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마샬플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마샬플랜"

Copied!
3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나토와 마샬플랜

김 진 호

2014년 1학기

(2)

마샬플랜

마샬플랜

• 정식 명칭은 유럽 부흥계획(European Recovery Program;ERP).

• 미국의 후원으로 제2차 세계대전 후의 서·남 유럽의 경제를 재건하여, 민주주 의 국가들이 살아남을 수 있는 안정된 조건을 만들고자 세운 계획(1948~52).

• 미국의 국무장관 조지 C. 마샬은 1947년 6월 5일 하버드대학교에서 행한 연 설을 통해 유럽의 자립계획에 미국이 재정지원을 할 의사가 있음을 밝힘.

• 마셜 플랜을 위해 특별히 설립된 '경제협력국'(ECA)은 폴 G. 호프만의 지휘 아래 이후 4년간 약 120억 달러에 달하는 경제원조를 제공.

• 동구권 국가들도 마샬 플랜에 의한 원조를 받고 싶었으나 소련의 개입으로 성 사되지 못함.

(3)

마샬플랜

마샬플랜

2/35

• 원래 명칭은 유럽재건계획(ERP: European Recovery program) 이고 유럽 경제의 부흥과 재건을 돕고 이를 통해 안정을 도모하고자 한 미 국의 정책이다. 미(美)국무장관 조지 마샬

(George C. Marshall)은 하버드 대학교에서 1947년 6월 5일 마샬플랜으로 알려진 대 유럽 복구 계획을 언급하였다. 장기적으로 200억 달 러의 예산을 들여 유럽을 재건한다는 것이다.

1953년 까지 미국은 총 130억 달러의 지원을 계 속하였다. 1947년 6월 말 파리 외상회의에서 소 련은 이를 강력히 반대하였다.

조지 마샬은 2차대전을 성공적으로 이끈 전쟁영웅이 다. 전후 미국의 외무부 장관직을 수행 하게 된다.

(4)

마샬플랜

마샬플랜

1947년 6월 5일 조지 마샬 외무부 장관이 하버드 대학교 졸업식에 참석해 연설하 3/35 기 위해 들어가고 있다. 이 연설에서 마샬은 유럽재건계획을 제시했다.

(5)

마샬플랜

마샬플랜

1948년 4월 3일 트루먼은 마샬플랜에 기초한 경제협력법에 서명하고 행정부처에 4/35 경제협력부(ECA)를 신설.

(6)

마샬플랜

마샬플랜

트루먼과 마샬은 봉쇄정책의 일환으로 마샬정책을 수행. 이 정책은 공산주의 세력 5/35 의 확산을 결정적으로 막았다는 평가를 받는다.

(7)

마샬플랜

마샬플랜

마샬플랜 실행안

6/35

(8)

마샬플랜

유럽경제협력기구 (OEEC:Organization for European Economic Cooperation)

• 유럽 부흥계획, 즉 마셜플랜에 따라 각국의 노력을 조정하여 유럽 경제를 복구 시키기 위해 설치

• OEEC의 많은 기능 중에는 특히 회원국간의 교역량 제한조치들을 폐지하고, 회원국간에 부족한 자원을 상호 배분하며, 경제적 공동 관심사를 논의할 정기 회담을 위한 체제의 구상 등이 포함되었다. 1961년 OEEC는 비유럽국가들도 포함시키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로 대체되었다. OECD는 1948년 마셜플 랜에 따라 유럽경제 회복노력을 조정하기 위해 설립되었던 유럽경제협력기구 (OEEC)를 확장 개편한 기구이다

(9)

마샬플랜

전후 독일의 모습

1945년 3월 점령 직 후 폐허가 된 함부르크 시내

(10)

마샬플랜

전후 독일의 모습

1945년 3월 점령 직 후 폐허가 된 본(Bonn) 시내

(11)

마샬플랜

전후 독일의 모습

1945년 폐허가 된 베를린의 브란덴부르크 문 주변

(12)

마샬플랜

전후 영국 런던의 모습, 폐허가 된 런던 시내

(13)

마샬플랜

배급을 기다리는 아이들

(14)

마샬플랜

전 후 1945-1946 뉘른베르크에서 열린 전범 재판

(15)

마샬플랜

화폐 개혁 단행 1948년 6월 20일

(16)

마샬플랜

마샬플랜의 일환으로 도로를 건설 중인 모습

(17)

마샬플랜

마샬플랜의 홍보용 포스터

(18)

서독정부의 수립

제헌의회에서 기본법을 공표하였다. 나중에 통일 의회가 헌법 을 다시 만들것을 대비 헌법이라 부르지 않고 기본법

(Grundgesetz)이라고 함.

(19)

서독정부의 수립

1949년 9월 12일 아데나워가 연합군 고 등판무관을 소개하고 있다. 양탄자 위에 는 연합군이 자리잡는 것으로 되어 있었 다.

양탄자 위에 있는 것은 의전에 어긋났으 나 아데나워는 실행하였다.

(20)

나토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 전후 동유럽에 주둔한 소련군과의 군사 적 균형을 맞추기 위해 체결된 북대서양 조약(워싱턴 조약이라고도 함)의 수행기 구.

• 1949년 4월 조인되었으며, 1949년 8월 24일부터 효력을 발생했다. 북대서양조 약기구(NATO)는 그후 유럽 내에서 반공 세력을 형성하고 있던 서유럽 국가들의 기본적인 집단방위조약으로 지속되었다.

(21)

나토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 회원국은 그리스· 네덜란드· 노르웨이· 덴마크· 독일(서독, 1955~90)· 룩셈부 르크· 미국· 벨기에· 스페인· 아이슬란드· 영국· 이탈리아· 체크· 캐나다· 터키·

포르투갈· 폴란드· 프랑스· 헝가리 등이다. 1952년 2월 가입한 그리스와 터키, 1955년 5월 가입한 서독, 1982년 5월 가입한 스페인, 1999년 3월 가입한 체 크·폴란드·헝가리를 제외하고는 모두 원래의 조인국들이다. 프랑스는 NATO의 회원국으로는 계속 남아 있었으나, 1966년 NATO 통합군에서 탈퇴했다.

(22)

바르샤바조약기구

바르샤바조약기구

• 상호방위기구(바르샤바 조약기구)의 창설을 목적으로 소련과 그 위성국가인 불가리아· 체코슬로바키아· 동독· 헝가 리· 폴란드· 루마니아 사이에 체결된 조약(1955. 5. 14).

• 조약의 효력은 30년간이며 알바니아는 회원국이었다가 1968년 탈퇴했다. 조 약은 통합군사령부의 설치와 소련군의 회원국 영토 주둔권을 규정하고 있는데 1980년대 초반 바르샤바 조약기구의 병력규모는 거의 475만 명을 육박했다.

(23)

바르샤바조약기구

바르샤바조약기구

• 조약체결의 직접적인 계기는 서독을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에 가입시킬 것 을 결의한 파리 협정이었으나 자신의 위성국들에 대한 지배를 강화하기 위한 소련의 체계적인 계획에 불과했다. 계획은 1955년 초반 권력을 장악한 니키타 흐루시초프와 니콜라이 불가닌에 의해 수행되었으며 조약을 통해 외교적인 발 언권과 위성국들에 대한 간섭을 강화시켰다. 조약은 최종조항에서 동·서 집단 안보조약이 체결될 경우 자연히 효력을 상실하게 됨을 규정하고 있다.

(24)

바르샤바조약기구

경제상호원조회의(CMEA:Council for Mutual Economic Assistance)

• 전후 동유럽국가 들에 대한 소련의 무역 및 경제 종속은 가속화되었다. 경제적 으로 고립된 동유럽의 국가들은 서유럽의 보이콧에 대항하여 별도로 사회주의 권의 시장을 형성하려는 스탈린의 계획에 동참하게 된다. 1949년 1월 5일에서 8일까지 있었던 모스크바 경제 회의에서 창설된 CMEA는 동구권과 소련과의 장기적인 경제 협력 체제를 구축한다. 기관의 주요 설립 목적은 마샬플랜의 원 조를 기대했던 체코슬로바키아, 폴란드, 헝가리와 같은 동구권을 회유하고 중 부유럽에 대한 통제권을 강화하려는 스탈린의 의도가 깔려있었다.

(25)

바르샤바조약기구

경제상호원조회의(CMEA:Council for Mutual Economic Assistance)

• 스탈린은 공산당이 우세한 동구권 국가들에게 마샬플랜 원조인 유럽재건계획 (ERP)에 동참하지 못하도록 강력히 압력을 행사했다. CMEA는 소련, 체코슬 로바키아, 불가리아, 헝가리, 폴란드, 루마니아등 6개국으로 시작했고 알바니 아가 2월에 이듬해 동독이 가입했다. 이 기관은 동구권의 공산주의 정권이 몰 락한 1991년 해체

(26)

1차 베를린 위기

1차 베를린위기(베를린 봉쇄 1948.6.24-1949.5.12)

• 1차 베를린 위기는 연합국 관할의 서베 를린의 육로를 소련이 막아버린 상황임.

• 미국 B-29 폭격기가 고립된 서베를린에 물자를 공급하고 있는 장면.

(27)

1차 베를린 위기

1차 베를린위기(베를린 봉쇄 1948.6.24-1949.5.12)

• 베를린 봉쇄는 냉전 시기 미국과 소련의 격렬했던 대립을 나타내주는 중요한 사 건이다. 스탈린은 베를린육로를 차단했 는데 이에 대해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서 방승전국들은 강력히 대처했다. 트루먼 정부는 베를린 공수를 단행했다.

(28)

1차 베를린 위기

1차 베를린위기(베를린 봉쇄 1948.6.24-1949.5.12)

• 베를린 봉쇄를 통한 미소간 긴장은 양 진영이 절대로 양보하지 않겠다는 확고 한 의지를 보여준다. 베를린 봉쇄를 주 목해야 되는 이유는 이것이 어느 일방적 인 진영의 위기가 아니라 양측 모두 위 기감을 가졌다는 데 있다.

공수된 물품을 내리고 있다.

(29)

1차 베를린 위기

1차 베를린위기(베를린 봉쇄 1948.6.24-1949.5.12)

• 스탈린이 베를린 봉쇄를 단행했을때 미 국이 어떠한 양보도 하지 않았다는 것 은 독일문제를 해결할 의지가 없으며 독 일분단의 현상을 기정사실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스탈린은 베를린 봉 쇄를 통해 위기를 조성했으나 미국 역시 마찬가지로 베를린 공수로 위기를 조성 했다. 베를린 공수는 미국이 서방점령지 구에 단독정부를 수립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드러낸 것이었다.

베를린에 공급할 우유를 싣고 있다

(30)

1차 베를린 위기

1차 베를린위기(베를린 봉쇄 1948.6.24-1949.5.12)

• 마샬플랜과 통화개혁은 시장경제를 강 화하고 사회주의의 확산을 막으려는 공 세적 행위였다. 따라서 스탈린은 미국의 이러한 정책들에 대해 매우 두려움을 가졌다. 베를린 봉쇄는 베를린 공수를 유발했다. 베를린 공수는 다른 위기들 을 유발했으며 통화개혁과 마샬플랜에 대한 양보할 수 없는 미국정부의 의지를 보여준다. 1차 베를린 위기를 통해 냉전 의 본질을 이해할 수 있다.

서베를린 공항인 템펠호프에 대기중인 공수지원기들

(31)

6.25 전쟁

6.25 전쟁(한국전쟁)

• 자본주의와 공산주의체제가 충돌해 열 전으로 작은 의미에서 세계전쟁

• 6.25는 미국과 소련의 대리전

• 6.25 전쟁의 결과로는 전 세계가 더 이 상 대규모의 큰 전쟁을 하지 않고, 이미 나누어진 “현상”을 유지하는 것을 목표 로 삼게 됨

맥아더와 인천상륙작전

(32)

6.25 전쟁

6.25 전쟁(한국전쟁)

불타고 있는 소련제 T-34전차, 1950년 9월

(33)

6.25 전쟁

6.25 전쟁(한국전쟁)

32/35 아버지에게 보낼 편지를 읽고 미소짓는 한국 7사단 병사.

이 병사는 다음날 최전방 고지에서 전사했다.

(34)

6.25 전쟁

6.25 전쟁(한국전쟁)

1950년 11월 20일 미2사단 병력이 청천강에서 작전을 펼치고 있다

(35)

6.25 전쟁

6.25 전쟁(한국전쟁)

34/35 1950년 12월 중공군 개입으로 전세가 악화된 가운데 코세어기

(F4U-5)가 미해병대에게 근접항공지원(CAS)을 하고 있다

(36)

6.25 전쟁

6.25 전쟁(한국전쟁)

1953년 7월 27일 판문점 휴전협정조인

(37)

감사합니다

참조

관련 문서

ㅇ (공론장 참여) 사전학습 후 미래세대 공론장, 권역별 공론장과 시민대토론회에 참여하여 분 임토의에서 ‘친환경 폐기물관리정책과 자체매립지 조성 공론화’ 에 대한

• 수에즈 위기를 통해 프랑스는 미국에 대한 배신감을 느끼고 유럽 통합에 박차 를 가함.. 드골

[r]

탄소중립 시대를 맞는 기업의 우려와 생존 전략] 기업들은 탄소중립 시대라는 패러다임 변화 속에서 기후 와 위기를 인지하고, 기회를 포착해 기업의 핵심 역량 을

나무 젓가락은 쇠젓가락보다는 약하지만

만약 한국사회가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고 안전한 사회를 건설하려면, 이제까지 의 고도성장과정에서 형성된 구조와 문화를 바꾸어야 한다. 이를 위해 독일의 경

STEAM교육 활동과 연계한 New-Space (공간혁신) 조성 SNS프로젝트 진행을 통해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민의 「역사의 개념에 대하여」에서 파울 클레의 그림을 해석한 사실을 인용함 으로써 벤야민의 개념과의 직접적인 연관을 드러낸다(23쪽). 뿐만 아니라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