2) 거래 중 요소

- 주문 용이성 및 주문정보 입수 가능성 - 긴급 출하 및 배달의 신뢰성

- 제품 및 재고가용률

- 리드타임(Lead Time)과 구성요소 - 제품교환 및 제품대체

(3) 거래 후 요소

- 설치, 보증, 교환, 수리, 서비스부품 - 납품 후 애프터서비스

- 클레임 처리 절차 - 수리 중인 제품 대체

6. 물류 고객서비스 수준 결정

- 서비스와 비용은 trade-off 관계이며, 일반적으로 고객서비스 수준은 매출액 에서 물류비용을 제외한 이익이 최대가 되는 부분에서 결정

- 그러나 물류비용 절감을 통한 이윤획득을 고객서비스의 목표로 착각해서는 안 됨. 물류비용은 고객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척도일 뿐이며, 기업의 이익증대를 최우선으로 생각하면 고객만족이 저감됨

- 따라서 고객서비스를 제고하면서도 감수할 수 있는 적정 한도 내에서의 물류비용 지출이 필요

(14)

- 기업의 전략에 따라 고객서비스 수준이 결정될 수도 있으며, 최대의 고객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효율적인 물류시스템(주문처리, 포장, 리드타임 단축, 클레임 처리 등) 구축이 중요

7. 물류와 마케팅

(1) 마케팅의 정의

- 미국 마케팅협회(1985, AMA :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 조직의 목표 달성을 위한 교환을 창출하기 위해 아이디어나 제품 및 서비스의 고안, 가격결정, 촉진, 유통 등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과정

(2) 마케팅 전략 - 내용

a) 목표 설정 : 시장에서 계획된 기간 내에 기업이 달성하려는 질적 및 양적 내용

b) STP 전략 : 세분화(Segmentation), 표적시장 선정(Tarketing), 포지셔닝 (Positioning)

c) 마케팅 믹스 전략 : 제품전략, 가격전략, 유통전략, 촉진전략을 통합한 시장진입전략 및 지속적 경쟁우위 창출과 유지를 목적으로 하는 경쟁 전략

- 수립 절차

a) 외부환경 분석 : 고객분석, 경쟁분석, 산업분석, 환경분석으로 구성되며 기업의 기회 및 위협요인 파악

b) 내부환경 분석 : 성과분석, 원가분석, 조직분석, 전략분석을 통하여 기업의 강점 및 약점 파악

c) STP 전략 수행

d) 전략대안 수립 : 경쟁전략 대안을 마련하고 최종 전략 선정 e) 실행

f) 평가 및 feedback

v 물류와 고객서비스 및 마케팅의 관계

- 미국에서는 물류를 마케팅의 하부활동, 즉 제품을 유통시키는 실제적 활동 정도로 치부하였으나, 고객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고객서비스 증진이 필요하고 이를 만족시켜주는 것이 물류

(15)

- 어떠한 물류활동을 수행하는가에 따라 제품전략, 가격전략, 유통전략, 촉진전략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현재는 마케팅 포괄하는 광범위한 개념 으로 발전

- 따라서 물류와 마케팅은 상호간 밀접한 보완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현대의 치열한 시장 경쟁 하에서 기업의 제3의 이윤원으로서 물류가 더욱 각광을 받고 있음

※ 참고사항 : 마케팅에서의 유통

1. 유통의 정의

- 물류 분야에서의 유통은 물적유통(물류)과 상적유통(상류)으로 구분

- 전통적인 마케팅 분야에서의 유통(Distribution)은 제품과 서비스를 고객에게 이전시키는 물리적, 관계적, 사회적 경제활동으로 인식

- 따라서 물류는 유통을 위한 하나의 물리적 기능으로 간주하고 있으며, 주로 유통은 유통기관의 형태, 속성, 경로 및 기관간 또는 소비자와의 관계 등과 관련한 분야로 발전

2. 유통경로

- 정의 : 제품이 생산자로부터 소비자에게 이동하는 통로 또는 망과 같은 메카니즘

- 유형

a) 직접유통경로 : 제품이 생산자에서 소비자로 직접 이동하므로 중간 유통기관이 없음. 유통경로가 짧으며 유통비 절감. 수급의 불균형에 따른 완충기능이 없음. ex.) 직판, 통신판매 등

b) 간접유통경로 : 유통기관이 개입하여 수집과 배분이라는 중계역할 수행.

유통경로가 상대적으로 길며 유통비용 발생. 수급에 따른 거리적, 시간적, 장소적, 경제적 효용 창출. ex.) 도매상, 소매상, 백화점, 양판점, 할인점 등

- 경로시스템

a) 전통적 경로시스템 : 독립적인 유통기관들이 연결되어 있으며, 제조업체

→ 도매상 → 소매상 → 소비자로 구성

b) 수직적 경로시스템 : 본부에서 통제하는 계열화 방식의 경로시스템으로 제조업체 중심의 전방통합(forward integration)과 도·소매상 중심의 후방통합(backward integration)으로 구분

(16)

3. 유통기관

(1) 도매상(Wholesaler, Wholesale Dealer or Merchant)

- 재판매 또는 사업을 목적으로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자에게 판매 하는데 관련한 모든 활동을 수행하는 상인

- 소매상에게 제품을 공급하므로 소매상을 제외한 모든 형태의 상인

(2) 소매상(Retailer)

- 정의 : 최종 소비자에게 제품과 서비스를 판매하는 상인 - 기능

a) 소매단위 판매 활동(구색, 진열, 장소 및 편의 제공) 및 배송활동 b) 상품정보 제공 활동

c) 신용공여 활동 - 유형

a) 잡화점(General Store) : 생필품 및 식료품을 판매하는 전통적인 소규모 소매상

b) 백화점(Department Store) : 전통적인 대규모 소매상으로 선매품 (shopping goods)을 중심으로 편의품(convenience goods), 전문품 (specialty goods)을 소비자에게 직접 현금이나 신용카드로 판매 c) 연쇄점(Chain Store) : 중앙의 본부(또는 본사)가 강력한 통제권을

가지고 일괄적으로 제품을 공급하여 규모의 경제 효과를 노리는 대규모 소매상 집단. 회사형 연쇄점(Corporate Chain)과 가맹점형 연쇄점 (Voluntary Chain와 Franchise Chain로 구분)

d) 수퍼마켓(Supermarket) : 판매회전이 높은 저렴한 가격대의 생필품을 취급하는 소매상(미국에서는 연간 매출액 100만 달러 이상의 주차장을 갖춘 종합식품 소매상)

e) 전문점(Specialty Store) : 단일품종 또는 한정된 제품만을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소매상

f) 편의점(Convenience Store) : 주거지역 주변에 위치하여 판매회전율이 높은 일용품을 취급하는 소매상

g) 양판점(Mass Supermarket) : 백화점보다는 취급 상품 수를 줄이고 본부에서 일괄적으로 제품을 매입하여 대량으로 제품을 파는 소매상 h) 할인점(Discount Store) : 정기적으로 가격을 할인하여 낮은 마진율에도

높은 판매율을 노리는(박리다매형) 소매상. ex.) 회원제 창고형 할인점

(17)

i) 하이퍼마켓(Hyper Market) : 수퍼마켓과 할인점을 결합하여 수퍼마켓을 초대형화한 소매상으로 제품 구색과 가격 면에서 수퍼마켓보다 우수하고 교외의 대형주차장을 보유

j) 아웃렛(Outlet) : 일종의 할인점으로 재고품, 이월제품, 하자제품 등을 대폭 할인하여 판매하는 소매상

k) 카테고리 킬러(Categary Killer) : 특정 제품만을 취급하는 일종의 전문품 할인점 또는 전문양판점

(18)

물류정보시스템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F 자료(data) → 정보(information) → 지식(knowledge)

F 시스템 : 하나의 구역 또는 기능 단위로 이루어진 여러 개의 독립된 구성 인자가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호간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상 호작용하는 집합체

1. 정보시스템

- 정의 : IT를 활용하여 자료를 처리하고 이를 정보화하여 조직의 목표달성에 이바지하는 시스템

- 구성요소

a) 환경 : 시스템에 속하지 않는 다양한 주변 요소로서 시스템에 영향을 주거나 시스템에 의해 변화

b) 투입 : 자료의 입력

c) 처리 : 자료를 유용한 정보로 변환하는 과정 d) 산출 : 사용자에게 필요한 형태의 정보로 출력 e) 접속 : 시스템에 또는 시스템간 연결점

- 특성

a) 인간과 컴퓨터를 연결하는 결합체

b) 자료를 목표하는 바대로 처리하여 의사결정을 지원 c) 다양한 하부시스템으로 구성

F 종류로는 운영관리시스템, 경영정보시스템, 의사결정지원시스템, 전문가 시스템

F 물류에서는 주문처리시스템(Ordering System), 재고관리시스템(Inventory Management System), 창고관리시스템(Warehouse Management System), 출고관리시스템(Digital Picking System), 판매시점관리시스템 (Point of Sales System), 수·배송시스템(Transport Management System) 등의 하부시스템으로 분류

2. 물류정보시스템

(1) 물류정보

- 운송, 보관, 하역, 포장 및 유통가공 과정에서 생성되는 모든 종류의 정보

(19)

- 특징 : 다양한 내용의 정보가 다양한 장소에서 생성, 성수기와 비수기의 정보량 편차 존재, 제품의 흐름과 일치성 필요

- 종류 : 화주 정보, 화물 정보, 운송 정보, 보관 정보, 포장 정보, 하역 정보

(2) 물류정보시스템 - 정의

a) 물류활동을 구성하는 운송, 보관, 하역, 포장 등의 전체 물류기능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효율적인 물류관리를 수행하게 해주는 정보시스템 b) 물류자료를 수집, 저장, 가공, 유통할 수 있게 해주는 컴퓨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업무 프로세스 및 사람들의 집합체

c) 물류와 관련한 주체들이 생성하는 정보를 수집, 처리, 공급, 관리하여 물류활동의 효율성, 경제성, 안전성을 높이는 수단

- 특징

a) 격자지간의 시스템 : 원거리에 위치한 발주자와 수주자 또는 발하주와 수하주의 정보를 연결

b) 다수 주체간의 시스템 : 본·지점, 공장, 창고, 유통기관, 그 외의 관련 기관과의 정보 이동

c) 대량정보 처리 및 유연한 시스템 : 주문, 분류, 피킹, 수·배송 등 대량의 정보를 처리해야 하며, 계절적 변동요인 및 긴급주문 수용

d) 지능형 처리시스템 : 자동 발주, 자동화된 물류기기와 연동하여 작업 수행 및 의사결정 지원

e) 사전처리형 시스템 : 수주 정보, 재고 정보, 여신 정보 등을 파악하여 원활한 업무 수행을 사전에 준비

f) 서비스 수준형 시스템 : 비용과 서비스를 고려하여 적절한 수준을 설정 하여 운영

- 기능 : 기획 기능, 조정 및 통제 기능, 커뮤니케이션 기능, 고객서비스 기능

3. 물류정보시스템 기반 및 기술(수단)

(1) 기반

-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 전자문서교환) : paperless 교환을 통해 비용 절감, 시간 단축, 오류 감소, 업무량 감소, 고객서비스 향상

- VAN(Value Added Network : 부가가치통신망) : 정보통신사업자를 매개로 하여 자료를 교환하고 부가가치를 발생시켜 정보를 생성. 초기 EDI를 수행

(20)

하던 Closed Network

- LAN(Local Area Network : 근거리통신망) : 특정기관 내에 설치된 컴퓨터를 통하여 자료 및 정보를 공유하는 Closed Network 고속통신망

- ISDN(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 종합정보통신망) : 모든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전환하고 하나의 라인으로 3대의 장비(컴퓨터, 전화, 팩스) 를 연결할 수 있는 차세대 기간통신망

- KT-Net(Korea Trade Network : 한국무역정보통신) : 전자무역기반사업자 로서 우리나라 최초의 무역자동화시스템을 구축하여 무역 관련 기관과의 연계를 통한 one stop service 제공. Internet 기반의 Open Network

- KL-Net(Korea Logistics Network : 한국물류정보통신) : 우리나라 물류업무 전 부문의 정보화를 담당하여 EDI를 수행하는 정보통신기업으로 국내화물 및 수출·입 화물의 정보흐름과 관련 기관과의 연계를 통한 one stop service 제공. 역시 Internet 기반의 Open Network

(2) 기술(수단) - 바코드(Barcode)

a) 정의 : 두께가 다른 흰 막대와 검은 막대의 조합을 통해 부호화하여 자료를 담은 형상

b) 연혁

Ÿ 1973년 북미지역 코드관리기관인 UCC(Uniform Code Council)이 국제표준코드로 12자리 상품식별코드(UPC : Universal Product Code) 를 채택하여 보급

Ÿ 1977년 유럽코드관리기관인 EAN(European Article Numbering Association)이 UCC를 보완하여 13자리를 상품식별코드로 채택

Ÿ 2005년 EAN과 UCC가 국제표준상품코드관리기구인 GS1(Global Standard No. 1)로 통합하고 GS1-13(표준형)을 국제표준으로 채택.

우리나라는 대한상공회의소 유통물류진흥원(GS1 Korea)가 코드관리 담당

tip) GS1-128 : 박스, 파렛트, 컨테이너 등과 같은 단위에 제조업체, 물류업체, 유통업체 등에서 필요한 다양한 자료를 담기위해 설계된 국제물류코드

c) 체계

Ÿ 국가 코드 : 맨 앞의 3자리(우리나라 국가코드는 880) Ÿ 제조업체 코드 : 중간 6자리

(21)

Ÿ 상품품목 코드 : 중간 3자리로 총 1,000개의 품목 코드 부여 Ÿ 체크디짓 : 맨 마지막 1자리로 스캐너의 판독오류 방지 목적

d) 장·단점 : 간단한 표시로 자료를 포함하고 수집 및 판독 용이. but, 포함하는 정보량의 한계, 수정 및 추가 불가, 파손의 위험

tip) 2차원 바코드 : 바코드의 제한적 자료 수용량을 극복하기 위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자료를 배열하여 문자, 숫자, 사진 및 그래픽까지 포함할 수 있으며, 파손 및 위·변조 위험 방지. QR(Quick Response) Code가 대표적인 2차원 바코드

-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 무선주파수식별)

a) 정의 : 판독기(Reader), 주파수(Frenquency), 태그(Tag)로 구성되어 활용하며, 많은 자료와 화물 위치 추적, 신용카드 대용이 가능

b) 장·단점 : 자료의 변경 및 추가 가능, 대량의 자료를 포함하고 일시에 판독 가능, 열악한 환경에서도 작동 가능. but, 태그가 고가격, 원거리 이동시 판독기의 태그 인식률 하락, 인프라 구축 비용 상대적으로 과다 - Ubiquitous(유비쿼터스) :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무엇을 통해서든지”라는

라틴어의 의미로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정보통신 환경을 의미

4. 물류정보시스템 유형

- POS(Point of Sales System : 판매시점관리시스템) : 판매시점의 자료를 실시간으로 수집함으로써 판매 계산(신용카드 처리 연결), 매장관리, 재고 관리, 발주를 위한 의사결정 지원

- CAO(Computer Assisted Ordering System : 자동발주시스템) : POS와 연결되어 있으며 계절적 요인 등 특수 정보를 통합하여 컴퓨터가 자동으로 발주

- DPS(Digital Picking System : 출고관리시스템) : 화물이 창고의 어느 위치나 랙에 있는지와 출고된 수량을 파악하는 시스템

- Inventory Management System(재고관리시스템) : VMI(Vendor Managed Inventory)와 CMI(Co-Managed Inventory)

- TRS(Trunked Radio System : 주파수 공용통신) : 운송수단에 탑재하여 이동간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할 수 있는 무전기 및 화물추적시스템 -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 범지구위치결정시스템) : 인공위성을

이용하는 가장 확실한 화물추적시스템

(22)

물류 아웃소싱(Outsourcing)

1. 물류 아웃소싱

(1) 개념

- 기업에게 필요한 물류기능을 서비스 공급자(Logistics Service Provider)에게 맡기고 기업은 핵심역량(Core Competence)에 집중

- 전문물류업체(제3자 물류업체 또는 제4자 물류업체)에게 물류기능을 수행 하게 함으로써 조직 간소화와 유연성 제고 가능

- 물류기반 구축과 고객서비스 제공에 소요되는 비용 및 인력 절감 가능 - 하나의 물류기능을 단기적으로 구매하는 단순한 외주물류로부터 제3자

물류업체를 활용하여 다양한 물류기능을 전문화, 통합화한 형태로 제공받는 화주와 전문물류업체간의 전략적 협력관계(제휴)로 발전

(2) 효과

- 화주 핵심역량 주력 - 물류업체의 전문성 이용

- 규모의 경제를 활용한 경제효율성 증진 - 물류서비스에서 발생하는 리스크 제거

- 물류비용 감소, 고객서비스 증가, 경쟁력 향상

Tip) 아웃소싱의 유형

- 비용절감형 : 사내에 중요하지 않은 기능을 아웃소싱하여 비용절감이 목적 - 분사형

a) Profit-Center형 : 기업에는 중요하지 않으나 전문성을 갖춘 기능을 분사시켜 수익성을 제고하는 유형

b) Spin-off형 : 핵심역량 자체는 아니지만 일정한 기술이나 역량을 분사 시켜 기업화

- 네트워크형 : 핵심역량만 제외하고 모든 기능을 외부화하여 이들 업체와 네트워크를 형성, 시너지 효과를 도모하는 유형

- 핵심역량 아웃소싱형 : 핵심역량을 외부화하여 경쟁력을 더욱 높이려는 유형

(23)

2. 전문물류업체

(1) 제3자 물류(3PL 또는 TPL : Third Party Logistics)

1) 성장배경

- 화주기업들은 1970년대 2차례의 석유파동으로 물류비 절감의 필요성 대두 - 미국에서 1970년대 후반 시작된 운송업 관련 규제완화정책에 따라 운송

업체간 시장경쟁원리가 도입되면서 미국시장 내외부의 경쟁압력 증가 - 현재는 시장의 세계화에 따른 경쟁 격화, 고객들의 다양한 요구 증가, 화주

기업들의 국제화에 따른 고도화된 물류전략 필요성 대두 등으로 제3자 물류 업체의 등장과 성장

2) 개념

- 자사가 아닌 외부 물류업체로부터 물류기능 구매

- 다양한 물류기능을 포괄하여 전문화 및 통합화한 형태로 서비스 제공 - 화주기업이 필요한 물류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 수행

- 화주기업 물류 개선을 위해 전략적 차원에서 제안(맞춤형 물류서비스 제공)

구분 외주물류 제3자 물류

운영 기간 단기,일시적 중장기 위주

관계 내용 느슨하고 일시적 관계 밀접하고 협력적 관계 신서비스 제공 수동적(수주형) 능동적,적극적(제안형)

개입 범위 주로 운영 운영,관리,전략

계약방식 수의계약 경쟁계약

의사결정층 중간관리층 최고경영층

자산특성 자산소유 필수 무자산형 가능

관리 형태 분산관리형 통합관리형

화주와의 관계 상하계약관계 협력관계

서비스 범위 기능별 서비스(운송, 보관) 종합물류지향

Tip) 수행주체 구분

- 제1자 물류 : 자사 물류라고 하며 사내의 물류부서가 물류업무 직접 수행 - 제2자 물류 : 자회사 물류이며 물류부서를 자회사로 분리하여 물류업무 수행 - 제3자 물류 : 자사와 관계없는 전문물류업체에게 물류업무 위탁

(24)

3) 발전과정 - 물류 수행주체

a) 운송업자, 보관업자 → 제3자 물류 b) 제2자 물류(자회사) → 제3자 물류 c) 분사화 → 제3자 물류

- 물류서비스 전문성 : 기능별(Physical Distribution) 서비스 → 기능간 연계 및 통합(Logistics) 서비스 → 기업간 연계 및 통합(SCM) 서비스

- 물류서비스 폭 : 운영 및 활동 → 관리 및 통제 → 계획 및 전략

4) 유형(Muller가 제시한 유형을 정리)

- 자산기반 물류업체 : 운송수단이나 창고 등의 혼재된 자산을 보유하면서 물류서비스 제공(운송중심 또는 창고유통중심의 자산기반 수익모델)

- 관리기반 물류업체 : 자산을 보유하지 않고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물류 서비스 제공(정보시스템을 활용한 솔루션(TMS, WMS) 제공의 소프트웨어 기반 수익모델)

- 통합 물류업체 : 자산기반과 관리기반의 혼합형으로 다른 물류업체와의 계약을 통해 통합적 물류서비스 제공

- 경영관리기반 물류업체 : 주로 컨설팅업무를 수행하는 비자산 수익모델

5) 효과(Ellram & Cooper의 연구에서 발췌 인용)

구분 화주기업 제3자 물류업체

경 제 적

- 장비, 설비관련 재무위험의 전가 - 비용절감, 품질향상

- 규칙적인 거래 - 제3자의 전문성 이용 - 정보시스템 개발비용 분담

- 장비 및 설비의 이용효율 향상   (규모의 경제성)

- 소수 화주와의 관계를 통한 운영절차 감소로 운영효율 향상

관 리 적

- 핵심역량에 집중

- 소수업체와의 사슬구축을 통한   관리상 용이

- 소수 화주에게 전문능력 집중 - 소수 화주와의 사슬구축을 통한 관리상 용이

전 략 적

- 경쟁우위 획득

- 채널 멤버간 상호 정보교환을 통한 전략적 재고 배치

- 소수업체 이용을 통한 적절한 배송스케줄로 고객서비스 충족

- 장기계획을 통한 투자범주 확대 - 핵심서비스에만 집중함으로써 전문영역 개발 및 연마

(25)

6) 최근 동향

- 1980년대 후반 미국에서 등장한 제3자 물류의 개념이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대 초반에 도입되었으며 1997년 IMF 이후 본격화

- 정보시스템을 활용한 투자와 물류서비스 고도화의 부담에도 불구하고 2000년대 제3자 물류의 성장세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다수의 물류업체가 제3자 물류를 지향(그러나 실적은 저조)

- 화주기업들은 복잡한 물류활동을 통합서비스로 제공받기를 원하고 있으며 글로벌 서비스로 확대를 기대

- 따라서 국내 물류업체들간의 M&A를 통한 대형화 및 글로벌 물류업체와의 제휴를 통해 세부화된 맞춤형 물류서비스 제공 필요

(2) 제4자 물류(4PL : Fourth Party Logistics)

1) 개념

- 앤더슨컨설팅은 기업이 보유한 경영자원을 결합하고 전체적인 공급사슬 솔루션을 제공하는 공급사슬 통합자로 명칭(LLP : Lead Logistics Provider)

- 공급사슬내 모든 기업들의 물류활동을 단일계약으로 계획, 관리하고 전체 적인 물류망을 개선하는 컨설팅 업무 수행

2) 등장배경

- 제3자 물류가 물류기능의 아웃소싱으로 물류비 절감 등 일부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으나 화주기업 위주에 그치고 있을 뿐 전체적인 공급사슬 관리는 한계

- 화주기업과 제3자 물류업체도 전략적 제휴 단계로의 진입 어려움

- 따라서 화주기업의 물류부문 컨설팅과 IT기반의 공급사슬 물류서비스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공급사슬 통합자의 필요성 대두

3) 제3자 물류와의 차이점

- 제3자 물류보다 지리적 측면, 조직적 측면, 기능적 측면에서 광범위하고 종합적인 물류서비스 제공

- IT업체, 물류서비스 솔루션 제공업체, 컨설팅업체 등이 전문물류업체와 컨소시엄을 구축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

- SCM의 다양한 유형(QR, ECR, EHCR 등)과 부합하는 전략 개념으로 확장

(26)

공급사슬관리

(SCM : Supply Chain Management)

1. 개념

- 미국공급사슬협회(Supply Chain Council) : 생산으로부터 소비까지의 모든 단계를 연결하는 고리로서 구성원들이 서로 공급자이면서 수요자의 관계를 맺는 것

- Porter 교수 : 가치사슬(Value Chain)의 관점에서 원자재로부터 소비에 이르기까지의 구성원들을 하나의 집단으로 간주하여 물류와 정보의 흐름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최적화 기법

2. 등장 배경

- 기업의 경쟁심화에 따른 비용 절감과 납기 개선의 중요성 증대 - 다품종 소량생산 및 소량 다빈도 배송 체계의 효율적인 구축 필요

- 자사 밖의 공급사슬상에서 고객에게 전달하는 부가가치 비율 60-70%이므로 관리 필요

- 정보전달 지연 및 수요 왜곡현상에 따른 비효율성 제거 필요 - 기업 경영활동의 세계화로 물류의 합리적인 계획, 관리, 통제 필요

※ 채찍효과(Bullwhip Effect)

- 공급사슬 하류(downstream)의 수요변화가 상류로 올라가면서 주문량이 증폭되는 수요 왜곡현상. 주로 리드타임이 긴 제품에서 많이 발생

- 부정확한 수요예측

- 대단위의 일괄주문 : 주기적 주문, FTL(Full Truck Load) 운송 요구, Push Order

- 판촉에 따른 가격변동

※ 채찍효과 제거 방안 - 수요예측의 불확실성 감소 - 일괄주문 제거

- 변동성 감소 - 리드타임 단축

-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

(27)

3. SCM 발전과정

구 분 관리 대상 주요 기능

MRP

(1960년대-1970년대) 자재 - 각 기능별 최적화

- 자재 수급관리, 재고 최소화 MRP Ⅱ

(1970년대-1980년대)

생산에 필요한 모든 자원

- 제조자원 관리 - 원가 절감 ERP

(1980년대-1990년대)

경영 관점에서의 모든 회사내 자원

- 회사내 전반적 개선을 통해 통합된 시스템 효율 달성 - 경영혁신

SCM (1990년대-현재)

자사와 연결된 SC상의 모든 업체

- 원자재로부터 최종소비자에게   이르는 업무과정의 효율적 통합 - 기업간 최적화

* 주 : MRP(Material Requirement Planning : 자재소요계획), MRP Ⅱ(Manufacturing Resource Planning : 제조자원계획)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 전사적 자원관리)

4. SCM 활용 기법

* IT 기반의 물류정보시스템 구축이 선결 요건

- POS(Point of Sales System : 판매시점관리시스템)

- CAO(Computer Assisted Ordering System : 자동발주시스템) - e-Procurement : e-catalog를 통한 주문, 구매, 대금지급

- CR(Continuous Replenishment : 지속적 재고보충) : 전통적인 push system이 아닌 pull system

ex.) VMI(Vendor Managed Inventory), CMI(Co-Managed Inventory) - Cross Docking : 물류센터에 입고되자마자 분류하여 출고하는 시스템 ex.) 기포장 Cross Docking, 중간포장 Cross Docking

- CPFR(Collaborative Planning, Forecasting & Replenishment : 공동기획, 예측, 보충) : 수요 왜곡현상의 획기적 개선 방안

- CM(Category Management) : 제조업체와 유통업체간 협력을 통해 제품군별 관리를 통해 구색, 판매, 마케팅(제품 믹스)의 도움을 주는 것

5. SCM 추진 유형

- QR(Quick Response) : 섬유, 의류업계의 제조업체와 유통업체간 제휴를 통해 소비자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체제

(28)

- ECR(Efficient Consumer Response) : 식품업계의 공급사슬 구조조정과 프로세스 효율화를 통해 비용절감 및 고객서비스 증대 도모

- EHCR(Efficient Healthcare Consumer Response) : 의료 관련업계의 ECR

- Traceability System : 농·축산물 제품의 정확한 식별, 안전성 확보, 이동 경로의 추적 등을 관리하는 이력추적관리시스템

Tip) Just In Time(JIT) System - 무재고를 지향하는 적시공급시스템

- 1970년대 일본기업들이 적용하기 시작하여 1980년대 이후 서방국가에서 광범위하게 도입

- 도요타자동차가 효시이며, 필요한 수량만큼의 원자재, 부품을 조달받아 생산함으로써 재고를 최소화하고 생산과정에서의 낭비요소를 제거하여 생산 효율성 혁신

- 수요공정에서 필요한만큼의 자재를 받을 수 있도록 관리하는 Pull System ex.) 도요타자동차는 생산 낭비 7요소로 과잉생산, 대기, 운반, 불필요한

생산과정, 재고, 활동, 불량품 생산을 지목하고 집중 관리

ex.) SHARP는 엄격한 품질관리와 낭비요소 제거를 통한 생산과정의 효율 성을 높이는 Lean Production System의 대표주자

※ JIT의 주요 목적은 무재고 실현이고, Lean Production은 품질향상이지만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모두 생산과정에서의 낭비를 제거하는 프로 세스 효율화가 필요하므로 유사한 개념으로 인식

Tip) JIT II(2) System

- 전통적인 JIT System의 문제점은 공급업체가 수요업체의 재고부담을 갖는 다는 측면

- 공급사슬의 구성원들간의 신뢰와 효율성 저하로 인해 고객서비스 하락 - 공급업체와 수요업체가 단순한 거래 계약관계가 아닌 상호 파트너십 관계를

구축하여 고객의 요구에 적극적이고 효율적으로 대응

- 공급업체의 판매부서와 수요업체의 구매부서의 기능을 하나로 연결하여 가상기업(Virtual Company) 형성

- SCM의 유형 중 CPFR과 유사한 개념

(29)

녹색물류(Green Logistics)

1. 개념

- 녹색성장(Green Growth)이란 저탄소화 및 녹색산업화에 기반을 두고 경제 성장력을 배가시키는 신 성장 개념

- 경제성장과 자연환경 보호를 동시에 추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논리는 낡은 사고방식이며, 녹색성장은 환경과 성장이 조화를 이루어야 지속가능한 성장(sustainable growth)이 가능하다는 요지의 적극적인 개념

* 환경파괴에 따른 기후변화 문제를 방치하면 2100년까지 경제적 손실이 세계 GDP의 5~20%를 차지하여 세계경제에 충격으로 작용

ex.) EU는 유럽 영공을 운항하는 항공기에 대해 탄소세(온실가스 배출 부담금) 부과 결정 → 2020년까지 항공기의 온실가스 배출 20% 감축 ex.) 탄소배출권거래제(ETS : Emission Trading System)

- 공급사슬 및 물류 운영시 발생하는 탄소 배출과 환경오염 물질을 줄여야 한다는 개념이 업계의 이슈로 부각

- 따라서 물류활동에서 발생하는 환경오염을 막기 위한 외생적 물류비용이라는 개념에서 역물류(정맥물류, Reverse Logistics) 뿐 아니라 물류활동 전 과정을 포함하여 환경, 교통 분야에 대한 영향까지 고려하는 녹색물류체계를 구축

2. 환경물류

- 순물류 및 역물류 전반에 걸쳐서 환경유해 요소를 원천적으로 제거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제반활동

(1) 운송(수·배송)

- 개발 : 운송적재율을 고려한 제품 및 포장 개발과 경량화

- 영업/마케팅 : 물류효율을 고려한 거래, 출하단위, 출하빈도 결정과 반품억제 정책 실시

- 구매 : 물류효율을 고려한 조달지역(local sourcing), 거래, 조달단위, 조달 빈도 결정 및 milk run 조달 채택

- 생산 : 물류단위를 고려한 생산 lot 편성

- 물류(제3자 물류업체) : 저공해 연료 및 차량 도입, modal shift, 에코 드라이브, 공동수배송, 혼적, 대형화, 차량 정비, 물류네트워크 최적화

(30)

(2) 포장

- 개발 : 친환경소재 사용, 경량화, reuse, recycle - 영업/마케팅 : 제품 포장에 대한 생략 및 감축 협의 - 구매 : 친환경 포장재 구매, 구매제품 포장 감축 - 생산 : 저공해 포장 설비

- 물류(제3자 물류업체) : 팔레트 표준화 및 관리, 포장사용 최소화

(3) 보관/하역

- 개발 : 보관효율을 고려한 제품, 포장 개발 - 영업/마케팅 : 수요예측 정확도 개선

- 구매 : 자재 안전재고 수준 적정화, 장기 부실재고 감축

- 생산 : 재고위치 최적화, 저공해 기기 사용, 판매와 생산 동기화

- 물류(제3자 물류업체) : 공동보관, 에너지 절감형 조명 및 자연채광, 냉동 및 냉장 효율화

(4) 관리

- 온실가스배출량 관리체제 구축 - 관련정책 및 법/제도 파악

- 변화관리(임직원 의식 제고 및 교육) - 성과관리(인센티브 또는 페널티) - 이해관계자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3. 역물류

- 소비자가 구매한 제품을 더 이상 필요로 하지 않는 상황이 발생했을 때 제품의 상태에 따라 최적의 처리를 하기 위한 계획, 활동, 프로세스를 통칭 - 소비자 주체의 반품물류, 공급자 주체의 회수물류, 법과 관련이 있는 폐기

물류로 구분

(1) 유형

- 반품물류 : 고객이 제품 구입 후 여러 가지 이유로 교환, 환불, 수리의 목적으로 제품을 되돌려 보내는 물류로서 소비자가 주도(downstream으로 부터 push)

- 회수물류 : 문제가 발생한 제품의 리콜, 사용 후의 재사용이나 재활용을 목적으로 거두어들이는 물류로서 공급자가 주도(upstream에서의 pull)

(31)

- 폐기물류 : 수명이 다한 제품을 공급자가 회수하지 않고 남은 경우 이를 수거하여 처리하는 물류로서 정부 주도하에서 공급자 주도로 변환 중

(2) 역물류 대상 품목

- 고객 반품 : 제품의 하자는 없으나 소비자의 취향에 의한 반품 - 고장 반품 : 제품의 하자로 인한 반품

- 재고 반품 : 판매되지 않고 남은 제품 - 리스 반품 : 계약기간 만료 후의 제품

- 리콜 제품 : 수리 후 재사용 또는 폐기 후 대체 대상 제품 - 수명 종료 제품 : 재활용 판단이 필요한 제품

- 폐기 제품 : 소각, 매립이 필요한 제품

※ 생산자책임 재활용제도(EPR : Extended Producer Responsibility)

- 근거 :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2002년 제정, 2003년 시행) - 제정 목적 : 폐기물의 발생을 억제하고 재활을 촉진하는 등 자원을 순환적 으로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환경의 보전과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이바지 - 내용

a) 제조업체가 지켜야 할 포장폐기물의 발생 억제

b) 포장 재질, 포장 방법에 관한 기준 및 합성수지 재질로 된 포장재 감축 c) 제조업체 및 수입업체에게 폐기물 발생량을 근거로 재활용 가능 폐기

물의 의무 목표량 부과

d) 미달성시 실제 재활용 비용의 1.3배의 부과금을 통한 제재

※ 우리나라의 녹색물류 3대 추진 전략 1. 녹색물류수송체계로의 전환

- 물류공동화(수배송, 보관, 정보처리 공동화)

- 물류거점 인프라 확보(전국 5대 권역별 내륙화물기지와 유통단지 건설) - 복합대량수송체계 활성화(철도 및 연안해운 활성화)

2. 녹색물류인증제도 및 민관협력 추진기구 도입 - 물류에너지관리시스템 도입

- 국토해양부는 2012년 상반기 녹색물류인증제도 도입 목표 3. 녹색물류 실현을 위한 관련 법, 제도 개편

- 지식경제부, 국토해양부, 환경부 역할 분배

(32)

물류 보안(Logistics Security)

1. 배경

- 2001년 9.11 테러를 계기로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보안대책이 추진 - 특히 국제물류와 관련하여 미국 중심의 CSI(Container Security Initiative),

SFI(Secure Freight Initiative), C-TPAT(Customs-Trade Partnership Against Terrorism), 24시간 규칙, 10+2 규칙 등이 실시되거나 실시 예정 - 미국뿐 아니라 WCO(World Customs Organization : 세계관세기구),

IMO(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 국제해사기구), ICAO(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 국제민간항공기구)와 같은 국제적인 차원에서 논의 및 실행

- EU, 일본, 뉴질랜드, 싱가포르, 중국, 우리나라 등 전 세계가 물류보안 강화 대책 강구

※ 새로운 무역장벽이 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대응 필요성이 있으며, 물류보안 제도와 관련한 새로운 기술 및 국제표준시장의 선점을 위한 대책 필요

2. 컨테이너 검색 강화 제도

(1) 미국

1) 컨테이너 보안협정제도(CSI : Container Security Initiative)

- 제정 배경 : 2001년 제정, 2002년 3월 실시되었으며 미국으로 수출되는 해상 컨테이너에 테러 목적의 화물이 반입되는 것을 차단. 즉 미국 해안가 (waterfront)로부터 수출국 선적항에서 위험물 저지 목적

- 법적 근거 : 최초 도입 시에는 법적 근거가 없었으나, 2006년 10월 SAFE Port Act(항만보안법)가 제정되어 법적 근거 마련

※ SAFE(Security and Accountability For Every) Port Act : 2006년 10월 공포된 종합물류보안법으로 CSI, SFI 및 C-TPAT의 법적 근거 부여

- 주요 내용 : 미국 관세국경보호국(CBP : Customs & Border Protection)은 외국 주요 항만에 세관원을 파견하여 수출국 세관과 공동으로 위험도가 높은 컨테이너를 사전 검사(방사능 탐지기나 X-Ray 투시)하여 미국 반입 금지

※ 미국행 컨테이너 수출물량 상위 항만을 대상으로 실시 중이며 우리나라는 2003년 협정 체결

(33)

2) SFI(Secure Freight Initiative)

- 주요 내용 : 미국으로 수출되는 컨테이너가 선적되기 전에 선적항에서 비접촉형 이미지 기기와 방사성 물질 검지 장치를 통해 스캐닝 검사를 할 수 있도록 scanning system을 수출항만에 배치 규정

- 실시 현황 : 2006년 12월 test program 발표하고 2007년부터 실시

* 1단계(영군, 파키스탄, 온두라스), 2단계(대한민국, 오만, 싱가포르, 홍콩)

3) 100% 컨테이너 스캐닝

- 도입 시기 : 2007년 7월 SAFE Port Act 수정

- 주요 내용 : 미국행 컨테이너 화물의 전수 조사를 늦어도 2012년 7월부터 실시 규정. 물류의 정체 초래, 미국행 컨테이너만 실시한다는 형평성의 문제, 다른 보안규제와 중복 등의 이유로 완화 조치 요구 중이므로 동향 주시 필요

(2) 세계관세기구(WCO) : 국제무역의 안전과 원활화를 위한 WCO Framework - 제정 배경 : 국제 SCM 차원에서 위험도가 높은 화물의 검색을 강화하여

보안을 확보하면서도 막힘없는 물류를 추진

- 제정 시기 : 2005년 6월 EU의 AEO(Authorized Economic Operator) Guideline을 수용하여 채택

- 주요 내용 : 통칭 WCO SAFE Framework(Security and Facilitation in a Global Environment Framework of Standards to Secure and Facilitate Global Trade)라고 불리우며 각국 세관간 그리고 세관과 기업간 협력체제를 강화하고 CSI 및 C-TPAT 제도 등의 세계 확산. 각국 세관에게 위험도가 높은 화물의 일관된 관리방법을 요구하고 검사 수행의무 규정

※ WCO 물류보안제도는 100여개 국에서 시행하기로 합의하여 사실상 세계 규범화 되었으며, 검색 강화로 인한 국제물류 지체현상 우려

3. Manifest 사전신고제

(1) 24시간 규칙(24 hour rule)

- 제정 배경 : CSI 보완 조치의 하나로서 외국 항만 파견 미국 세관원에게 검 사대상 화물의 정보를 제공하도록 조치

- 실시 시기 : 2002년 12월

- 주요 내용 : 미국행 컨테이너가 선적되기 24시간 전에 Manifest(내장화물 명세) 를 CBP에 의무적으로 통지하고 위험도가 높은 화물은 미국항만에서 재검사.

(34)

화주는 선적 72시간 전에 Manifest 선사에 제공하고 출항 24시간 전에 항만 반입해야 하며 선사는 선적 24시간 전에 Manifest를 CBP에 신고

※ 컨테이너의 항만 반입시간이 앞당겨져 터미널에서의 보관시간 및 보관료 증가, 신고수수료의 화주 부담 전가 우려

(2) 10+2 규칙

- 주요 내용 : 24시간 규칙의 강화 조치로 Manifest에 없는 정보를 선적 24시간 전에 미국에 신고하도록 규정하고, 수입업자 추가 10항목(Importer Security Filing)과 선사 추가 2항목(Carrier Security Filing)으로 구성

4. 보안관련 종합인증우수기업제도

- 화물의 보안관리 및 법령준수체제를 갖추고 자신의 책임하에 화물관리 및 세관절차를 적절히 처리하면 세관이 해당 무역관련 사업자에게 세관절차의 간소화 및 신속화를 도와주는 제도

(1) 미국 대테러 민관파트너십(C-TPAT : Customs-Trade Partnership Against Terrorism)

- 제정 배경 : 미국행 화물을 수출하는 제조업자, 화주, 선사 등에게 SCM 전반에 걸친 보안 확보

- 도입 시기 : 2001년 11월 자발적 프로그램으로 도입하여 2002년 4월 실시.

2006년 SAFE Port Act에 의해 법적 근거 마련

- 대상 기업 : 해외에 위치한 수출 제조업자, 미국 수입업자, 선사, 항공사, 항만운영업자, 통관업자, 운송주선업자 모두 대상

- 주요 내용 : 대상 사업자는 CBP가 정한 물류보안기준(시설, 인력, 운송보안, 화물추적 등)을 이행해야 하며, 가입자는 레벨에 따라 차등 대우

※ C-TPAT에 가입해도 우대조치가 제대로 시행되지 않는다는 비판도 있지만, 미국 수출에 대한 미국 거래업자와의 신뢰관계를 강화하는 것이므로 비즈 니스 선택 폭을 넓히는 기회

(2) EU AEO 제도

- 개념 : 세관 관련 업무에 대해 EU 전역에서 신뢰할 수 있는 경제운영자 (수출입업자, 운송업자, 창고업자, 통관업자 등)로서 세관절차 간소화, 보안 및 안전에 대한 통합인증을 신청하여 EU 이외의 국가와 거래하는 수출 업자나 국제 공급사슬에서 믿을 수 있는 파트너로서의 입지를 갖고자 하는

(35)

사업자에게 유용한 제도

* EU내에서만 거래하거나 이동하는데 관여한 사업자는 신청대상 아님

- 제정 배경 : EU 역내의 물류관련사업자로서 보안관리 및 법령준수가 우수한 기업에게 세관절차상의 혜택을 부여하여 물류보안 및 수출입절차 원활성 도모 - 도입 시기 : 2005년

(3) WCO의 AEO Guideline

- 제정 배경 : 수출입물류의 보안강화로 인한 국제무역 불편을 해소

- 도입 시기 : 2005년 6월 SAFE Framework 채택 후 2006년 6월 위 제도 채택 - 주요 내용 : 각국 세관에게 민간기관들과 파트너십 구축 요구하고 높은 보안

수준을 제공하는 기업은 통관절차 간소화 등 혜택 부여

5. ISPS(International Code for the Security of Ships and of Port Facility) Code

(1) 제정 배경

- 9.11 사건 이후 항만을 이용한 테러위협 및 보안사건 증가에 대비하기 위해 IMO가 제정

- 2002년 기존의 SOLAS(International Resolution on Safety of Life at Sea 1974) 협약(국제해상인명안전협약) 개정을 위한 외교 회의 개최

- 해상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규정인 “선박 및 항만시설의 보안에 관한 규칙 (ISPS)”을 SOLAS 협약에 포함

- ISPS Code는 채택일로부터 1년 6개월이 경과한 2004년 7월 발효

- 항만당국 및 항만시설소유자로 하여금 국제항해선박이 이용하는 항만시설의 경비 및 보안 확보와 보안시설 및 장비 설치를 의무화

(2) 주요 내용

- 국제항해여객선, 500톤 이상의 국제항해화물선, 이동식 해상구조물 및 국제 항해에 종사하는 선박과 관련한 항만시설 대상

- 각국 정부는 보안등급 설정 및 보안선언, 보안관계 연락처의 선정 및 관련 선박 제공, 항만내의 선박 또는 입항선박에 대한 통제, 항만시설 보안평가, 보안계획서 승인 및 선박보안심사의 책임을 짐

- 우리나라는 2003년 본 규칙을 도입하고 2007년 8월 “국제 항해선박 및 항만시설의 보안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ISPS Code의 국내수용체제 정비

참조

관련 문서

전북 공사 광역 전북개발공사 기초 장수한우지방공사 공단 기초 전주시설공단 전남 공사 광역

물류 RFID 기술을 이용하여 물류의 이동사항, 물류의 정보 등을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 예: 생산이력 추적관리, u-물류센터, u-운송,

• 사용자의 인지나 허락없이 실행되도록 하기 위해 다른 소프트웨어나 데이터 파일에 첨부시키는 악성 소프트웨어

실제 읶류의 투쟁사는 힘이 훨씬 부족한 상황에서도 젂략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이길 수 있다는 사실 보여줌..  경영전략은 젂략의 계획 활동뿐만 아니라,

앱과 사용자의 빠른 직접 연결, 보안 블랙홀 제거 150 데이터센터를 통한 보안.

DP World logistics, 이스라엘 Al-lalouf Logistics 사와 협력 관계 구축(tie

Photos Various Applications of Flexible Display to Widen the Spectrum of Displays for Various Area of Life (1) Logistics.

제2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