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Signet Ring Cell Carcinoma in Patient with Gastric Cancer, is it belong to the Undifferentiated Type?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Signet Ring Cell Carcinoma in Patient with Gastric Cancer, is it belong to the Undifferentiated Type?"

Copied!
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대한외과학회지:제 71 권 제6호 Vol. 71, No. 6, December, 2006. □ 원 저 □. 위에 발생한 인환세포암은 미분화형에 속하는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공필성․송교영․임근우․김승남․박조현. Signet Ring Cell Carcinoma in Patient with Gastric Cancer, is it belong to the Undifferentiated Type?. Key Words: Gastric cancer, Signet ring cell carcinoma, Pathology 중심 단어: 위암, 인환세포암, 병리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Department of Surger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Pil Sung Kong, M.D., Kyo Young Song, M.D., Keun Woo Lim, M.D., Seung Nam Kim, M.D. and Cho Hyun Park, M.D. Purpose: Although many studies on the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ignet ring cell (SRC) carcinoma of the stomach have been made, there is no consistent report of the characteristics and prognosis of this condition. In this study, the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and prognosis of patients with SRC and non-SRC gastric cancer were compared. Methods: Between 1990 and 2002, 1,884 patients, who underwent a curative resection for gastric cancer in our hospital,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Among them, 185 (9.8%) patients with SRC were compared with 1,699 (90.2%) patients with non-SRC. Results: SRC in gastric cancer was found more commonly in younger patients and women. The depth of the invasion in the SRC patients was less invasive and a lymph node metastasis is less frequent. A higher frequency of the depressed gross type and middle third tumor location in SRC are similar characteristics of the undifferentiated type of gastric cancer. However, SRC in EGC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to the differentiated type of gastric cancer such as a higher rate of mucosa-confined tumors and less frequent lymph node metastasis. The five-year survival rate of SRC in AGC was similar to that of other pathologic types, and the pathologic type does not influence the survival rate. Conclusion: SRC patient in EGC should be considered as a differentiated type. Therefore, the mucosa confined tumor and less frequent lymph node metastases are expected. (J Korean Surg Soc 2006;71:404-412). 서. 론. WHO 분류에 의하면 세포질 내 형성된 점액이 세포의 가 장자리로 핵을 밀어내는 양상을 보이는 세포-인환세포-가 전체 종양의 50% 이상을 차지할 때 인환세포암이라고 정의 하며,(1) 우리나라에서 위에 발생한 인환세포암은 전체 위 암의 8.7∼17.9%를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2-4) 인환세포암은 조직병리학적으로 미만, 침윤성 성장으로 인해 Lauren 분류에서 diffuse type, Ming 분류에서 infiltrative type, 그리고 조직 분화도에 따른 분류에서 미분화형으로 분류되어 예후가 나쁠 것으로 예상되지만, 병의 경과나 예 후는 다른 특성을 보여주고 있어 아직 학자들 간에 일치된 의견은 없는 상태이다. 이에 저자들은 위암환자에서 인환세포암과 다른 조직형 암과의 임상병리학적 특성과 예후를 비교 분석하여, 인환 세포암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본 연구는 1990년 1월에서 2002년 12월까지 타 장기 원발 암이 없고 조직학적으로 위선암으로 진단되어 수술 받은 환자 1,884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비교 분석은 두 가지 방법으로 시행하였다. 첫째 비교 방 법은 전체 대상자를 인환세포암 환자군과 비인환세포암 환 자군 두 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고, 다시 전체대상자를 조기 위암과 진행성 위암으로 나누어 각각에서 인환세포암과 비 인환세포암과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두 번째 비교 분석은 인 환세포암 환자 이외의 대상자를 조직학적 분류상 유두상 선 암종, 고분화 및 중분화 관상 선암종을 분화형(differentiated. 책임저자:박조현, 서울시 서초구 반포동 505번지 ꂕ 137-040, 강남성모병원 외과 Tel: 02-590-1436, 1437, Fax: 02-595-2992 E-mail: chpark@catholic.ac.kr 접수일:2006년 8월 7일, 게재승인일:2006년 9월 7일. 404.

(2) 공필성 외:위에 발생한 인환세포암은 미분화형에 속하는가?. 405.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Table 1. Patients number in each groups and pathologic types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Group Pathologic type EGC (n=667) AGC (n=1,199) Missing (n=18) Total (n=1,884)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SRC Signet ring cell Ca. 91 90 4 185 Differentiated 386 447 6 839 Papillary 8 10 18 Well diff.-tubular 171 44 215 Mod diff.-tubular 207 393 6 606 Undifferentiated 190 662 8 860 Poor diff.-Tubular 183 618 8 809 51 Mucinous 7 44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type) 환자군으로, 저분화 관상 선암종과 점액 선암종을 미분 화형(undifferentiated type) 환자군으로 나누어 각 환자군을 인 환세포암 환자군과 비교하였고, 다시 조기위암과 진행성 위 암 환자에서 이들 세 군 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비교 변수는 환자군 간의 성별, 나이, 종양의 크기, 육안 적 형태, 호발부위, 수술방법, 위벽의 침윤도, 림프관 침습 여부, 림프절과 원격 전이 여부, UICC 병기로 하였고, 인환 세포암과 비인환세포암 환자군 간의 5년 생존율과 분화형, 미분화형과 인환세포암 환자군 간의 5년 생존율을 알아보 았다. 육안적 형태는 EGC type I, IIa, IIb와 Borrmann type I인 경우 Elevated or flat type으로, EGC에서 type IIc 혹은 III을 포함하는 경우나 Borrmann type I과 IV를 제외한 나머 지 형은 Depressed type으로, 그리고 Borrmann type IV는 따 로 분류하였다. 통계학적 분석은 SPSS (version 10.0)을 사용하였으며, 임 상 병리학적 특성 비교 가운데 두 군 간의 나이와 종양크기 의 평균비교는 Student's t-test를 이용하였고, 두 군 간의 성 별분포, 육안적 형태, 호발부위, 수술방법, 위벽의 침윤도, 림프관 침습 여부, 림프절 전이와 원격전이 여부, UICC 병 기분포는 Chi-square test를 이용하였다. 생존율은 KaplanMeier법으로 생존곡선을 구하고, Log-Rank test로 검정하였 다. 모든 검증의 유의수준은 P<0.05로 하였다.. 결. 과. 인환세포암 환자는 185명으로 전체 연구대상 위암 환자 에서 9.8%의 빈도를 보였다. 비인환세포암 환자 가운데 분 화형 환자군은 839명(44.5%)이었고, 미분화형 환자군은 총 860명(45.6%)이었다(Table 1). 1) 인환세포암 환자군과 비인환세포암 환자군 간의 비 교분석 (1) 전체대상자: 인환세포암은 비인환세포암에 비해 비교 적 여성의 발생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평균연령이 낮. 았으며, 육안적으로 함몰형이 많았고, 위장의 중간 1/3에 위 치한 경우가 많았으며, 위벽의 침윤도가 낮았고, 림프관 침 습이 적었으며, 림프절 전이의 빈도도 낮았다. 따라서 전체 적인 병기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Table 2). 하지만, 두 군 간 병변의 평균크기, 수술방법, 원격전이의 차이는 없는 것 으로 나타났다. (2) 조기 위암환자: 전체대상자의 분석에서와 비슷하게 성별, 평균연령, 육안형, 발생위치, 위벽 침윤도의 차이를 보 였으나, 림프관 침습과 림프절 전이의 빈도는 전체 대상자 에서와는 다르게 통계학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Table 3). (3) 진행성 위암환자: 성별, 평균연령, 병기에서만 차이를 보였을 뿐 나머지 다른 변수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able 4). (4) 생존율 분석: 전체 환자에서 인환세포암 환자군과 비인 환세포암 환자군 간의 전반적인 생존율은 인환세포암 환자군 에서 5년 생존율이 71.7%로, 비인환세포암 환자군의 63.7%보 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Fig. 1) (P=0.0293), 질병특이 생존 율은 두 군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2050). 2) 분화형 및 미분화형 비인환세포암 환자군과 인환세 포암 환자군 간의 비교분석 (1) 전체 대상자 ① 인환세포암이 미분화형의 특성을 나타내는 경우; 인 환세포암 환자 가운데 여성이 차지하는 비중이 42.7% (79 명)로 분화형 환자군의 21.9%에 비해 여성의 발생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며(P=0.000), 미분화형 환자군(39.0%)과 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344). 육안적 형태는 분화형 환자군에서 평탄하거나 융기된 형태가 비교적 많은 반면 (12.8%), 미분화형 환자군과 인환세포암 환자군에서는 비교 적 적었다(4.5%, 3.0%). 호발 부위는 미분화형 환자군과 인 환세포암 환자군에서 분화형 환자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근 위부에 호발하며, 수술방법의 선택에서도 분화형 환자군에 서보다는 미분화형과 인환세포암 환자군에서 전절제술의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Table 5)..

(3) 406. 대한외과학회지:제 71 권 제 6 호 2006.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Table 2. Clinicopathologic features in patients with SRC and non-SRC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Non-SRC (%) SRC (%) P value (n=1,699) (n=185)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Gender 0.001 Male 1,180 (69.5) 106 (57.3) Female 519 (30.5) 79 (42.7) Age (years) 56.9 51.8 0.000 Tumor size (cm) 5.2 5.0 0.502 Gross type 0.042 Elevated or flat 136 (8.6) 5 (3.0) Depressed 1,356 (86.2) 149 (90.9) Borrmann type IV 81 (5.1) 10 (6.1) Location 0.043 Upper 1/3 145 (8.6) 10 (5.5) Middle 1/3 600 (35.8) 83 (45.6) Lower 1/3 921 (54.9) 87 (47.8) Operation 0.662 Total gastrectomy 373 (22.6) 43 (24.0) Subtotal gastrectomy 1,279 (77.4) 136 (76.0) Depth of invasion 0.000 T1 576 (34.2) 91 (50.3) T2 608 (36.1) 44 (24.3) T3 416 (24.7) 39 (21.5) T4 85 (5.0) 7 (3.9) Lymphatics invasion 0.000 Negative 745 (46.2) 107 (60.8) Positive 869 (53.8) 69 (39.2) LN metastasis 0.000 Negative 792 (47.8) 111 (61.7) Positive 866 (52.2) 69 (38.3) Distant metastasis 0.559 Negative 1,546 (91.2) 171 (92.4) Positive 150 (8.8) 14 (7.6) UICC stage 0.000 Ia 497 (29.3) 83 (44.9) Ib 305 (18.0) 29 (15.7) II 267 (15.7) 21 (11.4) IIIa 211 (12.4) 10 (5.4) IIIb 89 (5.2) 10 (5.4) IV 328 (19.3) 32 (17.3)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② 인환세포암이 분화형의 특성을 나타내는 경우; 인환 세포암의 위벽 침습도는 분화형과 비슷한 분포를 보이고 있었으나(P=0.105), 미분화형과는 차이를 보였다(P=0.000). 림프관 침습과 림프절 전이 여부 또한 분화형과 비슷한 양 상을 보인 반면(P=0.088, P=0.142), 미분화형과는 차이를 보 였다(P=0.000, P=0.000). UICC 병기별 환자의 분포 또한 분 화형의 특성을 보이며(P=0.191), 미분화형과는 차이를 보였. Table 3. Clinicopathologic features in EGC patients with SRC and non-SRC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Non-SRC (%) SRC (%) P value (n=576) (n=91)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Gender 0.003 Male 406 (70.5) 50 (54.9) Female 170 (29.5) 41 (45.1) Age (years) 56.3 50.5 0.000 Tumor size (cm) 3.0 3.6 0.057 Gross type 0.002 Elevated or flat 107 (18.9) 5 (5.6) Depressed 459 (81.1) 84 (94.4) Location 0.011 Upper 1/3 23 (4.0) 5 (5.5) Middle 1/3 185 (32.3) 43 (47.3) Lower 1/3 365 (63.7) 43 (47.3) Operation 0.071 Total gastrectomy 58 (10.1) 15 (16.5) Subtotal gastrectomy 516 (89.9) 76 (83.5) Depth of invasion 0.038 Mucosa 268 (46.5) 53 (58.2) Submucosa 308 (53.5) 38 (41.8) Lymphatics invasion 0.070 Negative 473 (83.7) 82 (91.1) Positive 92 (16.3) 8 (8.9) LN metastasis 0.180 Negative 495 (86.1) 83 (91.2) Positive 80 (13.9) 8 (8.8)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다(P=0.000). ③ 어떠한 군의 특성도 보이지 않은 경우; 위암 발생의 평균 연령은 분화형 환자군에서 59.3세로 가장 높게 나타났 으며, 인환세포암 환자군의 경우 51.8세로 가장 낮았다. 종 양의 크기는 분화형 환자군에서 평균 5.9 cm로 가장 컸으 며, 인환세포암 환자군은 5.0 cm였고, 저분화형 환자군은 4.3 cm로 가장 작았다. (2) 조기위암환자: 전체 대상자 가운데 조기위암 환자는 667명(35.4%)이었으며, 이 가운데 분화형 환자군은 386명으 로 조기위암 환자의 57.9%를 차지하였고, 전체 분화형 환자 군에서 차지 비율은 46.0% (386/839)였다. 조기위암 환자 가 운데 미분화형 환자는 190명(28.5%)으로 전체 미분화형 환자 군에서 22.1% (190/860)의 빈도를 보였다(Table 6). 조기위암 환자 중 인환세포암 환자는 91명(13.6%)이었으며, 전체 인환 세포암 환자에서 49.2% (91/185)의 비중을 차지하였다. 따라 서, 미분화형에서 조기위암의 빈도가 가장 낮았고, 분화형과 인환세포암에서는 조기위암의 빈도가 비슷하였다. 조기위암 환자에 있어서 인환세포암 환자의 임상병리학 적 특성은 전체 대상자에서의 분석과 비슷하게 성별 분포,.

(4) 공필성 외:위에 발생한 인환세포암은 미분화형에 속하는가?. 407.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Table 4. Clinicopathologic features in AGC patients with SRC and non-SRC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Non-SRC (%) SRC (%) P value (n=1,109) (n=90)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Gender 0.046 Male 766 (69.1) 53 (58.9) Female 343 (30.9) 37 (41.1) Age (years) 57.2 53.0 0.002 Tumor size (cm) 6.3 6.4 0.699 Gross type 0.094 Elevated or flat 29 (2.9) 0 Depressed 896 (89.2) 64 (86.5) Borrmann type IV 80 (8.0) 10 (13.5) Location 0.201 Upper 1/3 122 (11.1) 5 (5.6) Middle 1/3 415 (37.7) 40 (44.4) Lower 1/3 554 (50.3) 43 (47.8) Operation 0.607 Total gastrectomy 315 (29.2) 28 (31.8) Subtotal gastrectomy 763 (70.8) 60 (68.2) Depth of invasion 0.526 T2 608 (54.8) 44 (48.9) T3 416 (37.5) 39 (43.3) T4 85 (7.7) 7 (7.8) Lymphatics invasion 0.524 Negative 272 (25.9) 25 (29.1) Positive 777 (74.1) 61 (70.9) LN metastasis 0.413 Negative 297 (27.4) 28 (31.5) Positive 786 (72.6) 61 (68.5) Distant metastasis 0.847 Negative 963 (87.1) 79 (87.8) Positive 143 (12.9) 11 (12.2) UICC stage 0.005 Ib 234 (21.1) 22 (24.4) II 261 (23.6) 20 (22.2) IIIa 211 (19.0) 10 (11.1) IIIb 89 (8.0) 10 (11.1) IV 313 (28.2) 28 (31.1)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육안적 형태, 호발 부위와 수술방법 등은 미분화형 환자군 과 비슷한 양상을 보인 반면, 종양의 위벽 침습도, 림프관 침습과 림프절 전이 여부는 분화형 환자군과 비슷한 결과 를 보였다. 평균 연령은 전체 대상자에서와 비슷하게 분화형 환자군 이 58.2세로 가장 많았고, 인환세포암 환자군은 50.5세로 가 장 낮았다. 종양의 평균 크기 또한 분화형 환자군이 2.7 cm 로 가장 작았으며, 인환세포암과 미분화형 환자군은 각각 3.6 cm과 3.7 cm로 비슷하였다.. Fig. 1. Five-year survival between SRC and Non-SRC gastric carcinoma patients. (A) Overall survival, (B) Disease specific survival.. (3) 진행성 위암환자: 진행성 위암환자에서 인환세포암은 전체대상자에서처럼 성별분포, 육안적 형태, 호발 부위, 수 술방법의 선택에서 분화형 환자군과는 차이를 보이고, 미분 화형 환자군과는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Table 7). 하지만, 인 환세포암이 분화형 환자군과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미분화 형과는 다른 양상을 보였던 위벽의 침습도, 림프관 침습 여 부, 림프절 전이 여부는 모든 군에서 서로 차이가 없었다. (4) 생존율 분석: UICC 병기분류에 따른 각 병기별 생존 율을 각 조직학적 분류군별로 비교한 결과, 조직학적 특성 에 따른 생존율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8).. 고. 찰. 병리학적으로 인환세포암은 점막층의 glandular neck region에서 기원하여, 세포 내 점액의 과도한 생성으로 핵을 세 포의 가장자리로 밀어내는 양상(도장을 새긴 반지모양)을 보 이는 세포가 전체의 50% 이상을 함유한 선암으로, 세포 외에 점액을 함유하고 조기위암이 드물며 예후가 불량한 점액성.

(5) 408. 대한외과학회지:제 71 권 제 6 호 2006.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Table 5. The clinicopathologic comparison between SRC group and other groups in gastric cancer patients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Differentiated (%) SRC (%) Undifferentiated (%) SRC (%) P value P value (n=839) (n=185) (n=860) (n=185)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Gender 0.000 0.344 Male 655 (78.1) 106 (57.3) 525 (61.0) 106 (57.3) Female 184 (21.9) 79 (42.7) 335 (39.0) 79 (42.7) Age (years) 59.3 51.8 0.000 54.6 51.8 0.007 Tumor size (cm) 4.3 5.0 0.007 5.9 5.0 0.002 Gross type 0.000 0.263 Elevated or flat 101 (12.8) 5 (3.0) 35 (4.5) 5 (3.0) Depressed 679 (86.3) 149 (90.9) 677 (86.1) 149 (90.9) Borrmann type IV 7 (0.9) 10 (6.1) 74 (9.4) 10 (6.1) Location 0.000 0.109 Upper 1/3 48 (5.8) 10 (5.5) 97 (11.4) 10 (5.5) Middle 1/3 255 (30.8) 83 (45.6) 345 (40.5) 83 (45.6) Lower 1/3 523 (63.2) 87 (47.8) 398 (46.8) 87 (47.8) Operation 0.002 0.099 Total gastrectomy 120 (14.7) 43 (24.0) 253 (30.2) 43 (24.0) Subtotal gastrectomy 694 (85.3) 136 (76.0) 585 (69.8) 136 (76.0) Depth of invasion 0.105 0.000 T1 386 (46.3) 91 (50.3) 190 (22.3) 91 (50.3) T2 274 (32.9) 44 (24.3) 334 (39.2) 44 (24.3) T3 138 (16.6) 39 (21.5) 278 (32.6) 39 (21.5) T4 35 (4.2) 7 (3.9) 50 (5.9) 7 (3.9) Lymphatics invasion 0.088 0.000 Negative 432 (53.7) 107 (60.8) 313 (38.6) 107 (60.8) Positive 372 (46.3) 69 (39.2) 497 (61.4) 69 (39.2) LN metastasis 0.142 0.000 Negative 456 (55.7) 111 (61.7) 336 (40.0) 111 (61.7) Positive 363 (44.3) 69 (38.3) 503 (60.0) 69 (38.3) Distant metastasis 0.759 0.199 Negative 779 (93.1) 171 (92.4) 767 (89.3) 171 (92.4) Positive 58 (6.9) 14 (7.6) 92 (10.7) 14 (7.6) UICC stage 0.191 0.000 Ia 338 (40.3) 83 (44.9) 159 (18.5) 83 (44.9) Ib 145 (17.3) 29 (15.7) 160 (18.6) 29 (15.7) II 115 (13.7) 21 (11.4) 152 (17.7) 21 (11.4) IIIa 88 (10.5) 10 (5.4) 123 (14.3) 10 (5.4) IIIb 35 (4.2) 10 (5.4) 54 (6.3) 10 (5.4) IV 117 (14.0) 32 (17.3) 211 (24.6) 32 (17.3)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위선암(mucinous gastric carcinoma)과 구별이 필요하다.(1) 발생 빈도는 일본에서 3.4∼10.3%, 우리나라에서 8.7∼ 17.9%, 서양에서 29%로 동양에서보다 서양에서 더 많은 것 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이러한 지리적 차이의 원인은 인종 간의 유전적, 지역적 식이습관, H. pylori 감염률의 차이로 생각된다.(2-6) 본 연구에서도 인환세포암이 9.8%의 빈도를 보여 비교적 낮은 발생률을 보였다. 지금까지 발표된 인환세포암의 특성 비교 연구의 비교. 대상은 인환세포암 이외의 모든 종류의 위암과 비교 연구 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인환세포암 환자군과의 비교 대상 을 분화형 환자군과 미분화형 환자군으로 나누어 각각에서 두 군 간의 임상병리학적 특성 및 생존율을 비교한 것에 특징이 있다. 기존의 비교 연구에서 인환세포암 환자군의 특성으로 Kim 등(2), Otsuji 등(5), Maehara 등(6)과 백 등(7)은 여성의 발생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음, 발생연령이 비교적 낮음, 조.

(6) 공필성 외:위에 발생한 인환세포암은 미분화형에 속하는가?. 409.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Table 6. The clinicopathologic comparison between SRC group and other groups in EGC patients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Differentiated (%) SRC (%) Undifferentiated (%) SRC (%) P value P value (n=386) (n=91) (n=190) (n=91)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Gender 0.000 0.640 Male 296 (76.7) 50 (54.9) 110 (57.9) 50 (54.9) Female 90 (23.3) 41 (45.1) 80 (42.1) 41 (45.1) Age (years) 58.2 50.5 0.000 52.3 50.5 0.268 Tumor size (cm) 2.7 3.6 0.000 3.7 3.6 0.865 Gross type 0.000 0.103 Elevated or flat 85 (22.3) 5 (5.6) 22 (11.9) 5 (5.6) Depressed 296 (77.7) 84 (94.4) 163 (88.1) 84 (94.4) Location 0.000 0.716 Upper 1/3 12 (3.1) 5 (5.5) 11 (5.8) 5 (5.5) Middle 1/3 105 (27.4) 43 (47.3) 80 (42.1) 43 (47.3) Lower 1/3 266 (69.5) 43 (47.3) 99 (52.1) 43 (47.3) Operation 0.006 0.882 Total gastrectomy 28 (7.3) 15 (16.5) 30 (15.8) 15 (16.5) Subtotal gastrectomy 356 (92.7) 76 (83.5) 160 (84.2) 76 (83.5) Depth of invasion 0.122 0.007 Mucosa 190 (49.2) 53 (58.2) 78 (41.1) 53 (58.2) Submucosa 196 (50.8) 38 (41.8) 112 (58.9) 38 (41.8) Lymphatics invasion 0.116 0.042 Negative 321 (84.7) 82 (91.1) 152 (81.7) 82 (91.1) Positive 58 (15.3) 8 (8.9) 34 (18.3) 8 (8.9) LN metastasis 0.298 0.088 Negative 336 (87.3) 83 (91.2) 159 (83.7) 83 (91.2) Positive 49 (12.7) 8 (8.8) 31 (16.3) 8 (8.8)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기위암의 비율이 높음, 위의 전정부보다 위 체부에 호발함, 림프절 전이가 비교적 적음, 병기가 낮음, 근치적 절제비율 이 높음을 다른 조직형 위암과의 차이점이라고 하였다. 일반적으로 위암은 성비가 남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원에서도 전체 위암 환자의 성비는 2.2:1 정도로 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인환세포암 환자군에서는 1.3:1 정도로 여성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다른 여러 보고들에서도 공통적인 특성으로 언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환세포암의 성별발생빈도는 미분화 형과 비슷하게 나타나서 미분화암의 특성을 보여줌을 알 수 있었고, 여성에서 인환세포암이 발생할 경우 분화형이 나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남성에서 분화형이 많고 여성에 서 미분화형이 많은 이유로 Sipponen과 Correa(8)는 성호르 몬(estrogen)과 H. pylori 위염이 여성에서 늦게 발생함으로 인해 위암이 늦게 발생함을 들었다. 발생연령은 인환세포암이 다른 암에 비해 젊은 나이에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2,6,7) 본 연구에서도 분화 형 환자군, 미분화형 환자군, 인환세포암 환자군의 순으로 평균 발생 연령이 높아서, 인환세포암 환자군의 평균발생. 연령이 가장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인환세포암 환자군의 평 균발생연령이 낮은 이유로 Hyung 등(4)은 인환세포암의 육 안적 형태가 함몰형이 많은 관계로 내시경적으로 발견이 용이하고, 특징적인 조직학적 형태로 인해 진단이 용이함 을 들었으며, 본 연구에서도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지만 인 환세포암 환자군에서 함몰형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종양의 평균크기는 조기위암에서 분화형이 가장 작았지 만 미분화형과 인환세포암 간의 차이는 없었으며, 진행성 위암에서는 세 군 모두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아, 평균 크기 에서는 인환세포암의 특징을 알 수 없었다. 육안형태는 조기위암에서 인환세포암은 다른 암에 비해 함몰형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Hyung 등(4) 이 보고한 바와 같이 진단이 용이하게 되어 조기 진단율이 높게 되고, 따라서 인환세포암에서 조기위암이 많은 것으 로 생각한다. 진행형 위암에서의 경우 다른 여러 보고에서 인환세포암은 융기형이 적은 것으로 나타나 있으며, 본 연 구에서는 한 예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Borrmann type IV 의 비율이 미분화암 환자군과 인환세포암 환자군에서 분화 암 환자군에 비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이는 인환세포암.

(7) 410. 대한외과학회지:제 71 권 제 6 호 2006.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Table 7. The clinicopathologic comparison between SRC group and other groups in AGC patients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Differentiated (%) SRC (%) Undifferentiated (%) SRC (%) P value P value (n=447) (n=90) (n=662) (n=90)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Gender 0.000 0.540 Male 354 (79.2) 53 (58.9) 412 (62.2) 53 (58.9) Female 93 (20.8) 37 (41.1) 250 (37.8) 37 (41.1) Age (years) 60.1 53.0 0.000 55.2 53.0 0.105 Tumor size (cm) 5.8 6.4 0.095 6.6 6.4 0.640 Gross type 0.000 0.426 Elevated or flat 16 (4.0) 0 13 (2.2) 0 Depressed 382 (94.3) 64 (86.5) 514 (85.7) 64 (86.5) Borrmann type IV 7 (1.7) 10 (13.5) 73 (12.2) 10 (13.5) Location 0.021 0.223 Upper 1/3 36 (8.1) 5 (5.6) 86 (13.1) 5 (5.6) Middle 1/3 150 (33.8) 40 (44.4) 256 (40.3) 40 (44.4) Lower 1/3 257 (57.9) 43 (47.8) 297 (45.1) 43 (47.8) Operation 0.035 0.630 Total gastrectomy 92 (21.4) 28 (31.8) 223 (34.4) 28 (31.8) Subtotal gastrectomy 338 (78.6) 60 (68.2) 425 (65.6) 60 (68.2) Depth of invasion 0.065 0.962 T2 274 (61.3) 44 (48.9) 334 (50.5) 44 (48.9) T3 138 (30.9) 39 (43.3) 278 (42.0) 39 (43.3) T4 35 (7.8) 7 (7.8) 50 (7.6) 7 (7.8) Lymphatics invasion 0.572 0.518 Negative 111 (26.1) 25 (29.1) 161 (25.8) 25 (29.1) Positive 314 (73.9) 61 (70.9) 463 (74.2) 61 (70.9) LN metastasis 0.467 0.408 Negative 120 (27.6) 28 (31.5) 177 (27.3) 28 (31.5) Positive 314 (72.4)) 61 (68.5) 472 (72.7) 61 (68.5) Distant metastasis 0.925 0.804 Negative 389 (87.4) 79 (87.8) 574 (86.8) 79 (87.8) Positive 56 (12.6) 11 (12.2) 87 (13.2) 11 (12.2) UICC stage 0.229 0.052 Ib 99 (22.1) 22 (24.4) 135 (20.4) 22 (24.4) II 114 (25.5) 20 (22.2) 147 (22.2) 20 (22.2) IIIa 88 (19.7) 10 (11.1) 123 (18.6) 10 (11.1) IIIb 35 (7.8) 10 (11.1) 54 (8.2) 10 (11.1) IV 111 (24.8) 28 (31.1) 202 (30.6) 28 (31.1)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의 미만성, 침윤성 성장의 특성을 잘 나타내는 것으로 보이 며,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Kim 등(3)은 진행성 위암에서 인 환세포암은 다른 암에 비해 예후가 나쁘다고 하였지만, 본 연구에서는 병기별 생존율 분석 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인환세포암의 발생 부위는 다른 위암과 마찬가지로 전정 부에 가장 호발하지만, 분화암 환자군에 비해서는 위 체부 의 발생비율이 높았고, 미분화암 환자군과 통계적 차이는 없었지만 좀 더 위 체부의 발생비율이 높았다. 이러한 이유 로 Sugano 등(9)은 인환세포암은 장형화생이 없는 Fundic. gland에서 기원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이로 인해 본원에 서의 수술적 치료방법도 위전절제술이 비교적 많았다. 위벽 침윤도는 분화암 환자군에서처럼 조기위암의 빈도 가 미분화암 환자군에 비해 높았으며, 조기위암에서도 미 분화암 환자군에서는 점막하암의 빈도가 높았지만, 분화암 환자군과 인환세포암 환자군에서는 점막암의 빈도가 비교 적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외 여러 보고에서도 일치된 의견을 보이고 있으며,(2,5-7) 이처럼 인환세포암의 위벽침 윤도가 낮아 조기위암의 빈도가 높은 이유로 Yamagiwa 등.

(8) 공필성 외:위에 발생한 인환세포암은 미분화형에 속하는가?. 411.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Table 8. Five-year survival rates according to stages and tumor pathologies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5 year survival rate Stage Pathologic type groups Number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Overall (%) P value Disease-specific (%) P value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Ia Differentiated 338 93.9 0.2347 98.2 0.9264 Undifferentiated 159 93.4 98.1 Signet ring cell 83 92.0 95.1 Ib Differentiated 145 83.3 0.0207 85.7 0.1334 Undifferentiated 160 91.4 95.0 Signet ring cell 29 96.6 96.6 II Differentiated 115 72.8 0.4679 76.4 0.9702 Undifferentiated 152 67.7 71.6 Signet ring cell 21 66.3 75.6 IIIa Differentiated 88 44.3 0.1477 52.9 0.6793 Undifferentiated 123 55.8 59.8 Signet ring cell 10 78.8 78.8 IIIb Differentiated 35 30.5 0.3235 34.6 0.1922 Undifferentiated 54 38.1 44.4 Signet ring cell 10 30.0 30.0 IV Differentiated 117 8.0 0.9061 18.6 0.8717 Undifferentiated 211 9.2 16.0 Signet ring cell 32 10.7 13.8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10)은 인환세포암이 점막 내에 spreading type으로 넓게 하 며 점막하층으로의 침윤이 다른 것에 비해 매우 천천히 진 행한다고 하였고, Sugihara 등(11)은 암의 형성이 점막 외보 다는 점막 내에서 주로 일어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림프관 침습과 림프절 전이는 진행성 위암에서 모두가 차 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조기위암에서는 분화암 환자군과 인 환세포암 환자군의 경우 림프관 침습과 림프절 전이가 미분 화암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기위암에서 림프절 전이가 낮은 이유로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인환세포암 환자 군은 조기위암에서도 점막에 국한된 경우가 다른 종류에 비 해 많았고, 림프관 침습이 낮기 때문인 것으로 보였다. 원격 전이가 본 연구에서는 모두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 았는데, 백 등(7)은 진행성 인환세포암은 Borrmann type IV 의 비율이 높고, 림프절 전이율도 다른 장막 침윤성 위암보 다 높아 복막 전이의 빈도가 높다고 하였다. 조직형에 따른 병기 분포는 분화암과 인환세포암 환자군 이 미분화암 환자군에 비해 침윤도가 낮고, 림프절 전이율 이 낮아 병기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예후가 조기위암에서는 인환세포암 환자군이 다른 형에 비해 좋고, 진행성 위암에서는 나쁘다고 알려져 있었지 만,(3,7) 본 연구에서는 조직형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 으며, 단지 병기에 의해서만 차이가 있었다. Adachi 등(12)은 조직형에 따라서도 예후의 차이가 있다고 하여, 분화형 환 자군이 저분화형 환자군에 비해 예후가 좋다고 하였지만,. UICC 병기별 분석이 아니었으며, 본 연구의 UICC병기별 분 석에서는 조직형에 따른 예후의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결. 론. 인환세포암은 비인환세포암에 비해서 젊은 나이에, 그리 고 상대적으로 여성에서 호발하며, 육안적 형태와 호발부 위는 저분화형의 특징을 보이지만, 조기위암인 경우 치료 방향 결정에 중요한 위벽침습도와 림프절 전이율이 낮아 고분화형의 특징을 보여 치료방법을 결정하는데 참고하여 야 하겠다. 진행성 위암에서 기존에는 인환세포암이 예후 가 나쁜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위벽침습도, 림프절 전이 와 원격전이 등이 다른 종류의 위암과는 차이를 보이지 않 을 뿐만 아니라 병기에 따른 생존율에도 차이를 보이지 않 아 조직형의 종류는 예후와 무관하고, 단지 병기만이 유일 한 예후 인자로 보아야 할 것이다.. REFERENCES 1) Liu C, Crauford JM. The gastrointestinal tract. In: Robbins SL, Cotran RS, editors. Pathologic Basis of Disease. 7th ed. China: Elsevier Saunders; 2005. p.797-827. 2) Kim DY, Park YK, Joo JK, Ryu SY, Kim YJ, Kim SK, et al.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ignet ring cell carci-.

(9) 412. 대한외과학회지:제 71 권 제 6 호 2006.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noma of the stomach. ANZ J Surg 2004;74:1060-4. 3) Kim JP, Kim SC, Yang HK. Prognostic significance of signet ring cell carcinoma of the stomach. Surg Oncol 1994;3:221-7. 4) Hyung WJ, Noh SH, Lee JH, Huh JJ, Lah KH, Choi SH, et al. Early gastric carcinoma with signet ring cell histology. Cancer 2002;94:78-83. 5) Otsuji E, Yamaguchi T, Sawai K, Takahashi T. Characterization of signet ring cell carcinoma of the stomach. J Surg Oncol 1998;67:216-20. 6) Maehara Y, Sakaguchi Y, Moriguchi S, Orita H, Korenaga D, Kohnoe S, et al. Signet ring cell carcinoma of the stomach. Cancer 1992;69:1645-50. 7) Baik SH, Hyung WJ, Lee JH, Lee KY, Noh SH, Min JS. The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and prognosis of gastric signet ring cell carcinoma. J Korean Surg Soc 2000;59:771-7.. 8) Sipponen P, Correa P. Delayed rise in incidence of gastric cancer in females results in unique sex ratio (M/F) pattern: etiologic hypothesis. Gastric Cancer 2002;5:213-9. 9) Sugano H, Nakamura K, Kato Y. Pathologic studies of human gastric cancer. Acta Pathol Jpn 1982;32(Suppl 2):329-47. 10) Yamagiwa H, Yoshimura H, Onishi T. A clinicopathological study of signet-ring cell carcinomas of the stomach. Gan No Rinsho 1990;36:45-9. 11) Sugihara H, Hattori T, Fukuda M, Katsura K, Fujita S. Progression of signet ring cell carcinomas in the human stomach. Cancer 1993;71:1938-47. 12) Adachi Y, Yasuda K, Inomata M, Sato K, Shiraishi N, Kitano S, et al. Pathology and prognosis of gastric carcinoma. Cancer 2000;89:1418-24..

(10)

수치

Table  1.  Patients  number  in  each  groups  and  pathologic  types
Table  3.  Clinicopathologic  features  in  EGC  patients  with  SRC  and  non-SRC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Non-SRC  (%) SRC  (%) P  value (n=576) (n=91)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Gender 0.003
Fig. 1. Five-year  survival  between  SRC  and  Non-SRC  gastric  carcinoma  patients

참조

관련 문서

현재 간암(Hepatocellular carcinoma) 1차치료제, 대장암(Colorectal cancer) 3차 치료제, 위암(Gastric cancer) 2차 치료제, 선양낭성암(Adenoid cystic

Patients with breast cancer; ovarian cancer; renal cell carcinoma; pancreatic neuroendocrine cancer; colorectal cancer; head and neck cancer; non-small cell lung

Results: 44 of 1048 patients with gastric cancer(4.1%) had synchronous and metachronous cancers. The average time interval between gastric cancer and secondary primary cancer

It also suggest that cell proliferation inhibits by a novel signal transduction for adenosine effect in human FaDu hypopharynx squamous cell carcinoma cells....

Differential Expression of Desmoglein1, Desmoglein3, Epithelial Membrane Antigen, Ber-EP4 and CD10 in Basal Cell Carcinoma and Squamous Cell Carcinoma

connection type abutment had larger marginal gap than the external-hex connection type abutment, it is more difficult to make customized abutment of the internal-hex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cent trend in incidence of basal cell carcinoma and squamous cell carcinoma in patients from the Gwangju City

ƒ Monosaccharide may be present in the form of Monosaccharide may be present in the form of a linear or ring structure. ƒ In solution it is in the form 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