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Age-related changes of Body mass index and body fat distribution in Korean women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Age-related changes of Body mass index and body fat distribution in Korean women"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원저]

서울 소재 일개 종합병원 건강검진 수진 여성들의 연령별 체질량지수와 체구성

주일우, 배태기, 박열수, 김상만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제일병원 가정의학과

- 요 약 -

연구배경 현재 사용되고 있는 비만 지표는 성별의 차이를 보정한다 하더라도 연령에 따른 체질량지수 및 체구성 변화에 대한 고려를

하지 못하고 있으며 획일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서울 소재 일개 종합병원 건강검진 수진 여성을 표본으로 한국 여 성에 있어서의 연령에 따른 체질량지수와 체구성 변화를 분석하여 제시할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방 법 2003년 6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서울에 소재한 종합병원 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한 수진자 중 20세 이상의 여성 2,211명을 대

상으로 하였다.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량, 제지방량을 측정하였고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69세, 70-79세의 연 령대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대상자들은 체중의 경우, 50대군에서 56.2±7.8kg로 40대군 54.5±7.6kg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P<0.05) 체질량지수 는 50대군에서 23.7±3.0kg/m2으로 40대군 22.3±2.9kg/m2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P<0.05) 체지방량은 50대군 18.1±7.3kg으로 40대군 15.7±5.0kg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P<0.05) 제지방량의 경우에는 50대군에서 38.1±3.6kg으로 40대군 38.8±3.6kg에 비해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P<0.05)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량 및 제지방량 모두 20대군과 30대군 간의 혹은, 30대군과 40대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 론 성인 여성의 경우 체중, 체질량지수 및 체지방량은 40대군까지는 비교적 일정하였으나 50대군은 40대군에 비해 증가되었다.

반면 제지방량은 20대에서 30대까지 약간 증가하다가 30대와 40대에는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되었으며 40대 이후 점차 감소

되었다.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2006;6(3):158~164)

중심단어 체구성, 체질량지수, 체지방량, 제지방량, 비만

3서 론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자율 신경계 및 순환기계의 노화 현 상과 높은 연관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는 고혈압, 당뇨병, 지 질 대사 이상, 동맥 경화 등의 유병율 또한 증가하게 된다.1) 한편, 연령 증가에 따른 복부 지방량 증가 역시 자율 신경계 및 순환기계 노화 현상과 연관성이 있다는 것이 입증된 바 있다.2) 또한, 미국에서 시행된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앞서 밝힌 연령 증가에 따른 혈중 지질 수치의 변화와 신체의 체

∙교신저자 : 주 일 우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제일병원 가정의학과

∙주 소 : 서울시 중구 묵정동 19-1

∙전 화 : 02-2000-7158

∙E-mail : yeora@unitel.co.kr

∙접 수 일 : 2006년 6월 9일 ∙채 택 일 : 2006년 8월 30일

구성의 변화 사이에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하였다.3) 신체의 구성성분을 분석해 보았을 때, 조직 수분량의 감소 와 골밀도 감소 등의 노화 현상과 관련하여 제지방량(Fat free mass; 이하 FFM)이 연령 증가에 따라 감소되며, 이 같 은 변화는 남녀 사이에 서로 차이점이 있어, 남성은 주로 상 체의 FFM이 감소되고 여성은 상하체 모두에서 FFM이 감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6) 뿐만 아니라 남녀 모두에서 30 세에서 70세 사이에 FFM의 40%가 감소하게 되는데,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이 또한 남녀 사이에 차이를 나타내어, 50세 이상 남성에서는 연간 0.22kg의 비율로 FFM이 감소되는 반 면, 여성의 경우에는 연간 0.10kg의 비율로 감소되어 남성의 감소율이 여성에 비해 약 2배 가량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 다.8,9) 중심성 비만의 경우에도, 남성에서는 연령에 따라 점차

(2)

Table 1. Baselin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N=2211) Variables Mean±standard deviation

Age(yr) 52.6±10.3

Height(cm) 158.3± 8.5

Weight(kg) 57.5± 9.1

Body mass index(kg/m2) 23.0± 3.2

Body fat mass(kg) 16.9± 6.0

Fat free mass(kg) 40.6± 9.1

적으로 유병률이 증가되는 반면, 여성은 폐경기 이후 갑작스 런 증가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10,11) 이러한 연구들을 종 합해 보았을 때, 연령 증가에 따른 노화 현상과 신체 구성 성분의 변화 사이에 강한 상관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유추해 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변화는 남녀 사이에 차이가 있었다.

비만이 여러 가지 대사적 질환 및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 인자인 고혈압, 당뇨병, 지질 대사 이상, 동맥 경화 등과 밀접 한 연관을 지니고 있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12) 우리 나라 역시 1980년대 후반부터 서구 문화의 본격적 도입으로 인한 식생활과 환경의 변화로 각종 인스턴트 식품이나 고지 방식이 섭취가 증가되면서, 비만에 대한 예방과 관리에 대한 필요가 인식되기 시작하였다.13) 우리나라는 이 때부터 비만에 대한 예방과 관리의 지표를 설정하기 위해 서구에서 이미 사 망률이나 유병률과 관계가 있다고 입증된 체질량지수를 그대 로 받아들였다. 그리고 최근 개선된 바이오 임피던스 방법이 사 용되면서 정확한 체지방률 측정과 체성분 분석이 가능해졌다.

그러나, 성별의 차이를 보정하더라도, 서구에서 제정된 기 준인 체질량지수 30kg/m2을 기준으로 판단하였을 때 비만에 해당되는 인구는 서구가 아시아보다 훨씬 많은 반면 성인병 유병률에는 거의 차이가 없는 것을 관찰하였다.14) 이것은 연 령이나 인종 간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은 획일적인 비만 지표 로서의 체질량지수나 체성분 분석의 이용에 대한 한계점을 시사하며, 최근 아시아-태평양 비만 학회에서 아시아인은 서 구인 기준(BMI 30kg/m2)보다 낮은 체질량지수의 비만 지표 적용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수치를 BMI 25kg/m2기준으로 변경하기에 이르렀다.15,16) 하지만, 아시아-태평양 기준을 적용 하여 우리나라 비만의 지표로 사용한다고 해도 여전히 남녀 각각에서의 연령에 따른 변화를 고려하지 못하는 것이 사실 이다. 이에 관련 하여, 2003년 우리나라 한 대학 병원에서 보 고한 바에 의하면, 한국의 남성은 체질량지수가 50세까지 일 정하게 유지되다가 60세 이후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고, 여성 은 연령에 따라 체질량지수가 증가되다가, 50세 이후에는 일 정 수준을 유지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남성은 30대에 체 지방량 증가가 두드러졌으며, 여성은 50대에서 체지방량 증 가가 뚜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17)

그러나, 아직 연령의 분포에 따라 노화 현상에 따른 체구 성 변화와의 관련성을 보고한 우리나라 연구는 부족한 실정 이며 특히 출산, 폐경 등으로 체성분의 변화가 연령에 따라 큰 폭으로 변화되는 여성에 대한 연령별 비만 지표의 차이를 연구한 결과는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 소재 종합병원 여성에 있어서의 연 령에 따른 체질량지수와 체구성 변화를 분석하여 제시할 목 적으로 시행되었다.

방 법

1. 연구 대상

2003년 6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서울에 소재한 종합병원 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한 수진자 중 설문 문진으로 확인된 당 뇨병, 갑상선 질환, 신부전, 심부전 등을 제외한 20세 이상의 여성 221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 연구 방법

대상자는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69세, 70-79 세의 연령대별로 구분하였다. 신체 계측은 Inbody 3.0 바이오 스페이스 임피던스 측정기를 이용하였으며 연령별로 체중 (body weight, 단위 kg),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단위 kg/m2), 체지방량(body fat mass, 단위 kg), 제지방량(fat free mass, 단위 kg)을 측정하였다. 체중(kg)은 전날 자정이후 공 복 상태로 검진용 가운(0.30kg) 착복 후 측정하였으며 가임 여성 중 생리 주기에 있는 대상자는 제외되었다.

3. 분석 방법

측정된 연령별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량, 제지방량은 모 두 평균과 표준편차로 표시하였고 통계프로그램은 SPSS(11.5 version, 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용하였다. 각 군 의 차이는 ANOVA 및 Duncan 사후 검정을 통해 검증하였 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P<0.05를 기준으로 하였다.

결 과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 대상자는 여성 2,211명으로 일반적 특성은 표 1과 같으 며 평균 신장은 158.3±8.0cm, 평균 체중은 57.5±8.0kg 이었다.

(3)

Age(yr)

Figure 1. Distribution of age-associated body weight(kg)

Body weight of group 50-59 were 58.9±7.8kg, which showed significant increase compared with that of group 40-49, 56.3±7.6kg.(P<0.05) Other groups such as 20-29, 30-39, and 40-49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m.

* P value < 0.05

Table 2. Comparison of body weight, BMI, body fat mass and fat free mass of the subjects Age

(yr)

20-29 (N=22)

30-39 (N=135)

40-49 (N=1141)

50-59 (N=679)

60-69 (N=205)

70-79

(N=29) P value

Weight(kg) 55.4±8.9 54.9±8.7 54.5±7.6 56.2±7.8 56.2±7.0 62.8±9.0 <0.001

Body mass index(kg/m2) 20.7±3.0 22.0±3.2 22.3±2.9 23.7±3.0 24.6±2.8 27.4±5.1 <0.001

Body fat mass(kg) 16.3±5.6 15.7±5.4 15.7±5.0 18.1±7.3 19.1±4.8 25.0±7.1 <0.001

Fat free mass(kg) 39.1±3.2 39.2±3.2 38.8±3.6 38.1±3.6 37.1±3.7 36.8±4.0 0.001

ANOVA & Duncan post-hoc test

Age(yr)

Figure 2. Distribution of age-associated body mass index(kg/m2) Body mass index of group 50-59 were 23.7±3.0kg /m2, which showed significant increase compared with that of group 40-49, 22.3±2.9kg/m2.(P<0.05) Other groups such as 20-29, 30-39, and 40-49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m.

* P value < 0.05

Age(yr)

Figure 3. Distribution of age-associated body fat mass(kg) Body fat mass of group 50-59 were 18.1±7.3kg, which showed significant increase compared with that of group 40-49, 15.7±5.0kg.(P<0.05) Other groups such as 20-29, 30-39, and 40-49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m.

* P value < 0.05

Age(yr)

Figure 4. Distribution of age-associated fat free mass(kg) Fat free mass of group 50-59 were 38.1± 3.6kg, which showed significant decrease compared with that of group 40-49, 38.8±3.6kg.(P<0.05) Other groups such as 20-29, 30-39, and 40-49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m.

* P value < 0.05

2. 연령에 따른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량, 제지방량의 분포 대상자들은 체중의 경우, 50대군에서 56.2±7.8kg로 40대군 54.5±7.6kg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P<0.05) 체질량 지 수는 50대군에서 23.7±3.0kg/m2으로 40대군 22.3±2.9kg/m2에 비 해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P<0.05) 체지방량은 50대군

18.1±7.3kg으로 40대군 15.7±5.0kg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 었다.(P<0.05) 제지방량의 경우에는 50대군에서 38.1± 3.6kg으로 40대군 38.8±3.6kg에 비해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P<0.05) 체 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량 및 제지방량 모두 20대군과 30대군간의 혹은, 30대군과 40대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표 2, 그림 1-4).

(4)

3. 체질량지수, 체지방량 및 제지방량의 percentiles

현재의 비만 진단기준인 체질량지수 25kg/m2이상인 percentiles을 산출하면 70-80 percentiles 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에 해당하는 체지방량은 18.70-20.50kg 제지방량은 40.00-40.42kg으로 나타났다(표 3).

Table 3. Percentiles of BMI, body fat mass and fat free mass Percentiles BMI*

(kg/m2)

Body fat mass (kg)

Fat free mass (kg)

10 19.53 11.00 34.20

20 20.49 12.50 35.96

30 21.20 13.70 34.70

40 21.85 15.00 37.52

50 22.55 16.00 38.50

60 23.41 17.40 38.94

70 24.14 18.70 40.00

80 25.20 20.50 40.42

90 26.88 23.89 42.21

100 38.70 152.00 49.20

* BMI:body mass index

고 찰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비만은 고혈압, 당뇨병, 지질 대사 이상, 동맥 경화, 심장병, 중풍 등의 질병과 밀접한 관 련을 맺고 있으며 이는 연령의 증가에 의한 신체의 노화 현 상과도 상관이 있다. 한 연구에서, 인슐린 저항성이 있는 환 자 중 연령, 성별 등의 특성의 차이를 보정한 후 측정한 바 에 따르면, 복부의 내장 지방, 체질량지수, 제지방량 등이 유 사한 분포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18) 또한 신체의 낮은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수치와 높은 저밀도지단백 콜레스 테롤 수치 및 고혈압의 유병률이 비만과 유사한 분포를 보인 다는 것이 입증된 연구도 있었다.19) 이렇듯 비만과 여러 가지 대사적 질환들의 강한 상관성이 많은 연구들이 보고되었다.

한편, 연령 증가에 따른 노화 현상과 비만의 직접적인 관 련성이 제기되면서, 이와 같은 대사적 질환의 예방을 위한 비만의 예방과 조기치료의 중요성도 더욱 강조되었다.4-8) 이 에 따라서 “비만”이라고 정의를 내릴 수 있는 비만 지표 기 준의 정확성이 요구되었다. 서론에서도 언급했듯이 연령에 따라 신체 구성의 변화가 큰 여성의 경우 더욱 그러하며, 이 러한 추이를 살펴보았던 본 연구에서는, 체지방량의 경우 20 대에 비해 40대까지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50대 부터는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고, 제지방량의 경우 20대에

비해 50대까지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50대에서 60대로 넘어가는 시기에는 감소를 나타내었다. 체중의 경우 40대 이하에서는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되다가 50대는 40대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이는 폐경과 관련이 있을 것으 로 보이는데 이에 대한 관련성을 뒷받침하는 연구들이 있었

다.20,21) 체질량지수 및 체지방량의 경우에도 체중과 마찬가지

로 40대 이하에서는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되다가 50대가 40 대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성인 여성의 경우 전 연령 기간 동안 체질량지수가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되다가 70세에 이르러서 감소된다는 국내의 한 연구와는 다른 결과이다.22) 또 다른 연구에서는 여성의 체질량지수가 연령에 따라 증가 하다가 50세 이후부터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다른 양상을 보 고하기도 하였다.17) 이렇게 타 연구와는 다른 결과들이 제시 되었던 이유로는, 본 연구에서는 연령에 따라 만성 질환들이 없는 비교적 건강한 건강검진 수진자가 대상으로 선정되었으 며 50대 전후의 폐경 기간 여성호르몬 감소의 영향이 비교적 잘 반영되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30대에서 40대에 이르는 대상자들의 체질량지수 유지의 경우는 체중 유지를 위한 운동이나 식생활 조절 등의 자가 인식 및 노력의 영향 도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측정한 제지방량의 경우는 30대까지는 약간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다가 40대까지 는 큰 증감 없었고, 40대 이후 점차 감소하였다. 이에 의하면, 40대에서 50대에 이르는 시기에는 실질적인 지방의 증가 외 에 제지방량의 유의한 감소가 두드러지는데, 이는 앞에서 언 급한 폐경 기간의 여러 가지 대사 변화 및 운동량 부족 등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이 시기에는 비만 치 료로서 제지방량의 감소를 방지하는 지속적인 운동 등을 권 하는 것도 바람직하리라 생각된다. 70세 이후의 여성의 경우 수가 부족하고 체구성 성분 데이터의 누락이 많아 분석하여 설명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 본 연구에서 드러 난 연령에 따른 체질량지수, 체지방량, 제지방량 등의 분포의 흐름을 살펴보면 노화와 연관된 비만의 증가를 알 수 있다.

한편, 체질량지수의 percentiles을 아시아 태평양 비만 학회의 기준인 체질량지수 25kg/m2을 기준으로 살펴보았을 때 그 수치는 70-80percentile 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체질량지 수 30kg/m2을 기준으로 나타낸 서구의 수치인 70-80percentile 과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14) 이는 각종 성인병의 유병률과 유사한 분포 양상을 갖는 것으로 보여진다.

사람은 연령의 증가에 따른 노화의 과정으로 각종 호르몬 및 대사물질의 변화를 겪게 된다. 그 중 비만과 관련된 많은 인자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고 성장호르몬, 인슐린 저항 성, 렙틴, 에스트로겐 및 테스토스테론, 코티졸, dehydroe- piandrosterone(이하 DHEA), 지방분해 효소의 부위별 다양성

(5)

등 많은 관련 인자 들이 제시되었다. 일반적으로 연령의 증 가는 성장호르몬 감소 및 인슐린 저항성의 증가를 일으킨다.

인체 조직에는 부위별로 지방을 합성하고 저장하는 기능을 하는 lipoprotein lipase(이하 LPL)가 존재하며 이는 부위별로 다양성을 나타내며 지방을 저장하여 비만의 기전에 기여하게 된다.22) 사춘기에는 둔부 및 허벅지에 지방 축적이 주를 이루 다가 중년 여성이 되어가며 복부 및 어깨, 팔 등으로 지방 축적이 집중되는 것을 바로 이 LPL이 사춘기에는 둔부 및 허벅지에서, 노화와 함께 복부 및 어깨, 팔 등으로 활성화되 는 부위가 달라지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는 여성의 연 령에 따른 체형 변화를 설명하는 중요 기전이 된다. 성장 호 르몬의 경우, 이러한 LPL을 방해하는 기능을 하는데 노화에 따른 성장호르몬 저하는 LPL을 더욱 활성화하여 지방 축적 을 촉진한다.23) 인슐린 저항성의 증가의 경우 상대적인 인슐 린 결핍의 현상으로 지방 조직으로부터 더욱 많은 양의 유리 지방산의 산화가 가능할 수 있다.24) 그러나 고혈당 자체는 인 슐린과는 독립적으로 당 흡수와 산화를 촉진하며 지방산 산 화를 제한한다.24,25) 여성의 경우는 남성과는 달리 비만의 기 전과 관련된 중요한 호르몬으로 에스트로겐이 있다. 에스트 로겐의 지방 조직 LPL에 대한 저해 효과는 쥐의 지방 조직 에서도 발견된 바 있다.26) 비만 여성 생체 연구에서 둔부의 지방 조직과 혈장 에스트라디올 및 LPL 활동성이 체질량지 수와 음의 상관 관계가 있다는 연구도 있다.27) 즉 여성의 노 화 과정에서 일어나는 에스트로겐의 감소 현상은 LPL 저해 효과의 상실과 함께 폐경기 여성의 뚜렷한 비만 증가의 원인 으로 생각된다. 또한, 에스트로겐의 감소는 렙틴의 증가를 일 으킨다. 렙틴은 다시 성장호르몬의 억제를 더욱 가속화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28) 본 연구에서 나타난 40세에서 50세로 넘 어가는 시기의 체질량지수 증가 및 체지방량 증가, 제지방량 감소는 이와 같은 다양한 원인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 밖에도 비만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코티졸의 경 우 급성 코티졸 증가는 스트레스 상황에서 단백질과 지방 분 해를 촉진하여 유리 지방산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카테콜라민에 의한 지방 분해 촉진과 연관되어 있는 것 으로 생각된다.29,30) 반면, 만성적인 코티졸 증가에서는 지방량 과 체중의 증가가 관찰되며 LPL을 통한 부위별 활성도 증가 와도 관련이 있어 중심형 비만을 초래하는 원인으로 생각된 다.30) 노화 방지 호르몬으로 알려진 DHEA의 경우 동물 실험 에서 체중 감소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1) 원인은 완전히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DHEA 투여 후 지방 세포내의 PPAR γ 의 upregulation과 렙틴의 감소가 유발되는 것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체질량지수, 체지방량, 제지방량 등의 연령에 따른 분포 차

이는 획일적인 비만 판정의 기준으로서의 비만 지표의 사용 이 연령에 따른 차이를 고려하지 못하여 비만 판정시 문제점 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러한 문제점은 국내 다 른 연구에서도 지적된 바 있다.32) 추후 비만 판정의 기준으로 연령까지 고려한 비만 지표의 선정이 필요하리라 본다.

본 연구는 대상자의 식습관, 운동량, 수면 등의 생활 습관 및 개개인의 기초대사률 등의 대사 능력에 대한 고려를 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다. 또한 대상자가 건강증진센터를 자의로 방문한 수진자들로 한정되었으므로 일반화시키기에는 오류를 범할 수도 있다. 70대 이후의 대상자들의 수 부족으로 70대 이후의 자료 분석을 제시하지 못한 점도 한계로 남는다. 다 만, 연령에 따른 체질량지수, 체지방량, 제지방량 등의 분포 차이의 흐름을 조망할 수 있었다. 이는 노화 현상과 함께 여 러 가지 대사적 질환과 관련된 비만의 예방과 치료에 있어서 획일적인 기준의 적용이 아닌 연령에 따른 차이를 고려한 비 만 지표의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는 노력이었으며 향후 잘 구 조화된 대규모 연구의 진행이 요구된다.

참고문헌

1. 문옥륜, 김남순, 장선미, 윤태호, 김성옥. 국민건강조사자료를 통 한 체질량지수와 고혈압과 당뇨병 유병률과의 관계. 가정의학회 지 1999;20:771-86.

2. Christou DD, Jones PP, Pimentel AE, Seals DR. Increased abdominal-to-peripheral fat distribution contributes to altered autonomic-circulatory control with human aging. Am J Physiol Heart Circ Physiol. 2004;287:H1530-7.

3. Siervogel RM, Wisemandle W, Maynard LM, Guo SS, Roche AF, Towne B. Serial changes in body composition throughout adulthoods and their relationship to changes in lipid and lipoprotein levels. The Fels Longitudinal study.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1998:18:1759-64.

4. Baumartner RN, Stauber PM, McHugh D,Koehler KM, Garry PJ.

Cross-sectional age differences in body composition in personns 60+ years of age. J Gerontol 1995;50A:M307-16.

5. Novak LP. Aging, total potasium, fat-free mass, and cell mass in males and females between ages 18 and 85 years. J Gerontol 1972;27:438-43.

6. Tzankoff SP, Norris AH. Longitudinal changes in basal metabolism in man. J Appl Physiolol 1978;45:536-9.

7. Chumlea WC, Guo SS. Bioelectrical impedence and body composition:pres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Nutr Rev 1994;52:123-31.

(6)

8. Svendson OL, Hassager C, Christiansen C. Age and menopause associated variations in body composition and fat distribution in healthy women as measured by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Metabolism 1995;44:369-73.

9. Poehman ET, Toth MJ, Gardner AW. Changes in energy balance and body composition at menopause;a controlled longitudinal study. Ann Intern Med 1995;123;673-5.

10. Ley CJ, Lees B, Stevenson JC. Sex and menopause associated changes in body-fat distribution. Am J Clin Nutr 1992;55:950-4.

11. Kotani K, Tokunaga K, Fujioka S, Kobatake T,Keno Y, Yoshida S, Shimomura I, Tarui S, Matsuzawa Y. Sexual dimorphism of age related changes in whole body fat distribution in the obese.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1994;18;207-12.

12. Pi-Sunyer FX. Medical hazards of obesity. Ann Intern Med 1993;119:655-60.

13. 심경원, 이상화, 이홍수. 체질량지수와 질병이환의 관련성. 대한비 만학회지 2001:10;147-55.

14. World health organization western pacific region. The asia- pacific perspective ;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2000.

15. Kuczmarki RJ, Flegal KM, Campbell SM, Johnson CL. Increasing prevalence of overweight among US adults.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1960 to 1991. JAMA 1994;272:205-11.

16. 대한비만학회. 비만의 진단과 치료. 아시아-태평양 지역 지침 2000:24-33.

17. 이중호, 송찬희, 염근상, 김경수, 남순우, 한준열, 정규원, 선희식, 연 령에 따른 체질량 지수와 체지방량의 분포, 가정의학회지 2003;24:1010-6.

18. Weiss S, Dufour S, Taksali SE, Tamborarlane WV, Petersen KP, Bonadona RC, Boseli L, Barbetta G, Allen K, Rife F, Savoye M, Dziura J, Sherwin R, SHulman GI, Caprio S. Prediabetes in obese youth ; a syndrome of impaired glucose tolerance, severe insulin resistance, and altered myocellular and abdominal fat partitioning. Lancet 2003;362:951-7.

19. Freedman DS, Serdula MK, Srinivasan SR, Berenson GS.

Relation of circumferences and skinfold thockness to lipid and insulin concentration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The Bogalusa Heart Study. Am J Clin Nutr 1999;69:308-17.

20. Ley CJ, Lees B, Stevenson JC. Sex and menopause associated

changes in body fat distribution. Am J Clin Nutr 1992;55:950-4.

21. Pasquali R, Casimirri F, Labate Am. Body weight, fat distribution and the menopausal status in women. Int J Obes 1994;18:614-21.

22. Moller N, Jorgenson JO, Alberti KG, et al. Short-term effects of growth hormone on fuel oxidation and regional substrate metabolism in normal man. J Clin Endocrinol Metabol 1990; 70:1179-86.

23. Skagg SR, Crist DM. Exogenous human growth hormone reduces body fat in obese women. Horm Res 1991;35:19-24.

24. Kelley DE, Mandarino LJ. Hyperglycemia normalizes insulin- stimulated skeletal muscle glucose oxidation and storage in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J Clin Invest 1990;86:

1999-2007.

25. Jensen MD, Haymond MW. Protein metabolism in obesity:effects of body fat distribution and hyperinsulinemia on leucine turnover. Am J Clin Nutr 1991;53:172-6.

26. Jensen MD, Martin ML, Cryer PE, et al. Effects of estrogen on free fat acid metabolism in humans. Am J Physiol 1994;266: E914-20.

27. Pansini F, Bonaccorsi G, Genovesi F, et al. Influence of estrogens on serum free fatty acid levels in women. J Clin Endocrinol Metab 1990;71:1387-9.

28. Wan MY, Lee Y, Unger RH. Novel form of lipolysis induced by leptin. J Biol Chem 1999;274:17451-544.

29. Garlick PJ, McNurlan MA, Bark T, et al. Hormonal regulation of protein metabolism in relation to nutrition and disease. J Nutr 1998;128:356-9.

30. Wabitsch M, Hauer H, Heinze E, et al. Body fat distribution and steroid hormone concentrations in obese adolescent girls before and after weight reduction. J Clin Endocrinol Metab 1995;84:3673-80.

31. Apostolova G, Schweizer RA, Balazs Z, Kostadinova Rm, Odermatt A. Dehydroepiandrosterone inhibits the amplification of glucocorticoid action in adipose tissue. Am J Physiol Endocrinol Metab. 2005;288:957-64.

32. 손정민, 김정희, 신성영, 차기철. 생체 임피던스 측정 방법을 이용 한 한국인의 연령층별 체성분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영양사회학 술지 2001;7:153-8.

(7)

[ Abstract ]

Age-related changes of Body mass index and body fat distribution in Korean women

Il Woo Joo, Tae Gi Bae, Yeul Soo Park, Sang Man Kim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Cheil General Hospital & Women's Health-Care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eoul

Background Body mass index among different sex is currently applied as the diagnostic standard of obesity regardless of ag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necessity of new obesity index in Korean women dependent on age from the results of age-associated body mass index and body fat distribution of the visitors in Women's Health-Care Center in Seoul.

Methods We selected 2211 subjects who have visited the Women's Health-Care Center in Seoul from June 2003 to December 2004.

Body weight, body mass index, body fat mass and fat free mass associated with age were measured and analyzed by SPSS( ANOVA and Duncan post-hoc test).

Results Each of body weight, body mass index and body fat mass of group 50-59 were 56.2±7.8kg, 23.7±3.0kg/m2, 18.1±7.3kg and they showed significant increase compared to those of group 40-49(54.5±7.6kg, 22.3±2.9kg/m2, 15.7±5.0kg)(P<0.05)). In the case of fat free mass, Mean value of group 50 was 38.1± 3.6kg and it showed significant decrease compared to that of group 40-49(38.8±3.6kg)(P<0.05)).

Conclusions No significant changes of body weight, body mass index and body fat mass were observed in subjects under 40. Increase in body weight, body mass index and body fat mass in subjects over 50 were prove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in case of fat free mass, slightly increase from 20 to 30 and consistancy from 30 to 40 were observed. And significant decrease in fat free mass in subjects over 50 was noted. We should conduct further systematic epidemiologic study to apply this to universal standards. (Korean J Health Promot Dis Prev 2006 ; 6(3) : 158~164) Key words body composition, body mass index(BMI), body fat mass, fat free mass, obesity

4`

∙Address for correspondence : Il Woo Joo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Cheil General Hospital &

Women's Health-Care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eoul

∙T e l : 02-2000-7158

∙E-mail : yeora@unitel.co.kr

수치

Table  1. Baselin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N=2211) Variables Mean±standard  deviation
Figure 4. Distribution  of  age-associated  fat  free  mass(kg) Fat free mass of group 50-59 were 38.1±  3.6kg, which showed  significant decrease compared with that of group 40-49,  38.8±3.6kg.(P&lt;0.05) Other groups such as 20-29, 30-39, and  40-49  had
Table  3.  Percentiles  of  BMI,  body  fat  mass  and  fat  free  mass Percentiles BMI*

참조

관련 문서

It was summarized as follows that group participating in after-school basketball activities for 12 weeks showed decrease of the body fat(%) and increase

In the change in body composition, body weight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all items in the exercise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mpact of age at first childbirth on glucose tolerance status in postmenopausal women: the 2008-201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2) In between-group comparison before and after elastic band exercise,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percentage of body fat, fat-free

In conclusion, Pilates chair exercise is a positive factor in improving skeletal muscle mass among menopausal women's body composition and lower muscles EMG

Age-related changes in the prevalence of osteoporosis according to gender and skeletal site: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10..

In this study, 12 weeks of aerobic exercise was conducted in middle-aged women aged 45 to 55 years with a body fat rate of 30% or more to determine the effects of blood

Changes in body composition, health status, and dietary behavior for middle-aged obese women in a weight control program at a community health center.. Changes