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도시 회복력 강화를 위한 재난대응 및 인프라 자산관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도시 회복력 강화를 위한 재난대응 및 인프라 자산관리"

Copied!
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도명식 | 한밭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msdo@hanbat.ac.kr)

4

도시 회복력 강화를 위한 재난대응 및 인프라 자산관리

머리말

도로, 교량, 터널, 제방, 댐 등 사회기반시설물은 우리들의 일상적인 경제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주요한 수단이면서 재난발생 시 인적·물적 자산을 보호해준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 진다. 유엔(UN) 인구국에서 발표한 ‘도시화 전망보고서’에 따르면, 2008년부터 지구상에 살고 있는 인구 가운데 절반 이상이 도시지역에 살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현재 도시화율이 90%를 넘고 있다(UN 2014). 이러한 도시화율의 진행은 자원, 에너지, 교통, 교육, 보건 등 다양 한 분야에서 효율적인 측면도 있는 반면, 자연재해(태풍, 지진 등) 및 예측 불가능한 사고(화재, 가스폭발, 테러 등)가 발생하였을 때 대규모 인적·물적 피해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선진국을 중심으로 도시 인프라(사회기반시설)의 재해에 대한 회복력(Hazard Resilience) 강화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세월호 참사 이후 2014년 11월 18일부터 안전관리 및 방재기능을 국가적 체계로 운영하기 위한 목적으로 국가적 재난 컨 트롤 타워인 국민안전처가 출범하는 등 국가와 지자체 모두 재난 및 안전관리 체계를 확립하여 재난예방 및 관리를 강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최근 기후변화 등으로 인한 집중호우나 태풍, 지진 등과 같은 자연재해뿐만 아니라 산업단지 내 가스 누출·폭발 사고, 방사능 누출사고 등의 크고 작은 사회·인적 재난의 피해와 빈도가 점

25

(2)

ㅣ 특집 ㅣ 위기에 대응하는 회복력 있는 국토

차 증가함에 따라 사회기반시설의 관리와 도시지역 의 재난관리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재해에 대해 강한 회복력(혹은 복원력)을 가진 도 시 시설물의 관리를 위해서는 ① 피해경감을 위한 대 비(Preparedness)계획, ② 재해 및 재난에 대한 신 속한 대응(Response)체계, ③ 재해 및 재난 발생 후 기능 및 성능 복구(Recovery)시스템 구축이 무엇보 다 중요하다.

이 글에서는 피해경감을 위한 대비 차원에서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를 이용한 기반시설물 모니터링의 중요성과 재난에 대한 신속한 대응을 위한 관계기관 간의 정보공유와 대응체 계 구축의 사례와 최근 연구동향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 다. 그리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생애주기비용분석(Life Cycle Cost Analysis: LCCA) 기법을 도입한 인프라의 기능 유지와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인프라 자산관리 (Infrastructure Asset Management: IAM) 시스템의 도 입방안을 소개하고자 한다.

ICT를 이용한 기반시설물의 모니터링과 재난예방

1. ICT를 이용한 시설물 모니터링

도시에 거주하는 시민들의 안전한 정주여건 마련과 경제활동 지원을 위해서는 해당 지역 내에 존재하는 공공(public) 인프라 및 사적(private) 시설물의 체계 적인 관리가 선결되어야 한다. 2011년 3월 일본에서 발생한 대지진과 쓰나미로 인한 원자력발전소의 방 사능누출사고는 지역 규모의 재난 대비 중요성을 부 각시킨 사건으로, 실제 재난발생 시 단·장기적인 측 면에서 응급대피와 구출·구조 및 복구 활동 등을 위 한 체계적인 시스템의 구축이 도시의 기능 회복을 위 해 얼마나 중요한지 알려주었다고 할 수 있다.

재난이 발생했을 때 인적·물적 자산의 피해를 최 소화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해당 시설물의 상태를 모 니터링하고 재난이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다.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과 빅데이터의 활용 등 ICT 기술을 이용한 도시 인프라의 상태 관측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특히, 전자태그와 센 서를 기반시설물에 장착하여 시설물 상태의 모니터 링과 악화예측 등에 활용하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기술은 재난이 발생하기 이전단계에서 재 난에 대비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주고 있다.

미국과 일본 등을 중심으로 최근 건설되고 있 는 대형 교량, 터널 등의 구조물의 경우 ICT 기술 을 이용한 기반시설물 상태 관측(Infrastructure Health Monitoring)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는 재난발생 이전에 예방적 유지보수 (preventive maintenance) 기법을 도입하여 인프라 의 자산을 보호하고 적절한 시기에 경제적인 공법으 로 유지관리할 수 있는 대안을 찾기 위한 노력으로 해석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영종대교, 서해대교, 고속도 로 및 일반국도 절토사면 등 최근 시공된 기반시설 물을 중심으로 계측관리시스템을 구축하거나 도로교 통, 공공환경 및 위험시설물에 설치된 다양한 설비를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서비스를 운영하는 등 적극적으로 ICT 기술을 활용하고 있는 추세이며 향후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2. 재난예방을 위한 DB 및 시스템 구축

허리케인이나 테러 등을 경험한 미국에서도 국가나 주정부 차원에서 각종 재난에 대비한 방재계획을 수 립하고 있다. 특히, 자연재난 담당기구인 연방재난 관리청(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6

(3)

FEMA)에서 개발된 Hazus-MH는 GIS 기반의 시설 물, 재난정보, 복구 및 구조를 위한 등록자 정보 등 DB와 해저드맵을 이용하여 지진, 허리케인, 홍수 등 자연재해 발생 시 사전 대응 및 피해에 대한 예측을 시도하고 있다(<그림 1> 참조). 또한, 지진과 태풍 등 의 자연재해가 빈번한 일본에서는 국가나 지방자치 단체 단위에서 재난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

별 방재·위험도 해저드맵(hazard map)을 구축하여 활용하고 있다(<그림 2> 참조).

지역규모의 재난 등 긴급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비 상계획구역의 범위 선정과 대피시간의 추정은 계획 의 첫 단계이며, 재난의 규모에 따른 대피로의 선정 과 관리, 적절한 대피정보의 제공과 유도는 공공기관 의 기본적인 의무다.

지역규모 재난발생의 경우 대피 및 소개(evacuation) 계획의 수립 시 지자체별 도로 네트워크 및 피해상황 등을 고려한 방재체계의 구축 및 대응방안 그리고 관 계기관의 협조체계가 필요하다(도명식 2013). 즉, 지 역규모의 방재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사전 방재 도로 선정이나 대피방법·효과 등과 같은 연구가 선 행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재난발생 전 구체적인 방 재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신속한 재난대응을 위한 방재계획

1. 관계기관 간의 정보공유와 대응체계

일본이나 미국과 같은 재난사고가 빈번한 외국의 경 우 일찍이 태풍, 홍수, 지진, 화재, 테러, 원자력 사고 등의 다양한 재난에 대한 사전대책 및 대피·대응과 관련된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지진이나 태풍 등 자연재해가 빈번한 일본의 경 우 총무성과 국토교통성을 중심으로 중앙정부에서 부터 각 지자체 단위로 방재조직을 구성하여 재난에 대응하고 있으며, 고베 대지진과 같이 넓은 지역에 걸쳐 발생하는 재난에 대비해 재난 관련 당국과 정 부기관들 간의 원활한 정보공유와 정보의 간극을 제 거하기 위해 재난정보시스템(Disaster Information

출처: 미국 연방재난관리청 https://www.fema.gov/hazus

<그림 2> 일본 지진연구센터의 Hazard Map

출처: 일본 지진연구센터 http://www.j-shis.bosai.go.jp/en/

27

(4)

System)을 구축하거나 2011년 대지진 이후 재해에 대한 완벽한 방재는 불가능하다고 보고 재난대응 전 략을 기존의 ‘방재(防災)’ 개념에서 ‘감재(減災)’ 개념 으로 일부 수정하여 재난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있도록 재난대응 체계를 수립하고 있다(內閣府 2011).

교통방재 측면에서는 <그림 3>에서 보는 바와 같 이 방재도로를 크게 긴급교통로와 긴급수송로로 분리

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공안위원회(公安委員會)와 도 로관리자가 재난발생 이전에 방재도로를 조사·선정 하고 관리하여 실질적인 수송계획 및 대응계획을 수 립하고 있다(이준 2013).

반면, 미국에서는 연방재난관리청(FEMA)이나 연 방도로청(FHWA)을 중심으로 국가와 주정부 차원에 서 재난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그림 4> 참조).

교통분야에서의 방재관련 연구는 2005년 남부지역 을 강타한 태풍 카트리나(katrina) 이후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특히, 예측 불가 능한 재난(unexpected disaster)에 대 비한 대피 및 소개 계획 구축에 관한 연 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2. 신속한 대응을 위한 정보제공 방안 및 방재계획

2012년 9월 구미 제4국가산업단지에서 발생한 불산가스 누출사고는 도시지역 에서 예측 불가능한 사고가 발생했을 경 우를 대비한 지역규모의 대응체계 중요성을 일깨워준 계기가 되었다. 화학물질을 다루는 산업단지 지역뿐 만 아니라 서울 등 인구밀집도시와 국가 주요 행정기 관과 연구기관들이 있는 세종시 등의 주요 도시에는 재난발생에 신속한 대응을 위한 방재계획 및 대피를 위한 정보제공 방안 등의 마련이 필요하다.

도로망 네트워크는 크게 도로(링크)와 노드(교차 로)로 구성되어 있는데, 교통방재시스템 구축 시 우 선 이러한 링크와 노드의 기능과 역할 및 교통수요 등 을 고려한 네트워크 연결망에 대한 정량적 분석이 필 요하다. 또한, 링크와 노드는 수용할 수 있는 용량이 한정되어 있어 교통재난 발생 시 교통혼잡, 2차 사고 등의 2차 재난으로 피해는 더욱 증가하게 된다.

ㅣ 특집 ㅣ 위기에 대응하는 회복력 있는 국토

<그림 4> 미국 국가재난관리체계(NIMS)

출처: 미국 국가재난관리체계 http://usacac.army.mil/cac2/call/

docs/11-07/ch_3.asp

<그림 3> 도쿄도 긴급수송도로 지정

출처: 일본 도쿄도건설국 http://www.kensetsu.metro.tokyo.jp/

28

(5)

따라서 재난발생으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 사회적 비용(시간)이나 통행패턴의 변화 등을 파악하여 네트 워크 내 영향력이 큰 도로를 중심으로 방재도로를 선 정하고, 사전관리 방안 및 사고 발생 시 대피방법·

효과 등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그림 5>에는 세종시 도로망을 대상으로 예측 불 가능한 재난발생으로 인한 네트워크 내 링크가 기능 을 다하지 못하거나 단절될 경우 우회비용의 발생 등 의 변화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 고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단절효과를 분석한 연구결 과는 평상시에는 도로망 내에서 이동성의 기능을 위 해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한 도로이며, 재난발생 시에 는 대피경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노윤승, 도명 식 2014).

<그림 6>에는 구미시 중심에서 화학가스 누출 등

의 재난을 가정하였을 때 상이한 대피(evacuation) 정보를 제공하였을 경우의 대피시간을 비교한 것으 로, 이를 바탕으로 공공기관의 대피정보의 효과를 산 정할 수 있을 것이다(도명식 2013). 향후 지역별로 인 프라의 규모와 사회경제적인 여건을 고려한 지역 고 유의 재난발생에 대비한 대응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 으로 판단된다.

인프라 기능 복구와 유지관리를 위한 자산관리 시스템

1. 인프라 자산관리 시스템(IAM)

전기, 가스, 상·하수도, 교통망 등과 같은 라이프라 인 네트워크(Lifeline Network)는 연결성이 강한 인

출처: 노윤승, 도명식. 2014.

출처: 도명식. 2013.

100

80

60

40

20

0

0 30 60 90 120 150 180 210 240 270 300 330 360 390 420 (min) 3h-no plan 3h-lane based 4h-no plan 4h-lane based 5h-no plan 5h-lane based (%)

29

(6)

프라이며, 재난으로 인해 단절되거나 손실되어 본래 의 기능을 하지 못할 경우 그 피해가 주위로 확산되 어 전체적인 네트워크의 기능 손실을 가져오게 된다.

즉, 재난 등 긴급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재난으로 인 한 파괴 및 단절된 인프라의 기능 복구를 위한 의사 결정에서 재난에 대한 내구성과 회복력이 강한 재료 의 채택이나 장수명(long-life) 공법과 설계 및 유지 관리 기법의 도입 등 장기적인 방안의 마련도 매우 중요하다.

우리나라는 197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건설된 도 로인프라(도로, 교량, 터널 포함)가 현재 노후화가 진행되어 일반국도의 경우 유지관리를 위한 비용이 2000년 약 6천억 원 수준이었으나 2013년 8,500억 원 수준으로 연평균 4% 이상 증가하고 있으며, 향후 이러한 추세는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교통부에 따르면, 도로 유지보수를 제때 하 지 않아 재포장 등을 하는 경우에는 당초 유지보수 비용의 2.5~4배에 이르며, 통행속도 저하로 인한 이 용자의 통행시간 증가, 연료소모 증가, 환경비용 증 가 등의 추가적 비용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7>은 생애주기를 고려한 예방적 사전관리를 통한 유지보수 비용의 절감효과 및 도로를 대상으로 시간의 경과에 따른 구조적 상태변화를 나타내는 것

으로서 공용 초기에는 포장의 질이 완만하게 떨어지 지만 어느 임계값 이후부터 급격하게 악화속도가 빨 라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로인프라 등의 적 절한 시점에서 경제적인 유지보수 공법의 결정을 통 한 의사결정 지원(decision-making support) 시스 템 구축은 사회기반시설의 기능 회복을 통한 서비스 제공에 필수적이다.

<그림 8>은 미국토목학회가 발간하는 인프라의 수준을 정량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2013년 보고서로 서 도로분야가 D, 교량의 경우 C+, 에너지 분야는 D+의 수준으로 노후화가 심각한 상태로 전체 평균 (GPA)이 D+이며, 2020년까지 3조 6천억 달러의 예 산이 필요한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에도 1960년 고도경제 성장기 시절에 집중적으로 건설된 인프라 시설이 50년이 지난 지금 보수 및 재건축의 시점에 도달하였다. 2014년 국토 교통백서에 의하면, 2033년에는 도로교량의 67%, 하천관리시설의 64%, 하수도시설의 24%, 항만시설 의 58%가 건설 후 50년이 경과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이에 대한 재원마련 등 인프라의 노령화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國土交通白書 2014).

우리나라는 지금까지 도로 등 네트워크로 연결되 어 있는 인프라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관리의 경

ㅣ 특집 ㅣ 위기에 대응하는 회복력 있는 국토

<그림 7> 예방적 유지보수

출처: http://www.canadainfrastructure.ca/en/

<그림 8> 미국토목학회(ASCE) Report Card

출처: http://www.infrastructurereportcard.org/

EXCELLENT

GOOD

FAIR

POOR

VERY POOR

FAILED

0 5 10 15 20

40% Drop in Quality Spending $1 on preservation here...

...eliminate or delays spending $6 to $10 on rehabilitation or reconstruction here.

40% Drop in Quality 75% of Life

12% of Life

30

(7)

에서 우선순위를 산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 다. 그러나 뉴질랜드, 미국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장 기적 관점에서 생애주기비용분석(Life Cycle Cost Analysis: LCCA) 기법을 도입한 인프라 자산관리 (Infrastructure Asset Management: IAM) 개념이 도입되어 운영되고 있다.

IAM은 국가별로 차이는 있지만 경제성장기에 집 중적으로 건설된 인프라의 노후화로 인한 유지보수 수요의 증가와 함께 부족한 재정여건으로 인해 도입 된 기법으로, 공학적 관리 중심의 유지관리에 회계학 적 가치를 고려하고 중장기적인 유지관리 전략을 수 립하는 경영학적 요소가 결합되어 체계적이고 합리 적인 유지관리 시스템이자 의사결정모델이다.

IAM의 핵심 요소는 ① 자산관리 전략에 따른 비용

유지관리 의사결정체계, ④ 국가의 중요한 자산으로 인식하고 회계원리를 도입한 재정적 가치 판단이 그 것이다. 즉, 인프라의 자산관리는 계획을 수립하고 서비스 수준을 최대화하는 동시에 최적의 보수 보강 및 계획수립을 통해 예산지출을 최적화하고 장기적 인 자산운용 계획을 수립하는 기법이라 할 수 있다.

2. 인프라 자산관리 시스템의 해외사례

미국의 경우 연방도로청(FHWA)과 도로교통공무원 협회(AASHTO), 주정부 및 연구기관 등을 중심으로 1990년대부터 자산관리에 관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 중이며, FHWA의 자산관리실은 시스템 관리 및 모 니터링, 평가 및 경제적 투자의 세 분야로 구성되어

<그림 9> 영국 고속도로청의 자산관리체계 및 의사결정체계

출처: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8.

Strategic Plans (3-5 yr horizon)

Public Service Agreement(PSA) Targets

Ministerial/DFT/HA

Requirements/Commitments/Priorities

Forward Plans

Route Management Strategies

Feasibility Assessment

Project Development

Constraints

VM Process/Budget Allocation (Prioritisation)

Network Performance (journey time, accidents, flows) Budget Rounds

(top down)

Databases

National/Route Condition Assessment

TRACS etc HAPMS NOMAD

SMIS HA-ES

HAGDMS HATRIS Asset

Valuation (HAVS)

Programme Delivery

31

(8)

주정부에 도구, 기술, 훈련 및 자문 서비스 등을 지 원하고 있다.

AASHTO의 목표는 조직적인 통합, 성능평가 개발, 분석적 도구의 실행, 정보관리에 대한 일반 적인 자산관리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HERS, PONTIS(BMS), PMS, HPMS, NBIS와 같은 관련 시 스템이 구축되어 운영 중이다.

영국의 경우 고속도로청(HA) 관할의 유지관리는 지역사무소가 계약한 민간기업에 위탁하여 수행하 고 있으며, <그림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양한 데 이터베이스(HAPMS, SMIS, HAGDMS, NOMAD, HA-ES, HARTIS) 등을 통해 정보를 수집·관리하 고, 의사결정과정에서 전략계획, 업무계획, BSC 균 형성과표, 연례보고서 등 네 개의 핵심 자료를 활용 하고 있다.

한편, 재해 및 재난 발생 후 기반시설의 원래 기능 및 성능 복구를 위한 단기적인 대응방안도 중요하지 만 장기적인 기반시설물의 성능(LOS) 유지 및 관리 를 위해서 뉴질랜드, 미국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자 산관리를 법제화하고 있는 현황 및 특징을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선진국의 경우

에도 우리와 마찬가지로 한정된 SOC 관련 예산의 범 위 내에서 경제적이면서 효율적인 시설물의 관리 및 서비스 제공을 위해 인프라 자산관리(IAM)를 제도화 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유지관리 의 우선순위 선정 및 필요한 예산 수준 예측과 이를 통한 의사결정시스템 지원을 통해 예산절감과 만족 도 향상의 효과를 거두고 있다.

따라서 한정된 SOC 예산의 범위 내에서 안전한 이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프라의 기능 유지와 재난 발생 시 회복력 강화를 위한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자 산관리 시스템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할 것 으로 판단된다.

맺음말

도시화가 진행되고 복잡해짐에 따라 재난의 유형 또 한 다양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른 도시지역에서의 자 연재해 및 예측 불가능한 사고(교통사고, 화재, 가스 폭발, 테러 등)의 위험성 또한 커지고 있어 이에 대 한 도시 회복력 강화를 위한 재난대응 및 인프라 관 리에 대한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계획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ㅣ 특집 ㅣ 위기에 대응하는 회복력 있는 국토

<표 1> 해외의 자산관리 법제화 현황 및 특징

국가 법제화 내용

호주·

뉴질랜드

1996년 지방정부의 경제적, 효율적 재정관리를 위 한 Local Government Amendment Act(LGA NO.3) 공표

의회에서 자산의 감가상각과 자산의 생성과 삭제 등의 장기적인 금융계획을 세워 전반적인 내용을 관리하게 함으로써 예산 40%

절감과 만족도 20% 향상

미국 1999년 재무법 GASB34(Governmental Accounting Standards Board Statement NO.34) 공표

자산의 사용가능기간 연장, 유지관리비용 절감, 예산의 효율적 사용을 위해 주정부 및 지방정부의 자산평가 및 회계보고를 의 무화

영국 2003년 PAS 55(Publicly Available Specification)

(영국표준협회) 유형 자산의 최적 관리를 통한 체계적 활동과 시행에 관한 표준

캐나다 1988년 자산관리 도입 사용자 만족도 20% 향상

일본 2007년 지방공공단체의 재정 건전화에 대한 법률 재무서류를 활용하여 자산의 재무정보를 통합적으로 정비 출처: 진경호. 2009.

32

(9)

경감을 위해 ICT를 이용한 기반시설물의 상태 모니 터링과 해저드맵과 같은 DB 구축의 필요성에 대한 선진국의 사례를 살펴보았으며, 신속한 대응을 위한 정보제공 방안 및 지역단위의 방재계획 효과에 대해 기존 연구의 성과를 점검하였다. 나아가 장기적인 관 점에서 재난발생 후 기능 및 성능 복구를 위해 인프라 자산관리(IAM) 개념의 적극적인 도입을 제시하였다.

선진국(미국과 일본 등)의 경우 일찍이 「재해대책 기본법」 등을 제정하여 국가와 지자체별로 재해 및 재난 발생에 대비한 철저한 인프라 기능 회복 및 방 재계획을 수립하여 재난에 대비하고 있으나, 국내에 서는 발생 가능한 재난에 대비한 방재체계 개념은 있 지만 아직까지 구체적인 대응 매뉴얼은 없는 실정이 다. 또한, 도시 회복력 강화를 위한 재난대응 및 유지 관리 단계에서 SOC시설물의 자산적 가치와 교통네 트워크상에서의 중요성을 산정하여 재난 및 재해에 대비한 DB의 작성도 선결되어야 할 과제다.

마지막으로 아무리 훌륭한 독자적인 재난대비 시 스템이 구축되어 있다 하더라도 2008년에 발생한 숭 례문 화재에서 소방기관과 문화재청 간의 정보전달 체계 미흡으로 5시간 만에 국가의 상징 건축물이 전 소된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관련기관 간의 통합적인 재난정보의 연계 및 체계적인 관리의 중요성은 언급 할 필요조차 없을 것이다.

참고문헌 ---

노윤승, 도명식. 2014. 도로네트워크 기능 및 연결성을 고려한 긴급대피 교통로 선정. 한국ITS학회 논문지 13권, 6호: 34-42.

도명식. 2013. 차로기반 경로유도방식을 이용한 차량의 소개시간 추정.

한국ITS학회 논문지 12권, 6호: 29-36.

송준호, 임현우, 이영주. 2014. 라이프라인 네트워크의 재해복원력 제고 를 위한 시스템 신뢰성 해석 방법 개발. 대한토목학회지 62권, 8 호: 19-25.

이준. 2013. 일본 방재시스템 분석을 통한 한국의 방재도로 네트워크 구 축방안. 한국도로학회지 15권, 4호: 5-8.

진경호. 2009. 사회기반시설을 유지관리를 위한 자산관리체계 도입 전 략.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10권, 6호: 67-7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8. 도로·철도 등 기반시설물 자산관리체계 도 입방안 연구. 과천: 국토교통부.

國土交通白書. 2014. http://www.mlit.go.jp/hakusyo/mlit/h25/

hakusho/h26/pdf

內閣府. 2011. Disaster Management in Japan. 東京: 內閣府.

O’Rourke, T. D. 2007. Critical Infrastructure, Interdependencies and Resilience. The BRIDGE 37, no. 1: 22-29.

UN. 2014. World Urbanization Prospects. Geneva: UN.

미국 국가재난관리체계 http://usacac.army.mil/cac2/call/docs/11-07/

ch_3.asp

미국 연방재난관리청 https://www.fema.gov/hazus 일본 도쿄도건설국 http://www.kensetsu.metro.tokyo.jp/

일본 지진연구센터 http://www.j-shis.bosai.go.jp/en/

33

참조

관련 문서

ㆍ지원내용 사업화 및 기술지원, 멘토링, 네트워킹, 시설지원, 홍보지원 등 글로벌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운영 및 글로벌 네트워크 확대, 수행 인력 전문성

- 주택가격은 지역별, 주택유형별, 건축연령별 가격수준 및 가격 변동 추이가 상이할 수 있으며, 때에 따라 일부 지역 또는 일부 주택 유형, 일부 건축연령이

- 주택가격은 지역별, 주택유형별, 건축연령별 가격수준 및 가격 변동 추이가 상이할 수 있으며, 때에 따라 일부 지역 또는 일부 주택 유형, 일부 건축연령이

- 주택가격은 지역별, 주택유형별, 건축연령별 가격수준 및 가격 변동 추이가 상이할 수 있으며, 때에 따라 일부 지역 또는 일부 주택 유형, 일부 건축연령이

한국국제협력단 (KOICA) 은 북동부 포도르 지역을 중심으로 관개수로 지원 , 생산성 증대 및 역량강화 등 쌀의 통합적 가치사슬 강화를 지원하고 있으며 , 해양수산부는

[r]

◦ 교원의 교육 및 연구활동을 위해 행·재정적 지원이 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교원의 교육 및 연구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이러 한 지식을 활용하여 화재 예방 및 화재 발생 대처할 수 있는 표현 활동을 경험하고, 실제 간이 소화기를 만들어봄으로써 공학 및 기술 활동을 경험할 수 있도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