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대량출혈을 동반한 공장게실 1예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대량출혈을 동반한 공장게실 1예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Copied!
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S 84

■ S-43 ■

대량출혈을 동반한 공장게실 1예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이호찬, 장병익

위장관 출혈로 입원하는 환자는 많지만 상세 불명의 위장관 출혈, 특히 공장 게실 출혈로 입원하는 경우는 드물다. 공장 게실 출혈이 있을 경우 위내시경 또는 대장내시경으로 병변을 확인할 수 없어 진단이 어렵기 때문에 수술을 통해 진단 및 치료를 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저자 들은 반복적인 내시경 및 영상의학 검사에서 원인을 찾지 못한 위장관 출혈 환자에서 소장 출혈을 의심하여 수술 시행 후 공장 게실 출혈을 진단하고 치료한 1예를 경험하여 보고한다. 뇌경색으로 신경과에 입원 중인 67세 여자 환자가 흑색변이 지속되어 소화기 내과에 의뢰되었다.

위내시경 검사에서 역류성 식도염, 위염이 관찰되었지만 출혈 원인으로 생각되는 병변이 없었고 S-결장경 검사에서 직장에 약간의 혈괴가 관찰되었지만 역시 출혈 부위는 없었다. 복부 전산화 단층 촬영에서도 특이 소견이 없었다. 흑색변과 혈색소 감소가 지속되어 다음날 위내시 경을 다시 시행하였으나 출혈 부위가 없어 대장내시경을 시행하였다. 전대장에 걸쳐 다량의 혈액과 혈괴가 관찰되었지만 정확한 출혈부위는 관찰되지 않았다. 소장 출혈의 가능성을 고려하여 일반외과로 전과하여 수술을 시행하였으며 공장 게실 출혈이 확인되어 소장 부분 절제술 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합병증은 없었고 환자 상태 안정되어 현재 외래에서 경과 관찰 중이다. 상세 불명의 위장관 출혈 원인이 소장에 있는 경우 진단이 어렵다. 따라서 출혈의 원인에 대해 적극적으로 검사할 필요가 있으며 흔한 출혈의 원인이 배제된 후에는 드물지만 가능 한 원인으로 소장 게실을 반드시 생각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시험적인 개복술도 고려해야 하겠다.

■ S-44 ■

DRESS syndrome in a patient on sulfasalazine for ulcerative colitis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Division of Gastroenterology, College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Kyung Hwan Kang, M.D., Hwang Bo Young, M.D., Hyo Jong Kim, M.D.

DRESS (Drug Rash with Eosinophilia and Systemic Symptoms) is a severe adverse drug reaction characterized by fever, skin rash, lymph node enlargement, and multiple intestinal organ involvements, which starts within 8 weeks after the initiation of the drug therapy. The anticonvulsants and sulfonamides are the most common causes, the mortality rate is at least 10%. However, few cases of DRESS were reported, and sulfasalazine induced DRESS in ulcerative colitis was not reported in Korea. We experienced a case of a 22-year-old man who had been on sulfasalazine for 6 weeks to treat ulcerative colitis and then developed fever, skin rash, generalized edema ten days ago. Blood tests showed leukocytosis with atypical lymphocytosis, acute hepatitis and cholestasis. Abdominal CT showed hepatosplenomegaly, and histologic findings of skin biopsy raised the possibility of drug induced hypersensitivity. The patient was diagnosed as having DRESS syndrome,sulfasalazine was discontinued and systemic steroid was started. Then, the patient was recovered completely.

참조

관련 문서

Allergic asthma is a chronic inflammatory disease of the airways, characterized by airway eosinophilia, goblet-cell hyperplasia, and mucus hypersecretion in response

Key Words: Sphingosine 1-phosphate, G protein-coupled receptor, Fingolimod, FTY720, Drug discovery,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FDG uptakes within the primary tumor using SUVmax and local extension, lymph node or distant organ metastasis in NSCLC patients who

④ 다기관 과민 반응(DRESS: Drug Reaction with Eosinophilia and Systemic Symptoms): 항간질약 투여 시 다른 기관과 관 련된 열과 발진이 나타나는 다기관 과민 반응(호산구증가증,

Adverse drug reactions related to hospital admission in Slovak elderly patients.. Socio-demo- graphic factors related to the prevalence of adverse drug reaction

We described the clinical and histopathologic findings of the involved skin, lymph node, liver, and bone marrow in 40 patients with AOSD in order to assist in proper diagnosis

GPN is characterized by severe, unilateral lancinating and par- oxysmal pain on tongue base, throat, and tonsil, triggered by swal- lowing, chewing, coughing, yawning, etc

neonates following photo therapy and is characterized by a diffuse gray-brown pigmentation of the skin. 1-3) Bronze baby syndrome (BBS) is a rare condition that develo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