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지적장애학생의 읽기 능력과 읽기 흥미에 미치는 영향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지적장애학생의 읽기 능력과 읽기 흥미에 미치는 영향"

Copied!
2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 교신저자(rainendman@hanmail.net) 2019, Vol. 35, No. 3, pp.111-133

노래를 활용한 균형적 언어 교수가

지적장애학생의 읽기 능력과 읽기 흥미에 미치는 영향

정 윤 우*(점촌고등학교 교사)

<요 약>

연구목적: 본 연구는 노래를 활용한 균형적 언어 교수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지적장애학생의 읽기 능력 및 읽기 흥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하고 있는 지적장애학생 30명을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각 15명씩을 편성하였다. 그 후 실험집단에는 노래를 활용한 균형적 언어 교수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읽기 직접 교수를 주 2회씩 총 16회기의 실험을 실시한 후 읽기 능력 검사와 읽기 흥미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한 자 료처리는 기술통계와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적장애학생을 대상으로 노래 를 활용한 균형적 언어 교수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읽기 직접 교수 프로그램을 실시한 통제집단에 비 해 실험집단의 읽기 능력 사후검사 전체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하위 영역인 낱말이해, 문장완성, 어휘 선택, 문장배열 및 짧은글이해 영역에서도 실험집단의 평균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적장애학생을 대상으로 노래를 활용한 균형적 언어 교수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 의 읽기 흥미 점수가 읽기 직접 교수 프로그램을 실시한 통제집단에 비해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 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노래를 활용한 균형적 언어 교수는 지적장애학생들의 읽기 특성과 개별적인 흥미를 반영한 적합한 읽기 전략의 한 방법이라는 것을 확인하는 연구로서 의의를 가진다.

<주제어> 균형적 언어 교수, 지적장애, 읽기 능력, 읽기 흥미

(2)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글을 읽는 것은 단순하게 글자나 텍스트를 소리 내어 읽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읽기 (reading)는 독자가 텍스트에 제시된 단어나 문장을 읽고, 의미를 파악하여 이해하는 과정이다.

독자가 텍스트를 읽기 위해서는 제시된 문자나 문장의 형태를 지각하고, 텍스트가 가지고 있는 정보를 파악한 후 자신의 배경지식을 활용하여 의미를 추출하거나 구성하는 능동적인 사고의 과정이 필요하다. 읽기는 독자가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사고로 텍스트를 해독(decoding)하고, 내용 을 이해(comprehending)하며, 학습(learning)하고, 기억(remembering)하는 과정을 통해 의미를 형성하 는 것이다(이차숙, 노명완, 2003). 즉 읽기는 의사소통 행위이면서 동시에 사고 행위이다. 학습자 가 읽기 능력을 갖춘다는 것은 학습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동시에 읽기 활동을 통해 학습자의 사고력이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읽기에 어려움이 있는 학습자는 국어뿐만 아니라 다른 교과의 학업수행에도 큰 어려움을 겪 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학업 성취가 낮을 수밖에 없다. 학습자가 글을 읽고 의미를 이해하는 복잡한 과정을 하기 위해서는 읽기에 대한 다양한 지식과 기술이 요구된다(박선희, 김애화, 2019). 하지만 읽기 기술이 부족하고, 내용 이해력이 낮은 학습자의 경우 그들은 글 전체의 주 제어(keyword)나 중심 단어, 중심 문장을 찾는 것에 어려움을 겪는다. 또한 문장 간의 논리적 연 결 구조를 이해하지 못하여 글의 정보가 가진 의미와 정보의 응집 형태를 파악하지 못한다. 이 러한 읽기의 문제는 학습자의 읽기 기술이나 읽기 이해에만 한정되어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주 의집중의 문제와 읽기 태도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리고 읽기 능력이 부족한 학습자는 읽기 에 대한 흥미가 낮고, 읽기 자체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를 보일 수 있다. 즉 학습자가 가진 읽기 에 어려움은 학습에만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읽기와 관련된 여러 가지 상황에 서도 다양한 곤란을 겪을 수 있으며, 사회․정서적 측면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이 일화, 김동일, 2010).

지적장애학생의 경우 음운인식 능력이 낮고, 음의 생략․대치와 같은 오류 현상이 많으며, 단어인식 기술이 부족하여 해부호화과정상의 결함을 나타내는 읽기 특성을 보인다(정준극, 2012). 이로 인해 지적장애학생은 읽기 과정에서 필요한 주요 개념을 이해하는 능력이 낮고, 문 맥 단서를 활용하지 못하며, 내용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보이고, 읽기 과정에서 단어를 정확히 발음하는 것에만 집중하여 텍스트를 이해하는 것에 결함을 나타내기도 한다. 또한 지적장애학 생들은 정교화 전략, 요점 찾기 등의 상위인지 기술을 활용하는데 제한으로 인해 다양한 읽기 전략을 사용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이영재, 여광응, 2000). 즉 지적장애학생들은 낮은 주 의집중과 투입 정보를 조직화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전략을 산출하고 사용 것이 어려우며, 새로

(3)

운 정보를 조작하거나 전이하는 것에도 한계를 나타낼 수 있다. 지적장애학생의 읽기 특성과 결함으로 인하여 그들은 또래나 동학년에 비하여 수개월에서 5~6년 정도 차이의 읽기 지체를 보일 수 있으며, 누적된 읽기 지체로 인하여 읽기 중심의 교과를 학습하거나 과제를 수행하는 데 심각한 어려움을 나타내며, 다른 교과의 학습에서도 좌절감을 겪어 학습의 흥미가 낮아질 수 있다(정준극, 2012). 지적장애학생들은 읽기 과정에서 좌절한 경험으로 인해 읽기에 부정적인 인식과 태도를 나타내며(장혜정, 신현기, 2017), 이것이 학교생활에도 영향을 주어 그들이 소극 적으로 행동하는 경향을 나타낼 수 있다. 지적장애학생의 읽기의 어려움과 결함을 방치할 경우 학습과 일상생활에서까지 읽기 문제가 지속될 수 있다. 따라서 지적장애학생이 학습과 일상생 활에서 겪을 수 있는 읽기의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해 그들에게 적절한 읽기 지도 방법을 제공 할 필요가 있다(Bell & Perfetti, 1994).

읽기를 효과적으로 지도하는 방법 중 최근에 가장 활발하게 연구되는 문해 교수 방법은 음 운 중심 교수법(Phonics Approach)과 총체적 언어 교수법(Whole Language Approach), 그리고 균형적 언어 교수법(Balanced Language Approach)이 있다(이옥섭, 2000). 음운 중심 교수법은 학습자의 음 운 인식을 강조하여 지도하는 방법으로 문자와 소리의 관계에 기초하여 읽기를 지도하며, 읽기 에 사용되는 기술과 전략을 조직적이며, 명확하게 직접적으로 교수하는 방법이다. 이를 위해 음 운 중심 접근법에서는 학습자에게 철자법 원리와 음소 구성에 대한 원리를 직접적이며, 체계적 으로 가르친다(Ball & Blanchman, 1991). 반면 총체적 언어 교수법은 문맥 안에서 자연스러운 문 해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의미 있는 읽기 활동을 제공하여 학습자의 사고력을 신장시키는 언어 교육의 한 방법이다. 이러한 총체적 언어 접근법은 텍스트가 가진 의미를 중심으로 언어 의 의사소통적인 측면을 강조한 방법이다(Goodman, 1989). 하지만 음운 중심 접근법은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이 낮은 읽기 기술만을 강조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총체적 언어 접근법은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지도 방법과 글자의 조합 원리를 지도하지 않는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 다(Foorman, 1997; Share & Stanovich, 1995).

균형적 언어 교수법은 음운중심 교수법과 총체적 언어교수법의 활동 요소를 균형 있게 통합 한 프로그램으로 자음과 모음의 체계와 결합원리, 문자와 말소리의 대응관계를 명시적으로 지 도할 뿐만 아니라 학습자에게 풍부한 문해 환경을 제공한다. 즉 균형적 언어 교수법은 학습자 에게 가능한 의미 있는 언어활동을 많이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읽기를 위해 습득해야하는 읽기 기본 기술들을 다양하고 의미 있는 맥락 속에서 직접적이고 명시적으로 가르치는 방법이다(이 차숙, 2004). 또한 이 과정에서 상호작용과 통합된 언어 체계에 대해 강조하는 지도 방법으로 학습자의 발달을 위한 요소들을 통합하고 강화한 접근 방법이다(Share & Stanovich, 1995; Stahl, 1998; Weaver, 1998). 균형적 언어 교수법에서는 학습자에게 단어를 인지하도록 하고, 새로운 접 하는 단어에 대한 해독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한 기술을 가르칠 뿐만 아니라, 학습자가 읽기와 쓰기에 즐겁게 접근하고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하여 언어와 관련된 문학적

(4)

활동도 균형 있게 접근하는 효과적인 문해 교육이다. 즉 균형적 언어 교수법은 읽기의 즐거움 과 학습자의 통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통합적인 읽기 지도 방법인 것이다. 균형적 언어 교수 법을 통해 학습자가 읽기 활동 속에서 자연스럽게 생각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 직접적인 생활 과 관련된 읽기 활동을 제공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다양한 경험들을 습득할 수 있도록 지도한 다. 이러한 측면에서 균형적 언어 교수법은 읽기와 쓰기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학습자에게도 효과적이며(이옥섭, 2000), 읽기에 어려움이 있고 흥미가 낮은 지적장애학생에게 적합한 읽기 교 수 방법일 수 있다.

노래 가사는 줄거리에 음을 붙여 목소리로 표현하는 것으로 일상생활에서 즐길 수 있는 친 숙한 음악 경험이며, 동시에 문학적 활동이다(김은화, 정동영, 2019). 노래는 인간이 가진 감정과 정서, 인지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는 도구이며, 개인이 가진 생각과 느낌을 더욱 풍부하게 표현 할 수 있도록 해줄 뿐만 아니라 감정과 생각을 좀 더 쉽게 변화할 수 있도록 끌어낼 수 있다 (김현정, 김성기, 2014). 노래의 가사는 문자로 표현될 뿐만 아니라 문장, 음정, 호흡, 억양과 리 듬, 강세, 빠르기 등을 다루며, 감정을 표현하고 전달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노래를 교 육 활동에 활용하여 읽기의 어려움과 흥미가 낮은 학습자의 읽기 능력 신장을 위한 연구는 지 속적으로 진행되어 왔다(김은화, 정동영, 2019). 이러한 연구들에서 노래를 활용한 읽기 지도 방 법이 지적장애학생의 읽기 능력의 발달을 촉진할 수 있고, 학습자들은 반복되는 노래 가사의 어휘를 기억하기 쉬워서 어휘력을 발달이 이루어졌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읽기에 흥미 가 낮은 지적장애학생에게 노래 가사를 활용하여 발음 중심의 읽기 지도를 실시하고, 노래를 활용하여 반복적인 리듬과 쉽게 따라 부를 수 있도록 지도하여 지적장애학생이 읽기에 좀 더 쉽고 즐겁게 참여할 수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균형적 언어 교수 프로그램이 읽기에 어려움을 가진 언어발달장애학생 및 읽기장애 학생의 어휘력이나 구문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류인혜, 강창욱, 2012; 이재섭, 이재욱, 2011; 전맹순, 권요한, 2012; 조주현, 2008)와 노래나 동요를 활용한 지도가 영아나 초등학생의 읽기 능력 향상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김경희, 엄정애, 2007; 김순중, 2014;

남수영, 박선호, 2016; 박남현, 문현미, 2012; 김은화, 정동영, 2019)는 이루어져 왔으나, 지적장애 학생의 읽기 능력이나 읽기 흥미에 노래를 활용하거나 균형적 언어 교수 프로그램을 활용한 연 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래를 활용한 균형적 언어 교수가 초등학교 지 적장애학생의 읽기 능력과 읽기 흥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 다. 이를 위해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래를 활용한 균형적 언어 교수가 지적장애학생의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 한가?

둘째, 노래를 활용한 균형적 언어 교수가 지적장애학생의 읽기 흥미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 한가?

(5)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M시, S시에 소재하고 있는 6개 초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4-6학년 지적장 애학생 중에서 의도적 표집으로 30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에 15명, 통제집단에 15명을 편성하 였다. 본 연구의 대상을 선정하기 위해 먼저 지적장애인 특수교육대상자로 선정․배치된 학생 중에서 KISE-KIT(박경숙, 정동영, 정인숙, 2003) 검사를 실시하여 지능 75이하이고, 사회성숙도 검사 결과 생활연령에 비해 사회성 기술이 현저하게 낮은 학생 35명을 선발하였다. 이렇게 선 발된 학생 중에서 ‘노래를 활용한 균형적 언어 교육’에 참여하기 위해 읽기 학습에서 선수기능, 음독, 낱말 이해 등이 가능한 초등학교 지적장애학생 30명을 최종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편성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 연구 대상은 <표 1>과 같다.

구분 N 남(학년) 여(학년) 연령

4 5 6 4 5 6 M SD

실험집단 15 1 1 4 1 3 5 13.05 .887

통제집단 15 1 3 4 1 1 5 12.85 .745

합계 30 14 16 12.95 .814

<표 1> 연구 대상

2. 연구 도구

1) 노래를 활용 균형적 언어 교수 프로그램

본 연구의 실험 도구인 ‘노래를 활용한 균형적 언어 교수 프로그램’은 연구자가 지적장애학 생의 학습 특성과 흥미를 고려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3학년의 문학 영역과 4학년 국어의 한 학기 한권 읽기 영역을 기초로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에서 활용한 노래는 김은화, 정 동영 (2019)의 연구에서 제시한 노래 선정 기준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지적장애학생의 흥미와 관심을 높이기 위해 그들에게 친숙한 노래를 중심으로 노래활동을 구성하였다. 노래는 지적장 애학생들의 감정이나 정서 생활을 표현한 단순하면서도 흥미를 가질 수 있는 노래이며, 가사와 멜로디가 반복적이고, 음폭이 크지 않아 지적장애학생들이 쉽게 부를 수 있으며 생활 속에서 쉽게 접하며, 구성과 표현이 언어능력의 발달에 기여할 수 있는 노래로서 가치가 있는 곡으로 선정하였다. 이에 따라 지적장애학생들이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광고 노래, 대중가

(6)

회기 관련 단원 내용 노래 목표 및 전략

1 읽고 싶은 책 고르기 자신이 고른 책을 편안한

마음으로 읽기 가전제품 회사 광고 노래

§ 텍스트 읽기

§ 음절 수 세기

§ 음절 변별 습득

2 읽고 싶은 책 고르기 자신의 관심과 수준에 맞는

책 선정 기준 만들기 커피 음료 광고 노래

§ 문자 익히기

§ 음절 수 세기

§ 음절 변별 습득

3 책 읽고 이야기 나누기 책을 읽고 이야기 나누기 커피 음료 광고 노래

§ 문자 익히기

§ 음절 수 세기

§ 단어의 종류 구분

4 책 읽고 이야기 나누기 읽기 경험과 느낌을 다른

사람과 나누기 사랑의 배터리

§ 텍스트 읽기

§ 음절 수 세기

§ 단어의 종류 구분

5 책 읽고 이야기 나누기 재미나 감동을 느끼며 작품

을 즐겨 감상하기 어머나

§ 텍스트 읽기

§ 음절 항상성 습득

§ 음절 변별

6 메모하며 책 읽기 책 읽어 주기 동영상 산중호걸 § 문자 익히기

§ 글자를 사용하여 음절 변별 및 결합

7 메모하며 책 읽기 밑줄 긋고 메모하며 읽기 비타민 음료 광고 노래

§ 텍스트 읽기

§ 어휘 산출 및 이해

§ 음절 수 세기

8 메모하며 책 읽기 읽은 내용 확인하기 개구리 왕눈이 주제가

§ 문자 익히기

§ 음소수 세기

§ 자․모음 익히기

9 이야기 실감 나게 읽어 보기

목소리, 표정, 몸짓을 적절

히 사용하여 읽어보기 퐁당퐁당

§ 텍스트 읽기

§ 자․모음 익히기

§ 내용 익히기

10 이야기 실감 나게 읽어 보기

상황에 어울리는 몸짓으로

만들어 연습해 보기 라쿠카라차

§ 텍스트 읽기

§ 어휘 익히기

§ 가회원리의 습득․적용

11 이야기 실감 나게 읽어 보기

동작이 어떤 상황인지 맞춰

보기 목장길따라

§ 문자 익히기

§ 내용 익히기

§ 자소-음소 대응규칙

12 인물의 성격 읽기 ‘독안에 든 빵 작전’ 읽기 동물농장

§ 텍스트 읽기

§ 내용 익히기

§ 자소-음소 대응규칙

13 인물의 성격 읽기 인물의 말이나 행동, 성격

등을 살려 읽기 넌 할 수 있어

§ 문자 익히기

§ 연걸된 단어 읽기

§ 자소-음소 대응규칙 익히기

14 시를 읽고 감각적 표현에 주목하여 시 낭송하기

흉내내는 말을 느끼며 시

낭송하기 새우과자 광고 노래

§ 텍스트 읽기

§ 연걸된 단어 읽기

§ 자소-음소 대응규칙 익히기

15 시를 읽고 감각적 표현에 주목하여 시 낭송하기

감각적 표현의 특징을 살려

시 낭송하기 비타민 음료 광고 노래

§ 텍스트 읽기

§ 내용 익히기

§ 문장읽기

16 자신이 읽은 글을 다른 사 람에게 소개하기

중심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글의 내용을 간추리기 이젠 안녕

§ 텍스트 읽기

§ 내용 익히기

§ 발음 나는 대로 쓰지 않는 글자의 변별

<표 2> 노래 활용 균형적 언어 교수 프로그램

(7)

요, 교과서 수록 노래, 애니메이션 주제가, 인기 동요를 선택하였으며, 노래 가사에 포함된 어휘 가 학생들의 수준과 흥미에 적합하고, 학생들이 쉽게 익힐 수 있는 노래로 선정하여, 국어 교과 내용과 연계하여 지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선정된 노래를 중심으로 하여 Baumann과 Ivey(1997)이 제시한 균형적 언어 교육의 중점을 기 초로 하여 균형적 언어 교수 프로그램의 개념적 구조를 설정하여 텍스트 읽기, 문자 익히기 등 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도구인 ‘노래를 활용한 균형적 언어 교수 프로그램’은 장애학 생 국어지도 경력이 5년 이상 된 특수교육교사 6명, 특수교육학과 교수 1명의 자문을 받아 수 정․보완하였으며 총 16회기의 내용을 구안하였다. 본 연구의 회기별 노래를 활용한 균형적 언 어 교수 프로그램의 활동 내용은 <표 2>와 같다.

2) 읽기 능력 검사

본 연구에서는 지적장애학생의 읽기 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국립 특수교육원 기초학력 검 사-읽기(Korea National Institues for Special Education Basic Academic Achievement Tests-Reading, 이하 KISE-BATT-읽기)’를 사용하였다. ‘KISE-BATT-읽기’검사는 선수 기능, 음독 능력, 독해 능력의 소 검사로 구분되어 있으며, 동형검사인 가․나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초등 학교 지적장애학생의 수준과 특성을 고려하고, 연구 목적을 구체화하기 위하여 독해능력 검사 만을 사용하였다. ‘KISE-BATT-읽기’검사의 독해능력 검사는 낱말이해, 문장완성, 어휘선택, 문장 배열 및 짧은글이해의 5개 영역 총 8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검사의 측정은 각 각의 문항 당 채점 결과표에 오답은 0점, 정답은 1점으로 채점하였다. 따라서 연구대상학생 한명이 읽기 성취 검사에서 받을 수 있는 최고 점수는 80점에서 최저 점수는 0점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읽기 능력 검사의 Cronbach a 계수는 .932이며, 구체적인 문항 구성 내용은 <표 3>과 같다.

영역 구성 내용 문항수 Cronbach' α

낱말이해 반대말, 비슷한 말, 유추, 존대어, 낱말의 상하 관계 유추, 수량단위 20 .815

문장완성 그림 보고 문장 완성하기, 문장완성하기 10 .796

어휘선택 시제일치, 호응관계, 접속사, 의미를 파악하고 적절한 어휘 선택하기 10 .722

문장배열 문장을 구성하고 배열하기 10 .719

짧은글 이해

문장을 읽고 주요 사실에 답하기, 문장을 읽고 사실과 느낌, 의견 구분하기, 문장 읽고 비유 및 상징적 표현 이해하기, 글의 주제 찾 기, 속담 이해하기, 글 읽고 결과 유추하기, 글 읽고 비판하기

30 .878

전체 80 .932

<표 3> 읽기 성취 검사의 구성내용 및 Cronbach' α

(8)

3) 읽기 흥미 검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읽기흥미를 검사는 Mate(2011)가 개발한 Motivation for Reading & Writing Scale(MRWP)을 수정․번안한 송연경(2015)의 읽기 및 쓰기흥미 검사 도구 중 읽기 흥미 부분을 장애학생 국어지도 경력이 5년 이상 된 특수교육교사 5명, 특수교육관련 전문가 1명의 자문을 받아 수정․보완하여 연구대상인 초등학교 지적장애학생의 지적 수준과 특성에 맞게 총 16문항 으로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검사자는 학생에게 체크리스트에 있는 질문을 하고, 연구대상학생의 답변에 따라 문항별로 1~4점으로 채점하였다. 무응답 혹은 모르겠다고 답한 경우에는 0점을 부여하였다. 따라서 연구대상학생의 한명이 읽기흥미에서 받을 수 있는 점수는 최고 64점에서 최저 0점까지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읽기에 대한 흥미가 높은 것이며, 점수가 낮을수록 읽기흥 미가 낮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읽기흥미 검사의 Cronbach a 계수는 .794이다.

3. 실험 설계

노래를 활용한 균형적 언어 교수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지적장애학생의 읽기 능력과 읽기 흥 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노래를 활용한 균형적 언어 교수 프로그램을 적용한 집단을 실험집단으로, 읽기 직접 교수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은 통제집단으로 하는

‘사전-사후 통제집단 실험설계(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를 사용하였다. 즉 노래를 활용 한 균형적 언어 교수 프로그램을 독립변인, 지적장애학생의 읽기성취와 읽기흥미를 종속변인으 로 하였으며, 이를 도식으로 나타내면 <그림 1>과 같다.

G 1 O 1 X 1 O 3

G 2 O 2 X 2 O 4

G 1 : 실험집단

G 2 : 통제집단

O 1, O 2 : 사전검사(읽기 능력 검사, 읽기 흥미 검사) X 1 : 실험처치(노래를 활용한 균형적 언어 교수) X 2 : 실험처치(읽기 직접 교수)

O 3, O 4 : 사후검사(읽기 능력 검사, 읽기 흥미 검사)

<그림 1> 사전-사후 통제집단 실험 설계

(9)

4. 연구 절차

본 연구는 2019년 6월부터 10월까지 수행하였으며, 노래를 활용한 균형적 언어 교수 프로그 램을 총 16회기로 구안하여 사전검사, 실험자 훈련, 프로그램 적용과 사후검사의 순서로 진행하 였다. 노래를 활용한 균형적 언어 교수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지적장애학생의 읽기 능력과 읽기 흥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2019년 5월부터 2019년 6월까지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의 분석을 통해 이론적 배경을 탐구하였다. 사전검사는 2019년 6월 4주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연구대상 학생들이 재학하고 있는 학교에서 실시하였다. 읽기성취검사 와 읽기흥미검사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모두 연구자 및 협력 연구자가 채점 기준표에 맞게 작성하였다. 실험자 훈련은 2019년 6월 3주부터 목요일, 금요일 2회에 걸쳐 2주간 총 4회를 실 시하였다. 연구대상 학생이 소속된 특수학급 교사 6명이 연구자의 교실에 모여 생각지도 훈련 의 구성 내용과 적용 방법 및 절차, 검사 도구의 측정 방법, 통제집단의 읽기직접교수 적용 방 법에 대한 사전교육과 협의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도구인 ‘노래를 활용한 균형적 언어 교수 프로그램’은 실험집단에게 7월 1주 부터 9월 4주까지 여름방학 4주를 제외하고 실시하였으며, 8주간 주 2회씩 총 16회기에 걸쳐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회기 당 40분씩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노래를 활용한 균 형적 언어 교수 프로그램’은 읽기 전(pre-reading)과 읽기 중(while reading), 읽기 후(after reading) 단계로 구안하여 적용하였다. 읽기 전 단계에서는 인사 및 동기유발, 전시학습 내용 상기, 학습 목표 안내 및 주제를 제시하며, 읽기 준비를 위해 메세지를 제시하고 자료와 그림 제시로 선행 지식의 활성화를 시킨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이 교사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주제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을 갖게 하였다. 읽기 중 단계에서는 교사가 친숙한 노래를 제시하고 가사를 끝까 지 읽어주고 노래를 들어준다. 이 과정에서 단어들의 의미를 살펴보고 읽어볼 수 있으며, 배웠 던 단어들의 철자와 소리의 관계를 다시 알아보고 발음하며 읽어 볼 수 있게 하고, 글자의 규 칙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 질문을 통해 노래의 전체 이야기를 파악하 고, 학생들이 함께 읽어보고 노래를 함께 불러보는 활동을 통한 읽기 연습이 가능하다. 그리고 노래가사 채우기와 작사하기 활동 등을 통해 학생들에게 생활과 관련된 어휘와 문장으로 개사 할 수 있도록 하고, 학생 수준에 적합하게 짧은 노래를 제시하여 학생 스스로 노래 가사를 바 꾸도록 하였으며, 다른 학생들과 상호작용하여 노래 가사에 대한 내용을 공유하도록 하였다. 읽 기 후 단계에서는 다양한 의사소통 활동을 통해 노래 가사와 관련된 예문을 적용해보고, 발표 하기, 감상하기 등의 다양한 의사소통 활동을 한 후 자료를 모두 정리한다. 통제집단은 같은 기 간 동안 동일한 회기로 협력연구자가 교수를 실시하였으며 도입, 전개, 정리 단계로 수업을 운 영하였다. 통제집단은 같은 기간 동안 같은 회기로 협력 연구자가 읽기 직접 교수를 실시하였 다. 본 연구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교수단계는 <그림 2>와 같다.

(10)

실험집단 통제집단

읽기 전 도입

교사 활동 학생 활동

․메세지 제시

․그림 자료 제시: 선행지식 활성화

․학습 목표 제시

․보고 생각하기: 배경지식과 연결 하여 말하기

․학습목표 확인

ㆍ인사하기 및 동기유발 ㆍ전시학습 확인 및 복습, 학습

목표 확인하기

읽기 중 전개

교사 활동 학생 활동

․오늘의 노래 제시

․소리 내어 읽어 주기

․어휘 목록 제시

․노래 들려주기

․철자-소리카드제시

․노래를 통한 음운 규칙 제시

․질문하기(줄거리, 주인공, 배 경 등)

․소리 내어 노래 읽어 주기

․이야기 듣고 내용 이해하기

․어휘 목록 따라 읽고 이해 하기

․노래 따라 하기

․철자-소리관계 인식

․언어 규칙 인지 하기

․질문에 답하기

․전체 합독하기

․소그룹/개별 읽기

ㆍ내용 소개하기

ㆍ읽기 시범

ㆍ함께 읽기

ㆍ혼자 읽기

읽기 후 정리

교사 활동 학생 활동

․다양한 의사소통 활동 제시

․문장, 단어 카드 제시를 통 한 정리

․다양한 활동을 통해 익히기

․의미 생각하며 읽기

ㆍ학습내용 정리 및 평가 ㆍ다음 차시 안내

<그림 2> 노래를 활용한 균형적 언어 교수와 읽기 직접 교수의 단계

사후검사는 실험 종료 후 2019년 10월 1주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사전검사와 동일한 유형의 검사도구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읽기성취검사와 읽기흥미검사는 실험집단의 대상자 는 연구자와 협력 연구자가 실시하였다.

5. 자료 처리

노래를 활용한 균형적 언어 교수 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읽기 능력과 읽기 흥미에 미치

(11)

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검사의 평균점수 및 표준편차를 기술통계치로 산출하였다. 또한 두 집단 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읽기 능력 및 읽기 흥미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하고, 사후검사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공분산 분석(ANCOVA)을 실시하였 다. 이러한 자료처리는 PASW 18.0을 사용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읽기 능력의 변화

노래를 활용한 균형적 언어 교수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지적장애학생의 읽기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기 위하여 노래를 활용한 균형적 언어 교수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 단과 읽기 직접교수를 실시한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읽기 성취 검사의 평균 점수와 표춘 편차 를 산출한 결과는 <표 4>와 같다.

검사

집단 N 사전검사 사후검사

M SD M SD

실험집단 15 22.86 11.096 34.33 11.449

통제집단 15 26.13 7.567 26.20 8.628

<표 4> 집단별 사전․사후 읽기성취 검사 기술통계

<표 4>와 같이 노래를 활용한 균형적 언어 교수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읽기 능력 사전검사 평균은 22.86점이었고, 실험처치 후 사후검사의 평균은 34.33으로 11.47점이 향상되었 다. 읽기 직접 교수를 실시한 통제집단의 경우 읽기 능력 사전검사 점수의 평균은 26.13, 사후 검사의 평균은 26.20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분석하기 위하 여 읽기 능력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하고, 사후검사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공분산 분석을 실시 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5>와 같다.

<표 5>와 같이 읽기능력 검사의 주효과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ρ<.001). 이는 노래를 활용한 균형적 언어 교수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읽기 능력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음을 나타낸 것이며, 이는 노래를 활용한 균형 적 언어 교수 프로그램이 실험집단인 초등학교 지적장애학생의 읽기 능력 향상에 영향을 주었 다는 것을 의미한다. 읽기 능력 검사의 하위 영역을 낱말이해, 문장완성, 어휘선택, 문장배열 및 짧은글이해의 영역으로 나누어지고, 각 영역별 변화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2)

Source SS df MS F ρ

Model 2702.006a 2 1351.003 54.293 .000

공변인

(사전검사) 2205.873 1 2205.873 88.647 .000

주효과

(교수법) 909.674 1 909.674 36.557 .000

오차 671.860 27 24.884

합계 30856.000 30

수정합계 3373.867 29

a. R 제곱 = .801 (수정된 R 제곱 = .786)

<표 5> 읽기능력 검사의 공분산 분석 결과

‘낱말이해’영역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검사에 대한 평균점수와 표준편차를 산 출한 결과는 <표 6>과 같다.

검사

집단 N 사전검사 사후검사

M SD M SD

실험집단 15 5.67 4.419 9.27 3.535

통제집단 15 8.07 3.173 6.93 3.731

<표 6> 집단별 사전․사후 낱말이해 영역 검사 기술통계

<표 6>에서와 같이 낱말이해 영역에 대한 사전․사후검사 결과 실험집단은 사전검사보다 사후검사의 평균 점수가 3.6점이 향상되었다. 통제집단의 경우 사전검사보다 사후검사의 평균이 높아지지 않았으며, 이러한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공분산 분석 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표 7>과 같다.

<표 7>에서와 같이 낱말이해 영역의 검사의 주효과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한 차 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ρ<.001). 이를 통해 노래를 활용한 균형적 언어 교수 프로그램을 적 용한 실험집단의 낱말이해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문장완성’영역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검사에 대한 평균점수와 표준편차를 산 출한 결과는 <표 8>과 같다.

<표 8>에서와 같이 문장완성 영역에 대한 사전․사후검사 결과 실험집단은 사전검사보다 사후검사의 평균 점수가 1.47점이 향상되었으며, 통제집단의 경우 사전검사보다 사후검사의 평

(13)

Source SS df MS F ρ

Model 270.421a 2 135.211 26.024 .000

공변인

(사전검사) 229.588 1 229.588 44.190 .000

주효과

(교수법) 115.286 1 115.286 22.190 .000

오차 140.279 27 5.196

합계 2379.000 30

수정합계 410.700 29

a. R 제곱 = .658 (수정된 R 제곱 = .633)

<표 7> 낱말이해 영역 공분산 분석 결과

검사

집단 N 사전검사 사후검사

M SD M SD

실험집단 15 5.40 1.595 6.87 1.302

통제집단 15 6.00 1.464 6.20 1.656

<표 8> 집단별 사전․사후 문장완성 영역 기술통계

Source SS df MS F ρ

Model 26.282a 2 13.141 9.055 .001

공변인

(사전검사) 22.949 1 22.949 15.813 .000

주효과

(교수법) 7.517 1 7.517 5.180 .031

오차 39.185 27 1.451

합계 1346.000 30

수정합계 65.467 29

a. R 제곱 = .401 (수정된 R 제곱 = .357)

<표 9> 문장완성 영역 공분산 분석 결과

균이 0.2점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알아보기 위하 여 공분산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9>와 같다.

(14)

<표 9>에서와 같이 문장완성 영역의 검사의 주효과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한 차 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ρ<.05). 이를 통해 노래를 활용한 균형적 언어 교수 프로그램을 적 용한 실험집단의 문장완성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어휘선택’영역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검사에 대한 평균점수와 표준편차를 산 출한 결과는 <표 10>과 같다.

검사

집단 N 사전검사 사후검사

M SD M SD

실험집단 15 4.60 1.844 5.40 2.165

통제집단 15 5.93 2.120 4.87 2.200

<표 10> 집단별 사전․사후 어휘선택 영역 기술통계

<표 10>에서와 같이 어휘선택 영역에 대한 사전․사후검사 결과 실험집단은 사전검사보다 사후검사의 평균 점수가 0.8점이 향상되었으나 통제집단의 경우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 한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공분산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는 <표 11>과 같다.

Source SS df MS F ρ

Model 85.975a 2 42.987 23.451 .000

공변인

(사전검사) 83.841 1 83.841 45.739 .000

주효과

(교수법) 19.219 1 19.219 10.485 .003

오차 49.492 27 1.833

합계 926.000 30

수정합계 135.467 29

a. R 제곱 = .635 (수정된 R 제곱 = .608)

<표 11> 어휘선택 영역 공분산 분석 결과

<표 11>에서와 같이 어휘선택 영역의 검사의 주효과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ρ<.01). 이를 통해 노래를 활용한 균형적 언어 교수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어휘선택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5)

‘문장배열’영역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검사에 대한 평균점수와 표준편차를 산 출한 결과는 <표 12>와 같다.

검사

집단 N 사전검사 사후검사

M SD M SD

실험집단 15 4.00 2.563 5.67 2.380

통제집단 15 3.93 1.751 4.33 1.113

<표 12> 집단별 사전․사후 문장배열 영역 기술통계

<표 12>에서와 같이 문장배열 영역에 대한 사전․사후검사 결과 실험집단은 사전검사보다 사후검사의 평균 점수가 1.67점이 향상되었으나 통제집단의 0.4점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 러한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공분산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 는 <표 13>과 같다.

Source SS df MS F ρ

Model 75.155a 2 37.577 29.117 .000

공변인

(사전검사) 61.821 1 61.821 47.903 .000

주효과

(교수법) 12.443 1 12.443 9.642 .004

오차 34.845 27 1.291

합계 860.000 30

수정합계 110.000 29

a. R 제곱 = .683 (수정된 R 제곱 = .660)

<표 13> 문장배열 공분산 분석 결과

<표 13>에서와 같이 문장배열 영역의 검사의 주효과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ρ<.01). 이를 통해 노래를 활용한 균형적 언어 교수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문장배열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짧은글이해’영역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검사에 대한 평균점수와 표준편차를 산출한 결과는 <표 14>와 같다.

<표 14>에서와 같이 짧은글이해 영역에 대한 사전․사후검사 결과 실험집단은 사전검사보 다 사후검사의 평균 점수가 3.93점이 향상되었으나 통제집단은 1.6점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

(16)

Source SS df MS F ρ

Model 224.934a 2 112.467 18.018 .000

공변인

(사전검사) 141.601 1 141.601 22.685 .000

주효과

(교수법) 38.674 1 38.674 6.196 .019

오차 168.532 27 6.242

합계 1290.000 30

수정합계 393.467 29

a. R 제곱 = .572 (수정된 R 제곱 = .540)

<표 15> 짧은글이해 영역 공분산 분석 결과 검사

집단 N 사전검사 사후검사

M SD M SD

실험집단 15 3.20 2.783 7.13 4.406

통제집단 15 2.20 1.521 3.80 1.656

<표 14> 집단별 사전․사후 짧은글이해 영역 기술통계

다. 이러한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공분산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5>와 같다.

<표 15>에서와 같이 짧은글이해 영역의 검사의 주효과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ρ<.05). 이를 통해 노래를 활용한 균형적 언어 교수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짧은글이해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읽기 흥미의 변화

노래를 활용한 균형적 언어 교수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지적장애학생의 읽기 흥미에 미치는 지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노래를 활용한 균형적 언어 교수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읽 기 직접 교수를 실시한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읽기 성취 검사의 평균 점수와 표춘 편차를 산 출한 결과는 <표 16>과 같다.

<표 16>과 같이 노래를 활용한 균형적 언어 교수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읽기 흥미 사전검사 평균은 43.92점이었고, 실험처치 후 사후검사의 평균은 47.69으로 3.77점이 향상되었

(17)

검사

집단 N 사전검사 사후검사

M SD M SD

실험집단 15 43.92 6.383 47.69 7.750

통제집단 15 42.43 6.430 42.57 6.297

<표 16> 집단별 사전․사후 읽기흥미검사 기술통계

Source SS df MS F ρ

Model 940.336a 2 470.168 23.875 .000

공변인

(사전검사) 763.571 1 763.571 38.774 .000

주효과

(교수법) 97.542 1 97.542 4.953 .036

오차 472.627 24 19.693

합계 56178.000 27

수정합계 1412.963 26

a. R 제곱 = .666 (수정된 R 제곱 = .638)

<표 17> 읽기 흥미 검사 공분산 분석 결과

다. 읽기 직접 교수를 실시한 통제집단의 경우 읽기 흥미 사전검사 점수의 평균은 42.43, 사후 검사의 평균은 42.57로 나타났다. 이러한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읽기 흥미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하고, 사후검사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공분산 분석을 실시하 였으며, 그 결과는 <표 17>과 같다.

<표 17>과 같이 읽기흥미 검사의 주효과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ρ<.05). 이는 노래를 활용한 균형적 언어 교수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읽기흥미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음을 나타낸 것이며, 이는 노래를 활용한 균형 적 언어 교수 프로그램이 실험집단인 초등학교 지적장애학생의 읽기흥미 향상에 영향을 주었다 는 것을 의미한다.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노래를 활용한 균형적 언어 교수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지적장애학생의 읽기 능력

(18)

과 읽기 흥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재 학하고 있는 지적장애학생 30명을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각 15 명씩을 편성한 후 실험집단에는 노래를 활용한 균형적 언어 교수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통제집 단에는 읽기 직접 교수를 실시하였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위해 읽기 능력 검사는 국립특수 교육원(2005)의 ‘KISE-BATT-읽기’를 활용하여 읽기 능력을 측정하였고, 읽기 흥미 검사는 Mate(2011)의 읽기․쓰기 흥미 검사 중 읽기 흥미 검사 부분을 학생수준에 맞게 재구성하여 읽 기 흥미를 측정하였으며, 실험처치에 대한 효과를 밝히기 위하여 기술통계와 공분산 분석을 실 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중심으로 한 구체적인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래를 활용한 균형적 언어 교수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의 읽기 능력이 읽 기 직접 교수 프로그램을 실시한 통제집단에 비해 사후검사 전체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읽기 능력의 하위 영역인 낱말이해, 문장완성, 어휘선택, 문장배열, 짧은글이해 영역에서도 실험 집단의 평균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래를 활용한 균형적 언어 교수가 초등학교 지적장애학생의 읽기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읽기에 어려움을 가진 학습자의 음운인식, 음운 규칙 습득, 단어인식, 어휘 습득을 하는 데 균형적 언어 접근법을 토대로 한 문해교수가 효과적이라는 선행연구(엄윤재, 박혜경, 2004;

이대균, 서윤정, 2005)와 동요와 노래가 지적장애학생의 어휘력과 읽기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선행연구(이태숙, 2007; 김은아, 2008)의 결과와 맥락을 같이한다.

Goodman(1989)은 의미를 중심으로 자신들에게 재미있고 의미 있는 글자를 읽음으로써 쉽게 글자를 배우게 된다고 하였다. 노래를 활용한 균형적 언어 교수법은 읽기 지도 과정에서 지적 장애학생들이 단어의 소리, 철자, 개념 등의 특징을 파악하여 구분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 능동 적으로 노래 가사의 철자를 소리 내어 말하게 하는 활동 등을 제시하여 학생들이 단어를 분명 하게 인지를 할 수 있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지적장애학생들에게 미리 가사를 읽어 주는 활동 을 통해 글자와 말소리 사이의 관계를 이해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어휘력을 향상시킬 수 있 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글자에 대한 인식, 문자 기능에 대한 지식, 단어에 대한 인지력의 향상 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파악된다. 노래의 문장이나 어휘를 읽고, 노래의 가사를 개사하여 가사를 바꾸어 부르거나 노래 가사의 단어를 읽는 등의 다양한 활동이 지적장애학생의 단어재인에 유 의한 영향을 미친 것이다. 또한 지적장애학생들이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고 생활 속에 서 자주 사용하는 언어인 노래 가사를 활용함으로써 글자와 문장에 대한 관심을 높일 수 있었 으며, 이러한 관심 속에서 텍스트에 대한 지식을 학습하게 되어 읽기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노래를 부르는 활동을 통해 리듬과 운율이 반복되고, 짧은 글로 이루어진 노래 를 지적장애학생들이 쉽게 외울 수 있었고, 자신이 글을 읽고 이해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게 된 효과도 읽기 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둘째, 지적장애학생을 대상으로 노래를 활용한 균형적 언어 교수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

(19)

단의 읽기 흥미 점수가 읽기 직접 교수 프로그램을 실시한 통제집단에 비해 점수가 높게 나타 났으며,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래를 활용한 균형적 언어 교수가 지적장애학 생의 읽기 흥미를 향상하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는 균형적 언어 접근 으로 아동의 읽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초기 문해 교육에서 학습자에게 성공을 느낄 수 있는 다양한 경험을 하고, 긍정적인 강화를 주는 것이 읽기에 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 킬 수 있다는 선행연구(강성수, 한석실, 2007; 엄윤재, 박혜경, 2004)와 노래를 통해 지적장애학 생의 학교생활적응력,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는 선행연구(이민화, 2014; 박남현, 문현미, 2012)와 맥락을 같이 한다.

지적장애학생들은 읽기 활동에서 실패를 반복하게 되어 읽기 활동 자체에 대한 두려움과 거 부감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지적장애학생들이 좋아하고 쉽게 들을 수 있는 노래를 활 용함으로써 쉽고 재미있게 노래를 부르며 읽기 활동에 자연스럽게 참여할 수 있었다. 노래를 활용한 균형적 언어 교수에서는 전체적인 하나의 이야기를 이해하는데 반드시 파악해야 할 중 심 단어와 문장을 학생들에게 익숙하고 흥미로운 노래와 함께 제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지적장 애학생들에게 읽기에 대한 거부감이 낮아지고 읽기 자료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읽기 흥 미를 향상시킬 수 있었을 것이다. 이는 지적장애학생에게 노래라는 즐거운 활동과 읽기 자료가 동시에 제공되고, 여러 상황에서 읽기를 다양하게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 것이다. 이러 한 활동 과정에서 지적장애학생들은 스스로 상호작용 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고, 다른 학생 들과 협동하여 가사를 읽거나 단어․문장을 만들어내게 함으로써 읽기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지적장애학생들이 읽기에 대한 흥미를 느끼며 읽기 활 동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고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노래를 활용한 균형적 언어 교수 프로그램은 읽기 직접 교수와 같 은 전통적인 교수법보다 지적장애학생의 읽기 능력과 읽기 흥미 향상에 효과적인 지도 방법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지적장애학생이 가진 읽기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읽기 능력이 부족하더라도 학교에서의 학습을 수행하기 어휘력, 문장에 대한 음독과 이해력, 글 읽기에 대한 흥미를 높일 수 있는 지도방법을 활용하여 기초적인 읽기 능력과 읽기에 대한 흥미를 갖출 수 있도록 해주 어야 한다. 즉 지적장애학생이 가진 여러 가지 특성과 결함으로 인해 읽기 능력이 또래에 비해 부족하지만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읽기 전략을 제공하여 지도하는 것이 그들의 읽기 능력의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낼 것이다. 그리고 지적장애학생에게 읽기 전략을 지 도하는 것이 읽기 능력의 향상만이 아니라 읽기 흥미와 같은 정의적 영역에도 영향을 줄 수 있 다. 이러한 측면에서 노래를 활용한 균형적 언어 교수가 지적장애학생의 읽기 능력의 향상에 가장 효과적인 지도 방법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으나 지적장애학생들의 읽기 특성과 개별적인 흥미를 반영한 적합한 읽기 전략의 한 방법이라는 것을 확인하는 연구로서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되어야 할 방향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20)

첫째, 초등학교 지적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하면서 일정 수준의 읽기가 가능한 경도 지적장애 학생들을 주요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노래를 활용한 균형적 언어 교수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학생에게 적합한 문해 교육 교수법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중․고등학교 지적장애학생 및 중도 지적장애학생에게도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읽기 중심의 문해 교육 지도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후속연구에서는 읽 기와 쓰기의 문해 교육 교수법이 진행된다면 의미가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 학생들이 친숙하고, 일상생활에서 쉽게 들을 수 있는 노래로 선정하면서 대중가요와 광고 노래가 포함되었다. 이러한 노래가 연구의 대상인 초등학교 지적장애학생의 연령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는 제한점을 가진다.

넷째, 본 연구에서 노래를 활용한 균형적 언어 교수가 지적장애학생의 읽기에 미치는 효과를 일반화하기 위하여 보다 많은 지적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적장애학생 30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므로 지적장애 전체 학생에게 효과적가 있다는 결론을 짓기에는 무리가 있다. 그러므로 더 많은 수의 지적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여러 지역에서 적용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강성수, 한석실 (2007). 균형적 언어 접근 프로그램이 유아의 문해능력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 연구, 27(4), 187-207.

김경희, 엄정애 (2007). 노래 그림책이 걸음마기 영아의 읽기 흥미 및 어휘력 발달에 미치는 영 향. 교육과학연구, 38(1), 75-94.

김순중 (2014). 융합적 표현활동 중심의 읽기전략을 통한 창의적 언어사용능력 신장. 미래교육연 구, 4(3), 15-37.

김은아 (2008). 동요 활용 읽기지도가 정신지체아의 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광주교육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은화, 정동영 (2019). 노래 만들기 활동이 지적장애학생의 자기표현력 및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연구, 26(1), 1-23.

김현정, 김성기 (2014). 음악치료 기술. 경기: 지식공감.

남수영, 박선호 (2016). 상황 기반 노랫말 지어 부르기를 활용한 초등영어 수업의 효과 연구. 경 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교육논총, 36(3), 173-200.

류인혜, 강창욱 (2012). 언어발달장애아동의 구어발달을 위한 균형적 언어교수법의 적용 가능성 탐색.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3(2), 49-66.

(21)

박경숙, 정동영, 정인숙 (2003). KISE-KIT 검사요강. 경기; 국립특수교육

박남현, 문현미 (2012). 노래 삽입 동화활동이 초등 저학년 지적장애 학생의 수업참여행동에 미 치는 영향. 특수아동교육연구, 14(3), 419-441.

박선희, 김애화 (2019). 문맥 활용 전략을 적용한 어휘교수가 읽기부진아동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논총, 34(2), 211-237.

송연경 (2015). 환경 인쇄물을 활용한 유아문해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엄윤재, 박혜경 (2004). 유아를 위한 문해교수법의 효과비교; 균형 잡힌 문해 교수법과 발음중심 교수법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25(6), 259-277.

이대균, 서윤정 (2005). 발음중심 교수법과 총체적 언어접근법을 병행한 언어교육 프로그램의 효 과. 열린 유아교육 연구, 10(4), 23-45.

이민화 (2014). 노래중심 집단음악치료 활동이 저소득층 아동의 자기표현, 자아존중감, 학교생활적응 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영재, 여광응 (2000). 지적장애아동의 PASS 인지과정과 읽기 기능의 특징. 특수교육학연구, 35(2), 147-170.

이옥섭 (2000). 균형있는 문해프로그램이 아동의 읽기 쓰기 발달에 미치는 효과 연구. 서울여자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이일화, 김동일 (2010). 읽기 저성취 초등학생의 언어 지식과 독해력과의 관계. 학습장애연구, 7(1), 27-45.

이재섭, 이재욱 (2011). 균형적 문해 프로그램이 중등도 지적장애학생의 생태적 어휘 읽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12(2), 287-310.

이태숙 (2007). 동요를 활용한 다감각 언어지도가 읽기 학습부진아의 읽기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차숙, 노명완 (2003). 읽기 행동에서 어휘 처리 과정과 눈동자의 움직임. 유아교육연구, 23(3), 219-239.

이차숙 (2004). 유아언어교육의 이론적 탐구. 서울: 학지사.

전맹순, 권요한 (2012). 균형적인 문해 프로그램이 언어발달지체 아동의 조사, 어미 및 구문능력 에 미치는 효과. 특수아동교육연구, 14(2), 257-287.

장혜정, 신현기 (2017). 그림동화책을 활용한 읽기지도가 지적장애 학생의 읽기 유창성과 읽기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논총, 33(1), 1-24.

정준극 (2012). 만화를 활용한 읽기 텍스트의 수정이 지적장애학생의 읽기 이해와 읽기 흥미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5(1), 69-88.

조주현 (2008). 균형적 문해 프로그램이 읽기장애 위험 아동의 읽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학습장

(22)

애연구, 5(2), 61-83.

Ball, E. W., & Blachman, B. A. (1991). Does phoneme awareness training in kindergarten make a difference in early word recognition and developmental spelling? Reading Research Quarterly, 2, 49-66.

Baumann, J. F., & Ivey, G. (1997). Delicate balances: Striving for curricular and instructional equilibrium in a second‐grade, literature/strategy‐based classroom. Reading Research Quarterly, 32(3), 244-275.

Bell, L. C., & Perfetti, C. A. (1994). Reading skill: Some adult comparison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6(2), 244-255.

Foorman, B. R. (1997). Research on “The great debate over whole language approaches to reading instruction”. School psychology Review.

Goodman, Y. M. (1989). Roots of the whole-language movement.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90(2), 113-127.

Mate, L. (2011). Motivation for reading and writing in kindergarten children. Reading Psychology, 32, 272-299.

Share, D. L., & Stanovich, K. E. (1995). Cognitive processes in early reading development: Accommodating individual differences into a model of acquisition. Issues in Education.

Stahl, S. (1998). Teaching children with reading problem to decode; Phonics and “not-phonics”

instruction. Reading & Writing Quarterly; Overcoming Learning Difficulties, 14, 165-188.

Weaver, C. (1998). Experimental research: On phonemic awareness and on whole language. In C. Weaver (Ed.), Reconsidering a balanced approach to reading (321-371). Urbana, Il.: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English.

(23)

* 교신저자(rainendman@hanmail.net) Abstract

The Effects of Balanced Language Approach Using Songs on Reading Abilities and Reading Interest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Jung Yun-woo*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balanced language approach program using songs on reading ability and reading interest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etho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study selected 30 students(experimental group: 15, control group: 15)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rom elementary school.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Balanced Language Approach Using Songs, and the control group performed traditional reading for a total of 16 experiments. Data were analyzed by covariance analysis (ANCOVA) using the SPSS program.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using the balanced language approach using Songs program showed significantly improved reading ability and subordinate element to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using the balanced language approach using songs program showed significantly improved reading interests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Balanced language Approach using songs is meaningful as a study confirming that it is a method of appropriate reading strategies that reflects the reading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interest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Key words : Balanced Language Approach,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Reading Abilitie, Reading Interests

게재 신청일 : 2019. 11. 22 수정 제출일 : 2019. 12. 09 게재 확정일 : 2019. 12. 23

참조

관련 문서

이러한 토끼의 행동 은 바로 간의 소중함에 대한 재인식으로부터 비롯된 것으로 , 간이 있어야 살 수 있다는 평범한 사실보다도 간이야말로 거북에게 맞설 수 있는 가장

이 시는 어느 곳에도 안주하지 못하고 방황하는 시적 화자의 모습을 차가운 겨 울날의 항구 모습과 눈송이를 통해 차분하게 묘사해 낸 작품이다.. 도착한 항구는

따라서 2장에서는 한국어능력시험 읽기 영역을 대상으로 한 기존 연구들의 문항 범주화 결과를 검토하며, 3장 에서는 여러 종류의 읽기 성취도 평가에서 표방하고 있는

이와 같이 그림책 읽기 후속활동 프로그램은 유아의 정서능력에 있어서 긍정적 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사전검사에서 유아의

속 활동으로 각 반의 특성과 수준에 맞는 다양한 게임을 이용하여 영어를 지도를 하면 영어를 배우는 것에 대한 흥미를 유지 하면서 읽기 능력이 아직 미숙한 저학

이경옥( 1990) 은 정신지체 아동의 읽기 영역 중에서 단어 재인에 초점을 두고 아동들이 인쇄된 단어를 재인할 때 사용하는 재인 단서들 중

총체적 언어교수방법은 언어의 최소단위를 음소나 낱말로 보는 음운분석적방법 과는 달리 전체적으로 의미를 이루는 큰 덩어리로 본다.언어는 언어 그 자체를 위 해서

이 같은 것을 통하여 지적장애 학생이 글을 읽고 거기에 나타나는 오류 유형이 어떤 것들이 있고 그것들이 읽기 이해에 있어서 어떤 영향 을 미치는지 알게 된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