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충북지역 조각 공원 및 작품의 보존 현황과 관리 방안에 대한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충북지역 조각 공원 및 작품의 보존 현황과 관리 방안에 대한 연구"

Copied!
1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투고일_2019.08.10. 심사기간_2019.09.01-14. 게재확정일_2019.09.25. 충북지역 조각 공원 및 작품의 보존 현황과 관리 방안에 대한 연구 Preservation of and Management Plan for Sculpture Parks in Chungbuk 오승준_한서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연구센터 / 위광철(교신저자)_한서대학교 문화재보존학과 Oh, Seung Jun_The Research center of Conservation Science for Cultural Heritage, Hanseo University / Wi, Koang Chul(Corresponding author)_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Hanseo University. 차례. 1. 서론 2. 충청북도 조각 공원 2.1. 조각 공원 분류 2.2. 조각 공원 현황 3. 조각 공원 및 작품 보존 현황 3.1. 조각 공원 보존 현황 3.2. 조각 작품 보존 현황 4. 조각 공원 및 작품 보존 방안 4.1. 조각 공원 보존 및 활용 방안 4.2. 조각 작품 보존 방안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2) 충북지역 조각 공원 및 작품의 보존 현황과 관리 방안에 대한 연구 Preservation of and Management Plan for Sculpture Parks in Chungbuk 오승준_한서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연구센터 / 위광철(교신저자)_한서대학교 문화재보존학과 Oh, Seung Jun_The Research center of Conservation Science for Cultural Heritage, Hanseo University / Wi, Koang Chul(Corresponding author)_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Hanseo University. 요약 중심어 조각 공원 조각 작품 보존 현황 보존 방안 조각 작품 보존. 조각 공원 및 작품은 공공미술을 통해 자연과 조각 작품이 어우러져 각각의 지역을 대표하는 문화와 예술 전시 및 휴식 공간으로서 자리매김 했을 뿐 아니라 산업화 이후 우리나라의 도시환경을 개선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 켜주는 역할을 해주었다. 그러나 정책과 대중의 요구에 의해 양적 성장은 빠르게 이루어졌으나 시민 의식과 전 문 지식, 예산과 보존관리 인력의 부족 등으로 인해 조각 공원과 공원 내에 설치된 조각 작품은 훼손되고 방치 되어 본래의 의미를 잃어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충청북도에 조성된 조각 공원 및 작품의 보존현황을 실 사를 통해 조사해보고 보존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충북지역에 조성된 조각공원을 크게 야외, 부설 조각 공 원으로 나누어 총 6곳을 선정하여 조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 결과 관리 주체가 명확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공원 정비 및 관리에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공원 내 설치된 조각 작품은 보수 및 보존처리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아 공원의 보존, 관리와는 다르게 훼손, 방치되어지고 있었다. 이는 야외 조각 작품은 대형 작품이고 현대적 작품이라 내구성이 좋으며, 일회성이라는 잘못된 인식으로 인해 보수 및 보존처리 등의 사후 관리가 전혀 이루 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조각 공원의 조성 및 설립 의의를 되살리고 작가가 의도한 조각 작 품 본래의 예술성, 독창성, 전달성 등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보존, 관리가 이루어져야하며, 전문 인력과 예산, 제도적·법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시민들의 성숙한 의식과 관리, 감독 기관의 의무적인 사후관리 제도가 정비,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lthough sculpture park is a space for exhibition and resting, improving the urban environment and quality of life, sculptures remain neglected without citizenship, expertise, and budget in spite Keyword of rapid quantitative growth. Thu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sculpture parks in Chungbuk to suggest a preservation plan. This study investigated 6 sculpture parks and results show that sculptures are neglected due to the lack of repair and preservation. This is by the lack of Sculpture park management coming from misconceptions that outdoor sculptures are large-scaled with excellent Sculpture durability for one-time use. To restore sculpture parks, artistic value, originality and Conservation status transmissibility, continuous and systematic preservation and management as well, as institutional· Conservation measures legal instrument with manpower and budget, shall be prepared. Compulsory follow-up Sculpture Conservation management by managing agencies shall also be repaired and improved with mature civic awareness.. ABSTRACT. 284.

(3) 1. 서론 조각 작품은 순수한 예술성을 기본 전제로 하며 더불어 주변 환경과의 조화를 이루어 일상생활 에서의 대중과 소통하는 예술품이고, 조각 공원은 박물관, 미술관, 갤러리 등의 실내 공간에 전시된 작품과는 다르게 옥외 공간에 조각 작품을 전시하여 공원이 지니고 있는 자연 속의 휴식과 환경 기능에 조각 작품이라는 예술적 기능을 더해 자연과 예술, 휴식, 문화가 공존하는 자연친화적 예술 공간으로서 일반 대중과 소통하고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이다.1) 이러한 조각 공원은 우리나라의 급격한 경제성장이 이루어진 1970년대 급격한 산업화와 이로 인한 인구 밀집, 도시화 등의 현상으로 자연친화적인 휴식 공간과 문화 예술 공간을 필요로 하게 되면서 조성되기 시작하였다.2) 이후 1980년대를 전후하여 각 지역에 조각 공원 및 조각 전문미술관 등이 만들어지기 시작하였으며, 2000년대 초반까지 지속적인 양적 증가를 보여주 었다.3) 조각 공원은 자연과 예술이 결합되어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 도시 환경을 개선하고 동시에 문화·예술적인 풍요를 충족할 수 있는 장소이기도 하다. 또한 미술관과 갤러리의 전시 공간이 지니는 시간적, 공간적 제약으로부터 벗어나 3차원의 입체 예술 조각 작품을 보다 입체 적으로 관람할 수 있으며, 자연과 어우러져 연출되는 문화공간으로 탄생해 기존의 일반 녹지공 원 등과는 다르게 대중에게 다가왔다. 이와 같이 조성된 조각 공원은 대도시 위주로 조성되기 시작하였으며, 이후 시민 의식의 향상 과 지역균형발전 등이 이루어지기 시작하면서 지역별로 확산되기 시작하였다. 이외에도 지자 체와 비영리단체 등을 통해 일반 시민을 위한 친환경적 문화예술 공간을 제공하려는 노력이 1990년대부터 꾸준히 이어져와 2002년 기준 약 60여개의 조각 공원 및 조각 전문 미술관이 전국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태이다.4) 이렇게 형성된 조각 공원은 도시 환경을 개선하고 친환 경적 문화 공간 확보로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랜드마크 등으로서의 사회적인 역할도 해오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현재에 이르기까지 조각 공원과 공원에 설치된 조각 작품은 정확한 통계를 반영할 수 없지만 양적인 측면에서의 성장은 이루어 진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에 조각 공원의 주변 환경 정비 미흡, 설치 작품의 활용성 저하, 공원별 특색의 부재, 조각 작품의 보존 및 관리 소홀, 관람객의 관리 및 유치 미흡, 사회적 역할의 감소 등 문제점들이 나타나기 시작하고 있다.5) 또한 국가의 균형 개발 정책과 대중의 요구에 따라 조성되었으나 그 양에 비해 성숙된 시민의 식의 부족, 보존 및 관리에 필요한 인력과 예산 등의 부족, 법적·제도적 관리 규제 장치가 마련 되어있지 않은 현실은 조각 공원과 조각 작품을 훼손하고 있으며, 본래의 기능을 잃어가고 있다. 이중에서 조각 공원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조각 작품에 대한 보존, 관리 문제는 작품이 환경적, 물리적, 인위적 요인 등에 의해 훼손되어 본래의 형태와 색상을 잃고 미적인 요소가 감소되어 주변 자연 환경과의 조화로움이 퇴색되는 현상이 발생되며, 이로 인해 관람객의 감소와 대중과 의 소통 및 사회적 역할까지 줄어들고 있는 원인 중 하나라고 판단된다. 또한 국내 조각공원의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이해연, 2006)와 한국 조각전문미술관·조각공원의 현황과 문제점에 관 한 연구(윤철현, 2002) 등 선행 연구가 이루어져 있으나 조각 공원의 전문성, 동선, 장소성 등 조각공원의 관리방안에만 집중되어 있으며, 조각 작품의 훼손상태 및 관리 방안, 보존 대책, 보존 방법 등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조각공원 중 충청북도 지역에 조성된 충주호 조각 공원, 속리 산 조각 공원, 대청호 조각 공원, 청풍랜드 조각 공원 등에 대한 실사를 통해 공원의 관리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공원 내 설치된 조각 작품의 보존 현황 및 훼손 원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실제 조각 작품이 설치된 후 발행된 작품 도록 등과 비교 분석하여 조각 작품의 1) 이해연, 「국내 조각공원의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pp.15-20 2) 김지은, 「서울 올림픽 조각공원에 관한 문화사회학적 고찰」,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pp.22-23 3) 윤철현, 「한국 조각 전문 미술관·조각공원의 현황과 문제점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pp.17-19 4) 박희정, 「국내 야외조형물 보존의 현황 및 사례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pp.26-30 5) 김 겸, 「미술장르별 보존복원 방법 및 사례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pp.25-27 기초조형학연구 20권 5호 (통권95호). 285.

(4) 보존, 관리 방안을 제시하여 조각 공원의 역할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한다.. 2. 충청북도 조각공원 2.1. 조각 공원 분류 현재 국내 조각공원의 분류는 체계화 및 일원화, 목록화가 되어있지 않아 충북 지역에 조성된 조각공원은 세계조각공원(서민우와 서상우, 2016)에 나타낸 방법으로 분류하였다. 이와 같은 분류 방법은 작품이 설치된 조각 공원의 지리적 환경이나 유형에 따라 분류되며, 공원의 조성 단계에서부터 조각 작품을 위주로 야외 조각 공원, 미술관과 갤러리의 부속으로 야외에 전시 공간을 조성한 부설 조각 공원, 도심 속의 광장이나 가로 공원 등에 조성된 가로 조각 공원 등으로 분류 된다.6) 각각의 분류 기준에 따라 충북 지역에 조성된 조각공원은 총 6곳으로 야외 조각 공원과 부설 조각 공원 각각 3곳으로 조사되었으며, <표 1>과 같이 유형에 따라 분류해보았다. <표 1> 유형별 조각공원의 분류 및 현황 유형. 명칭 탄금대 조각 공원. 야외. 속리산. 조각 공원. 조각 공원 충주호 조각 공원 운보의 집 조각 공원. 부설. 청풍랜드. 조각 공원. 조각 공원 청주시립 대청호 미술관 조각 공원. 개관연도. 소재지. 부지면적 (㎡). 작품 수 (점). 1994년. 충북 충주시 칠금동. 약 5,000. 약 15. 약 24,000. 27. 약 5,000. 25. -. 약 23. -. 21. 약 6,600. 19.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1997년. 법주사로 293 충청북도 충주시 가금면. 2000년. 탑평리 11 충북 청주시 청원구 내수읍. 1984년. 2004년. 형동2 길 92-41 충북 제천시 청풍면 청풍호로. 2005년. 50길 6 충북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대청호반로 721. 2.2. 조각 공원 현황 야외 조각 공원 중 탄금대 조각공원은 1956년 8월 21일 당시 내무부 고시 제1956-342호로 자연경관의 보호와 시민의 건강·휴양 및 정서 생활 함양에 기여하기 위해 탄금대 공원이 건립 되었으며, 이후 1994년 조각공원이 조성되어졌다.7) 속리산 조각 공원은 속리산국립공원 잔디 공원 내에 조성된 공원으로 넓이는 약 2만 4000㎡로 1997년 10월 속리산관광협회에서 조성 하여 김석우의《하늘과 땅의 교감》, 양현조의《동심의 고향》 , 이상필의 《정》등 충청권의 대표적인 작가 27명의 작품 27점을 전시해 속리산을 찾는 관광객에게 예술작품을 감상할 수 있게 해주며 안락한 휴식공간도 제공하고 있다<그림 1>.8) 충주호 조각 공원은 1992년 사적 공원으로 조성된 중앙탑 공원 안에 있는 조각공원으로 2000년도에 ‘문화재와 호반예술의 만 남’을 주제로 조성되었으며, 충주호반의 넓은 잔디밭에 김경화, 박현열, 장윤우, 황영숙 등 국 내 유명 조각가의 작품 25점을 전시하고 있다.9) 부설 조각 공원인 운보의 집 조각공원은 국내 유명작가들의 작품들로서 다양한 소재로 다양한 주제의식을 표현하고 있으며, 수려한 자연을 배경으로 연못 주변에 절묘하게 조화를 이루고 있다<그림 2>.10) 청풍랜드 조각 공원은 2001년에 건립된 청풍랜드 내에 위치하였으며, 21 점의 조각 작품을 설치하여 2004년 조성된 부설 조각 공원 중 하나 이다<그림 3>. 대청호 6) 서민우 외, 『세계조각공원』, 미세움, 2016, pp.18-22 7)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644634&cid=51896&categoryId=54013 8) https://korean.visitkorea.or.kr/detail/ms_detail.do?cotid=09880a13-a502-411a-8d98-d3eb837638b1 9) 충주호 조각공원 조성 추진위원회, 『충주호 조각 공원』, 금석출판사, 2000, p.2 10) http://woonbo.kr/artnote/board.php?board=kkkmain&command=skin_insert&exe=insert_iboard1_home 286.

(5) 미술관 조각 공원은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문의문화재단지 안에 있는 조각 공원으로, 청원군의 조각현상공모를 통해 입상한 작품 12점과 초대작가 작품 7점이 전시되어 대청호의 풍경과 잘 어우러져 전시되고 있다<그림 4>.11). <그림 1> 속리산 조각 공원. <그림 2> 대청호 미술관 조각 공원. <그림 3> 청풍랜드 조각 공원. <그림 4> 운보의 집 조각공원. 3. 조각 공원 및 작품 보존 현황 3.1. 조각 공원 보존 현황 조각 공원은 미술 작품 설치를 장려하기 위한 ‘문화예술진흥법’과 야외 조형물 관련 법규인 ‘동상・기념비・조형물의 건립 및 관리기준 등에 관한 조례’에 의해 주기적인 실태조사와 점검 등이 이루어져야하며, 충북 지역 조각 공원의 실사 결과 대부분의 조각 공원은 관리가 잘 이루 어지고 있었으나 일부 부실하게 관리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각 공원의 문제점으 로는 관리주체의 부실한 관리와 체계적인 점검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안내 시설의 미설치 와 훼손 후 방치 등의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어 관람자들에게 불편함을 주고 공원과 작품 이 훼손되는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조사 결과 조각 공원 보존 현황에서의 가장 큰 문제점은 관리 소홀에 따른 문제임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조사 대상인 조각 공원 모두 국·공립기관 및 지자체, 개인 등 관리주체가 명확 함에도 불구하고 보존, 관리 및 점검 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곳이 대부분이었다. 야외에 조성된 조각 공원의 특성상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관리와 점검,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나 전문 인력 및 예산의 부족의 문제로 조각 공원이 훼손되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부설 조각 공원이 조성되어있는 국립현대미술관과 삼성미술관 Leeum의 사례와 비교할 수 있으며, 2곳의 조각 공원은 야외 조각 보존・관리 전문 인력이 있고 주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어 향후 비교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야외 조각 공원의 보존 및 활용 방안에 대한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11)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277701&cid=40942&categoryId=37154 기초조형학연구 20권 5호 (통권95호). 287.

(6) <표 6> 유형별 조각 공원 보존 현황 유형별 분류. 야외 조각 공원. 부설 조각 공원. 보존 현황. 탄금대 조각 공원. ∙ ∙ ∙ ∙ ∙. 수풀과 나무 제거 미흡 안내판 훼손 및 작품 보호시설 미설치 보존・관리 전문 인력 미배치 조각 작품에 대한 정기적인 점검 미흡 공원 및 작품 관련 교육・홍보 활용 부재. 속리산 조각 공원. ∙ ∙ ∙ ∙. 안내판 훼손 및 작품 보호시설 미설치 보존・관리 전문 인력 미배치 조각 작품에 대한 정기적인 점검 미흡 공원 및 작품 관련 교육・홍보 활용 부재. 충주호 조각 공원. ∙ ∙ ∙ ∙ ∙. 수풀과 나무 제거 미흡 안내판 훼손 및 작품 보호시설 미설치 보존・관리 전문 인력 미배치 조각 작품에 대한 정기적인 점검 미흡 공원 및 작품 관련 교육・홍보 활용 부재. 운보의 집 조각 공원. ∙ ∙ ∙ ∙ ∙. 수풀과 나무 제거 미흡 안내판 훼손 및 작품 보호시설 미설치 보존・관리 전문 인력 미배치 조각 작품에 대한 정기적인 점검 미흡 공원 및 작품 관련 교육・홍보 활용 부재. 청풍랜드 조각 공원. ∙ ∙ ∙ ∙ ∙ ∙. 관람로 및 작품 주변 환경 정비 미흡 수풀과 나무 제거 미흡 안내판 훼손 및 작품 보호시설 미설치 보존・관리 전문 인력 미배치 조각 작품에 대한 정기적인 점검 미흡 공원 및 작품 관련 교육・홍보 활용 부재. 청주시립 대청호 미술관 조각 공원. ∙ ∙ ∙ ∙ ∙. 수풀과 나무 제거 미흡 안내판 훼손 및 작품 보호시설 미설치 보존・관리 전문 인력 미배치 조각 작품에 대한 정기적인 점검 미흡 공원 및 작품 관련 교육・홍보 활용 부재. 야외 조각 공원인 탄금대, 속리산, 충주호 조각 공원은 접근성이 우수하고 주변에 위치한 호수 공원 및 국립공원, 음식점 등 다중 이용 시설 등이 조성되어 있어 공원 주변 환경 정리 및 잔디 관리, 관람객 안내시설 등이 체계적으로 관리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속리산 조각 공원의 경우 공원 종합 안내도를 설치하였으며, 위치도와 작품안내, 관리주체까지 명확하 게 보여주고 있어 대표적 사례로 볼 수 있다<그림 5, 6>. 부설 조각 공원인 운보의 집, 대청호 미술관 부설 조각 공원 역시 관리주체가 분명하고 관람객 과 일반시민들이 많이 찾아 주변 환경 정리 및 공원 내 잔디 관리 등이 잘 이루어져 있어 체계적 인 점검과 보존,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청풍랜드 조각 공원의 경우 관리 주체가 분명함에도 불구하고 작품의 손상, 공원 내 관리 및 진입로 관리 등의 다양한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중에서도 작품의 안내판이 훼손되고 안내판에 표시된 19번 작품 “고향”은 작품이 전시되어 있지 않았으며, 위치로 추정되는 곳에 표기석 정도만 있는 등 조각 공원 전체가 체계적인 관리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그림 7, 8>.. <그림 5> 속리산 조각 공원 안내도. <그림 6> 속리산 조각 공원 전경. 288.

(7) <그림 7> 청풍랜드 조각 공원 진입로 관리 미흡. <그림 8> 청풍랜드 조각 공원 “고향” 작품의 위치로 추정. 3.2. 조각 작품 보존 현황 야외에 설치된 조각 작품은 실내에 전시된 작품에 비해 외부환경으로부터의 영향을 많이 받아 시간의 흐름에 따른 자연적인 풍화와 노화, 부식 등이 발생해 훼손되어진다. 이러한 외부 환경 에 의한 영향은 작품의 재질에 따라 손상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며, 대기환경에 의한 손상, 인위적인 손상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야외에 설치된 조각 작품은 실내 전시 공간에 설치된 작품보다 손상 정도가 심하고 그 속도도 빠르게 나타나며, 사용된 재료에 따른 노화양상 및 손상 정도가 다르고, 지역별 기후 및 환경 변화 따라 훼손도가 다르게 나타난다. 자연환경에 의한 손상은 계절에 따른 온․습도 변화, 산성 비, 분진, 미세먼지, 자외선, 이끼류, 초본류 등에 의한 영향이 복합적으로 발생하여 야외 환경 에 노출된 조각 작품을 손상시킨다. 이러한 손상은 내구성이 높은 재료를 사용하거나 보호각 등을 설치해 일부 지연시킬 수는 있지만 재료의 다양성과 전시의 한계성으로 실제적인 보존, 관리 대책은 아니며, 지속적인 보존,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12). 자연환경에 의한 손상은 크게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원인에 의해 일어나지만 일반적으로 위와 같은 원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조각 작품을 손상시킨다. 물리적 손상은 온, 습도 변화 에 따른 수축과 팽창 현상이 반복되고, 비·바람 등에 의한 침식, 풍화로 작품을 훼손시킬 수 있으며, 지반 침하 등으로 인해 구조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그림 9, 10>.. <그림 9> 물리적 풍화에 의한 손상(화강암, 2004년 설치). <그림 10> 지반침하로 인한 구조적 문제(브론즈, 2004년 설치). 화학적인 손상은 산성비나 산성안개, 자외선, 대기오염물질 등에 의해 암석이 서서히 분해시켜 손상을 입히고, 안료 및 도료 등이 도포된 작품의 경우 자외선에 의해 변·탈색이 이루어지기도 한다<그림 11, 12>. 또한 금속제인 철제 작품은 부식산화물이 생성되며, 동합금제로 만들어진 작품은 표면에 검은색 또는 푸른색의 줄무늬가 발생되고 부식 환경에 따라 균일부식, 틈새부식, 공식 등이 발생하여 2차적인 구조적 문제로 까지 진행 될 수 있다<그림 13, 14>13). 또한 금속 부식으로 인해 발생한 부식생성물에 의해 다른 재질에 까지 손상을 주는 2차 피해를 입히는 경우도 상당 수 존재하며, 이는 복합재질로 제작된 조각 작품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그림 15>. 최근 조각 작품의 재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알루미늄합금과 스테인리스합금은 내식성은 우수 12) 오승준, 「한국 야외 금속 조형물 표면 보존용 왁스의 개발 및 물성에 관한 연구」, 한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pp.26-35 13) THE STARK COLLECTION AT THE GETTY CENTER, 『Conserving Outdoor Sculpture』, Getty Publications, 2010, pp.157-159 기초조형학연구 20권 5호 (통권95호). 289.

(8) 하나 대기 중의 습기나 염분 등에 의해 광택이 사라지는 손상이 발생하고, 표면처리가 이루어진 금속 표면에 분진과 같은 대기오염물질이 흡착되어 작품을 훼손하고 있다<그림 16>. 조각 재료 의 다양화로 인해 콘크리트, 타일, 도자기 등도 많이 사용되고 이를 접착하고 색을 입히기 위해 페인트, 안료, 모르타르 등도 같이 사용되어져 이러한 재료들이 대기환경에 의한 노화, 변·탈색, 내구성 약화 등의 변화를 나타내 조각 작품을 손상하고 있다<그림 17, 18, 19, 20>14).. <그림 11> 산성비와 부식산화물에 의한 작품 손상(브론즈,. <그림 12> 접착제 노화로 인한 작품 손상(스테인리스 스틸,. 2004년 설치). 2004년 설치). <그림 13> 부식산화물 생성으로 도장 층 박락된 손상(철판・브. <그림 14> Bronze disease 발생으로 인한 작품 손상(브론즈,. 론즈, 2004년 설치). 1997년 설치). <그림 15> 부식산화물에 의해 오염된 석재의 2차 피해(철,. <그림 16> 오염물에 의한 작품 표면 손상(스테인리스 스틸,. 1997년 설치). 2004년 설치). <그림 17> 표면 탈락 및 균열에 의한 작품 손상(철판・자기질. <그림 18> 백화현상에 의한 작품 표면 손상(철판・자기질도자. 도자기, 2004년 설치). 기, 2004년 설치). 14) THE GETTY CONSERVATION INSTITUTER, 『Concrete』, Getty Publications, 2018, pp.22-25 290.

(9) <그림 19> 도포된 도료의 박락 및 노화에 의한 작품 손상(스. <그림 20> 노화된 모르타르 자기질도자기 탈락(철판・자기질도. 테인리스 스틸, 1999년 설치). 자기, 2004년 설치). 생물학적인 요인에 의한 손상은 조류의 배설물로 인한 유기산과 지의류의 지의산과 같은 산성 성분이 금속이나 석재를 훼손시키며, 이끼류와 주변의 수목, 초본류 등에 의해서도 조각 작품 본래의 형태 및 색상을 왜곡되어 보이게 하는 손상을 주고 있다<그림 21, 22, 23>. 인위적인 손상은 관람객의 의식 부족과 취급 부주의, 또는 종교적, 인종적인 이유로 조각 작품에 낙서, 돌 쌓기, 손으로 만지는 행위 등으로 손상되어지는 것을 의미하며, 야외 조각 작품은 실내의 작품보다 관람객의 접근이 쉽기 때문에 인위적인 손상에 의해 작품이 훼손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그림 24>. 또한 작품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고 예산과 인력부족을 이유로 보존, 관 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 역시 인위적인 손상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그림 21> 수목에 의한 작품 손상(스테인리스 스틸, 2004년. <그림 22> 지의류에 의한 작품 표면 손상(화강암, 2004년 설치). 설치). <그림 23> 조류 배설물에 의한 작품 손상(브론즈, 1997년 설치). <그림 24> 인위적인 요인에 의한 작품 손상(브론즈, 1997년 설치). 4. 조각 공원 및 작품 보존 방안 충청북도 공공조형물의 건립 및 관리 등에 관한 조례 제10조에서는 “관리부서의 장은 관리 책임자를 지정하여 공공조형물 및 그 주변 환경의 청결상태를 유지하고, 공공조형물에 대해 연 1회 상태점검을 실시하고, 점검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연도 관리계획을 수립해 시행, 관리대 장을 작성하여 비치하고, 공공조형물이 훼손된 경우 필요한 보수조치 및 장기간의 보수일 경우 안내판을 설치하여야 한다”고 나타나 있다15). 기초조형학연구 20권 5호 (통권95호). 291.

(10) 이와 같은 규정에 따라 연 1회 점검과 훼손된 조각 작품의 보수, 주변 환경 정비 등이 이루 어져야 하지만 일부는 규정에 따라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 조각 공원 의 문제점으로는 관리 주체가 분명하지만 관리 및 점검 체계 미흡하고, 안내시설 및 편의시설 등의 미설치로 관람자들에게 불편함 주며, 주변 정비가 미흡하는 등의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 4.1. 조각 공원 보존 및 활용 방안 조사 결과 야외 조각 공원의 보존·관리는 대부분 관리 기준에 맞게 주변 환경정비가 잘 이루어 지고 있었으나 조사된 조각공원 중 부설 조각공원인 청풍랜드 조각 공원은 주변 정비가 미흡하 고 편의시설 부족과 장기간 비워져있는 작품에 대한 안내판 미설치 등의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속리산 조각 공원, 충주호 조각 공원, 탄금대 조각 공원 등돠 같이 주변에 편의 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고 관람객의 접근성도 높은 장소에 조성된 공원은 주변 정비가 상대적으 로 잘 이루어져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조각 공원의 접근성, 이용성, 주변 환경과의 조화, 주변자원과의 연계성 등을 고려한 활용 방안을 찾는다면 보다 체계적인 보존,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조각 공원은 설립 취지에 따라 작품의 구상, 방향성, 미술사적 의미 등이 다르게 적용되어 지기 때문에 조각 공원 설립과 연계된 유기적인 전시 및 교육, 홍보 간행물 제작, 체험활동 등이 이루어지고 문화정보 교육의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다면 보다 높은 접근 성, 이용성, 소통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4.2. 조각 작품 보존 방안 야외 조각 공원에 설치된 조각 작품은 충청북도 공공조형물의 건립 및 관리기준에 관한 조례 제10조 “공공조형물 등이 훼손된 경우 필요한 보수조치 및 장기간의 보수일 경우 안내판 설치 등 관리”가 필요하다고 나타나 있다. 또한 제2조에서는 “공공조형물 등이 균열 등으로 파손되 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는 경우 원상회복 및 원형보존을 위한 수리와 형상변경을 위한 수리 등”을 보수로 정의하고, “공공조형물 등이 미관에 있어 불량한 경우 미관향상을 위해 필요한 제반조치”를 보존처리로 정의하고 있다. 그리나 실사 결과는 관리 주체의 명확성을 떠나 조사가 이루어진 조각 공원의 모든 작품은 보수 및 보존처리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작품을 직접 확인한 결과와 조각 작품에 대한 보수 및 보존처리가 이루어 졌다는 문헌과 자료 등이 전무해 이와 같이 판단 하였다. 조각 공원에 설치된 작품은 대형 작품이 많고 근래에 설치된 작품이라 훼손의 정도가 낮을 것이라는 인식으로 인해 보수 및 보존처리가 대부분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잘 유지되고 있는 조각 공원의 주변 환경 관리와는 다르게 조각 작품 보수, 보존처리 전문 인력이 없으며, 예산과 인력 부족을 이유로 작품의 예술성, 내구성, 안정성 등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로 방치되거나 구조적인 문제가 발생해 폐기되기도 한다<그림 24>. 이렇게 방치된 조각 작품은 작품성의 훼손으로 가치가 떨어지며, 작가가 보여주고자 했던 예술성을 점차 잃어가고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작품의 훼손으로 인해 본래의 형태, 색감, 광택 등이 왜곡되어 보이는 현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관람객들에게는 지속적으로 잘못된 정보와 감성이 전달되어 조각 작품 본연의 의미가 퇴색되어지고 있다고 사료된다. 이는 주변의 편의시설을 잘 갖추고 있다고 하더라도 작품성과 예술성이 없어진다면 작품을 찾는 관람객도 감소할 것이며, 조각 공원 본래의 의미를 퇴색시킬 수밖에 없다고 판단된다<그림 25, 26>.. 15) http://www1.elis.go.kr/newlaib/index_new.jsp(행정안전부 자치법규정보 시스템 확인 가능함) 292.

(11) 그러나 이렇게 손상된 조각 작품을 보수하고 보존처리하기 위해서는 보존처리자와 작가, 관리 주체 또는 작품과 관련이 있는 의사결정권자 등의 논의가 반드시 필요하며, 이를 통해 작품 원본성의 확보 정도, 보존·복원의 범위, 재료의 선정 등이 이루어진 후에 보존처리가 이루어져 야 할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보존처리가 이루어지고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이루어진다면 조각 작품의 항구적인 보존·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조각 공원 및 작품이 전달하고자 했던 본래의 의미도 되살아날 수 있을 것이다.. <그림 25> 충주호 조각공원 설치 작품(작품명 : 온유한 사랑) 비교 분석(a : 2000년도 설치 당시 사진(출처 : 충주호 조각공원 도록), b : 부식생성물로 인해 손상된 조각 작품 사진 2018년(출처 : 저자 소장), c : 부식생성물과 산성비 등에 의한 손상 사진 2018년(출처 : 저자 소장)). <그림 26> 충주호 조각공원 설치 작품(작품명 : 숲) 비교 분석(a : 2000년도 설치 당시 사진(출처 : 충주호 조각공원 도록), b : 이끼류와 지의류에 의해 손상된 조작 작품 2018년 사진(출처 : 저자 소장), c : 손상된 조각 작품 세부 사진 2018년(출처 : 저 자 소장)). <그림 27> 충주호 조각공원 설치 작품(작품명 : 꿈) 비교 분석(a : 2000년도 설치 당시 사진(출처 : 충주호 조각공원 도록), b : 도포된 도료릐 변색과 박락으로 손상된 조각 작품 2018년 사진(출처 : 저자 소장), c : 변색 및 탈락된 도료 부분 세부 사진 2018년(출처 : 저자 소장), d : 변색 및 탈락된 도료 부분 세부 사진 2018년(출처 : 저자 소장)). 기초조형학연구 20권 5호 (통권95호). 293.

(12) 5. 결론 및 제언 야외 조각 공원의 조성은 대중의 요구와 정부의 정책에 따라 각 지역에 상당 수 조성되어져 왔으며, 현재 진행형이다. 그러나 조성 후 관리적인 측면에서는 관리 점검의 미흡, 관리 주체의 무관심, 관리 소홀, 작품 유지 보수 및 보존처리에 대한 전문가 부제 및 예산 부족 등의 다양한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다. 이에 충청북도 지역에 조성된 조각 공원에 대해 이루어진 실사 결과 를 바탕으로 보존관리 방안에 대하여 몇 가지 제언을 해보고자 한다. 첫째, 명확한 관리 주체의 선정 및 인식의 전환이 이루어져야 한다. 실사 결과 대부분 관리 주체는 명시되어 있으나 전문 관리 인력 또는 전담 부서 등은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문화재청이 2010년부터 수행해 온 “문화재 돌봄사업”이 대안이 될 수 있 다. 문화재 돌봄사업은 현재 전국 17개 시·도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2019년 기준 7587개소 의 문화재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경미한 수리 등을 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을 배치해 체계 적으로 관리, 감독하고 있어 유사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된다면 조각 공원의 보존, 관리도 체계 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야외 조각 공원 및 설치된 작품의 데이터베이스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야외 조각 공원과 설치된 작품의 현황은 조사 기간 중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웹사이트 또는 일부 발간된 도록 등으로 한정되어 있어 정확한 정보와 자료구축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될 것으로 판단된다. 조각 공원은 명칭, 설립년도, 설립과정, 면적, 의의 등 전반적인 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가 조각 공원 입구에 설치된 안내판과 웹사이트에서 일부 확인이 가능하였지만 거의 대부분이 확인이 불가한 상태였다. 또한 공원에 설치된 작품은 작가명, 설치년도, 제목 등의 기본적인 현황만 알 수 있도록 되어있거나 안내판이 훼손되거나 미설치된 작품도 상당수 존재하였다. 작품의 의미, 재질, 제작기법 등 보다 깊이 있는 내용을 안내판과 웹사이트 등을 통해 전달할 수 있다면 전시, 교육, 홍보의 목적으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기록화 작업이 필수적으로 뒤따라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조각 공원 및 작품에 대한 전수조사와 작가와 의 소통을 통해 데이터베이스화, 레퍼런스 구축 등이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전문지식을 갖춘 인력을 통한 주기적인 보존, 관리 및 점검이 필요하다. 조각 공원과 설치된 조각 작품은 “공공조형물의 건립 및 관리기준에 관한 조례”에 따라 법적인 근거는 마련 되어 있지만 실제적으로 적용되어지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야외에 설치된 조각 작품 의 경우 외부 환경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어 물리, 화학, 생물학적 원인과 인위적인 피해가 복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작품의 원형성, 예술성, 독창성, 안정성, 전달성 등 을 훼손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관련 예산 과 전문 인력을 확보하여 체계적인 보존, 관리와 보존처리, 주변 환경 정비 등이 이루어져야한 다. 또한 체크리스트 또는 상태점검 기록카드 등의 개발을 통해 정기적인 점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될 것으로 판단되며, 점검 사항을 바탕으로 보존처리 전문가를 통한 상태점검, 클리닝, 강화처리, 코팅처리, 복원 등 보존처리가 작품의 상태에 따라 정기적으로 이루어진다 면 작품의 항구적인 보존·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야외 조각 공원과 설치된 작품의 보존, 관리에 대한 문제점은 전문가 및 언론 등을 통해 지속적 으로 노출되고 있으나 여전히 국민적 관심이 부족하고 예산 및 인력 부족을 이유로 방치되어지 고 있다. 또한 공원에 설치 된 조각 작품도 부식 및 노화, 훼손되어 작품이 갖는 본래의 예술성, 독창성은 퇴색되고 왜곡된 이질감을 주고 구조적인 안정성까지 문제가 되면서 흉물로 남아있 는 경우도 많아 조각 공원을 조성할 당시의 의의를 찾아볼 수 없다. 그러나 조각 공원 및 작품에 대한 국민적 인식이 향상되고 정부 및 지자체의 관심과 관리 주체 가 보다 명확히 이루어진다면 본래의 의미를 되찾을 수 있다고 사료된다. 이를 위해서는 체계 적인 조각 공원의 관리와 점검, 과학적인 보수 및 보존처리가 이루어지고 작품의 보존, 관리에 대한 연구, 개발과 전시, 교육, 홍보, 휴식 공간으로서의 변화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야외 조각 공원의 의미를 되찾고 보다 개선된 방향으로 발전될 수 있을 것이며, 본 논문이 그러한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294.

(13) 참고문헌 서민우, 서상우, 『세계조각공원』, 미세움, 2016 충주호 조각공원 조성 추진위원회, 『충주호 조각 공원』, 금석출판사, 2000 THE GETTY CONSERVATION INSTITUTER, 『Concrete』, Getty Publications, 2018 THE STARK COLLECTION AT THE GETTY CENTER,『Conserving Outdoor Sculpture』, Getty Publications, 2010 김 겸, 「미술장르별 보존복원 방법 및 사례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김지은, 「서울 올림픽 조각공원에 관한 문화사회학적 고찰」,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박희정, 「국내 야외조형물 보존의 현황 및 사례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오승준, 「한국 야외 금속 조형물 표면 보존용 왁스의 개발 및 물성에 관한 연구」, 한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윤철현, 「한국 조각 전문 미술관·조각공원의 현황과 문제점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이해연, 「국내 조각공원의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https://korean.visitkorea.or.kr/detail/ms_detail.do?cotid=09880a13-a502-411a-8d98-d3eb8376 38b1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277701&cid=40942&categoryId=37154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644634&cid=51896&categoryId=54013 http://woonbo.kr/artnote/board.php?board=kkkmain&command=skin_insert&exe=insert_iboard1_h ome http://www1.elis.go.kr/newlaib/index_new.jsp. 기초조형학연구 20권 5호 (통권95호). 295.

(14)

(15)

참조

관련 문서

관광 안내서를 살피던 그는 실망스러운 듯 고개를 저으며 '안내소에 비치돼 있는 부산에 대한 관광 안내서에는 그때나 지금이나 판에 박힌 내용만 담겨있다'며 '당

-새로운 직무수행을 위한 지식 및 기능습득에 대한 조언. -커리어 초기단계에서 관리 및 기술적 인간관계에 대한 조언 -기업의

-새로운 직무수행을 위한 지식 및 기능습득에 대한 조언. -커리어 초기단계에서 관리 및 기술적 인간관계에 대한 조언 -기업의

 1990년대의 건축에 있어 보수성에 대한 노골적인 증거는 문화적 아이콘으로서의 미술관에 대한 지배력임.  미술관은 종교건물, 공원,

생각열기 애셔의 미술 작품 살펴보기 생각펼치기 바닥을 채워라 테셀레이션. 생각다지기 틴커캐드로

이러한 인체 조각 작품 활동을 통해 인체 구상표현에 대해 깊은 감명을 받았고, 나 아가 역동적인 인체조각의 표현에 다양한 시도와 독창적인 표현의 가능성을 발견 할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대에서 60대까지의 한방다이어트를 통해 체중감량을 시도한 과체중과 비만군에 속하는 남성들을 대상으로 식습관,생활습관,운동 습관 및

◦ 관리계획에서는 공원녹지의 관리 및 정비계획과 공원녹지의 운영에 대한 관리체계 및 관리 효율화에 대한 방안을 마련하여, 다양한 수요계층에 대한 효율적인 프로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